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6521B1 - 단말기 내장형 입력부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단말기 내장형 입력부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6521B1
KR102506521B1 KR1020200167265A KR20200167265A KR102506521B1 KR 102506521 B1 KR102506521 B1 KR 102506521B1 KR 1020200167265 A KR1020200167265 A KR 1020200167265A KR 20200167265 A KR20200167265 A KR 20200167265A KR 102506521 B1 KR102506521 B1 KR 102506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nit
ultraviolet
module
sterilization devi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8098A (ko
Inventor
고관수
Original Assignee
엘퍼스크 주식회사
고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퍼스크 주식회사, 고관수 filed Critical 엘퍼스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7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521B1/ko
Publication of KR20220078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또는 버튼 형태의 입력부 상측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단말기의 입력부 내측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입력부를 향해 다수개의 자외선 LED가 배열 설치된 상태로 유연하게 감기거나 풀리도록 형성되는 자외선 모듈; 및 상기 자외선 모듈을 감거나 풀면서 상기 입력부 상측을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작동 모듈;이 구성됨에 따라, 사용의 편리성과 살균력의 신뢰성 및 안전성이 더욱 향상된 단말기 내장형 입력부 살균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단말기 내장형 입력부 살균장치{Sterilizing device for input section}
본 발명은 이용자가 직접 접촉하는 입력부를 자외선으로 살균할 수 있도록 한 단말기 내장형 입력부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행, 관공서 등에는 업무처리 과정에서 이용자가 주민번호나 비밀번호 등의 정보를 직접 입력하기 위한 소형 단말기를 비롯하여, 각종 조회, 현금인출, 서류출력 등 이용자가 직접 정보를 입력하여 간편 업부를 처리하기 위한 중대형 단말기(kiosk 등)들이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들은 여러 사람이 사용하기 때문에 특히 손이 직접 닿는 입력부를 통해 병균 등이 전염되기 쉬운 단점이 있다. 이에,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한 전염을 막기 위해서 관리자가 매일 수차례 씩 소독을 한다거나 이용자들이 위생 장갑 등을 착용하기도 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용상 위험성이 잔존할 뿐 아니라 관리자나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단말기의 입력부 살균을 위해 자외선(UV) 기술이 적용되고 있는데, 그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29453호(2012.11.28. 공개)의 '디지탈 정보 디스플레이의 터치스크린 액정 살균장치'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91133호(2020.07.30. 공개)의 '인체감지센서가 구비된 터치스크린 자외선 살균장치'가 발명되어 있다.
이에, 전자는 『살균수단(11)이 상기 터치스크린(3)의 전면을 상하 또는 좌우로 왕복운동하면서 터치스크린을 살균하는 살균수단부(10)와; 상기 살균수단부(10)에 연결되어 상기 살균수단(10)을 상하 또는 좌우로 지정된 경로를 따라 왕복운동시키는 제1 이동수단부(20)와; 상기 이동수단부(20)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수단부(30);』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살균수단부가 항상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파손 등의 위험이 있고, 살균수단부가 이동하면서 살균하기 때문에 살균력을 높이기 위해서 저속 이동시 1회 살균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후자는 『터치스크린(5)을 사용하는 키오스크의 상부에 설치되어 자외선엘이디(4-1)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하여 터치스크린(5)의 표면을 살균하는 인체감지센서가 구비된 터치스크린 자외선 살균장치(100)』가 구성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도 상기 살균장치가 항상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파손 등의 위험이 있고, 살균장치와 터치스크린 사이에 개방된 공간으로써 상당한 거리가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살균의 효과를 크게 기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아울러, 자외선(Ultraviolet rays)은 10~400nm의 파장 사이에 존재하는 전자파로서, 파장에 따라 UV-A(400~315nm), UV-B(315~280nm), UV-C(280~200nm), VUV(200~100), 극자외선(100~10nm)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UV-A 및 UV-B는 대기 중에도 존재하는 것으로서 극히 위험하다고 볼 수 없으나, UV-C 및 극자외선의 경우 대기 중에 존해하지 않는 것으로서 극히 위험하다고 볼 수 있고, 특히 UV-C의 경우 눈에 노출되면 시력을 잃을 수 도 있으며, 극자외선의 경우 리소그래피(Lithography)에 사용될 정도로 매우 위험하다.
따라서 생활에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자외선 램프는 안전성을 위해 보통 UV-A가 사용되고 있는 바, UV-A는 살균력이 약하기 때문에 적정한 살균을 위해서는 장시간 노출되어야 하고, 그렇지 못할 경우 살균효과가 매우 취약한 단점이 있다. 반면에 UV-C는 살균력이 강하기 때문에 단시간에도 살균효과가 뛰어나지만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인체에 노출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므로 앞서 설명된 발명들의 경우 자외선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위험성이 높은 UV-C가 적용될 수 없고, 대신 위험성이 낮은 UV-A가 사용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종래 발명들은 장시간 살균이 요구될 것이고, 그로인해 각 사용자의 사용 간에 입력부를 살균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지연이 예상되며, 이런 지연을 막기 위해서 살균시간을 단축시키다면 살균효과가 매우 낮아지면서 반대로 전염의 위험성은 매우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 각종 단말기의 입력부는 단순 아날로그 방식의 버튼 형태가 아닌 정보와 프로세싱을 보여줄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형태가 선호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터치 스크린은 좀 더 다양한 형태의 정보와 프로세싱을 함께 제공하기 위해서 그 크기가 커지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넓어지는 터치 스크린 형태의 입력부에 대한 살균이 더욱 안전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설치를 위한 공간적 또는 형태적 제약이 적은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단말기 내부에 설치하되, 권취된 상태의 자외선 모듈이 풀리면서 입력부 상측을 완전히 커버한 후 살균할 수 있도록 한 단말기 내장형 입력부 살균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UV-A 또는 UV-B보다 살균력이 높은 자외선인 UV-C를 이용하여 살균시간을 단축하면서도 자외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단말기 내장형 입력부 살균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외선 모듈의 출입이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지도록 한 단말기 내장형 입력부 살균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외선 모듈이 단말기 내부에 권취된 상태로 보관되고 있다가 입력부 상측으로 인출됨으로써 상기 입력부 전체를 커버하는 상태로 동시에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UV-A 또는 UV-B보다 살균력이 높은 UV-C를 사용함으로써 살균력을 높여 입력부에 대한 신속한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살균 과정에서 자외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자외선 모듈이 유연하게 감기고 풀리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자외선 모듈을 감거나 풀면서 상기 입력부를 개폐하기 위한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단말기 내장형 입력부 살균장치에 의하면 자외선 모듈이 단말기 내부에 권취된 상태로 설치됨으로써 입력부의 크기와 그에 따른 자외선 모듈의 크기에 대응하는 설치공간 및 기능적 제약을 크게 줄이는 효과와 아울러, 자외선 모듈이 입력부 상측을 완전히 커버한 상태에서 살균이 이루어짐으로써 살균과정에서 자외선 노출로 인한 위험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단말기 내장형 입력부 살균장치에 의하면 UV-A 또는 UV-B보다 살균력이 높은 UV-C를 이용하여 신속한 살균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자외선의 노출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과 살균기능에 대한 신뢰성 및 안전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단말기 내장형 입력부 살균장치에 의하면 자외선 모듈의 출입이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기능의 안정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단말기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외형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단말기 내장형 입력부 살균장치의 설치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단말기 내장형 입력부 살균장치를 도시한 구성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단말기 내장형 입력부 살균장치를 도시한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단말기 내장형 입력부 살균장치의 자외선 모듈을 도시한 구성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단말기 내장형 입력부 살균장치의 요부 구성을 도시한 작동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단말기 내장형 입력부 살균장치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단말기 내장형 입력부 살균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설명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단말기 내장형 입력부 살균장치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의 입력부 내측에 설치되는 프레임(100); 상기 입력부를 향해 다수개의 자외선 LED가 배열 설치된 상태로 유연하게 감기거나 풀리도록 형성되는 자외선 모듈(200); 및 상기 자외선 모듈을 감거나 풀면서 상기 입력부 상측을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작동 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말기(10) 도 1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은행이나 관공서 등에서 각종 조회, 현금인출, 서류출력 등 이용자가 직접 정보를 입력하여 간편 업부를 처리하기 위한 중대형 단말기(kiosk, ATM 등)는 물론이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테이블에 올려놓고 업무처리 과정에서 이용자가 주민번호나 비밀번호 등의 정보를 직접 입력하기 위한 소형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10)는 상단면 또는 전면 등 사용의 편리를 위한 위치에 크고 작은 터치 스크린 또는 버튼 형태의 입력부(11)가 구성된다. 이에, 본 발명은 키아스크(kiosk)와 같이 입력부(11)로서 터치 스크린이 큰 경우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리더를 비롯하여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은 주변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구조적 측면에서 보면 이미 양산되고 있는 단말기 또는 보급된 단말기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기존 단말기의 입력부 위치에 본 발명을 설치한다거나 기존 입력부를 분리 후 본 발명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자외선을 이용한 신속하고 안전한 살균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단말기(10)의 입력부(11)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입력부(11)를 수용 또는 안착하도록 하면서 상기 입력부(11)의 양측에는 가이드 레일(11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양측 가이드 레일(110) 사이의 전후에는 후술하는 자외선 모듈(200)이 원활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구 또는 개방된 형태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110)은 후술하는 자외선 모듈(200)이 입력부(11)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써,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자외선 모듈(200)의 끝단에 결합된 가이드 바가 안내되도록 장공 형태로 길게 형성하는 것 외에도 상기 자외선 모듈(200)의 양측 테두리가 끼워지거나 받쳐지는 상태로 안내되도록 홈이나 슬롯 또는 단턱의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110)은 상기 입력부(11)로부터 자외선 모듈(200)이 근접하여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도 2 또는 도 9와 같이 단말기로부터 입력부의 설치 깊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100)은 스크린 또는 버튼 형태의 입력부 모듈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프레임(100)은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 제작된 맞춤형 입력부(11) 모듈이 양측 가이드 레일(110) 사이에 안착된 일체형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모듈(200)은 상기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입력부(11) 상측을 개폐하도록 하되, 상기 입력부(11)를 향해 다수개의 자외선 LED(210)가 배열 설치된 상태로 유연하게 감기거나 풀리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자외선 모듈(200)은 입력부(11)의 크기에 따라 입력부(11)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넓이로 형성하되, 상기 단말기 내부에서는 설치 공간을 줄이기 위해 둥글게 감긴 상태로 보관되고, 상기 입력부 상측으로 인출될 때에는 펼쳐지면서 입력부 전체를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자외선 모듈(2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1)의 크기에 대응하여 소수(4개)의 자외선 LED(210)가 설치되거나 다수(50개 이상)의 자외선 LED(210)가 설치되는데, 이와 같이 다수개의 자외선 LED가 설치된 상태에서도 유연하게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자외선 모듈(200)은 일 실시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권취 롤(310)에 감기도록 유연한 FPC(FLEXIBLE PRINTED CIRCUIT:연성회로기판) 필름(220) 및 상기 FPC 필름(220) 상에 배열 설치되는 자외선 LED(210)로 구성된다. 즉, 상기 다수개의 자외선 LED(210)가 유연한 인쇄회로기판으로서 FPC 필름(220) 상에 직접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FPC 필름(220)은 자외선 LED(210)에 의한 자외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빛을 차단하면서 쉽게 부러지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절연성 비닐이나 실리콘 등으로 코팅 또는 커버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모듈(200)은 다른 실시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취 롤에 감기도록 유연한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셔터 도어와 같이 다수개의 절첩편으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패널(230) 및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저면에 설치하되, 상기 권취 롤(310)에 감기도록 폭이 좁은 다수개의 쪽편으로 이루어지면서 유연한 와이어 또는 플렛 케이블로 연결되는 PCB(240) 및 상기 PCB 상에 배열 설치되는 자외선 LED(210)로 구성된다. 즉, 상기 다수개의 자외선 LED(210)가 가늘게 형성된 다수개의 PCB(240) 상에 나누어 설치되고, 각 PCB는 플렉시블 패널(230) 상에서 전후 일정간격 떨어지는 형태로 접착 또는 고정 설치되며, 상기 각 PCB(240)는 유연한 와이어 또는 플렛 케이블(240a)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전원 공급과 제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자외선 모듈(200)의 자외선 LED(210)는 실시 예로서 신속한 살균을 위해 파장이 280~200nm인 UV-C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자외선 모듈(300)은 UV-A 또는 UV-B보다 살균력이 높은 파장대의 자외선인 UV-C를 사용함으로써 UV-A 또는 UV-B를 적용한 자외선 모듈에 비해 살균 속도를 단축하고 살균의 신뢰성을 높인다.
상기 작동 모듈(300)은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상기 자외선 모듈(200)을 감거나 풀면서 상기 입력부(11) 상측을 개폐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작동 모듈(300)은 입력부(11)를 사용하기 위해서 자외선 모듈(200)을 권취함으로써 상기 입력부(11)가 개방되도록 하고, 입력부(11)의 사용 전이나 후에는 상기 자외선 모듈(200)을 풀어줌으로써 상기 입력부(11)를 덮은 상태로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일련의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작동 모듈(300)은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자외선 모듈(200)이 감기도록 형성된 권취 롤(310)과 상기 권취 롤(310)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1 전동 모터(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작동 모듈(300)은 상기 제1 전동 모터(320)를 정역방향으로 구동시킴에 따라 자외선 모듈(200)이 권취 롤(310)에 감기고 풀림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100)의 양측 가이드 레일(110) 사이로 자외선 모듈(200)이 출입하면서 입력부(11)를 개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자외선 모듈(200)의 양측 테두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자중에 의해 자외선 모듈(200)이 펼쳐지면서 원활하게 하강하는 구조에 더욱 적합하다. 물론, 도 1과 같이 수평 이동하는 경우에도 상기 자외선 모듈(200)이 원활하게 이동이 가능한 경우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작동 모듈(300)은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권취 롤(310) 및 제1 전동 몰터(320)를 포함하면서 상기 자외선 모듈(200)의 끝단에 결합되는 가이드 바(330),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가이드 바(330)의 일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바를 전후 이동시키기 위한 벨트 풀리세트(340) 및 상기 벨트 풀리 세트(34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2 전동 모터(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 바(330)의 일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가 상기 프레임(100)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된 벨트 풀리 세트(3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전동 모터(350)가 정역 회전함에 따라 입력부(11) 상측으로 자외선 모듈(200)이 원활하게 이동하면서 입력부를 개폐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벨트 풀리 세트(340)는 도면과 같이 전후 또는 하측의 풀리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풀리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2 전동 모터(350)와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전동 모터(320)와 제2 전동 모터(350)는 동시에 정역 회전함으로써 원활하게 구동하도록 한다.
한편,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벨트 풀리 세트(340)를 프레임(100)의 일측에만 설치한 경우 상기 가이드 레일(110)은 입력부의 좌우에 형성함은 물론이고, 일측에 대하여는 벨트 풀리 세트(340)의 좌우에 나란하게 한 쌍을 구비함으로써 가이드 바(330)의 타측 단부가 밀리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한다. 즉, 상기 프레임(100) 또는 입력부(11) 일측에 설치된 벨트 풀리 세트(340)에 의해 가이드 바(330)를 밀어내는 힘이 작용하는 과정에서 그 양측의 가이드 레일(110)이 가이드 바(330)를 잡아주기 때문에 상기 입력부(11) 타측의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바(330)가 처지거나 밀리지 않고 일측과 나란하게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작동 모듈(300)은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자외선 모듈(200)의 출입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센서(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서(36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 바(330)의 접촉에 의해 제1 또는 제2 전동 모터(320, 350)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리미트 스위치 형태로 제공할 수 있으며, 양측에서 상호 접촉을 통해 상기 제1 또는 제2 전동 모터(320, 350)의정역 구동방향을 전환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의 입력부를 자외선으로 살균하되, 자외선 모듈이 단말기 내부에 권취된 상태에서 출입을 통해 입력부 전체를 커버한 후 살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단말기의 입력부나 자외선 모듈의 크기에 의한 공간적 기능적 제약을 크게 줄이게 된다.
또한, 살균력이 높은 자외선을 이용하여 신속한 살균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이용자가 안전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과 살균기능에 대한 신뢰성 및 안전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자외선 모듈의 출입이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기능의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10: 단말기 11: 입력부
100: 프레임 110: 가이드 레일
200: 자외선 모듈 210: 자외선 LED
220: FPC 필름 230: 플렉시블 패널
240: PCB 240a: 플렛 케이블
300: 작동 모듈 310: 권취 롤
320: 제1 전동 모터 330: 가이드 바
340: 벨트 풀리 세트 350: 제2 전동 모터
360: 센서

Claims (7)

  1.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또는 버튼 형태의 입력부 상측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입력부 내측에 설치하되, 상기 입력부를 수용 또는 안착하도록 하면서 상기 입력부의 양측에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프레임;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안내되면서 입력부 상측을 개폐하도록 하되, 상기 입력부를 향해 다수개의 자외선 LED가 배열 설치된 상태로 유연하게 감기거나 풀리도록 형성되는 자외선 모듈; 및
    상기 프레임 내에 설치되어 상기 자외선 모듈을 감거나 풀면서 상기 입력부 상측을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작동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내장형 입력부 살균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모듈은,
    상기 작동 모듈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도록 유연한 FPC(Flexible Printed Circuit:연성회로기판) 필름; 및
    상기 FPC 필름 상에 배열 설치되는 자외선 LED;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내장형 입력부 살균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모듈은,
    상기 작동 모듈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도록 유연한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다수개의 절첩편으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패널; 및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저면에 설치하되, 상기 작동 모듈에 감기도록 다수개의 쪽편으로 이루어지면서 유연한 와이어 또는 플렛 케이블로 연결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PCB 상에 배열 설치되는 자외선 LED;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내장형 입력부 살균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모듈은 파장이 280~200nm인 UV-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내장형 입력부 살균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 모듈은,
    상기 자외선 모듈이 감기도록 형성된 권취 롤;
    상기 권취 롤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1 전동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내장형 입력부 살균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작동 모듈은,
    상기 자외선 모듈의 끝단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바;
    상기 프레임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고, 가이드 바의 일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바를 전후 이동시키기 위한 벨트 풀리 세트; 및
    상기 벨트 풀리 세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2 전동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내장형 입력부 살균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 모듈은 상기 자외선 모듈의 출입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내장형 입력부 살균장치.
KR1020200167265A 2020-12-03 2020-12-03 단말기 내장형 입력부 살균장치 KR102506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265A KR102506521B1 (ko) 2020-12-03 2020-12-03 단말기 내장형 입력부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265A KR102506521B1 (ko) 2020-12-03 2020-12-03 단말기 내장형 입력부 살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098A KR20220078098A (ko) 2022-06-10
KR102506521B1 true KR102506521B1 (ko) 2023-03-06

Family

ID=81986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265A KR102506521B1 (ko) 2020-12-03 2020-12-03 단말기 내장형 입력부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65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882B1 (ko) 2007-03-29 2008-04-21 양석호 자동 살균기능을 구비한 싱크대
US8662705B2 (en) 2010-03-30 2014-03-04 Virwall Systems, Inc. Flexible ultraviolet LED sanitizing apparatus
CN109432458A (zh) 2018-11-21 2019-03-08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用于医疗显示器的自动清洁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9456A (ko) * 2011-05-20 2012-11-28 배선배 터치스크린 살균장치가 구비된 디지탈정보 디스플레이
KR101158046B1 (ko) * 2010-11-29 2012-06-22 박효성 현금인출기용 살균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882B1 (ko) 2007-03-29 2008-04-21 양석호 자동 살균기능을 구비한 싱크대
US8662705B2 (en) 2010-03-30 2014-03-04 Virwall Systems, Inc. Flexible ultraviolet LED sanitizing apparatus
CN109432458A (zh) 2018-11-21 2019-03-08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用于医疗显示器的自动清洁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098A (ko)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1625B1 (ko)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 및 살균방법
US10166309B2 (en) White light LEDs and UV LEDs in same luminaire for lighting and disinfection
KR101158046B1 (ko) 현금인출기용 살균 장치
KR102506521B1 (ko) 단말기 내장형 입력부 살균장치
ITBO20080591A1 (it) Porta ad anta scorrevole motorizzata per cabina doccia
KR20110083073A (ko) 휴대용 단말기의 살균 및 충전 장치
CN110111694A (zh) 一种柔性显示模组及显示装置
CN101393468A (zh) 笔记本电脑及其紫外线消毒装置、消毒方法
US11548765B2 (en) Light source apparatus
KR102411699B1 (ko) 터치스크린 살균장치
KR102338017B1 (ko) 입력부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기
CN111815840B (zh) 一种基于生物识别的地铁快速身份识别系统
JP6142528B2 (ja) 顧客操作型端末装置
US1191869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anitizing mobile electronic devices
US20210369885A1 (en) Uv-c sterilizer attachable to touch screen of automated machine
KR100982816B1 (ko) 살균기능을 구비한 컴퓨터 케이스
KR20220094164A (ko) 출입용 키패드 uv 살균장치
KR102472391B1 (ko) 광원 장치
KR920701930A (ko) 쌍안경 벤딩 장치 및 방법
TWM605774U (zh) 觸控顯示器
CN114077326A (zh) 触控设备
JP2022025880A (ja) 操作部の殺菌、ウイルス不活性化装置、方法、表示装置、および認証装置
KR20240006160A (ko) 자외선 살균장치
IT202100002483A1 (it) Dispositivo igienizzatore per fogli e/o tessere a raggi ultravioletti.
CN220475851U (zh) 一种具备杀菌消毒功能的楼宇门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