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004B1 - 전장부품 냉각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장부품 냉각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004B1
KR102512004B1 KR1020180012706A KR20180012706A KR102512004B1 KR 102512004 B1 KR102512004 B1 KR 102512004B1 KR 1020180012706 A KR1020180012706 A KR 1020180012706A KR 20180012706 A KR20180012706 A KR 20180012706A KR 102512004 B1 KR102512004 B1 KR 102512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hole
seating groove
tank
electric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3277A (ko
Inventor
조위삼
임홍영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2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004B1/ko
Priority to CN201910103477.5A priority patent/CN110113909B/zh
Priority to US16/265,468 priority patent/US20190234696A1/en
Publication of KR20190093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218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liquid coolant without phase change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272Accessories for moving fluid, for expanding fluid, for connecting fluid conduits, for distributing fluid, for removing gas or for preventing leakage, e.g. pumps, tanks or manifo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19Arrangements for sealing end plates into casing or header box; Header box sub-elements
    • F28F9/0221Header boxes or end plates formed by stacked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H05K7/20927Liquid coolant without phase 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7Physical arrangements or structures of drive train converter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pulsion motors of electric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the conduits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 F28D1/05358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side by side or with individual headers, e.g. section type radi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2009/0285Other particular headers or end plates
    • F28F2009/0297Side headers, e.g. for radiators having conduits laterally connected to common hea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30/00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레이트 타입 열교환기 형태로 이루어지되 가스켓 안착 공간이 원활하게 확보될 수 있으면서도 제작성이 뛰어난, 전장부품 냉각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켓 안착 공간의 설계를 개선함으로써 튜브 간 간격이 소자 두께로 한정되는 설계 제약 하에서도 가스켓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제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전장부품 냉각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더 나아가서는,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켓 안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기밀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냉각수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전장부품 냉각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전장부품 냉각기 및 그 제조 방법 {Electronic unit cool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electronic unit cooler}
본 발명은 전장부품 냉각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친환경 자동차에 사용되는 전장부품 냉각기에 있어서 기밀 유지 및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전장부품 냉각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자동차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구동되는 엔진을 동력원으로 사용하여 왔으나, 환경오염 문제 및 화석연료 고갈로 인하여 최근 전기로 구동되는 모터 및 엔진을 함께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또는 모터만을 사용하는 전기 자동차와 같은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고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친환경 자동차에서는 전원인 축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사용하여 모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자동차의 주행이 이루어지며, 이 때 전원에서 모터로 공급되는 전기를 직류에서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가 장착된다. 이처럼 인버터는 이러한 전력 변환을 위한 전자 소자를 복수 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높은 출력을 필요로 하는 친환경 자동차의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보다 높은 출력을 얻기 위한 설계 개선 및 변경이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과정에서 인버터에 포함되는 소자의 개수가 점점 늘어나게 됨에 따라, 인버터가 작동하면서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의 열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현재에는 복수 개의 소자들로 이루어지는 인버터에 냉각수가 순환하면서 소자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소자를 냉각시키는 쿨러가 통합적으로 구성되는 형태로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장치를 칭함에 있어서, 장치 자체의 궁극적인 목적이 전력을 변환하기 위한 것이므로 전체적으로 인버터라고 칭하기도 하지만,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쿨러 부분을 일컬어 별도로 인버터쿨러라고 칭하기도 한다. 일본특허공개 제2012-212776호("전력 변환 장치", 2012.11.01, 이하 '선행문헌 1')에는 이러한 인버터쿨러의 구성예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 1에 개시된 인버터쿨러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냉각수 튜브가 적층 형성되며, 적층된 튜브들의 양단에는 한 쌍의 탱크가 연통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튜브들 상에 복수 개의 소자들이 배치된다. 냉각수는 일측 탱크로 유입되어 튜브들을 통해 흘러가 타측 탱크로 모인 후 배출되며, 이 과정에서 튜브 상에 배치된 소자에서 발생된 열이 냉각수로 흡수되어 소자의 냉각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친환경 자동차에는 인버터 뿐 아니라 다양한 전장부품이 포함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인버터를 냉각하는 인버터쿨러 뿐 아니라 전장부품을 냉각하기 위한 다양한 냉각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장부품 냉각기는 선행문헌 1과 같이 튜브-탱크 타입 열교환기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레이트 타입 열교환기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플레이트 타입 열교환기란 요철 및 통공이 형성된 플레이트들이 적층되어 만들어지는 열교환기를 말한다. 그러나 전장부품 냉각기를 플레이트 타입 열교환기와 같은 형태로 제작하는 것에는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장부품 냉각기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소자를 냉각하도록 이루어지는데, 전장부품 냉각기의 기밀이 유지되지 못하여 냉각수가 누출될 경우 소자에 치명적인 손상을 줄 위험이 있다. 따라서 전장부품 냉각기의 설계 및 제작에 있어서 기밀 유지는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소이다. 한편 전장부품 냉각기의 설계에 있어서, 소자 냉각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소자의 상하 양면이 모두 냉각수가 유통되는 튜브에 밀착 접촉해야 하기 때문에, 튜브 간 간격이 소자의 두께로 제한된다는 제약이 있다. 그런데 전장부품 냉각기를 플레이트 타입 열교환기 형태로 제작할 경우, 튜브 간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플레이트들끼리 연결되는 부분의 부피가 제한되며, 따라서 이 부분에 기밀 유지를 위한 가스켓이 구비되게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종래에도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소자를 삽입한 후 압착하는 방식 등이 고려되고 있으나, 압착 과정에서 장치 형상이 왜곡되거나 장치 또는 소자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역시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
1. 일본특허공개 제2012-212776호("전력 변환 장치", 2012.11.0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레이트 타입 열교환기 형태로 이루어지되 가스켓 안착 공간이 원활하게 확보될 수 있으면서도 제작성이 뛰어난, 전장부품 냉각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켓 안착 공간의 설계를 개선함으로써 튜브 간 간격이 소자 두께로 한정되는 설계 제약 하에서도 가스켓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제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전장부품 냉각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더 나아가서는,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켓 안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기밀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냉각수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전장부품 냉각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장부품 냉각기(10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 및 하면을 가지며 내부로 냉각수를 유통시키는 복수 개의 튜브(120) 및 높이 방향으로 적층 배치된 복수 개의 상기 튜브(120)들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튜브(120)들로 냉각수를 유통시키는 한 쌍의 탱크(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튜브(120)들의 사이에 복수 개의 전력 변환용 소자(200)가 개재되어 상기 소자(200)를 냉각시키는 전장부품 냉각기(100)에 있어서, 상기 튜브(120)는 상면 및 하면 각각의 양단에 상면통공(121) 및 하면통공(122)이 형성되고, 상기 탱크(110)는 상기 튜브(120)의 양단에 결합되며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 개의 탱크단위체(115)로 이루어지되, 상기 탱크단위체(115)는, 중심에 제1통공(111a)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통공(111a)을 둘러싸는 형태로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안착홈(111b)이 형성되고, 상기 제1통공(111a) 및 상기 상면통공(121)이 연통되도록 하면이 상기 튜브(120)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1부재(111); 중심에 제2통공(112a)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2통공(112a)을 둘러싸는 형태로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안착홈(112b)이 형성되고, 상기 제2통공(112a) 및 상기 하면통공(122)이 연통되도록 상면이 상기 튜브(120)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2부재(11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적층된 한 쌍의 상기 탱크단위체(115)에 대하여, 상측의 상기 탱크단위체(115) 하면의 상기 제2안착홈(112b) 및 하측의 상기 탱크단위체(115) 상면의 상기 제1안착홈(111b)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공간에 가스켓(130)이 안착 배치되도록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장부품 냉각기(100)는, 최상단의 상기 튜브(120)의 상기 상면통공(121)을 밀폐하는 상면덮개(113) 및 최하단의 상기 튜브(120)의 상기 하면통공(122)을 밀폐하는 하면덮개(11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단위체(115)는, 상기 제1부재(111) 및 상기 제2부재(112)가 블록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부재(111)의 하부에 상기 튜브(120)가 삽입되도록 제1튜브안착홈(111c)이 형성되거나, 상기 제2부재(112)의 상부에 상기 튜브(120)가 삽입되도록 제2튜브안착홈(112c)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탱크단위체(115)는, 상기 제1부재(111)에만 상기 튜브(120)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는 상기 제1튜브안착홈(111c)이 형성되거나, 상기 제2부재(112)에만 상기 튜브(120)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는 상기 제2튜브안착홈(112c)이 형성되거나, 상기 제1부재(111) 및 상기 제2부재(112)에 각각 상기 제1튜브안착홈(111c) 및 상기 제2튜브안착홈(112c)이 형성되되, 상기 제1튜브안착홈(111c) 및 상기 제2튜브안착홈(112c)의 높이의 합이 상기 튜브(120)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탱크단위체(115)는, 상기 제1부재(111)의 폭 방향 양단에 제1결합공(111d)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부재(112)의 폭 방향 양단에 제2결합공(112d)이 관통 형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탱크단위체(115)가 적층된 조립체에 대하여, 서로 연통된 상기 제1결합공(111d)들 및 상기 제2결합공(112d)들을 관통하여 나사봉(140)이 삽입되며, 상기 나사봉(140)의 높이 방향 양단에 나사(145)가 결합되어 복수 개의 상기 탱크단위체(115)들이 높이 방향으로 압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탱크단위체(115)는, 상기 제1부재(111) 및 상기 제2부재(112)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1안착홈(111b) 및 상기 제2안착홈(112b)은 각각 상기 제1부재(111) 및 상기 제2부재(112)에 프레스 공정에 의해 벤딩되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탱크단위체(115)는, 상기 제1부재(111) 및 상기 제2부재(112)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칭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전장부품 냉각기(100)는, 복수 개의 상기 탱크단위체(115)가 적층된 조립체가 삽입 수용되는 케이스(150)를 더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탱크단위체(115)가 적층된 조립체가 상기 케이스(150)에 삽입됨으로써 복수 개의 상기 탱크단위체(115)들이 높이 방향으로 압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장부품 냉각기(10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통공(121, 122)이 형성된 튜브(120) 및 상기 튜브(120)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튜브(120)의 통공(121, 122)과 연결되는 통공(111a)이 형성된 제1 및 제2부재(111, 112)를 포함하는 단위튜브를 적어도 2개 이상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부재(111, 112) 사이에 배치되어 실링하는 가스켓(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및 제2부재(111, 112)는, 상기 가스켓(130)이 실장될 수 있는 제1안착홈(111b)을 포함하며, 프레싱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장부품 냉각기 제조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상기 전장부품 냉각기(100)를 제조하는 전장부품 냉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통공(111a) 및 상기 상면통공(121)이 연통되도록 상기 제1부재(111) 하면이 상기 튜브(120)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2통공(112a) 및 상기 하면통공(122)이 연통되도록 상기 제2부재(112) 상면이 상기 튜브(120)의 하면에 결합되는 튜브제작단계; 상기 튜브제작단계에 의하여 만들어진 상기 제1부재(111), 상기 제2부재(112), 상기 튜브(120)의 조립체를 단위튜브라 할 때, 하나의 상기 단위튜브가 배치되고, 상기 단위튜브의 상면에 상기 소자(200)가 배치되며, 상기 단위튜브의 양단 상면으로 노출된 상기 제1안착홈(111b)에 상기 가스켓(130)이 배치되는 소자및가스켓배치단계; 상면에 상기 소자(200) 및 상기 가스켓(130)이 배치된 상기 단위튜브의 상면에 다른 하나의 상기 단위튜브가 배치되어, 다른 하나의 상기 단위튜브의 양단 하면으로 노출된 상기 제2안착홈(112b) 및 상기 제1안착홈(111b)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가스켓(130)이 안착되는 튜브적층단계; 상기 소자및가스켓배치단계, 상기 튜브적층단계가 교번 반복 수행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장부품 냉각기가 플레이트 타입 열교환기 형태로 이루어지면서도, 가스켓 안착 공간의 설계를 개선함으로써 튜브 간 간격이 소자 두께로 한정되는 설계 제약으로 인하여 가스켓 안착 공간 확보가 어려웠던 문제를 극복하여, 결과적으로 플레이트 타입 열교환기 형태로 되면서도 기밀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냉각수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개선된 구조에 의해 튜브들의 적층체를 적층된 높이 방향으로 압착하기가 용이해지며, 이에 따라 기밀의 안정적인 유지 및 냉각수 누출 방지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부가적으로, 가스켓을 고정 및 압착해주는 상대물은 일반적으로 표면의 조도 관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표면 조도를 향상하기 위한 가공 공정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공정 개수 및 제작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적층체의 높이 방향 압착이 용이한 바 표면 조도를 과도하게 높일 필요가 없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튜브들을 서로 연통시키는 탱크 부분을 형성하는 부재들을 프레싱 공정에 의해 매우 용이하게 제작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공정 개수 및 제작 비용을 비약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장부품 냉각기가 종래에 튜브-탱크 타입 열교환기 형태로 이루어지는 대신 플레이트 타입 열교환기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전장부품 냉각기를 제작하기 위해 플레이트를 적층하는 공정과 플레이트들 사이에 소자를 배치하는 공정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종래에 전장부품 냉각기 제작 후 튜브들 사이에 소자를 끼워넣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단위체 적층 공정 - 소자 배치 공정이 교번 반복됨으로써 제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에 튜브들 사이에 소자를 끼워넣는 과정에서 소자가 파손되거나 정위치에 소자가 배치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 등이 원천적으로 배제될 수 있게 되는 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장부품 냉각기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장부품 냉각기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전장부품 냉각기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장부품 냉각기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전장부품 냉각기 제2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전장부품 냉각기 제2실시예의 단면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장부품 냉각기 및 그 제조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장부품 냉각기(100)는, 기본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 및 하면을 가지며 내부로 냉각수를 유통시키는 복수 개의 튜브(120) 및 높이 방향으로 적층 배치된 복수 개의 상기 튜브(120)들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튜브(120)들로 냉각수를 유통시키는 한 쌍의 탱크(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튜브(120)들의 사이에 복수 개의 전력 변환용 소자(200)가 개재된다. 즉 일측의 상기 탱크(110)로 냉각수가 유입되면, 일측의 상기 탱크(110)에 유입된 냉각수가 복수 개의 상기 튜브(120)들로 분배 유입되며, 냉각수가 상기 튜브(120)를 지나면서 상기 튜브(120)에 접촉되어 있는 상기 소자(200)에서 발생된 열을 흡수한다. 열을 흡수한 냉각수는 복수 개의 상기 튜브(120)들에서 배출되어 타측의 상기 탱크(110)로 모이게 되며, 타측의 상기 탱크(110)에 모인 냉각수는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의 전장부품 냉각기(100)는, 상기 튜브(120)는 상면 및 하면 각각의 양단에 상면통공(121) 및 하면통공(122)이 형성되고, 상기 탱크(110)는 상기 튜브(120)의 양단에 결합되며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 개의 탱크단위체(115)로 이루어진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튜브들 사이에 소자가 배치되는데 소자의 상면 및 하면과 튜브의 판면이 잘 접촉해야만 열전달이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런데 종래의 튜브-탱크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전장부품 냉각기의 경우 일반적으로 탱크부가 일체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높이 방향으로의 형상 변화가 불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튜브-탱크 타입 전장부품 냉각기의 경우 전장부품 냉각기 제작이 완료된 후 소자를 튜브들 사이로 끼워넣게 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소자-튜브 간 접촉이 잘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 튜브들 간 간격을 소자 높이와 거의 동일하게 만들기 때문에, 소자-튜브 삽입 공정 중 소자나 튜브가 파손될 위험성이 상당히 크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탱크(110)가 복수 개의 상기 탱크단위체(115)들의 적층체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높이 방향으로의 형상 변화가 가능하다. 즉 상기 튜브(120)들 사이에 상기 소자(200)를 배치한 후 상기 탱크단위체(115)들을 높이 방향으로 압착하여 주면 상기 튜브(120)들 간 간격이 좁아지면서 소자-튜브 간 접촉이 훨씬 우수해질 수 있게 되며, 결과적으로 열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소자의 냉각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탱크(110)가 단위체들의 적층체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냉각수 누출을 방지하도록 기밀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일체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탱크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기밀 유지가 용이하나, 이와 같이 단위체들의 적층체 형태로 이루어지는 조립체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기밀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기밀 유지를 위하여 단위체들 사이에 가스켓을 넣고자 할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튜브들 간 간격이 소자 높이 수준으로 상당히 작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스켓 안착 공간을 형성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탱크단위체(115)들이 서로 적층되면서 상기 탱크단위체(115) 자체의 형상에 의하여 가스켓 안착 공간을 형성하게 되어, 이러한 기밀 유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상기 전장부품 냉각기(100)의 제1실시예를, 도 7 내지 도 10은 상기 전장부품 냉각기(100)의 제2실시예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 모두에서, 상기 탱크단위체(115)는 상기 튜브(120)의 양단에 결합되는 제1부재(111) 및 제2부재(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제1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전장부품 냉각기(100)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달라진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장부품 냉각기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전장부품 냉각기 제1실시예의 사시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전장부품 냉각기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전장부품 냉각기 제1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종합적으로 참조하여 제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장부품 냉각기(100)에서 상기 탱크단위체(115)는 제1부재(111) 및 제2부재(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부재(111)는, 도 1 등에 보이는 바와 같이, 중심에 제1통공(111a)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통공(111a) 및 상기 상면통공(121)이 연통되도록 하면이 상기 튜브(120)의 상면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튜브(120) 내에서 유통되는 냉각수가 상기 상면통공(121)을 통해 상기 제1통공(111a)으로 유통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부재(112) 역시, 도 1 등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부재(111)와 유사하게, 중심에 제2통공(112a)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2통공(112a) 및 상기 하면통공(122)이 연통되도록 상면이 상기 튜브(120)의 하면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튜브(120) 내에서 유통되는 냉각수가 상기 하면통공(122)을 통해 상기 제2통공(112a)으로 유통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부재(111)는 상기 튜브(120)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2부재(112)는 상기 튜브(120)의 하면에 결합된다. 상기 제1부재(111)-상기 튜브(120) 간 결합 및 상기 제2부재(112)-상기 튜브(120) 간 결합은 브레이징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부재(111), 상기 제2부재(112), 상기 튜브(120)의 조립체를 단위튜브라 할 때, 하나의 상기 단위튜브는 하나의 상기 튜브(120) 및 (튜브 양단에 하나씩 구비됨으로써) 한 쌍의 상기 제1부재(111), 한 쌍의 상기 제2부재(112)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상기 단위튜브에서의 냉각수 흐름은, 일측의 (상기 제1부재(111) 및 상기 제2부재(112)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상기 탱크단위체(115)를 통해 냉각수가 유입되면, 상기 탱크단위체(115)와 연통되는 일측의 상기 상면통공(121) 및 상기 하면통공(122)을 통해 상기 튜브(120) 내로 냉각수가 흘러가게 된다. 또한 상기 튜브(120) 내를 흘러간 냉각수는, 타측의 상기 상면통공(121) 및 상기 하면통공(122)과 연통되는 타측의 상기 탱크단위체(115)로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단위튜브들이 복수 개 적층됨으로써 상기 전장부품 냉각기(100)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상기 단위튜브 자체는 각부 간에 브레이징 결합이 이루어져 있으므로 튜브-탱크단위체 결합부위에서 냉각수가 누출될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적다. 그러나 상기 탱크단위체(115)들 간 적층이 이루어질 때, 상기 탱크단위체(115)들 사이는 상대적으로 기밀 유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어 냉각수 누출 위험성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탱크단위체(115)들 간 결합 부위에 가스켓 안착 공간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바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부재(111)의 상면에는 상기 제1통공(111a)을 둘러싸는 형태로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안착홈(111b)이 형성되며, 상기 제2부재(112a)의 하면에는 상기 제2통공(112a)을 둘러싸는 형태로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안착홈(112b)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탱크단위체(115)들이 적층될 경우, 상측의 상기 탱크단위체(115) 하면과 하측의 상기 탱크단위체(115) 상면이 서로 접촉하게 된다. 이처럼 적층된 한 쌍의 상기 탱크단위체(115)에 대하여, 상측의 상기 탱크단위체(115) 하면의 상기 제2안착홈(112b) 및 하측의 상기 탱크단위체(115) 상면의 상기 제1안착홈(111b)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공간에 가스켓(130)이 안착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탱크단위체(115)들 간 결합 부위에 가스켓 안착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탱크단위체(115)들 간 기밀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되어 냉각수 누출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0)이 없을 경우, 상기 탱크단위체(115)들 간 기밀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려면, 상기 탱크단위체(115)들 간 서로 접촉하는 면들(즉 상면 및 하면)의 표면 조도가 매우 높아야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하기 위해서는 상기 탱크단위체(115) 부재들을 제작한 후 표면 조도 향상을 위한 별도의 공정을 수행하여야 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공정 개수 및 제작 비용이 상승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탱크단위체(115)들 간 결합 부위에 가스켓 안착 공간을 형성시키고, 여기에 상기 가스켓(130)을 개재시킴으로써 기밀을 유지하므로, 이러한 표면 조도 관리가 불필요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공정 개수 및 제작 비용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탱크단위체(115)에서는, 상기 제1부재(111) 및 상기 제2부재(112)가 블록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부재(111) 및 상기 제2부재(112)는 원자재 블록에 구멍을 뚫거나 홈을 깎아내는 등과 같은 기본적인 공정만으로 쉽게 제작이 가능하다.
한편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탱크단위체(115)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부재(111)의 하부에 상기 튜브(120)가 삽입되도록 제1튜브안착홈(111c)이 형성되거나,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부재(112)의 상부에 상기 튜브(120)가 삽입되도록 제2튜브안착홈(112c)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튜브안착홈(111c) 또는 상기 제2튜브안착홈(112c)이 형성됨으로써, 블록 형태의 부재 내에 상기 튜브(120)가 안정적으로 안내되어 정위치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부재(111)에만 상기 제1튜브안착홈(111c)이 형성될 경우 상기 제1튜브안착홈(111c)은 상기 튜브(120)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게 된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부재(112)에만 상기 제2튜브안착홈(112c)이 형성될 경우 상기 제2튜브안착홈(112c)은 상기 튜브(120)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게 된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부재(111) 및 상기 제2부재(112)에 각각 상기 제1튜브안착홈(111c) 및 상기 제2튜브안착홈(112c)이 모두 형성될 경우, 상기 제1튜브안착홈(111c) 및 상기 제2튜브안착홈(112c)의 높이의 합이 상기 튜브(120)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게 된다.
도 6은 상술한 바와 같이 튜브-제1부재-제2부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단위튜브들이 적층되어 완성된 하나의 상기 전장부품 냉각기(100)를 형성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단위튜브들이 적층됨으로써 적층된 복수 개의 상기 탱크단위체(115)들이 상기 탱크(110)를 형성하게 된다. 이 때 최상단의 상기 튜브(120)의 상기 상면통공(121) 및 최하다의 상기 튜브(120)의 상기 하면통공(122)은 그 상하에 적층된 다른 탱크단위체(115)가 없으므로 개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전장부품 냉각기(100)는, 최상단의 상기 튜브(120)의 상기 상면통공(121)을 밀폐하는 상면덮개(113) 및 최하단의 상기 튜브(120)의 상기 하면통공(122)을 밀폐하는 하면덮개(11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서는 편의상 상기 상면덮개(113) 및 상기 하면덮개(114)가 모두 형성된 예시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탱크(110)로 냉각수를 유입시키거나 또는 상기 탱크(110)로부터 냉각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일측 및 타측에서 덮개들 중 하나가 구비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덮개들 중 어딘가에 통공이 형성되어 외부와의 연통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더불어,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1부재(111) 및 상기 제2부재(112)가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탱크단위체(115)는 다음과 같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기 제1부재(111)의 폭 방향 양단에 제1결합공(111d)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부재(112)의 폭 방향 양단에 제2결합공(112d)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부재(111) 및 상기 제2부재(112)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상기 탱크단위체(115)가 적층된 조립체에 대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통된 상기 제1결합공(111d)들 및 상기 제2결합공(112d)들을 관통하여 나사봉(140)이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나사봉(140)의 높이 방향 양단에 나사(145)가 결합되어 상기 나사(145)가 조여지면, 복수 개의 상기 탱크단위체(115)들이 높이 방향으로 압착될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튜브(120)들 사이에는 상기 소자(200)들이 개재되며, 상기 튜브(120)의 판면과 상기 소자(200)의 상하면이 완전히 밀착 면접촉할수록 열전달이 원활하게 일어나 소자 냉각 효과가 향상된다. 이 때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 개의 상기 탱크단위체(115)가 적층된 조립체를 상기 나사봉(140) 및 그 양단에 구비되는 상기 나사(145)들을 이용하여 높이 방향으로 압착하여 줌으로서, 조립체 완성 후에도 상기 튜브(120)들 간 간격을 더욱 줄여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튜브(120)의 판면과 상기 소자(200)의 상하면 간 밀착이 더욱 우수해지며, 즉 소자 냉각 효과를 효과적으로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장부품 냉각기 제2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전장부품 냉각기 제2실시예의 사시도를, 도 8은 본 발명의 전장부품 냉각기 제2실시예의 분해사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전장부품 냉각기 제2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 내지 도 10을 종합적으로 참조하여 제2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앞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실시예에서도 역시 상기 제1부재(111) 및 상기 제2부재(112)가 결합되어 상기 탱크단위체(115)를 이루며, 최상단의 상기 튜브(120)에는 상기 상면통공(121)을 밀폐하는 상기 상면덮개(113)가 구비되고, 최하단의 상기 튜브(120)에는 상기 하면통공(122)을 밀폐하는 상기 하면덮개(114)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제2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제1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부재(111) 및 상기 제2부재(112)가 블록을 깎아서 제작되는 것과는 달리,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부재(111) 및 상기 제2부재(112)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안착홈(111b) 및 상기 제2안착홈(112b)은 각각 상기 제1부재(111) 및 상기 제2부재(112)에 프레스 공정에 의해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1부재(111) 및 상기 제2부재(112)가 프레싱 공정에 의해 제작되는 경우, 플레이트를 프레싱하는 공정만으로 원하는 형상을 제조해 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이상적으로는 프레싱에 의해 테두리 절단까지 이루어지게 한다고 할 경우 1번의 프레싱만으로도 부재 제작이 가능하며, 모재가 되는 플레이트에 1번 프레싱함으로써 안착홈들을 형성하고 그 후 적절한 크기로 1번 절단함으로써 부재 제작을 완료할 수도 있다. 즉 부재 제작을 하기 위한 공정 개수를 이상적으로는 1~2개 정도로까지 저감할 수 있어, 생산을 위한 공정 개수를 종래에 비해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플레이트를 프레싱하는 과정에서 플레이트가 우그러지는 등 다소 평탄도가 떨어지게 될 수 있겠으나, 본 발명에서는 프레싱에 의해 만들어지는 안착홈들 사이에 상기 가스켓(130)이 안착 배치되기 때문에, 부재들의 평탄도와 관계없이 안정적인 실링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종래에는 부재들 사이에 실링부재(가스켓)를 안착시키기가 어려웠기 때문에, 누출 방지를 위해서는 부재들 간 면접촉이 우수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부재 표면 조도를 높이는 공정이 필수적이었다. 그러나 제1실시예에서도 설명하였던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부재들의 형상(안착홈)에 의해 가스켓을 용이하게 배치시킬 수 있고, 따라서 부재들의 표면 조도나 평탄도를 과도하게 높이지 않고도 우수한 실링 성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제1부재(111) 및 상기 제2부재(112)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경우,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 1 내지 도 6과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 7 내지 도 10을 비교해 보아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듯이, 상기 튜브(120)의 양단에 상기 제1부재(111) 및 상기 제2부재(112)를 브레이징 결합시켜 상기 단위튜브를 제작했을 때 상기 단위튜브의 부피가 상기 튜브(120)에 비해 별로 커지지 않는다. 즉 제1실시예에 비하여 제2실시예에 의한 상기 전장부품 냉각기(100)는 훨씬 더 부피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 상기 제1부재(111) 및 상기 제2부재(1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칭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할 경우 사실상 둘 중 하나를 뒤집으면 동일한 형상이 되므로, 실제 제작에 있어서는 하나의 부품만 제작하면 되기 때문에 공정 개수 및 제작 비용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한편,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부재(111) 및 상기 제2부재(112)가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구조적 안정성이 높으며, 따라서 상기 나사봉(140) 및 상기 나사(145)를 이용하여 높이 방향 압착을 수행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제2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부재(111) 및 상기 제2부재(112)가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나사 결합 방식을 이용할 경우 부재들이 일그러지거나 손상될 위험성이 있다. 이에, 제2실시예의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장부품 냉각기(100)가 복수 개의 상기 탱크단위체(115)가 적층된 조립체가 삽입 수용되는 케이스(150)를 더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탱크단위체(115)가 적층된 조립체가 상기 케이스(150)에 삽입됨으로써 복수 개의 상기 탱크단위체(115)들이 높이 방향으로 압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150)의 높이가 복수 개의 상기 탱크단위체(115)가 적층된 조립체의 높이보다 약간 작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억지 끼움 결합 과정에서 복수 개의 상기 탱크단위체(115)가 적층된 조립체가 높이 방향으로 압착되는 공정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장부품 냉각기 제조 방법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장부품 냉각기(100)는, 상기 탱크(11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기 탱크단위체(115) 및 상기 튜브(120)가 결합된 상기 단위튜브를 적층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종래에는 전장부품 냉각기의 제작이 완료된 후 튜브들 사이에 소자를 끼워넣어야만 했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소자의 파손이나 정위치 이탈 등의 문제가 많이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의 전장부품 냉각기(100)는 단위체 적층 공정 - 소자 배치 공정이 교번 반복됨으로써 제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전장부품 냉각기(100) 제조 방법은 튜브제작단계, 소자배치단계, 가스켓배치단계, 튜브적층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상기 튜브제작단계에서는, 상기 제1통공(111a) 및 상기 상면통공(121)이 연통되도록 상기 제1부재(111) 하면이 상기 튜브(120)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2통공(112a) 및 상기 하면통공(122)이 연통되도록 상기 제2부재(112) 상면이 상기 튜브(120)의 하면에 결합되어 단위튜브가 제작된다. 상기 튜브제작단계는 적층 조립 공정과는 독립적으로 이루어져도 되기 때문에, 상기 튜브제작단계가 얼마든지 미리 이루어져도 된다.
상기 소자및가스켓배치단계에서는, 하나의 상기 단위튜브가 배치되고, 상기 단위튜브의 상면에 상기 소자(200)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단위튜브의 양단 상면으로 노출된 상기 제1안착홈(111b)에 상기 가스켓(130)이 배치된다. 상기 소자(200) 및 상기 가스켓(130)의 배치는 둘 중 어느 단계가 먼저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튜브적층단계에서는, 상면에 상기 소자(200)가 배치된 상기 단위튜브의 상면에 다른 하나의 상기 단위튜브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다른 하나의 상기 단위튜브의 양단 하면으로 노출된 상기 제2안착홈(112b) 및 상기 제1안착홈(111b)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가스켓(130)이 안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단위튜브 배치 - 소자 및 가스켓 배치 - 단위튜브 배치 - 소자 및 가스켓 배치 - 단위튜브 배치 - - … 가 교번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소자(200)나 상기 단위튜브는 별도의 압박을 받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소자(200)가 억지 끼움 등으로 인하여 손상될 위험성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기 소자및가스켓배치단계 및 상기 튜브적층단계가 교번 반복 수행됨으로써, 복수 개의 상기 탱크단위체(115)가 적층된 조립체의 제조가 완료되게 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전장부품 냉각기 제조 방법은, 상기 상면덮개(113), 상기 하면덮개(114)를 더 결합하는 공정이 포함될 수도 있는데, 이 단계는 단위튜브를 제작하는 튜브제작단계와 마찬가지로 최상단용 또는 최하단용 튜브를 제작하는 별도의 단계로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이 역시 적층 조립 공정과는 독립적으로 얼마든지 미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장부품 냉각기 제조 방법은, 복수 개의 상기 탱크단위체(115)가 적층된 조립체가 높이 방향으로 압착되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장부품 냉각기(100)가 제1실시예와 같은 형태라면 이 공정은 상기 나사봉(140)에 상기 나사(145)를 조이는 공정으로서 실현될 수 있고, 상기 전장부품 냉각기(100)가 제2실시예와 같은 형태라면 이 공정은 상기 조립체를 상기 케이스(150)에 억지 끼움으로서 삽입하는 공정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전장부품 냉각기
110: 탱크
111: 제1부재
111a: 제1통공 111b: 제1안착홈
111c: 제1튜브안착홈 111d: 제1결합공
112: 제2부재
112a: 제2통공 112b: 제2안착홈
112c: 제2튜브안착홈 112d: 제2결합공
113: 상면덮개 114: 하면덮개
115: 탱크단위체
120: 튜브
121: 상면통공 122: 하면통공
130: 가스켓 200: 소자

Claims (11)

  1.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 및 하면을 가지며 내부로 냉각수를 유통시키는 복수 개의 튜브(120) 및 높이 방향으로 적층 배치된 복수 개의 상기 튜브(120)들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튜브(120)들로 냉각수를 유통시키는 한 쌍의 탱크(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튜브(120)들의 사이에 복수 개의 전력 변환용 소자(200)가 개재되어 상기 소자(200)를 냉각시키는 전장부품 냉각기(100)에 있어서,
    상기 튜브(120)는 상면 및 하면 각각의 양단에 상면통공(121) 및 하면통공(122)이 형성되고, 상기 탱크(110)는 상기 튜브(120)의 양단에 결합되며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 개의 탱크단위체(115)로 이루어지되,
    상기 탱크단위체(115)는,
    중심에 제1통공(111a)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통공(111a)을 둘러싸는 형태로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안착홈(111b)이 형성되고, 상기 제1통공(111a) 및 상기 상면통공(121)이 연통되도록 하면이 상기 튜브(120)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1부재(111);
    중심에 제2통공(112a)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2통공(112a)을 둘러싸는 형태로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안착홈(112b)이 형성되고, 상기 제2통공(112a) 및 상기 하면통공(122)이 연통되도록 상면이 상기 튜브(120)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2부재(11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적층된 한 쌍의 상기 탱크단위체(115)에 대하여, 상측의 상기 탱크단위체(115) 하면의 상기 제2안착홈(112b) 및 하측의 상기 탱크단위체(115) 상면의 상기 제1안착홈(111b)이 결합되고,
    서로 인접한 상기 제1안착홈(111b) 및 상기 제2안착홈(112b)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공간에 가스켓(130)이 안착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부품 냉각기(10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부품 냉각기(100)는,
    최상단의 상기 튜브(120)의 상기 상면통공(121)을 밀폐하는 상면덮개(113) 및 최하단의 상기 튜브(120)의 상기 하면통공(122)을 밀폐하는 하면덮개(11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부품 냉각기(100).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단위체(115)는,
    상기 제1부재(111) 및 상기 제2부재(112)가 블록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부재(111)의 하부에 상기 튜브(120)가 삽입되도록 제1튜브안착홈(111c)이 형성되거나,
    상기 제2부재(112)의 상부에 상기 튜브(120)가 삽입되도록 제2튜브안착홈(112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부품 냉각기(100).
  4.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 및 하면을 가지며 내부로 냉각수를 유통시키는 복수 개의 튜브(120) 및 높이 방향으로 적층 배치된 복수 개의 상기 튜브(120)들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튜브(120)들로 냉각수를 유통시키는 한 쌍의 탱크(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튜브(120)들의 사이에 복수 개의 전력 변환용 소자(200)가 개재되어 상기 소자(200)를 냉각시키는 전장부품 냉각기(100)에 있어서,
    상기 튜브(120)는 상면 및 하면 각각의 양단에 상면통공(121) 및 하면통공(122)이 형성되고, 상기 탱크(110)는 상기 튜브(120)의 양단에 결합되며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 개의 탱크단위체(115)로 이루어지되,
    상기 탱크단위체(115)는,
    중심에 제1통공(111a)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통공(111a)을 둘러싸는 형태로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안착홈(111b)이 형성되고, 상기 제1통공(111a) 및 상기 상면통공(121)이 연통되도록 하면이 상기 튜브(120)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1부재(111);
    중심에 제2통공(112a)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2통공(112a)을 둘러싸는 형태로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안착홈(112b)이 형성되고, 상기 제2통공(112a) 및 상기 하면통공(122)이 연통되도록 상면이 상기 튜브(120)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2부재(11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적층된 한 쌍의 상기 탱크단위체(115)에 대하여, 상측의 상기 탱크단위체(115) 하면의 상기 제2안착홈(112b) 및 하측의 상기 탱크단위체(115) 상면의 상기 제1안착홈(111b)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공간에 가스켓(130)이 안착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탱크단위체(115)는,
    상기 제1부재(111) 및 상기 제2부재(112)가 블록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부재(111)의 하부에 상기 튜브(120)가 삽입되도록 제1튜브안착홈(111c)이 형성되거나, 상기 제2부재(112)의 상부에 상기 튜브(120)가 삽입되도록 제2튜브안착홈(112c)이 형성되되,
    상기 제1부재(111)에만 상기 튜브(120)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는 상기 제1튜브안착홈(111c)이 형성되거나,
    상기 제2부재(112)에만 상기 튜브(120)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는 상기 제2튜브안착홈(112c)이 형성되거나,
    상기 제1부재(111) 및 상기 제2부재(112)에 각각 상기 제1튜브안착홈(111c) 및 상기 제2튜브안착홈(112c)이 형성되되, 상기 제1튜브안착홈(111c) 및 상기 제2튜브안착홈(112c)의 높이의 합이 상기 튜브(120)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부품 냉각기(100).
  5.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 및 하면을 가지며 내부로 냉각수를 유통시키는 복수 개의 튜브(120) 및 높이 방향으로 적층 배치된 복수 개의 상기 튜브(120)들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튜브(120)들로 냉각수를 유통시키는 한 쌍의 탱크(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튜브(120)들의 사이에 복수 개의 전력 변환용 소자(200)가 개재되어 상기 소자(200)를 냉각시키는 전장부품 냉각기(100)에 있어서,
    상기 튜브(120)는 상면 및 하면 각각의 양단에 상면통공(121) 및 하면통공(122)이 형성되고, 상기 탱크(110)는 상기 튜브(120)의 양단에 결합되며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 개의 탱크단위체(115)로 이루어지되,
    상기 탱크단위체(115)는,
    중심에 제1통공(111a)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통공(111a)을 둘러싸는 형태로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안착홈(111b)이 형성되고, 상기 제1통공(111a) 및 상기 상면통공(121)이 연통되도록 하면이 상기 튜브(120)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1부재(111);
    중심에 제2통공(112a)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2통공(112a)을 둘러싸는 형태로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안착홈(112b)이 형성되고, 상기 제2통공(112a) 및 상기 하면통공(122)이 연통되도록 상면이 상기 튜브(120)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2부재(11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적층된 한 쌍의 상기 탱크단위체(115)에 대하여, 상측의 상기 탱크단위체(115) 하면의 상기 제2안착홈(112b) 및 하측의 상기 탱크단위체(115) 상면의 상기 제1안착홈(111b)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공간에 가스켓(130)이 안착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탱크단위체(115)는,
    상기 제1부재(111) 및 상기 제2부재(112)가 블록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부재(111)의 하부에 상기 튜브(120)가 삽입되도록 제1튜브안착홈(111c)이 형성되거나, 상기 제2부재(112)의 상부에 상기 튜브(120)가 삽입되도록 제2튜브안착홈(112c)이 형성되되,
    상기 제1부재(111)의 폭 방향 양단에 제1결합공(111d)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부재(112)의 폭 방향 양단에 제2결합공(112d)이 관통 형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탱크단위체(115)가 적층된 조립체에 대하여, 서로 연통된 상기 제1결합공(111d)들 및 상기 제2결합공(112d)들을 관통하여 나사봉(140)이 삽입되며,
    상기 나사봉(140)의 높이 방향 양단에 나사(145)가 결합되어 복수 개의 상기 탱크단위체(115)들이 높이 방향으로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부품 냉각기(100).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단위체(115)는,
    상기 제1부재(111) 및 상기 제2부재(112)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1안착홈(111b) 및 상기 제2안착홈(112b)은 각각 상기 제1부재(111) 및 상기 제2부재(112)에 프레스 공정에 의해 벤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부품 냉각기(100).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단위체(115)는,
    상기 제1부재(111) 및 상기 제2부재(112)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칭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부품 냉각기(100).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부품 냉각기(100)는,
    복수 개의 상기 탱크단위체(115)가 적층된 조립체가 삽입 수용되는 케이스(150)를 더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탱크단위체(115)가 적층된 조립체가 상기 케이스(150)에 삽입됨으로써 복수 개의 상기 탱크단위체(115)들이 높이 방향으로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부품 냉각기(100).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80012706A 2018-02-01 2018-02-01 전장부품 냉각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2512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706A KR102512004B1 (ko) 2018-02-01 2018-02-01 전장부품 냉각기 및 그 제조 방법
CN201910103477.5A CN110113909B (zh) 2018-02-01 2019-02-01 电子元件冷却器及其制造方法
US16/265,468 US20190234696A1 (en) 2018-02-01 2019-02-01 Electronic component cool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706A KR102512004B1 (ko) 2018-02-01 2018-02-01 전장부품 냉각기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277A KR20190093277A (ko) 2019-08-09
KR102512004B1 true KR102512004B1 (ko) 2023-03-21

Family

ID=67391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706A KR102512004B1 (ko) 2018-02-01 2018-02-01 전장부품 냉각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234696A1 (ko)
KR (1) KR102512004B1 (ko)
CN (1) CN1101139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5110B1 (ko) * 2017-05-31 2021-11-1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33210A1 (en) 2003-12-18 2005-06-23 Mitsuharu Inagaki Easily assembled cooler
US20090213547A1 (en) * 2005-10-07 2009-08-27 Jurgen Schulz-Harder Electrical Module
JP2011198802A (ja) * 2010-03-17 2011-10-06 Fuji Electric Co Ltd 水冷式半導体冷却ユニットのスタック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330450T2 (de) * 1992-08-05 2001-11-08 Fujitsu Ltd Dreidimensionaler Multichipmodul
JP4432835B2 (ja) * 2005-05-31 2010-03-17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部品冷却ユニット
JP2012212776A (ja) 2011-03-31 2012-11-01 Denso Corp 電力変換装置
JP2015536578A (ja) * 2012-12-03 2015-12-21 マーキュリー コンピューター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通過気流冷却技術および通過気流回路基板モジュール
CN106440921A (zh) * 2013-03-14 2017-02-22 杜兰玛克斯船舶股份有限公司 用于龙骨冷却器的湍流增强器
JP6206359B2 (ja) * 2014-08-28 2017-10-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6135623B2 (ja) * 2014-09-02 2017-05-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6187448B2 (ja) * 2014-12-24 2017-08-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積層ユニット
US9538691B2 (en) * 2015-04-15 2017-01-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ower inverter for a vehicle
KR102413829B1 (ko) * 2015-12-30 2022-06-2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33210A1 (en) 2003-12-18 2005-06-23 Mitsuharu Inagaki Easily assembled cooler
US20090213547A1 (en) * 2005-10-07 2009-08-27 Jurgen Schulz-Harder Electrical Module
US7940526B2 (en) 2005-10-07 2011-05-10 Curamik Electronics Gmbh Electrical module
JP2011198802A (ja) * 2010-03-17 2011-10-06 Fuji Electric Co Ltd 水冷式半導体冷却ユニットのスタック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34696A1 (en) 2019-08-01
CN110113909B (zh) 2021-12-14
KR20190093277A (ko) 2019-08-09
CN110113909A (zh) 2019-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1737B2 (en) Conformal fluid-cooled heat exchanger for battery
US10629967B2 (en) Battery module having cooling structure
EP3547398B1 (en) Battery module for an electrical storage system for an electric drive vehicle
JP4974578B2 (ja) パック電池
US9704777B2 (en) Electric power conver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520626B2 (en) Expandable stacked plate heat exchanger for a battery unit
CN103855443A (zh) 具有堆叠框架的蓄电池热系统
US11075415B2 (en) Accumulator assembly
CN107799487B (zh) 电力转换装置
CN109565003B (zh) 电池单元载体和用于包括多个电池单元载体的堆叠组件的外壳
JPWO2020016936A1 (ja) バッテリ装置及びバッテリ装置の製造方法
KR20200044423A (ko)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JP6961089B2 (ja) バッテリ装置及びバッテリ装置の製造方法
KR102512004B1 (ko) 전장부품 냉각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1988992B1 (ko)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US11009294B2 (en) Device for cooling an energy storage unit, and associated assembly
KR101209790B1 (ko) 전지방열용 안전케이스
KR102488058B1 (ko) 차량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CN218005007U (zh) 电池pack液冷散热装置和车辆
KR20200062903A (ko)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