KR102515321B1 - 도로 포장층을 강화하는 3차원 입체구조의 섬유 그리드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보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도로 포장층을 강화하는 3차원 입체구조의 섬유 그리드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보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321B1
KR102515321B1 KR1020210141875A KR20210141875A KR102515321B1 KR 102515321 B1 KR102515321 B1 KR 102515321B1 KR 1020210141875 A KR1020210141875 A KR 1020210141875A KR 20210141875 A KR20210141875 A KR 20210141875A KR 102515321 B1 KR102515321 B1 KR 102515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d
road
asphalt
layer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브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브리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브리드
Priority to KR1020210141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3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16Reinforcements
    • E01C11/165Reinforcements particularly for bituminous or rubber- or plastic-bound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6Pavings made in situ, e.g. for sand grounds, clay courts E01C13/003
    • E01C13/065Pavings made in situ, e.g. for sand grounds, clay courts E01C13/003 at least one in situ layer consisting of or including bitumen, rubber or plast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20Industrial for civil engineering, e.g. geotextiles
    • D10B2505/204Geotex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01C2201/167Elements joined together by reinforcement or me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스팔트 계열의 받침부재를 토목섬유 고강도 그리드 바닥에 결합하여 아스팔트 콘크리트 도로 포장층을 강화시키는 3차원 입체구조의 그리드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보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인조섬유를 격자 모양으로 위사와 경사를 배치하고 상기 위사와 경사의 교차점을 결속사로 결속시킨 구성으로 이루어진 그리드와, 상기 그리드의 교차점 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받침부재를 결합시켜서 된 도로 포장층을 강화하는 3차원 입체구조의 섬유 그리드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보수 시공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 포장층을 강화하는 3차원 입체구조의 섬유 그리드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보수 시공방법 {Three dimensional geotextile grid that strengthens the road pavement layer and a road repair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아스팔트 계열의 받침부재를 토목섬유 고강도 그리드 바닥에 결합하여 아스팔트 콘크리트 도로 포장층을 강화시키는 3차원 입체구조의 그리드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보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면이 파손된 도로는 통상적으로 도로 표층을 40~80mm 깊이로 절삭한 뒤에, 새로운 아스팔트 혼합물로 절삭된 깊이만큼 덧씌워서 아스콘 표층을 형성하여 보수된다.
최근에는, 도로 보수 비용의 절감과 교통통제를 최소화 하도록, 기존 도로 표층을 비교적 얇은 40-50mm 깊이로 절삭하여 보수하는데, 이때 토목섬유 고강도 그리드를 절삭 표면에 설치하여, 새로운 아스팔트 혼합물로 덧씌우는 아스콘 표층을 강화하는 보수 공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강화 그리드로 아스콘 표층의 공용기간을 연장하고 도로 보수의 횟수와 기간을 줄여서 유지 보수의 생애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러한 고강도 그리드는 덧씌우기 아스콘 표층 하부에 밀착되어 일체화 되어야 한다. 이로써, 고중량의 차륜이나 외부 온도변화에 의해서 생성된 외부 응력이 도로 표층에 가해질 때, 이를 분산하거나 흡수하여서 균열의 발생을 억제하고, 균열의 진행을 지연시켜서, 결과적으로 아스콘 덧씌우기층의 공용기간을 2~3배 이상 증대하게 된다.
하지만, 아스콘 표층 덧씌우기 보수 공사시에, 기존 도로 표층을 절삭하는 장비의 절삭날로 인해서, 대개 7 mm 이상의 깊고, 불균일한 홈이 절삭 표면에 생성되고, 고강도 토목섬유 그리드의 딱딱한 양상은, 거칠고 불균일하게 절삭된 표면에 충분히 부착되기 어렵다.
이러한 절삭 표면과 그리드 강화재 사이의 부족한 접착력은, 덧씌워진 아스콘 표층이 절삭면 부위에서 탈착되는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렇게 덧씌워진 아스콘 표층이 기존 하부층과 불충분한 부착과 탈착은 고강도 그리드의 설치에도 불구하고, 아스콘 표층 하부에서 굽힘 모멘트가 급속히 증가되어 균열 발생의 원인이 되어서, 고강도 그리드에 의한 공용 기간 증대 효과를 얻을 수 없다.
기존 도로는 시간이 지나면서 기후변화나 차륜에 의해 파손이 발생되며, 이 때, 아스팔트 혼합물 등을 이용하여, 덧씌우기 하는 보수 작업을 필요로 한다. 지구 온난화에 의하여 점점 심해지는 기후변화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고중량 차륜의 교통 빈도는 기존 도로 구조물의 파손을 가속하여, 아스콘 표층은 기대되는 약 20년의 공용 연한을 만족하지 못하고, 빈번한 도로 보수의 필요가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잦은 도로 보수 필요는 도로 유지보수 비용을 증대하고, 교통 통제의 부담 때문에, 보수 기간과 빈도를 줄이려는 노력이 진행되어 왔다.
고강도 토목섬유 그리드는 비교적 얇은 40-80mm 깊이의 아스콘 표층 덧씌우기층을 강화하는 목적으로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토목섬유 그리드는 유리섬유나 인조섬유를 10-30 mm 크기의 격자 모양으로 위사와 경사를 나열하고, 각 교차점을 인조섬유 실로 단단히 묶어서 직물 형태를 구성한다. 이 후에 아스팔트 혹은 고분자 수지로 구성된 직물을 피복하여, 요구되는 물성을 부여한다. 부가적으로 피복된 강화 그리드에 얇은 직물이나 필름을 부착하여 시공 편이성과 성능을 개선하는 제품들도 또한 개발되어 왔다.
하지만, 기존 도로 표층을 절삭할 때 생기는 통상 7mm 이상의 깊고 불균일한 홈으로 인해서 절삭표면이 매우 거칠어서, 절삭 표면에 직접 부착되는 기존 2차원 평면 고강도 섬유 그리드는 강성의 딱딱한 양상으로 인해서, 절삭 표면에서 매우 제한적인 접촉 면적으로 인해 부착력이 매우 약하다.
이로 인해, 절삭면과 2차원 평면 그리드 위에 덧씌워져 구성된 아스콘 표층의 접착력은 불충분하게 되어 궁극적으로 아스콘 표층이 탈착되는 위험을 내재한다. 새롭게 덧씌워진 아스콘 표층이 탈착되면, 고강도 섬유 그리드가 아스콘 덧씌우기층을 강화하여 개선되는 공용성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
KR 제10-0618719호 KR 제10-1174256호 KR 제10-1891248호 (특허공개문헌 0004) KR 제10-2016-7011376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덧씌우기 도로 포장시에 격자 모양으로 된 그리드의 위사와 경사가 교차되는 교차점의 저면에 받침부재가 구비되어 그리드가 도로 포장층의 절삭표면과 간극이 유지되도록 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부재에 의해 도로 포장층의 절삭표면과 아스콘 표층 바닥면사이에 그리드가 강력하게 부착되어 그리드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한 도로 포장층을 강화하는 3차원 입체구조의 섬유 그리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인조섬유를 격자 모양으로 위사와 경사를 배치하고 상기 위사와 경사의 교차점을 결속사로 결속시킨 구성으로 이루어진 그리드와, 상기 그리드의 교차점 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받침부재를 결합시켜서 된 도로 포장층을 강화하는 3차원 입체구조의 섬유 그리드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리드의 격자 모양은 10mm~50mm 크기로 형성되고, 받침부재는 1mm~20mm의 높이를 갖는 원통형 또는 각형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부재는 100℃ 이하의 연화점을 갖는 열가소성 고분자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부재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이소프렌, 이소부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 폴리비닐알콜, EVA, 폴리스틸렌 계열 열가소성 고분자의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로 보수 시공방법에 있어서, 도로 포장면에서 파손된 도로의 표층을 절삭한 절삭면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의 이물질이 제거된 도로 절삭면에 유화아스팔트를 0.1 이상 0.5 kg/m2 이하로 분사하는 제2단계, 상기 2단계의 유화아스팔트가 분사된 도로 절삭면에 인조섬유를 격자 모양으로 위사와 경사를 배치하고 상기 위사와 경사의 교차점을 결속사로 결속시킨 구성으로 이루어진 그리드의 교차점 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받침부재를 결합시켜서 구성된 3차원 그리드를 도로면에 포설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 의해 포설된 3차원 그리드를 30 psi이상으로 압착하여 부착하는 시공한 후에 아스팔트 혼합물을 덧씌우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도로 보수 시공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로 포장층을 강화하는 3차원 입체구조의 섬유 그리드는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덧씌우기 도로 포장시에 그리드의 위사와 경사가 교차되는 교차점의 저면에 받침부재가 구비되어 그리드가 도로 포장층의 절삭표면과 간극이 유지되도록 한 구성으로 도로 포장층의 절삭면과 아스콘 표층 바닥면사이에 그리드가 강력하게 부착되어 도로 보수의 횟수와 기간을 줄여서 유지 보수의 생애비용을 절감하고. 아스콘 표층 하부에 밀착되어 고중량의 차륜이나 외부 온도변화에 의해서 생성된 외부 응력이 도로 표층에 가해지는 것을 분산 및 흡수하여 균열의 발생을 억제및 진행을 지연시켜 아스콘 덧씌우기층의 공용기간을 크게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로 포장층을 강화하는 3차원 입체구조에 적용되는 섬유 그리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로 포장층을 강화하는 3차원 입체구조의 섬유 그리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로 포장층을 강화하는 3차원 입체구조의 섬유 그리드를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4의 (가)(나)는 본 발명에 의한 도로 포장층을 강화하는 3차원 입체구조의 섬유 그리드에 적용되는 받침부재의 구성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도로 포장층을 강화하는 3차원 입체구조의 섬유 그리드를 이용한 사용상태 단면 예시도.
도 6은 종래의 도로 포장층에 적용되는 그리드를 이용한 사용상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도로 포장층을 강화하는 3차원 입체구조의 섬유 그리드는, 아스팔트 콘크리트(이하"아스콘"이라 함)의 덧씌우기 도로 포장시에 그리드의 위사와 경사가 교차되는 교차점의 저면에 받침부재가 구비되어 그리드가 도로 포장층의 절삭표면과 간극이 유지되도록 한 구성으로 도로 포장층의 절삭표면과 아스콘 표층 바닥면사이에 그리드가 강력하게 부착되어 그리드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유리섬유나 폴리에스터 등의 인조섬유를 10-30mm 크기의 격자 모양으로 위사(110)와 경사(120)를 배치하고, 상기 위사(110)와 경사(120)의 교차점을 폴리에스터 또는 나일론 등의 인조섬유 실로 된 결속사(130)로 결속시킨 그리드(100)를 구비하고, 상기 그리드(100)의 표면은 아스팔트 혹은 고분자 수지를 피복시키는 코팅처리를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그리드(100)의 위사(110)와 경사(120)의 교차점 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100℃ 이하의 연화점을 갖는 열가소성 고분자 소재로 만들어진 1~20mm 두께의 받침부재(200)를 일체로 결합시켜서 된 3차원 입체구조의 강화 그리드를 구성한다.
상기 받침부재(200)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이소프렌, 이소부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 폴리비닐알콜, EVA(ethylene vinyl acetate), 폴리스틸렌 계열 열가소성 고분자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며, 이러한 받침부재(200)의 소재는 150℃ 이상으로 가열되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온도에 의해서 열적 반응을 일으키는 소재여야 덧씌워지는 아스팔트 표층과 화학적 결합으로 일체화된다. 만일 화학적 결합이 불충분하다면 받침부재가 절삭면과 접촉되는 면에서 분리 및 탈착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받침부재(200)의 주요 물성으로 연화점이 100℃ 이하로 낮은 저연화점 소재로 구성해야 한다.
또한, 받침부재(200)의 두께는 1mm~20mm로 함이 바람직하고, 원통형 혹은 각형으로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고, 받침부재(200)의 두께가 1mm 미만으로 너무 얇으면 절삭표면과 그리드의 간극이 좁아지면서 덧씌우기 아스팔트 혼합물의 골재가 그 사이로 채워지는 것이 방해를 받게 되며, 받침부재(200)의 두께가 20mm를 초과하면 강화 그리드 평면이 너무 높아져서 공사 중차량들이 그 위를 통과할 때 차륜의 마찰에 의한 전단력으로 설치된 그리드가 수평 이동으로 뒤틀어지거나 구김이 발생될 여지가 많기 때문이다.
단, 저연화점 열가소성 소재의 특성상 상온 혹은 30℃ 이상 고온에서 받침부재(200)의 형태를 유지하기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지지섬유로 된 패드(220)로 받침부재(200)의 내부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패드(220)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 폴리비닐알콜, EVA (ethylene vinyl acetate), 폴리스틸렌 계열 열가소성 고분자의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를 혼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단위무게는 200g/m2 이하의 다기공 섬유체, 또는 필름의 형태로 함이 바람직하다.
또, 받침부재(200)는 격자모양의 고강도 그리드(100)의 교차점 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접착층(210)으로 결합하여 그리드에 일체화된 구성을 갖도록 하거나, 또는 그리드(100)의 교차점을 결속시키는 결속사(130)로 결합하여 그리드에 일체화된 구성을 갖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받침부재(200)에 의해 일정 높이가 부여된 3차원 입체 그리드(100)는 간극이 구비되면서 덧씌워지는 아스팔트 혼합물(A)이 그리드(100)의 격자를 통과하여 그리드접촉점(C)의 하부에 위치하는 7mm 이상의 절삭홈과 거칠고 불균일한 절삭면으로 된 절삭부(B)를 우선적으로 채우게 되므로 강화 그리드는 절삭면의 평탄성에 상관없이 언제나 평탄한 아스팔트 혼합물 표면에 안착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강화 그리드는 절삭표면과 아스콘 표층 바닥면 사이에 강력하게 부착되어 그리드(100)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도로 포장층의 절삭면과 아스콘 표층 바닥면사이에 그리드(100)가 강력하게 부착되어 아스콘 표층의 공용기간을 연장하고 도로 보수의 횟수와 기간을 줄여서 유지 보수의 생애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며, 아스콘 표층 하부에 밀착되어 일체화되므로 고중량의 차륜이나 외부 온도변화에 의해서 생성된 외부 응력이 도로 표층에 가해지는 것을 분산 및 흡수하여 균열의 발생을 억제하고, 균열의 진행을 지연시켜서 아스콘 덧씌우기층의 공용기간을 크게 증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아스콘 강화 그리드가 통상적으로 격자의 형태를 제조되는 이유는 기존 하부 아스콘과 덧씌워지는 아스콘 표층의 접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격자를 통해서 덧씌우기 아스팔트 혼합물이 직접 하부 아스콘 표면과 접촉하게 하여 물리적인 구속(Interlocking)을 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이러한 3차원 입체구조 그리드의 격자를 통해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스팔트 혼합물(A)이 통과되어 도로 절삭면의 절삭홈을 채우며, 받침부재(200)로 생긴 간극을 아스팔트 혼합물이 덮어 박층을 형성하면, 3차원 입체구조 그리드가 아스팔트 혼합물 박층에 안착되는 아스팔트 혼합물 박층에 안착되는 그리드 강화 아스팔트 덧씌우기층이 건설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3차원 입체구조 그리드를 이용한 도로 보수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로 포장면에서 파손된 도로의 표층을 절삭한 도로 절삭면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의 이물질이 제거된 도로 절삭면에 유화아스팔트를 0.1 이상 0.5 kg/m2 이하로 분사하는 제2단계, 상기 2단계의 유화아스팔트가 분사된 도로 절삭면에 인조섬유를 격자 모양으로 위사(110)와 경사(120)를 배치하고 상기 위사(110)와 경사(120)의 교차점을 결속사(130)로 결속시킨 구성으로 이루어진 그리드(100)의 위사(110)와 경사(120)의 교차점 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100℃ 이하의 연화점을 갖는 열가소성 고분자 소재로 구비되는 받침부재(200)를 일체로 결합시켜서 된 3차원 그리드를 도로면에 포설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 의해 포설된 3차원 그리드를 30 psi이상으로 압착하여 부착하는 시공한 후에 아스팔트 혼합물을 덧씌우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표면이 파손된 도로는 통상적으로 도로 표층을 40~80mm 깊이로 절삭한 다음 상기 절삭한 절삭면에서 이물질을 제거한 도로 절삭면에 유화아스팔트를 분사하여 덧씌워지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접착력이 높아질 수 있도록 한 다음 그리드(100)의 위사(110)와 경사(120)의 교차점 저면에 받침부재(200)가 결합되어 있는 3차원 입체구조 그리드를 설치한 상태에서 도로 포장공사 건설 중차량이 그리드(100) 위를 주행하면서 아스팔트 혼합물을 덧씌우는 도로 보수 시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3차원 입체구조 그리드의 받침부재(200)가 불균일하고 거친 절삭면에서 탈착되지 않도록 받침부재를 일정 압력 이상으로 압착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저연화점, 열가소성 고분자 소재의 특성으로 우수한 접착성을 이미 갖고 있지만, 약 15 km/m의 속도 이하로 운행되는 30톤 이상의 건설 중차량 차륜의 표면 전단력으로부터 3차원 입체구조 그리드의 설치 안정도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0.3 kPa 이상, 통상 0.4kPa의 인장 접착력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인장 접착력은 받침부재를 30psi 이상의 압력의 타이어나 1톤 이상의 철재 롤러로 2회 이상 압착하면, 요구되어지는 인장 접착력을 얻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고무나 강재와 같은 단단한 소재로 30 psi 이상의 충격을 주어도 접착이 가능하다.
침입도 60, 연화점 50℃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100에 SBS(Styrene-Butadiene-Styrene) 탄성고분자 5 비율로 혼합하여 만든 SBS 개질 아스팔트를, 직경 50mm, 높이 10mm의 원통형 받침부재로 제작하였으며, 폴리프로필렌 30g/m2 의 다기공 섬유로 받침부재 5mm 깊이를 보강하였다. 아크릴계 코팅제로 처리된 유리섬유 그리드(격자간격 = 25mm, 위사 및 경사 인장강도 = 10톤/m)의 교차점 100mm 마다 자가 점착하면서 3차원 입체구조 그리드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원형으로 감아서 폭 1500m, 길이 100m로 제작된 3차원 입체구조 그리드를 준비하였다. 아스팔트 도로 보수 공사 현장에서, 약 7mm 깊이로 기존 파손된 표면을 절삭하였고, 원형 브러쉬를 이용하여 절삭된 아스팔트 잔해와 먼지를 말끔히 제거하였다. 유화아스팔트 분사장비를 이용하여, 약 0.3 kg/m2 비율로 분사한 뒤에 약 25℃의 기온에서 1시간동안 건조된 상태에서 3차원 입체구조 그리드를 포설하였다. 35psi 공기압 바퀴가 부착된 1톤 트럭을 왕복 2회 이상 포설된 그리드 표면을 충분히 가압하여, 받침부재의 절삭표면 접착을 이루었다.
(실험예 1)
상기와 같은 보수된 도로 포장층을 KS F 4932 (2017년 4.7장 참조) 전단접착 시험 방법을 통하여 전단접착 강도를 측정하여서, 본 발명의 객관적 접착성능 개선을 평가하였다.
전단 접착 시험기는 가하는 하중 속도가 일정하도록 조절하여, 20℃ 온도환경에서 진행되었다. 시료 제작은 우선 시험용 40MPa 콘크리트 밑판을 100mm x 100mm 크기로 제작하였고, 시료는 기존의 유리섬유 강화 그리드와, 본 발명기술은 그리드에 5mm 두께의 각형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받침부재를 부착한 3차원 강화그리드를 각각 부착한 후에 150℃로 가열된 아스팔트 포장용 혼합물을 50mm 두께로 포설하여 제작하였다.
각 시료는 시험 측정 온도에서 1시간 이상 안정화 시킨 후에 시험 장치에 올려서 전단시험을 진행하였다. 전단 접착 강도는 다음 식으로 산출한다.
Figure 112021121416956-pat00001
전단 접착 강도
기존의 평면 그리드 본 발명의 3차원 입체 그리드
0.25 MPa 0.33 MPa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받침부재로 시료 바닥판과 강화 그리드 사이의 간극이 부여된 3차원 입체 그리드 시료는 기존의 그리드 시료에 비하여 30% 이상의 높은 전단 접착 성능을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의 아스팔트 혼합물의 우수한 접착력을 이용한 3차원 입체구조의 고강도 섬유 그리드는 도로 건설의 거칠고 불균일한 현장 상황에서도 도로 포장층을 강화시킬 수 있게 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그리드 110 : 위사
120 : 경사 130 : 결속사
200 : 받침부재 210 : 접착층
220 : 패드 A : 아스팔트 혼합물
B : 절삭부 C : 그리드접촉점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도로 보수 시공방법에 있어서,
    도로 포장면에서 파손된 도로의 표층을 절삭한 도로 절삭면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의 이물질이 제거된 도로 절삭면에 유화아스팔트를 0.1 이상 0.5 kg/m2 이하로 분사하는 제2단계,
    상기 2단계의 유화아스팔트가 분사된 도로 절삭면에 인조섬유를 격자 모양으로 위사(110)와 경사(120)를 배치하고 상기 위사(110)와 경사(120)의 교차점을 결속사(130)로 결속시킨 그리드(100)와, 상기 그리드(100) 교차점 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100℃ 이하의 연화점을 갖는 열가소성 고분자 소재로 구비되는 받침부재(200)를 일체로 결합시켜서 된 3차원 그리드를 도로면에 포설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 의해 포설된 3차원 그리드를 30 psi이상으로 압착하여 부착하는 시공한 후에 아스팔트 혼합물을 덧씌우는 제4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그리드(100)의 격자 모양은 10mm~50mm 크기로 형성되고, 받침부재(200)는 1mm~20mm의 높이를 갖는 원통형 또는 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을 덧씌우는 제4단계에서는 상기 그리드(100)의 격자를 통해 아스팔트 혼합물이 통과되어 도로 절삭면의 절삭홈을 채우며, 상기 받침부재(200)로 생긴 간극을 아스팔트 혼합물이 덮어 박층을 형성하여 상기 그리드(100)가 아스팔트 혼합물 박층에 안착되어 그리드 강화 아스팔트 덧씌우기층이 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보수 시공방법.
KR1020210141875A 2021-10-22 2021-10-22 도로 포장층을 강화하는 3차원 입체구조의 섬유 그리드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보수 시공방법 KR102515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875A KR102515321B1 (ko) 2021-10-22 2021-10-22 도로 포장층을 강화하는 3차원 입체구조의 섬유 그리드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보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875A KR102515321B1 (ko) 2021-10-22 2021-10-22 도로 포장층을 강화하는 3차원 입체구조의 섬유 그리드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보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5321B1 true KR102515321B1 (ko) 2023-04-06

Family

ID=85918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875A KR102515321B1 (ko) 2021-10-22 2021-10-22 도로 포장층을 강화하는 3차원 입체구조의 섬유 그리드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보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32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719B1 (ko) 2003-08-18 2006-08-31 주식회사 삼양사 포장도로의 보강, 보수용 지오그리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174256B1 (ko) 2012-07-05 2012-08-14 김문정 지하차도 구조물의 신축이음부 포장층 연결부재 및 포장층 시공방법
KR101722506B1 (ko) * 2016-09-09 2017-04-03 (주)에프투비 아스팔트 보강재, 이것의 제조방법 및 아스팔트 보강재를 이용한 아스팔트 보강 시공방법
KR20170127765A (ko) * 2016-05-12 2017-11-22 정림건설(주) 미끄럼방지용 도로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879347B1 (ko) * 2017-10-30 2018-07-17 주식회사 에코텍스 고흡수성 부직포를 포함한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아스팔트 도로의 보수 보강공사 방법
KR101891248B1 (ko) 2017-04-14 2018-08-23 (주)빌트존 아스팔트 덧씌우기 도로 포장용 그리드
KR102196607B1 (ko) * 2019-06-27 2020-12-30 (주)에프투비 용융형 열가소성 pa웹을 적용한 아스팔트 보강재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719B1 (ko) 2003-08-18 2006-08-31 주식회사 삼양사 포장도로의 보강, 보수용 지오그리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174256B1 (ko) 2012-07-05 2012-08-14 김문정 지하차도 구조물의 신축이음부 포장층 연결부재 및 포장층 시공방법
KR20170127765A (ko) * 2016-05-12 2017-11-22 정림건설(주) 미끄럼방지용 도로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722506B1 (ko) * 2016-09-09 2017-04-03 (주)에프투비 아스팔트 보강재, 이것의 제조방법 및 아스팔트 보강재를 이용한 아스팔트 보강 시공방법
KR101891248B1 (ko) 2017-04-14 2018-08-23 (주)빌트존 아스팔트 덧씌우기 도로 포장용 그리드
KR101879347B1 (ko) * 2017-10-30 2018-07-17 주식회사 에코텍스 고흡수성 부직포를 포함한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아스팔트 도로의 보수 보강공사 방법
KR102196607B1 (ko) * 2019-06-27 2020-12-30 (주)에프투비 용융형 열가소성 pa웹을 적용한 아스팔트 보강재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6132B1 (ko) 도로 보강 시트 및 아스팔트 강화 포장 도로의 구조 및도로의 포장 방법
KR101879347B1 (ko) 고흡수성 부직포를 포함한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아스팔트 도로 보강용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아스팔트 도로의 보수 보강공사 방법
EP2183430B1 (en) Reinforcement for asphaltic paving, method of paving, and process for making a grid with the coating for asphaltic paving
KR101482163B1 (ko) 카보팔트 섬유보강재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 소성변형 방지 공법
Button et al. Guidelines for using geosynthetics with hot-mix asphalt overlays to reduce reflective cracking
CA2695531C (en) Composite tack film for asphaltic paving, method of paving, and process for making a composite tack film for asphaltic paving
KR101798443B1 (ko) Sbs 개질 아스팔트 방수시트 및 그 시공방법
EP2183429B1 (en) Composite with tack film for asphaltic paving and process for making a composite with tack film for asphaltic paving
JP3640968B2 (ja) 道路補修用応力吸収複合材料
KR101579844B1 (ko) 아스팔트 함침형 섬유그리드 제조방법 및 아스팔트 포장 층간 부착력 증대 시공방법
KR101323022B1 (ko) 콘크리트 도로용 신축줄눈 파손부의 보수방법
CN100366822C (zh) 对铺砌表面进行加固和防水处理的方法
KR100618719B1 (ko) 포장도로의 보강, 보수용 지오그리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515321B1 (ko) 도로 포장층을 강화하는 3차원 입체구조의 섬유 그리드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보수 시공방법
JP2015090021A (ja) 埋設型伸縮装置、橋梁及び埋設型伸縮装置の施工方法
KR101925512B1 (ko) 다방향 및 평면 보강형 아스팔트 보강재료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 방법
KR102407794B1 (ko) 아스팔트 덧씌우기층 보강용 토목섬유부재의 보풀 형성방법 및 토목섬유부재의 시공방법
KR102199977B1 (ko) 포장층과 방수층의 접착력을 향상시킨 교량 상판 방수구조 및 교량 상판 방수공법
CN103114510A (zh) 具有点阵结构过渡复合层的沥青路面及其施工方法
EP2374768B1 (de) Fußbodenuntergrund
JP2024505036A (ja) ジオグリッドおよびジオテキスタイルを有する土木構造物、かかる土木構造物を製造および提供する方法、ならびにその使用
CN210737260U (zh) 一种刚性路基与柔性路基交界面
CN115917084A (zh) 包括沥青浸渍无纺布的沥青增强材料及利用其的铺装维修方法
AU2011253654C1 (en) Reinforcement for asphaltic paving, method of paving, and process for making a grid with the coating for asphaltic paving
KR102394366B1 (ko) 아스팔트 도로 포장용 그리드 체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도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