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8963B1 - 기능수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기능수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8963B1
KR102508963B1 KR1020220074778A KR20220074778A KR102508963B1 KR 102508963 B1 KR102508963 B1 KR 102508963B1 KR 1020220074778 A KR1020220074778 A KR 1020220074778A KR 20220074778 A KR20220074778 A KR 20220074778A KR 102508963 B1 KR102508963 B1 KR 102508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late
water
electrode plates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4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헌
최용찬
오혁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푸드루트
주식회사 에이치엔에프
김재헌
최용찬
오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푸드루트, 주식회사 에이치엔에프, 김재헌, 최용찬, 오혁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푸드루트
Priority to KR1020220074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8963B1/ko
Priority to KR1020230029819A priority patent/KR20230174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19Cleaning the 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3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02F2001/46138Electrodes comprising a substrate and a coating
    • C02F2001/46142Catalytic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5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 C02F2001/46157Perforated or foraminous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기능수 생성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측에서 전원과 연결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수중 투입되어 물을 전기 분해해 기능수를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하방 연장되고 상부에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 연결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전극판, 한 쌍의 전극판을 서로 이격되어 적층되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내부에 수용하고, 전극판에서 탈락된 스케일이 배출 가능하도록 하향 개방되는 수용 유닛, 및 수용 유닛과 결합되어 전극판으로 물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전극판을 커버하고, 수용 유닛과 대응하여 하향 개방되는 케이스 유닛을 포함하는 기능수 생성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기능수 생성 장치{APPARATUS FOR GENERATING FUNCTIONAL WATER}
본 발명은 기능수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능수는 전기 분해, 자기 처리, 초음파 처리 등과 같은 인위적인 처리를 통해 활성화되어 특정한 기능을 가지는 물을 말한다.
기능수의 종류에는 처리 방식에 따라 전해수, 이온수, 자화수 등이 있으며, 이 중 기능수는 물의 전기 분해를 통해 수소 나노 분자를 용해시킨 물을 말한다.
이와 같은 기능수의 경우 그 생성 과정에서 전극에의 스케일 발생 및 축적에 따라 수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기능수 생성 효율의 향상을 위해 물의 전기 분해 시 물의 성질에 따라 전극에 생성되는 스케일을 효과적으로 억제, 탈락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전극의 간격, 두께, 면적, 수중 펌프 등을 조정 내지 장착해 기능수로서 높은 환원력을 가지는 용존수소를 생성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09988호 (2021.09.07. 공개)
본 발명은 물의 전기 분해 시 전극에 생성되는 스케일을 효과적으로 억제, 탈락 및 배출시켜 기능수 생성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수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측에서 전원과 연결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수중 투입되어 물을 전기 분해해 기능수를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하방 연장되고 상부에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 연결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전극판, 한 쌍의 전극판을 서로 이격되어 적층되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내부에 수용하고, 전극판에서 탈락된 스케일이 배출 가능하도록 하향 개방되는 수용 유닛, 및 수용 유닛과 결합되어 전극판으로 물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전극판을 커버하고, 수용 유닛과 대응하여 하향 개방되는 케이스 유닛을 포함하는 기능수 생성 장치가 제공된다.
전극판은, 복수의 투과홀을 가지는 메시(mesh)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판은, 물의 전기 분해 시 내산화성 및 내식성을 향상 가능하도록 백금으로 도금될 수 있다.
수용 유닛은, 내부에 하향 개방된 제1 개방부가 형성되어 일측의 제1 개방부 상에서 전극판을 수용하는 한 쌍의 제1 플레이트, 및 양측에서 한 쌍의 제1 플레이트와 결합됨에 따라 한 쌍의 제1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개재된 한 쌍의 전극판을 서로 이격시키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는, 내부에 제1 개방부와 대응되는 제2 개방부가 형성되고, 제1 플레이트는, 제1 개방부와 제2 개방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제2 플레이트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는,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전극판의 단락을 방지하도록 제2 개방부의 상측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하방 연장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는, 전극판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 가능하도록 제1 개방부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는 복수의 제1 지지 돌기를 포함하고, 제2 플레이트는, 제2 개방부의 내주면에서 복수의 제1 지지 돌기와 대응되게 돌출되는 복수의 제2 지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는, 일측에 제1 개방부 주변을 따라 전극판의 외주 단부를 수용 가능한 제1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는, 복수의 융착홀이 형성되고, 제2 플레이트는, 양측에서 복수의 융착홀에 대응되는 복수의 융착 돌기가 돌출되고,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는, 융착 돌기가 융착홀에 삽입되어 융착 돌기의 외주면과 융착홀의 내주면이 초음파 융착됨에 따라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 유닛은, 내면에 수용 유닛의 양 측단부에 대응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수용 유닛은, 케이스 유닛의 개방된 하부 측에서 한 쌍의 슬라이딩홈으로 양 측단부가 삽입되어 상방으로 케이스 유닛과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의 전기 분해 시 전극에 생성되는 스케일을 효과적으로 억제, 탈락 및 배출시켜 기능수 생성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 장치의 (a) 제1 플레이트의 일측면, (b) 제1 플레이트의 타측면, 및 (c) 제2 플레이트의 일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 장치의 (a) 전극판, (b) 전극판이 수용된 제1 플레이트, (c) 전극판이 수용된 제1 플레이트와 결합된 제2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 장치의 (a) 케이스 유닛, 및 (b) B-B'선과 C-C'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 장치의 조절 유닛 및 펌프 유닛을 나타낸 구성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능수 생성 장치(100)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서 전원과 연결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수중 투입되어 물을 전기 분해해 기능수를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하방 연장되고 상부에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 연결부(122)를 구비하는 한 쌍의 전극판(120), 한 쌍의 전극판(120)을 서로 이격되어 적층되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내부에 수용하고, 전극판(120)에서 탈락된 스케일이 배출 가능하도록 하향 개방되는 수용 유닛(140), 및 수용 유닛(140)과 결합되어 전극판(120)으로 물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전극판(120)을 커버하고, 수용 유닛(140)과 대응하여 하향 개방되는 케이스 유닛(180)을 포함하는 기능수 생성 장치(100)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물의 전기 분해 시 전극판(120)에 생성되는 스케일을 효과적으로 억제, 탈락 및 배출시켜 기능수 생성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수 생성 장치(100)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를 생성하는 장치는 상측에서 전원과 연결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수중 투입되어 물을 전기 분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물의 전기 분해 시 양 극성의 전극판(120)에서 일어나는 반응의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음극: 2H2O(l) + 2e → H2(g) + 2OH-(aq)
양극: 2H2O(l) → O2(g) + 4H+(aq) + 4e
물의 전기 분해 시 순수한 물은 전기 분해가 어려우므로 일정량의 전해질이 첨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물의 전기 분해를 통해 음극의 전극판(120)에서 나노 수준의 크기로 발생되는 수소 분자가 물에 용해되어 잔류함으로써 기능수로서의 잔류용존수소수가 생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를 통하여 생성된 잔류용존수소수 내의 수소 분자는 적어도 24시간 이상 용존 상태로 잔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잔류용존수소수는 인체에 유해한 활성 산소를 제거하고 노화 방지 및 피부 미용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잔류용존수소수를 농작물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별도 농약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농작물의 선도 유지, 병해 방지 등이 가능하여 이에 따라 친환경 농업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잔류용존수소수를 미네랄, 영양제 등과 혼합해 농작물에 사용하는 경우 농작물에 미네랄, 영양제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시킬 수 있다.
한 쌍의 전극판(120)은 하방 연장되고 상부에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 연결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한 쌍의 전극판(120)은 수중 투입 방향에 대응하여 하방 연장될 수 있고 상부에 전원 연결부(122)가 구비되어 이를 통해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수용 유닛(140)은 한 쌍의 전극판(120)을 서로 이격되어 적층되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내부에 수용하고, 전극판(120)에서 탈락된 스케일이 배출 가능하도록 하향 개방될 수 있다.
한 쌍의 전극판(120)은 수용 유닛(140)의 내부에서 이격되어 적층될 수 있으며, 이 때 수용 유닛(140)은 각 전극판(120)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한 쌍의 전극판(120)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수용 유닛(140)은 내부에 수용된 전극판(120)에서 탈락된 스케일이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향 개방될 수 있다.
케이스 유닛(180)은 수용 유닛(140)과 결합되어 전극판(120)으로 물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전극판(120)을 커버하고, 수용 유닛(140)과 대응하여 하향 개방될 수 있다.
수용 유닛(140)이 케이스 유닛(180)과 결합됨에 따라 수용 유닛(140)에 수용된 전극판(120)은 케이스 유닛(180)에 의해 외측이 커버되되 케이스 유닛(180)은 전극판(120)으로 물의 유입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유닛(180)은 수용 유닛(140)과 대응해 전극판(120)에서 탈락된 스케일이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향 개방될 수 있다.
전극판(120)은, 복수의 투과홀(124)을 가지는 메시(mesh)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물은 투과홀(124)을 통해 전극판(120)을 통과하여 한 쌍의 전극판(120) 사이로 이동할 수 있고 다시 투과홀(124)을 통과하면서 순환될 수 있다.
전극판(120)은, 물의 전기 분해 시 내산화성 및 내식성을 향상 가능하도록 백금으로 도금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양극의 전극판(120)에서는 산소 분자 발생에 따라 수소 이온이 생성되어 산성을 띄게 되므로 이에 따라 전극판(120)이 부식될 수 있다.
따라서 전극판(120)을 이온화 경향이 매우 작은 금속인 백금으로 도금함으로써 전술한 전극판(12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극판(120)을 백금으로 도금한 경우, 이리듐으로 도금한 경우 대비, 후술할 한 쌍의 전극판(120) 극성 교차 변경에서 높은 안정성(비파괴성)을 나타내므로, 해당 제어 동작에 대해 보다 높은 적합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전원 연결부(122)는, 전극판(120)의 상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전극판(120)을 서로 다른 면이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함으로써 각 전원 연결부(122)를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시킬 수 있고, 이 경우 각 전원 연결부(122)를 상호 간섭없이 보다 용이하게 전원과 연결시킬 수 있다.
한 쌍의 전극판(120)은, 수용 유닛(140)에 수용되어 1.9 내지 2.5mm 간격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음극의 전극판(120)에서 생성되어 한 쌍의 전극판(120) 사이의 물로 용해되는 수소 분자의 용해율 및 잔류율이 상승될 수 있다.
전극판(120)의 두께는, 0.4 내지 0.8mm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두께로 마련된 전극판(120)을 통해 수소 분자의 생성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전극판(120)의 면적은, 6,400 내지 7,150mm2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음극의 전극판(120)에서 생성되는 수소 분자 생성률을 높일 수 있다.
만약 전극판(120)의 면적이 전술한 수치 범위 미만이 될 경우에는 전극판(120)의 장수를 늘려 보충함으로써 전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극판(120)은,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 때 전극판(120)의 제1 변 및 제1 변과 이웃하는 제2 변의 길이는 각각 80mm 및 80mm, 또는 55mm 및 130mm일 수 있다.
수용 유닛(140)은, 내부에 하향 개방된 제1 개방부(151)가 형성되어 일측의 제1 개방부(151) 상에서 전극판(120)을 수용하는 한 쌍의 제1 플레이트(150), 및 양측에서 한 쌍의 제1 플레이트(150)와 결합됨에 따라 한 쌍의 제1 플레이트(150)와의 사이에 개재된 한 쌍의 전극판(120)을 서로 이격시키는 제2 플레이트(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50)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각각 전극판(120)을 수용하고 이 때 전극판(120)은 제1 플레이트(150)의 내부에 형성된 제1 개방부(151) 상에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개방부(151)는 제1 플레이트(150) 내에서 하향 개방되어 전극판(120)에서 탈락된 스케일이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60)는 한 쌍의 제1 플레이트(150) 사이에 개재되어 한 쌍의 제1 플레이트(150)와 결합됨으로써 한 쌍의 전극판(120)을 서로 이격시킬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60)는, 내부에 제1 개방부(151)와 대응되는 제2 개방부(161)가 형성되고, 제1 플레이트(150)는, 제1 개방부(151)와 제2 개방부(161)가 서로 마주보도록 제2 플레이트(16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개방부(161)가 제1 개방부(151)와 대응되어 제2 플레이트(160)의 내부에 형성됨에 따라 한 쌍의 제1 플레이트(150)와 제2 플레이트(160) 결합 시 한 쌍의 전극판(120) 사이에 물이 배치 가능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60)는,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전극판(120)의 단락을 방지하도록 제2 개방부(161)의 상측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하방 연장되는 스페이서(1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페이서(162)가 제2 개방부(161) 내에 배치되어 한 쌍의 전극판(120)이 서로 접촉하여 쇼트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162)는 제2 개방부(161)의 상측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하방 연장되므로 전극판(120)에서 탈락된 스케일이 하향 개방된 제2 개방부(161)를 따라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50)는, 전극판(120)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 가능하도록 제1 개방부(151)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는 복수의 제1 지지 돌기(153)를 포함하고, 제2 플레이트(160)는, 제2 개방부(161)의 내주면에서 복수의 제1 지지 돌기(153)와 대응되게 돌출되는 복수의 제2 지지 돌기(1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돌기(153)는 제1 개방부(151)의 내주면에서 복수로 돌출되어,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전극판(120)을 전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제2 지지 돌기(163)는 제1 지지 돌기(153)와 대응되도록 제2 개방부(161)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제1 지지 돌기(153)와 더불어 전극판(120)을 후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지지 돌기(153)는, 한 쌍씩 짝을 이뤄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극판(120)의 양측을 균형있게 지지 가능함은 물론, 한 쌍의 제1 지지 돌기(153)가 서로 이격됨으로써 전극판(120)에서 탈락된 스케일이 하향 개방된 제1 개방부(151)를 따라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50)는, 일측에 제1 개방부(151) 주변을 따라 전극판(120)의 외주 단부를 수용 가능한 제1 수용홈(154)이 형성될 수 있다.
전극판(120)의 외주 단부가 제1 개방부(151)의 주변을 따라 형성된 제1 수용홈(154)에 안착됨으로써 전극판(120)은 제1 플레이트(150)에 수용되고 또한 전극판(120)은 제1 개방부(151)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50)는, 전극판(120)이 하방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개방부(151)의 하측 내주면에서 이탈 방지 돌기(155)가 돌출될 수 있다.
제1 개방부(151)의 하측 내주면에서 이탈 방지 돌기(155)가 돌출됨에 따라 제1 수용홈(154)을 통해 제1 개방부(151) 상에 수용된 전극판(120)이 상방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이탈 방지 돌기(155)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50)는, 제1 수용홈(154)과 연결되되 제1 개방부(151)의 상측에 배치되어 전원 연결부(122)를 수용 가능한 제2 수용홈(156)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플레이트(150)는 전극판(120) 수용 시 전극판(120)의 상부에 구비된 전원 연결부(122)를 수용 가능하도록 제1 개방부(151)의 상측에 배치되어 제1 수용홈(154)과 연결되는 제2 수용홈(156)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50)는, 복수의 융착홀(157)이 형성되고, 제2 플레이트(160)는, 양측에서 복수의 융착홀(157)에 대응되는 복수의 융착 돌기(167)가 돌출되고, 제1 플레이트(150) 및 제2 플레이트(160)는, 융착 돌기(167)가 융착홀(157)에 삽입되어 융착 돌기(167)의 외주면과 융착홀(157)의 내주면이 초음파 융착됨에 따라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60)와 한 쌍의 제1 플레이트(150)는, 제2 플레이트(160)의 복수의 융착 돌기(167)가 한 쌍의 제1 플레이트(150)의 복수의 융착홀(157)에 삽입됨에 따라 적층되고, 이 때 융착 돌기(167)의 외주면과 융착홀(157)의 내주면이 초음파 융착됨에 따라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초음파 융착은 초음파를 이용해 대상물을 높은 진동수로 진동시켜 순간적으로 고온 진동 마찰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이에 따라 대상물을 용착시키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강력한 분자 결합에 따른 초음파 융착을 통해 결합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결합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플레이트(150)와 제2 플레이트(160) 결합 시 복수의 융착홀(157)과 이에 삽입되는 복수의 융착 돌기(167)만을 선택적으로 초음파 융착시킴으로써 충분한 결합력이 발생되도록 하면서도 결합에 소요되는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케이스 유닛(180)은, 내면에 수용 유닛(140)의 양 측단부에 대응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홈(181a)이 형성되고, 수용 유닛(140)은, 케이스 유닛(180)의 개방된 하부 측에서 한 쌍의 슬라이딩홈(181a)으로 양 측단부가 삽입되어 상방으로 케이스 유닛(180)과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수용 유닛(140)은 케이스 유닛(180)의 개방된 하부 측에서 양 측단부가 케이스 유닛(180)의 한 쌍의 슬라이딩홈(181a)에 삽입된 후 슬라이딩홈(181a)을 따라 상측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케이스 유닛(18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필요 시 수용 유닛(140)을 슬라이딩홈(181a)을 따라 하측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케이스 유닛(180)으로부터 탈거할 수도 있다.
케이스 유닛(180)은, 한 쌍의 슬라이딩홈(181a)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격벽부(181), 한 쌍의 제1 격벽부(181)의 양 측단부를 연결하고 전극판(120)으로 물의 유입이 가능한 복수의 유입홀(182a)을 가지는 한 쌍의 제2 격벽부(182), 한 쌍의 제2 격벽부(182) 및 한 쌍의 제1 격벽부(181)의 상단부를 폐쇄하되 내부에 전원 연결부(122)가 통과 가능한 한 쌍의 통과홀(183a)이 형성되는 제3 격벽부(183), 제3 격벽부(183)에서 돌출되어 한 쌍의 통과홀(183a)을 포위하도록 연장되는 제4 격벽부(184), 및 하향 개방되어 제4 격벽부(184)와 끼움 결합되고 상부에 전원 연결부(122)와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선이 출입 가능한 전선홀(186b)이 형성되는 캡(18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격벽부(181)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대향면에 한 쌍의 슬라이딩홈(181a)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격벽부(182)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한 쌍의 제1 격벽부(181)의 양 측단부를 연결하되 복수의 유입홀(182a)을 통해 전극판(120)으로 물을 유입시킬 수 있다.
제3 격벽부(183)는 한 쌍의 제1 격벽부(181) 및 한 쌍의 제2 격벽부(182)와 결합되어 그 상단부를 폐쇄하되 내부에 한 쌍의 통과홀(183a)이 관통 형성되어 전원 연결부(122)를 통과시킬 수 있다.
제4 격벽부(184)는 제3 격벽부(183)에서 돌출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되 한 쌍의 통과홀(183a)의 주변을 따라 연장되어 상측으로 개방된 폐쇄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캡(186)은 제4 격벽부(184)가 삽입됨에 따라 제4 격벽부(184)와 끼움 결합되어 제4 격벽부(184)를 상측에서 커버하되, 제4 격벽부(184) 내 공간에 배치된 전원 연결부(122)를 전원과 연결하는 전선이 출입 가능하도록 상부에 전선홀(186b)이 형성될 수 있다.
제4 격벽부(184)의 외면 및 캡(186)의 내면 중 어느 하나에는, 끼움 돌기(186a)가 돌출되고, 제4 격벽부(184)의 외면 및 캡(186)의 내면 중 다른 하나에는, 캡(186)이 제4 격벽부(184)와 끼움 결합됨에 따라 끼움 돌기(186a)가 삽입 가능한 끼움홈(184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캡(186)과 제4 격벽부(184)의 끼움 결합 시 끼움 돌기(186a)가 끼움 홈에 삽입되어 2차적으로 끼움 결합됨으로써 이에 따라 캡(186)과 제4 격벽부(184)의 결합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캡(186)은, 제4 격벽부(184)의 내부 공간에 수지재가 충진된 상태에서 제4 격벽부(184)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격벽부(184) 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해 전원 연결부(122)와 전선의 연결 부위에 물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 가능하며 또한 캡(186)과 제4 격벽부(184)의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케이스 유닛(180)은, 제4 격벽부(184)의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제5 격벽부(1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5 격벽부(185)에 의해 제4 격벽부(184)의 강성이 향상되어 제4 격벽부(184)가 캡(186)과의 결합에 의한 충격이나 기타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전극판(120)에의 전류 공급 지체 및 한 쌍의 전극판(120)의 극성 교차 변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제어 유닛(19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어 유닛(190)은 전원에 의한 통전이 시작된 이후 제1 설정 시간동안 한 쌍의 전극판(120)에의 전류 공급을 지체시킬 수 있다.
물의 전기 분해가 한 차례 이루어진 경우 한 쌍의 전극판(120) 및 그 주위에 잔류 전하가 남아 있을 수 있다.
이 때 다시 물의 전기 분해를 위해 곧바로 한 쌍의 전극판(120)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경우 잔류 전하에 의한 쇼트로 전극판(120)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유닛(190)을 통해, 전원에 의한 통전이 스위칭 등에 따라 시작되더라도 잔류 전하가 자연 방전 가능한 제1 설정 시간동안 한 쌍의 전극판(120)에의 전류 공급을 지체시킴으로써 전술한 바에 따른 전극판(1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설정 시간은 15초일 수 있으며, 이 시간동안 전류 공급을 지체시킴으로써 지체 시간을 최소화하면서 잔류 전하를 효율적으로 자연 방전시킬 수 있다.
제어 유닛(190)은 전원과 연결된 한 쌍의 전극판(120)의 극성을 제2 설정 시간을 주기로 교차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에 포함된 수소 이온 외 기타 양이온에 의하여 전극판(120)에 스케일이 생성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 때 제어 유닛(190)은, 한 쌍의 전극판(120)의 극성을 교차 변경 전 제1 설정 시간동안 한 쌍의 전극판(120)에의 전류 공급을 지체시킬 수 있다.
한 쌍의 전극판(120)의 극성을 교차 변경 전에 잔류 전하가 자연 방전 가능한 제1 설정 시간동안 한 쌍의 전극판(120)에의 전류 공급을 지체시킴으로써 전술한 바에 따른 전극판(1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설정 시간은 15초일 수 있으며, 해당 시간동안 전류 공급을 지체시킴으로써 지체 시간을 최소화하면서 잔류 전하를 효율적으로 자연 방전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전극판(120)의 극성 교차 변경 전 제1 설정 시간의 전류 공급 지체 시간을 둠으로써 전극판(120)으로부터 스케일을 탈락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생성된 수소 분자의 용해율 및 잔류율을 상승시킬 수도 있다.
한편, 물을 순환시키는 펌프 유닛(2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펌프 유닛(200)에 의해 물이 순환됨에 따라 물이 전기 분해되어 생성된 수소 분자의 물 내 용해가 촉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소 분자의 용존율이 상승될 수 있다.
펌프 유닛(200)을 통해 한 쌍의 전극판(120) 사이 및 그 주위의 물을 교체 가능하므로 물의 전기 분해가 이루어짐에 따라 전극판(120) 주위의 수소 이온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수소 분자 발생량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극판(120)에 생성된 스케일에 물의 순환 방향을 따라 유수에 의한 힘이 가해지므로 물이 정체되어 있을 경우 대비 스케일의 탈락을 촉진시킬 수 있다.
펌프 유닛(200)은 물을 적어도 2 이상의 방향으로 순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수에 의한 힘의 작용 방향이 변경되므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전극판(120)에 생성된 스케일을 효과적으로 탈락시킬 수 있다.
펌프 유닛(200)에 의한 물의 순환 방향은 전극판(120)의 노출면을 향하는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190)은 물의 순환 방향을 한 쌍의 전극판(120) 중 어느 하나의 노출면을 향하는 제1 방향에서 한 쌍의 전극판(120) 중 다른 하나의 노출면을 향하는 제2 방향으로 변경하도록 펌프 유닛(2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전극판(120)의 노출면에 생성된 스케일을 향해 유수에 의한 힘을 작용시켜 스케일을 탈락시킬 수 있다.
제어 유닛(190)은 물의 순환 방향이 제3 설정 시간을 주기로 변경되도록 펌프 유닛(200)을 제어할 수 있다.
제3 설정 시간은 제1 설정 시간과 제2 설정 시간의 합일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전극판(120)의 극성 교차 변경에 물의 순환 방향 변경을 대응시킬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 장치(100)의 수소 발생 측정 시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수소 발생 및 잔류 측정 시험>
1기압 25도 상온의 실내에서, 아래 표 1의 내용을 제외한 나머지 조건을 모두 동일하게 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 장치(100)와 비교 대상 장치를 염화나트륨을 첨가한 0.05% 농도의 물 100리터가 담긴 각 수조에 투입하여, (1) 분해 시작 시점부터 18분, 48분 경과 후의 총 수소 발생량을 ppb(part per billion) 단위로 측정하고, (2) 분해 완료 시점부터 24시간 경과 후의 ORP(oxidation reduction potential)를 mV 단위로 측정하였으며, (3) 분해 완료 시점부터 26시간 경과 후의 잔류 용존 수소량을 ppb 단위로 측정하였다. 이에 따른 각 결과는 아래 표 2 내지 표 4와 같다.
[본 실시예 및 비교 대상 비교]
본 실시예 비교 대상
전극판 도금 금속 백금(Pt) 이리듐(Ir)
전극판 두께 0.5mm 1.0mm
전극판 간격 2.1mm 1.0mm
전극판 면적 7,150mm2 7,150mm2
[(1) 분해 시작 후 경과 시간별 총 수소 발생량 비교]
경과 시간 총 수소 발생량 (ppb)
본 실시예 비교 대상
18분 794 375
48분 877 631
[(2) 분해 완료 시점부터 24시간 경과 후 ORP 비교]
경과 시간 ORP (mV)
본 실시예 비교 대상
24시간 -320 0
[(3) 분해 완료 시점부터 26시간 경과 후 잔류 용존 수소량 비교]
경과 시간 잔류 용존 수소량 (ppb)
본 실시예 비교 대상
26시간 경과 후 643 457
상기 결과에 따르면, (1) 초기 수소 발생 속도에 있어 본 실시예가 비교 대상 대비 매우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최종 수소 발생량에 있어서도 큰 차이가 나타나, 수소 발생 효율 내지 성능면에서 본 실시예가 보다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2) ORP는 수중 산화 환원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로서 음의 값을 가질수록 환원수임을 의미하며 특히 -200 내지 -400mV일 경우 활성수소수임을 나타내므로, 분해 완료 시점부터 24시간 경과 후에서 비교 대상의 경우 OmV, 본 실시예의 경우 -320mV로 측정된 것으로 보아, 본 실시예를 통해 보다 실효적인 잔류용존수소수가 생성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3) 분해 완료 시점부터 26시간 경과 후 잔류 용존 수소량을 비교해보면, 비교 대상의 경우 457ppb, 본 실시예의 경우 643ppb로 나타나, 본 실시예를 통해 생성된 수소가 보다 긴 시장동안 수중 잔류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전극판의 백금 도금, 전극판의 두께 및 간격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잔류용존수소수 생성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기능수 생성 장치
120: 전극판
122: 전원 연결부
124: 투과홀
140: 수용 유닛
150: 제1 플레이트
151: 제1 개방부
153: 제1 지지 돌기
154: 제1 수용홈
155: 이탈 방지 돌기
156: 제2 수용홈
157: 융착홀
160: 제2 플레이트
161: 제2 개방부
162: 스페이서
163: 제2 지지 돌기
167: 융착 돌기
180: 케이스 유닛
181: 제1 격벽부
181a: 슬라이딩홈
182: 제2 격벽부
182a: 유입홀
183: 제3 격벽부
183a: 통과홀
184: 제4 격벽부
184a: 끼움홈
185: 제5 격벽부
186: 캡
186a: 끼움 돌기
186b: 전선홀
190: 제어 유닛
200: 펌프 유닛

Claims (10)

  1. 상측에서 전원과 연결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수중 투입되어 물을 전기 분해해 기능수를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하방 연장되고 상부에 상기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 연결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전극판;
    상기 한 쌍의 전극판을 서로 이격하여 배치하되 상기 한 쌍의 전극판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전극판에서 탈락된 스케일이 배출 가능하도록 하향 개방되는 수용 유닛;
    상기 수용 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전극판으로 물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전극판을 커버하고, 상기 수용 유닛과 대응하여 하향 개방되는 케이스 유닛;
    상기 전극판에 스케일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전극판의 극성을 설정 시간을 주기로 교차 변경하는 제어 유닛; 및
    상기 전극판에 생성된 스케일의 탈락을 촉진 가능하도록 물을 적어도 2 이상의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펌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전극판의 노출면에 생성된 스케일을 탈락시키기 위하여 물의 순환 방향을 상기 한 쌍의 전극판 중 어느 하나의 노출면을 향하는 제1 방향에서 상기 한 쌍의 전극판 중 다른 하나의 노출면을 향하는 제2 방향으로 변경하도록 상기 펌프 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수용 유닛은,
    내부에 하향 개방된 제1 개방부가 형성되어 일측의 상기 제1 개방부 상에서 상기 전극판을 수용하는 한 쌍의 제1 플레이트; 및
    양측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플레이트와 결합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개재된 상기 한 쌍의 전극판을 서로 이격시키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기능수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은,
    복수의 투과홀을 가지는 메시(mesh) 형상으로 형성되는, 기능수 생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은,
    물의 전기 분해 시 내산화성 및 내식성을 향상 가능하도록 백금으로 도금되는, 기능수 생성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내부에 상기 제1 개방부와 대응되는 제2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개방부와 상기 제2 개방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2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기능수 생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기 한 쌍의 전극판의 단락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개방부의 상측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하방 연장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기능수 생성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전극판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개방부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는 복수의 제1 지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2 개방부의 내주면에서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돌기와 대응되게 돌출되는 복수의 제2 지지 돌기를 포함하는, 기능수 생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일측에 상기 제1 개방부 주변을 따라 상기 전극판의 외주 단부를 수용 가능한 제1 수용홈이 형성되는, 기능수 생성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복수의 융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양측에서 상기 복수의 융착홀에 대응되는 복수의 융착 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융착 돌기가 상기 융착홀에 삽입되어 상기 융착 돌기의 외주면과 상기 융착홀의 내주면이 초음파 융착됨에 따라 서로 결합되는, 기능수 생성 장치.
  10. 상측에서 전원과 연결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수중 투입되어 물을 전기 분해해 기능수를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하방 연장되고 상부에 상기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 연결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전극판;
    상기 한 쌍의 전극판을 서로 이격하여 배치하되 상기 한 쌍의 전극판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전극판에서 탈락된 스케일이 배출 가능하도록 하향 개방되는 수용 유닛;
    상기 수용 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전극판으로 물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전극판을 커버하고, 상기 수용 유닛과 대응하여 하향 개방되는 케이스 유닛;
    상기 전극판에 스케일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전극판의 극성을 설정 시간을 주기로 교차 변경하는 제어 유닛; 및
    상기 전극판에 생성된 스케일의 탈락을 촉진 가능하도록 물을 적어도 2 이상의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펌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전극판의 노출면에 생성된 스케일을 탈락시키기 위하여 물의 순환 방향을 상기 한 쌍의 전극판 중 어느 하나의 노출면을 향하는 제1 방향에서 상기 한 쌍의 전극판 중 다른 하나의 노출면을 향하는 제2 방향으로 변경하도록 상기 펌프 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케이스 유닛은,
    내면에 상기 수용 유닛의 양 측단부에 대응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유닛은,
    상기 케이스 유닛의 개방된 하부 측에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홈으로 양 측단부가 삽입되어 상방으로 상기 케이스 유닛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기능수 생성 장치.
KR1020220074778A 2022-06-20 2022-06-20 기능수 생성 장치 KR102508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778A KR102508963B1 (ko) 2022-06-20 2022-06-20 기능수 생성 장치
KR1020230029819A KR20230174142A (ko) 2022-06-20 2023-03-07 기능수 생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778A KR102508963B1 (ko) 2022-06-20 2022-06-20 기능수 생성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9819A Division KR20230174142A (ko) 2022-06-20 2023-03-07 기능수 생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8963B1 true KR102508963B1 (ko) 2023-03-10

Family

ID=855704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4778A KR102508963B1 (ko) 2022-06-20 2022-06-20 기능수 생성 장치
KR1020230029819A KR20230174142A (ko) 2022-06-20 2023-03-07 기능수 생성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9819A KR20230174142A (ko) 2022-06-20 2023-03-07 기능수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089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859B1 (ko) * 2006-02-28 2007-02-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스케일 거름수단을 구비하는 수처리장치
KR20080088010A (ko) * 2007-03-28 2008-10-02 김남철 이온수기 전해조용 전극 및 도금방법
KR20190006469A (ko) * 2018-12-31 2019-01-18 주식회사 교원 메쉬망이 구비된 살균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KR20210109988A (ko) 2020-02-28 2021-09-07 케이퓨전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수중 플라즈마를 이용한 기능수 생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859B1 (ko) * 2006-02-28 2007-02-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스케일 거름수단을 구비하는 수처리장치
KR20080088010A (ko) * 2007-03-28 2008-10-02 김남철 이온수기 전해조용 전극 및 도금방법
KR20190006469A (ko) * 2018-12-31 2019-01-18 주식회사 교원 메쉬망이 구비된 살균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KR20210109988A (ko) 2020-02-28 2021-09-07 케이퓨전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수중 플라즈마를 이용한 기능수 생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4142A (ko) 202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4449A (en) Electrolytic cell
KR0185229B1 (ko) 전해수 생성 방법 및 장치
EP2222607B1 (en) Electrolyzer cell for producing acidic or alkaline electrolyzed water
EP1386887B1 (en) A method for producing electrolyzed water
US625125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electrolyzed water
JP3794354B2 (ja) 電気脱イオン装置
WO19980588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electrochemical treatment of water and aqueous salt solutions
US20080156642A1 (en) System for the Disinfection of Low-Conductivity Liquids
EP2826888A1 (en) Diaphragmless electrolyzer
NL8502355A (n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de bereiding van een desinfectans voor water, zoals drink- of zwemwater.
JP5173683B2 (ja) 複極式電解槽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スペーサ
KR101934222B1 (ko) 전기분해수 생성장치
KR102508963B1 (ko) 기능수 생성 장치
KR20160038298A (ko) 전기분해 수처리장치
JP5282201B2 (ja) 電気分解水生成器
KR20210015536A (ko) 전기분해조 내에 구비된 티타늄 재질의 냉각관을 포함하는 무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 생성장치
JP3849470B2 (ja) 電解水生成装置
KR102495514B1 (ko) 차아염소산의 생성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기분해 수처리장치
US20170355625A1 (en) Electrolysis apparatus for water sterilization and pipe cleaning
JPH03192A (ja) 浴槽水殺菌浄化装置
KR101779032B1 (ko) 수전해조 및 이를 이용하는 미용기구
KR101695854B1 (ko) 살균수 순간 제조장치
EP3012232A1 (en) Electrolysis device for a monitoring and treating system for a swimming pool
RU259389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ого разложения мочевины
KR20070030866A (ko) 전해수 생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