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6761B1 -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6761B1
KR102506761B1 KR1020180015656A KR20180015656A KR102506761B1 KR 102506761 B1 KR102506761 B1 KR 102506761B1 KR 1020180015656 A KR1020180015656 A KR 1020180015656A KR 20180015656 A KR20180015656 A KR 20180015656A KR 102506761 B1 KR102506761 B1 KR 102506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ressure
tire
pressure compensating
compensating devic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6106A (ko
Inventor
안창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5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761B1/ko
Publication of KR20190096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01Devices for manually or automatically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whilst the vehicle is moving
    • B60C23/004Devices for manually or automatically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whilst the vehicle is moving the control being done on the wheel, e.g. using a wheel-mounted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 F16K15/04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200/00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B60C2200/04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road vehicles, e.g. passenger 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는 타이어 및 상기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이 낮아지면 공기압을 보정하는 공기압 보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압 보정수단은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임의의 타이어와 상기 임의의 타이어 반대편에 위치하는 타이어의 공기압 차이가 일정 기준치 이상일 때 작동되어 주행중 타이어들의 파열 또는 내부 공기압이 저하될 경우에 타이어들의 내부 공기압을 동일하게 조절함으로써 주행의 안전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 {TIRE PRESSURE COMPENSATIVE DEVICE}
본 발명은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륜에 구비된 타이어에 대한 공기압을 조절하여 차량의 거동 자세를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휠은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고, 차량의 주행시 구동력 및 제동력을 노면에 전달함과 아울러 차량의 방향을 전환하거나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차량용 휠은 타이어가 외주에 장착되고 구동 및 제동시 발생되는 각종 외력과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로 제작된 림과, 상기 림과 일체로 회전되면서 차량의 하중을 분담 지지하고 차량의 구동력을 최종적으로 제공하는 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타이어는 주행 시 적정한 공기압력을 유지해야만 제동시나 주행 시 제동거리의 불필요한 증가나 연료의 과소모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타이어는 압력 저하시 운전자가 직접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노출된 공기 주입구를 구비하게 된다.
즉, 회전력을 전달하는 등속조인트에 결합된 허브를 매개로 고정된 타이어의 림부위로 공기 주입구가 노출되어 이를 통해 공기를 충진하고 공기압을 적정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타이어의 공기 주입구는 차량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공기 주입용 펌핑 도구를 이용할 수밖에 없고, 또한 주행 중 펑크가 날 경우 타이어의 압력 유지가 불가능해 운전 조작의 미숙으로 인한 대형 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압 충전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타이어 공기압은 일체형으로 된 타이어 훨(200)과, 이 타이어 휠의 외주면에 끼워진 타이어(100)와, 상기 타이어 휠(200)의 일측 내부에 설치된 공기주입구(210)로 이루어진 타이어 조립체에서, 공기주입구(210)를 통하여 외부에서 공기를 채워 넣을 수 있다.
여기서, 타이어 공기압은 작업자 내지 운전자가 공기압측정기 등으로 확인한 후, 공기압을 높이거나 운전자의 감각에 의존해 공기압을 높이기 때문에, 수시로 공기압을 측정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 타이어 휠이 일체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타이어를 타이어 휠에다 조립하려면, 특수한 공구 내지 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타이어의 펑크나 소손을 위해 여분으로 가지고 다니는 스페어 타이어에도 타이어 휠이 함께 조립되어야만 되어 부품수가 늘어나 차량의 무게를 증가시키는 원인이다.
이러한 타이어의 공기압은 장시간 주행시 점차 감소되어 차량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되기 때문에, 최근에는 자체적으로 타이어의 공기압을 보정해주기 위한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출원 제 10-2002-0056592 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주행중 타이어들의 파열 또는 내부 공기압이 저하될 경우에 타이어들의 내부 공기압을 균일하게 조절함으로써 주행의 안전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타이어 및 임의의 타이어 공기압이 낮아질 때 반대편 타이어 공기압을 보정하는 공기압 보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압 보정 수단은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임의의 타이어와 상기 임의의 타이어 반대편에 위치하는 타이어의 공기압 차이가 일정 기준치 이상일 때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TPMS 센서(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Sensor)일 수 있다.
상기 공기압 보정수단은 밸브부와 상기 밸브부의 체크밸브 내에 구성되며 체크밸브의 체크볼을 가압하는 제 1 스프링 하부의 지지면을 승하강시키는 구동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부는 체크밸브 및 상기 체크밸브에 의해 지지되는 체크볼 지지 와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크볼 지지 와셔의 중앙 천공부위를 체크볼이 가압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본체; 스프링 지지 와셔 및 상기 본체의 액체 배출 유로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에는 유체를 저장하는 액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유체가 배출되는 유체 배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지지 와셔는 본체의 액실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유체 배출 유로를 개폐하는 슬라이드 밸브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본체; 스프링 지지 와셔 및 상기 스프링 지지 와셔를 승하강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스프링 지지 와셔와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드 밸브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본체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제 2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는 주행중 타이어들의 파열 또는 내부 공기압이 저하될 경우에 타이어들의 내부 공기압을 동일하게 조절함으로써 주행의 안전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압 충전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의 공기압 보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의 모식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기서의 "연결"이란 일 부재와 타 부재의 직접적인 연결, 간접적인 연결을 포함하며, 접착, 부착, 체결, 접합, 결합 등 모든 물리적인 연결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의 모식도이고,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는 휠 타이어 어셈블리 내부에 장착되어 있되, 상기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는 타이어 및 임의의 타이어 공기압이 낮아질 때 반대편 타이어 공기압을 보정하는 공기압 보정 수단(110)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압 보정수단(110)은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임의의 타이어와 상기 임의의 타이어 반대편에 위치하는 타이어의 공기압 차이가 일정 기준치 이상일 때 작동하게 되고, 여기서 상기 센서는 TPMS 센서가 바람직하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공기압 보정수단(110)은 밸브부(120)와 상기 밸브부(120)의 체크밸브(121) 내에 구성되며 체크밸브(121)의 체크볼(123)을 가압하는 제 1 스프링(124) 하부의 지지면을 승하강시키는 구동부(13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밸브부(120)는 체크밸브(121) 및 상기 체크밸브(121)에 의해 지지되는 체크볼 지지 와셔(12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체크밸브(121)는 체크볼(123)을 가압하는 제 1 스프링(124)에 의해 가압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체크밸브(121)는 유체를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역방향으로는 흐르지 않게 하는 리프트형과 스윙형이 있으며, 리프트형은 폐쇄가 용이하고 수평판에 사용하며 급배수관과 냉매관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체크볼 지지 와셔(126)는 환형이며, 상기 체크볼 지지 와셔(126)의 중앙 천공부위를 체크볼(123)이 가압하게 되고, 상기 체크볼 지지 와셔(126)가 하강하는 경우에 체크밸브(121)에 형성되어 있는 홈(122)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면서 타이어들의 공기압들이 보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130)는 본체(132), 스프링 지지 와셔(135) 및 상기 본체(132)의 액체 배출 유로(134)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13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전자식으로 원격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전자식 밸브이다.
또한, 상기 본체(132)에는 유체를 저장하는 액실(133)이 형성되어 유체가 저장되어 있다. 이때, 상기 액실(133)과 상기 스프링 지지 와셔(135)는 환형이 바람직하고, 상기 스프링 지지 와셔(135)는 본체(132)의 액실(133)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본체(132)의 하부에는 유체가 배출되는 유체 배출 유로(134)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37)는 본체(132)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37)는 유체 배출 유로(134)를 개폐하는 슬라이드 밸브 코어(138)를 포함하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37)는 제 2 스프링(139)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솔레노이드 밸브(137)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ABS(anti-lock brake system) 및 VDC(vehicle dynamic control) 시스템의 요속도를 계산하여 차량의 자세 제어 범위 한계를 초과하면 타이어 공기압의 누출된 반대쪽 타이어 밸브에 무선으로 공기압 저하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여기서, ABS는 자동차가 주행 중에 4개 바퀴에 똑같은 무게가 실리지 않고 이런 상태에서 급제동을 하면 일부 바퀴에 로크업(lock-up) 현상이 발생하고, 이는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데도 바퀴는 정지 상태를 말하는데, 이때 운전자가 차의 방향을 제어할 수 없게 되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려면 브레이크를 작동 및 비작동시켜야 하되, 이러한 작동을 전자제어장치나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1초에 10회 이상 반복하여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VDC는 차체 자세 제어로서 차량을 미끄러짐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차량 안전 시스템이며, 스핀이나 언더 또는 오버 스티어가 발생하는 것을 제어하여 내측 또는 외측 바퀴에 제동을 가해 차량의 자세를 제어함으로써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사고를 사전 방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의 공기압 보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를 도 2 및 도 3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의 작동 관계를 기술하면,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는 타이어 및 임의의 타이어 공기압이 낮아질 때 반대편 타이어 공기압을 보정하는 공기압 보정 수단(11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압 보정수단(110)은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임의의 타이어와 상기 임의의 타이어 반대편에 위치하는 타이어의 공기압 차이가 일정 기준치 이상일 때 작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TPMS 센서에 의해 타이어 공기압이 급속히 저하됨을 계측하되 한계 속도가 지정되어 있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에서 ABS 및 VDC 시스템의 요속도를 계산하여 타이어 공기압의 누출된 대향측 타이어 밸브에 공기압 저하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이때, 솔레노이드 밸브(137)가 작동하게 되고, 슬라이드 밸브 코어(138)가 후퇴하여 유체 배출 유로(134)가 개방되며, 스프링 지지 와셔(135)가 내려가서 액실(133) 내의 유체가 유출된다.
이어서, 액실(133) 내의 유체가 유출되면 밸브부(120)에 구비되어 있는 제 1 스프링(124)의 반발력이 저하되면서 체크볼(123)이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체크볼 지지 와셔(126)가 중력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며, 타이어 내부 공기가 체크밸브(121)에 형성되어 있는 홈(122)을 통해 대기 중으로 배출되어 타이어 공기압이 하향되면서 차량의 좌우 타이어들의 공기압의 균형이 유지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는 타이어 및 임의의 타이어 공기압이 낮아질 때 반대편 타이어 공기압을 보정하는 공기압 보정 수단(210)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압 보정수단(210)은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임의의 타이어와 상기 임의의 타이어 반대편에 위치하는 타이어의 공기압 차이가 일정 기준치 이상일 때 작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공기압 보정수단(210)은 밸브부(120)와 상기 밸브부(120)의 체크밸브(121) 내에 구성되며 체크밸브(121)의 체크볼(123)을 가압하는 제 1 스프링(124) 하부의 지지면을 승하강시키는 구동부(13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밸브부(120)는 체크밸브(121) 및 상기 체크밸브(121)에 의해 지지되는 체크볼 지지 와셔(12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체크밸브(121)는 체크볼(123)을 가압하는 제 1 스프링(124)에 의해 가압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체크볼 지지 와셔(126)가 하강하는 경우에 체크밸브(121)에 형성되어 있는 홈(122)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면서 타이어들의 공기압들이 보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작동 관계를 기술하면, TPMS 센서에 의해 타이어 공기압이 급속히 저하됨을 계측하되 한계 속도가 지정되어 있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에서 ABS 및 VDC 시스템의 요속도를 계산하여 타이어 공기압의 누출된 대향측 타이어 밸브에 공기압 저하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이때, 구동부(130)는 본체(132)에 제 2 스프링(139)을 포함하여 구비되어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137)가 작동하게 되고, 스프링 지지 와셔(135)와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드 밸브 코어(138)가 후퇴하여 스프링 지지 와셔(135)가 하강됨에 따라 제 2 스프링(139)의 반력이 감소되어 하강되면서 타이어 내부 공기가 체크밸브(121)에 형성되어 있는 홈(122)을 통해 대기 중으로 배출되어 타이어 공기압이 하향되면서 차량의 좌우 타이어들의 공기압을 보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는 주행중 타이어들의 파열 또는 내부 공기압이 저하될 경우를 감지해서 타이어들의 내부 공기압을 동일하게 조절함으로써 주행의 안전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 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 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 예가 가능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가 정의된 것으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10: 공기압 보정수단 120: 밸브부
121: 체크밸브 122: 홈
123: 체크볼 124: 제 1 스프링
126: 체크볼 지지 와셔 130: 구동부
132: 본체 133: 액실
134: 액체 배출 유로 135: 스프링 지지 와셔
137: 솔레노이드 밸브 138: 슬라이드 밸브 코어
139: 제 2 스프링

Claims (14)

  1. 타이어; 및
    임의의 타이어 공기압이 낮아질 때 반대편 타이어 공기압을 보정하는 공기압 보정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압 보정수단은 체크밸브, 상기 체크밸브에 의해 지지되는 체크볼 지지 와셔 및 상기 체크볼 지지 와셔의 중앙 천공부위를 가압하는 체크볼로 이루어진 밸브부와 상기 체크밸브내에 구성되며 상기 체크볼을 가압하는 제 1 스프링 하부의 지지면을 승하강시키는 구동부로 구성되며,
    상기 공기압 보정 수단은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임의의 타이어와 상기 임의의 타이어 반대편에 위치하는 타이어의 공기압 차이가 일정 기준치 이상일 때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TPMS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본체;
    스프링 지지 와셔; 및
    상기 본체의 액체 배출 유로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유체를 저장하는 액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유체가 배출되는 유체 배출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지지 와셔는 본체의 액실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유체 배출 유로를 개폐하는 슬라이드 밸브 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본체;
    스프링 지지 와셔; 및
    상기 스프링 지지 와셔를 승하강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스프링 지지 와셔와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드 밸브 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
  13. 제 6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
  14. 제 6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제 2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
KR1020180015656A 2018-02-08 2018-02-08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 KR102506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656A KR102506761B1 (ko) 2018-02-08 2018-02-08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656A KR102506761B1 (ko) 2018-02-08 2018-02-08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106A KR20190096106A (ko) 2019-08-19
KR102506761B1 true KR102506761B1 (ko) 2023-03-07

Family

ID=67807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656A KR102506761B1 (ko) 2018-02-08 2018-02-08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6761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8893A (ko) * 1996-12-30 1998-10-07 박병재 자동차의 타이어 공압 자동조절장치
KR19990018162A (ko) * 1997-08-26 1999-03-15 장효림 타이어의 공기압 조절 방법 및 조절 장치
KR100276708B1 (ko) * 1997-10-18 2001-01-15 정몽규 공기압조절식 타이어용 에어밸브
KR20020056592A (ko) 2000-12-29 2002-07-10 이계안 공기압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타이어 공기압 충전장치
KR100410903B1 (ko) * 2001-04-30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타이어 긴급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106A (ko) 201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5002B1 (en) Semi-active suspension system
US8186402B2 (en) Device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tire pressure
US7911332B2 (en) Wheel having a controlled pressure and a pressure reservoir
EP2844505B1 (en) Air spring with an inversion protection system
AU1642700A (en) Fluid flow valve with variable flow rate
US6648308B2 (en) Spring apparatus
US20100300591A1 (en) Self-inflating wheel
EP3012125B1 (en) Air maintenance tire assembly
KR102506761B1 (ko) 타이어 공기압 보정장치
US10358011B2 (en) Dynamic weight shift suspension system
BR112021005693A2 (pt) regulador acionado por piloto com pressão de distribuição mínima ajustável
US11345195B2 (en) Automatic pressure valve for inflation / deflation of a pneumatic arrangement
US6948516B1 (en) Excess tire air pressure relief valve
US20160347126A1 (en) A tire with a new internal structure including automatic inflatable gas-chambers
CN215321864U (zh) 一种低剩余率的液罐车
CN105291729B (zh) 用于轮胎压力监测系统的气门嘴
US6296010B1 (en) Automatic shut-off air pressure valve for tires
US20060096637A1 (en) Bistable membrane valve
JP3099303B2 (ja) 車両用タイヤ
CN104827848B (zh) 一种三轴客车空气悬架气路控制系统
KR200389415Y1 (ko) 철도 차량용 부하 감지 밸브
JP5989217B2 (ja) 自動車の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および自動車の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の制御方法
JP2967802B2 (ja) サスペンション制御システム
KR100461355B1 (ko) 타이어의공기압주입장치
KR100320523B1 (ko) 타이어 공기압 유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