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4186B1 - 코딩 학습교구에서 수행되는 기울임 이동 미션수행방법 - Google Patents

코딩 학습교구에서 수행되는 기울임 이동 미션수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186B1
KR102514186B1 KR1020210013864A KR20210013864A KR102514186B1 KR 102514186 B1 KR102514186 B1 KR 102514186B1 KR 1020210013864 A KR1020210013864 A KR 1020210013864A KR 20210013864 A KR20210013864 A KR 20210013864A KR 102514186 B1 KR102514186 B1 KR 102514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sion
coding
coding learning
aid
printed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3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0898A (ko
Inventor
류제홍
한상준
이숭훈
김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럭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럭스
Priority to KR1020210013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186B1/ko
Publication of KR20220110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0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53Computers, e.g. program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코딩 학습교구에서 수행되는 기울임 이동 미션수행방법은 코딩 학습교구 기울임에 대한 방향전환 및 이동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설정하는 단계, 인쇄물 상에 표시된 인쇄물정보를 제공하는 QR코드를 포함하는 인식코드를 코딩 학습교구를 이용하여 인식하는 단계, 기울임 이동 미션을 수행하기 위한 미션수행안내정보를 코딩 학습교구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코딩 학습교구가 인쇄물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코딩 학습교구를 기울여 미션수행안내정보에 따른 이동경로로 이동하도록 하여 미션을 수행하는 단계 및 출력된 동작을 통한 미션수행에 대한 성공 및 완료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코딩 학습교구에서 수행되는 기울임 이동 미션수행방법{Tilt movement mission execution method in coding learning tools}
본 발명은 코딩 학습교구에서 수행되는 기울임 이동 미션수행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딩 학습교구를 인쇄물 상에서 기울여 이동되도록 하여 미션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기울임 이동 미션수행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코딩교육을 위한 다양한 학습교구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유아들에게 제공되어 코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코딩교육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화면을 통하여 제공되는 콘텐츠를 활용하는데 다양한 종류의 코딩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제공되는 콘텐츠들은 화면을 통해서만 제공되므로 간접적인 코딩을 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결국 코딩교육이 직접적이지 못하며 실질적이지 못하므로 여전히 코딩교육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코딩 학습교구를 움직이도록 하는 코딩을 통하여 직접적인 코딩을 할 수 있으므로 동적인 코딩교육을 통하여 코딩교육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코딩 학습교구에서 수행되는 기울임 이동 미션수행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딩 학습교구에서 수행되는 기울임 이동 미션수행방법은, 상기 코딩 학습교구 기울임에 대한 방향전환 및 이동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설정하는 단계; 인쇄물 상에 표시된 인쇄물정보를 제공하는 QR코드를 포함하는 인식코드를 상기 코딩 학습교구를 이용하여 인식하는 단계; 상기 기울임 이동 미션을 수행하기 위한 미션수행안내정보를 상기 코딩 학습교구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코딩 학습교구가 상기 인쇄물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코딩 학습교구를 기울여 상기 미션수행안내정보에 따른 이동경로로 이동하도록 하여 미션을 수행하는 단계; 및 출력된 동작을 통한 미션수행에 대한 성공 및 완료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코딩 학습교구의 기울임에 대한 이동설정을 한 후 코딩 학습교구를 인쇄물 상에서 기울여 이동하도록 하고 미션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화면 상에서 간접적으로 코딩을 하는 것과는 달리 직접적으로 코딩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동적이며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코딩교육이 이루어져 코딩교육의 실질적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션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코딩 학습교구가 이동되어 지나간 영역 및 상기 지나간 영역의 설정값을 상기 코딩 학습교구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나간 영역의 설정값은, 서로 다른 음높이의 소리와 상기 코딩 학습교구가 머문 시간의 소리길이를 포함하는 연주음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완료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연주음을 녹음하여 미션의 성공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나간 영역의 설정값은, 상기 연주음의 속도를 조절할 수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딩과정에 대하여 올바로 이해할 수 있으며, 코딩과정의 수정을 요할 시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이동장치를 이용하여 동적인 코딩교육을 할 수 있으므로 지루한 교육이 아닌 스스로 참여하는 교육이 이루어지므로 코딩교육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딩 학습교구에서 수행되는 기울임 이동 미션수행방법의 흐름도.
도 2는 코딩 학습교구를 이용한 미션수행방법의 흐름도.
도 3은 코딩 학습교구의 사시도.
도 4는 코딩 학습교구의 분해사시도.
도 5는 코딩 학습교구를 이용하여 기울임 이동 미션을 수행하는 예시도.
도 6은 코딩 학습교구의 제어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코딩 학습교구에서 수행되는 기울임 이동 미션수행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딩 학습교구(1)에서 수행되는 기울임 이동 미션수행방법의 흐름도이다.
기울임 이동 미션을 선택하기 위한 메인메뉴(A)를 코딩 학습교구(1)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1). 코딩 학습교구(1) 코딩장치(10)의 터치화면을 통하여 설정메뉴 및 기울임 이동 미션메뉴를 포함하는 다양한 메뉴를 갖는 메인메뉴(A)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코딩 학습교구(1) 기울임에 대한 방향전환 및 이동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설정한다(S2). 예컨대, X축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기울어진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 Y축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및 X축과 Y축의 기울임이 동시에 있는 경우 방향을 전환하면서 이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인쇄물(B) 상에 표시된 인쇄물정보(C)를 제공하는 QR코드를 포함하는 인식코드(D)를 코딩 학습교구(1)를 이용하여 인식한다(S3).
제공된 인쇄물정보(C) 상에 코딩 학습교구(1)에 대응하는 교구이미지(E)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4).
기울임 이동 미션을 수행하기 위한 미션수행안내정보를 코딩 학습교구(1)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5).
코딩 학습교구(1)가 인쇄물(B)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코딩 학습교구(1)를 기울여 코딩 학습교구(1)가 이동되어 지나간 영역 및 지나간 영역을 감지한다(S6). 코딩 학습교구(1)의 이동장치(20)의 컬러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로부터 인쇄물(B)의 정보를 감지한다.
감지된 지나간 영역 및 지나간 영역의 설정값을 코딩 학습교구(1)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7). 지나간 영역의 설정값은 서로 다른 음높이의 소리와 코딩 학습교구(1)가 머문 시간의 소리길이를 포함하는 연주음일 수 있다.
미션수행안내정보에 따른 이동경로로 이동하도록 하여 미션을 수행한다(S8).
기울임 이동 미션수행과정에 대한 영상 및 음성을 녹화 및 녹음한다(S9).
출력된 동작을 통한 미션수행에 대한 성공여부 및 완료여부를 판단한다(S10).
미션수행에 대한 성공여부 및 완료여부를 사용자단말기(외부장치)로 전송한다(S11).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딩 학습교구를 이용한 미션수행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도1의 경로이동 미션은 도2의 코딩 학습교구(1)를 이용한 미션수행방법을 참고하여 미션수행방법의 단계가 추가되거나 합하여 수행되거나 할 수 있다.
복수의 미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메인메뉴(A)를 코딩장치(1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101).
인쇄물(B) 상에 표시된 인쇄물정보(C)를 제공하는 QR코드를 포함하는 인식코드(D)를 이동장치(20)를 이용하여 인식한다(S102).
인식된 인식코드(D)에 따른 인쇄물정보(C)를 코딩장치(1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103).
해당 미션을 수행하기 위한 미션수행안내정보를 코딩장치(1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104). 미션수행안내정보는 해당 미션을 수행하는 미션수행예시에 대한 문자, 음성,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공된 인쇄물정보(C) 상에 코딩 학습교구(1)에 대응하는 교구이미지(E)를 코딩장치(1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105).
교구이미지(E)가 인쇄물정보(C) 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코딩창(F)을 포함하는 조작가이드(G)를 코딩장치(1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106).
조작가이드(G)를 통한 사용자입력 및 이동장치(20)의 감지정보를 코딩장치(10) 및 이동장치(20)를 통해 수신한다(S107).
코딩장치(10)와 이동장치(20)를 통해 수신된 정보에 대한 기설정된 동작을 출력하여 미션을 수행한다(S108).
미션수행과정에 대한 영상 및 음성을 코딩장치(10)와 이동장치(20)를 통해 출력하며, 미션수행과정에 대한 영상 및 음성을 녹화 및 녹음한다(S109).
녹화 및 녹음된 미션수행과정에 대한 영상 및 음성을 사용자단말기(외부장치)로 전송한다(S110).
출력된 동작을 통한 미션수행에 대한 완료여부를 판한다(S111).
미션수행에 대한 완료여부를 사용자단말기(외부장치)로 전송한다(S112).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딩 학습교구(1)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코딩 학습교구(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제어블록도이다.
도1의 기울임 이동 미션은 도 3의 코딩 학습교구(1)를 이용하여 수행되고, 설정되고, 코딩될 수 있다.
코딩 학습교구(1)는 코딩장치(10), 이동장치(20) 및 촬상유니트(30)를 포함한다.
코딩장치(10)는 교구본체(11), 사용자입력부(12), 충전부(13), 3축가속도센서(14), 조명부(15), 스피커(16), 터치펜(17) 및 제어부(18)를 포함한다.
교구본체(11)는 사용자입력부(12)를 지지하는 외형틀로 이루어지며, 외부장치와 결합을 위한 결합부(111)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연결부(112)를 포함한다.
사용자입력부(12)는 사용자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2)는 디스플레이부(121), 통신부(122) 및 음성수신부(123)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21)는 교구본체(11)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명령을 터치입력할 수 있는 터치입력기능을 갖고 학습을 위한 복수의 미션 및 복수의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통신부(122)는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할 수 있도록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음성수신부(123)는 마이크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충전부(13)는 코딩장치(10)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 충전부(13)는 배터리부(131), 충전포트(132) 및 충전연결선(133)을 포함한다.
배터리부(131)는 전원을 공급하며 충전 가능하다.
충전포트(132)는 외부와 연결될 수 있는 포트이다.
충전연결선(133)은 배터리부(131)와 충전포트(132)를 연결한다.
3축가속도센서(14)는 디스플레이부(121)의 기울어진 방향과 기울인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조명부(15)는 교구본체(11)의 외표면에 노출되어 설치되며 복수의 색깔 조명을 출력할 수 있는 복수의 LED를 갖는다.
스피커(16)는 교구본체(11)에 지지되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터치펜(17)은 디스플레이부(121)를 터치입력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8)는 복수의 미션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복수의 메뉴 중 해당 메인메뉴를 표시하며, 표시된 해당 메인메뉴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미션을 수행하기 위한 미션수행방법을 코딩할 수 있도록 하는 코딩메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는 표시된 코딩메뉴를 이용하여 미션수행방법을 코딩하는 사용자의 코딩과정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는 사용자의 코딩과정 중 수정, 삭제 및 삽입과정을 포함하여 수행 가능하다.
제어부(18)는 사용자의 명령을 이동장치(20)로 전달하여 센싱 및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는 후술할 이동장치(20)의 센싱부(24)로부터 감지되는 감지정보를 수신하여 이동장치(2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되는 화면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8)는 후술할 촬상유니트(30)로부터 촬상되는 촬상영상을 수신하여 이동장치(20)와 코딩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동장치(20)는 이동본체(21), 바퀴부(22), 회전구동부(23) 및 센싱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본체(21)는 코딩장치(10)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코딩장치(10)를 하방에서 지지하며 이동할 수 있다. 이동본체(21)는 결합부(111)와 결합 가능한 이동결합부(211) 및 데이터연결부(112)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수신부(212)를 갖는다.
바퀴부(22)는 회전축에 의해 이동본체(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본체(21)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바퀴부(22)는 적어도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회전구동부(23)는 한 쌍의 바퀴부(22)를 회전 구동할 수 있다. 회전구동부(23)는 한 쌍의 바퀴부(22) 각각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며 한 쌍의 바퀴부(22) 각각의 회전속도를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센싱부(24)는 선택된 미션을 수행하기 위한 외부의 상황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센싱부(24)는 적외선센서(241), 마이크(242), 라인감지센서(243) 및 색감지센서(244)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센서(241)는 반사된 적외선만을 감지하여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가 있고, 밤에 적외선을 이용하여 사물의 형태를 구별하는 데에 사용되는 적외선 센서도 있다.
마이크(242)는 사용자의 음성을 포함하는 음성을 수신하여 제어부(18)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8)는 수신된 음성을 분석하여 사용자명령을 파악할 수 있다.
라인감지센서(243)는 이동본체(21)의 하방 또는 전방에 배치되어 바닥면 또는 전방 바닥면의 라인을 감지하여 제어부(18)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8)는 감지된 라인의 형태를 파악하여 이동본체(21)가 라인을 따라 이동되도록 회전구동부(23)를 제어할 수 있다.
색감지센서(244)는 이동본체(21)의 하방 및 전방에 배치되어 바닥면 또는 전방 바닥면의 색을 감지하여 제어부(18)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8)는 감지된 색을 파악하여 파악된 색에 따라 코딩된 명령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촬상유니트(30)는 코딩장치(10) 및 이동장치(20)의 전방, 후방 및 측방을 촬상할 수 있다. 촬상유니트(30)는 카메라(31), 카메라지지부(32), 지지부구동부(33) 및 데이터연결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31)는 코딩장치(10) 및 이동장치(20)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코딩장치(10) 및 이동장치(20)의 이동 시 이동방향의 전방, 후방 및 측방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지지부(32)는 이동장치(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카메라(31)를 지지할 수 있다. 카메라지지부(32)는 이동장치(20)에 대하여 카메라(31)가 여러 각도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구동부(33)는 카메라지지부(32)를 이동장치(20)에 대하여 카메라(31)가 여러 각도로 배치될 수 있도록 구동할 수 있다.
데이터연결부(34)는 카메라지지부(32)와 이동장치(20)가 결합되면서 이동장치(2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이하에서는 코딩 학습교구(1)는 코딩로봇이라 한다.
도 5는 코딩 학습교구(1)를 이용하여 기울임 이동 미션을 수행하는 예시도이다.
인쇄물(B) 상에 코딩 학습교구(1)가 놓인 상태에서 인쇄물(B)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기울여서 원하는 숫자의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숫자영역이 도레이파솔라시도의 음높이 영역으로 마련되면 코딩 학습교구(1)가 복수의 음높이영역으로 이동되는 경우 음악이 만들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미션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코딩장치(10)의 전원을 켜면, 설정 및 조작을 위한 메인메뉴(A)이 코딩장치(10)의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될 수 있다. 인쇄물(B)은 이동장치(2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크게 형성되며, 미션을 위한 다양한 그림 또는 도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코딩장치(10)에는 인쇄물정보(C)가 표시될 수도 있다.
인식코드(D)는 인쇄물(B) 상에 표시된 인쇄물정보(C)를 제공하는 QR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교구이미지(E)는 코딩장치(10)의 직상방에서 촬영한 이미지이며, 현재 코딩장치(10)에 표시되고 있는 표시화면이 비율 조정되어 표시될 수 있다.
코딩창(F)은 코딩입령을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121) 상의 영역일 수 있다.
조작가이드(G)는 코딩장치(10)와 이동장치(20)를 이동을 포함하는 동작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조작가이드(G)는 코딩입력, 운전조작, 설정안내, 설정조작, 설정테이블, 좌표입력 및 영역설정을 포함하는 입력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코딩 학습교구(1)에서 수행되는 기울임 이동 미션수행방법으로 인하여, 코딩 학습교구(1)의 기울임에 대한 이동설정을 한 후 코딩 학습교구(1)를 인쇄물(B) 상에서 기울여 이동하도록 하고 미션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화면 상에서 간접적으로 코딩을 하는 것과는 달리 직접적으로 코딩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동적이며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코딩교육이 이루어져 코딩교육의 실질적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1 : 코딩 학습교구
10 : 코딩장치 11 : 교구본체
111 : 결합부 112 : 데이터연결부
12 : 사용자입력부 121 : 디스플레이부
122 : 통신부 123 : 음성수신부
13 : 충전부 131 : 배터리부
132 : 충전포트 133 : 충전연결선
14 : 3축가속도센서 15 : 조명부
16 : 스피커 17 : 터치펜
18 : 제어부
20 : 이동장치 21 : 이동본체
211 : 이동결합부 212 : 데이터수신부
22 : 바퀴부 23 : 회전구동부
24 : 센싱부 241 : 적외선센서
242 : 마이크 243 : 라인감지센서
244 : 색감지센서
30 : 촬상유니트 31 : 카메라
32 : 카메라지지부 33 : 지지부구동부
34 : 데이터연결포트
A: 메인메뉴 B: 인쇄물
C: 인쇄물정보 D: 인식코드
E: 교구이미지 F: 코딩창
G: 조작가이드

Claims (5)

  1. 코딩 학습교구에서 수행되는 기울임 이동 미션수행방법에 있어서,
    상기 코딩 학습교구 기울임에 대한 방향전환 및 이동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설정하는 단계;
    인쇄물 상에 표시된 인쇄물정보를 제공하는 QR코드를 포함하는 인식코드를 상기 코딩 학습교구를 이용하여 인식하는 단계;
    제공된 상기 인쇄물정보 상에 상기 코딩 학습교구에 대응하는 교구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울임 이동 미션을 수행하기 위한 미션수행안내정보를 상기 코딩 학습교구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코딩 학습교구가 상기 인쇄물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코딩 학습교구를 기울여 상기 미션수행안내정보에 따른 이동경로로 이동하도록 하여 미션을 수행하는 단계; 및
    출력된 동작을 통한 미션수행에 대한 성공 및 완료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는,
    상기 교구이미지는, 상기 코딩 학습교구의 직상방에서 촬영한 이미지이며, 현재 상기 코딩 학습교구에 표시되고 있는 표시화면이 비율 조정되어 표시되는,
    기울임 이동 미션수행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션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코딩 학습교구가 이동되어 지나간 영역 및 상기 지나간 영역의 설정값을 상기 코딩 학습교구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울임 이동 미션수행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나간 영역의 설정값은,
    서로 다른 음높이의 소리와 상기 코딩 학습교구가 머문 시간의 소리길이를 포함하는 연주음인,
    기울임 이동 미션수행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완료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연주음을 녹음하여 미션의 성공여부를 판단하는,
    기울임 이동 미션수행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나간 영역의 설정값은,
    상기 연주음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울임 이동 미션수행방법.
KR1020210013864A 2021-02-01 2021-02-01 코딩 학습교구에서 수행되는 기울임 이동 미션수행방법 KR102514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864A KR102514186B1 (ko) 2021-02-01 2021-02-01 코딩 학습교구에서 수행되는 기울임 이동 미션수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864A KR102514186B1 (ko) 2021-02-01 2021-02-01 코딩 학습교구에서 수행되는 기울임 이동 미션수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0898A KR20220110898A (ko) 2022-08-09
KR102514186B1 true KR102514186B1 (ko) 2023-03-27

Family

ID=82844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3864A KR102514186B1 (ko) 2021-02-01 2021-02-01 코딩 학습교구에서 수행되는 기울임 이동 미션수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418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683B1 (ko) 2018-03-28 2019-03-29 주식회사 로보메이션 엣지 주행 라인 추종 코딩 로봇의 명령 실행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7918A (ko) * 2015-09-02 2017-03-13 (주)이산솔루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로봇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89667A (ko) * 2017-02-01 2018-08-09 주식회사 시공미디어 코딩 교육 제공을 위한 로봇
KR102098109B1 (ko) * 2020-01-17 2020-04-07 (주)엠트리 코딩 교육 로봇용 원격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683B1 (ko) 2018-03-28 2019-03-29 주식회사 로보메이션 엣지 주행 라인 추종 코딩 로봇의 명령 실행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27918호(2017.3.13. 공개) 1부.*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9667호(2018.8.9. 공개) 1부.*
등록특허공보 제10-2098109호(2020.4.7. 공고)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0898A (ko) 202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3839B1 (ko) 동작기반 전자기기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294668B2 (ja) 点図ディスプレイ装置
US7822507B2 (en) Input device and inputting method
CN102844732A (zh) 触摸板输入装置
EP2144142A2 (en) Input apparatus using motions and user manipulations and input method applied to such input apparatus
JP2011516924A (ja) マルチモードの学習システム
CN102333191A (zh) 摄像控制系统、用于摄像设备的控制设备和方法
CN106657951A (zh) 投影控制方法及装置、移动设备、投影仪
KR101026738B1 (ko) 전자판서 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터치 제어 시스템
US20220139257A9 (en) Tactile and visual display with paired and active stylus with means and methods
CN101657785A (zh) 用于提供交互控制系统的方法和装置
KR102514186B1 (ko) 코딩 학습교구에서 수행되는 기울임 이동 미션수행방법
CN107754310A (zh) 手持式装置以及其定位方法
KR102477614B1 (ko) 코딩 학습교구에서 수행되는 컬러감지 미션수행방법
KR102488768B1 (ko) 코딩 학습교구에서 수행되는 그리드 미션수행방법
KR102477613B1 (ko) 코딩 학습교구를 이용한 미션수행방법
WO2021016972A1 (zh) 一种编程系统、方法及程序执行设备
KR102488769B1 (ko) 코딩 학습교구에서 수행되는 경로이동 미션수행방법
TWI736024B (zh) 顯示器及其旋轉方法
JP2003136455A (ja) ロボットシステム、遠隔操作装置及び遠隔操作方法並びにロボット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456243B1 (ko) 코딩 학습교구에서 수행되는 모양만들기 미션수행방법
JP2009182435A (ja) 投影システム、リモコン、プロジェクタ、投影システムの操作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421967B1 (ko) 코딩 학습교구에서 수행되는 좌표이동 미션수행방법
WO2020062163A1 (zh) 云台的控制方法及手持云台、手持设备
KR20230102141A (ko) 보드게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