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1308B1 - Box for mounting elevator including supporting member - Google Patents

Box for mounting elevator including supporting memb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1308B1
KR102511308B1 KR1020210014495A KR20210014495A KR102511308B1 KR 102511308 B1 KR102511308 B1 KR 102511308B1 KR 1020210014495 A KR1020210014495 A KR 1020210014495A KR 20210014495 A KR20210014495 A KR 20210014495A KR 102511308 B1 KR102511308 B1 KR 102511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box
ceiling
elevator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4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11356A (en
Inventor
김태민
고혜원
Original Assignee
김태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민 filed Critical 김태민
Priority to KR1020210014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308B1/en
Publication of KR20220111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3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3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2External stands or display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206External stands for supporting the container in display position, e.g. easels, covers forming a support for the containers in the display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 B65D9/06Boxes or crates of polygona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 거치용 함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함은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함체; 상기 함체의 천정부 또는 측벽부로부터 돌출된 걸이; 및 상기 함체의 어느 측벽부로부터 돌출된 지지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x for mounting an elevator. The box has a housing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Hooks protruding from the ceiling or side wall of the enclosure; and a support protruding from any side wall of the enclosure.

Description

지지대를 포함하는 승강기 거치용 함{BOX FOR MOUNTING ELEVATOR INCLUDING SUPPORTING MEMBER}Elevator mounting box including support {BOX FOR MOUNTING ELEVATOR INCLUDING SUPPORTING MEMBER}

본 발명은 승강기 거치용 함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승강기의 손잡이에 걸어서 거치될 수 있는 바구니, 투표함 등의 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x for mounting in an elev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x such as a basket or a ballot box that can be hung on a handle of an elevator.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의 확산 등에 따라 사람들 간의 감염 등을 억제하기 위해 승강기 내외부에 알코올 등을 함유하는 소독용 손 세정제 등을 구비하는 경우를 흔하게 찾아볼 수 있다. 손 세정제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용기 상단의 캡을 누르면 내부의 액상 손 세정제가 토출되는 구조를 갖는다.Recently, in order to suppress infection among people due to the spread of coronavirus infection-19 (COVID-19), it is common to find hand sanitizers for disinfection containing alcohol or the like inside and outside elevators. Hand sanitizers generall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liquid hand sanitizer inside is discharged when the cap on the top of the plastic container is pressed.

그러나 종래의 승강기 구조 상 손 세정제가 수용된 플라스틱 용기를 거치하기 곤란하다. 이에 따라 승강기 내부의 손잡이에 바구니(basket)를 놓고, 바구니를 케이블 타이(cable tie) 등의 끈 구조물을 이용하여 손잡이와 고정시키며 바구니의 안에 손 세정제의 플라스틱 용기를 넣어두는 실정이다. 또는 승강기 손잡이와 플라스틱 용기를 직접 케이블 타이로 묶기도 한다.However, it is difficult to mount the plastic container containing the hand sanitizer due to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elevator. Accordingly, a basket is placed on a handle inside the elevator, the basket is fixed to the handle using a string structure such as a cable tie, and a plastic container of hand sanitizer is placed in the basket. Or tie the lift handle and plastic container directly with cable ties.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의 전세계적 팬데믹 현상이 점차 장기화됨에 따라 사람들이 승강기 안에서 손 세정제를 이용하여 손을 소독하는 것은 일상 생활 속에 자리 잡게 되었다. 그리고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이 종식된 후에도 이러한 모습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As the global pandemic of coronavirus infection gradually prolongs, it has become a part of everyday life for people to disinfect their hands using hand sanitizer in the elevator. And even after the corona virus infection is over, this kind of look is expected to continue.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80514호, 투표지 운반, 정리 및 보관용 상자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80514, box for transporting, organizing and storing ballots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이 확산될 당시에 승강기 내부 손잡이에 케이블 타이를 이용해 바구니나 플라스틱 용기를 묶는 것은 임시 방편에 해당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은 손 세정제 거치 구조는 외관상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At the time of the spread of the coronavirus infection, tying baskets or plastic containers with cable ties to the handle inside the elevator was a temporary measure. However, the above hand sanitizer holder structure has a problem in appearance.

또, 시간이 흐름에 따라 케이블 타이가 느슨해져 바구니 등이 기울거나, 심지어 플라스틱 용기가 손잡이로부터 탈락하기도 한다. 또한 승강기 손잡이와 손 세정제의 플라스틱 용기를 케이블 타이 등을 이용해 결합시킨 경우, 손 세정제는 주기적으로 교체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거치 구조는 매우 번거롭다.In addition, over time, the cable tie becomes loose, causing the basket to tilt, or even the plastic container to come off from the handle. In addition, when the elevator handle and the plastic container of the hand sanitizer are coupled using a cable tie, such a mounting structure is very cumbersome because the hand sanitizer needs to be replaced periodically.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승강기 내부 손잡이에 손쉽게 거치할 수 있는 형태의 함을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x that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inner handle of the elevato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봉에 안정적이고 손쉽게 거치할 수 있는 걸이식 상자 내지는 함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ging box or box that can be stably and easily mounted on a rod.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거치용 함은,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함체의 천정부 또는 측벽부로부터 돌출된 걸이; 및 상기 함체의 어느 측벽부로부터 돌출된 지지대를 포함한다.An elevator mount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hook protruding from the ceiling or side wall of the box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a support protruding from any side wall of the enclosure.

상기 걸이의 일 방향으로의 돌출 길이는, 상기 지지대의 상기 일 방향으로의 돌출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A protruding length of the hook in one direction may be shorter than a protruding length of the support in the one direction.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Other embodiment specific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함의 걸이를 이용해 승강기 손잡이에 손쉽게 거치할 수 있다. 또, 함의 배면 측으로 돌출된 지지대를 이용해 승강기의 벽면으로부터 함체가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함으로써 함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elevator handle using the hanger of the box. In addition, by using a support protruding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box to support the box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elevato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ox from tilting.

상기 함은 손 세정제 등의 물품이 놓일 수 있는 선반 내지는 바구니(basket)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함은 투표함(ballot box) 또는 의견 개진 또는 의견 수렴을 위한 함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The box may function as a shelf or basket on which items such as hand sanitizer may be placed. Alternatively, the box may be used as a ballot box or a box for expressing opinions or collecting opinion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Effe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diverse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이 승강기 내부에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함의 거치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함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함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함의 거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함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함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함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함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nside an elevator.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ed state of the box of FIG. 1 .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box of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x of FIG. 1;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a h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x of FIG. 5;
7 and 8 are views showing a bo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views showing a bo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views showing a bo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즉, 본 발명이 제시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embodi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 embodiments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at is, various change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n the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thereto.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내지'를 사용하여 나타낸 수치 범위는 그 앞과 뒤에 기재된 값을 각각 하한과 상한으로서 포함하는 수치 범위를 나타낸다. '약' 또는 '대략'은 그 뒤에 기재된 값 또는 수치 범위의 20% 이내의 값 또는 수치 범위를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items. In addi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text.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other than the recited elements. A numerical range expressed using 'to' indicates a numerical range including the values listed before and after it as the lower limit and the upper limit, respectively. 'About' or 'approximately' means a value or range of values within 20% of the value or range of values set forth thereafter.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두께, 폭, 길이 등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size, thickness, width, length, etc.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form.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위(above)', '상부(upper)', ‘상(on)’,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spatially relative terms 'above', 'upper', 'on', 'below', 'beneath', 'lower', etc. are not included in the drawings. As shown,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between one element or component and another element or component.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encompass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elements in use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s shown in the figures. For example, when elements shown in the figures are turned over, elements described as 'below' or 'below' other elements may be placed 'above' the other elements. Accordingly,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directions of both down and up.

또, 본 명세서에서, 제1 방향(X)은 평면 내 임의의 방향을 의미하고, 제2 방향(Y)은 상기 평면 내에서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다른 방향을 의미한다. 또, 제3 방향(Z)은 상기 평면과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은 수평 방향에 속할 수 있고, 제3 방향(Z)은 중력 방향일 수 있다.Also,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rst direction (X) means an arbitrary direction in a plane, and the second direction (Y) means another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X) in the plane. In addition, the third direction (Z) mean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Hereinafter, the first direction (X) and the second direction (Y) may belong to horizontal directions, and the third direction (Z) may be a gravitational direc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11)이 승강기 내부에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함(11)의 거치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함(11)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함(11)의 단면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ox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nside an elevator.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mounted state of the box 11 of FIG. 1 . FIG.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box 11 of FIG. 1 .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x 11 of FIG. 1 .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거치용 함(11)은 승강기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바(bar) 형상의 손잡이(G)에 거치되도록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승강기의 손잡이(G)가 대략 제2 방향(Y)으로 연장된 형상을 예시하고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4 , the elevator mounting box 1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be mounted on a bar-shaped handle G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elevator. 1 and 2 illustrate a shape in which the handle G of the elevator extends substantially in the second direction Y.

구체적으로, 손잡이(G)는 제2 방향(Y)으로 연장된 형상의 손잡이 봉(G1) 및 상기 손잡이 봉(G1)을 승강기의 내측벽(W) 등으로부터 이격 고정시키는 고정부(G2)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 봉(G1)의 단면은 대략 원형이거나,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거치용 함(11)은 손잡이(G)의 손잡이 봉(G1)에 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handle (G) includes a handle bar (G1)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Y) and a fixing part (G2) for fixing the handle bar (G1) away from the inner wall (W) of the elevator. can include The cross section of the handle bar G1 may be substantially circular, or may have a polygonal shape such as an ellipse or a rectangle. The lift box 1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mounted on the handle bar G1 of the handle G.

본 실시예에 따른 함(11)은 투표함(voting box)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함(11)은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물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box 1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a voting box. Howev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ox 11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types of articles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승강기 거치용 함(11)은 바닥부(121), 측벽부(131) 및 천정부(111)를 갖는 함체(101)를 포함할 수 있다. 함체(101)는 승강기 거치용 함(11)의 메인 바디를 이루며, 내부 공간(IS)을 형성하는 본질적인 부분일 수 있다. 도 3 등의 실시예에서 함체(101)의 천정부(111)는 투표 용지가 인입되기 위한 슬릿(111s)을 가질 수 있다. 슬릿(111s)을 통해 투입된 투표 용지 등은 내부 공간(IS)에 보관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슬릿은 측벽부(131), 예컨대 제2 측벽부(131b) 등에 형성되거나, 또는 제3 측벽부(131c)나 제4 측벽부(131d)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box 11 for mounting the elevator may include a box body 101 having a bottom part 121, a side wall part 131, and a ceiling part 111. The enclosure 101 forms the main body of the elevator mounting box 11 and may be an essential part forming the inner space IS. In the embodiment of FIG. 3 , the ceiling 111 of the housing 101 may have a slit 111s through which ballot paper is inserted. Ballot papers and the like introduced through the slit 111s may be stored in the inner space I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lit may be formed in the side wall portion 131, for example,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131b, or may be formed in the third side wall portion 131c or the fourth side wall portion 131d. there is.

바닥부(121)는 천정부(111)와 제3 방향(Z)으로 대면하며, 내부 공간(IS)에 수용된 물품, 예컨대 투표 용지를 중력 방향으로 지탱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천정부(111) 및/또는 바닥부(121)는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이 속하는 평면 내에 위치할 수 있다.The bottom part 121 faces the ceiling part 111 in the third direction (Z), and may function to support item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IS), for example, ballot papers in the direction of gravity.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eiling portion 111 and/or the bottom portion 121 may be located in a plane in which the first direction (X) and the second direction (Y) belong.

복수의 측벽부(131)들은 바닥부(121)와 천정부(111)를 연결하는 측벽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측벽부(131)는 내부 공간(IS)에 수용된 물품, 예컨대 투표 용지 등이 바닥부(121)로부터 이탈하여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부(131)는 배면 측에 위치하는 제1 측벽부(131a), 전면 측에 위치하는 제2 측벽부(131b) 및 양측에 위치하는 제3 측벽부(131c)와 제4 측벽부(131d)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제4 측벽부(131d)는 제3 측벽부(131c)와 제2 방향(Y)으로 대면하는 측벽일 수 있다. 측벽부들은 제3 방향(Z)과 평행한 내측면 및/또는 외측면을 갖거나, 또는 제3 방향(Z)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일 수도 있다.The plurality of side wall parts 131 may perform a side wall function connecting the floor part 121 and the ceiling part 111 . The side wall portion 131 may function to prevent item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IS, such as ballot pap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ottom portion 121 and spilled. For example, the side wall portion 131 includes a first side wall portion 131a located on the rear side, a second side wall portion 131b located on the front side, a third side wall portion 131c located on both sides, and a fourth side wall portion 131c located on the front side. A side wall portion 131d may be included. Although not illustrated, the fourth sidewall portion 131d may be a sidewall facing the third sidewall portion 131c in the second direction (Y). The side wall portions may have inner and/or outer surfaces parallel to the third direction Z, or may be inclin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third direction Z.

몇몇 실시예에서, 어느 측벽부(131)는 부분적으로 개폐되는 개폐부(131p)를 가질 수도 있다. 개폐부(131p)를 통해 내부 공간(IS)에 수용된 투표 용지 등의 물품을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다. 개폐부(131p)를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개폐되는 힌지 구조 등을 가질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any side wall portion 131 may have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31p that is partially opened and closed. Items such as ballot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IS) may be withdrawn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31p). A method of forming the opening/closing unit 131p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have a hinge structure that opens and closes in a left-right direction or a vertical direction.

함체(101)의 재질은 충분한 내구성을 갖는 정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열가소성 플라스틱 또는 열경화성 플라스틱의 플라스틱재, 목재, 금속재 등일 수 있다. 또, 함체(101)의 측벽부(131), 바닥부(121) 및/또는 천정부(111)는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간에 부분적으로 분해 및 조립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enclosure 10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sufficient durability, and may be, for example, a plastic material of thermoplastic or thermosetting plastic, wood, or a metal material. In addition, the side wall portion 131, the floor portion 121, and/or the ceiling portion 111 of the enclosure 10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out a physical boundary, or configured to be partially disassembled and assembled with each other.

함체(101)의 어느 측벽부, 예컨대 배면측에 위치한 제1 측벽부(131a) 상에는 걸이(201) 및 지지대(301)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측벽부(131a)는 걸이(201) 및/또는 지지대(301)가 배치된 측벽부를 의미한다. 도 3은 제1 측벽부(131a)로부터 걸이(201) 및 지지대(301)가 대략 제1 방향(X)으로 돌출된 경우를 예시한다.A hanger 201 and a support 301 may be disposed on any side wall portion of the enclosure 101, for example, on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31a located on the rear side.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31a refers to a side wall portion where the hook 201 and/or the support 301 are disposed. 3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hook 201 and the support 301 protrude substantially in the first direction (X) from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31a).

걸이(201)는 함(11)을 승강기 손잡이(G)의 손잡이 봉(G1)에 걸기 위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걸이(201)는 직사각형 내지는 원형 등의 단면을 갖는 손잡이 봉(G1)에 걸기 위해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걸이(201)는 만입된 하부를 갖는 형상일 수 있다. 만입된 부분은 반원 등의 원의 호의 일부 형상, 또는 타원의 일부 형상, 또는 다각형과 같이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손잡이 봉(G1)에 함(11)이 거치된 상태에서, 함체(101)는 손잡이 봉(G1)과 제1 방향(X)으로 중첩할 수 있다.The hanger 201 may be a component for hanging the box 11 on the handle bar G1 of the elevator handle G. The hook 201 may have a shape suitable for hanging on a handle bar G1 having a cross section such as a rectangle or a circle. For example, the hanger 201 may have a shape having a recessed lower part. The indented portion may be a partial shape of an arc of a circle such as a semicircle, or a partial shape of an ellipse, or a bent shape such as a polygon. In a state in which the box 11 is mounted on the handle bar G1, the housing 101 may overlap the handle bar G1 in the first direction X.

제1 방향(X)으로 절개한 단면 상에서, 걸이(201)는 손잡이 봉(G1)의 외주 길이의 약 40% 이상, 또는 대략 절반 이상, 또는 약 60% 이상, 또는 약 70% 이상, 또는 75% 이상을 커버할 수 있다. 걸이(201)가 손잡이 봉(G1)을 커버하는 길이가 길수록 안정적으로 함(11)을 손잡이 봉(G1)에 거치할 수 있으나, 커버하는 길이가 지나치게 길면 거치 등이 불편할 수 있다.On a cross section cut in the first direction X, the hook 201 is about 40% or more, or about half or more, or about 60% or more, or about 70% or more, or 75% or mor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handle bar G1. % or more can be covered. As the length of the hook 201 covering the handle bar G1 is longer, the box 11 can be stably mounted on the handle bar G1, but if the length of the cover is too long, it may be inconvenient.

걸이(201)는 제2 방향(Y)으로 이격되어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또, 걸이(201)는 함체(101)의 제3 방향(Z) 상단부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걸이(201)는 함체(101)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걸이(201)는 함체(101)와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함체(101)와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Hangers 201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aced apart in the second direction (Y). In addition, the hanger 201 may be disposed near the upper end of the enclosure 101 in the third direction (Z). The hanger 201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housing 101 or a different material. The hanger 20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enclosure 101 without a physical boundary, or configured to be disassembled and assembled with the enclosure 101 .

지지대(301)는 함체(101)를 승강기의 내측벽(W)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걸이(201)가 함체(101)의 상단부 부근에 위치할 경우, 함체(101) 내부의 내부 공간(IS)에 물품이 수용되고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함체(101)가 기울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승강기의 손잡이 봉(G1)이 원형일 경우 더욱 심해질 수 있다.The support 301 may be a component for separating and supporting the enclosure 101 from the inner wall W of the elevato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hanger 201 is located near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01, the housing 101 is tilted as items ar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IS inside the housing 101 and the weight increases. may occur. This problem may become more severe when the handle bar G1 of the elevator has a circular shape.

지지대(301)는 함체(101)의 배면측 제1 측벽부(131a)로부터 제1 방향(X)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걸이(201)의 연장 방향과 지지대(301)의 연장 방향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지지대(301)의 연장 방향은 함(11)을 거치하고자 하는 손잡이 봉(G1)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거나, 대략 수직할 수 있다. 지지대(301)는 제2 방향(Y)으로 이격되어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support 301 may have a shape protruding in the first direction (X) from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31a on the rear side of the enclosure 101 .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hook 201 and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upport 301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In another aspect,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upport 301 may cross or b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handle bar G1 to be mounted on the box 11 . The support 301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spaced apart in the second direction (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 다른 측면에서, 지지대(301)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부분을 포함하되, 다른 부분으로 연장된 부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지대(301)는 바닥부(121)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후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지지대(301)는 제3 측벽부(131c) 및/또는 제4 측벽부(131d)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된 후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도 있다.In another aspect, the support 301 includes a portion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X), but may further include a portion extending to another portion. For example, the support 301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bottom portion 121 and then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X. For another example, the support 301 may protrude from the third side wall portion 131c and/or the fourth side wall portion 131d to both sides and then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X.

또, 지지대(301)는 걸이(201)에 비해 함체(101)의 제3 방향(Z)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대(301)는 함체(101)의 제3 방향(Z) 하단부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대(301)는 함체(101) 및/또는 걸이(201)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대(301)는 함체(101)와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함체(101)와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301 may be located lower than the hook 201 in the third direction (Z) of the housing 101. For example, the support 301 may be located near the lower end of the enclosure 101 in the third direction (Z). The support 301 may be made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as the enclosure 101 and/or the hanger 201 . The support 30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enclosure 101 without a physical boundary, or configured to be disassembled and assembled with the enclosure 101 .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지지대(301)의 연장 길이(또는 돌출 길이), 예컨대 제1 방향(X)으로의 연장 길이(L301)는 걸이(201)의 수평 길이, 내지는 연장 길이, 또는 돌출 길이, 구체적으로 제1 방향(X)으로의 최대 길이(L201) 보다 길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extension length (or protrusion length) of the support 301, for example, the extension length (L 301 ) in the first direction (X) is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hook 201, or the extension length, or the protrusion length. , Specifically, it may be longer than the maximum length (L 201 ) in the first direction (X).

지지대(301)의 연장 길이(L301)는 제1 측벽부(131a)로부터 지지대(301)의 제1 방향(X) 단부까지의 제1 방향(X) 최소 길이 또는 최대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또, 걸이(201)의 수평 길이(L201)는, 걸이(201)가 제1 측벽부(131a)로부터 돌출된 실시예에서, 제1 측벽부(131a)로부터 걸이(201)의 제1 방향(X) 단부 또는 어느 부분까지의 제1 방향(X) 최대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The extended length (L 301 ) of the support 301 may mean a minimum length or a maximum length in the first direction (X) from the first sidewall portion 131a to the end of the support 301 in the first direction (X). . In addition, the horizontal length L 201 of the hook 201 is, in the embodiment in which the hook 201 protrudes from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31a, the first direction of the hook 201 from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31a. (X) may mean the maximum length in the first direction (X) to the end or any part.

함(11)을 승강기의 손잡이 봉(G1)에 거치하는 경우, 걸이(20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손잡이 봉(G1)과 승강기 내측벽(W) 사이에 삽입되며 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걸이(201)는 승강기 내측벽(W)과 이격되어야 하며, 결과적으로 걸이(201)의 수평 길이(L201)는 함체(101)의 제1 측벽부(131a)와 승강기 내측벽(W) 간의 이격 거리 보다 필연적으로 짧게 된다.When the box 11 is mounted on the handle bar G1 of the elevator, the hanger 201 may be at least partially inserted between the handle bar G1 and the inner wall W of the elevator. Therefore, the hanger 201 must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elevator (W), and as a result, the horizontal length (L 201 ) of the hanger 201 is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31a) of the enclosure 101 and the inner wall of the elevator (W). It is inevitably short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m.

본 실시예에 따른 함(11)은 지지대(301)가 걸이(201) 보다 길게 연장 되어 승강기의 내측벽(W)과 맞닿을 수 있다. 즉, 지지대(301)의 연장 길이(L301)는 함체(101)의 제1 측벽부(131a)와 승강기 내측벽(W) 간의 이격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대(301)는 연장 길이, 즉 제1 방향(X)으로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지지대(301)는 어느 일 부분과, 상기 일 부분에 제1 방향(X)으로 삽입되는 다른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the box 1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 301 extends longer than the hanger 201 so that it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wall W of the elevator. That is, the extension length L 301 of the support 301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31a of the enclosure 101 and the inner wall W of the elevator. To this end, the support 301 may be configured such that its extended length, that is, the length in the first direction (X) is adjusted. A method for adjusting the length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the support 301 may include one part and another part inserted into the one part in the first direction X.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거치용 함(11)은 걸이(201)가 함체(101)의 대략 상단부 부근에 위치하는 실시예에서, 함(11)의 자중 또는 함(11) 내부의 내부 공간(IS)에 물품이 인입됨에 따라 발생하는 무게 증가에도 불구하고 지지대(301)가 승강기의 내측벽(W)을 지지함으로써 함(11)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elevator mounting box 1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an embodiment in which the hanger 201 is located near the upper end of the box 101, the weight of the box 11 or the inner space inside the box 11 (IS) ) In spite of the increase in weight caus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goods into the elevator, the support 301 supports the inner wall W of the elevator, so that the box 11 can be prevented from tilting.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거치용 함과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는 첨부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의 기재 내용으로부터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a description of the same or extremely similar configuration as the elevator mounting box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omitted, which will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of the detailed descrip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함(12)의 거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함(12)의 단면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ed state of the box 1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x 12 of FIG. 5 .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함(12)의 함체(102)는 천정부가 생략되고, 바닥부(122) 및 경사진 복수의 측벽부(132)들을 포함하는 점이 도 1 등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거치용 함과 상이한 점이다.5 and 6, the case 102 of the box 1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mits the ceiling and includes a bottom part 122 and a plurality of inclined side wall parts 132. It is different from the elevator mounting box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like.

본 실시예에 따른 함(12)은 바구니 내지는 바스켓 등일 수 있다. 상기 바구니 내에는 손 세정제 등의 물품이 손쉽게 보관되거나, 또는 꺼내질 수 있다.The box 12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a basket or basket. In the basket, items such as hand sanitizer can be easily stored or taken out.

함(12)의 함체(102)는 바닥부(122) 및 측벽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함체(102)는 내부 공간(IS)을 형성하는 본질적인 부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함(12)의 함체(102)는 천정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를 불포함한다. 이에 따라 개구(12p)를 가질 수 있다. 바닥부(122)는 내부 공간(IS)에 수용된 물품, 예컨대 손 세정제를 중력 방향으로 지탱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바닥부(122)는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이 속하는 평면 내에 위치할 수 있다.The enclosure 102 of the enclosure 12 may include a bottom portion 122 and a side wall portion 132. Enclosure 102 may be an essential part forming the inner space (IS). The enclosure 102 of the enclosure 12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does not include a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ceiling. Accordingly, an opening 12p may be provided. The bottom part 122 may function to support an article, for example, a hand sanitizer,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IS in the direction of gravity.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bottom portion 122 may be located in a plane in which the first direction (X) and the second direction (Y) belong.

복수의 측벽부(132)들은 내부 공간(IS)에 수용된 물품이 바닥부(122)로부터 이탈하여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부(132)는 배면 측에 위치하는 제1 측벽부(132a), 전면 측에 위치하는 제2 측벽부(132b) 및 양측에 위치하는 제3 측벽부(미도시)와 제4 측벽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ide wall portions 132 may function to prevent item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I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ottom portion 122 and falling. For example, the side wall portion 132 includes a first side wall portion 132a located on the rear side, a second side wall portion 132b located on the front side, and a third side wall portion (not shown) located on both sides. 4 may include a side wall portion (not shown).

함체(102)의 어느 측벽부, 예컨대 배면측에 위치한 제1 측벽부(132a) 상에는 걸이(202) 및 지지대(302)가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제1 측벽부(132a)로부터 걸이(202) 및 지지대(302)가 대략 제1 방향(X)으로 돌출된 경우를 예시한다.A hanger 202 and a support 302 may be disposed on any side wall portion of the enclosure 102, for example, on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32a located on the rear side. 6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hook 202 and the support 302 protrude substantially in the first direction (X) from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32a).

걸이(202)는 함(12)을 승강기 손잡이의 손잡이 봉(G1)에 걸기 위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걸이(202)는 직사각형 내지는 원형 등의 손잡이 봉(G1)에 걸기 위해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걸이(202)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The hanger 202 may be a component for hanging the box 12 on the handle bar G1 of the elevator handle. The hook 202 may have a shape suitable for hanging on a rectangular or circular handle bar G1. Since the hanger 202 has been described above, duplicat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지지대(302)는 함체(102)를 승강기 내측벽(W)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함체(102) 내부의 내부 공간(IS)에 물품이 수용되고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함체(102)가 기울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support 302 may be a component for separating and supporting the enclosure 102 from the inner wall W of the elevator. As described above, as an article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IS) inside the enclosure 102 and the weight increases, a problem in which the enclosure 102 is tilted may occur.

지지대(302)는 함체(102)의 배면측 제1 측벽부(132a)로부터 제1 방향(X)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걸이(202)의 연장 방향과 지지대(302)의 연장 방향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지지대(302)의 연장 방향은 함(12)을 거치하고자 하는 손잡이 봉(G1)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거나, 대략 수직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지지대(302)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부분을 포함하고,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지지대(302)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The support 302 may have a shape protruding in the first direction (X) from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32a on the rear side of the enclosure 102 .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hook 202 and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upport 302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In another aspect,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upport 302 may cross or b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handle bar G1 to be mounted on the box 12 . In another aspect, the support 302 includes a portion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X), and may further include a portion extending in another direction. Since the support 302 has been described above, duplicat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지지대(302)의 연장 길이, 예컨대 제1 방향(X)으로의 연장 길이(L302)는 걸이(202)의 수평 길이, 내지는 연장 길이, 구체적으로 제1 방향(X)으로의 최대 길이(L202) 보다 길 수 있다. 지지대(302)와 걸이(202)의 길이의 의미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extended length of the support 302, for example, the extended length (L 302 ) in the first direction (X) is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hook 202, or the extended length, specifically the first direction (X). It may be longer than the maximum length (L 202 ). Since the meaning of the lengths of the support 302 and the hook 202 has been described above, duplicat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함(13)을 나타낸 도면들로서, 도 7은 함(13)의 거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함(13)의 단면도이다.7 and 8 are views showing a box 1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ed state of the box 13, and FIG. 8 is a view of the box 13 of FIG. it is a cross section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함(13)은 걸이(203)가 함체(103)의 측벽부(133)가 아닌 천정부(113)로부터 돌출된 점이 도 1 등의 실시예에 따른 함(11)과 상이한 점이다.7 and 8, in the box 1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hanger 203 protrudes from the ceiling 113 rather than the side wall 133 of the box 103. It is different from Ham (11) according to

함체(103)는 바닥부(123), 측벽부(133) 및 천정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천정부(113)에는 슬릿(113s)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슬릿은 제2 측벽부(133b)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enclosure 103 may include a bottom portion 123, a side wall portion 133, and a ceiling portion 113. A slit 113s may be formed in the ceiling portion 113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lit may be formed in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133b.

걸이(203)는 함(13)을 승강기 손잡이 봉(G1)에 걸기 위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걸이(203)는 천정부(113)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걸이(203)는 함(13)을 손잡이 봉(G1)의 제1 방향(X) 일측으로부터 걸도록 구성된 것일 수 있다. 함체(103)는 손잡이 봉(G1)과 제1 방향(X)으로 중첩하거나 비중첩할 수 있다. 또, 함체(103)는 손잡이 봉(G1)과 제3 방향(Z)으로 중첩하거나 비중첩할 수 있다. 도 8은 함체(103)가 손잡이 봉(G1)과 제1 방향(X)으로 부분적으로 중첩하고, 제3 방향(Z)으로 비중첩한 경우를 예시한다. 지지대(303)는 제1 측벽부(133a)로부터 제1 방향(X)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hanger 203 may be a component for hanging the box 13 on the elevator handle bar G1. In this embodiment, the hanger 203 may protrude from the ceiling 113 . However, the hook 203 may be configured to hang the box 13 from one side of the handle bar G1 in the first direction X. The enclosure 103 may overlap or non-overlap with the handle bar G1 in the first direction X. In addition, the enclosure 103 may overlap or non-overlap with the handle bar G1 in the third direction Z. 8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enclosure 103 partially overlaps the handle bar G1 in the first direction (X) and does not overlap in the third direction (Z). The support 303 may protrude in the first direction X from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33a.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지지대(303)의 연장 길이, 예컨대 제1 방향(X)으로의 연장 길이(L303)는 걸이(203)의 수평 길이, 내지는 연장 길이, 또는 돌출 길이, 구체적으로 제1 방향(X)으로의 최대 길이(L203) 보다 길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extended length of the support 303, for example, the extended length (L 303 ) in the first direction (X) is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hook 203, or the extended length, or the protruding length, specifically the first It may be longer than the maximum length (L 203 ) in the direction (X).

지지대(303)의 연장 길이(L303)는 제1 측벽부(133a)로부터 지지대(303)의 제1 방향(X) 단부까지의 제1 방향(X) 최소 길이 또는 최대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또, 걸이(203)의 수평 길이(L203)는 걸이(203)가 천정부(113)로부터 돌출된 실시예에서, 제1 측벽부(133a)로부터 걸이(203)의 제1 방향(X) 단부 또는 어느 부분까지의 제1 방향(X) 최대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The extended length (L 303 ) of the support 303 may mean a minimum length or a maximum length in the first direction (X) from the first sidewall portion 133a to the end of the support 303 in the first direction (X). . In addition, the horizontal length (L 203 ) of the hook 203 is the first direction (X) end of the hook 203 from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33a) in the embodiment in which the hook 203 protrudes from the ceiling portion 113. Alternatively, it may mean the maximum length in the first direction (X) up to a certain part.

본 실시예와 같이 걸이(203)의 위치를 변경하여 함(1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box 13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hanger 203 .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함(14)을 나타낸 도면들로서, 도 9는 함(14)의 거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함(14)의 단면도이다.9 and 10 are views showing a box 14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ed state of the box 14, and FIG. 10 is a view of the box 14 of FIG. it is a cross section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함(14)은 함체(104)의 일부분이 지지대와 같이 기능한 점이 도 1 등의 실시예에 따른 함(11)과 상이한 점이다.9 and 10, the box 14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box 1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uch as FIG. 1 in that a part of the box 104 functions as a support.

함체(104)는 바닥부(124), 측벽부(134) 및 천정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함체(104)는 부분적으로 단차를 갖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벽부(134)는 전면 측에 위치하는 제2 측벽부(134b), 배면 측에 위치하는 제1 측벽부(134a1, 134a2) 및 양측에 위치하는 제3 측벽부(미도시)와 제4 측벽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enclosure 104 may include a bottom portion 124 , a side wall portion 134 and a ceiling portion 114 . In this case, the enclosure 104 may have a shape partially having a step. Specifically, the sidewall portion 134 includes a second sidewall portion 134b located on the front side, first sidewall portions 134a1 and 134a2 located on the rear side, and third sidewall portions (not shown) located on both sides. It may include a fourth side wall portion (not shown).

이 때 제1 측벽부(134a1, 134a2)는 제1-1 측벽부(134a1) 및 제1-2 측벽부(134a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측벽부(134a1)는 제1-2 측벽부(134a2) 보다 제3 방향(Z)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1 측벽부(134a1)는 제1-2 측벽부(134a2) 보다 제1 방향(X) 전면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1 측벽부(134a1)와 제1-2 측벽부(134a2)는 각각 제2 측벽부(134b)와 제1 방향(X)으로 대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sidewall portions 134a1 and 134a2 may include a 1-1st sidewall portion 134a1 and a 1-2nd sidewall portion 134a2. The 1-1st sidewall portion 134a1 may be located above the 1-2nd sidewall portion 134a2 in the third direction (Z). The 1-1st sidewall portion 134a1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front side in the first direction (X) than the 1-2nd sidewall portion 134a2 . The 1-1st sidewall portion 134a1 and the 1-2nd sidewall portion 134a2 may face the second sidewall portion 134b in the first direction X, respectively.

또, 천정부(114)는 제1 천정부(114a) 및 제2 천정부(11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천정부(114a)는 제2 천정부(114b) 보다 제1 방향(X) 전면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0은 제1 천정부(114a)에 슬릿(114s)이 형성되고, 제2 천정부(114b)에는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를 예시한다. 제1 천정부(114a)는 제2 천정부(114b) 보다 제3 방향(Z) 높은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천정부(114a)와 제2 천정부(114b)는 각각 바닥부(124)와 제3 방향(Z)으로 대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iling part 114 may include a first ceiling part 114a and a second ceiling part 114b. The first ceiling part 114a may be located on the front side in the first direction X than the second ceiling part 114b. 10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slit 114s is formed in the first ceiling portion 114a and the slit is not formed in the second ceiling portion 114b. The first ceiling part 114a may be located at a higher level in the third direction Z than the second ceiling part 114b. The first ceiling portion 114a and the second ceiling portion 114b may face the floor portion 124 in the third direction Z, respectively.

즉, 위와 같이 구성하여 함체(104)는 제1-1 측벽부(134a1)와 제2 천정부(114b)에 의한 단차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함체(104)는 제1 내부 공간(IS1)과 제2 내부 공간(IS2)으로 구획되는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제1 내부 공간(IS1)은 제2 내부 공간(IS2) 보다 상부에 위치한 공간이고, 제1 내부 공간(IS1)의 제1 폭(W1)은 제2 내부 공간(IS2)의 제2 폭(W2) 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폭(W1)은 제2 측벽부(134b)와 제1-1 측벽부(134a1) 간의 이격 거리일 수 있다. 또, 제2 폭(W2)은 제2 측벽부(134b)와 제1-2 측벽부(134a2) 간의 이격 거리일 수 있다.That is,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housing 104 may have a step difference between the 1-1 side wall portion 134a1 and the second ceiling portion 114b. In another aspect, the enclosure 104 may have an inner space partitioned into a first inner space IS1 and a second inner space IS2. The first inner space IS1 is a space located above the second inner space IS2, and the first width W 1 of the first inner space IS1 is the second width of the second inner space IS2 ( W 2 ) may be less than. The first width W 1 may be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sidewall portion 134b and the 1-1st sidewall portion 134a1. Also, the second width W 2 may be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sidewall portion 134b and the first-second sidewall portion 134a2 .

또 다른 측면에서, 함체(104)는 제3 내부 공간(IS3)과 제4 내부 공간(IS4)으로 구획되는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제3 내부 공간(IS3)은 제4 내부 공간(IS4) 보다 제1 방향(X) 전면 측에 위치한 공간이고, 제3 내부 공간(IS3)의 제1 높이(H1)는 제4 내부 공간(IS4)의 제2 높이(H2) 보다 클 수 있다. 제1 높이(H1)는 제1 천정부(114a)와 바닥부(124) 간의 이격 거리일 수 있다. 또, 제2 높이(H2)는 제2 천정부(114b)와 바닥부(124) 간의 이격 거리일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enclosure 104 may have an inner space partitioned into a third inner space IS3 and a fourth inner space IS4. The third inner space IS3 is a space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fourth inner space IS4 in the first direction X, and the first height H 1 of the third inner space IS3 is the fourth inner space ( IS4) may be greater than the second height H 2 . The first height H 1 may be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ceiling portion 114a and the bottom portion 124 . Also, the second height H 2 may be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ceiling portion 114b and the floor portion 124 .

전술한 바와 같이, 함체(10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대와 같이 기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걸이(204)는 함체(104)의 제2 천정부(114b)와 제3 방향(Z)으로 중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걸이(204)는 함체(104)의 제1-1 측벽부(134a1)와 제1 방향(X)으로 중첩할 수 있다. 함(14)을 손잡이 봉(G1)에 거치한 상태에서, 제1-2 측벽부(134a2)는 승강기의 측벽(W)과 맞닿을 수 있다. As noted above, enclosure 104 may at least partially function as a support. To this end, the hanger 204 may overlap the second ceiling portion 114b of the enclosure 104 in the third direction (Z). In some embodiments, the hanger 204 may overlap the 1-1 side wall portion 134a1 of the enclosure 104 in the first direction (X). In a state where the box 14 is mounted on the handle bar G1, the 1-2 sidewall portion 134a2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sidewall W of the elevator.

걸이(204)의 수평 길이 내지는 연장 길이, 또는 돌출 길이, 구체적으로 제1 방향(X)으로의 최대 길이(L204)는 제2 천정부(114b)의 제1 방향(X)으로의 길이(L114-2) 보다 작을 수 있다. 또는, 제2 측벽부(134b)로부터 걸이(204)의 단부 또는 어느 부분까지의 제1 방향(X)으로의 최대 길이(예컨대, 걸이(204)의 돌출 길이(L204)와 제1 폭(W1)의 합)는, 제2 측벽부(134b)와 제1-2 측벽부(134a2)까지의 제1 방향(X)으로의 최소 길이 또는 최대 길이(예컨대, 제2 폭(W2)) 보다 작을 수 있다.The horizontal length or extended length or protruding length of the hook 204, specifically, the maximum length (L 204 ) in the first direction (X) is the length (L) of the second ceiling portion 114b in the first direction (X). 114-2 ) may be smaller. Alternatively, the maximum length in the first direction (X) from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134b to the end or any part of the hook 204 (eg, the protruding length L 204 of the hook 204 and the first width ( The sum of W 1 ) is the minimum length or maximum length (eg, the second width W 2 ) in the first direction X from the second sidewall portion 134b to the 1-2nd sidewall portion 134a2 . ) can be smaller than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함(15)을 나타낸 도면들로서, 도 11은 함(15)의 거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함(15)의 단면도이다.11 and 12 are views showing a box 15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ed state of the box 15, and FIG. 12 is a view of the box 15 of FIG. it is a cross section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함(15)은 걸이(205)를 포함하되, 함체(105)의 일부분이 지지대와 같이 기능하는 점이 도 1 등의 실시예에 따른 함(11)과 상이한 점이다.11 and 12, the box 1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ook 205, but a part of the box 105 functions like a suppo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 11) is different.

함체(105)는 천정부(115), 측벽부(135) 및 바닥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투표 용지의 인입 등을 위한 슬릿(135s)은 천정부(115)가 아닌 제2 측벽부(135b)에 형성될 수 있다.The enclosure 105 may include a ceiling portion 115, a side wall portion 135, and a bottom portion 125. The slit 135s for inputting ballot papers may be formed on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135b instead of the ceiling portion 115 .

또, 걸이(205)는 제2 측벽부(135b)가 아닌 천정부(115)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이(205)는 천정부(115)의 제1 방향(X) 전면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함(15)이 손잡이 봉(G1)에 거치된 상태에서, 천정부(115) 및 바닥부(125)를 포함하는 함체(105)는 손잡이 봉(G1)가 제3 방향(Z)으로 중첩할 수 있다. 반면, 함체(105)는 손잡이 봉(G1)가 제1 방향(X)을 포함하는 수평 방향으로 비중첩할 수 있다.Also, the hanger 205 may protrude from the ceiling portion 115 instead of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135b. Specifically, the hanger 205 may be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ceiling part 115 in the first direction (X). 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box 15 is mounted on the handle bar G1, the case 105 including the ceiling portion 115 and the bottom portion 125 overlaps the handle bar G1 in the third direction Z. can do. On the other hand, in the housing 105, the handle bar G1 may be non-overlapp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including the first direction X.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걸이(205)의 제1 방향(X)으로의 최대 길이(L205)는 함체(105)의 제1 방향(X)으로의 폭, 구체적으로 제1 측벽부(135a)와 제2 측벽부(135b)의 이격 거리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걸이(205)의 제1 방향(X)으로의 길이(L205)는, 함체(105)에 고정된 걸이(205)의, 제1 측벽부(135a)와 제2 측벽부(135b)의 이격 방향으로의 최대 길이를 의미한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maximum length (L 205 ) of the hook 205 in the first direction (X) is the width of the enclosure 105 in the first direction (X), specifically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35a) It may be small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nd the second sidewall portion 135b. In this embodiment, the length (L 205 ) of the hook 205 in the first direction (X) is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35a and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of the hook 205 fixed to the enclosure 105. It means the maximum length in the separation direction of (135b).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on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be able to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not exemplified above are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상에서 예시된 기술 사상의 변경물, 균등물 내지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of the technical ideas exemplified abo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And differences related to these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1: 승강기 거치용 함
101: 함체
111: 천정부
121: 바닥부
131: 측벽부
201: 걸이
301: 지지대
IS: 함체의 내부 공간
W: 승강기 내측벽
G: 승강기 손잡이
11: lift box
101: enclosure
111: ceiling
121: bottom
131: side wall
201: hook
301: support
IS: the inner space of the hull
W: Inner wall of the elevator
G: Elevator handle

Claims (3)

바닥부, 천정부 및 측벽부들을 포함하여 내부 공간을 갖는 함체; 및 상기 함체로부터 제1 방향으로 돌출된 걸이를 포함하는 승강기 거치용 함으로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제1 방향 일측의 제1 측벽부 및 상기 제1 측벽부와 제1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벽부는 제1-1 측벽부, 및 제1-2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천정부는 제1 천정부 및 제2 천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1 측벽부의 상단과 제2 측벽부의 상단은 상기 제1 천정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2 측벽부의 상단과 제1-1 측벽부의 하단은 상기 제2 천정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1 측벽부와 제2 측벽부 간의 이격 거리는, 제1-2 측벽부와 제2 측벽부 간의 이격 거리 보다 작고, 상기 걸이는 제1-1 측벽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천정부는 슬릿을 가지고, 상기 제2 측벽부는 개폐부를 가지고,
상기 걸이가 승강기 손잡이 봉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1 측벽부 및 걸이는 승강기의 내측벽와 이격되고, 상기 제1-2 측벽부는 상기 내측벽과 맞닿아 함을 지지하는, 승강기 거치용 함.
An enclosure having an internal space including a floor portion, a ceiling portion, and side wall portions; And as an elevator mounting box including a hook protruding in a first direction from the enclosure,
The sidewall portion includes a first sidewall portion on one side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sidewall portion that faces the first sidewall portion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first sidewall portion includes a 1-1 sidewall portion and a 1-2nd sidewall portion. A side wall portion, wherein the ceiling portion includes a first ceiling portion and a second ceiling portion,
The upper end of the 1-1 side wall part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ide wall part are connected by the first ceiling part, and the upper end of the 1-2 side wall part and the lower end of the 1-1 side wall part are connected by the second ceiling par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1-1 side wall portion and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is small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1-2 side wall portion and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and the hook protrudes from the 1-1 side wall portion,
The first ceiling portion has a slit,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has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hanger is mounted on the elevator handle bar, the 1-1 side wall portion and the hanger ar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elevator, and the 1-2 side wall portion abuts with the inner wall to support the elevator mounting. box.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14495A 2021-02-02 2021-02-02 Box for mounting elevator including supporting member KR1025113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495A KR102511308B1 (en) 2021-02-02 2021-02-02 Box for mounting elevator including supporting mem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495A KR102511308B1 (en) 2021-02-02 2021-02-02 Box for mounting elevator including supporting mem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356A KR20220111356A (en) 2022-08-09
KR102511308B1 true KR102511308B1 (en) 2023-03-17

Family

ID=82844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495A KR102511308B1 (en) 2021-02-02 2021-02-02 Box for mounting elevator including supporting memb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1308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214B1 (en) * 2010-08-16 2013-03-06 장운호 Dispenser for cleansing liquid of toilet bowl
KR200480514Y1 (en) 2014-04-14 2016-06-02 현서영 Storage box for ballot pa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356A (en) 202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4757Y1 (en) Box for fruits
US5515981A (en) Clothes hanger organizer
US6318822B1 (en) Clothes cabinet for wardrobe
US20080110777A1 (en) Clothes hanger storage device
KR100543412B1 (en) Clothe hanger
US6053378A (en) Closet space saver
EP3012212A1 (en) Web-storing container
KR102511308B1 (en) Box for mounting elevator including supporting member
KR20220114116A (en) Hanging box
KR102137569B1 (en) A frying pan holder
US5924578A (en) Clothing hanger holder
KR20110112537A (en) Hanger
KR101211931B1 (en) Bag hanger
US20060076355A1 (en) Double hanging container
NL1019505C2 (en) Clothes hanger.
KR200460047Y1 (en) Fixing shelf of container
KR200399063Y1 (en) A furniture
KR200431618Y1 (en) Packing case with clothes rack
KR20090011345U (en) Sliding door type packing box
JP7362420B2 (en) Wagon equipment and fixtures system
CN220024844U (en) Vertical kitchen ware rack
JP2011219127A (en) Partitioning material
KR200493901Y1 (en) Shelf bridge structure for folding box
KR100474632B1 (en) Clothes acceptance hanger for loading in container
KR101278389B1 (en) Packing box for stick go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