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569B1 - A frying pan holder - Google Patents

A frying pan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7569B1
KR102137569B1 KR1020190141600A KR20190141600A KR102137569B1 KR 102137569 B1 KR102137569 B1 KR 102137569B1 KR 1020190141600 A KR1020190141600 A KR 1020190141600A KR 20190141600 A KR20190141600 A KR 20190141600A KR 102137569 B1 KR102137569 B1 KR 102137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holder
frying pan
support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6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오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제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제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제이티
Priority to KR1020190141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56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5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rtical frying pan holder that is convenient for mounting or separating. The vertical frying pan holder includes a pedestal; a support erected in an upward direction while a bottom surface is mounted only on a portion of the pedestal; and a holder module mounted on the support, wherein the support includes a rear portion formed while being erected upward from one end of the pedestal, an upper end formed while being bent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n upper end of the rear portion, a front portion formed in a shape tapered downward from the upper end and having a lower end moun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pedestal, and the holder module is mounted on the front portion.

Description

수직형 프라이팬 거치대{A frying pan holder}Vertical frying pan holder {A frying pan holder}

본 발명은 수직형 프라이팬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프라이팬을 일정한 경사를 두고 상하로 거치하되, 다수의 프라이팬이 거치된 상태에서 다수의 프라이팬의 무게에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프라이팬을 거치대에 거치하거나 거치대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 중에 거치대나 거치된 다른 프라이팬에 의해 간섭을 받지 않아, 거치하거나 분리시키는 과정이 편리한 프라이팬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frying pan holder, and a plurality of frying pans are mounted vertically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d a plurality of frying pans can be stably mounted in spite of the weight of the plurality of frying pans while being mounted. The frying pan is mounted on a cradle or is detached from the cradle during the process, so that it is not interfered by the cradle or another frying pan, so the process of mounting or separating is convenient.

일반적으로 프라이팬은 음식을 조리할 때 가정이나 주방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조리 용도에 따라 그 크기나 형태가 다양하고 자루 형태 등 각종 형태의 손잡이가 형성된다. 특히, 자루 형태의 손잡이가 구비된 프라이팬은 손잡이의 구조상 싱크대 내부에 넣어 보관하거나 또는 별도의 고리를 이용하여 벽에 걸어 보관하는 것이 대부분이다.Generally, a frying pan is used in a home or kitchen when cooking food, and its size and shape vary depending on the cooking purpose, and various types of handles, such as a bag shape, are formed. In particular, the frying pan provided with a handle in the form of a bag is mostly stored inside the sink due to the structure of the handle or stored on the wall using a separate hook.

그러나 손잡이의 길이 구조상 싱크대 내부에 넣어 보관하는 경우 많은 공간을 차지하여 다수의 프라이팬의 수납이 어려우며, 주방의 싱크대 등의 제한된 공간에서 프라이팬뿐 아니라 다양한 조리용기를 동시에 수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due to the length of the handle, it is difficult to store a large number of frying pans because it takes up a lot of space when stored inside a sink, and it is difficult to simultaneously store various cooking containers as well as a frying pan in a limited space such as a kitchen sink.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종래기술인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629401호에 대해서 살펴본다.Let's take a look a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29401, which is a prior art to solve this problem.

종래기술은 제한된 공간에서 다수의 프라이팬을 수납하는 프라이팬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 간격을 두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과,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 및 양측 끝단에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과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돌출부들이 형성되며 수평 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외부 거치편과, 외부 거치편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 거치편으로 이루어지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프레임부의 적어도 일측에 복수의 거치부들이 형성될 수 있는 프라이팬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ior art relates to a frying pan holder fo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frying pans in a limited spac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frame portion composed of at least one horizontal frame connecting the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And a mounting portion formed of an outer mounting piece which is formed by b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each coupled to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at both ends, and an inner mounting piece formed inside the outer mounting piece, and the frame part. It relates to a frying pan holder in which a plurality of mounting portions can b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프라이팬 거치대에서는 프라이팬의 하부면 전체를 받치고 있지만, 프라이팬의 하부면 전체를 받치다 보니 제조비용을 고려하여 솔리드된 받침대보다는 간단한 와이어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무게가 무거운 다수의 프라이팬이 거치된 상태에서 불안정한 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However, the frying pan hold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supports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frying pan, but since it supports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frying pan, it is composed of a simple wire or the like rather than a solid base in consideration of manufacturing cost, so that a large number of heavy frying pans are mounted. Unstable mounting can be achieved in the finished state.

나아가, 그 구조가 와이어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복잡하고, 나아가 프라이팬을 거치하거나 분리시키는 과정 중에 이미 거치된 다른 프라이팬으로부터 간섭을 받고, 다른 프라이팬을 거치하고 있는 와이어 받침대로부터 간섭을 받아 그 과정이 용이하지 않다.Furthermore, the structure is composed of wires, etc., which is complicated, and furthermore, during the process of mounting or separating the frying pan, interference is caused by other frying pans already mounted, and the process is not easy due to interference from the wire pedestals mounting the other frying pans. not.

나아가, 거치할 수 있는 프라이팬의 개수에 따라 높이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는 여지가 전혀 없어, 사용에 있어서 절대적인 일정한 설치공간이 필요한 실정이다.Furthermore, there is no room to increase or decrease the height depending on the number of frying pans that can be mounted, and thus an absolutely constant installation space is required in use.

나아가, 와이어 받침대가 복잡하게 꼬여 있는 상태인 바, 심미감이 현저히 떨어진다.Furthermore, as the wire base is in a complicated twisted state, the aesthetic sense is significantly reduced.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간단한 프라이팬 거치 구조만으로 다수의 프라이팬이 거치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프라이팬을 거치하고, 나아가 프라이팬을 거치하거나 분리하는 과정이 용이하여 사용의 편리성이 증대되고, 그 구조가 단순화됨과 동시에 심미감이 증대된 프라이팬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stably mount the frying pan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frying pans are mounted only with a simple frying pan mounting structure, and further, the process of mounting or separating the frying pan is easy,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use, and its structure Is to provide a frying pan holder that is simplified and has increased aesthetics.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팬 거치대는, 받침대(100); 바닥면이 상기 받침대(100)의 일부분에만 장착된 상태에서, 위 방향으로 세워진 지지대(200); 및 상기 지지대(200)에 장착되는 홀더모듈(300)을 포함하며,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 frying pan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destal 100; In a stat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is mounted only on a part of the pedestal 100, the support 200 erected upwards; And a holder module 300 mounted on the support 200,

상기 지지대(200)는 상기 받침대(100)의 일단에서 위 방향으로 세워지면서 형성된 후면부(210); 상기 후면부(210)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꺾어지면서 형성된 상단부(220); 및 상기 상단부(220)에서 아래 방향으로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되되, 하단이 상기 받침대(100)의 중앙 부분에 장착되도록 형성된 정면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모듈(300)이 상기 정면부(230)에 장착된다.The support 200 includes a rear portion 210 formed while standing in an upward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pedestal 100; An upper part 220 formed while being bent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rear part 210; And it is formed in a tapered form from the upper portion 220, the lower portion includes a front portion 230 formed to be moun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pedestal 100, the holder module 300 is the front portion It is mounted on 230.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면부(230)에는 다수의 한 쌍의 후크홀(2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더모듈(300)은 상기 홀더모듈(300)의 하부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모듈후크(320)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후크(320)가 상기 후크홀(232)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홀더모듈(300)이 상기 정면부(230)에 장착된다.Preferably, a plurality of pairs of hook holes 232 are formed in the front portion 230, and the holder module 300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module 300. It includes a hook 320, the holder module 300 is mounted to the front portion 230 as the module hook 320 is inserted into the hook hole 232.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모듈(300)은, 상기 모듈후크(320)가 상기 후크홀(2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정면부(230)에 밀착되는 경사진 형태의 모듈몸체부(340); 상기 모듈몸체부(340)의 하부에서 일정한 각도로 꺾어지면서 연장되어 형성된 팬받침부(360); 및 상기 모듈몸체부(340)의 상부에서 일정한 각도로 꺾어지면서 연장되어 형성된 수평부(382) 및 상기 수평부(382)의 일단에서 아래 방향으로 꺾어지면서 연장되어 형성된 경사부(384)로 구성된 팬걸림부(380)를 더 포함하며,Preferably, the holder module 300 includes a module body 340 in an inclined shap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portion 230 in the state where the module hook 320 is inserted into the hook hole 232; A fan support portion 360 formed by being bent at a certain angl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module body portion 340; And a fan formed of a horizontal portion 382 formed by being bent at a certain angle from the top of the module body portion 340 and an inclined portion 384 formed by being bent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382. It further includes a locking portion 380,

상기 모듈후크(320)는 상기 모듈몸체부(340)의 양단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모듈몸체부(340)의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된 이후 아래 방향으로 꺾어지면서 형성된다.The module hook 320 is formed while being extended to a certain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odule body part 340 in a stat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odule body part 340 and then bent downward.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크홀(232)의 길이가 상기 모듈후크(320)의 길이보다 긴 상태에서, 상기 모듈후크(320)가 상기 후크홀(232)에 삽입된 이후 상기 모듈후크(320)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홀더모듈(300)이 상기 정면부(230)에 장착된다.Preferably, in the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hook hole 232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module hook 320, the module hook 320 is inserted after the module hook 320 is inserted into the hook hole 232. The holder module 300 is mounted on the front portion 230 as it moves in the downward dire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면부(230)의 폭의 길이는 상기 후면부(210)의 폭의 길이보다 짧은 상태에서, 상기 정면부(230)의 폭의 길이는 상기 홀더모듈(300)의 폭의 길이에 대응되며,Preferably, the length of the width of the front portion 230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width of the rear portion 210, the length of the width of the front portion 230 is the length of the width of the holder module 300 Corresponding to,

상기 지지대(200)는, 상기 정면부(230)에서 꺾어지면서 상기 지지대(200)의 측면부(250)에 연결되되, 상기 정면부(230)에서 상기 측면부(250)를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된 절단사면부(240)를 더 포함하며,The support 200 is connected to the side portion 250 of the support 200 while being bent at the front portion 230, and is taper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front portion 230 toward the side portion 250 Further includes a cut slope portion 240 formed of,

프라이팬이 상기 홀더모듈(300)에 거치된 상태에서 회전되더라도 상기 절단사면부(240)로부터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상태에서 회전되며,Even if the frying pan is rotated while being mounted on the holder module 300, it is rotated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cutting slope 240.

상기 팬받침부(360)의 길이는 상기 수평부(382)의 길이보다 길며, The length of the fan support portion 360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portion 382,

상기 정면부(230)를 따라 다수의 홀더모듈(300)이 일렬로 장착되는 상태에서, 상기 홀더모듈(300)에 거치되는 프라이팬의 무게에 의해 위에 위치된 상기 홀더모듈(300)의 팬받침부(360)가 아래로 이동됨에 따라 아래에 위치된 상기 홀더모듈(300)의 팬걸림부(380)에 의해 지지된다.In the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holder modules 300 are mounted in a line along the front portion 230, the fan support portion of the holder module 300 positioned above by the weight of the frying pan mounted on the holder module 300 As the 360 is moved down, it is supported by the fan catching portion 380 of the holder module 300 located below.

상술한 과제해결수단으로 인하여, 폭이 좁은 정면부에 형성된 후크홀에 정면부의 면적에 대응되는 홀더모듈이 장착되고, 이러한 홀더모듈에 프라이팬이 거치되는 바, 프라이팬 크기에 비하여 간단한 수단만으로 프라이팬을 거치함과 동시에, 다수의 프라이팬이 거치된 상태에서도 받침대와 삼각형 형태로 세워진 지지대의 지지력으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Due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the holder module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front portion is mounted on the hook hole formed in the narrow front portion, and the frying pan is mounted on the holder module. At the same time, even when a large number of frying pans are mounted, it can be stably maintained with the support of the support stands erected in a triangular shape.

나아가, 지지대의 면적 및 프라이팬의 면적에 비하여 홀더모듈이 차지하는 면적이 매우 작은 상태에서 프라이팬이 거치되고 분리되는 바, 주위의 간섭이 최소화되어 용이하게 거치하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이 증대된다.Furthermore, the frying pan is mounted and sepa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holder module occupies a very small area compared to the area of the support and the frying pan. Is increased.

나아가, 프라이팬이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이지만, 거치된 상태의 프라이팬과 프라이팬 거치대가 분리된 상태에서 프라이팬이 거치된 것으로 보이고, 나아가 다수의 프라이팬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정면부에 일렬로 정렬된 상태로 거치되는 바, 프라이팬의 정리정돈된 정렬로 심미감이 증대된다.Further, although the frying pan is mounted on the cradle, the frying pan and frying pan holders in the mounted state appear to be mounted with the frying pan separated, and furthermore, a plurality of frying pans are arranged in a line at the inclined front portion at a constant angle. As it is mounted, the aesthetic sense is increased through the arrangement of the frying pan.

도 1은 프라이팬이 거치된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위에서 아래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모듈후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rying pan mounted.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3 is a perspective view as viewed from the top down.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dule hook.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user's or operator's intention or practice. Therefore, the definition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팬 거치대는 받침대(100), 지지대(200), 홀더모듈(300)을 포함한다.The frying pan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destal 100, a support 200, and a holder module 300.

받침대(100)는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팬 거치대가 설치되는 장소의 바닥에 설치되면서, 받침대(100) 및 다수의 프라이팬이 거치될 홀더모듈(300) 그리고 홀더모듈(300)에 거치되는 다수의 프라이팬을 받친다.The base 100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place where the frying pan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he holder 100 to be mounted on the base 100 and a plurality of frying pans and a plurality of frying pans mounted on the holder module 300. Support.

지지대(200)는 받침대(100)로부터 위로 세워진 상태이다. The support 200 is in a state standing up from the pedestal 100.

이러한 지지대(200)의 바닥면이 받침대(100)의 일부분에만 장착된 상태이다. 지지대(200)는 측면 방향에서 바라보건대, 일정한 면적의 상단부가 형성된 삼각형 형태일 수 있다. 즉, 지지대(200)가 장착된 부분은 받침대(100)의 일부분으로, 받침대(100)의 나머지 부분은 받침대(100)만으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다수의 프라이팬이 지지대(200)의 정면부(230)에 장착된 홀더모듈(300)에 거치된 상태에서, 다수의 프라이팬의 무게로 인하여 지지대가 프라이팬이 위치된 부분으로 쏠려 넘어질 수 있는데, 받침대(100) 중에서 나머지 부분이 일정한 길이로 연장됨에 따라 이러한 쏠림현상에 대항하게 된다.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200 is mounted on only a part of the pedestal 100. The support 200 may be viewed in a lateral direction, and may have a triangular shape in which an upper end portion of a certain area is formed. That is, the portion on which the support 200 is mounted is formed as a part of the pedestal 100, and the rest of the pedestal 100 is formed of a fixed length with only the pedestal 100.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frying pans are mounted on the holder module 300 mounted on the front portion 230 of the support 200, the support may be tilted to the portion where the frying pan is located due to the weight of the plurality of frying pans, but the support Among the (100), as the rest of the portion is extended to a certain length, this shifting phenomenon is countered.

구체적으로, 지지대(200)는 후면부(210), 상단부(220), 정면부(230), 절단사면부(240) 및 측면부(25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support 200 includes a rear portion 210, an upper portion 220, a front portion 230, a cut slope portion 240 and a side portion 250.

후면부(210)는 받침대(100)의 일단에서 위 방향으로 세워진다. 후면부(210)는 일정한 면적으로 형성되되, 후면부(210)의 바닥은 받침대(100)에 장착되기에, 후면부(210)의 폭의 길이는 받침대(100)의 폭의 길이에 상응함이 바람직하다.The rear part 210 is erected in an upward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pedestal 100. The rear portion 210 is formed with a constant area, and the bottom of the rear portion 210 is mounted on the pedestal 100, so that the length of the width of the rear portion 210 corresponds to the length of the width of the pedestal 100. .

후면부(210)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꺾어지면서 상단부(220)가 형성된다.The upper part 220 is formed while being b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rear part 210.

상단부(220)에서 아래 방향으로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되되, 하단이 받침대(100)의 중앙 부분에 장착되도록 정면부(230)가 형성된다. 정면부(230)는 후면부(210)의 기울기보다 덜 기운 형태의 테이퍼진 형태의 경사면이다. 이러한 정면부(230)의 하단이 받침대(100)의 중앙 부분에 장착됨에 따라, 정면부(230)의 하단이 장착된 받침대(100)의 중앙 부분에서 나머지 부분은 지지대(200)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받침대(100)만이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The upper portion 220 is formed in a tapered shape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front portion 230 is formed so that the lower end is moun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pedestal 100. The front portion 230 is a tapered inclined surface in a less inclined shape than the inclination of the rear portion 210. As the lower end of the front portion 230 is mounted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pedestal 100, the rest of the rest of the base portion of the pedestal 100 o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230 is mounted is not equipped with the support 200. In the state, only the pedestal 100 is formed with a constant length.

이러한 정면부(230)에는 양쪽에 형성된 한 쌍의 후크홀(232)이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후크홀(232)로 후술할 홀더모듈(300)의 모듈후크(320)가 삽입되어 장착되고, 이러한 홀더모듈(300)에 프라이팬이 거치된다.A pair of hook holes 23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portion 230 are formed in a row from top to bottom. The module hook 320 of the holder module 30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hook hole 232 and mounted, and a frying pan is mounted on the holder module 300.

정면부(230)에 장착된 홀더모듈(300)에 다수의 프라이팬이 거치된 상태에서, 다수의 프라이팬의 무게를 경사진 정면부(230)가 지지하게 되는데, 지지대(200)의 상단부(220)에서 아래로 내려올수록 정면부(230)가 테이퍼진 상태로 이어지는 바, 결국 지지대(200)의 수평단면적이 커짐에 따라, 위에 거치된 프라이팬이 미치는 하중 방향과 아래에 위치된 프라이팬이 미치는 하중 방향이 서로 달라, 결국 다수의 프라이팬의 무게를 분산시키면서 거치시킬 수 있다.In the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frying pans are mounted on the holder module 300 mounted on the front portion 230, the front portion 230 inclined the weight of the plurality of frying pans is supported, and the upper portion 220 of the support 200 is supported. As it descends from, the front portion 230 leads to a tapered state, and as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pport 200 increases, the load direction of the frying pan mounted on the top and the load direction of the frying pan located on the bottom are increased.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can be mounted while dispersing the weight of multiple frying pans.

정면부(230)의 폭의 길이는 후면부(210)의 폭의 길이보다 짧다. 이러한 정면부(230)의 폭의 길이는 홀더모듈(300)의 모듈몸체부(340)의 폭의 길이에 상응한다. 프라이팬이 거치되는 홀더모듈(300)의 폭의 길이는 전체 프라이팬의 크기에 비하여 매우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 프라이팬 중 아주 작은 부분만이 이러한 홀더모듈(300)에 거치됨에 따라 전체 프라이팬이 거친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width of the front portion 230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width of the rear portion 210. The length of the width of the front portion 230 corresponds to the length of the width of the module body portion 340 of the holder module 300. The length of the width of the holder module 300 on which the frying pan is mounted may be very small compared to the size of the entire frying pan. Accordingly, as only a very small portion of the entire frying pan is mounted on the holder module 300, the entire frying pan can be maintained in a rough state.

프라이팬이 홀더모듈(300)에 거치되는 과정 중 주위로부터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거치대로부터 프라이팬의 거치와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며, 아래 방향으로 테이퍼진 형태의 정면부(230)와 정면부(230)의 하단이 받침대(100)의 중앙 부분에 장착되도록 하여 다수의 프라이팬의 하중을 분산시키면서 안정적인 프라이팬 거치를 유지하기 위함이다.The frying pan is mounted on the holder module 300 to minimize interference from the surroundings to facilitate the mounting and separation of the frying pan from the holder, and the front portion 230 and the front portion 230 in a tapered form in the downward direction. It is to maintain a stable frying pan mounting while distributing the load of a plurality of frying pans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is mounted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pedestal 100.

이에 따라, 프라이팬이 홀더모듈(300)에 거치되는 과정 중 주위로부터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정면부(230)와 측면부(250)가 연결되는 부분이 절단된 형태일 수 있다. 즉, 지지대(200)에는, 정면부(230)에서 꺾어지면서 지지대(200)의 측면부(250)에 연결되되, 정면부(230)에서 측면부(250)를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테이퍼진 형태로 절단사면부(240)가 형성되어 있다. 좁은 폭을 유지하기 위해서 정면부(230)에서 측면부(250)로 곧바로 꺾어지기보다는 절단사면부(240)를 위치키면서 측면부(250)로 연결되도록 하고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minimize interference from the surroundings during the process in which the frying pan is mounted on the holder module 300, a portion in which the front portion 230 and the side portion 250 are connected may be cut. In other words, the support 200, while being bent at the front portion 230, is connected to the side portion 250 of the support 200, the front side 230 toward the side portion 250 is cut in a horizontally tapered form in a cut slope portion 240 is formed. In order to maintain a narrow width, rather than being bent straight from the front portion 230 to the side portion 250, the cutting slope portion 240 is positioned and connected to the side portion 250.

절단사면부(240)가 측면부(250) 방향으로 테이퍼진 형태인 바, 프라이팬이 홀더모듈(300)에 거치된 상태에서 회전되더라도 절단사면부(240)로부터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상태에서 회전되기에, 이러한 절단사면부(240)로부터 간섭을 받지 않는다. 거치대에서 프라이팬을 거치하거나 분리하는 과정 중에도 마찬가지로 간섭이 최소화된다. 다수의 프라이팬의 하중에도 안정적으로 프라이팬을 거치할 수 있고, 나아가 사용의 편리성이 증대된다.Since the cutting slope 240 is tapered in the direction of the side surface 250, even if the frying pan is rotated while mounted on the holder module 300, it is rotated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cutting slope 240. It does not receive interference from the cut slope portion 240. Interference is also minimized during the process of mounting or removing the frying pan from the cradle. It is possible to stably mount the frying pan under a load of multiple frying pans, and furthermore, the convenience of use is increased.

홀더모듈(300)이 정면부(230)에 장착되는데, 정면부(230)에는 다수의 한 쌍의 후크홀(232)이 형성되어 있으며, 홀더모듈(300)의 하부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모듈후크(320)가 후크홀(232)에 삽입됨에 따라 홀더모듈(300)이 정면부(230)에 장착된다.The holder module 300 is mounted on the front portion 230, and a plurality of pair of hook holes 232 are formed on the front portion 23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module 300. As the formed module hook 320 is inserted into the hook hole 232, the holder module 300 is mounted on the front portion 230.

홀더모듈(300)은 모듈몸체부(340), 팬받침부(360) 및 팬걸림부(380)를 포함한다.The holder module 300 includes a module body portion 340, a fan support portion 360 and a fan hanging portion 380.

모듈몸체부(340)는 모듈후크(320)가 후크홀(2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정면부(230)에 밀착되는 부분으로 경사진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모듈몸체부(340)의 양단에서 아래 방향으로 모듈후크(320)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The module body portion 340 may be inclined to a port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portion 230 while the module hook 320 is inserted into the hook hole 232. The module hooks 320 are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module body 340.

모듈후크(320)는 모듈몸체부(340)의 양단에 결합된 상태로 모듈몸체부(340)의 아래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된 이후 모듈몸체부(340)의 길이 방향으로 꺾어지면서 형성된다.The module hook 320 is formed while being extended to a certain length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module body part 340 in a stat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odule body part 340 and then b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dule body part 340.

후크홀(232)의 길이가 모듈후크(320)의 길이보다 긴 상태에서, 모듈후크(320)가 후크홀(232)에 삽입된 이후 모듈후크(320)가 아래로 이동되고, 모듈후크(320) 중 모듈몸체부(340)의 길이 방향으로 꺾어지면서 형성된 부분이, 후크홀(232)이 형성되지 않은 정면부(230)의 내측에 위치됨에 따라, 홀더모듈(300)이 정면부(230)에 장착된다. In the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hook hole 232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module hook 320, the module hook 320 is moved downward after the module hook 320 is inserted into the hook hole 232, and the module hook 320 ) Of the module body portion 340, which is formed while being b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located inside the front portion 230 where the hook hole 232 is not formed, the holder module 300 is the front portion 230 It is mounted on.

무거운 프라이팬이 거치됨에 따라 홀더모듈(300)이 아래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는 바, 일단 프라이팬이 거치된 상태에서 모듈후크(320)가 후크홀(232)이 형성되지 않은 정면부(230)의 내측인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어 홀더모듈(300)이 정면부(230)에 분리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프라이팬이 거치될 수 있다.As the heavy frying pan is mounted, the holder module 300 receives a force in a downward direction, and once the frying pan is mounted, the module hook 320 is inside the front portion 230 where the hook hole 232 is not formed. Mov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holder module 300 is not separated from the front portion 230, so that the frying pan can be stably mounted.

팬받침부(360)는 모듈몸체부(340)의 하부에서 일정한 각도로 꺾어지면서 연장되어 형성된다.The fan support part 360 is formed by being bent at a constant angl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module body part 340.

팬걸림부(380)는 모듈몸체부(340)의 상부에서 일정한 각도로 꺾어지면서 연장되어 형성된 수평부(382) 및 수평부(382)의 일단에서 아래 방향으로 꺾어지면서 연장되어 형성된 경사부(384)로 구성된다.The fan-hanging portion 380 is formed by extending at a certain angle from the top of the module body portion 340, the horizontal portion 382 formed and extended from the one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382, and the inclined portion 384 formed by being extended downward. ).

프라이팬이 홀더모듈(300)에 거치됨에 있어서, 팬받침부(360)와 팬걸림부(380) 사이로 프라이팬의 일측이 삽입되고, 이후 프라이팬의 상단면이 팬걸림부(380)에 걸림에 따라 프라이팬의 하단면이 아래 방향으로 떨어지면서 팬받침부(360)에 접촉되면서 지지된다. 즉, 거치된 프라이팬의 무게에 의해 프라이팬의 상단면이 팬걸림부(380)에서 걸린 상태에서 프라이팬의 하단면이 팬받침부(360)에 지지되면서, 프라이팬이 홀더모듈(300)에 안정적으로 거치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Since the frying pan is mounted on the holder module 300, one side of the frying pan is inserted between the pan support portion 360 and the fan catching portion 380, and then the frying pan as the top surface of the frying pan is caught by the pan catching portion 380. The lower surface of the is supported while contacting the fan supporting portion 360 while fall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That is, the frying pan is stably mounted on the holder module 300 while the lower surface of the frying pan is supported by the pan support portion 360 in a state w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frying pan is caught in the fan catching portion 380 by the weight of the mounted frying pan. Can be maintained.

팬걸림부(380)에 접촉되는 프라이팬의 상단면은 전체 상단면 중 극히 일부이면 되고, 팬받침부(360)에 접촉되는 프라이팬의 하단면은 보다 넓은 면적으로 지지되어야 안정적으로 거치되는 바, 팬받침부(360)의 길이는 팬걸림부(380)의 수평부(382)보다 더 길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frying pan contacting the fan catching portion 380 needs to be a very small part of the entir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rying pan contacting the fan supporting portion 360 must be supported with a larger area to be stably mounted. The length of the supporting portion 360 may be longer than the horizontal portion 382 of the fan hanging portion 380.

나아가, 정면부(230)를 따라 위에서 아래로 다수의 홀더모듈(300)이 일렬로 장착되는 상태에서, 팬받침부(360)의 길이가 수평부(382)의 길이보다 더 길기 때문에, 홀더모듈(300)에 거치되는 프라이팬의 무게에 의해 위에 위치된 홀더모듈(300)의 팬받침부(360)가 아래로 이동됨에 따라, 아래에 위치된 홀더모듈(300)의 팬걸림부(380)에 의해 접촉되어 지지되는 부가적 효과가 발휘된다. Further,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holder modules 300 are mounted in a row from the top to the bottom along the front portion 230, the length of the fan support portion 360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portion 382, so the holder module As the pan support portion 360 of the holder module 300 positioned above is moved downward by the weight of the frying pan mounted on the 300, the fan support portion 380 of the holder module 300 located below is moved to The additional effect supported by contact is exerted.

구체적으로, 프라이팬이 거치됨에 따라 프라이팬의 무게에 의해 팬받침부(360)가 아래 방향으로 밀리게 되는데, 팬받침부(360)가 아래로 밀리면서 곧바로 아래에 위치된 다른 홀더모듈(300)의 수평부(382)와 경사부(384) 사이의 모서리에 접촉하게 된다. 아래에 위치된 다른 홀더모듈(300)에 다른 프라이팬이 거치된 상태라면, 아래에 위치된 다른 홀더모듈(300)의 팬걸림부(380)에 접촉된 프라이팬의 상단면이 아래의 팬걸림부(380)에서 외측 방향으로 힘을 가한 상태에서 거치되고 있는 바, 이러한 상태에서 위에 위치된 팬받침부(360)가 아래에 위치된 수평부(382)와 경사부(384) 사이의 모서리에 가하는 아래 방향으로의 하중이 모서리에 가해지는 외측 방향으로 가해진 힘에 의해 분산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Specifically, as the frying pan is mounted, the pan support portion 360 is pushed downward by the weight of the frying pan. As the pan support portion 360 is pushed down, the other holder module 300 located immediately below It is in contact with the edge between the horizontal portion 382 and the inclined portion 384. If another frying pan is mounted on the other holder module 300 located below, the top surface of the frying pan contacting the fan catching portion 380 of the other holder module 300 located below has the bottom pan catching portion ( At 380), the bar is mounted in a state in which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is state, the fan support portion 360 positioned above is applied to the edge between the horizontal portion 382 and the inclined portion 384 located below. It exerts the effect that the load in the direction is distributed by the force applied in the outer direction applied to the edge.

도 4를 참조하여 홀더모듈(300)의 실시예를 설명한다.An embodiment of the holder module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상술한 홀더모듈(300)은 도 4의 (a) 및 (b)에 모두 적용된다. 추가적으로 도 4의 (a)에 도시된 홀더모듈(300)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above-described holder module 300 is applied to both (a) and (b) of FIG. 4. Additionally, an embodiment of the holder module 300 illustrated in FIG. 4A will be described.

도 4의 (a)는 홀더모듈(300)의 재질이 철이 아닌 재질인 경우에 바람직하며, 도 4의 (b)는 홀더모듈(300)의 재질이 철인 경우에 바람직하다.4 (a) is preferable when the material of the holder module 300 is a material other than iron, and FIG. 4 (b) is preferable when the material of the holder module 300 is iron.

도 4의 (a)의 경우, 홀더모듈(300)의 지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홀더모듈(300)의 수평부(382)의 하부면에는 수평부(382)의 길이 방향으로 보강리브(381)가 형성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팬받침부(360)의 하부면에도 보강리브(361)가 팬받침부(36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case of Figure 4 (a), in order to increase the support force of the holder module 300,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382 of the holder module 3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382 reinforcing ribs 381 May be formed, similarly, the reinforcing rib 361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an support portion 36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an support portion 360.

나아가, 팬받침부(360)와 모듈몸체부(340)가 연결되는 부분에서 모듈몸체부(340)에서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341)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술한 팬받침부(360)의 보강리브(361)가 연결될 수 있다. 재질이 철이 아닌 경우, 무거운 프라이팬에 대한 지지력이 증대된다.Further, in the state in which the extension portion 341 extending downward from the module body portion 340 is formed at the portion where the fan support portion 360 and the module body portion 340 are connected, the above-described fan support portion 360 Reinforcing ribs 361 of may be connected. If the material is not iron, support for a heavy frying pan is increased.

나아가, 홀더모듈(300)이 프라이팬이 거치됨에 따라, 프라이팬의 상단면이 팬걸림부(380)에 접촉되는 바, 프라이팬의 상단면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프라이팬이 거치됨에 따른 팬걸림부(380)에서의 충격을 최소화하고자, 팬걸림부(380)의 단면에는 가요성 재질의 완충부재(386)가 부착될 수 있다.Furthermore, as the holder module 300 is mounted on the frying pan, the top surface of the frying pan is in contact with the fan catching portion 380, thereby minimizing damage to the top surface of the frying pan and the pan catching portion 380 as the frying pan is mounted. In order to minimize the impact on the, the buffer member 386 made of a flexible material may be attached to the end face of the fan engaging portion 380.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from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0: 받침대
200: 지지대
210: 후면부 220: 상단부 230: 정면부
232: 후크홀
240: 절단사면부 250: 측면부
300: 홀더모듈
320: 모듈후크
340: 모듈몸체부 341: 연장부
360: 팬받침부 361: 보강리브
380: 팬걸림부 381: 보강리브
382: 수평부 384: 경사부 386: 완충부재
100: pedestal
200: support
210: rear portion 220: upper portion 230: front portion
232: hook hole
240: cutting section 250: side section
300: holder module
320: module hook
340: module body 341: extension
360: fan support 361: reinforcement rib
380: fan hanging part 381: reinforcement rib
382: horizontal portion 384: inclined portion 386: buffer member

Claims (5)

받침대(100);
바닥면이 상기 받침대(100)의 일부분에만 장착된 상태에서, 위 방향으로 세워진 지지대(200); 및
상기 지지대(200)에 장착되는 홀더모듈(30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200)는 상기 받침대(100)의 일단에서 위 방향으로 세워지면서 형성된 후면부(210); 상기 후면부(210)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꺾어지면서 형성된 상단부(220); 및 상기 상단부(220)에서 아래 방향으로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되되, 하단이 상기 받침대(100)의 중앙 부분에 장착되도록 형성된 정면부(230)를 포함하며,
일정한 면적으로 형성된 상기 바닥면, 상기 후면부(210), 상기 상단부(220) 및 상기 정면부(230)는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후면부(210)가 접촉된 상기 받침대(100)의 일측에서 상기 정면부(230)가 접촉된 상기 받침대(100)의 타측에 이르는 상기 받침대(100)의 면적에, 상기 바닥면의 일정한 면적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200)가 상기 받침대(100)에 장착되며,
상기 정면부(230)에는 다수의 한 쌍의 후크홀(2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더모듈(300)은 상기 홀더모듈(300)의 하부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모듈후크(320)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후크(320)가 상기 후크홀(232)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홀더모듈(300)이 상기 정면부(230)에 장착되며,
상기 홀더모듈(300)은,
상기 모듈후크(320)가 상기 후크홀(2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정면부(230)에 밀착되는 경사진 형태의 모듈몸체부(340);
상기 모듈몸체부(340)의 하부에서 일정한 각도로 꺾어지면서 연장되어 형성된 팬받침부(360); 및
상기 모듈몸체부(340)의 상부에서 일정한 각도로 꺾어지면서 연장되어 형성된 수평부(382) 및 상기 수평부(382)의 일단에서 아래 방향으로 꺾어지면서 연장되어 형성된 경사부(384)로 구성된 팬걸림부(3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면부(230)의 폭의 길이는 상기 후면부(210)의 폭의 길이보다 짧은 상태에서, 상기 정면부(230)의 폭의 길이는 상기 홀더모듈(300)의 폭의 길이에 대응되며,
상기 지지대(200)는, 상기 정면부(230)에서 꺾어지면서 상기 지지대(200)의 측면부(250)에 연결되되, 상기 정면부(230)에서 상기 측면부(250)를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된 절단사면부(240)를 더 포함하며,
프라이팬이 상기 홀더모듈(300)에 거치된 상태에서 회전되더라도 상기 절단사면부(240)로부터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상태에서 회전되며,
상기 팬받침부(360)의 길이는 상기 수평부(382)의 길이보다 길며,
테이퍼진 상기 정면부(230)를 따라 다수의 홀더모듈(300)이 일렬로 장착되는 상태에서, 상기 홀더모듈(300)에 거치되는 프라이팬의 무게에 의해 위에 위치된 상기 홀더모듈(300)의 팬받침부(360)가 아래로 이동됨에 따라 아래에 위치된 상기 홀더모듈(300)의 팬걸림부(380)에 의해 지지되는 프라이팬 거치대.
Pedestal 100;
In the state that the bottom surface is mounted only on a part of the pedestal 100, the support 200 erected upwards; And
It includes a holder module 300 mounted to the support 200,
The support 200 includes a rear portion 210 formed while standing in an upward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pedestal 100; An upper part 220 formed while being bent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rear part 210; And it is formed in a tapered form from the upper portion 220, the lower portion includes a front portion 230 formed to be moun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pedestal 100,
The bottom surface, the rear portion 210, the top portion 220 and the front portion 230 formed with a constant area are integrally formed,
The area of the pedestal 100 from one side of the pedestal 100 in contact with the rear portion 210 to the other side of the pedestal 100 in contact with the front portion 230 has a constant area of the bottom surface. The support 200 is mounted to the pedestal 100 in a contacted state,
A plurality of pairs of hook holes 232 are formed in the front portion 230,
The holder module 300 includes a module hook 320 forme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module 300,
As the module hook 320 is inserted into the hook hole 232, the holder module 300 is mounted on the front portion 230,
The holder module 300,
An inclined module body part 340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part 230 while the module hook 320 is inserted into the hook hole 232;
A fan support portion 360 formed by being bent at a certain angl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module body portion 340; And
A fan jam composed of a horizontal portion 382 formed by being bent at a certain angle from the top of the module body portion 340 and an inclined portion 384 formed by being bent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382. Further comprising a portion 380,
The length of the width of the front portion 230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width of the rear portion 210, the length of the width of the front portion 230 corresponds to the length of the width of the holder module 300,
The support 200 is connected to the side part 250 of the support 200 while being bent at the front part 230, and is taper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front part 230 toward the side part 250 Further includes a cut slope portion 240 formed by,
Even if the frying pan is rotated while being mounted on the holder module 300, it is rotated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cutting slope 240.
The length of the fan support portion 360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portion 382,
A fan of the holder module 300 positioned above by the weight of the frying pan mounted on the holder module 300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holder modules 300 are mounted in line along the tapered front portion 230. Frying pan holder supported by the fan catching part 380 of the holder module 300 positioned below as the support part 360 moves downwar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후크(320)는 상기 모듈몸체부(340)의 양단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모듈몸체부(340)의 아래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된 이후 상기 모듈몸체부(340)의 길이 방향으로 꺾어지면서 형성된 프라이팬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module hook 320 is extended to a certain length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module body part 340 in a stat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odule body part 340 and then b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dule body part 340 A frying pan holder formed while being buil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홀(232)의 길이가 상기 모듈후크(320)의 길이보다 긴 상태에서, 상기 모듈후크(320)가 상기 후크홀(232)에 삽입된 이후 상기 모듈후크(320)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홀더모듈(300)이 상기 정면부(230)에 장착되는 프라이팬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state where the length of the hook hole 232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module hook 320, the module hook 320 is moved downward after the module hook 320 is inserted into the hook hole 232. Frying pan holder in which the holder module 300 is mounted on the front portion 230 as it becomes.
삭제delete
KR1020190141600A 2019-11-07 2019-11-07 A frying pan holder KR1021375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600A KR102137569B1 (en) 2019-11-07 2019-11-07 A frying pan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600A KR102137569B1 (en) 2019-11-07 2019-11-07 A frying pan hol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569B1 true KR102137569B1 (en) 2020-07-24

Family

ID=71892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600A KR102137569B1 (en) 2019-11-07 2019-11-07 A frying pan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56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9745B1 (en) * 2022-03-30 2023-03-15 주식회사 해신 Sea cucumber nursery
KR102515256B1 (en) * 2022-03-30 2023-03-30 주식회사 해신 Sea cucumber farming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530Y1 (en) * 2001-10-18 2002-01-10 함미선 cooker supporter
JP2014039575A (en) * 2012-08-21 2014-03-06 Shinji Yonezawa Hanging device for cooking tool with flange
KR200481660Y1 (en) * 2016-03-03 2016-10-27 김경택 Guitar and Music note Stand
KR101977580B1 (en) * 2019-02-07 2019-05-13 권경민 Space-saving tableware drying rac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530Y1 (en) * 2001-10-18 2002-01-10 함미선 cooker supporter
JP2014039575A (en) * 2012-08-21 2014-03-06 Shinji Yonezawa Hanging device for cooking tool with flange
KR200481660Y1 (en) * 2016-03-03 2016-10-27 김경택 Guitar and Music note Stand
KR101977580B1 (en) * 2019-02-07 2019-05-13 권경민 Space-saving tableware drying rac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9745B1 (en) * 2022-03-30 2023-03-15 주식회사 해신 Sea cucumber nursery
KR102515256B1 (en) * 2022-03-30 2023-03-30 주식회사 해신 Sea cucumber farm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84045B2 (en) Rack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KR101629401B1 (en) Frying pan holder
KR102137569B1 (en) A frying pan holder
US20150122758A1 (en) Pull-down shelf for furniture
RU2004112561A (en) RACK SYSTEM FOR STORAGE AND ARCHIVING OF ITEMS
US20050230577A1 (en) Hanger for use on metal rack
KR200485924Y1 (en) Tableware Dryer
KR200470599Y1 (en) Prefabricate shelf
CN205458536U (en) A dish washer that is used for bowl basket of dish washer and has it
US9549659B2 (en) Dish rack for oversized containers
KR102112326B1 (en) A frying pan holder
KR102128351B1 (en) Shelf for Dishes
JP5691876B2 (en) Horizontal tray
KR200385652Y1 (en) Frying pan supporter
KR20220061653A (en) Dish drying rack
CN210643434U (en) Shelf assembly and storage cabinet
KR20210000984U (en) Dish drying rack
KR20220103419A (en) picture frame stand
KR200465305Y1 (en) Hanger
JP7376910B2 (en) frying pan stand
JP3086871U (en) Organized basket
KR101607574B1 (en) Dish shelf
KR101548268B1 (en) Cargo Supporter For Lattice Type Cargo Pallet
KR20030067652A (en) Bar Shelf With A Extension Function Combined Use Tableware Dryer
JP7136587B2 (en) Kitchen utensil stand holding member and kitchen utensil st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