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570B1 - 단열재 고정용 패스너 및 이를 포함하는 외단열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열재 고정용 패스너 및 이를 포함하는 외단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570B1
KR102507570B1 KR1020190033367A KR20190033367A KR102507570B1 KR 102507570 B1 KR102507570 B1 KR 102507570B1 KR 1020190033367 A KR1020190033367 A KR 1020190033367A KR 20190033367 A KR20190033367 A KR 20190033367A KR 102507570 B1 KR102507570 B1 KR 102507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fixing
region
insulating material
reinforced thermo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3350A (ko
Inventor
이유지
송수빈
김지현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90033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570B1/ko
Publication of KR20200113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2001/742Use of special materials; Materials having special structures or sha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90Passive houses; Double facade technolo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재 고정용 패스너 및 이를 포함하는 외단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정 길이를 가지는 로드부; 및 상기 로드부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브부 및 헤드부는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GFRP;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을 포함하는 단열재 고정용 패스너 및 이를 포함하는 외단열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단열재 고정용 패스너 및 이를 포함하는 외단열 시스템{Fastener for fixing insulating material and outer insula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열재 고정용 패스너 및 이를 포함하는 외단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단열재는 건물 내외부 간의 열교환을 차단하거나 감소시켜 냉난방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건축재료이다. 단열재 시장의 규모는 매년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에너지절약설계 기준 강화로 인해 건물 외부에 설치되는 외단열재의 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외단열 시공시 단열재를 벽체에 고정하기 위해서 패스너를 사용하였다. 패스너는 외단열 시공시 단열재 및 벽체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단열재를 벽체에 고정시킨다.
종래의 패스너는 못 형태의 강철 소재로 제조되었으나, 소재의 특성 상 부식으로 인한 유지 관리가 요구되었고, 열전도도가 높아 열교 현상이 심한 문제가 있었으며, 이외에 기계적 강도 낮은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종래의 강철 소재로 제조된 패스너의 단열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소재의 패스너 커버를 적용한 이중 구조의 패스너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중 구조의 패스너는 기본 골격이 강철 소재의 패스너 이기 때문에, 강철 소재의 부식으로 인한 유지 관리 및 열전도도에 대한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또한, 이중 구조의 패스너는 커버에 의해 끝부분이 둥근 모양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벽체 및 단열재를 관통하기 어려웠고, 따라서, 시공 시 이중 구조의 패스너가 관통되는 별도의 홈을 형성하기 위한 사전 드릴링 작업이 요구되었다.
또한, 이러한 이중 구조의 패스너는 구조적으로 해머 시공이 제한되고, 전용 건(Gun)에 삽입하여 시공에 적용되는데, 이중 구조의 패스너는 전용 건(Gun)에 삽입하여 시공시 평활도 및 기울기 편차에 따른 하자 발생에 의해 시공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기계적 강도, 단열 성능, 경량화, 비용 절감, 시공 편의성 및 시공 정확도가 개선된 단열재 고정용 패스너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정 길이를 가지는 로드부; 상기 로드부의 일단에 마련된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브부 및 헤드부는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GFRP;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으로 형성된 단열재 고정용 패스너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와 관련된 단열재 고정용 패스너는 종래의 패스너 대비 기계적 강도, 단열 성능, 경량화, 비용 절감, 시공 편의성 및 시공 정확도가 개선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단열재 고정용 패스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외단열 시스템의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출원은 단열재 고정용 패스너에 관한 것이다. 상기 패스너는 외단열 시공시 벽체에 단열재를 고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고정용 패스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단열재 고정용 패스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외단열 시스템의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단열재 고정용 패스너(10)는 일반적인 못 형태의 구조를 가지며, 구체적으로, 로드부(100) 및 헤드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로드부(100)는 소정 길이를 가진다. 상기 로드부(100)는 벽체 및 단열재의 접합면(21)의 반대면(22)에 삽입되어, 벽체 및 단열재의 접합면(21)을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로드부(100)의 소정 직경을 가지며, 로드부(100)의 길이 및 직경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벽체(30)에 고정시키기 위한 단열재(20)의 두께에 따라 유동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로드부(100)는 단열재(20)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삽입되는 일단이 뾰족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로드부(100)의 일단이 뾰족한 형상을 가짐에 따라, 사전 드릴링 작업이 요구되는 이중 구조의 패스너에 비해 시공 편의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헤드부(200)는 로드부(100)의 일단에 마련된다. 패스너(10)에 의해 단열재(20)를 벽체(3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200)는 단열재의 반대면(22)에 위치하며, 상기 헤드부(200)는 해머 시공 시 해머가 타격하는 부분이다. 상기 헤드부(200)의 형상은 작업자가 해머로 타격하기 용이한 형상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헤드부(200)는 로드부(100)의 직경 보다 큰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부(100)는 헤드부(200)의 중심 측에 수직 연결된다.
상기 로드부(100) 및 헤드부(200)는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GFRP;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으로 형성된다.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은 강철 대비 20 내지 25% 정도 가벼우므로 경량화 측면에서 유리하고, 강철보다 기계적 강도 (예를 들어, 인장 강도)가 우수하고, 열전도도가 낮아 열교 현상이 일어나지 않으며, 부식 또한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패스너(10)는 종래의 패스너(10)가 갖는 문제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은 단섬유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SFT; Short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및 장섬유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LFT; 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공 비용과 원하는 물성을 고려하여, 장섬유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단섬유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혼합한 복합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로드부(100) 및 헤드부(200)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드부(100)는 장섬유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헤드부(200)는 단섬유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및 장섬유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복합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드부(100)는 섬유의 길이가 길어 굴곡 탄성율과 충격강도가 우수한 장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됨에 따라, 외부 충격(해머에 의한 충격)에 의해 구부러지거나 휘어지는 외형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200)는 단열 성능이 우수한 단섬유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및 장섬유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됨에 따라, 외부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하면서, 동시에 단열재(20)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헤드부(200)는 장섬유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단가를 가지는 단섬유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이 혼합된 복합 플라스틱으로 형성됨에 따라, 시공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부(200)는 로드부(100)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장섬유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제1 영역(210); 및 상기 제1 영역(210)에 접합 고정되고, 단섬유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및 장섬유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복합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제2 영역(2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패스너(10)는 사출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헤드부의 제1 영역(210)과 제2 영역(220)은 동시 사출 공정을 거쳐 접합된 하나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제1 영역(210)은 헤드부(200)와 로드부(100)의 경계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210)이 장섬유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됨에 따라, 로드부(100)와 함께 외부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220)은 로드부(100)와 이격되어 위치하고, 해머 시공 시 해머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 영역(220)은 단섬유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및 장섬유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됨에 따라, 외부 충격을 충분히 완충하면서, 동시에 우수한 단열 성능을 부여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로드부(100)와 헤드부(200)가 일체로 형성된 패스너(10)는 헤드부(200)의 제1 영역(210)과 로드부(100)는 섬유의 연속성이 유지된다. 헤드부의 제1 영역(210)과 로드부(100)는 하나의 재질로 연속 사출되어 제조됨에 따라, 섬유의 연속성이 유지된다.
본 출원에 따른 패스너(10)는 상기와 같이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아래와 같은 물성이 구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스너(10)의 ASTM D628에 따른 인장 강도는 300 내지 1000Mpa, 400 내지 900Mpa 또는 500 내지 800Mpa일 수 있다. 일반적인 강철의 ASTM D628에 따른 인장 강도가 235MPa인 점을 고려할 때, 본 출원에 따른 패스너(10)는 강철 소재의 패스너(10) 대비 우수한 인장 강도를 가진다.
또한, 상기 패스너(10)의 ISO 8302에 따른 열전도도는 40W/mk, 30W/mk, 20W/mk, 10W/mk 또는 1W/mk이하일 수 있다. 일반적인 강철의 ISO 8302에 따른 열전도도가 50.2 W/mk인 점을 고려할 때, 본 출원에 따른 패스너(10)는 강철 소재의 패스너(10) 대비 낮은 열전도도를 가진다.
또한, 본 출원에 따른 패스너(10)의 ASTM D1505에 따른 비중은 0.1 내지 7g/cm3, 0.5 내지 5g/cm3 또는 1 내지 3g/cm3이고, ASTM D628에 따른 탄성계수는 1 내지 150Gpa, 10 내지 100Gpa 또는 20 내지 80Gpa 일 수 있다. 일반적인 강철의 비중이 ASTM D1505에 따른 7.85g/cm3인 점을 고려해볼 때, 본 출원에 따른 패스너(10)는 강철 소재의 패스너(10) 대비 경량화로 제조된다. 또한, 일반적인 강철의 ASTM D628에 따른 탄성 계수가 205Gpa인 점을 고려해볼 때, 본 출원에 따른 패스너(10)는 강철 소재의 패스너(10) 대비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충격 강도가 구현된다.
본 출원은 외단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외단열 시스템은 건물(벽체)의 외부에 단열재가 설치되는 시스템으로서, 벽체, 단열재 및 패스너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시스템은 벽체(30); 상기 벽체(30)의 일면에 접합되는 단열재(20); 및 상기 벽체 및 단열재의 접합면(21)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단열재 고정용 패스너(10)를 포함한다. 상기 단열재(20)는 공지된 다양한 구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기 보드, 무기 보드, 불연 코트층, 마감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스너(10)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이하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본 출원에 따른 외단열 시스템은, 전술한 단열재 고정용 패스너(10)를 이용하여 벽체(30)에 단열재(20)를 고정시킴으로써, 강철 소재 또는 이중 구조의 패스너를 이용하는 종래의 외단열 시스템 대비 단열 성능, 경량화, 시공의 편의성, 시공의 정확성 및 시공 비용 관점에서 개선되는 효과를 가진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외단열 시스템은 단열재(20)의 단위 면적(m2) 당 1 내지 3개, 또는 2개의 패스너(10)를 사용하더라도 충분한 고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단열재 고정용 패스너
20: 단열재
30: 벽체
100: 로드부
200: 헤드부

Claims (10)

  1. 소정 길이를 가지는 로드부;
    상기 로드부의 일단에 마련된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장섬유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LFT; 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으로 형성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 접합 고정되고, 단섬유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SFT; Short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및 장섬유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복합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단열재 고정용 패스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는 장섬유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은 로드부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단열재 고정용 패스너.
  3. 삭제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헤드부의 제1 영역과 로드부는 섬유의 연속성이 유지되는 단열재 고정용 패스너.
  6. 제 1 항에 있어서, ASTM D628에 따른 인장 강도는 300 내지 1000MPa인 단열재 고정용 패스너.
  7. 제 1 항에 있어서, ISO 8302에 따른 열전도도는 40 W/mK 이하인 단열재 고정용 패스너.
  8. 제 1 항에 있어서, ASTM D1505에 따른 비중은 0.1 내지 7g/cm3이고, ASTM D628에 따른 탄성계수는 1 내지 150 GPa인 단열재 고정용 패스너.
  9. 벽체;
    상기 벽체의 일면에 접합되는 단열재; 및
    상기 벽체 및 단열재의 접합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제1항의 단열재 고정용 패스너를 포함하는 외단열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단열재의 단위 면적(m2) 당 1 내지 3개의 패스너를 포함하는 외단열 시스템.
KR1020190033367A 2019-03-25 2019-03-25 단열재 고정용 패스너 및 이를 포함하는 외단열 시스템 KR102507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367A KR102507570B1 (ko) 2019-03-25 2019-03-25 단열재 고정용 패스너 및 이를 포함하는 외단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367A KR102507570B1 (ko) 2019-03-25 2019-03-25 단열재 고정용 패스너 및 이를 포함하는 외단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350A KR20200113350A (ko) 2020-10-07
KR102507570B1 true KR102507570B1 (ko) 2023-03-09

Family

ID=72884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367A KR102507570B1 (ko) 2019-03-25 2019-03-25 단열재 고정용 패스너 및 이를 포함하는 외단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5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563B1 (ko) * 2017-02-23 2018-08-07 이원배 단열재 고정설치용 파스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4266A (ja) * 1996-03-24 1997-09-30 Railway Technical Res Inst 繊維強化樹脂材料製ボルト、及び繊維強化樹脂材料製ナ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563B1 (ko) * 2017-02-23 2018-08-07 이원배 단열재 고정설치용 파스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350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200401415A1 (ru) Кабель с алюминиевым проводником, армированный композитным сердечником, и способ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CN105464288A (zh) 复合筋增强ecc和混凝土组合梁及其施工方法
CN107989200A (zh) 一种新型保温墙体连接件
KR102507570B1 (ko) 단열재 고정용 패스너 및 이를 포함하는 외단열 시스템
CN105133140A (zh) 一种含有连续玄武岩纤维的纤维布
CN104501192B (zh) 多层复合的玻璃钢涂层
KR200175251Y1 (ko) 콘크리트 보강용 고인장 박판패널
Zigler et al. Fire protection of timber structures strengthened with FRP materials
CN109296109A (zh) 一种弹性耗能混凝土预制墙板复合连接件
CN105155706A (zh) 玻璃纤维隔音水泥板
CN111102402A (zh) 一种保温塑料管道
Khayitmirzayevich IMPORTANCE OF GLASS FIBERS FOR CONCRETE
KR10159394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및 내진보강 공법
CN220332208U (zh) 一种抗腐蚀pvc复合板
De Luca FRCM Systems
CN205296428U (zh) 一种xps外墙保温系统
CN209352807U (zh) 应用于高铁轨道板的隔热涂层结构
CN211286372U (zh) 一种无机增强背衬竖丝岩棉复合板
CN220058570U (zh) 一种多层玻璃钢瓦
CN213418319U (zh) 一种抗变形岩棉板
CN205475766U (zh) 具有加强结构的复合保温板
CN212562255U (zh) 柔石饰面的轻质新型岩棉复合保温板
CN210621994U (zh) 一种装配式复合减震墙体结构
KR102265319B1 (ko) 콘크리트 기둥을 화재 및 폭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강공법
CN215631808U (zh) 一种用于建筑行业的钢筋防锈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