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974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974B1
KR102510974B1 KR1020210107553A KR20210107553A KR102510974B1 KR 102510974 B1 KR102510974 B1 KR 102510974B1 KR 1020210107553 A KR1020210107553 A KR 1020210107553A KR 20210107553 A KR20210107553 A KR 20210107553A KR 102510974 B1 KR102510974 B1 KR 102510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assembly
air
steam
diff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3448A (ko
Inventor
최성규
이영구
이정우
문성국
배준석
장환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03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448A/ko
Priority to KR1020230032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6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8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humidif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with humidif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2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electrical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내측에 내부공간이 형성된 캐비닛어셈블리,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된 토출구,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된 흡입구, 상기 흡입구로 유동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어셈블리,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여과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시키는 팬어셈블리,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내부에 저장된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켜 가습공기를 생성하는 스팀제너레이터, 및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와 결합되는 가습팬을 포함하고, 상기 가습팬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 내부로 상기 여과공기를 불어넣을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팀제너레이터에서 생성된 가습공기를 스팀가이드를 통해 캐비닛어셈블리의 토출구로 유동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실내기가 배치되고, 실외에 실외기가 배치되며, 실내기 및 실외기를 순환하는 냉매를 통해 실내공기를 냉방, 난방 또는 제습할 수 있다.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설치 형태에 따라 실내 바닥에 직립으로 설치하는 스탠드형 실내기, 실내 벽에 걸어서 설치하는 벽걸이형 실내기 및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 실내기 등이 있다.
종래 스탠드형 실내기는 냉방 시, 실내공기를 제습할 수 있지만, 난방 시 실내공기를 가습할 수는 없었다.
한국 공개특허번호 10-2013-0109738(선행기술 1이라 한다)에는 가습을 제공할 수 있는 가습장치가 구비된 스탠드형 실내기가 공지되어 있다.
선행기술1의 스탠드형 실내기는 실내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내부에 가습장치가 구비된다. 그리고 선행기술1의 가습장치는 드레인팬의 물을 물탱크에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통해 흡수부재를 적시며, 상기 흡수부재가 흡수된 물을 자연증발시키는 구조이다.
선행기술1의 가습장치는 깨끗한 물을 사용하지 않고, 열교환기에서 흘러내린 응축수를 사용한다. 물탱크에 저장된 물에는 열교환기 표면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다량포함될 수 있고, 이물질에서 곰팡이 또는 세균이 번식할 개연성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행기술1의 가습장치는 본체 내부에서 물을 증발시키기 때문에, 증발된 물이 본체 내부의 부품 또는 내벽에 부착될 수 있고, 본체 내부에 곰팡이 또는 세균의 번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1의 가습장치는 실내열교환기의 응축수를 이용하여 가습을 제공하기 때문에, 냉방시에만 가습을 제공할 수 있고, 난방시에는 응축수가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가습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번호 10-2013-0109738
본 발명은 스팀제너레이터 내부로 여과공기를 불어넣어 가습공기를 토출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스팀제너레이터에 여과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독립된 유로구조가 배치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스팀제너레이터에서 생성된 가습공기가 독립된 유로를 통해 토출구에 제공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스팀제너레이터에서 생성된 가습공기가 실내에 토출되기 전까지 독립된 유로구조로 유동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스팀제너레이터에서 생성된 가습공기가 캐비닛어셈블리 내부에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스팀제너레이터에서 생성된 가습공기를 복수개의 독립된 유로로 분지한 후, 캐비닛어셈블리의 각 측면토출구에서 분사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토출구에 토출된 가습공기가 토출구의 토출공기에 의해 효과적으로 확산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가습공기의 유동과정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스팀제너레이터로 다시 회수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가습공기의 유동과정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스팀제너레이터로 다시 회수될 때 소음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냉방 또는 난방과 관계없이 실내에 가습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가습팬을 통해 스팀제너레이터 내부로 여과공기를 불어넣어 스팀제너레이터 내부의 가습공기가 스팀가이드 측으로 토출되기 때문에, 상기 스팀제너레이터 내부에 충분향 유량을 공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스팀 및 여과공기를 효과적으로 혼합시켜 가습공기를 생성시킬 수 있다.
가습팬이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에 흡입공기를 불어넣어 가습공기를 유동시키기 때문에, 스팀가이드의 독립된 유로가 길게 형성되더라도 토출구까지 가습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생성된 가습공기가 스팀가이드를 통해 토출구까지 독립된 유로로 유동된 후, 토출구에서 토출되기 때문에, 가습공기가 캐비닛어셈블리 내부에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습공기로 인해 캐비닛어셈블리 내부에 응축수가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에 여과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독립된 유로구조가 배치되기 때문에 스팀제너레이터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에서 생성된 가습공기가 실내에 토출되기 전까지 캐비닛어셈블리의 내부공간과 분리된 독립된 유로의 스팀가이드를 통해 토출구까지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내부공간에 가습공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습팬이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흡입구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상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여과공기를 공급받는 유로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스팀가이드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토출부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상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가열된 스팀 및 가습공기가 공기의 밀도차에 의해 상기 스팀토출구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스팀토출구가 상측을 향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가습공기의 유동과정에서 응축수가 생성되더라도 응축수의 자중에 의해 상기 스팀토출구로 다시 회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측에 내부공간이 형성된 캐비닛어셈블리, 상기 캐비닛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된 토출구, 상기 캐비닛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된 흡입구,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흡입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팬어셈블리,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내부에 저장된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켜 가습공기를 생성하는 스팀제너레이터,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와 결합되고, 상기 흡입공기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에 공급하는 가습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습팬이 상기 스팀제너레이터 내부로 상기 흡입공기를 불어넣어 상기 가습공기를 상기 스팀가이드로 토출시키기 때문에, 상기 스팀제너레이터 내부에 충분향 유량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가습팬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와 결합되고, 상기 흡입된 공기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로 안내하는 가습팬하우징, 상기 가습팬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팬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로 유동시키는 가습임펠러, 상기 가습임펠러를 회전시키는 가습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습팬하우징은 상기 흡입구 측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스팀가이드는 상기 토출구 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흡입공기 및 가습공기의 유로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와 연결되어 상기 가습공기를 공급받고,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독립된 가습유로를 제공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에서 토출된 스팀을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는 스팀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가이드는,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에 결합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가습공기를 제공받는 메인스팀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습팬하우징 및 메인스팀가이드는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흡입공기는 상기 가습팬하우징을 통해 상측에서 하측으로 유동되어 상기 스팀제너레이터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가습공기는 상기 메인스팀가이드를 통해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어 상기 스팀제너레이터 내부에서 토출되기 때문에, 공기의 밀도차에 의해 흡입공기 및 스팀의 유동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에 형성된 제 1 토출구, 및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에 형성된 제 2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가이드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에 결합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상기 가습공기를 제공받는 메인스팀가이드; 상기 메인스팀가이드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스팀가이드를 통해 유동되는 가습공기 중 일부를 상기 제 1 토출구로 안내하는 제 1 분지가이드, 상기 메인스팀가이드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스팀가이드를 통해 공급되는 가습공기 중 나머지를 상기 제 2 토출구로 안내하는 제 2 분지가이드, 상기 제 1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분지가이드와 조립되고, 상기 제 1 분지가이드를 통해 공급된 가습공기를 상기 제 1 토출구에 토출시키는 제 1 디퓨저, 상기 제 2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분지가이드와 조립되고, 상기 제 2 분지가이드를 통해 공급된 가습공기를 상기 제 2 토출구에 토출시키는 제 2 디퓨저를 포함하기 때문에, 가습공기를 2개의 유로로 나눠어 각 토출구에서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구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좌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토출구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우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스팀가이드는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분지가이드 및 제 2 분지가이드는 상기 메인스팀가이드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디퓨저는 상기 제 1 분지가이드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디퓨저는 상기 제 2 분지가이드의 상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높은 온도로 인해 상승되려는 가습공기의 상승기류를 이용하여 가습공기의 유동시키는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팬어셈블리에 의해 토출되는 토출공기를 안내하는 제 1 사이드그릴, 및 상기 제 2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팬어셈블리에 의해 토출되는 토출공기를 안내하는 제 2 사이드그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퓨저는 상기 제 1 사이드그릴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디퓨저는 상기 제 2 사이드그릴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디퓨저는 상기 가습공기가 토출되는 제 1 디퓨저아웃릿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퓨저는 상기 가습공기가 토출되는 제 2 디퓨저아웃릿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디퓨저아웃릿에서 토출되는 가습공기의 토출방향과 상기 제 1 사이드그릴에 배치된 베인의 경사방향이 교차되고, 상기 제 2 디퓨저아웃릿에서 토출되는 가습공기의 토출방향과 상기 제 2 사이드그릴에 배치된 베인의 경사방향이 교차되기 때문에, 실내로 토출되는 과정에서 가습공기 및 토출공기를 효과적으로 혼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디퓨저아웃릿은 전방에 배치된 상기 제 1 사이드그릴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디퓨저아웃릿은 전방에 배치된 상기 제 2 사이드그릴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팬어셈블리에 의해 토출되는 토출공기를 안내하는 제 1 사이드그릴, 및 상기 제 2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팬어셈블리에 의해 토출되는 토출공기를 안내하는 제 2 사이드그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퓨저는 상기 제 1 사이드그릴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디퓨저는 상기 제 2 사이드그릴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디퓨저는 상기 가습공기가 토출되는 제 1 디퓨저아웃릿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퓨저는 상기 가습공기가 토출되는 제 2 디퓨저아웃릿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디퓨저아웃릿에서 토출되는 가습공기의 토출방향과 상기 제 1 사이드그릴에 배치된 베인의 경사방향이 교차되고, 상기 제 2 디퓨저아웃릿에서 토출되는 가습공기의 토출방향과 상기 제 2 사이드그릴에 배치된 베인의 경사방향이 교차되기 때문에, 실내로 토출되는 과정에서 가습공기 및 토출공기를 효과적으로 혼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디퓨저아웃릿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좌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사이드그릴에 배치된 베인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전방 좌측을 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2 디퓨저아웃릿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우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사이드그릴에 배치된 베인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전방 우측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디퓨저아웃릿은 상기 제 1 토출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2 디퓨저아웃릿은 상기 제 2 토출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토출구의 전 영역에서 가습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제 1 디퓨저는 상기 제 1 분지가이드과 결합되는 제 1 디퓨저인릿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퓨저인릿의 내경(P1)이 상기 분지가이드의 내경(P2) 보다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응축수의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가습공기와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응축수로 인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 1 디퓨저인릿의 하단이 상기 제 1 분지가이드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디퓨저인릿의 하단 및 제 1 분지가이드의 내측면 사이에 단(GP)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단(GP)에서 응축수의 액적을 크게 형성시킬 수 있고, 거대화된 응축수의 자중을 통해 응축수를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내측에 내부공간이 형성된 캐비닛어셈블리,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된 토출구,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된 흡입구, 상기 흡입구로 유동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어셈블리,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여과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시키는 팬어셈블리,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내부에 저장된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켜 가습공기를 생성하는 스팀제너레이터, 및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와 결합되는 가습팬을 포함하고, 상기 가습팬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 내부로 상기 여과공기를 불어넣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가습팬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상부에 상기 가습팬과 연결되고, 상기 가습팬에서 공급된 상기 여과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흡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가습팬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와 결합되고, 상기 흡입된 공기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로 안내하는 가습팬하우징, 상기 가습팬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팬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로 유동시키는 가습임펠러, 및 상기 가습임펠러를 회전시키는 가습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가습팬하우징은 상기 흡입구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가습팬은 상측이 상기 필터어셈블리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여과공기를 상기 가습팬하우징에 제공하는 흡입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캐비닛어셈블리는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측에 배치되고, 내측에 상기 스팀제너레이터가 배치되는 로어캐비닛, 상기 로어캐비닛 상측에 배치되고, 내측에 열교환어셈블리가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가 형성된 어퍼캐비닛, 및 상기 로어캐비닛과 상기 어퍼캐비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어셈블리를 지지하는 드레인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흡입덕트의 상단은 상기 어퍼캐비닛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흡입덕트의 하단은 상기 로어캐비닛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흡입덕트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를 향해 개구된 제1 덕트 개구면이 형성된 제1 덕트부, 및 상기 드레인팬을 상하 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가습팬하우징과 연결된 제2 덕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가습팬하우징은 상기 흡입덕트와 결합되고, 제1 흡입공간을 형성하는 제1 가습팬하우징, 상기 제1 가습팬하우징과 결합되고, 제2 흡입공간을 형성하고, 내부에 가습임펠러가 배치되고, 상기 여과공기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로 안내하는 제2 가습팬하우징, 및 상기 제2 가습팬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모터가 설치되는 모터설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가습팬하우징은 상기 제1 흡입공간의 전방을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습팬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하우징부, 상기 제1 흡입공간의 후방을 감싸면서 상기 제2 흡입공간의 전방을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습팬하우징의 나머지 및 상기 제2 가습팬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 하우징부, 및 상기 제2 흡입공간의 후방을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모터설치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 가습팬하우징의 나머지를 구성하는 제3 하우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가습임펠러는 중앙측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원심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은 가습팬을 통해 스팀제너레이터 내부로 여과공기를 불어넣어 스팀제너레이터 내부의 가습공기가 스팀가이드 측으로 토출되기 때문에, 상기 스팀제너레이터 내부에 충분향 유량을 공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스팀 및 여과공기를 효과적으로 혼합시켜 가습공기를 생성시킬 수 있다.
둘째, 가습팬이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에 흡입공기를 불어넣어 가습공기를 유동시키기 때문에, 스팀가이드의 독립된 유로가 길게 형성되더라도 토출구까지 가습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셋째, 생성된 가습공기가 스팀가이드를 통해 토출구까지 독립된 유로로 유동된 후, 토출구에서 토출되기 때문에, 가습공기가 캐비닛어셈블리 내부에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습공기로 인해 캐비닛어셈블리 내부에 응축수가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에 여과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독립된 유로구조가 배치되기 때문에 스팀제너레이터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섯째, 스팀제너레이터에서 생성된 가습공기가 실내에 토출되기 전까지 캐비닛어셈블리의 내부공간과 분리된 독립된 유로의 스팀가이드를 통해 토출구까지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내부공간에 가습공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가습팬이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흡입구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상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여과공기를 공급받는 유로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일곱째, 상기 스팀가이드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토출부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상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가열된 스팀 및 가습공기가 공기의 밀도차에 의해 상기 스팀토출구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여덟째, 스팀토출구가 상측을 향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가습공기의 유동과정에서 응축수가 생성되더라도 응축수의 자중에 의해 상기 스팀토출구로 다시 회수될 수 있다.
아홉째, 상기 가습팬하우징 및 메인스팀가이드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공기의 밀도차에 의해 흡입공기 및 스팀의 유동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열번째, 상기 가습팬하우징은 상기 흡입구 측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스팀가이드는 상기 토출구 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흡입공기 및 가습공기의 유로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열한번째, 상기 메인스팀가이드, 분지가이드 및 디퓨저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높은 온도로 인해 상승되려는 가습공기의 상승기류를 이용하여 가습공기의 유동시키는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열두번째, 상기 제 1 디퓨저아웃릿에서 토출되는 가습공기의 토출방향과 상기 제 1 사이드그릴에 배치된 베인의 경사방향이 교차되고, 상기 제 2 디퓨저아웃릿에서 토출되는 가습공기의 토출방향과 상기 제 2 사이드그릴에 배치된 베인의 경사방향이 교차되기 때문에, 실내로 토출되는 과정에서 가습공기 및 토출공기를 효과적으로 혼합시킬 수 있다.
열세번째, 상기 제 1 디퓨저인릿의 내경(P1)이 상기 분지가이드의 내경(P2) 보다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응축수의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가습공기와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응축수로 인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열네번째, 상기 제 1 디퓨저인릿의 하단이 상기 제 1 분지가이드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디퓨저인릿의 하단 및 제 1 분지가이드의 내측면 사이에 단(GP)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단(GP)에서 응축수의 액적을 크게 형성시킬 수 있고, 거대화된 응축수의 자중을 통해 응축수를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어어셈블리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5에 도시된 가습어셈블리 및 물탱크가 로어캐비닛에 조립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어셈블리의 후방 측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로어캐비닛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가습어셈블리 및 물탱크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가습팬의 일부 절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디퓨저 한쌍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디퓨저 한쌍의 배면도이다.
도 13은 도 6에 도시된 디퓨저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디퓨저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디퓨저아웃릿 주변구조의 확대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에서의 공기 스트림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17은 도 11에 도시된 디퓨저하우징의 디퓨저아웃릿 상측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1에 도시된 디퓨저하우징의 디퓨저아웃릿 하측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어셈블리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배수어셈블리의 정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배수어셈블리의 우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6에 도시된 스팀제너레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운전 시 유동흐름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스팀살균 운전 시 유동흐름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가습어셈블리가 도시된 실내기의 정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평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디퓨저 및 사이드그릴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어어셈블리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냉매배관을 통해 상기 실내기와 연결되 냉매를 순환시키는 실외기(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실외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응축시키는 실외열교환기(미도시)와, 상기 실외열교환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실외팬(미도시)과, 상기 실내기에서 토출된 냉매를 공급받은 후 기체 냉매만을 상기 압축기에 제공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실외기는 실내기를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로 작동시키기 위해 사방밸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방모드로 작동될 때, 상기 실내기에서는 냉매가 증발되어 실내 공기를 냉각시킨다. 난방모드로 작동될 때, 상기 실내기에서는 냉매가 응축되어 실내 공기를 가열시킨다.
<<실내기의 구성>>
상기 실내기는 전면이 개구되고, 후면에 흡입구(101)가 형성된 캐비닛어셈블리(1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조립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면을 커버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어셈블리(2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공간(S)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S)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팬어셈블리(300)(400)와, 상기 팬어셈블리(300)(400) 및 캐비닛어셈블리(100) 사이에 배치되고, 흡입된 실내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어셈블리(5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실내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어셈블리(20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로 유동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어셈블리(600)와,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600)의 이물질을 분리하여 포집하는 무빙클리너(700)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기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배면에 배치된 흡입구(101)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측면에 배치된 제 1 토출구(301) 및 제 2 토출구(302)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정면에 배치된 정면토출구(201)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구(101)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배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토출구(301) 및 제 2 토출구(302)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캐빗어셈블리(100)의 정면에서 볼 때, 좌측에 배치된 제 1 토출구를 제 1 측면토출구(301)로 정의하고, 우측에 배치된 제 2 토출구를 제 2 측면토출구(302)로 정의한다.
상기 정면토출구(201)는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정면토출구(201)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상기 정면토출구(201)를 개방시킨 후,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도어어셈블리(20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가 하측으로 이동된 후,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팬어셈블리(300)(400)는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로 구성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후방에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가 배치된다.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의 안쪽에 위치되며,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는 상기 흡입구(101)를 커버하고,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 전방에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배치된다. 상기 흡입구(101)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를 통과한 후,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로 유동된다.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는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제작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상측에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배치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를 상측에 위치시켜 토출공기를 실내의 먼 곳까지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측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사용자에게 간접풍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좌측 및 우측으로 동시에 공기를 토출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근거리 팬어셈블리(30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전방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사용자에게 직접풍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원거리팬어셈블리(300)는 실내 공간의 먼 곳으로 공기를 토출시켜 실내공기의 순환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작동시에만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작동될 때,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도어어셈블리(200)를 관통하여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에 은닉된다.
특히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상측, 하측, 좌측, 우측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방에 위치되고, 사익 캐비닛어셈블리(100)와 조립된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캐비닛어셈블리(20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200)의 전면 중 일부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내부공간(S)을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내부공간(S) 중 일부만을 개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개폐는 2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1단 개폐는 일부만 열리는 것으로서,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의 물공급을 위한 것이고,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의 물탱크(2100)가 노출될 정도의 면적만을 노출시킨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2단 개폐는 최대로 열리는 것으로서, 설치 및 수리를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상기 2단 개폐를 제한하는 도어스토퍼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후면에 배치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후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측부로 회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측부로 이동된 필터어셈블리(600)에서 필터만을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는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고, 각각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무빙클리너(700)는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청소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무빙클리너(70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청소할 수 있다. 상기 무빙클리너(700)는 이동하면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필터어셈블리(600)에 붙은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이물질은 내부에 저장된다.
상기 무빙클리너(700)는 상기 필터어셈블리(600)의 회동 시 간접되지 않는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공간(S)으로 수분을 제공하고, 제공된 수분은 상기 근거리팬어셈블리를 통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분리가능한 물탱크(21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가 배치된 공간과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가 배치된 공간은 구획된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필터어셈블리(600)를 통해 여과된 공기 및 살균된 스팀을 사용해서 가습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세균 또는 곰팡이와 같은 유해물질이 물탱크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한다.
<<캐비닛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는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130)와, 상기 베이스(130) 상측에 배치되고, 전면(121), 상측면(125) 및 하측면(126)이 개구되고, 좌측면(123) 우측면(124) 및 배면(122)이 폐쇄된 로어캐비닛(120)과, 상기 로어캐비닛(120) 상측에 배치되고, 흡입구(101)가 형성된 배면(116), 전면(111) 및 하측면(116)이 개구되고, 좌측면(113), 우측면(114) 및 상측면(115)이 폐쇄된 어퍼캐비닛(110)을 포함한다.
상기 어퍼캐비닛(110)의 내부를 제 1 내부공간(S1)으로 정의하고, 상기 로어캐비닛(120)의 내부를 제 2 내부공간(S2)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내부공간(S1) 및 제 2 내부공간(S2)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공간(S)을 구성한다.
상기 어퍼캐비닛(110) 내측에 근거리팬 어셈블리(300), 원거리팬 어셈블리(400) 및 열교환어셈블리(500)가 배치된다.
상기 로어캐비닛(120) 내측에 가습어셈블리(2000)가 배치된다.
상기 어퍼캐비닛(110) 및 로어캐비닛(120) 사이에 열교환어셈블리(500)를 지지하는 드레인팬(140)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드레인팬(140)은 상기 어퍼캐비닛(110)의 하측면(116) 중 일부를 폐쇄한다.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조립 시, 상기 어퍼캐비닛(110)의 저면(116)은 가습어셈블리(2000) 및 드레인팬(140)에 의해 차폐되고, 상기 어퍼캐비닛(110) 내부의 공기는 로어캐비닛(120) 측으로 유동이 차단된다.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방에 도어어셈블리(200)가 배치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이동 시,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일부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어퍼캐비닛(110)의 전방 측 가장자리에 사이드그릴(150)이 배치된다. 상기 사이드그릴(150)은 도어어셈블리(200)의 후방 측에 위치된다.
상기 사이드그릴(150)은 상기 어퍼캐비닛(110)과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드그릴(150)은 사출성형을 통해 별도로 제작된 후, 어퍼캐비닛(110)에 조립된다.
상기 좌측면(113) 전방에 배치된 토출그릴을 좌측 사이드그릴(151)로 정의하고, 우측면(114) 전방에 배치된 토출그릴을 우측 사이드그릴(152)로 정의한다.
탑뷰로 볼 때, 중심축(C1)을 기준으로 좌측 사이드그릴(151) 및 우측 사이드그릴(152)은 좌우 대칭이다.
상기 좌측 사이드그릴(151) 및 우측 사이드그릴(152)에 각각 측면토출구(301)(302)가 형성된다. 상기 측면토출구(301)(302)는 상기 좌측 사이드그릴(151) 및 우측 사이드그릴(152)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각 사이드그릴(151)(152)은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베인(155)이 배치된다. 상기 각 베인(155)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복수개의 상기 베인(155)들은 전후 방향에 대해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각 베인(155)들은 베인간격(BG)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캐비닛(110) 및 로어캐비닛(120)의 전방에 커버(160)가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100) 내부의 공기가 도어어셈블리(200)와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어어셈블리(200)에 차가운 공기가 직접 접촉되는 경우, 이슬맺힘이 발생될 수 있고, 도어어셈블리(200)를 구성하는 전기회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상기 어퍼캐비닛(110) 및 로어캐비닛(120)의 전방에 커버(160)를 배치하고 커버(160)를 통해 캐비닛(100) 내부의 공기는 정면토출구(201) 또는 측면토출구(301)(302)로만 유동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커버(160)는, 상기 어퍼캐비닛(110)의 전면을 커버하는 어퍼커버(162)와, 상기 로어캐비닛(120)의 전면을 커버하는 로어커버(164)와, 상기 원거리팬어셈블리(400)의 전면을 커버하는 원거리팬커버(166)를 포함한다.
상기 원거리팬커버(166)는 상기 어퍼커버(162)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원거리팬커버(166) 및 어퍼커버(162)를 별도로 제작된 후 조립된다.
상기 원거리팬커버(166)는 원거리팬어셈블리(400)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어퍼커버(162)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원거리팬커버(166) 및 어퍼커버(162)의 전면은 연속된 평면을 형성한다.
상기 원거리팬커버(166)은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팬커버토출구(161)가 형성된다. 상기 팬커버토출구(161)는 정면토출구(201)와 연통되고, 상기 정면토출구(201)의 후방에 위치된다. 상기 원거리팬어셈블리(400)의 토출그릴(450)은 상기 팬커버토출구(161) 및 정면토출구(201)를 관통하여 도어어셈블리(200)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팬커버토출구(161) 전방에 도어어셈블리(200)가 배치되고, 후술하는 패널토출구(1101)의 후방에 상기 팬커버토출구(161)가 위치된다. 상기 원거리팬어셈블리(400)의 전방 이동 시, 상기 토출그릴(450)은 팬커버토출구(161), 패널토출구(1101) 및 정면토출구(201)를 순서대로 통과한다.
즉, 상기 정면토출구(201) 후방에 상기 패널토출구(1101)가 위치되고, 상기 패널토출구(1101) 후방에 상기 팬커버토출구(161)가 위치된다.
상기 원거리팬커버(166)는 어퍼캐비닛(110)의 전방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어퍼커버(162)는 상기 어퍼캐비닛(110)의 전방 하측에 결합된다.
상기 로어커버(164)는 어퍼커버(162)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로어캐비닛(120) 또는 가습어셈블리(2000)에 조립될 수 있다. 조립 후, 상기 로어커버(164) 및 어퍼커버(162)의 전면은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상기 로어커버(164)는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물탱크개구부(167)가 형성된다. 상기 물탱크개구부(167)를 통해 상기 물탱크(2100)가 분리 또는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로어커버(164)는 드레인팬(140)의 전방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로어캐비닛(120) 전면 전체를 커버하지 않아도 어퍼캐비닛(110) 내부 공기의 누설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로어캐비닛(120) 전면 전체를 커버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의 수리, 서비스 및 교체를 위해 상기 로어캐비닛(120)의 전면 일부는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어캐비닛(120)의 전면 중 일부는 상기 로어커버(164)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개방면(169)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1단 개방 시, 물통개구부(167)가 형성된 상기 로어커버(164)만 사용자에게 노출되고, 2단 개방 시, 상기 개방면(169)도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도어슬라이드모듈(1300)의 작동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도어어셈블리(20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물탱크개구부(167) 전체를 노출시킨 상태를 1단 개방으로 정의하고, 상기 개방면(169)를 노출시킨 상태를 2단 개방으로 정의한다.
상기 1단 개방 시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노출되는 전면을 제 1 개방면(OP1)으로 정의하고, 상기 2단 개방 시 캐비닛어셈블리의 노출되는 전면을 제 2 개방면(OP2)로 정의한다.
<<근거리 팬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측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사용자에게 간접풍을 제공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복수개의 팬(310)이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팬(310) 3개가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팬(310)은 사류형 원심팬이 사용된다. 상기 팬(31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상기 팬(310)은 후방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원주방향 및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상기 팬(310)은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되, 전방을 향해 지향성을 갖는 기류를 토출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전방 및 후방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결합되는 팬케이싱(320)과, 상기 팬케이싱(320)에 결합되고, 상기 팬케이싱(320) 내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팬(310)과, 상기 팬케이싱(320)에 결합되고 상기 팬(310)에 토출된 공기를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측방향으로 안내하는 팬가이드(330)를 포함한다.
상기 팬케이싱(320)은 정면 및 후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제작된다. 상기 팬케이싱(320)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결합된다.
상기 팬케이싱(320)의 정면은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팬케이싱(320)의 후면은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팬케이싱(320)의 정면은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밀착되어 폐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팬케이싱(320)의 측면 일부는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외부로 노출된 상기 팬케이싱(320)에 측면토출구(301)(302)가 형성된다. 상기 측면토출구(301)(302)에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사이드그릴(151)(152)이 배치된다. 상기 측면토출구(301)(302)는 상기 팬케이싱(32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팬(310)은 상기 팬케이싱(320) 내부에 배치된다. 복수개의 상기 팬(310)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에 대하여 일렬로 적층된다.
상기 팬(310)은 원심팬이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팬케이싱(320)의 후면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팬가이드(330)는 상기 팬(310)에서 토출된 공기를 상기 측면토출구(301)(302)로 안내한다. 상기 팬(310)은 원심팬이 사용되기 때문에, 상측 및 하측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팬가이드(330)에 의해 상기 측면토출구(301)(302)로 안내된다.
<팬의 구성>
팬(310)은, 중심에 회전축(313)이 결합되는 허브(312)와, 허브(312)와 이격하여 배치되며 중앙부에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311)가 형성되는 쉬라우드(314)와, 허브(312)와 쉬라우드(314)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316)를 포함한다.
블레이드(316)는 허브(312)와 쉬라우드(314) 사이에 복수로 구비된다. 블레이드(316)의 전단은 허브(312)의 후면과 결합되고, 후단은 쉬라우드(314)의 전면과 결합된다. 복수의 블레이드(316)는 원주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된다. 블레이드(316)의 단면은 에어포일(airfoil)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블레이드(316)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측단을 앞전(leading edge, 316a)이하며 공기가 유출되는 측단을 뒷전(trailing edge, 316b)이라 한다.
블레이드(316)는 토출되는 공기가 반경방향에서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향하도록 뒷전(316b)이 전후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블레이드(316)는 토출되는 공기가 반경방향에서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향하도록 앞전(316a)이 뒷전(316b-2)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허브(312)는 중심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돌출되는 원뿔 형태로 형성된다. 허브(312)의 전방에 모터커버(318)의 후방이 삽입되고, 팬모터(340)의 적어도 일부가 허브(312)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팬모터(340) 및 팬(310)이 차지하는 전후 방향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허브(312)의 중심에는 허브(312)의 상측에 배치되는 팬모터(340)의 회전축(313)이 결합된다. 허브(312)는 쉬라우드(314)의 전방측에 위치되고, 상기 허브(312) 및 쉬라우드(314)는 이격된다. 허브(312)의 배면에는 복수의 블레이드(316)가 결합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회전축(313)은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좌우 중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탑뷰로 볼때, 상기 회전축(313)은 정면토출구의 중심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심축(C1)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허브(312)는 외주단이 흡입구(311)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향하도록 형성된다. 허브(312)의 외주단은 허브(312)의 전단 둘레를 의미한다. 허브(312)의 외주단이 향하는 방향(A)은 좌우방향으로부터 약 45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가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토출되도록 허브(312)의 외주단은 전향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허브(312)는 평단면이 중앙부로부터 허브(312)의 외주단까지 흡입구(311)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직선(Ah)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허브(312)는 종단면이 복수의 블레이드(316) 각각의 앞전(316a)이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외주단까지 경사진 직선(Ah) 형태로 형성된다. 허브(312)는 중앙부으로부터 외주단까지 직경이 일정하게 커지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허브(312)는 복수의 블레이드(316) 각각의 앞전(316a)이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외주단까지 직경이 일정하게 커지도록 형성된다.
쉬라우드(314)는 중앙부에 공기가 흡입되는 원형의 흡입구(311)가 형성된 사발(bowl) 형태로 형성된다. 쉬라우드(314)의 흡입구(311)는 캐비닛어셈블리(100)의 흡입구(101)를 향하게 배치된다.
*즉, 팬케이싱(320)의 유입구(322)는 쉬라우드(314)의 흡입구(311)와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흡입구(311)의 직경은 팬케이싱(320)의 유입구(322)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쉬라우드(314)는 흡입구(311)의 둘레 부분에 후방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흡입가이드(314a)가 형성된다.
쉬라우드(314)는 허브(312)의 후방측에 이격하여 배치된다. 쉬라우드(314)의 전면에는 복수의 블레이드(316)가 결합된다.
쉬라우드(314)는 외주단이 흡입구(311)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향하도록 형성된다. 쉬라우드(314)의 외주단은 쉬라우드(314)의 전단 둘레를 의미한다. 쉬라우드(314)의 외주단이 향하는 방향(Sh)은 수평방향으로부터 약 45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토출되도록 쉬라우드(314)의 외주단은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쉬라우드(314)는 외주단이 향하는 방향이 허브(312)의 외주단이 향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쉬라우드(314)는 종단면이 흡입가이드(314a)의 상단으로부터 쉬라우드(314)의 외주단까지 흡입구(311)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직선(Ch)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쉬라우드(314)는 종단면이 복수의 블레이드(316) 각각의 앞전(24b-1)이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외주단까지 경사진 직선(Ch) 형태로 형성된다. 쉬라우드(314)는 흡입가이드(314a)의 상단으로부터 외주단까지 직경이 일정하게 커지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쉬라우드(314)는 복수의 블레이드(316) 각각의 앞전(24b-1)이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외주단까지 직경이 일정하게 커지도록 형성된다.
쉬라우드(314)는 외주단이 향하는 방향(Sh)이 허브(312)의 외주단이 향하는 방향(A)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쉬라우드(314)의 종단면의 경사진 직선(Ch) 부분과 허브(312)의 종단면의 경사진 직선(Ah) 부분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쉬라우드(314) 및 허브(312) 사이의 간격이 외주단으로 갈수록 조금씩 넓어지게 형성된다.
<<원거리 팬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사용자에게 직접풍을 제공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의 상측에 적층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형성된 정면토출구(201)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 하, 좌, 우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실내공간의 먼 쪽으로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공기의 순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토출그릴(450)을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에 대해 상측, 하측, 좌측, 우측 및 대각선 등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상대회전시키는 틸팅어셈블리를 더 포함한다.
<<<도어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정면토출구(201)가 형성된 프론트패널(210)과,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배면에 결합되고, 상기 정면토출구(201)와 연통되는 패널토출구(1101)가 형성된 패널모듈(1100)과, 상기 패널모듈(1100)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토출구(1101) 및 정면토출구(201)를 개폐시키는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와, 상기 패널모듈(1100)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모듈(1100)을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어슬라이드모듈(1300)과, 상기 패널모듈(1100) 상측에 배치되고, 실내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1900)과, 상단이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하단이 상기 패널모듈 어셈블리(110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수납되는 케이블가이드(1800)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정면토출구(201)는 프론트패널(210)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다. 상기 패널토출구(1101)는 패널모듈(1100)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다.
정면토출구(201) 및 패널토출구(1101)의 면적 및 형상은 동일하다. 정면토출구(201)가 패널토출구(1101)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상기 패널모듈(1100)에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10)에 실내기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모듈(15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00)은 상기 프론트패널(1100)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1100)을 투과하여 시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00)은 상기 프론트패널(1100)을 관통하여 일부가 노출되고, 노출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론트패널(210)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개구부(202)를 통해 디스플레이모듈(1500)의 정보가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프론트패널의 구성>>
상기 프론트패널(210)은 실내기의 전면에 배치된다. 프론트패널(210)은 프론트패널바디(212)와, 상기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정면토출구(201)와, 상기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디스플레이 개구부(202)와, 상기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모듈(1100)의 좌측면을 커버하는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214)와, 상기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모듈(1100)의 우측면을 커버하는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패널(210)은 좌우 폭에 비해 상하 갈이가 매우 길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패널(210)의 좌우 폭에 비해 상하 길이는 3배 이상이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패널(210)은 좌우 폭에 비해 전후 두께가 매우 얇게 형성된다. 본 실시에에서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좌우 폭에 비해 전후 두께는 1/4 이하이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개구부(202)는 정면토출구(201)의 하측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디스플레이 개구부(202)가 정면토출구(201)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정면토출구(201) 및 디스플레이 개구부(202)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다. 정면토출구(201)의 중심과 디스플레이 개구부(202)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중심축(C1)은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중심축(C1)을 기준으로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좌우 대칭된다.
상기 중심축(C1) 상에 상기 카메라모듈(1900)의 카메라(1950)가 배치된다.
정면토출구(201)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정면토출구(201)의 형상은 스티어링그릴(3450)의 정면형상에 대응된다. 상기 정면토출구(201)를 통해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에 은닉된 스티어링그릴(3450)이 외부로 노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순히 정면토출구(201)가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스티어링그릴(3450)을 노출시키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이 상기 정면토출구(201)를 관통해 상기 프론트패널(210) 보다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이 프론트패널(210) 전방으로 돌출되면, 스티어링그릴(3450)를 통과한 공기와 프론트패널(210)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고, 토출공기를 보다 멀리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214)는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좌측 가장자리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고, 프론트패널바디(212)의 배면에 고정된 패널모듈(1100)의 좌측면을 커버한다.
상기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는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고, 프론트패널바디(212)의 배면에 고정된 패널모듈(1100)의 우측면을 커버한다.
상기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214) 및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는 패널모듈(1100)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214)의 후방측 단에서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 측으로 돌출된 제 1 프론트패널엔드(215)가 더 배치된다. 상기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의 후방측 단에서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214) 측으로 돌출된 제 2 프론트패널엔드(217)가 더 배치된다.
제 1 프론트패널엔드(215) 및 제 2 프론트패널엔드(217)는 상기 패널모듈(1100)의 배면에 위치된다. 즉, 패널모듈(1100)은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프론트패널엔드(215)(217) 사이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프론트패널엔드(215)(217) 사이의 간격을 프론트패널의 내부간격(I)으로 정의한다. 상기 내부간격(I)은 프론트패널(210)의 전후 두께보다 짧다.
그리고 제 1 프론트패널엔드(215) 및 제 2 프론트패널엔드(217)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프론트패널엔드(215) 및 제 2 프론트패널엔드(217) 사이의 간격을 프론트패널의 개방간격(D)으로 정의한다.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개방간격(D)은 프론트패널(210)의 좌우 폭(W) 보다 짧다.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프론트패널엔드(215)(217)는 평행하게 배치된다.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프론트패널사이드(214)(216)는 교차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직교된다. 상기 프론트패널사이드(214)(216)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패널(210)을 구성하는 프론트패널바디(212), 프론트패널사이드(214)(216) 및 프론트패널엔드(215)(217)는 일체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패널(210) 전체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프론트패널(210)은 전체가 알루미늄재질이다.
그래서 상기 프론트패널사이드(214)(216)는 프론트패널바디(212)에서 후방 측으로 절곡되고, 프론트패널엔드(215)(217)는 프론트패널사이드(214)(216)에서 반대편으로 절곡된다.
전체가 금속재질로 형성된 상기 프론트패널(210)을 용이하게 절곡하기 위해,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214) 사이의 절곡부위에 제 1 벤딩홈(미도시)이 형성되고,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 사이의 절곡부위에 제 2 벤딩홈(213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214) 및 제 1 프론트패널엔드(215) 사이의 절곡부위에 제 3 벤딩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 및 제 2 프론트패널엔드(217) 사이의 절곡부위에 제 4 벤딩홈(213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벤딩홈들은 프론트패널(210)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벤딩홈들은 절곡부위 안쪽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2벤딩홈(213a)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프론트패널사이드의 사이각을 직각으로 형성시키기 어렵다. 또한, 상기 제 1, 2벤딩홈(213a)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프론트패널사이드의 절곡부분이 평평하게 형성되지 않고, 절곡과정에서 임이의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 3, 4 벤딩홈(213b)도 제 1, 2 벤딩홈(213a)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제작된 프론트패널(210)의 상측에는 패널 어퍼개구부(203) 및 패널 로어개구부(204)가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론트패널(210)는 하나의 금속플레이트를 절곡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패널 어퍼개구부(203) 및 패널 로어개구부(204)는 같은 면적 및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패널모듈(1100)의 두께는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프론트패널엔드(215)(217)의 간격과 같거나 작다. 상기 패널모듈(1100)은 상기 패널 어퍼개구부(203) 또는 패널 로어개구부(204)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패널모듈(1100)은 프론트패널엔드(215)(217)를 관통하는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모듈(1900)은 상기 패널 어퍼개구부(203)에 삽입되고, 상기 패널모듈(1100)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카메라모듈(1900)은 상기 패널 어퍼개구부(203)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모듈(1900)은 정면토출구(201)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10) 배면에 배치된다. 상기 카메라모듈(1900)은 프론트패널(210)에 의해 은닉된다. 카메라모듈(1900)은 작동시에만 프론트패널(210) 상측으로 노출되고, 작동되지 않을 때에는 프론트패널(210) 배면에 숨겨진다.
상기 프론트패널엔드(215)(217)는 카메라모듈(1900)의 측면 및 배면을 감싸고, 체결부재(미도시)는 상기 프론트패널엔드(215)(217)를 관통하여 카메라모듈(1900)에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패널 어퍼개구부(203)의 좌우 폭과 카메라모듈(1900)의 좌우 폭이 같게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패널 어퍼개구부(203)의 좌우 폭과 패널모듈(1100)의 좌우 폭이 같게 형성된다 .
본 실시예에서 패널 어퍼개구부(203)의 전후 두께와 카메라모듈(1900)의 전후 두께는 같게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패널 어퍼개구부(203)의 전후 두께와 패널모듈(1100)의 전후 두께도 같게 형성된다 .
그래서 상기 카메라모듈(1900) 및 패널모듈(1100)은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프론트패널엔드(215)(217) 사이에 위치되고,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프론트패널엔드(215)(217)에 지지될 수 있다.
도 5는 도 5에 도시된 가습어셈블리 및 물탱크가 로어캐비닛에 조립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어셈블리의 후방 측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로어캐비닛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가습어셈블리 및 물탱크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가습팬의 일부 절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디퓨저 한쌍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디퓨저 한쌍의 배면도이다. 도 13은 도 6에 도시된 디퓨저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디퓨저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디퓨저아웃릿 주변구조의 확대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에서의 공기 스트림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17은 도 11에 도시된 디퓨저하우징의 디퓨저아웃릿 상측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1에 도시된 디퓨저하우징의 디퓨저아웃릿 하측 단면도이다.
<<<가습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팬어셈블리(300)(400)의 토출유로 상에 수분을 제공하고, 제공된 수분은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제어부의 조작신호에 의해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에서 공급된 수분은 측면토출구(301)(302)에 직접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에서 공급되는 수분을 무화된 상태이거나 스팀상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습어셈블리(2000)는 물탱크(2100)의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켜 토출유로에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고, 구체적으로 로어캐비닛(120)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베이스(110)에 설치되고, 상기 로어캐비닛(120)을 통해 감싸진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 상측에 드레인팬(140)이 위치되고,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에서 생성된 스팀은 스팀가이드(2400)를 통해 측면토출구(301)(302)로 직접 유동된다. 즉,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가 설치된 공간과 어퍼캐비닛(110) 내부의 공간은 구획된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21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고, 내부에 저장된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켜 가습공기를 생성하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와 결합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공급하는 가습팬(2500)과,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생성된 가습공기를 독립된 유로를 통해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측면토출구(301)(302)로 안내하는 스팀가이드(24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가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의 물을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제공하는 물공급어셈블리(22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또는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배치되고,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물탱크(2100)를 전방으로 틸팅시키고, 전방으로 틸팅되어 있던 물탱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틸팅어셈블리와,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 및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연결되고,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 및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드레인어셈블리(2700)를 포함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어셈블리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배수어셈블리의 정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배수어셈블리의 우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6에 도시된 스팀제너레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스팀제너레이터의 구성>>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는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한다.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시키기 때문에, 살균된 스팀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는 스팀하우징(2310)과,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스팀히터(2320)와, 상기 스팀하우징(2310)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와 연통되고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는 워터파이프(2314)와, 상기 스팀하우징(2310)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가이드(2400)와 연결되고, 내부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스팀가이드(2400)에 공급하는 스팀토출부(2316)와, 상기 스팀하우징(2310)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팬(2500)과 연결되고, 상기 가습팬(2500)으로부터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의 여과공기를 공급받는 공기흡입부(2318)를 포함한다.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는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최저수위(WL)를 감지하는 제 1 수위센서(2360)와,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최고수위(WH)를 감지하는 제 2 수위센서(2370)와,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과열을 방지하는 써미스터(23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팀하우징(2310)은 외부와 밀폐된 구조이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 스팀토출부(2316), 공기흡입부(2318)은 외부와 연통된다. 상기 스팀하우징(2310)는 베이스(130)에 설치된다.
*상기 스팀하우징(2310)은 스팀히터(2320)에 의해 가열된 물을 저장하기 때문에, 내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팀하우징(2310)은 SPS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스팀하우징(2310)은, 어퍼스팀하우징(2340) 및 로어스팀하우징(2350)을 포함한다.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40)은 하측이 개방된 형태이고, 하측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는 상측이 개방된 형태이고, 하측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로어스팀하우징(2350)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토출부(2316) 및 공기흡입부(2318)은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40)에 배치된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물공급어셈블리(2200)의 챔버하우징파이프(2214) 보다 낮게 배치된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 및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높낮이 차를 통해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물이 자중에 의해 상기 워터파이프(2314)로 유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수위센서(2360), 제 2 수위센서(2370) 및 써미스터(2380)는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40)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40)에는 상기 제 1 수위센서(2360)가 설치되는 제 1 수위센서설치부(2342)와, 상기 제 2 수위센서(2370)가 설치되는 제 2 수위센서설치부(2344)와, 상기 써미스터(2380)가 설치되는 써미스터설치부(2346)가 형성된다.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40)에 형성된 공기흡입부(2318) 및 스팀토출부(2316)는 높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스팀토출부(2316) 및 공기흡입부(2318)는 높이차(SH)를 형성하고, 상기 스팀토출부(2316)가 공기흡입부(2318)보다 높이차(SH) 만큼 높게 배치된다.
이는 어퍼스팀하우징(2340) 내부의 스팀이 상기 스팀토출부(2316)로 용이하게 모이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팀토출부(2316)가 공기흡입부(2318)보다 높게 형성되면, 밀도가 낮은 스팀이 스팀토출부(2316) 하측에 모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수위센서(2360)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저수위를 감지하기 때문에, 상기 공기흡입부(2318) 주면에 설치된다. 상기 제 2 수위센서(2370)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고수위를 감지하기 때문에, 상기 스팀토출부(2316) 주변에 설치된다.
상기 제 1 수위센서(2360) 및 제 2 수위센서(2370)가 높낮이 차를 형성하기 때문에, 제 1 수위센서(2360) 및 제 2 수위센서(2370)의 전극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 1 수위센서(2360)는 제 1-1 수위감지부(2361) 및 제 1-2 수위감지부(236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1 수위감지부(2361) 및 제 1-2 수위감지부(2362)의 하단은 같은 높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1 수위감지부(2361) 및 제 1-2 수위감지부(2362)는 전극이다. 상기 제 1-1 수위감지부(2361) 및 제 1-2 수위감지부(2362)에 물이 닿으면 제어부가 이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1 수위감지부(2361) 및 제 1-2 수위감지부(2362)의 하단은 스팀제너레이터(2300)를 구동시키기 위한 최저수위(WL)이다. 상기 제 1-1 수위감지부(2361) 및 제 1-2 수위감지부(2362)의 하단(2361a)(2362a) 보다 수위가 낮을 경우 스팀히터(2320)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제 1-1 수위감지부(2361) 및 제 1-2 수위감지부(2362) 하단(2361a)(2362a)보다 수위가 낮아지면 스팀히터(2320)에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수위센서(2370)는 물이 닿을 때 이를 감지하는 전극이 사용된다. 상기 제 2 수위센서(2370)의 하단(2370a)은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최고수위(WH)를 감지한다.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수위가 제 2 수위센서(2370)의 하단(2370a) 보다 높을 경우, 스팀히터(2320)의 작동에 의해 물이 끓어 넘칠 수 있다. 상기 수위가 제 2 수위센서(2370)의 하단(2370a)에 닿으면 상기 스팀히터(232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상기 최고수위(WH)는 실내기의 기울어짐을 감안한 높이다. 즉, 상기 실내기가 어느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졌을 때,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수위는 어느 한쪽이 높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내기가 어느 한쪽으로 3도 기울어지고,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최대 작동 시, 상기 스팀하우징(2310) 밖으로 물이 넘치지 않는 높이를 상기 최고수위(WH)로 설정한다.
상기 최고수위(WH)가 도달했을 때, 상기 스팀히터(232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드레인어셈블리(2700)를 작동시켜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물을 배수할 수 있다.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적정수위는 상기 제 2 수위센서(2370)의 하단(2370a) 보다 낮고, 상기 제 1-1 수위감지부(2361) 및 제 1-2 수위감지부(2362) 하단(2361a)(2362a) 보다 높게 형성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를 적정수위라 정의한다.
상기 써미스터(2380)의 하단(2380a)은 상기 적정수위 내에 배치된다. 상기 써미스터(2380)는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내부 온도가 설정값이상으로 상승될 경우, 이를 감지하고, 상기 스팀히터(232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상기 공기흡입부(2318)의 면적은 넓을수록 유리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상기 스팀토출부(2316) 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를 통해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300)의 물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스팀하우징(2310) 내부에서 상기 워터파이프(2314)를 통해 배출된 물은 드레인어셈블리(2700)로 유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팀제너레이터(2300)는 하나의 워터파이프(2314)를 물의 공급 및 배수에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스팀을 생성하는 장치의 경우, 물을 공급받는 파이프와 물을 배출하는 파이프를 함께 구비한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의 내부 및 외부를 연통시킨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에서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300) 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의 외측단은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의 측면보다 측방향으로 더 돌출된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와 연결되고,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내부가 빈 파이프 형태이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스팀하우징(2310)의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 측에 배치된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드레인어셈블리와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드레인어셈블리(2700)의 온도상승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다.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에 상기 스팀히터(2320)가 설치된다.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의 배면에 상기 스팀히터(2320)가 설치되는 스팀히터 설치부(2352)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팀히터 설치부(2352)는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을 관통하는 개구면을 포함한다. 상기 스팀히터(2320)는 상기 스팀히터 설치부(2352)를 관통하고, 히터부가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스팀히터(2320)는 병렬로 배치된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와,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가 결합되고, 상기 스팀히터 설치부(2352)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에 각각 전원을 제공하는 히터마운트(2354)와,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에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퓨즈(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는 시즈히터(sheath heater)가 사용된다.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는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히터부(2321)에만 전원이 인가되어 발열될 수 있고, 상기 제 2 히터부(2322)에만 전원이 인가되어 발열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 모두에 전원이 인가되어 발열될 수 있다.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는 모두 "U"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의 각 곡선부는 스팀토출부(2316) 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는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의 상측단(2321a)(2322a)은 상기 최저수위(WL)와 같거나 상기 최저수위(WL) 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기의 기울어짐을 고려하여,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의 상측단(2321a)(2322a)이 상기 최저수위(WL) 보다 낮게 배치된다.
실내기의 베이스(130)는 지면에 수평하게 설치되어야 하지만, 설치오류에 의해 전,후,좌,우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실내기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질 경우에도,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의 상측단(2321a)(2322a)은 수면 밖으로 노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히터부(2321)의 상측면(2321a) 및 최저수위(WL) 사이에 안전수위(WS)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히터부(2322)의 상측면(2322a) 및 최저수위(WL) 사이에 안전수위(WS)가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최저수위(WL) 보다 안전수위(WS) 만큼 하측에 상기 제 1 히터부(2321)의 상측면(2321a) 및 제 2 히터부(2322)의 상측면(2322a)이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수위(WS)는 6mm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의 발열 용량은 상이하다. 상기 제 1 히터부(2321)의 길이가 제 2 히터부(2322)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히터부(2321)는 상기 제 2 히터부(2322)의 내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히터부(2321)의 용량은 440W이고, 상기 제 2 히터부(2322)의 용량은 560W이다.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가 함께 작동될 때, 1kW의 최대출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 1 히터부(2321)은 가습운전될 때 작동된다. 가습어셈블리(2000)를 스팀살균할 때,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가 동시에 작동된다.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정상 작동 시,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온도는 105도 내외로 제어된다.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가 가열되면, 저장된 물이 끓어 버블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 2 수위센서(2370)가 이를 감지하여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과열을 차단한다.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과열 시, 상기 제 2 수위센서(2370)는 140도 내외에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제 2 수위센서(2370)에서 과열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써미스터(2380)가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과열을 감지하고, 상기 써미스터(2380)는 150 내지 180도 내외의 온도범위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써미스터(2380)는 167도 이상을 감지한다.
상기 써미스터(2380)에 의한 전원제어 후에도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온도(본 실시예에서 섭씨 250도)가 상승되면 상기 퓨즈가 상기 스팀히터(2320)의 전원을 차단한다.
상기 히터마운트(2354)는 상기 스팀히터 설치부(2352)를 관통하여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에 결합된다. 상기 히터마운트(2354)는 상기 스팀히터 설치부(2352)를 밀폐시킨다. 상기 히터마운트(2354) 및 스팀히터 설치부(2352) 사이에 기밀을 위한 개스킷(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히터마운트(2354) 측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내부의 물은 자중에 의해 상기 워터파이프(2314)로 유입된다. 이를 위해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 보다 낮게 배치된다. 특히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외측단(2214b)와 같거나 낮게 배치된다.
특히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의 가장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스팀하우징(2310)에 저장된 물을 배수할 때,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의 내부 바닥면은 상기 워터파이프(2314)로 물을 유동시키는 홈 또는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파이프(2314)에는 별도의 밸브가 배치되지 않는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 및 챔버하우징파이프(2214)가 연통된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수위와 상기 스팀하우징(2310)의 수위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팀하우징(2310)의 내부에 충분한 물이 공급되면,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수위와 상기 스팀하우징(2310)의 수위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의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수위 상승에 따라 상승되며,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물이 공급되는 미들홀(2258)을 폐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은 상기 스팀히터(2320)의 높이 내에 배치된다.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외측단(2214b)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최고수위(WH) 보다 낮게 배치된다.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최고수위(WH)는 밸브홀(2111)보다 낮게 배치된다. 상기 미들홀(2258)은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최고수위(WH)와 같거나 높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미들홀(2258)은 상기 스팀히터(2320)의 상단(2321a)(2322a)과 이격거리(H)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에 배치된 플로터밸브스토퍼(2278)가 플로터바디(2222)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상기 플로터바디(2222)의 최대 상승 높이는 상기 최고수위(WH)와 같거나 낮을 수 있다.
다만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최대 상승 시, 상기 미들홀(2258)이 폐쇄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제공되는 물공급이 차단되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
상기 스팀토출부(2316)는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40)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스팀토출부(2316)는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4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스팀토출부(2316)은 상기 스팀가이드(2400)와의 연결을 위해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40)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상기 스팀하우징(2310)에 배치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어퍼스팀하우징(2340)에 배치된다.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어퍼스팀하우징(2340)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가습팬(2500)에서 공급된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상기 가습팬(2500)과의 연결을 위해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40)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스팀토출부(2316)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스팀토출부(2316) 보다 가습팬(2500)에 가까게 배치된다.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상기 가습팬(2500)과 연결되고, 상기 가습팬(2500)으로부터 여과공기를 공급받는다.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하여 여과된 공기를 공급받는다. 상기 공기흡입부(2318)로 공급된 여과공기는 스팀하우징(2310)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스팀과 함께 스팀토출부(2316)로 토출된다.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로 여과공기가 아닌 일반 공기가 유입될 경우,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는 곰팡이 등이 번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에 공급되는 공기가 여과공기로 한정되기 때문에,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가 작동되지 않을때 내부가 세균 또는 곰팡이 등으로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는 가습팬(2500)의 공기 유동이 내부에 공급되어 스팀을 스팀하우징(2310) 밖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스팀의 유동압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스팀하우징 밖에서 가습팬이 스팀을 빨아내는 구조일 경우, 스팀하우징 내부의 스팀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생성된 스팀이 신속하게 측면토출구(301)(302)로 유동되지 않을 경우, 스팀의 이동 과정에서 이슬맺힘이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가습팬(2500)이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공기 흡입 측에서 공기를 공급하기 때문에, 스팀의 유동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슬맺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습팬(2500)의 공기가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스팀을 스팀하우징(2310) 밖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충분한 공기의 유속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스팀의 유동과정에서 이슬맺힘이 발생되더라도, 스팀을 유동시키는 공기의 유속이 충분히 확보되기 때문에 응축수가 공기의 유속에 의해 자연증발될 수 있다.
<드레인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드레인어셈블리(2700)는, 베이스(130)에 배치되고,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 및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물을 배수하는 드레인펌프(2710)와, 상기 드레인펌프(2710)에 연결되고 상기 드레인펌프(2710)에서 펌핑된 물을 상기 실내기 밖으로 안내하는 드레인호스(2720)와,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의 챔버하우징파이프(2214),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워터파이프(2314) 및 드레인펌프(2710)를 연결하여 물을 유동시키는 물연결관(2730)을 포함한다.
상기 드레인펌프(2710)의 구성은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장치이기 때문에, 작동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드레인펌프(2710)는 물연결관(2730)과 연결되는 드레인인릿(2714)과, 상기 드레인호스(2720)와 연결되는 드레인아웃릿(2712)을 포함한다.
상기 드레인인릿(2714)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 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드레인아웃릿(2712)은 상측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물공급어셈블리(2200), 스팀제너레이터(2300) 및 드레인펌프(2710)에서의 물은 물의 자중에 의해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드레인펌프(2710)의 배치는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드레인펌프(2710)는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 및 워터파이프(2314)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 및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물 역시 물의 자중에 의해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챔버하우징파이프(2214) 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배열에 의해 이 셋 중에서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가 가장 높게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펌프(2710)가 가장 낮게 배치되며,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챔버하우징파이프(2214) 및 드레인펌프(2710) 사이의 높이에 배치된다.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 스팀제너레이터(2300) 및 드레인펌프(2710)는 모두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베이스(130)에 배치된다. 상술한 높이차를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130)는 높낮이차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130)는 하측으로 오목한 드레인펌프 설치부(133)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130)는 평평하게 형성된 베이스탑월(131)과, 상기 베이스탑월(131)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드레인펌프 설치부(133)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탑월(131)이 상기 드레인펌프 설치부(133)보다 높게 위치된다.
상기 물연결관(2730)은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와 연결되는 제 1 연결관(2731)과, 상기 워터파이프(2314)와 연결되는 제 2 연결관(2732)와, 상기 드레인인릿(2714)과 연결되는 제 3 연결관(2733)과, 상기 제 1 연결관(2731), 제 2 연결관(2732) 및 제 3 연결관(2733)과 연결되는 3방향파이프(2735)를 포함한다.
상기 3방향파이프(2735)는 T형 파이프 또는 Y형 파이프일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T형 파이프가 사용된다.
상기 제 1 연결관(2731)의 일측단은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과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3방향파이프(2735)와 결합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연결관(2731)에 밸브가 설치되고, 설치된 밸브가 상기 제 1 연결관(2731)의 유동을 단속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관(2732)의 일측단은 상기 워터파이프(2314)와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3방향파이프(2735)와 결합된다. 상기 제 2 연결관(2732) 내부에는 메수필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쉬필터는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스케일을 여과하고, 스케일이 상기 드레인펌프(271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제 3 연결관(2733)의 일측단은 상기 드레인펌프(2710)의 드레인인릿(2714)와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3방향파이프(2735)와 결합된다.
상기 제 1 연결관(2731), 제 2 연결관(2732) 및 제 3 연결관(2733)의 재질에 특별한 제약은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이 용이하도록 합성수지재질로 제작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연결관(2732)은 고온의 물이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온도 범위를 커버할 수 있는 내열재질(본 실시예에서는 EDP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상기 제 2 연결관(2732)는 상기 히터퓨즈의 작동 전까지의 온도(섭씨 250도)에 대해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연결관(2730) 전체가 상기 히터퓨즈의 작동 전까지의 온도(섭씨 250도)에 대해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가 작동되면, 정상적인 경우에도 스팀제너레이터(2300) 내부의 물이 100도 이상으로 상승될 수 있다. 이때, 물을 공급받는 파이프와 물을 배출하는 파이프가 각각 구비되는 경우, 물을 공급받는 파이프는 물탱크와 연결되기 때문에 온도상승이 더디지만, 드레인펌프(2710)와 연결되는 파이프에는 소량의 물만이 저장되기 때문에, 스팀제너레이터(2300) 내부와 유사한 온도로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드레인펌프와 연결되는 파이프의 물온도가 상승되는 경우, 드레인펌프가 손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3방향파이프(2735)에서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물과 물공급어셈블리(2200)의 물을 혼합시킬 수 있고, 혼합된 물에 의해 상기 제 3 연결관(2733)의 온도 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관(2732) 측의 물의 온도가 섭씨 100도 이상으로 상승되더라도 상기 제 1 연결관(2731) 측의 물은 상온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3방향파이프(2735)에서 고온의 물과 상온의 물이 혼합되어 물의 온도 상승을 억제한다.
상기 제 1 연결관(2731) 측의 물은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 측으로 부터 물을 공급받기 때문에 대류를 통해 온도 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작동 후,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물이 고온인 상태에서 드레인펌프(2710)가 작동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 2 연결관(2732)에서 배수된 고온의 물과 상기 제 1 연결관(2731)에서 배수되는 상온의 물이 상기 3방향파이프(2735)에서 혼합되고, 혼합된 물의 온도는 적어도 70도 이하로 하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연결관(2730)을 통해 배수 시 상기 드레인펌프(2710)으로 유동되는 물의 온도를 30도 내지 50 사이로 형성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드레인펌프(2710)의 작동 시,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에 저장된 물 뿐만 아니라 상기 물탱크(2100) 및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저장된 물도 모두 배수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에서 사용되는 물은 실내 가습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세균 번식의 위험이 있다. 그래서 소정기간(24시간) 사용되지 않을 때, 상기 물탱크(2100), 물공급어셈블리(2200)는 물론 스팀하우징(2310)에 저장된 물도 모두 배수하고,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 전체를 건조시키는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펌프(2710)가 작동되면, 상기 제 3 연결관(2733) 측의 물이 배수된다. 드레인인릿(2714)과 결합된 상기 제 3 연결관(2733)의 일측단이 가장 낮게 배치되기 때문에, 물의 위치에너지에 의해 상기 물탱크(2100) 및 물공급어셈블리(2200)의 물은 상기 제 1 연결관(2731) 및 3방향파이프(2735)를 거쳐 상기 제 3 연결관(2733)으로 유동된다.
마찬가지로, 물의 위치에너지에 의해 상기 스팀하우징(2310)의 물은 상기 제 2 연결관(2732) 및 3방향파이프(2735)를 거쳐 상기 제 3 연결관(2733)으로 유동된다.
이와 같이, 상기 물연결관(2730)의 구조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습어셈블리(2000) 전체의 배수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스팀가이드의 구성>>
상기 스팀가이드(2400)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스팀을 토출유로에 공급한다. 상기 토출유로는 원거리팬 어셈블리(40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유로 및 근거리 팬어셈블리(30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유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유로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밖으로 토출되기 전까지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팀가이드(2400)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측면토출구(301)(302)로 안내한다. 상기 스팀가이드(24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의 공기와 분리된 별도의 유로를 제공한다. 상기 스팀가이드(2400)는 관 또는 덕트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스팀가이드(2400)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결합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가습공기를 제공받는 메인스팀가이드(2450)와,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를 통해 공급된 가습공기 중 일부를 제 1 측면토출구(301)로 안내하는 제 1 분지가이드(2410)와,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를 통해 공급된 가습공기 중 나머지를 제 2 측면토출구(302)로 안내하는 제 2 분지가이드(2420)와,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와 조립되고,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를 통해 공급된 가습공기를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 토출시키는 제 1 디퓨저(2430)와,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와 조립되고, 상기 제 2 측면토출구(302)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를 통해 공급된 가습공기를 상기 제 2 측면토출구(302)에 토출시키는 제 2 디퓨저(24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는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가 결합되는 각각의 스팀토출부가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하나의 분지가이드만 배치되고, 상기 하나의 분지가이드가 하나의 디퓨저에 결합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디퓨저는 제 1 측면토출구 또는 제 2 측면토출구 중 어느 하나에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퓨저는 측면토출구에 배치되지만, 상기 정면토출구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디퓨저의 설치위치는 측면토출구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는 덕트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기를 안내한다.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는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공급된 공기(스팀 및 여과공기가 혼합된 공기)를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에 제공한다.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공급된 공기(스팀 및 여과공기가 혼합된 공기)는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에서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로 분기된다.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의 하단은 스팀하우징(2310)의 스팀토출부(2316)에 결합된다.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의 상단은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와 결합된다.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는 하측이 개구된다.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의 상측에는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가 조립되는 제 1 가이드결합부(2451)와,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가 조립되는 제 2 가이드결합부(2452)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가이드결합부(2451) 및 제 2 가이드결합부(2452)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가이드결합부(2451) 및 제 2 가이드결합부(2452)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는 상기 제 1 가이드결합부(2451)의 평단면과 대응되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는 상기 제 2 가이드결합부(2451)의 평단면과 대응되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가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정면에서 볼 때 한쪽(좌측)에 치우쳐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는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에 균등한 공기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의 관경을 다르게 제작하여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의 유량을 균등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가 짧은 스팀가이드의 관경을 작게 하고, 길이가 긴 스팀가이드의 관경을 크게하여 유량을 균등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디퓨저(2430) 및 제 2 디퓨저(2440)는 좌우 방향으로 대칭된다.
상기 제 1 디퓨저(2430)는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와 조립되고,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디퓨저(2430)는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를 통해 스팀과 함께 공급된 공기를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 토출시킨다.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기 때문에, 스팀의 온도는 고온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디퓨저(2430) 및 제 2 디퓨저(2440)에서 토출되는 가습공기의 온도는 실내온도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50도 내지 70도 사이일 수 있다. 상기 제 1 디퓨저(2430) 및 제 2 디퓨저(2440)에서 토출되는 가습공기는 사용자에게 화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래서 상기 가습어셈블리의 작동 시,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를 반드시 작동시키고, 사이드그릴(151)(152)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가습공기를 혼합시켜 가습공기의 온도를 낮춰야 한다.
그래서 상기 디퓨저(2430)(2440)에서 토출된 가습공기는 측면토출구(301)(302)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믹스된다.
상기 제 1 디퓨저(2430)는 제 1 측면토출구(301)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스팀이 포함된 여과공기를 실어서 배출한다. 상기 제 1 디퓨저(243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과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은 유사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서 토출되는 토출공기의 유량이 가습공기의 유량보다 크지만, 유속은 유사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어느 한쪽의 유속이 더 클 경우, 다른 한쪽의 유속에 대해 저항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디퓨저(2430)에서 토출된 스팀을 더 멀리 확산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디퓨저(2440)도 동일한 원리로 작동된다.
상기 제 2 디퓨저(2440)는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와 조립되고, 상기 제 2 측면토출구(302)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디퓨저(2440)는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를 통해 스팀과 함께 공급된 공기를 상기 제 2 측면토출구(302)에 토출시킨다.
상기 제 1 디퓨저(2430) 및 제 2 디퓨저(2440)는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제 1 디퓨저(243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 1 디퓨저(2430)는 하측에서 스팀과 함께 공급된 공기 측면토출구로 토출시킨다.
상기 디퓨저(본 실시예에서 제 1 디퓨저 및 제 2 디퓨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본 실시예에서 하측)이 개구되는 디퓨저하우징(2460)과,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을 관통하게 형성되는 디퓨저아웃릿(2431)(2441)와,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와 체결고정되는 디퓨저체결부(2432)(2442)와,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가이드(2420)(2430)과 조립되는 디퓨저인릿(2433)(2443)과,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에 배치되고,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2441)의 상측에 위치되고, 하측으로 돌출되는 어퍼디퓨저배리어(2434)와,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에 배치되고,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측으로 돌출되는 로어디퓨저배리어(2435)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디퓨저(2430) 및 제 2 디퓨저(2440)의 디퓨저아웃릿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제 1 디퓨져아웃릿(2431) 및 제 2 디퓨저아웃릿(2441)으로 정의한다. 마찬가지로, 제 1 디퓨저(2430) 및 제 2 디퓨저(2440)의 디퓨저인릿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제 1 디퓨저인릿(2433) 및 제 2 디퓨저인릿(2443)으로 정의한다.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은 슬릿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은 디퓨저하우징(246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은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은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측면토출구(301)(302) 근처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디퓨져아웃릿(2431)은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좌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디퓨저아웃릿(2441)은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우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디퓨저아웃릿(2431)은 측면토출구(301)(302) 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측면토출구(301)(302)에서 토출되는 공기 유동에 의해 보다 멀리 가습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은 내부에 디퓨저공간(2461)이 형성된다. 상기 디퓨저공간(2461)은 상기 디퓨저인릿(2433) 및 디퓨저아웃릿(2431)과 연통된다.
상기 디퓨저공간(2461)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평단면으로 볼 때, 상기 디퓨저공간(2461)의 내측은 넓고, 외측은 좁게 형성된다.
상기 디퓨저공간(2461)의 외측에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이 배치된다. 상기 디퓨저공간(2461)의 하측에 상기 디퓨저인릿(2433)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디퓨저인릿(2433)은 파이프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디퓨저인릿(2433)은 스팀가이드(2420)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디퓨저인릿(2433)이 스팀가이드(242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은 디퓨저하우징(2460) 내부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 내부에 맺힌 응축수는 상기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유동되고, 디퓨저인릿(2433)을 통해 스팀가이드(2420)로 이동된 후, 메인스팀가이드(2450)를 거쳐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회수될 수 있다.
상기 가습팬(2500)의 작동 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디퓨저하우징(2460) 내부의 응축수는 자연증발될 수 있다. 상기 가습팬(2500)이 작동되지 않을 경우, 디퓨저하우징(2460) 내부에 맺힌 응축수는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회수될 수 있고, 드레인어셈블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은 내부에 맺힌 응축수를 하측으로 안내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디퓨저공간(2461)을 구성하는 디퓨저어퍼월(2462) 및 디퓨저로어월(2464)은 경사면을 형성한다.
상기 디퓨저어퍼월(2462)은 외측이 높고 내측이 낮게 형성된 경사면이다. 상기 디퓨저어퍼월(2462)은 디퓨저하우징(2460)의 상측벽을 형성한다. 상기 디퓨저어퍼월(2462)의 하측에 상기 디퓨저공간(2461)이 형성된다. 상기 디퓨저어퍼월(2462)은 좌우 방향에 대해 경사를 형성한다. 상기 디퓨저어퍼월(2462)에 맺힌 응축수는 디퓨저어퍼월(2462)의 경사를 따라 하측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저로어월(2464)은 외측이 높고 내측이 낮게 형성된 경사면이다. 상기 디퓨저로어월(2464)은 디퓨저하우징(2460)의 하측벽을 형성한다. 상기 디퓨저로어월(2464)의 상측에 상기 대퓨저공간(2461)이 형성된다. 상기 디퓨저로어월(2464)은 좌우 방향에 대해 경사를 형성한다. 상기 디퓨저로어월(2464)에 맺힌 응축수는 디퓨저로어월(2464)의 경사를 따라 하측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은 내부에 맺힌 응축수가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에 맺힌 응축수는 가습팬(2500)에서 공급된 공기의 유동압력에 의해 디퓨져(2430)(2440) 밖으로 비산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디퓨저하우징(2460)에 상기 어퍼디퓨저배리어(2434) 및 로어디퓨져배리어(2435)가 배치된다.
상기 어퍼디퓨저배리어(2434)은 상기 디퓨저어퍼월(2462)에 배치되고, 상기 디퓨저어퍼월(2462)에서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어퍼디퓨저배리어(2434)는 상기 디퓨저어퍼월(2462)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퍼디퓨저배리어(2434)은 상기 디퓨저어퍼월(2462)의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고, 상기 디퓨저어퍼월(2462)의 가장 상측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며, 디퓨저어퍼월(2462)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어퍼디퓨저배리어(2434)는 디퓨저아웃릿의 상측 일부를 막아 응축수의 이동을 제한한다. 공기의 유동압력에 의해 상기 디퓨저어퍼월(2462)을 따라 외측으로 밀려 이동된 응축수는 어퍼디퓨저배리어(2434)에 걸려 외부로 토출되는 것이 차단된다.
상기 로어디퓨저배리어(2435)은 상기 디퓨저로어월(2464)에 배치되고, 상기 디퓨저로어월(2464)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로어디퓨저배리어(2435)는 상기 디퓨저로어월(2464)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어디퓨저배리어(2435)은 상기 디퓨저로어월(2464)의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고, 상기 디퓨저로어월(2464)의 가장 상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디퓨저로어월(2464)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로어디퓨저배리어(2435)는 디퓨저아웃릿의 하측 일부를 막아 응축수의 이동을 제한한다. 공기의 유동압력에 의해 상기 디퓨저로어월(2464)을 따라 외측으로 밀려 이동된 응축수는 로어디퓨저배리어(2435)에 걸려 외부로 토출되는 것이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은 디퓨저공간(2461)의 전면을 형성하고, 전방을 향하게 배치된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과, 디퓨저공간(2461)의 배면을 형성하고, 후방향을 향하게 배치된 리어디퓨저하우징(2465)과,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은 상기 외측단(2463a)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2466)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 및 리어디퓨저하우징(2465) 사이에 상기 디퓨저공간(2461)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면(2463c)은 어퍼커버(162)를 향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면(2463c)은 상기 어퍼커버(162)와 사이각 A2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면(2463c)은 상기 어퍼커버(162)의 배면에 밀착되고, 사이각이 0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내측면(2463b)은 디퓨저공간(2461)을 형성한다.
상기 리어디퓨저하우징(2465)는 모터커버(318) 전방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어디퓨저하우징(2465)의 외측면(2465c)은 모터커버(318)의 전면에 밀착된다. 상기 리어디퓨저하우징(2465)의 내측면(2465b)는 상기 디퓨저공간(2461)을 형성한다.
상기 모터커버(318)의 외측단은 사이드그릴(151)(152)까지 연장된다. 상기 모터커버(318)의 외측단은 토출공기를 상기 사이드그릴(151)(152)로 안내한다.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 및 리어디퓨저하우징(2465)의 외측단(2465a) 사이에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이 배치된다.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은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 및 리어디퓨저하우징(2465)의 외측단(2465a)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 및 리어디퓨저하우징(2465)의 외측단(2465a)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거리 D1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은 리어디퓨저하우징(2465)의 외측단(2465a) 보다 바깥쪽으로 더 돌출된다.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 및 리어디퓨저하우징(2465)의 외측단(2465a)의 좌우 방향 이격거리 D2를 형성한다.
상기 외측단(2463a)에서 상기 돌출부(2466)의 전방 측 끝단(2466a)까지의 길이 D3를 형성한다.
상기 돌출부(2466)의 전방 측 끝단(2466a)에서 프론트패널엔드의 배면(217a) 까지의 이격거리 D4를 형성한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D4를 0으로 설정할 수는 없다. D4가 0인 경우, 도어어셈블리(200)의 슬라이드 이동 시 마찰 및 마찰소음이 발생된다. 도어어셈블리(200) 및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조립공차 또는 제작공차가 필요하기 때문에, D4가 1mm인 경우도 실질적으로 제작이 어렵다. 그래서 기술적으로 상기 D4는 2mm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단(2463a)에서 상기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의 외측면(216a) 까지의 이격거리 D5를 형성한다.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을 도어어셈블리(100)의 좌우 폭 내에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도어어셈블리(200) 표면에 이슬맺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이 도어어셈블리(200) 밖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단(2463a)이 도어어셈블리(200) 밖으로 돌출될 경우, 사이드그릴에서 토출된 토출공기가 가습공기를 전방으로 유동시키는 힘이 증가된다. 이로 인해 상기 프론트패널사이드에 이슬맺힘을 유발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은 측면 사이드그릴(151)(152)과 전후 방향에 대해 동일선상에 배치되거나 상기 사이드그릴(151)(152) 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사이드그릴(151)(152)에 배치된 베인(155)의 외측단(155a) 보다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이 측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 보다 프론트패널사이드가 측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리어디퓨저하우징(2465)의 외측단(2465a)은 상기 베인(155)의 외측단(155a) 또는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 보다 측방향 내측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어디퓨저하우징(2465)의 외측단(2465a)은 베인(155)의 좌우 방향 길이 내에 위치된다.
복수개의 베인(155)들은 베인간격(BG)를 형성한다. 상기 복수개의 베인(155)들 중 가장 전방에 배치된 베인을 제 1 베인(156)이라 정의한다.
상기 제 1 베인(156)의 외측단(156a) 및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 사이에 상기 리어디퓨저하우징(2465)의 외측단(2465a)이 배치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베인(156)의 외측단(156a) 및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의 간격은 상기 베인간격(BG)와 같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베인(156)의 외측단(156a) 및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 사이에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2441)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베인(156)의 외측단(156a) 보다 상기 리어디퓨저하우징(2465)의 외측단(2465a)이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리어디퓨저하우징(2465)의 외측단(2465a) 보다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이 더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돌출부(2466)는 상기 어퍼커버(162)의 외측 가장자리(162a)를 감싸게 배치된다. 즉, 정면에서 볼 때, 제 1 디퓨저(2430)의 돌출부(미도시) 및 제 2 디퓨저(2440)의 돌출부(2466) 사이에 상기 어퍼커버(162)가 위치된다.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은 도어어셈블리(100)의 좌우 폭 내에 위치된다. 즉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은 도어어셈블리(100)의 좌측 가장자리 또는 우측 가장자리(216a) 밖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상기 D5는 1mm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5의 경우, 좌측 가장자리 또는 우측 가장자리(216a)에서 프론트패널(210)의 안쪽 방향을 (+)길이로 정의하고, 상기 좌측 가장자리 또는 우측 가장자리(216a)의 바깥쪽 방향을 (-) 길이로 정의한다.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좌측 가장자리 또는 우측 가장자리(216a)와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경우(D5=0), 상기 좌측 가장자리 또는 우측 가장자리(216a) 표면에 이슬맺힘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D5가 1mm보다 큰 값일 때, 이슬맺힘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D5의 값이 증가될 수록,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과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좌측 가장자리 또는 우측 가장자리(216a) 거리가 증가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214) 및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 표면에 이슬맺힘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상기 D3 및 D4의 합산길이가 중요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D3 및 D4의 합산길이(DL)는 5mm 이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D3가 3mm인 경우, D4는 2mm 이상이어야 하고, D4가 2mm인 경우, 상기 D3는 3mm 이상이어야 한다.
상기 합산길이(DL)가 5mm 이상일수록 이슬맺힘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합산길이(DL)가 길어질수록 사이드그릴(151)(152) 전방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합산길이(DL)는 5mm 이상 10m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설계공차 및 제작공차를 고려하여 상기 D3은 6mm 내지 7mm로 형성되고, 조립공차를 고려하여 상기 D4는 2mm 내지 3mm로 형성되며, 상기 합산길이(DL)는 8mm 내지 10mm로 설정된다.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은 어퍼캐비닛(110)의 전면을 커버하는 어퍼커버(162)에 밀착된다.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은 어퍼커버(162)의 후방에 위치되고, 어퍼커버(162)의 배면에 밀착된다.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은 어퍼커버(162)의 측면 가장자리(162a)를 감싸게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이 어퍼커버(162)의 측부를 감싸기 때문에, 상기 어퍼커버(162)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돌출부(2466)는 프론드디퓨저하우징(2463)과 단차를 형성하고, 전방으로 돌출된다.
*그래서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돌출부(2466)는 외부로 노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돌출부(2466)를 디퓨저하우징 데코부로 정의한다.
상기 디퓨저하우징 데코부는 도어어셈블리(200)의 배면 가장자리 배치되고, 도어어셈블리(200)의 측면 가장자리보다 측방향으로 더 돌출되지 않는다.
상기 디퓨저하우징 데코부가 리어디퓨저하우징(2465)의 외측단(2465a) 보다 측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디퓨저(2430)에서 토출되는 가습공기의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리어디퓨저하우징(2465)의 외측단(2465a)은 측면 사이드그릴(151)(152) 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리어디퓨저하우징(2465)의 외측단(2465a)은 측면사이드그릴(151)(152) 및 프론트디퓨져하우징(2463)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리어디퓨저하우징(2465)은 측면 사이드그릴(151)(152)의 경사방향으로 배치되고, 측면토출구(301)(30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와의 저항을 최소화시킨다.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이 좌우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스팀을 포함하는 공기의 측방향을 향하는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어퍼커버(162) 및 프론트패널바디(212)는 평행하게 배치된다.
평단면으로 볼 때, 상기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전면(200a)을 기준으로, 상기 전면(200a) 및 사이드그릴(151)(152)의 베인(155)의 사이각을 A1으로 정의한다. 상기 사이각 A1은 전방을 향하게 배치되고, 40도 내지 50도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각 A1은 45도로 형성된다.
평단면으로 볼 때, 상기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전면(200a)을 기준으로, 상기 전면(200a) 및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사이각을 A2로 정의한다.
상기 사이각 A2는 0도 이상 40도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각 A1 및 사이각 A2의 차가 클 수록 상기 프론트패널사이드 표면에 발생되는 이슬맺힘을 억제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사이각 A2는 0도가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에서 사이각 A2는 5도로 형성된다.
평단면으로 볼 때, 상기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전면(200a)을 기준으로, 상기 전면(200a) 및 리어디퓨저하우징(2465)의 사이각을 A3로 정의한다.
상기 사이각 A3는 베인(155)의 각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이각 A2를 고려할 때 상기 사이각 A3는 A2 보다 크고 A1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사이각 A3가 베인(155)의 경사각(A1)보다 클 경우, 상기 사이드그릴로 향하는 공기에 저항을 발생시킨다.
상기 쉬라우드(314)의 외주단이 향하는 방향(Sh)과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전면(200a)은 사이각 B1을 형성한다.
상기 허브(312)의 외주단이 향하는 방향(A)과 상기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전면(200a)은 사이각 B2를 형성한다.
상기 쉬라우드(314)의 사이각 B1은 상기 베인(155)의 사이각 A1과 같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허브(312)의 사이각 B2는 상기 베인(155)의 사이각 A1과 같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쉬라우드(314)의 방향(Sh), 허브(312)의 방향(A) 및 베인(155)의 방향(A1)이 같거나 유사해야 공기의 유동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허브(312)의 방향(A) 및 베인(155)의 방향(A1)을 같게 형성하고, 쉬라우드(314)의 방향(Sh)은 상기 사이각 A1 보다 완만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쉬라우드(314)의 외주단이 향하는 방향(Sh) 및 허브(312)의 외주단이 향하는 방향(A) 사이에 상기 사이드그릴의 복수개 베인(155)들이 모두 배치된다.
즉, 상기 쉬라우드(314)의 외주단이 향하는 방향(Sh) 보다 후방에 상기 베인(155)들이 위치되고, 상기 허브(312)의 외주단이 향하는 방향(A) 보다 전방에 상기 베인(155)들이 위치된다.
그리고 허브(312)의 외주단이 향하는 방향(A) 보다 후방에 디퓨저아웃릿(2431)(2441)이 위치된다. 상기 허브(312)의 외주단이 향하는 방향(A)은 보다 후방에 상기 돌출부(2466)이 배치된다.
그래서 평단면으로 볼 때,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 내부의 디퓨저공간(2461)은 내측이 넓고, 바깥쪽에 좁아지게 형성된다. 평단면으로 볼 때, 상기 디퓨저공간(2461)은 바깥쪽에 뾰족한 쐐기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저공간(2461)의 뾰족한 부분에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이 배치된다.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은 측면토출구(301)(302)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은 도어어셈블리(200) 보다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그릴(151)(152) 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측면토출구(301)(302)는 전방 우측 및 전방 좌측을 향해 공기를 토출하고, 가습공기는 상기 측면토출구(301)(302) 전방으로 토출된다. 측면토출구(301)(302) 전방으로 가습공기를 토출할 경우, 가습공기를 보다 멀리 유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어셈블리(2000)는 가습을 제공할 때, 수분의 도달거리를 가습팬(2500)의 출력에만 의존하지 않는다. 수분을 보다 멀리 유동시키기 위해 가습팬(2500)의 출력에만 의존할 경우, 가습팬(2500)의 용량을 증가시키거나 가습팬(2500)을 고속으로 작동시켜야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습어셈블리(2000)를 작동시킬 때, 근거리 팬어셈블리(300)의 공기유동에 수분을 실어 보다 멀리 유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출력 용량이 작은 가습팬(2500)을 사용하여도 실내의 먼곳까지 가습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가 측면토출구(301)(302)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 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가습공기를 보다 멀리 유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에서 토출되는 가습공기의 스트림(HA)과 상기 베인(152)에서 토출되는 토출공기의 스트림(DA)은 교차될 수 있다. 상기 가습공기의 스트림(HA) 및 토출공기의 스트림(DA)을 교차시키기 위해,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경사방향과 베인(152)의 경사방향이 교차된다.
<<가습팬의 구성>>
상기 가습팬(2500)은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흡입하여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공급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생성된 스팀과 함께 여과공기를 스팀가이드(2400)로 유동시킨다.
상기 가습팬(2500)은 스팀 및 여과공기(본 실시예에서 가습공기라 한다)를 디퓨저(2430)(2440)에서 토출시키는 공기유동을 발생시킨다.
상기 가습팬(2500)은,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여과공기를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안내하는 가습팬하우징(2530)과, 하측이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에 연결되고, 상측이 상기 필터어셈블리(600)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에 제공하는 클린흡입덕트(2540)와,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의 여과공기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유동시키는 가습임펠러(2510)와,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임펠러(2510)를 회전시키는 가습모터(2520)를 포함한다.
상기 클린흡입덕트(2540)는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에 제공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는 어퍼캐비닛(110)에 배치되고, 가습팬(2500)은 로어캐비닛(120)에 배치되기 때문에 높이차가 있다. 즉, 필터어셈블리(600)는 가습팬(2500)의 상부에 위치된다.
특히,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는 근거리팬 어셈블리(300)로 유동되고, 로어캐비닛(120)으로는 여과공기가 유동되지 않거나 유동이 어렵다. 구체적으로 로어캐비닛(120)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공기를 공급하지 않는 이상 상기 로어캐비닛(120) 내부로 여과공기가 유동되거나 순환되지는 않는다.
더불어 어퍼캐비닛(110)의 하측에는 열교환어셈블리를 지지하고, 응축수를 수집하는 드레인팬(140)이 배치되기 때문에, 어퍼캐비닛(110) 내부의 여과공기가 로어캐비닛(120)으로 유동되는데는 제약이 많다.
상기 클린흡입덕트(2540)의 상측단은 어퍼캐비닛(110) 내부에 위치되고, 하단은 로어캐비닛(120) 내부에 위치된다. 즉, 상기 클린흡입덕트(2540)는 어퍼캐비닛(110) 내부의 여과공기를 로어캐비닛(120) 내부로 유동시키기 위한 유로를 제공한다.
상기 클린흡입덕트(2540)는 어퍼캐비닛(110) 내부에 배치되고, 여과공기가 흡입되는 제 1 클린덕트부(2542)와, 상기 로어캐비닛(120) 내부에 배치되고, 가습팬하우징(2530)에 결합되는 제 2 클린덕트부(254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클린덕트부(2542) 및 제 2 클린덕트부(2544)는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제 1 클린덕트부(2542)는 열교환어셈블리를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클린덕트부(2544)는 가습팬하우징(2530)을 향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클린덕트부(2542)는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클린덕트부(2544)는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클린덕트부(2542)는 열교환어셈블리 전방에 위치되고, 필터어셈블리(600)를 향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클린덕트부(2542)는 열교환어셈블리의 전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클린덕트부(2542)는 열교환어셈블리의 하부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제 1 클린덕트부(2542)는 열교환어셈블리 또는 필터어셈블리(600)를 향해 개구된 제 1 클린덕트 개구면(2541)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클린덕트부(2544)는 상기 제 1 클린덕트부(2542)를 통해 공급된 여과공기를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으로 안내한다. 상기 제 2 클린덕트부(2544)의 하단은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에 조립된다.
상기 제 2 클린덕트부(2544)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팬(140)을 상하 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클린덕트부(2544)는 드레인팬(140)의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클린덕트부(2544)는 후술하는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의 제 1 흡입개구면(2552)과 연통되는 제 2 클린덕트 개구면(2543)이 형성된다.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은 클린흡입덕트(2540)과 결합되고, 여과공기가 흡입되고, 내부에 제 1 흡입공간(2551)이 형성된 제 1 가습팬하우징(2550)과,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과 결합되어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으로 부터 여과공기를 제공받고, 내부에 제 2 흡입공간(2561)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가습임펠러(2510)가 배치되고, 상기 가습임펠러(2510)의 작동에 의해 여과공기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안내하는 제 2 가습팬하우징(2560)과,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흡입공간(2551)과 연통되고, 일측(본 실시예에서 상측)을 향해 개방된 제 1 흡입개구면(2552)과,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흡입공간(2561)과 연통되고, 타측(본 실시예에서 하측)을 향해 개방된 제 2 흡입개구면(2562)과,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 및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을 관통하고, 상기 제 1 흡입공간(2551) 및 제 2 흡입공간(2561)을 연통시키는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과,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모터(2520)가 설치되는 모터설치부(2565)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은 상측을 향해 제 1 흡입개구면(2552)이 형성된다. 상기 클린흡입덕트(2540)은 상기 흡입개구면(2552)에 연결된다. 반면에,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은 하측을 향해 제 2 흡입개구면(256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흡입개구면(2552)의 개구된 방향과 상기 제 2 흡입개구면(2562)이 개구된 방향은 반대다.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의 하측면(2554)은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 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의 상측면(2564)은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 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가습모터(2520)의 모터축(미도시)은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을 관통하고, 상기 가습임펠러(2510)에 조립된다.
상기 모터설치부(2565)는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모터설치부(2565)에 가습모터(2520)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제 1 흡입공간(2551)이 형성된 제 1 가습팬하우징(2550)과 제 2 흡입공간(2561)이 형성된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이 각각 제작된 후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3파트를 조립하여 가습팬하우징(2530)을 제작한다.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은, 상기 제 1 흡입공간(2551)의 전방을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1 가습팬하우징부(2531)과, 상기 제 1 흡입공간(2551)의 후방을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흡입공간(2561)의 전방을 감싸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의 나머지 및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2 가습팬하우징부(2532)와, 상기 제 2 흡입공간(2561)의 후방을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모터설치부(2565)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의 나머지를 구성하는 제 3 하우징부(2533)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부(2532)이 제 1 가습팬하우징(2550) 및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에서 공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부품 수를 단순화하게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부(2532)에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는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부(2532)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는 가습임펠러(2510) 측으로 돌출되고,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부(2532)는 상기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를 형성하고, 상기 가습임펠러(2510) 측으로 돌출되는 오리피스부(2534)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부(2532)는 전방에 제 1 흡입공간(2551)이 배치되고, 후방에 제 2 흡입공간(2561)이 배치된다.
상기 가습임펠러(2510)는 중앙측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원심팬이다. 상기 가습임펠러(2510)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을 통해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유동된다.
상기 가습모터(2520)의 구동에 따른 여과공기의 유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가습모터(2520)의 구동 시, 상기 가습모터(2520)와 결합된 가습임펠러(2510)이 회전된다. 상기 가습임펠러(2510)가 회전되면, 가습팬하우징(2530) 내에서 공기유동이 발생되고, 클린흡입덕트(2540)를 통해 여과공기가 흡입된다.
상기 클린흡입덕트(2540)을 통해 흡입된 여과공기는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의 제 1 흡입공간(2551) 및 제 1 흡입공간 토출부92553)을 거쳐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으로 유동된다.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으로 유동된 공기는 가습임펠러(2510)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을 따라 하측으로 유동된 후, 제 2 흡입개구면(2562)를 통해 스팀제너레이터(2300) 내부로 유동된다.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공기흡입부(2318)을 통해 스팀하우징(2310) 내부로 유동된 여과공기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생성된 스팀과 함께 스팀토출부(2316)로 토출된다.
상기 스팀토출부(2316)에서 토출된 가습공기는 메인스팀가이드(2450)에서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으로 분기된다.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로 유동된 가습공기는 제 1 디퓨저(2440)를 통해 제 1 측면토출구(301)로 토출되고,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로 유동된 가습공기는 제 2 디퓨저(2450)를 통해 제 2 측면토출구(302)로 토출된다.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서 토출된 가습공기는 근거리팬 어셈블리(300)를 통해 생성된 바람과 함께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좌측으로 확산되고, 상기 제 2 측면토출구(302)에서 토출된 가습공기는 근거리팬 어셈블리(300)를 통해 생성된 바람과 함께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우측으로 확산된다.
도 23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운전 시 유동흐름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스팀살균 운전 시 유동흐름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가 가습운전되는 경우,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는 클린흡입덕트(2540)를 통해 가습팬(2500)으로 흡입되고, 상기 가습모터(2520)의 구동에 의해 흡입된 여과공기가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유동된다.
상기 가습팬(2500)에서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500)로 유동되는 공기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유동되고, 공기흡입부(2318)를 통해 스팀하우징(2310) 내부로 유동된다.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로 유동된 여과공기는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에서 생성된 스팀과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여과공기는 스팀하우징(2310) 내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스팀과 혼합될 수 있고, 상기 스팀 및 여과공기의 혼합을 통해 가습공기가 형성된다.
가습운전 시,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 중 제 1 히터부(2321)에만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제 1 히터부(2321)만 발열된다.
상기 가습팬(2500)이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토출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하우징(2310)에서 공기를 빨아들이는 구조인 경우,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스팀이 필터어셈블리(600) 측으로 역류될 수 있고, 상기 필터어셈블리(600)에 응축수를 생성시킬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습팬(2500)이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 측으로 공기를 불어넣어 여과공기를 공급하기 때문에,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생성된 스팀이 필터어셈블리(600)으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습팬(2500)이 작동되지 않을 경우, 상기 공기흡입부(2318)를 통해 스팀이 역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습팬(2500)이 상기 스팀하우징(2310)을 향해 공기를 불어넣어 공급하기 때문에,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발생된 스팀이 공기 흡입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가습공기는 스팀토출부(2316)를 통해 스팀하우징(2310) 밖으로 토출된다. 상기 스팀토출부(2316)의 상부에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가 배치되고, 상기 가습공기는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를 따라 상측으로 유동된다.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를 유동하는 가습공기는 실내공기 보다 뜨겁기 때문에, 밀도차에 의해 상승될 수 있다.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를 유동하는 가습공기는 가습팬(2500)에 의한 공기압력 및 밀도차에 의해 하측에서 상측으로 자연스럽게 유동될 수 있다.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의 가습공기는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로 나뉜 후 제 1 디퓨저(2430) 또는 제 2 디퓨저(2440)에 공급된다.
실내의 컨디션에 따라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 제 2 분지가이드(2420), 제 1 디퓨저(2430) 또는 제 2 디퓨저(2440)에서 응축수가 생성될 수 있다.
스팀가이드(2400)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된다. 자중에 의해 상기 디퓨저(2430)(2440)에서 분지가이드(2410)(2420)로 이동되는 응축수는 상기 디퓨저인릿(2433)(2443)을 통해 상기 분지가이드(2410)(2420)의 상부로 유입된다.
상기 디퓨저인릿(2433)(2443)을 통해 상기 분지가이드(2410)(2420)로 응축수가 이동될 때, 상기 응축수 및 공기의 간섭에 의한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려는 응축수와 상측으로 유동되는 가습공기가 마찰을 발생시키고, 상기 마찰에 의해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상기 디퓨저인릿(2433)(2443)의 내측면에서 응축수가 분리되면, 상측으로 유동되는 가습공기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는 응축수가 만나 소음이 발생된다.
생성된 응축수가 소량인 경우,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할 정도의 소음이지만, 다량의 응축수가 생성되는 경우,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을 정도의 소음이 발생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디퓨저인릿(2433)(2443) 및 분지가이드(2410)(2420)가 결합되는 부분에 상기 응축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소음저감구조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소음저감구조를 위해 디퓨저인릿(2433)(2443)의 내경(P1)이 상기 분지가이드(2410)(2420)의 내경(P2) 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디퓨저인릿(2433)(2443)의 하단(2433a) 및 분지가이드(2410)(2420) 내측면 사이에 단(GP)을 형성시킨다.
상기 디퓨저인릿(2433)(2443)의 내경(P1)이 상기 분지가이드(2410)(2420)의 내경(P2) 보다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측에서 흘러내리는 응축수는 디퓨저인릿의 하단(2433a)에서 표면장력에 의해 상기 분지가이드의 내측면(2410a)으로 이동된다.
분지가이드에서 디퓨저인릿의로 공기가 유동될 때, 내경이 P2에서 P1으로 작아지기 때문에, 디퓨저인릿의 하단(2433a) 주변에서 공기 저항이 형성되고, 공기 스트림이 분지가이드(2410)(2420)의 내측면(2410a) 보다는 디퓨저인릿의 내경(P1)으로 유동되려는 현상을 유발시킨다.
즉, 상기 내경이 좁아지는 상기 단(GP)를 통해 응축수는 분지가이드의 내측면(2410a)을 따라 하측으로 유동시킬 수 있고, 가습공기의 풍압으로 인해 상기 디퓨저인릿(2433)(2443)의 내측면에서 응축수가 분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디퓨저인릿(2433)(2443)의 내경(P1)과 상기 분지가이드(2410)(2420)의 내경(P2)을 같게 형성시키고, 상기 디퓨저인릿의 내측면(2433b)과 분지가이드의 내측면(2410a)을 연속된 면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 1 디퓨저(2430) 및 제 2 디퓨저(2440)에 공급된 가습공기는 각 제 1 디퓨져아웃릿(2431) 및 제 2 디퓨저아웃릿(2441)에서 토출된다.
다음으로, 가습어셈블리를 스팀살균하는 경우, 가습팬(2500)은 작동되지 않고 스팀제너레이터(2300)만 작동된다. 상기 상기 스팀살균 운전 시,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 모두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제 1 히터부(2321)만 발열된다.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를 모두 작동시키는 경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저장된 물을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고, 생성된 스팀의 온도를 급상승시킬 수 있기 때문에, 소량의 물로도 스팀가이드(2400) 전체를 살균할 수 있다.
상기 스팀살균 운전 후,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물 및 물탱크(2100)의 물은 함께 배수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가습어셈블리가 도시된 실내기의 정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평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디퓨저 및 사이드그릴의 단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 1 디퓨저(12430) 및 제 2 디퓨저(12440)의 배치가 상기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달리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12430)(12440)는 사이드그릴(152)의 후방 측에 배치되고, 상기 각 디퓨저아웃릿(2431)(2441)은 전방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디퓨저(12430)(12440)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이 쐐기 형태로 형성되고, 뾰족한 디퓨저아웃릿(2341)(2441)이 전방에 배치된 사이드그릴(152)의 베인(155)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디퓨저(12430)(12440)는 측면토출구(301)(302) 보다 후방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저(12430)(12440)는 디퓨저인릿(2433)(2443)이 후방 측에 배치되고, 디퓨저아웃릿(2341)(2441)이 전방 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디퓨저(12430)(12440)에서 토출되는 가습공기의 스트림은 상기 토출공기의 스트림과 교차된다.
상기 디퓨저(12430)(12440)가 측면토출구(301)(302)의 후방 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토출공기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디퓨저(12430)(12440)가 측면토출구(301)(302)의 후방 측에 되기 때문에, 상기 토출공기가 모터커버(318)와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어셈블리는 어퍼캐비닛(110) 및 로어캐비닛(120)이 구획되고, 상기 어퍼캐비닛(110) 및 로어캐비닛(120) 사이에 제 1 내부공간(S1) 및 제 2 내부공간(S2)을 구획하는 파티션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파티션은 드레인팬(140)일 수 있다.
상기 어퍼캐비닛(110) 배면에 제 1 흡입구(101)가 배치되고, 상기 로어캐비닛(120) 배면에 제 2 흡입구(102)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흡입구(101)에 제 1 필터어셈블리(600)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흡입구(102)에 제 2 필터어셈블리(602)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흡입구(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어셈블리(500)를 통과하고,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와 열교환되어 실내공기를 공조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흡입구(102)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가습어셈블리(2000)에 공급된다. 상기 제 2 흡입구(102)를 통해 흡입된 여과공기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이 가습어셈블리(2000)에 공급되고, 가습공기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열교환어셈블리(500)와 열교환된 여과공기를 가습어셈블리에 공급하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와 열교환되지 않고 제 2 필터어셈블리(602)만 통과한 여과공기를 사용하여 가습공기를 생성한다.
실내기를 오래 작동시킬 경우, 열교환어셈블리(500)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열교환어셈블리(500)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가습어셈블리(2000)에 흡입되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스팀가이드(2400)는 상기 파티션(본 실시예에서 드레인팬)을 관통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내부공간(S1) 및 제 2 내부공간(S2)의 공기는 파티션에 의해 차단되고, 공조된 공기가 제 2 내부공간(S2)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캐비닛어셈블리 200 : 도어어셈블리
300 : 근거리팬 어셈블리 400 : 원거리팬 어셈블리
500 : 열교환어셈블리 600 : 필터어셈블리
700 : 무빙클리너 1100 : 패널모듈
1800 : 케이블가이드 1900 : 카메라모듈
2000 : 가습어셈블리 2100 : 물탱크
2200 : 물공급어셈블리 2300 : 스팀제너레이터
2400 : 스팀가이드 2500 : 가습팬

Claims (10)

  1. 내측에 내부공간이 형성된 캐비닛어셈블리;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된 토출구;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된 흡입구;
    상기 흡입구로 유동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어셈블리;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여과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시키는 팬어셈블리;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내부에 저장된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켜 가습공기를 생성하는 스팀제너레이터; 및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와 결합되는 가습팬을 포함하고,
    상기 가습팬은 상기 여과공기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가 배치된 영역으로 유동시키는 유로를 제공하는 흡입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 내부로 상기 여과공기를 불어넣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팬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상부에 상기 가습팬과 연결되고, 상기 가습팬에서 공급된 상기 여과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흡입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팬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와 결합되고, 상기 흡입된 공기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로 안내하는 가습팬하우징;
    상기 가습팬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팬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로 유동시키는 가습임펠러; 및
    상기 가습임펠러를 회전시키는 가습모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팬하우징은 상기 흡입구 측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덕트는
    일단은 상기 필터어셈블리 전방에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가 배치된 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여과공기를 상기 가습팬하우징에 제공하는 공기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어셈블리는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측에 배치되고, 내측에 상기 스팀제너레이터가 배치되는 로어캐비닛;
    상기 로어캐비닛 상측에 배치되고, 내측에 열교환어셈블리가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가 형성된 어퍼캐비닛; 및
    상기 로어캐비닛과 상기 어퍼캐비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어셈블리를 지지하는 드레인팬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덕트의 상단은 상기 어퍼캐비닛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흡입덕트의 하단은 상기 로어캐비닛 내부에 위치하는 공기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덕트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를 향해 개구된 제1 덕트 개구면이 형성된 제1 덕트부; 및
    상기 드레인팬을 상하 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가습팬하우징과 연결된 제2 덕트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팬하우징은
    상기 흡입덕트와 결합되고, 제1 흡입공간을 형성하는 제1 가습팬하우징;
    상기 제1 가습팬하우징과 결합되고, 제2 흡입공간을 형성하고, 내부에 가습임펠러가 배치되고, 상기 여과공기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로 안내하는 제2 가습팬하우징; 및
    상기 제2 가습팬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모터가 설치되는 모터설치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팬하우징은
    상기 제1 흡입공간의 전방을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습팬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하우징부;
    상기 제1 흡입공간의 후방을 감싸면서 상기 제2 흡입공간의 전방을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습팬하우징의 나머지 및 상기 제2 가습팬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 하우징부; 및
    상기 제2 흡입공간의 후방을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모터설치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 가습팬하우징의 나머지를 구성하는 제3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임펠러는
    중앙측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원심팬인 공기조화기.
KR1020210107553A 2019-03-04 2021-08-13 공기조화기 KR102510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2602A KR102628642B1 (ko) 2019-03-04 2023-03-13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24964 2019-03-04
KR1020190024964 2019-03-04
KR1020190029800A KR102292089B1 (ko) 2019-03-04 2019-03-15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800A Division KR102292089B1 (ko) 2019-03-04 2019-03-15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2602A Division KR102628642B1 (ko) 2019-03-04 2023-03-13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448A KR20210103448A (ko) 2021-08-23
KR102510974B1 true KR102510974B1 (ko) 2023-03-16

Family

ID=7247149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800A KR102292089B1 (ko) 2019-03-04 2019-03-15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210107553A KR102510974B1 (ko) 2019-03-04 2021-08-13 공기조화기
KR1020230032602A KR102628642B1 (ko) 2019-03-04 2023-03-13 공기조화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800A KR102292089B1 (ko) 2019-03-04 2019-03-15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2602A KR102628642B1 (ko) 2019-03-04 2023-03-13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292089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686B1 (ko) * 2003-11-17 2006-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552498B1 (ko) * 2004-08-09 2006-02-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주방용 에어컨의 응축수 제거장치
KR100813712B1 (ko) * 2006-05-20 2008-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101339079B1 (ko) 2012-03-28 2013-12-09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가습장치
KR20140067310A (ko) * 2012-11-26 2014-06-05 헵시바주식회사 수위조절형 응축수 증발장치가 구비된 정온유지장치
KR102256966B1 (ko) * 2014-06-10 2021-05-28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형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1674A (ko) 2023-03-24
KR102292089B1 (ko) 2021-08-23
KR20200106425A (ko) 2020-09-14
KR102628642B1 (ko) 2024-01-24
KR20210103448A (ko) 2021-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72926A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N105452777B (zh) 空调的室内单元
JP7174082B2 (ja) スチームジェネレータ
EP3767196A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N113518884A (zh) 空调机的室内机及其控制方法
KR20230042448A (ko)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가습어셈블리
CN111868451B (zh) 空调设备的室内机
KR102510974B1 (ko) 공기조화기
KR20230156000A (ko) 공기조화기
KR10264357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63817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63977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20220404042A1 (en)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KR10263977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10048478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