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018B1 - 동기화 신호 블록 전송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동기화 신호 블록 전송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018B1
KR102513018B1 KR1020207027863A KR20207027863A KR102513018B1 KR 102513018 B1 KR102513018 B1 KR 102513018B1 KR 1020207027863 A KR1020207027863 A KR 1020207027863A KR 20207027863 A KR20207027863 A KR 20207027863A KR 102513018 B1 KR102513018 B1 KR 102513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sb
time window
time
window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7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5966A (ko
Inventor
하이 당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35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6Involving periods of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04L5/0082Timing of alloc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carrier sensing, e.g. as in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04W28/0908Management thereof based on time, e.g. for a critical period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동기화 신호 블록 전송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그 중에서 방법에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 상에서 SSB를 전송하여야 할 때,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키며; 증가 후의 타임 윈도우를 기반으로 SSB의 전송을 진행하는 것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발명을 사용하면 SSB의 전송 성공률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동기화 신호 블록 전송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기화 신호 블록 전송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5G 시스템에서, 주 동기화 신호(PSS,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보조 동기화 신호(SSS,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와 물리 방송 채널(PBCH, Physical Broadcast Channel)이 공동으로 동기화 신호 블록(SSB, 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을 구성한다.
SSB는 주기적 전송을 사용하고, SSB 전송 주기 내에서, SSB는 5ms의 전송 윈도우 내에 제한되고, 최대로 전송할 수 있는 SSB 수량이 L이고, 작동 주파수 대역이 다름에 따라, L의 값도 다르다. 예를 들면, 3GHz 이하인 작동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L의 값은 4이고, 3GHz~6GHz의 작동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L의 값은 8이며, 6GHz~52.6GHz의 작동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L의 값은 64이다.
5ms의 전송 윈도우 내에서, 서로 다른 서브 캐리어 간격(SCS, Subcarrier Spacing) 및 서로 다른 작동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SSB의 슬롯 분포도 다르다. 도 1은 종래의 서로 다른 서브 캐리어 간격 및 서로 다른 작동 주파수 대역 하의 SSB의 슬롯 분포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캐리어 간격이 각각 15KHz와 30KHz이고, L이 각각 4와 8일 때의 슬롯의 분포 상황을 도시하고 있고, 서브 캐리어 간격이 15KHz, L=4인 것을 예로 들면, 이 4개 SSB는 2ms 내에 분포되고, 각 1ms 내에 최대로 2개의 SSB가 분포된다.
상응하게, 도 2는 종래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각각 15KHz와 30KHz일 때 하나의 슬롯 내의 SSB 후보 전송 위치 분포 도면이다.
현재의 5G NR 기술에서, 비면허(unlicensed) 주파수 대역 상에서, 캐리어 감지 다중 접속/충돌 탐지 방법(CSMA/C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ion) 및 캐리어 감지 다중 접속/충돌 회피 방법(CSMA/C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을 사용할 수 있고, 송신 노드는 신호 송신 전에 말하기 전에 듣기(LBT, Listen Before Talk)의 매커니즘을 이용하여 채널 감지를 진행하여 채널이 아이들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 만일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로 신호를 송신하여야 한다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캐리어에 대하여 모니터링을 진행하여야 하고, 구체적으로 구현할 때, 네트워크 장치는 모니터링 전 먼저 난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난수에 대응되는 시간 범위 내에서, 줄곧 캐리어가 아이들 상태인 것을 모니터링하면, 신호를 송신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장치가 신호를 송신하기 전의 하나의 사전 설정된 시간 길이의 타임 윈도우 내에서 캐리어 모니터링을 진행하여, 만일 해당 타임 윈도우 내에서 캐리어가 아이들 상태인 것을 모니터링하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LBT의 매커니즘을 기반으로, 하나의 SSB 전송 주기 내의 5ms 전송 윈도우 내에서, 만일 네트워크 장치가 SSB를 송신하기 전 캐리어가 아이들 상태인 것을 모니터링하지 못하면, SSB는 송신에 성공할 수 없어, SSB의 전송 성공률을 낮추게 된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동기화 신호 블록 전송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구체적인 기술방안은 하기와 같다.
동기화 신호 블록 전송 방법에 있어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 상에서 SSB를 전송하여야 할 때, 상기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키며;
증가 후의 타임 윈도우를 기반으로 SSB의 전송을 진행하는 것이 포함된다.
동기화 신호 블록 전송 방법에 있어서,
단말은 네트워크 측이 증가한 후의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기반으로, SSB의 수신을 진행하는 것이 포함된다.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확장 유닛과 전송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확장 유닛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상에서 SSB를 전송하여야 할 때, 상기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키며;
상기 전송 유닛은, 증가 후의 타임 윈도우를 기반으로 SSB의 전송을 진행한다.
단말 장치에 있어서, 수신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수신 유닛은 네트워크 측이 증가한 후의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기반으로, SSB의 수신을 진행한다.
컴퓨터 장치에 있어서, 기억장치, 프로세서 및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되고 또한 상기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포함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상기 방법을 구현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여기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 상기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소개를 기반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방안을 사용하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 상에서 SSB를 전송하여야 할 때, 우선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키고, 그 후 증가 후의 타임 윈도우를 기반으로 SSB의 전송을 진행할 수 있으며,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키는 것을 통하여, SSB의 전송 기회를 증가하고, 나아가 SSB의 전송 성공률 등을 향상시킨다.
도 1은 종래의 서로 다른 서브 캐리어 간격 및 서로 다른 작동 주파수 대역 하의 SSB의 슬롯 분포 예시적 도면.
도 2는 종래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각각 15KHz와 30KHz일 때 하나의 슬롯 내의 SSB 후보 전송 위치 분포의 예시적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SSB 전송 방법 실시예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상기 제1 SSB 전송 윈도우와 제2 SSB 전송 윈도우의 예시적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상기 제1 타임 윈도우와 제2 타임 윈도우의 예시적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장치 실시예의 구성 구조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단말 장치 실시예의 구성 구조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 컴퓨터 시스템/서버(12)의 블록도.
본 발명의 기술방안을 더욱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이해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또한 실시예를 예로 들면, 본 발명의 상기 방안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기재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모든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당업계의 기술자들이 창조성적인 노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취득한 모든 기타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SSB 전송 방법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방식을 포함한다.
301에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 상에서 SSB를 전송하여야 할 때, 상기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킨다.
302에서, 증가 후의 타임 윈도우를 기반으로 SSB의 전송을 진행한다.
상기 실시예의 실행 주체는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증가하는 것을 통하여, SSB의 전송 기회를 증가하여, 종래 기술에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 상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SSB를 송신하기 전에 캐리어 모니터링을 진행하여야 하여 초래되는 하나의 SSB 전송 주기 내의 SSB를 성공적으로 전송할 수 없던 문제를 해결하거나 완화시키고, SSB의 전송 성공률 등을 향상시켰다.
본 실시예에서 두 가지 구체적인 구현 방식을 제공하였는 바, 아래 각각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A) 방식1
원래의 사전 결정된 시간 길이의 제1 SSB 전송 윈도우의 기초 상에서, 같은 시간 길이의 하나의 제2 SSB 전송 윈도우를 증가시킨다.
원래의 사전 결정된 시간 길이의 제1 SSB 전송 윈도우는 바로 종래의 5ms의 SSB 전송 윈도우고, 종래의 5ms의 SSB 전송 윈도우의 기초 상에서, 추가로 한 5ms의 전송 윈도우를 증가시킬 수 있다. 편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종래의 5ms의 SSB 전송 윈도우를 제1 SSB 전송 윈도우라 칭하고, 5ms를 증가시킨 SSB 전송 윈도우를 제2 SSB 전송 윈도우라 칭한다.
그 중에서, 제1 SSB 전송 윈도우와 제2 SSB 전송 윈도우가 동일한 무선 프레임 중에 위치하고, 또한 각각 해당 무선 프레임 중의 서로 다른 하프 프레임에 위치할 수 있다.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제1 SSB 전송 윈도우는 무선 프레임 중의 앞 하프 프레임 또는 뒤 하프 프레임에 위치할 수 있고, 만일 제1 SSB 전송 윈도우가 앞 하프 프레임에 위치하면, 제2 SSB 전송 윈도우는 뒤 하프 프레임에 위치할 수 있고, 만일 제1 SSB 전송 윈도우가 뒤 하프 프레임에 위치하면, 제2 SSB 전송 윈도우는 앞 하프 프레임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제1 SSB 전송 윈도우와 제2 SSB 전송 윈도우가 인접된 두 무선 프레임 중에 위치하고, 또한 인접된 두 개의 하프 프레임에 위치한다.
예를 들면, 제1 SSB 전송 윈도우와 제2 SSB 전송 윈도우가 각각 무선 프레임 a와 무선 프레임 a'에 위치하고, 무선 프레임 a와 무선 프레임 a'는 인접된 무선 프레임이며, 제1 SSB 전송 윈도우가 무선 프레임 a 중의 뒤 하프 프레임에 위치하고, 제2 SSB 전송 윈도우가 무선 프레임 a' 중의 앞 하프 프레임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SSB 전송 윈도우 및 제2 SSB 전송 윈도우에 출현되는 같은 번호가 구비된 SSB의 하프 프레임 지시가 다르고, 기타 지사가 모두 같은 것이다.
그리고, 제1 SSB 전송 윈도우와 제2 SSB 전송 윈도우 내의 SSB 후보 전송 위치 분포가 일치하며, 및/또는 제1 SSB 전송 윈도우와 제2 SSB 전송 윈도우 내의 SSB 실제 전송 위치 분포가 일치하다. 다시 말하면, 제1 SSB 전송 윈도우와 제2 SSB 전송 윈도우 내의 SSB 후보 전송 위치 분포가 일치하거나, 또는 제1 SSB 전송 윈도우와 제2 SSB 전송 윈도우 내의 SSB 실제 전송 위치 분포가 일치하거나, 또는 제1 SSB 전송 윈도우와 제2 SSB 전송 윈도우 내의 SSB 후보 전송 위치 분포가 일치하거나, 또한 제1 SSB 전송 윈도우와 제2 SSB 전송 윈도우 내의 SSB 실제 전송 위치 분포가 일치한 바, 즉 제2 SSB 전송 윈도우와 제1 SSB 전송 윈도우가 완전하게 일치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L은 하나의 SSB 전송 주기 내에서 최대로 전송할 수 있는 SSB 수량이고, SSB 후보 전송 위치는 L에 따라 설정된 것이지만, 실제 응용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SSB 수량이 L보다 작을 수 있고, 그러므로 SSB 후선 전송 위치 중에서 일부를 선택하여 SSB 실제 전송 위치로 삼하여야 하는 바, 어떻게 선택할 것인가 하는 것은 종래 기술이다.
종래 기술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RMSI,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 또는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신호를 통하여 SSB 실제 전송 위치를 단말로 통지하여, 단말은 네트워크 장치가 어느 위치에서 SSB를 전송할 것인지 취득하도록 하여, 상응한 처리 등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며, 분포가 일치하기 때문에, 단말은 네트워크 장치가 통지하는 제1 SSB 전송 윈도우 내의 SSB 실제 전송 위치를 기반으로 증가된 제2 SSB 전송 윈도우 내의 SSB 실제 전송 위치를 취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상기 제1 SSB 전송 윈도우와 제2 SSB 전송 윈도우의 예시적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주파수 대역이 3GHz~6GHz, 서브 캐리어 간격이 15KHz, L=8이라고 가정하고, 또한 제1 SSB 전송 윈도우가 하나의 무선 프레임의 앞 하프 프레임에 위치한다고 가정하면, 제2 SSB 전송 윈도우는 해당 무선 프레임의 뒤 하프 프레임에 위치하고, 또한 제2 SSB 전송 윈도우와 제1 SSB 전송 윈도우 내의 SSB 후보 전송 위치 분포 및 SSB 실제 전송 위치 분포가 모두 일치하다.
네트워크 장치는 종래의 말하기 전에 듣기(LBT) 매커니즘에 의하여, 증가 후의 타임 윈도우를 기반으로 SSB의 전송을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우선 제1 SSB 전송 윈도우 내의 SSB 실제 전송 위치에서 송신 시도를 진행하는 바, 전송하고자 하는 SSB가 2개로써, 각각 SSB1과 SSB2이고, 그 중에서 SSB1을 성공적으로 전송하고, SSB2를 성공적으로 전송하지 못하였다고 가정하면, 계속하여 제2 SSB 전송 윈도우 내의 SSB 실제 전송 위치에서 송신 시도를 진행한다. 예를 들면, SSB2에 대응되는 SSB 실제 전송 위치에서, SSB2에 대하여 송신 시도를 진행하거나, 또는 각각 SSB1과 SSB2에 대응되는 SSB 실제 전송 위치에서, 각각 SSB1과 SSB2에 대하여 송신 시도를 진행할 수 있는 바, 구체적은 구현 방식은 제한되지 않는다. 이로써, 각 SSB로 말하면, 모두 한 배의 전송 기회가 증가되어, SSB의 전송 성공률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키기 전, 네트워크 장치는 또한 우선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켜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여, 만일 "예"라면,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킨다.
네트워크 장치는 또한 결정 결과를 단말로 통지하여야 하는 바, 예를 들면 방송 정보를 통하여 단말로 통지한다. 만일 결정 결과가 "예"라면, 단말이 증가 후의 타임 윈도우를 기반으로 SSB의 수신을 진행할 수 있고, 만일 결정 결과가 "아니요"라면, 단말이 원래의 타임 윈도우를 기반으로 SSB의 수신을 진행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셀 탐지, 셀 시간-주파수 동기화, 셀 측정 등을 진행한다.
네트워크 장치는 현재의 채널 부하 상황에 의하여,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켜야 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장치는 일정한 시간의 채널 모니터링 상황에 의하여, 해당 시간대의 채널 모니터링의 성공률이 비교적 높다는 것을 취득하면, 캐리어 상의 시스템 부하가 비교적 낮다고 판단하여, 제2 SSB 전송 윈도우를 증가시키지 않을 수 있고, 반대로, 만일 해당 시간대의 채널 모니터링의 성공률이 비교적 낮다면, 캐리어 상의 시스템 부하가 비교적 높다고 판단하여, 제2 SSB 전송 윈도우를 증가시킬 수 있다.
B) 방식2
원래의 사전 결정된 시간 길이의 제1 SSB 전송 윈도우 내에서,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킨다.
원래의 사전 결정된 시간 길이의 제1 SSB 전송 윈도우는 바로 종래의 5ms의 SSB 전송 윈도우이고, 제1 SSB 전송 윈도우 내에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1 SSB 전송 윈도우 내에서, SSB는 플로팅(floating)의 전송 방식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만일 SSB 후보 전송 위치가 차지한 제1 타임 윈도우의 시간 길이가 제1 SSB 전송 윈도우의 시간 길이의 1/2보다 작거나 같다면, 제1 타임 윈도우 뒤에 제1 타임 윈도우의 시간 길이와 같은 하나의 제2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2 타임 윈도우와 제1 타임 윈도우 내의 SSB 후보 전송 위치 분포가 일치하며, 및/또는 제2 타임 윈도우와 제1 타임 윈도우 내의 SSB 실제 전송 위치 분포가 일치하다. 바람직하게는, 제2 타임 윈도우와 제1 타임 윈도우 내의 SSB 후보 전송 위치 분포가 일치하며, 또한 제2 타임 윈도우와 제1 타임 윈도우 내의 SSB 실제 전송 위치 분포가 일치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상기 제1 타임 윈도우와 제2 타임 윈도우의 예시적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캐리어 간격이 15KHz, L=4, SSB 후보 전송 위치가 차지하는 제1 타임 윈도우의 시간 길이가 2ms라고 가정하면, 제1 타임 윈도우 뒤에 시간 길이가 2ms인 하나의 제2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만일 SSB 후보 전송 위치가 차지한 제1 타임 윈도우의 시간 길이가 제1 SSB 전송 윈도우의 시간 길이의 1/2보다 크지만, SSB 실제 전송 위치가 차지한 제3 타임 윈도우의 시간 길이가 제1 SSB 전송 윈도우의 시간 길이의 1/2보다 작거나 같다면, 상기 제3 타임 윈도우 뒤에 제3 타임 윈도우의 시간 길이와 같은 하나의 제4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3 타임 윈도우와 제4 타임 윈도우 내의 SSB 후보 전송 위치 분포가 일치하며, 및/또는 제3 타임 윈도우와 제4 타임 윈도우 내의 SSB 실제 전송 위치 분포가 일치하다. 바람직하게는, 제3 타임 윈도우와 제4 타임 윈도우 내의 SSB 후보 전송 위치 분포가 일치하며, 또한 제3 타임 윈도우와 제4 타임 윈도우 내의 SSB 실제 전송 위치 분포가 일치한 것이다.
서브 캐리어 간격이 15KHz, L=8, SSB 후보 전송 위치가 차지하는 제1 타임 윈도우의 시간 길이가 4ms이지만, SSB 실제 전송 위치가 차지하는 제3 타임 윈도우의 시간 길이가 단지 2ms, 즉 실제 전송하는 SSB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출현이 단지 앞 2ms에 출현된다고 가정하면, 상기 2ms 후에 추가로 하나의 2ms의 제4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이 증가된 타임 윈도우 내에서 전송되는 SSB에 의하여 정확한 프레임 타이밍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장치는 또한 증가된 타임 윈도우 내에서 전송되는 SSB의 사전 결정된 위치에 대한 시간 오프셋을 단말로 통지하여야 한다.
상기 사전 결정된 위치에 대한 시간 오프셋에는, 제1 SSB 전송 윈도우가 소재하는 하프 프레임 시작 위치에 대한 시간 오프셋, 또는 종래의 같은 번호가 구비된 SSB의 시간 위치에 대한 시간 오프셋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예시에서와 같이, 제1 SSB 전송 윈도우가 소재하는 하프 프레임 시작 위치에 대한 시간 오프셋은 2ms이다.
바람직하게는, SSB 중의 PBCH 중에 사전 예비된 비트를 이용하여 상기 시간 오프셋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비트를 사용하여 지시를 진행하여, 두 가지 상태를 지시할 수 있는 바, 즉 a. 시간 오프셋이 없음; b. 2ms의 시간 오프셋; 또는 2비트를 사용하여 지시를 진행하여, 네 가지 상태를 지시할 수 있는 바, 즉 a. 시간 오프셋이 없음; b. 1ms의 시간 오프셋; c. 2ms의 시간 오프셋; d. 3ms의 시간 오프셋이다.
그리고,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키기 전, 네트워크 장치는 또한 우선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켜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여, 만일 "예"라면,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키고, 또한, 결정 결과가 "예" 든지 아니면 "아니요"든지 모두 단말로 통지해야 하는 바, 예를 들면 네트워크 장치가 방송 정보를 통하여 단말로 통지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는 현재의 채널 부하 상황에 의하여,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켜야 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장치는 일정한 시간의 채널 모니터링 상황에 의하여, 해당 시간대의 채널 모니터링의 성공률이 비교적 높다는 것을 취득하면, 캐리어 상의 시스템 부하가 비교적 낮다고 판단하여, 제2 타임 윈도우 또는 제4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키지 않을 수 있고, 반대로, 만일 해당 시간대의 채널 모니터링의 성공률이 비교적 낮다면, 캐리어 상의 시스템 부하가 비교적 높다고 판단하여, 제2 타임 윈도우 또는 제4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위의 내용은 방법 실시예에 관한 설명이고, 아래 장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상기 방안에 대하여 더욱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장치 실시예의 구성 구조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유닛(601)과 전송 유닛(602)이 포함된다.
확장 유닛(601)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상에서 SSB를 전송하여야 할 때,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킨다.
전송 유닛(602)은, 증가 후의 타임 윈도우를 기반으로 SSB의 전송을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확장 유닛(601)은 원래의 사전 결정된 시간 길이의 제1 SSB 전송 윈도우의 기초 상에서, 같은 시간 길이의 하나의 제2 SSB 전송 윈도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1 SSB 전송 윈도우와 제2 SSB 전송 윈도우가 동일한 무선 프레임 중에 위치하고, 또한 각각 무선 프레임 중의 서로 다른 하프 프레임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제1 SSB 전송 윈도우와 제2 SSB 전송 윈도우가 인접된 두 개의 무선 프레임 중에 위치하고, 또한 인접된 두 개의 하프 프레임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SSB 전송 윈도우 및 제2 SSB 전송 윈도우에 출현되는 같은 번호가 구비된 SSB의 하프 프레임 지시가 다른 것이다.
그리고, 제1 SSB 전송 윈도우와 제2 SSB 전송 윈도우 내의 SSB 후보 전송 위치 분포가 일치하며, 및/또는 제1 SSB 전송 윈도우와 제2 SSB 전송 윈도우 내의 SSB 실제 전송 위치 분포가 일치하다.
또는 확장 유닛(601)은 또한 원래의 사전 결정된 시간 길이의 제1 SSB 전송 윈도우 내에서,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일 SSB 후보 전송 위치가 차지한 제1 타임 윈도우의 시간 길이가 제1 SSB 전송 윈도우의 시간 길이의 1/2보다 작거나 같다면, 확장 유닛(601)이 제1 타임 윈도우 뒤에 제1 타임 윈도우의 시간 길이와 같은 하나의 제2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2 타임 윈도우와 제1 타임 윈도우 내의 SSB 후보 전송 위치 분포가 일치하며, 및/또는 제2 타임 윈도우와 제1 타임 윈도우 내의 SSB 실제 전송 위치 분포가 일치하다.
또 예를 들면, 만일 SSB 후보 전송 위치가 차지한 제1 타임 윈도우의 시간 길이가 제1 SSB 전송 윈도우의 시간 길이의 1/2보다 크지만, SSB 실제 전송 위치가 차지한 제3 타임 윈도우의 시간 길이가 제1 SSB 전송 윈도우의 시간 길이의 1/2보다 작거나 같다면, 확장 유닛(601)이 상기 제3 타임 윈도우 뒤에 제3 타임 윈도우의 시간 길이와 같은 하나의 제4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3 타임 윈도우와 제4 타임 윈도우 내의 SSB 후보 전송 위치 분포가 일치하며, 및/또는 제3 타임 윈도우와 제4 타임 윈도우 내의 SSB 실제 전송 위치 분포가 일치하다.
전송 유닛(602)은 또한 증가된 타임 윈도우 내에서 전송되는 SSB의 사전 결정된 위치에 대한 시간 오프셋을 단말로 통지하여, 단말이 SSB에 의하여 정확한 프레임 타이밍을 취득하도록 하여야 한다.
사전 결정된 위치에 대한 시간 오프셋에는, 제1 SSB 전송 윈도우가 소재하는 하프 프레임 시작 위치에 대한 시간 오프셋, 또는 같은 번호가 구비된 SSB의 시간 위치에 대한 시간 오프셋이 포함된다.
전송 유닛(602)은 SSB 중의 PBCH 중에 사전 예비된 비트를 이용하여 시간 오프셋을 지시할 수 있다.
그리고, 실제 응용에서, 확장 유닛(601)은 우선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켜야 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 만일 "예"라면,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키고, 또한 단말로 통지한다.
예를 들면, 확장 유닛(601)은 현재의 채널 부하 상황에 의하여,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켜야 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송 유닛(602)은 종래의 LBT 매커니즘에 의하여, 증가 후의 타임 윈도우를 기반으로 SSB의 전송을 진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단말 장치 실시예의 구성 구조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유닛(701)이 포함된다.
수신 유닛(701)은 네트워크 측이 증가한 후의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기반으로, SSB의 수신을 진행한다.
상기 증가에는 원래의 사전 결정된 시간 길이의 제1 SSB 전송 윈도우의 기초 상에서, 사전 결정된 시간 길이의 하나의 제2 SSB 전송 윈도우를 증가시키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SSB 전송 윈도우와 제2 SSB 전송 윈도우가 동일한 무선 프레임 중에 위치하고, 또한 각각 무선 프레임 중의 서로 다른 하프 프레임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제1 SSB 전송 윈도우와 제2 SSB 전송 윈도우가 인접된 두 개의 무선 프레임 중에 위치하고, 또한 인접된 두 개의 하프 프레임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SSB 전송 윈도우 및 제2 SSB 전송 윈도우에 출현되는 같은 번호가 구비된 SSB의 하프 프레임 지시가 다른 것이다.
그리고, 제1 SSB 전송 윈도우와 제2 SSB 전송 윈도우 내의 SSB 후보 전송 위치 분포가 일치하며, 및/또는 제1 SSB 전송 윈도우와 제2 SSB 전송 윈도우 내의 SSB 실제 전송 위치 분포가 일치하다.
제1 SSB 전송 윈도우와 제2 SSB 전송 윈도우 내의 SSB 실제 전송 위치 분포가 일치할 때, 수신 유닛(701)이 네트워크 측이 RMSI 또는 RRC 신호를 통하여 통지한 제1 SSB 전송 윈도우 내의 SSB 실제 전송 위치에 의하여, 제2 SSB 전수 내의 SSB 실제 전송 위치를 취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증가에는 또한 원래의 사전 결정된 시간 길이의 제1 SSB 전송 윈도우 내에서,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키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수신 유닛(701)은 또한 네트워크 측이 통지하는 증가된 타임 윈도우 내에서 전송되는 SSB의 사전 결정된 위치에 대한 시간 오프셋을 취득하여, 정확한 프레임 타이밍을 취득하여야 한다. 사전 결정된 위치에 대한 시간 오프셋에는, 제1 SSB 전송 윈도우가 소재하는 하프 프레임 시작 위치에 대한 시간 오프셋, 또는 같은 번호가 구비된 SSB의 시간 위치에 대한 시간 오프셋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에는 진일보로 취득 유닛(700)이 포함될 수 있다.
취득 유닛(700)은 네트워크 측이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켜야 할지 여부를 결정한 후 통지하는 결정 결과를 취득하며; 만일 결정 결과가 "예"라면, 수신 유닛(701)이 증가 후의 타임 윈도우를 기반으로 SSB의 수신을 진행할 수 있고, 만일 결정 결과가 "아니요"라면, 수신 유닛(701)이 원래의 타임 윈도우를 기반으로 SSB의 수신을 진행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장치 실시예의 구체적인 작동 과정은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상응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요컨대, 상기 장치 실시예의 상기 방안을 사용하면,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키는 것을 통하여, SSB의 전송 기회를 증가하고, 나아가 SSB의 전송 성공률 등을 향상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 컴퓨터 시스템/서버(12)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컴퓨터 시스템/서버(12)는 단지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능과 사용 범위에 대하여 아무런 제한도 하지 않는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서버(12)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형식으로 구현된다. 컴퓨터 시스템/서버(12)의 모듈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처리 유닛)(16), 기억장치(28), 서로 다른 시스템 모듈(기억장치(28)와 프로세서(16) 포함)을 연결하는 버스(18)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버스(18)는 몇 가지 유형의 버스 구조 중의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를 표시하고, 기억장치 버스 또는 기억장치 제어기, 주변 장치 버스, 가속 그래픽 포트, 프로세서 또는 여러 가지 버스 구조 중의 임의의 버스 구조를 사용하는 로컬 버스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이러한 시스템 구조에는 산업 표준 체계 구조(ISA) 버스, 마이크로 채널 체계 구조(MAC) 버스, 향상된 ISA 버스, 비디오 전자 표준 협회(VESA) 로컬 버스 및 주변 구성 요소 상호 연결(PCI) 버스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컴퓨터 시스템/서버(12)에는 전형적으로 여러 가지 컴퓨터 시스템 판독가능 매체가 포함된다. 이러한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서버(12)에 의하여 접속될 수 있는 사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과 비휘발성 매체, 이동가능하거나 이동할 수 없는 매체가 포함된다.
기억장치(28)에는 휘발성 기억장치 형식의 컴퓨터 시스템 판독가능 매체, 예를 들면 무작위 접속 메모리(RAM)(30) 및/또는 캐시 메모리(32)가 포함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서버(12)에는 나아가 기타 이동가능/이동할 수 없는, 휘발성/비휘발성 컴퓨터 시스템 저장 매체가 포함될 수 있다. 단지 예시적으로, 저장 시스템(34)은 이동할 수 없는, 비휘발성 자기 매체(도 8에 미도시, 통상적으로 "하드웨어 드라이브"로 칭함)를 읽기/쓰기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동가능한 비휘발성 자기 디스크(예를 들면 "플로피 디스크")를 읽기/쓰기할 수 있는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및 이동가능한 비휘발성 광 디스크(예를 들면 CD-ROM, DVD-ROM 또는 기타 광 매체)를 읽기/쓰기할 수 있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각 드라이브는 하나 또는 다수의 데이터 매체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버스(18)와 연결될 수 있다. 기억장치(28)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제품이 포함될 수 있고, 해당 프로그램 제품에는 한 그룹(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모듈이 구비되며,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한 그룹(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모듈(42)이 구비된 프로그램/유틸리티(40)는 예를 들면 기억장치(28)에 저장될 수 있고,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42)에는 운영 시스템, 하나 또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 기타 프로그램 모듈 및 프로그램 데이터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이러한 예시 중의 각 또는 어느 한 가지 조합 중에는 네트워크 환경의 구현이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42)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 중의 기능 및/또는 방법을 실행한다.
컴퓨터 시스템/서버(12)는 또한 하나 또는 다수의 주변 장치(14)(예를 들면 키보드, 포인팅 장치, 디스플레이(24) 등)와 통신을 진행할 수 있고, 또한 하나 또는 다수의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컴퓨터 시스템/서버(12)와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하는 장치와 통신을 진행할 수 있으며, 및/또는 해당 컴퓨터 시스템/서버(12)로 하여금 하나 또는 다수의 기타 컴퓨터 장치와 통신을 진행하도록 하는 임의의 장치(예를 들면, 네트워크 카드, 모뎀 등)와 통신을 진행한다. 이러한 통신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22)를 통하여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서버(12)는 또한 네트워크 어댑터(20)를 통하여 하나 또는 다수의 네트워크(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망(LAN), 광역망(WAN) 및/또는 공공 네트워크, 예를 들면 인터넷)와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어댑터(20)는 버스(18)를 통하여 컴퓨터 시스템/서버(12)의 기타 모듈과 통신을 진행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컴퓨터 시스템/서버(12)를 결합시켜 기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며, 여기에는 마이크로 코드, 장치 드라이브, 중복 처리 유닛, 외부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어레이, RAID 시스템, 자기 테이프 드라이브 및 데이터 백업 저장 시스템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프로세서(16)는 기억장치(28)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통하여, 여러 가지 기능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는 바,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실시예 중의 방법을 구현한다.
본 발명에서는 아울러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해당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 도 3에 도시된 실시예 중의 방법을 구현한다.
하나 또는 다수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신호 매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예를 들면 전기, 자기, 빛, 전자기, 적외선, 또는 반도체의 시스템, 장치 또는 소자, 또는 상기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의 더욱 구체적인 예시(무한하지 않은 리스트)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도선이 구비된 전기 연결, 휴대식 컴퓨터 자기 디스크, 하드웨어, 무작위 접속 메모리(RAM), 읽기전용 메모리(ROM), 전기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EPROM 또는 메모리), 광섬유, 휴대식 콤팩트 디스크 롬(CD-ROM), 광 기억장치 소자, 자기 기억장치 소자, 또는 상기 임의의 적합 조합이 포함된다. 본 문서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임의의 프로그램이 포함 또는 저장된 유형 매체일 수 있고, 해당 프로그램은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소자에 의하여 사용되거나 또는 이와 결합 사용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신호 매체에는 기저대역 중 또는 캐리어의 일부분으로 전파되는 데이터 신호가 포함될 수 있고, 그 중에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 코드가 베어링된다. 이러한 전파 신호는 여러 가지 형식을 사용할 수 있는 바, 전자기 신호, 광 신호 또는 상기 임의의 적합한 조합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신호 매체는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외의 임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일 수 있으며, 해당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소자가 사용하거나 또는 이와 결합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송신, 전파 또는 전송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포함된 프로그램 코드는 임의의 적합한 매체를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는 바, 무선, 전선, 광케이블, RF 등 또는 상기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 프로그램 설계 언어 또는 그 조합에 의하여 본 발명의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코딩할 수 있는 바, 상기 프로그램 설계 언어에는 예를 들면 Java, Smalltalk, C++ 등 객체 지향의 프로그램 설계 언어가 포함되고, 또한 예를 들면 C 언어 또는 유사한 프로그램 설계 언어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과정식 프로그램 설계 언어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코드는 완전히 사용자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거나, 일부 사용자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거나, 하나의 독립적인 소프트웨어 패킷으로 실행되거나, 일부는 사용자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고 일부는 원격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거나, 또는 완전히 원격 컴퓨터 또는 서버 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원격 컴퓨터와 관련된 상황에서, 원격 컴퓨터는 근거리 통신망(LAN) 또는 광역망(WAN)을 포함하는 임의의 종류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컴퓨터에 연결되거나, 또는 외부 컴퓨터에 연결될 수 있다(예를 들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함).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몇 개 실시예에서, 상기 공개된 장치와 방법 등은 기타 방식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적인 구분일 뿐, 실제 구현 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분리된 부품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것을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품은 물리적인 유닛이거나 아닐 수 있으며, 즉 한 곳에 위치하거나 또는 다수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수요에 의하여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각 실시예 중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 중에 직접될 수도 있고, 또는 각 유닛의 독립적인 물리적 존재일 수 있으며, 또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집적된 유닛은 하드웨어 형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또한 하드웨어에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을 추가하는 형식으로도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집적된 유닛은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 바, 일부 명령이 포함되어 컴퓨터 설비(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설비일 수 있음) 또는 프로세서(processor)로 하여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의 일부 단계를 구현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에는 USB 메모리, 이동 하드, 읽기전용 메모리(ROM), 무작위 접속 메모리(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여러 가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4)

  1. 동기화 신호 블록 전송 방법으로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 상에서 동기화 신호 블록(SSB)을 전송하여야 할 때, 상기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키며;
    증가 후의 타임 윈도우를 기반으로 SSB의 전송을 진행하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증가에는 원래의 사전 결정된 시간 길이의 제1 SSB 전송 윈도우 내에서, 상기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키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제1 SSB 전송 윈도우 내에서, 상기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키는 것에는,
    만일 SSB 후보 전송 위치가 차지한 제1 타임 윈도우의 시간 길이가 상기 제1 SSB 전송 윈도우의 시간 길이의 1/2보다 작거나 같다면, 상기 제1 타임 윈도우 뒤에 상기 제1 타임 윈도우의 시간 길이와 같은 하나의 제2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키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제2 타임 윈도우와 상기 제1 타임 윈도우 내의 SSB 후보 전송 위치 분포가 일치하며;
    및/또는 상기 제2 타임 윈도우와 상기 제1 타임 윈도우 내의 SSB 실제 전송 위치 분포가 일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신호 블록 전송 방법.
  2. 동기화 신호 블록 전송 방법으로서,
    단말은 네트워크 측이 증가를 진행한 후의 동기화 신호 블록(SSB)을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기반으로, SSB의 수신을 진행하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증가에는 원래의 사전 결정된 시간 길이의 제1 SSB 전송 윈도우 내에서, 상기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키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제1 SSB 전송 윈도우 내에서, 상기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키는 것에는,
    만일 SSB 후보 전송 위치가 차지한 제1 타임 윈도우의 시간 길이가 상기 제1 SSB 전송 윈도우의 시간 길이의 1/2보다 작거나 같다면, 상기 제1 타임 윈도우 뒤에 상기 제1 타임 윈도우의 시간 길이와 같은 하나의 제2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키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제2 타임 윈도우와 상기 제1 타임 윈도우 내의 SSB 후보 전송 위치 분포가 일치하며; 및/또는
    상기 제2 타임 윈도우와 상기 제1 타임 윈도우 내의 SSB 실제 전송 위치 분포가 일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화 신호 블록 전송 방법.
  3. 네트워크 장치로서,
    확장 유닛과 전송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확장 유닛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상에서 동기화 신호 블록(SSB)을 전송하여야 할 때, 상기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키며;
    상기 전송 유닛은, 증가 후의 타임 윈도우를 기반으로 SSB의 전송을 진행하며;
    상기 확장 유닛은 원래의 사전 결정된 시간 길이의 제1 SSB 전송 윈도우 내에서, 상기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키며;
    만일 SSB 후보 전송 위치가 차지한 제1 타임 윈도우의 시간 길이가 상기 제1 SSB 전송 윈도우의 시간 길이의 1/2보다 작거나 같다면, 상기 확장 유닛이 상기 제1 타임 윈도우 뒤에 상기 제1 타임 윈도우의 시간 길이와 같은 하나의 제2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키며,
    상기 제2 타임 윈도우와 상기 제1 타임 윈도우 내의 SSB 후보 전송 위치 분포가 일치하며;
    및/또는 상기 제2 타임 윈도우와 상기 제1 타임 윈도우 내의 SSB 실제 전송 위치 분포가 일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만일 SSB 후보 전송 위치가 차지한 제1 타임 윈도우의 시간 길이가 상기 제1 SSB 전송 윈도우의 시간 길이의 1/2보다 크지만, SSB 실제 전송 위치가 차지한 제3 타임 윈도우의 시간 길이가 상기 제1 SSB 전송 윈도우의 시간 길이의 1/2보다 작거나 같다면, 상기 확장 유닛이 상기 제3 타임 윈도우 뒤에 상기 제3 타임 윈도우의 시간 길이와 같은 하나의 제4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키며,
    상기 제3 타임 윈도우와 상기 제4 타임 윈도우 내의 SSB 후보 전송 위치 분포가 일치하며;
    및/또는 상기 제3 타임 윈도우와 상기 제4 타임 윈도우 내의 SSB 실제 전송 위치 분포가 일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닛은 진일보로, 증가된 상기 타임 윈도우 내에서 전송되는 SSB의 사전 결정된 위치에 대한 시간 오프셋을 단말로 통지하며,
    상기 사전 결정된 위치에 대한 시간 오프셋에는,
    상기 제1 SSB 전송 윈도우가 소재하는 하프 프레임 시작 위치에 대한 시간 오프셋;
    또는 같은 번호가 구비된 SSB의 시간 위치에 대한 시간 오프셋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6. 단말 장치로서,
    수신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수신 유닛은 네트워크 측이 증가를 진행한 후의 동기화 신호 블록(SSB)을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기반으로, SSB의 수신을 진행하며;
    상기 증가에는 원래의 사전 결정된 시간 길이의 제1 SSB 전송 윈도우 내에서, 상기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키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제1 SSB 전송 윈도우 내에서, 상기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키는 것에는,
    만일 SSB 후보 전송 위치가 차지한 제1 타임 윈도우의 시간 길이가 상기 제1 SSB 전송 윈도우의 시간 길이의 1/2보다 작거나 같다면, 상기 제1 타임 윈도우 뒤에 상기 제1 타임 윈도우의 시간 길이와 같은 하나의 제2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키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제2 타임 윈도우와 상기 제1 타임 윈도우 내의 SSB 후보 전송 위치 분포가 일치하며;
    및/또는 상기 제2 타임 윈도우와 상기 제1 타임 윈도우 내의 SSB 실제 전송 위치 분포가 일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진일보로, 네트워크 측이 통지하는 증가된 상기 타임 윈도우 내에서 전송되는 SSB의 사전 결정된 위치에 대한 시간 오프셋을 취득하며,
    상기 사전 결정된 위치에 대한 시간 오프셋에는,
    상기 제1 SSB 전송 윈도우가 소재하는 하프 프레임 시작 위치에 대한 시간 오프셋;
    또는 같은 번호가 구비된 SSB의 시간 위치에 대한 시간 오프셋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에는 진일보로 취득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취득 유닛은 네트워크 측이 상기 SSB를 전송하는 타임 윈도우를 증가시켜야 할지 여부를 결정한 후 통지하는 결정 결과를 취득하며;
    만일 결정 결과가 "예"라면, 상기 수신 유닛이 증가 후의 타임 윈도우를 기반으로 SSB의 수신을 진행하며;
    만일 결정 결과가 "아니오"라면, 상기 수신 유닛이 원래의 타임 윈도우를 기반으로 SSB의 수신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KR1020207027863A 2018-03-27 2018-03-27 동기화 신호 블록 전송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KR1025130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080625 WO2019183791A1 (zh) 2018-03-27 2018-03-27 同步信号块传输方法、设备及存储介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966A KR20200135966A (ko) 2020-12-04
KR102513018B1 true KR102513018B1 (ko) 2023-03-21

Family

ID=68058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7863A KR102513018B1 (ko) 2018-03-27 2018-03-27 동기화 신호 블록 전송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838881B2 (ko)
EP (1) EP3755107A4 (ko)
JP (1) JP7313368B2 (ko)
KR (1) KR102513018B1 (ko)
CN (1) CN111837444A (ko)
AU (1) AU2018415674A1 (ko)
BR (1) BR112020018916A2 (ko)
CA (1) CA3093979A1 (ko)
MX (1) MX2020009899A (ko)
TW (1) TW201943234A (ko)
WO (1) WO20191837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55825A4 (en) * 2018-09-27 2022-05-11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YNCHRONIZATION INDICATION INFORMATION
CN112788731B (zh) * 2019-11-08 2022-07-08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信息的发送、接收方法、装置及终端
EP4316084A1 (en) * 2021-03-31 2024-02-07 Apple Inc. Mitigation of listen before talk conflicts in the unlicensed spectrum
WO2022226739A1 (zh) * 2021-04-26 2022-11-0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CN115529861A (zh) * 2021-04-26 2022-12-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53866A1 (en) * 2014-08-25 2017-12-07 Zte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Using Unlicensed Carrier in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3266A1 (zh) * 2014-01-29 2015-08-06 华为技术有限公司 同步方法、基站和用户设备
US10581569B2 (en) * 2014-08-22 2020-03-03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nchronization signals over an unlicens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CN105376869B (zh) * 2014-08-22 2020-04-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在非授权载波上发送发现信号的方法、系统及接入点
CN105991210B (zh) * 2015-01-28 2019-03-26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非授权频段上的参考信号发送方法、接收方法及装置
US20160330678A1 (en) * 2015-05-07 2016-11-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scovery reference signal through channel of unlicensed frequency band
US10231165B2 (en) * 2015-05-13 2019-03-12 Qualcomm Incorporated RRM measurement and reporting for license assisted access
KR20170037496A (ko) 2015-09-25 2017-04-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면허대역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N108632981B (zh) * 2017-03-23 2021-01-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下行同步信号发送方法和接收方法及设备
US20200205095A1 (en) * 2017-03-23 2020-06-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no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CN109309955B (zh) * 2017-07-28 2021-02-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同步信号块的传输方法、接入网设备及终端设备
US11129132B2 (en) * 2017-08-23 2021-09-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lexible paging signal configuration in relation to system access signals
WO2019095255A1 (en) * 2017-11-17 2019-05-2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Schemes for ssb to paging coreset mapping in nr
CN108401533B (zh) * 2017-11-30 2022-01-1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指示方法及装置、基站和用户设备
RU2760942C1 (ru) * 2018-01-11 2021-12-01 Нтт Докомо, Инк.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й терминал и способ радиосвязи
WO2019157661A1 (en) * 2018-02-13 2019-08-22 Zte Corporation Cell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and apparatus
US11438858B2 (en) * 2018-02-13 2022-09-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easuring frame timing difference and user equipment performing the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53866A1 (en) * 2014-08-25 2017-12-07 Zte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Using Unlicensed Carrier in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0018916A2 (pt) 2020-12-29
MX2020009899A (es) 2020-10-12
JP2021519009A (ja) 2021-08-05
WO2019183791A1 (zh) 2019-10-03
US20200413357A1 (en) 2020-12-31
EP3755107A1 (en) 2020-12-23
TW201943234A (zh) 2019-11-01
KR20200135966A (ko) 2020-12-04
US11838881B2 (en) 2023-12-05
CA3093979A1 (en) 2019-10-03
CN111837444A (zh) 2020-10-27
AU2018415674A1 (en) 2020-10-08
JP7313368B2 (ja) 2023-07-24
EP3755107A4 (en)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3018B1 (ko) 동기화 신호 블록 전송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US11632805B2 (en) Method and device for two-step random accessing
KR20220152999A (ko) 통신 방법 및 장치
CN107926058B (zh) 利用设备监控的信道可用性检查
US11323154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mobile terminal, and data device
US20220229144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node and server
US20200028636A1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CN113271662B (zh) 参考信号的时频资源配置方法、系统、电子设备和介质
JP7286761B2 (ja) 下り制御チャネル伝送方法、下り制御チャネル受信方法、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側機器
US201502638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modulating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signal
US11877269B2 (en) Time-domain resource information indic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11372298B (zh) 一种无线接入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EP4009724B1 (en) Terminal capability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device
CN114339969B (zh) 低功耗网络的数据接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271187A (zh) 确定参考信号或资源或集合的方法、系统、设备和介质
US20240089984A1 (en) Method for configuring tci state in multi-trp system
US20220272747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related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7939651A (zh) 传输信息量的确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6762307A (zh) 一种传输增强方法及通信设备
JP2022110009A (ja) 時間領域リソース情報の指示方法及び装置
CN115843118A (zh) 指示方法、参考信号发送方法、通信节点及存储介质
CN113630201A (zh) 一种远端干扰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