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1174B1 -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1174B1
KR102511174B1 KR1020210097856A KR20210097856A KR102511174B1 KR 102511174 B1 KR102511174 B1 KR 102511174B1 KR 1020210097856 A KR1020210097856 A KR 1020210097856A KR 20210097856 A KR20210097856 A KR 20210097856A KR 102511174 B1 KR102511174 B1 KR 102511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ball
melt
polycaprolactone
micro
microb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7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6404A (ko
Inventor
한청수
서성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런
Priority to KR1020210097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174B1/ko
Publication of KR20230016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0Making granules by moulding the material, i.e. treating it in the molten s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2Making granule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 B29B2009/125Micropellets, microgranules, microp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러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의 제조방법으로서,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을 기존 화학적 방법이 아닌 용융액의 액적을 공압 토출하는 방식의 물리적 방법으로 입자의 직경 균일성 및 진원도가 향상된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Polycaprolactone micro-ball}
본 발명은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필러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의 제조방법으로서,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을 기존 화학적 방법이 아닌 용융액의 액적을 공압 토출하는 방식의 물리적 방법으로 입자의 직경 균일성 및 진원도가 향상된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은 반결정성 지방족 폴리에스터로 우수한 생체 적합성 및 기계적 물성을 지닌 생분해성 고분자 합성물이며, 최근에는 마이크로볼(micro-ball) 형태로 제조되어 피부의 특정부위에 주입되어 연부조직을 확장시킴으로서 주름개선이나 윤곽교정 등에 사용되는 피부용 필러(dermal filler)의 원료로서 적용되고 있다.
1세대 필러는 소나 돼지 등의 동물이나 인체의 콜라겐을 추출하여 제조되었으나, 이같은 콜라겐 필러는 시술 후 효과의 지속기간이 2~4개월로 짧고 시술 한달 전 피부과민반응검사를 해야 한다는 번거로움 때문에 최근에는 거의 시술되고 있지 않고 있다.
2세대 필러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성분의 필러로 수탉 유래의 히알루론산 또는 박테리아(Streptococcus equi)가 생산한 히알루론산으로 제조되고 있다. 히알루론산 필러는 콜라겐 필러보다 효과 지속기간이 연장되고 인체구성성분과 유사한 다당질로 구성되어 피부과민반응 등의 부작용이 적다는 장점이 있지만, 점차 인체 내로 흡수되어 유지시간이 6~12개월로 비교적 짧기 때문에 필러 주입 시술을 6~12개월마다 반복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러나, 폴리카프로락톤 등의 생분해성 고분자 합성물 성분의 필러는 인체에 100% 흡수되어 안전하고, 기존 흡수성 필러인 콜라겐, 히알루론산 필러와 비교하여 필러 효과가 2~3년 장기간 지속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을 제조함에 있어서 각각의 마이크로볼의 직경 균일성 또는 진원도는 필러의 효과 및 지속 기간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만약, 직경 편차가 큰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을 필러에 적용시 피부에 매끄럽게 주입되지 않아 시술 효과가 크게 저하될 수 있으며, 부종이나 알레르기 등의 부작용이 더욱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신체 내 잔류하는 각각의 마이크로볼 입자의 용융성이 서로 상이하게 되어 필러 지속성이 불균일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72013호에는 불포화 비닐계 단량체와 중합 개시제가 용해된 유기용매를 현탁 중합하여 입도 분포도가 균일하게 개선된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47984호에는 폴리카프로락톤 및 칼슘클로라이드의 분산상으로부터 형성된 에멀젼을 수용액 추출하여 다공성 폴리카프로락톤 미립구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화학적 제조방법은 분산제나 안정제 등 기타 첨가제가 투여되고, 용매 추출이나 증발 단계 등이 추가로 요구되어 제조하기가 까다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이로 인해 합성 수율이 저하되거나 마이크로볼의 균일성 또는 진원도가 저하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중합 중 빈번한 교반 작업에서의 전단 응력으로 인해 마이크로볼의 변형이나 파단 등이 빈번하므로 균일한 직경 분포도 갖는 마이크로볼을 형성하기 어렵고, 마이크로볼 입자의 크기 등을 제어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에멀젼을 수용액을 추출하는 방법은 솔벤트 등의 사용으로 세포 독성이 잔류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필러 원료 등에 적용되는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 제조방법에 있어서 물리적 방법을 이용하여 균일한 크기의 마이크로볼의 고속 생산이 가능한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의 제조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필러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의 제조방법으로서,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을 기존 화학적 방법이 아닌 용융액의 액적을 공압 토출하는 방식의 물리적 방법으로 입자의 직경 균일성 및 진원도가 향상된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며, 본 발명은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 마이크로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평균 분자량이 40,000 이하인 폴리카프로락톤을 가열하여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을 제조하는 용융액 제조단계; 상기 용융액을 주입하여 액적을 공압으로 정량 토출하기 위해 압전구동 밸브(piezo valve)의 액적 온도, 추진 압력, 상기 압전구동 밸브를 구성하는 토출 노즐 직경, 피에조 연결 로드의 스트로크 주기 및 전압에 따른 스트로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변수를 조절하여 미세 액적을 토출하는 미세 액적 토출단계; 및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에서 토출된 액적이 낙하하며, 냉각되어 마이크로볼을 형성한 상태로 수집되는 마이크로볼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PCL 마이크로볼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융액 제조단계는 상기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에 발생된 미세 기포를 탈포하기 위하여 상기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을 70 내지 150°C에서 -0.06 내지 -0.09Mpa 음압 환경에서 탈포하는 용융액 탈포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는 상기 용융액이 압전구동 밸브의 하우징에 주입되어 가열되는 용융액 가열단계; 상기 용융액 가열단계에서 가열된 용융액이 상기 저장조 하부에 연결된 실린더로 유동하는 용융액 유동단계; 상기 용융액이 상기 밸브 하단에 장착된 노즐에서 피에조 연결 로드의 스트로크에 의하여 미세 액적 상태로 토출되는 미세 액적 토출단계;를 포함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의 압전구동 밸브의 노즐 직경은 35 내지 150 마이크로미터(μm)이고,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에서 토출된 액적의 직경 및 상기 마이크로볼 생성단계에서 수집된 마이크로볼의 직경은 180 마이크로미터(μm) 이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에서의 상기 압전구동 밸브의 노즐 온도는 155 내지 200°C 범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에서의 상기 피에조 연결 로드의 스트로크 주기는 초당 1,000회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에서 상기 압전구동 밸브의 인가전압은 200 내지 400V이고, 이로 인한 피에조 연결 로드의 스트로크는 250 내지 400 마이크로미터(μm)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에서 피에조 연결 로드의 1회의 스트로크 과정에서 10 내지 1,000 마이크로세컨드(μs) 동안 상승하고, 100 내지 1,000 마이크로세컨드(μs) 동안 상기 노즐 상부와 상기 피에조 연결 로드의 하단 사이에 액적이 충진되며, 100 내지 1,000 마이크로세컨드(μs) 동안 하강하여 상기 노즐에서 액적을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에서 상기 압전구동 밸브의 유체 이송부 내부의 압력은 2 내지 6bar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볼 생성단계에서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에서 토출된 미세 액적은 상기 밸브의 노즐 하부에 구비된 챔버 내부에서 1미터 이상 낙하되며 경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볼 생성단계에서 상기 챔버 내부는 진공화, 진공화 후 비활성 가스의 주입이 밸브 온도 이하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러용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 제조방법에 의하면,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의 액적을 압전구동 밸브(piezo valve)로 압전 토출하는 방식의 물리적 제조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화학적 제조 방법에 비하여 더욱 균일한 품질을 갖는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을 대량으로 고속 생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러용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기 압전구동 밸브의 각종 제어변수를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직경 균일성 및 진원도가 향상된 마이크로볼의 제조가 가능하여, 상기 마이크로볼이 필러 원료로서 적용시 피부에 매끄럽게 주입 가능하여 균일한 볼륨 형성, 주름 개선 등의 성형 효과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러용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기 압전구동 밸브의 노즐 직경에 따라 상기 노즐에서 토출되는 미세 액적 또는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의 직경을 다양화 할 수 있으므로,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을 필러 이외에도 향후 약물 전달 시스템 또는 색전술로까지의 확대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러용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 제조방법에 의하면, 기존 에멀젼을 수용액을 추출하기 위하여 솔벤트 등을 사용하는 화학적 방법이 아닌 물리적 방법을 사용하여 마이크로볼의 독성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 제조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 제조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표 1의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3에 따른 마이크로볼의 형상의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4는 표 1의 실시예 2-1, 실시예 2-2, 비교예 2-1 및 비교예 2-2 그리고 비교예에 따른 마이크로볼의 형상의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볼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마이크로볼의 직경 또는 입경의 균일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에 시험 결과 이미지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 제조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 제조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필러 원료로 적용 가능한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 마이크로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평균 분자량이 40,000 이하인 폴리카프로락톤을 가열하여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을 제조하는 용융액 제조단계(S100), 상기 용융액 제조 단계(S100)에서 제조된 용융액을 주입하여 액적을 공압으로 정량 토출하기 위해 압전구동 밸브(210)의 액적 온도, 추진 압력, 상기 압전구동 밸브(210)를 구성하는 토출 노즐(215)의 직경, 피에조 연결 로드(213)의 스트로크 주기 및 전압에 따른 스트로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변수를 조절하여 미세 액적을 토출하는 미세 액적 토출단계(S200),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S100)에서 토출된 액적이 낙하하며, 냉각되어 마이크로볼을 형성한 상태로 수집되는 마이크로볼 생성단계(S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 제조방법은 종래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을 제조함에 있어서 에멀젼 중합 또는 현탁 중합 등의 화학적 방법으로 제조하는 대신에,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의 제조, 액적 토출 및 마이크로볼의 형성이 일련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물리적 방법을 적용함과 동시에 상기 압전구동 밸브(210)의 구동 제어변수를 정밀하게 조절함으로서 이로 제조되는 각각의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m) 직경 및 토출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 제조방법에세는 상기 압전구동 밸브(210)의 제어변수를 정밀하게 조절함으로서 이로 제조되는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m) 입자의 직경 편차가 약 10 마이크로미터(μm) 이내의 매우 균일한 직경 분포를 지니며, 상기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m)의 진원도는 약 98% 수준의 우수한 품질을 갖도록 제조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진원도는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m)의 중심을 지나도록 자른 임의의 원형 단면을 기준으로 가장 긴 지름을 갖는 원의 단면적 대비 상기 마이크로볼 입자의 단면적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를 의미하고, 상기 진원도가 100 퍼센트(%)에 근접할수록 마이크로볼 입자가 완전한 구 형상을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종래,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을 제조함에 있어서 폴리카프로락톤을 1,2-다이클로로에테인(1,2-Dichlororthane)이나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DCM) 등에 용해 및 제조한 폴리카프로락톤 용액을 사용하였으나, 이와 같이 마이크로볼 원료에 유기 용매를 첨가하게 되면 균일한 크기의 마이크로볼 제조가 어려운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에, 본 발명에서는 유기 용매를 비함유하는 단일상의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 제조 시스템을 구성하는 용융액 제조부(100)에서는 마이크로볼(m)의 원료가 되는 폴리카프로락톤이 가열되어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P)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용융액 제조부(110)는 상기 용융액 제조단계(S100)를 통해 제조된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P)이 수용되는 용융액 저장조(110)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용융액 저장조(110)는 상기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P)이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S200)를 통해 미세 액적 상태로 압전 토출 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미세 액적 토출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융액 제조부(110)는 상기 용융액 저장조(110) 외측에 상기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P)이 액상 상태로 유지되도록 일반적인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점 이상의 온도, 예를 들면 60°C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200°C로 가열하기 위한 가열유닛(12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융액 제조단계(S100)에서 상기 폴리카프로락톤의 평균 분자량은 40,000g/mol 이하일 수 있다. 40,000g/mol 초과하는 경우 이로 제조되는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P)의 점탄성이 너무 커 용융 흐름성이 저하되어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S2)에서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의 원활한 토출 작업이 불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상기 폴리카프로락톤의 평균 분자량이 8,000g/mol 이하인 경우 이로 제조되는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P)의 점탄성이 너무 낮아 표면 장력이 감소하여 마이크로볼의 진원도가 저하하게 되는 문제도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용융액 제조단계(S100)는 상기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P)에 발생된 미세 기포를 탈포함으로서 이로 제조되는 마이크로볼의 진원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P)을 70 내지 150°C에서 -0.06 내지 -0.09Mpa 음압 환경에서 탈포하는 용융액 탈포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 제조 시스템에서 상기 용융 제조부(100)는 상기 용융액 저장조(110) 내부를 진공화하여 상기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P) 내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탈포용 펌프(130) 및 상기 탈포용 펌프(130)에 연결되어 상기 용융액 저장조(110)의 진공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 조절밸브(1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융액 탈포과정에서 상기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P) 온도가 70°C 미만인 경우, 상기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P)이 진공 탈포되는 과정 동안의 온도가 폴리카프로락톤의 용융점 이하로 급격하게 저하되어 용융액이 경화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반면, 150°C 초과인 경우 진공 탈포된 이후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이 필요 이상으로 가열되어 이로 제조되는 마이크로볼(m)의 직경 균일성 또는 진원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융액 탈포과정에서 상기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P)의 탈포 환경이 -0.09Mpa 미만인 경우 상기 용융액 저장조(110) 내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P)이 충분하게 탈포되지 않는 반면, -0.06Mpa 초과인 경우 상기 용융액 저장조(110) 내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P)에 오히려 기공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용융액 탈포 과정에서 탈포 수행된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P)은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S200)에서 압전구동 밸브(210)에 의해 미세한 액적으로 형성되어 공압으로 정량 토출될 수 있다.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S200)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 제조 시스템의 상기 미세 액적 토출부(200)에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미세 액적 토출부(200)는 상기 용융액 제조부(100)에서 제조된 이후 유동되는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P)을 미세 액적 상태로 압전 토출하기 위한 압전구동 밸브(Piezo valve)(21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미세 액적 토출부(200)는 상기 압전구동 밸브(210)로 전압을 조절하여 인가하기 위한 전압 제어유닛(270) 및 상기 전압 제어유닛(270)으로 인가된 전압에 따라 시그널 펄스의 파형을 발생시키는 주파수 발생기(25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전구동 밸브(210)는 고속 구동이 가능하고, 시그널 펄스 제어만으로도 미세 유량 제어가 가능하여 상기 미세 액적 토출부(200)를 구성하는 전압 제어유닛(270)과의 동기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미세 액적 토출부(200)의 압전구동 밸브(210)는 상기 용융액 제조단계(S100)에서 제조되는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P)이 내부에 주입되는 실린더(211), 상기 실린더(211) 내부에 길게 연장되는 지지바(213a)를 포함하는 피에조 연결 로드(213), 상기 실린더(211) 하단에 구비되어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P)을 미세 액적 상태로 고속 분사하기 위해 내부에 가느다란 유로관이 구비되는 노즐(215) 및 상기 전압 제어유닛(270)의 전압 인가시 발생되는 전류의 흐름 및 전압 강하에 따라 상기 피에조 연결 로드(213)가 상하 구동되도록 하는 압전 액츄에이터(21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피에조 연결 로드(213)의 구동 방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전압 제어유닛(270)에 의하여 상기 압전 액츄에이터(217)로 양(+)의 전압 인가시, 제1 구동축(21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회전 로드(216)가 제1 회전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로드(216)의 단부에 연결되도록 고정되는 제2 구동축(217)이 상기 제1 구동축(215)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구동축(217) 하부에 연결되는 피에조 연결 로드(213)의 지지바(213a)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피에조 연결 로드(213)의 하단 영역에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P)이 유입되어 충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피에조 연결 로드(213)의 지지바(213a) 및 상기 회전 로드(216)는 서로 수직 연결되도록 구성 가능하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전압 제어유닛(270)에 의하여 상기 압전 액츄에이터(217)로 음(-)의 전압(반대방향 전압) 인가시, 상기 제1 구동축(215)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 로드(216)가 제1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회전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2 구동축(217)도 마찬가지로 제1 구동축(215)을 중심으로 하방 추진되면서 상기 제2 구동축(217)에 연결된 상기 피에조 연결 로드(213)의 지지바(213a)가 하부로 변위됨에 따라 상기 충진된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을 노즐(215)의 유로관으로 공압 토출되도록 한다.
상기 전압 제어유닛(270)에 의하여 상기 압전 액츄에이터(217)로 인가되는 전압 크기는 200 내지 400V 범위일 수 있고, 상기 제1 구동축(215)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 로드(216)는 상기 인가 전압이 커질수록 회전 각도가 증가하고, 이에 상기 피에조 연결 로드(213)의 수직 구동 거리가 증가하여 피에조 연결 로드(213) 하단에서의 미세 액적 토출력이 상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S200)에서 상기 압전구동 밸브(210)의 구동을 위한 각종 제어변수, 예를 들면 상기 압전구동 밸브(210)의 노즐(215)의 교체로 인한 노즐 직경 조절, 피에조 연결 로드(213)의 스트로크 주기 및 전압에 따른 스트로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변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S200)에서 상기 압전구동 밸브(210)의 상기 제어 변수들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고 이후 상기 마이크로볼 생성단계(S300)에서 수집된 각각의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m)의 형상을 관찰하여 상기 압전구동 밸브(210)의 제어변수 최적 값을 설정하였다.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S200)는 상기 용융액(P)이 압전구동 밸브의 하우징(220)에 주입되어 가열되는 용융액 가열과정, 상기 용융액 가열과정에서 가열된 용융액(P)이 상기 하우징(220) 하부에 연결된 실린더(211)로 유동하는 용융액 유동과정, 상기 용융액(P)이 상기 압전구동 밸브(210) 하단에 장착된 노즐(215)에서 피에조 연결 로드(213)의 스트로크에 의해 미세 액적 상태로 토출되는 미세 액적 토출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용융액 가열과정에서 상기 압전구동 밸브의 하우징(220)은 상기 용융액 제조부(100)를 수용하고, 가열유닛(221)이 내측에 매립되어 상기 용융액 저장조(110) 하부를 따라 유동되는 용융액(P)을 100 내지 200도(°C),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00도(°C)로 가열함으로서 용융액(P)의 경화를 방지하고,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S200)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상기 압전구동 밸브 노즐(215)의 토출 온도 근방의 온도로 미리 예열해주어 오버슈트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압전구동 밸브의 하우징(220) 내부 온도를 약 100 내지 200도(°C)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기 압전구동 밸브의 하우징(220)에는 온도 센서 등이 구비되는 밸브온도 제어유닛(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온도 제어유닛(240)은 온도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밸브 하우징(220) 내부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밸브 하우징(220) 내측에 매립되는 가열유닛(221)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열된 용융액은 상기 압전구동 밸브의 하우징(220) 하부에 연결된 실린더(211)로 유동 후, 상기 실린더(211) 내부의 피에조 연결 로드(213)의 스트로크에 의하여 상기 밸브 최하단에 장착된 노즐(215)에서 미세 액적 상태로 공압 토출는 미세 액적 토출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스트로크(stroke)는 상기 실린더(211) 내부에 연장된 피에조 연결 로드(213)의 수직 방향 구동 동작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전구동 밸브(210)의 노즐(215) 직경은 상기 피에조 연결 로드(213)의 1회 스트로크 당 상기 노즐에서 액적 토출되는 용융액(P)의 부피를 결정하게 되므로 상기 용융액(P)의 미세 액적 및 마이크로볼(P)의 크기를 결정하는 제어변수일 수 있다.
이에, 폴리카프로락콘 마이크로볼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볼(m)의 응용 분야가 필러 원료인지 또는 약물 전달 시스템인지에 따라 이의 응용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요구되는 직경을 갖는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m)을 생산하기 위하여 상기 압전구동 밸브(210)의 노즐(215) 직경을 미리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S200)에서 압전구동 밸브(210)의 노즐(215) 직경은 35 내지 150 마이크로미터(μm)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S200)에서 토출된 액적의 직경 및 상기 마이크로볼 생성단계(S300)에서 수집된 마이크로볼(m)의 직경이 180 마이크로미터(μm) 이하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S200)에서 상기 압전구동 밸브의 노즐(215) 온도는 155 내지 200도(°C) 범위가 되도록 압전구동 밸브(210)의 제어변수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노즐(215) 온도가 155°C 미만인 경우 상기 노즐(215)을 따라 유동되던 용융액(P)이 일부 소결되어 상기 노즐(215)로 용이하게 토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반면, 상기 노즐(215) 온도가 200°C 초과인 경우 상기 상기 노즐(215)을 따라 유동되는 용융액(P)의 점성이 지나치게 저하됨에 따라 표면 장력이 토출력보다 감소하여 액적 파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S200)에서 압전구동 밸브(210)의 피에조 연결 로드(213)의 스트로크 주기는 고속 토출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스트로크 주기는 초당 1,000회 이하가 되도록 상기 압전구동 밸브(210)의 제어변수가 조절될 수 있다. 만약에, 상기 스트로크 주기가 초당 1,000회 초과인 경우 상기 노즐(215)에서 토출되는 각각의 미세 액적 사이 간격이 지나치게 감소되어 상기 미세 액적이 낙하함에 따라 마이크로볼(m)이 서로 융착되는 문제가 발생하다.
또한,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S200)에서 상기 압전구동 밸브(210)의 인가 전압은 200 내지 400V이고, 이로 인한 상기 피에조 연결 로드(213)의 스트로크 크기 또는 변위폭은 250 내지 400 마이크로미터(μm)가 되도록 상기 압전구동 밸브(210)의 제어변수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스트로크 크기는 상기 피에조 연결 로드(213)의 구동 시 수직 방향 구동 간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전구동 밸브(210)의 인가전압은 상기 미세액적 토출부(200)의 제어유닛(250)에서 조절되어 상기 전압 범위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압전구동 밸브(210)의 인가전압은 200V 미만인 경우 상기 피에조 연결 로드(213)의 스트로크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일정 수준의 점도를 지닌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P)이 상기 노즐(215)에서 원활하게 토출되지 못하는 반면, 상기 인가전압이 400V 이상인 경우 과도한 전압 상승으로 인해 전력 효율이 저하되며 상기 피에조 연결 로드(213)와 상기 노즐(215) 사이의 큰 마찰력으로 인해 미세 액적이 파괴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S200)에서 미세 액적을 생성하는 상기 피에조 연결 로드(213)의 단위 구동 사이클을 스트로크(stroke) 1회로 규정하는 경우, 상기 피에조 연결 로드(213)의 1회의 스트로크 과정에서 10 내지 1,000 마이크로세컨드(μs) 동안 상승하고, 100 내지 1,000 마이크로세컨드(μs) 동안 상기 노즐(215) 상부와 상기 피에조 연결 로드(213)의 하단 사이에 용융액(P)의 액적이 충진되며, 100 내지 1,000 마이크로세컨드(μs) 동안 하강하여 상기 노즐(215)에서 액적을 토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S200)에서 상기 압전구동 밸브(210)를 구성하는 실린더(211)의 유체 이송부 내부의 압력은 2 내지 6bar이 되도록 상기 압전구동 밸브(210)의 제어변수가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력이 2bar 미만인 경우 상기 실린더 내부의 용융액(P) 액적이 상기 노즐(215)로 용이하게 토출될 만큼의 공압이 충분하게 발형되지 못하는 반면에, 상기 압력이 6bar 초과인 경우 상기 실린더(211) 내부로 과도한 압력이 가해져서 노즐(215)로 토출되는 미세 액적의 진원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S200)에서 상기 압전구동 밸브(210)의 각종 제어변수가 조절된 후 토출되는 미세 액적은 상기 마이크로볼 생성단계(S300)에서 상기 압전구동 밸브(210)의 노즐(215) 하부에 구비되는 챔버(310)에서 1미터 이상 낙하되며 경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S200)에서 미세 액적이 1미터 이상 낙하하여 상기 용융액(P) 액적이 상기 챔버(310) 내부로 낙하됨에 따라 상기 액적이 챔버(310) 내부 기체에 의해 냉각 및 소결되어 구형의 마이크로볼(m)로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볼 생성단계(S300)에서 상기 챔버(310) 내부는 진공화 과정 및 상기 진공화 과정 이후 비활성 가스 주입이 상기 압전구동 밸브(210)의 온도 이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챔버(310) 내부로 주입되는 비활성 가스는 수분 및 이물질이 제거된 기체, 예를 들면 질소 가스(N2)나 헬륨 가스(He) 등일 수 있일 수 있고, 상기 챔버(310)에는 비활성 기체가 주입되면서 기존 챔버 내부에 존재하던 기체를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배기유로(3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볼 생성단계(S300)의 진공화 과정 이후 상기 챔버(310)의 진공도는 1/00 atm, 즉 99% 근방의 진공도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볼 생성단계(S300)의 진공화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마이크로볼 생성부(300)는 상기 챔버(310)와 연결되어 상기 챔버 내부를 진공화하기 위한 진공펌프를 구비하는 챔버 진공밸브(370) 및 상기 챔버(310)와 연결되어 상기 챔버 진공밸브(370)에 의하여 진공화된 챔버 내부로 비활성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비활성 기체 탱크 등을 포함하는 비활성기체 공급유닛(39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볼 생성단계(S300)에서 상기 챔버(310) 내부의 온도 범위가 10 내지 60도씨(°C)가 되도록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챔버(310) 온도가 10°C 보다 낮거나 또는 60°C 보다 높은 경우 상기 챔버(310) 내부에 미처 제거되지 못한 수분이 상태 변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에너지에 의하여 상기 챔버(310) 내부의 온도가 균일하게 제어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폴리카프로락톤의 용융점이 약 60°C인 것을 고려했을 때 상기 챔버(310) 내부의 온도는 60°C 이하로 제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마이크로볼 생성단계(S300)에서 상기 챔버(310) 내부 온도를 10 내지 60도씨(°C)로 유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챔버(310)는 온도 센서 등이 구비되는 챔버온도 제어유닛(340)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챔버온도 제어유닛(340)은 온도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챔버 내부 온도를 판단하여 상기 마이크로볼 생성부(300)의 챔버(310) 내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챔버온도 제어유닛(340)은 상온 20도씨(°C)를 기준으로 동절기 등의 경우에는 챔버 내부의 온도을 10 도씨(°C) 이상이 되도록 챔버를 가열 또는 보온하기 위한 가열수단을 구비할 수 있고, 하절기 등에 챔버 내부의 온도가 폴리카프로락톤의 용융점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냉각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챔버온도 제어유닛(340)에 의하여 제어되는 가열/냉각수단(320)은 상기 챔버(3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볼 생성단계(S300)에서 상기 챔버(310) 내부 온도가 10°C 보다 낮거나 또는 60°C 보다 높게 감지되는 경우, 상기 챔버온도 제어유닛(340)은 상기 가열/냉각수단(320)이 작동되도록 구동된다.
여기서, 상기 가열수단은 코일 와이어 등에 열저항을 인가하여 가열시키는 방식 등일 수 있고, 냉각수단은 냉각기에서 공급되는 냉각유체가 유동하는 냉각관 또는 열전소자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더 나아가, 상기 마이크로볼 생성단계(S300)에서 상기 챔버(310) 내에서 용융액(P)의 액적이 마이크로볼(m)로 형성된 후 상기 마이크로볼(m)의 수집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마이크로볼 수집부(35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집부(350)는 상기 챔버(310) 하부에 형성되어 비활성 기체에 의해 냉각된 상태이므로 상기 수집부(350)에 수집된 마이크로볼(m)이 서로 흡착 또는 응집되지 않으면서 상기 챔버(310) 하부에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집부(350)는 마이크로볼(m)을 수집하기 위한 구성이라면 그 형태가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기 수집부(350)는 예를 들어 상기 챔버(310)와 일체화되어 상기 챔버(310) 하부 영역에 구비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상기 챔버(310) 하단과 탈착 가능한 수집 카트리지(미도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챔버(310) 하부에 수집된 마이크로볼(m)은 수집 카트리지로 공급되고, 상기 마이크로볼(m)이 채워진 수집 카트리지를 교체하여 반출 및 보관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어 수집된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m)은 압전구동 밸브(piezo valve)의 제어변수를 조절 후 상기 밸브를 통해 압전 토출하는 방식의 물리적 방법을 적용함으로서 다양한 직경 크기를 갖는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을 고속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아래 실시예를 통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 제조 직후 실험 예
1-1. 압전구동 밸브의 제어변수 설정
본 발명의 용융액 제조단계(S100)에서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을 제조한 직후 미세액적 토출단계(S200)에서 아래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압전구동 밸브(210)의 제어변수를 설정하였다.
아래 표 1에서 Rising 및 Falling은 각각 상기 압전구동 밸브(210)를 구성하는 피에조 연결 로드(213)가 상승 및 하강하는 동안의 시간을 측정한 것이고, Pulse는 상기 피에조 연결 로드(213)가 일정 시간동안 홀딩됨에 따라 내부에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이 충진되는 동안의 시간이고, Cycle은 상기 피에조 연결 로드(210)의 1회의 스트로크 과정 동안 소요된 전체 시간을 의미한다.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노즐 직경(μm) 50 50 35
노즐 온도(°C) 160 180 200
공압 (bar) 3 3 5
인가전압 (V) 400 400 280
Rising/falling (μs) 300/110 300/110 300/130
Pulse (ms) 0.24 0.24 0.8
Cycle (ms) 10 4 4
PCL 마이크로볼
평균 직경(μm)
139.27 170.77 130.95
1-2. 마이크로볼 형상 평가
도 3은 표 1의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3에 따른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m) 형상을 촬상한 이미지를 도시한다.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미세 액적 토출단계(S200)에서 압전구동 밸브(210)의 각종 제어변수를 조절한 이후, 상기 압전구동 밸브의 노즐(215)에서 토출된 용융액의 액적이 상기 챔버(310) 내부에서 낙하하여 상기 마이크로볼 생성단계(S300)에서 생성 및 수집된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의 형상을 관찰하였다.
도 3은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3에 따른 마이크로볼의 형상을 촬상한 것을 도시한다. 여기서, 실시예 1-1 및 실시예 1-2의 PCL 마이크로볼의 챔버 내 낙하 거리는 5m, 실시예 1-3의 PCL 마이크로볼의 챔버 내 낙하 거리는 4m로 설정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온도가 160도씨인 실시예 1-1의 PCL 마이크로볼은 직경 균일성 및 진원도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관찰되었고, 실시예 1-2의 PCL 마이크로볼은 상기 압전구동 밸브의 노즐(215)의 온도가 180°C로 상승함에 따라 상기 실린더(211) 내부의 용융액(P) 점도가 낮아지고, 그 결과 마이크로볼 생성단계(S300)에서 일부 액적이 비산되등의 이유로 직경이 40μm 보다 작은 PCL 마이크로볼이 소량 생성되었으나, 전체적으로는 노즐의 온도가 노즐 온도 제한 범위(155~200°C)를 만족하여 어느 정도 균일한 직경 및 진원도를 갖는 마이크로볼이 생성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1-3의 PCL 마이크로볼의 경우 상기 압전구동 밸브의 노즐(215) 온도를 200°C로 설정하는 대신에 상기 밸브(210)의 인가 전압을 감소시키고 falling 및 pulse 시간은 실시예 1-1 및 실시예 1-2에 비해 연장함에 따라 PCL 마이크로볼의 직경 균일성 및 진원도가 어느 정도 유지되었으나,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직경이 작은 PCL 마이크로볼이 소량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PCL 마이크로볼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압전구동 밸브(210)의 각종 제어변수를 각각 제어함으로서 PCL 용융액의 점도 상태, 낙하거리, 상기 노즐(215)의 온도 상태 등에 따라 사용자가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의 직경 또는 진원도를 제어하면서 동시에 다량으로 고속 생성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압전구동 밸브(210)의 각종 제어변수를 각각 제어하면, 마이크로볼의 입경의 분포 역시 조절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 제조 3일 경과 후 실험 예
도 4는 실시예 2-1, 실시예 2-2, 비교예 2-1 및 비교예 2-2에 따른 마이크로볼의 형상의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도 4에 도시된 실시예 또는 비교예는 본 발명의 용융액 제조단계(S100)에서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을 제조 완료하고, 3일 경과 후 경화된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을 다시 용융한 상태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면,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예들은 상기 미세액적 토출단계(S200)에서 상기 압전구동 밸브(210)의 제어변수들 중 노즐(215) 온도를 제외한 나머지 제어변수를 동일하게 조절한 후 마이크로볼 생성단계(S300)에서 수집된 마이크로볼의 형상을 촬상한 결과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2-1, 실시예 2-3, 비교예 2-1 및 비교예 2-2의 PCL 마이크로볼의 형상을 관찰한 결과, 상기 압전구동 밸브의 노즐(215)의 온도가 노즐 온도 제한 범위(155~200°C)를 벗어나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경우 용융액의 점도 또는 유동성이 너무 낮거나 너무 커 마이크로볼 생성단계(S300)에서 생성된 PCL 마이크로볼의 입경의 분포가 균일성이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상기 압전구동 밸브의 노즐(215) 온도는 경화된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을 다시 용융하더라도 노즐 온도 제한 범위(155~200°C) 내에서 제어되는 경우 마이크로볼의 입자의 균일도는 어느 정도 만족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볼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마이크로볼의 직경 또는 입경의 균일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에 시험 결과 이미지를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도 3의 실시예 1-1에 따라 노즐 온도를 160도씨로 하고 낙하 거리는 5m인 조건에서 생성된 100개 이상의 마이크로볼이 존재하는 시편을 35배 현미경 확대하고, 확대 이미지를 5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각각 20개의 마이크로볼의 직경을 측정하여 표기한 결과 이미지이다.
그 결과 100개의 마이크로볼의 평균 직경은 141(㎛)이고, 그때의 표준편차는 2.51(㎛)로 확인되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해당 조건에서 충분한 직경 분포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러용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마이크로볼은 기존 에멀젼을 수용액을 추출하기 위하여 솔벤트 등을 사용하는 화학적 방법으로 생성된 마이크로볼과 달리, GLP 기반의 포유류 배양세포를 이용한 세포독성시험(시험번호 MD-21-051, 재단법인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수행한 MTT cytotoxicity test)에서 시험적헙성 판정기준(생존율 70%)를 만족함을 인증받아 예상과 마찬가지로 독성 문제가 해소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용융액 제조부
200 : 미세 액적 토출부
300 : 마이크로볼 생성부

Claims (12)

  1.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 마이크로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평균 분자량이 40,000 이하인 폴리카프로락톤을 가열하여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을 제조하는 용융액 제조단계;
    상기 용융액을 주입하여 액적을 공압으로 정량으로 토출하기 위해 압전구동 밸브(piezo valve)의 액적 온도, 추진 압력, 상기 압전구동 밸브를 구성하는 토출 노즐 직경, 피에조 연결 로드의 스트로크 주기 및 전압에 따른 스트로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변수를 조절하여 미세 액적을 토출하는 미세 액적 토출단계;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에서 토출된 액적이 낙하하며, 냉각되어 마이크로볼을 형성한 상태로 수집되는 마이크로볼 생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볼 생성단계에서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에서 토출된 미세 액적은 상기 밸브의 노즐 하부에 구비된 챔버 내부에서 낙하되며 경화하고,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는 10°C 내지 60°C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L 마이크로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액 제조단계는 상기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에 발생된 미세 기포를 탈포하기 위하여 상기 폴리카프로락톤 용융액을 70°C 내지 150°C에서 -0.06 내지 -0.09Mpa 음압 환경에서 탈포하는 용융액 탈포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L 마이크로볼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는 상기 용융액이 압전구동 밸브의 하우징에 주입되어 가열되는 용융액 가열과정; 상기 용융액 가열단계에서 가열된 용융액이 상기 저장조 하부에 연결된 실린더로 유동하는 용융액 유동과정; 상기 용융액이 상기 밸브 하단에 장착된 노즐에서 피에조 연결 스트로크에 의하여 미세 액적 상태로 토출되는 미세 액적 토출과정;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L 마이크로볼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의 압전구동 밸브의 노즐 직경은 35 내지 150 마이크로미터(μm)이고,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에서 토출된 액적의 직경 및 상기 마이크로볼 생성단계에서 수집된 마이크로볼의 직경은 180 마이크로미터(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L 마이크로볼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에서의 상기 압전구동 밸브의 노즐 온도는 155 내지 200도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L 마이크로볼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에서의 상기 피에조 연결 로드의 스트로크 주기는 초당 1,000회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L 마이크로볼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에서의 상기 압전구동 밸브의 인가전압은 200 내지 400V이고, 이로 인한 피에조 연결 로드의 스트로크 크기는 250 내지 400 마이크로미터(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L 마이크로볼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에서 피에조 연결 로드의 1회의 스트로크 과정에서 10 내지 1,000 마이크로세컨드(μs) 동안 상승하고, 100 내지 1,000 마이크로세컨드(μs) 동안 상기 노즐 상부와 상기 피에조 연결 로드의 하단 사이에 액적이 충진되며, 100 내지 1,000 마이크로세컨드(μs) 동안 하강하여 상기 노즐에서 액적을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L 마이크로볼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에서 상기 압전구동 밸브의 유체 이송부 내부의 압력은 2 내지 6 b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L 마이크로볼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볼 생성단계에서 상기 미세 액적 토출단계에서 토출된 미세 액적은 상기 챔버 내부에서 1미터 이상 낙하되며 경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L 마이크로볼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볼 생성단계에서 상기 챔버 내부는 진공화, 진공화 후 비활성 가스의 주입이 상기 밸브 온도 이하의 상태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L 마이크로볼 제조방법.
  12. 삭제
KR1020210097856A 2021-07-26 2021-07-26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 제조방법 KR102511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856A KR102511174B1 (ko) 2021-07-26 2021-07-26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856A KR102511174B1 (ko) 2021-07-26 2021-07-26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404A KR20230016404A (ko) 2023-02-02
KR102511174B1 true KR102511174B1 (ko) 2023-03-17

Family

ID=85225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856A KR102511174B1 (ko) 2021-07-26 2021-07-26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11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28986A (ja) 2011-08-22 2014-10-30 シルヴィア アール. ホフマン イソシアネートフリーのポリマーおよびその産生方法
US20150137399A1 (en) 2007-04-26 2015-05-21 Sigmoid Pharma Ltd. Manufacture of multiple minicapsules
JP2019137670A (ja) 2018-02-09 2019-08-22 株式会社リコー 粒子の製造方法、粒子の製造装置、及び粒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64940B1 (it) * 1993-07-16 1996-10-17 Ausimont Spa Preparatore di composizioni acquose a base di fluoroelastomeri per rivestimenti ad alto spessore
WO2007073035A1 (en) * 2005-12-20 2007-06-28 Samyang Corporation Method for preparing microspheres of polymer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of
KR20200113611A (ko) * 2019-03-26 2020-10-07 이수진 생체 분해성 마이크로볼 제조 시스템 및 마이크로볼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37399A1 (en) 2007-04-26 2015-05-21 Sigmoid Pharma Ltd. Manufacture of multiple minicapsules
JP2014528986A (ja) 2011-08-22 2014-10-30 シルヴィア アール. ホフマン イソシアネートフリーのポリマーおよびその産生方法
JP2019137670A (ja) 2018-02-09 2019-08-22 株式会社リコー 粒子の製造方法、粒子の製造装置、及び粒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404A (ko)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de et al. Polymers for melt electrowriting
Thavornyutikarn et al. Bone tissue engineering scaffolding: computer-aided scaffolding techniques
Babaie et al. Fabrication aspects of porous biomaterials in orthopedic applications: A review
US10793743B2 (en) Composition, methods and devices useful for manufacturing of implantable articles
CN105031718B (zh) 基于3D‑Bioplotter打印技术的骨修复多孔复合支架及其制备方法
US7309500B2 (en) Microparticles
KR101862416B1 (ko) 마이크로입자를 제조하기 위한 에멀전-기반 방법 및 이 방법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워크헤드 조립체
Enayati et al. Size mapping of electric field-assisted production of polycaprolactone particles
Shuai et al. Development of composite porous scaffolds based on poly (lactide-co-glycolide)/nano-hydroxyapatite via selective laser sintering
CN107137775B (zh) 一种具有多级孔隙结构的热固性弹性体组织工程支架的制备方法
KR102464882B1 (ko) 중공형 다공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CN101138651A (zh) 用高分子微球进行选择性激光烧结的组织支架的制造方法
EA038225B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материала для регенерации кости, содержащего биоразлагаемое волокно,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процесса электропрядения
US20050158395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cross-linked substance, especially in the form of a microcapsule or layer
CN108714273A (zh) 一种高分子微针制备系统及高分子微针制备方法
CN111068110A (zh) 一种3d打印可降解复合支架、其制备方法及载物复合支架
KR102511174B1 (ko)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볼 제조방법
Radacsi et al. Fabrication of 3D and 4D polymer micro-and nanostructures based on electrospinning
Sultana et al. Fabrication of Tissue Engineering Scaffolds Using the Emulsion Freezing/Freeze‐drying Technique and Characteristics of the Scaffolds
Andjani et al. Fabrication of polyvinylpyrrolidone fibers by Means of Rotary Forcespinning Method
Cardoso et al. Initial study of electrospinning PCL/PLLA blends
Randhawa et al. Manufacturing 3D Biomimetic Tissue: A Strategy Involving the Integration of Electrospun Nanofibers with a 3D‐Printed Framework for Enhanced Tissue Regeneration
Sultana et al. Scaffold fabrication protocols
CN108434520B (zh) 一种引导骨组织再生的支架的制备方法
Wu et al. Preparation and morphology control of porous microspheres of different crystalline polym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