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6312B1 -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 및 이의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 및 이의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6312B1
KR102506312B1 KR1020200008467A KR20200008467A KR102506312B1 KR 102506312 B1 KR102506312 B1 KR 102506312B1 KR 1020200008467 A KR1020200008467 A KR 1020200008467A KR 20200008467 A KR20200008467 A KR 20200008467A KR 102506312 B1 KR102506312 B1 KR 102506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viewing
virtual reality
spectator
reality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4797A (ko
Inventor
신화현
Original Assignee
신화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화현 filed Critical 신화현
Priority to KR1020200008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312B1/ko
Publication of KR20210094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797A/ko
Priority to KR1020210187375A priority patent/KR102506313B1/ko
Priority to KR1020210187374A priority patent/KR20220002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2Suspended slidewa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16Amusement arrangements creating illusions of trav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7/00Up-and-down hill tracks; Switchbacks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높이 차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구간를 형성하면서, 관람객이 이동하는 관람경로를 제공하는 관람레일; 상기 관람레일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관람객을 안착시키는 관람객이송기구; 상기 관람객이 상기 관람경로를 따라 이동할 때에, 상기 관람경로의 각 구간에 대응하도록 기형성된 가상현실컨텐츠를 상기 관람객에게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컨텐츠출력장치; 및 상기 관람경로의 각 구간마다 설치되어, 상기 관람경로의 각 구간별로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컨텐츠제어신호를 상기 관람경로 상에 송출하는 신호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관람의 시작과 관람의 종료가 관람경로 상의 다른 지점에서 동시에 진행될 수 있으므로, 동시간에 더 많은 관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람을 시작하는 지점까지 관람객이 직접 이동하게 되므로, 관람객이송기구에 별도의 동력 제공을 위한 장치가 요구되지 않아 롤러코스터 시스템의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관람객이 관람경로를 이동할 때에 가상현실컨텐츠를 함께 제공하되, 관람경로에 따라 가상현실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하여 더욱 현실감 높은 가상현실컨텐츠 및 다채로운 가상현실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 및 이의 서비스 제공방법{ROLLER-COASTER SYSTEM WITH VIRTUAL REALITY CONTENT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THEREOF}
본 발명은 롤러코스터 시스템 및 이의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롤러코스터를 관람하는 관람객에게 가상현실 컨텐츠를 함께 제공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 및 이의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놀이동산에서 관람할 수 있는 롤러코스터는 지상에서 일정한 높이의 공중까지 지지대를 설치한 뒤, 지지대 사이에 레일을 연결해 그 레일 위를 오르내리며 달릴 수 있도록 만든 궤도열차를 말한다.
롤러코스터는 레일상에서 관람객을 이동시키기 위해 다수의 관람객을 탑승시킬 수 있는 이송기구를 구비하여 레일상의 탑승지점에서 다수의 관람객을 탑승시킨 후 관람을 시작하게 되고, 처음에 동력을 이용하여 다수의 관람객이 탑승한 이송기구를 높은 곳으로 끌어올려 위치에너지를 증가시킨 후, 형성된 레일 상으로 떨어뜨려 주어 위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전환시켜 이송기구를 움직이게 한다.
롤러코스터는 레일 구간마다 다양한 경사를 형성하고, 직선 구간 및 곡선 구간을 다채롭게 형성하여 이송기구에 탑승한 관람객에게 즐거움을 선사하기 때문에, 놀이동산에서 매우 인기 있는 놀이기구 중 하나이다.
한편, 최근에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VR장비가 보편화되어 보급됨에 따라, VR장비를 이용한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특히 일부 놀이동산에서는 롤러코스터 놀이기구에 VR장비를 접목하여, 롤러코스터의 관람을 제공하는 것과 동시에 가상현실 컨텐츠를 함께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VR롤러코스터의 경우, 관람 시작 및 관람의 종료가 동일한 장소에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한정된 시간에 많은 관람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롤러코스터를 이송기구를 높은 곳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별도의 동력장치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구비된 동력장치를 수시로 점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VR장비를 통해 제공되는 가상현실 컨텐츠와 실제 관람객의 관람상태 사이에 괴리가 발생하여 인지부조화 현상이 나타나고, 이에 기인한 멀미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 및 롤러코스터 관람의 현실감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35780호(2013.10.16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관람의 시작 지점과 종료 지점을 각각 분리하여 관람의 시작 및 종료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동시간에 더 많은 롤러코스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롤러코스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관람객이 관람을 시작하는 지점까지 직접 이동하도록 구성하여, 별도의 동력 공급장치가 구비되지 않아도 롤러코스터의 운용이 가능한 롤러코스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관람경로 상에 다수개의 신호발생기를 설치하여 가상현실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인지부조화 현상을 방지하고 더욱 다채로운 가상현실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롤러코스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서로 다른 높이 차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구간를 형성하면서, 관람객이 이동하는 관람경로를 제공하는 관람레일; 상기 관람레일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관람객을 안착시키는 관람객이송기구; 상기 관람객이 상기 관람경로를 따라 이동할 때에, 상기 관람경로의 각 구간에 대응하도록 기형성된 가상현실컨텐츠를 상기 관람객에게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컨텐츠출력장치; 및 상기 관람경로의 각 구간마다 설치되어, 상기 관람경로의 각 구간별로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컨텐츠제어신호를 상기 관람경로 상에 송출하는 신호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컨텐츠제어신호는, 상기 관람객이 상기 관람경로 상의 특정 구간을 통과할 때에, 상기 컨텐츠출력장치가 상기 특정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현실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의 출력 지점을 변경하는 컨텐츠동기화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관람객이송기구는, 상기 관람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관람객이송기구들 사이의 일정거리를 유지시키기 위한 거리유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컨텐츠출력장치가 관람객이송기구를 통해 관람경로를 이동하는 관람객에게 상기 관람경로의 각 구간에 대응하도록 기형성된 가상현실컨텐츠를 출력하는 컨텐츠출력단계; 상기 컨텐츠출력장치가 상기 관람경로의 각 구간마다 설치된 신호발생기로부터, 상기 관람경로의 각 구간별로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컨텐츠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수신단계; 및 상기 컨텐츠출력장치가 상기 컨텐츠제어신호에 따라 변경된 상기 가상현실컨텐츠를 출력하는 제어컨텐츠출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의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수신단계는, 상기 관람객이 상기 관람경로 상의 특정 구간을 통과할 때에, 상기 특정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현실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컨텐츠출력장치가 컨텐츠동기화신호에 따라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의 출력 지점을 변경하는 컨텐츠동기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의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관람의 시작과 관람의 종료가 관람경로 상의 다른 지점에서 동시에 진행될 수 있으므로, 동시간에 더 많은 관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람을 시작하는 지점까지 관람객이 직접 이동하게 되므로, 관람객이송기구에 별도의 동력 제공을 위한 장치가 요구되지 않아 롤러코스터 시스템의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관람객이 관람경로를 이동할 때에 가상현실컨텐츠를 함께 제공하되, 관람경로에 따라 가상현실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하여 더욱 현실감 높은 가상현실컨텐츠 및 다채로운 가상현실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람객이송기구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람객이송기구가 구비하는 연결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리유지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리유지장치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리유지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에 구비된 관람경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 비스트리밍 방식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대한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발명의 실시예 중 비스트리밍 방식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의 컨텐츠출력장치 및 신호발생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 비스트리밍 방식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스트리밍 방식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대한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발명의 실시예 중 스트리밍 방식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의 컨텐츠출력장치, 신호발생기 및 서버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스트리밍 방식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및 컨텐츠출력장치를 통하여 동기화되지 않은 가상현실컨텐츠가 관람객에게 출력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및 컨텐츠출력장치를 통하여 동기화된 가상현실컨텐츠가 관람객에게 출력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및 컨텐츠출력장치를 통하여 가상현실컨텐츠 중 테마컨텐츠만이 관람객에게 출력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및 컨텐츠출력장치를 통하여 테마컨텐츠에 이벤트컨텐츠가 추가되어 관람객에게 출력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의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절차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은, 서로 다른 높이 차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구간를 형성하면서, 관람객이 이동하는 관람경로를 제공하는 관람레일(100); 관람레일(100)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관람객을 안착시키는 관람객이송기구(200); 관람객이 관람경로를 따라 이동할 때에, 관람경로의 각 구간에 대응하도록 기형성된 가상현실컨텐츠(C)를 관람객에게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컨텐츠출력장치(300); 및 관람경로의 각 구간마다 설치되어, 관람경로의 각 구간별로 가상현실컨텐츠(C)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컨텐츠제어신호(SC)를 관람경로 상에 송출하는 신호발생기(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람레일(100)은 서로 다른 높이 차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구간을 형성하면서, 관람객이 이동하는 관람경로를 제공한다.
관람레일(100)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갖는 위치에 설치되고, 직선궤도 및 곡선궤도를 포함하는 다양한 폐루프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폐루프의 형태에 따라 관람객에게 다양한 관람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관람레일(100)의 각 구간은 지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 차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은 별도의 동력 없이 관람경로 각 구간의 높이 차이에 따른 위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전환하여 관람을 제공하므로, 관람경로 상에는 높이 변화에 의한 다양한 경사구간이 형성될 수 있지만, 관람객이 관람 종료지점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관람경로 이동 중 역학적 에너지의 손실을 고려하여 경사구간을 형성하여야 한다.
이어서, 관람객이송기구(200)는 관람레일(100)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관람객을 안착시킨다.
관람객이송기구(200)는 관람경로에 따른 관람객의 이동을 위해 제공되는 수단으로서, 관람객은 관람레일(100)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한 관람객이송기구(200)에 안착된 상태에서 관람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람객이송기구(200)는 관람객이 착용하는 안착장치(210) 및 일단이 관람레일(100)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타단이 안착장치(2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결장치(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안착장치(210)는 일예로 하네스 장비일 수 있으며, 관람객의 몸통, 팔, 다리 등에 착용되어 관람경로를 이동할 때에 관람객을 지지하는 고정부(211) 및 고정부(211)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후술하는 연결장치(230)의 타단과 결합하는 제1체결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11)는 관람객의 가슴, 허리, 허벅지 등의 각 부위에 탈착될 수 있는 다수의 벨트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다수의 벨트는 상호 연결되어 일체로서 관람객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벨트는 버클을 구비하는 스트랩의 형태로 제작되어, 관람객으로부터 손쉽게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체결부(213)는 고정부(211)로부터 연장 형성되는데, 끝단에는 카라비너와 같은 고리형 부재가 구비되어 연결장치(230)의 타단과 결합함으로써, 고정부(211)를 연결장치(230)에 결합시킨다.
이어서, 연결장치(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 형성되는 롤러축(231), 롤러축(2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롤러(233) 및 타단에 형성되는 제2체결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230)의 일단에는 연결장치(230)가 관람레일(100) 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관람레일(100)의 폭방향 또는 높이방향으로 롤러축(231)이 형성되고, 롤러축(231)에는 롤러(233)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관람레일(100)에는 연결장치(2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가이드부(110)가 형성될 수 있는데, 롤러축(231) 및 롤러(233)가 관람레일(100)의 가이드부(110)에 위치하여, 롤러(233)가 가이드부(110)에 의해 지지되면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종국적으로 연결장치(230)가 관람경로 상을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연결장치(23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축(231) 및 롤러축(23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롤러(233)를 기본 구성으로 하여, 다양한 형태로 관람레일(100)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어서, 제2체결부(235)는 연결장치(230)의 타단에 형성되고, 전술한 제1체결부(213)와 결합할 수 있도록 고리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체결부(213)가 제2체결부(235)와 결합함으로써 종국적으로 안착장치(210)와 연결장치(230)가 상호 결합하게 되고, 관람객은 관람객이송기구(200)에 의해 관람경로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람객이송기구(200)는 관람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관람객이송기구(200)들 사이의 일정거리를 유지시키기 위한 거리유지장치(250a, 250b, 250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관람객이송기구(200)는 관람객 마다 각각 안착장치(210)를 착용하고, 안착장치(210)가 각각의 연결장치(230)에 결합하기 때문에, 각각의 관람객이송기구(200)는 상호 별개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속도가 상이한 관람객이송기구(200)가 서로 부딪혀, 관람객들 사이에 충돌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관람객이송기구(200)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거리유지장치(250a, 250b, 250c)가 구비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리유지장치(250a)는 연결장치(230)에 결합하는 베이스부재(251a), 베이스부재(251a)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완충부재(253a) 및 베이스부재(251a)와 완충부재(253a)의 사이에 구비되어 완충부재(253a)를 탄성지지 하는 탄성부재(255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리유지장치(250a)는 관람객이송기구(200)의 전후방방향 뿐만아니라, 전방방향 또는 후방방향으로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연결장치(230)에 거리유지장치(250a)가 구비됨으로써, 관람객이송기구(200)는 상호 안전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데, 관람객이송기구(200)가 안전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면, 탄성부재(255a)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완충부재(253a)가 다른 관람객이송이구(200)를 밀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리유지장치(250b)는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부재 또는 원판형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연결장치(230)에 결합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거리유지장치(250b)는 스폰지와 같은 완충기능을 갖는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으면서 연결장치(230)에 결합하여 관람경로를 이동하는 관람객이송기구(200) 및 관람객이 상호 충돌하지 않도록 구성되거나,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부가 연결장치(230)에 결합하여 관람경로를 이동하는 관람객이송기구(200) 및 관람객이 상호 충돌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리유지장치(250c)는 체인 등으로 구성되어 양 끝단이 전후방의 연결장치(230)에 각각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전방의 관람객이송기구(200)가 빠르게 이동하려고 하면, 거리유지장치(250c)로 연결된 후방의 관람객이송기구(200)가 전방의 관람객이송기구(200)를 저지함으로써, 전후방 관람객의 안전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반대로, 후방의 관람객이송기구(200)가 느리게 이동하면, 거리유지장치(250c)로 연결된 전방의 관람객이송기구(200)가 후방의 관람객이송기구(200)를 견인함으로써, 전후방 관람객의 안전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관람레일(1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관람객이송기구(200)에 거리유지장치(250a, 250b, 250c)가 구비됨으로써, 관람경로를 이동하는 관람객은 서로 충돌하지 않고 안전하게 관람을 진행할 수 있다.
이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관람경로 중 관람객의 관람이 시작되는 지점의 지면에는 출발지대(As)가 형성되고, 관람객의 관람이 종료되는 지점의 지면에는 도착지대(Aa)가 형성되며, 이때 출발지대(As)와 도착지대(Aa) 사이에는 출발지대(As)와 도착지대(Aa)를 연결하여, 관람객이 출발지대로(As)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관람이동로(R)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출발지대(As)에는 안착장치(210)를 착용한 관람객이 대기하고 있으며, 대기 중인 관람객이 착용한 안착장치(210)에, 관람레일(100)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연결장치(230)를 결합하여 관람객이 관람경로를 따라 관람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지점이다.
도착지대(Aa)는 관람경로를 이동하여 관람을 마친 관람객의 안착장치(210)로부터 연결장치(230)를 분리하여 관람객의 관람이 종료되는 지점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은 별도의 동력 없이 관람경로 각 구간의 높이 차이에 따른 위치에너지에 의해 관람을 제공하는 롤러코스터이므로, 도착지대(Aa)는 출발지대(As)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은, 관람객의 관람이 시작되는 출발지대(As)와 관람객의 관람이 종료되는 도착지대(Aa)를 각각 분리하여 형성함으로써, 각 지대에서 관람의 시작 및 종료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이에 따라 동시간에 더 많은 관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출발지대(As)와 도착지대(Aa) 사이에는 출발지대(As)와 도착지대(Aa)를 연결하여, 관람객이 출발지대(As)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관람이동로(R)가 형성된다.
관람이동로(R)는 일예로 계단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관람객은 안착장치(210)를 착용 또는 미착용한 상태에서 관람이동로(R)를 따라 출발지대(As)로 이동할 수 있다.
즉, 관람객은 관람레일(100) 따라 이동하는 연결장치(230)에 의해 출발지대(As)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관람이동로(R)를 통하여 직접 출발지대(As)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관람객은 관람레일(100)을 따라 이동하는 연결장치(230)를 파지하여 연결장치(230)를 출발지대(As)로 끌어올리면서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연결장치(230)는 별도 동력장치의 동력 제공 없이도 도착지대(Aa)에서 출발지대(As)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롤러코스터 시스템은 관람객을 소정의 높이까지 이동시키기 위하여 관람객을 탑승시킨 이송기구에 별도의 동력장치를 통하여 일정한 동력을 제공하여야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롤러코스터 시스템은 관람객이 관람이동로(R)를 통하여 출발지대(As)로 직접 이동하므로, 관람객이 관람경로를 따라 관람을 진행할 때뿐만 아니라, 관람객이 출발지대(As)로 이동할 때에도 외부에서 별도 동력장치로 동력을 제공할 필요가 없는 롤러코스터 시스템이다.
한편, 관람경로의 지면에는 관람객의 추락사고에 대비한 완충부재(m)가 구비될 수 있으며, 완충부재(m)는 일예로 매트리스로 구성될 수 있다.
이어서, 컨텐츠출력장치(300)는 관람객이 관람경로를 따라 이동할 때에, 관람경로의 각 구간에 대응하도록 기형성된 가상현실컨텐츠(C)를 관람객에게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은, 일실시예로서 가상현실컨텐츠(C)를 비스트리밍(Non-streaming)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가상현실컨텐츠(C)를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이 비스트리밍(Non-streaming) 방식으로 가상현실컨텐츠(C)를 제공하는 것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컨텐츠출력장치(300)는 일예로 관람객의 두부(頭部) 등에 착용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형태로 제공되어 관람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관람객에게 가상현실컨텐츠(C)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출력장치(300)로부터 출력되는 가상현실컨텐츠(C)는, 관람객의 관람 시작과 함께 출력되는 테마컨텐츠(Ct)와, 테마컨텐츠(Ct) 상에 추가로 출력되는 이벤트컨텐츠(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테마컨텐츠(Ct)는 관람경로의 각 구간에 대응하도록 컨텐츠출력장치(300)에 기형성된 컨텐츠이고, 이벤트컨텐츠(Ce)는 관람객이 관람경로 상의 특정 구간을 통과할 때에 테마컨텐츠(Ct)에 추가로 출력되는 컨텐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컨텐츠출력장치(300)가 출력하는 컨텐츠가 가상현실(Virtual reality)에 관한 컨텐츠인 것으로 하여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컨텐츠출력장치(300)가 출력하는 컨텐츠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또는 혼합현실(Mixed reality)에 관한 컨텐츠일 수도 있다.
한편, 도 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출력장치(300)는 통신부(310), 컨텐츠생성부(330), 디스플레이부(350), 센서부(370) 및 조작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부(310)는 후술하는 신호발생기(400), 서버(500) 또는 컨텐츠리더기(600) 등과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서, 여기서 무선 통신 방식은 일예로 Wi-Fi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신호발생기(400)로부터 컨텐츠제어신호(SC)를 수신하여, 후술하는 컨텐츠생성부(330)에 전달할 수 있고, 또한 컨텐츠리더기(600)로부터 컨텐츠종류신호(ST)를 수신하여, 후술하는 컨텐츠생성부(3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어서, 컨텐츠생성부(330)는 소정의 가상현실컨텐츠(C)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컨텐츠종류신호(ST) 또는 컨텐츠제어신호(SC)에 따라 다양한 가상현실컨텐츠(C)를 생성하여 관람경로를 이동하는 관람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디스플레이부(350)는 컨텐츠생성부(330)에서 생성된 가상현실컨텐츠(C)를 관람객에게 출력함으로써, 관람객이 시각 또는 청각을 통하여 가상현실컨텐츠(C)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센서부(370)는 컨텐츠출력장치(300)가 착용된 관람객의 두부(頭部)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며, 좀 더 구체적으로 가속도 센서, 기울기 센서 및 자이로 센서가 구비되어, 관람객이 두부(頭部)를 돌리거나 위아래로 움직이는 행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370)는 관람객의 두부(頭部) 움직임을 통하여 관람객의 시선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선정보신호(SS)를 생성하여 컨텐츠생성부(330)에 전달 할 수 있고, 시선정보신호(SS)를 전달받은 컨텐츠생성부(330)는 관람객의 시선정보가 반영된 가상현실컨텐츠(C)를 생성하여 관람객에게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조작부(390)는 컨텐츠출력장치(300)의 외측에 버튼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관람객이 버튼을 누름에 따라 조작신호(SW)가 생성되어 컨텐츠생성부(330)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조작신호(SW)는, 조작부(390)의 조작에 따라 가상현실컨텐츠(C) 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설정된 컨텐츠가 가상현실컨텐츠(C)에 반영되도록 컨텐츠생성부(33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조작신호(SW)를 전달받은 컨텐츠생성부(330)는 조작부(390)의 조작에 따라 가상현실컨텐츠(C) 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설정된 컨텐츠가 반영된 가상현실컨텐츠(C)를 생성하여 관람객에게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신호발생기(400)는 관람경로의 각 구간마다 설치되어, 관람경로의 각 구간별로 가상현실컨텐츠(C)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컨텐츠제어신호(SC)를 관람경로 상에 송출한다.
신호발생기(400)는 일예로 비콘(beacon)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신호발생기(400)가 송출하는 컨텐츠제어신호(SC)는 신호발생기(400) 마다의 ID값 및 RSSI값을 갖는 블루투스 형태의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신호발생기(400)가 비콘(beacon)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컨텐츠출력장치(300) 등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외부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로 제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발생기(400)는 관람경로의 각 구간마다 설치되어 가상현실컨텐츠(C)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컨텐츠제어신호(SC)를 관람경로 상에 주기적으로 송출하는데, 관람객이 관람경로의 각 구간을 통과하면서 신호발생기(400)의 주변을 지나가게 되면, 컨텐츠출력장치(300)는 통신부(310)를 통해 신호발생기(400)가 송출하는 컨텐츠제어신호(SC)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컨텐츠제어신호(SC)는 통신부(310)를 통하여 컨텐츠출력장치(300)의 컨텐츠생성부(330)로 전달되어, 컨텐츠생성부(330)의 가상현실컨텐츠(C) 출력을 제어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컨텐츠제어신호(SC)는 관람객이 관람경로 상의 특정 구간을 통과할 때에, 컨텐츠출력장치(300)가 특정 구간에 대응하는 가상현실컨텐츠(C)를 출력하도록, 가상현실컨텐츠(C)의 출력 지점을 변경하는 컨텐츠동기화신호(SC-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롤러코스터 시스템은, 관람객이송기구(200)의 특성상 관람객이 관람경로를 따라 이동할 때에 각 구간(직선 구간, 곡선 구간, 오르막 구간, 내리막 구간 등)에 따라, 혹은 관람객의 신체움직임으로 관람경로를 이동하는 속도가 달라질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람객이 실제 관람경로 상에서 곡선 구간을 통과하고 있음에도, 컨텐츠출력장치(300) 상으로는 직선 구간을 통과하는 가상현실컨텐츠(C)가 출력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관람객이 관람경로 상의 특정 구간을 통과할 때에 특정 구간에 대응하지 않는 가상현실컨텐츠(C)가 출력됨으로써, 관람경로에 따라 관람객의 평형감각 등을 통하여 인지되는 정보와, 컨텐츠출력장치(300)을 통하여 관람객의 시각으로 인지되는 가상현실컨텐츠(C)가 일치하지 않는 인지부조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관람경로의 각 구간마다 신호발생기(400)를 다수개 설치하여 관람경로 상에 컨텐츠동기화신호(SC-s)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도록 하고, 관람객이 컨텐츠동기화신호(SC-s)를 송출하는 신호발생기(400) 주변을 지나갈 때에, 컨텐츠출력장치(300)의 통신부(310)가 컨텐츠동기화신호(SC-s)를 수신하여 컨텐츠출력장치(300)의 컨텐츠생성부(330)에 컨텐츠동기화신호(SC-s)를 전달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컨텐츠동기화신호(SC-s)를 전달받은 컨텐츠생성부(330)는, 디스플레이부(350)에서 관람객이 통과하고 있는 특정 구간에 대응하는 가상현실컨텐츠(C)가 출력되도록, 가상현실컨텐츠(C)의 출력 지점을 변경할 수 있다.
나아가, 컨텐츠동기화신호(SC-s)는 관람객이 관람경로 상의 특정 구간을 통과할 때에, 컨텐츠출력장치(300)가 특정 구간에 대응하는 가상현실컨텐츠(C)를 출력하도록, 가상현실컨텐츠(C)의 출력 속도를 변경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에 따라, 관람객이 통과하는 관람경로 상의 특정 구간(직선 구간, 곡선 구간, 오르막 구간, 내리막 구간 등)에 따라 관람객이 관람경로 상을 이동하는 속도가 각기 달라질 수 있고, 이에 따라 관람객이 현재 통과하고 있는 특정 구간에 대응하는 가상현실컨텐츠(C)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컨텐츠출력장치(300)가 출력하는 가상현실컨텐츠(C)의 출력 속도를 변경해 주어야 한다.
이때 특정 구간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발생기(400)로부터 컨텐츠동기화신호(SC-s)를 수신한 컨텐츠출력장치(300)는 컨텐츠동기화신호(SC-s)에 따라 가상현실컨텐츠(C)의 출력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생성부(330)는 컨텐츠동기화신호(SC-s)에 따라 가상현실컨텐츠(C)의 출력에 관한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 fps)를 변경함으로써 가상현실컨텐츠(C)의 출력 속도를 변경할 수 있으며, 특정 구간에 따라 관람객의 이동속도가 빨라지면 가상현실컨텐츠(C)의 출력에 관한 프레임 레이트(fps)를 증가시키고, 관람객의 이동속도가 느려지면 가상현실컨텐츠(C)의 출력에 관한 프레임 레이트(fps)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람객의 관람경로 상 이동 속도가 달라지더라도, 컨텐츠생성부(330)는 컨텐츠동기화신호(SC-s)에 의해 제어되어, 관람객이 통과하고 있는 관람경로 상의 특정 구간에 대응하는 가상현실컨텐츠(C)를 관람객에게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컨텐츠동기화신호(SC-s)에 의해 관람객의 인지부조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시각과 평형감각의 불일치에 의한 멀미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관람객에게 더욱 현실감이 높은 가상현실컨텐츠(C)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컨텐츠제어신호(SC)는 관람객이 관람경로 상의 특정 구간을 통과할 때에, 컨텐츠출력장치(300)가 테마컨텐츠(Ct) 상에 소정의 이벤트컨텐츠(Ce)를 추가로 출력하도록, 가상현실컨텐츠(C)의 출력 내용을 변경하는 컨텐츠추가신호(SC-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발생기(400)는 관람경로의 각 구간마다 설치되어 컨텐츠추가신호(SC-a)를 관람경로 상에 주기적으로 송출하는데, 관람객이 컨텐츠추가신호(SC-a)를 송출하는 신호발생기(400) 주변을 지나갈 때에, 컨텐츠출력장치(300)의 통신부(310)가 컨텐츠추가신호(SC-a)를 수신하여 컨텐츠출력장치(300)의 컨텐츠생성부(330)에 컨텐츠추가신호(SC-a)를 전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컨텐츠(C)는 관람경로의 각 구간에 대응하도록 컨텐츠출력장치(300)에 기형성된 테마컨텐츠(Ct)와, 관람객이 관람경로 상의 특정 구간을 통과할 때에 테마컨텐츠(Ct)에 추가로 출력되는 이벤트컨텐츠(Ce)를 포함할 수 있는데, 컨텐츠추가신호(SC-a)를 전달받은 컨텐츠생성부(330)는, 디스플레이부(350)에서 출력되고 있는 테마컨텐츠(Ct)에 이벤트컨텐츠(Ce)가 추가로 출력되도록, 가상현실컨텐츠(C)의 출력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6 및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추가신호(SC-a)를 전달받은 컨텐츠생성부(330)는, 컨텐츠추가신호(SC-a)에 의한 제어에 의해 출력되고 있는 테마컨텐츠(Ct)에 이벤트컨텐츠(Ce)를 추가하여 출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관람객들은 관람경로의 각 구간을 통과하면서 다양한 이벤트컨텐츠(Ce)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테마컨텐츠(Ct) 상에 추가되어 출력되는 이벤트컨텐츠(Ce)는 일예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흩날리는 비눗방울과 같은 컨텐츠일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러코스터 시스템은 관람객이송기구(200)에 구비되어 관람경로 상의 특정 구간들을 감지하는 구간감지센서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관람레일(100)은 각 부분마다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어, 관람경로 상에 다양한 형태의 특정 구간들을 형성할 수 있는데, 예컨대 급상승 구간, 급하강 구간, 급커브 구간, 좌우진동 구간, 상하진동 구간 등 다양한 형태의 구간들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구간감지센서부(700)는 관람객이송기구(200)에 구비되어 관람경로에 형성된 다양한 형태의 특정 구간들을 감지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구간감지센서부(700)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기울기 센서 등을 포함하여, 관람객이송기구(200)의 연결장치(230)에 구비될 수 있다.
구간감지센서부(700)에 포함된 각 센서들은, 관람객이송기구(200)가 관람경로를 이동할 때에 관람경로 상의 특정 구간에 따라 각각 상이한 패턴을 갖는 감지값들을 생성하고, 구간감지센서부(700)는 각 감지값들을 바탕으로 각 특정 구간에 대응하는 구간감지신호(SP)를 생성하게 된다.
예컨대, 관람객이송기구(200)가 관람경로 상의 급커브 구간을 통과하고 있는 경우, 구간감지센서부(700)에 포함된 각 센서들은 급커브 구간에 따라 일정한 패턴을 갖는 감지값들을 생성하게 되고, 구간감지센서부(700)는 생성된 감지값들을 바탕으로 급커브 구간에 대한 구간감지신호(SP)를 생성할 수 있다.
구간감지센서부(700)에서 생성된 구간감지신호(SP)는 컨텐츠출력장치(300)에 전달될 수 있으며, 컨텐츠출력장치(300)의 컨텐츠생성부(330)는 구간감지신호(SP)를 전달받은 후 기저장된 특정 구간에 관한 정보와 비교하여, 관람객이 통과하고 있는 특정 구간을 파악할 수 있다.
이로써 컨텐츠생성부(330)는 구간감지신호(SP)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50)에서 관람객이 통과하고 있는 특정 구간에 대응하는 가상현실컨텐츠(C)가 출력되도록 가상현실컨텐츠(C)의 출력 지점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생성부(330)는 구간감지센서부(700)에서 생성된 구간감지신호(SP)에 따라, 관람객이 관람경로 상의 특정 구간을 통과할 때에 테마컨텐츠(Ct)에 이벤트컨텐츠(Ce)가 추가로 출력되도록 가상현실컨텐츠(C)의 출력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관람객이송기구(200)가 관람경로 상의 상하진동 구간을 통과할 때에 컨텐츠출력장치(300)가 관람객에게 전술한 소정의 이벤트컨텐츠(Ce)를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상하진동 구간에 대응하는 구간감지신호(SP)를 전달받은 컨텐츠생성부(330)는 상하진동 구간에 대응하여 설정된 소정의 이벤트컨텐츠(Ce)를 테마컨텐츠(Ct)에 추가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롤러코스터 시스템은 신호발생기(400)를 대체하여 구간감지센서부(700)를 구비할 수 있고, 또한 신호발생기(400)가 구비된 상태에서 구간감지센서부(7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롤러코스터 시스템은 각 실시예에 따라 신호발생기(400) 및 구간감지센서부(7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가상현실컨텐츠(C)를 동기화하거나, 이벤트컨텐츠(Ce)를 테마컨텐츠(Ct) 상에 추가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은, 컨텐츠출력장치(30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컨텐츠출력장치(300)로부터 운용정보신호(SM)를 수신하는 서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서버(500)는 컨텐츠출력장치(3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510) 및 통신부(510)로부터 운용정보신호(SM)를 전달받아 롤러코스터 시스템의 운용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하는 시스템관리부(53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부(510)는 컨텐츠출력장치(30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서, 여기서 무선 통신 방식은 일예로 Wi-Fi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통신부(510)는 컨텐츠출력장치(300)에 구비된 통신부(31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컨텐츠출력장치(300)에서 생성된 운용정보신호(SM)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운용정보신호(SM)를 시스템관리부(530)에 전달한다.
시스템관리부(53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의 운용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통신부(510)로부터 운용정보신호(SM)을 전달받아 운용정보신호(SM)에 포함된 롤러코스터 시스템의 운용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하게 된다.
여기서 운용정보신호(SM)는 컨텐츠출력장치(300)에 구비된 컨텐츠생성부(330)로부터 생성될 수 있으며, 일예로 컨텐츠출력장치(300)가 관람객에게 가상현실컨텐츠(C)를 제공하여 관람이 시작되는 시간과, 관람객이 관람경로를 모두 이동하여 관람이 종료되는 시간정보(운용시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컨텐츠리더기(600)를 통해 수신된 관람객이 선택한 가상현실컨텐츠(C)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관리부(530)는 통신부(510)로부터 위와 같은 운용정보신호(SM)를 전달받아 롤러코스터 시스템의 운용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하게 되는데, 예컨대 시스템관리부(530)는 롤러코스터 시스템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개의 컨텐츠출력장치(300)에 일련번호를 부여하여, 각각의 컨텐츠출력장치(300)의 운용시간정보 및 운용횟수정보 등을 구분하여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컨텐츠출력장치(300) 마다의 운용시간정보 및 운용횟수정보를 기록하고, 또한 전체 컨텐츠출력장치(300)의 운용시간정보 및 운용횟수정보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이때, 운용정보신호(SM)에 포함된 관람객이 선택한 가상현실컨텐츠(C)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통하여, 관람객이 기설정된 가상현실컨텐츠(C)의 종류 중 어떠한 가상현실컨텐츠(C)를 선호하는지 파악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의 운용자는, 시스템관리부(530)를 통하여 컨텐츠출력장치(300) 및 롤러코스터 시스템의 운용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은, 컨텐츠출력장치(30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컨텐츠종류신호(ST)를 전달하는 컨텐츠리더기(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리더기(600)는 일예로 관람객이 소지한 RF카드에 포함된 가상현실컨텐츠(C)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무선 주파수를 이용해 읽어내는 RF카드 리더기로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전술한 출발지대(As)에 설치될 수 있다.
관람객이 소지한 RF카드에는 컨텐츠출력장치(300)가 관람객에게 출력해야할 가상현실컨텐츠(C)의 종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데, 예컨대 컨텐츠출력장치(300)에 구비된 컨텐츠생성부(330)는 우주, 숲, 바다 등 다양한 컨셉의 가상현실컨텐츠(C)를 생성하여 관람객에 출력할 수 있고, 관람객은 자신이 원하는 컨셉의 가상현실컨텐츠(C)를 제공받기 위하여 특정한 컨셉의 정보를 포함하는 RF카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컨텐츠(C)는 테마컨텐츠(Ct) 및 이벤트컨텐츠(Ce)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관람객은 관람 시작 전 자신이 원하는 컨셉의 테마컨텐츠(Ct)에 관한 RF카드를 선택할 수 있다.
자신이 원하는 컨셉의 가상현실컨텐츠(C)의 정보를 포함하는 RF카드를 선택한 관람객이, 소지한 RF카드를 출발지대(As)에 설치된 컨텐츠리더기(600)에 태그(tag)하면, 컨텐츠리더기(600)는 RF카드에 포함된 가상현실컨텐츠(C)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독출하여 컨텐츠종류신호(ST)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종류신호(ST)를 컨텐츠출력장치(300)에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달한다.
컨텐츠출력장치(300)는 통신부(310)로부터 컨텐츠종류신호(ST)를 수신하여, 컨텐츠생성부(330)로 전달하고, 컨텐츠생성부(330)는 컨텐츠종류신호(ST)에 따라 관람객이 선택한 특정 컨셉(우주, 숲, 바다 등)의 가상현실컨텐츠(C)를 생성하여 관람객에게 출력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출력장치(300)는 관람객이 선택한 가상현실컨텐츠(C)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운용정보신호(SM) 생성하여 통신부(310)에 전달할 수 있고, 통신부(310)는 서버(500)에 운용정보신호(SM)를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이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가상현실컨텐츠(C)를 제공하는 것에 관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비스트리밍(Non-streaming) 방식에 관한 내용과 동일한 부분은 생략하고 설명한다.
먼저, 컨텐츠출력장치(30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출력장치(300)와 같이 통신부(310), 디스플레이부(350), 센서부(370) 및 조작부(390)를 구비하는데, 다만 컨텐츠생성부(330)에서 생성된 가상현실컨텐츠(C)를 관람객에게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서버(500)에서 가상현실컨텐츠(C)를 전달받아 관람객에게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컨텐츠출력장치(300)는 가상현실컨텐츠(C)의 생성을 위한 시선정보신호(SS), 조작신호(SW), 컨텐츠제어신호(SC) 및 컨텐츠종류신호(ST)를 통신부(310)를 통하여 서버(500)에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370) 및 조작부(390)는 시선정보신호(SS)와 조작신호(SW)를 통신부(310)에 전달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500)는 관람객에게 제공하기 위한 가상현실컨텐츠(C)를 생성하는 컨텐츠생성부(55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서버(500)에 구비된 통신부(510)는 컨텐츠출력장치(300)로부터 시선정보신호(SS), 조작신호(SW), 컨텐츠제어신호(SC) 및 컨텐츠종류신호(ST)를 수신하여 컨텐츠생성부(550)에 전달하게 되고, 컨텐츠생성부(550)는 시선정보신호(SS), 조작신호(SW), 컨텐츠제어신호(SC) 및 컨텐츠종류신호(ST)에 따라 가상현실컨텐츠(C)를 생성하여 통신부(510)에 전달한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롤러코스터 시스템에 구간감지센서부(700)가 구비되는 경우, 컨텐츠생성부(550)는 구간감지센서부(700)에 의해 생성된 구간감지신호(SP)에 따라 가상현실컨텐츠(C)를 생성하여 통신부(510)에 전달할 수도 있다.
통신부(510)는 컨텐츠출력장치(300)에 가상현실컨텐츠(C)를 전달하며, 컨텐츠출력장치(300)에 구비된 통신부(310)는 수신한 가상현실컨텐츠(C)를 디스플레이부(350)에 전달하고, 디스플레이부(350)는 가상현실컨텐츠(C)를 관람객에게 출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서버(500)에 구비된 컨텐츠생성부(55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운용정보신호(SM)를 생성하여 시스템관리부(530)에 전달할 수 있고, 시스템관리부(530)는 운용정보신호(SM)를 수신하여 롤러코스터 시스템에 관한 운용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도 11 및 도 13에는 컨텐츠출력장치(300)에 컨텐츠생성부(330)가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출력장치(300)에 컨텐츠생성부(330)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8 및 도 10에는 서버(500)에 컨텐츠생성부(550)가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500)에 컨텐츠생성부(550)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을 비스트리밍(Non-streaming) 방식과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 비스트리밍(Non-streaming) 방식과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구분되어 실시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롤러코스터 시스템에서 전술한 구성을 모두 포함하여, 설정에 따라 비스트리밍(Non-streaming) 모드 또는 스트리밍(Streaming) 모드로 운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의 서비스 제공방법은, 컨텐츠출력장치(300)가 관람객이송기구(200)를 통해 관람경로를 이동하는 관람객에게 관람경로의 각 구간에 대응하도록 기형성된 가상현실컨텐츠(C)를 출력하는 컨텐츠출력단계(S10); 컨텐츠출력장치(300)가 관람경로의 각 구간마다 설치된 신호발생기(400)로부터, 관람경로의 각 구간별로 가상현실컨텐츠(C)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컨텐츠제어신호(SC)를 수신하는 제어신호수신단계(S20); 및 컨텐츠출력장치(300)가 컨텐츠제어신호(SC)에 따라 변경된 가상현실컨텐츠(C)를 출력하는 제어컨텐츠출력단계(S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은, 일실시예로서 가상현실컨텐츠(C)를 비스트리밍(Non-streaming)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가상현실컨텐츠(C)를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제공할 수도 있는데, 이하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의 서비스를 비스트리밍(Non-streaming) 방식으로 제공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컨텐츠출력단계(S10)는 컨텐츠출력장치(300)가 관람객이송기구(200)를 통해 관람경로를 이동하는 관람객에게 관람경로의 각 구간에 대응하도록 기형성된 가상현실컨텐츠(C)를 출력하는 단계이다.
전술한 출발지대(As)에서 관람객의 관람이 시작되면, 컨텐츠출력장치(300)에 구비된 컨텐츠생성부(330)가 소정의 가상현실컨텐츠(C)를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현실컨텐츠(C)를 디스플레이부(350)를 통해 관람객에게 출력하는 단계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컨텐츠출력단계(S10)는 출발지대(As)에 설치된 컨텐츠리더기(600)가, 태그된 RF카드로부터 가상현실컨텐츠(C)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독출하여 컨텐츠종류신호(ST)를 생성하는 컨텐츠선택단계(S11); 및 컨텐츠출력장치(300)가 컨텐츠리더기(600)로부터 컨텐츠종류신호(ST)를 수신하고, 컨텐츠생성부(330)가 컨텐츠종류신호(ST)에 따라 관람객이 선택한 특정 컨셉의 가상현실컨텐츠(C)를 생성하는 선택컨텐츠생성단계(S13);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선택단계(S11)는 관람객이 자신이 원하는 컨셉의 가상현실컨텐츠(C)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RF카드를 출발지대(As)에 설치된 컨텐츠리더기(600)에 태그하고, 컨텐츠리더기(600)가 RF카드에 포함된 가상현실컨텐츠(C)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독출하여 컨텐츠종류신호(ST)를 생성하는 단계이며, 또한 컨텐츠리더기(600)가 컨텐츠종류신호(ST)를 컨텐츠출력장치(300)에 전달하는 단계이다.
선택컨텐츠생성단계(S13)는 컨텐츠출력장치(300)에 구비된 통신부(310)가 컨텐츠리더기(600)로부터 컨텐츠종류신호(ST)를 수신하고, 컨텐츠생성부(330)가 통신부(310)로부터 컨텐츠종류신호(ST)를 전달받아 관람객이 선택한 특정 컨셉의 가상현실컨텐츠(C)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350)를 통해 관람객에게 출력하는 단계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컨텐츠(C)는 테마컨텐츠(Ct) 및 이벤트컨텐츠(Ce)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컨텐츠리더기(600)가 독출하는 가상현실컨텐츠(C)의 종류에 관한 정보는 테마컨텐츠(Ct)의 종류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이어서, 제어신호수신단계(S20)는 컨텐츠출력장치(300)가 관람경로의 각 구간마다 설치된 신호발생기(400)로부터, 관람경로의 각 구간별로 가상현실컨텐츠(C)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컨텐츠제어신호(SC)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관람이 시작되면, 관람객은 관람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관람객이 착용한 컨텐츠출력장치(300)가 관람경로의 각 구간마다 설치된 다수개의 신호발생기(400)로부터 컨텐츠제어신호(SC)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발생기(400)는 일예로 비콘(beacon)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신호발생기(400)는 가상현실컨텐츠(C)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컨텐츠제어신호(SC)를 관람경로 상에 주기적으로 송출하는데, 관람객이 신호발생기(400)가 설치된 관람경로의 각 구간을 통과할 때에 컨텐츠출력장치(300)의 통신부(310)가 컨텐츠제어신호(SC)를 수신하여 컨텐츠생성부(330)에 전달하는 단계이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제어신호(SC)는 관람객이 관람경로 상의 특정 구간을 통과할 때에, 컨텐츠출력장치(300)가 특정 구간에 대응하는 가상현실컨텐츠(C)를 출력하도록, 가상현실컨텐츠(C)의 출력 지점을 변경하는 컨텐츠동기화신호(SC-s)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어신호수신단계(S20)는 관람객이 관람경로 상의 특정 구간을 통과할 때에, 특정 구간에 대응하는 가상현실컨텐츠(C)가 출력되도록, 컨텐츠출력장치(300)가 컨텐츠동기화신호(SC-s)에 따라 가상현실컨텐츠(C)의 출력 지점을 변경하는 컨텐츠동기화단계(S20-s);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동기화단계(S20-s)는 컨텐츠출력장치(300)에 구비된 컨텐츠생성부(330)가 통신부(310)로부터 컨텐츠동기화신호(SC-s)를 전달받아, 관람객이 관람경로 상의 특정 구간을 통과할 때에, 컨텐츠출력장치(300)가 특정 구간에 대응하는 가상현실컨텐츠(C)를 출력하도록, 가상현실컨텐츠(C)의 출력 지점을 변경하는 단계로서, 관람객에게 가상현실컨텐츠(C)를 제공하는 과정에 컨텐츠동기화단계(S20-s)가 포함됨에 따라, 관람객의 관람경로 이동 속도의 변화에 따른 인지부조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컨텐츠동기화단계(S20-s)는 관람객이 관람경로 상의 특정 구간을 통과할 때에, 특정 구간에 대응하는 가상현실컨텐츠(C)가 출력되도록, 컨텐츠출력장치(300)가 컨텐츠동기화신호(SC-s)에 따라 가상현실컨텐츠(C)의 출력 속도를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제어신호(SC)는 관람객이 관람경로 상의 특정 구간을 통과할 때에, 컨텐츠출력장치(300)가 테마컨텐츠(Ct) 상에 소정의 이벤트컨텐츠(Ce)를 추가로 출력하도록, 가상현실컨텐츠(C)의 출력 내용을 변경하는 컨텐츠추가신호(SC-a)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어신호수신단계(S20)는 관람객이 관람경로 상의 특정 구간을 통과할 때에, 테마컨텐츠(Ct) 상에 소정의 이벤트컨텐츠(Ce)가 추가로 출력되도록, 컨텐츠출력장치(300)가 컨텐츠추가신호(SC-a)에 따라 가상현실컨텐츠(C)의 출력 내용을 변경하는 이벤트컨텐츠추가단계(S2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컨텐츠추가단계(S20-a)는 컨텐츠출력장치(300)에 구비된 컨텐츠생성부(330)가 통신부(310)로부터 컨텐츠추가신호(SC-a)를 전달받아, 관람객이 관람경로 상의 특정 구간을 통과할 때에, 테마컨텐츠(Ct) 상에 소정의 이벤트컨텐츠(Ce)가 추가로 출력되도록, 컨텐츠출력장치(300)가 컨텐츠추가신호(SC-a)에 따라 가상현실컨텐츠(C)의 출력 내용을 변경하는 단계로서, 관람객에게 가상현실컨텐츠(C)를 제공하는 과정에 이벤트컨텐츠추가단계(S20-a)가 포함됨에 따라, 관람객들은 관람경로 상의 특정 구간을 통과할 때에 가상현신컨텐츠(C)에 더하여 다양한 이벤트컨텐츠(Ce)를 추가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제어컨텐츠출력단계(S30)는 컨텐츠출력장치(300)가 컨텐츠제어신호(SC)에 따라 변경된 가상현실컨텐츠(C)를 출력하는 단계이다.
컨텐츠출력장치(300)가 디스플레이부(350)를 통하여 관람객에게 컨텐츠제어신호(SC)에 의해 변경된 가상현실컨텐츠(C)를 출력하는 단계로서, 이때 변경된 가상현실컨텐츠(C)에는 관람객이 통과하고 있는 관람경로 상의 특정 구간에 대응하는 가상현실컨텐츠(C) 또는 소정의 이벤트컨텐츠(Ce)가 추가된 테마컨텐츠(Ct)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의 서비스 제공방법은, 컨텐츠출력장치(30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서버(500)가 컨텐츠출력장치(300)로부터 운용정보신호(SM)를 전달받아 컨텐츠출력장치(300)의 운용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하는 운용정보기록단계(S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출력장치(300)에 구비된 컨텐츠생성부(330)는 컨텐츠출력장치(300)가 관람객에게 가상현실컨텐츠(C)를 제공하여 관람이 시작되는 시간과, 관람객이 관람경로를 모두 이동하여 관람이 종료되는 시간정보(운용시간정보) 및 컨텐츠리더기(600)를 통해 수신된 관람객이 선택한 가상현실컨텐츠(C)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운용정보신호(SM)를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출력장치(300)는 통신부(310)를 통해 운용정보신호(SM)를 서버(50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서버(500)는 통신부(510)를 통해 운용정보신호(SM)를 수신하여 시스템관리부(530)에 전달하게 되고, 시스템관리부(530)는 운용정보신호(SM)를 수신하여 각각의 컨텐츠출력장치(300)에 관한 운용시간정보 및 운용횟수정보 등을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컨텐츠출력장치(300)에 관한 운용시간정보 및 운용횟수정보를 통하여 전체 롤러코스터 시스템의 운용시간정보 및 운용횟수정보 등도 산출해 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의 서비스를 스트리밍(Non-streaming) 방식으로 제공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컨텐츠출력단계(S10)는 컨텐츠출력장치(300)가 관람객이송기구(200)를 통해 관람경로를 이동하는 관람객에게 관람경로의 각 구간에 대응하도록 기형성된 가상현실컨텐츠(C)를 출력하는 단계이다.
전술한 출발지대(As)에서 관람객의 관람이 시작되면, 서버(500)에 구비된 컨텐츠생성부(550)가 소정의 가상현실컨텐츠(C)를 생성하여, 통신부(510)를 통해 컨텐츠출력장치(300)에 가상현실컨텐츠(C)를 전달하고, 컨텐츠출력장치(300)의 디스플레이부(350)가 관람객에게 가상현실컨텐츠(C)를 출력하는 단계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컨텐츠출력단계(S10)는 출발지대(As)에 설치된 컨텐츠리더기(600)가, 태그된 RF카드로부터 가상현실컨텐츠(C)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독출하여 컨텐츠종류신호(ST)를 생성하는 컨텐츠선택단계(S11); 및 컨텐츠출력장치(300)가 컨텐츠리더기(600)로부터 컨텐츠종류신호(ST)를 수신하고, 통신부(310)를 통하여 컨텐츠종류신호(ST)를 서버(500)에 전달하면, 서버(500)에 구비된 컨텐츠생성부(550)가 컨텐츠종류신호(ST)에 따라 관람객이 선택한 특정 컨셉의 가상현실컨텐츠(C)를 생성하는 선택컨텐츠생성단계(S13);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선택단계(S11)는 관람객이 자신이 원하는 컨셉의 가상현실컨텐츠(C)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RF카드를 출발지대(As)에 설치된 컨텐츠리더기(600)에 태그하고, 컨텐츠리더기(600)가 RF카드에 포함된 가상현실컨텐츠(C)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독출하여 컨텐츠종류신호(ST)를 생성하는 단계이며, 또한 컨텐츠리더기(600)가 컨텐츠종류신호(ST)를 컨텐츠출력장치(300)에 전달하는 단계이다.
선택컨텐츠생성단계(S13)는 컨텐츠출력장치(300)에 구비된 통신부(310)가 컨텐츠리더기(600)로부터 컨텐츠종류신호(ST)를 수신하고, 통신부(310)를 통하여 서버(500)에 컨텐츠종류신호(ST)를 전달하며, 서버(500)에 구비된 컨텐츠생성부(550)가 통신부(510)로부터 컨텐츠종류신호(ST)를 전달받아 관람객이 선택한 특정 컨셉의 가상현실컨텐츠(C)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또한, 생성된 가상현실컨텐츠(C)는 통신부(510)를 통해 컨텐츠출력장치(300)에 전달되며, 컨텐츠출력장치(300)는 통신부(310)를 통해 가상현실컨텐츠(C)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부(350)를 통해 관람객에게 출력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컨텐츠(C)는 테마컨텐츠(Ct) 및 이벤트컨텐츠(Ce)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컨텐츠리더기(600)가 독출하는 가상현실컨텐츠(C)의 종류에 관한 정보는 테마컨텐츠(Ct)의 종류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이어서, 제어신호수신단계(S20)는 컨텐츠출력장치(300)가 관람경로의 각 구간마다 설치된 신호발생기(400)로부터, 관람경로의 각 구간별로 가상현실컨텐츠(C)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컨텐츠제어신호(SC)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관람이 시작되면, 관람객은 관람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관람객이 착용한 컨텐츠출력장치(300)가 관람경로의 각 구간마다 설치된 다수개의 신호발생기(400)로부터 컨텐츠제어신호(SC)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발생기(400)는 일예로 비콘(beacon)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신호발생기(400)는 가상현실컨텐츠(C)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컨텐츠제어신호(SC)를 관람경로 상에 주기적으로 송출하는데, 관람객이 신호발생기(400)가 설치된 관람경로의 각 구간을 통과할 때에 컨텐츠출력장치(300)의 통신부(310)가 컨텐츠제어신호(SC)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컨텐츠제어신호(SC)를 서버(500)에 전달하는 단계이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제어신호(SC)는 관람객이 관람경로 상의 특정 구간을 통과할 때에, 컨텐츠출력장치(300)가 특정 구간에 대응하는 가상현실컨텐츠(C)를 출력하도록, 가상현실컨텐츠(C)의 출력 지점을 변경하는 컨텐츠동기화신호(SC-s)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어신호수신단계(S20)는 관람객이 관람경로 상의 특정 구간을 통과할 때에, 특정 구간에 대응하는 가상현실컨텐츠(C)가 출력되도록, 서버(500)가 컨텐츠동기화신호(SC-s)에 따라 가상현실컨텐츠(C)의 출력 지점을 변경하는 컨텐츠동기화단계(S20-s);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동기화단계(S20-s)는 서버(500)에 구비된 컨텐츠생성부(550)가 통신부(510)로부터 컨텐츠동기화신호(SC-s)를 전달받아, 관람객이 관람경로 상의 특정 구간을 통과할 때에, 특정 구간에 대응하는 가상현실컨텐츠(C)가 출력되도록, 서버(500)가 컨텐츠동기화신호(SC-s)에 따라 가상현실컨텐츠(C)의 출력 지점을 변경하는 단계로서, 관람객에게 가상현실컨텐츠(C)를 제공하는 과정에 컨텐츠동기화단계(S20-s)가 포함됨에 따라, 관람객의 관람경로 이동 속도의 변화에 따른 인지부조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컨텐츠동기화단계(S20-s)는 관람객이 관람경로 상의 특정 구간을 통과할 때에, 특정 구간에 대응하는 가상현실컨텐츠(C)가 출력되도록, 서버(500)가 컨텐츠동기화신호(SC-s)에 따라 가상현실컨텐츠(C)의 출력 속도를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제어신호(SC)는 관람객이 관람경로 상의 특정 구간을 통과할 때에, 컨텐츠출력장치(300)가 테마컨텐츠(Ct) 상에 소정의 이벤트컨텐츠(Ce)를 추가로 출력하도록, 가상현실컨텐츠(C)의 출력 내용을 변경하는 컨텐츠추가신호(SC-a)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어신호수신단계(S20)는 관람객이 관람경로 상의 특정 구간을 통과할 때에, 테마컨텐츠(Ct) 상에 소정의 이벤트컨텐츠(Ce)가 추가로 출력되도록, 서버(500)가 컨텐츠추가신호(SC-a)에 따라 가상현실컨텐츠(C)의 출력 내용을 변경하는 이벤트컨텐츠추가단계(S2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컨텐츠추가단계(S20-a)는 서버(500)에 구비된 컨텐츠생성부(550)가 통신부(510)로부터 컨텐츠추가신호(SC-a)를 전달받아, 관람경로 상의 특정 구간을 통과할 때에, 테마컨텐츠(Ct) 상에 소정의 이벤트컨텐츠(Ce)가 추가로 출력되도록, 서버(500)가 컨텐츠추가신호(SC-a)에 따라 가상현실컨텐츠(C)의 출력 내용을 변경하는 단계로서, 관람객에게 가상현실컨텐츠(C)를 제공하는 과정에 이벤트컨텐츠추가단계(S20-a)가 포함됨에 따라, 관람객들은 관람경로 상의 특정 구간을 통과할 때에 가상현신컨텐츠(C)에 더하여 다양한 이벤트컨텐츠(Ce)를 추가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제어컨텐츠출력단계(S30)는 컨텐츠출력장치(300)가 컨텐츠제어신호(SC)에 따라 변경된 가상현실컨텐츠(C)를 출력하는 단계이다.
컨텐츠출력장치(300)가 디스플레이부(350)를 통하여 관람객에게 컨텐츠제어신호(SC)에 의해 변경된 가상현실컨텐츠(C)를 출력하는 단계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출력장치(300)는 서버(500)로부터 변경된 가상현실컨텐츠(C)를 수신하여 관람객에게 출력할 수 있으며, 이때 변경된 가상현실컨텐츠(C)에는 관람객이 통과하고 있는 관람경로 상의 특정 구간에 대응하는 가상현실컨텐츠(C) 또는 소정의 이벤트컨텐츠(Ce)가 추가된 테마컨텐츠(Ct)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의 서비스 제공방법은, 서버(500)의 시스템관리부(530)가 컨텐츠생성부(550)로부터 운용정보신호(SM)를 전달받아 컨텐츠출력장치(300)의 운용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하는 운용정보기록단계(S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500)에 구비된 컨텐츠생성부(550)는 컨텐츠출력장치(300)가 관람객에게 가상현실컨텐츠(C)를 제공하여 관람이 시작되는 시간과, 관람객이 관람경로를 모두 이동하여 관람이 종료되는 시간정보(운용시간정보) 및 컨텐츠리더기(600)를 통해 수신된 관람객이 선택한 가상현실컨텐츠(C)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운용정보신호(SM)를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출력장치(550)는 운용정보신호(SM)를 생성하여 시스템관리부(530)에 전달하게 되고, 시스템관리부(530)는 운용정보신호(SM)를 수신하여 각각의 컨텐츠출력장치(300)에 관한 운용시간정보 및 운용횟수정보 등을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컨텐츠출력장치(300)에 관한 운용시간정보 및 운용횟수정보를 통하여 전체 롤러코스터 시스템의 운용시간정보 및 운용횟수정보 등도 산출해 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관람의 시작과 관람의 종료가 관람경로 상의 다른 지점에서 동시에 진행될 수 있으므로, 동시간에 더 많은 관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람을 시작하는 지점까지 관람객이 직접 이동하게 되므로, 관람객이송기구(200)에 별도의 동력 제공을 위한 장치가 요구되지 않아 롤러코스터 시스템의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관람객이 관람경로를 이동할 때에 가상현실컨텐츠(C)를 함께 제공하되, 관람경로에 따라 가상현실컨텐츠(C)의 출력을 제어하여 더욱 현실감 높은 가상현실컨텐츠(C) 및 다채로운 가상현실컨텐츠(C)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관람레일 110 : 가이드홀
200 : 관람객이송기구 210 : 안착장치
230 : 연결장치 250 : 거리유지장치
300 : 컨텐츠출력장치 310 : 통신부
330 : 컨텐츠생성부 350 : 디스플레이부
370 : 센서부 390 : 조작부
400 : 신호발생기
500 : 서버 510 : 통신부
530 : 시스템관리부 550 : 컨텐츠생성부
600 : 컨텐츠리더기
700 : 구간감지센서부
As : 출발지대 Aa : 도착지대
R : 관람이동로
C : 가상현실컨텐츠 CS : 컨텐츠제어신호
CT : 컨텐츠종류신호 SS : 시선정보신호
SW : 조작신호 SM : 운용정보신호

Claims (5)

  1.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는 위치에 설치되고, 서로 다른 높이 차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구간를 형성하면서, 관람객이 이동하는 관람경로를 제공하는 관람레일;
    상기 관람레일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관람객을 안착시키는 관람객이송기구;
    상기 관람객이 상기 관람경로를 따라 이동할 때에 상기 관람경로의 각 구간에 대응하도록 기형성된 가상현실컨텐츠를 상기 관람객에게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컨텐츠출력장치; 및
    상기 관람경로의 각 구간마다 설치되어 상기 관람경로의 각 구간별로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컨텐츠제어신호를 상기 관람경로 상에 송출하는 신호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관람객이송기구는,
    일단이 상기 관람레일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면서 타단이 지면을 향하도록 연장 배치되는 연결장치 및 상기 관람레일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연결장치의 타단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관람객이 착용하도록 구비되는 안착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안착장치는 상기 관람객의 신체 각 부위에 착용되거나 상기 관람객의 신체 각 부위에서 벗겨지도록 구비되는 벨트 형태의 부재를 포함하는 하네스 장비로 구비되어 상기 관람객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시킨 상태로 상기 관람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비되고,
    상기 관람객이송기구는,
    상기 관람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관람객이송기구들 사이의 일정거리를 유지시키기 위한 거리유지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거리유지장치는,
    상기 연결장치에 결합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완충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완충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완충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거나,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부재 또는 원판형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장치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제어신호는,
    상기 관람객이 상기 관람경로 상의 특정 구간을 통과할 때에, 상기 컨텐츠출력장치가 상기 특정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현실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의 출력 지점을 변경하는 컨텐츠동기화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
  3. 삭제
  4. 관람레일에 의해 제공되는 관람경로를 관람객이송기구를 통해 이동하는 관람객에게, 컨텐츠출력장치가 상기 관람경로의 각 구간에 대응하도록 기형성된 가상현실컨텐츠를 출력하는 컨텐츠출력단계;
    상기 컨텐츠출력장치가 상기 관람경로의 각 구간마다 설치된 신호발생기로부터, 상기 관람경로의 각 구간별로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컨텐츠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수신단계; 및
    상기 컨텐츠출력장치가 상기 컨텐츠제어신호에 따라 변경된 상기 가상현실컨텐츠를 출력하는 제어컨텐츠출력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람레일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는 위치에 설치되고, 서로 다른 높이 차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구간를 형성하면서 상기 관람경로를 제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관람객이송기구는,
    일단이 상기 관람레일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면서 타단이 지면을 향하도록 연장 배치되는 연결장치 및 상기 관람레일의 하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연결장치의 타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관람객이 착용하도록 구비되는 안착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안착장치는 상기 관람객의 신체 각 부위에 착용되거나 상기 관람객의 신체 각 부위에서 벗겨지도록 구비되는 벨트 형태의 부재를 포함하는 하네스 장비로 구비되어 상기 관람객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시킨 상태로 상기 관람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비되고,
    상기 관람객이송기구는,
    상기 관람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관람객이송기구들 사이의 일정거리를 유지시키기 위한 거리유지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거리유지장치는,
    상기 연결장치에 결합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완충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완충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완충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거나,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부재 또는 원판형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장치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의 서비스 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수신단계는,
    상기 관람객이 상기 관람경로 상의 특정 구간을 통과할 때에, 상기 특정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현실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컨텐츠출력장치가 컨텐츠동기화신호에 따라 상기 가상현실컨텐츠의 출력 지점을 변경하는 컨텐츠동기화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의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200008467A 2020-01-22 2020-01-22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 및 이의 서비스 제공방법 KR102506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467A KR102506312B1 (ko) 2020-01-22 2020-01-22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 및 이의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210187375A KR102506313B1 (ko) 2020-01-22 2021-12-24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무동력 롤러코스터 시스템
KR1020210187374A KR20220002204A (ko) 2020-01-22 2021-12-24 신호발생기를 통한 동기화가 수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467A KR102506312B1 (ko) 2020-01-22 2020-01-22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 및 이의 서비스 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7375A Division KR102506313B1 (ko) 2020-01-22 2021-12-24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무동력 롤러코스터 시스템
KR1020210187374A Division KR20220002204A (ko) 2020-01-22 2021-12-24 신호발생기를 통한 동기화가 수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797A KR20210094797A (ko) 2021-07-30
KR102506312B1 true KR102506312B1 (ko) 2023-03-03

Family

ID=7714841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467A KR102506312B1 (ko) 2020-01-22 2020-01-22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 및 이의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210187375A KR102506313B1 (ko) 2020-01-22 2021-12-24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무동력 롤러코스터 시스템
KR1020210187374A KR20220002204A (ko) 2020-01-22 2021-12-24 신호발생기를 통한 동기화가 수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7375A KR102506313B1 (ko) 2020-01-22 2021-12-24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무동력 롤러코스터 시스템
KR1020210187374A KR20220002204A (ko) 2020-01-22 2021-12-24 신호발생기를 통한 동기화가 수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롤러코스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063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7601B1 (ko) * 2017-07-13 2017-12-11 주식회사 이모션허브 테마파크 탑승기기에 적용한 가상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80104601A1 (en) * 2014-08-11 2018-04-19 Vr Coaster Gmbh & Co. Kg Method for Operating an Amusement Rid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5499A1 (en) * 2009-03-14 2010-09-23 Quan Xiao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somatosensory experience for thrill seeking jumping like activities
KR20130035780A (ko) 2011-09-30 2013-04-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731796B1 (ko) * 2015-06-26 2017-05-02 신비 팔 다리 복합 운동이 가능한 놀이터 적용 안전 유희 구조물
KR20170102758A (ko) * 2016-03-02 2017-09-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레일 차량 기반 체험형 콘텐츠 제공장치 및 그 방법
US20170323482A1 (en) * 2016-05-05 2017-11-09 Universal City Studio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stereoscopic,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imag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04601A1 (en) * 2014-08-11 2018-04-19 Vr Coaster Gmbh & Co. Kg Method for Operating an Amusement Ride
KR101807601B1 (ko) * 2017-07-13 2017-12-11 주식회사 이모션허브 테마파크 탑승기기에 적용한 가상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6313B1 (ko) 2023-03-03
KR20220002204A (ko) 2022-01-06
KR20210094797A (ko) 2021-07-30
KR20220000879A (ko) 202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51678C2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для синхронизации управления аттракционом для катания
JP6695996B2 (ja) 仮想現実ヘッドセットの位置特定およびアラインメントならびに仮想現実ヘッドセットを具備する遊戯施設用乗り物
US10514933B2 (en) Virtual attraction controller
CN110536728B (zh) 环形运动模拟游乐园景点
EP2328664B1 (en) Mobile projected sets
EP2249936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activity based on sensor measurements
US201700723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lternate reality ride experience
US6179619B1 (en) Game machine for moving object
US5669821A (en) Video augmented amusement rides
US11741680B2 (en) Modular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ride attraction
US20070106484A1 (en) Entertainment ride experience enhancement system
US20080188318A1 (en) Ride system with motion simulation and video stream
KR102506313B1 (ko) 가상현실 컨텐츠를 포함하는 무동력 롤러코스터 시스템
JP2019511304A (ja) ライダ制御型の無軌道ライドシステム
KR20240046287A (ko)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 경로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1998031444A1 (en) Amusement vehicle
US20130014669A1 (en) Omnimover ride system with crossing paths
US7351154B2 (en) Fun-ride and a method for the operation of a fun-ride
JP7069336B2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を仮想世界と同期するためのベースステーションを備えた同期装置、該同期装置を備えた娯楽用の乗り物、および該娯楽用の乗り物を作動させる方法
JP2021516399A (ja) 娯楽用の乗り物において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を仮想世界と同期するための同期装置、この種の同期装置を備えた娯楽用の乗り物、およびこの種の娯楽用の乗り物を作動させる方法
JP2007215750A (ja) 鉄道運転シミュレーション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該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ゲーム機およびサーバ装置
GB2566428A (en) An amusement ride
CN113891671A (zh) 事件系统
CN109152960B (zh) 基于虚拟现实的滑索体验系统
KR101829285B1 (ko) 가상 현실 기반 활강 체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