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9102B1 - 인공지능을 이용한 육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을 이용한 육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9102B1
KR102509102B1 KR1020220087312A KR20220087312A KR102509102B1 KR 102509102 B1 KR102509102 B1 KR 102509102B1 KR 1020220087312 A KR1020220087312 A KR 1020220087312A KR 20220087312 A KR20220087312 A KR 20220087312A KR 102509102 B1 KR102509102 B1 KR 102509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umer
work
kiosk
unit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9102B9 (ko
Inventor
신헌주
김해원
Original Assignee
신헌주
김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헌주, 김해원 filed Critical 신헌주
Priority to KR1020220087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1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102B1/ko
Publication of KR10250910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10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이용한 육성 시스템으로서 매칭서버; 및 상기 매칭서버와 통신하여 매칭 후 작업 결과를 출력하는 키오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공지능을 이용한 육성 시스템{Fostering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이용한 육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인터넷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양한 영업 형태와 방식이 제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급변하는 추세에서, 문학이나 미술 등의 예술 분야, 또는 평론과 연구 논문 등의 저작물은, 주로 작가가 전시회 등을 통하거나 서적으로 출판하여, 오프라인 상태에서 제한적으로 일반인에게 공개하고, 제공되도록 하였다.
상기한 종래의 저작물을 제공하는 방법은, 대부분 오프라인 상태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수요자에게 원활하게 저작물이 제공되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온라인 상에서 저작물에 대한 정보와 자료 등을 제공하도록 하는 시도와 연구가 시급하게 요구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 10-2003-0008668 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작품을 선택하고, 완성된 작품에 다른 작품에 적용된 화풍을 적용할 경우 나타나는 결과를 학습함으로서 그림을 공부하는 소비자에게 효과적인 육성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육성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육성 시스템은, 매칭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육성 시스템은, 상기 매칭서버와 통신하여 매칭 후 작업 결과를 출력하는 키오스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매칭서버는, 상기 키오스크와 통신하여 상기 키오스크를 통해 입력되는 소비자의 요구 사항을 입력 받고, 소비자의 요구 사항에 따라 매칭 후 작업 결과를 송신하는 통신부; 작가, 작가별 작품, 작품의 화풍을 포함하여 각 작가 및 작품별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키오스크를 통해 입력되는 소비자가 원하는 작가, 작가의 작품, 작품의 화풍을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제공 받아 저장하는 소비자 입력부; 상기 소비자 입력부를 통해 소비자가 희망하는 작가, 작품, 화풍 중 선택 사항을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작가, 작품, 화풍을 각각 반영하여 상기 키오스크 또는 소비자가 소지한 단말기로 제공하는 입력반영부; 및 소비자가 작품을 선택한 후, 해당 작품의 화풍이 아닌 다른 작품의 화풍을 원하는 경우, 해당되는 화풍으로 작품을 재작업한 결과를 출력하는 업데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소비자가 선택하는 작가, 작품, 화풍을 누적하여 저장하고, 저장한 데이터를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분석하여 소비자의 학습 성향 정보를 파악하고, 소비자의 학습 성향 정보를 기반으로 하되 소비자가 선택하지 않은 작가, 작품, 화풍 종류를 소비자에게 작가, 작품, 화풍을 제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는, 소비자로부터 요구 사항을 입력 받고, 요구 사항에 따라 반영이 완료된 작업 결과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소비자의 인증을 요구하는 인증부; 및 상기 인증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인증부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다리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안정적이게 유지하도록 구비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부재는, 상부로 지지부착부이 부착되며 하부로 기둥축을 갖는 기둥이 부착 형성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기둥축이 끼움되도록 직경 및 형상이 상기 기둥축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기둥축끼움부가 형성되며 일측으로 부착해제부가 형성된 중앙부재; 및 상기 중앙부재의 하단 내측으로 결합되는 결합기둥을 구비하여 덮개부를 형성한 부착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기둥축과 상기 기둥축끼움부에 의하여 상기 지지판이 상,하 180°로 회전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둥축은, 상기 기둥축끼움부에 끼워져 회전함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상기 키오스크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중앙부재는, 상기 결합기둥과 서로 수직된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하단 측면을 관통하는 결합핀이 관통되는 측면관통부가 하단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핀은, 상기 결합기둥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결합기둥이 상기 중앙부재의 하단관통홈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부착판은, 양면테이프를 부착하여 바닥면에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작품 관리 시스템은, 매칭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작품 관리 시스템은, 상기 매칭서버와 통신하여 매칭 후 작업 결과를 출력하는 키오스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매칭서버는, 상기 키오스크와 통신하여 상기 키오스크를 통해 입력되는 소비자의 요구 사항을 입력 받고, 소비자의 요구 사항에 따라 매칭 후 작업 결과를 송신하는 통신부; 작가, 작가별 작품, 작품의 화풍을 포함하여 각 작가 및 작품별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키오스크를 통해 입력되는 소비자가 원하는 작가, 작가의 작품, 작품의 화풍을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제공 받아 저장하는 소비자 입력부; 상기 소비자 입력부를 통해 소비자가 희망하는 작가, 작품, 화풍 중 선택 사항을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작가, 작품, 화풍을 각각 반영하여 상기 키오스크 또는 소비자가 소지한 단말기로 제공하는 입력반영부; 및 소비자가 작품을 선택한 후, 해당 작품의 화풍이 아닌 다른 작품의 화풍을 원하는 경우, 해당되는 화풍으로 작품을 재작업한 결과를 출력하는 업데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기존 작가의 작품 및 소비자의 작품을 등록하는 플랫폼 등록부; 기존 작가의 작품 및 소비자의 작품으로부터 색감, 그림체를 포함한 작품의 특징을 도출하는 특징도출부; 및 소비자가 소지한 단말기로부터 소비자가 원하는 특징을 텍스트로 입력 받고, 소비자가 원하는 특징을 분석하여 소비자가 선택한 작품에 적용 가능한지 여부를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판단하고, 적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작품을 제작하는 작품제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소비자가 선택하는 작가, 작품, 화풍을 누적하여 저장하고, 저장한 데이터를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분석하여 소비자의 학습 성향 정보를 파악하고, 소비자의 학습 성향 정보를 기반으로 하되 소비자가 선택하지 않은 작가, 작품, 화풍 종류를 소비자에게 작가, 작품, 화풍을 제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플랫폼 등록부는, 등록되어 있는 작품의 홍보가 가능하도록 소비자로부터 선택률이 낮은 작품의 특징을 도출하고, 유사한 특징을 입력한 소비자에게 선택률이 낮은 작품을 제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는, 소비자로부터 요구 사항을 입력 받고, 요구 사항에 따라 반영이 완료된 작업 결과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소비자의 인증을 요구하는 인증부; 및 상기 인증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인증부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다리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안정적이게 유지하도록 구비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부재는, 상부로 지지부착부이 부착되며 하부로 기둥축을 갖는 기둥이 부착 형성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기둥축이 끼움되도록 직경 및 형상이 상기 기둥축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기둥축끼움부가 형성되며 일측으로 부착해제부가 형성된 중앙부재; 및 상기 중앙부재의 하단 내측으로 결합되는 결합기둥을 구비하여 덮개부를 형성한 부착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기둥축과 상기 기둥축끼움부에 의하여 상기 지지판이 상,하 180°로 회전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둥축은, 상기 기둥축끼움부에 끼워져 회전함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상기 키오스크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중앙부재는, 상기 결합기둥과 서로 수직된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하단 측면을 관통하는 결합핀이 관통되는 측면관통부가 하단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핀은, 상기 결합기둥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결합기둥이 상기 중앙부재의 하단관통홈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부착판은, 양면테이프를 부착하여 바닥면에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육성 시스템은 작품을 선택하고, 완성된 작품에 다른 작품에 적용된 화풍을 적용할 경우 나타나는 결과를 학습함으로서 그림을 공부하는 소비자에게 효과적인 육성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학습을 위해 완성된 작품에 다른 작가의 화풍이 적용된 결과물을 대형 화면이 구비된 키오스크로 출력될 수 있어 그림을 공부하는 소비자는 큰 화면을 이용하여 꼼꼼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의 디스플레이부가 하부로 각도 조절이 용이한 기둥 또는 기둥축, 기둥축이 끼워지는 중앙부재를 형성함으로써, 흡착되어 키오스크 사용 시에 기둥 또는 기둥축이나 중앙부재에 의하여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구애됨이 없이 사용자에게 맞도록 상,하 180° 회전 시켜 기울임의 각도를 설정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기둥을 구비한 지지부재에 의하면, 키오스크의 전면 디스플레이부를 회전함에 따라 알맞은 완충력을 제공함으로써 지지부재에 가해지는 충격 및 진동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닥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킴으로써 지지부재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흡수하여 고층 아파트나 공공건물 등 인구 밀집지역에서 사용시 정숙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제품이 받는 충격을 줄여 제품수명을 늘여주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는 사용자의 신체에 적합한 완충력을 제공함으로써 장비의 부드러운 동작성능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어 장치의 수명이 오래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미만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육성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작품 관리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키오스크에 대한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미만,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육성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육성 시스템(10)은 매칭서버(100) 및 매칭서버와 통신하여 매칭 후 작업 결과를 출력하는 키오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매칭서버(100)는 통신부(110), 데이터베이스부(130), 소비자 입력부(150), 입력반영부(170) 및 업데이트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후술하는 키오스크와 통신하여 키오스크를 통해 입력되는 소비자의 요구 사항을 입력 받고, 소비자의 요구 사항에 따라 매칭 후 작업 결과를 송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30)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육성 시스템(10)에 등록되어 있는 작가, 작가별 작품, 작품의 화풍을 포함하여 각 작가 및 작품별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부(130)는 소비자가 선택하는 작가, 작품, 화풍을 누적하여 저장하고, 저장한 데이터를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분석하여 소비자의 학습 성향 정보를 파악하고, 소비자의 학습 성향 정보를 기반으로 하되 소비자가 선택하지 않은 작가, 작품, 화풍 종류를 소비자에게 작가, 작품, 화풍을 제안할 수 있다.
소비자 입력부(150)는 키오스크를 통해 입력되는 소비자가 원하는 작가, 작가의 작품, 작품의 화풍을 키오스크로부터 제공 받아 저장할 수 있다.
입력반영부(170)는 소비자 입력부(150)를 통해 소비자가 희망하는 작가, 작품, 화풍 중 선택 사항을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작가, 작품, 화풍을 각각 반영하여 키오스크 또는 소비자가 소지한 단말기(500)로 제공할 수 있다.
업데이트부(190)는 소비자가 작품을 선택한 후, 해당 작품의 화풍이 아닌 다른 작품의 화풍을 원하는 경우, 해당되는 화풍으로 작품을 재작업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육성 시스템(10)을 통해 그림을 공부하는 소비자는 작품을 선택하고, 완성된 작품에 다른 작품에 적용된 화풍을 적용할 경우 나타나는 결과를 학습함으로서 그림을 공부하는 소비자에게 효과적인 육성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는 소비자 단말기(500)를 통해 기존 한국 작가의 작품을 선택한 후, 작품의 정보와 해당 작품의 화풍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해당 작품에 과거 유명 화가(일 예로, 반고흐 등)의 화풍이 적용되는 경우 한국 작가의 작품이 적용된 결과를 출력받을 수 있다.
또한, 소비자는 매칭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부(130)에 의하여 인공지능에 의해 분석된 소비자의 학습 성향 정보의 범주 내에 속하되 소비자가 선택하지 않은 작가, 작품, 화풍의 종류를 제안받을 수 있어 소비자 본인이 알지 못하는 작가, 작품, 화풍에 대한 학습도 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작품 관리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키오스크에 대한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작품 관리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키오스크(900)는 소비자로부터 요구 사항을 입력 받고, 요구 사항에 따라 반영이 완료된 작업 결과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910), 소비자의 인증을 요구하는 인증부(950) 및 인증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부 및 인증부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다리부(9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800)는 상부로 지지부착부(812)가 부착되며 하부로 기둥축(816)을 갖는 기둥(814)이 부착 형성된 지지판(810)과, 지지판(810)의 하부로 기둥축(816)이 끼움 고정되는 기둥축끼움부(826)가 형성된 중앙부재(820)와, 중앙부재(820)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결합기둥(832)을 구비하여 덮개부(834)를 형성한 부착판(8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800)는 부착판(830)에 의하여 평평한 예를 들어 매끈한 바닥면 또는 울퉁불퉁한 아스팔트 바닥면 등과 같은 곳의 어느 곳이나 부착이 가능한 것으로,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이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봄으로서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특징들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지지부재(800)의 최상단에 위치한 지지판(810)은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810)의 상면부로는 별도의 접착제나 접착테이프(미도시) 소재로 형성된 지지부착부(812)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어 키오스크(900)의 다리부(990) 하단에 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판(810)의 하부 중앙부에는 후술하는 기둥축끼움부(826)에 끼움 고정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기둥축(816)이 형성되어 있는 기둥(814)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기둥(814)은 기둥축(816)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판(810)의 하단 중앙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단에 부착 부재가 구비되어 있어 지지판(810)으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판(810)의 하단에는 기둥(814)의 하단에 위치한 기둥축끼움부(826)가 끼움 고정되는 중앙부재(820)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중앙부재(820)를 구성하는 기둥축끼움부(826)는 중앙부재(82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기둥(814)의 하부에 형성된 기둥축(816)이 끼움 결합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되 기둥축(816)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기둥축(816)과 기둥축끼움부(826)에 의하여 지지판(810)은 상,하 180°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결합된 것이다.
이를 통해 키오스크(900)의 다리부(990) 하단 양측에 위치한 지지부재(800)는 키오스크(900)의 디스플레이부(910)의 전면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키에 따라 편리하게 키오스크(900)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중앙부재(820)의 하부로는 결합기둥(832)에 의해 결합되는 덮개부(834)를 형성한 부착판(830)은 중앙부재(820)의 측면에 관통하는 결합핀(829)에 의해 결합되며, 결합핀(829)에 의하여 부착판(830)의 흡착 및 해제를 하도록 구성된다.
중앙부재(820)의 하단에는 결합기둥(832)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도록 결합기둥(832)의 직경 및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하단관통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하단 측면에는 결합핀(829)이 관통하여 위치하도록 측면관통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측면관통홈(미도시)의 내측 끝단은 하단관통홈(미도시)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측면관통홈(미도시)으로 관통하여 위치한 결합핀(829)은 하단관통홈(미도시)를 관통하여 위치한 결합기둥(832)을 조여 결합기둥(832)이 하단관통홈(미도시)의 내측에서 견고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결합핀(829)과 결합기둥(832)을 서로 수직된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으며, 결합핀(829)은 결합기둥(832)의 측면을 가압하여 결합기둥(832)이 중앙부재(820)의 하단관통홈(미도시)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결합핀(829)은 결합기둥(832)과 맞닿는 일단면이 고무 등의 미끄럼을 방지하며 조일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용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부착판(830)이 흡착될 수 있는 평편한 곳에 부착하여 사용함은 물론 지지판(810)을 하부로 형성된 기둥(814)에 의하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용이 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과 이에 따른 실시예에서 부착판(830)에는 별도의 양면테이프(도시생략)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고장의 염려가 없는 것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둥(600)은 체결부재(626)를 조금씩 풀어줌으로써 충격하중을 완화시키게 되는데, 이를 위해 프레임(618)과, 프레임(618)에 내장되는 탄성부재(620)와, 탄성부재(620)를 관통하며 상단은 내부공간(640)에 위치하고 하단은 프레임(618)을 관통하여 체결부재(626)가 체결되는 중앙부(628)를 갖추고 있다.
또한, 기둥(600)을 위치시키기 위해 프레임(618)의 상단에 형성된 보강형성부(638)의 상단에는 다수의 부착부재(636)가 형성되어 있고, 부착부재(636)는 본드, 접착제 등 그 명칭에 구애되지 않고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즉 프레임(618)은 상단부에 다수의 부착부재(636)가 형성된 보강형성부(638)가 마련되어 내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내부공간(640)이 형성된 실린더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또한, 프레임(618)의 하부에는 프레임(618)에 끼워진 중앙부(628)의 하단이 돌출되는데, 그 단부에는 실링금속부재(622)와 금속부재(624)를 끼우고, 체결부재(626)를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다.
실링금속부재(622)와 금속부재(624)는 기둥(600)의 하단에 위치한 기둥축(816)이 체결할 때 압력 분산 및 완충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둥(600)의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기둥축(816)은 기둥(600)의 나사산(644)에 나사 체결 가능하도록 중앙 내측이 나사산(644)과 대응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618)의 내부, 즉 내부공간(640)에는 중앙부(628)와 관통하도록 하는 탄성부재(620)가 삽재된다.
이 때, 탄성부재(620)는 키오스크의 디스플레이부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압축스프링 등 수축 및 이완이 가능한 장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둥(600)은 다수의 부착부재(636)을 구비한 보강형성부(638)가 상단부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내부공간(640)이 형성된 티(T)자형의 프레임(618)과, 내부공간(640)에 삽입되어져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탄성부재(620)와, 돌출형성부(642)에 부착부재(636)가 형성되고 탄성부재(620)의 내측에 끼움 결합되는 중앙부(628)와, 중앙부(628)의 하단에 끼움 결합되는 실링금속부재(622)와 금속부재(624)와 체결부재(626)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둥(600)의 구성과 그 구성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기둥(600)은 상단에 돌출형성부(642)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부에는 나사산(644)이 형성된 중앙부(628)와, 상단부에 보강형성부(638)가 형성되고 내측에 내부공간(640)가 형성된 프레임(618)을 구성요소로 하고 있다.
그리고, 중앙부(628)에는 실링금속부재(622)와 탄성부재(620)과 실링금속부재(622)가 연속적으로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중앙부(628)를 내부공간(640)에 삽입시키고, 프레임(618)의 하부로 돌출되어 나온 나사산(644)에는 실링금속부재(622)와 금속부재(624)를 끼우고, 체결부재(626)를 연속적으로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즉, 체결부재(626)를 풀어줌으로써 내부공간(640)에 삽입된 탄성부재(620)에 끼워진 중앙부(628)의 이동거리가 늘어나면서 탄성부재(620)이 완화되어 충격을 완화시키고 이와 반대로 너무 완화되어 느슨해진 경우에는 체결부재(626)를 조여서 탄성부재(620)을 압축시켜서 적정한 탄력을 유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실시는 본 발명의 핵심요소로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고 할 것이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매칭서버

Claims (3)

  1. 매칭서버;를 포함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육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매칭서버와 통신하여 매칭 후 작업 결과를 출력하는 키오스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칭서버는,
    상기 키오스크와 통신하여 상기 키오스크를 통해 입력되는 소비자의 요구 사항을 입력 받고, 소비자의 요구 사항에 따라 매칭 후 작업 결과를 송신하는 통신부;
    작가, 작가별 작품, 작품의 화풍을 포함하여 각 작가 및 작품별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키오스크를 통해 입력되는 소비자가 원하는 작가, 작가의 작품, 작품의 화풍을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제공 받아 저장하는 소비자 입력부;
    상기 소비자 입력부를 통해 소비자가 희망하는 작가, 작품, 화풍 중 선택 사항을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작가, 작품, 화풍을 각각 반영하여 상기 키오스크 또는 소비자가 소지한 단말기로 제공하는 입력반영부; 및
    소비자가 작품을 선택한 후, 해당 작품의 화풍이 아닌 다른 작품의 화풍을 원하는 경우, 해당되는 화풍으로 작품을 재작업한 결과를 출력하는 업데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소비자가 선택하는 작가, 작품, 화풍을 누적하여 저장하고, 저장한 데이터를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분석하여 소비자의 학습 성향 정보를 파악하고, 소비자의 학습 성향 정보를 기반으로 하되 소비자가 선택하지 않은 작가, 작품, 화풍 종류를 소비자에게 작가, 작품, 화풍을 제안하고,
    상기 키오스크는,
    소비자로부터 요구 사항을 입력 받고, 요구 사항에 따라 반영이 완료된 작업 결과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소비자의 인증을 요구하는 인증부; 및
    상기 인증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인증부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다리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안정적이게 유지하도록 구비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부로 지지부착부이 부착되며 하부로 기둥축을 갖는 기둥이 부착 형성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기둥축이 끼움되도록 직경 및 형상이 상기 기둥축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기둥축끼움부가 형성되며 일측으로 부착해제부가 형성된 중앙부재; 및
    상기 중앙부재의 하단 내측으로 결합되는 결합기둥을 구비하여 덮개부를 형성한 부착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기둥축과 상기 기둥축끼움부에 의하여 상기 지지판이 상,하 180°로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기둥축은,
    상기 기둥축끼움부에 끼워져 회전함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상기 키오스크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중앙부재는,
    상기 결합기둥과 서로 수직된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하단 측면을 관통하는 결합핀이 관통되는 측면관통부가 하단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핀은,
    상기 결합기둥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결합기둥이 상기 중앙부재의 하단관통홈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부착판은,
    양면테이프를 부착하여 바닥면에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육성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20087312A 2022-07-15 2022-07-15 인공지능을 이용한 육성 시스템 KR102509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312A KR102509102B1 (ko) 2022-07-15 2022-07-15 인공지능을 이용한 육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312A KR102509102B1 (ko) 2022-07-15 2022-07-15 인공지능을 이용한 육성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9102B1 true KR102509102B1 (ko) 2023-03-09
KR102509102B9 KR102509102B9 (ko) 2023-07-13

Family

ID=85511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312A KR102509102B1 (ko) 2022-07-15 2022-07-15 인공지능을 이용한 육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910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668A (ko) 2001-07-19 2003-01-29 김광삼 인터넷을 이용한 저작물의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105688A (ko) * 2016-01-24 2018-09-28 사이드 캄란 하산 인공 지능을 기반으로 한 컴퓨터 보안
KR20190105533A (ko) * 2019-08-26 2019-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 영상 편집 방법 및 지능형 디바이스
KR20200009599A (ko) * 2018-07-19 2020-01-30 (주)코믹스브이 이미지에 작가의 화풍을 적용하여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KR102387892B1 (ko) * 2021-11-19 2022-04-18 (주)엔더블유컴퍼니 증강현실에 기반한 의류 판매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668A (ko) 2001-07-19 2003-01-29 김광삼 인터넷을 이용한 저작물의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105688A (ko) * 2016-01-24 2018-09-28 사이드 캄란 하산 인공 지능을 기반으로 한 컴퓨터 보안
KR20200009599A (ko) * 2018-07-19 2020-01-30 (주)코믹스브이 이미지에 작가의 화풍을 적용하여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KR20190105533A (ko) * 2019-08-26 2019-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 영상 편집 방법 및 지능형 디바이스
KR102387892B1 (ko) * 2021-11-19 2022-04-18 (주)엔더블유컴퍼니 증강현실에 기반한 의류 판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9102B9 (ko) 2023-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277939A (en) Leg rest
US7375271B1 (en) Enhanced drum stick
KR102509102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육성 시스템
KR102494057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작품 관리 시스템
ATE545896T1 (de) Serverseitiger projektmanager
US5994634A (en) Anchoring devices for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US972287A (en) Table-leveler.
US4488471A (en) High-hat cymbal stand and method of setting up the same
JP2017525616A (ja) クリップレス自転車ペダルのクリートアセンブリ
DE102010047488B4 (de) Schlaginstrument, nämlich Cajon, mit einem Mikrofon und Bausatz zum Umbau einer Cajon in ein solches Schlaginstrument
US3956962A (en) Guitar and adjustable mute therefor
JP2014025979A (ja) スパイク付脚、楽器、及び楽器用スタンド
US9697811B1 (en) Bass drum cradle
US3055254A (en) Drum beater
US7348480B1 (en) Pedal operated cymbal stand for holding cymbals with adjustable elevation angle and position
US1526999A (en) Auxiliary adjustable pedal attachment for piano pedals
JP3307674B2 (ja) バイオリン
US5918300A (en) Device for locating and adjusting a set of cymbals
US266231A (en) Alexandeb waenee
US7179978B2 (en) Foot activated pedal system for percussion instrument
US7772473B2 (en) Rim riser
US9767776B2 (en) Support stand for a musical instrument
US20050061138A1 (en) Anchoring apparatus for musical instrument stands
KR102461541B1 (ko) 성과 측정 시스템
US11401139B2 (en) Adjustable screw j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