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2033A - 기업의 사회적 공헌(csr) 활동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공동체 공유경제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 Google Patents

기업의 사회적 공헌(csr) 활동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공동체 공유경제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2033A
KR20200092033A KR1020190009050A KR20190009050A KR20200092033A KR 20200092033 A KR20200092033 A KR 20200092033A KR 1020190009050 A KR1020190009050 A KR 1020190009050A KR 20190009050 A KR20190009050 A KR 20190009050A KR 20200092033 A KR20200092033 A KR 20200092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nation
donations
community
blockchain
mar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영
Original Assignee
지쉐어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쉐어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쉐어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9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2033A/ko
Publication of KR20200092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0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7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업의 사회적 공헌(CSR) 활동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공동체 공유경제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이다.
블록체인 기반의 공동체 공유경제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은
하나. 신원이 보장된 소속 직원간에 각자의 유휴자원을 공유 및 판매를 통해 기부금을 적립할 수 있다.
둘. 적립된 기부금은 정해진 시간에 소속 기업(공동체)의 명의로 제휴된 기부단체 및 기부 수혜자에게
직접 기부 집행을 할 수 있다.
셋. 기부단체 및 기부 수혜자는 기부 집행 증명서를 발급할 수 있다.
넷. 기부금 적립으로부터 기부금 집행의 모든 이력은 블록체인의 분산원장에 기록할 수 있다.
다섯. 네트워크 참여자에게 분산원장에 기록된 정보를 공개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유휴자원의 기부금 적립에서부터 기부금 집행의 모든 이력에 대한 기록 정보 공개까지 이뤄지는 블록체인 기반의 공동체 공유경제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은 투명하고 신뢰성 있는 사회공헌 활동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기업의 사회적 공헌(CSR) 활동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공동체 공유경제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Community shared economy platform Business model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lity (CSR)}
Blockchain Technology, Token Incentive Algorism Based Smart Contract 기반의 전자상거래 기술
본 발명은 전자상거래 기술과 Blockchain Technology, Token Incentive Algorism Based Smart Contract 등을 이용하여 신원이 보장된 소속 직원간에 각자의 유휴자원을 공유 및 판매를 통해 기부금을 적립하도록 하고 적립된 기부금은 정해진 시간에 소속 기업(공동체)의 명의로 제휴된 기부단체 및 기부 수혜자에게 직접 기부 집행 되며, 기부단체 및 기부 수혜자는 기부 집행 증명서를 발급하게 되고, 기부금 적립으로부터 기부금 집행의 모든 이력은 블록체인의 분산원장에 기록 되어 네트워크 참여자에게 그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여 신뢰성 있는 사회공헌 활동을 보장하며 네트워크 참여자는 플랫폼으로부터 기부금액 및 플랫폼 성장 공헌도 가중치를 근간으로 한 암호화폐 토큰을 활동 보상으로 제공 받고 이를 통해 다시 공유 경제 활동을 영위하도록 하는 기업의 사회적 공헌(CSR )활동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공동체 공유경제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공헌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이는 단순히 매출 증대 효과 뿐만 아닌 기업 생존의 문제로까지 대두 되고 있으며, 이에 많은 기업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사회적 공헌 활동 이력을 쌓고 홍보 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기부 단체의 투명하지 못한 기부금 집행 사례로 인해 기부 행위 및 기부 모금액은 매년 크게 위축되고 있다.
대한민국은 세계 11위의 경제 규모를 가지고 있지만 세계기부지수 측면에서 살펴보면 “영국자선지원재단(Charities Aid Foundation)”에서 발표한 '세계기부지수2017'에 의하면34%로 조사대상국 139개국 중 불과 62위에 그쳤다. 이 지수는 전 세계 주요 139개국에서 1000명을 인터뷰해 1년동안 낯선 사람을 도와준 비율, 기부 경험의 비율, 자원봉사시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뒤 산출한 점수다.
CAF 세계기부지수에서 4년연속 미얀마가 1위(65%)를 차지했으며, 2위는 인도네시아(60%), 3위는 케냐(60%), 우리나라는 62위(34%), 일본은 111위(24%), 중국은 138위(14%), 예멘이 최하위(13%)를 차지했다.
특히 최근 불거진 기부단체 횡령 비리 사건과 어금니 아빠사건등으로 인하여 기부단체 및 기부활동에 대한 불신이 팽배하면서 기부 활동에 대한 신뢰도는 하락하는 추세이다.
또 한편으로 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 전세계 시장 규모는 점차 확대되고 있는 상황인데 온/오프라인 포함 중고차 부분을 제외하고도 미국의 경우 “Warburg Pincus’s MD Justin Sadrian”에 의하면 2017년 기준 $300Billion(한화기준 약 300조원), 중국의 경우 “Data analysis agency CBNData”에 의하면 2014년 기준 400Billion 위안(한화기준 약 55조원), 일본의 경우 “요미우리 신문”에 의하면 2016년 기준 약 26조 2800억원, 영국의 경우 “IBISWorld”에 의하면 2017년 기준 2Billion 유로(한화기준 약 2조 5600억원)의 시장 규모를 가지고 있다.
기술적인 발전을 살펴보면 탈중앙화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2018년 4월 삼성증권의 배당금 오류 사건을 계기로 탈중앙화된 합의구조가 존재했다면 그러한 사고를 막을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블록체인 & 분산원장은 기존 특정한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를 관리하던 방식에서 데이터들을 체인 형태의 연결고리 기반 분산 데이터 저장환경에 저장하여 누구라도 임의로 수정할 수 없고 누구나 변경의 결과를 열람할 수 있는 분산 컴퓨팅 기술 기반의 데이터 대변 방지 기술로서 거래의 투명성을 보장할 수 있다.
최근 중고거래 시장이 활성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사기 거래로 인해 거래 당사자는 직거래 방식을 선호하게 되고 이는 거래 편의성 저하로 귀결되어 새로운 시장 참여자를 확대 수용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으며 일련의 기부단체들의 기부금 횡령사건으로 인한 기부단체에 대한 불신이 개인과 기업의 기부 활동 위축으로 귀결되고 있는 반면에 기업의 사회적 공헌(CSR) 활동은 전세계적으로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는 상반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1) 신뢰와 거래 편의성이 확보된 새로운 중고거래 플랫폼을 제시하고, 2) 새로운 시장 참여자를 견인 할 수 있는 동기 부여 요소를 제공하고, 3) 개인의 유휴자원을 단순 판매만이 아닌 공유 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기능을 확장하고, 4) 일상 속에서 개인과 기업의 기부활동(CSR)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다양한 기부방식을 적용하고, 5) 기부 프로세서의 투명성 확보를 보장 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신원이 보장된 시장 참여자(기업 직원, 또는 공동체 소속원)을 기반으로 마켓을 구성하도록 하여 사기 거래 시 바로 신원을 확보가 가능하도록 하여 심리적 사기거래 시도를 사전 방지하고, 지리적으로 같은 공간에서 근무하는 사용자간의 거래 시 거래의 편의성을 확보한다.
본 발명은 단순히 판매만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공유를 통해 자원의 재활용도를 높이고 유휴자원의 판매 및 공유활동 통해 발생된 수익금 일부 또는 전부를 소속 회사명의로 기부금을 적립하여 지정된 기부단체에 기부하게 함으로서 기업은 자연스럽게 사회적 공헌활동을 실행 하게 되며 이 모든 과정은 블록체인의 분산원장에 기록되고 열람 할 수 있게 됨으로써 기부 프로세서의 투명성을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공되는 기부 네트워크 플랫폼 참여자에게 보상으로 암호화폐를 부여하여, 기부 활동에 대한 동기를 제고하고 이를 통해 다시 공유 경제 활동을 영위하도록 한다.
버려지거나 단순 소모될 수 있는 유휴자원을 거래하거나 공유하도록 하여 활용을 극대화하고 이를 통해 발생한 재화는 기부를 통해 사회적으로 재분배 함으로써 선순환 나눔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다.
각 사회적 참여자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사용자 측면(기업 또는 공동체 소속원)에서는 가치 있는 소비를 실현할 수 있고 안전하고
편리한 중고 거래 및 공유 실현이 가능한 새로운 기부활동이 가능하다.
2) 고객 측면(기업 또는 공동체)에서는 소속원들의 자발적 기부 활동을 장려함으로써
기업 독자적인 기부 문화에서 상시적이며 함께 참여하는 기부문화로 패러다임을 전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회적 공헌 실현, 기업 이미지 제고 및 세제 혜택 등의 효과를 가져갈 수 있다.
3) 기부 단체로서는 상시적인 새로운 기부 모금 방법을 통해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자금 유입을 통해 사회적 약자를 지원할 수 있는 동력을 얻을 수 있으며, 기부금 모집활동을 위한 광고선전비 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다.
4) 사회적 가치로는 일상 생활 속에서 투명한 나눔과 기부 문화를 정착시키고, 자원 재활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기업 또는 공동체의 자발적 활동을 통해 기부금의 적립에서 부터 집행까지의 관계를 도식화 한 것이며,
도 2는 기부네트워크 참여 노드 외의 외부 감사 보증 노드를 구성함으로써 거래의 투명성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론에 대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서 참여자가 회원 가입을 하기 위해서 소속 집단의 이메일 계정을 등록하면 해당 사용자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임의의 난수를 사용자 등록 이메일 계정으로 전송하고 사용자는 전달 받은 메일 내용의 난수를 회원 가입 항목에 입력함으로써 신원이 확보된 사용자로서의 효력을 인정받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회원 가입이 완료된 사용자는 회원 가입시 등록한 이메일 계정을 통해서 자동으로 기업 또는 공동체의 일원으로 소속이 되며 해당 집단의 마켓에서 활동이 가능하게 한다.
회원으로서의 사용자는 유휴 자원의 판매 또는 공유 목적으로 상품을 등록가능하며 이때 기부 요율을 설정함으로써 구매자로부터 나눔에 대한 의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며 구매자의 구매 행위를 유발할 수 있게 한다.
구매 행위가 발생하게 되면 기업 또는 공동체가 설정해 놓은 기부 단체의 적립처로 자동으로 기업 또는 공동체의 명의로 기부금이 전송되게 되며 이를 통해 별도의 기부 행위 없이 자연스러운 유휴자원을 통한 전자상거래를 통해 기부 활동을 영위할 수 있게 한다.
기부 단체는 적립된 기부금을 적법한 절차에 따라 투명하게 집행을 하고 그 집행 내역을 기부증명서의 형태로 발급할 수 있도록 한다.
구매 행위로부터 기부증명서의 발급까지의 모든 내역은 네트워크 외부에 감사 보증 노드를 통해 투명하게 거래의 투명성을 보장하는 블록체인의 분산원장에 기록되게 되며 네트워크 참여자들은 자유로이 해당 거래 내역 및 기부증명서에 대해 열람이 가능하게 한다.
투명한 기부 행위에 참여한 사용자들에게는 참여 보상시스템 알고리즘에 따라 일정량의 암호화폐가 보상으로 지급되게 되며 이를 통해 기부에 대한 활동에 대한 동기를 부여 받으며 지급 받은 암호화폐를 통해 기부 네트워크 내에서의 상거래 활동 또는 또 다른 기부 활동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한다.
일련의 과정에 대한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부 네트워크 외부 감사 보증 노드를 두어 운영중인 네트워크상의 정보에 대한 분산 원장을 보유함으로써 별도로 네트워크에 진입하지 않고도 시공간의 제약 없이 감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플랫폼을 제공하는 대가로 기업 또는 공동체에게는 정기적으로 플랫폼 사용료를 지불하게 하여 기업 또는 공동체의 소속원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축한다.

Claims (4)

  1. - 마켓을 구성함에 있어 기업(공동체)을 기준으로 하나의 마켓으로 세분화하는 방법
    - 마켓에 참여하는 구성원을 확인함에 있어 회사 전자 메일 주소를 이용하여 사용자 신원을 보장하는
    방법
    - 기업 단위로 세분화 된 마켓 규모의 확장을 위해 오픈마켓(세분화된 기업 마켓의 총집합)과 연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 기업(공동체)의 소속 구성원끼리의 유휴자원 공유 및 판매 수익 일부분 또는 전액을 기부 적립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 적립된 기부금은 각 기부단체에서 유한한 시간 동안 모금 활동을 진행하는 기부 프로젝트에 소속 기업(공동체)의 명의로 직접 기부 집행되는 방법
    - 기부금을 수신하는 기부단체 및 기부 수혜자는 기부 집행 증명서를 발급하여 기부의 투명성을 제고하는 방법
  2. 1항에 있어서,
    기부금 적립으로부터 기부 집행 증명서를 발급하는 모든 행위 절차에 대하여 블록체인의 분산원장에 기록하고, 기부 네트워크 참여자에게 그 정보를 공개할 수 있는 방법
  3. 기부를 위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함에 있어 투명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외부의 네트워크에 거래의 내용을 증명할 수 있는 보증 노드(endorser node)를 구성하는 방법
  4. 기부 네트워크 참여자의 자율적 활동 참여를 제고하기 위해 기부금액 및 플랫폼 성장 공헌도 가중치를 근간으로 한 암호화폐 토큰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플랫폼 내 상품 거래의 대금 지급 수단 또는 플랫폼에서 운영하는 이벤트 몰의 상품 구매, 참여자간 선물을 할 수 있는 방법.
KR1020190009050A 2019-01-24 2019-01-24 기업의 사회적 공헌(csr) 활동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공동체 공유경제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KR202000920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050A KR20200092033A (ko) 2019-01-24 2019-01-24 기업의 사회적 공헌(csr) 활동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공동체 공유경제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050A KR20200092033A (ko) 2019-01-24 2019-01-24 기업의 사회적 공헌(csr) 활동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공동체 공유경제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033A true KR20200092033A (ko) 2020-08-03

Family

ID=72043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050A KR20200092033A (ko) 2019-01-24 2019-01-24 기업의 사회적 공헌(csr) 활동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공동체 공유경제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20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6761A (ko) * 2021-08-18 2023-02-27 임태건 참여보상형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6761A (ko) * 2021-08-18 2023-02-27 임태건 참여보상형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koye et al. An appraisal of cashless economy policy in development of Nigerian economy
Lee et al. Consumers as financiers: Consumer surplus, crowdfunding, and initial coin offerings
Arvidsson et al. Cashless society: when will merchants stop accepting cash in Sweden-a research model
Townsend Distributed Ledgers: Design and Regulation of Financial Infrastructure and Payment Systems
Jeník et al. Inclusive digital banking: Emerging markets case studies
Kang Digital currency and privacy
Bell et al. The credit relationship between H enry III and merchants of D ouai and Y pres, 1247–70
US2014027940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and monitoring charitable donations based on payment card loyalty contributions
Julianto et al.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pproach to analysing the use of fintech in MSME transactions in Buleleng
Sorensen Tokenized carbon credits
KR20200092033A (ko) 기업의 사회적 공헌(csr) 활동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공동체 공유경제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Xiao The development of e-commerce in Europe
Anand E-Banking Trends in India: Evolution,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Sarpong et al. Optimizing Technology in Mobile Financial Services: User experiences and expectations in Ghana
Steverding et al. Initial coin offerings in Europe–the current legal framework and its consequences for investors and issuers
Epstein Blockchain and the CMO
Canepa The Role of Payment Services in the Development of the Big Tech Ecosystem
Ankenbrand A STRUCTURE FOR EVALUATING THE POTENTIAL OF BLOCKCHAIN USE CASES IN FINANCE.
GB2513460A (en)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and monitoring charitable donations based on payment card loyalty contributions
Ekong et al. Does cryptocurrency transactions benefit ICT businesses in Uyo metropolis: Evidence from a field survey
Mahadeva et al. Digital Transactions and Modern Banking Services: An Assessment in the Public Sector Banks of Bangalore Metropolitan
Yılmaz Increasing interest in cryptocurrencies in advanced and developing countries: case of Turkey
US20230325919A1 (en) Stock trading system on basis of activity valuation of external online account
WANG Digital Financial Infrastructure in China
KR20090116003A (ko) 집단적 기부금 조성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