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198B1 - 비대면 원격 슐런 보드 게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대면 원격 슐런 보드 게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198B1
KR102513198B1 KR1020200106740A KR20200106740A KR102513198B1 KR 102513198 B1 KR102513198 B1 KR 102513198B1 KR 1020200106740 A KR1020200106740 A KR 1020200106740A KR 20200106740 A KR20200106740 A KR 20200106740A KR 102513198 B1 KR102513198 B1 KR 102513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module
shulan
board game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6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5280A (ko
Inventor
장철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슐런코리아
장철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슐런코리아, 장철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슐런코리아
Publication of KR20220015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22Accessories; Details
    • A63F7/30Details of the playing surface, e.g. obstacles; Goal posts; Targets; Scoring or pocketing devices; Playing-body-actuated sensors, e.g. switches; Tilt indicators; Means for detecting misuse or errors
    • A63F7/305Goal posts; Winning posts for rolling-balls
    • A63F7/306Goal posts; Winning posts for rolling-balls with a score coun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6Games simulating outdoor ball games, e.g. hockey or football
    • A63F7/0664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22Accessories; Details
    • A63F7/30Details of the playing surface, e.g. obstacles; Goal posts; Targets; Scoring or pocketing devices; Playing-body-actuated sensors, e.g. switches; Tilt indicators; Means for detecting misuse or errors
    • A63F7/305Goal posts; Winning posts for rolling-balls
    • A63F7/3065Electric
    • A63F7/307Electric with a score coun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22Accessories; Details
    • A63F7/30Details of the playing surface, e.g. obstacles; Goal posts; Targets; Scoring or pocketing devices; Playing-body-actuated sensors, e.g. switches; Tilt indicators; Means for detecting misuse or errors
    • A63F7/32Apparatus for varying scoring val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비대면 원격 슐런 보드 게임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사용자에 의한 슐런 보드(Sjoelen board) 상의 슐런 보드 게임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실시간 송신하는 슐런 보드 장치; 상기 슐런 보드 장치로부터 슐런 보드 게임 상황을 실시간 수신하여 원격 모니터링하는 슐런 보드 게임 서버를 구성하고, 상기 슐런 보드 장치는, 퍽(puck)의 감지에 따른 스코어링(scoring)을 수행하여 실시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비대면 원격 슐런 보드 게임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자동으로 스코어링이 되는 슐런 보드 장치를 이용하여 원격지의 여러 사용자가 비대면으로 슐런 보드 게임을 개인전 또는 단체전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원격 비대면 슐런 보드 게임 대회에 참가하고 이를 운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대면 원격 슐런 보드 게임 시스템 및 방법{NON-FACE-TO-FACE REMOTE SJOELEN BOARD GAME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비대면 원격 슐런 보드 게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비대면 원격 슐런 보드 게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슐런 보드 게임(Sjoelen board game)은 나무 보드 상에서 30개의 퍽(puck)을 4개의 관문에 각각 넣어 점수를 내는 스포츠이다. 각 관문은 2점, 3점, 4점, 1점을 낼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퍽이 관문에서 다시 튀어 나오면 점수를 차감한다. 이러한 슐런 보드 게임은 국제적인 대회로서 개최되기도 하는데, 코로나 등의 영향으로 많은 사람들이 모여 게임을 진행하기에는 문제점이 많은 상황이다.
등록특허공보 10-1697655 또는 등록특허공보 10-2003586의 슐런 보드는 슐런 보드 게임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센서를 통해 퍽의 관문 통과를 감지하고 스코어링(scoring)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여전히 각각의 개인들이 슐런 보드 게임을 하는 것에 국한되어 있고, 각종 대회의 개인전이나 단체전에서의 대회 진행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또한, 국내나 해외의 원격지의 선수 간에 비대면 게임을 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697655 등록특허공보 10-2003586
본 발명의 목적은 비대면 원격 슐런 보드 게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대면 원격 슐런 보드 게임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비대면 원격 슐런 보드 게임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한 슐런 보드(Sjoelen board) 상의 슐런 보드 게임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실시간 송신하는 슐런 보드 장치; 상기 슐런 보드 장치로부터 슐런 보드 게임 상황을 실시간 수신하여 원격 모니터링하는 슐런 보드 게임 서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슐런 보드 장치는, 퍽(puck)의 감지에 따른 스코어링(scoring)을 수행하여 실시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비대면 원격 슐런 보드 게임 방법은, 슐런 보드 장치가 사용자에 의한 슐런 보드(Sjoelen board) 상의 슐런 보드 게임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슐런 보드 장치가 상기 실시간 모니터링되는 슐런 보드 게임 상황을 슐런 보드 게임 서버로 실시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슐런 보드 게임 서버가 상기 슐런 보드 장치로부터 슐런 보드 게임 상황을 실시간 수신하여 원격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슐런 보드 장치가 사용자에 의한 슐런 보드(Sjoelen board) 상의 슐런 보드 게임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슐런 보드 장치가 퍽(puck)의 감지에 따른 스코어링(scoring)을 수행하여 실시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비대면 원격 슐런 보드 게임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자동으로 스코어링이 되는 슐런 보드 장치를 이용하여 원격지의 여러 사용자가 비대면으로 슐런 보드 게임을 개인전 또는 단체전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원격 비대면 슐런 보드 게임 대회에 참가하고 이를 운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원격 슐런 보드 게임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원격 슐런 보드 게임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원격 슐런 보드 게임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원격 슐런 보드 게임 시스템은 슐런 보드 장치(100) 및 슐런 보드 게임 서버(2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슐런 보드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한 슐런 보드(10) 상의 슐런 보드 게임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슐런 보드 장치(100)는 선수 ID 확인 모듈(101), 게임 진행 제어 모듈(102), 시점 센서 모듈(103), 관문 센서 모듈(104), 스코어링 모듈(105), 카메라 모듈(106), 터치스크린(107), 장치 통신 모듈(108), 동영상 송수신 모듈(109)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선수 ID 확인 모듈(101)은 선수 ID 카드(2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수 ID를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수 ID 확인 모듈(101)은 RFID를 이용한 선수 ID 확인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임 진행 제어 모듈(102)은 선수 ID 확인 모듈(101)에서 선수 ID가 확인된 사용자의 슐런 보드 게임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슐런 보드 게임 서버(200)를 통해 상대 선수와의 비대면 원격 슐런 보드 게임 상황을 제어하고 실시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슐런 보드 게임 상황은 사용자의 스코어, 파울, 남은 시간 등을 나타내며, 비대면 원격 슐런 보드 게임 상황은 개인전 또는 단체전에서의 팀 선수나 상대 선수와의 게임 진행 상황을 의미한다.
시점 센서 모듈(103)은 슐런 보드(20) 상에서 퍽(puck)의 시점 상태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점 센서 모듈(103)은 퍽의 전진 상태, 후진 상태, 사용한 퍽의 수, 파울 수 등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시점 센서 모듈(103)은 도 2에서 보듯이 N개의 전자 센서가 1열을 구성하는 M열로 구성되는 구조이다. 각 열은 1개 또는 여러 개의 전자 센서가 1개의 퍽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열에 있는 전자 센서는 퍽이 감지되는 순서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퍽의 전진 상태, 후진 상태, 사용한 퍽의 수, 파울 수 등이 파악될 수 있다.
시점 센서 모듈(103)에는 슐런 보드(20)의 시작 위치에 구비되며, 광 반사 센서(reflective optical sensor), 레이저 센서(laser sensor), 적외선 센서(infrared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일종의 광반사를 이용한 거리 측정 센서(time of flight sensor)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시점 센서 모듈(103)의 배치 방식은 도 3에서 보듯이 바닥면(상판) 단면 배치형, 바닥면과 상판 배치형, 좌우측 양면 배치형, 좌측 또는 우측 단면 배치형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센서의 종류에 따라 배치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바닥면(상판) 단면 배치형은 슐런 보드(10)의 바닥면(상판)에 센서에 맞는 구멍을 뚫어 센서를 부착하도록 구성되며, 빛을 이용한 센서는 발광부와 수광부가 분리되어 구성되어 퍽에서 반사되는 빛의 세기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초음파 센서는 일정한 간격으로 높은 주파수 사운드 펄스를 이용해 짧게 소리를 출력하고 퍽에 충돌하면 센서에 에코 신호로 반사되는 시간과 기간을 통해 퍽까지의 거리를 산정하도록 구성된다. 퍽이 센서를 통과하는 시점에서 퍽에서 반사되는 빛 또는 초음파 강도를 이용하여 퍽과 센서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퍽의 통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퍽이 센서를 통과하는 시점에서 퍽에서 반사되는 빛 또는 초음파의 존재 여부를 이용하여 퍽의 통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퍽이 센서를 통과하는 빛의 밝기를 감지하여 퍽의 통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센서 바닥면과 센서 상판 배치형에서는 슐런 보드(10)의 상판(바닥면)에서 빛 또는 초음파를 쏘고 바닥면(상판)에서 퍽이 센서를 통과하는 순간에 빛 또는 초음파 존재 여부 및 강도를 감지하여 퍽의 통과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좌우측 양면 배치형은 슐런 보드(10)의 좌(우)측면에 발광부를 장착하고 우(좌)측면에 수광부를 장착하며, 슐런 보드(10)의 좌(우)측면에 빛 또는 초음파를 쏘고 우(좌)측면에 퍽이 슐런 바닥면을 통과하는 순간에 빛 또는 초음파 존재 여부 및 강도를 감지하여 퍽의 통과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된다.
좌측 또는 우측 단면 배치형에서는 슐런 보드(1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 한쪽에 발광부(초음파 출력부)와 수광부(초음파 수신부)를 가진 센서를 부착하고 발광부(초음파 출력부)는 빛 또는 초음파를 쏘고 바닥면을 통과하는 퍽에 반사되는 빛(초음파)를 감지하여 퍽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관문 센서 모듈(104)은 슐런 보드(20) 상에서 퍽의 관문 통과 상태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코어링 모듈(105)은 시점 센서 모듈(103) 및 관문 센서 모듈(104)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슐런 보드 게임에 대한 스코어링(scoring)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6)은 사용자 및 슐런 보드 상의 슐런 보드 게임 동영상을 실시간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7)은 상대 선수와의 비대면 원격 슐런 보드 게임 상황을 실시간 표시하고, 카메라 모듈(106)에서 실시간 촬영되는 슐런 보드 게임 동영상을 실시간 표시하고, 상대 선수의 슐런 보드 게임 동영상을 실시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 통신 모듈(108)은 사용자의 슐런 보드 게임 상황을 슐런 보드 게임 서버(200)로 실시간 송신하고, 슐런 보드 게임 서버(200)를 통해 상대 선수와의 비대면 원격 슐런 보드 게임 상황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영상 송수신 모듈(109)은 동영상 송수신 모듈(109)로부터 슐런 보드 게임 동영상을 슐런 보드 게임 서버(200)로 실시간 송신하고, 상대 선수의 슐런 보드 게임 동영상을 실시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슐런 보드 게임 서버(200)는 슐런 보드 장치(100)로부터 슐런 보드 게임 상황을 실시간 수신하여 원격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슐런 보드 게임 서버(200)는 서버 통신 모듈(201), 선수 등록 모듈(202), 선수 게시 모듈(203), 개인전 제어 모듈(204), 단체전 제어 모듈(205), 대진표 생성 모듈(206), 대진표 게시 모듈(207), 게임 진행 원격 제어 모듈(208), 동영상 중계 모듈(209), 슐런 보드 게임 대회 상황 게시 모듈(21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서버 통신 모듈(201)은 슐런 보드 장치(100)의 장치 통신 모듈(108)로부터 사용자의 슐런 보드 게임 상황을 실시간 수신하고, 상대 선수와의 비대면 원격 슐런 보드 게임 상황을 슐런 보드 장치(100)의 장치 통신 모듈(108)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수 등록 모듈(202)은 슐런 보드 장치(100)의 선수 ID 확인 모듈(101)에서 확인된 선수 ID를 서버 통신 모듈(201)을 통해 수신하여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수 게시 모듈(203)은 선수 등록 모듈(202)에서 등록된 선수 ID의 사용자를 온라인 상에 게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인전 제어 모듈(204)은 선수 등록 모듈(202)에서 등록된 사용자의 개인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체전 제어 모듈(205)은 선수 등록 모듈(202)에서 등록된 사용자의 단체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진표 생성 모듈(206)은 개인전 제어 모듈(204) 또는 단체전 제어 모듈(205)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대진표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진표 게시 모듈(207)은 대진표 생성 모듈(206)에서 생성된 대진표를 온라인 상에 게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임 진행 원격 제어 모듈(208)은 슐런 보드 장치(100)의 장치 통신 모듈(108)로부터 사용자의 슐런 보드 게임 상황을 실시간 수신하여 상대 선수와의 비대면 원격 슐런 보드 게임을 진행하고, 비대면 원격 슐런 보드 게임 상황을 해당 슐런 보드 장치(100)의 장치 통신 모듈(108)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영상 중계 모듈(209)은 상대 선수의 슐런 보드 장치(100)로부터 슐런 보드 게임 동영상을 실시간 수신하여 사용자의 슐런 보드 게임 장치(100)로 실시간 중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슐런 보드 게임 대회 상황 게시 모듈(210)은 게임 진행 원격 제어 모듈(208)에서 진행되는 비대면 원격 슐런 보드 게임 상황에 따라 개인전 또는 단체전의 슐런 보드 게임 대회 상황을 온라인 상에 게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원격 슐런 보드 게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슐런 보드 장치(100)가 사용자에 의한 슐런 보드(Sjoelen board)(10) 상의 슐런 보드 게임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한다(S101).
여기서, 슐런 보드 장치(100)가 퍽(puck)의 감지에 따른 스코어링(scoring)을 수행하여 실시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슐런 보드 장치(100)가 실시간 모니터링되는 슐런 보드 게임 상황을 슐런 보드 게임 서버(200)로 실시간 송신한다(S102).
다음으로, 슐런 보드 게임 서버(200)가 슐런 보드 장치(100)로부터 슐런 보드 게임 상황을 실시간 수신하여 원격 모니터링한다(S103).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슐런 보드 장치
101: 선수 ID 확인 모듈
102: 게임 진행 제어 모듈
103: 시점 센서 모듈
104: 관문 센서 모듈
105: 스코어링 모듈
106: 카메라 모듈
107: 터치스크린
108: 장치 통신 모듈
109: 동영상 송수신 모듈
200: 슐런 보드 게임 서버
201: 서버 통신 모듈
202: 선수 등록 모듈
203: 선수 게시 모듈
204: 개인전 제어 모듈
205: 단체전 제어 모듈
206: 대진표 생성 모듈
207: 대진표 게시 모듈
208: 게임 진행 원격 제어 모듈
209: 동영상 중계 모듈
210: 슐런 보드 게임 대회 상황 게시 모듈

Claims (4)

  1. 사용자에 의한 슐런 보드 상의 슐런 보드 게임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실시간 송신하는 슐런 보드 장치;
    상기 슐런 보드 장치로부터 슐런 보드 게임 상황을 실시간 수신하여 원격 모니터링하는 슐런 보드 게임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슐런 보드 장치는,
    선수 ID 카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선수 ID를 확인하는 선수 ID 확인 모듈;
    상기 선수 ID 확인 모듈에서 선수 ID가 확인된 사용자의 슐런 보드 게임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상기 슐런 보드 게임 서버를 통해 상대 선수와의 비대면 원격 슐런 보드 게임 상황을 제어하고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게임 진행 제어 모듈;
    상기 슐런 보드 상에서 퍽(puck)의 시점 상태를 감지하는 시점 센서 모듈;
    상기 슐런 보드 상에서 퍽의 관문 통과 상태를 감지하는 관문 센서 모듈;
    상기 시점 센서 모듈 및 상기 관문 센서 모듈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슐런 보드 게임에 대한 스코어링(scoring)을 수행하는 스코어링 모듈;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슐런 보드 상의 슐런 보드 게임 동영상을 실시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상대 선수와의 비대면 원격 슐런 보드 게임 상황을 실시간 표시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실시간 촬영되는 슐런 보드 게임 동영상을 실시간 표시하고, 상대 선수의 슐런 보드 게임 동영상을 실시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사용자의 슐런 보드 게임 상황을 상기 슐런 보드 게임 서버로 실시간 송신하고, 상기 슐런 보드 게임 서버를 통해 상대 선수와의 비대면 원격 슐런 보드 게임 상황을 수신하는 장치 통신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실시간 촬영된 슐런 보드 게임 동영상을 상기 슐런 보드 게임 서버로 실시간 송신하고, 상대 선수의 슐런 보드 게임 동영상을 실시간 수신하는 동영상 송수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슐런 보드 게임 서버는,
    상기 슐런 보드 장치의 장치 통신 모듈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슐런 보드 게임 상황을 실시간 수신하고, 상대 선수와의 비대면 원격 슐런 보드 게임 상황을 상기 슐런 보드 장치의 장치 통신 모듈로 실시간 송신하는 서버 통신 모듈;
    상기 슐런 보드 장치의 선수 ID 확인 모듈에서 확인된 선수 ID를 상기 서버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여 등록하는 선수 등록 모듈;
    상기 선수 등록 모듈에서 등록된 선수 ID의 사용자를 온라인 상에 게시하는 선수 게시 모듈;
    상기 선수 등록 모듈에서 등록된 사용자의 개인전을 제어하는 개인전 제어 모듈;
    상기 선수 등록 모듈에서 등록된 사용자의 단체전을 제어하는 단체전 제어 모듈;
    상기 개인전 제어 모듈 또는 상기 단체전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간의 대진표를 생성하는 대진표 생성 모듈;
    상기 대진표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대진표를 온라인 상에 게시하는 대진표 게시 모듈;
    상기 슐런 보드 장치의 장치 통신 모듈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슐런 보드 게임 상황을 실시간 수신하여 상대 선수와의 비대면 원격 슐런 보드 게임을 진행하고, 상기 비대면 원격 슐런 보드 게임 상황을 해당 슐런 보드 장치의 장치 통신 모듈로 실시간 송신하는 게임 진행 원격 제어 모듈;
    상기 상대 선수의 슐런 보드 장치로부터 슐런 보드 게임 동영상을 실시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슐런 보드 게임 장치로 실시간 중계하는 동영상 중계 모듈;
    상기 게임 진행 원격 제어 모듈에서 진행되는 비대면 원격 슐런 보드 게임 상황에 따라 개인전 또는 단체전의 슐런 보드 게임 대회 상황을 온라인 상에 게시하는 슐런 보드 게임 대회 상황 게시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시점 센서 모듈은,
    상기 퍽의 전진 상태, 후진 상태, 사용한 퍽의 수 및 파울 수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시점 센서 모듈은,
    N개의 전자 센서가 1열을 구성하는 M열로 구성되며, 각 열은 다수의 전자 센서가 상기 퍽이 감지되는 순서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을 파악하여 상기 퍽의 전진 상태, 후진 상태, 사용한 퍽의 수 및 파울 수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시점 센서 모듈은,
    상기 전자 센서가 배치되는 상기 슐런 보드의 내측면에 따라 상판 단면 배치형, 바닥면 단면 배치형, 상판/바닥면 양면 배치형, 좌측 단면 배치형, 우측 단면 배치형 및 좌우측 양면 배치형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전자 센서는,
    광 반사 센서(reflective optical sensor), 레이저 센서(laser sensor), 적외선 센서(infrared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및 광반사를 이용한 거리 측정 센서(time of flight sensor)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전자 센서는,
    상기 슐런 보드의 내측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슐런 보드의 내측면에 공간을 형성하여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광 반사 센서는,
    상기 상판 단면 배치형 또는 상기 바닥면 단면 배치형으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슐런 보드의 상판 또는 바닥면에서 빛을 출력하고, 상기 광 반사가 설치된 바닥면 또는 상판을 퍽이 지나가는 순간에 퍽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존재 여부 및 강도를 감지하여 상기 퍽이 해당 바닥면 또는 상판의 광 반사 센서를 지나가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초음파 센서는,
    상기 상판 단면 배치형 또는 상기 바닥면 단면 배치형으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슐런 보드의 상판 또는 바닥면에서 초음파를 출력하고, 상기 초음파 센서가 설치된 바닥면 또는 상판을 퍽이 지나가는 순간에 퍽으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의 존재 여부 및 강도를 감지하여 상기 퍽이 해당 바닥면 또는 상판의 초음파 센서를 지나가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광 반사 센서는,
    상기 좌우측 양면 배치형으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슐런 보드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각각 발광부 및 수광부가 쌍으로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력된 빛이 상기 수광부에 도달하는지 여부 및 강도를 감지하여 상기 퍽이 해당 광 반사 센서를 지나가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초음파 센서는,
    상기 좌우측 양면 배치형으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슐런 보드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각각 발광부 및 수광부가 쌍으로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력된 초음파가 상기 수광부에 도달하는지 여부 및 강도를 감지하여 상기 퍽이 해당 초음파 센서를 지나가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원격 슐런 보드 게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106740A 2020-07-30 2020-08-25 비대면 원격 슐런 보드 게임 시스템 및 방법 KR1025131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093 2020-07-30
KR20200095093 2020-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280A KR20220015280A (ko) 2022-02-08
KR102513198B1 true KR102513198B1 (ko) 2023-03-23

Family

ID=80251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740A KR102513198B1 (ko) 2020-07-30 2020-08-25 비대면 원격 슐런 보드 게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1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13357A1 (en) 2013-01-25 2014-07-31 Brian Claffey Electronic tabletop virtual sports gaming system
US20180111041A1 (en) 2016-10-26 2018-04-26 Steve Bress Systems and Methods for Non-Synchronous Cooperative and Competitive Play on Multiple Connected Pinball Machines
WO2018127677A1 (en) 2017-01-05 2018-07-12 Flight Path Ip Limited Shuffleboard scor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586A (ko) 2001-06-26 2003-01-0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KR20140088286A (ko) * 2012-12-31 2014-07-10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Nui 장치를 이용한 온라인 게이트볼 게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697655B1 (ko) 2015-02-06 2017-01-18 장상순 슐런게임 스코어링 시스템
KR102103645B1 (ko) * 2018-08-31 2020-04-22 장철운 슐런게임 스코어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13357A1 (en) 2013-01-25 2014-07-31 Brian Claffey Electronic tabletop virtual sports gaming system
US20180111041A1 (en) 2016-10-26 2018-04-26 Steve Bress Systems and Methods for Non-Synchronous Cooperative and Competitive Play on Multiple Connected Pinball Machines
WO2018127677A1 (en) 2017-01-05 2018-07-12 Flight Path Ip Limited Shuffleboard scor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280A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51074B (zh) 运动器材
TWI565505B (zh) 不受時間和空間限制模擬棒球比賽裝置
US6389368B1 (en) Basketball goal sensor for detecting shots attempted and made
KR101239527B1 (ko) Led 광 센서가 구비된 야구 타격 및 피칭 연습시스템
KR101494308B1 (ko) 적외선센서바와 카메라를 이용한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WO2008085906A3 (en) Toy laser gun and laser target system priority claim
US9873031B2 (en) Smart target system for combat fitness and competition training
EP3075424B1 (en) Dart game device and dart game method providing betting mod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102464170B1 (ko) 테니스 자율 훈련 시스템
CN116234613A (zh) 交互式篮球系统
KR102513198B1 (ko) 비대면 원격 슐런 보드 게임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95312A (ko) 전자 경기 네트워크 시스템, 전자 경기 방법, 서버 및그것을 동작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US20070265070A1 (en) Laser Controller
US7102119B1 (en) Ball bounce game using electromagnetic beams
KR101435506B1 (ko) 타격 훈련 코칭 로봇 및 그의 제어 방법
US9302180B2 (en) Laser maze
KR20150109614A (ko) 적외선센서바를 이용한 투수용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KR101690008B1 (ko) 거리에 따른 점수를 산출하는 다트 시스템, 다트 게임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08159664B (zh) 一种训练用的网球拍
US7744479B2 (en) Golf practice game apparatus with sensors
US20140094231A1 (en) Standard and method for quick draw contest simulation
KR100626253B1 (ko) 전자 경기 시스템, 전자 경기 방법,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KR200261712Y1 (ko) 골프연습시뮬레이팅 장치
JPH07100085B2 (ja) 射的ゲーム装置
FR3098411A1 (fr) Dispositif ludique et d’entrainement sporti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