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226B1 - 파라볼라 안테나 시스템 - Google Patents

파라볼라 안테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226B1
KR102513226B1 KR1020210179375A KR20210179375A KR102513226B1 KR 102513226 B1 KR102513226 B1 KR 102513226B1 KR 1020210179375 A KR1020210179375 A KR 1020210179375A KR 20210179375 A KR20210179375 A KR 20210179375A KR 102513226 B1 KR102513226 B1 KR 102513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parabolic
sector
reflective
antenna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9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하
정현
이호선
Original Assignee
(주)밀리웨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밀리웨이브 filed Critical (주)밀리웨이브
Priority to KR1020210179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14Reflecting surfaces; Equivalent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라볼라 면을 갖는 반사판으로서, 반사판의 중심에서의 거리에 따라 단차면으로 구분되는 복수의 반사면이 형성된 반사판, 반사판을 이용하여 전파를 송신 및 수신하는 위상 어레이 빔포밍 안테나 및 위상 어레이 빔포밍 안테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안테나를 구성하는 각 엘리먼트에 입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제어하는 알에프 모듈을 포함하고, 위상 어레이 빔포밍 안테나는, 알에프 모듈에 의해 위상이 제어된 신호의 전파를 상기 반사판을 향해 빔포밍하도록 구성되는, 파라볼라 안테나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반사판을 이용하여 다양한 각도의 반전력 빔폭의 빔포밍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파라볼라 안테나 시스템{PARABOLIC ANTENNA SYSTEM}
본 발명은 파라볼라 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사판, 빔포밍 안테나 및 알에프 모듈을 포함하는 파라볼라 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파라볼라 안테나(parabolic antenna)는 포물선 반사를 이용한 안테나이다. 포물선 회전체의 단면을 반사판으로 삼아 수집된 전파를 초점에 모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파바볼라 안테나는 접시와 닮은 모양새를 하고 있어서 접시 안테나라고도 한다. 파라볼라 안테나는 지향성이 커서 위성 통신과 같은 초고주파 대역의 전파를 사용하는 데 주로 쓰인다.
파라볼라 안테나는 지향성 안테나로서 점대점 통신에 주로 쓰인다. 파라볼라 안테나를 사용하는 서비스로는 도시 사이 방송 통신 신호의 마이크로웨이브 전송,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데이터 통신 전송, 및 위성 통신을 위한 위성과의 전송 등이 있다. 전파망원경 역시 파라볼라 안테나의 일종이다.
파라볼라 안테나가 사용되는 또 다른 예로는 레이다를 들 수 있다. 레이다는 직진성이 강한 협대역 전파를 발사하고, 이 전파가 목표에 부딪혀 반사되는 신호를 수집하여 목표물을 추적한다. 위성 방송 역시 수신기에 파라볼라 안테나를 사용한다.
파라볼라 안테나는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 제작이 가능하고 이득이 큰 것이 장점이나, 지향성이 예민하고 대역폭이 좁은 것이 단점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 특허 공보에 개시된, 차량용 레이더 안테나시스템이 포함하는, 포물선 형태의 면을 갖는 파라볼라 반사면은 일반적인 형태의 파라볼라 반사면으로서, 단차면에 의한 경계에 따라 틸팅 각도의 복수의 파라볼라 면이 형성되는 본 발명의 파라볼라 반사면과 구별된다.
KR 등록 특허 제10-1833038호 (2018.04.13 공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반전력 빔폭이 개선된 파라볼라 반사판을 포함하는 파라볼라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각도로 반전력 빔폭의 빔포밍이 가능한 반사판을 포함하는 파라볼라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테스트 신호의 위상 제어를 통해 반사판 상의 복수의 반사 영역 중에서 최적의 반사 영역을 채택하고, 채택된 반사 영역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파라볼라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라볼라 안테나 시스템은, 파라볼라 면(parabolic surface)을 갖는 반사판으로서, 반사판의 중심에서의 거리에 따라 단차면으로 구분되는 복수의 반사면이 형성된 반사판, 반사판을 이용하여 전파를 송신 및 수신하는 위상 어레이 빔포밍 안테나 및 위상 어레이 빔포밍 안테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안테나를 구성하는 각 엘리먼트에 입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제어하는 알에프 모듈을 포함하고, 위상 어레이 빔포밍 안테나는, 알에프 모듈에 의해 위상이 제어된 신호의 전파를 반사판을 향해 빔포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반사면은, 반사판의 중심에 형성된 제1 섹터 반사면 및 단차면을 경계로 제1 섹터 반사면에 순차로 이어지는 제2 섹터 이상의 반사면을 포함하고, 제2 섹터 이상의 반사면은, 반전력 빔폭(half power beam width, HPBW)의 복수의 반사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반사 영역은, 360도 범위에 형성된 각 섹터 반사면이 HPBW의 각도의 단위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제2 섹터 이상의 반사면은, 동일 곡률의 파라볼라 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섹터 이상의 반사면은, 파라볼라 면의 초점을 향해 중심에서의 거리에 비례하는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섹터 반사면은, 파라볼라 면의 초점을 향해 입사된 빔의 빔폭이 반전력 빔폭(half power beam width, HPBW)이 되는 크기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단차면은, 단차가 형성된 인접한 반사면을 서로 연결하는 면으로서, 반사판으로 입사되는 빔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알에프 모듈은, 위상 어레이 빔포밍 안테나의 각 엘리먼트에 입력되는 테스트 신호의 위상을 변화시켜, 순차 또는 동시로 반사판을 이용하여 테스트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되는 테스트 신호를 스캔하는 테스트를 통해, 가장 높은 수신 강도에 해당하는 반사 영역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알에프 모듈은, 송신단에서 반사판을 이용한 신호의 송신 및 수신단에서 반사판을 이용한 신호의 수신의 테스트를 통해, 수신 강도가 가장 높은 테스트의 반사 영역의 조합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 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각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반사판을 이용하여 다양한 각도의 반전력 빔폭의 빔포밍이 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반사판에 포함된 다양한 틸트 각도를 갖는 피딩 영역을 이용하여 모든 범위의 신호가 피드될 수 있다.
또한, 테스트 과정에서 채택된 섹터의 피딩 영역을 이용하여 신호가 최적으로 송신/수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라볼라 안테나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에 형성된 반사면의 파라볼라 라인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라볼라 안테나 시스템을 이용한 신호 송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라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하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라볼라 안테나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파라볼라 안테나 시스템(100)은, 파라볼라 면(parabolic surface)을 갖는 반사판(110), 복수의 엘리먼트(eliment)로 구성된 위상 어레이 빔포밍 안테나(120) 및 알에프(radio frequency, RF) 모듈(1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사판(110)은 반사판의 중심에서의 거리에 따라 단차면으로 구분되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위상 어레이 빔포밍 안테나(120)는 반사판(110)을 이용하여 전파를 송신 및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알에프 모듈(130)은 위상 어레이 빔포밍 안테나(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안테나(120)를 구성하는 각 엘리먼트에 입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위상 어레이 빔포밍 안테나(120)는, 알에프 모듈(130)에 의해 위상이 제어된 신호의 전파를 반사판(110)을 향해 빔포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사판에 형성된 반사면의 파라볼라 라인의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반사판(110)은 복수의 반사면(111, 113, 115)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는 3개의 반사면이 도시되어 있으나, 반사판(110)의 크기에 따라 3개 이하 또는 이상의 반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각 반사면은 단차면(112, 114)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반사면은 반사판의 중심에서의 거리(이하 중심 거리)에 따라 단차면(112, 114)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반사면은, 반사판(110)의 중심에 형성된 제1 섹터 반사면(111) 및 단차면을 경계로 제1 섹터 반사면(111)에 순차로 이어지는 제2 섹터 이상의 반사면(113, 115)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단차면(112, 114)은 단차가 형성된 인접한 반사면을 서로 연결하는 면에 해당한다. 단차면(112, 114)은 반사판(110)으로 입사되는 빔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단차면(112, 114)은 면적이 중심 거리에 비례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단차면(112)은 반사면(111)에 대해서 기울어진 반사면(113)을 연결해 주고, 단차면(114)은 반사면(113)에 대해서 더 기울어진 반사면(115)을 연결해 주는 기능을 한다.
반사면은, 중심의 반사면에 해당하는 제1 섹터 반사면(111), 제1 섹터 반사면(111)과 단차면(112)을 경계로 이어지는 제2 섹터 반사면(113) 및 다시 제2 섹터 반사면(113)과 단차면(114)을 경계로 이어지는 제3 섹터 반사면(115)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섹터 이상의 반사면은 반사판(110) 중심의 제1 섹터 반사면(111)을 제외한 나머지 반사면을 지칭한다.
반전력 빔폭(half power beam width, HPBW)은 안테나 복사패턴에서 볼 때 주 빔(main beam)의 최대 복사방향에 대해 이득이 -3dB가 되는 두 점 사이의 각을 의미하고, 전력상으로는 최대 복사전력의 1/2(-3dB)을 의미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제1 섹터 반사면(111)은, 파라볼라 면의 초점을 향해 입사된 빔의 빔폭이 HPBW이 되는 크기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HPBW의 각도가 30도인 경우, 제1 섹터 반사면(111)에 해당하는 index1의 방사 영역은 반사판(110)의 중심에서 30도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섹터 이상의 반사면은, 동일 곡률의 파라볼라 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제1 섹터 내지 제5 섹터에 해당하는 파라볼라 표면이 묘사되어 있다. 각 파라볼라 표면은 동일 파라미터를 갖는 파라볼라 표면에 해당하고, 틸팅 각도가 1.2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1.2도라는 각도는 HPBW의 각도 및 반사판(110)의 크기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제2 섹터 이상의 반사면은, 반전력 빔폭(half power beam width, HPBW)의 복수의 반사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HPBW의 각도가 30도인 경우 반사면(113)은, 단차면(112)이 형성된 경계에서 30도 범위에 형성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반사면(115)은, 단차면(114)이 형성된 경계에서 30도 범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복수의 반사 영역은, 360도 범위에 형성된 각 섹터 반사면이 HPBW의 각도의 단위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HPBW의 각도가 30도인 경우, 제2 섹터 반사면(113) 및 제2 섹터 반사면(115) 상의 반사 영역은 30도 단위로 구획되어 각각 8개씩, 총 16개의 방사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획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제2 섹터 이상의 반사면은, 파라볼라 면의 초점을 향해 중심에서의 거리에 비례하는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라볼라 면에서 index2 내지 index9의 반사 영역이 포함된 반사면(113)은, index2의 반사 영역 상에서 1.2도 기울어지게, index6의 반사 영역 상에서 -1.2도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라볼라 안테나 시스템을 이용한 신호 송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파라볼라 안테나 시스템을 이용한 신호 송수신 방법(S100)의 각 단계가 묘사되어 있다. 파라볼라 안테나 시스템을 이용한 신호 송수신 방법(S100)은, 테스트 신호의 위상을 제어하는 단계(S110), 위상 제어된 테스트 신호를 빔포밍하여 복수의 반사 영역에 방사하는 단계(S120), 수신된 테스트 신호를 스캐닝하는 단계(S130), 가장 높은 수신 강도에 해당하는 반사 영역을 채택하는 단계(S140) 및 해당 반사 영역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S1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라볼라 안테나 시스템(100)을 이용한 신호 송수신 방법(S100)은 신호의 송신에 또는 신호의 수신에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신호 송신에 관해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신호 수신의 실시 예는 신호 송신의 실시 예에 준하여 수행될 수 있다.
알에프 모듈(130)은, 위상 어레이 빔포밍 안테나(120)의 각 엘리먼트에 입력되는 테스트 신호의 위상을 변화시켜, 순차 또는 동시로 반사판(110)을 이용하여 테스트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되는 테스트 신호를 스캔하는 테스트를 통해, 가장 높은 수신 강도에 해당하는 반사 영역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테스트 신호의 송신은, 송신단의 알에프 모듈(130)에 의해서, 테스트 신호의 수신은 수신단에서 발생한다.
수신단은 송신단의 알에프 모듈(130)에 수신 강도가 가장 높게 측정된 테스트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송신단의 알에프 모듈(130)은 수신 강도에 관한 테스트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반사 영역을 채택하고, 해당 반사 영역을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단에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라볼라 안테나 시스템(100)을 이용한 신호 송수신 방법(S100)은 신호의 송신뿐만 아니라 신호의 수신에도 이용될 수 있다.
알에프 모듈(130)은, 송신단에서 반사판(110)을 이용한 신호의 송신 및 수신단에서 반사판(110)을 이용한 신호의 수신의 테스트를 통해, 수신 강도가 가장 높은 테스트의 반사 영역의 조합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수신단의 알에프 모듈(130)은, HPBW가 30도인 반사판(110)의 전체 17개로 구성된 반사 영역에서, 송신단의 17개의 반사 영역 및 수신단의 17개의 반사 영역을 조합하여 나올 수 있는 289개의 실험을 통해 289개의 테스트 신호를 스캐닝하고, 이들 테스트 신호 중에서 수신 강도가 가장 높은 테스트의 반사 영역의 조합, 예를 들어 송신단의 17개의 반사 영역 중에서 하나의 반사 영역과 수신단의 17개의 반사 영역 중에서 하나의 반사 영역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 및 수신된 본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의 반사판을 이용하여 다양한 각도의 반전력 빔폭의 빔포밍이 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반사판에 포함된 다양한 틸트 각도를 갖는 피딩 섹터를 이용하여 모든 범위의 신호가 피드될 수 있다.
또한, 테스트 과정에서 채택된 섹터의 피딩 영역을 이용하여 신호가 최적으로 송신/수신될 수 있다.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100: 파라볼라 안테나 시스템
110: 반사판
120: 위상 어레이 빔포밍 안테나
130: 알에프 모듈

Claims (9)

  1. 파라볼라 면(parabolic surface)을 갖는 반사판으로서, 상기 반사판의 중심에서의 거리에 따라 단차면으로 구분되는 복수의 반사면이 형성된 반사판;
    상기 반사판을 이용하여 전파를 송신 및 수신하는 위상 어레이 빔포밍 안테나; 및
    상기 위상 어레이 빔포밍 안테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를 구성하는 각 엘리먼트에 입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제어하는 알에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반사면은,
    상기 반사판의 중심에 형성된 제1 섹터 반사면; 및
    상기 단차면을 경계로 상기 제1 섹터 반사면에 순차로 이어지는 제2 섹터 이상의 반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섹터 이상의 반사면은,
    반전력 빔폭(half power beam width, HPBW)의 복수의 반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위상 어레이 빔포밍 안테나는,
    상기 알에프 모듈에 의해 위상이 제어된 신호의 전파를 상기 반사판을 향해 빔포밍하도록 구성되는,
    파라볼라 안테나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섹터 반사면은,
    상기 파라볼라 면의 초점을 향해 입사된 빔의 빔폭이 반전력 빔폭(half power beam width, HPBW)이 되는 크기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파라볼라 안테나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사 영역은,
    360도 범위에 형성된 각 섹터 반사면이 HPBW의 각도의 단위로 구획되는,
    파라볼라 안테나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섹터 이상의 반사면은,
    동일 곡률의 파라볼라 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파라볼라 안테나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섹터 이상의 반사면은,
    상기 파라볼라 면의 초점을 향해 상기 중심에서의 거리에 비례하는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파라볼라 안테나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차면은,
    단차가 형성된 인접한 반사면을 서로 연결하는 면으로서,
    상기 반사판으로 입사되는 빔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파라볼라 안테나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에프 모듈은,
    상기 위상 어레이 빔포밍 안테나의 각 엘리먼트에 입력되는 테스트 신호의 위상을 변화시켜, 순차 또는 동시로 상기 반사판을 이용하여 상기 테스트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되는 테스트 신호를 스캔하는 테스트를 통해, 가장 높은 수신 강도에 해당하는 반사 영역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파라볼라 안테나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에프 모듈은,
    송신단에서 상기 반사판을 이용한 신호의 송신 및 수신단에서 상기 반사판을 이용한 상기 신호의 수신의 테스트를 통해, 수신 강도가 가장 높은 테스트의 반사 영역의 조합을 이용하여 상기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파라볼라 안테나 시스템.
KR1020210179375A 2021-12-15 2021-12-15 파라볼라 안테나 시스템 KR102513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375A KR102513226B1 (ko) 2021-12-15 2021-12-15 파라볼라 안테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375A KR102513226B1 (ko) 2021-12-15 2021-12-15 파라볼라 안테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3226B1 true KR102513226B1 (ko) 2023-03-23

Family

ID=85799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9375A KR102513226B1 (ko) 2021-12-15 2021-12-15 파라볼라 안테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2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286B1 (ko) * 1994-09-16 1998-04-27 배순훈 위성수신용 안테나
KR20060104786A (ko) * 2005-03-31 2006-10-0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불요 복사파 억압형 안테나
KR101833038B1 (ko) 2017-09-07 2018-04-13 (주)텔트론 차량 추돌 방지를 위한 차량용 레이더 안테나시스템
KR20180047392A (ko) * 2016-10-31 2018-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286B1 (ko) * 1994-09-16 1998-04-27 배순훈 위성수신용 안테나
KR20060104786A (ko) * 2005-03-31 2006-10-0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불요 복사파 억압형 안테나
KR20180047392A (ko) * 2016-10-31 2018-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장치
KR101833038B1 (ko) 2017-09-07 2018-04-13 (주)텔트론 차량 추돌 방지를 위한 차량용 레이더 안테나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19117B1 (en) Horn antenna
US7961153B2 (en) Integrated waveguide antenna and array
US7656358B2 (en) Antenna operable at two frequency bands simultaneously
US7847749B2 (en) Integrated waveguide cavity antenna and reflector RF feed
US765635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tenna RF feed
US20150116154A1 (en) Lens antenna with electronic beam steering capabilities
US8810468B2 (en) Beam shaping of RF feed energy for reflector-based antennas
US7554505B2 (en) Integrated waveguide antenna array
EP1152484A2 (en) High performance multimode horn
US20060125706A1 (en) High performance multimode horn for communications and tracking
US10566698B2 (en) Multifocal phased array fed reflector antenna
CN113196571B (zh) 具有非对称辐射图案的双极化喇叭天线
Eom et al. Design and test of a mobile antenna system with tri-band operation for broadband satellite communications and DBS reception
CN109193154B (zh) 一种毫米波圆极化多波束平板圆柱介质透镜天线
GB2559009A (en) A frequency scanned array antenna
KR102513226B1 (ko) 파라볼라 안테나 시스템
JP2008131575A (ja) フィードホーン、衛星受信用コンバータおよび衛生受信用アンテナ
US6980170B2 (en) Co-located antenna design
US11843184B1 (en) Dual band, singular form factor, transmit and receive GNSS antenna with passively shaped antenna pattern
CN117276899B (zh) 相控阵天线和无线电通信装置
US20220037798A1 (en) Lens integrated planar programmable polarized and beamsteering antenna array
Nasr et al. Active Windshield Antenna for 5G Applications
KR100561224B1 (ko) 위상배열안테나용 복사소자
JPS61220503A (ja) ア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