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9704B1 - 협대역 사물 인터넷에 대한 억세스를 위한 방법 및 사용자 단말기 - Google Patents

협대역 사물 인터넷에 대한 억세스를 위한 방법 및 사용자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9704B1
KR102509704B1 KR1020180041694A KR20180041694A KR102509704B1 KR 102509704 B1 KR102509704 B1 KR 102509704B1 KR 1020180041694 A KR1020180041694 A KR 1020180041694A KR 20180041694 A KR20180041694 A KR 20180041694A KR 102509704 B1 KR102509704 B1 KR 102509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carrier
carrier
mib
sib1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4519A (ko
Inventor
디 수
페이페이 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114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 H04L41/052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using standardised 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e.g. 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 [TMN] or unified 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 [UN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06Configuration setting for initial configuration or provisioning, e.g. plug-and-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2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NB IoT)에 대한 억세스를 위한 방법을 개시하며, 상기 방법은: NPSS 및 NSSS를 검출하여 다운링크 동기를 인식하는 단계; NPBCH를 검출하여 협대역 마스터 정보 블록(MIB-NB)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MIB-NB 정보에 따라 협대역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1(SIB1-NB)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NPSS와, NSSS와, MIB-NB 및 SIB1-NB 중 적어도 하나는 논-앵커 캐리어에서 송신된다.

Description

협대역 사물 인터넷에 대한 억세스를 위한 방법 및 사용자 단말기{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ACCESS TO NARROWBAND INTERNET OF THINGS(NB IoT)}
본 개시는 무선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협대역 사물 인터넷(narrow band internet of things: NB IoT)에 대한 억세스를 위한 방법 및 사용자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4G (4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5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 (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 (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 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 (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 (massive multi-input multi-output: 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 (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 (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 (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 (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 (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 (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 (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은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 데이터 (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하나의 예가 될 수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 등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 (sensor network), 사물 통신 (Machine to Machine, M2M),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 (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 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 사물 통신, MTC 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 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NB(narrow band 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은 셀룰라 IoT에 대한 무선 억세스를 정의한다. 상기 NB IoT 기술은 호환이 가능하지 않은(non-backward-compatible) E-UTRA에 매우 의존적이며, 극단적인 커버리지 상황(extreme coverage scene)을 향상시키며, 매우 많은 개수의 낮은 레이트 IoT 단말기들을 지원한다. 상기 NB IoT 기술은 낮은 레이턴시(latency) 민감도와, 매우 낮은 비용 및 전력 소모를 가지는 장치와, 최적의 네트워크 아키텍쳐(architecture)들을 가진다. 상기 NB IoT 시스템은 (1) 상기 GERAN 시스템에 의해 점유되는 스펙트럼이 다시 개발되고(recultivated), 하나 혹은 그 이상의 GSM 캐리어들이 사용되는 독립형(stand-alone) 동작 모드; (2) 상기 LTE 대역폭에서, LTE를 위해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물리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들이 사용되는 대역-내(in-band) 동작 모드; 및 (3) 상기 LTE 시스템에 대한 보호 대역폭에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200 kHz 유휴(idle) 스펙트럼 자원들이 사용되는 보호-대역 동작 모드; 를 지원할 수 있다.
상기 NB IoT 기술 은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모드가 아닌,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상기 FDD 상황(scene)에서, 상기 앵커 캐리어들은 페어된(paired) 업링크 및 다운링크 주파수 포인트들이고, 하나의 무선 프레임 내에 보다 연속적이고 충분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이 존재한다. 이에 반해, 상기 TDD 상황에서 앵커 캐리어들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 동일한 주파수 포인트를 사용하고, 상기 하나의 무선 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들은 업링크, 다운링크 및 특별 서브프레임들로 분할된다. 상기 기존 시스템 설계에서, 상기 기본 및 보조 동기 신호들과, 브로드캐스트 채널들 및 협대역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1(narrow band 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1: SIB1-NB)을 송신하기 위한 서브프레임들은 규격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기존 설계는 상기 TDD 상황에서 바로 재사용될 수 없다. 일 예로, 상기 기존 SIB1-NB는 서브프레임 #4에서 송신된다고 규격에 의해 고정되며, 이에 반해 상기 대역-내 동작 모드에서 TDD NB IoT 설계는 상기 LTE 시스템에 대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을 따라야만 한다. 따라서, 서브프레임 #4는 반드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일 필요는 없다.
아래의 표 1은 상기 LTE 시스템에 대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기존 설계에서, 상기 앵커 캐리어들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 공통 시그널링을 송신하는데 굉장한 로드(load)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의 경우, 상기 기본 및 보조 동기 신호들, 브로드캐스트 채널들, 시스템 정보, 공통 시그널링 및 제어 채널들은 상기 앵커 캐리어들에서만 송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NB IoT 시스템의 제한된 대역폭으로 인해, 다운링크는 물리 채널들간의 혹은 다수의 사용자들간의 주파수 분할 멀티프렉싱을 지원하지 않으며, 또한 모든 물리 채널들은 시분할 멀티플렉싱 방식으로 다른 서브프레임들에서 송신된다. 하지만, TDD에 대해서는, 하나의 무선 프레임에 제한된 개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기존 시스템 설계는 상기 송신 요구 사항들을 만족시킬 수 없으며, 따라서 상기 TDD 상황에 적용될 수 없다.
상기 LTE 시스템에 대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 서브프레임 번호
0 1 2 3 4 5 6 7 8 9
0 D S U U U D S U U U
1 D S U U D D S U U D
2 D S U D D D S U D D
3 D S U U U D D D D D
4 D S U U D D D D D D
5 D S U D D D D D D D
6 D S U U U D S U U D
따라서, 상기와 같은 기술적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NB IoT에 대한 억세스를 위한 방법 및 사용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로 된다.
본 개시의 목적은 TDD 모드에 대해 채택될 수 있는, NB IoT에 대한 억세스를 위한 방법 및 사용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개시는 NB IoT에 대한 억세스를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협대역 기본 동기 신호(narrow band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NPSS) 및 협대역 보조 동기 신호(narrow band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NSSS)를 검출하여 다운링크 동기를 인식하는 단계와;
협대역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narrow band physical broadcast channel: NPBCH)을 검출하여 협대역 마스터 정보 블록(narrow band master information Block: MIB-NB)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MIB-NB 정보에 따라 협대역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1 (narrow band 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1: SIB1-NB)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NPSS와, NSSS와, MIB-NB 및 SIB1-NB 중 적어도 하나는 논-앵커 캐리어에서 송신된다.
상기 MIB-NB 정보에 따라 SIB1-NB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SIB1-NB 정보 및/혹은 상기 MIB-NB 정보에 따라 다른 협대역 시스템 정보 블록(narrow band system information block: SIB-NB)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른 SIBs-NB 정보는 상기 SIB1-NB 이외의 다수의 SIBs-NB를 포함하며, 상기 다른 SIBs-NB 중 적어도 하나는 앵커 캐리어들 혹은 논-앵커 캐리어에서 송신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NPSS 및 NSSS를 검출하여 다운링크 동기를 인식하는 단계는: NPSS 및 NSSS를 검출하여 다운링크 동기를 인식하고, 상기 NPSS 및/혹은 NSSS에 의해 사용되는 물리 자원들에 따라 시스템 듀플렉스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NPBCH를 검출하여 MIB-NB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시스템 듀플렉스 모드에 따라, 해당하는 시간-도메인 및/혹은 주파수-도메인 자원에서 NPBCH를 검출하여 MIB-NB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물리 자원들은 시간-도메인 자원들과, 주파수-도메인 자원들 및 시퀀스 자원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결정된 시스템 듀플렉스 모드에 따라 해당하는 주파수-도메인 자원에서 NPBCH를 검출하여 MIB-NB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시스템 듀플렉스 모드가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일 경우 앵커 캐리어에서 NPBCH를 검출하여 MIB-NB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시스템 듀플렉스 모드가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일 경우 논-앵커 캐리어에서 NPBCH를 검출하여 MIB-NB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MIB-NB 정보에 따라 SIB1-NB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MIB-NB에 포함되어 있는 SIB1-NB 자원 할당 정보에 따라 SIB1-NB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SIB1-NB 자원 할당 정보는 상기 SIB1-NB를 송신하기 위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의 위치 정보, 및/혹은 상기 SIB1-NB를 송신하기 위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캐리어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SIB1-NB 자원 할당 정보는 앵커 캐리어로부터부터 시작 캐리어의 오프셋과, 상기 시작 캐리어의 인덱스와, 캐리어들의 개수와, 캐리어 간격을 포함한다.
상기 SIB1-NB 정보 및/혹은 상기 MIB-NB 정보에 따라 다른 SIBs-NB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SIB1-NB에 포함되어 있는 다른 SIBs-NB 자원 할당 정보에 따라, 및/혹은 상기 MIB-NB에 포함되어 있는 다른 SIBs-NB 자원 할당에 대한 시스템 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다른 SIBs-NB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SIBs-NB 자원 할당 정보는 다른 SIBs-NB를 송신하기 위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의 위치 정보, 및/혹은 다른 SIBs-NB를 송신하기 위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캐리어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다른 SIBs-NB 자원 할당 정보는 앵커 캐리어로부터부터 시작 캐리어의 오프셋과, 상기 시작 캐리어의 인덱스와, 캐리어들의 개수와, 캐리어 간격을 포함한다.
상기 다른 SIBs-NB 자원 할당에 대한 시스템 정보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 정보이다.
이런 목적에 대해서, 본 개시는 NB IoT에 대한 억세스를 위한 사용자 장치를 더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장치는:
NPSS 및 NSSS를 검출하여 다운링크 동기를 인식하는 다운링크 동기 모듈;
NPBCH를 검출하여 협대역 마스터 정보 블록(narrow band master information block: MIB-NB) 정보를 획득하는 마스터 정보 획득 모듈; 및
상기 MIB-NB 정보에 따라 협대역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1 (narrow band 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1: SIB1-NB)을 획득하는 시스템 정보 획득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NPSS와, 상기 NSSS와, 상기 MIB-NB 및 상기 SIB1-NB 중 적어도 하나는 논-앵커 캐리어에서 송신된다.
이런 목적을 위해서, 본 개시는 NB IoT에 대한 억세스를 구성하는 방법을 더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다운링크 동기를 인식하도록 NPSS 및 NSSS를 송신하는 단계;
시스템의 기본 송신 파라미터들을 구성하기 위해 NPBCH에서 협대역 마스터 정보 블록(narrow band master information block: MIB-NB)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의 다른 기본 송신 파라미터들을 구성하기 위해 협대역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1 (narrow band 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1: SIB1-NB)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NPSS와, 상기 NSSS와, 상기 MIB-NB 및 상기 SIB1-NB 중 적어도 하나는 논-앵커 캐리어에서 송신된다.
이런 목적을 위해서, 본 개시는 NB IoT에 대한 억세스를 구성하는 기지국 장치를 더 제공하며, 상기 기지국 장치는:
다운링크 동기를 인식하도록 NPSS 및 NSSS를 송신하는 다운링크 동기 모듈;
시스템의 기본 송신 파라미터들을 구성하기 위해 NPBCH에서 협대역 마스터 정보 블록(narrow band master information block: MIB-NB)을 송신하는 마스터 정보 구성 모듈;
상기 시스템의 다른 기본 송신 파라미터들을 구성하기 위해 협대역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1 (narrow band 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1: SIB1-NB)을 송신하는 시스템 정보 구성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NPSS와, 상기 NSSS와, 상기 MIB-NB 및 상기 SIB1-NB 중 적어도 하나는 논-앵커 캐리어에서 송신된다.
본 개시는 다음과 같은 기술적 효과들을 가진다: 상기 NPSS와, NSSS와, MIB-NB 및 SIB1-NB에 대한 주파수-도메인 송신 자원들이 앵커 캐리어들로부터 논-앵커 캐리어들로 확장되고, 이는 상기 앵커 캐리어들의 로드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기존 NB IoT가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따라서, 매우 많은 사용자들이 연결되어 있을 경우, 스펙트럼 자원들의 더 높은 사용을 성취하고, 상기 NB IoT 시스템의 시스템 처리량 및 연결 효율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의 기술적 해결 방식들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도면들이 하기에서 간략하게 소개될 것이다. 하기에서 설명될 도면들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할 뿐이다. 다른 도면들은 임의의 창의적인 노력 없이도 당업자에 의해 상기 도면들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NB IoT에 대한 억세스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 1에 따른, NB IoT에 대한 억세스에 대한 해결 방식의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NPSS들과, NSSS들 및 NPBCH들을 송신하는 앵커 캐리어들을 구성하는 개략적 다이아그램;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SIB1-NB 자원 구성을 암시적으로(implicitly) 지시하는 개략적 다이아그램;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 2에 따른, NB IoT에 대한 억세스에 대한 해결 방식의 플로우차트;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규칙을 기반으로 물리 채널들의 주파수-호핑(frequency-hopping) 송신을 위한 다수의 캐리어들의 위치들을 결정하는 개략적 다이아그램;
도 7a 및 도 7b는 본 개시에 따른, 캐리어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SIB1-NB 자원들을 결정하는 개략적 다이아그램;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다수의 캐리어들에서 다운링크 채널의 주파수-호핑 송신의 패턴들의 개략적 다이아그램;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UE가 상기 NSSS를 기반으로 시스템 듀플렉스 모드(system duplex mode)를 결정하는 방법의 개략적 다이아그램;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UE가 상기 NSSS를 기반으로 시스템 듀플렉스 모드를 결정하는 다른 방법의 개략적 다이아그램;
도 11은 본 개시에 따른 UE가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와 캐리어에서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시간-주파수 자원들을 획득하는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12는 본 개시에 따른, NB IoT에 대한 억세스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모듈들의 블록 다이아그램;
도 13은 본 개시에 따른, NB IoT에 대한 억세스를 구성하는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14는 본 개시에 따른, NB IoT에 대한 억세스를 구성하는 기지국 장치의 모듈들의 블록 다이아그램을 도시한다.
당업자들이 본 개시의 기술적인 해결 방식들을 보다 잘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서의 기술적인 해결 방식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항들 및 도면들에서 설명되는 일부 플로우들에서, 특정 순서로 발생되는 많은 동작들이 포함된다. 하지만, 그 동작들은 여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순서로 수행되지 않을 수 있거나, 혹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만 할 것이다. 상기 동작들의 일련 번호들, 일 예로 101, 102 등은 단순히 다양한 동작들간을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될 뿐이며, 상기 일련 번호 자체가 실행 순서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플로우들은 더 많은 혹은 더 적은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혹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서의 기술적 해결 방식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명백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의 일부일 뿐이며, 전부는 아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기반으로 하는, 당업자가 어떤 창의적인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도 획득되는 다른 모든 실시예들이 본 개시의 보호 범위 내에 존재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협대역 사물 인터넷(narrow band internet of things: NB IoT)에 대한 억세스를 위한 방법을 도시하며, 상기 도 1의 방법은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즉 단말(terminal)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협대역 사물 인터넷에 대한 억세스를 위한 방법은 NPSS 및 NSSS를 검출하여 다운링크 동기를 인식하는 과정(단계 101)과, NPBCH를 검출하여 협대역 마스터 정보 블록(narrow band master information block: MIB-NB)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단계 102)과, 상기 MIB-NB 정보에 따라 협대역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1(narrow band 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1: SIB1-NB)을 획득하는 과정(단계 10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NPSS, NSSS, MIB-NB 및 SIB1-NB 중 적어도 하나는 논-앵커 캐리어(non-anchor carrier)에서 송신된다.
실시예 1
도 2는 듀플렉스 모드에서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에 대해 투과적인(transparent) 협대역 사물 인터넷(narrow band internet of things: NB IoT) 시스템을 구현하는 해결 방식의 일 실시예를 제안한다.
도 2에서 도시하는 방법은 UE가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셀 탐색을 수행하고, 고정된 서브프레임에서 NPBCH 수신하는 과정(단계 201)과, UE가 NPBCH에서 전달되는 MIB-NB 지시에 따라 SIB1-NB에 대한 시간-주파수 자원들을 획득(수신)하고, 상기 시간-주파수 자원들에서 SIB1-NB를 획득하는 과정(단계 202)과, UE가 SIB1-NB에서의 지시에 따라 다른 SIBs-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시간-주파수 자원들을 획득하고, 시간-주파수 자원들에서 다른 SIBs-NB를 수신하는 과정(단계 203)을 포함한다. 각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
단계 201: UE는 셀 탐색을 수행하고, 상기 채널 래스터(raster)를 만족하는 앵커 캐리어들의 고정된 서브프레임들에서,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협대역 기본 동기 채널 신호(narrow band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NPSS)와 협대역 보조 동기 채널 신호(narrow band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NSSS)를 수신하여 다운링크 동기를 인식하고, 상기 다운링크 동기가 완료된 후, 상기 UE는 고정된 서브프레임에서 협대역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narrow band physical broadcast channel: NPBCH)을 수신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예로, 상기 UE는 서브프레임 #5(320)에서 NPSS를 수신하고, 서브프레임 #9(330)에서 NSSS를 수신하고, 서브프레임 #0(310)에서 NPBCH를 수신한다. 이 경우, 상기 시스템 측으로부터, 상기 TDD-이네이블드(TDD-enabled) 시스템은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 0에서 상기 대역-내(in-band) 동작 모드에서 NB IoT 시스템의 구성을 지원하지 않는다(표 1 참조).
단계 202: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NPBCH에서 전달되는 MIB-NB 지시에 따라 (상기 MIB-NB에서 자원 할당 정보를 리딩(reading)하는), 상기 UE는 상기 SIB1-NB에 대한 시간-주파수 자원들을 획득하고 상기 시간-주파수 자원들에서 상기 SIB1-NB를 수신한다. 상기 MIB-NB가 상기 SIB1-NB에 의해 사용되는 시간-주파수 자원들을 지시하는 방식은 명시적 지시(explicit indication) 혹은 특정 규칙과 결합되는 암시적 지시(implicit indication)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파수 도메인 자원들은 앵커 캐리어 혹은 논-앵커 캐리어가 될 수 있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캐리어들을 포함한다.일 예로, 상기 명시적 지시 방식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상기 SIB1-NB 의 송신을 위한 시간-도메인 자원 및 주파수-도메인 자원은 상기 MIB-NB에서 동시에 지시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시간-도메인 자원은 상기 MIB-NB에 의해 지시될 수 있으며, 이에 반해 상기 주파수-도메인 자원은 규격에 의해 미리 결정될 수 있거나, 혹은 상기 주파수-도메인 자원은 상기 MIB-NB에 의해 지시될 수 있으며, 이에 반해 상기 시간-도메인 자원은 규격에 의해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MIB-NB가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시간-도메인 자원을 지시하는 방식은 서브프레임 인덱스들의 지시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SIB1-NB의 송신에 대해 유용한 서브 프레임들의 집합은 규격에 의해 미리 결정되며, 상기 MIB-NB는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될 서브 프레임들의 집합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서브 프레임들을 지시할 수 있다. 상기 SIB1-NB의 송신에 대해 유용한 서브 프레임들의 집합은 하나의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서브프레임들 전부 혹은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E가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들)을 결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상기 UE는 상기 MIB-NB에 포함되어 있는 지시 필드를 리드하여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고유 서브프레임을 획득하고, 여기서, 일 예로, 상기 MIB-NB는 2비트로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이 {서브 프레임 #0, 서브 프레임 #4, 서브 프레임 #8} 중 하나라는 것을 나타내거나, 혹은 상기 MIB-NB는 1비트로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이 {서브 프레임 #0, 서브 프레임 #4} 중 하나라는 것을 나타내고, 상기 서브 프레임들의 집합은 또한 {서브 프레임 #0, 서브 프레임 #8} 혹은 {서브 프레임 #0, 서브 프레임 #6}이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MIB-NB가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고유한 서브 프레임이 서브프레임 #0이라는 것을 나타낼 경우, 상기 SIB1-NB는 각 홀수 번째 무선 프레임의 서브 프레임 #0에서만 송신될 수 있으며, 상기 MIB-NB가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고유한 서브 프레임이 서브프레임 #0 이외의 서브 프레임, 일 예로, 서브 프레임 #4라는 것을 나타낼 경우, 상기 SIB1-NB는 각 무선 프레임의 서브 프레임 #4에서 송신될 수 있다.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특정 무선 프레임의 인덱스는 표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셀의 고유 식별 코드와 반복 횟수 둘 다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UE가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들)을 결정하는 방법은 또한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상기 UE는 상기 MIB-NB에 포함되어 있는 지시 필드를 리드하여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들의 개수 및 상기 서브 프레임들의 인덱스들을 획득하고, 상기 서브프레임들의 개수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이 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MIB-NB는 1 비트로 서브 프레임 #0이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서브 프레임이라는 것을 지시하거나, 혹은 서브 프레임 #0 및 서브 프레임 #4 둘 다가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서브 프레임들이라는 것을 지시한다.
상기 SIB1-NB가 다수의 서브 프레임들에서 송신되는 경우, 상기 송신 방식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상기 SIB1-NB는 동일한 무선 프레임의 다수의 서브 프레임들에서 송신되거나(일 예로, 구체적인 한 구현으로서, 서브 프레임 #0 및 서브 프레임 #4에서 상기 SIB1-NB의 송신을 고려할 경우, 상기 SIB1-NB는 동일한 무선 프레임의 서브 프레임 #0 및 서브 프레임 #4 둘 다 에서 송신될 수 있다), 혹은 각 무선 프레임들에 대해서, 상기 지시된 서브 프레임들이 번갈아 사용되며, 동일한 무선 프레임의 오직 1개의 서브 프레임이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된다(일 예로, 구체적인 한 구현으로서, 서브 프레임 0 및 서브 프레임 #4에서 상기 SIB1-NB의 송신을 고려할 경우, 상기 SIB1-NB는 매 홀수 번째 무선 프레임의 서브 프레임 #0 및 매 짝수 번째 무선 프레임의 서브 프레임 #4에서 송신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서브 프레임들에서 상기 SIB1-NB를 송신하는 방식은 상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될 수 있거나, 혹은 규격에 의해 고정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다수의 서브 프레임들에서 상기 SIB1-NB를 송신하는 2가지 방식들이 결합될 수 있다. 한 구체적인 구현으로서, 상기 SIB1-NB는 서브 프레임 #0과 각 홀수 번째 무선 프레임의 서브 프레임 #0과 각 짝수 번째 무선 프레임의 서브 프레임 #0 이외의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둘 다에서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프레임 #0 이외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인덱스는 상기 MIB-NB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MIB-NB는 1 비트로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상기 서브 프레임 0 이외의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이 서브 프레임 #4 혹은 서브 프레임 8이라는 것을 지시하거나, 혹은 상기 MIB-NB는 1 비트로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상기 서브 프레임 #0 이외의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이 서브 프레임 #4 혹은 서브 프레임 #6이라는 것을 지시한다.
상기 UE가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을 결정하는 방법은 또한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상기 UE는 상기 MIB-NB의 지시를 리드하여 상기 SIB1-NB의 송신에 대해 유용한 다수의 서브 프레임들의 인덱스들을 획득하고, 상기 셀의 고유 식별자 코드에 따라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해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의 인덱스를 획득한다. 일 예로, 상기 MIB-NB는 1 비트로 상기 SIB1-NB의 송신에 유용한 서브 프레임들이 {서브 프레임 #0 및 서브 프레임 #4, 서브 프레임 #0 및 서브 프레임 #8} 중 하나, 혹은 {서브 프레임 #0 및 서브 프레임 #4, 서브 프레임 #0 및 서브 프레임 #6} 중 하나라는 것을 지시한다. 특히, 상기 MIB-NB가 상기 SIB1-NB의 송신에 유용한 서브 프레임들이 서브 프레임 #0 및 서브 프레임 #4라는 것을 지시하는 예제를 고려할 경우, 상기 UE는 또한 상기 셀의 고유 식별 코드에 따라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해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을 결정한다. 표 2는 상기 UE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SIN1-NB를 실질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시작 무선 프레임들 및 무선 서브 프레임들의 예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식/방법들은 결합될 수 있으며, 지시 필드의 비트들의 개수는 확장될 수 있다.
NPDSCH 반복 횟수
Figure 112018035680948-pat00001

(셀의 고유 식별 코드)
SIB1-NB의 반복 송신을 위한 시작 무선 프레임
(nf mod 256)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무선 서브 프레임
4
Figure 112018035680948-pat00002
mod 4 = 0
0 4
Figure 112018035680948-pat00003
mod 4 = 1
16 4
Figure 112018035680948-pat00004
mod 4 = 2
32 4
Figure 112018035680948-pat00005
mod 4 = 3
48 4
8
Figure 112018035680948-pat00006
mod 2 = 0
0 4
Figure 112018035680948-pat00007
mod 2 = 1
16 4
16
Figure 112018035680948-pat00008
mod 2 = 0
0 4
Figure 112018035680948-pat00009
mod 2 = 1
1 0
상기 MIB-NB가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주파수-도메인 자원을 지시하는 방식은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캐리어와 상기 앵커 캐리어간의 오프셋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SIB1-NB의 송신에 대해 유용한 캐리어들의 집합을 명시하며, 상기 MIB-NB는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캐리어들을 지시한다. 상기 MIB-NB에 의해 지시되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캐리어들은 상기 앵커 캐리어 및/혹은 논-앵커 캐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캐리어들이 할당될 경우, 상기 SIB1-NB의 송신 방식은 다수의 캐리어들간의 주파수-호핑 송신이 될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을 위한 실시 예 3을 참조할 것). 상기 시스템은 상기 SIB1-NB의 송신에 대해 유용한 캐리어들의 집합을 다양한 방식들로 명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해 할당 가능한 논-앵커 캐리어는 상기 앵커 캐리어에 대해 왼쪽으로 인접한 혹은 상기 앵커 캐리어에 대해 오른쪽으로 인접한 캐리어로 설정될 수 있고, 상기 MIB-NB는 1 비트로 상기 캐리어가 상기 앵커 캐리어에 대해 왼쪽에 인접한지 혹은 상기 앵커 캐리어에 대해 오른쪽으로 인접한지를 지시하거나, 즉 상기 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Figure 112018035680948-pat00010
인지 혹은
Figure 112018035680948-pat00011
인지를 지시하거나, 혹은 상기 MIB-NB는 1 비트로 상기 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Figure 112018035680948-pat00012
인지 혹은
Figure 112018035680948-pat00013
인지를 지시한다. 표 3는 상기 지시 필드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상기 UE는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논-앵커 캐리어와 상기 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간의 절대 주파수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UE가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독립형(stand-alone) 동작 모드라는 것을 획득할 경우, 상기 절대 주파수 오프셋은 200kHz이고, 상기 UE가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대역-내 동작 모드 및/혹은 상기 보호-대역 동작 모드라는 것을 획득할 경우, 상기 절대 주파수 오프셋은 180kHz이다. 상기 보호-대역 동작 모드에서는, 하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논-앵커 캐리어의 주파수 포인트를 획득하는 다른 방식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해 할당 가능한 더 많은 캐리어들이 존재할 경우, 상기 지시 필드는 확장될 수 있으며, 표 4는 상기 지시 필드의 다른 예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지시 필드는 또한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캐리어들이 존재함을 나타낼 수 있으며, 표 5는 상기 지시 필드의 다른 예제를 나타내고 있으며, 표 4 및 표 5에 나타낸 예제들은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표 6은 상기 결합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MIB-NB는 2비트로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가 {상기 앵커 캐리어, 상기 앵커 캐리어에 대해 왼쪽으로 인접한 (혹은 오른쪽으로 인접한) 캐리어, 상기 앵커 캐리어 및 상기 앵커 캐리어에 대해 왼쪽으로 인접한 캐리어, 상기 앵커 캐리어 및 상기 앵커 캐리어에 대해 오른쪽으로 인접한 캐리어} 중 하나라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논-앵커 캐리어가 일부 상황들에 대해서 할당될 때, 상기 앵커 캐리어에 대해 인접한 캐리어는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될 수 없으며, 상기 MIB-NB의 캐리어 지시 필드에 포함되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스테이트들은 상기 논-앵커 캐리어가 상기 앵커 캐리어로부터 고정된 주파수 오프셋을 가지는 캐리어라는 것을 지시하기 위해 예약될 수 있다. 표 5를 일 예로 고려할 경우, 상기 MIB-NB의 지시 필드가 확장되어 표 7을 획득할 수 있다.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다른 예제들 역시 유사하게 확장될 수 있다. 특히,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예제에서, 상기 MIB-NB에 포함되어 있는 SIB1-NB 캐리어 지시 필드의 값 "11"은 상기 동작 모드가 보호-대역 동작 모드이리 경우, 특정 LTE 시스템을 위한 대역폭에서 상기 SIB1-NB의 멀티-캐리어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논-앵커 캐리어의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유효하다. 일 예로, 상기 LTE 시스템에 대한 대역폭이 5 MHz이고, 상기 앵커 캐리어가 상기 LTE 보호-대역의 왼쪽 측파대(sideband)(혹은 오른쪽 측파대)에 존재할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지시 필드의 값을 "11"로 구성하고, 상기 UE 는 상기 앵커 캐리어로부터 주파수 오프셋
Figure 112018035680948-pat00014
(혹은
Figure 112018035680948-pat00015
)를 가지는 캐리어를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논-앵커 캐리어로 결정하고, 여기서,
Figure 112018035680948-pat00016
는 상기 시스템에 대해서 고정된 값이다. 이 경우, 상기 논-앵커 캐리어는 상기 앵커 캐리어와는 다른 상기 LTE 보호-대역의 측파대에 존재한다. 특별히 명시되지 않는 한(일 예로, 상기 지시 필드의 값은 표 7에서 "11"이다), 표 3 내지 표 6의 모든 예제들은 상기 독립형(stand-alone) 동작 모드, 상기 대역-내 동작 모드 및 상기 보호-대역 동작 모드를 포함하는 모든 동작 모드들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MIB-NB에 포함되어 있는 SIB1-NB 캐리어 지시 필드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캐리어
0 앵커 캐리어에 대해 왼쪽으로 인접한 캐리어(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80 kHz 혹은 -200 kHz 를 가지는 논-앵커 캐리어)
1 앵커 캐리어에 대해 오른쪽으로 인접한 캐리어(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80 kHz 혹은 +200 kHz 를 가지는 논-앵커 캐리어)
MIB-NB에 포함되어 있는 SIB1-NB 캐리어 지시 필드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캐리어
00 앵커 캐리어
01 앵커 캐리어에 대해 왼쪽으로 인접한 캐리어(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80 kHz 혹은 -200 kHz 를 가지는 논-앵커 캐리어)
10 앵커 캐리어에 대해 오른쪽으로 인접한 캐리어(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80 kHz 혹은 +200 kHz 를 가지는 논-앵커 캐리어)
MIB-NB에 포함되어 있는 SIB1-NB 캐리어 지시 필드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캐리어
00 앵커 캐리어
01 멀티-캐리어 송신: 앵커 캐리어 및 앵커 캐리어에 대해 왼쪽으로 인접한 논-앵커 캐리어 (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80 kHz 혹은 -200 kHz)
10 멀티-캐리어 송신: 앵커 캐리어 및 앵커 캐리어에 대해 오른쪽으로 인접한 논-앵커 캐리어 (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80 kHz 혹은 +200 kHz)
MIB-NB에 포함되어 있는 SIB1-NB 캐리어 지시 필드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캐리어
00 앵커 캐리어
01 앵커 캐리어에 대해 왼쪽으로 인접한 캐리어(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80 kHz 혹은 -200 kHz 를 가지는 논-앵커 캐리어)
10 앵커 캐리어에 대해 오른쪽으로 인접한 캐리어(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80 kHz 혹은 +200 kHz 를 가지는 논-앵커 캐리어)
11 멀티-캐리어 송신: 앵커 캐리어 및 앵커 캐리어에 대해 왼쪽으로 인접한 논-앵커 캐리어 (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80 kHz 혹은 -200 kHz)
MIB-NB에 포함되어 있는 SIB1-NB 캐리어 지시 필드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캐리어
00 앵커 캐리어
01 멀티-캐리어 송신: 앵커 캐리어 및 앵커 캐리어에 대해 왼쪽으로 인접한 논-앵커 캐리어 (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80 kHz 혹은 -200 kHz)
10 멀티-캐리어 송신: 앵커 캐리어 및 앵커 캐리어에 대해 오른쪽으로 인접한 논-앵커 캐리어 (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80 kHz 혹은 +200 kHz)
11 멀티-캐리어 송신: 앵커 캐리어 및 앵커 캐리어로부터 고정된 주파수 오프셋을 가지는 논-앵커 캐리어
실질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예제들에서,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논-앵커 캐리어는 상기 앵커 캐리어에 인접한 캐리어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논-앵커 캐리어 구성 역시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앵커 캐리어로부터 양의(positive) 혹은 음의(negative) 주파수 오프셋을 가지는 논-앵커 캐리어가 표 3 내지 표 7의 예제들에서 대체(replacement)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앵커 캐리어와 상기 논-앵커 캐리어간의 주파수 오프셋은 고정된 주파수 오프셋이 될 수 있거나(상기 주파수 오프셋이
Figure 112018035680948-pat00017
kHz일 때, 상기 논-앵커 캐리어는 상기 앵커 캐리어에 인접한 캐리어이다), 혹은 상기 주파수 오프셋의 특정 값은 상기 MIB-NB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MIB-NB에 의해 구성되는 주파수 오프셋의 특정 값의 일 예로서, 상기 보호-대역 동작 모드에서,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논-앵커 캐리어는 상기 앵커 캐리어와 다른 LTE 보호-대역에 존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논-앵커 캐리어와 상기 앵커 캐리어간의 주파수 오프셋은 상기 LTE 시스템의 대역폭에 관련된다. 상기 논-앵커 캐리어와 상기 앵커 캐리어간의 주파수 오프셋은 상기 MIB-NB에서 상기 LTE 시스템에 대한 대역폭을 지시함으로써 상기 논-앵커 캐리어와 앵커 캐리어간의 절대 주파수 오프셋을 지시할 수 있다. 표 8 및 표 9는 각각 상기 논-앵커 캐리어와 상기 앵커 캐리어간의 절대 주파수 오프셋을 지시하는 2가지 방식들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UE는 표 3 및 표 4에 의해 지시되는 컨텐트를 참조하여 상기 SIB1-NB에 대한 송신을 위한 캐리어 할당을 획득할 필요가 있고, 여기서 표 3 내지 표 7의 "상기 앵커 캐리어에 대해 왼쪽으로 인접한 캐리어" 및 "상기 앵커 캐리어에 대해 오른쪽으로 인접한 캐리어"는 각각 "상기 앵커 캐리어보다 낮은 주파수 포인트를 가지는 캐리어" 및 "상기 앵커 캐리어보다 높은 주파수 포인트를 가지는 캐리어"로 대체된다. 특히, 표 6 및 표 9를 일 예로 고려할 경우, 상기 기지국이 상기 표 6에서 상기 SIB1-NB 캐리어 지시 필드의 값을 "01"로 구성할 경우,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고유한 캐리어는 상기 앵커 캐리어보다 낮은 주파수 포인트를 가지는 논-앵커 캐리어이다. 상기 UE는, 또한, 표 9에서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논-앵커 캐리어의 주파수-도메인 오프셋을 위해 상기 지시 필드를 리드한다. 상기 지시 필드의 값이 "10"이라고 가정할 경우, 상기 논-앵커 캐리어와 앵커 캐리어간의 절대 주파수-도메인 오프셋은
Figure 112018035680948-pat00018
이고, 상기 논-앵커 캐리어의 주파수 포인트는
Figure 112018035680948-pat00019
이고, 여기서
Figure 112018035680948-pat00020
는 상기 앵커 캐리어의 주파수 포인트이다. 상기 SIB1-NB 지시 필드의 값이 "00"일 경우,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캐리어는 앵커 캐리어이다.
MIB-NB에 포함되어 있는,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논-앵커 캐리어의 주파수-도메인 오프셋에 대한 지시 필드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논-앵커 캐리어와 앵커 캐리어간의 절대 주파수-도메인 오프셋
00 LTE 시스템에 대한 대역폭은 5 MHz이고, 앵커 캐리어와 논-앵커 캐리어간의 해당하는 주파수 오프셋은
Figure 112018035680948-pat00021
로 나타내지는 고정 값임.
01 LTE 시스템에 대한 대역폭은 10 MHz이고, 앵커 캐리어와 논-앵커 캐리어간의 해당하는 주파수 오프셋은
Figure 112018035680948-pat00022
으로 나타내지는 고정 값임.
10 LTE 시스템에 대한 대역폭은 15 MHz이고, 앵커 캐리어와 논-앵커 캐리어간의 해당하는 주파수 오프셋은
Figure 112018035680948-pat00023
으로 나타내지는 고정 값임.
11 LTE 시스템에 대한 대역폭은 20 MHz이고, 앵커 캐리어와 논-앵커 캐리어간의 해당하는 주파수 오프셋은
Figure 112018035680948-pat00024
으로 나타내지는 고정 값임.
MIB-NB에 포함되어 있는,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논-앵커 캐리어의 주파수-도메인 오프셋(절대값)에 대한 지시 필드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논-앵커 캐리어와 앵커 캐리어간의 절대 주파수-도메인 오프셋
00 앵커 캐리어와 논-앵커 캐리어간의 주파수 오프셋은
Figure 112018035680948-pat00025
로 나타내지는 고정 값이고,
Figure 112018035680948-pat00026
가 180 kHz일 경우 논 앵커 캐리어는 앵커 캐리어에 인접한 캐리어임.
01 LTE 시스템에 대한 대역폭은 10 MHz이고, 앵커 캐리어와 논-앵커 캐리어간의 해당하는 주파수 오프셋은
Figure 112018035680948-pat00027
으로 나타내지는 고정 값임.
10 LTE 시스템에 대한 대역폭은 15 MHz이고, 앵커 캐리어와 논-앵커 캐리어간의 해당하는 주파수 오프셋은
Figure 112018035680948-pat00028
으로 나타내지는 고정 값임.
11 LTE 시스템에 대한 대역폭은 20 MHz이고, 앵커 캐리어와 논-앵커 캐리어간의 해당하는 주파수 오프셋은
Figure 112018035680948-pat00029
으로 나타내지는 고정 값임.
상기 보호-대역 동작 모드에서 상기 MIB-NB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논-앵커 캐리어의 위치의 상기와 같은 예제들뿐만 아니라,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다른 예제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의 동작 모드가 상기 보호-대역 동작 모드일 때, 상기 UE는 상기 MIB-NB로부터 3비트의 SIB1-NB 캐리어 지시 필드를 직접 리드하여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캐리어의 특정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MIB-NB에 포함되어 있는 SIB1-NB 송신 캐리어 지시 필드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캐리어
000 앵커 캐리어
001 LTE 시스템에 대한 대역폭은 5 MHz이고;앵커 캐리어 및
Figure 112018035680948-pat00030
(혹은
Figure 112018035680948-pat00031
)의 주파수 포인트를 가지는 논-앵커 캐리어에서 주파수-호핑 송신이 수행되거나, 혹은
Figure 112018035680948-pat00032
(혹은
Figure 112018035680948-pat00033
)의 주파수 포인트를 가지는 논-앵커 캐리어에서만 송신이 수행되며,
Figure 112018035680948-pat00034
는 앵커 캐리어의 주파수 포인트이고,
Figure 112018035680948-pat00035
는 상기 시스템 대역폭에 관련되는 고정 값임.
010 LTE 시스템에 대한 대역폭은 10 MHz이고;앵커 캐리어 및
Figure 112018035680948-pat00036
의 주파수 포인트를 가지는 논-앵커 캐리어에서 송신이 수행되거나, 혹은
Figure 112018035680948-pat00037
의 주파수 포인트를 가지는 논-앵커 캐리어에서만 송신이 수행되며,
Figure 112018035680948-pat00038
는 앵커 캐리어의 주파수 포인트이고,
Figure 112018035680948-pat00039
는 상기 시스템 대역폭에 관련되는 고정 값임.
011 LTE 시스템에 대한 대역폭은 10 MHz이고;앵커 캐리어 및
Figure 112018035680948-pat00040
의 주파수 포인트를 가지는 논-앵커 캐리어에서 송신이 수행되거나, 혹은
Figure 112018035680948-pat00041
의 주파수 포인트를 가지는 논-앵커 캐리어에서만 송신이 수행되며,
Figure 112018035680948-pat00042
는 앵커 캐리어의 주파수 포인트이고,
Figure 112018035680948-pat00043
는 상기 시스템 대역폭에 관련되는 고정 값임.
100 LTE 시스템에 대한 대역폭은 15 MHz이고;앵커 캐리어 및
Figure 112018035680948-pat00044
의 주파수 포인트를 가지는 논-앵커 캐리어에서 송신이 수행되거나, 혹은
Figure 112018035680948-pat00045
의 주파수 포인트를 가지는 논-앵커 캐리어에서만 송신이 수행되며,
Figure 112018035680948-pat00046
는 앵커 캐리어의 주파수 포인트이고,
Figure 112018035680948-pat00047
는 상기 시스템 대역폭에 관련되는 고정 값임.
101 LTE 시스템에 대한 대역폭은 15 MHz이고;앵커 캐리어 및
Figure 112018035680948-pat00048
의 주파수 포인트를 가지는 논-앵커 캐리어에서 송신이 수행되거나, 혹은
Figure 112018035680948-pat00049
의 주파수 포인트를 가지는 논-앵커 캐리어에서만 송신이 수행되며,
Figure 112018035680948-pat00050
는 앵커 캐리어의 주파수 포인트이고,
Figure 112018035680948-pat00051
는 상기 시스템 대역폭에 관련되는 고정 값임.
110 LTE 시스템에 대한 대역폭은 20 MHz이고; 앵커 캐리어 및
Figure 112018035680948-pat00052
의 주파수 포인트를 가지는 논-앵커 캐리어에서 송신이 수행되거나, 혹은
Figure 112018035680948-pat00053
의 주파수 포인트를 가지는 논-앵커 캐리어에서만 송신이 수행되며,
Figure 112018035680948-pat00054
는 앵커 캐리어의 주파수 포인트이고,
Figure 112018035680948-pat00055
은 상기 시스템 대역폭에 관련되는 고정 값임.
111 LTE 시스템에 대한 대역폭은 20 MHz이고; 앵커 캐리어 및
Figure 112018035680948-pat00056
의 주파수 포인트를 가지는 논-앵커 캐리어에서 송신이 수행되거나, 혹은
Figure 112018035680948-pat00057
의 주파수 포인트를 가지는 논-앵커 캐리어에서만 송신이 수행되며,
Figure 112018035680948-pat00058
는 앵커 캐리어의 주파수 포인트이고,
Figure 112018035680948-pat00059
은 상기 시스템 대역폭에 관련되는 고정 값임.
특히,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지시하는 다른 방식들은 각각 다른 동작 모드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독립형(stand-alone) 동작 모드 및 대역-내 동작 모드에서, 표 3 내지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지시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MIB-NB는 상기 앵커 캐리어에 대해 왼쪽으로 혹은 오른쪽으로 인접한 캐리어가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논-앵커 캐리어로 사용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보호-대역 동작 모드에서, 표 3(a)-표 3(e)에 나타낸 바와 같은 지시 방식이 여전히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논-앵커 캐리어의 절대 주파수-도메인 오프셋을 나타내기 위한 추가적인 지시 필드가 표 8 및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MIB-NB에 도입된다. 상기 SIB1-NB에 대한 캐리어를 지시하는 특정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MIB-NB가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들을 명시적으로 지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시간 및 주파수 도메인 자원들의 고정된 몇몇 결합들이 지원되고,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해 실제로 사용되는 자원들의 결합이 상기 MIB-NB에서의 인덱스 값에 의해 지시된다는 것을 명시한다.
한 가지 방법은 상기 MIB-NB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구성 인덱스들의 지시가 될 수 있다(일 예로, 표 1).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구성 인덱스들 및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시간-주파수 자원들(혹은 시간-도메인 자원들, 혹은 주파수-도메인 자원들)간의 연관이 존재한다. 일 예로, 상기 업링크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이 표 1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 #1, #2, #4 혹은 #5라고 지시될 때, 상기 SIB1-NB는 앵커 캐리어의 서브프레임 #4에서 송신되고, 상기 업링크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이 표 1에서 다른 구성이라고 지시될 때, 상기 SIB1-NB는 고정된 위치에서의 논-앵커 캐리어(일 예로, 상기 다른 캐리어에 인접하는 캐리어)의 서브프레임 #0 (혹은 서브프레임 #5)에서 송신된다.
다른 방법이 도 4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UE는 상기 MIB-NB에 의해 지시되는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의 위치에 따라, 상기 SIB1-NB를 수신하기 위한 시간-도메인 위치를 결정한다.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의 지시된 위치는 상기 앵커 캐리어(anchor carrier) 및/혹은 논(non)-앵커 캐리어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지시 방식은 표 3 내지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을 수 있다. 상기 시간-도메인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은 3가지 상황들을 가진다.
상황 1: 상기 SIB1-NB가 상기 앵커 캐리어에서 송신될 경우, 상기 SIB1-NB는 고정된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되며, 여기서 상기 고정된 서브 프레임은 서브 프레임 #0, 서브 프레임 #4, 서브 프레임 #6, 서브 프레임 #8과 같은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들 중 하나 혹은 그 이상이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고정된 서브 프레임이 서브 프레임 #0일 때, 상기 SIB1-NB는 매 홀수 번째 무선 프레임(예; 411, 412)의 서브 프레임 #0(예; 413, 414)에서만 송신되며, 상기 SIB1-NB에 대한 반복 횟수가 16으로 구성될 때, 모든 셀들에서 상기 SIB1-NB에 대한 시작 무선 프레임들은 도 4의 예제 1(4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동일하다. 동일한 캐리어의 다수의 서브 프레임들에서 상기 SIB1-NB를 송신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황 2: 상기 SIB1-NB가 논-앵커 캐리어에서만 송신될 경우, 상기 SIB1-NB는 고정된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되며, 여기서 상기 고정된 서브 프레임은 서브 프레임 #0, 서브 프레임 #5, 혹은 서브 프레임 #9와 같은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들 중 하나 혹은 그 이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은 상황 1에서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과 동일할 수 있거나 혹은 다를 수 있으며, 혹은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들의 개수는 상황 1에서의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들의 개수와 다를 수 있다. 도 4의 예제 2(420)는, 일 예로, 서브 프레임 #0(예; 421, 422, 423, 424)만을 고려하는, 상기 논-앵커 캐리어에서 상기 SIB1-NB의 송신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도메인 자원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동일한 캐리어의 다수의 서브 프레임들에서 상기 SIB1-NB를 송신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황 3: 상기 SIB1-NB가 상기 앵커 캐리어 및 논-앵커 캐리어에서 송신될 경우 (즉, 멀티-캐리어 주파수-호핑 송신의 경우), 상기 SIB1-NB는 상기 앵커 캐리어 및 논-앵커 캐리어 각각의 고정된 서브프레임들에서 송신된다. 상기 SIB1-NB의 주파수-호핑 송신에 대해서, 상기 앵커 캐리어 상에서 상기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들은 상기 논-앵커 캐리어 상에서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들과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고, 상기 앵커 캐리어 상에서 상기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들의 개수는 상기 논-앵커 캐리어 상에서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들의 개수와 다를 수 있다. 도 4의 예제 3(430)은 상기 앵커 캐리어 상의 서브 프레임 #0(예; 431, 432)과 상기 논-앵커 캐리어 상의 서브 프레임 #0(예; 433, 434)이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일 예를 고려할 경우, 상기 SIB1-NB의 주파수-호핑 송신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도메인 자원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동일한 캐리어의 다수의 서브 프레임들에서 상기 SIB1-NB를 송신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시간-도메인 위치는 상기 MIB-NB에 의해 명시적으로 지시될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은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단계 203: 상기 MIB-NB 및/혹은 SIB1-NB에서 상기 지시에 따라, 상기 UE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다른 SIBs-NB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간-도메인 및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을 획득하고, 상기 시간-도메인 및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 상기 다른 SIBs-NB를 수신한다. 상기 다른 SIBs-NB는 SIB2-NB, SIB3-NB, SIB4-NB, SIB5-NB, SIB14-NB 및 SIB16-NB 중 하나 혹은 그 이상을 포함하며, 그렇다고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은 앵커 캐리어들 혹은 논-앵커 캐리어들이 될 수 있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캐리어들을 포함한다. 상기 SIB1-NB에서 상기 지시를 리딩하는 것은 상기 SIB1-NB에서 다른 SIBs-NB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를 리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IB-NB에서 상기 지시를 리딩하는 것은 상기 MIB-NB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 인덱스를 리딩하는 것과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 인덱스에 따라 상기 SIB-NB에 대한 시간-도메인 및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표 1에서 상기 MIB-NB에서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 인덱스가 #0 (혹은 #1, 혹은 #6)일 때, 상기 다른 SIBs-NB 및 SIB1-NB가 다른 캐리어들에서 송신되고, 상기 다른 SIBs-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는 상기 앵커 캐리어의 위치 혹은 상기 SIB1-NB에서 지시되는 위치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표 1에서 상기 MIB-NB에서 상기 업링크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 인덱스가 #2 (혹은 #3, 혹은 #4, 혹은 #5)일 때, 상기 다른 SIBs-NB 및 SIB1-NB는 동일한 캐리어에서 송신된다. 상기와 같은 설계는 낮은 비율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을 가지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상기 시스템이 충분한 다운링크 자원들, 즉 상기 논-앵커 캐리어에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을 가지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 다운링크 무효(invalid) 서브프레임 구성의 기존 지시에 추가하여, 업링크 무효 서브프레임들이 상기 SIB1-NB에서 지시될 수 있다. TDD 상황(scene)에서, 상기 업링크/다운링크 무효 서브 프레임 구성들은 업링크 서브프레임들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 각각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시간-도메인 자원들의 구성 방법은 기존 메카니즘들에서와 동일할 수 있거나 혹은 단계 202에서의 상기 SIB1-NB에 대한 시간-도메인 자원들의 구성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즉, 캐리어들)의 구성 방법은 단계 202에서의 상기 SIB1-NB에 대한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의 구성 방법, 즉 명시적 지시 혹은 특정 규칙을 가지는 암시적 지시와 동일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명시적 지시 방식에서, 다른 SIBs-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캐리어와 앵커 캐리어간의 오프셋은 상기 SIB1-NB에서 지시될 수 있거나, 혹은 다수의 캐리어들은 상기 다른 SIBs-NB의 캐리어간 주파수-호핑 송신을 위해 상기 SIB1-NB에서 암시적으로 구성될 수 있거나(실시 예 3 참조), 혹은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캐리어가 다른 SIBs-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로서 재사용된다는 것이 동의되어 있으며, 이는 지시 비트가 없는 암시적 통지 방식이다.
상기 UE에 의해 순차적으로 송신되는, 상기 협대역 물리 채널(narrow ban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NPDCCH)들, 협대역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narrow band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NPDSCH)들 및 협대역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narrow band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NPUSCH)들에 의해 사용되는 캐리어들은 상기 SIBs-NB에 대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 정보를 전달하는 정보는 물리 채널들을 전달하는 다른 정보에 따라 변경된다. 일 예로, SIB2-NB와 같은 시스템 정보는 공통으로 송신되는 NPDCCH들 및 NPDSCH들에 의해 사용되는 캐리어들을 구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고, 경쟁 해결 메시지(contention resolution message) Msg4와 같은 사용자-특정 시그널링은 사용자-특정하게 송신되는 NPDCCH들, NPUSCH들 및 NPDSCH들에 의해 사용되는 캐리어들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캐리어들의 구성 정보는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상기 SIBs-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캐리어들의 구성이 지시되는 방식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상기 NPUSCH는 NPUSCH 포맷 1 및 NPUSCH 포맷 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듀플렉스 모드가 사용자 장치(또는 단말)에 대해 투과적이지 않은(not transparent) NB IoT 시스템을 구현하는 해결 방식의 일 실시예가 제공된다.
도 5에서 도시하는 방법은 사용자 장치(또는 단말)가 동기 신호들 검출하고, 셀 탐색을 수행하고, 듀플렉스 모드 정보를 검출하고, 듀플렉스 모드에 따라 NPBCH들에 상응하는 시간-주파수 자원들에서 MIB-NB를 수신하는 과정(단계 301)과, UE가 NPBCH에서 전달되는 MIB-NB 지시에 따라, 혹은 듀플렉스와 함께 MIB-NB 지시에 따라, SIB1-NB에 대한 시간-주파수 자원들을 획득하고, 시간-주파수 자원들에서 SIB1-NB를 수신하는 과정(단계 502)을 포함하고, UE가 SIB1-NB에서의 지시에 따라, 다른 SIBs-NB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간-주파수 자원들을 획득하고, 시간-주파수 자원들에서 다른 SIBs-NB를 수신하는 과정(단계 503)을 포함한다.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
단계 501: UE는 상기 시스템 듀플렉스 모드를 획득하고 셀 탐색 및 다운링크 동기 프로세스를 완료하기 위해 모든 가능한 위치들에서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NPSS들 및 NSSS들에서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듀플렉스 모드에 따라 상기 UE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PBCH들에 상응하게 시간-도메인 자원들 및 캐리어들에서 MIB-NB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NPSS들, NSSS들, 및 NPBCH들 중 어느 하나가 존재하는 주파수-도메인 자원 위치는 앵커 캐리어들 혹은 논-앵커 캐리어들에 존재할 수 있다.
다른 듀플렉스 모드들에서, 상기 NPSS들 및/혹은 NSSS들은 다른 물리 자원들을 사용한다. 상기 NPSS들 및/혹은 NSSS들에 의해 사용되는 물리 자원들은 상기 듀플렉스 모드들에 일대일로 대응된다. 따라서, 상기 NPSS들 및/혹은 NSSS들은 상기 시스템 듀플렉스 모드를 상기 UE에게 지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다운링크 동기가 완료된 후, 상기 UE는 상기 NPSS들 및/혹은 NSSS들에 의해 사용되는 물리 자원들에 따라 상기 듀플렉스 모드를 결정하고, 그리고 나서 상기 듀플렉스 모드에 따라 상기 NPBCH들에 의해 사용되는 해당 시간-도메인 및/혹은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을 결정하고, 상기 NPBCH들을 수신하여 상기 MIB-NB를 획득한다. 다른 듀플렉스 모드들에서, 상기 NPBCH들에 의해 사용되는 상기 시간-주파수 자원들은 동일할 수 있거나 혹은 다를 수 있다. 상기 NPBCH들에 의해 사용되는 시간-주파수 자원들이 다른 듀플렉스 모드들과 다른 예제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2개의 듀플렉스 모드들에 대해서, 상기 NPBCH들은 다른 시간-도메인 주기들로 동일한 캐리어에서 송신된다: FDD에서, 상기 NPBCH들은 앵커 캐리어에서 각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0에서 송신되고, 이에 반해 TDD에서는, 상기 NPBCH들이 상기 앵커 캐리어에서 한 주기만큼 떨어진 무선 프레임의 서브 프레임 #0에서 송신된다는 것이 가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한 개의 NPBCH 서브프레임은 매
Figure 112018035680948-pat00060
개의 무선 프레임들마다 송신된다고 가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NPBCH가 송신되는 무선 프레임의 인덱스는 수학식
Figure 112018035680948-pat00061
를 만족시키고, 여기서
Figure 112018035680948-pat00062
는 상기 무선 프레임의 인덱스를 나타내고,
Figure 112018035680948-pat00063
는 상기 NPBCH가 송신되는 주기를 나타내며(상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파라미터 혹은 고정된 파라미터), mod(*)는 모듈로(modulo) 연산을 나타내거나; 혹은 다수의 연속적인 NPBCH 서브프레임들이 매
Figure 112018035680948-pat00064
개의 무선 프레임들마다 송신된다는 것이 가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NPBCH들이 송신되는 무선 프레임의 인덱스는 수학식
Figure 112018035680948-pat00065
,
Figure 112018035680948-pat00066
를 만족시키고, 여기서
Figure 112018035680948-pat00067
는 상기 무선 프레임의 인덱스를 나타내고,
Figure 112018035680948-pat00068
는 상기 NPBCH들이 송신되는 주기를 나타내고(상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파라미터 혹은 고정된 파라미터), mod(*)는 모듈로 연산을 나타내고,
Figure 112018035680948-pat00069
는 연속적으로 송신되는 NPBCH들의 무선 프레임들의 개수를 나타낸다(상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파라미터 혹은 고정된 파라미터). 상기와 같은 설계는 상기 다운링크 자원들이 TDD에서 제한될 때, 여전히 유니캐스트 송신에 대해 유용한 다운링크 자원들 중 일부가 존재한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PSS 및/혹은 NSSS가 상기 듀플렉스 모드 및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 인덱스 둘 다를 지시할 수 있을 경우, 상기 UE는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 따라 다른 NPBCH 송신 주기들
Figure 112018035680948-pat00070
및/혹은 연속적인 송신을 위한 무선 프레임들의 개수
Figure 112018035680948-pat00071
를 획득할 수 있다. 한정된 다운링크 자원들을 가지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 대해,
Figure 112018035680948-pat00072
Figure 112018035680948-pat00073
는 보다 커질 수 있으며; 충분한 다운링크 자원들을 가지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 대해,
Figure 112018035680948-pat00074
Figure 112018035680948-pat00075
는 보다 작아질 수 있다. 상기 NPSS들 및/혹은 NSSS들에 의해 사용되는 물리 자원들은 시간-도메인 자원들, 주파수-도메인 자원들 및 시퀀스 자원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NPSS들 및/혹은 NSSS들에 의해 사용되는 시간-주파수 자원들에 의해 상기 듀플렉스 모드를 지시하는 방법에 대해, 실시예 4가 참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듀플렉스 모드는 물리 자원들인 상기 시퀀스 자원들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2개의 듀플렉스 모드들(TDD 및 FDD)에서, 상기 NPSS들 및/혹은 NSSS들은 다른 직교 시퀀스들을 사용하여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들에서 송신될 수 있고, 상기 듀플렉스 모드들은 상기 NPSS들 및/혹은 NSSS들에 의해 사용되는 직교 시퀀스들과 일대일 대응된다. 상기 직교 시퀀스들과의 대응 관계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상기 2개의 듀플렉스 모드들에서, 상기 NPSS들은 다른 ZC 루트 시퀀스(root sequence)들을 사용한다. 일 예로, 상기 FDD 모드에서는, 5의 인덱스를 가지는 ZC 루트 시퀀스가 사용되고, 이에 반해 상기 TDD 모드에서는, 더 낮은 상관(correlation)을 가지는 다른 ZC 루트 시퀀스들이 사용된다. 혹은, 상기 직교 시퀀스들과의 대응 관계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상기 2개의 듀플렉스 모드들에서, 상기 NPSS들은 다른 직교 마스크 시퀀스(mask sequence)들을 사용한다. 노말(normal) 서브프레임 상황을 일 예로 고려할 경우, 상기 2개의 듀플렉스 모드들에서 NPSS들에 대한 마스크 시퀀스들의 생성의 일 예가 하기에서 설명될 것이다. 상기 FDD에서의 마스크 시퀀스는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이는 상기 기존 구현에 속한다.
FDD에서 NPSS들에 의해 사용되는 마스크 시퀀스의 예
Duplex mode S(3), ...., S(13)
FDD 1 1 1 1 -1 -1 1 1 1 -1 1
TDD
1
Figure 112018035680948-pat00076
Figure 112018035680948-pat00077
Figure 112018035680948-pat00078
Figure 112018035680948-pat00079
Figure 112018035680948-pat00080
Figure 112018035680948-pat00081
Figure 112018035680948-pat00082
Figure 112018035680948-pat00083
Figure 112018035680948-pat00084
Figure 112018035680948-pat00085
상기 TDD에서 NPSS들에 의해 사용되는 마스크 시퀀스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Figure 112018035680948-pat00086
Figure 112018035680948-pat00087
, 여기서 n=7, 8, 12일 경우,
Figure 112018035680948-pat00088
이고, 그렇지 않을 경우,
Figure 112018035680948-pat00089
이고; 여기서 k 는 1부터 10까지 중 어느 한 양의 정수이다. 표 2는 k=1에서 TDD에서 상기 NPSS들에 의해 사용되는 마스크 시퀀스의 특정 예를 보여준다.
단계 502: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NPBCH에서 전달되는 MIB-NB 지시에 따라 (상기 MIB-NB에서 자원 할당 정보를 리딩하는), 혹은 상기 듀플렉스 모드와 함께 상기 MIB-NB 지시에 따라, 상기 UE는 상기 기지국이 SIB1-NB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시간-도메인 및/혹은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을 획득하고, 상기 시간-도메인 및/혹은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 상기 SIB1-NB를 수신한다. 상기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은 앵커 캐리어들 혹은 논-앵커 캐리어들이 될 수 있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캐리어들을 포함한다.
상기 MIB-NB가 상기 SIB1-NB에 의해 사용되는 시간-주파수 자원들을 지시하는 방식은 명시적 지시가 될 수 있거나, 혹은 특정 규칙과 결합되는 암시적 지시가 될 수 있다. 상기 구성 방법은 실시 예 1에서의 구성 방법과 동일하다.
상기 MIB-NB 지시에 따라, 그리고 상기 듀플렉스 모드와 결합하여,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SIB1-NB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간-도메인 및/혹은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을 획득하는 규칙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FDD에서, 상기 UE는 앵커 캐리어의 서브프레임 #4에서 SIB1-NB를 수신하고, 이에 반해 TDD에서, 상기 UE는 상기 앵커 캐리어로부터 고정된 오프셋을 가지는 논-앵커 캐리어의 고정된 서브프레임에서 SIB1-NB를 수신하고, 상기 UE는 상기 MIB-NB 정보에 포함되는 SIB1-NB에 대한 송신 사이클(cycle)과, 반복 횟수 등 함께, 상기 SIB1-NB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앵커 캐리어로부터 고정된 오프셋을 가지는 논-앵커 캐리어는 상기 앵커 캐리어에 대해 인접한 캐리어가 될 수 있다. 상기 고정된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 #0 혹은 서브프레임 #5가 될 수 있다.
단계 503: 상기 SIB1-NB에서의 지시에 따라 (상기 SIB1-NB에서의 자원 할당 정보를 리딩하는), 상기 UE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다른 SIBs-NB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간-도메인 및/혹은 주파수-도메인 자원을 획득하고, 상기 시간-도메인 및/혹은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 다른 SIBs-NB를 수신한다. 상기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은 앵커 캐리어들 혹은 논-앵커 캐리어들이 될 수 있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캐리어들을 포함한다.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들에 관해, 상기 SIB1-NB에서 업링크 무효 서브 프레임 지시 및 다운링크 무효 서브 프레임 지시를 사용하여 업링크 서브프레임들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을 각각 구성하는 방법에 추가하여, 실시 예 1에서와 같은 상기 TDD 상황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SIB1-NB에서 상기 대역-내 동작 상황에 대해 표 1에서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의 인덱스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서, 상기 UE는 먼저 상기 MIB-NB에서 operationModeInfo-r13 정보를 리드하고, 상기 동작 모드가 대역-내 동작 모드일 경우(Inband-SamePCI-NB-r13 혹은 Inband-DifferentPCI-NB-r13), 상기 SIB1-NB에서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의 인덱스에 따라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다른 SIBs-NB는 SIB2-NB, SIB3-NB, SIB4-NB, SIB5-NB, SIB14-NB 및 SIB16-NB 중 하나 혹은 그 이상을 포함하지만, 그렇다고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시간-도메인 자원들은 실시 예 1에서의 단계 203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UE에 의해 연속적으로 송신되는 NPDCCH들, NPDSCH들 및 NPUSCH들에 의해 사용되는 캐리어들은 실시 예 1의 단계 203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 예 1 및 실시 예 2에서 설명된 몇몇 구체적인 해결 방식들이 결합될 수 있다.
실시 예 3
이 실시 예에서, 물리 채널들의 캐리어간 주파수-호핑 송신을 위한 멀티-캐리어 구성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물리 채널들은 NPDSCH, NPDCCH, NPUSCH 포맷 1, NPUSCH 포맷 2 등을 포함하며, 그렇다고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멀티-캐리어 구성 방법은 상기 듀플렉스 모드가 실시 예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UE에 투과적인(transparent)한 상황과, 또한 상기 듀플렉스 모드가 실시 예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UE에 투과적이지 않은(not transparent) 상황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멀티-캐리어 구성 방법은 실시 예 1 및 실시 예 2 에서 SIB1-NB, 다른 SIBs-NB, NPDSCH들, NPDCCH들, NPUSCH 포맷 1, NPUSCH 포맷 2 등의 주파수-호핑 송신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NB IoT가 상기 LTE 시스템에 대한 대역에 배치될 수 있고, eMTC 역시 상기 LTE 대역에서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구성된 다수의 캐리어들(즉, 물리 자원 블록들)은 상기 LTE 시스템에 의해 PBCH들과, 비-마스터 정보 시스템 정보 및 다운링크 동기 신호들과 같은 공중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리 자원 블록들을 피해야만 하며, 또한 상기 eMTC에 의해 상기 SIB1-BR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리 자원 블록들을 피해야만 한다. 상기 UE는 시작 캐리어의 오프셋과, 상기 시작 캐리어의 인덱스 및 캐리어 간격 및 캐리어들의 개수에 대한 구성 파라미터들을 획득해야만 하며, 특정 규칙에 따라, 상기 물리 채널들의 캐리어간 주파수-호핑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다수의 캐리어들의 위치들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상기 시작 캐리어의 오프셋은 상기 구성된 다수의 캐리어들의 시작 캐리어와 앵커 캐리어간의 주파수 간력을 나타내며, 상기 시작 캐리어의 인덱스는 상기 구성된 다수의 캐리어들의 시작 캐리어의 시퀀스 번호를 나타내며, 상기 캐리어 간격은 상기 구성된 다수의 캐리어들 중 2개의 인접 캐리어들간의 주파수 간격을 나타내며, 상기 캐리어들의 개수는 상기 구성된 다수의 캐리어들의 개수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물리 채널들의 캐리어간 주파수-호핑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다수의 캐리어들의 위치들을 결정하는 규칙은: 상기 UE가 먼저 상기 시작 캐리어의 오프셋(601)에 따라 상기 구성된 다수의 캐리어들의 시작 캐리어의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결정하고, 그리고 나서 상기 캐리어들의 개수에 따라 상기 구성된 다수의 캐리어들의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시작 캐리어의 인덱스(602)에 따라 상기 구성된 다수의 캐리어들에서 상기 시작 캐리어의 시퀀스 번호를 결정하고, 상기 다수의 캐리어들의 위치들에 대해, 상기 시작 캐리어의 인덱스(602)에 따라 상기 시작 캐리어로부터 상향으로 혹은 하향으로 탐색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예로,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예제에서, 상기 캐리어들의 개수는 4(개)이고, 상기 시작 캐리어의 인덱스(602)는 #1(611)이다. 이 경우에서, 상기 시작 캐리어의 주파수-도메인 위치로부터 시작할 경우, 상기 UE는 상향으로 하나의 캐리어 간격을 가지는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캐리어 #0(610)으로, 하향으로 하나의 캐리어 간격을 가지는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캐리어 #2(612)로, 하향으로 2개의 캐리어 간격들을 가지는 주파수-도메인 위치를 캐리어 #3(613)으로 결정한다. 지금까지, 상기 UE는 모든 캐리어들의 위치들을 획득하였다.
도 7A 및 7B를 참조하면, 상기 SIB1-NB의 캐리어간 주파수-호핑 송신 상황일 경우, 상기 UE는 상기 구성된 다수의 캐리어들의 고정된 서브프레임들(일 예로, 서브프레임 #0, 혹은 서브프레임 #5)에서 상기 SIB1-NB를 수신할 수 있거나, 혹은 상기 캐리어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SIB1-NB에 의해 사용되는 서브프레임들을 결정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캐리어들에 대한 구성 파라미터들은, 특정 규칙에 따라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서브프레임들을 결정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UE에 의해 리드되는 시작 캐리어의 오프셋이 0일 때(이 경우, 상기 기지국은 앵커 캐리어로 상기 SIB1-NB를 송신한다), 상기 UE는 서브프레임 #4(예; 711, 712, 713, 714)일 수 있는 특정 고정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SIB1-NB를 수신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UE에 의해 리드되는 시작 캐리어의 오프셋이 0이 아닐 때(이 경우, 상기 기지국은 앵커 캐리어로 상기 SIB1-NB를 송신하지 않는다), 상기 UE는 서브프레임 #0 혹은 서브프레임 #5(예; 721, 722, 723, 724)일 수 있는 특정 고정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SIB1-NB를 수신한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시스템 듀플렉스 모드에 따라 상기 시작 캐리어의 오프셋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시스템 듀플렉스 모드가 FDD일 때, 혹은 상기 시스템 모드가 TDD이고, 서브프레임 #4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일 때, 상기 시작 캐리어의 오프셋은 0으로 구성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상기 시작 캐리어의 오프셋은 1로 구성된다.
상기 멀티-캐리어 구성 방법은 명시적 혹은 암시적일 수 있다. 상기 명시적 구성은 상기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멀티-캐리어 구성 파라미터들이 상기 파라미터들의 값들 직접적으로 지시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암시적 구성은 상기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멀티-캐리어 구성 파라미터들의 값들이 상기 시스템에 의해 고정되거나, 혹은 상기 시스템 규칙과 함께 상기 지시 비트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명시적 구성 및 암시적 구성을 결합하는 파라미터 구성 예제가 상기 MIB-NB에 의해, 상기 SIB1-NB의 캐리어간 주파수-호핑 송신을 위해 다용되는 다수의 캐리어들의 구성을 일 예로 하여 하기에서 설명될 것이다. 상기 MIB-NB에서, 2개의 비트들(지시 비트들)이 상기 시작 캐리어의 오프셋
Figure 112018035680948-pat00090
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선택 파라미터들의 집합은 {360kHz,-360kHz,0kHz}이다; 2개의 비트들이 상기 시작 캐리어의 인덱스
Figure 112018035680948-pat00091
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선택 파라미터들의 집합은 {0,1,2,3}이다; 그리고 상기 NB IoT가 대역-내 동작 모드에 존재할 경우, 3개의 비트들이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들의 개수
Figure 112018035680948-pat00092
및 캐리어 간격들
Figure 112018035680948-pat00093
Figure 112018035680948-pat00094
둘 다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멀티-캐리어 구성 파라미터들의 예
Index value 0 1 2 3 4
The number of carriers NPRB 2 2 2 4 4
Carrier gap Fgap1 1260kHz 2340kHz 4320kHz 3240kHz 4320kHz
Carrier gap Fgap2 0 0 0 180kHz 0
상기
Figure 112018035680948-pat00095
Figure 112018035680948-pat00096
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비트들
Figure 112018035680948-pat00097
(즉, 표 7에서 인덱스 값들)은 표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LTE 시스템에 대한 대역폭에 따라 선택된다.
상기 LTE 시스템에 대한 대역폭들의 리스트
인덱스 값 0 1 2 3 4
LTE 시스템에 대한 대역폭 3MHz 5MHz 10MHz 15MHz 20MHz
상기 NB IoT가 상기 보호-대역 동작 모드 혹은 독립형(stand-alone) 동작 모드에 존재할 경우, 상기 표 12에서의 구성 파라미터들이 재사용될 수 있거나, 혹은 특정 디폴트 구성 값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가
Figure 112018035680948-pat00098
라고 가정될 경우, 상기 UE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에 따라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물리 자원 블록들의 인덱스들을 획득할 수 있다:
Figure 112018035680948-pat00099
여기서,
Figure 112018035680948-pat00100
상기 NB IoT가 상기 대역-내 동작 모드 혹은 상기 보호-대역 동작 모드에 존재할 때, 상기 기지국은 상기 시스템에서의 캐리어들의 현재 사용 조건에 따라, 적합한 구성 값들을 선택하여 상기 LTE를 위한 72개의 중간 서브캐리어(intermediate subcarrier)들과 상기 eMTC에 의해 SIB1-BR를 송신하는 것에 사용되는 것이 가능한 물리 자원 블록들을 피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시스템의 대역폭이 20MHz이고, 상기 앵커 캐리어가 상기 LTE에서 4의 인덱스를 가지는 물리 자원 블록일 때, 상기 기지국은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Figure 112018035680948-pat00101
,
Figure 112018035680948-pat00102
및 지시 비트들
Figure 112018035680948-pat00103
.
상기 UE가 상기 다수의 캐리어들의 위치들을 획득한 후, 주파수-호핑 수신 혹은 송신은 상기 주파수-호핑 송신 패턴에 따라 시작 캐리어로부터 수행되고, 여기서 상기 시작 캐리어는 상기 시작 서브프레임에 의한 수신 혹은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캐리어로 정의된다. 상기 시작 캐리어는 상기 할당된 다수의 캐리어들 중 가장 높은 혹은 가장 낮은 주파수 포인트를 가지는 캐리어가 될 수 있거나; 혹은 상기 시작 캐리어는 상기 앵커 캐리어가 될 수 있다. 상기 주파수-호핑은 상기 시작 캐리어로부터 시작될 수 있고 가장 높은 주파수 포인트로부터 가장 낮은 주파수 포인트의 순서로 혹은 가장 낮은 주파수 포인트로부터 가장 높은 주파수 포인트로의 순서로 모든 주파수 포인트들을 순환적으로(cyclically) 가로지를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다수의 캐리어들에서 다운링크 채널의 주파수-호핑 송신의 패턴들의 개략적 다이아그램을 도시한다.
상기 주파수-호핑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시간-주파수 자원들은 주파수-호핑 송신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캐리어들, 즉 상기 앵커 캐리어 및 논-앵커 캐리어에서의 주파수-호핑 송신을 일 예로 고려할 경우, 도 8은 상기 주파수-호핑 패턴의 구체적인 구현을 나타내고 있다. 다른 주파수-호핑 패턴들이 다른 셀들 혹은 다른 사용자들에 적용될 수 있다. 기본적인 원칙은 다음과 같다: 상기 시작 캐리어 (상기 앵커 캐리어 혹은 상기 논-앵커 캐리어가 될 수 있는)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2개의 캐리어들에서의 송신이 번갈아 가면서 수행된다, 여기서, 예제 1(810) 및 예제 2(820)에서의 주파수-호핑을 위한 최소 시간 그래뉴래러티(granularity)는 1개의 무선 프레임이며, 예제 3(830) 및 예제 4(840)에서의 주파수-호핑을 위한 최소 시간 그래뉴래러티는 1개의 무선 프레임 미만이며, 예제 1(810) 및 예제 3(830)에서는 주파수-호핑 송신 중에 어떤 인터럽트(interrupt) 무선 프레임도 존재하지 않으며, 예제 2(820) 및 예제 4(840)에서는 주파수-호핑 송신 중에 인터럽트 무선 프레임이 존재한다.
실시예 4
실시예 4는 상기 NPSS들 및/혹은 NSSS들에 대한 시간-주파수 자원들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듀플렉스 모드를 지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셀 탐색 동안, 상기 UE는 상기 채널 래스터를 만족시키는 캐리어들의 고정된 서브프레임들에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NPSS들을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이 NSSS들을 송신할 수 있는 시간-주파수 자원 위치들에서 블라인드 검출(blind detection)을 수행하고 (여기서 상기 NPSS들 및/혹은 NSSS들에 대한 주파수-도메인 자원 위치들은 앵커 캐리어들 혹은 논-앵커 캐리어들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 NSSS들에 대해 검출된 시간-주파수 자원 위치들에 따라 상기 셀에 의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듀플렉스 모드를 식별한다. 다른 듀프렉스 모드들에서, 동일한 시퀀스들이 NPSS들 및 NSSS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다운링크 동기가 완료된 후, 상기 UE는 특정 규칙에 따라, NPBCH들을 송신하기 위해 상기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시간-주파수 자원들을 획득한다. 상기 특정 규칙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상기 UE는 고정 시간-주파수 자원들, 일 예로 앵커 캐리어의 서브프레임 #0에서 NPBCH들을 수신하거나; 혹은 상기 UE는 상기 듀플렉스 모드에 따라 다른 시간-주파수 자원들에서 NPBCH들을 수신한다, 일 예로 FDD일 경우, 상기 UE는 상기 앵커 캐리어의 서브프레임 #0에서 NPBCH들을 수신하고, TDD일 경우, 상기 UE는 상기 앵커 캐리어로부터 고정된 오프셋을 가지는 논-앵커 캐리어의 서브프레임 #5에서 NPBCH들을 수신한다. 상기 논-앵커 캐리어는 상기 앵커 캐리어에 인접한 캐리어가 될 수 있다.
TDD 및 FDD 모드들에서, NPSS들 및/혹은 NSSS들의 송신을 위한 시간-도메인 및 주파수-도메인 자원 위치들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르다. 상기 다른 시간-도메인 자원 위치들은 다른 듀플렉스 모드들에서, NPSS들 및/혹은 NSSS들이 동일한 인덱스를 가지지만, 다른 구간 주기들 혹은 송신 타이밍을 가지는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거나; 혹은 다른 듀플렉스 모드들에서, NPSS들 및/혹은 NSSS들이 다른 인덱스들을 가지는 서브프레임들에서 송신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주파수-도메인 자원 위치들은 다른 캐리어들 혹은 동일한 캐리어에서 다른 서브캐리어들을 의미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또는 단말기)는 셀 탐색 동안 상기 채널 래스터(raster)를 만족시키는 캐리어들의 서브프레임 #5(912)에서 NPSS들을 수신하고, 그리고 나서 앵커 캐리어에서 짝수 번째 무선 프레임들의 서브프레임 #9(913)에서 NSSS들을 수신하는 것을 시도한다. 상기 UE가 NSSS들을 정확하게 수신할 경우, 상기 UE는 상기 시스템 듀플렉스 모드가 FDD라고 결정할 수 있다. 상기 UE가 NSSS들을 검출하는 것에 실패할 경우, 상기 UE는 상기 앵커 캐리어로부터 고정된 오프셋을 가지는 논-앵커 캐리어에서 홀수 번째 무선 프레임들의 서브 프레임 #0(921) (혹은 서브프레임 #5(922))에서 NSSS들을 수신하도록 시도하고, 상기 UE가 NSSS들을 정확하게 수신할 경우, 상기 UE는 상기 시스템 듀플렉스 모드가 TDD라고 결정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을 경우 상기 UE에 의한 다운링크 동기는 실패한다. 상기 앵커 캐리어로부터 고정된 오프셋을 가지는 논-앵커 캐리어는 상기 앵커 캐리어에 인접한 캐리어가 될 수 있다. 상기 다운링크 동기가 완료된 후, 상기 UE는 상기 앵커 캐리어의 서브 프레임 #0(911)에서 NPBCH들을 수신한다. 이 예제에서, TDD에서, NPSS들 및 NSSS들은 또한 동일한 앵커 캐리어의 다른 서브프레임들에서 송신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UE가 앵커 캐리어의 서브프레임 #9(913)에서 NPSS들을 수신하고, 상기 앵커 캐리어의 서브프레임 #5(912)에서 NSSS들이 검출될 때, 상기 UE는 상기 시스템의 듀프렉스 모드가 TDD라고 결정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예가 주어져 있다. 셀 탐색 동안, 상기 UE는 상기 채널 래스터를 만족하는 캐리어들의 서브프레임 #5(예; 1012, 1022)에서 NPSS들을 수신하고, 그리고 나서 앵커 캐리어에서 짝수 번째 무선 프레임들의 서브 프레임 #9(1013)에서 NSSS들을 수신하는 것을 시도한다; 상기 UE가 NSSS들을 정확하게 수신할 경우, 상기 UE는 상기 시스템 듀플렉스 모드가 FDD라고 결정할 수 있고; 상기 UE가 NSSS들을 검출하는 것에 실패할 경우, 상기 UE는 상기 앵커 캐리어에서 홀수 번째 무선 프레임들의 서브 프레임 #0(1011)에서 NSSS들을 수신하는 것을 시도한다, 상기 UE가 NSSS들을 정확하게 수신할 경우, 상기 UE는 상기 시스템 듀플렉스 모드가 TDD라고 결정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을 경우 상기 UE에 의한 다운링크 동기는 실패한다. 상기 UE는 상기 시스템 듀플렉스 모드에 따라 NPBCH들에 대한 시간-주파수 자원들을 획득한다. FDD일 경우, 상기 다운링크 동기를 이미 완료한 UE는 상기 앵커 캐리어의 서브프레임 #0(1011)에서 NPBCH들을 수신한다; TDD일 경우, 상기 다운링크 동기를 이미 완료한 UE는 상기 앵커 캐리어로부터 고정된 오프셋을 가지는 논-앵커 캐리어의 서브프레임 #0(1021)에서 NPBCH들을 수신한다. 상기 앵커 캐리어로부터 고정된 오프셋을 가지는 논-앵커 캐리어는 상기 앵커 캐리어에 인접하는 캐리어가 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에 따른 UE가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와 캐리어에서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시간-주파수 자원들을 획득하는 방법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상기 TDD 모드에서 상기 NB IoT 시스템의 배치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UE가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와 상기 캐리어에서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시간-주파수 자원들을 획득하는 방법이 하기에서 설명될 것이다. 상기 방법은 실시 예 1, 2, 3, 혹은 4에서의 방법들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101: 상기 UE는 다운링크 중심 주파수 포인트를 앵커 캐리어의 주파수 포인트로 튜닝하고, 상기 앵커 캐리어 상에서 NPSS들 및 NSSS들을 수신하여 다운링크 동기화를 수행하고 NPBCH들을 수신하여 상기 MIB-NB를 리드한다.
단계 1102: 상기 UE는 상기 MIB-NB를 리드하여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를 획득하고, 여기서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는 상기 앵커 캐리어일 수 있거나, 혹은 논-앵커 캐리어일 수 있다.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UE에 의해 획득되는 MIB-NB 지시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의 지시/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PRB의 인덱스,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와 상기 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간의 주파수 오프셋의 지시/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PRB와 앵커 PRB간의 인덱스 오프셋,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의 동작 모드, 상기 앵커 캐리어의 동작 모드, 상기 LTE 시스템에 대한 대역폭,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와 할당된 주파수 포인트간의 서브캐리어 오프셋들의 개수/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와 상기 할당된 주파수 포인트간의 주파수 오프셋, 여기서 상기 할당된 주파수 포인트는 상기 앵커 캐리어에 대해 왼쪽으로 혹은 오른쪽으로 인접한 캐리어/PRB가 될 수 있다.
단계 1103: 상기 UE는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들을 획득한다. 상기 시간-주파수 자원들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 상에서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의 인덱스, 상기 SIB1-NB가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 상에서 상기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될 때 레이트 매칭을 위한 자원 엘리먼트(resource element: RE)들의 위치.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들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UE에 의해 획득되는 지시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의 동작 모드, 상기 앵커 캐리어의 동작 모드,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서브 프레임의 인덱스의 지시,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단계 1104: 상기 UE는 상기 다운링크 중심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로 튜닝하고, 상기 단계 1103에서 획득된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들에 따라 상기 SIB1-NB를 수신한다.
단계 1102에서, 상기 UE는 상기 앵커 캐리어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혹은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PRB의 인덱스)를 획득하는 방식을 결정한다. 특히, 상기 UE가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를 획득하는 방식은 상기 앵커 캐리어의 동작 모드에 따라 변경된다. 일 예로, 상기 UE가 상기 앵커 캐리어의 동작 모드가 상기 독립형(stand-alone) 동작 모드라는 것을 획득할 경우, 상기 MIB-NB 지시에 따라,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는 상기 앵커 캐리어 혹은 상기 앵커 캐리어에 대해 왼쪽으로 혹은 오른쪽으로 인접한 캐리어로 결정된다, 즉,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는 상기 앵커 캐리어의 주파수 포인트로부터 -200kHz 혹은 +200kHz를 가진다. 상기 MIB-NB 지시는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UE가 상기 앵커 캐리어의 동작 모드가 상기 대역-내 동작 모드라는 것을 획득할 경우, 상기 MIB-NB 지시에 따라,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PRB는 상기 앵커 PRB 혹은 상기 앵커 PRB 에 대해 왼쪽으로 혹은 오른쪽으로 인접한 PRB 로 결정된다, 즉,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PRB 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는 상기 앵커 PRB 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로부터 -180kHz 혹은 +180kHz를 가지며, 또한, 즉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PRB 의 인덱스 값은 상기 앵커 PRB의 인덱스 값으로부터 -1 혹은 +1을 가진다. 상기 MIB-NB 지시는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UE가 상기 앵커 캐리어의 동작 모드가 상기 보호-대역 동작 모드라고 획득할 경우,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PRB는 상기 MIB-NB 지시에 따라 다음과 같은 가능성들 중 적어도 하나로 결정된다: 상기 앵커 캐리어, 혹은 상기 앵커 캐리어에 대해 왼쪽으로 인접한 캐리어, 혹은 상기 앵커 캐리어에 대해 오른쪽으로 인접한 캐리어, 혹은 상기 앵커 캐리어에 대해 왼쪽으로 인접한 캐리어로부터 중심 주파수 오프셋/서브 캐리어 오프셋을 가지는 논-앵커 캐리어, 혹은 상기 앵커 캐리어에 대해 오른쪽으로 인접한 캐리어로부터 중심 주파수 오프셋/서브 캐리어 오프셋을 가지는 논-앵커 캐리어, 혹은 상기 앵커 캐리어로부터 특정 주파수 오프셋을 가지는 논-앵커 캐리어.
상기 UE는 상기 앵커 캐리어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논-앵커 캐리어와 상기 앵커 캐리어간의 주파수 오프셋, 상기 LTE 시스템에 대한 대역폭, 및/혹은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와 상기 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간의 주파수 오프셋(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PRB와 상기 앵커 PRB간의 인덱스 오프셋), 및/혹은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와 상기 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간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UE가 상기 앵커 캐리어의 동작 모드가 상기 보호-대역 동작 모드이고,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와 상기 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간의 상대적 위치 관계가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가 상기 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보다 낮다는 것이라는 것을 획득할 경우, 상기 UE는 상기 MIB-NB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LTE 시스템에 대한 대역폭의 지시를 리드하고, 상기 LTE 시스템에 대한 대역폭과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와 상기 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간의 절대 주파수 오프셋 (표 8 및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과 같은) 간의 연관에 따라,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와 상기 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간의 절대 주파수 오프셋이 F이고,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와 상기 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간의 주파수 오프셋이 -F라는 것을 획득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상기 UE가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와 상기 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간의 상대적 위치 관계가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가 상기 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보다 높다는 것을 획득할 경우, 상기 UE는 동일한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와 상기 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간의 주파수 오프셋이 +F라는 것을 획득한다. 이 예제에서,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와 상기 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간의 절대 주파수 오프셋 혹은 주파수 오프셋은 상기 MIB-NB에 의해서도 지시될 수 있다, 즉, 상기 MIB-NB는 상기 절대 주파수 오프셋의 값 F를 지시할 수 있거나, 혹은 상기 주파수 오프셋의 값 +F/-F를 지시할 수 있다.
상기 UE는 상기 앵커 캐리어의 동작 모드에 따른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논-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상기 LTE 시스템에 대한 대역폭, 및/혹은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와 상기 할당된 주파수 포인트간의 서브 캐리어 오프셋들의 개수(혹은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와 상기 할당된 주파수 포인트간의 주파수 오프셋), 및/혹은 상기 SIB1-NB에 대해 할당된 주파수 포인트(혹은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와 상기 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간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획득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할당된 주파수 포인트는 상기 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로부터 +180kHz 혹은 -180kHz를 가지는 왼쪽/오른쪽 인접 캐리어이다. 일 예로, 상기 UE가 상기 앵커 캐리어의 동작 모드가 상기 보호-대역 동작 모드이고, 상기 SIB1-NB를 위해 할당된 주파수 포인트와 상기 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간의 상대적 위치 관계가 상기 SIB1-NB를 위해 할당된 주파수 포인트의 중심 주파수가 상기 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보다 낮다는 것이라는 것을 획득할 경우, 상기 SIB1-NB를 위해 할당된 주파수 포인트는 상기 앵커 캐리어에 대해 왼쪽으로 인접한 캐리어이고; 그렇지 않을 경우, 상기 SIB1-NB를 위해 할당된 주파수 포인트는 상기 앵커 캐리어에 대해 오른쪽으로 인접한 캐리어이다. 상기 UE는 상기 MIB-NB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LTE 시스템에 대한 대역폭의 지시를 리드하고, 상기 LTE 시스템에 대한 대역폭과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와 상기 할당된 주파수 포인트간의 서브 캐리어 오프셋들의 절대 개수(혹은 절대 주파수 오프셋)간의 연관에 따라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와 상기 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오프셋 간의 절대 개수(혹은 절대 주파수 오프셋)을 획득하거나; 혹은 상기 UE는 직접 상기 MIB-NB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와 상기 할당된 주파수 포인트간의 서브 캐리어 오프셋들의 절대 개수(혹은 절대 주파수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를 리드한다. 상기 UE는 상기 서브 캐리어 오프셋들의 개수가
Figure 112018035680948-pat00104
라는 것을 획득한다고 가정하기로 하며, 여기서 N은 상기 서브 캐리어 오프셋들의 절대 개수이고, 양의 숫자 혹은 영(0)이 될 수 있으며, FSC는 서브캐리어 갭(gap)이다. 일 예로, 15kHz의 서브캐리어 갭 FSC를 고려할 경우, 상기 SIB1-NB를 위해 할당된 주파수 포인트가 상기 앵커 캐리어에 대해 왼쪽으로 인접한 캐리어일 경우, 상기 UE는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와 상기 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간의 주파수 오프셋이
Figure 112018035680948-pat00105
라는 것을 획득하고, 즉 상기 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로부터 (N+12)개의 서브 캐리어들만큼 왼쪽으로의 오프셋이라는 것을 획득하고; 상기 SIB1-NB를 위해 할당된 주파수 포인트가 상기 앵커 캐리어에 대해 오른쪽으로 인접한 캐리어일 경우, 상기 UE는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와 상기 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간의 주파수 오프셋이
Figure 112018035680948-pat00106
라는 것을 획득하고, 즉 상기 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로부터 (N+12)개의 서브 캐리어들만큼 오른쪽으로의 오프셋이라는 것을 획득한다. 상기와 같은 예제에서,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와 상기 할당된 주파수 포인트간의 서브캐리어 오프셋들의 개수 (혹은 주파수 오프셋)는 또한 상기 MIB-NB에 의해서도 지시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시되는 N의 값은 양수이거나 혹은 음수이거나 혹은 영이 될 수 있다. 상기 UE는 상기 MIB-NB를 직접 리드하여 표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와 상기 할당된 주파수 포인트 간의 서브 캐리어 오프셋들의 절대 개수 (혹은 절대 주파수 오프셋)를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MIB-NB에 포함되어 있는,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와 할당된 주파수 포인트 간의 서브 캐리어 오프셋들의 절대 개수(혹은 절대 주파수 오프셋)에 대한 지시 필드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와 할당된 주파수 포인트 간의 서브 캐리어 오프셋들의 절대 개수 N (혹은 절대 주파수 오프셋)
0 3(45kHz)
1 0(0kHz)
상기 UE는 상기 MIB-NB를 직접 리드하여 표 1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와 상기 할당된 주파수 포인트 간의 서브 캐리어 오프셋들의 개수 (혹은 주파수 오프셋)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MIB-NB에 포함되어 있는,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와 할당된 주파수 포인트 간의 서브 캐리어 오프셋들의 개수(혹은 주파수 오프셋)에 대한 지시 필드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와 할당된 주파수 포인트 간의 서브 캐리어 오프셋들의 개수 N (혹은 주파수 오프셋)
00 0(0kHz)
01 3(45kHz)
10 -3(-45kHz)
상기 UE는 표 1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LTE 시스템에 대한 대역폭과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에 대한 중심 주파수 포인트와 상기 할당된 주파수 포인트 간의 서브캐리어 오프셋들의 절대 개수 (혹은 절대 주파수 오프셋)간의 연관에 따라,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와 상기 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간의 절대 개수(혹은 절대 주파수 오프셋)을 획득할 수 있다.
MIB-NB에 포함되어 있는 지시 필드 LTE 시스템에 대한 대역폭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와 앵커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간의 절대 주파수 오프셋 N (혹은 절대 주파수 오프셋)
00 5MHz 3(45kHz)
01 10MHz 0(0kHz)
10 15MHz 3(45kHz)
11 20MHz 0(0kHz)
단계 1103에서, 상기 UE는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서브 프레임의 인덱스, 및/혹은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및/혹은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구성에 따라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 상에서 상기 사용되는 서브프레임의 인덱스를 획득할 수 있다. 특정한 방법에 대해서, 실시 예 1이 참조될 수 있다.
단계 1103에서, 상기 UE는 상기 SIB1-NB가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의 동작 모드 및/혹은 상기 앵커 캐리어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 상에서 상기 사용되는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될 때 레이트 매칭을 위한 RE들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한 구현으로서, 상기 UE는 상기 MIB-NB를 리드할 수 있고, 및/혹은 상기 앵커 캐리어의 동작 모드를 리드할 수 있고, 상기 앵커 캐리어의 동작 모드와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의 동작 모드간의 관계에 따라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의 동작 모드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UE가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의 동작 모드가 상기 독립형(stand-alone) 동작 모드이거나 혹은 보호-대역 동작 모드라는 것을 획득할 경우, 상기 UE는 상기 SIB1-NB가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 상에서 상기 사용되는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될 때의 레이트 매칭을 위한 RE들의 위치가 NRS를 제외한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서브 프레임내의 모든 RE들이라는 것을 획득한다, 즉 자원 매핑이 0의 서브 프레임 인덱스를 가지는 심볼로부터 수행된다는 것을 획득한다. 상기 UE가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의 동작 모드가 상기 대역-내 동작 모드라는 것을 획득할 때, 상기 앵커 캐리어의 동작 모드 역시 상기 대역-내 동작 모드일 경우, 상기 UE는 상기 MIB-NB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앵커 캐리어의 동작 모드에 대한 구성에 따라 LTE CRS 포트들 및/혹은 LTE 물리 계층 셀 식별자(Physical Layer Cell Identity: PCI)를 획득하고, 상기 LTE CRS에 의해 점유되는 RE의 위치를 계산한다. 이 경우에서, 상기 UE는 상기 SIB1-NB가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 상에서 상기 사용되는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될 때의 레이트 매칭을 위한 RE들의 위치는 3의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가지는 심볼로부터 시작되고, 유용한 RE들은 상기 LTE CRS의 위치 및 NRS의 위치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획득한다. 상기 UE가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의 동작 모드가 상기 대역-내 동작 모드라는 것을 획득할 때, 상기 앵커 캐리어의 동작 모드가 상기 보호-대역 동작 모드 혹은 독립형(stand-alone) 동작 모드일 경우, 상기 UE는 상기 LTE 포트들의 개수가 4이고,
Figure 112018035680948-pat00107
라고 가정하고, 상기 LTE CRS에 의해 점유되는 RE의 위치를 계산하며, 여기서
Figure 112018035680948-pat00108
는 LTE 물리 계층 셀 식별자(Physical Layer Cell Identity: PCI)이고,
Figure 112018035680948-pat00109
는 NB-IoT 협대역 물리 계층 셀 식별자(Narrowband Physical Layer Cell Identity: NPCI)이다. 이 경우에서, 상기 UE는 상기 SIB1-NB가 상기 SIB1-NB의 송신을 위한 캐리어 상에서 상기 사용되는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될 때의 레이트 매칭을 위한 RE들의 위치가 3의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가지는 심볼로부터 시작되고, 유용한 RE들은 상기 LTE CRS의 위치 및 NRS의 위치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획득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NB IoT에 대한 억세스를 위한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1200)는 제어부(1210) 및 송수신기 모듈(1220)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210)는 프로세서(processor)이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중앙 처리 장치,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그래픽 처리 장치, GPU(graphic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10)는 상기 사용자 장치(1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210)는 다운링크 동기화 모듈(1211), 마스터 정보 획득 모듈(1212), 시스템 정보 획득 모듈(12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운링크 동기 모듈(1211)은 NPSS 및 NSSS를 검출하여 다운링크 동기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정보 획득 모듈(1112)은 NPBCH를 검출하여 협대역 마스터 정보 블록(narrow band master information block: MIB-NB)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정보 획득 모듈(1213)은 상기 MIB-NB 정보에 따라 협대역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narrow band 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1: SIB1-NB)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NPSS와, 상기 NSSS와, 상기 MIB-NB 및 상기 SIB1-NB 중 적어도 하나는 논-앵커 캐리어에 포함된다.
상기 다운링크 동기 모듈(1211)과, 상기 마스터 정보 획득 모듈(1212) 및 상기 시스템 정보 획득 모듈(1213)의 동작 프로세스들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른 NB IoT에 대한 억세스를 위한 방법의 단계들 101, 102 및 103에 각각 상응하며, 여기서는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송수신기 모듈(1220)은 전송기(1221) 및/또는 수신기(1222)를 포함한다.
한편, 사용자 장치(1200)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사용자 장치(120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NB IoT에 대한 억세스를 구성하는 방법은 다운링크 동기를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 NPSS 및 NSSS를 송신하는 과정(단계 1301)과, 시스템의 기본 송신 파라미터들을 구성하기 위해 NPBCH에서 협대역 마스터 정보 블록(narrow band master information block: MIB-NB)을 송신하는 과정(단계 1302)과, 상기 시스템의 다른 기본 송신 파라미터들을 구성하기 위해 협대역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1 (narrow band 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1: SIB1-NB)을 송신하는 과정(단계 130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NPSS와, 상기 NSSS와, 상기 MIB-NB 및 상기 SIB1-NB 중 적어도 하나는 논-앵커 캐리어에서 송신된다.
본 개시에 따른 NB IoT에 대한 억세스를 구성하는 방법은 NB IoT에 대한 억세스 방법에 상응한다. 상기 NB IoT에 대한 억세스 방법은 UE에 적용되며, 상기 NB IoT에 대한 억세스를 구성하는 방법은 기지국 장치에 적용된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들 1, 2, 3 및 4는 본 개시에 따른 NB IoT에 대한 억세스를 구성하는 방법의 실시예들을 참조할 수 있으며, 이는 여기서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MIB-NB는 상기 NB IoT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 동작 모드(독립형(stand-alone) 동작, 대역-내(in-band) 동작 및 보호-대역(guard-band) 동작)와 프레임 번호와 같은 상기 시스템의 기본 송신 파라미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MIB-NB를 송신하여 상기 UE에게 이런 기본 송신 파라미터들을 알려준다는 것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SIB1-NB는 셀의 선택과, 전력과, NB IoT에 대해 사용 불가능한 서브프레임들 및 기준 신호와 같은, 상기 시스템의 다른 기본 송신 파라미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SIB1-NB를 송신하여 상기 UE에게 이런 다른 기본 송신 파라미터들을 알려줄 수 있다. 상기 MIB-NB 및 SIB1-NB 둘 다는 상기 UE가 상기 네트워크에 억세스하기 위해 획득되어야만 하는 컨텐츠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NB IoT에 대한 억세스를 구성하는 기지국 장치(1400)는 제어부(1410) 및 송수신기 모듈(1420)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410)는 프로세서(processor)이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중앙 처리 장치,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그래픽 처리 장치, GPU(graphic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10)는 상기 기지국 장치(1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410)는 다운링크 동기 모듈(1411), 마스터 정보 구성 모듈(1412), 시스템 정보 구성 모듈(1413)을 포함한다.
상기 다운링크 동기 모듈(1411)은 다운링크 동기를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 NPSS 및 NSSS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정보 구성 모듈(1412)은 시스템의 기본 송신 파라미터들을 구성하기 위해 NPBCH에서 협대역 마스터 정보 블록(narrow band master information block: MIB-NB)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정보 구성 모듈(1413)은 상기 시스템의 다른 기본 송신 파라미터들을 구성하기 위해 협대역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1 (narrow band 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1: SIB1-NB)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NPSS와, 상기 NSSS와, 상기 MIB-NB 및 상기 SIB1-NB 중 적어도 하나는 논-앵커 캐리어에서 송신된다.
상기 다운링크 동기 모듈(1411)과, 상기 마스터 정보 구성 모듈(1412) 및 상기 시스템 정보 구성 모듈(1413)의 동작 프로세스들은 본 개시에 따른 NB IoT에 대한 억세스를 구성하는 방법의 단계들 1301, 1302 및 1303에 각각 상응하고, 여기서는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송수신기 모듈(1420)은 전송기(1421) 및/또는 수신기(1422)를 포함한다.
한편, 기지국 장치(1400)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기지국 장치(140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본 개시는 적어도 다음의 유리한 기술적 효과들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첫 번째로, 상기 NPSS와, NSSS와, MIB-NB 및 SIB1-NB에 대한 주파수-도메인 송신 자원들이 앵커 캐리어들로부터 논-앵커 캐리어들로 확장되고, 이는 상기 앵커 캐리어들의 로드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기존 NB IoT가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따라서, 매우 많은 사용자들이 연결되어 있을 경우, 스펙트럼 자원들의 더 높은 사용을 성취하고, 상기 NB IoT 시스템의 시스템 처리량 및 연결 효율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두 번째로, 상기 UE가 상기 동기 신호들에 대한 자원 위치들에 따라 상기 시스템 듀플렉스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시스템 듀플렉스 모드를 기반으로 상기 MIB-NB에 대한 주파수-도메인 자원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MIB-NB 및 SIBs-NB를 획득하여, 상기 시스템 설계가 다른 듀플렉스 모드들에 따라 상기 MIB-NB 및 SIBs-NB에 대한 주파수-도메인 송신 자원들을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듀플렉스 모드 스위칭 기능이 제공되고, 상기 LTE-기반 NB IoT 시스템의 유연성 및 확장성이 개선된다.
세 번째로, 다수의 캐리어들을 구성하는 해결 방식들이 상기 SIBs-NB 및 물리 채널들의 주파수-호핑 송신을 위해 제공되며, 따라서 상기 시스템의 신뢰성 및 전반적인 성능이 현저하게 개선된다.
네 번째로, 상기 SIBs-NB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자원들의 위치 정보가 명시적 구성 혹은 암시적 구성에 의해 지시되고, 따라서 상기 시스템의 비밀 보장 및 억세스 보안에 대한 높은 요구가 만족된다.
본 개시의 제공된 실시 예들에서, 상기 개시된 시스템, 디바이스 및 방법은 다른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만 할 것이다. 일 예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디바이스 실시 예들은 단지 예시적일 뿐이다. 일 예로, 유닛들의 분할은 단순히 논리 기능들의 분할일 뿐이다. 실제 구현시에는 다른 분할 방식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다수의 유닛들 혹은 구성 요소들은 함께 결합될 수 있거나 혹은 다른 시스템으로 통합될 수 있거나, 혹은 일부 특징들은 생략될 수 있거나 혹은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게다가, 도시되거나 혹은 논의된 커플링(coupling)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몇몇 인터페이스들, 디바이스들 또는 유닛들을 통한 간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으며,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들 일 수 있다.
별도의 구성 요소들로서 설명된 유닛들은 물리적으로 별도일 수 있거나 혹은 물리적으로 별도가 아닐 수도 있다. 유닛들로서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물리 유닛들일 수 있거나 혹은 물리 유닛들이 아닐 수 있다, 즉, 상기 구성 요소들은 한 공간에 위치될 수 있거나 혹은 다수의 네트워크 유닛들에 걸쳐 분산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유닛들 중 일부 혹은 전부는 실제 요구 사항에 따라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상기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 유닛들은 1개의 프로세싱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거나; 혹은 상기 기능 유닛들은 물리적으로 개별 유닛들로 존재할 수 있거나; 혹은 상기 기능 유닛들 중 두 개 혹은 그 이상은 1개의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다. 상기 통합된 유닛들은 하드웨어 형태, 혹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당업자는 상기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의 단계들 중 전부 또는 일부가 관련 하드웨어를 프로그램들로 명령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프로그램들은 컴퓨터-리드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리드 가능 저장 매체는 리드 온니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들과, 랜덤 억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들과, 마그네틱 디스크들과, 광 디스크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방법 및 디바이스가 구체적으로 설명된 바 있다. 당업자에 대해서는, 본 개시의 컨셉을 기반으로 상기 실시 예들 및 응용 범위에 대한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세한 설명의 컨텐트는 본 개시에 대한 어떤 한정으로도 간주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3)

  1. 협대역 사물 인터넷(narrow band internet of things: NB IoT)에 대한 억세스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동기를 위한 협대역 기본 동기 신호(narrow band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NPSS) 및 협대역 보조 동기 신호(narrow band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NSSS)를 앵커 캐리어(anchor carrier)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앵커 캐리어에서 협대역 마스터 정보 블록(narrow band master information block: MIB-NB)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MIB-NB에 포함되는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논-앵커 캐리어(non-anchor carrier)에서 협대역 시스템 정보 블록(narrow band system information block: SIB-NB)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MIB-NB는 협대역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narrow band physical broadcast channel: NPBCH) 상에서 전송되고, 상기 SIB-NB는 협대역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narrowband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NPDSCH) 상에서 전송되고,
    상기 SIB-NB를 전송하는 상기 NPDSCH에 대한 반복 전송 횟수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 인덱스는 상기 MIB-NB에 포함되는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SIB-NB는 다른 SIBs-NB를 전송하기 위한 캐리어가 상기 논-앵커 캐리어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IB-NB는 상기 SIB-NB를 전송하기 위한 캐리어가 상기 논-앵커 캐리어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NB IoT(narrow band internet of things: NB IoT)에 대한 억세스를 위한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되며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동기를 위한 협대역 기본 동기 신호(narrow band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NPSS) 및 협대역 보조 동기 신호(narrow band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NSSS)를 앵커 캐리어(anchor carrier)에서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앵커 캐리어에서 협대역 마스터 정보 블록(narrow band master information block: MIB-NB)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MIB-NB에 포함되는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논-앵커 캐리어(non-anchor carrier)에서 협대역 시스템 정보 블록(narrow band system information block: SIB-NB) 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MIB-NB는 협대역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narrow band physical broadcast channel: NPBCH) 상에서 전송되고, 상기 SIB-NB는 협대역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narrowband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NPDSCH) 상에서 전송되고,
    상기 SIB-NB를 전송하는 상기 NPDSCH에 대한 반복 전송 횟수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 인덱스는 상기 MIB-NB에 포함되는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SIB-NB는 다른 SIBs-NB를 전송하기 위한 캐리어가 상기 논-앵커 캐리어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NB IoT(narrow band internet of things)에 대한 억세스를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동기를 위한 협대역 기본 동기 신호(narrow band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NPSS) 및 협대역 보조 동기 신호(narrow band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NSSS)를 앵커 캐리어(anchor carrier)에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앵커 캐리어에서 협대역 마스터 정보 블록(narrow band master information block: MIB-NB)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MIB-NB에 포함되는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논-앵커 캐리어(non-anchor carrier)에서 협대역 시스템 정보 블록(narrow band system information block: SIB-NB)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MIB-NB는 협대역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narrow band physical broadcast channel: NPBCH) 상에서 전송되고, 상기 SIB-NB는 협대역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narrowband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NPDSCH) 상에서 전송되고,
    상기 SIB-NB를 전송하는 상기 NPDSCH에 대한 반복 전송 횟수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 인덱스는 상기 MIB-NB에 포함되는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SIB-NB는 다른 SIBs-NB를 전송하기 위한 캐리어가 상기 논-앵커 캐리어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NB IoT(narrow band internet of things)에 대한 억세스를 구성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되며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동기를 위한 협대역 기본 동기 신호(narrow band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NPSS) 및 협대역 보조 동기 신호(narrow band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NSSS)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앵커 캐리어에서 협대역 마스터 정보 블록(narrow band master information block: MIB-NB)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MIB-NB에 포함되는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논-앵커 캐리어(non-anchor carrier)에서 협대역 시스템 정보 블록(narrow band system information block: SIB-NB)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MIB-NB는 협대역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narrow band physical broadcast channel: NPBCH) 상에서 전송되고, 상기 SIB-NB는 협대역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narrowband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NPDSCH) 상에서 전송되고,
    상기 SIB-NB를 전송하는 상기 NPDSCH에 대한 반복 전송 횟수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 인덱스는 상기 MIB-NB에 포함되는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SIB-NB는 다른 SIBs-NB를 전송하기 위한 캐리어가 상기 논-앵커 캐리어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IB-NB에 기반하여 상기 앵커 캐리어가 독립형(stand-alone) 모드 또는 대역-내(in-band) 모드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독립형 모드 또는 상기 대역-내 모드에 있는 상기 앵커 캐리어에 기반하여, 상기 논-앵커 캐리어가 상기 앵커 캐리어에 비해 주파수가 더 낮은 인접 캐리어인지 상기 앵커 캐리어에 비해 주파수가 더 높은 인접 캐리어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IB-NB에 기반하여 상기 앵커 캐리어가 보호 대역(guard-band) 모드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 대역 모드에 있는 상기 앵커 캐리어에 기반하여, 상기 논-앵커 캐리어가 대역-내(in-band) 모드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IB-NB에 기반하여 LTE 시스템 대역폭(LTE system bandwidth)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LTE 시스템 대역폭에 기반하여 상기 앵커 캐리어와 상기 논-앵커 캐리어 사이의 오프셋을 미리 결정된 주파수 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IB-NB에 기반하여 상기 앵커 캐리어가 보호 대역(guard-band)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MIB-NB에 기반하여 상기 논-앵커 캐리어가 상기 보호 대역과 반대되는 다른 보호 대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MIB-NB는 상기 SIB-NB를 전송하기 위한 캐리어가 상기 논-앵커 캐리어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MIB-NB에 기반하여 상기 앵커 캐리어가 독립형(stand-alone) 모드 또는 대역-내(in-band) 모드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독립형 모드 또는 상기 대역-내 모드에 있는 상기 앵커 캐리어에 기반하여, 상기 논-앵커 캐리어가 상기 앵커 캐리어에 비해 주파수가 더 낮은 인접 캐리어인지 상기 앵커 캐리어에 비해 주파수가 더 높은 인접 캐리어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MIB-NB에 기반하여 상기 앵커 캐리어가 보호 대역(guard-band) 모드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보호 대역 모드에 있는 상기 앵커 캐리어에 기반하여, 상기 논-앵커 캐리어가 대역-내(in-band) 모드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MIB-NB에 기반하여 LTE 시스템 대역폭(LTE system bandwidth)을 확인하고,
    상기 LTE 시스템 대역폭에 기반하여 상기 앵커 캐리어와 상기 논-앵커 캐리어 사이의 오프셋을 미리 결정된 주파수 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MIB-NB에 기반하여 상기 앵커 캐리어가 보호 대역(guard-band)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고,
    상기 MIB-NB에 기반하여 상기 논-앵커 캐리어가 상기 보호 대역과 반대되는 다른 보호 대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MIB-NB는 상기 SIB-NB를 전송하기 위한 캐리어가 상기 논-앵커 캐리어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MIB-NB는 상기 SIB-NB를 전송하기 위한 캐리어가 상기 논-앵커 캐리어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180041694A 2017-04-10 2018-04-10 협대역 사물 인터넷에 대한 억세스를 위한 방법 및 사용자 단말기 KR1025097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229636 2017-04-10
CN201710229636.7 2017-04-10
CN201710671248 2017-08-08
CN201710671248.4 2017-08-08
CN201711138388 2017-11-16
CN201711138388.1 2017-11-16
CN201810142604.8A CN108696384B (zh) 2017-04-10 2018-02-11 窄带物联网接入的方法及用户设备
CN201810142604.8 2018-0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519A KR20180114519A (ko) 2018-10-18
KR102509704B1 true KR102509704B1 (ko) 2023-03-15

Family

ID=63844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694A KR102509704B1 (ko) 2017-04-10 2018-04-10 협대역 사물 인터넷에 대한 억세스를 위한 방법 및 사용자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84868B2 (ko)
EP (1) EP3610676B1 (ko)
KR (1) KR102509704B1 (ko)
CN (1) CN1086963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15230A (zh) * 2017-11-17 2024-03-15 华为技术有限公司 随机接入信号的发送方法、接收方法和相关装置
US20210067282A1 (en) * 2018-01-03 2021-03-04 Lenovo (Beijing) Limited Non-anchor carrier frequency offset indication
US11490405B2 (en) * 2018-02-12 2022-11-01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CN112204917B (zh) * 2018-04-05 2023-07-07 Lg电子株式会社 在支持tdd窄带的无线通信系统中发送或接收系统信息的方法和设备
US11778536B2 (en) * 2018-09-18 2023-10-0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operation of standalone MTC that uses multi-narrowban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1147405B (zh) * 2018-11-02 2022-03-2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信号的发送方法及终端
CN111565463B (zh) * 2019-02-13 2023-01-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WO2021016744A1 (en) * 2019-07-26 2021-02-04 Lenovo (Beijing) Limited Nbiot frequency hopping
US11190594B2 (en) * 2020-03-24 2021-11-30 Kiomars Anvari Frame structure used by an IoT device of an object navigation and protection system (NPS)
CN113765909A (zh) * 2021-09-01 2021-12-07 梁成敏 一种应对智慧教育数据风控的大数据检测方法及系统
US20230134170A1 (en) * 2021-11-03 2023-05-0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obile broadband and machine type communication network coexisten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7545B2 (en) * 2008-08-11 2014-04-01 Qualcomm Incorporated Anchor carrier in a multiple 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705461B2 (en) * 2008-10-20 2014-04-2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Control channel signaling and acquisition for carrier aggregation
KR102596103B1 (ko) 2015-07-22 2023-10-3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머신 타입 단말 운용 방법 및 장치
EP3329627A1 (en) 2015-07-27 2018-06-06 Intel IP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s for system operation for narrowband-lte for cellular iot
WO2017039374A1 (en) 2015-09-02 2017-03-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procedure in nb-iot carri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7734670A (zh) * 2016-08-12 2018-02-23 夏普株式会社 执行随机接入的方法、用户设备和基站
CN107734667A (zh) * 2016-08-12 2018-02-23 夏普株式会社 执行随机接入的方法、用户设备和基站
CN110073685B (zh) * 2016-09-29 2023-03-28 夏普株式会社 为远程无线终端提供和获取系统信息
CN110603755B (zh) * 2017-02-17 2021-10-22 Lg 电子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中终端和基站之间的通信方法和支持该方法的设备
US11088813B2 (en) * 2017-02-28 2021-08-1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between terminal and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supporting same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05488*
3GPP R2-161261*
3GPP R5-17134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96384B (zh) 2022-09-16
EP3610676B1 (en) 2022-01-05
EP3610676A4 (en) 2020-02-19
US20200163032A1 (en) 2020-05-21
EP3610676A1 (en) 2020-02-19
KR20180114519A (ko) 2018-10-18
CN108696384A (zh) 2018-10-23
US11184868B2 (en) 202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9704B1 (ko) 협대역 사물 인터넷에 대한 억세스를 위한 방법 및 사용자 단말기
KR102607147B1 (ko) 차세대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초기 액세스 방법 및 장치
US116119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and data channe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299263B1 (ko)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65020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 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2559382B1 (ko) 차세대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주파수 자원 결정 방법 및 장치
KR102645317B1 (ko) mmWave 시스템을 위한 beamforming 기반 송수신 동작 방식 및 장치
KR20180021628A (ko)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코드블록 인덱스 삽입 방법 및 장치
KR102602339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준 신호 설정
CN116018849A (zh) 无线通信系统中用于初始小区接入的方法、装置和系统
KR2021011791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포지셔닝 기준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들 및 장치
JP2022528104A (ja) 非免許帯域で送信を行うためのリソース割り当て方法及びこれを用いる装置
EP37398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downlink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2008065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셀간 간섭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525735B1 (ko) mmWave 빔포밍 통신 시스템을 위한 Beam reference signal 전송 방식, Broadcast신호 전송 방식 및 대응하는 Reference Signal 설계 방식 및 장치
KR20230017214A (ko) 비면허대역에서 하향링크와 상향링크의 무선자원을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144606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pusch 전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1972012A (zh) 无线通信系统中的同步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