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9214B1 - Dispenser for cleansing liquid of toilet bowl - Google Patents

Dispenser for cleansing liquid of toilet bow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9214B1
KR101239214B1 KR1020100078847A KR20100078847A KR101239214B1 KR 101239214 B1 KR101239214 B1 KR 101239214B1 KR 1020100078847 A KR1020100078847 A KR 1020100078847A KR 20100078847 A KR20100078847 A KR 20100078847A KR 101239214 B1 KR101239214 B1 KR 101239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liquid
toilet bowl
base
toile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88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16468A (en
Inventor
장운호
Original Assignee
장운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운호 filed Critical 장운호
Priority to KR1020100078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9214B1/en
Publication of KR20120016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4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9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92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2Devices connected to or dispensing into the bow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2009/028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using a liquid substance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의 소독과 방향을 위하여 사용되는 세정액을 일정한 양으로 변기에 제공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기의 테두리에 부착되어 변기가 흘려내리는 물에 일정한 양의 세정액을 용해시켜 변기를 세정하는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enser for providing a toilet bowl with a certain amount of cleaning liquid used for disinfection and aroma of the toilet bowl. A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for cleaning a toilet bowl.

Description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Dispenser for cleansing liquid of toilet bowl}Dispenser for cleansing liquid of toilet bowl}

본 발명은 변기의 소독과 방향을 위하여 사용되는 세정액을 일정한 양으로 변기에 제공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기의 테두리에 부착되어 변기가 흘려내리는 물에 일정한 양의 세정액을 용해시켜 변기를 세정하는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enser which provides a toilet bowl with a certain amount of cleaning solution used for disinfection and aroma of the toilet bowl.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enser that is attached to the rim of a toilet to dissolve a certain amount of cleaning solution in water flowing down the toilet. A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for cleaning a toilet bowl.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상업용 건물의 화장실에 설치된 변기를 위생적이고 청결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고체 상태의 세정제를 변기의 물탱크 부분에 투입하거나, 변기에 세정액을 분무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었다.In general, in order to hygienically and cleanly clean toilets installed in the bathrooms of homes and commercial buildings, a solid state cleaner is used in the water tank portion of the toilet or spraying the cleaning liquid on the toilet.

그리고, 이러한 세정제나 세정액은 대부분 화장실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느낌을 제공하기 위하여 방향 기능도 겸하여 가지고 있으나, 그리 효과적이지 못했다. And, most of these cleaners or cleaning liquids also have a fragrance function to provide a more comfortable feeling to the toilet users, but was not very effective.

그리고, 상술한 세정제를 물탱크 부분에 투입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변기의 물탱크 부분을 직접 열고 세정제를 정기적으로 투입하여야 하므로, 물탱크 부분을 열고 세정제를 투입하는 과정이 사용자에게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injecting the above-described cleaning agent into the water tank part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rocess of opening the water tank part and injecting the cleaning agent is very cumbersome for the user since the user must directly open the water tank part of the toilet and regularly inject the cleaning agent. .

또한, 별도로 화장실 관리인이 있는 건물에서는 정기적으로 세정액을 분무하여 변기를 소독하는 방법이 효과적일 수 있으나, 별도의 화장실 관리인이 없는 건물이나 일반 가정에서는 세정액에 의한 분무 소독을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In addition, it may be effective to disinfect the toilet by spraying the cleaning solution on a regular basis in a building with a separate toilet manager.However, in a building or a general household where there is no separate toilet manager, it is practical to perform the spray disinfection by the cleaning solution on a regular basis. It is difficult.

또한, 물탱크가 없는 변기(일명 '후레쉬 밸브형 변기')의 경우 원천적으로 상술한 세정제를 사용할 수 없는 단점도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toilet without a water tank (aka 'fresh valve type toilet')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the above-described cleaning agent can not be used at the sour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변기 자체에 세정액을 배출하는 장치를 부착하여 변기에서 물을 흘려내려 보낼때 세정액을 물과 함께 배출시켜 변기를 자동적으로 세정시키는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구성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toilet is attached to the device to discharge the cleaning liquid in the toilet itself, when flushing the toilet when flushing the toilet with the water discharged toilet to clean the toilet automatically There is a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roviding a configuration of a cleaning liquid dispenser.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구성은, 세정액을 담고 있으며 하부에 형성된 출구를 통하여 세정액을 용기 하방으로 유출하는 용기; 상기 용기를 거치시키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내부 바닥면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로부터 유출되는 세정액의 일정량을 수용하는 수용부재; 상기 베이스의 후면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용부재에 수용된 세정액이 함침되고, 변기로부터 흘러나오는 세척수에 함침된 세정액을 용해시켜 상기 베이스를 통하여 세정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의 후면에 연결되어 변기의 변좌 테두리 부분에 베이스를 고정시키는 후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stitution of the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cleaning liquid and flowing out the cleaning liquid through the outlet formed in the lower container down; A base through which the container is mounted; A receiving member coupl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ase to accommodate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cleaning liquid flowing out of the container; A plate which is connected to the lower rear surface of the base and is impregnated with a cleaning liquid contained in the receiving member, and dissolves the cleaning liquid impregnated in the washing water flowing out of the toilet and discharges the cleaning liqui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ase; A hook connected to a rear surface of the base to fix the base to a toilet seat edge portion of the toilet bowl; And a control unit.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The effect of the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변기의 세척수가 배출될 경우, 플레이트에 함침된 일정한 양의 세정액이 세척수와 함께 배출되므로, 항상 일정한 양의 세정액이 세척수와 함께 공급되어, 변기의 위생상태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rst, when the flushing water of the toilet is discharged, since a certain amount of cleaning liquid impregnated in the plate is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washing water, a constant amount of cleaning liquid is always supplied with the washing water, so that the sanitary state of the toilet can be kept clean at all times. There is.

또한, 플레이트의 포집부의 형상이 사다리꼴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며 플레이트의 몸체 자체가 오목한 형상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변기의 세척수를 잘 받아들일 수 있어 변기의 세정 작용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trapping portion of the plate is trapezoidal, the plate is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body of the plate is concave, the wash water of the toilet can be well received and the toilet's cleaning action is more efficien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achieved.

또한, 플레이트의 포집부의 변기와 접촉되는 일측 말단면이 가운데 부분이 오목한 완만한 아치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변기에 보다 밀접하게 접촉될 수 있어 변기에 장착될 경우의 장착성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임의의 변기와도 잘 호환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one en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toilet of the collecting portion of the plate has a concave arcuate shape in which the center portion is concave,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oilet to improve the mounting performance when mounted on the toilet, as well as any toilet It works well with.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 수용부재, 후크, 용기만으로 이루어진 비교적 적은 부품을 사용하므로, 고장이 없고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매우 진보한 발명인 것이다. In addition, since the use of relatively few parts consisting of the base, the plate, the receiving member, the hook, the container only, it is a very advanced invention that has no effect of failure and excellent durability.

도 1 은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분해사시도,
도 4a 는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베이스의 사시도, 도 4b 는 평면도, 도 4c 는 단면도, 도 4d 는 후면도,
도 5 는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수용부재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a 은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6b 는 플레이트의 평면도, B-B' 선 단면도, C-C' 선 단면도,
도 7a 는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후크의 사시도, 도 7b 는 후크의 단면도 및 도 7c 는 후크의 연장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a 는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용기의 사시도, 도 8b 는 용기의 저면도,
도 9 는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종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설치상태도,
도 11 은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작동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the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of the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plan view, Figure 4c is a sectional view, Figure 4d is a rear view,
5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ceiving member of the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te of the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is a plan view of the plate, line BB 'cross-sectional view, line CC' cross-sectional view,
Figure 7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ok of the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ok and Figure 7c is a view showing an extended state of the hook,
8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of the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B is a bottom view of the container,
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구성과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operation | movement of the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of this invention are demonstrated in detail based on an accompanying drawing.

단, 개시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태양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However, the disclosed drawings are provided as examples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drawings,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또한, 본 발명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the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e unnecessarily blurred is omitted.

도 1 은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1)는, 세정액을 담고 있으며 하부에 형성된 출구를 통하여 세정액을 용기 하방으로 유출하는 용기(50)와, 상기 용기(50)를 거치시키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내부 바닥면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50)로부터 유출되는 세정액의 일정량을 수용하는 수용부재(20)와, 상기 베이스(10)의 후면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용부재(20)에 수용된 세정액을 포집하고 있다가 변기로부터 흘러나오는 세척수에 세정액을 용해시켜 상기 베이스(10)를 통하여 디스펜서(1)의 외부로 세정액을 배출시키는 플레이트(30)와, 상기 베이스(10)의 후면에 연결되어 변기의 변좌 테두리 부분에 본 발명 디스펜서(1)를 고정시키는 후크(40)로 대분된다.
1 and 2, the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container 50 for containing the cleaning liquid and flowing the cleaning liquid downward through the outlet formed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and the container 50. A base 10 to be mounted, a receiving member 20 coupl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ase 10 to receive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cleaning liquid flowing out of the container 50, and a low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10. A plate 30 which collects the cleaning solution contained in the receiving member 20 and dissolves the cleaning solution in the washing water flowing out of the toilet and discharges the cleaning solution to the outside of the dispenser 1 through the base 10;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base 10 is divided into hooks 40 for fixing the dispens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toilet seat rim portion of the toilet.

도 3 은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분해사시도로서, 본 발명 디스펜서(1)의 조립시, 먼저 상기 베이스(10)의 후면으로부터 플레이트(30)을 삽입시켜 베이스(10)의 바닥면(120)상에 상기 플레이트(30)를 결합시킨다.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ssembling the dispens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irst inserting the plate 30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10 on the bottom surface 120 of the base 10 The plate 30 is coupled to.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30)가 바닥면(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재(20)를 베이스(10)의 상부로부터 삽입시켜 바닥면(120) 상에 결합시킨 후, 베이스(10) 후면에 형성된 삽입관(130)에 후크(40)를 삽입시켜 고정시킨다.In addition, the receiving member 20 is inserted from the top of the base 10 in a state in which the plate 30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120, and then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120. The hook 4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tube 130 formed at the fixed portion.

이어서, 상기 베이스(10)의 내부에 세정액이 담겨진 용기(50)를 안치시키되, 베이스(10)의 바닥면(120) 상에 고정된 수용부재(20)의 유입관(220)을 용기(50)의 하부에 형성되어 세정액을 분출시키는 출구(510)에 내삽하여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조립을 완료한다.Subsequently, the container 50 containing the cleaning solution is placed in the base 10, but the inlet tube 220 of the receiving member 20 fixed on the bottom surface 120 of the base 10 is disposed in the container 50. The assembly of the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by interpolating to the outlet 510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ottom) to eject the cleaning liquid.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는 후술할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600)의 변좌테두리(610) 부분에 후크(40)를 걸어서 변기(600)의 변좌 몸체(620) 내부 공간에 장착되고, 변기(600)가 배출하는 세척수에 세정액을 용해시켜 디스펜서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The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sembl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10 to be described later, the inside of the toilet seat body 620 of the toilet bowl 600 by hanging the hook 40 on the toilet seat 610 portion of the toilet bowl 600. It is mounted in the space, and the washing solution is dissolved in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toilet 600 to serve to discharge to the outside of the dispenser.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각 구성요소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도 4a 는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베이스의 사시도, 도 4b 는 평면도, 도 4c 는 단면도, 도 4d 는 후면도이다.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of the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plan view, Figure 4c is a sectional view, Figure 4d is a rear view.

상기 베이스(10)는 용기(50)를 거치시키며, 아울러 상기 수용부재(20)와 플레이트(30)와 후크(40)를 결합시키는 구성요소이다.The base 10 mounts the container 50 and is a component that couples the accommodation member 20, the plate 30, and the hook 40.

도 4a 의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는 바닥면(120)과 상기 바닥면(120)의 외주를 둘러쌓는 벽면(110)을 포함하며 베이스(1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 상기 벽면(110)의 전면 하측에는 벽면(110)을 관통하는 요철 형상의 배출구(111)가 다수개 형성된다.As shown in the perspective view of FIG. 4A, the base 10 includes a bottom surface 120 and a wall surface 110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ttom surface 120, and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10 is open. . A plurality of outlets 111 having a concave-convex shape penetrating the wall surface 110 are formed below the front surface of the wall surface 110.

상기 배출구(111)는 세정액이 용해된 상태의 변기 세척수를 베이스(10)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며, 이의 상세한 작동 상태는 후술한다.The outlet 111 performs a function for flowing out the toilet water in the state in which the cleaning solution is dissolv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10, the detailed ope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도 4b 의 평면도 및 도 4c 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면(120) 상에는 후술할 수용부재(20)의 브라켓(230)의 걸림쇠(231)가 삽입되는 2 개의 관통홀(121)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관통홀(121)의 일측에 관통홀(121)에 삽입된 수용부재(20)의 브라켓(230)을 고정시키는 걸림턱(122)이 돌출 형성된다.As shown in the plan view of FIG. 4B and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4C, two through holes 121 into which the latch 231 of the bracket 230 of the accommodation member 2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20. ) Is formed, and a latching jaw 122 for fixing the bracket 230 of the receiving member 20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1 is protruded to one side of each through hole 121.

그리고, 베이스(10)의 후면 하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플레이트(30)를 바닥면(12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바닥면(120)의 관통홈(121)의 외측으로 걸림돌기(123)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123)는 후술할 플레이트(30)의 결합홈(322)에 삽입되어 플레이트(30)를 바닥면(120) 상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n, in order to fix the plate 30 inserted into the lower rear side of the base 10 to the bottom surface 120, the locking projection 123 is formed to the outside of the through groove 121 of the bottom surface 120. do. The locking protrusion 123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322 of the plate 30 to be described later to perform a function of fixing the plate 30 on the bottom surface 120.

또한, 도 4d 의 후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면(110)의 후면 하측에는 상기 플레이트(30)를 삽입시키기 위하여 개구된 상태의 슬롯(150)이 형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rear view of FIG. 4D, a slot 150 in an opened state is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wall surface 110 to insert the plate 30.

미설명 부호 140 은 세정액이 용해된 상태의 변기 세척수를 베이스(10)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하여 바닥면(120)의 양 측면 말단 영역 부분이 개구된 상태로 이루어진 배출공(140)이며, 그 기능은 배출구(111)의 기능과 동일하다.
Reference numeral 140 denotes an outlet hole 140 in which both side end region portions of the bottom surface 120 are opened in order to drain the toilet water in the state in which the cleaning liquid is dissolv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10. It is the same as the function of the outlet 111.

도 5 는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수용부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면의 상부는 사시도, 도면의 하부는 상기 수용부재의 단면도이다.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receiving member of the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art of the figure is a perspective view, the lower par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ceiving member.

상기 수용부재(20)는 베이스(10)에 거치되는 용기(50)에 담겨진 세정액의 일정량을 수용하는 부재로서, 베이스(10)의 바닥면(120) 상에 설치된다. The accommodating member 20 is a member accommodat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cleaning liquid contained in the container 50 mounted on the base 10 and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120 of the base 10.

상세하게는, 도 5a 의 사시도 및 도 5b 의 단면도와 같이 상기 수용부재(20)는 하부의 수용실(210)과 상부의 유입관(220) 부분으로 나뉘어지며, 상기 수용실(210)은 천장면의 상부 격벽(211)과 측면의 측부 격벽(212)으로 둘러쌓이고 하부는 개구된 박스 형상이고, 상기 유입관(220)은 상기 수용실(210)의 상부 격벽(211)의 표면상에 환형으로 돌출되고 상부가 개방된 관이며, 상기 유입관(220)의 일측에는 후술할 용기(50)의 격막(511)을 개봉할 수 있도록 뾰족하게 돌출 형성된 개봉침(223)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관(220)의 내부 바닥을 이루는 상기 수용실(210)의 상부 격벽(211)의 표면에는 유입관(220)을 통하여 배출되는 세정액을 상기 수용부재(20)의 수용실(210)로 유입시키는 유입홀(222)이 형성된다.In detail, as shown in FIG. 5A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5B, the accommodating member 20 is divided into a lower accommodating chamber 210 and an upper inflow tube 220, and the accommodating chamber 210 is formed of cloth. It is surrounded by an upper partition 211 and a side partition 212 on the side of the scene and the bottom is an open box shape, the inlet pipe 220 is annular on the surface of the upper partition 211 of the storage chamber 210 And the upper part is an open tube, and one side of the inflow pipe 220 is formed with an opening needle 223 formed to protrude sharply so as to open the diaphragm 511 of the container 50 to be described later. The cleaning liquid discharged through the inlet pipe 220 is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chamber 210 of the receiving member 20 on the surface of the upper partition 211 of the receiving chamber 210 forming the inner bottom of the tube 220. Inlet hole 222 is formed.

상기 수용실(210)의 하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개구되나 후술할 플레이트(30)의 표면과 대향하면서 플레이트(30)상에 형성된 요홈(311)과 모세관(321)으로 세정액이 확산된다.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chamber 210 is opened as described above, but the cleaning liquid is diffused into the groove 311 and the capillary tube 321 formed on the plate 30 while facing the surface of the plate 30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수용부재(20)의 측부격벽(212)의 양측으로 베이스(10)의 걸림턱(122)에 걸려지는 브라켓(230)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230)의 말단에는 베이스(10)의 관통홀(121)로 삽입되는 걸림쇠(231)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재(20)와 베이스(10)가 상호 결합된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side partition wall 212 of the receiving member 20, the bracket 230 is caught on the locking jaw 122 of the base 10 is formed, the base 10 at the end of the bracket 230 The latch 231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1 is formed, and the receiving member 20 and the base 10 are coupled to each other.

한편, 미설명부호 221 은 상기 개봉침(223)이 후술될 용기(50)의 격막(511)을 개봉하였을때, 격막(511)을 용기(50)의 내부 방향으로 밀어올려 격막(511)이 하강하지 않게 지지시키는 판 형상의 밀게(221)로서, 유입관(220)의 일측에 형성된다.Meanwhile, reference numeral 221 indicates that when the opening needle 223 opens the diaphragm 511 of the container 50 to be described later, the diaphragm 511 is pushed up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container 50 so that the diaphragm 511 is opened. As a plate-shaped pusher 221 to support not falling, i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let pipe 220.

도 6 은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6a 는 사시도, 도 6b 는 플레이트의 평면도, B-B' 선 단면도, C-C' 선 단면도이다.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plate of the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is a perspective view, Figure 6b is a plan view of the plate, line B-B 'cross-sectional view, line C-C' cross-sectional view.

도 6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30)는 상기 베이스(10)의 바닥면(120)과 상기 수용부재(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재(20)의 수용실(210)에 수용된 세정액을 플레이트(30) 표면상으로 확산시켜 일정량의 세정액을 함침하고 있다가 변기에서 흘러내리는 세척수를 포집하고, 포집된 세척수를 상기 베이스(10)의 배출구(111) 방향으로 흘러내려가도록 하되, 함침된 세정액이 흘러내려가는 세척수에 용해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이다.As shown in FIG. 6A, the plate 30 is install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120 of the base 10 and the accommodation member 20 to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chamber 210 of the accommodation member 20. The cleaning solution is diffused onto the surface of the plate 30 to impregnate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cleaning solution and collects the washing water flowing down the toilet, and the collected washing water flows down toward the outlet 111 of the base 10, but the impregnation is performed. It is a member that performs a function to dissolve the washing liquid is flowing into the washing water flowing down.

이를 위하여, 상기 플레이트(30)는 변기에서 공급되는 세척수를 포집하는 포집부(310)과 상기 베이스(10)와 결합되는 결합부(3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To this end, the plate 30 is integrally formed with a collecting portion 310 for collecting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toilet and the coupling portion 320 is coupled to the base 10.

상기 포집부(310)는 변기의 세척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6b 의 평면도와 같이 변기와 접촉되는 일측 말단면의 길이(x)가 결합부(320)와 연결되는 타측 말단면의 길이(y)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모양으로 이루어지되, 플레이트(30)가 변기에 보다 밀접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포집부(310)의 변기와 접촉되는 일측 말단면은 가운데 부분이 오목한 완만한 아치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The collection unit 310 is the other end surface in which the length (x) of one en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toilet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portion 320 as shown in the plan view of Figure 6b in order to receive the wash water of the toilet more efficiently Is formed larger than the length (y) of the overall trapezoidal shape, but one en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toilet bowl of the collecting portion 310 so that the plate 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ilet bowl is concave in the center portion It has a gentle arch shape.

또한, B-B' 선 단면도와 같이 상기 포집부(310)의 변기와 접촉되는 일측 말단면은 결합부(320)와 연결되는 타측 말단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α)만큼 경사지게 형성되어 변기로부터 흘러내리는 세척수가 베이스(10) 방향으로 잘 흘러가도록 형성되었다. In addition,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ne BB 'one en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toilet of the collecting portion 310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other end surface connected to the coupling portion 320 by a predetermined angle (α) flowing down from the toilet Was formed to flow well toward the base 10.

또한, C-C' 선 단면도와 같이 플레이트(30)가 변기의 내측면에 보다 밀접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하고, 변기로부터 흘러내리는 세척수가 플레이트(30) 외부로 쉽게 방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플레이트(30)의 포집부(310)의 몸체는 평평하지 않고, 오히려 전체적으로 오목하게 이루어진 몸체를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he plate 3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oilet, such as the CC 'line cross-sectional view, and the washing water flowing out of the toilet is not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plate 30. The body of the collecting part 310 is not flat, but rather has a body made entirely concave.

또한, 이와 같이 이루어진 플레이트(30)의 표면상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재(20)의 수용실(210)에 수용된 세정액을 플레이트(30) 표면상으로 확산시켜 일정량의 세정액을 함침시키기 위하여 상기 포집부(310)의 표면상에는 소정의 세정액을 함침할 수 있는 다수개의 요홈(311)이 생성되고, 상기 결합부(320)의 표면상에는 소정액의 세정액을 함침할 수 있는 수로 형태의 다수개의 모세관(321)이 형성된다.In addition, on the surface of the plate 30 made as described above, the cleaning solution contained in the accommodating chamber 210 of the accommodating member 20 is diffused onto the surface of the plate 30 to impregnate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cleaning liquid. A plurality of grooves 311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art 310 to impregnate a predetermined cleaning liquid, and a plurality of capillaries in the form of a channel may impregnate a predetermined liquid on the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320 ( 321 is formed.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세관(321)의 일측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320)의 말단에까지 연장되고, 상기 모세관(321)의 타측은 상기 포집부(310)와의 연결부분을 넘어서 포집부(31)의 일부 영역에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모세관(321)을 통하여 수용실(210)에 수용된 세정액을 요홈(311)까지 운반하기 위함이다.Preferably, one side of the capillary tube 321 extends to the end of the coupling portion 320 as shown, and the other side of the capillary tube 321 is beyond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collecting portion 310, the collecting portion 31 It extends to a part of the area). This is to carry the cleaning liquid contained in the accommodation chamber 210 through the capillary tube 321 to the groove 311.

따라서, 변기의 세척수가 포집부(310)로부터 집수되어 상기 베이스(10)의 배출구(111) 방향으로 흘러내려갈때, 상기와 같이 요홈(311)과 모세관(321)에 함침된 세정액이 배출구(111) 방향으로 흘러내려가는 세척수에 용해되어 배출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wash water of the toilet is collected from the collecting part 310 and flows down toward the outlet 111 of the base 10, the cleaning solution impregnated in the recess 311 and the capillary tube 321 is discharged as described above. It is dissolved in the washing water flowing down the direction of) and discharged.

한편, 상기 결합부(320) 상에는 상기 베이스(10)의 바닥면(120)과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베이스(120)의 걸림돌기(123)가 삽입되는 결합홈(322)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on the coupling portion 320 is formed a coupling groove 322 into which the engaging projection 123 of the base 120 is inserted for coupling with the bottom surface 120 of the base 10.

미설명부호 323 은 상기 플레이트(30) 상부로 설치되는 수용부재(20)의 브라켓(230)의 걸림쇠(231)를 베이스(10)의 바닥면(120)의 관통홈(121)으로 통과시키고, 아울러 상기 수용부재(20)의 브라켓(230)에 걸려지는 베이스(10)의 걸림턱(122)을 통과시키는 개구된 상태의 결합채널(323)이다.
Reference numeral 323 passes through the latch 231 of the bracket 230 of the receiving member 20 installed above the plate 30 through the through groove 121 of the bottom surface 120 of the base 10, In addition, the coupling channel 323 in the open state passing through the locking step 122 of the base 10 to be caught on the bracket 230 of the receiving member 20.

도 7a 는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후크의 사시도, 도 7b 는 후크의 단면도 및 도 7c 는 후크의 연장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7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ok of the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ok and Figure 7c is a view showing the extended state of the hook.

도 7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후크(40)는 베이스(10)의 후면에 결합되어 본 발명 디스펜서를 변기(600)의 변좌 테두리(610) 부분에 고정시키는 평평하고 긴 띠 형상의 부재이다.As shown in FIG. 7A, the hook 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at long strip-shaped member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10 to fix the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toilet seat 610 of the toilet bowl 600. .

도 7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위하여 후크(40)는 평상시 상태에서는 단축되어 있다가, 본 발명 디스펜서를 고정시키는 사용시 상태에서는 신장되도록 플렉시블(flexible)하게 형성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베이스(10)의 후면에 형성된 후크삽입관(130) 내부로 삽입되어 베이스(10)와 결합하는 브라켓(420)과 상기 브라켓(420)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수직부(410)와, 상기 수직부(410)의 말단에서 하방향으로 구부러지게 연장된 제 1 벤딩부(411)와, 상기 제 1 벤딩부(411)의 말단에서 상방향으로 구부러지게 연장된 제 2 벤딩부(412)와, 상기 제 2 벤딩부(412)의 말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말단부(413)로 이루어지고, 상기 말단부(413)의 표면상에는 후크(40)가 변기(600)의 변좌 테두리(610) 부분에 걸려진 상태를 잘 유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마찰 돌기(414)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7B, for this purpose, the hook 40 is shortened in a normal state, but is formed to be flexible to extend in a state of us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dispenser is fixed. Specifically, the base 10 A bracket 420 inserted into the hook insertion tube 130 formed at the rear of the bracket 420 and coupled to the base 10, and a vertical portion 410 protruding upward in the bracket 420, and the vertical portion 410. A first bending part 411 extending bent downwardly at an end, a second bending part 412 extending upwardly bent at an end of the first bending part 411, and the second bending part It consists of a distal end portion 413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end of the (412), on the surface of the distal end portion 413 the hook 40 is well maintained in the state caught on the toilet seat 610 of the toilet bowl 600 A plurality of friction protrusions 414 are formed to be able to do so.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후크는 도 7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시에는 상기 제 1 벤딩부(411)가 수평 상태로 유지되면서 변좌 테두리(610)의 상부면에 접촉되고, 제 2 벤딩부(412)가 변좌 테두리(610)의 측면에 접촉되면서 후크(40)의 걸림 상태가 유지된다.The hook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seat 610 while the first bending portion 411 is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as shown in FIG. 7C, and the second bending portion 412 is used. ) Is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toilet seat 610 is held by the hook 40.

또한, 후크(40)의 수직부(410)의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암(430)(arm)이 형성된다. 상기 암(430)은 후크(40)가 변기(600)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 7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좌 테두리(610)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본 발명 디스펜서의 고정을 지지하게 된다.
In addition, an arm 430 protru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under the vertical portion 410 of the hook 40. The arm 430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toilet seat 610 as shown in FIG. 7C while the hook 40 is installed in the toilet 600 to support the fixing of the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는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용기의 사시도, 도 8b 는 용기의 저면도이다.8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of the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B is a bottom view of the container.

도 8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50)는 세정액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사용자가 남은 세정액의 용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8A, the container 50 is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the cleaning liquid, and is preferably formed transparent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leaning liquid.

또한, 상기 용기(50)의 바닥면에는 수용된 세정액을 수용부재(20)의 유입관(220)으로 배출시키는 출구(510)가 형성되되, 이 출구(510)는 미사용시에는 도 8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막(511)에 의하여 밀봉된 상태이나, 최초 사용시에 용기(50)의 출구(510) 부분을 상기 수용부재(20)의 유입관(220)에 거치시키면, 유입관(220)에 형성된 개봉침(223)이 격막(511)을 찌르게 되고, 격막(511)은 개봉침(211)에 의하여 출구(510)의 내측으로 밀려올려지면서 출구(510)가 개방되게 된다.In addition, an outlet 51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50 to discharge the cleaning liquid contained in the inlet tube 220 of the receiving member 20. The outlet 510 is not shown in FIG. 8B when not in us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outlet 510 of the container 50 is mounted on the inlet pipe 220 of the receiving member 20 in the sealed state by the diaphragm 511 or the first use, the inlet pipe 220 is formed in the inlet pipe 220. The opening needle 223 pierces the diaphragm 511, and the diaphragm 511 is pushed into the outlet 510 by the opening needle 211 to open the outlet 510.

이어서, 유입관(220) 일측에 형성된 밀게(221)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개봉침(223)이 후술될 용기(50)의 격막(511)을 개봉하였을때, 격막(511)을 용기(50)의 내부 방향으로 밀어올려 격막(511)이 하강하지 않게 지지하고 있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claw 221 formed on one side of the inlet pipe 220 opens the diaphragm 511 of the container 50 to be described later, the diaphragm 511 opens the diaphragm 511 in the container 50. The diaphragm 511 is supported so that the diaphragm 511 may not be lowered by pushing it up inward.

따라서, 용기(50)의 밀봉 상태가 해제되어 용기(50) 내부에 수용된 세정액이 유입관(220)으로 배출되어 유입관(220)의 내부의 상부격벽(211) 상에 형성된 유입홀(222)을 통하여 수용실(210)에 세정액이 유입되게 된다.Therefore, the sealing state of the container 50 is released, and the cleaning liquid contained in the container 50 is discharged to the inlet pipe 220, so that the inlet hole 222 formed on the upper partition 211 inside the inlet pipe 220. Through the cleaning liquid is introduced into the storage chamber 210 through.

또한, 상기 출구(510)의 외주에는 출구(510)가 상기 유입관(220)에 거치될 경우, 출구(510)와 유입관(220) 사이의 세정액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작용을 수행하는 링(520)이 형성된다.In addition, when the outlet 510 is mounted on the inlet pipe 220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utlet 510, a sealing operation for preventing the outflow of the cleaning liquid between the outlet 510 and the inlet pipe 220 is performed. Ring 520 is formed.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베이스(10), 수용부재(20), 플레이트(30), 후크(40) 및 세정액을 수용하는 용기(50)의 재질은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합성수지재로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 트레프탈레이트(PET 또는 PET-G) 등을 이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ase 10, the receiving member 20, the plate 30, the hook 40 and the material of the container 50 containing the cleaning liquid of the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Preferably, as such a synthetic resin material,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polyethylene trephthalate (PET or PET-G), or the like can be used.

이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ction of the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mad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9 는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조립된 상태의 종단면도로서, 상술한 본 발명의 베이스(10), 수용부재(20), 플레이트(30), 후크(40) 및 용기(50)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9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n assembled state of the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base 10, the receiving member 20, the plate 30, the hook 40, and the container 5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It is show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의 바닥면(120) 상에 플레이트(30)가 고정되되, 단면도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바닥면(120)에 형성된 걸림돌기(123)가 플레이트(30)에 형성된 결합홈(322)에 걸려지면서 상호 결합된다. 이때, 바닥면(120)에 형성된 걸림턱(122)은 플레이트(30)의 결합채널(323)을 통과하게 된다.As shown, the plate 30 is fixed on the bottom surface 120 of the base 10, although not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the engaging projection 123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20 is the plate 30 It is coupled to each other while being caught in the coupling groove 322 formed in. At this time, the locking step 122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20 passes through the coupling channel 323 of the plate 30.

이어서, 수용부재(20)의 브라켓(230) 말단의 걸림쇠(231)를 바닥면(120)의 관통홀(121)로 삽입시키고, 이와 동시에 바닥면(120)의 걸림턱(122)을 브라켓(230)의 상면에 걸려지게 하여 수용부재(20)를 베이스(10)의 바닥면(120)에 고정시키게 되면, 베이스(10)의 바닥면(120)과 수용부재(20) 사이에 플레이트(30)가 결합되게 되면서, 수용실(210)의 바닥면은 플레이트(30)의 상면과 접촉하게 된다.Subsequently, the latch 231 at the end of the bracket 230 of the receiving member 2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1 of the bottom surface 120, and at the same time, the locking jaw 122 of the bottom surface 120 is inserted into the bracket ( When the receiving member 20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120 of the base 10 by being caught by the upper surface of the 230, the plate 30 between the bottom surface 120 of the base 10 and the receiving member 20. ) Is coupled,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chamber 210 is in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plate (30).

이러한 상태에서 후크(40)의 브라켓(420)을 베이스(10) 후단의 후크삽입관(130)에 내삽시켜 후크(40)를 베이스(10)에 결합시키고, 세정액 용기(50)의 출구(510)를 수용부재(20)의 유입관(220)에 거치시킨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유입관(220)에 형성된 개봉침(223)이 출구(510)에 형성된 격막(511)을 찔러서 밀어올리면서 출구(510)가 개봉되고, 용기(50)에 수용된 세정액(L)은 출구(510)를 통하여 배출되어 유입관(220)의 유입홀(222)을 통하여 수용실(210)로 수용된다.In such a state, the bracket 420 of the hook 40 is inserted into the hook insertion tube 130 at the rear end of the base 10 to couple the hook 40 to the base 10, and the outlet 510 of the cleaning liquid container 50. ) Is mounted on the inlet pipe 220 of the receiving member 20. At this time, the opening 510 is opened while the opening needle 223 formed in the inlet pipe 220 pierces and pushes the diaphragm 511 formed in the outlet 510 as described above, and the cleaning liquid contained in the container 50 ( L)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510 and received in the accommodation chamber 210 through the inlet hole 222 of the inlet pipe 220.

다음으로, 도 10 의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설치상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디스펜서의 후크(40) 부분을 신장시켜 후크(40)를 변기(600)의 변좌테두리(610)에 걸려지게 되면, 전술한 도 7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40)의 제 1 벤딩부(411) 및 제 2 벤딩부(412)가 변좌테두리(610)의 부분에 걸려지고, 후크(40)의 암(430)이 변좌테두리(610)의 하부면과 접촉되면서 본 발명 디스펜서가 변기(600)에 장착된다.Next, as shown in the installation state diagram of the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of FIG. 10, the hook 40 of the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tended to hook the hook 40 to the toilet seat 610 of the toilet bowl 600. As illustrated in FIG. 7C, the first bending part 411 and the second bending part 412 of the hook 40 are hooked to a portion of the toilet seat 610, and the arm 430 of the hook 40 is fixed. )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toilet seat 610 is mounted to the toilet bowl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면, 도 11 의 본 발명 디스펜서의 작동 상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는 베이스(10)의 후면에 결합된 플레이트(30)의 말단이 변기(600)의 변좌몸체(620)에 밀착된 상태로 변기(600)에 설치된다. 본 발명 디스펜서가 변기(600)에 설치된 상태는 도 7c 를 참조한다.Then, as shown in the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enser of Figure 11, the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end of the plate 30 coupled to the back of the base 10 to the toilet seat body 620 of the toilet 600 The toilet 600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Referring to FIG. 7C, the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toilet 600.

이 상태에서 용기(50)의 출구(510)에서 배출되어 유입관(220)의 유입홀(222)을 통하여 수용실(210)에 수용된 세정액(L)은, 수용실(210)의 개구된 하부면으로 유출되어 이 하부면과 접촉되는 플레이트(30)의 다수개의 모세관(321)에 함침된다.In this state, the cleaning liquid L discharged from the outlet 510 of the container 50 and accommodated in the storage chamber 210 through the inlet hole 222 of the inlet pipe 220 is an open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chamber 210. It is impregnated into a plurality of capillaries 321 of the plate 30 which flows out into the surface and contacts the lower surface.

나아가, 상기 모세관(321)을 따라서 세정액(L)이 추가적으로 운반되면서 상기 포집부(310)에 형성된 요홈(311)에까지 세정액(L)이 함침되게 된다.Furthermore, the cleaning liquid L is additionally transported along the capillary tube 321 so that the cleaning liquid L is impregnated to the groove 311 formed in the collecting part 310.

이때, 변기(600)의 세척을 위하여 세척수(W)가 변좌몸체(620)로 공급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W)가 변좌몸체(620)를 따라서 흐르다가, 세척수(W)의 일부가 플레이트(30)의 포집부(310)로 수집된다.At this time, when the washing water (W) is supplied to the toilet seat body 620 for washing the toilet bowl 600, the washing water (W) flows along the toilet seat body 620 as shown, a part of the washing water (W) Collected into the collecting portion 310 of the plate (30).

이때, 상기 플레이트(30)의 포집부(310)는 전술한 도 6b 의 평면도와 같이 변기와 접촉되는 일측 말단면의 길이(x)가 결합부(320)와 연결되는 타측 말단면의 길이(y)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모양이고, 상기 포집부(310)의 변기와 접촉되는 일측 말단면이 결합부(320)와 연결되는 타측 말단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α)만큼 경사지게 형성되며, 플레이트(30)의 포집부(310)의 몸체 자체도 오목하게 이루어져 있어, 변기로부터 흘러내리는 세척수(W)는 플레이트(30)의 포집부(310) 외부로 쉽게 방출되지 않으면서 포집부(310)를 통하여 베이스(10) 방향으로 흘러들어가게 된다.At this time, the collecting portion 310 of the plate 30 is the length (y) of one en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toilet as shown in the plan view of Figure 6b described above the length (y) of the other end surface connected to the coupling portion 320 ) Is formed larger than the trapezoidal shape as a whole, the one en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toilet of the collecting portion 310 is formed to be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α) with respect to the other end surface connected to the coupling portion 320, the plate The body itself of the collecting part 310 of the 30 is also concave, so that the washing water (W) flowing down from the toilet is not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llecting part 310 of the plate 30, the collecting part 310 It flows in the direction of the base 10 through.

이때, 상기 포집부(310)에 형성된 요홈(311)에 함침된 세정액(L)이 베이스(10) 방향으로 흘러내려가는 세척수(W)에 용해되고, 이어서 플레이트(30)의 포집부(310)와 결합부(320)에 걸쳐서 형성된 모세관(321)에 함침된 세정액(L)도 베이스(10) 방향으로 흘러내려가는 세척수(W)에 용해되며, 이렇게 세정액(L)이 용해된 상태의 세척수(W)는 베이스(10)의 전면에 형성된 배출구(111) 및 베이스(10)의 배출공(140)을 통하여 변좌몸체(620)로 방출되면서(배출공을 통한 세척수의 방출은 미도시), 변기(600)의 변좌몸체(620)의 내부를 깨끗하게 세정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cleaning liquid (L) impregnated in the groove 311 formed in the collecting portion 310 is dissolved in the washing water (W) flowing down to the base 10 direction, and then the collecting portion 310 of the plate 30 and The washing liquid L impregnated in the capillary 321 formed over the coupling part 320 is also dissolved in the washing water W flowing down toward the base 10, and the washing water W in the state in which the washing liquid L is dissolved is thus dissolved. Is discharged to the toilet seat body 620 through the outlet 111 formed in the front of the base 10 and the discharge hole 140 of the base 10 (the discharge of the washing water through the discharge hole is not shown), the toilet bowl 600 Clean the inside of the toilet seat body 620).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세척수(W)가 배출구(111)나 배출공(140)을 통하여 한번 배출되면, 수용부재(20)의 수용실(210) 내부로 세척수(W)에 용해된 만큼의 세정액(L)이 자동적으로 낙하되어 수용실(210)에 수용되면서 수용실(210)의 개구된 하부면으로 유출되어 이 하부면과 접촉되는 플레이트(30)의 모세관(321)과 요홈(311)에 세정액(L)이 재차 함침되게 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용기(50)에 수용된 세정액(L)이 모두 소비될 때까지 상술한 세정 작용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And, as described above, once the washing water (W)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11 or the discharge hole 140, as much as the washing liquid dissolved in the washing water (W) into the receiving chamber 210 of the receiving member 20 ( L) is automatically dropped and is contained in the accommodating chamber 210 while flowing out to the open low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chamber 210 to the capillary tube 321 and the groove 311 of the plate 30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L) is impregnated again, and in this manner, the above-described cleaning action is repeated until all of the cleaning liquid L contained in the container 50 is consumed.

따라서, 항상 일정한 양의 세정액(L)이 세척수(W)와 함께 공급되게 되어, 변기(600)의 위생상태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a certain amount of the cleaning liquid (L) is always supplied with the washing water (W), it is possible to always keep the sanitary state of the toilet bowl 600 clean.

한편, 용기(50)의 세정액(L)이 모두 소비되었을 경우에는 용기(50)에 세정액(L)을 재공급하여 베이스(10) 상에 거치시킬 수도 있으나, 세정액(L)의 재공급과정이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번거로움을 유발시킬 수도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세정액(L)이 미리 수용된 상태의 리필용 세정액 용기를 별도 제공하고, 소비자는 이러한 리필용 용기를 구매하여 사용이 종료된 용기를 새로운 리필용 용기로 교체만 시키는 방식으로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를 운용하는 방식이 상업적으로 유용하다.On the other hand, when all of the cleaning liquid (L) of the container 50 is consumed may be re-supply the cleaning liquid (L) to the container 50 to be mounted on the base 10, the re-supply process of the cleaning liquid (L) Since it may cause unnecessary inconvenience to the user, it is preferable to separately provide a refilling cleaning container with a cleaning liquid L in a pre-received state, and the consumer purchases such a refilling container and replaces the finished container with a new refilling container. The manner in which the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in a way that makes it convenient is commercially useful.

나아가, 방향 기능이 추가된 세정액(L)을 이용한다면, 세정 작용과 함께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if the cleaning liquid L to which the fragrance function is added is used, a more comfortable feeling can be provided to the user with the cleaning action.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interpreted as falling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10; 베이스
110; 벽면 111; 배출구
120; 바닥면 121; 관통홈
122; 걸림턱 123; 걸림 돌기
130; 후크 삽입관
140; 배출공
150; 슬롯
20; 수용부재
210; 수용실 211; 상부 격벽
212; 측부 격벽
220; 유입관 221; 밀게
222; 유입홀 223; 개봉침
230; 브라켓 231; 걸림쇠
30; 플레이트
310; 포집부 311; 요홈
320; 결합부 321; 모세관
322; 결합홈 323; 결합 채널
40; 후크
410; 수직부 411; 제 1 벤딩부
412; 제 2 벤딩부 413; 말단부
414; 마찰돌기
420; 브라켓
430; 암
50; 용기
510; 출구 511; 격막
600; 변기
610; 변좌 테두리 620; 변좌 몸체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One;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10; Base
110; Wall 111; outlet
120; Bottom 121; Through Groove
122; Hanging jaw 123; Jamming
130; Hook insertion tube
140; Discharge hole
150; slot
20; Receiving member
210; Storage room 211; Upper bulkhead
212; Side bulkhead
220; Inlet 221; Push
222; Inlet hole 223; Opening needle
230; Bracket 231; Brace
30; plate
310; Collector 311; Groove
320; Coupling portion 321; capillary
322; Coupling groove 323; Combined channel
40; hook
410; Vertical portion 411; 1st bending part
412; Second bending portion 413; Distal end
414; Friction protrusion
420; Brackets
430; cancer
50; Vessel
510; Exit 511; Diaphragm
600; toilet
610; Toilet seat border 620; Toilet seat

Claims (17)

세정액을 담고 있으며 하부에 형성된 출구(510)를 통하여 세정액을 용기 하방으로 유출하는 용기(50);
상기 용기(50)를 거치시키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의 내부 바닥면(120)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50)로부터 유출되는 세정액의 일정량을 수용하는 수용부재(20);
상기 베이스(10)의 후면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용부재(20)에 수용된 세정액이 함침되고, 변기로부터 흘러나오는 세척수에 함침된 세정액을 용해시켜 상기 베이스(10)를 통하여 세정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플레이트(30);
상기 베이스(10)의 후면에 연결되어 변기의 변좌 테두리 부분에 베이스(10)를 고정시키는 후크(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용부재(20)는 하부의 수용실(210)과 상기 수용실(210)의 상부 격벽(211)의 표면에서 돌출되고 상부가 개방된 유입관(220)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실(210)은 상부 격벽(211)과 측부 격벽(212)으로 둘러쌓이고 하부는 개구된 박스 형상이고,
상기 유입관(220)의 바닥에는 세정액을 상기 수용실(210)로 유입시키는 유입홀(222)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관(220)의 일측에 상기 용기(50)를 개봉할 수 있도록 뾰족하게 돌출 형성된 개봉침(223)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관(220)의 일측에 밀게(221)를 부설하여, 상기 개봉침(223)이 용기(50)의 출구(510)에 형성된 격막(511)을 개봉하였을때, 이 격막(511)을 용기(50)의 내부 방향으로 밀어올려 격막(511)이 하강하지 않게 지지하고,
상기 플레이트(30)는 변기에서 공급되는 세척수를 포집하는 포집부(310)와, 상기 베이스(10)와 결합되는 결합부(3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포집부(310)의 표면상에 세정액을 함침할 수 있는 다수개의 요홈(311)이 생성되고,
상기 결합부(320)의 표면상에 세정액을 함침할 수 있는 수로 형태의 다수개의 모세관(3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A container 50 containing the cleaning liquid and flowing out of the cleaning liquid through the outlet 510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50;
A base 10 through which the container 50 is mounted;
A receiving member 20 coupl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120 of the base 10 to accommodate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cleaning liquid flowing out of the container 50;
The plate connected to the lower rear of the base 10 and impregnated with the cleaning solution contained in the receiving member 20, and dissolving the cleaning solution impregnated in the washing water flowing out of the toilet bowl to discharge the cleaning solution to the outside through the base 10. 30;
A hook 40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base 10 to fix the base 10 to a toilet seat edge portion of the toilet bowl; And,
The accommodating member 20 includes an inflow pipe 220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an upper compartment 211 of the accommodating chamber 210 and a lower accommodating chamber 210.
The accommodation chamber 210 is surrounded by an upper partition 211 and a side partition 212 and the lower portion is an open box shape,
An inflow hole 222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inflow pipe 220 to introduce a cleaning liquid into the accommodation chamber 210.
Opening needle 223 is formed to protrude sharply so as to open the container 50 on one side of the inlet pipe 220, the pusher 221 is placed on one side of the inlet pipe 220, the When the opening needle 223 opens the diaphragm 511 formed at the outlet 510 of the container 50, the diaphragm 511 is pushed up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container 50 so that the diaphragm 511 does not lower. Support,
The plate 30 is made of a collection unit 310 for collecting the wash water supplied from the toilet bowl, the coupling portion 320 is coupled to the base 10 is formed integrally,
A plurality of grooves 311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llecting portion 310 to impregnate the cleaning liquid,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apillary tube (321) in the form of a channel capable of impregnating a cleaning liquid on the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320 is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의 상부는 개방되되 바닥면(120)과 상기 바닥면(120)의 외주를 둘러쌓는 벽면(110)이 형성되고, 상기 벽면(110)의 전면 하측에는 벽면(110)을 관통하는 요철 형상의 배출구(111)가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part of the base 10 is opened, but a wall surface 110 is formed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ttom surface 120 and the bottom surface 120, and the wall surface 110 passes through the wall surface 110 below the front surface.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uneven discharge port 111 is form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120) 상에는 상기 수용부재(20)가 삽입되는 관통홀(12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21)의 일측에 수용부재(20)를 고정시키는 걸림턱(122)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The method of claim 2,
On the bottom surface 120, a through hole 121 into which the receiving member 20 is inserted is formed, and a locking step 122 for fixing the receiving member 20 to one side of the through hole 121 is protruded.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30)를 바닥면(12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바닥면(120)에걸림돌기(123)가 형성되고, 상기 벽면(110)의 후면 하측에는 상기 플레이트(30)를 삽입시키는 개구된 상태의 슬롯(1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The method of claim 2,
A locking protrusion 123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20 to fix the plate 30 to the bottom surface 120, and an opening for inserting the plate 30 below the rear surface of the wall surface 110.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lot 150 is form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의 후면에는 상기 후크(40)가 삽입되는 후크삽입관(1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The method of claim 2,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ack of the base 10 is formed with a hook insertion tube 130 is inserted into the hook (4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20)의 측부격벽(212)의 양측으로 베이스(10)의 걸림턱(122)에 걸려지는 브라켓(230)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230)의 말단에는 베이스(10)의 관통홀(121)로 삽입되는 걸림쇠(2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The method of claim 1,
Brackets 23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ide partition wall 212 of the receiving member 20 to be caught by the locking jaw 122 of the base 10, and the end of the bracket 230 penetrates the base 10.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atch 231 is inserted into the hole 121 is forme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310)는 변기의 세척수를 효율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사다리꼴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The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llecting part (310) has a trapezoidal shape so as to efficiently receive the washing water of the toilet bow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30)는 변기에 보다 밀접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포집부(310)의 변기와 접촉되는 일측 말단면이 가운데 부분이 오목한 완만한 아치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plate 30 is a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en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toilet bowl of the collecting portion 310 is formed in a gentle arcuate shape concave in the center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oilet bow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30)의 상기 포집부(310)의 변기와 접촉되는 일측 말단면은 결합부(320)와 연결되는 타측 말단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α)만큼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The method of claim 1,
One end surface of the plate 30 in contact with the toilet of the collecting portion 310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other end surface connected to the coupling portion 320 by a predetermined angle (α) characterized in that the toilet cleaning liquid dispens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30)가 변기의 내측면에 보다 밀접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하고 변기로부터 흘러내리는 세척수가 플레이트(30) 외부로 쉽게 방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플레이트(30)의 포집부(310)의 몸체가 오목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of the collecting part 310 of the plate 30 in order to allow the plate 3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oilet bowl and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flowing out of the toilet bowl from being easily discharged out of the plate 30. The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 ma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321)의 일측은 상기 결합부(320)의 말단에까지 연장되고, 상기 모세관(321)의 타측은 상기 포집부(310)의 일부 영역에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모세관(321)을 통하여 수용실(210)에 수용된 세정액이 요홈(311)까지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The method of claim 1,
One side of the capillary tube 321 extends to the distal end of the coupling part 320, and the other side of the capillary tube 321 is formed to extend to a partial region of the collecting part 310, and through the capillary tube 321.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leaning liquid contained in the accommodation chamber 210 is carried to the groove (3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의 바닥면(120)과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결합부(320) 상에 상기 바닥면(120)의 걸림돌기(123)가 삽입되는 결합홈(32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320) 상에 개구된 상태의 결합채널(3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The method of claim 1,
In order to b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120 of the base 10, a coupling groove 322 is formed on the coupling portion 320, the engaging projection 123 of the bottom surface 120 is inserted,
Toilet bowl cleaning liquid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channel 323 is opened on the coupling portion 3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40)는 평평하고 긴 띠 형상이며, 평상시 상태에서는 단축되어 있다가, 사용시 상태에서는 신장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hook 40 is flat and has a long band shape, which is shortened in a normal state, and is flexible formed so as to be elongated in a state of use.
KR1020100078847A 2010-08-16 2010-08-16 Dispenser for cleansing liquid of toilet bowl KR1012392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847A KR101239214B1 (en) 2010-08-16 2010-08-16 Dispenser for cleansing liquid of toilet bow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847A KR101239214B1 (en) 2010-08-16 2010-08-16 Dispenser for cleansing liquid of toilet bow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468A KR20120016468A (en) 2012-02-24
KR101239214B1 true KR101239214B1 (en) 2013-03-06

Family

ID=45838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8847A KR101239214B1 (en) 2010-08-16 2010-08-16 Dispenser for cleansing liquid of toilet bow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921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00747S1 (en) 2015-03-17 2017-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9869080B2 (en) 2015-11-05 2018-01-16 Doron Shoval Cleaning liquid dispenser
KR101745987B1 (en) 2016-12-06 2017-06-13 주식회사 유니코 Solution feeder
KR102511308B1 (en) * 2021-02-02 2023-03-17 김태민 Box for mounting elevator including supporting memb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2665A (en) * 2000-05-31 2001-12-14 S T Chem Co Ltd Chemical feeder for flush toilet
US6934973B2 (en) 2002-02-07 2005-08-30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Dispensing device for dispensing an active-substance fluid into the flushing liquid in a toilet bowl
US6976277B2 (en) * 2002-10-01 2005-12-20 Skot S.A. Chemical Products Device for dispensing a liquid active substance
KR100665621B1 (en) * 1999-12-14 2007-01-10 에스.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Improved liquid dispensing toilet bowl clea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621B1 (en) * 1999-12-14 2007-01-10 에스.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Improved liquid dispensing toilet bowl cleaner
JP2001342665A (en) * 2000-05-31 2001-12-14 S T Chem Co Ltd Chemical feeder for flush toilet
US6934973B2 (en) 2002-02-07 2005-08-30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Dispensing device for dispensing an active-substance fluid into the flushing liquid in a toilet bowl
US6976277B2 (en) * 2002-10-01 2005-12-20 Skot S.A. Chemical Products Device for dispensing a liquid active subst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468A (en) 201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5124B2 (en) Toilet chemical dispenser
KR101239214B1 (en) Dispenser for cleansing liquid of toilet bowl
US20200181898A1 (en) Automatic toilet bowl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s
GB2434593A (en) Toilet seat cleaning system
US20090064401A1 (en) Toilet Device With Improved Fragrance Delivery
JP3104910U (en) Solution ejector
KR102255856B1 (en) Pollution preventing device for urinal
KR101582961B1 (en) Supplying apparatus of liquid cleaner for toilet bowl
KR100697254B1 (en) A clean device equipped at the lid of a toilet bowl
US20040200245A1 (en) Washing machine water and chemical delivery apparatus
KR200384276Y1 (en) A clean device equipped at the lid of a toilet bowl
KR200473545Y1 (en) Sink drains cover
US20020074368A1 (en) Passive dispenser fordosing and issu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dispensable liquid
KR20210078756A (en) Urinal cleaner
KR20180010723A (en) Urinal
KR200361194Y1 (en) bubble cleansing apparatus for toilet stool
JP5597845B2 (en) Siphon traps and furniture
KR100825510B1 (en) Mobile simple toilet
JP4457719B2 (en) Chemical discharge container
CN210228056U (en) Dish washing machine
CN110226902A (en) A kind of integration-in-one dish-washing machine
JPH0357175Y2 (en)
CN217500412U (en) Water tank and integrated household appliance
KR20140104868A (en) Cleaner Case
RU144367U1 (en) KIT FOR CLEANING THE TOILET, CONSISTING OF A TANK AND BRU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