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6368B1 - 참여보상형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 - Google Patents

참여보상형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6368B1
KR102506368B1 KR1020210108770A KR20210108770A KR102506368B1 KR 102506368 B1 KR102506368 B1 KR 102506368B1 KR 1020210108770 A KR1020210108770 A KR 1020210108770A KR 20210108770 A KR20210108770 A KR 20210108770A KR 102506368 B1 KR102506368 B1 KR 102506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ken
user
voucher
social security
volunte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8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6761A (ko
Inventor
임태건
박용수
박민환
Original Assignee
임태건
박용수
박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태건, 박용수, 박민환 filed Critical 임태건
Priority to KR1020210108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368B1/ko
Publication of KR20230026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94Escrow, recovery or storing of secret information, e.g. secret key escrow or cryptographic key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며,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는 사용자의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 상기 사용자가 봉사활동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된 봉사활동 이력의 등록을 요청하는 등록 요청 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등록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블록을 생성하는 블록 생성부; 상기 봉사활동 이력에 대응하는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블록에 대응하는 토큰을 생성하는 토큰 생성부; 및 생성된 상기 토큰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봉사활동의 수행에 대한 보상으로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인 바우처 토큰을 제공하는 토큰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큰 및 상기 바우처 토큰은, 봉사활동 시간에 대한 가치를 토큰화한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참여보상형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 {PARTICIPATION REWARD TYPE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ISSUANCE SYSTEM}
본원은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 특히 참여보상형 사회복지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원은 참여보상형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민의 행복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사회복지서비스, 사회보장서비스)가 필요하다. 하지만, 사회복지 제공을 위해서는 증세와 기부를 통해 재원 확충이 필수불가결하며, 기존의 기금과 예산이 턱없이 부족함에 따라 현재로서는 충분한 사회복지를 제공, 즉 충분한 사회보장 혜택을 제공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한편, 봉사 정신이라 함은 국가나 사회 또는 남을 위하여 자신을 돌보지 아니하고 힘을 바쳐 애쓰려는 마음의 자세나 태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우리의 아름다운 전통인 상부상조를 계승하고, 이타자리의 마음가짐을 정진해 나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봉사(자원봉사)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시간적 자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시간이라는 것은 제한적이라는 한정적 특성, 가공하거나 조작할 수 없는 불가변성 특성, 시간을 저장하거나 보관할 수 없는 비저장성 특성, 시간을 양도하거나 대여할 수 없는 비양도성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바쁘게 생활하는 현대인들에게 있어서는 인생을 누릴 시간이 제한적임에 따라 봉사 활동을 할 여유가 없고, 미래(노후)를 준비하는 것만으로도 시간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연금 등과 같은 사회보장제도의 한정적인 재원을 시간(봉사 활동 시간)으로 보완 가능케 함으로써, 봉사 활동의 수행을 토대로 노후를 대비하고 사회복지서비스(사회보장혜택)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06481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증세와 기부를 통한 재원 확충 없이 사회보장서비스(사회복지서비스, 사회보장 혜택)을 제공할 수 있는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회복지를 위한 기금과 예산이 부족하더라도 충분한 사회복지를 제공할 수 있는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금 등과 같은 사회보장제도의 한정적인 재원을 시간(봉사 활동 시간)으로 보완하여 봉사 활동의 수행을 토대로 노후를 대비하고 사회복지서비스(사회보장혜택)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는, 사용자의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 상기 사용자가 봉사활동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된 봉사활동 이력의 등록을 요청하는 등록 요청 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등록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블록을 생성하는 블록 생성부; 상기 봉사활동 이력에 대응하는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블록에 대응하는 토큰을 생성하는 토큰 생성부; 및 생성된 상기 토큰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봉사활동의 수행에 대한 보상으로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인 바우처 토큰을 제공하는 토큰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큰 및 상기 바우처 토큰은, 봉사활동 시간에 대한 가치를 토큰화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토큰 및 상기 바우처 토큰은, 사회보장서비스의 제공 및 사회보장서비스 관련 바우처의 발행을 가능하게 하는 디지털 자산인 대체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 생성부는, 기 설정된 인증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블록을 생성하되, 상기 기 설정된 인증 조건은, 사용자의 개인 신분 인증과 관련된 온라인 기반 인증 조건 및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에 대응하는 노드들 간의 연동을 기반으로 한 블록체인 기반 인증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인증 조건은, 봉사활동 장소 인증과 관련된 오프라인 기반 인증 조건을 더 포함하되, 상기 오프라인 기반 인증 조건은,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봉사활동을 수행하는 사회복지 일선기관인 봉사수행 일선기관의 기관 고유 ID 정보의 인식이 이루어진 경우 및/또는 사용자의 위치와 상기 봉사수행 일선기관의 위치가 매칭하는 경우에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은, 상술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 상기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사용자에게 봉사활동 수행 환경을 제공하는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 사회보장서비스 관련 바우처의 발행을 수행하는 복수의 기업 자원; 및 사회보장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기업 자원 각각은, 봉사활동의 수행에 의해 바우처 토큰을 제공받은 사용자로부터 일부 바우처 토큰의 지불이 이루어진 경우, 지불에 응답하여 일부 바우처 토큰에 대응하는 사회보장서비스 관련 바우처를 상기 사용자에게 발행하고, 상기 복수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 각각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일부 바우처 토큰의 지불이 이루어진 경우, 지불에 응답하여 일부 바우처 토큰에 대응하는 사회보장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방법은, 상술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를 통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방법으로서, (a) 사용자 정보 관리부에서, 사용자의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단계; (b) 블록 생성부에서, 상기 사용자가 봉사활동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된 봉사활동 이력의 등록을 요청하는 등록 요청 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등록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c) 토큰 생성부에서, 상기 봉사활동 이력에 대응하는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블록에 대응하는 토큰을 생성하는 단계; 및 (d) 토큰 제공부에서, 생성된 상기 토큰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봉사활동의 수행에 대한 보상으로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인 바우처 토큰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토큰 및 상기 바우처 토큰은, 봉사활동 시간에 대한 가치를 토큰화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봉사활동 시간에 대한 가치를 토큰화함으로써 생성된 대체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인 바우처 토큰을 사용자에게 봉사활동의 수행에 대한 보상으로서 제공함으로써, 증세와 기부를 통해 재원을 확충하지 않더라도 혹은 기존의 기금과 예산이 부족하더라도, 바우처 토큰을 이용해 충분한 사회보장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봉사활동 수행에 대한 보상을 대체불가능 토큰인 바우처 토큰으로 제공함으로써, 연금 등과 같은 사회보장제도(사회보장서비스)의 한정적인 재원을 시간(봉사 활동 시간)으로 보완할 수 있는바, 봉사 활동의 수행을 토대로 노후를 대비하고 사회복지서비스(사회보장혜택)를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봉사활동 시간을 블록체인으로 저장/관리하여 양도가 가능한 검증된 디지털 바우처로 활용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가 봉사(자원봉사)활동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발생)되는 봉사활동 시간의 가치를 대체불가능 토큰으로 저장하여 이를 바우처 토큰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봉사활동의 수행 행위에 대하여 보상받을 수 있는 생태계 내지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즉, 본원은 봉사활동 수행에 대한 보상을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생태계 내지 시스템을 구축(구성)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가 바우처 토큰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에서 제안하는 바우처 발행 기법과 기존의 지역화폐 발행 기법 간의 차이를 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10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1000)을 설명의 편의상 본 시스템(1000)이라 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1000)은 사용자(1)의 봉사활동 수행(참여)에 따라 보상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으로서, 참여보상형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1000)이라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본 시스템(1000)은 사용자(1), 사용자 단말(2),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100),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0), 복수의 기업 자원(300), 및 복수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1)의 봉사활동 수행(참여)에 따라 보상이 이루어지는 장치로서, 참여보상형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100)라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100)는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상 본 장치(100)라 하기로 한다.
사용자(1)는 봉사활동을 수행(참여)하는 사용자(대상자)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봉사자, 봉사활동자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사용자(1)는 한 명의 사람을 지칭하는 개인의 개념으로 의미할 수 있겠으나,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1)는 다수의 사람을 지칭하는 단체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1)는 개인(개인사용자) 또는 단체(둘 이상이 모인 단체 사용자)일 수 있다.
사용자(1)는 예시적으로 국방의무자, 보훈자, 사회보장서비스 제공자 및 자원봉사자, 재난자원봉사자(개인, 단체), 일반자원봉사자(개인, 단체), 사회복지종사자(사회복지포인트를 받는 관련 업계 종사자)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회보장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사용자라면 누구든지 적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회보장서비스라는 용어는 사회복지, 사회복지서비스, 사회복지혜택, 사회보장혜택, 사회보장제도 등의 용어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들은 모두 같은 의미(즉, 사회에서 제공되는 모든 복지 관련 서비스/혜택)로 이해될 수 있다.
사용자(1)는 사용자 단말(2)을 소지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은 후술하여 설명하는 온라인 기반 인증 혹은 오프라인 기반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2)이라 함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 노트북, 웨어러블 디바이스, 데스크탑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장치(100)는 사용자(1)가 봉사활동(자원봉사활동)을 수행한 경우, 봉사활동을 수행한 시간(즉, 봉사활동 시간)에 대한 이력 정보(이력 데이터)를 블록에 저장(기록)하고, 해당 블록을 토큰(특히, 대체불가능 토큰)으로 변환함으로써 봉사활동 시간에 대한 가치를 토큰화한 토큰(대체불가능 토큰)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본 장치(100)는 생성된 토큰을 기반으로 사용자(1)에게 봉사활동 수행에 대한 보상으로서 바우처 토큰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바우처 토큰이라 함은, 사회보장서비스를 제공받거나 혹은 그러한 사회보장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바우처(상품권, 쿠폰 등)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전자) 상의 자산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바우처 토큰은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서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원의 일예에서는 본 장치(100)가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0)의 구성과는 별개(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본 장치(100)는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0) 각각과 대응되도록 마련(복수개 마련)되어 각각이 대응된 해당 사회복지 일선기관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0)는 복수개 마련되고, 복수개의 본 장치(100) 각각은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0) 각각과 연동(즉, 1:1로 연동)될 수 있다. 이때, 본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복수개의 본 장치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0) 내 어느 하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과 본 장치(100)가 1:1로 연동되어 있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본 장치(100)는 어느 하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에 대응하는 서버 형태의 것으로서, 본원에서 노드라 지칭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본 장치(100)는 어느 하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의 회계프로그램으로서 동작할 수 있는바, 본 장치(100)는 노드 뿐만 아니라 회계장부프로그램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본 시스템(1000)은 대체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서, 복수개의 본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시스템(1000) 및 본 장치(100)는 사용자(1)가 행한 봉사활동에 대한 시간(즉, 봉사활동 시간)을 대체불가능 토큰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시스템(1000) 및 본 장치(100)는 사용자(1)가 본 시스템(1000)과 연계된 사회복지 일선기관에서 봉사를 자유롭게 수행하고 그에 따른 보상으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바우처 토큰)을 제공받도록 함으로써, 사회적으로 봉사활동의 활성화를 장려하고, 사용자들이 노후를 준비함에 있어서 봉사활동을 행하는 시간과는 별도의 시간을 따로 투자하지 않아도 노후 대비(보장)용으로 각종 사회보장서비스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장치(100)는(즉, 복수개의 본 장치 각각은) 사용자(1)가 행한 봉사활동의 시간(봉사시간)을 블록체인으로 저장하고, 타인에게 양도가 가능한 검증된 디지털 바우처(즉, 대체불가능 토큰인 바우처 토큰)로 만들어 제공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유일성을 갖는 객체(즉, 본원에서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를 의미함)에 대한 대체불가능 토큰을 블록체인 상에 생성하고, 생성된 토큰을 블록체인 상에서 관리할 수 있다. 대체불가능 토큰은 유일성을 갖는 객체(봉사활동 시간)를 디지털 자산화한 것으로서, 해당 객체가 유일성을 갖기 때문에 동일한 종류의 다른 토큰과도 교환이 불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때, 일예로 복수개의 본 장치(100)들에 의해 이용되는 블록체인은 사전에 허가된 사용자들만이 이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일예로 본 시스템(1000)은 별도의 인증센터를 통해 인증서를 발급함으로써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는 사용자들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1000)에서는 본 시스템(10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들에 한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 및 트랜잭션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장치(100) 내 각 구성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0)은 본 장치(100)와 네트워크(5)를 통해 연계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0)은 사용자(1)에게 봉사활동 수행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0)에는 노인복지센터, 장애인복지센터, 아동복지시설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봉사활동을 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각종 기관, 기업, 시설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이라 함은,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0) 중 사용자(1)가 봉사활동을 수행한 어느 하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복수의 기업 자원(300)은 본 장치(100)와 네트워크(5)를 통해 연계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기업 자원(300)은 사용자(1)에게 사회보장서비스 관련 바우처의 발행을 수행하는 자원(기업), 즉 사회보장서비스 관련 바우처를 제공하는 자원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기업 자원(300)에는 사회적기업(일예로, 비영리단체 등),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참여기업(일예로, 기부지정단체, 일반기업 등)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회보장서비스 관련 바우처를 제공할 수 있는 각종 기관, 기업, 시설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1)가 봉사활동을 수행한 경우, 사용자(1)는 봉사활동 수행 시간에 대한 보상으로서 본 장치(100)로부터 바우처 토큰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기업 자원(300) 각각은, 봉사활동의 수행에 의해 바우처 토큰을 제공받은 사용자로부터 일부 바우처 토큰의 지불이 이루어진 경우(즉, 사용자가 자신이 소유한 바우처 토큰 중 일부 바우처 토큰을 기업 자원에게 지불한 경우), 지불에 응답하여 일부 바우처 토큰에 대응하는 사회보장서비스 관련 바우처를 사용자에게 발행(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400)은 본 장치(100)와 네트워크(5)를 통해 연계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400)은 사용자(1)에게 사회보장서비스(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400)에는 공공기관(일예로, 보건복지부 등), 준공공기관(일예로,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회복지협의회 등)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회보장서비스(사회복지 혜택)을 제공할 수 있는 각종 기관, 기업, 시설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일예로, 복수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400)에는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0) 중 적어도 일부가 포함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1)가 봉사활동을 수행한 경우, 사용자(1)는 봉사활동 수행 시간에 대한 보상으로서 본 장치(100)로부터 바우처 토큰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400) 각각은, 봉사활동의 수행에 의해 바우처 토큰을 제공받은 사용자로부터 일부 바우처 토큰의 지불이 이루어진 경우(즉, 사용자가 자신이 소유한 바우처 토큰 중 일부 바우처 토큰을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한테 지불한 경우), 지불에 응답하여 일부 바우처 토큰에 대응하는 사회보장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시스템(1000) 및 본 장치(100)는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0), 복수의 기업 자원(300) 및 복수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400)과 연계되어 사용자(1)에게 사회복지 관련 다양한 서비스(즉, 사회보장서비스,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바우처 토큰 등)를 제공할 수 있는바, 사회복지 거버넌스(governance)의 구축을 가능케 할 수 있다.
본 시스템(1000)에 포함된 각 구성들(즉, 본 장치, 사용자 단말,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 복수의 기업 자원, 복수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 간에는 네트워크(5)를 통해 연동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네트워크(5)는 일예로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무선통신 네트워크)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 시스템(1000) 및 본 장치(100)에서 제공 가능한 사회보장서비스(사회복지서비스)의 예로는 일예로 다음과 같은 서비스들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사회보장서비스에는 공공복지서비스(일예로, 기초생활수급, 기초연금, 장애연금, 차상위계층지원, 긴급지원, 소방청 안전지원 등), 보건서비스(일예로, 보건소 건강관리, 만성질환자 방문간호, 예방접종, 암의료비 지원 등), 복지 서비스(일예로, 노인요양원 연계 서비스, 치매지원서비스, 수송 서비스, 장애인복지서비스, 지역복지관서비스, 도시락/반찬 서비스, 확대예방 서비스, 사회보장서비스 제공자 및 자원봉사자 연결 서비스 등), 돌봄서비스(일예로, 노인장기요양, 장애인활동지원, 노인종합돌봄 등), 보훈복지서비스(일예로, 국가유공자등급 관련 서비스, 이동보훈서비스, 보훈섬김이 지원 서비스, 임종관련 서비스, 유공자 임대주택 관련 서비스 등), 의료지원서비스(일예로, 전화진료 상담 서비스, 복약 상담 서비스 등), 방문의료서비스(일예로, 방문 물리치료, 방문 인지 작업 치료, 가정간호, 가정호스피스 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시스템(1000)에 포함된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0), 기업 자원(300), 및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400)은 상술한 다양한 사회보장서비스와 적어도 하나 관련된 각종 기관, 기업, 시설 등(일예로, 주민센터, 중앙보훈병원,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장기요양재가센터,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역사회복지관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장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술히 설명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장치(100)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110), 블록 생성부(120), 토큰 생성부(130), 토큰 제공부(140) 및 인증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관리부(110)는 사용자(1)의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1)는 봉사활동을 수행하는 사용자로서, 봉사자, 봉사활동자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사회보장서비스의 제공 대상이 되는 사용자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관리부(110)가 등록/관리하는 사용자(1) 정보에는, 일예로 사용자 개인 ID 정보(즉, 사용자 개인의 고유 ID 정보) 및 토큰지갑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토큰지갑(혹은 지갑)이라 함은, 사용자(1)가 봉사활동을 수행했을 때 본 장치(100)가 사용자(1)에게 제공하는 토큰(바우처 토큰)을 저장/기록/보관할 수 있는 저장부(저장공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 정보에는 사용자(1)의 이름, 휴대폰 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사용자(1) 정보에는 후술하는 온라인 기반 인증을 위해 사용자(1)의 생체 인증 정보(일예로, 지문, 홍채정보 등)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정보 관리부(110)는 사용자(1)의 정보로서 개인 ID 정보, 토큰지갑(사용자 개인의 토큰지갑), 이름, 휴대폰 번호, 생체 인증 정보 등이 서로 연계(결합)되어 저장/관리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정보 관리부(110)는 사용자 단말(2) 혹은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으로부터 사용자 등록 요청이 이루어지면, 개인신분 인증을 통해 본인인증을 수행하고, 본인이 맞는 것으로 확인(인증)되면, 사용자(1)에 대응하는 토큰지갑을 생성하고 사용자 개인 ID 정보를 발급(즉, 지갑 생성을 통한 개인 ID 발급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일예로 개인 ID 발급은 통신사나 금융기관과 연계되어 그들을 경유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블록 생성부(120)는 사용자(1)가 봉사활동을 수행(참여)함에 따라 생성된 봉사활동 이력의 등록을 요청하는 등록 요청 신호가 발생한 경우, 등록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등록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봉사활동 이력에 관한 정보로는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가 고려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1)가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0) 중 어느 한 사회복지 일선기관으로서 노인복지센터에서 봉사활동을 수행했다고 하자. 이때, 사용자(1)가 봉사활동을 수행한 사회복지 일선기관은 본원에서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이라 지칭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0)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1)가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에서 20시간의 봉사활동을 수행했음이 인증되면,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은 본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1)가 수행한 봉사활동 이력(특히, 봉사활동 시간 이력)의 등록을 요청하는 등록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본 장치(100)의 블록 생성부(120)는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으로부터 봉사활동 이력의 등록을 요청하는 등록 요청 신호가 수신(발생)되면, 등록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1)가 20시간의 봉사활동을 정상적으로 수행했음에 대한 인증은, 후술하여 설명하는 세 단계의 인증 절차(즉, 온라인 기반 인증, 오프라인 기반 인증 및 블록체인 기반 인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블록 생성부(120)는 상술한 세 단계의 인증(검증) 절차를 거친 후, 상술한 세 단계의 인증(검증)에 이상이 없는 경우에 한하여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세 단계의 인증 절차를 위해 본 장치(100)는 인증부(1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블록 생성부(120)는 본 시스템(1000)에 연동(가입)되어 있는 서비스 가입 기관(즉, 사회복지 일선기관(노드))의 수에 따라 생성되는 블록의 수를 조정할 수 있다. 즉, 블록 생성부(120)는 노드 수에 따라 블록생성 수를 조정할 수 있다. 블록 생성부(120)에 의해 생성되는 블록은 블록체인 상의 블록을 의미할 수 있으며, 데이터(특히, 봉사활동 이력에 대응하는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를 담는 그릇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토큰 생성부(130)는 블록이 생성된 이후, 봉사활동 이력에 대응하는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를 고려하여 블록에 대응하는 토큰을 생성할 수 있다. 토큰 생성부(130)는 생성된 블록에 봉사활동 이력에 대응하는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상술한 일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행한 봉사활동 수행 시간으로서, 20시간을 의미함)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는 일예로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의 담당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토큰 생성부(130)는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가 저장된 블록을 토큰으로 변환함으로써 토큰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토큰 생성부(130)에 의해 생성된 토큰은 사용자(1)가 수행한 봉사활동 시간에 대한 가치를 토큰화한 것(즉, 토큰화함으로써 생성된 것)으로서, 대체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토큰 생성부(130)에 의해 생성된 토큰은 사회보장서비스의 제공 및 사회보장서비스 관련 바우처의 발행을 가능하게 하는 토큰화된 디지털 자산인 대체불가능 토큰일 수 있다. 달리 말해, 토큰 생성부(130)에 의해 생성된 토큰은 봉사활동 시간(봉사활동 수행 시간)을 고유값으로 하여 블록체인 상에 분산 저장되어 관리되는 디지털 자산인 대체불가능 토큰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토큰 생성부(130)는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일예로 20시간)가 저장된 블록을 토큰으로 변환시킴으로써 대체불가능 토큰을 생성할 수 있다.
대체불가능 토큰(NFT)은 토큰 1개당 가격이 같아 서로 거래 가능한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과는 달리, 블록체인 상에서 특정 토큰을 다른 토큰으로 대체하는 것이 불가능한 토큰을 의미한다. 대체불가능 토큰의 1개당 가치는 모두 다르며, 본 장치(100)는 봉사활동 시간이라는 정보를 블록체인 상에서 토큰화함으로써 봉사활동 시간에 대한 가치를 대체불가능 토큰으로 사용할 수 있다.
토큰 생성부(130)에 의해 생성되는 토큰(즉, 대체불가능 토큰)은 봉사활동 시간(봉사시간)의 가치저장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토큰(대체불가능 토큰)은 인증된 발행, 장기간 보관 사용, 위변조/훼손방지 등이 보장될 수 있다.
토큰 제공부(140)는, 토큰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토큰을 기반으로 사용자(1)에게 봉사활동의 수행에 대한 보상으로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인 바우처 토큰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토큰 제공부(140)는 바우처 토큰을 사용자(1)에 대하여 생성된 토큰지갑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토큰 제공부(140)는 바우처 토큰 제공부, 바우처 토큰 지급부, 보상 지급부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토큰 제공부(140)는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에 해당하는 봉사활동 시간 중 미리 설정된 비율(일예로, 25%)만큼을 보상 지급 기준으로 인정(즉, 봉사시간의 25%를 인정)하여, 미리 설정된 비율만큼에 해당하는 바우처 토큰을 보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원의 일예에서는 미리 설정된 비율(즉, 보상 지급 기준의 인정 비율)이 25%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미리 설정된 비율은 일예로 상장코인에 의해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장치(100)에서 고려되는 토큰 및 바우처 토큰은, 봉사활동 시간에 대한 가치를 토큰화한 것(토큰화함으로써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0)에서 고려되는 토큰 및 바우처 토큰은, 사회보장서비스의 제공 및 사회보장서비스 관련 바우처의 발행을 가능하게 하는 토큰화된 디지털 자산인 대체불가능 토큰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세 단계의 인증 절차(즉, 온라인 기반 인증, 오프라인 기반 인증 및 블록체인 기반 인증)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블록 생성부(120)는 봉사활동 이력의 등록을 요청하는 등록 요청 신호가 발생한 경우 등록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블록을 생성할 수 있는데, 이때 기 설정된 인증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장치(100)는 기 설정된 인증 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인증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인증 조건은, 사용자(1)의 개인 신분 인증과 관련된 온라인 기반 인증 조건 및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에 대응하는 노드들 간의 연동을 기반으로 한 블록체인 기반 인증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 설정된 인증 조건은 봉사활동 장소 인증과 관련된 오프라인 기반 인증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는 일예로 온라인 기반 인증 조건은 제1 인증 조건, 오프라인 기반 인증 조건은 제2 인증 조건, 블록체인 기반 인증 조건은 제3 인증 조건이라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블록 생성부(120)는 기 설정된 인증 조건으로서 제1 인증 조건 내지 제3 인증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 달리 말해 제1 인증 조건 내지 제3 인증 조건이 모두 이상이 없는 것으로 인증(검증, 판단)된 경우에 한하여,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인증 조건(온라인 기반 인증 조건)과 관련하여, 인증부(150)는 등록 요청 신호(사용자가 봉사활동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된 봉사활동 이력의 등록을 요청하는 등록 요청 신호)가 발생했을 때, 등록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1)가 실제 본인이 맞는지를 온라인을 통해 1차적으로 인증(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인증부(150)는 등록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일예로 통신사/금융기관으로 개인신분 인증요청을 함으로써, 통신사나 금융기관과 연계하여 신분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인증부(150)는 등록 요청 신호가 발생하면 사용자(1)로부터 본인확인정보(일예로, 이름, 휴대폰 번호, 생체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고, 금번 입력받은 본인확인정보가 사용자 정보 관리부(110)에 기 등록(저장)된 사용자(1)의 정보(일예로, 개인 ID 정보, 이름, 휴대폰 번호, 생체 인증 정보 등)와 매칭하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실제 본인이 맞는지를 온라인을 통해 1차적으로 인증(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금번 입력받은 본인확인정보와 기 등록된 사용자의 정보가 매칭하는 경우, 인증부(150)는 등록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1)가 실제 본인이 맞는 것으로 판단하여, 결과적으로 사용자(1)가 온라인 기반 인증 조건(제1 인증 조건)을 충족하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예로, 인증부(150)는 온라인 기반 인증 조건(제1 인증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등록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봉사활동 이력의 등록이 불가함을 통지하는 신호(알림)를 등록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기관(즉,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에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인증 조건(오프라인 기반 인증 조건)과 관련하여, 인증부(150)는 등록 요청 신호가 발생한 후 온라인 기반 인증 조건(제1 인증 조건)이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후 등록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1)가 실제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에서 봉사활동을 수행한 것이 맞는지를 2차적으로 인증(검증)할 수 있다. 이때, 인증부(150)는 제2 인증 조건의 충족 여부 판단시, 지리적 인증 조건 및 태깅 인증 조건을 충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지리적 인증 조건은, 사용자(1)의 위치와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의 위치가 서로 매칭하는지를 인증하는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지리적 인증 조건의 판단을 위해, 인증부(150)는 사용자(1)가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2)의 위치 정보(GPS 정보)와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의 위치 정보(주소나 지리적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반경, 일예로 200m) 범위 이내에 사용자 단말(2)의 위치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 인증부(150)는 사용자(1)가 오프라인 기반 인증 조건(제2 인증 조건) 내 지리적 인증 조건을 충족하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태깅 인증 조건은, 사용자(1)가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에 자체 부여된 고유 ID(기관 고유 ID 정보)를 오프라인 상에서 태깅했는지를 판단하여 사용자(1)가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의 위치에 위치하는지를 인증하는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태깅 인증 조건의 판단을 위해, 인증부(150)는 일예로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의 건물 내에서 제공하는 일예로 QR코드(이는 봉사수행 일선기관의 기관 고유 ID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QR코드를 의미함) 등을 사용자(1)가 자신이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2)을 이용해 태깅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태깅의 수행으로 인해, 사용자 단말(2)을 통해 식별 가능한 사용자(1)의 개인 ID 정보와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의 기관 고유 ID 정보 간의 매칭 인증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인증부(150)는 사용자(1)가 오프라인 기반 인증 조건(제2 인증 조건) 내 태깅 인증 조건을 충족하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일예에서는 태깅 인증 방식으로서 QR 코드 인증을 수행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NFC 등 다양한 무선통신 기반의 인증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을 포함한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0) 각각에 부여되는 고유 ID(기관 고유 ID 정보)는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0)이 본 시스템(1000)에 연동(가입)될 때 발급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인증부(150)는 오프라인 기반 인증 조건(제2 인증 조건)과 관련하여, 지리적 인증 및 태깅 인증(즉, 개인 ID와 기관 고유 ID 간 태깅을 통한 인증) 중 적어도 하나가 정상 인증된 경우, 결과적으로 사용자(1)가 오프라인 기반 인증 조건(제2 인증 조건)을 충족하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오프라인 기반 인증 조건(제2 인증 조건)은,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사용자(1)가 봉사활동을 수행하는 사회복지 일선기관인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의 기관 고유 ID 정보의 인식(태깅)이 이루어진 경우 및/또는 사용자(1)의 위치와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의 위치가 매칭하는 경우(즉,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충족하는 것으로 인증부(150)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통신이라 함은 일예로 RF(Radio Frequency)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비콘(Beacon) 통신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인증부(150)는 오프라인 기반 인증 조건(제2 인증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특히, 지리적 인증 조건 및 태깅 인증 조건 중 적어도 하나가 충족하지 않는 경우), 등록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봉사활동 이력의 등록이 불가함을 통지하는 신호(알림)를 등록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기관(즉,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에 제공할 수 있다.
제3 인증 조건(블록체인 기반 인증 조건)과 관련하여, 인증부(150)는 등록 요청 신호가 발생한 후 온라인 기반 인증 조건(제1 인증 조건)과 오프라인 기반 인증 조건(제2 인증 조건)이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후 블록체인을 이용해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에 대하여 3차적으로 인증(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증부(150)는 제3 인증 조건의 충족 여부 판단을 위해, 노드들(즉,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 각각에 대응하는 노드들,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의 회계프로그램들) 간에 블록체인을 통해 기관 고유 ID의 실시간 변조 연동(일예로, 암구호 방식)을 수행하고, 등록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봉사활동 이력(특히,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에 대한 탈중앙화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인증부(150)는 제3 인증 조건과 관련하여 노드 간 검증(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블록체인 기반 인증 방식 내지 탈중앙화 인증 방식은 종래에 기 공지되거나 향후 개발되는 인증 방식이 적용될 수 있는바,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인증부(150)는 블록체인 기반 인증 내지 탈중앙화 인증에 이상이 없으면, 결과적으로 사용자(1)가 블록체인 기반 인증 조건(제3 인증 조건)을 충족하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예로, 인증부(150)는 블록체인 기반 인증 조건(제3 인증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등록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봉사활동 이력의 등록이 불가함을 통지하는 신호(알림)를 등록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기관(즉,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에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인증부(150)는 등록 요청 신호가 발생하면, 등록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1)가 기 설정된 인증 조건(즉, 온라인 기반 인증 조건, 오프라인 기반 인증 조건, 및 블록체인 기반 인증 조건)을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인증(검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인증 조건 내지 제3 인증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블록 생성부(120)는 등록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본원의 일예에서는 기 설정된 인증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의 판단함에 있어서, 제1 인증 조건 → 제2 인증 조건 → 제3 인증 조건의 순으로 인증 절차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는 다른 일예로 제2 인증 조건 → 제1 인증 조건 → 제3 인증 조건의 순으로 인증 절차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밖에 상술한 세 단계의 인증 절차의 순서는 변경 가능하다.
본 시스템(1000) 및 본 장치(100)는, 봉사(봉사활동)의 가치를 시간의 보상으로 전환 가능토록 할 수 있는바, 봉사시간의 저축을 통해 사회보장서비스(사회보장혜택)를 받을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본 시스템(1000) 및 본 장치(100)는 연금 등의 사회보장제도의 한정적인 재원을 시간으로 보완할 수 있으며, 또한, 봉사시간을 블록체인으로 저장, 양도가 가능한 검증된 디지털 바우처(바우처 토큰)로 만들어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100)가 바우처 토큰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우처 토큰을 제공하는 과정은 앞서 설명된 본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본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바우처 토큰을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예로 봉사활동 시간 이력의 등록을 위해, 사용자(1)는 사용자 단말(2)을 이용해 본 장치(100)로 가입신청(S201)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본 장치(100) 내 사용자 정보 관리부(110)는 통신사/금융기관에 대하여 개인신분 인증요청(S202)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통신사/금융기관으로부터 사용자(1)에 대한 신분 인증(S203)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사 혹은 금융기관에서는 사용자(1)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2)의 전화번호나 공인인증서 등을 통해 사용자(1)에 대한 인증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신분 인증(S203)이 확인되면(즉, 사용자 본인임이 확인되면), 사용자 정보 관리부(110)는 가입신청(S201)의 응답으로서, 사용자(1) 혹은 사용자 단말(2)에 대하여 개인 ID를 생성(S204)하여 발급(제공)하고, 사용자(1)에 대응하는 토큰지갑(11)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신분 인증(S203)이 확인되면, 사용자 정보 관리부(110)는 사용자(1)에 대응하는 토큰지갑(11)을 생성하고 사용자 개인 ID 정보를 발급(즉, 지갑 생성을 통한 개인 ID 발급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관리부(110)는 가입된 사용자(1)의 정보로서 개인 ID 정보, 토큰지갑(사용자 개인의 토큰지갑), 이름, 휴대폰 번호, 생체 인증 정보 등을 서로 연계(결합)하여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1)가 가입된 상태에서, 일예로 사용자(1)가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0) 중 어느 하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1)에서 봉사활동을 수행한 경우, 해당 어느 하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1)은 설명의 편의상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이라 지칭될 수 있다.
사용자(1)가 수행한 봉사활동에 대한 봉사활동 이력(특히,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를 등록하기 위해, 사용자(1)는 일예로 봉사장소(봉사활동 장소)인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의 건물 내 일영역에 마련된 QR코드(오프라인 상 QR 코드, 12)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QR 코드 인증에 대한 설명은 앞서 오프라인 기반 인증 조건(제2 인증 조건) 중 태깅 인증 조건에 대한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했으므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인증부(150)는 QR 코드(12) 인증을 통해 사용자(1)가 제2 인증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로 판단되면, 다음으로 일예로 제1 인증 조건을 충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인증부(150)는 제2 인증 조건과 제2 인증 조건(온라인 기반 인증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3 인증 조건(블록체인 기반 인증 조건)을 충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인증부(150)는 제3 인증 조건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본 장치(100)와는 다른 노드들(101, 102, 103, …), 즉 봉사수행 일선기관(201) 외 다른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 각각에 대응하는 노드들(101, 102, 103, …) 간의 검증(블록체인 기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인증 조건 내지 제3 인증 조건이 모두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블록 생성부(120)는 등록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등록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블록(13)을 생성할 수 있다. 블록(13)이 생성되면, 토큰 생성부(130)는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의 담당자에 의해 제공되는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를 블록(13)에 저장(S205)할 수 있다. 이후 토큰 생성부(130)는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가 저장(기록)된 블록을 토큰으로 변환시킴으로써 대체불가능 토큰(NFT, 14)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토큰 제공부(140)는 토큰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토큰(즉, 대체불가능 토큰)을 토대로, 사용자(1)에게(특히, 사용자에 대응하는 토큰지갑(11)으로) 봉사활동의 수행에 대한 보상으로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인 바우처 토큰을 제공(S206)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201 내지 S206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1000)의 동작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동작 흐름은 앞서 설명된 본 시스템(10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바,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본 시스템(10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3에 도시된 동작 흐름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1)는 봉사활동을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봉사자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고, 이는 개인 혹은 단체일 수 있다. 사용자(1)가 본 장치(100)에 대하여 가입 신청하여 신분 인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본 장치(100)는 사용자(1)에 대응하는 토큰지갑(11)을 생성할 수 있다. 즉, 토큰지갑(11)은 사용자(1) 개인용 토큰지갑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1)는 일예로 공익캠페인 등의 홍보를 보고 사회복지 일선기관(201, 봉사수행 일선기관)에서 공공 봉사활동을 수행(제공)할 수 있다(S301). 사용자(1)가 봉사활동의 수행을 완료하면, 사회복지 일선기관(201)에서는 사용자(1)의 봉사활동 이력의 등록을 요청하는 등록 요청 신호를 본 장치(100)로 제공(요청)할 수 있다. 이후, 본 장치(100)는 기 설정된 인증 조건을 충족하는지 판단하고, 충족하면 사회복지 일선기관(201)으로부터 제공받은 등록 요청 신호를 토대로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를 생성된 블록에 저장(기록, 등록)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0)는 기 설정된 인증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회복지 일선기관(201)으로부터 제공받은 봉사활동 이력 정보(특히,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를 블록에 저장(등록)할 수 있다(S302). 본 장치(100)는 블록에 저장되는 사용자(1)의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블록에 봉사활동 이력 정보가 등록되면(S302), 그에 대한 보답으로서 본 장치(100)는 사회복지 일선기관(201)에 대하여 대행 수수료로 토큰을 지급할 수 있다(S303). 사회복지 일선기관(201)이 본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토큰은 사회복지 일선기관(201)에 대응하도록 기 생성된 토큰지갑(즉, 일선기관 지갑, 15)에 저장되고 관리될 수 있다. 사회복지 일선기관(201)과 본 장치(100) 간에는 인증기관/외부감사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장치(100)는 토큰생성엔진인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가 저장(기록)된 블록을 토대로 해당 블록에 대응하는 토큰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토큰이 생성될 때 발행 수수료(토큰)(S305)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본 장치(100)에 의해 기 생성된 수수료지갑(16)에 저장될 수 있다.
사회복지 일선기관(201)과 본 장치(100) 간에는 토큰 환매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회계프로그램 사용료를 제하고 토큰 환매가 이루어질 수 있다. 토큰 환매로 인해 발생되는 토큰은 수수료지갑(16) 및 일선기관 지갑(15) 각각에 저장되고 관리될 수 있다.
토큰 생성 이후, 본 장치(100)는 생성된 토큰을 기반으로 사용자(1)에게(특히, 사용자에 대응하는 토큰지갑(11)으로) 보상을 지급(S304)할 수 있다.
이때, 단계S304에서, 본 장치(100)는 봉사활동의 수행에 대한 보상으로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인 바우처 토큰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S304에서, 본 장치(100)는 예시적으로 봉사활동 시간의 25%를 인정하여 그에 상응하는 바우처 토큰을 보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인정 비율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추후 상장코인에 의해 가변적으로 조절되거나 혹은 본 시스템(1000)의 관리자(사용자)에 의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1)는 자신이 봉사활동을 행함에 따라 그에 대한 보상으로 바우처 토큰을 본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고, 제공받은 바우처 토큰은 사용자 자신의 토큰지갑(11)에 저장(보관)될 수 있다.
사용자(1)는 토큰지갑(11)에 저장된 바우처 토큰을 사회보장서비스를 제공받거나 혹은 사회보장서비스 관련 바우처를 제공받는 데에 사용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타 사용자에게 양도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기업 자원(300)에는 일예로 사회적기업(301)(일예로, 비영리단체 등), ESG 참여기업(302)(일예로, 기부지정단체, 일반기업 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기업 자원(300)(301, 302)은 바우처몰을 입점시키고 바우처몰을 통해 토큰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1)는 자신의 토큰지갑(11)에 저장된 바우처 토큰 중 적어도 일부의 바우처 토큰을 일예로 사회적기업(301)이 제공하는 바우처몰(301')에 지불(S306)할 수 있다. 바우처 토큰 지불(S306)에 응답하여 사용자(1)는, 바우처몰(301')로부터 지불된 바우처 토큰에 대응하는 사회보장서비스 관련 바우처(일예로, 쿠폰 등)을 제공(발행)받을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1)가 토큰(바우처 토큰)을 지불(S306)하는 행위를 통해, 사회적기업(301)은 토큰 수익을 낼 수 있으며, 벌어들인 토큰을 사회적기업(301)과 관련된 실수요자(301'')의 토큰지갑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는 복수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400) 중 어느 하나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에 대하여 바우처 토큰을 지불(S307)할 수 있다. 토큰 지불(S307)에 응답하여, 사용자(1)는 지불된 바우처 토큰에 대응하는 사회보장서비스(즉, 사회복지서비스)(17)를 어느 하나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본 장치(100)는 일예로 수수료지갑(16)에 저장된 토큰을 이용하여 ESG 참여기업(302)과 B2B(Business to Business) 거래를 수행(S308)할 수 있다. ESG 참여기업(302)은 바우처몰(302')을 입점시켜 해당 바우처몰(302')을 통해 토큰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ESG 참여기업(302)은 벌어들인 토큰을 이용해 ESG 참여기업(302)과 관련된 실수요자(302'')에게 바우처, 바우처 토큰, 세제혜택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ESG 참여기업(302)과 관련된 실수요자(302'') 및 사회적기업(301)과 관련된 실수요자(301'')를 포함한 모든 사용자들은, 사용자(1)와 마찬가지로 토큰(바우처 토큰)을 지불하는 경우(S309) 복수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400)으로부터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회보장서비스(사회복지서비스, 17)를 제공받을 수 있다(S310).
이에 따르면, 본 시스템(1000)은 사용자(1)에게 바우처 토큰을 발급할 수 있으며, 바우처 토큰을 토대로 사용자(1)에게 사회보장서비스와 사회보장서비스 관련 바우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시스템(1000)에 의하면, 사용자(1)(즉, 봉사자, 봉사활동자)들은 봉사활동 제공에 따른 바우처 토큰을 수입으로 얻을 수 있고, 사회보장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는 자신의 바우처 토큰을 양도할 수 있는바, 양도문화를 통해 사회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1000)에 의하면,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0)들은 봉사활동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고, 수수료 토큰 환매에 따른 민간기부금을 할당할 수 있으며, 사회복지 거버넌스를 구축할 수 있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1000)에 의하면, 복수의 기업 자원(300)(특히, ESG 기업)들은 기업이미지를 제고하고, 세제혜택이 가능하며, 임직원 바우처 제공에 따른 복지혜택의 다각화에 기여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301 내지 S310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1000)에서 제안하는 바우처 발행 기법과 기존의 지역화폐 발행 기법 간의 차이를 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블록체인 NFT 바우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1000)에서 제안하는 기법으로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즉, 바우처 토큰) 발행 기법을 의미한다. 반면, 도 4에 도시된 '블록체인 지역화폐'는 기존의 지역화폐 발행 기법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전자를 본 제안 기법이라 지칭하고, 후자를 기존 기법이라 지칭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제안 기법과 기존 기법 간에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제안 기법은 사회보장서비스 암호화 바우처(즉, 암호화 바우처 토큰)를 발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반면, 기존 기법은 사회복지예산 대체 암호화 화폐를 발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참여 형태의 경우, 본 제안 기법은 서비스 가입 사회복지 일선기관이 참여하는 형태인 반면, 기존 기법은 지방자치단체가 참여하는 형태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발행주체의 경우, 본 제안 기법은 봉사활동 제공자(즉, 일예로 사회복지 일선기관 등)인 반면, 기존 기법은 지자체로부터 승인 및 허가된 사업주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투입 자원의 경우, 본 제안 기법은 봉사활동 시간인 반면, 기존 기법은 사회복지 예산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본 제안 기법에서는 노드(분산원장)가 본 시스템(10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가입된 사회복지 일선기관(즉, 서비스 가입 사회복지 일선기관)으로서 자체 개발 회계세무 관리프로그램이 설정되는 반면, 기존 기법은 불특정으로 설정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본 제안 기법에서는, 암호화 및 인증을 수행함에 있어서 1차 온라인 신원 인증(지갑생성), 2차 오프라인 장소인증(체크인관리), 및 3차 블록체인 내 검증을 수행(즉, 제1 인증 조건 내지 제3 인증 조건에 대한 충족 여부를 판단)하는 반면, 기존 기법에서는 1차 온라인 신원인증(지갑생성) 및 2차 블록체인 내 검증만 수행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본 제안 기법에서는 봉사활동시간 이력이 저장되는 블록이 활용되는 반면, 기존 기법에서는 거래내역이 들어간 블록이 활용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본 제안 기법에서는 최초발행물로서 대체불가능 토큰을 제공하는 반면, 기존 기법에서는 최초발행물로서 암호화폐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본 제안 기법은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을 사용자(1)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제안 기법은 사용 범위가 서비스 생태계 내로 설정되는 반면, 기존 기법은 지자체 행정관할구역 내로 설정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본 제안 기법은 발행되는 대체불가능 토큰이 사회보장서비스를 결제하는 수단으로서 활용되는 반면, 기존 기법에서는 발행되는 암호화폐가 지역 현물 결제대행 및 사회복지보상의 수단으로 활용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방법은 앞서 설명된 본 장치(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본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S11에서 사용자 정보 관리부는 사용자의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2에서 블록 생성부는, 사용자가 봉사활동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된 봉사활동 이력의 등록을 요청하는 등록 요청 신호가 발생한 경우, 등록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단계S12에서 블록 생성부는, 기 설정된 인증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인증 조건은, 사용자의 개인 신분 인증과 관련된 온라인 기반 인증 조건 및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에 대응하는 노드들 간의 연동을 기반으로 한 블록체인 기반 인증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인증 조건은, 봉사활동 장소 인증과 관련된 오프라인 기반 인증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프라인 기반 인증 조건은,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봉사활동을 수행하는 사회복지 일선기관인 봉사수행 일선기관의 기관 고유 ID 정보의 인식(태깅)이 이루어진 경우 및/또는 사용자의 위치와 봉사수행 일선기관의 위치가 매칭하는 경우에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3에서 토큰 생성부는, 봉사활동 이력에 대응하는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를 고려하여 단계S12에서 생성된 블록에 대응하는 토큰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4에서 토큰 제공부는, 단계S13에서 생성된 토큰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봉사활동의 수행에 대한 보상으로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인 바우처 토큰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단계S13 및 단계S14에서 고려되는 토큰 및 바우처 토큰은, 봉사활동 시간에 대한 가치를 토큰화한 것일 수 있다. 또한, 토큰 및 바우처 토큰은, 사회보장서비스의 제공 및 사회보장서비스 관련 바우처의 발행을 가능하게 하는 토큰화된 디지털 자산인 대체불가능 토큰일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내지 S14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
1: 사용자 2: 사용자 단말
100: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
110: 사용자 정보 관리부 120: 블록 생성부
130: 토큰 생성부 140: 토큰 제공부
150: 인증부
200: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
300: 복수의 기업 자원
400: 복수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

Claims (7)

  1.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로서,
    사용자의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
    상기 사용자가 봉사활동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된 봉사활동 이력의 등록을 요청하는 등록 요청 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등록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블록을 생성하는 블록 생성부;
    상기 봉사활동 이력에 대응하는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블록에 대응하는 토큰을 생성하는 토큰 생성부;
    생성된 상기 토큰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봉사활동의 수행에 대한 보상으로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인 바우처 토큰을 제공하는 토큰 제공부; 및
    봉사활동을 정상적으로 수행했음에 대한 인증을 제공하는 인증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토큰 및 상기 바우처 토큰은, 봉사활동 시간에 대한 가치를 토큰화한 것이며
    상기 블록 생성부는, 기 설정된 인증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블록을 생성하되,
    상기 기 설정된 인증 조건은, 사용자의 개인 신분 인증과 관련된 온라인 기반 인증 조건 및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에 대응하는 노드들 간의 연동을 기반으로 한 블록체인 기반 인증 조건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기 설정된 인증 조건은, 봉사활동 장소 인증과 관련된 오프라인 기반 인증 조건을 더 포함하되,
    상기 오프라인 기반 인증 조건은,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봉사활동을 수행하는 사회복지 일선기관인 봉사수행 일선기관의 기관 고유 ID 정보의 인식이 이루어진 경우 또는 사용자의 위치와 상기 봉사수행 일선기관의 위치가 매칭하는 경우에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상기 사용자의 위치와 봉사수행 일선기관의 위치가 서로 매칭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인증부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봉사수행 일선기관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봉사수행 일선기관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이내에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및 상기 바우처 토큰은, 사회보장서비스의 제공 및 사회보장서비스 관련 바우처의 발행을 가능하게 하는 디지털 자산인 대체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인 것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으로서,
    제1항의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
    상기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사용자에게 봉사활동 수행 환경을 제공하는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
    사회보장서비스 관련 바우처의 발행을 수행하는 복수의 기업 자원; 및
    사회보장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기업 자원 각각은, 봉사활동의 수행에 의해 바우처 토큰을 제공받은 사용자로부터 일부 바우처 토큰의 지불이 이루어진 경우, 지불에 응답하여 일부 바우처 토큰에 대응하는 사회보장서비스 관련 바우처를 상기 사용자에게 발행하고,
    상기 복수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 각각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일부 바우처 토큰의 지불이 이루어진 경우, 지불에 응답하여 일부 바우처 토큰에 대응하는 사회보장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
  6. 제1항의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를 통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방법으로서,
    (a) 사용자 정보 관리부에서, 사용자의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단계;
    (b) 블록 생성부에서, 상기 사용자가 봉사활동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된 봉사활동 이력의 등록을 요청하는 등록 요청 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등록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c) 토큰 생성부에서, 상기 봉사활동 이력에 대응하는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블록에 대응하는 토큰을 생성하는 단계; 및
    (d) 토큰 제공부에서, 생성된 상기 토큰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봉사활동의 수행에 대한 보상으로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인 바우처 토큰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토큰 및 상기 바우처 토큰은, 봉사활동 시간에 대한 가치를 토큰화한 것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방법.
  7. 제6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10108770A 2021-08-18 2021-08-18 참여보상형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 KR102506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770A KR102506368B1 (ko) 2021-08-18 2021-08-18 참여보상형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770A KR102506368B1 (ko) 2021-08-18 2021-08-18 참여보상형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761A KR20230026761A (ko) 2023-02-27
KR102506368B1 true KR102506368B1 (ko) 2023-03-03

Family

ID=85329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770A KR102506368B1 (ko) 2021-08-18 2021-08-18 참여보상형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636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42345A1 (en) * 2014-06-06 2016-02-11 Tyson Kopczynski Token-based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non-cash payments without us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data
KR102095944B1 (ko) * 2019-10-23 2020-04-01 박성집 봉사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봉사 인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760A (ko) * 2010-07-09 2012-01-17 하용진 전자 쿠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92033A (ko) * 2019-01-24 2020-08-03 지쉐어몰 주식회사 기업의 사회적 공헌(csr) 활동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공동체 공유경제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KR102196001B1 (ko) * 2019-05-31 2020-12-29 주식회사 구하다 블록체인 기반의 쇼핑몰에서 커뮤니티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42345A1 (en) * 2014-06-06 2016-02-11 Tyson Kopczynski Token-based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non-cash payments without us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data
KR102095944B1 (ko) * 2019-10-23 2020-04-01 박성집 봉사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봉사 인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761A (ko) 202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12447A1 (en) Network node authentication
US11354672B2 (en) System for secure routing of data to various networks from a process data network
Ahmad et al. Mobile money, financial inclusion and development: A review with reference to African experience
US11423374B2 (en) Application of dynamic tokens
US20170244721A1 (en) System for providing levels of security access to a process data network
US20150254658A1 (en) Limiting token collaboration network usage by token
US2015027882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ecuting cryptographically secure transactions using voice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KR102469533B1 (ko) 페이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페이 서비스 방법
US201803225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Healthcare Donations using a Private Distributed Ledger
WO2016076934A2 (en) Verification system for secure transmission in a distributed processing network
US20150254663A1 (en) Token usage scaling based on determined level of exposure
US201803225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electronic transactions
US20150254657A1 (en) Limiting token collaboration network usage by user
Lacity et al. The quiet corner of Web3 that means business
Bhardwaj et al. Direct benefit transfer using Aadhaar: improving transparency and reducing corruption
Sun et al. Some Lessons from Asian E-Money Schemes for the Adoption of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Dubey et al. Blockchain technology: a solution to address the challenges faced by the international travellers
KR102506368B1 (ko) 참여보상형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
US2023023760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urchasing and commercializing real estate
WO2014013437A2 (en) Transactional account repository
US11748807B1 (en) Community-based digital transaction authentication
Lo et al. OneFeather mobile wallet: A digital solution for Indigenous peoples in Canada?
Song et al. Mobile core-banking server: Cashless, branchless and wireless retail banking for the mass market
KR102578172B1 (ko) 심리상담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230019045A1 (en) Systems and methods of facilitating trading a stored value card using blockch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