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621B1 - 스마트 주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주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621B1
KR102512621B1 KR1020210163722A KR20210163722A KR102512621B1 KR 102512621 B1 KR102512621 B1 KR 102512621B1 KR 1020210163722 A KR1020210163722 A KR 1020210163722A KR 20210163722 A KR20210163722 A KR 20210163722A KR 102512621 B1 KR102512621 B1 KR 102512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s
display
installation groove
disposed
fron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3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8250A (ko
Inventor
김준범
Original Assignee
김준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범 filed Critical 김준범
Publication of KR20220128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47B81/06Furniture aspects of radio, television, gramophone, or record cabin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01Office desks or work-stations combined with other pieces of furniture, e.g. work space management systems
    • A47B2083/005Office wall with desktop function
    • A47B2083/006Office wall with desktop function having an incorporated display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Special W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주방 시스템은, 전면이 개구된 설치홈을 갖는 벽체에, 상기 설치홈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장과 하부장과, 상기 설치홈 내에 배치되는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의 전면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와, 전면에서 보았을 시 상기 상부장과 상기 하부장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가 온 되었을 시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화면을 투영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오프되었을 시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은폐하는 외장패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주방 시스템{SMART KITCHEN SYSTEM}
본 발명은, 주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에서 보았을 시 상부장과 하부장 사이의 벽체에 설치된 외장패널 상에 화면이 표시되는 주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부들이 주방에서 일을 할 때, 종래에는 주방에 설치되어 있는 라디오를 듣거나 소형 모니터로 TV를 시청하였다. 최근에는 기술의 발달로 주방에 활용 가능한 다양한 소프트웨어적 아이템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통상, 주방에는 상부장과 하부장이 설치되고, 상, 하부장 사이의 벽체는 타일 등으로 마감되고, 이렇게 마감된 벽체에 라디오나 모니터 등의 주방용 편의장치가 설치된다.
마감된 벽체 위에 별도로 모니터 등의 기기를 설치하는 것이어서 인테리어 측면에서 미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고, 주방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구성하기가 쉽지 않았다.
일본 공개특허 JP 2021-135521A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주방에 설치되는 상부장과 하부장 사이의 벽체를 마감하는 마감재 또는 패널에 편의장치가 설치된 주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편의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가 온된 상태에서는 표시된 화면이 외관상 드러나나, 디스플레이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자체가 외관상 노출되지 않고 은폐되는 주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방 시스템은, 전면이 개구된 설치홈을 갖는 벽체에, 상기 설치홈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장과 하부장과, 상기 설치홈 내에 배치되는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의 전면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와, 전면에서 보았을 시 상기 상부장과 상기 하부장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가 온 되었을 시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화면을 투영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오프되었을 시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은폐하는 외장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외장패널은, 광을 투과하는 투명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를 대향하는 상기 투명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백 페인트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백 페인트층은 상기 디스플레이가 온되었을 시 상기 화면을 통과시켜 상기 투명패널의 전면에 투영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온되었을 시에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투명패널의 전면에서 보이지 않도록 은폐할 수 있다.
상기 주방 시스템은, 상기 설치홈 내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전송하는 영상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방 시스템은, 상기 상부장에 수납되되, 하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어, 하측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디스플레이가 배치된 영역에까지 이르는 랙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방 시스템은, 상기 외장패널의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서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고, 인식된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방 시스템은, 주방에 설치되는 상부장과 하부장 사이의 영역을 디스플레이를 설치하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어 주방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전면의 외장패널에 의해 은폐되기 때문에 상기 외장패널의 색상이나 광택 등의 미감을 이용한 세련된 인테리어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가 주방의 벽체와 일체감을 이루기 때문에,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마치 주방의 벽체에 직접 표시되는 것과 같아 세련된 주방 분위기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 시스템의 전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방 시스템에서 랙이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 시스템의 주요부들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주방 시스템이 적용된 시제품을 보이는 사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난 제품에서 스위블 구조로 적용된 디스플레이를 확대하여 보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 시스템의 전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방 시스템에서 랙이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 시스템의 주요부들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주방 시스템이 적용된 시제품을 보이는 사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난 제품에서 스위블 구조로 적용된 디스플레이를 확대하여 보인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 시스템을 설명한다.
주방에는 식기나 조리기구 등의 주방용품을 담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하부장(120)과 상부장(1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부장(110)은 하부장(120)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벽체(15)에 설치된다. 하부장(120)의 상면에는 싱크대가 구비될 수 있다.
주방 시스템(100)은 상부장(110)과 하부장(120) 사이에 배치되는 편의장치(130)를 포함한다. 편의장치(130)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31)를 포함한다. 주방 시스템(100)을 전방에서 바라볼 시, 디스플레이(131)는 상부장(110)과 하부장(120) 사이에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벽체(15)에 설치된다.
편의장치(130)는 통신망(5)과 연결되어, 가정내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통신망(5)은 이더넷(Ethernet), 와이파이(Wi-Fi), 3G, 4G, 5G 등의 상용 이동통신 등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편의장치(130)는 일종의 IoT(Internet of Thing)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편의장치(130)는 가정 내 다른 IoT 디바이스와 통신하거나,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이나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입력부 및/또는 사용자에게 알리는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편의장치(130)는, TV나 VOD 등의 영상, 보안, 전화, 원격제어, 스마트 홈 관리 등의 통합 또는 융합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편의장치(130)는 주거의 초인종 또는 방문자 통제 시스템과 연계될 수 있다. 편의장치(130)는, 주거의 현관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한 방문객 확인, 가정의 조명, 가스, 전기, 인터넷, 홈 카메라 등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편의장치(130)는 외부의 보안 서비스 공급자(1)와 연결된 경우, 외부에 설치된 보안 카메라(CCTV)와의 연동을 통해 침입자 발생시 보안 서비스 공급자(1)측에 자동으로 통보할 수 있다.
편의장치(130)는 통신부(11), 제어부(12), 디스플레이(131), 입력부(13), 카메라(14), 센서부(15), 스피커(16), 마이크(17), 영상출력부(18) 및/또는 데이터 저장부(19)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는 통신망(5)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 통신망(5)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형태의 공지된 장비들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1)는 두께에 비해 화면의 대각선 길이가 현저하게 큰 평판형의 영상 표시 장치이다. 디스플레이(131)는,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벽체(15)는 상부장(110)과 하부장(120) 사이의 영역 대부분이 디스플레이(131)의 화면으로 채워진다. 상기 영역의 면적과 디스플레이(131)의 넓이 등을 고려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131)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131)가 가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일체감 있는 하나의 확장된 화면을 구성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131)는 평소에는 인테리어 기능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31)는 배경 화면에 동영상이나 사진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아름다운 동영상이나 정지영상(이미지 또는 사진)이 반복적으로 표시되는 디지털 액자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1)를 통해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기 설정된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음악이 스피커(16)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31)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것으로써, 입력부(13)의 역할을 겸하는 것일 수 있다. 화면에 가해진 사용자에 터치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명령이나 정보가 입력될 수 있으며, 이렇게 입력된 정보는 제어부(12)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131)와 입력부(13)가 서로 분리된 형태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어부(12)는 편의장치(130)의 작동 전반을 제어하는 것으로, 전기적 신호 또는 명령에 따라 편의장치(130)를 구성하는 각부의 제어를 담당하는 프로세서(예를 들어, 중앙연산처리정치(CPU))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별도의 언급이 없더라도, 편의장치(130)를 구성하는 각부의 제어는 제어부(12)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하기로 한다.
카메라(14), 마이크(17) 및 스피커(16)를 바탕으로 한 화상 회의 기능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제어부(12)에 의해 구동 또는 판독 가능한 형태로 데이터 저장부(19)에 저장될 수 있다. 이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알고리즘은 데이터 저장부(19)에 기록되는 것으로 이해하기로 한다.
한편, 편의장치(130)는 네트워킹을 통한 외부접속기능(Remote access)를 제공할 수 있다. 편의장치(130)가 이동통신망에 접속된 통신망을 구성하는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2)를 통해 원격에서 접속한 사용자가 카메라(14)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이경우 모니터링 앱이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2)에 탑재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르게는, 사용자는 퇴근 시 외부접속기능을 통해 집 도착시간에 맞춘 에어컨이나 히터를 작동하게 하거나, 전기밥솥의 작동, 목욕물 미리 받기 등을 할 수 있다.
한편, 편의장치(130)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은 사용자의 모션 또는 제스처를 인식한 것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2)는 카메라(14)에 촬영된 사용자의 모션을 통해 이와 대응하는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31)에 표시된 화면을 터치하지 않고도 명령을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요리 등을 하는 과정에서 손에 재료들이 뭍은 경우에도 편의장치(130)를 쉽게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편의장치(130)는 스마트 스크린 캡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1)를 통해 TV, 영화, 동영상을 보면서 흥미 있는 상품이 나오면 사용자는 화면 위로 터치를 하여 해당 제품에 대한 스크린 캡처를 할 수 있다. 화면 위로 터치 대신 모션 인식 기능을 통해 스크린 캡처가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2)는 상기 스크린 캡처를 인식한 것으로 바탕으로, 캡쳐된 제품의 제조사 사이트, 쇼핑 사이트 등의 관련사이트로 연결 또는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31)에 표시된 명품 시계 광고를 봤을 때 시계 부분의 그림을 터치하면, 제어부(12)는 시계 제조사 홈페이지로 연동을 시켜주거나 아니면 해당 관련 쇼핑사이트로 연동시킬 수 있다.
마이크(17)로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 기능이 탑재될 수 있다. 제어부(12)는 마이크(17)로 입력된 소리에서 음성 명령을 인식하고, 그에 따라 편의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음성 인식 기능이 탑재된 IT 또는 IoT 솔루션(예를 들어, 스마트 스피커)가 편의장치(130)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IT 솔루션을 통해 "ooo야, xxx 요리 래시피 열어줘" 등의 명령을 입력하면, 이와 관련된 인터넷 상의 정보(레시피)가 디스플레이(131)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센서부(15)는 온도센서, 화재방지센서, 이산화탄소 감지센서, 식품 신선도센서 및 농약확인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는 필요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5)는 실내에 설치된 실내 온도센서 및 실외에 설치된 외부 온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이산화탄소 감지센서의 감지값을 바탕으로 화재 발생 여부 또는 전열기기의 과열로 인한 안전사고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식품의 신선도를 감지하는 식품 신선도센서의 감지값을 바탕으로 식품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며, 식품의 상태를 디스플레이(131)나 스피커(16)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는 긴급 상황 발생시 사용자의 명령 입력(예를 들어, 특정 버튼을 누르거나 음성 명령)에 의해 또는 마이크(17)나 카메라(14)를 통해 인식한 외부 상황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외부와 연결된 통신망(5)을 통해 비상 전화를 걸 수 있다.
또한, 편의장치(130)는 집안에 구비된 모션센서와 연동이 될 수 있으며, 이경우, 제어부(12)는 상기 모션센서를 통해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미리 정한 연락처로 비상 전화를 연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모션센서는 목걸이 등의 형태로 제작된 통신 디바이스로서 사람이 착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영상출력부(18)는 디지털망을 통해 비디오 서버로부터 전송된 압축신호를 원래의 영상 및 음향신호로 복원해 주는 장치로써, 이렇게 변환된 영상과 음향이 각각 디스플레이(131)와 스피커(16)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주방의 벽체(15)에는 전면이 개구된 설치홈(15a)이 형성될 수 있고, 설치홈(15a)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상부장(110)과 하부장(120)이 설치된다.
설치홈(15a) 내에는 디스플레이(131)를 설치하기 위한 지지패널(20)이 배치될 수 있다. 지지패널(20)은 설치홈(15a) 내에 세워진 상태로 고정되며, 디스플레이(131)는 지지패널(20)의 전면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131)는 볼트, 나사, 브래킷과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지지패널(20)에 고정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편의장치(130)는 히든 디스플레이(hidden display)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전면에서 보았을 시, 디스플레이(131)는 상부장(110)과 하부장(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31)의 전면에는 외장패널(132)이 배치될 수 있다.
외장패널(132)은, 디스플레이(131)가 온 되었을 시 디스플레이(131)에 출력된 화면을 투영하고, 디스플레이(131)가 오프되었을 시에는 디스플레이(131)를 은폐한다. 즉, 디스플레이(131)가 온 된 상태에서는 화면에 출력된 영상이 외장패널(132)을 투과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상기 영상이 인식이 되는 반면, 디스플레이(131)가 오프된 경우에는 외장패널(132)의 차폐력에 의해 디스플레이(131) 형태 자체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은폐된다.
외장패널(132)은, 광을 투과하는 투명패널(132a)과, 디스플레이(131)를 대향하는 투명패널(132a)의 배면에 배치되는 백 페인트층(132b)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와 같이 두 개의 디스플레이(131)가 구비되는 경우, 하나의 외장패널(132)이 두 개의 디스플레이(131) 전체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131)에 대응하여 한 쌍의 외장패널(132)이 구비되어 각각의 외장패널(132)이 하나씩의 디스플레이(131)의 전면을 덮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투명패널(132a)은 유리(바람직하게는, 강화유리)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유리의 배면에 페인트칠을 한 후 불에 굽는 방식으로 백 페인트층(132b)을 형성할 수 있다. 백 페인트층(132b)을 만드는데 사용된 페인트의 색상, 조성 및/또는 페인트층의 두께를 적절하게 함으로써 히든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131)가 사용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은폐되어 외관상 벽체(15)에는 외장패널(132)에 의한 말끔한 외관을 갖기 때문에, 외장패널(132)의 색상이나 광택 등의 미감을 이용한 세련된 인테리어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
한편, 영상출력부(18)는 설치홈(15a) 내에서 지지패널(20)의 배면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그 밖에도 상기 배면 공간에는 장치들을 연결하는 각종 케이블이나 통신부(11)를 구성하는 각종 장비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장(110)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는 랙(1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랙(150)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승 위치에서는 상부장(110)에 수용되고, 하측으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적어도 일부분이 디스플레이(131)가 배치된 영역에까지 이를 수 있다.
종래의 주방에서는 식기 등을 적재하는 랙이 하부장(120)의 상면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랙에 의해 화면이 가리는 문제가 있어 상부장(110)과 하부장(120) 사이에 디스플레이(131)를 설치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본원발명에서는 랙(150)이 평상시에는 상부장(110)에 수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디스플레이(131)의 화면을 가리지 않으며, 따라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14)는 외장패널(132)의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경우, 제어부(12)는 카메라(14)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서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고, 인식된 제스처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31)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31')는 붙박이장, 벽체, 가전기기 등의 고정체에 스위블(swivel) 가능한 형태로도 설치될 수 있다. 설치가 간단하게 이루어기 때문에 다른 제품에 부가 설치가 가능한 독립형(stand-alone) 제품으로 판매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전면이 개구된 설치홈을 갖는 벽체에, 상기 설치홈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설치홈은 개구된 전면을 대향하는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하단에 연결되는 수평면을 갖는 상부장과 하부장;
    상기 설치홈 내에서 전면이 상기 설치홈의 개구된 전면을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하단부가 상기 수평면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패널;
    각각이 상기 지지패널의 전면에 고정된 상태로 전부가 상기 설치홈 내에 위치되고, 전면에서 보았을 시 좌, 우 양측으로 배치되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상기 벽체에 설치되고, 전부가 상기 설치홈 내에 위치하되, 전면이 상기 벽체의 전면과 하나의 평면을 이루고, 상기 두 개의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두 개의 디스플레이 전체를 덮으며, 상기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온 되었을 시 상기 두 개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화면을 투영하고, 상기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오프되었을 시에는 상기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은폐하는 외장패널;
    식기를 적재하는 것으로, 상기 상부장에 수납되되, 하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어, 전면에서 보았을 시, 하측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두 개의 디스플레이의 전면을 가리고, 상기 상부장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상기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가리지 않는 랙;
    상기 외장패널의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이산화탄소 감지센서 및 모션센서를 구비한 센서부;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서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고, 인식된 제스처에 대응하여 상기 두 개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하되,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를 통해 상기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제품에 대한 스크린 캡처를 인식하고, 상기 스크린 캡처된 제품의 제조사 사이트 또는 쇼핑 사이트에 접속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산화탄소 감지센서의 감지값을 바탕으로 화재 발생 여부 또는 전열기기의 과열로 인한 안전사고를 판단하고, 상기 모션센서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미리 정한 연락처로 비상 전화를 연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주방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패널은,
    광을 투과하는 투명패널; 및
    상기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대향하는 상기 투명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백 페인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백 페인트층은,
    상기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온되었을 시 상기 화면을 통과시켜 상기 투명패널의 전면에 투영하고,
    상기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온되었을 시에는 상기 두 개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투명패널의 전면에서 보이지 않도록 은폐하는 주방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 내에 배치되고, 상기 두 개의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전송하는 영상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주방 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63722A 2021-03-12 2021-11-24 스마트 주방 시스템 KR1025126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449 2021-03-12
KR20210032449 2021-03-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250A KR20220128250A (ko) 2022-09-20
KR102512621B1 true KR102512621B1 (ko) 2023-03-22

Family

ID=83446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3722A KR102512621B1 (ko) 2021-03-12 2021-11-24 스마트 주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26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7302A (ja) * 2002-09-03 2006-07-20 ブルームバーグ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ベゼルレス電子ディスプレイ
JP2019219480A (ja) * 2018-06-19 2019-12-26 凸版印刷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内蔵壁面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14A (ja) * 1991-07-03 1993-01-19 Inax Corp 情報表示付流し台
KR20150082963A (ko) * 2014-01-08 2015-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모션 인식을 이용한 서비스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56950A (ko) * 2017-11-17 2019-05-27 안은영 주방용 수납 장치
JP7469905B2 (ja) 2020-02-21 2024-04-17 株式会社 ゼンショーホールディングス 厨房内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厨房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7302A (ja) * 2002-09-03 2006-07-20 ブルームバーグ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ベゼルレス電子ディスプレイ
JP2019219480A (ja) * 2018-06-19 2019-12-26 凸版印刷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内蔵壁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250A (ko)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005191B (zh) 显示辅助装置中的多功能扬声器外壳
US11212427B2 (en) Doorbell camera
US11039048B2 (en) Doorbell camera
EP3407591B1 (en) Camera assembly having a single-piece cover element
US10624219B2 (en) Interactive cabinetry door for use with a cabinet base
US7755611B2 (en) Decorative concealed audio-visual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US10621733B2 (en) Enhanced visualization of breathing or heartbeat of an infant or other monitored subject
US10321165B2 (en) Set-top box with interactive portal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20190252814A1 (en) System for Controlling Living Space Features
US11671683B2 (en) Doorbell camera
KR101272653B1 (ko)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
US11997370B2 (en) Doorbell camera
KR102512621B1 (ko) 스마트 주방 시스템
CN111316193B (zh) 显示助理设备
KR20090020333A (ko) 도어 감시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도어 개폐시스템
US20210021875A1 (en) Set-Top Box with Interactive Portal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JP2001033097A (ja) テレビリモコン付給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