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510B1 - 신호 전송 방법 및 기기 - Google Patents

신호 전송 방법 및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510B1
KR102507510B1 KR1020197008701A KR20197008701A KR102507510B1 KR 102507510 B1 KR102507510 B1 KR 102507510B1 KR 1020197008701 A KR1020197008701 A KR 1020197008701A KR 20197008701 A KR20197008701 A KR 20197008701A KR 102507510 B1 KR102507510 B1 KR 102507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mission
operating frequency
frequency band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4080A (ko
Inventor
하이 탕
후아 쑤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54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8Combinations of substantially independent non-interacting antenna unit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3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 H01Q3/3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electrical means
    • H01Q3/4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electrical means with phasing matri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17Feedback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2Channel quality parameters, e.g.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39Using selective indices, e.g. of a codebook, e.g.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or for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Transmitter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신호 전송 방법 및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제1 기기가 신호의 전송에 사용된 기초 파라미터 집합 및/또는 동작 주파수 대역에 따라, 상기 신호의 전송에 사용된 빔 수량을 결정하거나 상기 신호의 전송 개수 N을 결정하는 단계 - N은 양의 정수임 - ; 및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제2 기기와 상기 신호의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및 기기는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사이의 전송 특성에 따라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빔 수량 또는 상기 신호의 전송 개수를 유연하게 결정하여 더 좋은 빔포밍 이득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신호 전송 방법 및 기기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호 전송 방법 및 기기에 관한 것이다.
다중 안테나(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기술은 롱텀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의 핵심 기술 중 하나로서 시스템의 전송 속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빔포밍은 안테나 어레이에 기반한 신호 전처리 기술이며, 각 안테나 어레이 소자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가중치를 조절하여 지향성이 있는 빔을 생성한다.
선행기술에서, 기지국과 단말 기기 사이에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빔 수량은 통상적으로 미리 구성된 것으로서 비교적 단일하다. 무선 통신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단말 기기와 기지국 사이의 전송 특성에 따라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빔 수량을 유연하게 결정하여 더 좋은 빔포밍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새로운 신호 전송 기술이 절박하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사이의 전송 특성에 따라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빔 수량 또는 상기 신호의 전송 개수를 유연하게 결정하여 더 좋은 빔포밍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신호 전송 방법 및 기기를 제공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신호 전송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제1 기기가 신호의 전송에 사용된 기초 파라미터 집합(numerology) 및/또는 동작 주파수 대역(operating frequency band)에 따라, 상기 신호의 전송에 사용된 빔 수량을 결정하거나 상기 신호의 전송 개수 N을 결정하는 단계 - N은 양의 정수임 - ; 및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제2 기기와 상기 신호의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신호의 전송에 사용된 기초 파라미터 집합 및/또는 동작 주파수 대역에 따라, 빔 수량 또는 신호의 전송 개수를 유연하게 결정하여 더 좋은 빔포밍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신호의 전송 개수는 리소스 수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채널 상태 정보 - 기준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CSI-RS) 리소스 수량이다.
제1 양태를 결부하면, 제1 양태의 첫 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기기가 신호의 전송에 사용된 기초 파라미터 집합 및/또는 동작 주파수 대역에 따라, 상기 신호의 전송에 사용된 빔 수량을 결정하거나 상기 신호의 전송 개수 N을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상기 제1 기기가 적어도 하나의 기초 파라미터 집합으로부터 상기 기초 파라미터 집합을 결정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상기 동작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이한 기초 파라미터 집합 또는 동작 주파수 대역은 통상적으로 상이한 빔 폭에 대응되기에, 제1 기기와 제2 기기 사이에 다수의 기초 파라미터 집합 또는 다수의 동작 주파수 대역이 존재할 경우 상이한 빔 폭에서 상이한 수량의 빔을 사용하여 빔포밍을 진행하도록 지원하여 신호 오버헤드 및 빔포밍 이득 사이를 잘 절충할 수 있다.
제1 양태 또는 상기 제1 양태의 어느 하나의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1 양태의 두 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기기가 신호의 전송에 사용된 기초 파라미터 집합 및/또는 동작 주파수 대역에 따라, 상기 신호의 전송에 사용된 빔 수량을 결정하거나 상기 신호의 전송 개수 N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기초 파라미터 집합 및 기설정된 제1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대응관계는 상기 기초 파라미터 집합과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의 대응관계임 - ; 또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동작 주파수 대역 및 기설정된 제2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2 대응관계는 상기 동작 주파수 대역과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의 대응관계임 - 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대응관계 또는 상기 제2 대응관계는 네트워크 기기 또는 단말 기기 사이에서 미리 약정된 것이거나,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 기기에 지시할 수 있다.
제1 양태 또는 상기 제1 양태의 어느 하나의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1 양태의 세 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제2 기기와 상기 신호의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에 대응되는 물리적 리소스 또는 시퀀스 리소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물리적 리소스에서 또는 상기 시퀀스 리소스를 사용하여 상기 제2 기기와 상기 신호의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빔 수량 또는 전송 개수 N과 물리적 리소스 또는 시퀀스 리소스 사이의 대응관계는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에 미리 약정된 것일 수 있다.
제1 양태 또는 상기 제1 양태의 어느 하나의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1 양태의 네 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빔 수량에 따라 제2 기기와 상기 신호의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빔 수량에 따라 상기 제2 기기에 상기 빔 수량에 대응되는 빔포밍을 거친 후의 상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상기 빔 수량에 대응되는 빔포밍을 거친 후의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 또는 상기 제1 양태의 어느 하나의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1 양태의 다섯 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제2 기기와 상기 신호의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상기 제2 기기에 N개의 상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송신한 N개의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N개의 상기 신호는 상이한 빔을 사용하여 빔포밍되고,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이다.
제1 양태 또는 상기 제1 양태의 어느 하나의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1 양태의 여섯 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제2 기기와 상기 신호의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상기 제2 기기에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빔 수량에 대응되는 빔 집합 중의 제1 빔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에 대응되는 신호 집합 중의 제1 신호를 지시한다.
제1 양태 또는 상기 제1 양태의 어느 하나의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1 양태의 일곱 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제1 빔의 빔 식별자 및/또는 상기 빔 식별자에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제1 신호의 신호 식별자 및/또는 상기 신호 식별자에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CSI)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CSI는 랭크 지시자(Rank Indication, RI),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자(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 채널 품질 지시자(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1 양태 또는 상기 제1 양태의 어느 하나의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1 양태의 여덟 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신호는 동기화 신호, 방송 신호, 랜덤 액세스 신호 및 다운링크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포함한다.
제1 양태 또는 상기 제1 양태의 어느 하나의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1 양태의 아홉 째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기초 파라미터 집합은 부반송파 간격, 시스템 대역폭에 대응되는 부반송파 수, 물리적 리소스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에 대응되는 부반송파 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의 심볼 길이, OFDM 신호 생성에 사용된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ation, FFT) 또는 고속 역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의 포인트 수, 전송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에 포함된 상기 OFDM 심볼 수, 기설정된 시간 구간 내에 포함된 상기 TTI 개수 및 신호 프리픽스 타입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제1 양태 또는 상기 제1 양태의 어느 하나의 실시형태를 결부하면, 제1 양태의 열 번째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기기가 적어도 하나의 기초 파라미터 집합으로부터 상기 기초 파라미터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기초 파라미터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초 파라미터 집합 중 하나의 기초 파라미터 집합을 지시함 - ; 또는 상기 제1 기기가 전송 데이터의 서비스 타입 또는 동작 주파수 포인트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초 파라미터 집합으로부터 상기 기초 파라미터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초 파라미터 집합에 대해 블라인드 검출을 진행하여 상기 기초 파라미터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기초 파라미터 집합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미리 구성될 수 있고, 기초 파라미터 집합은 블라인드 검출을 통해 얻을 것일 수도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제2 기기가 단말 기기이거나; 또는 상기 제1 기기가 단말 기기이고 상기 제2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이거나; 또는 상기 제1 기기가 단말 기기이고 상기 제2 기기가 단말 기기이다.
제2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 형태 중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 형태 중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 형태 중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 형태 중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메모리, 프로세서, 송수신기 및 버스 시스템을 포함하는 신호 전송 기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메모리, 프로세서, 송수신기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는 명령어가 저장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고 상기 명령어가 실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양태의 방법을 수행하고 송수신기가 입력한 데이터 또는 정보를 수신하고 조작 결과 등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제5 양태에 따르면, 상기 방법에 사용된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를 저장하고 상기 양태에 따른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단말 기기, 네트워크 기기의 명칭은 기기 자체에 대해 한정 작용이 없으며 실제 응용에서 이러한 기기는 다른 명칭으로 나타날 수 있다. 각 기기의 기능이 본 발명과 유사하면 모두 본 발명의 청구범위 및 그 동등한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 또는 다른 양태는 하기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더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 및 기기는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사이의 전송 특성에 따라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빔 수량 또는 상기 신호의 전송 개수를 유연하게 결정하여 더 좋은 빔포밍 이득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첨부 도면을 간단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진보성 창출에 힘 쓸 필요 없이 이러한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 가지 가능한 응용 상황의 개략도이다.
도 2는 한 가지 가능한 빔포밍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신호 전송 방법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신호 전송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신호 전송 기기의 다른 일 예시적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되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체 실시예가 아님은 분명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반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이 진보성 창출에 힘쓸 필요 없이 획득한 모든 다른 실시예들은 전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이동 통신 글로벌(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약칭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원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약칭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원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약칭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약칭 “GPRS"),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약칭 “LTE") 시스템, LTE주파수 분할 이중 통신(Frequency Division Duplex, 약칭 “FDD") 시스템, LTE시분할 이중 통신(Time Division Duplex, 약칭 “TDD"),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약칭 “UMTS"),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약칭 “WiMAX") 통신 시스템 또는 미래의 5세대(5th Generation, 5G) 시스템 등에 적용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은 비 직교 다중 접속 기술에 기반한 각종 통신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스페어스 코드 다중 접속(Sparse Code Multiple Access, 약칭 “SCMA") 시스템, 저밀도 서명(Low Density Signature, 약칭 “LDS") 시스템 등이며, 물론 SCMA 시스템 및 LDS 시스템은 통신 분야에서 다른 명칭으로 불릴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은 비 직교 다중 접속 기술을 사용하는 다중 반송파 전송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비 직교 다중 접속 기술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약칭 “OFDM"), 필터 뱅크 반송파(Filter Bank Multi-Carrier, 약칭 “FBMC"), 일반 주파수 분할 다중(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약칭 “GFDM"), 필터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Filtered-OFDM, 약칭 “F-OFDM") 시스템 등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는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유닛, 가입자 기지국, 이동국, 이동 스테이션, 원격 터미널, 원격 단말기, 모바일 기기, 사용자 단말기, 단말 장치, 무선 통신기기,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로 지칭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기는 셀룰러 폰, 무선 전화, 세션 시작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폰, 무선 사용자 회선(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기기, 컴퓨팅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다른 처리 기기,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및 미래 5G네트워크의 단말 기기 또는 미래 에볼루션 공중육상이동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약칭“PLMN") 중의 단말 기기 등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와 통신을 진행하기 위한 기기일 수 있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GSM 또는 CDMA 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약칭 “BTS")일 수 있고, WCDMA 중의 기지국(NodeB, 약칭 “NB")일 수도 있으며 LTE 중의 에볼루션형 기지국(Evolutional NodeB, 약칭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으며, 클라우드 무선 접속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약칭 “CRAN") 상황 하에서의 무선 컨트롤러일 수도 있거나 중계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 또는 차량탑재 기기, 착용가능 기기 및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기기 또는 미래 에볼루션 PLMN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제1 기기는 네트워크 측 기기일 수 있고 단말 기기일 수도 있으며; 제2 기기는 네트워크 측 기기일 수 있고 단말 기기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응용상황의 개략도이다. 도 1의 통신 시스템은 단말 기기(10) 및 네트워크 기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20)는 단말 기기(10)를 위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코어망에 접속하도록 하며, 단말 기기(10)는 네트워크 기기(20)가 송신한 동기화 신호, 방송 신호 등을 검색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네트워크와 통신을 진행한다. 도 1에 도시된 화살표는 단말 기기(10)와 네트워크 기기(20) 사이의 셀룰러 링크를 통해 진행하는 업링크/다운링크 전송을 가리킨다.
5G 시스템은 5G가 전송 속도에 대한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 높은 주파수 대역(중심 주파수가 6 GHz 이상, 전형적인 경우는 예를 들면 28 GHz임)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지원해야 한다.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데이터 전송 시, 더 높은 전송 속도를 달성하기 위해 다중 안테나(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기술을 사용해야 한다. 고주파에서 MIMO 기술을 사용하는 것은 안테나의 무선주파수 소자에 대한 요구가 아주 높고, 안테나의 하드웨어 원가(예를 들면 아날로그/디지털(A/D), 디지털/아날로그(D/A)변환기)도 크게 증가된다. 원가 절감을 위해,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통상적으로 혼합 빔포밍 방식을 사용하여 무선주파수 송신 유닛의 수량을 감소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신호는 디지털 빔포밍을 거친 후, 각각의 무선주파수 유닛의 디지털 송신 신호를 포밍하고,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다. 각각의 무선주파수 유닛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상이한 이상기를 거쳐 아날로그 포밍 신호를 포밍하고 상이한 안테나 유닛에서 전송됨으로써 아날로그 영역에서 빔포밍을 실현한다. 이러한 혼합 빔포밍 방법을 통해 무선주파수 채널의 수량을 감소함으로써 하드웨어 원가를 절감하는 동시에 빔포밍 이득도 얻을 수 있다. 송신단 뿐만 아니라 수신단에서도 유사한 방법으로 아날로그를 통해 포밍을 수신하여 수신 채널 수량을 감소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빔이 넓을 수록 필요한 빔도 적고 반대의 경우에는 필요한 빔이 더 많아진다. 빔의 폭은 사용된 부반송파 간격 및 동작 주파수 대역 등 요소와 관련되고, 예를 들면, 동작 주파수 대역이 높을 수록 상응한 빔 폭이 좁아지고 필요한 빔도 많아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1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 전송 방법(100)은 하기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S110에서, 제1 기기가 신호의 전송에 사용된 기초 파라미터 집합 및/또는 동작 주파수 대역에 따라, 상기 신호의 전송에 사용된 빔 수량을 결정하거나 상기 신호의 전송 개수 N을 결정하고, N은 양의 정수이다
S120에서,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제2 기기와 상기 신호의 전송을 진행한다.
우선, 하기와 같은 몇 가지를 설명한다.
1. 여기서 제1 기기 및 제2 기기는 각각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고, 각각 단말 기기와 단말 기기일 수도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기에서는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사이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2. 여기서 신호는 업링크 신호일 수 있고 다운링크 신호일 수도 있다. 동기화 신호일 수 있고, 물리적 방송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 등 방송 신호일 수도 있으며, 랜덤 액세스 신호일 수 있고, CSI-RS,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등 다운링크 기준 신호일 수도 있다.
3. 여기서 빔 수량 및 전송 개수 N은 일대일로 대응된다, 구체적으로 N개의 빔을 거쳐 N개의 빔포밍 신호를 얻을 수 있다.
4. 여기서 제2 기기와 상기 신호의 전송을 진행하는 것은, 제2 기기와 상기 신호 송수신을 가리킨다. 제1 기기가 제2 기기가 송신한 상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제1 기기가 제2 기기에 상기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통신 기술의 끊임없는 에볼루션에 의해, 미래 통신 시스템은 다양화된 서비스 종류를 필요로 하고, LTE 시스템에서 단일한 부반송파 폭으로는 이제 통신 요구를 만족할 수 없다. LTE 시스템과 달리, 시스템 유연성 및 상위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 5G 등 미래 무선 통신 시스템 중 하나의 반송파/셀/무선 전송 포인트(Transmit Receive point, TRP)에 여러 가지 기초 파라미터 집합(numerology) 또는 동작 주파수 대역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이한 numerology는 통상적으로 상이한 반송파 간격을 사용하기에 상이한 기초 파라미터 집합 또는 상이한 동작 주파수 대역은 상이한 빔 폭에 대응되고, 5G 등 미래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이한 빔 폭에서 상이한 수량의 빔을 사용하여 빔포밍을 진행하도록 지원하여 신호 오버헤드 및 빔포밍 이득 사이를 잘 절충할 수 있는 새로운 신호 전송 방법이 필요하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가 신호의 전송에 사용된 기초 파라미터 집합 및/또는 동작 주파수 대역에 따라, 상기 신호의 전송에 사용된 빔 수량을 결정하거나 상기 신호의 전송 개수 N을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상기 제1 기기가 적어도 하나의 기초 파라미터 집합으로부터 상기 기초 파라미터 집합을 결정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상기 동작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기기가 적어도 하나의 기초 파라미터 집합으로부터 상기 기초 파라미터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기초 파라미터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초 파라미터 집합 중 하나의 기초 파라미터 집합을 지시함 - ; 또는 상기 제1 기기가 전송 데이터의 서비스 타입 또는 동작 주파수 포인트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초 파라미터 집합으로부터 상기 기초 파라미터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초 파라미터 집합에 대해 블라인드 검출을 진행하여 상기 기초 파라미터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기초 파라미터 집합은 제1 기기가 자기의 전송 파라미터(예를 들면 현재 신호의 서비스 타입 또는 동작 주파수 포인트)에 따라 결정한 것일 수 있고, 제1 기기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초 파라미터 집합으로부터 선택한 것일 수도 있으며, 제1 기기와 제2 기기가 미리 약정해놓은 것일 수 있고, 제2 기기가 제2 기기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초 파라미터 집합으로부터 선택한 기초 파라미터 집합을 제1 기기 등에 알려준 것일 수도 있으며, 상기 기초 파라미터 집합은 제1 기기가 적어도 하나의 기초 파라미터 집합에 대해 블라인드 검출르 진행하여 얻은 것일 수도 있고, 본 발명은 제1 기기가 기초 파라미터 집합을 얻는 방식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말 기기는 어느 부반송파 간격을 사용하여 전송한 신호를 검출할 때까지 하나의 미리 정의된 부반송파 간격 집합으로부터 그 중의 각각 부반송파 간격에 대해 블라인드 검출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는 상이한 동작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되는 기초 파라미터 집합을 미리 약정해 놓을 수 있고, 단말 기기는 현재 전송 데이터의 동작 주파수 포인트에 따라 대응되는 기초 파라미터 집합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동작 주파수 대역은 현재 신호의 전송에 사용된 주파수 대역 또는 주파수 포인트 범위 또는 어느 주파수 포인트일 수 있고, 예를 들면 0 ~ 6 GHz, 6 ~ 28 GHz, 28 ~ 40 GHz, 40 ~ 60 GHz 및 60 GHz 이상 등일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기초 파라미터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부반송파 간격, 특정 대역폭에서의 부반송파 수, 물리적 리소스 블록(PRB) 중의 부반송파 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심볼 길이, OFDM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푸리에 변환, 예를 들면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약칭 “FFT") 또는 역푸리에 변환, 예를 들면 고속 역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약칭 “IFFT")의 포인트 수, 전송 시간 간격(TTI) 중의 OFDM 심볼 수, 특정 시간 길이 내에 포함된 TTI의 개수 및 신호 프리픽스 타입 중 파라미터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신호를 전송하는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결정하는 파라미터일 수 있다.
여기서, 부반송파 간격은 인접한 부반송파의 주파수 간격을 가리키고, 예를 들면 15 kHz, 60 kHz 등이다. 특정 대역폭에서의 부반송파 수는 예를 들면 각각의 가능한 시스템 대역폭에 대응되는 부반송파 수다. PRB에 포함된 부반송파 수는 예를 들면 전형적으로 12의 정수배일 수 있다. TTI에 포함된 OFDM 심볼 수는 예를 들면 전형적으로 14의 정수 배일 수 있다. 일정한 시간 단위 내에 포함된 TTI 수는 1 ms 또는 10 ms의 시간 길이 내에 포함된 TTI 수량일 수 있다. 신호 프리픽스 심볼 길이는 예를 들면 신호의 순환 프리픽스(Cyclic prefix, CP) 심볼의 시간 길이 또는 순환 프리픽스 심볼이 일반 CP를 사용하는지 아니면 확장 CP를 사용하는지 알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가 신호의 전송에 사용된 기초 파라미터 집합 및/또는 동작 주파수 대역에 따라, 상기 신호의 전송에 사용된 빔 수량을 결정하거나 상기 신호의 전송 개수 N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기초 파라미터 집합 및 기설정된 제1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대응관계는 상기 기초 파라미터 집합과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의 대응관계임 - ; 또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동작 주파수 대역 및 기설정된 제2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2 대응관계는 상기 동작 주파수 대역과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의 대응관계임 - 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제1 기기는 사용된 기초 파라미터 집합 및 동작 주파수 대역 및 제3 대응관계에 따라, 빔 수량 또는 전송 개수 N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3 대응관계는 기초 파라미터 집합, 동작 주파수 대역 및 빔 수량 이 3자의 대응관계일 수 있고, 기초 파라미터 집합, 동작 주파수 대역 및 신호 수량 이 3자의 대응관계일 수도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대응관계는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지시한 것일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와 단말 기기가 미리 약정해 놓은 것일 수도 있다. 이하 표 1 ~ 표 3 중의 대응관계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부반송파 간격 빔 수량 또는 전송 개수
15 kHz 4
30 kHz 8
60 kHz 8
120 kHz 16
240 kHz 32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OFDM 심볼 수 빔 수량 또는 전송 개수
14 4
28 8
56 16
112 32
224 64
동작 주파수 대역(GHz) 빔 수량 또는 전송 개수
0-2.0 8
2.0-6 16
6-28 32
28-70 64
예를 들면,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랜덤 액세스 신호를 전송하고 이 때 단말 기기는 자기의 전송 특성에 따르거나 또는 다수의 부반송파 간격에 대해 블라인드 검출을 진행하여 상기 랜덤 액세스 신호의 전송에 사용된 부반송파 간격이 15 kHz임을 결정할 수 있다.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표 1을 미리 약정하고 단말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저장함으로써, 단말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기기가 표 1에 따라 상기 랜덤 액세스 신호의 전송에 사용된 빔 수량 또는 상기 랜덤 액세스 신호의 전송에 대응되는 전송 개수가 4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다운링크 기준 신호, 예를 들면 CSI-RS를 전송하면, 네트워크 기기는 자기의 전송 특성에 따르거나 또는 다수의 부반송파 간격에 대해 블라인드 검출을 진행하여 상기 CSI-RS의 전송에 사용된 동작 주파수 대역이 6 - 28 GHz임을 결정하고, 유사하게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표 3을 미리 약정하고 단말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저장함으로써, 단말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기기가 표 3에 따라 상기 CSI-RS의 전송에 사용된 빔 수량 또는 상기 CSI-RS의 전송에 대응되는 전송 개수가 32임을 결정할 수 있다.이해해야 할 것은, 신호의 전송 개수 N은 신호에 사용된 리소스 방식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신호는 CSI-RS 리소스를 통해 표시될 수 있고, 이때 전송 개수 N은 CSI-RS 리소스 수량이거나 또는 CSI-RS 리소스 수량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제2 기기와 상기 신호의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에 대응되는 물리적 리소스 또는 시퀀스 리소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물리적 리소스에서 또는 상기 시퀀스 리소스를 사용하여 상기 제2 기기와 상기 신호의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사이는 각각의 빔에 대응되는 신호에 사용되는 물리적 리소스를 미리 약정해놓을 수 있고, 단말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기기는 빔 수량 또는 전송 개수 N에 따라 송신하고자 하는 빔에 대응되는 신호를 결정하고 각각의 빔에 대응되는 신호에 사용된 물리적 리소스에서 상응한 신호의 송수신을 진행한다. 예를 들면,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는 빔 수량 또는 전송 개수 N이 4인 것에 대응되는 물리적 리소스가 1~4임을 미리 약정해놓을 수 있고(모든 물리적 리소스를 20개로 분할하고 상이한 심볼의 물리적 리소스에 대응되는 위치가 유일하다고 가정함), 단말 기기가 랜덤 액세스 신호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빔 수량 또는 전송 개수 N에 따라 물리적 리소스1 ~ 4를 결정하여 상기 랜덤 액세스 신호의 전송을 진행할 수 있다.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는 각각의 빔에 대응되는 신호에 사용된 시퀀스 리소스를 미리 약정할 수도 있고, 여기서 시퀀스 리소스는 상기 신호의 전송에 사용된 시퀀스일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술한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빔 수량에 따라 제2 기기와 상기 신호의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빔 수량에 따라 상기 제2 기기에 상기 빔 수량에 대응되는 빔포밍을 거친 후의 상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상기 빔 수량에 대응되는 빔포밍을 거친 후의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제2 기기와 상기 신호의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상기 제2 기기에 N개의 상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송신한 N개의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전송은 통상적으로 송수신을 포함하고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전송은 제1 기기가 신호를 송신하는 것과 제1 기기가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제1 기기는 결정한 빔 수량 또는 전송 개수 N에 따라 제2 기기에 빔포밍을 거친 후의 상기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제1 기기는 제2 기기가 결정한 빔 수량 또는 전송 개수 N에 따라 송신한 빔포밍을 거친 후의 신호를 수신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N개의 상기 신호는 상이한 빔을 사용하여 빔포밍되고,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호는 상이한 빔포밍을 사용할 수 있고 상이한 빔을 사용하여 송신 포밍(forming)을 진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제2 기기와 상기 신호의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상기 제2 기기에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빔 수량에 대응되는 빔 집합 중의 제1 빔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에 대응되는 신호 집합 중의 제1 신호를 지시한다.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는 빔포밍 기술은 채널 정보의 피드백 방식에 따라 코드북 기반(Codebook based) 및 채널 상호주의(channel reciprocity) 기반 두 가지 방식이 있다. 전자는 단말이 피드백한 코드북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다음 전송에 사용되는 프리코딩 코드북을 결정하고, 후자는 업링크 송신된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에 따라 채널 상호주의를 이용하여 다운링크 채널 정보를 얻고 다운링크에 필요한 프리코딩 어레이 계산 및 선택을 진행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기기가 N개의 빔을 포밍하여 포밍을 진행하면, 단말 기기는 통상적으로 빔 수량에 따라 하나의 빔 인덱스 또는 상기 빔 인덱스에 대응되는 CSI-RS 리소스의 인덱스 등을 보고하여 네트워크 기기가 후속 데이터에 대해 빔포밍을 진행하도록 한다. 통상적으로 단말 기기가 보고한 빔 인덱스는 네트워크 기기가 다중 빔을 사용하여 송신한 다운링크 신호 중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신호에 사용된 빔일 수 있고, 신호 품질이 2번째로 좋거나 다른 빔 인덱스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제1 빔의 빔 식별자 및/또는 상기 빔 식별자에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CSI)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제1 신호의 신호 식별자 및/또는 상기 신호 식별자에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CSI)를 포함한다.
제1 기기는 상기 빔 수량에 따라 빔 식별자(예를 들면 빔 인덱스)의 피드백을 진행한다. 각각의 빔 식별자는 하나의 빔이 빔 수량에 대응되는 모든 빔에서의 식별자를 지시하고, 예를 들면 빔 수량이 N이라고 가정하면 하나의 빔 식별자의 비트 수는 log2(N)일 수 있다. 상기 단말은 빔 수량에 따라 각 빔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빔 식별자를 보고할 수 있다. 제1 기기는 또한 빔 식별자에 대응되는 CSI의 피드백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기기는 어느 빔을 지시하는 정보를 피드백하는 외에, 상기 빔 측정에 기초하여 얻은 CSI를 피드백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CSI는 랭크 지시자(RI),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자(PMI) 및 채널 품질 지시자(CQ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 기기는 상기 신호 수량에 따라 신호 식별자의 피드백을 진행한다. 각각의 상기 신호 식별자는 하나의 신호가 신호 수량에 대응되는 모든 신호에서의 식별자를 지시하고, 예를 들면 신호 수량이 N이라고 가정하면 하나의 신호 식별자의 비트 수는 log2(N)일 수 있다. 여기서 신호는 신호에 사용된 리소스의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기에, 신호 식별자도 신호 리소스 식별자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CSI-RS 리소스 식별자이다. 예를 들면, 제1 기기가 CSI-RS 리소스의 수량이 4개라고 결정하면, 4개의 CSI-RS 리소스 상의 CSI-RS 신호에 대해 각각 검출을 진행하여 검출된 신호 중 신호 품질이 가장 좋은 CSI-RS 신호를 얻고, 상기 CSI-RS 신호에 대응되는 CSI-RS 리소스의 인덱스를 신호 식별자로 하여 제2 기기에 피드백한다. 제1 기기는 또한 신호 식별자에 대응되는 CSI의 피드백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기기는 리소스 식별자를 피드백하는 외에, 리소스 식별자에 대응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측정한 CSI를 피드백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CSI는 랭크 지시자(RI),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자(PMI) 및 채널 품질 지시자(CQ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 또는 단말 기기일 수 있고, 상기 제2 기기도 네트워크 기기 또는 단말 기기일 수 있으며, 단말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단말 기기와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와 네트워크 기기 사이의 인터랙션은 구체적으로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을 참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였고 이하 도 4 및 도 5를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며 방법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 특징은 하기 장치 실시예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기기(200)를 도시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 전송 기기(200)는 제1 기기이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 전송 기기(200)는, 신호의 전송에 사용된 기초 파라미터 집합 및/또는 동작 주파수 대역에 따라, 상기 신호의 전송에 사용된 빔 수량을 결정하거나 상기 신호의 전송 개수 N을 결정하는 제1 결정 유닛(210) - N은 양의 정수임 - ; 및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제2 기기와 상기 신호의 전송을 진행하는 전송 유닛(220)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신호 전송 기기는 신호의 전송에 사용된 기초 파라미터 집합 및/또는 동작 주파수 대역에 따라 빔 수량 또는 신호의 전송 개수를 유연하게 결정할 수 있기에 더 좋은 빔포밍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 전송 기기(200)는, 적어도 하나의 기초 파라미터 집합으로부터 상기 기초 파라미터 집합을 결정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상기 동작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제2 결정 유닛(230)을 더 포함한다.
상이한 기초 파라미터 집합 또는 동작 주파수 대역은 통상적으로 상이한 빔 폭에 대응되기에, 제1 기기와 제2 기기 사이에 다수의 기초 파라미터 집합 또는 다수의 동작 주파수 대역이 존재할 경우 상이한 빔 폭에서 상이한 수량의 빔을 사용하여 빔포밍을 진행하도록 지원하여 신호 오버헤드 및 빔포밍 이득 사이를 잘 절충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결정 유닛(210)은 구체적으로, 상기 기초 파라미터 집합 및 기설정된 제1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을 결정하거나, 상기 동작 주파수 대역 및 기설정된 제2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을 결정하며, 상기 제1 대응관계는 상기 기초 파라미터 집합과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의 대응관계이고, 상기 제2 대응관계는 상기 동작 주파수 대역과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의 대응관계이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송 유닛(220)은 구체적으로,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에 대응되는 물리적 리소스 또는 시퀀스 리소스를 결정하고; 상기 물리적 리소스에서 또는 상기 시퀀스 리소스를 사용하여 상기 제2 기기와 상기 신호의 전송을 진행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송 유닛(220)은 구체적으로, 상기 빔 수량에 따라 상기 제2 기기에 상기 빔 수량에 대응되는 빔포밍을 거친 후의 상기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상기 빔 수량에 대응되는 빔포밍을 거친 후의 상기 신호를 수신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송 유닛(2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상기 제2 기기에 N개의 상기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송신한 N개의 상기 신호를 수신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N개의 상기 신호는 상이한 빔을 사용하여 빔포밍되고,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이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송 유닛(220)은 또한,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상기 제2 기기에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빔 수량에 대응되는 빔 집합 중의 제1 빔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에 대응되는 신호 집합 중의 제1 신호를 지시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제1 빔의 빔 식별자 및/또는 상기 빔 식별자에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CSI)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제1 신호의 신호 식별자 및/또는 상기 신호 식별자에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CSI)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CSI는 랭크 지시자(RI),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자(PMI) 및 채널 품질 지시자(CQ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결정 유닛(23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기초 파라미터 집합을 결정하거나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초 파라미터 집합 중 하나의 기초 파라미터 집합을 지시함 - ; 또는 전송 데이터의 서비스 타입 또는 동작 주파수 포인트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초 파라미터 집합으로부터 상기 기초 파라미터 집합을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초 파라미터 집합에 대해 블라인드 검출을 진행하여 상기 기초 파라미터 집합을 결정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는 동기화 신호, 방송 신호, 랜덤 액세스 신호 및 다운링크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초 파라미터 집합은 부반송파 간격, 시스템 대역폭에 대응되는 부반송파 수, 물리적 리소스 블록(PRB)에 대응되는 부반송파 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의 심볼 길이, OFDM 신호 생성에 사용된 FFT 또는 IFFT의 포인트 수, 전송 시간 간격(TTI)에 포함된 상기 OFDM 심볼 수, 기설정된 시간 구간 내에 포함된 상기 TTI 개수 및 신호 프리픽스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제2 기기가 단말 기기이거나; 또는 상기 제1 기기가 단말 기기이고 상기 제2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이거나; 또는 상기 제1 기기가 단말 기기이고 상기 제2 기기가 단말 기기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기기(200)는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 중의 제1 기기에 대응되고, 신호 전송 기기(200) 중의 각각의 유닛의 상기 및 다른 조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3 중의 방법의 상응한 단계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며, 간결함을 위해 더 이상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신호 전송 기기(300)를 더 제공하고, 상기 신호 전송 기기(300)는 제1 기기이며, 상기 신호 전송 기기(300)는 프로세서(310), 메모리(320), 버스 시스템(330) 및 송수신기(340)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310), 상기 메모리(320) 및 상기 송수신기(340)는 상기 버스 시스템(330)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메모리(320)에는 명령어가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메모리(320)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상기 송수신기(340)가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며;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310)는 신호의 전송에 사용된 기초 파라미터 집합 및/또는 동작 주파수 대역에 따라, 상기 신호의 전송에 사용된 빔 수량을 결정하거나 상기 신호의 전송 개수 N을 결정하고 N은 양의 정수이며;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제2 기기와 상기 신호의 전송을 진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신호 전송 기기는 신호의 전송에 사용된 기초 파라미터 집합 및/또는 동작 주파수 대역에 따라 빔 수량 또는 신호의 전송 개수를 유연하게 결정할 수 있기에 더 좋은 빔포밍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3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약칭 “CPU")일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310)는 또한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전용 집적 회로(ASIC),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어셈블리 등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320)는 판독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310)에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320)의 일부는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320)는 기기 타입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버스 시스템(330)는 데이터 버스를 포함하는 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도면에서 각 버스는 모두 버스 시스템(330)으로 표시되었다.
실시 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310) 중의 하드웨어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에 의해 완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결부시켜 공개된 방법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실행되거나 디코딩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롬, 프로그래머블 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본 기술분야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32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310)는 메모리(320)의 정보를 판독한 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단계들을 완료한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310)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기초 파라미터 집합으로부터 상기 기초 파라미터 집합을 결정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상기 동작 주파수 대역을 결정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310)는 구체적으로, 상기 기초 파라미터 집합 및 기설정된 제1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을 결정하거나, 상기 동작 주파수 대역 및 기설정된 제2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을 결정하며, 상기 제1 대응관계는 상기 기초 파라미터 집합과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의 대응관계이고, 상기 제2 대응관계는 상기 동작 주파수 대역과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의 대응관계이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310)는 구체적으로,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에 대응되는 물리적 리소스 또는 시퀀스 리소스를 결정하고; 상기 물리적 리소스에서 또는 상기 시퀀스 리소스를 사용하여 상기 제2 기기와 상기 신호의 전송을 진행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310)는 구체적으로, 상기 빔 수량에 따라 상기 제2 기기에 상기 빔 수량에 대응되는 빔포밍을 거친 후의 상기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상기 빔 수량에 대응되는 빔포밍을 거친 후의 상기 신호를 수신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310)는 구체적으로,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상기 제2 기기에 N개의 상기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송신한 N개의 상기 신호를 수신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310)는 구체적으로, 상기 N개의 상기 신호는 상이한 빔을 사용하여 빔포밍되고,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이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310)는 또한,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빔 수량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상기 제2 기기에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빔 수량에 대응되는 빔 집합 중의 제1 빔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에 대응되는 신호 집합 중의 제1 신호를 지시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제1 빔의 빔 식별자 및/또는 상기 빔 식별자에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CSI)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제1 신호의 신호 식별자 및/또는 상기 신호 식별자에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CSI)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CSI는 랭크 지시자(RI),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자(PMI) 및 채널 품질 지시자(CQ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310)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기초 파라미터 집합을 결정하거나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초 파라미터 집합 중 하나의 기초 파라미터 집합을 지시함 - ; 또는 전송 데이터의 서비스 타입 또는 동작 주파수 포인트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초 파라미터 집합으로부터 상기 기초 파라미터 집합을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초 파라미터 집합에 대해 블라인드 검출을 진행하여 상기 기초 파라미터 집합을 결정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는 동기화 신호, 방송 신호, 랜덤 액세스 신호 및 다운링크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초 파라미터 집합은 부반송파 간격, 시스템 대역폭에 대응되는 부반송파 수, 물리적 리소스 블록(PRB)에 대응되는 부반송파 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의 심볼 길이, OFDM 신호 생성에 사용된 FFT 또는 IFFT의 포인트 수, 전송 시간 간격(TTI)에 포함된 상기 OFDM 심볼 수, 기설정된 시간 구간 내에 포함된 상기 TTI 개수 및 신호 프리픽스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제2 기기가 단말 기기이거나; 또는 상기 제1 기기가 단말 기기이고 상기 제2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이거나; 또는 상기 제1 기기가 단말 기기이고 상기 제2 기기가 단말 기기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기기(300)는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 중의 제1 기기 및 신호 전송 기기(200)에 대응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중의 제1 기기에 대응될 수 있으며, 신호 전송 기기(300) 중의 각각의 유닛의 상기 및 다른 조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3 중의 방법의 상응한 단계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며, 간결함을 위해 더 이상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A와 상응한 B”는 B는 A와 연관되는 것을 의미하고, A에 따라 B를 결정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된다. 그러나, A에 따라 B를 결정하는 것은 단지A에만 따라 B를 결정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A 및/또는 다른 정보에 따라 B를 결정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문에서 공개된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예시적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를 결부하여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을 통해 실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방식으로 실행될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실행될지는 기술적 해결수단의 특정 응용과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전문 기술자는 각각의 특정된 응용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된 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실현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설명의 편의와 간결함을 위해 상기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 중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여기서는 일일이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본원 발명에서 제공된 몇 개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구획은 단지 논리적 기능 구획일 뿐이고 실제 응용시 다른 구획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다수의 유닛 또는 어셈블리는 다른 하나의 시스템에 조합 또는 집적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은 생략되거나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기재 또는 토론된 서로 간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통한 것일 수 있고,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식일 수 있다.
이상에서 분리 부재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것일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재는 물리적 유닛일 수 있거나,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 있으며, 하나의 장소에 위치하거나, 다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그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의 해결수단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이밖에,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에 집적될 수 있거나, 각 유닛이 별도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둘 또는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 있다. 상기 집적된 유닛은 하드웨어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 형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집적된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본질적으로 또는 선행 기술에 기여하는 일부분 또는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된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부분적 단계를 수행시키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전술된 저장 매체는 U 디스크, 이동식 하드 디스크, 롬(Read-Only Memory, ROM), 램(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의 변화 또는 교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해야 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28)

  1. 신호 전송 방법으로서,
    제1 기기가 신호의 전송에 사용된 부반송파 간격 및 동작 주파수 대역에 따라, 상기 신호의 전송 개수 N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신호는 물리적 방송채널(PBCH)이고, 상기 동작 주파수 대역은 상기 물리적 방송채널의 발송 주파수 대역임 - ; 및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제2 기기와 상기 신호의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동작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부반송파 간격이 15kHz일 경우, 상기 신호의 전송 개수 N은 4이고,
    상기 동작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부반송파 간격이 30kHz일 경우, 상기 신호의 전송 개수 N은 8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가 신호의 전송에 사용된 부반송파 간격 및 동작 주파수 대역에 따라, 상기 신호의 전송 개수 N을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상기 제1 기기가 적어도 하나의 부반송파 간격으로부터 상기 부반송파 간격을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상기 동작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가 신호의 전송에 사용된 부반송파 간격 및 동작 주파수 대역에 따라, 상기 신호의 전송 개수 N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부반송파 간격, 상기 동작 주파수 대역 및 기설정된 제3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전송 개수 N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3 대응관계는 상기 부반송파 간격, 상기 동작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전송 개수 N의 대응관계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제2 기기와 상기 신호의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상기 전송 개수 N에 대응되는 물리적 리소스 또는 시퀀스 리소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물리적 리소스에서 또는 상기 시퀀스 리소스를 사용하여 상기 제2 기기와 상기 신호의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제2 기기와 상기 신호의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상기 제2 기기에 N개의 상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송신한 N개의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제2 기기와 상기 신호의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상기 제2 기기에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전송 개수 N에 대응되는 신호 집합 중의 제1 신호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가 적어도 하나의 부반송파 간격으로부터 상기 부반송파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부반송파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반송파 간격 중 하나의 부반송파 간격을 지시함 - ; 또는
    상기 제1 기기가 전송 데이터의 서비스 타입 또는 동작 주파수 포인트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반송파 간격으로부터 상기 부반송파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반송파 간격에 대해 블라인드 검출을 진행하여 상기 부반송파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제2 기기가 단말 기기이거나; 또는
    상기 제1 기기가 단말 기기이고 상기 제2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이거나; 또는
    상기 제1 기기가 단말 기기이고 상기 제2 기기가 단말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1. 신호 전송 기기로서,
    상기 신호 전송 기기는 제1 기기이고,
    상기 신호 전송 기기는,
    신호의 전송에 사용된 부반송파 간격 및 동작 주파수 대역에 따라, 상기 신호의 전송 개수 N을 결정하는 제1 결정 유닛 - 상기 신호는 물리적 방송채널(PBCH)이고, 상기 동작 주파수 대역은 상기 물리적 방송채널의 발송 주파수 대역임 - ; 및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제2 기기와 상기 신호의 전송을 진행하는 전송 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동작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부반송파 간격이 15kHz일 경우, 상기 신호의 전송 개수 N은 4이고,
    상기 동작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부반송파 간격이 30kHz일 경우, 상기 신호의 전송 개수 N은 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기초 파라미터 집합으로부터 상기 기초 파라미터 집합을 결정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상기 동작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제2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기기.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부반송파 간격, 상기 동작 주파수 대역 및 기설정된 제3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전송 개수 N을 결정하며,
    상기 제3 대응관계는 상기 부반송파 간격, 상기 동작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전송 개수 N의 대응관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기기.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상기 전송 개수 N에 대응되는 물리적 리소스 또는 시퀀스 리소스를 결정하고,
    상기 물리적 리소스에서 또는 상기 시퀀스 리소스를 사용하여 상기 제2 기기와 상기 신호의 전송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기기.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상기 제2 기기에 N개의 상기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송신한 N개의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기기.
  16.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닛은 또한,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전송 개수 N에 따라, 상기 제2 기기에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전송 개수 N에 대응되는 신호 집합 중의 제1 신호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기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기기가 송신한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부반송파 간격을 결정하거나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반송파 간격 중 하나의 부반송파 간격을 지시함 - , 또는
    전송 데이터의 서비스 타입 또는 동작 주파수 포인트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반송파 간격으로부터 상기 부반송파 간격을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반송파 간격에 대해 블라인드 검출을 진행하여 상기 부반송파 간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기기.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20197008701A 2016-09-19 2016-09-19 신호 전송 방법 및 기기 KR1025075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099397 WO2018049693A1 (zh) 2016-09-19 2016-09-19 传输信号的方法和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080A KR20190054080A (ko) 2019-05-21
KR102507510B1 true KR102507510B1 (ko) 2023-03-07

Family

ID=61619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701A KR102507510B1 (ko) 2016-09-19 2016-09-19 신호 전송 방법 및 기기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2) US11095341B2 (ko)
EP (1) EP3503428A4 (ko)
JP (2) JP2020504464A (ko)
KR (1) KR102507510B1 (ko)
CN (2) CN112134601B (ko)
AU (1) AU2016423250B2 (ko)
BR (1) BR112019005244B1 (ko)
CA (1) CA3037334C (ko)
IL (1) IL265407B2 (ko)
MX (1) MX2019003064A (ko)
PH (1) PH12019500582A1 (ko)
RU (1) RU2722992C1 (ko)
TW (1) TWI745419B (ko)
WO (1) WO2018049693A1 (ko)
ZA (1) ZA2019019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95341B2 (en) * 2016-09-19 2021-08-1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signal
US10222817B1 (en) * 2017-09-29 2019-03-05 Cavium, Llc Method and circuit for low voltage current-mode bandgap
CN110419187B (zh) * 2017-01-06 2022-05-31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多载波操作的参数集组合组
RU2728536C1 (ru) * 2017-01-17 2020-07-30 Гуандун Оппо Мобайл Телекоммьюникейшнз Корп., Лтд.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а
CA3164544A1 (en) * 2019-12-09 2021-06-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andidate beam selection for a terminal device
WO2023236161A1 (zh) * 2022-06-09 2023-12-1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波束管理方法、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56120A1 (en) * 2011-12-19 2013-06-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ference symbol transmission in an ofdm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91237A1 (en) * 1998-09-30 2000-04-0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ulticarrier communication method with time-frequency differential encoding
KR100376298B1 (ko) * 1999-09-13 2003-03-1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무선통신시스템
ES2358102T3 (es) 2002-10-16 2011-05-05 Bioject, Inc. Conjunto de cartucho para medicamentos y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US7151951B2 (en) 2002-12-23 2006-12-19 Telefon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sing beamforming and closed loop transmit diversity in a multi-beam antenna system
CN100495951C (zh) * 2005-05-09 2009-06-03 上海原动力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动态选择阵列天线结构的方法
KR100996023B1 (ko) * 2005-10-31 2010-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7586989B2 (en) * 2005-11-22 2009-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beam-forming weights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network
US20090298509A1 (en) * 2006-01-19 2009-12-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adio transmission device and radio transmission method
CN101861704A (zh) * 2007-09-19 2010-10-13 新加坡科技研究局 传送数据至接收器的方法
US8276043B2 (en) 2008-03-01 2012-09-25 Kabushiki Kaisha Toshiba Memory system
WO2010054395A2 (en) * 2008-11-10 2010-05-14 Viasat, Inc. Dynamic frequency assignment in a multi-beam system
CN101814939B (zh) * 2009-02-23 2014-03-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多天线发射分集方法及装置
CN101614939A (zh) 2009-07-28 2009-12-30 北京派瑞根科技开发有限公司 实现隐身的复合材料层
US8502860B2 (en) * 2009-09-29 2013-08-0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Tema) Electronic control system, electronic control unit and associated methodology of adapting 3D panoramic views of vehicle surroundings by predicting driver intent
US9473229B2 (en) * 2012-10-05 2016-10-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gh-throughput beamforming MIMO receiver for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and method
US9392639B2 (en) 2013-02-27 2016-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channel sounding in beamformed massive MIMO systems
EP2991238B1 (en) 2013-04-25 2022-11-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signal
KR101954964B1 (ko) * 2014-02-04 2019-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에서 데이터 단위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6004634A1 (en) * 2014-07-11 2016-01-14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for enb, ue uplink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9853707B2 (en) 2014-09-16 2017-12-26 Mediatek Inc Channel state information collec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beamforming
US10411780B2 (en) * 2014-12-31 2019-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ast association in millimeter wave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s
US10306597B2 (en) * 2015-07-21 2019-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level radio resource management and mobility in cellular network
CN107733545B (zh) 2016-08-11 2019-10-01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信号的方法和装置
US11095341B2 (en) * 2016-09-19 2021-08-1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sig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56120A1 (en) * 2011-12-19 2013-06-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ference symbol transmission in an ofdm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59725A1 (en) 2021-11-18
JP2020504464A (ja) 2020-02-06
EP3503428A1 (en) 2019-06-26
TW201815093A (zh) 2018-04-16
IL265407A (en) 2019-05-30
AU2016423250A1 (en) 2019-04-18
IL265407B2 (en) 2023-04-01
RU2722992C1 (ru) 2020-06-05
MX2019003064A (es) 2019-07-08
AU2016423250B2 (en) 2022-03-17
CN109716669B (zh) 2020-11-03
US11736155B2 (en) 2023-08-22
ZA201901968B (en) 2019-11-27
CN109716669A (zh) 2019-05-03
CA3037334A1 (en) 2018-03-22
BR112019005244B1 (pt) 2024-01-09
CA3037334C (en) 2021-07-13
TWI745419B (zh) 2021-11-11
CN112134601A (zh) 2020-12-25
US20190199407A1 (en) 2019-06-27
JP2022009429A (ja) 2022-01-14
US11095341B2 (en) 2021-08-17
PH12019500582A1 (en) 2019-10-28
KR20190054080A (ko) 2019-05-21
WO2018049693A1 (zh) 2018-03-22
CN112134601B (zh) 2023-02-28
EP3503428A4 (en) 2019-08-07
IL265407B (en) 2022-12-01
BR112019005244A2 (pt) 201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65363B (zh) 在无线通信系统中报告信道状态信息的方法及其设备
CN111052621B (zh) 在无线通信系统中基于码本发送上行链路信号的方法及其装置
US107576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control and data channels with group reference signal
KR102507510B1 (ko) 신호 전송 방법 및 기기
CN110800244B (zh)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信道状态信息-参考信号的方法及其设备
CN111095852B (zh) 无线通信系统中在参考信号之间进行复用的方法及其装置
US11140683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eriodic uplink signals with hybrid transceiver architectures
EP3451605B1 (en) Channel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09417753B (zh) 传输信号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