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6937B1 -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6937B1
KR102506937B1 KR1020180039068A KR20180039068A KR102506937B1 KR 102506937 B1 KR102506937 B1 KR 102506937B1 KR 1020180039068 A KR1020180039068 A KR 1020180039068A KR 20180039068 A KR20180039068 A KR 20180039068A KR 102506937 B1 KR102506937 B1 KR 102506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intake
fuel
valve
byp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5855A (ko
Inventor
이형복
박종일
홍승우
오희창
박영섭
한동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9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937B1/ko
Publication of KR20190115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9Layout of the fuel vapour instal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3Adding fuel vapours, e.g.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36Arrangement of valves controlling the admission of fuel vapour to an engine, e.g. valve being disposed between fuel tank or absorption canister and intake manifol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Abstract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은 연료의 연소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연소실을 포함하는 엔진, 상기 연소실로 공급되는 외기가 흐르는 제1 흡기 라인, 상기 연소실로 공급되는 외기가 흐르는 제2 흡기 라인, 상기 제1 흡기 라인과 상기 제2 흡기 라인을 연결하는 바이패스 라인, 상기 제1 및 제2 흡기 라인에 각각 설치되는 전동식 슈퍼차저, 연료 탱크에서 증발된 연료증발가스를 포집하는 캐니스터, 및 상기 캐니스터에서 포집된 연료증발가스가 흐르고 상기 캐니스터와 상기 제2 흡기 라인 또는 상기 바이패스 라인을 연결하는 퍼지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 {FUEL VAPOR PURGE SYSTEM}
본 발명은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의 운전 영역에 무관하게 연료증발가스를 연소실로 공급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산업은 배기가스를 개선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를 해오고 있으며, 특히 해외에서는 가솔린 연료의 증발가스 성분 중 탄화수소(HC)의 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연료증발가스 총량을 0.5g/day 이하로 규제하는 규정법규를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고, 순차적으로 연료증발 가스의 총량을 0.054g/day 이하로 확대할 예정이다
일반적으로 규정법규에 대응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연료탱크의 재질을 향상시키고 연결구조를 최적화시켜, 연료탱크를 투과하는 연료증발가스의 발생을 최소화시키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연료공급장치에 캐니스터를 적용한 연료증발가스 재순환 장치를 적용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캐니스터는 휘발성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로부터 연료증발가스를 흡수할 수 있는 흡착성 물질을 함유한 것으로, 기화기의 뜨개실과 연료탱크에서 증발하는 연료증발가스가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료탱크와 연결되어 연료증발가스를 포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캐니스터에 포집된 연료증발가스는 엔진 제어 유닛(Engine Control Unit; 이하 'ECU'라 함)에 의해 제어되는 퍼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Purge Control Solenoid Valve; PCSV)를 통하여 다시 엔진으로 유입되어 연소가 이루어짐으로써, 연료증발가스를 재순환시키는 것이다.
종래의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은 엔진의 연소실에 부압(negative pressure)이 형성되는 운전 영역에서만 캐니스터에서 포집된 연료증발가스가 연소실로 공급되기 때문에 캐니스터에서 포집된 연료증발가스가 연소실로 공급되는 경우가 제한적이었다.
그리고 최근의 하이브리드 차량은 엔진이 동작하지 않고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주행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캐니스터에서 포집된 연료증발가스가 충분히 연소실로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의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은 캐니스터에서 포집된 연료증발가스를 연소실로 공급하기 위한 퍼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및 연료증발가스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와 같은 여러 가지 밸브로 구성되기 때문에, 차량의 제조 원가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캐니스터에서 포집된 연료증발가스가 엔진의 운전 영역에 무관하게 연소실로 공급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양한 밸브를 제거함으로써, 차량의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은 연료의 연소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연소실을 포함하는 엔진, 상기 연소실로 공급되는 외기가 흐르는 제1 흡기 라인, 상기 연소실로 공급되는 외기가 흐르는 제2 흡기 라인, 상기 제1 흡기 라인과 상기 제2 흡기 라인을 연결하는 바이패스 라인, 상기 제1 및 제2 흡기 라인에 각각 설치되는 전동식 슈퍼차저, 연료 탱크에서 증발된 연료증발가스를 포집하는 캐니스터, 및 상기 캐니스터에서 포집된 연료증발가스가 흐르고 상기 캐니스터와 상기 제2 흡기 라인 또는 상기 바이패스 라인을 연결하는 퍼지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은 상기 제1 흡기 라인에 설치되는 제1 흡기 밸브, 상기 제2 흡기 라인에 설치되는 제2 흡기 밸브, 및 상기 바이패스 라인에 설치되는 바이패스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흡기 밸브는 상기 제1 전동식 슈퍼차저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흡기 밸브는 상기 제2 전동식 슈퍼차저의 상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퍼지 라인은 상기 캐니스터에서 분기하여 상기 제2 전동식 슈퍼차저와 상기 제2 흡기 밸브 사이의 제2 흡기 라인으로 합류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전동식 슈퍼차저와 상기 바이패스 밸브 사이의 상기 바이패스 라인으로 합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은 상기 퍼지 라인에 구비되어 상기 제2 흡기 라인 또는 상기 바이패스 라인으로부터 상기 캐니스터로 연료증발가스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은 상기 엔진, 상기 전동식 슈퍼차저, 상기 제1 흡기 밸브, 상기 제2 흡기 밸브, 및 상기 바이패스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 흡기 밸브와 상기 바이패스 밸브를 차단하고, 상기 제2 전동식 슈퍼차저를 동작시켜 상기 제2 흡기 라인과 상기 바이패스 라인에 부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연소실로 상기 캐니스터에서 포집된 연료증발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 흡기 라인과 상기 제2 흡기 라인은 메인 흡기 라인으로 합류하고, 상기 메인 흡기 라인에는 메인 인터쿨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은 상기 바이패스 라인에 설치되는 보조 인터쿨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에 의하면, 2개의 전동식 슈퍼차저를 통해 연소실로 연료증발가스를 공급할 수 있어,엔진의 운전 영역에 무관하여 연소실로 연료증발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양한 부품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의 저중속 고부하 영역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이 적용되는 엔진 시스템의 고속 고부하 영역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이 적용되는 엔진 시스템의 저속 저부하 영역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이 적용되는 엔진 시스템에서 연료증발가스가 퍼지될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은 연료의 연소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연소실(11)을 포함하는 엔진(10), 상기 연소실(11)로 공급되는 외기가 흐르는 복수의 흡기 라인, 상기 복수의 흡기 라인에 각각 설치되는 전동식 슈퍼차저, 연료탱크(100)에서 발생한 연료증발가스를 포집하는 캐니스터(110), 및 상기 캐니스터(110)와 상기 흡기 라인을 연결하는 퍼지 라인(120)을 포함한다.
상기 엔진(10)의 연소실(11)로 공급되는 흡기는 상기 복수의 흡기 라인을 통해 공급되고, 상기 엔진(10)의 연소실(11)에서 배출되는 배기 가스는 배기 매니폴드(17)와 배기 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배기 라인에는 배기 가스를 정화시키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흡기 라인은 상기 연소실(11)로 공급되는 외기가 흐르는 제1 흡기 라인(20)과 상기 연소실(11)로 공급되는 외기가 흐르는 제2 흡기 라인(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흡기 라인(20)과 상기 제2 흡기 라인(30)의 사이에는, 상기 제1 흡기 라인(20)과 상기 제2 흡기 라인(30)을 연결하는 바이패스 라인(40)이 설치된다. 즉, 상기 바이패스 라인(40)은 상기 제1 흡기 라인(20)에서 분기하여 상기 제2 흡기 라인(30)으로 합류할 수 있다.
상기 제1 흡기 라인(20)과 상기 제2 흡기 라인(30)에 각각 설치되는 전동식 슈퍼차저(electric supercharger)(25, 35)는 상기 연소실(11)로 과급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모터(21, 31)와 전동식 컴프레서(23, 33)를 포함한다. 상기 전동식 컴프레서(25, 35)는 상기 모터(21, 31)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하여 운전 조건에 따라 외기를 압축하여 상기 연소실(11)로 공급한다.
상기 제1 흡기 라인(20)에는 제1 흡기 밸브(27)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흡기 밸브(27)는 상기 제1 흡기 라인(20)에 설치되는 제1 전동식 슈퍼차저(25)의 하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흡기 밸브(27)의 개도량에 의해 상기 제1 흡기 라인(20)을 통해 공급되는 흡기량이 조절된다.
상기 제2 흡기 라인(30)에는 제2 흡기 밸브(37)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흡기 밸브(37)는 상기 제2 흡기 라인(30)에 설치되는 제2 전동식 슈퍼차저(35)의 하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흡기 밸브(37)의 개도량에 의해 상기 제2 흡기 라인(30)을 통해 공급되는 흡기량이 조절된다.
상기 제1 흡기 라인(20)과 상기 제2 흡기 라인(30)은 메인 흡기 라인(50)으로 합류하고, 상기 메인 흡기 라인(50)에는 메인 인터쿨러(5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인터쿨러(54)에 의해 전동식 슈퍼차저에 의해 압축된 공기가 냉각된다.
상기 바이패스 라인(40)에는 바이패스 밸브(47)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바이패스 라인(40)에는 보조 인터쿨러(4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인터쿨러(43)에 의해 상기 제1 전동식 슈퍼차저(25)에 의해 압축된 공기가 냉각된다.
상기 제1 흡기 라인(20)과 상기 제2 흡기 라인(30)의 입구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외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에어 클리너(52)가 장착된다.
상기 제1 흡기 라인(20)과 상기 제2 흡기 라인(30)을 통해 유입되는 흡기는 흡기 매니폴드(13)를 통해 상기 연소실(11)로 공급된다. 상기 흡기 매니폴드(13)에는 스로틀 밸브(15)가 장착되어 상기 연소실(11)로 공급되는 공기량이 조절된다.
상기 연소실(11)로 공급되는 휘발성 연료는 연료 탱크(100)에 저장되고 상기 캐니스터(110)는 연료 탱크(100)와 베이퍼 라인을 통해 연결되여 상기 연료 탱크(100)에서 발생한 연료 증기를 흡수할 수 있는 흡착성 물질을 함유한다.
상기 퍼지 라인(120)에는 상기 캐니스터(110)에서 포집된 연료증발가스가 흐르고 상기 캐니스터(110)와 상기 제2 흡기 라인(30) 또는 상기 바이패스 라인(40)을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퍼지 라인(120)은 상기 캐니스터(110)에서 분기하여 상기 제2 전동식 슈퍼차저(35)와 상기 제2 흡기 밸브(37) 사이의 제2 흡기 라인(30)으로 합류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전동식 슈퍼차저(35)와 상기 바이패스 밸브(47) 사이의 바이패스 라인(40)으로 합류한다.
상기 퍼지 라인(120)에는 체크 밸브(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130)에 의해 연료증발가스가 제2 흡기 라인(30) 또는 바이패스 라인(40)으로부터 캐니스터(110)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은 엔진(10), 전동식 슈퍼차저(25, 35), 제1 흡기 밸브(27), 제2 흡기 밸브(37), 및 바이패스 밸브(47)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9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작동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설정된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어기(90)는 제1 흡기 밸브(27), 제2 흡기 밸브(37), 및 바이패스 밸브(47)의 개폐와, 상기 전동식 슈퍼차저(25, 35)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캐니스터(110)에서 포집된 연료증발가스를 상기 연소실(11)로 공급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어기(90)는 엔진의 운전 영역에 따라 상기 연소실(11)로 공급되는 과급 공기를 상기 제1 흡기 밸브(27), 상기 제2 흡기 밸브(37), 및 상기 바이패스 밸브(47)의 제어를 통해 조절한다. 즉, 상기 제어기(90)는 상기 제1 흡기 밸브(27), 상기 제2 흡기 밸브(37), 및 상기 바이패스 밸브(47)를 개폐하거나 개도량을 조절함으로써, 연소실(11)로 공급되는 과급 공기량을 조절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엔진의 운전 영역이 저중속 고부하 영역인 경우, 상기 제어기(90)는 상기 제1 흡기 밸브(27)와 상기 제2 흡기 밸브(37)가 차단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바이패스 밸브(47)의 개도량을 조절함으로써, 연소실(11)로 공급되는 과급 공기량을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90)는 상기 제1 전동식 슈퍼차저(25)와 상기 제2 전동식 슈퍼차저(35)를 작동시켜, 상기 제1 전동식 슈퍼차저(25)와 상기 제2 전동식 슈퍼차저(35)에 의해 과급된 공기가 상기 연소실(11)로 공급된다.
즉, 상기 제1 흡기 흡기 라인으로 유입된 외기는 상기 제1 전동식 슈퍼차저(25)에 의해 1차적으로 부스팅되고, 상기 바이패스 라인(40)을 거쳐 상기 제2 흡기 라인(30)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전동식 슈퍼차저(35)를 통해 추가적으로 부스팅된다.
저중속 고부하 영역에서는 높은 압축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상기 제1 전동식 슈퍼차저(25)와 상기 제2 전동식 슈퍼차저(35)를 직렬로 구동시킴으로써, 연소실(11)로 공급되는 외기의 압축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 라인(40)에 설치된 보조 인터쿨러(43)를 통해 상기 제1 전동식 슈퍼차저(25)를 통해 1차적으로 부스팅된 외기가 냉각됨으로써, 외기의 압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속 고부하 영역에서는 상기 제어기(90)는 상기 바이패스 밸브(47)가 차단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흡기 밸브(27)와 상기 제2 흡기 밸브(37)의 개도량을 조절함으로써, 연소실(11)로 공급되는 과급 공기량을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90)는 상기 제1 전동식 슈퍼차저(25)와 상기 제2 전동식 슈퍼차저(35)가 작동시켜, 상기 제1 전동식 슈퍼차저(25)와 상기 제2 전동식 슈퍼차저(35)에 의해 과급된 공기를 상기 연소실(11)로 공급한다.
고속 고부하 영역에서는 많은 양의 외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상기 제1 흡기 라인(20)과 상기 제2 흡기 라인(30)을 통해서 연소실(11)로 흡기를 공급한다. 즉, 제1 전동식 슈퍼차저(25)와 제2 전동식 슈퍼차저(35)를 병렬로 구동시킴으로써, 연소실(11)로 많은 양의 흡기를 공급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저속 저부하 영역에서는 상기 제어기(90)는 상기 CDA 장치(60)를 작동시켜 일부 연소실(11)을 휴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90)는 상기 제1 흡기 밸브(27)와 상기 제2 흡기 밸브(37)가 차단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바이패스 밸브(47)의 개도량을 조절함으로써, 연소실(11)로 공급되는 과급 공기량을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90)는 상기 제1 전동식 슈퍼차저(25)와 상기 제2 전동식 슈퍼차저(35)가 작동시켜, 상기 제1 전동식 슈퍼차저(25)와 상기 제2 전동식 슈퍼차저(35)에 의해 과급된 공기를 상기 연소실(11)로 공급한다.
즉, 상기 제1 흡기 흡기 라인으로 유입된 외기는 상기 제1 전동식 슈퍼차저(25)에 의해 1차적으로 부스팅되고, 상기 바이패스 라인(40)을 거쳐 상기 제2 흡기 라인(30)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전동식 슈퍼차저(35)를 통해 추가적으로 부스팅된다.
저속 저부하 영역(CDA가 작동하는 운전 영역)에서는 일부 연소실(11)을 휴지시킴으로써, 불필요한 펌핑 손실을 감소시켜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저속 저부하 영역에서도 두 개의 전동식 슈퍼차저를 이용하여 연소실(11)로 과급 공기를 공급하기 때문에 CDA가 작동하는 운전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캐니스터(110)에서 포집된 연료증발가스를 상기 연소실(11)로 공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제어기(90)는 상기 제2 흡기 밸브(37)와 상기 바이패스 밸브(47)를 차단하며 상기 제2 전동식 슈퍼차저를 동작시켜 제2 흡기 라인(30) 또는 바이패스 라인(40)에 부압을 발생시킨다.
제2 흡기 라인(30) 또는 바이패스 라인(40)에 부압이 발생하면 캐니스터(110)의 압력이 제2 흡기 라인(30) 또는 바이패스 라인(40)의 압력보다 크기 때문에 체크 밸브(130)가 개방되고, 캐니스터(110)로부터 제2 흡기 라인(30) 또는 바이패스 라인(40)으로 연료증발가스가 공급된다.
그리고 제어기(90)는 제1 흡기 밸브(27)의 개도량과 제1 전동식 슈퍼차저(20)의 동작(예를 들어, 모터의 회전 속도)을 조절하여, 연소실로 공급되는 과급 공기량을 조절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에 의하면, 2개의 전동식 슈퍼차저를 통해 연소실로 연료증발가스를 공급할 수 있어, 엔진의 운전 영역에 무관하여 연소실로 연료증발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양한 부품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엔진
11: 연소실
13: 흡기 매니폴드
15: 스로틀 밸브
17: 배기 매니폴드
20: 제1 흡기 라인
25: 제1 전동식 슈퍼차저
27: 제1 흡기 밸브
30: 제2 흡기 라인
35: 제2 전동식 슈퍼차저
37: 제2 흡기 밸브
40: 바이패스 라인
43: 보조 인터쿨러
47: 바이패스 밸브
50: 메인 흡기 라인
52: 에어 클리너
54: 메인 인터쿨러
60: CDA 장치
70: 배기 가스 정화 장치
80: 운전 정보 감지부
90: 제어기
100: 연료 탱크
110: 캐니스터
120: 퍼지 라인
130: 체크 밸브

Claims (9)

  1. 연료의 연소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연소실을 포함하는 엔진;
    상기 연소실로 공급되는 외기가 흐르는 제1 흡기 라인;
    상기 연소실로 공급되는 외기가 흐르는 제2 흡기 라인;
    상기 제1 흡기 라인과 상기 제2 흡기 라인을 연결하는 바이패스 라인;
    상기 제1 및 제2 흡기 라인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전동식 슈퍼차저;
    연료 탱크에서 증발된 연료증발가스를 포집하는 캐니스터; 및
    상기 캐니스터에서 포집된 연료증발가스가 흐르고 상기 캐니스터와 상기 제2 흡기 라인 또는 상기 바이패스 라인을 연결하는 퍼지 라인;
    을 포함하는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기 라인에 설치되는 제1 흡기 밸브;
    상기 제2 흡기 라인에 설치되는 제2 흡기 밸브; 및
    상기 바이패스 라인에 설치되는 바이패스 밸브;
    를 더 포함하는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기 밸브는 상기 제1 전동식 슈퍼차저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흡기 밸브는 상기 제2 전동식 슈퍼차저의 상류에 설치되는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퍼지 라인은
    상기 캐니스터에서 분기하여 상기 제2 전동식 슈퍼차저와 상기 제2 흡기 밸브 사이의 제2 흡기 라인으로 합류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전동식 슈퍼차저와 상기 바이패스 밸브 사이의 상기 바이패스 라인으로 합류하는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퍼지 라인에 구비되어 상기 제2 흡기 라인 또는 상기 바이패스 라인으로부터 상기 캐니스터로 연료증발가스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체크 밸브;
    를 더 포함하는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상기 전동식 슈퍼차저, 상기 제1 흡기 밸브, 상기 제2 흡기 밸브, 및 상기 바이패스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
    를 더 포함하는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 흡기 밸브와 상기 바이패스 밸브를 차단하고, 상기 제2 전동식 슈퍼차저를 동작시켜 상기 제2 흡기 라인과 상기 바이패스 라인에 부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연소실로 상기 캐니스터에서 포집된 연료증발가스를 공급하는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기 라인과 상기 제2 흡기 라인은 메인 흡기 라인으로 합류하고, 상기 메인 흡기 라인에는 메인 인터쿨러가 설치되는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라인에 설치되는 보조 인터쿨러;
    를 더 포함하는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
KR1020180039068A 2018-04-04 2018-04-04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 KR102506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068A KR102506937B1 (ko) 2018-04-04 2018-04-04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068A KR102506937B1 (ko) 2018-04-04 2018-04-04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855A KR20190115855A (ko) 2019-10-14
KR102506937B1 true KR102506937B1 (ko) 2023-03-07

Family

ID=68171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068A KR102506937B1 (ko) 2018-04-04 2018-04-04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69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390B1 (ko) * 2013-09-06 2015-06-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엔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090B1 (ko) * 2016-07-26 2018-08-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엔진 시스템
KR101886091B1 (ko) * 2016-08-24 2018-09-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390B1 (ko) * 2013-09-06 2015-06-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엔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855A (ko) 201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31382B (zh) 发动机控制装置
US972609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boost control
KR101886091B1 (ko)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
KR102417369B1 (ko) 능동형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US10731577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boosted engine
US10202913B2 (en) Method and system for boosted engine system
KR102440581B1 (ko) 엔진 시스템
CN107842446B (zh) 用于净化燃料蒸气的装置和方法
KR20200108611A (ko) 차량의 연료증발가스 퍼지 시스템
JP2016121637A (ja) 過給機付きエンジンの蒸発燃料処理装置及びブローバイガス還元装置
WO2019220753A1 (ja) 空気供給システム、吸排気システム及び吸排気システムの制御装置
CN110344920A (zh) 具有二次空气喷射设备的发动机系统
KR102506937B1 (ko) 연료 증기 퍼지 시스템
JP2012233412A (ja) 内燃機関の圧縮空気供給方法及び内燃機関
US20220185101A1 (en) Purge system of fuel vapor and method thereof
US20180100428A1 (en) Engine system
US10634044B2 (en) Engine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910406B1 (ko) 내연기관의 증발가스 퍼지 제어 장치 및 방법
JPH0610683A (ja) 機械式過給機付エンジンの吸気制御装置
JP5957920B2 (ja) 内燃機関、及び内燃機関の過給方法
JP6672856B2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CN212898738U (zh) 一种碳罐脱附系统
KR20200073839A (ko) 연료 증기 듀얼 퍼지 시스템이 적용된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7066926A (ja) 燃料蒸発ガス処理装置
JP2017115772A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