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166B1 - 핏감 및 착용감을 개선한 밴딩 팬츠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핏감 및 착용감을 개선한 밴딩 팬츠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166B1
KR102507166B1 KR1020220156923A KR20220156923A KR102507166B1 KR 102507166 B1 KR102507166 B1 KR 102507166B1 KR 1020220156923 A KR1020220156923 A KR 1020220156923A KR 20220156923 A KR20220156923 A KR 20220156923A KR 102507166 B1 KR102507166 B1 KR 102507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pad
pattern
pants
s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6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러시제이
한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러시제이, 한영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러시제이
Priority to KR1020220156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1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41D1/067Trousers with reinforcement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00Patterns for cutting-out; Methods of drafting or marking-out such patterns, e.g. on the cloth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2/00Multi-step production lines for making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핏감 및 착용감을 개선한 밴딩 팬츠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팬츠의 양측 재봉선이 없어 핏감 및 착용감이 개선된 핏감 및 착용감을 개선한 밴딩 팬츠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핏감 및 착용감을 개선한 밴딩 팬츠 및 이의 제조 방법{BANDING PANTS WITH IMPROVED FIT AND COMFOR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아래 실시예들은 핏감 및 착용감을 개선한 밴딩 팬츠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팬츠의 양측 재봉선이 없어 핏감 및 착용감이 개선된 핏감 및 착용감을 개선한 밴딩 팬츠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허리에 탄성 밴드가 들어있는 밴딩 팬츠는 그 편의성으로 인해 인기가 높은 의류 아이템이다.
소재에 따라 다양한 컨셉/이미지의 팬츠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의상 제조사에서도 밴딩 팬츠를 자주 채용하고 있다.
다만, 종래 밴딩 팬츠의 경우, 왼쪽 부분과 오른쪽 부분이 각각 앞/뒤 원단부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팬츠의 양단에 재봉선이 있으며, 이로 인해 심미감을 해치거나 핏감/착용감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재에 따라 오래 입은 팬츠의 무릎 부분이 돌출되어 심미감이 저해되거나, 물세탁 시 변형이 발생하여 옷의 기본 형태를 유지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KR 10-2463110 B KR 10-2077347 B KR 10-1675338 B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밴딩 팬츠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팬츠의 양측(양단)에 재봉선이 없어 핏감 및 착용감이 향상되고, 소정의 무릎패드를 구비하여 무릎 나옴 현상을 방지하고, 물세탁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핏감 및 착용감을 개선한 밴딩 팬츠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밴딩 팬츠의 패턴을 작도 및 재단하는 제1 공정; 상기 패턴을 기반으로 소정의 원단을 재단하여, 좌측 원단부 및 우측 원단부를 제작하는 제2 공정; 상기 좌측 원단부 및 우측 원단부를 재봉하여 연결함으로써 제1 개구부, 제2 개구부 및 제3 개구부가 형성된 팬츠 형상을 형성하는 제3 공정; 및 상기 제1 개구부, 제2 개구부 및 제3 개구부를 절첩하여 재봉하여 밴드 수용구를 형성하며, 상기 밴드 수용구에 밴드를 삽입하는 제4 공정;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공정은: 상기 제1 개구부에 대응하는 제1 길이의 제1 선을 작도하는 단계; 상기 제1 선의 좌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제2 길이의 제2 선을 작도하는 단계; 상기 제1 선의 우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제3 길이의 제3 선을 작도하는 단계; 상기 제2 선의 하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제4 길이의 제4 선을 작도하는 단계; 상기 제3 선의 하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제5 길이의 제5 선을 작도하는 단계; 상기 제4 선의 하단 및 제5 선의 하단을 잇는 제6 선을 작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선 내지 제6 선을 포함하는 제1 패턴에 대칭되는 제2 패턴을 작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선은: 제2-1 길이의 수직 방향 선분인 제2-1 선; 및 상기 제2-1 선의 하단으로부터 신장되는 곡선으로써, 상기 제2-1 길이 대비 50% 내지 60%의 높이를 가지고, 상기 제2-1 길이 대비 15% 내지 25%의 너비를 가지는 제2-2 선;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3 선은: 제3-1 길이의 상기 제1 선의 우단에서 하향으로 90도 절곡된 방향의 선분인 제3-1 선; 및 상기 제3-1 선의 하단으로부터 신장되는 곡선으로써, 상기 제3-1 길이 대비 35% 내지 45%의 높이를 가지고, 상기 제3-1 길이 대비 15% 내지 25%의 너비를 가지는 제3-2 선;으로 구성되어, 양단에 재봉선이 없는 밴딩 팬츠를 제조하는, 핏감 및 착용감을 개선한 밴딩 팬츠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공정은: 상기 제1 패턴의 수직 중심선과, 상기 제1 패턴의 제2 선 하부의 영역에 수용되는 형상으로 제3 패턴을 작도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패턴에 대칭되는 제4 패턴을 작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공정은: 상기 제1 패턴을 기반으로 좌측 원단부를 재단하는 단계; 상기 제2 패턴을 기반으로 우측 원단부를 재단하는 단계; 상기 제3 패턴을 기반으로 좌측 내부 원단부를 재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패턴을 기반으로 우측 내부 원단부를 재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공정은: 상기 좌측 원단부 및 우측 원단부에 무릎패드를 각각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무릎패드가 좌측 패드 수용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좌측 원단부에 좌측 내부 원단부를 재봉하여 좌측 패드 수용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무릎패드가 우측 패드 수용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우측 원단부에 우측 내부 원단부를 재봉하여 우측 패드 수용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좌측 원단부 및 우측 원단부의 상기 제2 선에 대응하는 부분끼리 재봉하고, 상기 좌측 원단부 및 우측 원단부의 상기 제3 선에 대응하는 부분끼리 재봉하는 단계; 상기 좌측 원단부의 상기 제4 선에 대응하는 부분과 상기 좌측 원단부의 제5 선에 대응하는 부분을 재봉하는 단계; 및 상기 우측 원단부의 상기 제4 선에 대응하는 부분과 상기 우측 원단부의 제5 선에 대응하는 부분을 재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소정의 무릎패드를 구비한 밴딩 팬츠를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릎패드는: 가로 길이보다 세로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좌측 패드 수용부 및 우측 패드 수용부 각각에 다수개씩 수용되며, 상기 좌측 패드 수용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우측 패드 수용부를 형성하는 단계는(이하, '좌측 패드 수용부 및 우측 패드 수용부'를 '패드 수용부'라고 통칭함): 상기 패드 수용부의 상단에 무릎패드들을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무릎패드들이 서로 격리되도록, 상기 패드 수용부를 세로 방향으로 재봉하는 단계; 상기 무릎패드가 하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무릎패드의 하부에서 상기 패드 수용부를 가로 방향으로 재봉하여 제1 패드 수용칸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패드 수용칸보다 하부의 패드 수용부를 가로 방향으로 재봉하여, 상기 제1 패드 수용칸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다수의 제2 패드 수용칸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제1 패드 수용칸과 제2 패드 수용칸의 가로 방향 재봉선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무릎패드의 높이가 조절 가능한 밴딩 팬츠를 제조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공정은: 상기 좌측 원단부 및 우측 원단부(이하, '제1 원단부'라 함)를 30도 내지 40도의 물에 침지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원단부가 물에 침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원단부를 제1 시간동안 다듬질하는 제1 다듬질 단계; 상기 제1 원단부를 제1 롤러에 고정시켜 상기 제1 롤러를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롤러의 회전축에 형성된 주입구를 통해 30도 내지 50도의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제1 롤러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공을 통해 제1 원단부로 공기를 분사하는 단계; 상기 제1 롤러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원단부로 공기를 분사하는 단계; 상기 제1 롤러가 회전하는 제2 시간동안, 상기 제1 원단부를 다듬질하는 제2 다듬질 단계; 및 상기 제1 원단부를, 30도 내지 50도의 온도 및 20% 내지 40%의 상대습도로 유지되는 건조실에서 제3 시간동안 다듬질하는 제3 다듬질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다듬질 단계는: 상기 제2 롤러의 외주면에 부착된 다수개의 탄성패드가 하나씩 교번하며 상기 제1 원단부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1 롤러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동축 회전하는 제2 롤러를, 상기 제1 롤러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다듬질 단계는: 다수개의 상기 제1 원단부를 소정의 컨베이어벨트에 안착시켜, 제4 시간동안 이송시키고, 제5 시간동안 이송을 정지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 및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진행 방향을 따라 컨베이어벨트의 상부에 위치한 메쉬패드로 상기 제1 원단부의 이송이 정지된 상기 제5 시간동안 반복 타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패드는: 상기 제1 원단부와의 접촉에 의해 휘어지고, 상기 제1 원단부에서 이탈했을 때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는 소정의 탄성 소재로 구성되되, 상기 제2 롤러의 중심으로부터 제1 롤러의 중심까지의 거리만큼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메쉬패드는: 상기 제1 원단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며 소정의 폐곡선을 이루는 테두리; 및 상기 테두리의 내측에 고정되는 소정의 살;로 구성되고, 상기 제3 다듬질 단계는: 상기 메쉬패드를 상하 왕복운동시키는 구동부;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진행 방향과 평행하게 신장되되, 기어이가 형성되는 제1 기어면과 기어이가 형성되지 않는 제2 기어면이 반복되어 형성되는 래크기어(Rack Gear); 상기 래크기어의 제1 기어면에 치합되도록 래크기어에 연결되는 피니언기어(Pinion Gear); 상기 피니언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변속하는 변속기어; 상기 변속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캠축; 상기 캠축의 일측에서 소정의 노즈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캠축의 회전운동을 소정의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원동캠; 상기 원동캠의 외주면에 접촉하며, 노즈가 없는 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캠축의 회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는 종동캠; 상기 종동캠의 하단으로부터 신장되며, 하단에 상기 메쉬패드가 고정되는 지지대; 상기 종동캠이 상하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 상기 종동캠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레일에 안착되는 가이드; 및 상기 래크기어를 좌우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시키는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메쉬패드가 상기 제1 원단부를 반복 타격하거나 타격을 중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밴딩 팬츠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밴딩 팬츠를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팬츠의 양측(양단)에 재봉선이 없어 핏감 및 착용감이 향상된 밴딩 팬츠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무릎패드를 구비하여 오래 착용하더라도 무릎 나옴 현상이 방지되는 밴딩 팬츠를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소정의 구조를 기반으로, 착용자의 신체 치수에 맞게 무릎패드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물세탁으로 인한 변형이 방지되는 밴딩 팬츠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핏감 및 착용감을 개선한 밴딩 팬츠 및 이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되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핏감 및 착용감을 개선한 밴딩 팬츠 및 이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되는 패턴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핏감 및 착용감을 개선한 밴딩 팬츠 재봉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핏감 및 착용감을 개선한 밴딩 팬츠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핏감 및 착용감을 개선한 밴딩 팬츠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핏감 및 착용감을 개선한 밴딩 팬츠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스탕 자켓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되는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스탕 자켓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되는 제1 롤러 및 제2 롤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밴딩 팬츠의 패턴을 작도 및 재단하는 제1 공정(S100); 상기 패턴을 기반으로 소정의 원단을 재단하여, 좌측 원단부(11) 및 우측 원단부(12)를 제작하는 제2 공정(S200); 상기 좌측 원단부(11) 및 우측 원단부(12)를 재봉하여 연결함으로써 제1 개구부, 제2 개구부 및 제3 개구부가 형성된 팬츠 형상을 형성하는 제3 공정(S300); 및 상기 제1 개구부, 제2 개구부 및 제3 개구부를 절첩하여 재봉하여 밴드 수용구를 형성하며, 상기 밴드 수용구에 밴드를 삽입하는 제4 공정(S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패턴'이란, 의류 제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기재에서 좌측 및 우측은 도면을 기준으로 또는 착용자를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부는 바지의 허리 부분에 형성된 개구부를, 제2 개구부는 바지의 좌측 또는 우측 발 끝 부분에 형성된 개구부를, 제3 개구부는 나머지 발 끝 부분에 형성된 개구부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기재에서 '밴드'란, 바지에 삽입되는 소정의 탄성 소재의 끈/밴드/링(고무줄, 고무밴드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정(S100)은: 상기 제1 개구부에 대응하는 제1 길이의 제1 선(L1)을 작도하는 단계; 상기 제1 선(L1)의 좌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제2 길이의 제2 선(L2)을 작도하는 단계; 상기 제1 선(L1)의 우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제3 길이의 제3 선(L3)을 작도하는 단계; 상기 제2 선(L2)의 하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제4 길이의 제4 선(L4)을 작도하는 단계; 상기 제3 선(L3)의 하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제5 길이의 제5 선(L5)을 작도하는 단계; 상기 제4 선(L4)의 하단 및 제5 선(L5)의 하단을 잇는 제6 선(L6)을 작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선(L1) 내지 제6 선(L6)을 포함하는 제1 패턴(P1)에 대칭되는 제2 패턴을 작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정(S100)에 의해 작도 및 재단된 패턴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 패턴을 별도로 작도 및 재단하지 않고, 제1 패턴(P1)을 제2 패턴으로써 활용할 수도 있다.
제1 선(L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을 기준으로 수평선(x축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작도될 수 있다.
상기 제1 선(L1)을 기준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수직선(y축 방향)과 평행한 제2 선(L2)을 작도하되, 상기 제2 선(L2)의 단부는 휘어지도록 작도할 수 있다.
상기 제3 선(L3) 또한, 도면을 기준으로 수직선(y축 방향)과 평행하게 작도되되, 상기 제3 선(L3)의 단부는 휘어지도록 작도될 수 있다.
상기 제2 선(L2)의 단부로부터, 휘어지는 상단 부분 이후 직선 형태나 소정의 곡선 형태로 신장되는 제4 선(L4)을 작도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선(L4)에서 상기 '휘어지는 상단 부분'은 바지의 사타구니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휘어지는 부분이며, 그 이후의 하부는 바지의 전체적인 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므로, 바지의 구체적인 디자인에 따라 달리 작도될 수 있다.
상기 제4 선(L4)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5 선(L5)을 상기 제3 선(L3)의 단부로부터 작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4 선(L4)의 단부와 제5 선(L5)의 단부를 잇는 제6 선(L6)을 작도하여 소정의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1 선(L1) 내지 제6 선(L6)을 작도한 제1 패턴(P1)을 기반으로, 이에 대칭되도록 제2 패턴을 작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턴(P1)이 좌측 원단부(11)에 대응되는 것이라면, 제2 패턴은 우측 원단부(12)에 대응되도록 작도될 수 있다.
상기 제2 선(L2)은: 제2-1 길이의 수직 방향 선분인 제2-1 선(L2-1); 및 상기 제2-1 선(L2-1; 실선)의 하단으로부터 신장되는 곡선으로써, 상기 제2-1 길이 대비 50% 내지 60%의 높이(H2; 점선)를 가지고, 상기 제2-1 길이 대비 15% 내지 25%의 너비(W2; 점선)를 가지는 제2-2 선(L2-2; 실선);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3 선(L3)은: 제3-1 길이의 상기 제1 선(L1)의 우단에서 하향으로 90도 절곡된 방향의 선분인 제3-1 선(L3-1; 실선); 및 상기 제3-1 선(L3-1; 실선)의 하단으로부터 신장되는 곡선으로써, 상기 제3-1 길이 대비 35% 내지 45%의 높이(H3; 점선)를 가지고, 상기 제3-1 길이 대비 15% 내지 25%의 너비(W3; 점선)를 가지는 제3-2 선(L3-2; 실선);으로 구성되어, 양단에 재봉선(L)이 없는 밴딩 팬츠를 제조하는, 핏감 및 착용감을 개선한 밴딩 팬츠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도 2에 상기 제2 선(L2) 및 제3 선(L3)을 구체화하여 표현한 패턴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선(L2) 및 제3 선(L3)의 길이 비를 기반으로, 두 개의 원단부로 구성되는 밴딩 팬츠를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양단에 재봉선(L)이 없는 밴딩 팬츠'란, 착용자가 상기 밴딩 팬츠를 착용했을 때, 다리의 양 바깥쪽에 수직 방향의 재봉선(L)이 없는 형태의 밴딩 팬츠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1 공정(S100)은: 상기 제1 패턴(P1)의 수직 중심선과, 상기 제1 패턴(P1)의 제2 선(L2) 하부의 영역에 수용되는 형상으로 제3 패턴(P3)을 작도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패턴(P3)에 대칭되는 제4 패턴을 작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패턴(P3) 및 제4 패턴은 후술하는 좌측 내부 원단부 및 우측 내부 원단부에 대응하는 패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패턴(P3) 및 제4 패턴은 제1 패턴(P1) 및 제2 패턴의 일부분을 자른 형태로 작도될 수 있다.
상기 제2 공정(S200)은: 상기 제1 패턴(P1)을 기반으로 좌측 원단부(11)를 재단하는 단계; 상기 제2 패턴을 기반으로 우측 원단부(12)를 재단하는 단계; 상기 제3 패턴(P3)을 기반으로 좌측 내부 원단부를 재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패턴을 기반으로 우측 내부 원단부를 재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 내부 원단부 및 우측 내부 원단부는, 각각 좌측 원단부(11) 및 우측 원단부(12)에 재봉 결합되어, 착용자가 밴딩 팬츠를 착용했을 때를 기준으로 밴딩 팬츠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좌측 내부 원단부 및 우측 내부 원단부는, 바지의 '인심(inseam)'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 공정(S300)은: 상기 좌측 원단부(11) 및 우측 원단부(12)에 무릎패드(13)를 각각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무릎패드(13)가 좌측 패드 수용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좌측 원단부(11)에 좌측 내부 원단부를 재봉하여 좌측 패드 수용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무릎패드(13)가 우측 패드 수용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우측 원단부(12)에 우측 내부 원단부를 재봉하여 우측 패드 수용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좌측 원단부(11) 및 우측 원단부(12)의 상기 제2 선(L2)에 대응하는 부분끼리 재봉하고, 상기 좌측 원단부(11) 및 우측 원단부(12)의 상기 제3 선(L3)에 대응하는 부분끼리 재봉하는 단계; 상기 좌측 원단부(11)의 상기 제4 선(L4)에 대응하는 부분과 상기 좌측 원단부(11)의 제5 선(L5)에 대응하는 부분을 재봉하는 단계; 및 상기 우측 원단부(12)의 상기 제4 선(L4)에 대응하는 부분과 상기 우측 원단부(12)의 제5 선(L5)에 대응하는 부분을 재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소정의 무릎패드(13)를 구비한 밴딩 팬츠를 제조할 수 있다.
도 3에 상기 좌측 원단부(11) 및 우측 원단부(12)를 재봉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점선으로 표기된 부분들을 서로 재봉하는 것으로, 상기 제3 공정(S300)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무릎패드(13)는 소정의 강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평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드 수용부 내측에 구비된 무릎패드(13)는, 밴딩 팬츠의 무릎 부분이 돌출되지 않도록 지지/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제3 공정(S300)에 따라, 무릎패드(13)가 밴딩 팬츠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수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릎패드(13)는: 가로 길이보다 세로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좌측 패드 수용부 및 우측 패드 수용부 각각에 다수개씩 수용되며, 상기 좌측 패드 수용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우측 패드 수용부를 형성하는 단계는(이하, '좌측 패드 수용부 및 우측 패드 수용부'를 '패드 수용부'라고 통칭함): 상기 패드 수용부의 상단에 무릎패드(13)들을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무릎패드(13)들이 서로 격리되도록, 상기 패드 수용부를 세로 방향으로 재봉하는 단계; 상기 무릎패드(13)가 하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무릎패드(13)의 하부에서 상기 패드 수용부를 가로 방향으로 재봉하여 제1 패드 수용칸(15)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패드 수용칸(15)보다 하부의 패드 수용부를 가로 방향으로 재봉하여, 상기 제1 패드 수용칸(15)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다수의 제2 패드 수용칸(15)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제1 패드 수용칸(15)과 제2 패드 수용칸(15)의 가로 방향 재봉선(L)(14)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무릎패드(13)의 높이가 조절 가능한 밴딩 팬츠를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패드(13)를 가로 길이보다 세로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장방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좌측 패드 수용부 및 우측 패드 수용부 각각에 다수개씩 수용함으로써, 착용자의 다리부분의 곡면을 따라 안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무릎패드(13)들이 착용자의 다리부분 곡면을 따라 안착됨으로써, 착용 시 외부에서 무릎패드(13)가 보이지 않게 되며, 착용자에게 무릎패드(13)로 인한 이질감이 느껴지지 않게 된다.
착용자는 필요 시 상기 제1 패드 수용칸(15)과 제2 패드 수용칸(15)의 가로 방향 재봉선(L)(14)을 해제함으로써, 무릎패드(1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선 형태로 표기된 가로 방향 재봉선(L)(14)은 착용자가 필요 시 밴딩 팬츠로부터 탈거할 수 있으며, 가로 방향 재봉선(L)(14)이 탈거되어 제거된 후에는 착용자가 직접 무릎패드(13)를 이동시키거나,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제거된 재봉선(L)의 아래쪽 위치까지 무릎패드(13)가 내려가게 된다.
착용자는, 밴딩 팬츠를 구매한 지 얼마 되지 않은 기간동안에는 무릎패드(13)를 이동시키지 않고 사용하다가(무릎패드(13)가 무릎보다 위쪽에 위치), 필요 시에만 무릎패드(13)를 자신의 체형에 맞게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로 방향 재봉선(L)(14)은 탈거가 용이하도록 시침질이나 홈질 방식으로 재봉될 수 있다.
도 4 (a)에 도시된 형태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밴딩 팬츠의 출고 시 상태이며, 도 4 (b)에 도시된 형태가 착용자가 첫번째 가로 방향 재봉선(L)(14)을 탈거하여 무릎패드(13)들이 한 칸 아래로 내려간 상태이다.
아울러, 제1 원단부(좌측 원단부 및 우측 원단부)(1)를 전처리하는 제2 공정(S200)의 부가 과정(원단 전처리 공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원단을 재단한 후, 좌측 원단부 및 우측 원단부(이하, '제1 원단부'라 함)들 각각에 대해 아래 단계들을 수행한다.
상기 제2 공정은: 상기 제1 원단부를 30도 내지 40도의 물에 침지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원단부가 물에 침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원단부를 제1 시간동안 다듬질하는 제1 다듬질 단계; 상기 제1 원단부를 제1 롤러에 고정시켜 상기 제1 롤러를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롤러의 회전축에 형성된 주입구를 통해 30도 내지 50도의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제1 롤러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공을 통해 제1 원단부로 공기를 분사하는 단계; 상기 제1 롤러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원단부로 공기를 분사하는 단계; 상기 제1 롤러가 회전하는 제2 시간동안, 상기 제1 원단부를 다듬질하는 제2 다듬질 단계; 및 상기 제1 원단부를, 30도 내지 50도의 온도 및 20% 내지 40%의 상대습도로 유지되는 건조실에서 제3 시간동안 다듬질하는 제3 다듬질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원단부(1)를 30도 내지 40도의 물에 침지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원단부(1)가 상기 물에 완전히 잠기도록 침지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물은 순수한 물이나 생수, 수돗물 등 일반적인 물일 수도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워셔블 가공 처리액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상기 제1 원단부(1)가 물에 침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원단부(1)를 제1 시간동안 다듬질하는 제1 다듬질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원단부(1)를 다듬질하며(두드리며) 제1 원단부(1)에 물을 함침시키고, 제1 원단부(1)가 뭉치거나 우그러들지 않고 펼쳐지도록 처리한다.
상기 제1 원단부(1)를 제1 롤러(21)에 고정시켜 상기 제1 롤러(21)를 회전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물에서 제1 원단부(1)를 빼내어, 공기중에 위치한 상기 제1 롤러(21)에 제1 원단부(1)를 고정시킨다.
여기서, 제1 롤러(21)에 상기 제1 원단부(1)를 고정하기 위하여, 소정의 집게 등의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 롤러(21)의 회전축에 형성된 주입구를 통해 30도 내지 50도의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제1 롤러(21)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공을 통해 제1 원단부(1)로 공기를 분사하는 단계; 상기 제1 롤러(21)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원단부(1)로 공기를 분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롤러(21)가 회전하는 제2 시간동안, 상기 제1 원단부(1)를 다듬질하는 제2 다듬질 단계;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공기 분사 과정을 통해 제1 원단부(1)에 함침된 물 성분을 제거(탈수)하며, 제2 다듬질 단계를 통해 제1 원단부를 다듬어 제1 원단부가 뭉치거나 우그러들지 않도록 처리한다.
상기 제1 원단부(1)를, 30도 내지 50도의 온도 및 20% 내지 40%의 상대습도로 유지되는 건조실에서 제3 시간동안 다듬질하는 제3 다듬질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롤러(21)에서 제1 원단부(1)를 분리시키고 상기 건조실 내에서 건조와 동시에 다듬질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제1 원단부(1)가 열이나 습도에 의해 변형/손상되지 않도록 상기와 같은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 범위 이하, 습도 범위 이상에서는 건조 속도가 매우 느릴 수 있으며, 상기 온도 범위 이상, 습도 범위 이하에서는 제1 원단부(1)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다듬질 단계는: 상기 제2 롤러(22)의 외주면에 부착된 다수개의 탄성패드(23)가 하나씩 교번하며 상기 제1 원단부(1)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1 롤러(21)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동축 회전하는 제2 롤러(22)를, 상기 제1 롤러(21)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에서 '동축 회전'이란, 회전축의 방향이 서로 평행한 회전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롤러(21)와 제2 롤러(22)의 회전축은 서로 평행하되, 상기 제1 롤러(21) 및 제2 롤러(22)의 외주면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2 롤러(22)에 총 4개의 탄성패드(23)가 제2 롤러(22)를 중심으로 90도마다 배치되었다면, 제2 롤러(22)가 한바퀴 회전할 때 상기 4개의 탄성패드(23)가 상기 제1 원단부(1)에 각각 1번 씩 총 4번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롤러(21) 및 제2 롤러(22)를 고정하거나 회전시키는 베어링, 모터 등의 부수적인 구성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참고하여 쉽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3 다듬질 단계는: 다수개의 상기 제1 원단부(1)를 소정의 컨베이어벨트(31)에 안착시켜, 제4 시간동안 이송시키고, 제5 시간동안 이송을 정지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 및 상기 컨베이어벨트(31)의 진행 방향을 따라 컨베이어벨트(31)의 상부에 위치한 메쉬패드(39)로 상기 제1 원단부(1)의 이송이 정지된 상기 제5 시간동안 반복 타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원단부(1)는 일부분이 접히지 않고 잘 펼쳐진 상태로 상기 컨베이어벨트(31)의 위에 올려질(안착) 수 있다.
상기 탄성패드(23)는: 상기 제1 원단부(1)와의 접촉에 의해 휘어지고, 상기 제1 원단부(1)에서 이탈했을 때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는 소정의 탄성 소재로 구성되되, 상기 제2 롤러(22)의 중심으로부터 제1 롤러(21)의 중심까지의 거리만큼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탄성패드(23)는 상기 제1 원단부(1)를 소정의 하중으로 타격하고,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반대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제2 롤러(22)의 회전에 따라 제1 롤러(21)를 통과하게 되며, 다음에 위치한 탄성패드(23)가 상기 제1 원단부(1)에 접촉(타격)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 탄성패드(23)에 의해 타격된 제1 원단부(1)는, 뭉치지 않고 펼쳐지며 함침되었던 물 등이 이탈하여 탈수/건조가 병행된다.
상기 메쉬패드(39)는: 상기 제1 원단부(1)를 가압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며 소정의 폐곡선을 이루는 테두리; 및 상기 테두리의 내측에 고정되는 소정의 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메쉬패드(39)의 구성에 따라, 상기 제1 원단부(1)를 균일하게 가압/다듬질할 수 있으며, 가압 시 그물망 형태로 구성된 상기 살 사이의 공간을 통해 물이 탈수될 수 있다.
뿐만아니라, 상기 건조실 내부의 공기가 상기 메쉬패드(39)가 제1 원단부(1)를 가압하는 동안에도 제1 원단부(1)와 접촉하므로, 상기 제1 원단부(1)가 컨베이어벨트(31)를 통과하는 동안 건조를 지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다듬질 단계는: 상기 메쉬패드(39)를 상하 왕복운동시키는 구동부;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컨베이어벨트(31)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31)의 진행 방향과 평행하게 신장되되, 기어이가 형성되는 제1 기어면(321)과 기어이가 형성되지 않는 제2 기어면(322)이 반복되어 형성되는 래크기어(Rack Gear)(32); 상기 래크기어(32)의 제1 기어면(321)에 치합되도록 래크기어(32)에 연결되는 피니언기어(Pinion Gear)(33); 상기 피니언기어(3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변속하는 변속기어(34); 상기 변속기어(3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캠축(35); 상기 캠축(35)의 일측에서 소정의 노즈(360)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캠축(35)의 회전운동을 소정의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원동캠(36); 상기 원동캠(36)의 외주면에 접촉하며, 노즈가 없는 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캠축(35)의 회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는 종동캠(37); 상기 종동캠(37)의 하단으로부터 신장되며, 하단에 상기 메쉬패드(39)가 고정되는 지지대(38); 상기 종동캠(37)이 상하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 상기 종동캠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레일에 안착되는 가이드; 및 상기 래크기어를 좌우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시키는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메쉬패드(39)가 상기 제1 원단부(1)를 반복 타격하거나 타격을 중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구동부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직선 왕복 운동에 따라, 상기 래크기어(32)는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가 상기 피니언기어에 접촉하도록 왕복 운동한다.
이 때, 상기 제4 시간동안에는 컨베이어벨트(31)가 동작하며 제1 원단부(1)가 이송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4 시간동안에는 피니언기어가 상기 제2 기어면(322)을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상기 제5 시간동안에는 컨베이어벨트(31)가 중지하여 제1 원단부(1)의 이송이 정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5 시간동안에는 피니언기어(33)가 상기 제1 기어면(321)을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기어면(321) 및 제2 기어면(322)의 구성에 따라, 상기 지지대(38)는 제4 시간동안에는 상단에서 정지하고, 제5 시간동안에는 상하 왕복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래크기어, 피니언기어, 변속기어 등을 고정시키는 구조체 등은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 제1 원단부
11 : 좌측 원단부
12 : 우측 원단부
13 : 무릎패드
14 : 가로 방향 재봉선
15 : 패드 수용칸
21 : 제1 롤러
22 : 제2 롤러
23 : 탄성패드
31 : 컨베이어벨트
32 : 래크기어(Rack Gear)
321 : 제1 기어면
322 : 제2 기어면
33 : 피니언기어(Pinion Gear)
34 : 변속기어
35 : 캠축
36 : 원동캠
360 : 노즈
37 : 종동캠
38 : 지지대
39 : 메쉬패드
P1 : 제1 패턴
P3 : 제3 패턴
L : 재봉선
L1 : 제1 선
L2 : 제2 선
L2-1 : 제2-1 선
L2-2 : 제2-2 선
W2 : 너비
H2 : 높이
L3 : 제3 선
L3-1 : 제3-1 선
L3-2 : 제3-2 선
W3 : 너비
H3 : 높이
L4 : 제4 선
L5 : 제5 선
L6 : 제6 선
S100 : 제1 공정
S200 : 제2 공정
S300 : 제3 공정
S400 : 제4 공정

Claims (3)

  1. 밴딩 팬츠의 패턴을 작도 및 재단하는 제1 공정;
    상기 패턴을 기반으로 소정의 원단을 재단하여, 좌측 원단부 및 우측 원단부를 제작하는 제2 공정;
    상기 좌측 원단부 및 우측 원단부를 재봉하여 연결함으로써 제1 개구부, 제2 개구부 및 제3 개구부가 형성된 팬츠 형상을 형성하는 제3 공정; 및
    상기 제1 개구부, 제2 개구부 및 제3 개구부를 절첩하여 재봉하여 밴드 수용구를 형성하며, 상기 밴드 수용구에 밴드를 삽입하는 제4 공정;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공정은:
    상기 제1 개구부에 대응하는 제1 길이의 제1 선을 작도하는 단계;
    상기 제1 선의 좌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제2 길이의 제2 선을 작도하는 단계;
    상기 제1 선의 우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제3 길이의 제3 선을 작도하는 단계;
    상기 제2 선의 하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제4 길이의 제4 선을 작도하는 단계;
    상기 제3 선의 하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제5 길이의 제5 선을 작도하는 단계;
    상기 제4 선의 하단 및 제5 선의 하단을 잇는 제6 선을 작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선 내지 제6 선을 포함하는 제1 패턴에 대칭되는 제2 패턴을 작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선은:
    제2-1 길이의 수직 방향 선분인 제2-1 선; 및
    상기 제2-1 선의 하단으로부터 신장되는 곡선으로써, 상기 제2-1 길이 대비 50% 내지 60%의 높이를 가지고, 상기 제2-1 길이 대비 15% 내지 25%의 너비를 가지는 제2-2 선;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3 선은:
    제3-1 길이의 상기 제1 선의 우단에서 하향으로 90도 절곡된 방향의 선분인 제3-1 선; 및
    상기 제3-1 선의 하단으로부터 신장되는 곡선으로써, 상기 제3-1 길이 대비 35% 내지 45%의 높이를 가지고, 상기 제3-1 길이 대비 15% 내지 25%의 너비를 가지는 제3-2 선;으로 구성되어,
    양단에 재봉선이 없는 밴딩 팬츠를 제조하되,
    상기 제1 공정은:
    상기 제1 패턴의 수직 중심선과, 상기 제1 패턴의 제2 선 하부의 영역에 수용되는 형상으로 제3 패턴을 작도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패턴에 대칭되는 제4 패턴을 작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공정은:
    상기 제1 패턴을 기반으로 좌측 원단부를 재단하는 단계;
    상기 제2 패턴을 기반으로 우측 원단부를 재단하는 단계;
    상기 제3 패턴을 기반으로 좌측 내부 원단부를 재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패턴을 기반으로 우측 내부 원단부를 재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공정은:
    상기 좌측 원단부 및 우측 원단부에 무릎패드를 각각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무릎패드가 좌측 패드 수용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좌측 원단부에 좌측 내부 원단부를 재봉하여 좌측 패드 수용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무릎패드가 우측 패드 수용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우측 원단부에 우측 내부 원단부를 재봉하여 우측 패드 수용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좌측 원단부 및 우측 원단부의 상기 제2 선에 대응하는 부분끼리 재봉하고, 상기 좌측 원단부 및 우측 원단부의 상기 제3 선에 대응하는 부분끼리 재봉하는 단계;
    상기 좌측 원단부의 상기 제4 선에 대응하는 부분과 상기 좌측 원단부의 제5 선에 대응하는 부분을 재봉하는 단계; 및
    상기 우측 원단부의 상기 제4 선에 대응하는 부분과 상기 우측 원단부의 제5 선에 대응하는 부분을 재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소정의 무릎패드를 구비한 밴딩 팬츠를 제조하는,
    핏감 및 착용감을 개선한 밴딩 팬츠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패드는:
    가로 길이보다 세로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좌측 패드 수용부 및 우측 패드 수용부 각각에 다수개씩 수용되며,
    상기 좌측 패드 수용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우측 패드 수용부를 형성하는 단계는(이하, '좌측 패드 수용부 및 우측 패드 수용부'를 '패드 수용부'라고 통칭함):
    상기 패드 수용부의 상단에 무릎패드들을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무릎패드들이 서로 격리되도록, 상기 패드 수용부를 세로 방향으로 재봉하는 단계;
    상기 무릎패드가 하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무릎패드의 하부에서 상기 패드 수용부를 가로 방향으로 재봉하여 제1 패드 수용칸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패드 수용칸보다 하부의 패드 수용부를 가로 방향으로 재봉하여, 상기 제1 패드 수용칸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다수의 제2 패드 수용칸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제1 패드 수용칸과 제2 패드 수용칸의 가로 방향 재봉선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무릎패드의 높이가 조절 가능한 밴딩 팬츠를 제조하는,
    핏감 및 착용감을 개선한 밴딩 팬츠의 제조 방법
KR1020220156923A 2022-11-22 2022-11-22 핏감 및 착용감을 개선한 밴딩 팬츠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07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6923A KR102507166B1 (ko) 2022-11-22 2022-11-22 핏감 및 착용감을 개선한 밴딩 팬츠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6923A KR102507166B1 (ko) 2022-11-22 2022-11-22 핏감 및 착용감을 개선한 밴딩 팬츠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166B1 true KR102507166B1 (ko) 2023-03-07

Family

ID=85513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6923A KR102507166B1 (ko) 2022-11-22 2022-11-22 핏감 및 착용감을 개선한 밴딩 팬츠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16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484B1 (ko) * 2012-08-27 2014-03-12 (주)피앤티디 바지 제조방법
JP2014125687A (ja) * 2012-12-25 2014-07-07 Seiren Co Ltd 筒状経編物からなる下半身用衣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75338B1 (ko) 2015-07-06 2016-11-23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레이닝 팬츠
KR102077347B1 (ko) 2013-10-25 2020-02-13 주식회사 한스갤러리 체형 보정용 바지
KR102463110B1 (ko) 2020-07-24 2022-11-02 김선일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바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484B1 (ko) * 2012-08-27 2014-03-12 (주)피앤티디 바지 제조방법
JP2014125687A (ja) * 2012-12-25 2014-07-07 Seiren Co Ltd 筒状経編物からなる下半身用衣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77347B1 (ko) 2013-10-25 2020-02-13 주식회사 한스갤러리 체형 보정용 바지
KR101675338B1 (ko) 2015-07-06 2016-11-23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레이닝 팬츠
KR102463110B1 (ko) 2020-07-24 2022-11-02 김선일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바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3078B2 (en) Support garment with lock down support
CN105473015A (zh) 运动胸罩
EP2898785B1 (en) Pushup jeans and related production process
CN101282661B (zh) 使用多层织物的胸罩构造
EP3297474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apparel having dynamic vent-slits
US20220361608A1 (en) Garment With Wipe Zones
US11484070B2 (en) One-piece washable bra liner for nursing mothers
KR102507166B1 (ko) 핏감 및 착용감을 개선한 밴딩 팬츠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32080B1 (ko) 하의와 허리고정밴드의 봉재 방법
CN113473876A (zh) 具有用于存储的口袋空间的环圈结构
KR101155420B1 (ko) 하지용 의류
CN108471825B (zh) 具有整体擦拭区域的服装
KR102549020B1 (ko) 활동성 및 핏감을 개선한 여성용 바지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1207308A (ja) カップ付き女性用衣類
CN112120310A (zh) 一种爆汗型修身提臀裤及其制造方法
KR102553728B1 (ko) 무스탕 자켓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90003068A (ko) 브래지어
JP6674082B2 (ja) 衣類
US2024005769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eding movement of biological structure
RU213298U1 (ru) Комбинезон
CN201609124U (zh) 无缝瑜伽短裤
CN206251944U (zh) 一种防霉的聚氨酯纤维运动内裤
CN104905457B (zh) 一种服装3d运动精裁方法
KR200345205Y1 (ko) 발가락 양말 및 그 원단
WO2022060966A1 (en) Zonal elastic b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