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329B1 - 에어유동 및 에어온도 균일 열전달 분포를 위한 에어 디퓨저를 내장한 공기식 태양광 발전·열 복합컬렉터 - Google Patents

에어유동 및 에어온도 균일 열전달 분포를 위한 에어 디퓨저를 내장한 공기식 태양광 발전·열 복합컬렉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329B1
KR102512329B1 KR1020220046685A KR20220046685A KR102512329B1 KR 102512329 B1 KR102512329 B1 KR 102512329B1 KR 1020220046685 A KR1020220046685 A KR 1020220046685A KR 20220046685 A KR20220046685 A KR 20220046685A KR 102512329 B1 KR102512329 B1 KR 102512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ffuser
duct
heat
perforat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6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태
김진희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46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40Thermal components
    • H02S40/44Means to utilise heat energy, e.g. hybrid systems producing warm water and electricity at the same ti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52Cooling mean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integrated Peltier elements for active cooling or heat sink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PV cells
    • H01L31/0521Cooling mean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integrated Peltier elements for active cooling or heat sink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PV cells using a gaseous or a liquid coolant, e.g. air flow ventilation, water circ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40Thermal components
    • H02S40/42Cooling means
    • H02S40/425Cooling means using a gaseous or a liquid coolant, e.g. air flow ventilation, water circ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20Solar therm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70Hybrid systems, e.g. uninterruptible or back-up power supplies integrating renewable ener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유동 및 에어온도 균일 열전달 분포를 위한 에어 디퓨저를 내장한 공기식 태양광 발전·열 복합 PVT 컬렉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식 태양광 발전·열 복합 PVT 컬렉터 내부에 에어유동 및 에어온도가 균일분포를 이루면서 균일 열전달 분포를 이루도록 PVT 컬렉터 입구에 균일한 에어 분배를 위한 에어 디퓨저를 내장하여 균일한 태양광 발전 방열 및 공기 전열에 따른 균일한 태양광 발전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에어유동 및 에어온도 균일 열전달 분포를 위한 에어 디퓨저를 내장한 공기식 태양광 발전·열 복합 PVT 컬렉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유동 및 에어온도 균일 열전달 분포를 위한 에어 디퓨저를 내장한 공기식 태양광 발전·열 복합컬렉터{Air type photohvoltaic-thermal collector with a built-in diffuser for uniform heat exchange distribution of air flowage and air temperature}
본 발명은 에어유동 및 에어온도 균일 열전달 분포를 위한 에어 디퓨저를 내장한 공기식 태양광 발전·열 복합 PVT 컬렉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식 태양광 발전·열 복합 PVT 컬렉터 내부에 에어유동 및 에어온도가 균일분포를 이루면서 균일 열전달 분포를 이루도록 PVT 컬렉터 입구에 균일한 에어 분배를 위한 에어 디퓨저를 내장하여 균일한 태양광 발전 방열 및 공기 전열에 따른 균일한 태양광 발전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에어유동 및 에어온도 균일 열전달 분포를 위한 에어 디퓨저를 내장한 공기식 태양광 발전·열 복합 PVT 컬렉터에 관한 것이다.
지구온난화에 의한 환경문제가 세계적으로 꾸준히 주목받고 있고,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 감소와 화석연료의 자원고갈 등을 대체하기 위해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신재생에너지가 주목받고 있으며, 최근들어 탈원전, 기상이변에 따라 신재생에너지의 개발촉진 그 수요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2030년까지 발전량의 20%를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한다는 목표로 신재생에너지 보급확대를 추진 중이며, 에너지공단과 지자체를 통해 주택보급지원사업, 소형 태양광 설치 지원사업 등으로 공동주택단위의 태양광발전 보급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신재생에너지원 중 태양광을 이용한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system)은 태양광 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하여 공급하며, 또한 건물 일체형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별도의 태양광 설치를 위한 공간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BIPV 시스템은 다음 그림에서와 같이 현재 지붕, 외벽, 차양, 베란다 등 다양한 디자인으로 개발되어 건물에 적용되고 있다.
Figure 112022040385176-pat00001
특히, 상기와 같은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system)은 BIPV 온도상승에 따른 효율감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시작되어, 현재 열과 전기를 동시에 생산하는 태양광발전·열 복합(Photovoltaic Thermal;PVT) 시스템(일명, PVT 컬렉터)으로서 개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공기식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열 복합(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Thermal; BIPVT) 컬렉터는 제작공정이 단순하고 기존의 태양열집열기와 달리 열매체로서 공기를 사용하여 과열, 누수 및 동파 문제에 대한 우려가 없이 건물외피에 통합이 가능하고 집열 및 사용이 단순하여 열원시스템으로 응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PVT 컬렉터에 관한 종래 기술을 살펴 보면, 한국등록특허 10-1449561(등록일자 2014년10월02일)에 건물외벽에 수식 집열기(100)를 부착하는 건물일체형 태양광 열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박스형으로서 건물외벽에 설치되며, 전면 일측에 다수의 태양전지 셀들로 구성된 태양전지 패널(110)을 구비하는 수식 집열기(100)와, 수식 집열기 내의 태양전지 패널(110) 후면부에 배관되어, 패널(110)에서 발생되는 열에 따라 관로 내부의 유체를 가열하는 집열관로(130)와, 상기 집열관로(130)를 가열하고 남은 수식 집열기(100) 내부의 폐열을 배출하는 배기구(120)와, 상기 집열관로(130)의 배출부(138)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집열관로(130) 내의 유체를 강제 배출시키는 펌프(160)와, 상기 펌프(160)의 동작에 따라 탱크(200)로 이동되는 유체를 가열하는 히터(170)와, 상기 집열관로(130)의 유입부(134)와 배출부(138) 양측에서 관로 내부 유체의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부(140)와, 상기 유입부(134)와 배출부(138) 양측에서 검출된 유체의 온도차가 기준값을 넘는 경우, 상기 펌프(160)를 동작시켜 집열관로 내의 유체를 탱크(200)로 이동시키는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유입부(134) 측에서 주기적으로 검출된 유체의 온도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히터 (170)를 구동하여 탱크(200)로 이동되는 유체를 상기 임계치 또는 그 이상의 온도까지 가열시키며, 상기 센서부(140)는 상기 집열관로(130)의 유입부(134) 일측에 장착되어, 집열관로(130) 내 유체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1센서(144)와, 상기 집열관로(130)의 배출부(138) 일측에 장착되어, 집열관로(130) 내 유체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2센서(148)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기구(120)는 수식 집열기(100) 전면부 상측에 다수개 형성되며, 전체 배기구의 면적은 수식 집열기 (100) 전면부 면적의 10% 이상을 차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열 시스템이 개발된 바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1623351(등록일자 2016년05월17일)에 건물의 외벽에 장착가능하게 구비되는 외곽프레임과; 상기 외곽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고 태양 빛을 수광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시키는 태양전지모듈과; 상기 태양전지모듈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상기 외곽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어 외부로의 열손실을 차단하는 단 열백패널과; 상기 외곽프레임의 내측에 공기를 수용가능한 공간을 이루도록 상기 태양전지모듈 및 상기 단열백패널의 사이에 형성되고 공기의 유입구 및 배출구에 각각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에어포켓공간과; 상기 단열백패널 상에 구비하되 상기 에어포켓공간을 향해 돌출형성되어 공기와 접촉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로 부터 발생된 열이 전도되어 공기에 전달하는 복수 개의 베플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저면에 부착되고 상기 베플체 및 상기 에어포켓공간을 향해 열 전달가능하게 형성되며 0.2~0.4㎜의 두께를 갖는 박막형태의 구리 재질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금속전도막을 포함하며, 상기 베플체는 상기 에어포켓공간을 구획하되 상기 단열백패널 상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에어포켓 공간에 수용된 공기의 이동가능한 경로를 이루는 에어유동로를 포함하고, 상기 베플체는 상기 에어포켓공간 내 공기가 상기 에어유동로를 통해 파형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게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배열배치되고, 상기 베플체는 "-"자 형상, "∨"자 형상 중 에서 선택한 단면형상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공기식 태양광열 복합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1803838(등록일자 2017년11월27일)에 내측에 공기를 수용가능한 에어포켓공간을 형성하는 외곽프레임과; 상기 외곽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시키되 복수개의 솔라셀이 연결된 셀집합체가 전후 길이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열 배치되는 수광발전부와, 상기 수광발전부의 사이마다 형성되어 태양광을 에어포켓공간을 향해 투과시키는 광투과부로 구성되는 태양광모듈과; 상기 외곽프레임의 에어포켓공간 내에 공기와 접촉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태양광모듈의 광투과부에 대응된 위치에서 태양광과의 접촉에 따른 열원을 흡수한 후 상기 에어포켓공간 내 접촉 공기에 전달하는 집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집열판은 주재인 동박판의 표면에 흡열성능을 위한 티타늄을 코팅하여 구성하며, 상기 집열판은 태양광이 접하는 접촉면이 하측으로 오목한 곡면을 갖는 라운드형의 단면형상으로 성형하되, 상기 집열판의 양쪽 끝단에 굴곡진 구조로 연장형성하여 집열 열원의 열 전도를 균일하게 유도하는 베플단을 포함하고, 상기 집열판은 상기 태양광모듈을 향한 태양광의 입사각도를 추적하여 좌우 회전방향으로 각도조절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집열판의 하부에 부착 설치되고 내부에 열매체를 순환하되 상기 집열판의 열원을 열매체에 전달할 수 있게 열 전도하는 순환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파이프는 상기 집열판을 향한 상면이 개방된 구조로 절개되어 상기 집열판에 열매체가 직접적으로 접 촉할 수 있게 형성되는 절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기집열식 PVT 컬렉터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1742248(등록일자 2017년05월25일)에 위도 및 경도를 산출하고 외부로부터 시각 정보를 입력 받으며, 상기 위도 및 경도 그리고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태양의 고도와 방위각을 산출하여 상기 태양의 위치를 산출하며 프로그램 기반으로 구현된 위치 산출부; 복수개가 여러 층으로 설치되고 단열재로 구성된 케이스 내부에 포함되며, 상기 위치 산출부를 통해 산출한 태양의 위치로 이동하며, 열을 흡수하는 모듈부; 상기 모듈부에서 발생된 열을 흡수한 고온의 물을 저장하는 축열탱크; 및 상기 축열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고온의 물을 이용하여 난방을 제공하는 난방부 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부는, 태양의 위치에 따라 이동하며, 열을 발생하는 태양 전지; 상기 태양 전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태양 전지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는 집열판; 및 상기 집열판이 흡수한 열을 흡수하거나 상기 태양 전지로부터 생성되는 열을 흡수하여 상기 축열탱크로 전달하는 히트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히트 파이프의 주위를 에워싸는 제1 물질; 상기 히트 파이프와 제1 물질 사이의 공간을 채워주는 열 전달 물질; 및 상기 태양 전지의 상부에 위치하며, 대기로의 열손실을 막는 저철분 강화유리를 더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발전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특허기술의 PVT 컬렉터들은 태양광모듈 집열판 하부에 집열파이프 또는 히트파이프를 별도로 설치하게 되므로 구조 및 제작이 복잡한 문제가 있었으며, 특히,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특허받은 한국등록특허 10-1803838에는 열교환 향상을 위하여 배플단을 설치하였으나, 배플단의 구조 및 배열 제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 개발된 PVT 컬렉터들의 컬렉터 내부 에어 흐름 및 열전달 분포를 살펴 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PVT 컬렉터 중앙에 형성된 에어 유입구를 통해 PVT 컬렉터 내부로 유입될 때, PVT 컬렉터 내부 공기유동이 중앙부는 빠르고 측면부는 느리기 때문에 이에 따른 에어 유동 편차로 인한 열전달 차이에 의해 집열성능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 공기식 PVT 컬렉터는 에어 열원이 덕트를 통해 공조기로 보내지는데, 컬렉터 내부의 에어 유동이 균일하지 않고 컬렉터 후면에 연결된 원형덕트 쪽으로 에어 유동의 쏠림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태양광발전모듈의 온도분포가 불균일하여 전기성능 저하가 발생하고 열전달 효과가 떨어져 집열성능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001] 한국등록특허 10-1449561(등록일자 2014년10월02일) [특허문헌 002] 한국등록특허 10-1623351(등록일자 2016년05월17일) [특허문헌 003] 한국등록특허 10-1803838(등록일자 2017년11월27일) [특허문헌 004] 한국등록특허 10-1742248(등록일자 2017년05월25일)
본 발명은, 상기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식 태양광 발전·열 복합 PVT 컬렉터 내부에 에어유동 및 에어온도가 균일분포를 이루면서 균일 열전달 분포를 이루도록 PVT 컬렉터 입구에 균일한 에어 분배를 위한 에어 디퓨저를 내장하여 균일한 태양광 발전 방열 및 공기 전열에 따른 균일한 태양광 발전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에어유동 및 에어온도 균일 열전달 분포를 위한 에어 디퓨저를 내장한 공기식 태양광 발전·열 복합 PVT 컬렉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태양광을 수광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시키는 태양광모듈과; 상기 태양광모듈의 배면에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에어덕트와; 상기 에어덕트의 길이방향 시작 단부 일측면에 상기 에어덕트의 공기유로와 직각방향으로 연통되어 에어가 유입되는 에어유입부와; 상기 에어유입부로부터 유입된 에어가 상기 에어덕트의 공기유로를 향하여 직각방향으로 균일하게 확산되도록 상기 에어유입부와 연통되고, 상기 에어덕트의 길이방향 시작 내부 단부로부터 상기 에어유입부의 크기에 대응되는 폭으로 이격되어 상기 에어덕트의 단면에 대응하는 격벽으로서, 단면에 복수의 에어홀이 형성된 타공 플레이트 에어 디퓨저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에어 디퓨저 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에어유동 및 에어온도 균일 열전달 분포를 위한 에어 디퓨저를 내장한 공기식 태양광 발전·열 복합 PVT 컬렉터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에어 디퓨저 덕트는 상기 타공 플레이트 에어 디퓨저로 구획될 때, 상기 에어 디퓨저 덕트 내부 일측면은 상기 에어덕트의 길이방향 시작 내부 단부로부터 상기 에어유입부의 크기에 대응되는 폭으로 이격되어 상기 타공 플레이트 에어 디퓨저 일측면이 접하여 구획 형성된 후, 상기 에어유입구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에어 디퓨저 덕트가 좁아지는 형상으로 상기 타공 플레이트 에어 디퓨저가 경사면을 이루고, 상기 에어 디퓨저 덕트 내부 타측면 끝단 모서리부는 상기 타공 플레이트 에어 디퓨저 타측면이 접하여 구획 형성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타공 플레이트 에어 디퓨저는 얇은 박막형태의 알루미늄 재질 또는 동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에어유동 및 에어온도 균일 열전달 분포를 위한 에어 디퓨저를 내장한 공기식 태양광 발전·열 복합 PVT 컬렉터는 공기식 태양광 발전·열 복합 PVT 컬렉터 내부에 에어유동 및 에어온도가 균일분포를 이루면서 균일 열전달 분포를 이루도록 PVT 컬렉터 입구에 균일한 에어 분배를 위한 에어 디퓨저를 내장하여 균일한 태양광 발전 방열 및 공기 전열에 따른 균일한 태양광 발전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유동 및 에어온도 균일 열전달 분포를 위한 에어 디퓨저를 내장한 공기식 태양광 발전·열 복합 PVT 컬렉터 상부 및 폭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유동 및 에어온도 균일 열전달 분포를 위한 에어 디퓨저를 내장한 공기식 태양광 발전·열 복합 PVT 컬렉터 내부 공기유동분포를 나타낸 도면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유동 및 에어온도 균일 열전달 분포를 위한 에어 디퓨저를 내장한 공기식 태양광 발전·열 복합 PVT 컬렉터 내부 공기유동분포에 의한 온도분포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 PVT 컬렉터 중앙에 형성된 에어 유입구를 통한 PVT 컬렉터 내부 공기유동분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종래 PVT 컬렉터 중앙에 형성된 에어 유입구를 통한 PVT 컬렉터 내부 공기유동분포에 의한 온도분포 편차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태양광을 수광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시키는 태양광모듈과; 상기 태양광모듈의 배면에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에어덕트와; 상기 에어덕트의 길이방향 시작 단부 일측면에 상기 에어덕트의 공기유로와 직각방향으로 연통되어 에어가 유입되는 에어유입부와; 상기 에어유입부로부터 유입된 에어가 상기 에어덕트의 공기유로를 향하여 직각방향으로 균일하게 확산되도록 상기 에어유입부와 연통되고, 상기 에어덕트의 길이방향 시작 내부 단부로부터 상기 에어유입부의 크기에 대응되는 폭으로 이격되어 상기 에어덕트의 단면에 대응하는 격벽으로서, 단면에 복수의 에어홀이 형성된 타공 플레이트 에어 디퓨저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에어 디퓨저 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에어유동 및 에어온도 균일 열전달 분포를 위한 에어 디퓨저를 내장한 공기식 태양광 발전·열 복합 PVT 컬렉터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 디퓨저 덕트는 상기 타공 플레이트 에어 디퓨저로 구획될 때, 상기 에어 디퓨저 덕트 내부 일측면은 상기 에어덕트의 길이방향 시작 내부 단부로부터 상기 에어유입부의 크기에 대응되는 폭으로 이격되어 상기 타공 플레이트 에어 디퓨저 일측면이 접하여 구획 형성된 후, 상기 에어유입구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에어 디퓨저 덕트가 좁아지는 형상으로 상기 타공 플레이트 에어 디퓨저가 경사면을 이루고, 상기 에어 디퓨저 덕트 내부 타측면 끝단 모서리부는 상기 타공 플레이트 에어 디퓨저 타측면이 접하여 구획 형성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공 플레이트 에어 디퓨저는 얇은 박막형태의 알루미늄 재질 또는 동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에어유동 및 에어온도 균일 열전달 분포를 위한 에어 디퓨저를 내장한 공기식 태양광 발전·열 복합 PVT 컬렉터는, 태양광을 수광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시키는 태양광모듈(100)과; 상기 태양광모듈의 배면에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에어덕트(200)와; 상기 에어덕트(200)의 길이방향 시작 단부 일측면에 상기 에어덕트의 공기유로와 직각방향으로 연통되어 에어가 유입되는 에어유입부(300)와; 상기 에어유입부(300)로부터 유입된 에어가 상기 에어덕트의 공기유로를 향하여 직각방향으로 균일하게 확산되도록 상기 에어유입부(300)와 연통되고, 상기 에어덕트의 길이방향 시작 내부 단부로부터 상기 에어유입부의 크기에 대응되는 폭으로 이격되어 상기 에어덕트의 단면에 대응하는 격벽으로서, 단면에 복수의 에어홀이 형성된 타공 플레이트 에어 디퓨저(400)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에어 디퓨저 덕트(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타공 플레이트 에어 디퓨저(400)는 얇은 박막형태의 알루미늄 재질 또는 동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에어 열전달 효율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 디퓨저 덕트(500)는 상기 타공 플레이트 에어 디퓨저(400)로 구획될 때, 상기 에어 디퓨저 덕트 내부 일측면은 상기 에어덕트(200)의 길이방향 시작 내부 단부로부터 상기 에어유입부(300)의 크기에 대응되는 폭으로 이격되어 상기 타공 플레이트 에어 디퓨저(400) 일측면이 접하여 구획 형성된 후, 상기 에어유입구(300)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에어 디퓨저 덕트(500)가 좁아지는 형상으로 상기 타공 플레이트 에어 디퓨저(400)가 경사면을 이루고, 상기 에어 디퓨저 덕트 내부 타측면 끝단 모서리부는 상기 타공 플레이트 에어 디퓨저(400) 타측면이 접하여 구획 형성된다.
즉, 상기와 같이, 상기 타공 플레이트 에어 디퓨저(400)가 경사면을 이루면서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에어 디퓨저 덕트(500)가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은 상기 상기 에어유입부(300)로 유입되는 에어가 상기 에어 디퓨저 덕트(500)의 좁아지는 단면에 비례하여 에어압력이 증가하면서 상기 에어덕트(200)의 단면에 균일한 에어압력이 작용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핵심 기술적 특징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타공 플레이트 에어 디퓨저(400)는 단면 전면적에 걸쳐서 복수의 에어홀(600)이 형성되므로 상기 에어덕트(200)의 단면에 균일한 에어유동분포로 확산되도록 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에어유동 및 에어온도 균일 열전달 분포를 위한 에어 디퓨저를 내장한 공기식 태양광 발전·열 복합 PVT 컬렉터의 에어유동분포와 에어온도분포를 종래 PVT 컬렉터와 비교해 보면, 종래 PVT 컬렉터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PVT 컬렉터 중앙에 형성된 에어 유입구를 통해 PVT 컬렉터 내부로 유입될 때, PVT 컬렉터 내부 공기유동이 중앙부는 최고유속이 1.2m/sec에 이르는 반면(붉은색 범위), 측면부는 최고유속이 0.1m/sec 이하로 매우 낮아 에어 유동분포의 편차가 매우 크기 때문에 에어로의 열전달 편차가 그만큼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PVT 컬렉터는 상기와 같이, 에어 유동분포의 편차가 매우 크고, 그에 따른 열전달 편차가 크기 때문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는 에어온도가 낮고, 측면부는 에어온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됨에 따라, 균일한 태양광 발전 방열 및 공기 전열에 따른 균일한 태양광 발전 온도를 유지할 수 없게 되고, 집열성능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에어유동 및 에어온도 균일 열전달 분포를 위한 에어 디퓨저를 내장한 공기식 태양광 발전·열 복합 PVT 컬렉터의 에어유동분포를 보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 및 측면부 모두 에어유동분포가 0.3m/sec이내 범위로서 편차가 없이 균일한 상태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PVT 컬렉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도분포가 균일하므로 균일한 태양광 발전 방열 및 공기 전열에 따른 균일한 태양광 발전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태양광모듈 200 : 에어덕트
300 : 에어유입부 400 : 타공 플레이트 에어 디퓨저
500 : 에어 디퓨저 덕트 600 : 에어홀

Claims (3)

  1. 태양광을 수광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시키는 태양광모듈과; 상기 태양광모듈의 배면에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에어덕트와; 상기 에어덕트의 길이방향 시작 단부 일측면에 상기 에어덕트의 공기유로와 직각방향으로 연통되어 에어가 유입되는 에어유입부와; 상기 에어유입부로부터 유입된 에어가 상기 에어덕트의 공기유로를 향하여 직각방향으로 균일하게 확산되도록 상기 에어유입부와 연통되고, 상기 에어덕트의 길이방향 시작 내부 단부로부터 상기 에어유입부의 크기에 대응되는 폭으로 이격되어 상기 에어덕트의 단면에 대응하는 격벽으로서, 단면에 복수의 에어홀이 형성된 타공 플레이트 에어 디퓨저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에어 디퓨저 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에어 디퓨저 덕트는 상기 타공 플레이트 에어 디퓨저로 구획될 때, 상기 에어 디퓨저 덕트 내부 일측면은 상기 에어덕트의 길이방향 시작 내부 단부로부터 상기 에어유입부의 크기에 대응되는 폭으로 이격되어 상기 타공 플레이트 에어 디퓨저 일측면이 접하여 구획 형성된 후, 상기 에어유입부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에어 디퓨저 덕트가 좁아지는 형상으로 상기 타공 플레이트 에어 디퓨저가 경사면을 이루고, 상기 에어 디퓨저 덕트 내부 타측면 끝단 모서리부는 상기 타공 플레이트 에어 디퓨저 타측면이 접하여 구획 형성되며,
    상기 타공 플레이트 에어 디퓨저는 얇은 박막형태의 알루미늄 재질 또는 동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유동 및 에어온도 균일 열전달 분포를 위한 에어 디퓨저를 내장한 공기식 태양광 발전·열 복합 PVT 컬렉터
  2. 삭제
  3. 삭제
KR1020220046685A 2022-04-15 2022-04-15 에어유동 및 에어온도 균일 열전달 분포를 위한 에어 디퓨저를 내장한 공기식 태양광 발전·열 복합컬렉터 KR102512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685A KR102512329B1 (ko) 2022-04-15 2022-04-15 에어유동 및 에어온도 균일 열전달 분포를 위한 에어 디퓨저를 내장한 공기식 태양광 발전·열 복합컬렉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685A KR102512329B1 (ko) 2022-04-15 2022-04-15 에어유동 및 에어온도 균일 열전달 분포를 위한 에어 디퓨저를 내장한 공기식 태양광 발전·열 복합컬렉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2329B1 true KR102512329B1 (ko) 2023-03-20

Family

ID=85796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6685A KR102512329B1 (ko) 2022-04-15 2022-04-15 에어유동 및 에어온도 균일 열전달 분포를 위한 에어 디퓨저를 내장한 공기식 태양광 발전·열 복합컬렉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232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561B1 (ko) 2014-02-27 2014-10-14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건물일체형 태양광 열 시스템
KR20160024688A (ko) * 2014-08-26 2016-03-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냉각 효율이 향상된 배터리팩
KR101623351B1 (ko) 2015-01-12 2016-05-2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식 태양광열 복합시스템
KR101742248B1 (ko) 2016-03-03 2017-06-15 한국과학기술원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발전 시스템
KR101803838B1 (ko) 2016-02-01 2017-12-0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집열식 pvt 컬렉터
KR20210098636A (ko) * 2020-02-03 2021-08-1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건물 일체형 공기식 태양광 발전·열 복합컬렉터
KR20210104235A (ko) * 2020-02-16 2021-08-25 민승기 태양광,태양열 유도장치가 구비된 태양광 발전판용 모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561B1 (ko) 2014-02-27 2014-10-14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건물일체형 태양광 열 시스템
KR20160024688A (ko) * 2014-08-26 2016-03-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냉각 효율이 향상된 배터리팩
KR101623351B1 (ko) 2015-01-12 2016-05-2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식 태양광열 복합시스템
KR101803838B1 (ko) 2016-02-01 2017-12-0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집열식 pvt 컬렉터
KR101742248B1 (ko) 2016-03-03 2017-06-15 한국과학기술원 하이브리드 태양광열 발전 시스템
KR20210098636A (ko) * 2020-02-03 2021-08-1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건물 일체형 공기식 태양광 발전·열 복합컬렉터
KR20210104235A (ko) * 2020-02-16 2021-08-25 민승기 태양광,태양열 유도장치가 구비된 태양광 발전판용 모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유지숙 외 3명. 타공 베플이 적용된 공기식 PVT 컬렉터의 실험을 통한 열· 전기성능 평가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41, No.1, February 2021, pp.25-3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37726B (zh) 一种用于燃料电池传热均温的风冷式模块
KR101401422B1 (ko) 태양에너지와 지열을 융합한 열-전기 복합 생산 시스템
KR101568606B1 (ko) 태양광열 모듈 및 이 태양광열 모듈을 포함하는 태양광열 및 지열 시스템
KR101745902B1 (ko) 태양열 및 공기열 복합집열기에 의한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시스템
KR102179157B1 (ko) 냉각 장치 및 방법
CN109037731B (zh) 一种用于大功率燃料电池传热均温的液冷式模块
KR20160136528A (ko) 태양열 및 태양광 복합 태양 에너지 온수기
JP5191645B2 (ja) 熱電気複合型太陽電池システム
CN105552401A (zh) 燃料电池设备及燃料电池能源系统
KR102364683B1 (ko) 건물 일체형 공기식 태양광 발전·열 복합컬렉터
CN208489331U (zh) 一种电池包的散热和加热装置
KR101888509B1 (ko) 밀봉구조의 투과체 일체형 흡수판을 적용한 복합열원 태양열 집열기
KR102512329B1 (ko) 에어유동 및 에어온도 균일 열전달 분포를 위한 에어 디퓨저를 내장한 공기식 태양광 발전·열 복합컬렉터
CN103807909A (zh) 一种新型分布式太阳能相变蓄能供暖装置及方法
CN107923658B (zh) 用作集热器的屋顶板
US6857425B2 (en) Solar energy collector system
KR101923976B1 (ko) 히트펌프에 연계된 태양열 및 공기열 복합집열기의 공기순환 방지구조를 이용한 복합 시스템
US11967928B2 (en) Hybrid energy generation device using sunlight and solar heat
KR101914095B1 (ko) Pvt 모듈을 이용한 신발건조장치
KR102441796B1 (ko) 건물 일체형 공기식 태양광 발전·열 복합컬렉터
JP2013117327A (ja) 超軽量型太陽エネルギー利用システム
CN111962777A (zh) 屋面结构
KR102339077B1 (ko) 온도조절 pcm 패치를 구비한 건물 일체형 공기식 태양광 발전·열 복합컬렉터
WO2023073418A1 (en) Hybrid solar panel with a transparent liquid thermal collector, the method of manufacturing of the hybrid solar panel
CN210425596U (zh) 一种太阳能光伏光热集热装置及热电联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