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410B1 - 래칭 릴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래칭 릴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410B1
KR102507410B1 KR1020170144007A KR20170144007A KR102507410B1 KR 102507410 B1 KR102507410 B1 KR 102507410B1 KR 1020170144007 A KR1020170144007 A KR 1020170144007A KR 20170144007 A KR20170144007 A KR 20170144007A KR 102507410 B1 KR102507410 B1 KR 102507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ntact
fixed contact
latch
contact point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8793A (ko
Inventor
양선웅
김경환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4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410B1/ko
Publication of KR20190048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2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supplying energising current for relay coil
    • H01H47/32Energising current supplied by semiconductor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36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e.g. yoke
    • H01H50/42Auxiliary magnetic circuits, e.g. for maintaining armature in, or returning armature to, position of rest, for damping or accelerating mov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기 전원인가로 지속적인 통전 유지 또는 차단되는 래칭 릴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래칭 릴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접점을 가지는 고정접편; 상기 고정접점과 대항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동접점을 가지는 가동접편 어셈블리; 및 상기 가동접점과 상기 고정접점 간의 통전을 위하여 상기 가동접편 어셈블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솔레노이드 코일;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의 양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양끝단에 다른 극성의 자성을 띠는 요크; 상기 요크의 양끝단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요크의 양끝단의 다른 극성의 자성에 의해 스윙하는 래치; 및 상기 래치에 결합하여 스윙 이후의 상기 래치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고정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래칭 릴레이 장치{Latching Relay Apparatus}
본 발명은 릴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솔레노이트 코일에 일시적인 전원을 인가하여도 래칭 릴레이 장치의 온-오프(ON-OFF) 작동이 유지되는 래칭 릴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에너지 고갈과 환경오염 문제로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 같은 친환경 자동차가 주목받고 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그 충전 방식에 따라 마일드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로 크게 분류된다. 마일드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내연 기관에서 발생된 에너지의 일부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이고,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외부의 상용 전원으로부터 에너지를 받아 배터리를 충전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이다.
마일드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내연 엔진과 전기모터를 동식에 적용함으로서, 일반차량에 비해 연비와 배출가스를 줄인 차세대 차량 시스템이다. 48V라는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으로 구동하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비용 측면에서 우수할 뿐 아니라 고출력을 사용하는 전장 부품을 구동시킬 수 있는 장점으로 최근 여러 자동차 제작사 및 전지 업체가 높은 관심을 갖고 있다. 특히, 마일드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배터리 시스템에 장착되어 메인 전력을 모터, 전장 부품에 공급하거나 전력을 차단하는 릴레이(relay)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종래 릴레이는 온-오프(ON-OFF) 작동을 유지하기 위해서 코일에 연속적인 컨트롤 전원이 인가되어야 하고, 이는 연비절감을 목적으로 하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부합하지 않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다른 한편, 릴레이의 높은 신뢰성과 수명연장은 제품 특성에 중요한 요소인데, 릴레이를 개폐할 때 발생하는 아크에 의해 유발되는 열을 신속히 방출시킬 수 있는 아크 소호 능력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아크를 소호하기 위해 접점 간 거리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제품의 크기가 커져 소형화가 요구되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1221호,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용 충전장치"
앞서 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초기 전원인가로 지속적인 통전이나 차단 상태가 유지되어 저전력 운영 가능하며 차량의 연비개선에 기여하는 래칭 릴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의 접촉 압력을 높여 안정적인 통전 성능을 갖는 래칭 릴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접점과 가동접점 간 개폐 시 발생하는 아크(Arc)를 소호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릴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시예에 의해 구현된다.
일 측면에 따른 초기 전원인가로 래칭 릴레이 장치의 온-오프를 유지하는 저전력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솔레노이드 코일;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의 양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양끝단에 다른 극성의 자성을 띠는 요크; 상기 요크의 양끝단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요크의 양끝단의 다른 극성의 자성에 의해 스윙하는 래치; 및 상기 래치에 결합하여 스윙 이후의 상기 래치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고정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래치는, 상단부에 결합하는 제1 금속 플레이트; 및 하단부에 결합하는 제2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 및 제2 금속 플레이트는 서로 다른 극성의 자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대 극성의 자성을 띄는 상기 요크의 양끝단은,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 양끝단과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의 양끝단 사이에 위치하여 동일 극성을 띠는 금속 플레이트의 끝단을 끌어당기고 다른 극성을 띠는 금속 플레이트는 밀어내어 상기 래치를 스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은, 전원인가 방향에 따라 자기장의 방향이 반대로 전환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형성된 자기장의 방향이 반대로 전환되면 상기 요크의 양끝단에 형성된 자성도 반대로 전환되어 끌어당기던 금속 플레이트는 밀어내고 밀어내던 금속 플레이트는 끌어당겨 상기 래치를 재스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초기 전원인가로 지속적인 통전 유지 또는 차단되는 래칭 릴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칭 릴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접점을 가지는 고정접편; 상기 고정접점과 대항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동접점을 가지는 가동접편 어셈블리; 및 상기 가동접점과 상기 고정접점 간의 통전을 위하여 상기 가동접편 어셈블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솔레노이드 코일;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의 양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양끝단에 다른 극성의 자성을 띠는 요크; 상기 요크의 양끝단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요크의 양끝단의 다른 극성의 자성에 의해 스윙하는 래치; 및 상기 래치에 결합하여 스윙 이후의 상기 래치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고정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동접편 어셈블리는, 상기 액츄에이터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가동접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칭 릴레이 장치.
상기 래칭 릴레이 장치는, 상기 래치에 결합되어 상기 래치의 스윙 또는 재스윙에 따라 상사점 또는 하사점으로 이동하는 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래칭 릴레이 장치는, 상기 레버가 상사점 또는 하사점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가동접편을 위로 밀어내거나 아래로 당기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버가 상사점으로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1 및 제2 가동접편을 위로 밀어내어 상기 고정접점과 상기 가동접점이 통전되고, 상기 레버가 하사점으로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1 및 제2 가동접편을 아래로 당겨 상기 고정접점과 상기 가동접점이 개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래칭 릴레이 장치는, 상기 고정접점과 상기 가동접점의 통전시 상기 제1 및 제2 가동접편의 하단에서 텐션을 가하는 오티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래칭 릴레이 장치는, 상기 가동접점과 상기 고정접점 개리 시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시키기 위한 한 쌍의 측면 자석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측면 자석부재는, 서로 다른 극성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측면 자석부재 사이에는 상기 가동접점과 상기 고정접점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초기 전원인가로 지속적인 통전이나 차단 상태가 유지되어 저전력 운영 가능하여 차량의 연비개선에 기여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의 접촉 압력을 높여 안정적인 통전 성능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고정접점과 가동접점 간 개폐 시 발생하는 아크(Arc)를 소호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를 제공하여 릴레이의 높은 신뢰성과 수명연장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소형화가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래칭 릴레이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구조를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 은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레버가 상사점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레버가 하사점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과 같이 레버가 상사점으로 이동함에 따라 접점이 통전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래칭 릴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와 같이 레버가 하사점으로 이동함에 따라 접점이 개리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래칭 릴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과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그러면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래칭 릴레이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래칭 릴레이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래칭 릴레이 장치(1)는, 실시예에 따라 마일드 하이브리드 자동차(mild hybrid vehicle)의 48V 배터리 시스템에 장착되어 배터리의 메인 전력을 모터, 전장부품에 공급하거나 전력을 차단하는 계전기이다. 실시예에 따른 래칭 릴레이 장치(1)는, 솔레노이드 코일에 전원을 일시적으로 한 번만 인가하더라도 래칭 릴레이 장치(1)의 온오프(ON/OFF) 작동을 유지할 수 있어 지속적인 전원공급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래칭 릴레이 장치(1)가 장착된 마일드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연비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래칭 릴레이 장치(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접점(501)을 가지는 고정접편(50); 상기 고정접점(501)과 대항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동접점(401)을 가지는 가동접편 어셈블리(41, 42); 상기 가동접점(401)과 상기 고정접점(501) 간의 통전을 위하여 상기 가동접편 어셈블리(41, 42)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10); 하우징(20); 및 커버(30);를 포함한다.
상기 가동접편 어셈블리(41, 42)는, 상기 액츄에이터(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 가동접편(41) 및 제2 가동접편(4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가동접편(41) 및 제2 가동접편(42) 각각은 상기 고정접점(501)과 대항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동접점(401)을 포함한다.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버스바(61) 및 제2 버스바(62)는 상기 액츄에이터(10)의 구동력으로 제1 가동접편(41) 및 제2 가동접편(42)이 상승하여 상기 가동접점(401)과 상기 고정접점(501)이 저촉하여 통전되면, 상기 제1 가동접편(41), 고정접편(50) 및 제2 가동접편(42)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제1 버스바(61)에서 제2 버스바(62)로 전류가 흐르면 래칭 릴레이 장치(1)는 턴-온한다.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 도 5에서 설명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구조를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3 은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레버가 상사점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레버가 하사점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액츄에이터(10)는, 내부에 중공을 갖는 보빈(16)과, 상기 보빈(16)에 감겨 있는 솔레노이드 코일(13);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13)의 양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13)에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양끝단(141, 142)에 다른 극성의 자성을 띠는 요크(14); 상기 요크(14)의 양끝단(141, 14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요크(14)의 양끝단(141, 142)의 다른 극성의 자성에 의해 스윙 또는 재스윙하는 래치(12); 상기 래치(12)에 결합되어 상기 래치(12)의 스윙 또는 재스윙에 따라 상사점 또는 하사점으로 이동하는 레버(19); 상기 래치(12)에 결합하여 스윙 이후의 상기 래치(12)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고정자석(15);을 포함한다.
상기 래치(12)는, 상단부에 결합하는 제1 금속 플레이트(111); 및 하단부에 결합하는 제2 금속 플레이트(112);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111) 및 제2 금속 플레이트(112)는 서로 다른 극성의 자성을 갖는다.
실시예에 따라, 다른 극성의 자성을 띄는 상기 요크(14)의 양끝단(141, 142)은,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111) 양끝단과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112)의 양끝단 사이에 위치하여 동일 극성을 띠는 금속 플레이트(11)를 끌어당기고 다른 극성을 띠는 금속 플레이트(11)는 밀어내어 상기 래치(12)를 스윙 또는 재스윙시킨다. 즉, 상기 래치(12)는,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111) 및 제2 금속 플레이트(112)가 상기 요크(14)의 양끝단(141, 142)과 서로 자기력이 작용할 때 래치 중심고정부(121)를 기준으로 스윙한다.
실시예에 따라, 고정자석(15)은, 자기력으로 스윙 이후의 상기 래치(12)의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코일(13)에 초기 전원이 인가되어 래치(12)가 스윙하면 고정자석(15)에 의해 래치(12)의 위치가 고정되므로 솔레노이드 코일(13)에 추가적인 전원을 인가하지 않고도 접점의 통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최소전력으로 래칭 릴레이 장치(1)를 운영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13)에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전자석이 되는 요크(14)는,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13)에 인가되는 전원 방향에 따라 양끝단(141, 142)의 자성의 극이 달라질 수 있다(N<->S, S<->N).
도 3을 참고하면, 일시적으로 요크(14)의 좌측 끝단(141)이 S극, 요크(14)의 우측 끝단(142)이 N극을 띠고,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111)는 N극의 자성 그리고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112)는 S극의 자성을 띠는 경우, 요크(14)의 좌측 끝단(141)과 제1 금속 플레이트(111)는 인력이 작용하고 제2 금속 플레이트(112)와는 척력이 작용한다. 또한, 요크(14)의 우측 끝단(142)과 제1 금속 플레이트(111)는 척력이 작용하고 제2 금속 플레이트(112)와는 인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래치(12)는, 스윙하고 상기 래치(12)의 스윙에 따라 레버(19)는 상사점(Top Dead Center, TDC)으로 이동한다. 실시예에 따라, 고정자석(15)은, 자기력으로 스윙 이후의 상기 래치(12)의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13)은, 3상 와이어(미도시)가 연결되어 전원인가 방향에 따라 자기장의 방향이 반대로 전환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13)에 형성된 자기장의 방향이 반대로 전환되면 상기 요크(14)의 양끝단에 형성된 자성도 반대로 전환되어 끌어당기던 금속 플레이트는 밀어내고 밀어내던 금속 플레이트는 끌어당겨 상기 래치(12)를 재스윙시킨다.
도 3에서는 솔레노이드 코일(13)에 인가된 전원에 의해 일시적으로 요크(14)의 좌측 끝단(141)이 S극, 요크(14)의 우측 끝단(142)이 N극을 띠었으나, 도 4에서는, 솔레노이드 코일(13)에 인가된 전원이 반대로 전환되어 자기장의 방향도 반대고 전환되고, 이 경우, 요크(14)의 좌측 끝단(141)은 N극, 요크(14)의 우측 끝단(142)은 S극으로 전환된다.
도 4를 참고하면, 요크(14)의 좌측 끝단(141)은 제1 금속 플레이트(111)와 사이에서 자기력이 변경(인력->척력)되어 끌어당기던 제1 금속 플레이트(111)를 밀어내고, 척력이 작용하여 밀어내던 제2 금속 플레이트(112)는 인력으로 변경되므로 끌어당기게 된다. 또한, 요크(14)의 우측 끝단(142)은 밀어내던 제1 금속 플레이트(111)는 인력이 작용하여 끌어당기고, 끌어당기던 제2 금속 플레이트(112)는 척력이 작용하여 밀어내게 된다. 다라서, 따라서, 상기 래치(12)는, 재스윙하고, 상기 래치(12)의 재스윙에 따라 레버(19)는 상사점(TDC)에서 하사점(Botton Dead Center, BDC)으로 이동한다.
도 5는 도 3과 같이 레버가 상사점으로 이동함에 따라 접점이 통전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래칭 릴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실시예에 따라, 서로 반대 극성의 자성을 띠는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111) 및 제2 금속 플레이트(112)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요크(14)의 양끝단(141, 142)이 솔레노이드 코일(13)에 인가된 전류로 유발되어 자성을 띠게 되면 래치(12)는 스윙하고 상기 래치(12)의 스윙으로 상기 레버(19)는 상사점(TDC)으로 이동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레버(19)가 상사점으로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더(18)가 상기 제1 가동접편(41) 및 제2 가동접편(42)을 위로 밀어내어 상기 고정접점(501)과 상기 가동접점(401)이 통전된다.
실시예에 따라, 래치 릴레이 장치(1)는, 상기 제1 가동접편(41) 및 제2 가동접편(42)의 하단에서 텐션(tension)을 가하는 오티 스프링(70a, 70b);을 더 포함한다. 제1 오티 스프링(70a)은 제1 가동접편(41)을 하단에서, 제2 오티 스프링(70b)은 제2 가동접편(42)을 하단에서 부가적인 텐션을 가하여 상기 슬라이더(18)와 함께 상기 제1 가동접편(41) 및 제2 가동접편(42)을 강하게 지지하여 상기 고정접점(501)과 상기 가동접점(401)의 접촉 압력을 높여 통전 성능을 안정시킨다.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버스바(61) 및 제2 버스바(62)는 상기 액츄에이터(10)의 구동력으로 제1 가동접편(41) 및 제2 가동접편(42)이 상승하여 상기 가동접점(401)과 상기 고정접점(501)이 접촉하여 통전되면, 상기 제1 가동접편(41), 고정접편(50) 및 제2 가동접편(42)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제1 버스바(61)에서 제2 버스바(62)로 전류가 흘러 래칭 릴레이 장치(1)는 턴-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2 버스바(62)에서 제1 버스바(61)로 전류가 흘러 래칭 릴레이 장치(1)가 턴-온 될 수 있다.
도 6은 도 4와 같이 레버가 하사점으로 이동함에 따라 접점이 개리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래칭 릴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실시예에 따라, 솔레노이드 코일(13)에 전류인가 방향이 반대로 전환되면 상기 요크(14)의 양끝단에 형성된 자성도 반대로 전환되어 끌어당기던 금속 플레이트는 밀어내고 밀어내던 금속 플레이트는 끌어당겨 상기 래치(12)를 재스윙시킨다.
도 4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래치(12)의 재스윙에 따라 상기 레버(19)가 하사점(BDC)으로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더(18)가 상기 제1 가동접편(41) 및 제2 가동접편(42)을 아래로 끌어당겨 상기 고정접점(501)과 상기 가동접점(401)이 개리된다. 상기 가동접점(401)과 상기 고정접점(501)이 개리되면, 상기 제1 가동접편(41), 고정접편(50) 및 제2 가동접편(42)은 서로 분리되고, 제1 버스바(61)에서 제2 버스바(62)로 흐르던 전류는 차단되어 래칭 릴레이 장치(1)는 턴-오프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고정접점(501)과 상기 가동접점(401)이 상호 개리되면 아크가 발생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래칭 릴레이 장치(1)는 상기 가동접점(401)과 상기 고정접점(501) 개리 시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시키기 위한 한 쌍의 측면 자석부재(81, 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측면 자석부재(81, 82)는, 서로 다른 극성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측면 자석부재(81, 82) 사이에는 상기 가동접점(401)과 상기 고정접점(501)이 바람직하게, 각각 4개 이상씩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고정접점(501)과 상기 가동접점(401) 사이에서 발생된 아크는 한 쌍의 측면 자석부재(81, 82) 사이에 형성된 자기장의 자기력에 의해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른 힘의 방향으로 편향됨으로써 소호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한 쌍의 측면 자석부재(81, 82) 사이에 2개 이상의 접점이 위치할 경우에는 접점들에서 발생하는 아크의 방향이 동일하여 제품의 극성이 없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 래칭 릴레이 장치 10: 액츄에이터
11: 금속 플레이트 111: 제1 금속 플레이트
112: 제2 금속 플레이트 12: 래치
13: 솔레노이드 코일 14: 요크
15: 고정자석 16: 보빈
17: 와이어 18: 슬라이더
19: 레버 20: 하우징
30: 커버 40: 가동접편 어셈블리
41: 제1 가동접편 42: 제2 가동접편
401: 가동접점 50: 고정접편
501: 고정점점 60: 버스바
70: 오티 스프링 81, 82: 측면 자석부재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초기 전원인가로 지속적인 통전 유지 또는 차단되는 래칭 릴레이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접점을 가지는 고정접편;
    상기 고정접점과 대항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동접점을 가지는 가동접편 어셈블리; 및
    상기 가동접점과 상기 고정접점 간의 통전을 위하여 상기 가동접편 어셈블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솔레노이드 코일;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의 양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양끝단에 다른 극성의 자성을 띠는 요크; 상기 요크의 양끝단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요크의 양끝단의 다른 극성의 자성에 의해 스윙 또는 재스윙하는 래치; 상기 래치에 결합하여 스윙 이후의 상기 래치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고정자석; 및 상기 래치에 결합되어 상기 래치의 스윙 또는 재스윙에 따라 상사점 또는 하사점으로 이동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접편 어셈블리는,
    상기 액츄에이터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가동접편을 포함하며,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레버가 상사점 또는 하사점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가동접편을 위로 밀어내거나 아래로 당기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칭 릴레이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상사점으로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1 및 제2 가동접편을 위로 밀어내어 상기 고정접점과 상기 가동접점이 통전되고,
    상기 레버가 하사점으로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1 및 제2 가동접편을 아래로 당겨 상기 고정접점과 상기 가동접점이 개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칭 릴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과 상기 가동접점의 통전시 상기 제1 및 제2 가동접편의 하단에서 텐션을 가하는 오티 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래칭 릴레이 장치.
  11. 초기 전원인가로 지속적인 통전 유지 또는 차단되는 래칭 릴레이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접점을 가지는 고정접편;
    상기 고정접점과 대항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동접점을 가지는 가동접편 어셈블리;
    상기 가동접점과 상기 고정접점 개리 시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시키기 위한 한 쌍의 측면 자석부재; 및
    상기 가동접점과 상기 고정접점 간의 통전을 위하여 상기 가동접편 어셈블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솔레노이드 코일;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의 양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양끝단에 다른 극성의 자성을 띠는 요크; 상기 요크의 양끝단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요크의 양끝단의 다른 극성의 자성에 의해 스윙 또는 재스윙하는 래치; 및 상기 래치에 결합하여 스윙 이후의 상기 래치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고정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칭 릴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 자석부재는,
    서로 다른 극성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측면 자석부재 사이에는 상기 가동접점과 상기 고정접점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칭 릴레이 장치.
KR1020170144007A 2017-10-31 2017-10-31 래칭 릴레이 장치 KR102507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007A KR102507410B1 (ko) 2017-10-31 2017-10-31 래칭 릴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007A KR102507410B1 (ko) 2017-10-31 2017-10-31 래칭 릴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793A KR20190048793A (ko) 2019-05-09
KR102507410B1 true KR102507410B1 (ko) 2023-03-06

Family

ID=66545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007A KR102507410B1 (ko) 2017-10-31 2017-10-31 래칭 릴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4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62918B (zh) * 2021-11-17 2023-12-22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检修分公司 一种具有状态模拟功能的继电器性能检验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901B1 (ko) * 2013-11-20 2014-02-13 주식회사 와이엠텍 래치 릴레이
JP2016194984A (ja) * 2015-03-31 2016-11-17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2073780A1 (ja) * 2010-11-30 2014-05-19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ラッチングリレー
KR101241221B1 (ko) 2010-12-06 2013-03-13 주식회사 이지트로닉스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용 충전 장치
KR101951428B1 (ko) * 2015-07-15 2019-02-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래치 릴레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901B1 (ko) * 2013-11-20 2014-02-13 주식회사 와이엠텍 래치 릴레이
JP2016194984A (ja) * 2015-03-31 2016-11-17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793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0961B2 (en) Electromagnetic relay and coil terminal
JP5303022B2 (ja) 自動車リチウムイオン電池システムにおける直線状高電圧接触器用の2重双極性磁界
JP5806562B2 (ja) 電磁接触器
US8514037B2 (en) Dual bipolar magnetic field for rotary high-voltage contactor in automotive lithium-ion battery systems
US9570259B2 (en) Electromagnetic relay
US8461951B2 (en) Bistable magnetic actuators
JP6343642B2 (ja) 直流リレー
US20160141132A1 (en) Contact device
JP5918424B2 (ja) 電磁接触器
WO2012029218A1 (ja) 電磁開閉器
JP6359896B2 (ja) 接点機構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US8823473B2 (en) Latching relay
WO2014045963A1 (ja) 電磁継電器
JP2016072020A (ja) 接点装置
KR20170008047A (ko)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
JP2016012505A (ja) 接点機構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JP2012146526A (ja) 電磁接触器
KR102507410B1 (ko) 래칭 릴레이 장치
KR102323604B1 (ko) 릴레이 장치
JP4601693B2 (ja) 電磁継電器
JPH06283088A (ja) 電磁継電器
JP2006325298A (ja) ロータリアクチュエータ、ロータリアクチュエータの制御回路、及び、ロータリアクチュエータを用いた開閉器
CN117831974A (zh) 电气开关
JP2013097959A (ja) 有極型電磁リレー
JP2018107045A (ja) 接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