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1877B1 - 화장품 포장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장품 포장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1877B1
KR102511877B1 KR1020220130988A KR20220130988A KR102511877B1 KR 102511877 B1 KR102511877 B1 KR 102511877B1 KR 1020220130988 A KR1020220130988 A KR 1020220130988A KR 20220130988 A KR20220130988 A KR 20220130988A KR 102511877 B1 KR102511877 B1 KR 102511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ver plate
parts
accommodating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0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성
Original Assignee
리베이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베이션(주) filed Critical 리베이션(주)
Priority to KR1020220130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8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 B65D75/367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and forming several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30Hand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3/0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having a cross-section of varying shape, e.g. circular merging into square or rectang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25Containers made of sheet-like material and having a shape to accommodat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05Bottle-crat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0Packing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펄프로 제조되는 화장품 포장재에 있어서, 화장품용기의 일측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 수용부가 내측이 오목하고 외측이 볼록하게 형성된 제1 커버판부; 상기 제1 수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화장품용기의 타측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 수용부가 내측이 오목하고 외측이 볼록하게 형성된 제2 커버판부; 및 상기 제1 커버판부의 일측부 및 상기 제2 커버판부의 일측부를 연결하는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판부 및 상기 제2 커버판부는 상기 접힘부를 기준으로 내측으로 접혀져서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로 상기 화장품용기를 수용하는 화장품 포장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장품 포장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A COSMETIC PACKAGE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화장품 포장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스틱을 대체하여 친환경 소재로 형성된 화장품 포장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저탄소 캠페인은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청정에너지의 사용 및 보급을 확대하며 녹색기술 연구개발, 탄소흡수원 확충 등을 통하여 온실가스를 적정수준 이하로 줄이는 것이다.
최근 국제사회가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은 석유, 석탄 등의 화석연료가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인식되면서 환경적 측면에서 화석연료 사용억제, 대체 에너지 개발, 에너지 절약과 이용 효율화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 이유와 화석연료의 고갈에 따른 위기감과 유가 급등 등에 따른 경제적인 측면에서 에너지 위기를 심각하게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기 때문이다.
상기 저탄소 캠페인의 실천수칙 중 일환으로 플라스틱 사용량 줄이기가 있으며, 플라스틱 소재 대신에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소재를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화장품 포장재는, 상면이 개구된 사각형상의 하부 박스와, 하면이 개구된 사각형상의 상부 박스와, 상기 하부 박스 내에 배치되어 상기 화장품용기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트레이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화장품 포장재는, 상기 하부 박스 내에 상기 트레이를 넣은 후, 상기 트레이에 형성된 상기 수용홈에 상기 화장품용기를 넣고, 상기 상부 박스로 상기 하부 박스의 개구된 상면을 덮어서, 상기 화장품의 포장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 상부 박스 및 상기 하부 박스는 종이 소재로 형성되기는 하나, 상기 트레이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상기 저탄소 캠페인에 부응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물론, 상기 트레이가 종이 소재로 형성되기도 하지만, 상기 상부 박스, 상기 하부 박스 및 상기 트레이를 사각형상으로 접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구조가 간단하고 친환경 소재로 된 화장품 포장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포장재는 펄프원료 조성물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포장재는, 제1 커버판부, 제2 커버판부 및 접힘부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커버판부에는 화장품용기의 일측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 수용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수용부는 내측이 오목하고 외측이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 커버판부에는 상기 화장품용기의 타측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 수용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수용부는 내측이 오목하고 외측이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제1 수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접힘부는 상기 제1 커버판부의 일측부 및 상기 제2 커버판부의 일측부를 연결한다. 상기 제1 커버판부 및 상기 제2 커버판부는 상기 접힘부를 기준으로 내측으로 접혀져서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로 상기 화장품용기를 수용한다.
상기 펄프원료 조성물은 펄프원료 86-90 중량부, 일라이트 0.5-4 중량부, 팽창흑연 0.5-4 중량부, 게르마늄 0.5-4 중량부, 황토 0.5-4 중량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HPMC) 0.5-4 중량부 및 아크릴레이트-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0.5-4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펄프원료는 사탕수수 펄프와 대나무 펄프가 물리적인 짜임새 구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커버판부의 타측부에는 제1 손잡이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커버판부의 타측부에는 상기 제1 손잡이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손잡이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판에는 제1 사이드부 및 제2 사이드부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사이드부는 상기 제1 커버판부의 일측부 일단과 상기 제1 커버판부의 타측부 일단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 사이드부는 상기 제1 커버판부의 일측부 타단과 상기 제1 커버판부의 타측부 타단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 커버판부에는 제3 사이드부 및 제4 사이드부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사이드부는 상기 제2 커버판부의 일측부 일단과 상기 제2 커버판부의 타측부 일단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4 사이드부는 상기 제2 커버판부의 일측부 타단과 상기 제2 커버판부의 타측부 타단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이드부 및 상기 제2 사이드부 각각에는 외측이 볼록하고 내측이 오목한 제1 압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사이드부 및 상기 제4 사이드부 각각에는 외측이 오목하고 내측이 볼록한 제2 압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판부 및 상기 제2 커버판부가 상기 접힘부를 기준으로 내측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압입부 및 상기 제2 압입부는 서로 압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 각각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포장재의 제조방법은 제1 커버판부, 제2 커버판부 및 접힘부로 구성된 화장품 포장재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상기 제1 커버판부에는 화장품용기의 일측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 수용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수용부는 내측이 오목하고 외측이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 커버판부에는 상기 화장품용기의 타측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 수용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수용부는 내측이 오목하고 외측이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제1 수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접힘부는 상기 제1 커버판부의 일측부 및 상기 제2 커버판부의 일측부를 연결한다. 상기 제1 커버판부 및 상기 제2 커버판부는 상기 접힘부를 기준으로 내측으로 접혀져서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로 상기 화장품용기를 수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포장재의 제조방법은, 성형 단계, 건조 단계 및 정형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성형 단계에서는 펄프원료 조성물을 금형 내에 주입하여, 상기 제1 수용부가 형성된 상기 제1 커버판부와, 상기 제2 수용부가 형성된 상기 제2 커버판부와, 상기 접힘부가 형성된 성형품을 만든다. 상기 건조 단계에서는 상기 성형품을 상온에서 건조하여 건조품을 만든다. 상기 정형 단계에서는 상기 건조품을 프레스 압착하여 정형품을 만든다.
상기 성형 단계에서 상기 성형품에는 상기 제1 커버판부, 상기 제2 커버판부 및 상기 접힘부 각각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형 단계 이후에는 절단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절단 단계에서는 상기 정형품을 상기 제1 커버판부, 상기 제2 커버판부 및 상기 접힘부가 하나씩 포함되는 개별의 정형품으로 절단할 수 있다.
상기 성형 단계에서 상기 펄프원료 조성물은 펄프원료 86-90 중량부, 일라이트 0.5-4 중량부, 팽창흑연 0.5-4 중량부, 게르마늄 0.5-4 중량부, 황토 0.5-4 중량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HPMC) 0.5-4 중량부 및 아크릴레이트-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0.5-4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성형 단계에서 상기 성형품은 상기 제1 커버판부의 타측부에 제1 손잡이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성형 단계에서 상기 성형품은 상기 제2 커버판부의 타측부 중 상기 제1 손잡이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손잡이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성형 단계에서 상기 성형품은 상기 제1 커버판부에 제1 사이드부 및 제2 사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사이드부는 상기 제1 커버판부의 일측부 일단과 상기 제1 커버판부의 타측부 일단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 사이드부는 상기 제1 커버판부의 일측부 타단과 상기 제1 커버판부의 타측부 타단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성형 단계에서 상기 성형품은 상기 제2 커버판부에 제3 사이드부 및 제4 사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사이드부는 상기 제2 커버판부의 일측부 일단과 상기 제2 커버판부의 타측부 일단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4 사이드부는 상기 제2 커버판부의 일측부 타단과 상기 제2 커버판부의 타측부 타단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이드부 및 상기 제2 사이드부 각각에는 외측이 볼록하고 내측이 오목한 제1 압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사이드부 및 상기 제4 사이드부 각각에는 외측이 오목하고 내측이 볼록한 제2 압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압입부는 상기 제1 커버판부 및 상기 제2 커버판부가 상기 접힘부를 기준으로 내측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압입부와 압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성형 단계에서 상기 제1 커버판부에는 상기 제1 수용부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성형 단계에서 상기 제2 커버판부에는 상기 제2 수용부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포장재는 상기 화장품 포장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포장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화장품 포장재가 접힘구조로 형성되어 구조가 간단하므로 화장품용기를 신속하게 포장할 수 있으며, 펄프 기반의 원료로 제조되기 때문에 저탄소 캠페인에 일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장품 포장재의 접힘 상태를 나타내는 전방측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장품 포장재의 접힘 상태를 나타내는 후방측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장품 포장재의 펼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장품 포장재의 제조방법에 따른 공정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펄프원료의 배합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장품 포장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을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장품 포장재의 접힘 상태를 나타내는 전방측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장품 포장재의 접힘 상태를 나타내는 후방측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장품 포장재의 펼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장품 포장재(1)는 친환경 소재인 펄프원료를 포함하는 펄프원료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장품 포장재(1)는 플라스틱 소재를 대체하여서 저탄소 캠페인에 일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펄프원료 조성물은 펄프원료 86-90 중량부, 일라이트 0.5-4 중량부, 팽창흑연 0.5-4 중량부, 게르마늄 0.5-4 중량부, 황토 0.5-4 중량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HPMC) 0.5-4 중량부 및 아크릴레이트-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0.5-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펄프원료 87-89 중량부, 일라이트 1-3 중량부, 팽창흑연 1-3 중량부, 게르마늄 1-3 중량부, 황토 1-3 중량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HPMC) 1-3 중량부 및 아크릴레이트-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1-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펄프원료 88 중량부, 일라이트 2 중량부, 팽창흑연 2 중량부, 게르마늄 2 중량부, 황토 2 중량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HPMC) 2 중량부 및 아크릴레이트-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펄프원료는 사탕수수 펄프와 대나무 펄프가 물리적인 짜임새 구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탕수수 펄프와 대나무 펄프가 물리적인 짜임새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플라스틱 강도의 친환경 포장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펄프원료 조성물은 일라이트, 팽창흑연, 게르마늄 및 황토를 포함한다.
상기 일라이트, 팽창흑연, 게르마늄 및 황토는 불연성 원료로 적용되어 화장품 포장재에 불연성을 부여한다. 또한, 일라이트, 게르마늄 및 황토를 통해 항균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펄프원료 조성물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HPMC)를 포함하한다.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는 수용성 바인더로 펄프 입자 상호간을 결합시켜 지지력을 보강한다.
상기 펄프원료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레이트-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아크릴레이트-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는 3차원적인 가교구조적인 특성상 네트워크형 결합구조를 지녀 일라이트 등의 첨가 성분의 분산성, 분산의 지속성을 향상시켜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장품 포장재(1)는, 제1 커버판부(100), 제2 커버판부(200) 및 접힘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판부(100) 및 제2 커버판부(200)는 접힘부(300)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판부(100) 및 제2 커버판부(200)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커버판부(100)는 일측부(101), 타측부(102), 제1 사이드부(103) 및 제2 사이드부(104)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커버판부(200)는 일측부(201), 타측부(202), 제3 사이드부(203) 및 제4 사이드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도면상, 제1 커버판부(100)의 일측부(101)는 제1 커버판부(100)의 하측부일 수 있고, 제1 커버판부(100)의 타측부(102)는 제1 커버판부(100)의 상측부일 수 있으며, 제1 커버판부(100)의 제1 사이드부(103)는 제1 커버판부(100)의 좌측부일 수 있고, 제1 커버판부(100)의 제2 사이드부(104)는 제1 커버판부(100)의 우측부일 수 있다.
또한, 도 1의 도면상, 제2 커버판부(200)의 일측부(201)는 제2 커버판부(200)의 하측부일 수 있고, 제2 커버판부(200)의 타측부(202)는 제2 커버판부(200)의 상측일 수 있으며, 제2 커버판부(200)의 제3 사이드부(203)는 제2 커버판부(100)의 좌측부일 수 있고, 제2 커버판부(200)의 제4 사이드부(204)는 제2 커버판부(200)의 우측부일 수 있다.
제1 커버판부(100)는 제2 커버판부(2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커버판부(200)는 제1 커버판부(1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접힘부(300)는 제1 커버판부(100)의 일측부(101) 및 제2 커버판부(200)의 일측부(201)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접힘부(300)는 제1 커버판부(100)의 하측부 및 제2 커버판부(200)의 하측부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장품 포장재(1)는 제1 커버판부(100) 및 제2 커버판부(200)가 접힘부(300)를 기준으로 내측으로 접혀지거나 외측으로 펼쳐질 수 있다.
제1 커버판부(100)에는 화장품용기의 일측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제1 수용부(111, 112, 113, 114, 115)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커버판부(200)에는 상기 화장품용기의 타측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제2 수용부(211, 212, 213, 214, 21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커버판부(100)에는 화장품용기의 전방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제1 수용부(111, 112, 113, 114, 115)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커버판부(200)에는 상기 화장품용기의 후방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제2 수용부(211, 212, 213, 214, 21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판부(100) 및 제2 커버판부(200)가 접힘부(300)를 기준으로 내측으로 완전히 접혀진 상태일 때, 복수개의 제1 수용부(111, 112, 113, 114, 115) 및 복수개의 제2 수용부(211, 212, 213, 214, 215)가 이루는 각각의 내부공간에 상기 화장품용기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판부(100)에는 제3 수용부(116)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커버판부(200)에는 제4 수용부(216)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버판부(100) 및 제2 커버판부(200)가 접힘부(300)를 기준으로 내측으로 완전히 접혀진 상태일 때, 제3 수용부(116) 및 제4 수용부(216)가 이루는 내부공간에 제품설명서 또는 제품보증서가 수용될 수 있다.
제1 수용부(111, 112, 113, 114, 115) 및 제2 수용부(211, 212, 213, 214, 215)의 개수는 포장하고자 하는 화장품용기의 개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제1 수용부(111, 112, 113, 114, 115)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수용부(211, 212, 213, 214, 215)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제1 수용부(111, 112, 113, 114, 115) 및 복수개의 제2 수용부(211, 212, 213, 214, 215)로 형성되어, 제1 수용부(111) 및 제2 수용부(211)가 이루는 내부공간에 로션 및 스킨 중 어느 하나가 수용될 수 있고, 제1 수용부(112) 및 제2 수용부(212)가 이루는 내부공간에 상기 로션 및 상기 스킨 중 다른 하나가 수용될 수 있으며, 제1 수용부(113) 및 제2 수용부(213)가 이루는 내부공간에 상기 로션의 견본품 및 상기 스킨의 견본품 중 어느 하나가 수용될 수 있고, 제1 수용부(114) 및 제2 수용부(214)가 이루는 내부공간에 상기 로션의 견본품 및 상기 스킨이 견본품 중 다른 하나가 수용될 수 있으며, 제1 수용부(115) 및 제2 수용부(215)가 이루는 내부공간에 아이크림이 수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수용부(111, 112, 113, 114, 115) 및 복수개의 제2 수용부(211, 212, 213, 214, 215) 각각의 형상은 수용되는 화장품용기의 형상에 대응되어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실시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수용부(111, 112, 113, 114, 115)는 내측이 오목하고 외측이 볼록하게 형성될 있다. 즉, 복수개의 제1 수용부(111, 112, 113, 114, 115)는 제1 커버판부(100)의 후방면에 오목하고 제1 커버판부(100)의 전방면에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수용부(211, 212, 213, 214, 215)는 내측이 오목하고 외측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제2 수용부(211, 212, 213, 214, 215)는 제2 커버판부(200)의 전방면에 오목하고 제2 커버판부(200)의 후방면에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수용부(111, 112, 113, 114, 115) 및 복수개의 제2 수용부(211, 212, 213, 214, 215)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서, 제1 커버판부(100) 및 제2 커버판부(200)는 접힘부(300)를 기준으로 내측으로 접혀져서 복수개의 제1 수용부(111, 112, 113, 114, 115) 및 복수개의 제2 수용부(211, 212, 213, 214, 215) 각각으로 상기 화장품용기를 수용할 수 있다.
제1 커버판부(100)의 타측부(102)에는 제1 손잡이 홀(102A)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커버판부(200)의 타측부(202)에는 제1 손잡이 홀(102A)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손잡이 홀(202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커버판부(100)의 상측부에는 제1 손잡이 홀(102A)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커버판부(200)의 상측부에는 제2 손잡이 홀(202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손잡이 홀(102A)은 제1 커버판부(100)의 타측부(102) 중 좌우방향으로 중간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손잡이 홀(202A)은 제2 커버판부(200)의 타측부(202) 중 좌우방향으로 중간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판부(100) 및 제2 커버판부(200)가 접힘부(300)를 기준으로 내측으로 접혀진 상태일 때, 제1 손잡이 홀(102A) 및 제2 손잡이 홀(202A)은 겹쳐지게 되며, 사용자는 겹쳐진 상태의 제1 손잡이 홀(102A) 및 제2 손잡이 홀(202A)로 손가락을 넣어서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장품 포장재(1)는 손잡이로 사용되는 손잡이 홀(102A, 202A)이 접힘부(300)의 반대편에 위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손으로 잡은 상태일 때, 제1 커버판부(100) 및 제2 커버판부(200)가 쉽게 펼쳐지지 않게 되므로, 제1 커버판부(100) 및 제2 커버판부(200)가 펼쳐지면서 내용물인 화장품용기가 외부로 쏟아지는 일이 없게 되는 이점이 있다.
제1 커버판부(100)의 제1 사이드부(103)는 제1 커버판부(100)의 일측부(101) 일단과 제1 커버판부(100)의 타측부(102) 일단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제1 커버판부(100)의 제1 사이드부(103)는 제1 커버판부(100)의 하측부 좌측단과 제1 커버판부(100)의 상측부 좌측단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커버판부(100)의 제2 사이드부(104)는 제1 커버판부(100)의 일측부(101) 타단과 제1 커버판부(100)의 타측부(102) 타단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제1 커버판부(100)의 제2 사이드부(104)는 제1 커버판부(100)의 하측부 우측단과 제1 커버판부(100)의 상측부 우측단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커버판부(200)의 제3 사이드부(203)는 제2 커버판부(200)의 일측부(201) 일단과 제2 커버판부(200)의 타측부(202) 일단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제2 커버판부(200)의 제3 사이드부(203)는 제2 커버판부(200)의 하측부 좌측단과 제2 커버판부(200)의 상측부 좌측단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커버판부(200)의 제4 사이드부(204)는 제2 커버판부(200)의 일측부(201) 타단과 제2 커버판부(200)의 타측부(202) 타단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제2 커버판부(200)의 제4 사이드부(204)는 제2 커버판부(200)의 하측부 우측단과 제2 커버판부(200)의 상측부 우측단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사이드부(103) 및 제2 사이드부(104) 각각에는 외측이 볼록하고 내측이 오목한 제1 압입부(103A, 103B, 104A, 104B)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압입부(103A, 103B, 104A, 104B)는 제1 커버판부(100)의 전방측으로 볼록하고 제1 커버판부(100)의 후방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압입부(103A, 103B, 104A, 104B)는, 제1 사이드부(103)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고, 제2 사이드부(104)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제1 압입부(103A, 103B, 104A, 104B)는, 제1 사이드부(103)에 형성된 제1-1 압입부(103A) 및 제1-2 압입부(103B)와, 제2 사이드부(104)에 형성된 제1-3 압입부(104A) 및 제1-4 압입부(10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압입부(103A)는 제1 사이드부(103)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제1-2 압입부(103B)는 제1 사이드부(103)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3 압입부(104A)는 제2 사이드부(104)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제1-4 압입부(104B)는 제2 사이드부(104)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사이드부(203) 및 제4 사이드부(204) 각각에는 외측이 오목하고 내측이 볼록한 제2 압입부(203A, 203B, 204A, 204B)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압입부(203A, 203B, 204A, 204B)는 제2 커버판부(200)의 전방측으로 볼록하게 제2 커버판부(200)의 후방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압입부(203A, 203B, 204A, 204B)는, 제3 사이드부(203)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고, 제4 사이드부(204)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제2 압입부(203A, 203B, 204A, 204B)는, 제3 사이드부(203)에 형성된 제2-1 압입부(203A) 및 제2-2 압입부(203B)와, 제4 사이드부(204)에 형성된 제2-3 압입부(204A) 및 제2-4 압입부(20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압입부(203A)는 제3 사이드부(203)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제2-2 압입부(203B)는 제3 사이드부(203)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3 압입부(204A)는 제4 사이드부(204)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제2-4 압입부(204B)는 제4 사이드부(204)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판부(100) 및 제2 커버판부(200)가 접힘부(300)를 기준으로 내측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제1 압입부(103A, 103B, 104A, 104B) 및 제2 압입부(203A, 203B, 204A, 204B)는 서로 압입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커버판부(100) 및 제2 커버판부(200)가 접힘부(300)를 기준으로 내측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제1-1 압입부(103A) 및 제2-1 압입부(203A)는 서로 압입 결합될 수 있고, 제1-2 압입부(103B) 및 제2-2 압입부(203B)는 서로 압입 결합될 수 있으며, 제1-3 압입부(104A) 및 제2-3 압입부(204A)는 서로 압입 결합될 수 있고, 제1-4 압입부(104B) 및 제2-4 압입부(204B)는 서로 압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판부의 제1 수용부 내측 및 상기 제2 커버판부의 제2 수용부 내측은 제1 보강재가 적층된다. 상기 제1 보강재는 2개이고, 각각 화장품 포장재의 내측면을 보강하는 것으로, 하나의 제1 보강재는 제1 커버판부의 제1 수용부 내측, 즉 오목하게 형성된 내측 표면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제1 보강재는 제2 커버판부의 제2 수용부 내측, 즉 오목하게 형성된 내측 표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1 보강재는 상기 제1 커버판부의 제1 수용부 내측 또는 상기 제2 커버판부의 제2 수용부 내측에 접착하기 위한 제1 접착층; 상기 제1 접착층 상에 형성된 제1 기재층; 및 상기 제1 기재층 상에 형성된 제1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접착층은 (a)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0-60,000인 메타크릴산-2-에톡시에틸에스테르 및 n-부틸아크릴레이트의 블록공중합체, (b) 비관능성 아크릴 단량체, 하이드록시기를 포함하는 아크릴 단량체 및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아크릴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화합물, (c) 중합개시제, (d) 아지리딘 가교제, (e) 실록산으로 표면개질된 나노 실리카졸, (f)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 (g) 폴리프로필렌글리콜, (h) 옥소린산(5-Ethyl-8-oxo-5,8-dihydro-1,3-dioxolo[4,5-g]quinoline-7-carboxylate; Oxolinic Acid) 및 (i) 항산화제를 포함하는 제1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a)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0-60,000인 메타크릴산-2-에톡시에틸에스테르 및 n-부틸아크릴레이트의 블록공중합체 23-3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7-29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8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크릴산-2-에톡시에틸에스테르 단위를 포함하여 접착력, 유지력 및 내구력을 확보할 수 있고, n-부틸아크릴레이트 단위를 포함하여 물성에 문제없이 점도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b) 비관능성 아크릴 단량체, 하이드록시기를 포함하는 아크릴 단량체 및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아크릴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화합물 34-4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8-4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9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비관능성 아크릴 단량체 75-85 : 하이드록시기를 포함하는 아크릴 단량체 7-17 :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아크릴 단량체 3-13 중량비율로 포함된다. 상기 비관능성 아크릴 단량체, 하이드록시기를 포함하는 아크릴 단량체 및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아크릴 단량체를 상기 비율로 혼합된 단량체 화합물을 적용함으로써 우수한 접착성 및 경화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c) 중합개시제 0.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개시제는 각 조성물을 중합반응시키는 매개체로써 그 함량이 0.05 중량부 미만일 경우 반응속도가 느려 생산성이 저하되고, 미반응 단량체가 조성물 내에 잔류할 우려가 있다. 반면, 3.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급격한 온도상승으로 인해 반응속도를 제어하기 어렵고, 중합도 및 분자량이 낮아져 접착제의 응집력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어 0.1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개시제로는 퍼옥사이드(peroxide)계 중합개시제 및 아조(azo)계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퍼옥사이드계 중합개시제로는 벤조일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아세틸퍼옥사이드(acetyl peroxide), 디라우릴퍼옥사이드(dilauryl peroxide), 디-터트-부틸퍼옥사이드(di-tert-butyl peroxide), 큐밀하이드로퍼옥사이드(cumyl hydroperoxide), 하이드로겐퍼옥사이드(hydrogen peroxide)를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중합개시제 이외에도 이미 공지된 아세탈(acetal)계, 헤미아세탈(hemiacetal)계, 리독스(redox)계 중합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고, 아조계 중합개시제로는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zobisisobutyronitrile), 아조니트릴(azonitrile), 아조에스터(azo ester), 아조아미드(azo amide), 아조아미딘(azo amidine) 또는 아조이미다졸린(azoimidazoline)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중합개시제 이외에도 이미 공지된 아세탈(acetal)계, 헤미아세탈(hemiacetal)계, 리독스(redox)계 중합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나열한 물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미 공지된 다양한 중합개시제의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d) 아지리딘 가교제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는 극성 작용기와 가교제 간의 상호 화학적 작용에 의해 탁월한 가교 네트워크를 형성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접착력 및 응집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펜타에리스톨-트리스-(베타-(N-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일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e) 실록산으로 표면개질된 나노 실리카졸 11-2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1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f)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 4-8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접착력 향상을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그 함량이 4 중량부 미만일 경우 접착력 향상 효과가 미비해질 우려가 있으며, 8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비경제적일 우려가 있다.
상기 제1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g) 폴리프로필렌글리콜 2-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은 희석제 성분으로 사용된다.
상기 제1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h) 옥소린산(5-Ethyl-8-oxo-5,8-dihydro-1,3-dioxolo[4,5-g]quinoline-7-carboxylate; Oxolinic Acid)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옥소린산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유기계 항균제로, 임의의 염으로 적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옥소린산의 나트륨염을 적용한다.
상기 제1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i) 항산화제 0.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9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기재층은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기재층은 허니컴 구조체이다. 상기 허니컴 구조체는 허니컴 코어를 복수 개 반복하여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기재층의 허니컴 코어 내부는 폴리우레탄 폼(faom)으로 충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기재층은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져 신축성을 가지며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여 내구성을 극대화시킨다. 상기 폴리우레탄 폼은 폼 형태를 가지는 폴리우레탄으로 원기둥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기둥 형태의 폴리우레탄 폼은 높이가 제1 기재층의 높이와 동일하다.
상기 제1 코팅층은 (A)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30-40 중량%,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30-40 중량%, 아크릴산 단량체 단위 10-20 중량% 및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10-20 중량%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60-70 중량부, (B) 폴리올, 하이드록시기 및 음이온성기를 포함하는 친수성 화합물 및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 프리폴리머를 제조하고, 상기 프리폴리머에 염기성 화합물을 가하여 중화시킨 후, 사슬 연장제와 반응시켜 얻어지는 우레탄계 고분자 10-20 중량부, (C) 폴리디메틸실록산 3-7 중량부, (D) 과불소부틸에틸에테르(ethyl perfluorobutyl ether) 1-5 중량부, (E) 하이드로퀴놀 비스(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 0.5-4 중량부, (F)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A 0.5-4 중량부, (G) 옥소린산 0.1-3 중량부, (H) 입자크기가 10-20 nm인 은 나노입자 0.1-3 중량부, (I) 입자크기가 40-50 nm인 산화아연 나노입자 0.1-3 중량부, (J)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0.1-3 중량부, (K) 티타니아 0.1-3 중량부 및 (L) 알루미나 0.1-3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A)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30-40 중량%,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30-40 중량%, 아크릴산 단량체 단위 10-20 중량% 및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10-20 중량%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60-7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64-6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6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30-40 중량%,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30-40 중량%, 아크릴산 단량체 단위 10-20 중량% 및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10-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적용하여 상기 제1 기재층 표면에 내구성을 높여주어 전체적인 화장품 포장재의 내구성을 높여준다.
상기 제1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B) 폴리올, 하이드록시기 및 음이온성기를 포함하는 친수성 화합물 및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 프리폴리머를 제조하고, 상기 프리폴리머에 염기성 화합물을 가하여 중화시킨 후, 사슬 연장제와 반응시켜 얻어지는 우레탄계 고분자 10-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4-1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탄소수 2-8인 디올과 ε-카프로락톤을 축중합하여 얻어지며, 수평균분자량이 500 이상인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올 및 탄소수 6-10인 선형구조로 이루어진 디카르복실산과 탄소수 2-8인 선형구조로 이루어진 디올로 축중합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포함한다. 상기 탄소수 2-8인 디올은, 에탄디올, 프로판디올, 부탄디올, 펜탄디올, 헥산디올, 시클로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및 그 유도체 등일 수 있고, 상기 탄소수 6-10인 선형구조로 이루어진 디카르복실산은 아디프산(adipic acid), 아젤라익산(azelaic acid) 및 세바식산(sebacic acid) 등일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록시기 및 음이온성기를 갖는 친수성 화합물은 상기 우레탄계 고분자에 친수성 음이온성기를 도입한다. 상기 하이드록시기는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화합물은 2개의 하이드록시기 및 1개의 음이온성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음이온기는 카르복실기, 포스폰기 또는 인산기일 수 있고, 포스폰기 또는 인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1,4-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12-도데카 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 1,3- 또는 1,4-디이소시아네이트, 1-이소시아나토-3-이소시아나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산(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비스-(4-이소시아나토시클로헥실)메탄, 2- 또는 4-이소시아나토시클로헥실-2'-이소시아나토시클로헥실 메탄, 1,3- 또는 1,4-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비스-(4-이소시아나토-3-메틸시클로헥실)메탄, 1,3- 또는 1,4-α,α,α',α'-테트라메틸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 또는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2'-, 2,4'- 또는 4,4'-디이소시아나토디페닐메탄(MDI), 4,4-디이소시아나토디시클로헥실메탄(H12MDI),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p- 또는 m-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디페닐-4,4'-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한다.
상기 제1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C) 폴리디메틸실록산 3-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은 내마모성을 높여주어 완충재의 수명 감소를 방지한다.
상기 제1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D) 과불소부틸에틸에테르(ethyl perfluorobutyl ether)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과불소부틸에틸에테르(ethyl perfluorobutyl ether)를 적용하여 이염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E) 하이드로퀴놀 비스(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 0.5-4 중량부 및 (F)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A 0.5-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 1-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각각 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하이드로퀴놀 비스(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 및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A는 난연제로 적용되며, 우수한 내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G) 옥소린산 0.1-3 중량부, (H) 입자크기가 10-20 nm인 은 나노입자 0.1-3 중량부 및 (I) 입자크기가 40-50 nm인 산화아연 나노입자 0.1-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 0.5-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각각 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옥소린산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유기계 항균제로, 임의의 염으로 적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옥소린산의 나트륨염을 적용한다. 상기 은 나노입자 및 산화아연 나노입자는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무기계 항균제로, 유기계 항균제인 옥소린산과 함께 적용되어 항균 활성을 더욱 극대화시킨다.
상기 제1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J)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0.1-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은 제1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과 제1층 또는 제3층 표면 간의 밀착성 및 부착성을 높여 내구성을 더욱 높여줄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K) 티타니아 0.1-3 중량부 및 (L) 알루미나 0.1-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 0.5-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각각 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티타니아 및 알루미나는 자외선 차단제로 적용될 수 있고, 특히 내열성이 높아 완충재의 수명 감소를 방지한다. 또한, 방충성을 가지고 있어 항균 성능을 보조해준다.
상기 제1 커버판부의 제1 수용부 외측 및 상기 제2 커버판부의 제2 수용부 외측은 제2 보강재가 적층된다. 상기 제2 보강재는 2개이고, 각각 화장품 포장재의 외측면을 보강하는 것으로, 하나의 제2 보강재는 제1 커버판부의 제1 수용부 외측, 즉 볼록하게 형성된 외측 표면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제2 보강재는 제2 커버판부의 제2 수용부 외측, 즉 볼록하게 형성된 외측 표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2 보강재는 상기 제1 커버판부의 제1 수용부 외측 또는 상기 제2 커버판부의 제2 수용부 외측에 접착하기 위한 제2 접착층; 상기 제2 접착층 상에 형성된 제2 기재층; 및 상기 제2 기재층 상에 형성된 제2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제1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동일하게 사용한다.
상기 제2 기재층 또한 상기 제1 기재층과 동일한 재질의 층을 사용한다.
상기 제2 코팅층은 아크릴 에멀젼 및 소듐실리케이트를 포함하는 아크릴계발수제; 및 실리콘 오일, 유화제 및 물을 포함하는 실리콘계발수제;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제2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에멀젼은,
제1 아크릴계 단량체 혼합물, 이온교환수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제1 프리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제2 아크릴계 단량체 혼합물, 이온교환수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제2 프리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개시제 및 이온교환수를 포함하는 개시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pH 조절제 및 이온교환수를 포함하는 pH 조절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반응기에 이온교환수, 유화제 및 완충제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 상기 반응기에 상기 제1 프리에멀젼 20-30 중량부를 투입하고, 80-84℃의 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개시제 용액 1-7 중량부를 투입한 후, 5-15분 동안 교반하여 에멀젼시드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반응기에 상기 제1 프리에멀젼 200-250 중량부 및 상기 개시제 용액 4-12 중량부를 투입하되 120-180분에 걸쳐 투입하고, 80-100분 동안 교반하여 제1 반응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반응기의 온도를 75-79℃로 조절하고, 상기 반응기에 상기 제2 프리에멀젼 250-350 중량부 및 상기 개시제 용액 11-19 중량부를 투입하되 60-120분에 걸쳐 투입하고, 80-100분 동안 교반하여 제2 반응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반응기를 50-60℃의 온도로 냉각하고, 상기 반응기에 산화제 1-9 중량부 및 환원제 1-9 중량부를 투입하여 산화환원반응시켜 미반응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반응기를 20-30℃의 온도로 냉각하고, 상기 pH 조절 용액을 투입하여 pH를 8-9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계 단량체 혼합물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MMA) 47-57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acrylate, 2-EHA) 37-47 중량부,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2-6 중량부 및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MAA) 0.5-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아크릴계 단량체 혼합물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MMA) 44-54 중량부,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33-43 중량부, 우레탄다이메타크릴레이트(urethane dimethacrylate, UDMA) 6-14 중량부 및 아크릴산(acrylic acid, AA)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화제는 음이온성 유화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유화제는 암모늄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설페이트(Ammonium polyoxyethlene alkyl ether sulfate), 상기 알킬은 라우릴이다.
상기 개시제는 암모늄퍼설페이트(ammonium persulfat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제는 소듐설페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H 조절제는 소듐 오소실리케이트(sodium orthosilicate, Na4SiO4)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장품 포장재의 제조방법에 따른 공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장품 포장재의 제조방법은, 제1 커버판부(100), 제2 커버판부(200) 및 접힘부(300)로 구성된 화장품 포장재(1)를 제조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포장재의 제조방법은, 성형 단계(S1), 건조 단계(S2) 및 정형 단계(S3)를 포함할 수 있다.
성형 단계(S1)에서는 펄프원료 조성물을 금형 내에 주입하여 성형품을 만들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성형품은 제1 수용부(111, 112, 113, 114, 115)가 형성된 제1 커버판부(100)와, 제2 수용부(211, 212, 213, 214, 215)가 형성된 제2 커버판부(2900)와, 접힘부가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금형은, 하형과, 상기 하형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형과 합형되는 상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형의 상면과 상기 상형의 하면에는 제1 커버판부(100), 제2 커버판부(200) 및 접힘부(300)와 대응되는 형상의 캐버티(Civity)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형 및 상기 하형이 합형된 상태에서, 상기 상형에 상기 캐버티와 연통되게 형성된 주입구를 통해 상기 펄프원료 조성물을 주입하여 상기 캐버티에서 상기 성형품이 포밍될 수 있다.
성형 단계(S1)에서 제1 커버판부(100)에는 제1 수용부(111, 112, 113, 114, 115)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성형 단계(S1)에서 제2 커버판부(200)에는 제2 수용부(211, 212, 213, 214, 215)가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건조 단계(S2)에서는 성형 단계(S1)에서 성형된 상기 성형품을 상온에서 건조하여 건조품을 만들 수 있다.
정형 단계(S3)에서는 상기 건조 단계(S2)에서 건조된 상기 건조품을 프레스 압착하여 정형품을 만들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형품은 이상이 없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장품 포장재(1)가 될 수 있다. 상기 프레스는, 하측 베이스부와, 상기 하측 베이스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측 베이스부 위에 놓인 상기 건조품을 압착하는 상측 프레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측 베이스부의 상면과 상기 상측 프레스부의 하면에는 제1 커버판부(100), 제2 커버판부(200) 및 접힘부(300)와 대응되는 형상의 캐버티(Civity)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스에 형성된 캐버티는 상기 금형에 형성된 캐버티보다 상하 폭이 좁게 형성되어서, 상기 상측 프레스부가 상기 하측 베이스부 위에 놓인 상기 건조품을 프레스하면 상기 프레스에 형성된 상기 캐버티에서 상기 건조품이 압착되어 상기 정형품이 만들어질 수 있다.
한편, 성형 단계(S1)에서 상기 성형품에는 제1 커버판부(100), 제2 커버판부(200) 및 접힘부(300) 각각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정형 단계(S3) 이후에는 절단 단계(S4)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절단 단계(S4)에서는 정형 단계(S3)에서 정형된 상기 정형품을 제1 커버판부(100), 제2 커버판부(200) 및 접힘부(300)가 하나씩 포함되는 개별의 정형품으로 절단할 수 있다.
정형 단계(S3) 또는 절단 단계(S4) 이후에 검사&포장 단계(S5)가 더 수행될 수 있다. 검사&포장 단계(S5)에서는 상기 정형품에 이상이 없는지 비젼 센서 또는 카메라 센서로 검사할 수 있으며, 검사 결과 이상이 없는 경우 상기 정형품을 박스에 포장하여 출하할 수 있다.
한편, 성형 단계(S1)에서 상기 금형 내에 주입되는 상기 펄프원료 조성물은 펄프원료 86-90 중량부, 일라이트 0.5-4 중량부, 팽창흑연 0.5-4 중량부, 게르마늄 0.5-4 중량부, 황토 0.5-4 중량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HPMC) 0.5-4 중량부 및 아크릴레이트-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0.5-4 중량부를 포함한다.
또한, 성형 단계(S1)에서 상기 성형품은 제1 커버판부(100)의 타측부(102)에 제1 손잡이 홀(102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성형 단계(S1)에서 상기 성형품은 제2 커버판부(200)의 타측부(202) 중 제1 손잡이 홀(102A)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손잡이 홀(20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성형 단계(S1)에서 상기 성형품은 제1 커버판부(100)에 제1 사이드부(103) 및 제2 사이드부(10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사이드부(103)는 제1 커버판부(100)의 일측부(101) 일단(좌측단)과 제1 커버판부(100)의 타측부(102) 일단(좌측단)을 연결하는 부분일 수 있다. 제2 사이드부(104)는 제1 커버판부(100)의 일측부(101) 타단(우측단)과 제1 커버판부(100)의 타측부(102) 타단(우측단)을 연결하는 부분일 수 있다. 성형 단계(S1)에서 제1 사이드부(103) 및 제2 사이드부(104) 각각에는 외측(전방측)이 볼록하고 내측(후방측)이 오목한 제1 압입부(103A, 103B, 104A, 104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성형 단계(S1)에서 상기 성형품은 제2 커버판부(200)에 제3 사이드부(203) 및 제4 사이드부(204)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사이드부(203)는 제2 커버판부(200)의 일측부(201) 일단(좌측단)과 제2 커버판부(200)의 타측부(202) 일단(좌측단)을 연결하는 부분일 수 있다. 제4 사이드부(204)는 제2 커버판부(200)의 일측부(201) 타단(우측단)과 제2 커버판부(200)의 타측부(202) 타단(우측단)을 연결하는 부분일 수 있다. 성형 단계(S1)에서 제3 사이드부(203) 및 제4 사이드부(204) 각각에는 외측(후방측)이 오목하고 내측(전방측)이 볼록한 제2 압입부(203A, 203B, 204A, 204B)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압입부(203A, 203B, 204A, 204B)는 제1 커버판부(100) 및 제2 커버판부(200)가 접힘부(300)를 기준으로 내측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제1 압입부(103A, 103B, 104A, 104B)와 압입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장품 포장재(1)는 상기 화장품 포장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장품 포장재(1) 및 그것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화장품 포장재(1)가 접힘구조로 형성되어 구조가 간단하므로 화장품용기를 신속하게 포장할 수 있으며, 펄프 기반의 원료로 제조되기 때문에 저탄소 캠페인에 일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화장품 포장재 100 : 제1 커버판부
101 : 제1 커버판부의 일측부 102 : 제1 커버판부의 타측부
102A : 제1 손잡이 홀 103 : 제1 사이드부
103A, 103B, 104A, 104B : 제1 압입부 104 : 제2 사이드부
111, 112, 113, 114, 115 : 제1 수용부 200 : 제2 커버판부
201 : 제2 커버판부의 일측부 202 : 제2 커버판부의 타측부
202A : 제2 손잡이 홀 203 : 제3 사이드부
203A, 203B, 204A, 204B : 제2 압입부 204 : 제4 사이드부
211, 212, 213, 214, 215 : 제2 수용부 300 : 접힘부
S1 : 성형 단계 S2 : 건조 단계
S3 : 정형 단계 S4 : 절단 단계

Claims (2)

  1. 화장품용기의 일측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 수용부가 내측이 오목하고 외측이 볼록하게 형성된 제1 커버판부; 상기 제1 수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화장품용기의 타측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 수용부가 내측이 오목하고 외측이 볼록하게 형성된 제2 커버판부; 및 상기 제1 커버판부의 일측부 및 상기 제2 커버판부의 일측부를 연결하는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판부 및 상기 제2 커버판부는 상기 접힘부를 기준으로 내측으로 접혀져서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로 상기 화장품용기를 수용하는 화장품 포장재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포장재는 펄프원료 86-90 중량부, 일라이트 0.5-4 중량부, 팽창흑연 0.5-4 중량부, 게르마늄 0.5-4 중량부, 황토 0.5-4 중량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HPMC) 0.5-4 중량부 및 아크릴레이트-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0.5-4 중량부를 포함하는 펄프원료 조성물로 제조된 것이고,
    상기 제1 커버판부의 제1 수용부 내측 및 상기 제2 커버판부의 제2 수용부 내측은 제1 보강재가 적층되고,
    상기 제1 커버판부의 제1 수용부 외측 및 상기 제2 커버판부의 제2 수용부 외측은 제2 보강재가 적층되고,
    상기 제1 보강재는,
    상기 제1 커버판부의 제1 수용부 내측 또는 상기 제2 커버판부의 제2 수용부 내측에 접착하기 위한 제1 접착층;
    상기 제1 접착층 상에 형성된 제1 기재층; 및
    상기 제1 기재층 상에 형성된 제1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층은 (a)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0-60,000인 메타크릴산-2-에톡시에틸에스테르 및 n-부틸아크릴레이트의 블록공중합체, (b) 비관능성 아크릴 단량체, 하이드록시기를 포함하는 아크릴 단량체 및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아크릴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화합물, (c) 중합개시제, (d) 아지리딘 가교제, (e) 실록산으로 표면개질된 나노 실리카졸, (f)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 (g) 폴리프로필렌글리콜, (h) 옥소린산(5-Ethyl-8-oxo-5,8-dihydro-1,3-dioxolo[4,5-g]quinoline-7-carboxylate; Oxolinic Acid) 및 (i) 항산화제를 포함하는 제1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로 제조되고,
    상기 제1 기재층은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허니컴 코어를 포함하는 허니컴 구조체이고, 상기 허니컴 코어 내부는 폴리우레탄 폼(faom)으로 충진되고,
    상기 제1 코팅층은 (A)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30-40 중량%,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30-40 중량%, 아크릴산 단량체 단위 10-20 중량% 및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10-20 중량%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60-70 중량부, (B) 폴리올, 하이드록시기 및 음이온성기를 포함하는 친수성 화합물 및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 프리폴리머를 제조하고, 상기 프리폴리머에 염기성 화합물을 가하여 중화시킨 후, 사슬 연장제와 반응시켜 얻어지는 우레탄계 고분자 10-20 중량부, (C) 폴리디메틸실록산 3-7 중량부, (D) 과불소부틸에틸에테르(ethyl perfluorobutyl ether) 1-5 중량부, (E) 하이드로퀴놀 비스(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 0.5-4 중량부, (F)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A 0.5-4 중량부, (G) 옥소린산 0.1-3 중량부, (H) 입자크기가 10-20 nm인 은 나노입자 0.1-3 중량부, (I) 입자크기가 40-50 nm인 산화아연 나노입자 0.1-3 중량부, (J)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0.1-3 중량부, (K) 티타니아 0.1-3 중량부 및 (L) 알루미나 0.1-3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로 제조되고,
    상기 제2 보강재는,
    상기 제1 커버판부의 제1 수용부 외측 또는 상기 제2 커버판부의 제2 수용부 외측에 접착하기 위한 제2 접착층;
    상기 제2 접착층 상에 형성된 제2 기재층; 및
    상기 제2 기재층 상에 형성된 제2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제1 접착층 형성용 조성물로 제조되고,
    상기 제2 기재층은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허니컴 코어를 포함하는 허니컴 구조체이고, 상기 허니컴 코어 내부는 폴리우레탄 폼(faom)으로 충진되고,
    상기 제2 코팅층은 아크릴 에멀젼 및 소듐실리케이트를 포함하는 아크릴계발수제; 및 실리콘 오일, 유화제 및 물을 포함하는 실리콘계발수제;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제2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포장재.
  2. 삭제
KR1020220130988A 2022-10-12 2022-10-12 화장품 포장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102511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0988A KR102511877B1 (ko) 2022-10-12 2022-10-12 화장품 포장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0988A KR102511877B1 (ko) 2022-10-12 2022-10-12 화장품 포장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1877B1 true KR102511877B1 (ko) 2023-03-20

Family

ID=85796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0988A KR102511877B1 (ko) 2022-10-12 2022-10-12 화장품 포장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18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74233A (zh) * 2023-04-12 2023-08-11 四川省纺织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含羧酸盐的有机硅改性聚氨酯乳化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6021A (ko) * 2021-03-08 2022-09-15 주식회사그린패키지솔루션 제품 포장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6021A (ko) * 2021-03-08 2022-09-15 주식회사그린패키지솔루션 제품 포장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74233A (zh) * 2023-04-12 2023-08-11 四川省纺织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含羧酸盐的有机硅改性聚氨酯乳化剂及其制备方法
CN116574233B (zh) * 2023-04-12 2024-03-26 四川省纺织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含羧酸盐的有机硅改性聚氨酯乳化剂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1877B1 (ko) 화장품 포장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
MX2010010577A (es) Sustratos y articulos fabricados recubiertos con una composicon de recubrimiento 2k a base de agua.
CN111844920B (zh) 一种环保型抗压防水瓦楞纸箱及其制作方法
CN106414634A (zh) 锚固层形成用组合物、锚固层、带有粘合剂层的光学膜、以及图像显示装置
CA2387765A1 (en) Direct forming of non-textile fabric elements from thermoplastic pellets or the like
DE112011101642T5 (de) Mehrschichtmaterial, solarzellenverkapselung, zwischenschicht für sicherheitsglas (verbundglas), solarzellenmodul und sicherheitsglas (verbundglas)
CN101508881B (zh) 一种用于人造草坪背胶的聚氨酯胶粘剂组合物
KR102511873B1 (ko) 친환경 종이펄프 패키지와 친환경 종이펄프 패키지 원료배합에 대한 제조방법
CN108341951A (zh) 一种具有杂化交联结构的动态聚合物及其应用
CN109206570A (zh) 一种柔性物理分相超分子动态聚合物及其应用
CN109666178A (zh) 一种杂化动态聚合物组合物及其应用
CA2282020A1 (en) Improved two-component water-based adhesive for use in dry-bond laminating
Pan et al. Optical stereolithography of antifouling zwitterionic hydrogels
ES2548244T3 (es) Paño grueso y suave de pelo largo con un estabilizador o aglutinante
CN111909611A (zh) 一种高延伸率抗流挂聚氨酯防水涂料及其制备方法
CN107406733A (zh) 真空热成型用粘结剂组合物及使用其的真空热成型用装饰薄片
CN109203821B (zh) 一种多功能且环保的仿木装饰板及其生产方法
CN109181562B (zh) 一种多功能且环保的仿木装饰膜及其生产方法
KR102574787B1 (ko) 허니컴 구조를 활용한 친환경 종이 포장 완충재
KR102538962B1 (ko) 친환경 내수내유제를 사용한 강화 페이퍼몰드
KR102001829B1 (ko) 코르크 분사형 탄성포장재 및 시공방법
CN111013506A (zh) 一种囊壁可降解的小分子防老剂微胶囊乳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774273B (zh) 一种pe膜涂胶工艺
KR101883876B1 (ko) 차량용 입체 디자인 원단
CN109736137B (zh) 一种节能保温瓦楞纸箱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