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478B1 - 코어캐쳐 시스템 - Google Patents
코어캐쳐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10478B1 KR102510478B1 KR1020210152856A KR20210152856A KR102510478B1 KR 102510478 B1 KR102510478 B1 KR 102510478B1 KR 1020210152856 A KR1020210152856 A KR 1020210152856A KR 20210152856 A KR20210152856 A KR 20210152856A KR 102510478 B1 KR102510478 B1 KR 1025104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re catcher
- stud
- cooling water
- target entry
- steel structure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1162 cor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0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4
- 239000003623 enhanc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768 molte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02100023927 Asparagine synthetase [glutamine-hydrolyzing]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1100380329 Homo sapiens ASNS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30 eli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379 elim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9/00—Emergency protection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reactor, e.g. safety valves provided with pressure equalisation devices
- G21C9/016—Core catchers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G21C15/18—Emergency cooling arrangements; Removing shut-down heat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G21C15/24—Promoting flow of the coola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tructure Of Emergency Protection For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코어캐쳐 시스템을 제공한다. 코어캐쳐 시스템은 수용구조물; 상기 수용구조물 내부에 위치되는 베이스구조물; 및 상기 수용구조물에 내부의 상기 베이스구조물상에 위치되는 코어캐쳐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코어캐쳐유닛은, 스틸구조물과, 상기 스틸구조물의 저면부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스틸구조물을 상기 베이스구조물 상에 거치시키는 저면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저면구조물은, 상기 스틸구조물의 저면부에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스터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터드부는. 상기 스틸구조물의 저면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터드부로 진입하는 유체가 상기 스틸구조물의 저면부를 포함하는 타깃영역으로 진입하도록 가이드하는 티깃진입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코어캐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노형에 도입된 코어캐쳐 시스템은 중대사고 발생 시 원자로용기 파손부를 통해 노심용융물이 방출되었을 때. 노심용융물을 코어캐쳐 시스템에 가두고, 냉각수를 이용하여 냉각할 수 있다. 이때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설치된 지지대인 스터드는 코어캐쳐 시스템을 지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터드는 유체에 흐름을 방해하여 장애물 역할을 하게 되어 스터드 후단에 유체가 도달하지 못하는 핫스팟 영역이 발생시키게 된다. 특히, 코어캐쳐 시스템으로 재배치된 고온의 노심용융물을 냉각하는 과정에서 기포가 생성된다. 이러한 기포는 유로 상부의 축적되어 노심용융물과 유체의 열전달을 방해하는 갭보일링(Gap Boiling)을 유발시킨다. 즉, 유로 상부의 축적된 기포로 인해 유체와의 열전달이 효과적으로 발생하지 못하게 되어, 해당 영역에서 용융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코어캐쳐 시스템의 스터드 후단에 구조물 통하여 코어캐쳐 시스템의 지지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코어캐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스터드 후단 부분에 후류로 인한 핫스팟 영역을 제거하고, 고온의 노심용융물과 유체의 열전달 과정에서 생성된 기포가 유로 상부의 축적되어 발생한 갭 보일링(Gap Boiling) 등을 해소시키는 코어캐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갭 보일링 등의 해소를 통해 코어캐쳐 시스템의 냉각능력을 증진시키고, 종국적으로 원자력발전소 건전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코어캐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코어캐쳐 시스템은 수용구조물; 상기 수용구조물 내부에 위치되는 베이스구조물; 및 상기 수용구조물에 내부의 상기 베이스구조물상에 위치되는 코어캐쳐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코어캐쳐유닛은, 스틸구조물과, 상기 스틸구조물의 저면부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스틸구조물을 상기 베이스구조물 상에 거치시키는 저면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저면구조물은, 상기 스틸구조물의 저면부에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스터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터드부는. 상기 스틸구조물의 저면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터드부로 진입하는 유체가 상기 스틸구조물의 저면부를 포함하는 타깃영역으로 진입하도록 가이드하는 티깃진입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구조물로 연통되어 상기 유체로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구조물은, 바닥면이 상기 베이스구조물과 제1이격공간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측면부가 상기 베이스구조물 및 상기 코어캐쳐유닛의 둘레부 적어도 일부와 제2이격공간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상기 냉각수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냉각수는 상기 수용구조물로 공급되어 상기 코어캐쳐유닛상의 용융물을 냉각시킨다.
또한, 상기 냉각수는 상기 코어캐쳐유닛을 냉각시킨 뒤 상기 수용구조물의 제1이격공간과 상기 제2이격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을 통해 상기 코어캐쳐유닛의 하부로 순환되며, 상기 냉각수공급부에서 재차 공급되는 냉각수를 통해 상기 코어캐쳐유닛을 매개로 상기 용융물을 냉각시킨다.
또한, 상기 스터드부는 제1스터드부와, 상기 제1스터드부와 이웃하는 제2스터드부와, 상기 제2스터드부와 이웃하는 제3스터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틸구조물은, 상기 냉각수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의 상기 용융물 냉각과 냉각 이후의 순환에 기반하는 기포를 포함하는 기포층이 상기 타깃영역상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타깃진입부는 상기 스터드부상에서 진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체가 상기 타깃영역상의 상기 기포층을 제거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타깃진입부는 상기 스터드부상에서 상호 이웃도록 다수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타깃진입부는, 제1타깃진입부와, 상기 제1타깃진입부의 일측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타깃진입부와, 상기 제1타깃진입부의 타측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3타깃진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터드부는, 높이가 5 Cm 내지 15Cm 범위 내의 값을 포함하며, 단면지름이 5Cm 내지 10Cm 범위 내의 값을 포함하며, 상기 타깃진입부는 단면지름이 1Cm 내지 3Cm 범위 내의 값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코어캐쳐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은 코어캐쳐 시스템의 스터드 후단에 구조물 통하여 코어캐쳐 시스템의 지지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코어캐쳐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터드 후단 부분에 후류로 인한 핫스팟 영역을 제거하고, 고온의 노심용융물과 유체의 열전달 과정에서 생성된 기포가 유로 상부의 축적되어 발생한 갭 보일링(Gap Boiling) 등을 해소시키는 코어캐쳐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갭 보일링 등의 해소를 통해 코어캐쳐 시스템의 냉각능력을 증진시키고, 종국적으로 원자력발전소 건전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코어캐쳐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쳐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코어캐쳐 시스템이 적용되지 않은 상태의 유속상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도 1에 따른 코어캐쳐 시스템을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쳐 시스템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구성을 적용하기 위한 코어캐쳐 시스템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쳐 시스템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5 내지 도 16은 도 12에 따른 구성을 적용하기 위한 코어캐쳐 시스템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코어캐쳐 시스템이 적용되지 않은 상태의 유속상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도 1에 따른 코어캐쳐 시스템을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쳐 시스템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구성을 적용하기 위한 코어캐쳐 시스템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쳐 시스템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5 내지 도 16은 도 12에 따른 구성을 적용하기 위한 코어캐쳐 시스템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쳐 시스템은 수용구조물(110) 베이스구조물(120), 코어캐쳐유닛(130) 및 냉각수공급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캐쳐유닛(130)은, 스틸구조물(131), 저면구조물(132) 및 희생물질부(134)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 참조)
여기서 상기 저면구조물(132)은 스터드부(1321) 및 유속보강체(1322a, 1322b, 1322c)를 포함한다. 상기 스터드부(1321)는 제1스터드부(1321a), 제2스터드부(1321b), 및 제3스터드부(1321c)를 포함한다. (도 6 내지 도 8 참조)
상기 제1유속보강체(1322a)는 제1-1유속보강체(1322a1) 및 제1-2유속보강체(1322a2)를 포함한다. 상기 제2유속보강체(1322b)는 제2-1유속보강체(1322b1) 및 제2-2유속보강체(1322b2)를 포함한다. (도 6 내지 도 8 참조)
아울러 상기 제3유속보강체(1322c)는 제3-1유속보강체(1322c1) 및 제3-2유속보강체(1322c2)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구조물(110)은 소정형상으로 구비되어 내부수용공간을 가진다. (도 6 내지 도 8 참조)
상기 베이스구조물(120)은 상기 수용구조물(110)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코어캐쳐유닛(130)은 상기 수용구조물(110)에 내부의 상기 베이스구조물(120)상에 위치된다. (도 6 내지 도 8 참조)
한편 저면구조물(132)의 상기 스틸구조물(131)은 소정형상을 가진다. 상기 저면구조물(132)은 상기 스틸구조물(131)의 저면부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스틸구조물(131)을 상기 베이스구조물(120) 상에 거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저면구조물(132)의 상기 스터드부(1321)는 상기 스틸구조물(131)의 저면부에 상호 이격되도록 다수로 구비된다. 상기 냉각수공급부(140)는 상기 수용구조물(110)로 연통되어 상기 유체로서 냉각수를 공급한다. (도 1 및 도 3 참조)
여기서 상기 스틸구조물(131)의 상기 유속보강체(1322a, 1322b, 1322c)는 저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터드부(1321) 상호간의 유체의 흐름이 상기 스터드부(1321) 인근의 특정구간(S1) 등에서 정체되는 것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도 5 참조)
상기 코어캐쳐유닛(130)의 상기 희생물질부(134)는 상기 스틸구조물(131)의 상부에 형성되며 용융물(C)과 접촉한다. 상기 수용구조물(110)은 바닥면이 상기 베이스구조물(120)과 제1이격공간(L1)을 이루도록 구비된다. (도 1 참조)
이러한 상기 수용구조물(110)은 측면부가 상기 베이스구조물(120) 및 상기 코어캐쳐유닛(130)의 둘레부 적어도 일부와 제2이격공간(L2)을 이루도록 구비된다. (도 1 참조)
한편 상기 냉각수공급부(14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냉각수는 상기 수용구조물(110)로 공급되어 상기 코어캐쳐유닛(130)상의 용융물(C)을 냉각시킨다. (도 1 참조)
상기 냉각수는 상기 코어캐쳐유닛(130)을 냉각시킨 뒤 상기 수용구조물(110)의 제1이격공간(L1)과 상기 제2이격공간(L2)을 통해 상기 코어캐쳐유닛(130)의 하부로 순환된다. (도 1 참조)
이러한 상기 냉각수는 상기 냉각수공급부(140)에서 재차 공급되는 냉각수와의 합류를 통해 상기 코어캐쳐유닛(130)을 매개로 상기 용융물(C)을 냉각시킨다. 상기 스터드부(1321)의 상기 제1스터드부(1321a)는 기 설정된 규격으로 구비된다. (도 3 및 도 5 참조)
상기 스터드부(1321)의 상기 제2스터드부(1321b)는 상기 제1스터드부(1321a)와 이웃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스터드부(1321)의 상기 제3스터드부(1321c)는 상기 제2스터드부(1321b)와 이웃하도록 구비된다. (도 6 참조)
여기서 상기 제1스터드부(1321a) 내지 상기 제3스터드부(1321c)는 상호간의 적어도 동축선상영역인 제1영역(S1)과, 상기 제1스터드부(1321a) 내지 상기 제3스터드부(1321c)의 상기 제1영역(S1) 주변의 영역인 제2영역(S2)이 형성된다. (도 3 및 도 5 참조)
상기 제1영역(S1)의 상기 냉각수의 유속인 제1유속은 상기 제2영역(S2)의 유속인 제2유속과 대비하여 낮은 유속인 제1상태 또는 유속이 없는 상태인 제2상태를 이룬다. (도 5 참조)
상기 유속보강체(1322a, 1322b, 1322c)는 상기 제1영역(S1)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틸구조물(131)의 저면에 구비된다. 상기 제1스터드부(1321a)와 상기 제2스터드부(1321b) 사이에는 제1-1영역(S11)이 형성된다. 상기 제2스터드부(1321b)와 상기 제3스터드부(1321c) 사이에는 제1-2영역(S12)이 형성된다. (도 6 내지 도 8 참조)
아울러 상기 제3스터드부(1321c)와 상기 제4스터드부(1321) 사이에는 제1-3영역(S13)이 형성된다. 상기 유속보강체(1322a, 1322b, 1322c)의 제1유속보강체(1322a)는 상기 제1-1영역(S11)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틸구조물(131)의 저면에 구비된다. (도 5 및 도 6 참조)
상기 유속보강체(1322a, 1322b, 1322c)의 제2유속보강체(1322b)는 상기 제1-2영역(S12)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틸구조물(131)의 저면에 구비된다. 상기 유속보강체(1322a, 1322b, 1322c)의 제3유속보강체(1322b)는 상기 제1-3영역(S13)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틸구조물(131)의 저면에 구비된다. (도 5 및 도 6 참조)
이때 상기 제1유속보강체(1322a)의 상기 제1-1유속보강체(1322a1)는 적어도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스터드부(1321a)와 이웃한다. 이러한 상기 제1-1유속보강체(1322a1)는 길이방향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 이격되어 제1-1진입공간(TS11)을 이룬다. (도 6 내지 도 8 참조)
상기 제1유속보강체(1322a)의 상기 제1-2유속보강체(1322a2)는 적어도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스터드부(1321a)와 이웃한다. 상기 제1-2유속보강체(1322a2)는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 이격되어 제1-2진입공간(TS12)을 이룬다. (도 6 내지 도 8 참조)
아울러 상기 냉각수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스터드부(1321a)측으로부터 상기 제1-1진입공간(TS11) 내지 상기 제1-2진입공간(TS12)을 일정유속으로 경유하여 통과된다. (도 6 내지 도 8 참조)
상기 제2유속보강체(1322b)의 상기 제2-1유속보강체(1322b1)는 상기 제2스터드부(1321b)와 이웃하며, 길이방향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 이격되어 제2-1진입공간(TS21)을 이루도록 적어도 한 쌍으로 구비된다. (도 6 내지 도 8 참조)
여기서 상기 제2유속보강체(1322b)의 상기 제2-1유속보강체(1322b1)는 상기 제2스터드부(1321b)와 이웃하며,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 이격되어 제2-2진입공간(TS22)을 이루도록 적어도 한 쌍으로 구비된다. (도 6 내지 도 8 참조)
상기 냉각수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스터드부(1321b)측으로부터 상기 제2-1진입공간(TS21) 내지 상기 제2-2진입공간(TS22)을 일정유속으로 경유하여 통과된다. (도 6 내지 도 8 참조)
아울러 상기 제3유속보강체(1322c)의 상기 제3-1유속보강체(1322c1)는 상기 제3스터드부(1321c)와 이웃하며, 길이방향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 이격되어 제3-1진입공간(TS31)을 이루도록 적어도 한 쌍으로 구비된다. (도 6 내지 도 8 참조)
상기 제3유속보강체(1322c)의 상기 제3-2유속보강체(1322c2)는 상기 제3스터드부(1321c)와 이웃하며,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 이격되어 제3-2진입공간(TS32)을 이루도록 적어도 한 쌍으로 구비된다. (도 6 내지 도 8 참조)
여기서 상기 냉각수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스터드부(1321a)측으로부터 상기 제3-1진입공간(TS31) 내지 상기 제3-2진입공간(TS32)을 일정유속으로 경유하여 통과된다. (도 6 내지 도 8 참조)
상기 제1-2유속보강체(1322a2)는 상기 제1-1유속보강체(1322a1)보다 더 큰 두께값을 포함하는 규격을 가진다. 상기 제2-2유속보강체(1322b2)는 상기 제2-1유속보강체(1322b1)보다 더 큰 두께값을 포함하는 규격을 가진다. (도 6 내지 도 8 참조)
아울러 상기 제3-2유속보강체(1322c2)는 상기 제3-1유속보강체(1322c1)보다 더 큰 두께값을 포함하는 규격을 가진다. 상기 제1-1유속보강체(1322a1)는 각기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제1방향으로의 제1기울기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도 6 참조)
상기 제1-2유속보강체(1322a2)는 각기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의 제2기울기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2-1유속보강체(1322b1)는 각기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제1방향으로의 제3기울기를 가진다. (도 6 참조)
한편 상기 제2-2유속보강체(1322b2)는 각기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의 제4기울기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제3-1유속보강체(1322c1)는 각기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tkdrl 제1방향으로의 제5기울기를 가진다. (도 6 참조)
상기 제3-2유속보강체(1322c2)는 각기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의 제6기울기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유속보강체(1322a, 1322b, 1322c)는 다각 원 및 타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체형 형상을 포함한다. (도 8 참조)
이하에서 전술한 기술적 특징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쳐 시스템은 상기 스터드부(1321)에 중공형의 타깃진입부(TG1, TG2, TG3)가 형성된다. 상기 타깃진입부(TG1, TG2, TG3)는 제1타깃진입부(TG1), 제2타깃진입부(TG2) 및 제3타깃진입부(TG3)를 포함한다.
상기 스터드부(1321)는 상기 타깃진입부(TG1, TG2, TG3)를 통해 상기 스터드부(1321)로 진입하는 유체가 상기 스틸구조물(131)의 저면부를 포함하는 타깃영역으로 진입하도록 가이드한다. (도 9 참조)
상기 스틸구조물(131)은 상기 냉각수공급부(140)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의 상기 용융물(C) 냉각과 냉각 이후의 순환에 기반하는 기포를 포함하는 기포층(AL)이 상기 타깃영역상에 형성된다. (도 10 참조)
상기 타깃진입부(TG1)는 상기 스터드부(1321)상에서 진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체가 상기 타깃영역상의 상기 기포층(AL)을 제거하도록 한다. 즉, 냉각을 위한 냉각수와 스틸구조물(131) 저면부 상호간의 접촉을 방해하는 기포층(AL)이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0 참조)
이러한 상기 타깃진입부(TG1)는 상기 스터드부(1321)상에서 상호 이웃도록 다수로 구비된다. 상기 타깃진입부(TG1)의 상기 제1타깃진입부(TG1)는 소정 규격으로 상기 스틸구조물(131) 저면부에 구비된다. 상기 타깃진입부(TG1)의 상기 제2타깃진입부(TG2)는 상기 제1타깃진입부(TG1)의 일측에 이격되어 구비된다. (도 9 참조)
아울러 상기 타깃진입부(TG1)의 제3타깃진입부(TG1)는 상기 제1타깃진입부(TG1)의 타측에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스터드부(1321)는 높이가 약 5 내지 약 15Cm 범위 내의 값을 포함하며, 단면지름이 약 5 내지 약 10Cm 범위 내의 값을 포함한다. 상기 타깃진입부(TG1)는 단면지름이 약 1 내지 약 3Cm 범위 내의 값을 포함한다. (도 9 참조)
이하에서 전술한 기술적 특징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어캐쳐 시스템의 상기 스터드부(1321)은 상향식타깃진입부(TG2)가 형성된다. (도 11 내지 도 13 참조)
상기 스터드부(1321)의 상기 상향식타깃진입부(TG2)는 상기 스터드부(1321) 사이로 진입하는 유체가 상기 스틸구조물(131)의 저면부를 포함하는 타깃영역으로 수위가 상승되어 진입하도록 한다. (도 13 참조)
한편 상기 스틸구조물(131)은 상기 냉각수공급부(140)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의 상기 용융물(C) 냉각과 냉각 이후의 순환에 기반하는 기포를 포함하는 기포층(AL)이 상기 타깃영역상에 형성된다. (도 11 내지 도12 및 도 14 내지 도 15 참조)
상기 상향식타깃진입부(TG2)는 상기 스틸구조물(131)의 저면부상에 패널형태로서 대각방향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상향식타깃진입부(TG2)는 상기 스터드부(1321)들 사이로 진입하는 상기 유체의 흐름에 대응하여 상기 유체가 상기 타깃영역에 상향식으로 진입되도록하여 상기 기포층(AL)을 제거하도록 한다. (도 13 참조)
상기 상향식타깃진입부(TG2)는 상기 스터드부(1321)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틸구조물(131)의 저면부에 설치된다. 상기 스틸구조물(131)의 저면부에서 다수로 상호 균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상이한 거리로 이웃하여 구비된다. (도 11 내지 도 13 참조)
이러한 상기 상향식 타깃진입부(TG1)는 하방단부를 향하여 테이퍼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향식 타깃진입부(TG1)는 상방단부가 상기 스틸구조물(131)상에서 설정범위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가 가능하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수용구조물
120: 베이스구조물
130: 코어캐쳐유닛
131: 스틸구조물
132: 저면구조물
1321: 스터드부
1322: 유속보강체
140: 냉각수공급부
120: 베이스구조물
130: 코어캐쳐유닛
131: 스틸구조물
132: 저면구조물
1321: 스터드부
1322: 유속보강체
140: 냉각수공급부
Claims (7)
- 수용구조물;
상기 수용구조물 내부에 위치되는 베이스구조물; 및
상기 수용구조물에 내부의 상기 베이스구조물상에 위치되는 코어캐쳐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코어캐쳐유닛은,
스틸구조물과, 상기 스틸구조물의 저면부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스틸구조물을 상기 베이스구조물 상에 거치시키는 저면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저면구조물은,
상기 스틸구조물의 저면부에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스터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터드부는.
상기 스틸구조물의 저면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터드부로 진입하는 유체가 상기 스틸구조물의 저면부를 포함하는 타깃영역으로 진입하도록 가이드하는 티깃진입부가 형성되되,
상기 수용구조물로 연통되어 상기 유체로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구조물은,
바닥면이 상기 베이스구조물과 제1이격공간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측면부가 상기 베이스구조물 및 상기 코어캐쳐유닛의 둘레부 적어도 일부와 제2이격공간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상기 냉각수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냉각수는 상기 수용구조물로 공급되어 상기 코어캐쳐유닛상의 용융물을 냉각시키되,
상기 스터드부는,
제1스터드부와, 상기 제1스터드부와 이웃하는 제2스터드부와, 상기 제2스터드부와 이웃하는 제3스터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틸구조물은,
상기 냉각수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의 상기 용융물 냉각과 냉각 이후의 순환에 기반하는 기포를 포함하는 기포층이 상기 타깃영역상에 형성되는, 코어캐쳐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는 상기 코어캐쳐유닛을 냉각시킨 뒤 상기 수용구조물의 제1이격공간과 상기 제2이격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을 통해 상기 코어캐쳐유닛의 하부로 순환되며,
상기 냉각수공급부에서 재차 공급되는 냉각수를 통해 상기 코어캐쳐유닛을 매개로 상기 용융물을 냉각시키는, 코어캐쳐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진입부는 상기 스터드부상에서 진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체가 상기 타깃영역상의 상기 기포층을 제거하도록 하는, 코어캐쳐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진입부는 상기 스터드부상에서 상호 이웃도록 다수로 구비되는, 코어캐쳐 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진입부는,
제1타깃진입부와,
상기 제1타깃진입부의 일측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타깃진입부와,
상기 제1타깃진입부의 타측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3타깃진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터드부는,
높이가 5Cm 내지 15Cm 범위 내의 값을 포함하며, 단면지름이 5Cm 내지 10Cm 범위 내의 값을 포함하며,
상기 타깃진입부는 단면지름이 1Cm 내지 3Cm 범위 내의 값을 포함하는, 코어캐쳐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52856A KR102510478B1 (ko) | 2021-11-09 | 2021-11-09 | 코어캐쳐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52856A KR102510478B1 (ko) | 2021-11-09 | 2021-11-09 | 코어캐쳐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10478B1 true KR102510478B1 (ko) | 2023-03-14 |
Family
ID=85503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52856A KR102510478B1 (ko) | 2021-11-09 | 2021-11-09 | 코어캐쳐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10478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95595A (ja) * | 2003-12-31 | 2005-07-21 | General Electric Co <Ge> | 炉心キャッチャ冷却 |
KR101005668B1 (ko) * | 2010-06-14 | 2011-01-05 |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 통합 냉각유로를 갖춘 코어 캐쳐 |
KR20200101728A (ko) | 2019-02-20 | 2020-08-28 |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원자로 노심용융사고 대비 코어캐쳐용 인산칼슘계 희생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희생용 콘크리트 조성물 |
-
2021
- 2021-11-09 KR KR1020210152856A patent/KR10251047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95595A (ja) * | 2003-12-31 | 2005-07-21 | General Electric Co <Ge> | 炉心キャッチャ冷却 |
KR101005668B1 (ko) * | 2010-06-14 | 2011-01-05 |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 통합 냉각유로를 갖춘 코어 캐쳐 |
KR20200101728A (ko) | 2019-02-20 | 2020-08-28 |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원자로 노심용융사고 대비 코어캐쳐용 인산칼슘계 희생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희생용 콘크리트 조성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253009B (zh) | 钢板的冷却设备和冷却方法 | |
JP7010930B2 (ja) | 金属鋳塊の製造方法 | |
KR102510478B1 (ko) | 코어캐쳐 시스템 | |
KR20130133756A (ko) | 유리 필름의 할단 방법 | |
KR102510486B1 (ko) | 코어캐쳐 시스템 | |
KR102510484B1 (ko) | 코어캐쳐 시스템 | |
US4003785A (en) | Reactor core melt containment receptacle | |
JP3263402B2 (ja) | 原子炉容器用間隙構造物 | |
JP2005195595A (ja) | 炉心キャッチャ冷却 | |
CN208628675U (zh) | 一种大型大厚度精密钣金件连续切割加工的快速散热激光切割装置 | |
JP2000504119A (ja) | 原子炉容器用間隙構造物 | |
JP6109580B2 (ja) | 溶融炉心保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原子炉格納容器 | |
CN114102453B (zh) | 具有u型截面轮廓的沟槽砂轮的激光加工装置及方法 | |
CN101928816A (zh) | 钢板冷却装置 | |
JP7463259B2 (ja) | 冷却装置 | |
CN111663049B (zh) | 一种冷却装置及提高电渣重熔铸锭底部冷却强度的方法 | |
US4501314A (en) | Casting support apparatus for continuous casting equipment | |
KR102461166B1 (ko) | 커버 냉각장치 | |
CN211694980U (zh) | 一种水冷壁护翼式防磨导流板 | |
CN220724346U (zh) | 一种激光熔覆用的喷头设备 | |
CN218874150U (zh) | 一种用于激光切割机上的工件降温结构 | |
CN211161814U (zh) | 一种钢坯连铸结晶器 | |
CN210529044U (zh) | 一种靶材的u型冷却水循环装置 | |
CN213421871U (zh) | 一种重熔炉用辅助冷却装置 | |
KR102719786B1 (ko) | 스플래시 없는, 특히 고체 레이저를 이용하는 용접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