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580B1 - Space-saving tableware drying rack - Google Patents

Space-saving tableware drying ra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580B1
KR101977580B1 KR1020190014399A KR20190014399A KR101977580B1 KR 101977580 B1 KR101977580 B1 KR 101977580B1 KR 1020190014399 A KR1020190014399 A KR 1020190014399A KR 20190014399 A KR20190014399 A KR 20190014399A KR 101977580 B1 KR101977580 B1 KR 101977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cked
pair
tableware
bent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3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경민
Original Assignee
권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경민 filed Critical 권경민
Priority to KR1020190014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58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5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76Stackable modular units, each consisting of a closed periphe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2Draining-board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Provided is a space-saving tableware drying rack capable of increasing space utiliz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saving tableware drying rack comprises: a base unit having a support coupled to a vertical plate extended to a direct upper part by a predetermined height to be put on a bottom surface; a plurality of stacking fixtures each of which has an assembly hole penetrated to insert a corresponding vertical plate thereinto to be stacked on the vertical plate by multiple stages; and a plurality of supports. Each of the supports comprises: a pair of first support bars inserted and fixed in the corresponding assembly hole of the stacking fixture; a pair of second support bars bent from the top of the first support bar by a right angle and downwardly bent to be extend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tacking fixture; a pair of third support bars bent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support bar by a right angle and upwardly bent to be extended along the second support bar; and a connection bar connecting each top of the third support bars. Accordingly, the supports ar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stacking fixture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ableware with a deep inner part is inserted and dispose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support bars such that the tableware is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supports to allow a bottom surface to face an upper part while an opened mouth faces a lower part, and thus the tableware with a deep inner part can be dried.

Description

공간수납형 식기 건조대{Space-saving tableware drying rack}Space-saving tableware drying rack

본 발명은 식기를 건조하는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주방에서 설겆이된 식기를 높이방향으로 층층구조로 적층배치하여 제한된 공간에 효율적으로 정리정돈하여 수납보관함과 동시에 식기에 잔류하는 물기를 위생적으로 빠르게 건조할 수 있는 공간수납형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ing table for drying a tablewa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able for drying a tableware, and more particularly, And a space-storing tableware drying table which can be quickly dried.

일반적으로 주방에서 사용되는 식기 건조대는 주로 그릇이나 접시, 컵 등과같은 식기를 안치하여 자연 건조하는데 사용하는 것이다.In general, a dishwasher used in a kitchen is used for natural drying by placing dishes such as a bowl, a plate, and a cup.

이러한 식기 건조대는 주방의 싱크대 상단이나 일측에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많은 수량을 식기를 수납하면서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하는 것이다. Such a table dryer is independently provided at the top or one side of the sink of the kitchen, and a large quantity of the tableware is accommodated and dried to remove moisture.

종래의 식기 건조대는 설겆이된 그릇이나 접시와 같은 식기에 잔류하는 물기를 떨어내면서 건조하기 위해서, 강선을 이용하여 바구니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In order to dry the conventional tableware dryer while dropping residual water in a dishware such as a dish or a dish, it is common to make a basket using a steel wire.

즉, 강선으로 이루어지는 식기 건조대에서 식기를 올려놓도록 하는 곳의 바닥면은 설겆이후 놓여지는 식기의 간격을 따라 바닥면을 이루는 강선이 상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접시가 세워지도록 구성하며, 식기가 놓여지는 부분은 강선이 가로세로로 겹쳐지도록 하여 식기가 하부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In other words, the bottom surface of the table where the tableware is placed in the tray for drying the steel wire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tray is rais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steel wire protrudes upward along the interval of the tableware placed after the dish, So that the steel wire overlaps vertically and vertically so that the tableware does not fall downward.

(특허문헌 1) KR20-2010-0006522 U (Patent Document 1) KR20-2010-0006522 U

특허문헌 1에는 식기 건조대에 경사면을 만들고 경사면을 두개 이상의 공간으로 분리하여 각각의 경사면에 식기를 쌓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경사면의 아래쪽에는 젓가락, 숫가락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용기를 걸어놓을 수 있도록 하고 높이가 맞는 작은 접시들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며 경사면이 형성되지 않은 공간에는 컵처럼 높이가 있는 식기나 접시 보관부를 따로 두도록 하여 용도에 따라 체계적으로 식기를 보관할 수 있는 식기 건조대를 제공한다.In Patent Document 1, a slope is formed on a table for drying dishes, and slopes are divided into two or more spaces so that dishes can be stacked on each slope, and a storage container capable of storing chopsticks and spoons can be hung below the slopes And a tableware shelf that is as tall as a cup can be provided separately in a space where the slopes are not formed, thereby providing a tableware shelf capable of systematically storing dishes according to applications.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종래의 식기건조대에 식기를 올려 놓을때 식기를 잘 쌓아놓지 않으면 식기가 쉽게 쓰러져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설겆이 이후 건조대상물인 식기들이 서로 접하도록 포개진 상태에서 자연건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식기 외부면이 완전건조되는 반면에 상하로 포개지는 식기의 내부는 완전히 건조되지 않고, 포개져 접해지는 식기표면에 얼룩이 발생하는 위생상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However, Patent Document 1 ha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ableware from being easily collapsed and broken if the tableware is not stacked well when the tableware is placed on the conventional tableware drying table. However, after the tableware is dried, The outer surface of the tableware is completely dried, but the inside of the tableware which is stacked up and down is not completely dried, and a hygienic problem occurs in which the surface of the tableware is overlaid.

그리고, 상하로 포개져 건조된 식기중 하부측에 정리된 식기를 꺼내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건조된 식기를 재사용하는데 불편하고, 건조되어 식기 건조대에 수납보관된 식기를 주방에서 재정리해야만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t is very troublesome to take out the tableware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tableware which is dried up by the top and bottom, and it is inconvenient to reuse the tableware that has been dried, and there has been a problem to reorganize the dishes stored in the tableware.

또한, 대량의 식기를 건조하여 수납하기 위해서는 식기 건조대의 부피 및 면적이 비례적으로 커져야만 하기 때문에 제한된 주방공간에 맞추어 식기 건조대를 최적화 설계하는 것이 곤란하고, 주방공간의 활용도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volume and area of the tableware dryer must be proportionally increased in order to dry and store a large amount of tableware, it is difficult to optimally design the tableware dryer in accordance with the limited kitchen space, and the utilization of the kitchen space is limited .

종래의 식기 건조대에서는 식기를 종류 및 크기별로 정리정돈하면서 수납하여 보관하는 것이 곤란하여 식기를 건조한 다음 선반과 같은 별도의 공간에 수납보관해야만 하는 사용상 불편함이 있었다. In the conventional tableware dryer, it is difficult to store and store dishes by type and size, and there is inconvenience in use that the dishes must be stored and stored in a separate space such as a shelf.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건조하고자 하는 식기를 높이방향으로 층층이 다단으로 서로 접하지 않도록 적층하면서 정리정돈함과 동시에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고, 건조된 식기를 재정리할 필요가 없으며, 공간이 제한된 주방에서 대량의 식기를 수납하면서 건조할 수 있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공간수납형 식기 건조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drying a tableware, There is no need to rearrange the tableware,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pace-saving tableware dryer that can dry a large amount of tableware in a kitchen with limited space and can increase space utilization.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unless further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직상부로 일정높이 연장되는 수직대와 결합되는 받침대를 갖추어 바닥면에 올려지는 베이스부 ; 상기 수직대에 대응삽입되는 조립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수직대에 다단으로 적층배치되는 복수개의 적층고정체 ; 상기 적층고정체의 조립공에 대응삽입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제1지지바를 갖추고, 상기 한쌍의 제1지지바의 상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다음 상기 적층고정체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하향 절곡된 한쌍의 제2지지바를 갖추며, 상기 한쌍의 제2지지바의 하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다음 상기 한쌍의 제2지지바를 따라 연장되도록 상향절곡된 한쌍의 제3지지바를 갖추며, 상기 한쌍의 제3지지바의 각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바를 갖추어 상기 복수개의 적층고정체마다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바와 제3지지바와의 사이에 식기의 일측이 삽입배치되어 내부깊이가 깊은 식기의 개방된 입구가 하부를 향하면서 바닥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거치대에 식기를 거치하여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수납형 식기 건조대를 제공한다.As a specific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oor apparatus comprising: a base portion mounted on a floor surface, the base portion being provided with a pedestal coupled with a vertical stand which extends at a predetermined height uprightly; A plurality of stacked fixtures formed through the assembled holes inser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vertical strips and stacked on the vertical strips in multiple stages; A pair of first support bars inserted and fixed correspondingly to the assembly holes of the stacked fixture, a pair of first support bars bent at right angles to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first support bars and then bent downward to exten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tacked fixture And a pair of third support bars bent upward at a right angle from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second support bars and extending along the pair of second support bars, And a plurality of cradles detachably provid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tacked fixtures, wherein one side of the tableware is inserted between the second support bar and the third support bar, And the dishes are placed on the plurality of cradles so that the bottom surface faces upward while the open mouth of the tableware faces downward. Provide utensils retractile Drying liver.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직상부로 일정높이 연장되는 수직대와 결합되는 받침대를 갖추어 바닥면에 올려지는 베이스부 ; 상기 수직대에 대응삽입되는 조립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수직대에 다단으로 적층배치되는 복수개의 적층고정체 ; 상기 적층고정체의 조립공에 대응삽입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제4지지바를 갖추고, 상기 한쌍의 제4지지바의 상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다음 상기 적층고정체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하향 절곡된 한쌍의 제5지지바를 갖추며, 상기 한쌍의 제5지지바의 하단으로부터 호형으로 만곡지게 상향 절곡되는 한쌍의 제6지지바를 갖추며, 상기 한쌍의 제6지지바의 각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바를 갖추어 상기 복수개의 적층고정체마다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적층고정체의 외부면으로부터 일정길이 돌출형성되는 한쌍의 연장리브의 하부단이나 상기 제5지지바의 길이중간에 일정길이 돌출형성되는 절곡변형부의 하부단에 내부깊이가 얕은 식기의 외측테두리가 접하여 지지되어 상기 연결바와 접하여 지지되는 식기의 내부면이 하부를 향하면서 바닥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거치대에 식기를 거치하여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수납형 식기 건조대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base portion mounted on a floor surface, the base portion having a pedestal coupled to a vertical bar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pedestal; A plurality of stacked fixtures formed through the assembled holes inser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vertical strips and stacked on the vertical strips in multiple stages; A pair of fourth support bars inserted and fixed correspondingly to the assembly holes of the stacked fixture, a pair of fourth support bars bent at right angles to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fourth support bars and then bent downward to exten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tacked fixture And a pair of sixth support bars bent upwardly from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fifth support bars in an arcuate shape and having connection bars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sixth support bars, A plurality of cradles that are detachably provided for each of the stacked fixtures, a lower end of a pair of extension ribs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tacked fixture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outer edge of the dishware having an inner depth shallowerly abutted on the lower end of the bending deformation portion, While the side facing the lower space provides a retractile dishes Drying characterized in that dried to mount the dish on the plurality of the cradle to the bottom surface facing the top.

바람직하게, 상기 받침대는 상기 수직대의 하부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일정길이의 삽입바가 대응삽입되어 결합되는 고정공을 구비하고, 상부면에 개구부를 관통형성한다.Preferably, the pedestal has a fixing hole in which a predetermined length of an insertion bar bent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ar is inserted and coupled, and an opening is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바람직하게, 상기 받침대는 상기 수직대에 대응삽입되어 적층되는 복수개의 적층고정체 중 최하부층 적층고정체의 하부단 외측테두리와 접하여 지지하도록 돌출형성되는 지지턱을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edestal may include a support jaw protruding from and supporting the lower end outer rim of the lowermost layer laminated fixed body among a plurality of laminated fixed bodies inserted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band and stacked.

바람직하게, 상기 적층고정체의 조립공 상부단 또는 하부단에는 상기 제1지지바와 제2지지바사이의 절곡부위가 삽입배치되는 고정홈을 함몰형성할 수 있다. Preferably, at the upper end or lower end of the assembly hole of the laminated fixture, a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bent portion between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second support bar is inserted may be formed.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적층고정체의 조립공 내부면에는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지지바가 위치고정되도록 함몰형성되는 연장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inner surface of the assembly hole of the stacked fixture may include an extension fixing groove extending from the fixing groove and formed to be recessed to fix the first supporting bar.

바람직하게, 상기 적층고정체의 일측 외부면에는 상기 식기의 외부면과 선단이 접하여 상기 거치대와 더불어 상기 식기를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one side outer surface of the stacked fixture may include a pair of supporting ribs which abut on the outer surface and tip of the tableware to support the tableware together with the table.

바람직하게, 상기 제2지지바는 길이중간에 상기 제3지지바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변형되어 식기의 일측 외부면과 접하여 지지하는 절곡변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support bar may include a bending deformation portion that is bent and de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third support bar in the middle of the length thereof and supports the outer surface of the dish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바람직하게, 상기 제3지지바는 길이중간에 상기 적층고정체로부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상향절곡된 다음 상기 적층고정체측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상형절곡되는 다른 절곡변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third support bar may include another bending deformation portion that is bent upward while being inclined upwar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laminated fixture in the middle of the length, and then is upwardly bent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laminated fixture.

바람직하게, 상기 적층고정체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적층고정체와의 사이에는 상기 조립공과 대응하는 다른 조립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적층고정체와 더불어 수직대에 삽입되어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at least one spacer is formed between the laminated fixed body and another laminated fixed body adjacent to the stacked fixed body by passing through another assembled hole corresponding to the assembled body and inserted into the vertical stand together with the laminated fixed body .

바람직하게, 상기 적층고정체의 조립공 상부단 또는 하부단에는 상기 제4지지바와 제5지지바사이의 절곡부위가 삽입배치되는 고정홈을 함몰형성할 수 있다. Preferably, at the upper end or lower end of the assembly hole of the laminated fixture, a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bent portion between the fourth support bar and the fifth support bar is inserted is formed.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적층고정체의 조립공 내부면에는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4지지바가 위치고정되도록 함몰형성되는 연장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inner surface of the assembly hole of the stacked fixture may include an extension fixing groove extending from the fixing groove and formed to be recessed and formed to fix the fourth support bar.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베이스부의 수직대에 다단으로 적층된 복수개의 고정체마다 일대일로 복수개의 거치대를 결합하여 구비함으로써 복수개의 거치대마다 건조대상물인 식기를 뒤집어서 거치함과 동시에 식기에 잔류하는 물기를 자중에 의해서 하부로 낙하시켜 건조할 수 있기 때문에 종류별 또는 크기별로 식기를 정리정돈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식기에 잔류하는 물기를 빠르게 제거하여 건조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stand units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a plurality of stack units stacked in a multi-stage on the vertical base of the base unit, so that the dishes to be dried are turned upside down for a plurality of stand units and the water remaining in the dishes is dropped So that the function of arranging the tableware according to the type and size can be performed, and the time for drying can be shortened by quickly removing the remaining water in the tableware.

복수개의 거치대에 뒤집어져 거치되어 건조된 식기를 재사용하기 위한 분리인출작업을 사용자가 거치작업의 역순으로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easily carry out the separation and withdrawal operation for reusing the dried dishware which is inverted and mounted on a plurality of cradles in a reverse order of the user's placing operation, thereby enhancing ease of use.

수직대에 다단으로 적층되는 고정체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거치대마다 건조대상물인 식기를 높이방향으로 다수개 거치함으로써 대량의 식기를 동시에 건조하면서 정리정돈하여 수납보관할 수 있어 제한된 공간을 갖는 주방에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수납공간을 추가로 확보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A large number of dishes can be simultaneously dri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dishes to be dried in a height direc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cradles coupl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a fixed body stacked in a multi-stage on a vertical st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space in the kitchen and further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he user by further securing the storage spa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간수납형 식기 건조대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간수납형 식기 건조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간수납형 식기 건조대에 구비되는 적층고정체와 거치대를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간수납형 식기 건조대에 구비되는 적층고정체들사이에 스페이서를 배치하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간수납형 식기 건조대에 구비되는 적층고정체와 거치대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결합 사시도이고,
b)는 단면 사시도이며,
c)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6a 와 도 6b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간수납형 식기 건조대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간수납형 식기 건조대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간수납형 식기 건조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간수납형 식기 건조대에 구비되는 적층고정체와 거치대를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0a 와 도 10b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간수납형 식기 건조대의 사용 상태도이다.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ace rack type dish ra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ace-storing tableware drying ra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stacking fixture and a cradle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in a space-storing table dry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the arrangement of spacers between stacked fixtures provided in the space-restricting table dry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a stacking fixture and a cradle provided in the space-storing table dry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b)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c)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6A and 6B are views illustrating the state of use of the space rack type dish rac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ace rack type dish rac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ace rack type dish rac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stacking fixture and a cradle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in a space-storing table dry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and 10B are views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space rack type dish rac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may be referred to as 'indirectly connected' not only with 'directly connected' . Also, to include an elemen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but may also include other elements.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간수납형 식기 건조대(100)는 도 1 내지 도 6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식물이 담겨지는 국그릇이 밥그릇과 같이 내부깊이가 깊은 식기를 설겆이후에 정리정돈하도록 층층이 거치함과 동시에 거치상태에서 빠르게 건조할 수 있도록 베이스부(110), 적층고정체(120) 및 거치대(13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 to 6B, the space-storing dishwash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 soup bowl in which foods are contained is arranged such that a dish having a deep inner depth, such as a rice bowl, A stacking fixture 120, and a holder 130 so as to be able to dry quickly in a stationary state at the same time as a layer stack is mounted.

상기 베이스부(110)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상부로 일정높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대(111)와 결합되는 받침대(115)를 갖추어 바닥면에 올려지는 것이다. 1, 2 and 3, the base unit 110 includes a pedestal 115 coupled to at least one vertical base 111 extending upright at a predetermined height, will be.

상기 수직대(111)는 좌우한쌍의 수직바(112)의 상단사이를 연결하는 수평바(113)를 구비하도록 일정길이의 원형단면상의 강재인 강선을 대략 ㄷ자형으로 절곡한 강성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vertical bar 111 may be a rigid structure formed by bending a steel bar, which is a circular cross-sectional steel ba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a substantially U shape so as to have a horizontal bar 113 connecting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right and left vertical bars 112 .

상기 좌우한쌍의 수직바(112)의 각 하부단에는 상기 받침대(115)측으로 절곡되는 한쌍의 삽입바(114)를 갖추어 상기 받침대(115)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At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right and left vertical bars 112, a pair of insertion bars 114 bent toward the pedestal 115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pedestal 115.

상기 받침대(115)는 상기 수직대의 수직바 하부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일정길이의 삽입바(114)가 대응삽입되어 결합되는 고정공(115a)을 구비하고, 상부면에 바닥면으로 노출시키도록 일정크기로 관통형성되는 개구부(116)를 포함한다.The pedestal 115 is provided with a fixing hole 115a to which the insertion bar 114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b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ar is inserted and coupled, And an opening 116 penetratingly formed at a predetermined size.

상기 받침대(115)의 일측 양측단에는 상기 수직대(111)와의 결합위치를 개구부에 근접시키고 상기 고정공(115a)의 입구단을 노출시키면서 상기 삽입바와 수직바사이의 절곡위치를 위치고정하는 절개면을 형성하는것이 바람직하다. At both ends of one side of the pedestal 115, a position of engagement with the vertical bar 111 is approximated to an opening, and a bending position between the insertion bar and the vertical bar is fixed, It is preferable to form a surface.

또한, 상기 받침대(115)의 상부면은 거치되어 건조되는 식기로부터 낙하되는 물이나 수분이 잔류되지 않도록 위로 볼록한 호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받침대(115)의 각 모서리부 하부단에는 바닥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돌출형성되는 받침다리(118)를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115 is preferably formed as a convex arcuate shape so as to prevent water or moisture from dropping from the dishwasher being mounted and dried. At the lower end of each corner of the pedestal 115, And a pedestal leg 118 protruding from the pedestal 118 at a predetermined interval.

그리고, 상기 받침대(115)는 상기 수직대(111)에 대응삽입되어 높이방향으로 다층으로 적층되는 복수개의 적층고정체(120) 중 최하부층 적층고정체의 하부단 외측테두리와 접하여 지지하도록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지지턱(117)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edestal 115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base 111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edge of the lower end of the lowermost layer laminated fixed body among the plurality of laminated fixed bodies 120 stacked in the height direction, And may include a protruding support tine 117.

상기 적층고정체(120)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대(111)의 상부단으로부터 대응삽입되어 높이방향으로 다층으로 적층되어 고정되도록 몸체에 조립공(121)을 관통형성한 대략 직육면체상의 수지구조물로 이루어져 상기 받침대(115)에 대하여 대략 수직하게 구비되는 수직대(111)에 다단으로 적층되어 고정되는 복수개의 삽입구조물이다. 1, 2, and 3, the laminated fixed body 120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hole 111 from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stand 111 to be stacked in multiple layers in the heigh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structures that are stacked and fixed in multiple stages on a vertical table 111, which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edestal 115.

이러한 적층고정체(120)는 상기 수직대의 상부단이 간섭없이 통과할 수 있도록 몸체 중앙에 대략 일자형 단면상의 조립공(121)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한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진다.The stacked fixture 120 is formed of a resin molded product having a substantially straight cross-sectioned assembly hole 121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dy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stand can pass through without interference.

상기 적층고정체(120)의 조립공 입구단인 상부단에는 상기 거치대(130)를 구성하는 제1지지바(131)와 제2지지바(132)와의 사이의 절곡부위가 삽입배치되는 고정홈(122)을 함몰형성한다. A fixing groove 130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mounting hole of the stacking fixture 120 so that a bent portion between the first supporting bar 131 and the second supporting bar 132, 122).

상기 고정홈(122)에 상기 제1지지바(131)와 제2지지바(132)사이의 절곡부위가 위치됨으로써, 상기 수직대에 적층고정체의 적층결합시 서로 인접하는 적층고정체들사이에서 제1지지바(131)와 제2지지바(132)사이의 절곡부위가 개재되어 상하적층되는 적층고정체들사이에 틈새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The bend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support bar 131 and the second support bar 132 is positioned in the fixing groove 122 so that a gap between the adjacent vertical fixing bodi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ap between the first support bar 131 and the second support bar 132 from interfering with each other to generate a gap between the stacked fixtures vertically stacked.

이때, 상기 제1지지바(131)와 제2지지바(132)사이의 절곡부위가 삽입배치되는 고정홈(122)은 상기 적층고정체(120)의 조립공 입구단인 상부단에 함몰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적층고정체의 조립공 출구단인 하부단에 함몰형성되어 하부측 거치대의 제1지지바(131)와 제2지지바(132)사이의 절곡부위가 삽입배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xing groove 122 in which the bend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supporting bar 131 and the second supporting bar 132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inlet end of the assembling hole of the laminated fixing body 120 The bent portion between the first support bar 131 and the second support bar 132 of the lower side stand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lower end of the assembly hole of the assembly fixture, .

그리고, 상기 적층고정체(120)는 건조대상물인 식기와 대응하는 일측 외부면에 상기 식기의 외부면과 선단이 접하여 상기 거치대와 더불어 상기 식기를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리브(123)를 포함한다. The stacked fixture 120 includes a pair of support ribs 123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table and which support the tableware together with the table, on one side out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tableware to be dried.

상기 한쌍의 지지리브(123)는 상기 적층고정체의 일측 외부면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조립식으로 구비되는 판상의 돌출구조물이며, 이러한 지지리브(123)는 건조대상물인 식기의 거치시 개방된 식기의 입구와 접하여 안내하는 상부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식기의 외부면과 부분적으로 접하는 돌출부위를 구비하도록 다각판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호형단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air of supporting ribs 123 are plate-shaped protruding structures integral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laminated fixed body or provided in a prefabricated manner. The supporting ribs 123 may be formed of a plat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formed in an arc-shaped cross-sectional shape. [0052]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한쌍의 지지리브(123)는 상기 거치대의 제1지지바(131)와 제2지지바(132)사이의 절곡부위가 삽입배치되는 고정홈(122)을 기준으로 하여 외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한쌍의 지지리브(123)의 내측에 배치되는 거치대의 제2지지바와 접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한쌍의 지지리브(123)는 상기 고정홈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한쌍의 지지리브(123)의 외측에 배치되는 거치대의 제2지지바와 접해질 수 있다. The pair of support ribs 123 may be positioned on the outer side with respect to the fixing groove 122 in which the bend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support bar 131 and the second support bar 132 is inserted The pair of support ribs 123 contact the second support bars of the cradle disposed inside the pair of support ribs 123. However, the pair of support ribs 123 may be located inside the fixation groove And can be contacted with a second support bar of a cradle disposed outside the pair of support ribs 123.

한편, 상기 적층고정체(120)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적층고정체(120)와의 사이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대가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조립공(121)과 대응하는 다른 조립공(141)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적층고정체와 더불어 수직대에 삽입되어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4, between the stacking fixture 120 and another stacking fixture 120 adjacent to the stacking fixture 120, the other assemblies 141 (corresponding to the assembly holes 121) And at least one spacer 140 inserted and stacked on the vertical plate together with the laminated fixed body.

이에 따라, 상기 적층고정체들사이에 스페이서를 추가 배치하여 서로 인접하는 거치대들사이의 간격을 보다 넓게 확보함으로써 부피가 크고 개방된 입구로부터 바닥면까지의 내부깊이가 크게 형성되고 부피가 큰 식기를 높이방향으로 인접하는 식기들간의 접촉없이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spacers ar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stacked fixtures to provide a wider gap between the adjacent holders, thereby providing a bulky, large-sized inner depth from the open inlet to the bottom surface and a bulky tableware It is possible to easily mount the apparatus without contact between adjacent dishes in the height direction.

한편, 상기 적층고정체(120)는 도 5a, 도 5b 및 도 5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립공(121)의 내부면에 상기 거치대(130)의 제1지지바와 제2지지바사이의 절곡부가 위치고정되는 고정홈(122)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지지바(131)가 위치고정되도록 함몰형성되는 연장고정홈(122a)을 포함할 수 있다. 5A, 5B and 5C, the laminated fixed body 1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not show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ssembly hole 121, And an extension fixing groove 122a extending from the fixing groove 122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bars 131 and 132 are fixed.

그리고, 건조대상물인 국그릇이나 밥그릇과 같이 내부깊이가 깊은 식기와 대응하는 적층고정체(120)의 일측 외부면 또는 양측 외부면에는 상기 거치대(130)에 입구가 하부를 향하는 반면에 바닥면이 상부로 향하도록 뒤집어져 거치되는 식기의 외부면과 대응하여 접해지도록 호형 곡선면(125)을 형성할 수 있다. On the outer surface or both outer surfaces of one side of the stacked fixture 120 corresponding to a tableware having a deep inner depth such as a soup bowl or a rice bowl as an object to be dried, an inlet is directed downward to the shelf 130, An arc-shaped curved surface 125 may be form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tableware which is turned upside down and mounted.

또한, 상기 호형 곡선면(122)을 형성하는 적층고정체(120)의 일측 외부면 또는 양측 외부면에는 상기 거치대(130)의 제2지지바(132)와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접해지도록 접촉면(126)을 평면상으로 면취하여 구비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bars 132 and 132 are formed on one or both of outer and inner surfaces of the laminated fixed body 120 forming the arcuate curved surface 122 so as to stably contact the second supporting bars 132, In a plan view.

이에 따라, 상기 거치대는 상기 적층고정체의 고정홈 및 연장고정홈에 대응삽입되어 위치고정되어 조립됨으로써 상기 거치대에 식기를 개별적으로 거치하여 건조하는 동안 상기 적층고정체의 조립공에 조립되는 거치대의 움직임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cradle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and the extending groove of the stacking fixture to fix the position of the cradle, so that the table is individually mounted on the cradle, and the movement of the cradle assembled to the assembly hole of the stacking fixture Can be prevented completely.

여기서, 상기 고정홈(122)은 도 5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립공을 형성하는 적층고정체의 상부단 또는 하부단에 좌우대칭구조 형성됨으로써 하나의 적층고정체에 좌우한쌍의 거치대(130)를 동시에 결합하여 식기를 거치함으로써 제한된 공간에서 건조대상물인 식기의 거치갯수를 증대시킬 수 있다. 5A, the fixing grooves 122 are symmetrically formed at the upper end or the lower end of the laminated fixed body forming the assembled hole, thereby forming a pair of left and right holding stands 130 on one laminated fixed body, So that the number of dishes to be dried can be increased in a limited space.

상기 거치대(130)는 도 1, 도 2 및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체(120)의 조립공(121)에 상부로부터 하부로 대응삽입되어 위치고정되는 한쌍의 제1지지바(131)를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제1지지바(131)의 상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다음 상기 적층고정체(120)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하향 절곡된 한쌍의 제2지지바(132)를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제2지지바(132)의 하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다음 상기 제2지지바(132)를 따라 연장되도록 상향 절곡된 한쌍의 제2지지바부(133)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한쌍의 제3지지바의 각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바(134)를 포함하여 상기 수직대에 다층으로 적층되는 복수개의 적층고정체(120)마다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다.  1, 2, and 3, the cradle 130 includes a pair of first support bars 131 (see FIG. 1), which are inserted into the assembly holes 121 of the fixture 120, And a pair of second support bars 132 bent at right angles from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first support bars 131 and then bent downward to exten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tacking fixture 120 And a pair of second support bars 133 bent perpendicularly from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second support bars 132 and then bent upwardly to extend along the second support bars 132, And a connection bar 134 connecting upper ends of the pair of third support bars to each other. The plurality of stacked fixtures 120 are detachably assembled to each other.

즉, 상기 제1지지바(131)는 상기 적층고정체의 조립공(121)에 상부로부터 하부측으로 대응삽입되는 한쌍의 강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바(132)는 상기 적층고정체의 조립공 내부면에 밀착되는 제1지지바(131)와 더불어 상기 적층고정체의 외면에 접하여 밀착고정력을 발생시키는 한쌍의 강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That is, the first supporting bar 131 is composed of a pair of steel wires correspondingly inserted into the assembling hole 121 of the laminated fixed body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nd the second supporting bar 132 is connected to the assembling hole 121 of the laminated fixed body, A first support bar 131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and a pair of steel members which come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laminated fixed body and generate tight fixation force.

이때, 상기 제1지지바(131)와 제2지지바(132)는 상기 적층고정체와 탄력적으로 접하여 밀착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부측으로 간격이 좁아지는 형태를 갖도록 절곡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조립공(121)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지지바(131)의 하부단에는 오므림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외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단(131a)을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bar 131 and the second support bar 132 may be bent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ownward direction so as to be in elastic contact with the laminated fixed body and to increase the close fixing force. The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 bar 131 located inside the assembly hole 121 may have a bent end 131a bent outward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in the rim direction.

상기 제2지지바(132)와 대응하는 제3지지바(133)는 건조 및 거치대상물인 식기의 내부면과 상기 연결바(134)가 접하여 지지되도록 길이중간에 상기 적층고정체(120)로부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상향절곡된 다음 상기 적층고정체(120)측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상형절곡되는 대략 산단면상의 절곡변형부(133a)를 포함한다. The third supporting bar 133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upporting bar 132 is connected to the inner side of the dish and the connecting bar 134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the tableware, And a bending deformation portion 133a which is bent upward in an inclined direction toward the stacking fixture 120 side.

여기서, 상기 연결바(134)는 상기 적층고정체의 일측 외부면에 돌출형성되는 한쌍의 지지리브(123)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구비되어 내부깊이가 깊은 식기의 내부면과 연결바의 양측단이 접하여 지지되도록 일자형 직선바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식기의 호형 내부면과 유사하게 호형의 곡선바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nnection bar 134 is provided at a relatively higher position than a pair of support ribs 123 protruding from one side surface of the laminated fixed bod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curved straight line may be formed like an arc-shaped inner surface of the tableware.

이에 따라, 밥그릇이나 국그릇과 같이 내부깊이가 깊은 식기의 일측이 상기 제2지지바(132)와 제3지지바(133)와의 사이에 대응삽입되어 배치되면, 도 6a 와 도 6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식기의 일측 외부면은 상기 지지리브(123)의 돌출부위와 접하여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식기의 일측 내부면은 상기 연결바(134)의 양측단과 접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식기의 개방된 입구가 하부로 향하면서 식기의 바닥면이 천정인 상부를 향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거치대에 식기를 뒤집어 거치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when one side of the tableware having a deep inner depth such as a rice bowl or a souvenir bowl is inserted and arranged between the second support bar 132 and the third support bar 133, as shown in FIGS. 6A and 6B, One side of the table is supported on the protrusion of the supporting rib 123 and one side of the table is held in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connecting bar 134 so that the open mouth of the tableware The dishwasher can be mounted on the plurality of cradles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cradle faces the ceiling top while facing downward.

이때, 상기 복수개의 거치대에 뒤집어져 거치되는 식기의 외부면은 상측에 위치하는 다른 거치대의 절곡변형부(133a)에 접하여 지지됨으로써 건조대상물인 식기를 뒤집어진 상태에서 식기의 일측을 뒤집어진 상태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하여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outer surface of the tableware, which is inverted and mounted on the plurality of storage compartments, is held in contact with the bending deformation parts 133a of the other storage compartments located on the upper side so that one side of the tableware is turned upside down So that it can be stably stored and stored.

여기서, 상기 식기의 일측 외부면은 상기 적층고정체의 외부면에 돌출형성되는 한쌍의 지지리브(123)와 부분적으로 접하여 지지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5a, 도 5b 및 도 5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바(132)의 길이중간에서 제3지지바(133)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변형되어 식기의 일측 외부면과 탄력적으로 접하여 지지하는 다른 절곡변형부(132a)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tableware is shown partially supported and supported by a pair of supporting ribs 123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laminated fixed bod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FIGS. 5A, 5B, The other bending deformation portion 132a which is bent and de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middle of the length of the second supporting bar 132 to be supported on the third supporting bar 133 side and resiliently contacts with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table, . ≪ / RTI >

상기 지지리브(123)와 절곡변형부(132a)는 상기 식기의 외부면과 국부적으로 접하도록 대략 산단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리브(123)와 절곡변형부(132a)는 상기 적층고정체 또는 제2지지바에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upporting ribs 123 and the bending deformation parts 132a may be formed in a roughly arcuate shap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tablewa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support bar is selectively provided on the fixed body or the second support bar.

이에 따라, 설겆이된 국그릇이나 밥그릇과 같은 식기는 상기 거치대에 뒤집어져 거치됨과 동시에 복수개의 거치대에 층층이 서로 접하지 않도록 높이방향으로 거치됨으로써 식기의 내,외부면에 잔류하는 물기는 자중에 의해서 식기의 표면으로부터 빠르게 자중에 의해서 낙하되어 제거되면서 식기의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층층이 적층되어 서로 인접하는 식기들간의 접촉부위가 발생되지 않아 건조후 식기들간의 접촉부위에서 발생하는 얼룩자국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청결도를 높일 수 있다. Accordingly, the tableware such as the souvenir bowl or the rice bowl, which is set up, is turned upside down on the cradle, and at the same time, the plurality of cradles are mounted in the height direction so that the floor layers do not contact with each other, The drying time of the tableware can be shortened by rapidly falling from the surface of the tableware by its own weight an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tableware adjacent to each other is not generated so that the stain marks generated on the contact portions between the dishes after drying are fundamentally So that the degree of cleanliness can be increased.

이에 더하여, 상기 베이스부의 수직대에 다단으로 적층된 복수개의 적층고정체마다 구비되는 복수개의 거치대에 식기를 종류별 또는 크기별로 정리정돈하는 기능과 동시에 식기에 잔류하는 물기를 제거하여 건조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건조된 식기를 재사용하기 위한 인출작업을 거치작업의 역순으로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function of arranging the dishes according to the types and sizes of the plurality of cradles provid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tacked fixtures stacked in the multi-stages in the vertical part of the base part, and simultaneously removing the water remaining in the dishes and performing the drying function And the drawing operation for reusing the dried tableware can be easily carried out in the reverse order of the mounting operation, thereby improving the usability.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공간수납형 식기 건조대(100a)는 도 7 내지 도 10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식물이 담겨지는 내부깊이가 매우 얕은 접시와 같은 식기를 설겆이후에 정리정돈하도록 층층이 거치함과 동시에 거치상태에서 빠르게 건조할 수 있도록 베이스부(110), 적층고정체(120a) 및 거치대(130a)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11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고, 상기 적층고정체(120a)는 제1실시예와 일부구성이 동일한바, 이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As shown in FIGS. 7 to 10B, the space-storing type tableware drying rack 100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 tableware such as a dish having a very shallow inside depth, The base unit 110 includes a base 110, a stacking fixture 120a and a mount 130a so that the base 110 can be quickly dried in a stationary state. The base 110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The structure of the stagnant body 120a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tagnant body 120a,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적층고정체(120a)는 도 7,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조립공(121)을 관통형성한 대략 직육면체상의 수지구조물로 이루어져 상기 받침대(115)에 대하여 대략 수직하게 구비되는 수직대(111)에 다단으로 적층되어 고정되는 복수개의 삽입구조물이다. As shown in FIGS. 7, 8 and 9, the laminated fixed body 120a is made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resin structure formed through the assembly hole 121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are stacked and fixed in multiple stages in a vertical base 111 provided substantially vertically.

이러한 적층고정체(120a)의 조립공 입구단인 상부단에는 상기 거치대(130a)를 구성하는 제4지지바(135)와 제5지지바(136)사이의 절곡부위가 삽입배치되는 고정홈(122)을 함몰형성한다. At the upper end of the end of the assembly of the stacked fixture 120a, a fixing groove 122 (see FIG. 1) in which a bent portion between the fourth support bar 135 and the fifth support bar 136, which constitute the mount stand 130a, ).

상기 고정홈(122)에 상기 제4지지바(135)와 제5지지바(136)사이의 절곡부위가 위치됨으로써, 상기 수직대에 적층고정체의 적층결합시 서로 인접하는 적층고정체사이에 제4지지바(135)와 제5지지바(136)사이의 절곡부위가 개재되어 상하적층되는 적층고정체들사이에 틈새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The bending portion between the fourth support bar 135 and the fifth support bar 136 is positioned in the fixing groove 122 so that a gap is formed between the adjacent vertical fixing bodi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ap between the fourth support bar 135 and the fifth support bar 136 from interfering with each other to generate a gap between the stacked fixtures vertically stacked.

그리고, 상기 적층고정체(120a)는 건조대상물인 접시와 같은 식기와 대응하는 일측 외부면에 상기 식기의 외측테두리가 걸림배치되어 상기 거치대와 더불어 상기 식기를 지지하는 연장리브(129)를 포함한다. The stacked fixture 120a includes an extension rib 129 for supporting the tableware together with the shelf such that the outer edge of the tableware is hooked on one side outer surface corresponding to a tableware such as a dish as an object to be dried .

상기 한쌍의 연장리브(129)는 상기 적층고정체의 일측 외부면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조립식으로 구비되는 대략 일직선상의 돌출구조물이며, 이러한 연장리브(129)는 건조대상물인 식기의 거치시 접시와 같은 식기의 외측테두리와 하부단이 접하여 지지하도록 상기 적층고정체의 외부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돌출바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The pair of extension ribs 129 may be a substantially straight protruding structure provided integrally with one side surface of the laminated fixed body or provided in a prefabricated manner. The extended rib 129 may be formed as a plate And a protruding bar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laminated fixed body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edge and the lower end of the tableware.

또한, 상기 한쌍의 연장리브(129)는 상기 거치대의 제4지지바(135)와 제5지지바(136)사이의 절곡부위가 삽입배치되는 고정홈(122)을 기준으로 하여 외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한쌍의 연장리브(123)사이에 위치하는 거치대의 좌우한쌍의 제5지지바와 접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홈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pair of extension ribs 129 are positioned on the outer side with respect to the fixing groove 122 in which the bending portion between the fourth support bar 135 and the fifth support bar 136 is inserted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fifth support bars of a cradle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extension ribs 123.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xing groove.

한편, 상기 적층고정체(120a)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적층고정체(120a)와의 사이에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조립공(121)과 대응하는 다른 조립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적층고정체와 더불어 수직대에 삽입되어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meantime,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another assembly hole corresponding to the assembly hole 121 is formed between the stacked fixture 120a and another stacked fixture 120a adjacent thereto to form a vertical And at least one spacer that is inserted and stacked on the base.

상기 적층고정체(120a)는 제1실시예에서 국그릇과 밥그릇과 같이 내부깊이가 깊어 전체높이가 높은 식기가 거치되는 거치대(130)와 결합되는 적층고정체(120)의 형성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형성높이를 갖추어 접시와 같이 내부깊이가 얕아 전체높이 낮은 식기가 거치되는 것이다. In the first embodiment, the stacking fixture 120a is formed so as to have a relatively higher height than the formation height of the laminated fixture 120, which is coupled with the cradle 130 to which the tableware having a high overall depth is mounted, such as a soup bowl and a rice bowl It has a low forming height, and the inside depth is shallow like a dish, and a tableware of low height is mounted.

상기 거치대(130a)는 도 7, 도 8 및 도 9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체(120a)의 조립공(121)에 상부로부터 하부로 대응삽입되어 위치고정되는 한쌍의 제4지지바(135)를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제4지지바(135)의 상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다음 상기 적층고정체(120a)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하향 절곡된 한쌍의 제5지지바(136)를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제5지지바(136)의 하단으로부터 호형으로 만곡지게 상향절곡되는 제6지지바(137)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한쌍의 제6지지바의 각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바(138)를 포함하여 상기 수직대에 다층으로 적층되는 복수개의 적층고정체(120a)마다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다. 7, 8, and 9, the cradle 130a includes a pair of fourth support bars 135 (see FIG. 7) which are inserted and fixed in the assembly holes 121 of the fixture 120a from top to bottom, And a pair of fifth support bars 136 bent downward at right angles from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fourth support bars 135 and then bent downward to exten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tacking fixture 120a And a sixth support bar (137) bent up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pair of fifth support bars (136) in an arcuate shape, and a connecting bar (137) connecting each upper end of the pair of sixth support bars And a plurality of stacked fixtures 120a stacked in layers on the vertical strip,

즉, 상기 제4지지바(135)는 상기 적층고정체의 조립공(121)에 상부로부터 하부측으로 대응삽입되는 한쌍의 강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5지지바(136)는 상기 적층고정체의 조립공 내부면에 밀착되는 제4지지바(135)와 더불어 상기 적층고정체의 외면에 접하여 밀착고정력을 발생시키는 한쌍의 강재로 이루어진다. That is, the fourth support bar 135 is composed of a pair of steel wires correspondingly inserted into the assembly hole 121 of the stacked fixture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nd the fifth support bar 136 is connected to the assembly hole 121 of the stacked fixture, A fourth support bar 135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and a pair of steel members which come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laminated fixed body and generate tight fixation force.

이때, 상기 제4지지바(135)와 제5지지바(136)는 상기 적층고정체와 탄력적으로 접하여 밀착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부측으로 간격이 좁아지는 형태를 갖도록 절곡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조립공(121)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4지지바(135)의 하부단에는 오므림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외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단(135a)을 형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ourth support bar 135 and the fifth support bar 136 may be bent so as to have a narrowed interval to the lower side so as to be in elastic contact with the laminated fixed body and to increase the close fixing force. A bent end 135a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ourth support bar 135 located inside the assembly hole 121 to bend outward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in the rim direction.

상기 제5지지바(136)와 대응하는 제6지지바(137)는 건조 및 거치대상물인 접시와 같은 식기의 내부바닥면과 상기 연결바(138)가 접하여 지지되도록 상기 적층고정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지게 상향 절곡형성되는 한편, 상기 연결바(138)는 상기 연장리브(129)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거나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ixth supporting bar 137 corresponding to the fifth supporting bar 136 is connect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tableware such as a dish as a drying and mounting objec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tacking fixture The connecting bar 138 may be positioned at a substantially same height as the extending rib 129 or may be positioned at a relatively high height.

여기서, 상기 연결바(138)는 상기 적층고정체의 일측 외부면에 일정길이 돌출형성되는 한쌍의 연장리브(129)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식기의 하부를 향하는 내부면과 접하여 지지되도록 일자형 직선바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호형의 곡선바로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connection bar 138 is provided at a relatively higher position than a pair of extension ribs 129 protruding from the one outer surface of the laminated fixed body for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be hel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facing the lower portion of the tablewar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can be formed as an arcuate curved line.

이에 따라, 접시와 같이 내부깊이가 얕은 식기의 일측이 상기 연결바와 연장리브사이로 수평방향으로 대응삽입되어 배치되면, 도 10a 와 도 10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식기의 일측 외측테두리는 상기 연장리브(129)의 하부단과 접하여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식기의 하부로 향하는 내부면은 상기 연결바(138)와 접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식기의 내부 바닥면이 하부로 향하면서 식기의 외부 바닥면이 천정인 상부를 향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거치대에 식기를 뒤집어 거치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when one side of the dishware having a shallow depth, such as a dish, is horizontally inserted and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ng bar and the extending ribs, as shown in FIGS. 10A and 10B, Since the inner surface of the dish is supported by the lower end of the dishwasher 129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dish is directed in contact with the connecting bar 138, So that the dishes can be mounted on the plurality of cradles.

여기서, 상기 식기의 일측 외측테두리는 상기 적층고정체의 외부면에 돌출형성되는 한쌍의 연장리브의 하부단에 접하여 지지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5지지바(136)의 길이중간에서 제6지지바(137)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절곡변형되는 다른 절곡변형부의 하부단에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Here, the outer edge of one side of the tableware is illustrated as being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a pair of extension ribs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tacked fixtur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May be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another bending deformation portion which is bent and deformed to protrude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middle of the length to the sixth support bar 137 side.

이에 따라, 설겆이된 접시와 같은 식기는 상기 거치대에 뒤집어져 거치됨과 동시에 복수개의 거치대에 층층이 서로 접하지 않도록 높이방향으로 거치됨으로써 식기의 내,외부면에 잔류하는 물기는 자중에 의해서 식기의 표면으로부터 빠르게 자중에 의해서 낙하되어 제거되면서 식기의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층층이 적층되어 서로 인접하는 식기들간의 접촉부위가 발생되지 않아 건조후 식기들간의 접촉부위에서 발생하는 얼룩자국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청결도를 높일 수 있다. Accordingly, the tableware such as the dish which is set is turned upside down on the table, and at the same time, the plurality of tableware is placed in the height direction so that the floor layers do not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water remaining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tableware The drying time of the tableware can be shortened by rapidly falling down by the self weight, and the contact areas between the dishes that are adjacent to each other are not generated so that the stains appearing on the contact portions between the dishes after drying can be fundamentally prevented, .

이에 더하여, 상기 베이스부의 수직대에 다단으로 적층된 복수개의 적층고정체마다 구비되는 복수개의 거치대에 식기를 종류별 또는 크기별로 정리정돈하는 기능과 동시에 식기에 잔류하는 물기를 제거하여 건조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건조된 식기를 재사용하기 위한 인출작업을 거치작업의 역순으로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function of arranging the dishes according to the types and sizes of the plurality of cradles provid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tacked fixtures stacked in the multi-stages in the vertical part of the base part, and simultaneously removing the water remaining in the dishes and performing the drying function And the drawing operation for reusing the dried tableware can be easily carried out in the reverse order of the mounting operation, thereby improving the usability.

상기 식기와 직접적으로 접해지는 거치대의 연결바와 절곡변형부 및 상기 적층고정체의 지지리브와 연장리브에는 상기 식기와의 접촉시 표면손상을 방지하면서 마찰력을 높일 수 있도록 고무소재와 같은 탄성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connecting bar and a bending deformation portion directly contacting the tableware and a supporting rib and an extending rib of the laminated fixing member are provided with an elastic material such as a rubber material so as to increase frictional force while preventing surface damage when the tableware is in contact with the tableware .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10 : 베이스부
111 : 수직대
115 : 받침대
120,120a : 적층고정체
121 : 조립공
122 : 고정홈
130,130a : 거치대
131 : 제1지지바
132 : 제2지지바
133 : 제3지지바
134,138 : 연결바
135 : 제4지지바
136 : 제5지지바
137 : 제6지지바
140 : 스페이서
110: Base portion
111: Vertical stand
115: Stand
120, 120a:
121: Assembly
122: Fixing groove
130, 130a:
131: first support bar
132: second support bar
133: third support bar
134,138: Connection bar
135: fourth support bar
136: fifth support bar
137: sixth support bar
140: Spacer

Claims (12)

직상부로 일정높이 연장되는 수직대와 결합되는 받침대를 갖추어 바닥면에 올려지는 베이스부 ;
상기 수직대에 대응삽입되는 조립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수직대에 다단으로 적층배치되는 복수개의 적층고정체 ;
상기 적층고정체의 조립공에 대응삽입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제1지지바를 갖추고, 상기 한쌍의 제1지지바의 상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다음 상기 적층고정체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하향 절곡된 한쌍의 제2지지바를 갖추며, 상기 한쌍의 제2지지바의 하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다음 상기 한쌍의 제2지지바를 따라 연장되도록 상향절곡된 한쌍의 제3지지바를 갖추며, 상기 한쌍의 제3지지바의 각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바를 갖추어 상기 복수개의 적층고정체마다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바와 제3지지바와의 사이에 식기의 일측이 삽입배치되어 내부깊이가 깊은 식기의 개방된 입구가 하부를 향하면서 바닥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거치대에 식기를 거치하여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수납형 식기 건조대.
A base portion mounted on a floor surface with a pedestal coupled to a vertical pedestal extending straight up from the pedestal;
A plurality of stacked fixtures formed through the assembled holes inser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vertical strips and stacked on the vertical strips in multiple stages;
A pair of first support bars inserted and fixed correspondingly to the assembly holes of the stacked fixture, a pair of first support bars bent at right angles to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first support bars and then bent downward to exten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tacked fixture And a pair of third support bars bent upward at a right angle from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second support bars and extending along the pair of second support bars, And a plurality of cradles detachably provid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tacked fixtures,
And the table is placed between the second support bar and the third support bar so that one side of the tableware is inserted and the open bottom of the tableware having a deep inner depth faces downward and the bottom surface faces upward, Wherein the space-saving dishwasher is installed in a space.
직상부로 일정높이 연장되는 수직대와 결합되는 받침대를 갖추어 바닥면에 올려지는 베이스부 ;
상기 수직대에 대응삽입되는 조립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수직대에 다단으로 적층배치되는 복수개의 적층고정체 ;
상기 적층고정체의 조립공에 대응삽입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제4지지바를 갖추고, 상기 한쌍의 제4지지바의 상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다음 상기 적층고정체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하향 절곡된 한쌍의 제5지지바를 갖추며, 상기 한쌍의 제5지지바의 하단으로부터 호형으로 만곡지게 상향 절곡되는 한쌍의 제6지지바를 갖추며, 상기 한쌍의 제6지지바의 각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바를 갖추어 상기 복수개의 적층고정체마다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적층고정체의 외부면으로부터 일정길이 돌출형성되는 한쌍의 연장리브의 하부단이나 상기 제5지지바의 길이중간에 일정길이 돌출형성되는 절곡변형부의 하부단에 내부깊이가 얕은 식기의 외측테두리가 접하여 지지되어 상기 연결바와 접하여 지지되는 식기의 내부면이 하부를 향하면서 바닥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거치대에 식기를 거치하여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수납형 식기 건조대.
A base portion mounted on a floor surface with a pedestal coupled to a vertical pedestal extending straight up from the pedestal;
A plurality of stacked fixtures formed through the assembled holes inser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vertical strips and stacked on the vertical strips in multiple stages;
A pair of fourth support bars inserted and fixed correspondingly to the assembly holes of the stacked fixture, a pair of fourth support bars bent at right angles to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fourth support bars and then bent downward to exten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tacked fixture And a pair of sixth support bars bent upwardly from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fifth support bars in an arcuate shape and having connection bars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sixth support bars, And a plurality of cradles detachably provided for each laminated solid body,
A lower end of a pair of extension ribs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laminated fixed body by a predetermined length or an outer edge of a shallow inner portion at a lower end of a bending deformation portion protru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middle of the length of the fifth support bar Wherein the dishwasher is mounted on the plurality of cradles in such a manner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cradle held in contact with the connecting bar is directed downward and the bottom surface is directed upwar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수직대의 하부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일정길이의 삽입바가 대응삽입되어 결합되는 고정공을 구비하고, 상부면에 개구부를 관통형성한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수납형 식기 건조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edestal has a fixing hole to which an insertion ba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bent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ar is inserted and inserted, and an opening is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ba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수직대에 대응삽입되어 적층되는 복수개의 적층고정체 중 최하부층 적층고정체의 하부단 외측테두리와 접하여 지지하도록 돌출형성되는 지지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수납형 식기 건조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edestal includes a support jaw protruding and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an outer edge of a lower end of the lowermost layer stacking fixture among a plurality of stacked fixtures interposed and stacked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ba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고정체의 조립공 상부단 또는 하부단에는 상기 제1지지바와 제2지지바사이의 절곡부위가 삽입배치되는 고정홈을 함몰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수납형 식기 건조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ixing groove in which a bent portion between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second support bar is inserted is formed at an upper end or a lower end of the assembly hole of the stacked fixtur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고정체의 조립공 내부면에는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지지바가 위치고정되도록 함몰형성되는 연장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수납형 식기 건조대.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n extension fixing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ssembly hole of the stacked fixture so as to extend from the fixing groove and to be fixed to the first supporting b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고정체의 일측 외부면에는 상기 식기의 외부면과 선단이 접하여 상기 거치대와 더불어 상기 식기를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수납형 식기 건조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ne side outer surface of the stacked fixture includes a pair of supporting ribs that abut on an outer surface and tip of the tableware to support the tableware together with the t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바는 길이중간에 상기 제3지지바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변형되어 식기의 일측 외부면과 접하여 지지하는 절곡변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수납형 식기 건조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support bar is bent and de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third support bar in the middle of the length, and is bent and deformed to contact and support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ablewa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지지바는 길이중간에 상기 적층고정체로부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상향절곡된 다음 상기 적층고정체측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상형절곡되는 다른 절곡변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수납형 식기 건조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third support bar includes another bending deformation part that is bent upwardly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length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art of the stacking fixture and then is bent upward in an inclining direction toward the side of the stacking fixture. The drying rack.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고정체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적층고정체와의 사이에는 상기 조립공과 대응하는 다른 조립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적층고정체와 더불어 수직대에 삽입되어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수납형 식기 건조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t least one spacer inserted between the stacked fixture and another stacked fixture adjacent to the stacked fixture so as to be inserted through another assembly hole corresponding to the assembly hole and inserted into the vertical stand together with the stacked fixture. Space-saving tableware drying rack.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고정체의 조립공 상부단 또는 하부단에는 상기 제4지지바와 제5지지바사이의 절곡부위가 삽입배치되는 고정홈을 함몰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수납형 식기 건조대.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fixing groove in which a bent portion between the fourth support bar and the fifth support bar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upper end or lower end of the assembly hole of the stacked fixtur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고정체의 조립공 내부면에는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4지지바가 위치고정되도록 함몰형성되는 연장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수납형 식기 건조대.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n extension fixing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ssembly hole of the stacking fixture so as to extend from the fixing groove and to be fixedly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fourth support bar.
KR1020190014399A 2019-02-07 2019-02-07 Space-saving tableware drying rack KR1019775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399A KR101977580B1 (en) 2019-02-07 2019-02-07 Space-saving tableware drying r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399A KR101977580B1 (en) 2019-02-07 2019-02-07 Space-saving tableware drying ra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7580B1 true KR101977580B1 (en) 2019-05-13

Family

ID=66582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399A KR101977580B1 (en) 2019-02-07 2019-02-07 Space-saving tableware drying ra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58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569B1 (en) * 2019-11-07 2020-07-24 주식회사 와이제이티 A frying pan holder
KR102182876B1 (en) * 2020-07-24 2020-11-25 김민정 Kitchen lathe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74827A (en) * 1988-12-27 1990-07-06 Matsushita Seiko Co Ltd Dish dryer
JPH0290766U (en) * 1988-12-27 1990-07-18
JPH0334460U (en) * 1989-08-10 1991-04-04
JPH0483168U (en) * 1990-11-30 1992-07-20
JPH0556055U (en) * 1991-03-25 1993-07-27 愛知機械工業株式会社 Portable tableware dryer
JP2003061894A (en) * 2001-08-29 2003-03-04 Harman Kikaku:Kk Holding unit for dishwasher and dishwasher
JP2003159206A (en) * 2001-11-28 2003-06-03 Harman Pro:Kk Holder for dishwasher
JP3128251U (en) * 2006-10-20 2006-12-28 日本調理機株式会社 Tableware cleaning device and tableware holder used therefor
US20130105423A1 (en) * 2011-10-26 2013-05-02 Paul R. Chalifoux Collapsible dish drying rack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74827A (en) * 1988-12-27 1990-07-06 Matsushita Seiko Co Ltd Dish dryer
JPH0290766U (en) * 1988-12-27 1990-07-18
JPH0334460U (en) * 1989-08-10 1991-04-04
JPH0483168U (en) * 1990-11-30 1992-07-20
JPH0556055U (en) * 1991-03-25 1993-07-27 愛知機械工業株式会社 Portable tableware dryer
JP2003061894A (en) * 2001-08-29 2003-03-04 Harman Kikaku:Kk Holding unit for dishwasher and dishwasher
JP2003159206A (en) * 2001-11-28 2003-06-03 Harman Pro:Kk Holder for dishwasher
JP3128251U (en) * 2006-10-20 2006-12-28 日本調理機株式会社 Tableware cleaning device and tableware holder used therefor
US20130105423A1 (en) * 2011-10-26 2013-05-02 Paul R. Chalifoux Collapsible dish drying rac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569B1 (en) * 2019-11-07 2020-07-24 주식회사 와이제이티 A frying pan holder
KR102182876B1 (en) * 2020-07-24 2020-11-25 김민정 Kitchen lath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5184B2 (en) Adjustable dish rack
US6571965B1 (en) Dishwasher rack with pivotable fences
KR101629401B1 (en) Frying pan holder
US9907453B2 (en) Combination dish drying mat and rack
US6848585B2 (en) Rack for reduced height washing compartment
US20080283480A1 (en) Collapsible Dish Rack
US3800957A (en) Combination dish rack and tray
US9427135B2 (en) Sink dish drainer set
KR101977580B1 (en) Space-saving tableware drying rack
US20080210648A1 (en) Collapsible dish and utensil rack
US9949595B1 (en) Cookware rack
KR101023619B1 (en) Flatware Drying Rack
US5547087A (en) Device for holding flatware and utensils
KR200473078Y1 (en) Tableware Dryer
JP2009097855A (en) Domestic equipment
KR101779874B1 (en) Spoon box for drawer with sink
JP5533551B2 (en) Kitchen rack
KR101005818B1 (en) Coupling structure of containers for kitchen utensil
KR20170114127A (en) Shelf for Dishes
KR20100006522U (en) Shlef for drying dishes
CN108144089A (en) Disinfection cabinet draws basket and disinfection cabinet
KR20220052150A (en) Dish drying rack
CN208550943U (en) Chopstick box and disinfection cabinet
JP4012704B2 (en) Container for storing tableware and cooking utensils
KR20050023580A (en) Assembly tableware construction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