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6970B1 - 의존도 판단이 가능한 보행보조수단 - Google Patents

의존도 판단이 가능한 보행보조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6970B1
KR102506970B1 KR1020210012179A KR20210012179A KR102506970B1 KR 102506970 B1 KR102506970 B1 KR 102506970B1 KR 1020210012179 A KR1020210012179 A KR 1020210012179A KR 20210012179 A KR20210012179 A KR 20210012179A KR 102506970 B1 KR102506970 B1 KR 102506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ependence
unit
walking
ga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2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9513A (ko
Inventor
김태희
홍정현
신현지
이소희
천지혜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2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970B1/ko
Publication of KR20220109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9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3/00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8Devices or methods enabling eye-patients to replace direct visual perception by another kind of percep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8Sticks for blind per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53Support for the device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61H2201/501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71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97Control means thereof wirel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 보조를 위해 사용되는 보행보조수단에 있어서, 파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면과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파지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에 전달되는 하중 및 상기 파지부가 파지된 횟수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보행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비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보행 정보를 수신 받아, 상기 보행보조수단에 대한 의존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인 의존도 판단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의존도 판단 정보를 수신 받아, 시각적으로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존도 판단이 가능한 보행보조수단{Walking Aids That Can Determine Dependence}
본 발명은 의존도 판단이 가능한 보행보조수단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보행보조수단에 의존한 정도인 의존도 판단 정보를 생성하여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으므로, 보행보조수단에 대한 의존을 낮추도록 유도할 수 있어, 사용자 보행능력을 향상시키도록 유도시킬 수 있는 의존도 판단이 가능한 보행보조수단에 관한 것이다.
두 발로 직립보행을 진행하는 인간은 바닥과 접하는 한 쌍의 발을 번걸아 옮겨 놓으며 이동을 진행하게 되며, 이를 위해선 균형감각과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충분한 근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따라서, 노화, 부상 등의 이유로 근력이 저하되거나 균형감각에 이상이 생길 경우, 스스로 걷는 것이 어렵다.
보행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근력과 균형감각을 회복하기 위해 보행훈련을 실시한다. 또한, 스스로 보행이 어려운 경우에 체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보행보조 장치를 사용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보행보조 장치는 지팡이를 들 수 있다. 지팡이는 보행자의 체중을 분산시켜 두 다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지팡이를 사용하면 보다 작은 힘으로도 보행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지면과 접하는 지점이 늘어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하지만, 보행자가 지팡이에 의지해 보행하면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예를들어, 지팡이에 과도한 체중을 실어 보행 시 두 다리의 근육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해 점차 지팡이 없이는 보행을 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다.
즉, 보행 보조를 위하여 지팡이를 사용하게 되지만, 지팡이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스스로 보행할 수 있는 능력이 개선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노인, 관절염 환자, 외상 후 보행 훈련 사용자 등이 지팡이와 같은 보행보조수단를 사용하여 보행을 진행할 경우, 보행보조수단에 대한 의존 정도를 알릴 수 있는 기술 개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KR "10-2020-0093255", "초음파 센서 기반 스마트 지팡이"(2020.08.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보행보조수단에 의존한 정도인 의존도 판단 정보를 생성하여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으므로, 보행보조수단에 대한 의존을 낮추도록 유도할 수 있어, 사용자 보행능력을 향상시키도록 유도시킬 수 있는 의존도 판단이 가능한 보행보조수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보행 보조를 위해 사용되는 보행보조수단에 있어서, 파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면과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파지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에 전달되는 하중 및 상기 파지부가 파지된 횟수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보행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비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보행 정보를 수신 받아, 상기 보행보조수단에 대한 의존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인 의존도 판단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의존도 판단 정보를 수신 받아, 시각적으로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센서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포함하는 정보인 제 1 보행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력센서 및 상기 파지부가 파지된 횟수를 포함하는 정보인 제 2 보행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보행 정보와 상기 제 2 보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보행보조수단에 대한 의존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인 의존도 판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제 1 보행 정보와 상기 제 2 보행 정보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기설정된 기준을 초과할 경우, 상기 보행보조수단에 대한 의존 정도가 과의존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의존도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보행 정보 및 상기 의존도 판단 정보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일별, 주별, 월별, 년도별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에 따라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존도 판단이 가능한 보행보조수단이 파지부, 몸체부, 센서부,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가 보행보조수단을 사용하여 보행을 진행할 경우, 보행 과정에서 상기 보행보조수단으로부터 의존을 받은 정도를 나타낸 정보인 의존도 판단 정보를 생성하도록 진행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자신의 보행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가 압력센서와 터치센서를 포함함에 따라, 보행보조수단 의존도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인 제 1 보행 정보와 제 2 보행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보행보조수단을 통해 보행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전달되는 하중과 상기 파지부가 파지된 횟수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보행보조수단에 의존한 정도를 측정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가 의존도 판단부를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가 보행보조수단에 과도하게 하중을 인가하여 사용하거나, 보행보조수단을 과도하게 자주 사용할 경우, 보행보조수단에 대한 의존 정도가 과의존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보행보조수단에 의존한 정도를 알릴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가 보행 정보 또는 의존도 판단 정보를 일별, 주별, 월별, 년도별로 출력할 수 있도록 구비됨에 따라, 보행보조수단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사용자에게 보행 정보 또는 의존도 판단 정보를 확인한 후, 보행보조수단에 대한 의존을 낮추도록 유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보행능력이 향상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존도 판단이 가능한 보행보조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존도 판단이 가능한 보행보조수단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 파지부, 센서부,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존도 판단이 가능한 보행보조수단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가 의존도 판단 정보를 출력한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가 의존도 판단 정보를 시간 단위로 출력한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존도 판단이 가능한 보행보조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존도 판단이 가능한 보행보조수단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선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선도이다.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보행보조수단(1000)에 관한 것으로, 보행의 불편함을 겪는 사용자가 보행을 진행할 시 하중을 인가함으로써, 보다 원활한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행보조수단(1000)은 지팡이 형태로 구비되어, 노인 또는 재활환자의 보행시 사용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등산시 사용하는 등산스틱과 같이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할 수 있는 그 어떠한 상황에 사용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보행보조수단(1000)은 단순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하는 역할을 넘어, 사용자가 보행보조수단(1000)을 사용하여 보행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생성될 수 있는 측정 값을 센싱하여 사용자가 보행보조수단(1000)에 의존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것을 기술적 목표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보조수단(1000)은 사용자 단말기(T) 및 병원 서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구성과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보행보조수단(1000)은 파지부(100), 몸체부(200), 센서부(300), 제어부(400), 디스플레이부(500), 통신부(600), 데이터베이스부(700) 및 전원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200)는 지면과 접촉 가능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00)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파지부(100)는 몸체부(200)의 일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손에 의해 파지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100)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센서부(300)는 상기 파지부(100)의 일단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보행보조수단(1000)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측정 가능한 각종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부(300)는 사용자가 보행보조수단(1000)에 인가하는 하중 및 사용자가 보행보조수단(1000)을 파지하는 횟수와 같은 정보인 보행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300)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센서부(300)로부터 상기 보행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으며, 후술할 디스플레이부(500)의 동작 또는 사용자 단말기(T)의 화면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의존도 판단부(410) 및 알람생성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의존도 판단부(410)는 상기 보행 정보를 기초로 의존도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알람생성부(420)는 상기 의존도 판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T)측으로 알람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알람생성부(420)는 상기 의존도 판단 정보와 관련된 팝업창을 사용자 단말기(T) 측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기 의존도 판단 정보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4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500)는 시각적으로 상기 의존도 판단 정보의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파지부(100)의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통신부(600)는 사용자 단말기(T) 또는 병원 서버와 무선 통신 제공 플랫폼 간의 무선통신 또는 사용자 단말기(T)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진행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600)는 이동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근거리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 기술로 Wi-Fi,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부(700)는 보행보조수단(10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즉, 데이터베이스부(700)는 상기 보행보조수단(10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 장치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700)는 의존도 판단 정보를 월별, 주별, 년도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기준에 따라 별도로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부는 제어부(40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보행보조수단(10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센서부(300), 제어부(400), 디스플레이부(500), 통신부(600) 및 데이터베이스부(700)가 파지부(100) 또는 몸체부(200)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진행될 수 있으나, 별도의 외부 구성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요소가 보행보조수단(1000)의 구현에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상술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상기 보행보조수단(100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상기 보행보조수단(1000)이 구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T)는 도면에는 휴대폰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 태블릿 PC, 워치형 단말기,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T)는 입력부, 전원공급부, 제어부, 통신부, 출력부 및 메모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예를 들어, 터치패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부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이동 단말 장치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통상적으로 사용자 단말기(T)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는 사용자 단말기(T)와 무선 통신 제공 플랫폼 간의 무선통신 또는 사용자 단말기(T)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진행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600)는 이동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출력부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부, 햅틱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T)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 장치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요소가 사용자 단말기(T)의 구현에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상술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T)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상기 사용자 단말기(T)가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 파지부, 센서부,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존도 판단이 가능한 보행보조수단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보조수단(1000)은 파지부(100), 몸체부(200), 센서부(300), 제어부(400) 및 디스플레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파지부(100)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파지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지부(100)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용이하게 파지될 수 있도록 소정각도 굴곡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몸체부(200)는 상기 파지부(100)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면과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몸체부(200)는 상기 파지부(100)에서부터 지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소정의 길이를 보유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몸체부(200)는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길이 가변 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센서부(300)는, 상기 파지부(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보행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몸체부(200)에 전달되는 하중 및 상기 상기 파지부(100)가 파지된 횟수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보행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센서부(300)로부터 상기 보행 정보를 수신 받아, 보행보조수단(1000)에 대한 의존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인 의존도 판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400)는 의존도 판단 정보를 생성하기 전,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무게와 관련된 정보를 부가적으로 수신 받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보행 정보 뿐만 아니라, 사용자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의존도 판단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제어부(400)는 상기 의존도 판단 정보를 디스플레이부(500)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센서부(30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와 통신 가능하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500)는, 상기 의존도 판단 정보를 상기 제어부(400)로부터 수신 받아, 시각적으로 출력하도록 구비된다.
이로 인해, 보행보조수단(1000)이 파지부(100), 몸체부(200), 센서부(300), 제어부(400) 및 디스플레이부(500)를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의 보행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보행보조수단(1000)을 사용하여 보행을 진행할 경우, 보행 과정에서 상기 보행보조수단(1000)으로부터 의존을 받은 정도를 나타낸 정보인 의존도 판단 정보를 생성하도록 진행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자신의 보행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300)는 압력센서(310) 및 터치센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력센서(310)는 제 1 보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압력센서(310)는 몸체부(200)의 길이 방향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포함하는 정보인 제 1 보행 정보를 생성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보행 정보는 사용자가 보행보조수단(1000)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보행보조수단(1000)에 인가된 하중과 관련된 정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보행 정보는 사용자가 보행보조수단(1000)을 통해 보행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몸체부(200)의 길이 방향으로 전달되는 하중과 관련된 정보이다.
따라서, 상기 압력센서(310)는 상기 파지부(100)의 일측 중에서도 사용자의 손과 맞닿는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터치센서(320)는 제 2 보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센서(320)는 파지부(100)가 파지된 횟수를 포함하는 정보인 제 2 보행 정보를 생성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보행 정보는 사용자가 보행보조수단(1000)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보행보조수단(1000)을 사용한 횟수와 관련된 정보이다.
따라서, 상기 터치센서(320)는 상기 파지부(100)의 일측 중에서도 사용자의 손과 맞닿는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제어부(400)는 상기 압력센서(310)와 터치센서(320)로부터 제 1 보행정보와 제 2 보행정보를 수신 받아, 의존도 판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가 의존도 판단 정보를 출력한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500)는 의존도 정보를 사용자 측으로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상기 센서부(300)로부터 보행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으며, 상기 보행정보를 기초로 상기 보조보행수단(1000)에 대한 의존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인 의존도 판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압력센서(310)로부터 제 1 보행 정보를 수신받고, 터치센서(320)로부터 제 2 보행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의존도 판단부(410) 및 알람생성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의존도 판단부(410)는 상기 보행보조수단(1000)에 대한 의존 정도를 저의존, 보통 및 과의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의존도 판단부(410)는 제 1 보행 정보와 상기 제 2 보행 정보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 미만일 경우, 보행보조수단(1000)에 대한 의존 정도가 과의존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의존도 판단부(410)는 제 1 보행 정보와 상기 제 2 보행 정보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 내에 위치할 경우, 보행보조수단(1000)에 대한 의존 정도가 보통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의존도 판단부(410)는 제 1 보행 정보와 상기 제 2 보행 정보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 초과일 경우, 보행보조수단(1000)에 대한 의존 정도가 과의존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00)가 저의존, 보통 및 과의존 정도를 판단하는 기준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상태 등을 고려하여 설정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제어부(400)가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저의존, 보통 및 과의존 정도를 센서부(300)를 통해 하루에 수집된 보행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더 나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상기 의존도 판단부(410)가 판단한 의존도 판단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저의존, 보통 및 과의존을 상, 중, 하로 나타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의존도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그 어떠한 것으로도 출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제어부(400)로 인하여, 사용자가 보행보조수단(1000)에 과도하게 하중을 인가하여 사용하거나, 보행보조수단(1000)을 과도하게 자주 사용할 경우, 보행보조수단(1000)에 대한 의존 정도가 과의존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500)가 포함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보행보조수단(1000)에 의존한 정도를 알릴 수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500)를 통해 보행보조수단(1000)에 대한 의존도가 과의존 상태인 것으로 파악할 경우, 보행보조수단(1000)에 대한 사용빈도를 낮추거나, 인가하는 하중을 감소시킨 채로 보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부(500)로 인하여, 사용자의 보행 습관을 변경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보행보조수단(1000)에 과도한 체중을 실어 보행 시 두 다리의 근육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해 점차 보행보조수단 없이는 보행을 할 수 없게 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보행보조수단(1000)은 사용자의 보행 보조를 위하여 사용하게 되지만, 보행보조수단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스스로 보행할 수 있는 능력이 개선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가 의존도 판단 정보를 시간 단위로 출력한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500)는 보행 정보 및 의존도 판단 정보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시간 단위로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일별, 주별, 월별, 년도별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에 보행 정보 및 의존도 판단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부(500)가 포함됨에 따라, 보행보조수단(1000)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사용자에게 보행 정보 또는 의존도 판단 정보를 확인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부(500)로 인해, 사용자가 보행보조수단(1000)에 대한 의존을 낮추도록 유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보행능력이 향상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0 : 보행보조수단
T : 사용자 단말기
H : 병원 서버
100 : 파지부
200 : 몸체부
300 : 센서부
310 : 압력센서
320 : 터치센서
400 : 제어부
410 : 의존도 판단부
420 : 알람생성부
500 : 디스플레이부
600 : 통신부
700 : 데이터베이스부

Claims (4)

  1. 보행 보조를 위해 사용되는 보행보조수단(1000)에 있어서,
    파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파지부(100);
    상기 파지부(100)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면과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몸체부(200);
    상기 파지부(100)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200)에 전달되는 하중 및 상기 파지부(100)가 파지된 횟수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보행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비되는 센서부(300);
    상기 센서부(300)로부터 상기 보행 정보를 수신 받아, 상기 보행보조수단(1000)에 대한 의존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인 의존도 판단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400); 및
    상기 제어부(400)로부터 상기 의존도 판단 정보를 수신 받아, 시각적으로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몸체부(200)의 길이 방향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포함하는 정보인 제 1 보행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력센서(310); 및
    상기 파지부(100)가 파지된 횟수를 포함하는 정보인 제 2 보행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센서(32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 1 보행 정보와 상기 제 2 보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의존도 판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보행 정보와 상기 제 2 보행 정보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기설정된 기준을 초과할 경우, 상기 보행보조수단(1000)에 대한 의존 정도가 과의존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의존도 판단부(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존도 판단이 가능한 보행보조수단.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상기 보행 정보 및 상기 의존도 판단 정보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일별, 주별, 월별, 년도별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에 따라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존도 판단이 가능한 보행보조수단.
KR1020210012179A 2021-01-28 2021-01-28 의존도 판단이 가능한 보행보조수단 KR102506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179A KR102506970B1 (ko) 2021-01-28 2021-01-28 의존도 판단이 가능한 보행보조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179A KR102506970B1 (ko) 2021-01-28 2021-01-28 의존도 판단이 가능한 보행보조수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513A KR20220109513A (ko) 2022-08-05
KR102506970B1 true KR102506970B1 (ko) 2023-03-07

Family

ID=82826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179A KR102506970B1 (ko) 2021-01-28 2021-01-28 의존도 판단이 가능한 보행보조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697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8801A (ja) * 2011-08-31 2013-03-14 Terumo Corp 杖及び杖システム
JP2015139554A (ja) 2014-01-29 2015-08-03 国立大学法人 筑波大学 歩行訓練システム及び歩行訓練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3255A (ko) 2019-01-28 2020-08-0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 센서 기반 스마트 지팡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8801A (ja) * 2011-08-31 2013-03-14 Terumo Corp 杖及び杖システム
JP2015139554A (ja) 2014-01-29 2015-08-03 国立大学法人 筑波大学 歩行訓練システム及び歩行訓練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513A (ko) 2022-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3841B2 (en) Biological information notifying apparatus, biological information notify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biological information notifying program stored thereon
US10136841B2 (en) Multi-functional smart mobility aid devices and methods of use
JP6387425B2 (ja) 歩行分析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30296723A1 (en) Portable blood pressure measuring apparatus and blood pressure measuring method in portable terminal
KR101858116B1 (ko) 자세균형 훈련 시스템
KR101958908B1 (ko) 동작 인식 기반 동적 하네스 재활 훈련 시스템
US201600810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body balance of wearable device
KR20170073655A (ko) 사용자의 올바른 런닝을 훈련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082161B1 (ko) 보행 보조 장치
WO2015152921A1 (en) Calibration of a primary pedometer device using a secondary pedometer device
KR20140066341A (ko) 신발 인솔, 이를 구비하는 신발 및 걸음걸이 형태 교정 시스템
US201700558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length of an object using an electronic device
KR102034632B1 (ko) 보행 기반 보상 제공 시스템
Velázquez et al. Insights into the capabilities of tactile-foot perception
Arefin et al. A review on current mechanical and electronic design aspects and future prospects of smart canes for individuals with lower limb difficulties
KR102506970B1 (ko) 의존도 판단이 가능한 보행보조수단
Guevarra et al. Development of Guiding Cane with Voice Notification for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JP2012085889A (ja) 活動量計
WO2017046957A1 (ja) リハビリ用杖、歩様分析システム及び歩様分析方法
KR101881701B1 (ko) 시각장애인 보행 보조 초음파 센서 밴드
Yang et al. Walking Assistive Shoes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Using Infrared Sensor and Pressure Sensor
CN105498105A (zh) 一种应急楼梯扶手
Au et al. Active guidance towards proper cane usage
KR101576886B1 (ko) 동기부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디바이스, 그리고 이를 이용한 동기부여 서비스시스템 및 동기부여 서비스방법
US20240146090A1 (en) Wearable apparatus for perform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