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4863B1 - 에어컨 판형 열교환기 배관용 고주파 브레이징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컨 판형 열교환기 배관용 고주파 브레이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863B1
KR102514863B1 KR1020220160739A KR20220160739A KR102514863B1 KR 102514863 B1 KR102514863 B1 KR 102514863B1 KR 1020220160739 A KR1020220160739 A KR 1020220160739A KR 20220160739 A KR20220160739 A KR 20220160739A KR 102514863 B1 KR102514863 B1 KR 102514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jig
mounting
coil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0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식
김정아
Original Assignee
신영식
주식회사 제이씨유스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식, 주식회사 제이씨유스틸 filed Critical 신영식
Priority to KR1020220160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8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08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0012Brazing heat exch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3/00Welding by high-frequency current heating
    • B23K13/01Welding by high-frequency current heating by induction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9/003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conduits for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also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14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4Fastening; Joining by br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 판형 열교환기 배관용 고주파 브레이징 장치이다. 그의 구체적인 구성은, 장착및탈거부(10)가 마련되되, 상기 장착및탈거부(10)의 일측에는 이송레일과 에어실린더로 구성된 제1지그이송부(11)가 설치되고, 이송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제1지그장착대(12)가 장착되며, 상기 제1지그장착대(12)의 상부에는 판형열교환기(1)가 장착되는 제1장착지그(14)가 설치되며, 상기 제1지그장착대(12)의 하부에는 제1장착지그(14)를 축회전시키는 제1지그회전부(13)가 장착되고, 상기 장착및탈거부(10)의 타측에는 이송레일과 에어실린더로 구성된 제2지그이송부(15)가 설치되고, 이송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제2지그장착대(16)가 장착되며, 상기 제2지그장착대(16)의 상부에는 판형열교환기(1)가 장착되는 제2장착지그(18)가 설치되며, 상기 제2지그장착대(16)의 하부에는 제2장착지그(18)를 축회전시키는 제2지그회전부(17)가 장착되고, 상기 장착및탈거부(10)의 직상방에는 고주파브레이징부(20)가 마련되되, 개방형코일(6)이 장착된 제1코일블럭(23)이 일측에 장착되고, 제1코일블럭(23)을 전후진 시키는 제1코일이송부(22)가 장착되며, 상기 제1코일블럭(23)의 직상방에는 제1유닛이송부(21)이 장착되어, 제1코일블럭(23) 및 제1코일이송부(22)로 구성된 제1유닛을 제1코일이송부(22)의 전후방 직선 운동에 대해 직각으로 교차되도록 이송시키고, 상기 제1코일블럭(23)의 측방에는 개방형코일(6)이 장착된 제2코일블럭(26)이 장착되며, 제2코일블럭(26)을 전후진 시키는 제2코일이송부(25)가 장착되고, 상기 제2코일블럭(26)의 직상방에는 제2유닛이송부(24)이 장착되어, 제2코일블럭(26) 및 제2코일이송부(25)로 구성된 제2유닛을 제2유닛이송부(24)의 전후방 직선 운동에 대해 직각으로 교차되도록 이송시키며, 상기 고주파브레이징부(20)의 직상방에는 중앙작동부(30)가 마련되되, 설치대(31)위에는 제1작동이송부(35)와 제2작동이송부(36)가 세로 및 가로축으로 교차 방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제2작동이송부(36)에는 작동부(32)가 장착되며, 상기 작동부(32)의 내부에는 회전부(33)를 통해 축회전 되는 회전축(34)이 장착되고, 상기 작동부(32)의 직하방에는 고주파브레이징부(20)가 설치되며, 상기 장착및탈거부(10)와 고주파브레이징부(20) 및 중앙작동부(30)에 설치된 각각의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1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Description

에어컨 판형 열교환기 배관용 고주파 브레이징 장치{The high frequency brazing device for air conditioner plate heat exchanger piping}
본 발명은 에어컨 판형 열교환기 배관용 고주파 브레이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컨용 판형 열교환기에 장착되는 배관의 접속 부위를 개방형 코일을 이용하는 고주파 브레이징을 통해 국부적으로 접합함으로써, 내구성이 고도로 향상되는 에어컨 판형 열교환기 배관용 고주파 브레이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에어컨 판형 열교환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의 (a)에서 보듯이 판형열교환기(1)는 스테인리스 강판을 비롯하여 알루미늄 등의 금속판을 다층 구조로 형성한 것으로서, 판형열교환기(1)가 적용되는 에어컨의 성능과 종류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배관(2)이 다수개 접합된다.
다층으로 구성된 판형열교환기(1)의 특성상 배관(2)을 접합하는 과정에서 열을 흡수하게 되면, 산화되는 문제점을 비롯하여 기계적, 열적 성질 등의 변형이 발생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토치(3)를 이용하여 판형열교환기(1)에 배관(2)을 접합할 경우, 토치(3)에서 나오는 화염이 배관(2)의 접속 부위를 가열할 때, 판형열교환기(1)에 고온의 열이 전달되는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조(4)에 판형열교환기(1)를 담근 상태에서 접합 작업을 진행하였다.
도 1의 (b)와 같이 수조(4)에 담겨 있는 물속에 판형열교환기(1)를 넣고, 배관(2)의 접속 부위에 토치(3)를 이용하여 화염을 가하면서 접합 작업을 시행하더라도, 판형열교환기(1)는 물로 인해 냉각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배관(2)의 접합 과정에서 판형열교환기(1)의 물성 변화를 방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판형열교환기(1)를 수조(4)에 넣은 상태에서 토치(3)를 통해 배관(2)을 접합하는 과정에서 수조(4)의 물이 열을 받아 수증기로 변화되어 배관(2)의 내부로 유입되는 일이 발생된다.
판형열교환기(1)의 배관(2)에 수증기가 스며든다는 것은, 판형열교환기(1)가 장착되는 에어컨에서 배관(2)을 따라 흐르는 차가운 냉매로 인해 배관(2)속의 수증기가 냉각되어 냉매의 흐름을 방해함으로써, 에어컨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고장을 일으키는 요인이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토치를 이용한 수조 투입식 배관의 접합 방법을 원천적으로 배제함으로써, 판형열교환기의 에 수증기와 같은 물 성분이 스며드는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하고자, 개방형코일을 이용한 에어컨 판형 열교환기 배관용 고주파 브레이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판형 열교환기 배관용 고주파 브레이징 장치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장착및탈거부(10)가 마련되되, 상기 장착및탈거부(10)의 일측에는 이송레일과 에어실린더로 구성된 제1지그이송부(11)가 설치되고, 이송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제1지그장착대(12)가 장착되며, 상기 제1지그장착대(12)의 상부에는 판형열교환기(1)가 장착되는 제1장착지그(14)가 설치되며, 상기 제1지그장착대(12)의 하부에는 제1장착지그(14)를 축회전시키는 제1지그회전부(13)가 장착되고, 상기 장착및탈거부(10)의 타측에는 이송레일과 에어실린더로 구성된 제2지그이송부(15)가 설치되고, 이송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제2지그장착대(16)가 장착되며, 상기 제2지그장착대(16)의 상부에는 판형열교환기(1)가 장착되는 제2장착지그(18)가 설치되며, 상기 제2지그장착대(16)의 하부에는 제2장착지그(18)를 축회전시키는 제2지그회전부(17)가 장착되고, 상기 장착및탈거부(10)의 직상방에는 고주파브레이징부(20)가 마련되되, 개방형코일(6)이 장착된 제1코일블럭(23)이 일측에 장착되고, 제1코일블럭(23)을 전후진 시키는 제1코일이송부(22)가 장착되며, 상기 제1코일블럭(23)의 직상방에는 제1유닛이송부(21)이 장착되어, 제1코일블럭(23) 및 제1코일이송부(22)로 구성된 제1유닛을 제1코일이송부(22)의 전후방 직선 운동에 대해 직각으로 교차되도록 이송시키고, 상기 제1코일블럭(23)의 측방에는 개방형코일(6)이 장착된 제2코일블럭(26)이 장착되며, 제2코일블럭(26)을 전후진 시키는 제2코일이송부(25)가 장착되고, 상기 제2코일블럭(26)의 직상방에는 제2유닛이송부(24)이 장착되어, 제2코일블럭(26) 및 제2코일이송부(25)로 구성된 제2유닛을 제2유닛이송부(24)의 전후방 직선 운동에 대해 직각으로 교차되도록 이송시키며, 상기 고주파브레이징부(20)의 직상방에는 중앙작동부(30)가 마련되되, 설치대(31)위에는 제1작동이송부(35)와 제2작동이송부(36)가 세로 및 가로축으로 교차 방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제2작동이송부(36)에는 작동부(32)가 장착되며, 상기 작동부(32)의 내부에는 회전부(33)를 통해 축회전 되는 회전축(34)이 장착되고, 상기 작동부(32)의 직하방에는 고주파브레이징부(20)가 설치되며, 상기 장착및탈거부(10)와 고주파브레이징부(20) 및 중앙작동부(30)에 설치된 각각의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1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판형 열교환기 배관용 고주파 브레이징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판형열교환기(1)의 절곡된 배관(2)의 접합 지점에도 고주파를 국부적으로 인가할 수 있음에 따라, 열에 의한 물성 변화 요인이 원초적으로 배제된 우수한 판형열교환기(1)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종래 화석연료를 이용하는 수조 투입식 판형열교환기의 토치식 배관 접합 작업을 친환경적인 고주파를 이용하는 본 발명으로 대체할 수 있으므로, 배관으로 스며드는 물로 인한 문제점이 원초적으로 해결될 뿐 아니라, 기후위기의 위험과 환경 파괴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발생된다.
도 1은 에어컨 판형 열교환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원통형코일 및 본 발명중 개방형코일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판형 열교환기 배관용 고주파 브레이징 장치의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판형 열교환기 배관용 고주파 브레이징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중 장착및탈거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중 고주파브레이징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 8은 본 발명중 중앙작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중 중앙작동부 및 고주파브레이징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이나 구성 및 시스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와 부합되지 않는 부연 설명에 지나지 않을 경우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에어컨 판형 열교환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의 (a)에 도시된 판형열교환기(1)는 스테인리스 강판을 비롯하여 알루미늄 등의 금속판을 다층 구조로 형성한 것으로서, 판형열교환기(1)의 특성상 배관(2)을 접합하는 과정에서 열을 흡수하게 되면, 산화되는 문제점을 비롯하여 기계적, 열적 성질 등의 변형이 발생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판형열교환기(1)를 수조(4)에 투입하고, 배관(2)의 접합 작업과 동시에 판형열교환기(1)에 대한 수냉식 냉각을 동시에 진행하였다.
그러나 종래 판형열교환기(1)에 대한 수조 투입식 배관의 접합 방법은, 물과 근접된 곳에서 토치(3)가 가열됨으로써, 수증기가 발생되어 배관(2)의 내부에 스며들고, 이후 배관(2)의 내부에서 응축되어 이슬 형태로 잔류하게 되는 일이 발생하곤 하였다.
이는 판형열교환기(1)가 장착되는 에어컨에서 배관(2)을 따라 흐르는 차가운 냉매로 인해 배관(2)속의 이슬 등이 냉각되어 냉매의 흐름을 방해함으로써, 에어컨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고장을 일으키는 요인이라 하겠다.
따라서, 판형열교환기(1)에 배관(2)을 접합하는 과정에서 판형열교환기(1)에 고온의 열이 전도되지 않고, 접합 부위에만 국부적인 가열이 가능한 개방형코일(6)을 이용한 에어컨 판형 열교환기 배관용 고주파 브레이징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도 2는 종래 원통형코일(5) 및 본 발명중 개방형코일(6)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판형열교환기(1)에 고주파 브레이징을 적용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해 할 부분이 코일이다.
도 2의 (a)는 종래 원통형코일(5)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선을 원통 형상으로 감아, 모재를 원통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주파를 인가하여 국부적인 가열을 통해 접합을 시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판형열교환기(1)에 접속된 배관(2)에서 보듯이, 굴곡이 있는 배관(2)의 접속 지점에 원통형코일(5)의 내부를 수동 또는 자동화 방식으로 위치시키는 것은, 굴곡진 배관(2)을 따라 원통형코일(5)이 통과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작업임을 고려할 때, 이를 수행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자동화 방식으로 진행하기에는 배관(2)의 다양한 굴곡 형태를 생각할 때 자동화의 실효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개방형코일(6)을 제안하면서, 개방형코일(6)을 이용하여 고주파 브레이징을 자동으로 시행하는 접합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즉, 도 2의 (b)는 본 발명중 개방형코일(6)을 도시한 것으로서, "ㄷ"자 형상을 이루는 일측이 개구된 형상이어서, 판형열교환기(1)에 접속되는 배관(2)이 굴곡지더라도, 접속 지점의 측방에서 개방형코일(6)을 근접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개방형코일(6)을 이용하여 접합 지점에 국부적인 가열을 시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판형 열교환기 배관용 고주파 브레이징 장치의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판형 열교환기 배관용 고주파 브레이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는 판형열교환기(1)를 장착하고 탈거하기 위한 장착및탈거부(10)가 마련되고, 장착및탈거부(10)의 작동에 따라 판형열교환기(1)가 고정 설치된 제1장착지그(14) 또는 제2장착지그(18)가 이송되면, 장착및탈거부(10)의 직상방에 마련된 고주파브레이징부(20)에서 개방형코일(6)을 매개체로 하여 판형열교환기(1)에 접속된 배관(2)의 접합 지점에 국부적인 가열을 인가함으로써, 접합 작업을 시행한다.
한편, 고주파브레이징부(20)의 직상방에는 중앙작동부(30)가 장착되어, 상기 고주파브레이징부(20)의 위치를 설정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중 장착및탈거부(1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장치가 1조를 이루는 것이 특징이며, 제1장착지그(14)에 판형열교환기(1)를 장착한 다음, 고주파브레이징부(20)의 직하방 일측으로 이송시켜 접합 작업을 시행하고, 접합 작업을 진행하는 동안 제2장착지그(18)에 또 다른 판형열교환기(1)를 장착시켜 대기시킴으로써, 접합 작업중 장착과 탈거 작업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즉, 2개의 장치가 1조를 이루는 장착및탈거부(10)의 일측에는 이송레일과 에어실린더 등으로 구성된 제1지그이송부(11)가 설치되고, 이송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제1지그장착대(12)가 장착되며, 상기 제1지그장착대(12)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제1장착지그(14)를 축회전시키는 제1지그회전부(13)가 장착되고, 상기 제1지그장착대(12)의 상부에는 판형열교환기(1)가 장착되는 제1장착지그(14)가 설치된다.
또한, 장착및탈거부(10)의 타측에는 이송레일과 에어실린더 등으로 구성된 제2지그이송부(15)가 설치되고, 이송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제2지그장착대(16)가 장착되며, 상기 제2지그장착대(16)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제2장착지그(18)를 축회전시키는 제2지그회전부(17)가 장착되고, 상기 제2지그장착대(16)의 상부에는 판형열교환기(1)가 장착되는 제2장착지그(18)가 설치된다.
상기 제1지그회전부(13)와 제2지그회전부(17)의 기능은 판형열교환기(1)에 접속되는 구경이 다른 다수개의 배관(2)의 접합 지점에 개방형코일(6)이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간섭을 없애고자, 제1장착지그(14) 및 제2장착지그(18)를 축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장착및탈거부(10)에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장치는 이송 작업을 마친 제1장착지그(14)와 제2장착지그(18)가 한 지점, 즉 고주파브레이징부(20)의 직하방에서 만날수 있도록 장착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중 고주파브레이징부(2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도 6에서 보듯이 개방형코일(6)이 장착된 제1코일블럭(23)이 일측에 마련되고, 이송레일위에 장착되는 제1코일블럭(23)은 에어실린더로 작동되는 제1코일이송부(22)를 통해 전방 및 후방으로 직선 운동을 하며,
상기 제1코일블럭(23) 및 제1코일이송부(22)로 구성된 제1유닛은 제1코일블럭(23)의 직상방에 장착된 이송레일과 에어실린더로 이루어진 제1유닛이송부(21)를 통해 제1코일이송부(22)의 전후방 직선 운동에 대해 직각으로 교차되도록 좌우로 움직인다.
또한, 개방형코일(6)이 장착된 제2코일블럭(26)이 타측에 마련되고, 이송레일위에 장착되는 제2코일블럭(26)은 에어실린더로 작동되는 제2코일이송부(25)를 통해 전방 및 후방으로 직선 운동을 하며,
상기 제2코일블럭(26) 및 제2코일이송부(25)로 구성된 제2유닛은 제2코일블럭(26)의 직상방에 장착된 이송레일과 에어실린더로 이루어진 제2유닛이송부(24)를 통해 제2코일이송부(25)의 전후방 직선 운동에 대해 직각으로 교차되도록 좌우로 움직인다.
한편,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고주파브레이징부(20)의 측방에는 고주파발생기(27)와 냉각기(28)가 배치되어, 상기 개방형코일(6)에 고주파를 인가할 뿐 아니라 냉각 작업을 시행한다.
도 7, 8은 본 발명중 중앙작동부(3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7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브레이징 접합 장치의 최상부에는 중앙작동부(30)가 설치된다.
상기 중앙작동부(30)는 설치대(31)가 입설되고, 상기 설치대(31)위에 이송레일과 스크루 등으로 구성된 제1작동이송부(35)와 제2작동이송부(36)가 세로 및 가로축으로 교차 방식으로 장착되어, 후술하는 작동부(32)를 판형열교환기(1)의 접합 지점에 맞춰 움직이게 된다.
상기 작동부(32)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작동이송부(36)의 스크루에 장착되면, 도 8에서와 같이 설치가 완료되어 제1작동이송부(35) 및 제2작동이송부(36)를 통해 세로, 가로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한편, 상기 작동부(32)의 내부에는 회전축(34)이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34)은 측방에 설치된 회전부(33)를 통해 축회전 운동을 시행한다.
도 9는 본 발명중 중앙작동부(30) 및 고주파브레이징부(2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부(32)의 직하방에는 제1코일블럭(23)과 제2코일블럭(26)이 장착된 고주파브레이징부(20)가 설치된다.
도 9의 원내확대도에서와 같이 장착및탈거부(10)의 제1장착지그(14, 또는 제2장착지그(18))에 장착된 판형열교환기(1)의 배관(2)이 제1지그이송부(11, 또는 제2지그이송부(15))를 통해 고주파브레이징부(20)의 제1코일블럭(23, 또는 제2코일블럭(26))의 개방형코일(6)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때 배관(2)의 중심축 기준선(D)이 작동부(32)의 회전축(34)과 일치되도록 사전에 제어부(100)를 통해 중앙작동부(30)와 장착및탈거부(10)의 이송 위치를 설정할 뿐 아니라, 개방형코일(6)의 내부의 중심이 배관(2)의 중심축 기준선(D)과 일치하도록 고주파브레이징부(20)의 제1유닛이송부(21, 또는 제2유닛이송부(24)) 및 제1코일이송부(22, 또는 제2코일이송부(25))의 이송 위치를 설정한다.
따라서, 도 9의 원내확대도에서와 같이 배관(2)의 중심축 기준선(D)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작동부(32)의 회전축(34)이 도 9의 원내확대도에 표시한 화살표처럼 좌우로 축회전 반복 운동을 하면, 이와 연동된 고주파브레이징부(20)가 좌우로 축회전 반복 운동을 하면서,
결과적으로 개방형코일(6)이 배관(2)의 접합 지점을 따라 좌우로 반복 원운동을 수행함으로써, 개구부로 인한 개방형코일(6)의 고주파 미인가 지역이 삭제됨에 따라, 판형열교환기(1)에서 배관(2)의 국부적 접합이 원활하게 진행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판형 열교환기 배관용 고주파 브레이징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판형열교환기(1)의 절곡된 배관(2)의 접합 지점에도 고주파를 국부적으로 인가할 수 있음에 따라, 열에 의한 물성 변화 요인이 원초적으로 배제된 우수한 판형열교환기(1)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종래 화석연료를 이용하는 수조 투입식 판형열교환기의 토치식 배관 접합 작업을 친환경적인 고주파를 이용하는 본 발명으로 대체할 수 있으므로, 배관으로 스며드는 물로 인한 문제점이 원초적으로 해결될 뿐 아니라, 기후위기의 위험과 환경 파괴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발생된다.
1 : 판형열교환기
2 : 배관
3 : 토치
4 : 수조
5 : 원통형코일
6 : 개방형코일
10 : 장착및탈거부
11 : 제1지그이송부
12 : 제1지그장착대
13 : 제1지그회전부
14 : 제1장착지그
15 : 제2지그이송부
16 : 제2지그장착대
17 : 제2지그회전부
18 : 제2장착지그
20 : 고주파브레이징부
21 : 제1유닛이송부
22 : 제1코일이송부
23 : 제1코일블럭
24 : 제2유닛이송부
25 : 제2코일이송부
26 : 제2코일블럭
27 : 고주파발생기
28 : 냉각기
30 : 중앙작동부
31 : 설치대
32 : 작동부
33 : 회전부
34 : 회전축
35 : 제1작동이송부
36 : 제2작동이송부
100 : 제어부
D : 기준선

Claims (1)

  1. 장착및탈거부(10)가 마련되되, 상기 장착및탈거부(10)의 일측에는 이송레일과 에어실린더로 구성된 제1지그이송부(11)가 설치되고, 이송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제1지그장착대(12)가 장착되며, 상기 제1지그장착대(12)의 상부에는 판형열교환기(1)가 장착되는 제1장착지그(14)가 설치되며, 상기 제1지그장착대(12)의 하부에는 제1장착지그(14)를 축회전시키는 제1지그회전부(13)가 장착되고, 상기 장착및탈거부(10)의 타측에는 이송레일과 에어실린더로 구성된 제2지그이송부(15)가 설치되고, 이송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제2지그장착대(16)가 장착되며, 상기 제2지그장착대(16)의 상부에는 판형열교환기(1)가 장착되는 제2장착지그(18)가 설치되며, 상기 제2지그장착대(16)의 하부에는 제2장착지그(18)를 축회전시키는 제2지그회전부(17)가 장착되고,
    상기 장착및탈거부(10)의 직상방에는 고주파브레이징부(20)가 마련되되, 개방형코일(6)이 장착된 제1코일블럭(23)이 일측에 장착되고, 제1코일블럭(23)을 전후진 시키는 제1코일이송부(22)가 장착되며, 상기 제1코일블럭(23)의 직상방에는 제1유닛이송부(21)이 장착되어, 제1코일블럭(23) 및 제1코일이송부(22)로 구성된 제1유닛을 제1코일이송부(22)의 전후방 직선 운동에 대해 직각으로 교차되도록 이송시키고, 상기 제1코일블럭(23)의 측방에는 개방형코일(6)이 장착된 제2코일블럭(26)이 장착되며, 제2코일블럭(26)을 전후진 시키는 제2코일이송부(25)가 장착되고, 상기 제2코일블럭(26)의 직상방에는 제2유닛이송부(24)이 장착되어, 제2코일블럭(26) 및 제2코일이송부(25)로 구성된 제2유닛을 제2유닛이송부(24)의 전후방 직선 운동에 대해 직각으로 교차되도록 이송시키며,
    상기 고주파브레이징부(20)의 직상방에는 중앙작동부(30)가 마련되되, 설치대(31)위에는 제1작동이송부(35)와 제2작동이송부(36)가 세로 및 가로축으로 교차 방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제2작동이송부(36)에는 작동부(32)가 장착되며, 상기 작동부(32)의 내부에는 회전부(33)를 통해 축회전 되는 회전축(34)이 장착되고, 상기 작동부(32)의 직하방에는 고주파브레이징부(20)가 설치되며, 상기 장착및탈거부(10)와 고주파브레이징부(20) 및 중앙작동부(30)에 설치된 각각의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100)가 포함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판형 열교환기 배관용 고주파 브레이징 장치.
KR1020220160739A 2022-11-25 2022-11-25 에어컨 판형 열교환기 배관용 고주파 브레이징 장치 KR102514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0739A KR102514863B1 (ko) 2022-11-25 2022-11-25 에어컨 판형 열교환기 배관용 고주파 브레이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0739A KR102514863B1 (ko) 2022-11-25 2022-11-25 에어컨 판형 열교환기 배관용 고주파 브레이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4863B1 true KR102514863B1 (ko) 2023-03-29

Family

ID=85799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0739A KR102514863B1 (ko) 2022-11-25 2022-11-25 에어컨 판형 열교환기 배관용 고주파 브레이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486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850B1 (ko) * 2007-10-05 2008-03-31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열교환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
KR20110125707A (ko) * 2010-05-14 2011-11-22 신영식 알루미늄 열교환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 및 그 방법
KR101325073B1 (ko) * 2013-03-12 2013-11-05 신영식 자동차 머플러 제조용 고주파 브레이징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863609B1 (ko) * 2017-10-18 2018-06-04 신영식 에너지 절감형 접합 관체를 이용한 다층 열교환기용 브레이징 접합방법
KR20190115958A (ko) * 2018-04-04 2019-10-14 일신실업(주) 냉동기기용 동파이프의 자동퍼지용접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850B1 (ko) * 2007-10-05 2008-03-31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열교환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
KR20110125707A (ko) * 2010-05-14 2011-11-22 신영식 알루미늄 열교환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 및 그 방법
KR101325073B1 (ko) * 2013-03-12 2013-11-05 신영식 자동차 머플러 제조용 고주파 브레이징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863609B1 (ko) * 2017-10-18 2018-06-04 신영식 에너지 절감형 접합 관체를 이용한 다층 열교환기용 브레이징 접합방법
KR20190115958A (ko) * 2018-04-04 2019-10-14 일신실업(주) 냉동기기용 동파이프의 자동퍼지용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33616B (zh) 一种搅拌摩擦焊装置
US2008008688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Heat-Exchanger and a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JP5704735B1 (ja) 水冷式プレート型冷却ユニット
KR102514863B1 (ko) 에어컨 판형 열교환기 배관용 고주파 브레이징 장치
CN104722912B (zh) 一种轨道跟随式管道用搅拌摩擦焊接装置及焊接方法
JP2006159228A (ja) 熱交換器のロウ付け方法、ロウ付け予熱装置
CN106271243B (zh) 焊接辅助冷却装置
CN202571519U (zh) 一种旋转式的回流焊接炉
KR101223103B1 (ko) 태양열 집열기의 집열판 및 그 제조 장치
JPH10216930A (ja) 熱交換器におけるチューブと継手管の接合方法
CN117066812A (zh) 一种金属构件焊接装置及焊接工艺
CN204771198U (zh) 一种注汽锅炉机组对流段盘管焊接工作站
CN207422974U (zh) 一种管路扰流器
CN109623121A (zh) 一种4自由度电磁感应式铜管焊接装置
KR102268841B1 (ko) 열교환기 번들 자동 조립 장치 및 열교환기 번들 자동 조립 방법
CN108981417A (zh) 一种空调管片式换热器及其加工方法
JP2007160353A (ja) 多重管のかしめ固定装置
CN108581204B (zh) 一种冷凝管的激光焊接测试一体化装置
CN204843407U (zh) 顶置大巴空调换热器的三通组件焊接定位工装
JPH08178368A (ja) 空気調和機
CN107588476B (zh) 换热机构及具有该换热机构的空调室外机
CN219465245U (zh) 一种高效罐铜配件焊接工装
CN218745405U (zh) 一种空调生产用铜管辅助焊接装置
CN216177857U (zh) 变压器散热壳3d激光视觉引导机器人焊接工作站
CN220659511U (zh) 一种焊接保护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