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488B1 - 가슴보형물 삽입 보조 기구 코팅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가슴보형물 삽입 보조 기구 코팅 조성물 - Google Patents

가슴보형물 삽입 보조 기구 코팅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가슴보형물 삽입 보조 기구 코팅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488B1
KR102513488B1 KR1020200181075A KR20200181075A KR102513488B1 KR 102513488 B1 KR102513488 B1 KR 102513488B1 KR 1020200181075 A KR1020200181075 A KR 1020200181075A KR 20200181075 A KR20200181075 A KR 20200181075A KR 102513488 B1 KR102513488 B1 KR 102513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izophyllan
coating composition
breast implant
schizophyllum commune
implant inse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0148A (ko
Inventor
황기섭
신우식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81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488B1/ko
Publication of KR20220090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0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saccharides or on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D101/00 or C09D103/00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30Microbial fungi;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42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8Materials for coatings
    • A61L31/10Macromolecular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16Anti-neoplastic or anti-proliferative or anti-restenosis or anti-angiogenic agents, e.g. paclitaxel, sirolim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i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Schizophyllum commune 균주를 이용하여 시조필란을 생산하는 제1 단계; 상기 Schizophyllum commune 균주와 시조필란의 혼합물로부터 시조필란을 분리하는 제2 단계; 분리된 상기 시조필란을 수산화 용액과 혼합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시조필란이 코팅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5 wt% 내지 25 wt% 비율이 되도록 수행되고, 상기 수산화 용액은 탈이온수, 에탄올,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가슴보형물 삽입 보조 기구 코팅 조성물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가슴보형물 삽입 보조 기구 코팅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가슴보형물 삽입 보조 기구 코팅 조성물{COATING COMPOSITION APPLIED ON BREAST IMPLANT INSTRUMENT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슴보형물 삽입 보조 기구 코팅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가슴보형물 삽입 보조 기구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가슴성형 방법은 크게 보형물 삽입, 자가지방이식, 필러 시술 등 다양하며 보형물 삽입 방법이 가장 보편적이다.
가슴보형물의 주요 성분은 코헤시브 실리콘 겔이며 외피는 PDMS (polydimethylsiloxane)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전체 성형수술 빈도수에서 실리콘 가슴보형물 삽입 건은 절대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보형물의 부피와 점성이 커지면서 피부조적 손상, 흉터 및 후유증 발생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또한, 가슴보형물 성형수술에 필요한 삽입 보조기구는 수입 의존도가 크고, 비싼 단가의 일회용품으로 소비자에게 부담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세균 감염으로 인한 피부조직 손상을 방지하고 손쉬운 수술을 진행할 수 있도록 수술 기구에 코팅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Schizophyllum commune 균주를 이용하여 시조필란을 생산하는 제1 단계; 상기 Schizophyllum commune 균주와 시조필란의 혼합물로부터 시조필란을 분리하는 제2 단계; 분리된 상기 시조필란을 수산화 용액과 혼합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시조필란이 코팅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5 wt% 내지 25 wt% 비율이 되도록 수행되고, 상기 수산화 용액은 탈이온수, 에탄올,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가슴보형물 삽입 보조 기구 코팅 조성물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Schizophyllum commune 균주를 고체배지에서 90%까지 성장하도록 배양하고, 90% 성장한 Schizophyllum commune 균주를 종균 배양한 후, 종균 배양된 Schizophyllum commune 균주를 진탕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슴보형물 삽입 보조 기구 코팅 조성물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산화 용액은 탈이온수, 에탄올,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중량비로 6:3:1의 비율로 혼합된 것인, 가슴보형물 삽입 보조 기구 코팅 조성물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Schizophyllum commune 균주는 glucose 10 wt%, yeast extract 0.5 wt%, KH2PO4 0.011 wt%, MgSO4 0.01 wt%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되는, 가슴보형물 삽입 보조 기구 코팅 조성물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균사체 제거 공정, 에탄올 침전, 색소제거 공정, 동결건조 공정을 포함하는, 가슴보형물 삽입 보조 기구 코팅 조성물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조필란(Schizophyllan) 수용액; 수산화 용액을 포함하고, 상기 시조필란 수용액은 코팅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5 wt% 내지 25 wt% 비율로 포함되고, 상기 수산화 용액은 탈이온수, 에탄올,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가슴보형물 삽입 보조 기구 코팅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산화 용액은 탈이온수, 에탄올,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중량비로 6:3:1의 비율로 혼합된 것인, 가슴보형물 삽입 보조 기구 코팅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조필란을 포함하는 코팅 용액을 수술 기구에 적용함으로써 세균 감염으로 인한 피부조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 조성물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조필란의 구조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이미지이다.
도 4는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코팅에 물 방울을 떨어뜨렸을 때의 접촉각을 분석한 것이다.
도 5는 실시예(SGC)와 비교예(HA)에 따른 조성물로 제조한 코팅의 적외선 분광 분석 결과이다.
도 6은 실시예(SGC)와 비교예(HA)의 코팅의 온도에 따른 중량 변화를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7은 FE-SEM을 통한 실시예와 비교예의 코팅 필름 형태 분석 결과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느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on)에 형성되었다고 할 경우, 상기 형성된 방향은 상부 방향만 한정되지 않으며 측면이나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면'과 '하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하기 위하여 상대적인 개념으로 사용된 것이다. 따라서, '상면'과 '하면'은 특정한 방향, 위치 또는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고 서로 호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면'이 '하면'이라고 해석될 수도 있고 '하면'이 '상면'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면'을 '제1'이라고 표현하고 '하면'을 '제2'라고 표현할 수도 있고, '하면'을 '제1'로 표현하고 '상면’을 '제2'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그러나, 하나의 실시예 내에서는 '상면'과 '하면'이 혼용되지 않는다.
Schizophyllum commune 균주를 이용하여 높은 생산 효율로 시조필란을 제조하고 이를 수산화 용액과 혼합하여 낮은 온도에서 건조가 가능한 코팅 조성물을 생산할 수 있다. 이렇게 생산된 코팅 조성물은 수술 기구 상에 코팅되었을 때 세균으로 인한 감염과 피부조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 조성물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조필란의 구조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 조성물 제조 방법은 Schizophyllum commune 균주를 이용하여 시조필란을 생산하는 제1 단계(S100); Schizophyllum commune 균주와 시조필란의 혼합물로부터 시조필란을 분리하는 제2 단계(S200); 분리된 시조필란을 수산화 용액과 혼합하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한다. 또한, 제3 단계(S300)는 시조필란이 코팅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5 wt% 내지 25 wt% 비율이 되도록 수행되고, 수산화 용액은 탈이온수, 에탄올,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Schizophyllum commune 균주를 이용하여 시조필란을 생산하는 제1 단계(S100)가 수행된다. 시조필란은 치마버섯(Schizophyllum commune) 균주로부터 배양되어 제조될 수 있다. 시조필란은 베타글루칸 소재 중 치마버섯 유래의 다당체인 시조필란(schizophyllan)은 치마버섯 배양시 세포 외로 분비되는 균일한 구조(β-1,6-branched β-1,3-glucan)의 베타글루칸일 수 있다. 이러한 시조필란의 화학적 구조식은 도 2에 개시되어 있다.
Schizophyllum commune 균주를 이용하여 시조필란을 생산하기 위하여 배지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chizophyllum commune 균주는 글루코오스 10 wt%, 효소 추출물 0.5 wt%, KH2PO4 0.011 wt%, MgSO4 0.01 wt%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될 수 있다.
상술한 배지에서 효소 추출물은 다당체의 생성을 촉진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선행연구에서 전체적으로 효소 추출물 단독으로 사용한 것과 비교하여 무기 질소원 및 유기 질소원을 혼합 사용했을 때에 균사체의 양은 증가했지만, 다당체의 생성량은 영향이 없거나 다소 줄어든 것을 확인한 바 있다. 따라서 질소원의 혼합사용 및 비율의 증가는 균사체의 생육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세포외 다당체의 생성을 위해서는 효소 추출물만 0.5 wt% 첨가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2 단계(S200)에서는 Schizophyllum commune 균주와 시조필란의 혼합물로부터 시조필란을 분리한다.
제2 단계(S200)에서 시조필란의 분리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단계(S200)는 균사체 제거 공정, 에탄올 침전, 색소제거 공정, 동결건조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공정에서의 시조필란의 회수율은 약 32%이며, 순도는 약 99%이다.
또한 해당 공정에 따르면, 배양 120시간에 약 13.5(g/L)의 높은 생산성으로 시조필란을 생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단계(S200)에서 시조필란은 균사체 배양액을 7000×g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에 3배 부피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얻어지는 침전물을 45℃에서 건조하여 수득될 수 있다.
다음으로, 분리된 시조필란을 수산화 용액과 혼합하는 제3 단계(S300)가 수행된다.
제3 단계(S300)에서 앞서 분리된 순도 99%의 시조필란이 혼합 공정에 사용될 수 있다.
혼합 공정에 사용되는 수산화 용액은 탈이온수, 에탄올,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한다. 상술한 수산화 용액은 하이드록시기의 수소 결합을 통해 시조필란과 결합하는 한편 서로서로 수소 결합에 의해 안정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수산화 용액은 탈이온수, 에탄올,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중량비로 6:3:1의 비율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비율로 혼합된 수산화 용액은 용액 내 하이드록시 작용기의 양이 적정 비율로 제공되어 시조필란과 혼합되었을 때 적절한 점도를 제공하고 낮은 온도에서 도포된 코팅액이 건조될 수 있도록 한다.
제3 단계(S300)는 시조필란이 코팅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5 wt% 내지 25 wt% 비율이 되도록 수행된다. 시조필란의 양이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5 wt% 미만인 경우 시조필란을 포함하는 코팅에 의한 항균 효과가 불충분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시조필란의 양이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5 wt%를 초과하는 경우 분자량이 큰 시조필란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코팅 조성물의 점도가 증가하여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기 어려워지고, 도포 후 건조도 어려워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코팅 조성물이 나타내는 유리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실시예 1. Schizophyllum commune 균주를 이용한 Schizophyllan 제조
Schizophyllan 생산균주는 한국생명자원센터(KCTC)에서 분양받은 Schizophyllum commune 균주를 사용하였다. 균주는 PDA(potato dextrose agar) 고체배지에서 28
Figure 112020139749054-pat00001
에서 7일간 배양한 후 균사체가 plate에 90% 자란 상태로 4
Figure 112020139749054-pat00002
에서 냉장 보관하였으며, 최대 2개월 간격으로 동일 배지에서 계대배양하여 사용하였다. 때에 따라 종균배양을 수행한 균사체를 20% glycerol로 세척한 후 50% glycerol로 동일 비율로 섞어서 -80
Figure 112020139749054-pat00003
에서 장기 보관하였다.
종균 배양은 glucose 4%, yeast extract 0.5%, KH2PO4 0.01%, MgSO4 0.05%의 멸균된 배지에 고체배양된 균사체를 일부분 채취하여 50ml 배지를 포함하는 300ml 플라스크에서 28
Figure 112020139749054-pat00004
에서 5일간 진탕배양하였다.
Schizopyllan 생산배양은 종균배양을 마친 균사체를 glucose 10%, yeast extract 0.5%, KH2PO4 0.011%, MgSO4 0.01% 멸균배지에 10% 접종한 후 종균배지와 동일한 조건으로 진탕배양하였다.
Schizopyllan의 회수를 위해서 균사체 배양액을 4000X g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한 후, 5배 부피의 충분한 에탄올을 첨가하여 일정시간동안 침전물을 형성시키고, 조심하여 침전물만을 취한 후, 세척공정을 적용하였다. 세척공정에서는 5% H2O2를 첨가하고 이후 활성탄 공정을 도입하여 색소를 제거하였다. 처리된 액은 다시 농축과정을 거쳐 동결건조하였음. 다당체의 분석을 위한 GPC 분석은 하기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글루칸(Glucan) 분석을 위한 GPC 조건은 다음과 같다: HPLC : Waters, Columns : Ultrahydrogel Linear, Flow rate : 0.6 mL/min, Mobile phase : 0.1M NaOH, Temp.: 35
Figure 112020139749054-pat00005
, Detector : RI, Std: Pullulan.
실시예 1-1. Schizophyllan (SP) 제조 방법
플라스크 생산배양 배양 결과를 하기의 표에 기재하였다. 아래의 표1은 플라스크 배양을 통한 Schizophyllan 생산결과이다.
배양시간 Dry cell weight(g/L) Schizophyllan Residual glucose (% w/v)
0 0 0 10
24 3.3 0 8.8
48 7.8 0.5 5.3
72 14.6 4.8 2.1
96 18.7 12.1 0.5
120 25.4 13.5 0
실험 결과 배양 120시간에 건조세포중체량은 25.4(g/L)를 얻었고 Schizophyllan은 동일 시간에 13.5(g/L)를 획득하였음. 초기에 첨가된 glucose는 배양 96시간에 거의 소모하였으며, 배양 종료 시에는 모두 소모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균사체 배양액에서 Schizophyllan 회수를 수행했다. 분리정제를 위한 기본적인 방법은 세포 제거, 에탄올 침전, 색소제거, 동결건조를 통한 최종 회수 공정을 확립하였다. 이를 통한 최종 회수율은 32%임. 또한 GPC 분석결과 최종적으로 순도 99%의 고순도 Schizophyllan을 생산했다.
다음의 표는 Schizophyllan 분리정제 공정개발 결과이다.
공정 Schizophyllan (g) 수율 (%)
배양 50 100
원심분리 40 80
에탄올침전 37.2 74.4
H2O2 색소제거 33.1 66.2
2차 세척공정 20.8 41.6
활성탄 처리 18.3 36.6
동결건조 16 32
실험예 1.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코팅 제조
비교예의 히알루론산 소디윰 염(Hyaluonic acid sodium slat; HA-Na) 코팅 소재는 코팅 가능 점도를 위해 탈이온수와 Et-OH 중량비가 7:3인 수용액에 30 w/w%로 희석하였다.
실시예의 SP 코팅 소재는 99 w/w% SP 수용액을 탈이온수:Et-OH: PEG 100의 중량비가 6:3:1인 수용액을 이용하여 20 w/w%로 희석하여 코팅 점도 및 낮은 온도 건조 가능하도록 제조하였다.
(NY 필름 상에 실시예와 비교예의 코팅 제조)
도 3은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이미지이다.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을 제조하였다. 이를 위하여 NY 필름을 팽팽하게 유지 후, 코팅 용액 각각을 3 g 올리고, 바코터 #7 (16 ㎛)을 이용하여 코팅했다. 다음으로, 강제순환식 고온 건조기 내 60
Figure 112020139749054-pat00006
온도에서 5분 건조했다.
실험예 2. SP 코팅 필름과 HA-Na 코팅 필름의 물성 비교
실시예의 SP 코팅 필름과 비교예의 HA-Na 코팅 필름에 대하여, 접촉각 분석을 통한 친수성 분석, 표면 작용기 분석을 위한 적외선 분광분석, 열적 안정성 분석 및 코팅 후 형상 분석을 수행하였다.
(1) 실시예와 비교예의 코팅의 물 방울 접촉각 비교
도 4는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코팅에 물 방울을 떨어뜨렸을 때의 접촉각을 분석한 것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SP를 이용한 코팅 필름의 접촉각은 약 32.5°로 나타나, HA-Na 코팅 필름의 접촉각인 31.2°와 비교하여 유사한 접촉각을 나타냈다. 이는 SP의 친수성이 HA-Na만큼 높음을 나타낸다.
(2) 적외선 분광 분석
도 5는 실시예(SGC)와 비교예(HA)에 따른 조성물로 제조한 코팅의 적외선 분광 분석 결과이다.
적외선 분광 분석에서 SP(도면의 SGC)는 HA-Na(도면의 HA)와 비교하였을 때, 3000 cm-1~3500 cm-1 사이의 -OH 그룹이 더욱 높고, 샤프하게 나타남에 따라 친수기를 더욱 많이 확보한 것을 알 수 있다.
SP의 스펙트라는 HA-Na의 스펙트라에 비해 1750 cm-1 부근의 peak가 낮은데, 그 이유는 SP 코팅 필름은 ester 작용기에 의한 peak가 나타난 반면, HA-Na 코팅 필름은 Ketone 작용기를 포함하고 있어 더욱 sharp 한 peak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3) 열적 안정성 분석
도 6은 실시예(SGC)와 비교예(HA)의 코팅의 온도에 따른 중량 변화를 분석한 그래프이다.
SP(도면의 SGC)는 HA-Na(도면의 HA)와 비교하여, 더 높은 온도에서 더 적은 양이 분해되어, 열정안정성이 HA-Na 보다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SP는 초기 300
Figure 112020139749054-pat00007
까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11%의 질량 감소하고, 그 후 약 440
Figure 112020139749054-pat00008
까지 전체 질량의 56%가 급격하게 감소했다. 이 후 서서히 질량이 감소하였다.
반면, HA-Na는 270
Figure 112020139749054-pat00009
까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16%의 질량 감소를 보였고, 그 후 약 350
Figure 112020139749054-pat00010
까지 전체 질량의 36%가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이 후 700
Figure 112020139749054-pat00011
까지 전체 질량의 16% 서서히 감소 한 후 급격한 질량 감소를 보였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SP가 비교예의 HA-Na와 비교하여 열적 안정성이 더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다.
(4) 형태 분석
SP와 HA-Na 코팅 필름의 형태 분석은 FE-SEM 분석을 통해 실시했다. 도 7은 FE-SEM을 통한 실시예와 비교예의 코팅 필름 형태 분석 결과이다.
SP의 경우 10,000 배 확대에서 HA-Na와 유사하나, 큰 입자들이 관찰됨, 이는 PEG 100을 사용하면서, 일부 SP가 뭉친 것으로 판단되며, 그 크기는 약 100 nm 수준으로 표면 장력에 미치는 영향은 적을 것으로 판단된다.
80,000 배의 배율에서는 SP 및 HA-Na 모두 약 20 nm 크기의 입자들이 유사하게 코팅되어 있음을 확인되었다.
앞서 검토한 것과 같이 플라스크 배양을 통하여 자체 개발된 저가의 생산배지를 이용할 경우 13.5(g/L)의 높은 Schizopyllan 제조공정을 완료하였으며, 추후 개발되고 있는 파일럿 규모의 발효기를 사용할 경우 다량의 산소공급이 용이하고, 유가식 배양 공정을 적용하면 상업용 생산이 가능한 발효 시스템을 구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Schizopyllan을 개발하는 균주 역시 의료용 소재로 사용할 수 있는 Non-GMO Schizophyllum commune 야생형 균주를 적용함으로써 제품 등록과 사용에 용이한 기술을 도입할 수 있다. 또한 현재 32%의 높은 schizophyllan 회수 공정을 대량 생산공정에 이용할 경우 높은 저가의 고순도의 의료용 소재를 공급함으로써 시장 장악력과 활용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HA-Na (30 w/w%) 코팅 용액 대비 SP 코팅 용액 (20 w/w%)은 적은 량 사용으로 유사한 특성 확보 및 높은 열적 안정성 확보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7)

  1. Schizophyllum commune 균주를 이용하여 시조필란을 생산하는 제1 단계;
    상기 Schizophyllum commune 균주와 시조필란의 혼합물로부터 시조필란을 분리하는 제2 단계;
    분리된 상기 시조필란을 수산화 용액과 혼합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시조필란이 코팅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5 wt% 내지 25 wt% 비율이 되도록 수행되고,
    상기 수산화 용액은 탈이온수, 에탄올, 폴리에틸렌글리콜이 중량비로 6:3:1의 비율로 혼합된 것인, 가슴보형물 삽입 보조 기구 코팅 조성물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Schizophyllum commune 균주를 고체배지에서 90%까지 성장하도록 배양하고,
    90% 성장한 Schizophyllum commune 균주를 종균 배양한 후,
    종균 배양된 Schizophyllum commune 균주를 진탕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슴보형물 삽입 보조 기구 코팅 조성물 제조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Schizophyllum commune 균주는 글루코오스 10 wt%, 효소 추출물 0.5 wt%, KH2PO4 0.011 wt%, MgSO4 0.01 wt%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되는, 가슴보형물 삽입 보조 기구 코팅 조성물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균사체 제거 공정, 에탄올 침전, 색소제거 공정, 동결건조 공정을 포함하는, 가슴보형물 삽입 보조 기구 코팅 조성물 제조 방법.
  6. 시조필란(Schizophyllan) 수용액;
    수산화 용액을 포함하고,
    상기 시조필란 수용액은 코팅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5 wt% 내지 25 wt% 비율로 포함되고,
    상기 수산화 용액은 탈이온수, 에탄올, 폴리에틸렌글리콜이 중량비로 6:3:1의 비율로 혼합된 것인, 가슴보형물 삽입 보조 기구 코팅 조성물.
  7. 삭제
KR1020200181075A 2020-12-22 2020-12-22 가슴보형물 삽입 보조 기구 코팅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가슴보형물 삽입 보조 기구 코팅 조성물 KR102513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075A KR102513488B1 (ko) 2020-12-22 2020-12-22 가슴보형물 삽입 보조 기구 코팅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가슴보형물 삽입 보조 기구 코팅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075A KR102513488B1 (ko) 2020-12-22 2020-12-22 가슴보형물 삽입 보조 기구 코팅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가슴보형물 삽입 보조 기구 코팅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148A KR20220090148A (ko) 2022-06-29
KR102513488B1 true KR102513488B1 (ko) 2023-03-24

Family

ID=82270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075A KR102513488B1 (ko) 2020-12-22 2020-12-22 가슴보형물 삽입 보조 기구 코팅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가슴보형물 삽입 보조 기구 코팅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48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056B1 (ko) * 2002-09-13 2006-11-23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생체 관강 색전 용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4013B1 (en) * 1999-12-08 2001-09-25 Sun Chemical Corporation Polysaccharide pigment dispersions
KR20100094868A (ko) * 2009-02-19 2010-08-27 경북전문대학 산학협력단 치마버섯 균사체 유래 다당류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056B1 (ko) * 2002-09-13 2006-11-23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생체 관강 색전 용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148A (ko) 202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rovatti et al. Gluconacetobacter sacchari: an efficient bacterial cellulose cell-factory
Çakar et al. Improvement production of bacterial cellulose by semi-continuous process in molasses medium
Jagannath et al. The effect of pH, sucrose and ammonium sulphate concentrations on the production of bacterial cellulose (Nata-de-coco) by Acetobacter xylinum
Lin et al. Production of bacterial cellulose with various additives in a PCS rotating disk bioreactor and its material property analysis
CN104662158B (zh) 生产具有可控分子量的高纯度透明质酸钠(hana)的方法
CN106399422B (zh) 一种细菌纤维素的制备方法
US20140083327A1 (en) Bacterial cellulose based 'green' composites
EP3121265B1 (en) Komagataeibacter rhaeticus p 1463 producer of bacterial cellulose
Lin et al. Semi-continuous bacterial cellulose production in a rotating disk bioreactor and its materials properties analysis
EP1660670A1 (en) A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bacterial cellulose
Avcioglu Bacterial cellulose: Recent progress in production and industrial applications
CN107049800A (zh) 一种含有植物提取液的纳米纤维素功面膜的制备方法
Afreen et al. Production of bacterial cellulose from Acetobacter Xylinum using fruits wastes as substrate
US20180216148A1 (en) Composite cellulose hydrogel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e thereof
Singh et al. Response surface optimization for cellulose production from agro industrial waste by using new bacterial isolate Gluconacetobacter xylinus C18
CN105420127B (zh) 高分子量普鲁兰多糖的高产菌株及利用该菌株生产高分子量普鲁兰多糖的方法
Foresti et al. Bacterial nanocellulose: Synthesi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WO2007063854A1 (ja) バクテリアセルロースの製造方法
KR102513488B1 (ko) 가슴보형물 삽입 보조 기구 코팅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가슴보형물 삽입 보조 기구 코팅 조성물
CN106350544A (zh) 一种多孔石墨烯的绿色制备方法
CN110403858A (zh) 细菌纤维素/普洱茶提取物复合功能材料及其制备方法
WO2014133249A1 (ko) 미생물 셀룰로오스 겔 제조방법
CN107937307A (zh) 一株细菌纤维素高产菌及其最优发酵条件
KR102336328B1 (ko) 고체 원물이 포함된 바이오셀룰로오스,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배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emam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ellulose nano fiber producing bacterial strain from fermented fru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