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618B1 -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 - Google Patents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13618B1 KR102513618B1 KR1020200142638A KR20200142638A KR102513618B1 KR 102513618 B1 KR102513618 B1 KR 102513618B1 KR 1020200142638 A KR1020200142638 A KR 1020200142638A KR 20200142638 A KR20200142638 A KR 20200142638A KR 102513618 B1 KR102513618 B1 KR 1025136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ing
- glaze
- pottery
- picture
- pain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14—Glass frit mixtures having non-frit additions, e.g. opacifiers, colorants, mill-addi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04B33/34—Burning methods combined with glaz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65—Aspects relating to heat treatments of ceramic bodies such as green ceramics or pre-sintered ceramics, e.g. burning, sintering or melting processes
- C04B2235/66—Specific sintering techniques, e.g. centrifugal sintering
- C04B2235/661—Multi-step sinte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자기 기물을 제조한 후 초벌 소성하는 1차 소성 단계; 상기 초벌 소성 단계 이후 도자기 기물에 매트(matt)유약을 도포한 후 소성하는 2차 소성 단계; 상기 2차 소성 단계 이후 그림 도구에 안료조성물을 적용하여 도자기 기물의 표면에 그림을 도시하는 그림 도시 단계; 및 상기 그림 도시 단계 이후 그림이 건조된 후 유약을 도포하여 소성하는 3차 소성 단계를 포함하는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도자기 표면에 문양을 표현하기 위하여, 붓이나 붓과 유사한 도구를 이용하여 도자기 표면에 직접 그림을 그리거나, 안료가 점착된 전사지를 이용하여 인쇄된 문양을 도자기 표면에 전사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자기에 그림을 그리는 방식은 크게 상회방식과 하회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상회방식은 초벌구이 후 유약을 도포한 후 유약 위에 그림을 그린 후 마무리 소성하는 과정을 거치고, 하회방식은 초벌구이 후 유약을 도포하기 전에 초벌기물에 그림을 그린 후 유약을 도포하여 마무리 소성하는 과정을 거친다. 각 방식은 도자기 기물의 점토 원료의 성질과 그림을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 안료 및 유약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다만, 기존의 상회방식의 단점은 유약을 도포한 후 그 위에 그림을 그리다 보니 안료와 반응이 잘 되는 성질의 유약이 도포된 경우 작가가 의도한 그림 그대로 안료가 기물 표면에 도포되어 있지 않고 유약에 의해 왜곡(번짐, 지워짐 등)될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기존의 하회방식은 초벌 도자기 기물에 그림을 먼저 그려 안료가 도자기 기물에 흡수된 후에 유약을 도포하므로 위의 상회방식에서의 번짐 지워짐 등의 단점은 없으나 그림 위에 유약을 도포하여 소성하게 되므로 유약이 그림을 덮는 모양새가 되어 안료가 유약을 뚫고 밖으로 선명하게 표현이 되지 못해 전체적으로 그림이 탁하고 빛 바랜 느낌이 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수많은 실험과 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상회와 하회의 방식의 단점을 보완한 도자기 표면에 그림을 매우 선명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발명하게 되어, 본 발명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보완한, 도자기의 표면에 보다 선명하게 그림이 표현되는 도시 및 소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자기 기물을 제조한 후 초벌 소성하는 1차 소성 단계; 상기 초벌 소성 단계 이후 도자기 기물에 매트(matt)유약을 도포한 후 소성하는 2차 소성 단계; 상기 2차 소성 단계 이후 그림 도구에 안료조성물을 적용하여 도자기 기물의 표면에 그림을 도시하는 그림 도시 단계; 및 상기 그림 도시 단계 이후 그림이 건조된 후 유약을 도포하여 소성하는 3차 소성 단계를 포함하는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해결수단은 아래에서 이어지는 설명에서 일부 설명될 것이고, 그 설명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지득될 수 있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을 위한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에 그림을 선명하게 도시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은 기존의 방식에 비하여 매우 선명하고 입체적이며 사실적인 그림을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의 블록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의 1차 저온 초벌 소성 단계의 세부 과정을 표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의 2차 최적 온도 소성 단계의 세부 과정을 표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의 그림 도시 단계의 세부 과정을 표현한 블록도이다.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의 2차 최적 온도 소성단계에서 최적 온도의 경우와 최적 온도가 아닌 경우의 기물과 그림의 상태를 개념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의 3차 마무리 소성 단계의 세부 과정을 표현한 블록도이다.
도 9는 종래의 하회 기법에 의한 도자기와 본 발명에 따른 기법에 의한 도자기의 그림의 선명도를 비교하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10 및 11은 종래의 하회/상회 기법에 의한 도자기와 본 발명에 따른 기법에 의한 도자기의 그림의 선명도/정확도를 비교하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의 1차 저온 초벌 소성 단계의 세부 과정을 표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의 2차 최적 온도 소성 단계의 세부 과정을 표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의 그림 도시 단계의 세부 과정을 표현한 블록도이다.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의 2차 최적 온도 소성단계에서 최적 온도의 경우와 최적 온도가 아닌 경우의 기물과 그림의 상태를 개념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의 3차 마무리 소성 단계의 세부 과정을 표현한 블록도이다.
도 9는 종래의 하회 기법에 의한 도자기와 본 발명에 따른 기법에 의한 도자기의 그림의 선명도를 비교하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10 및 11은 종래의 하회/상회 기법에 의한 도자기와 본 발명에 따른 기법에 의한 도자기의 그림의 선명도/정확도를 비교하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구체적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의 블록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은 1차 초벌 소성 단계(S100), 2차 최적 온도 소성 단계(S200), 그림 도시 단계(S300), 3차 마무리 소성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의 1차 저온 초벌 소성 단계의 세부 과정을 표현한 블록도이다.
1차 초벌 소성 단계(S100)는 1차 소성 단계, 1차 저온 초벌 소성 단계와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초벌 소성 단계(S100)는 도자기 기물을 제조하는 도자기 제조 단계(S110), 1차로 상온(20-25℃)에서 기물을 반 건조시키는 반 건조 단계(S120), 도자기 기물의 하부의 굽을 깎는 굽 깎기 단계(S130) 및 2차로 상온에서 도자기 기물을 완전 건조하는 완전 건조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의 2차 최적 온도 소성 단계의 세부 과정을 표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의 그림 도시 단계의 세부 과정을 표현한 블록도이다.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의 2차 최적 온도 소성단계에서 최적 온도의 경우와 최적 온도가 아닌 경우의 기물과 그림의 상태를 개념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최적 온도 소성 단계(S200)는 매트(matt)유약 시유 단계(S210) 및 정착 최적 온도 소성 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 2차 최적 온도 소성 단계(S200)는 2차 소성 단계와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림 도시 단계(S300)는 도시용 안료조성물을 마련하는 안료 마련 단계(S310) 및 도자기 기물에 그림을 도시하는 그림 도시 단계(S320)를 포함할 수 있다.
매트(matt)유약 시유 단계(S210)는 광택이 없는 거친 질감이 나는 유약을 시유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무광택의 매트 유약이 사용되는 이유는 광택이 나는 광택유에 비하여 덜 매끄럽고 거친 성질이 있어 후술하는 그림 도시 단계에서 그림을 도시하는 데 더 좋은 특성을 보이기 때문이다.
정착 최적 온도 소성 단계(S220)는 후술하는 그림 도시 단계(S300)에서 그림이 도시되는 경우 안료가 도자기 기물의 표면에 정착이 잘 되도록 그 정착성을 극대화하는 최적의 온도 조건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정착성을 극대화하는 정착 최적 온도의 조건은, 소성 진행 시의 그 최고 온도가 1065 내지 1075 ℃인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이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소성 온도의 최고 온도가 1065℃ 이하인 경우 도자기 기물(100)의 표면에 도포된 유약(200)이 제대로 액체화 되지 않으므로 유약 분말이 도구(T)의 브러쉬에 묻어나오게 되고, 안료조성물(30)이 유약(200)에 뒤엉켜 버리게 되어 작가가 의도한 그림이 표현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소성 온도의 최고 온도가 1075℃ 이상인 경우 유약(200)이 액체화 후 과냉각되는 정도가 표면 코팅 유리질을 형성할 정도로 진행되어, 이에 그림을 그리게 되면 안료조성물(50)이 도자기 기물(100)에 스며들지 못하게 되고 유리화된 유약(200)의 표면에 머무르게 되므로 이 후 여기에 유약을 도포하여 소성하는 3차 소성 단계가 진행되는 경우 역시 그림이 번지거나 지워지는 등 의도대로 표현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온도 조건을 미세하게 조정하며 수십수백차례 실험을 진행한 결과 2차 소성 온도 조건이 최고온도 1065 내지 1075℃인 경우에 안료조성물(50)이 도자기 기물(100)에 잘 스며들게 되어 이 후 3차 소성 단계가 진행된 후의 결과물에서 그림이 매우 선명하게 표현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6에 도시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온도 조건 하에서 유약(200)은 그 과냉각정도가 유리질을 형성하지 않을 정도로 진행될 수 있다. 유약(200)이 그 원료들이 함께 혼합된 고체분말의 형태에서 액체화 된 후 과냉각이 진행되면 표면을 매끄럽게 코팅하게 되는 유리질을 형성할 수 있는데, 여기서 유리질이 완전히 형성되지 않으면서 고체분말이 묻어나오지 않는 정도로 과냉각이 진행된 상태가 안료조성물(50)이 도자기 기물에 잘 흡수되어 정착되는 최적의 상태인 것으로 파악을 하였다. 이 정도의 과냉각정도를 유리질이 완전히 형성된 상태의 과냉각정도를 100%로 기준 잡아 70 내지 80%로 정의할 수 있다.
안료조성물은 색 안료와 투명유약을 포함할 수 있다. 색 안료에 대한 투명유약의 중량비는 대략 10:1.5 내지2 로서 이를 환산하면 15 내지 20:3로 구성될 수 있다. 기존에는 색 안료를 그대로 사용하였으나, 도구(T)를 이용하여 그림을 그릴 때 안료의 균일한 도포를 돕고 보다 매끄러운 그림이 그려질 수 있도록 투명유약을 상기의 비율로 색 안료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투명유약은 산화인(P2O5)을 투명유약 전체 중량 대비 15중량%이상 포함하고 산화철(Fe2O3)을 투명유약 전체 중량 대비 1중량%이하로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의 3차 마무리 소성 단계의 세부 과정을 표현한 블록도이다.
3차 마무리 소성 단계(S400)는 3차 소성 단계와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3차 마무리 소성 단계(S400)는 그림의 선명도를 극대화 하기 위한 선명도 최적 온도로 소성하는 단계(S410)를 포함할 수 있다. 3차 소성 단계의 온도 조건은 최고온도 1250 내지 1300℃일 수 있다.
도 9는 종래의 하회 기법에 의한 도자기와 본 발명에 따른 기법에 의한 도자기의 그림의 선명도를 비교하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9(a)는 종래의 하회 기법(1차 초벌 소성 후 그림을 그리고 유약 도포 후 2차 소성으로 종료)에 의한 도자기이고,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기법에 의한 도자기이다. 언뜻 비교해보아도 그림의 선명도가 확연히 차이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도 10 및 11은 종래의 하회/상회 기법에 의한 도자기와 본 발명에 따른 기법에 의한 도자기의 그림의 선명도/정확도를 비교하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10(a) 역시 도 9(a)와 마찬가지로 종래의 하회 기법에 의한 도자기로서, 도 10(b)의 본 발명에 따른 기법에 의한 도자기와 그림의 선명도가 확연히 차이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도 11(a)는 종래의 상회 기법(1차 초벌 소성 후 유약을 도포 후 그 위에 그림을 그린 후 2차 소성으로 종료)에 의한 도자기로서 그림이 지워지거나 번져 있는 반면에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기법에 의한 도자기로서 그림의 명확도, 선명도 및 정확도가 매우 뛰어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신기하게도 10(b)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로서 본 발명에 의해 생산된 도자기의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 야외에 잠시 두었다가 실제 야생 호랑나비(10)가 도자기 표면 그림을 생화로 착각하여 앉게 된 장면을 포착하게 되었다. 나비(10)는 한참을 앉아있다가 떠났는데, 나비(10)가 생화로 착각할 만큼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도자기 표면 그림이 실제를 방불케 할 정도로 색감이 매우 뛰어나고 선명하게 표현된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 도자기 기물을 제조한 후 초벌 소성하는 1차 소성 단계;
상기 초벌 소성 단계 이후 도자기 기물에 매트(matt)유약을 도포한 후 소성하는 2차 소성 단계;
상기 2차 소성 단계 이후 그림 도구에 안료조성물을 적용하여 도자기 기물의 표면에 그림을 도시하는 그림 도시 단계; 및
상기 그림 도시 단계 이후 그림이 건조된 후 유약을 도포하여 소성하는 3차 소성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2차 소성 단계는,
상기 안료조성물이 도자기 기물에 적절하게 흡수되어 정착될 수 있는 상태로 소성하기 위한 정착 최적 온도 조건 하에서 진행되되, 상기 정착 최적 온도 조건은 최고 온도가 1065 내지 1075℃으로 설정되어, 도포된 매트유약의 과냉각정도가 70내지80%에 도달하여 유리질이 완전히 형성되지 않으면서 고체 분말이 묻어나오지 않는 정도로 이루어짐에 따라, 도자기 기물 표면이 상기 안료조성물이 흡수되어 정착될 수 있는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그림 도시 단계에서는,
안료조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도자기 기물의 표면에 도포되어 과냉각된 매트유약을 지나 도자기 기물의 표면에 흡수되어 정착되며,
상기 안료조성물은,
색 안료와 투명유약을 포함하되, 색 안료에 대한 투명유약의 중량비는 15 내지 20:3이며, 상기 투명유약은 산화인(P2O5)을 투명유약 전체 중량 대비 1중량% 이상 포함하고, 산화철(Fe2O3)을 투명유약 전체 중량 대비 1중량% 이하로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3차 소성 단계는,
상기 그림 도시 단계에서 투명유약이 도포된 후1250 내지 1300℃에서 수행되는,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2638A KR102513618B1 (ko) | 2020-10-30 | 2020-10-30 |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2638A KR102513618B1 (ko) | 2020-10-30 | 2020-10-30 |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57706A KR20220057706A (ko) | 2022-05-09 |
KR102513618B1 true KR102513618B1 (ko) | 2023-03-22 |
Family
ID=81582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42638A KR102513618B1 (ko) | 2020-10-30 | 2020-10-30 |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13618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8140B1 (ko) | 2011-12-19 | 2012-04-23 | 정민정 | 도자기의 페인팅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4253B1 (ko) * | 2009-05-27 | 2011-08-08 |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 산화동을 사용한 환원소성용 녹색계 안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녹색계 도자기 |
KR101110310B1 (ko) * | 2009-06-24 | 2012-02-15 | 한국도자기주식회사 | 자개 문양이 형성된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도자기 |
KR101204686B1 (ko) * | 2009-06-24 | 2012-11-26 | 한국도자기주식회사 | 칠보장식을 갖는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칠보장식 도자기 |
KR20120092959A (ko) * | 2011-02-14 | 2012-08-22 | 이경희 | 자연물 형태와 질감을 갖는 소형 도자조형물 제작방법 |
KR101953542B1 (ko) * | 2017-05-08 | 2019-03-04 | 주식회사 카멜 | 도자기용 다채색 고강도 안료조성물과 도자기용 다채색 고강도 안료조성물을 이용한 내열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내열 도자기 |
-
2020
- 2020-10-30 KR KR1020200142638A patent/KR10251361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8140B1 (ko) | 2011-12-19 | 2012-04-23 | 정민정 | 도자기의 페인팅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57706A (ko) | 2022-05-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olomban et al. | On‐site Raman analysis of Iznik pottery glazes and pigments | |
CN101804762B (zh) | 浮雕层网版制作方法以及粉彩浮雕瓷器的制作方法 | |
Montanari et al. | European Ceramic technology in the Far East: Enamels and pigments in Japanese art from the 16th to the 20th century and their reverse influence on China | |
KR102513618B1 (ko) |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상회 도시 및 소성 방법 | |
FR2460784A1 (fr) | Stratifie decoratif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 |
CN109551912A (zh) | 一种陶瓷生坯粘贴耐高温烧制二维码或一维码的生产工艺 | |
KR20220071389A (ko) | 도자기에 그림이 선명하게 표현되는 하회 도시 및 소성 방법 | |
US9333789B2 (en) | Decal printing paper for ceramics | |
CN104529557B (zh) | 一种在紫砂器上绘制珐琅的方法 | |
US20130161880A1 (en) | Method for creating ceramic photos | |
JP2010235416A (ja) | 窯変調転写紙および窯変調模様を有する陶磁器 | |
Johnston | The biblical potter | |
Husband | Valencian Lusterware of the Fifteenth Century: Notes and Documents | |
Shlasko | Delftware chronology: A new approach to dating English tin-glazed ceramics | |
Godden | New Handbook of British Pottery & Porcelain Marks | |
DE4213041C1 (ko) | ||
Papulova et al. | Development of compositions of pigmented colored lead-free glazes for improving ceramic product design | |
Owen et al. | Crawling Glazes on Mid-Century Modern Maritime Canadian Studio Pottery: Shared or Re-Created? | |
Botticelli et al. | Tradition unveiled. Pottery production in the Brazilian Kadiweu culture | |
ARTHUR | Introducing FRENCH ART NOUVEAU CERAMICS An Illustrated Dictionary | |
CA2946358A1 (en) | Decal printing paper for ceramics | |
Commander | Winterthur Museum | |
Edwards et al. | The Scientific Analysis of Porcelain | |
CONCEIÇÃO | FILLING IN THE GAPS | |
Martínez Simó | Innovation in the process of tile decor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