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943B1 -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및 내진보강 공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및 내진보강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943B1
KR101593943B1 KR1020150100823A KR20150100823A KR101593943B1 KR 101593943 B1 KR101593943 B1 KR 101593943B1 KR 1020150100823 A KR1020150100823 A KR 1020150100823A KR 20150100823 A KR20150100823 A KR 20150100823A KR 101593943 B1 KR101593943 B1 KR 101593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d
fiber
concrete structure
fix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원준
김원기
Original Assignee
(주)우암건설
김원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암건설, 김원기 filed Critical (주)우암건설
Priority to KR1020150100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9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7Reinforcing element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e.g. of glass, of plastics, or not exclusively made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격자형 섬유 그리드의 고정력을 향상시켜 격자형 섬유 그리드의 물리적 성능을 최대한 높임으로써 보강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및 내진보강 공법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처리 단계 이후에 고정 섬유판과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격자형 섬유 그리드를 단단히 고정시키는 공정을 추가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이 하중에 의한 변형시 발생하는 힘에 의해 격자형 섬유 그리드의 탈락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보강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격자형 섬유 그리드를 고정하기 위해 이용하는 고정 섬유판은 유리섬유와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어 인장력이 강해 고정 섬유판의 취성을 보완할 수 있음은 물론, 내화학성, 내부식성, 내산성이 탁월하여 그 자체로서도 보강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및 내진보강 공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및 내진보강 공법{Repair and Seismic Retrofitting method of Concrete Structures}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격자형 섬유 그리드의 고정력을 향상시켜 격자형 섬유 그리드의 물리적 성능을 최대한 높임으로써 보강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및 내진보강 공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으로는, 강재를 에폭시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면에 접착하는 강판접착 보강공법과, 탄소섬유나 유리섬유와 같은 섬유계열의 보강재를 시트형태, 판형태, 메쉬형태 등으로 제작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착하는 보강섬유 접착공법 등이 있다.
강판접착 보강공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착되는 강재가 우수한 강성을 가진다는 장점이 있으나, 강재가 부식되는 것을 막는 조치를 하여야 한다는 점 및 강재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정착시키기가 어려운 점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근래에는 보강섬유를 이용한 시공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보강섬유를 이용한 보강공법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4523호가 제안된 바 있다.
이 등록특허는,
보수하고자 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모래분사 또는 고압세척수 분사 또는 모래 및 고압세척수를 분사하여 표면을 정리하는 표면처리단계와; 상기 표면처리단계에서 평탄작업이 완료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종, 횡방향으로 섬유가 교차하여 격자형상을 형성하고 있으며, 표면에는 무정질 실리카가 전처리 되어 있는 섬유 그리드를 고정하는 섬유 그리드 고정단계와; 상기 섬유 그리드 고정단계 이후에 무기질계 시멘트 메트릭스를 스프레이 분사 방식으로 섬유 그리드가 설치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2 ∼ 3㎝의 두께로 도포하는 무기질계 시멘트 메트릭스 도포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무기질계 시멘트 메트릭스를 통해 섬유 그리드의 부착력을 화학적으로 높이는 한편, 알루미늄 보강재를 형성해 보강능력을 향상시키도록 작용하게 된다.
(특허문헌 1) KR10-1434523 B1, 무기질계 시멘트 메트릭스와 코팅된 섬유 그리드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내진 보강공법
통상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인가되는 하중이 높기 때문에 이 힘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변형을 방지할 목적으로 이용하는데, 상술한 등록특허의 경우 섬유 그리드를 단순히 볼트 형태의 고정부재를 활용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에 큰 하중이 발생할 경우 섬유 그리드가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탈락되어 섬유 그리드의 효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위의 등록특허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알루미늄 재질의 보강대를 더 형성하고 있으나, 이 또한, 단순히 섬유 그리드 위에 보강대를 형성한 형태만으로는 콘크리트 구조물이 받는 힘에 의해 섬유 그리드가 탈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및 내진보강 공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 결합되는 격자형 섬유 그리드를 단단히 고정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및 내진보강 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격자형 섬유 그리드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시 격자형 섬유 그리드를 고정 섬유판과 고정수단을 이용해 콘크리트 구조물에 단단히 고정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이 하중에 의한 변형시 발생하는 힘에 의해 격자형 섬유 그리드의 탈락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보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격자형 섬유 그리드를 고정하기 위해 이용하는 고정 섬유판은 유리섬유와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어 인장력이 강해 고정 섬유판의 취성을 보완할 수 있음은 물론, 내화학성, 내부식성, 내산성이 탁월하여 그 자체로서도 보강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의 격자형 섬유 그리드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격자형 섬유 그리드와 고정 섬유판 및 고정수단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격자형 섬유 그리드의 고정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일 때의 보강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본 발명은 보수 보강 및 내진 보강을 실시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모래분사 또는 고압세척수를 분사하여 표면을 정리하는 표면처리단계와; 종, 횡방향으로 섬유가 교차하여 격자모양을 형성하고 있는 격자형 섬유 그리드를 표면처리가 완료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 섬유판을 이용하여 고정하되, 상기 고정 섬유판은 격자형 섬유 그리드의 종방향 섬유가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여, 격자형 섬유 그리드의 일단에 고정 섬유판을 말아서 고정수단을 이용해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하도록 하고, 격자형 섬유 그리드를 연장하여 고정시킬 때에, 각각의 격자형 섬유 그리드의 겹쳐지는 이음부분에는 각각의 격자형 섬유 그리드 단부에 고정 섬유판을 말아서 결합한 후, 각각의 격자형 섬유 그리드 일단에 말아놓은 고정 섬유판을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해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격자형 섬유 그리드 고정단계와; 상기 격자형 섬유 그리드가 고정되어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몰탈을 도포하는 몰탈 도포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격자형 섬유 그리드 고정단계에서의 격자형 섬유 그리드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미드 섬유, 바잘트 섬유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섬유를 종, 횡방향으로 교차하여 형성한다.
또한, 상기 격자형 섬유 그리드 고정단계에서의 고정 섬유판은 유리섬유 55 ∼ 65중량%에 폴리에스텔로 이루어진 합성수지 35 ∼ 45중량%를 함침하여 제작된 판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형성한 앵커볼트와 결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앵커홀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몰탈 도포단계에서의 몰탈은 시멘트, 실리카 흄, 필러, 골재 및 다수의 첨가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몰탈 도포단계 이후에는 표면 보호제 코팅단계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1. 표면처리단계
본 단계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 및 내진 보강을 실시하고자 하는 작업면을 건전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열화된 표면을 제거하면서 표면의 평탄도를 형성함과 동시에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단계이다.
이러한, 표면처리단계는 표면처리를 위해 습식 모래분사방법이나 고압세척수 분사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표면이 정리되어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C)의 평탄작업시에는 몰탈의 두께는 5㎜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이는 평탄작업시 몰탈의 두께가 5㎜를 초과할 경우에는 후술할 격자형 섬유 그리드(10)의 고정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함은 물론, 콘크리트 구조물(C)과 격자형 섬유 그리드(10) 간의 간극이 넓어져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2. 격자형 섬유 그리드 고정단계
본 단계에서는 격자형 섬유 그리드(10)를 표면처리가 완료된 콘크리트 구조물(C)에 부착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의 격자형 섬유 그리드(10)는 도 1에서와 같이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미드 섬유, 바잘트 섬유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섬유를 횡방향 섬유(11)와 종방향 섬유(12)로 제작한 후 이를 서로 교차시켜 격자형으로 제작된 격자형 섬유 그리드(10)를 이용하게 되며, 콘크리트 구조물(C)에 고정시에는 내측에 하나 이상의 앵커 결합홀(21)과 모서리 부분에 라운드(22)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 섬유판(20)과 매커니컬 앵커로 이루어진 고정수단(30)을 이용하여 결합하게 된다.
이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술한 격자형 섬유 그리드(10)를 표면처리가 완료된 콘크리트 구조물(C)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보강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C)의 보강 범위에 맞게 격자형 섬유 그리드(10)를 준비하도록 한다.
이때에, 상기 격자형 섬유 그리드(10)의 크기보다 콘크리트 구조물(C)의 보강 범위가 더 넓을 경우에는 격자형 섬유 그리드(10)를 겹쳐서 보강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여 격자형 섬유 그리드(10)의 재단작업을 실시하도록 하고, 격자형 섬유 그리드(10)의 일측 단부와 각각의 격자형 섬유 그리드(10)가 겹치는 위치에는 매커니컬 앵커로 이루어진 고정수단(30)을 콘크리트 구조물(C)에 고정하는 작업을 실시하도록 한다.
특히, 상술한 고정수단(30)에는 고정 섬유판(20)이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여 작업을 실시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고정 섬유판(20)에 미리 다수의 앵커 결합홀(21)을 타공한 후 타공된 앵커 결합홀(21)의 간격에 맞게 콘크리트 구조물(C) 표면에 고정수단(30)을 형성하거나,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C)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수단(30)을 고정한 상태에서 이에 맞게 고정 섬유판(20) 내에 앵커 결합홀(21)을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시공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고정 섬유판(20)에 앵커 결합홀(21)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한 상태에서 이 간격에 맞게 콘크리트 구조물(C)에 고정수단(30)을 결합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C)에 고정수단(30)의 결합이 완료되면 고정하고자 하는 격자형 섬유 그리드(10)의 일측에 고정 섬유판(20)을 배치한 상태에서 격자형 섬유 그리드(10)를 고정 섬유판(20) 외측을 감아서 결합하고, 콘크리트 구조물(C)에 형성한 고정수단(30)에 상기에서 격자형 섬유 그리드(10)가 감겨진 고정 섬유판(20)의 앵커 결합홀(21)을 결합시킨 다음, 너트(N)를 고정수단(30)에 체결함으로써 격자형 섬유 그리드(10)의 일측을 고정시킨다.
그런 후, 반대편의 격자형 섬유 그리드(10)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콘크리트 구조물(C)에 결합하면 된다.(도 3 참조.)
만약, 격자형 섬유 그리드(10)를 연장하여 콘크리트 구조물(C)에 고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미 고정되어 있는 격자형 섬유 그리드(10) 중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일측 및 이 일측에 연결하고자 하는 새로운 격자형 섬유 그리드(10)의 일측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고정 섬유판(20) 외측에 격자형 섬유 그리드(10)를 감아놓은 상태에서 각각의 고정 섬유판(20)의 앵커 결합홀(21)을 콘크리트 구조물(C)에 결합하였던 고정수단(30)에 결합한 후 너트(N)를 체결하면 높은 체결력으로 쉽게 격자형 섬유 그리드(10)를 콘크리트 구조물(C)에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격자형 섬유 그리드(10)의 고정은 콘크리트 구조물(C)이 벽체형태이거나 슬라브 및 사각 기둥 또는 원형 기둥일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도 4 참조.)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C)에 고정되어 있는 격자형 섬유 그리드(10)는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구조물(C)에 압축하중이나 전단하중이 발생할 경우 콘크리트 구조물(C)을 지지하도록 작용하게 되며, 상기 고정 섬유판(20)은 콘크리트 구조물(C)에 인가되는 하중에 의해 격자형 섬유 그리드(10)가 콘크리트 구조물(C)의 단부 또는 격자형 섬유 그리드(10)가 연결되는 부분에서 탈락되는 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그 자체로서도 보강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특히, 상술한 고정 섬유판(20)은 모서리 부분에 라운드(22) 처리가 되어 있어 콘크리트 구조물(C)에 하중이 발생하였을 때에 고정 섬유판(20)에 의한 격자형 섬유 그리드(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격자형 섬유 그리드(10)는 도 1에서와 같이 횡방향 섬유(11)와 종방향 섬유(12)가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된 형태이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특히, 상기 격자형 섬유 그리드(10)를 바잘트 섬유로 이용할 경우에는 내화학성, 내열성, 내후성 및 고온 저항성이 뛰어나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면서 건물 내부에서의 화재시에도 매우 안정적이며, 특히, 고정 섬유판(20)과 고정수단(30)을 이용해 격자형 섬유 그리드(10)를 고정하기 때문에 화재시에도 매우 안정적이다.
여기서, 상기 바잘트 섬유는 화산암의 일종인 현무암을 약 1,300℃ 전, 후의 용융로에서 용융하여 1,200℃의 상태에서 노즐을 통해 용융방사하여 제작된 필라멘트사의 형태를 묶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바잘트 섬유의 물성 및 성분은 하기 표와 같다.
바잘트 섬유 물성자료
물성목록 물성값
선밀도(Tex) 800 ∼ 2,400
직경(㎛) 10 ∼ 16
색상 골든 브라운
평균 오일 흡수율(%) 70
최대 수분량(%) 0.5
상대밀도(비중)(g/㎤) 2.463
바잘트 섬유 성분
화학성분 함량
SiO2 57.2
Al2O3 18.2
CaO 5.5
MgO 5.0
Na2O+K2O 4.6
TiO2 1.0
Fe2O3+FeO 8.1
기타 0.4
상기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잘트 섬유는 현무암으로 제작된 광물섬유로서 1,200℃ 전, 후의 온도에서 용융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화재 발생시에도 바잘트 섬유의 물성 변화가 발생하지 않게 되며, 또한, 비금속섬유로 전기적 특성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전식에 따른 물성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우수한 열저항성 및 전식에 의한 산화방지 기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 섬유판(20)은 유리섬유를 폴리에스텔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에 함침하여 제작한 것으로서, 이때에 유리섬유는 55 ∼ 65중량%이고, 합성수지는 35 ∼ 45중량%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 섬유판(20)은 대략 내측 중앙부분에 유리섬유가 형성된 구성되어 있어 앵커 결합홀(21)의 형성시 고정 섬유판(20)이 횡방향으로 갈라지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고정 섬유판(20)에 인장력을 부여하여 취성을 보완해 줄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되고, 합성수지는 뛰어난 기계적 특성, 내식성 및 원하는 형상으로의 가공이 용이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 섬유판(20)은 모서리 부분에 라운드(22)를 형성하여 고정 섬유판(20)에서 격자형 섬유 그리드(10)의 전단응력 발생으로 인한 파손을 예방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유리섬유의 혼합량이 임계치 미만일 경우 인장력 저하로 인해 격자형 섬유 그리드(10)의 고정 이후 콘크리트 구조물(C)에 압축하중 또는 전단하중이 발생하였을 때에 파괴되어 격자형 섬유 그리드(10)를 고정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합성수지의 혼합량이 임계치 미만일 경우 기계적 특성이나 내식성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임계치를 초과하게 될 경우에는 유리섬유의 혼합량이 줄어듬으로써 유리섬유 사용에 따른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상술한 고정 섬유판(20)은 고정수단(30) 및 하중에 의한 파괴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격자형 섬유 그리드(10)의 고정시 전단파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폭 55㎜, 두께 15㎜, 라운드(22)는 R7.5㎜로 형성하는 것이 좋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고정수단(30)과 너트(N)는 앵커볼트 형태로 형성하되 수분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테인레스와 같이 녹이 발생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3. 몰탈 도포단계
본 단계는 앞선 격자형 섬유 그리드(10)의 고정 이후 그 표면에 몰탈을 도포하여 시공을 완료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몰탈 도포는 스프레이방식으로 분사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미장손을 이용하여 작업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몰탈은 시멘트, 실리카 흄, 필러, 골재 및 폴리프로필렌 화이버가 포함되어 있는 첨가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첨가제에는 포졸란 첨가제, 폴리머, 가소제, 소포제, 수축보완제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첨가제에 포함되어 있는 폴리머는 몰탈에 포함되어 있는 시멘트를 개질시키기 위해 분말 형태의 분말 개질 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에, 분말 개질 폴리머는 유리전이온도가 7℃인 것을 사용하여 발생하는 열에 의해 상태가 변화하여 고무와 같은 유연성을 부여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C)의 변형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4. 표면보호제 코팅단계
본 단계는 몰탈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표면보호제를 코팅하는 단계로서 다양한 표면보호제를 이용할 수 있으나 되도록이면 친환경 타입의 표면보호제를 도포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C)의 보강시 상술한 격자형 섬유 그리드 고정단계와 몰탈 도포단계를 1 ∼ 3회에 걸쳐 실시할 수 있으며, 이때에 상기 몰탈(40)의 두께는 5 ∼ 10㎜ 범위 내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만약, 상기 몰탈(40)의 두께가 임계치 미만일 경우 보강 효과가 저하되고, 임계치를 초과하게 될 경우에는 그 이상의 상승된 효과를 얻을 수 없음은 물론, 자칫 몰탈 자중에 의해 부착력이 저하되어 시공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격자형 섬유 그리드(10)의 부착력을 향상시켜 격자형 섬유 그리드(10)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C)의 보강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격자형 섬유 그리드(1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섬유판(20) 자체에서도 보강력 상승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시공에 따른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10 : 격자형 섬유 그리드
11 : 횡방향 섬유 12 : 종방향 섬유
20 : 고정 섬유판 21 : 앵커 결합홀 22 : 라운드
30 : 고정수단
40 : 몰탈

Claims (6)

  1. 표면처리가 완료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유리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하여 제작된 판상형 형상으로 내측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형성한 앵커볼트와 결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앵커 결합홀을 형성하고 모서리부분에는 라운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리섬유 55 ∼ 65중량%, 폴리에스텔로 이루어진 합성수지 35 ∼ 45중량%로 이루어져 있는 고정 섬유판과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하되,
    상기 고정 섬유판은 격자형 섬유 그리드의 종방향 섬유가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여, 격자형 섬유 그리드의 일단에 고정 섬유판을 말아서 고정수단을 이용해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하도록 하고,
    격자형 섬유 그리드를 연장하여 고정시킬 때에, 각각의 격자형 섬유 그리드의 겹쳐지는 이음부분에는 각각의 격자형 섬유 그리드 단부에 고정 섬유판을 말아놓은 후, 이를 고정 섬유판과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격자형 섬유 그리드 고정단계;
    상기 격자형 섬유 그리드가 고정되어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시멘트, 실리카 흄, 필러, 골재 및 첨가제로 이루어져 있는 몰탈을 도포하는 몰탈 도포단계;
    상기 몰탈 도포단계 이후에는 표면보호제 코팅단계;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및 내진보강 공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100823A 2015-07-16 2015-07-16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및 내진보강 공법 KR101593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823A KR101593943B1 (ko) 2015-07-16 2015-07-16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및 내진보강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823A KR101593943B1 (ko) 2015-07-16 2015-07-16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및 내진보강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3943B1 true KR101593943B1 (ko) 2016-02-15

Family

ID=55357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823A KR101593943B1 (ko) 2015-07-16 2015-07-16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및 내진보강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9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449B1 (ko) * 2017-05-10 2018-03-16 (주)콘텍이엔지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구조
KR20220045773A (ko) 2020-10-06 2022-04-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방향성을 갖는 그리드 보강재 및 시멘트 모르타르를 이용한 보강 콘크리트 기둥 및 그 보강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0409B2 (ja) * 1995-12-12 2000-08-28 ベルサウス コーポレーション 通信装置をロック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419445B1 (ko) * 2014-04-10 2014-08-13 설재숙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및 보수, 보강을 위한 속경 고밀도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방수 및 보수, 보강 내진 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0409B2 (ja) * 1995-12-12 2000-08-28 ベルサウス コーポレーション 通信装置をロック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419445B1 (ko) * 2014-04-10 2014-08-13 설재숙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및 보수, 보강을 위한 속경 고밀도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방수 및 보수, 보강 내진 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449B1 (ko) * 2017-05-10 2018-03-16 (주)콘텍이엔지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구조
KR20220045773A (ko) 2020-10-06 2022-04-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방향성을 갖는 그리드 보강재 및 시멘트 모르타르를 이용한 보강 콘크리트 기둥 및 그 보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2800B1 (ko) 내하력 및 내화성능을 증진시키기 위해 격자형 섬유메쉬와 시멘트 매트릭스를 보강재로 이용한 터널, 교량, 공동구 및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공법
JP4368796B2 (ja) 無機マトリックス布装置及び方法
CN103496865A (zh) 一种混杂frp网格增强ecc及用于加固混凝土结构
KR101434523B1 (ko) 무기질계 시멘트 메트릭스와 코팅된 섬유 그리드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내진 보강공법
KR101308513B1 (ko) 격자형 섬유 메쉬와 화이버보강 무기계 시멘트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건축물 및 건설 구조물의 보수 및 내진 성능을 향상시키는 내진 보강공법
KR101568923B1 (ko) 충격흡수가 용이한 경량고인성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날개벽 제작방법
KR101923493B1 (ko) 공기연행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
CN105464288A (zh) 复合筋增强ecc和混凝土组合梁及其施工方法
US7682993B2 (en) Insulated composite reinforcement material
Anandan et al. Comparative study on the behavior of modified ferrocement wrapped columns and cfrp wrapped columns
KR101858556B1 (ko) 고인성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수평저항력 및 전단변형성능을 향상시킨 건축물의 내진보강시스템
KR100783818B1 (ko) 고인성 시멘트복합체를 이용한 구조물의 내진보강 공법
KR20180011673A (ko) 노후된 공동주택의 내력 향상이 가능한 매입형 차음진동 보강재를 구비한 콘크리트 구조물 층간소음 저감 보강공법
KR10159394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및 내진보강 공법
KR101143906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ㆍ보강용 고인장 박판패널 시공방법
CN113047651A (zh) 基于纤维编织网的钢管混凝土柱加固方法
JP2002348749A (ja) 強化繊維織物、およびそれを用いて補強され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
US20220186510A1 (en) Concrete structure strengthened using grid reinforcement material and non-shrink grout and method of strengthening the same
KR101912667B1 (ko) 환경 친화적인 현무암섬유를 가공한 내진 내력 보강재 및 내진 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체 내진 보강공법
KR20210030013A (ko) 슬립과 균열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텍스타일 보강 시멘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502517B1 (ko) 구조물 보강용 섬유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공법
KR100537407B1 (ko) 보강재 수직 삽입식 구조물의 보강방법
KR101560804B1 (ko) 섬유보강 리바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및 내진보강 공법
CN104499640A (zh) 一种高耐久型混凝土结构构件及其制作方法
KR20090113011A (ko) 방진 데크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