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293B1 -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293B1
KR102505293B1 KR1020200180017A KR20200180017A KR102505293B1 KR 102505293 B1 KR102505293 B1 KR 102505293B1 KR 1020200180017 A KR1020200180017 A KR 1020200180017A KR 20200180017 A KR20200180017 A KR 20200180017A KR 102505293 B1 KR102505293 B1 KR 102505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lose
reduction gear
contact spring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9802A (ko
Inventor
강인철
신성수
전영석
Original Assignee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양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0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293B1/ko
Publication of KR20220089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12Arrangements for adjusting or for taking-up backlash not provided for elsew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006Vibration-damping or noise reduc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8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means f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9Gearboxes for accommodating worm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12Arrangements for adjusting or for taking-up backlash not provided for elsewhere
    • F16H2057/125Adjustment of backlash during mounting or assembly of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액추에이터는 기어박스의 내부에 유격방지부재가 설치되어 감속기어의 유격을 방지함에 따라 감속기어의 유격에 따른 진동 및 래틀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는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추에이터{ACTUATOR}
본 발명은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추에이터의 장시간 사용에 의해 감속기어와 밀착플레이트의 마찰부위에 마모가 발생하더라도 밀착플레이트가 밀착스프링에 의해 풀림동작됨에 따라 마모 현상에 의해 발생된 유격만큼 이를 보상해 줄 수 있는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운전자의 조작 편의성을 위해서 자동차에는 다양한 장치가 설치되는 그 중에서 조향장치 또는 브레이크 장치는 운전자가 조향 핸들을 돌려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자유로이 바꿀 수 있게 하는 장치로서, 자동차의 앞/뒤 바퀴가 선회하는 회전 중심을 임의로 변경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동차를 진행시킬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장치이다.
근래에 들어서 소득의 증대와 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라 자동차의 개념이 변화하면서 기존의 단순한 운송시스템에서 이제는 하나의 생활공간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또한, 자동차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좀 더 편안하고 안락한 자동차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힘입어 각종 장치의 고급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런 추세의 하나로 운전자가 용이하게 조향휠을 잡고 편안하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운전자에 대한 조향휠의 상대 위치를 조정하는 구동 모터를 이용한 틸트 및 텔레스크프 조향장치의 장착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여기에서, 구동 모터를 이용한 틸트 및 텔레스코프 조향장치는 승용차에 사용되는 조향휠의 위치를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서 조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런 조향장치의 위치조정에는 틸트 조작과 텔레스코프 조작이 포함된다.
먼저, 틸트 조작은 운전석에 착석하는 운전자의 자세에 맞게 조향휠의 고정각도를 조정하는 것이고, 텔레스코프 조작은 운전자의 체형에 맞게 조향 칼럼의 길이를 길게 늘이거나 짧게 하여 조향휠과 운전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이다.
이러한 틸트 및 텔레스크프 조작을 위한 장치에는 모터를 포함한 액추에이터가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액추에이터는 별도의 기어박스가 결합되어 감속기능을 할 수도 있는데, 이를 통해 강한 토크가 발생되고 부드러운 조작이 가능하다.
종래의 액추에이터와 관련된 기술 내용이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1836128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조향장치에 적용되는 액추에이터는 백래쉬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웜샤프트의 축방향에 볼스프링플런저를 구비하는 구조가 적용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액추에이터는 웜샤프트의 축방향에 댐핑조립체가 설치되어 회전자축의 유격을 방지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액추에이터의 유격 방지용 댐핑구조는 세트스크류의 조임동작에 따라 웜샤프트측에 밀착 결합되며, 상시 웜샤프트와 댐핑조립체가 밀착된 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장시간 사용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웜샤프트와 댐핑조립체의 마찰에 의해 마모현상에 발생되고 이로 인해 웜샤프트와 댐핑조립체 사이 갭(gap)이 발생되어 진동 및 래틀노이즈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2019-003869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속기어의 일측에 유격을 방지하는 유격방지부재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감속기어의 유격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감속기어의 유격 발생에 따른 진동 및 래틀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액추에이터는, 박스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모터하우징과,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제1웜기어와, 상기 제1웜기어와 직교한 방향으로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제1웜기어와,연동하여 회전하면서 감속 및 동력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감속기어와,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감속기어의 일면에 밀착되어 상기 감속기어의 유격 발생을 방지하는 유격방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유격방지부재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밀착스프링장착홀를 포함하는 고정몸체부와, 상기 고정몸체부의 밀착스프링장착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감속기어의 일면에 밀착되어 상기 감속기어의 유격을 방지하는 유격방지부와, 일단은 상기 고정몸체부에 걸림 고정되고, 타단은 유격방지부에 걸림 고정되어 상기 유격방지부를 풀림동작시켜 상기 감속기어측으로 밀착시키는 밀착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밀착스프링은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몸체부의 측면에는 상기 밀착스프링의 일단이 걸림 고정되는 걸림홈이 더 구비된다. 상기 유격방지부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감속기어의 측면에 밀착되는 밀착플레이트와, 상기 밀착플레이트의 측면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밀착스프링장착홀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결합부와, 상기 나사결합부의 내부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외주면에 상기 밀착스프링이 설치되고, 중앙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상기 밀착스프링의 일부분이 고정 결합되는 되는 밀착스프링장착부와, 상기 밀착플레이트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밀착스프링의 타단이 걸림 고정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액추에이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액추에이터가 장시간 사용되어 감속기어와 밀착플레이트의 마모 현상에 따른 유격이 발생하더라도, 유격방지부재의 밀착플레이트가 밀착스프링에 의해 풀림동작되어 발생된 유격이 보상될 수 있다.
따라서, 감속기어의 측면에 유격방지부재가 설치되어 장치의 정밀도가 향상되고, 진동 및 소음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의 장시간 사용에 의해 감속기어와 밀착플레이트의 마찰부위에 마모가 발생하더라도 밀착플레이트가 밀착스프링에 의해 풀림동작됨에 따라 마모 현상에 의해 발생된 유격만큼 이를 보상해 줌으로써 장치의 유지보수성능이 향상되고 장치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액추에이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액추에이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액추에이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유격방지부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유격방지부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유격방지부재의 밀착플레이트가 탄성 회전되어 감속기어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액추에이터는 조향장치의 틸트 및 텔레스크포 동작을 위한 액추에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는 조향장치 이외에도 다양한 분야의 액추에이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중에서 틸트 동작을 위한 액추에이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액추에이터는 조향장치의 틸트 동작, 즉 조향장치의 고정각도를 조정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아래에서 설명된 감속기어(30)가 회전되면 출력부재(40)가 직선이동하면서 힌지(도시되지 않음)을 회전시키고 최종적으로 조향장치를 회전시킨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액추에이터는 출력부재(40)의 직선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구조를 보면, 크게 기어박스(10), 모터하우징(20), 제1웜기어(24) 그리고 감속기어(3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어박스(10), 모터하우징, 제1웜기어(24) 그리고 감속기어(30)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기어박스(10)는 내부가 중공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설치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기어박스(10)의 내부에는 후술할 제1웜기어(24)와 감속기어(30)의 치차 결합부위가 설치된다.
상기 기어박스(10)의 전면에는 기어박스커버(14)가 설치된다. 상기 기어박스커버(14)는 소정 두께는 가지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기어박스(10)의 전면 개방부(16)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기어박스커버(14)는 상기 기어박스(10)의 내상기 전면 개방부(16)를 를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어박스(10)의 하부에는 모터하우징(20)이 설치된다. 상기 모터하우징(20)은 일반적인 모터하우징(motor housing)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모터하우징(20)의 내부에는 구동모터(22)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하우징(20)은 상기 기어박스(1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외관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상기 구동모터(22)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모터하우징(20)의 상부면 중앙에는 제1웜기어(24)가 설치된다. 상기 제1웜기어(24)는 웜기어 형상을 가지며, 상기 구동모터(22)의 모터축(미도시)의 외주면에 결합 고정된다. 상기 제1웜기어(24)는 상기 구동모터(22)의 회전에 따라 정,역 회전되며, 후술할 감속기어(30)와 치차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22)의 회전력을 후술할 감속기어(3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웜기어(24)의 일측에는 감속기어(30)가 설치된다. 상기 감속기어(30)는 기어샤프트(32), 아이들기어(34) 그리고 제2웜기어(3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어샤프트(32)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기어샤프트(32)의 일부분은 상기 기어박스(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웜기어(24)와 연결되어 정,역 회전된다. 상기 기어샤프트(32)는 상기 제1웜기어(24)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 동작이 이루지는 부분이다.
상기 기어샤프트(32)의 좌측에는 아이들기어(34)가 설치된다. 상기 아이들기어(34)는 일반적인 아이들기어(idler Gear)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아이들기어(34)는 상기 제1웜기어(24)와 치차 결합되어, 상기 기어샤프트(32)를 정,역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아이들기어(34)는 상기 제1웜기어(24)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웜기어(24)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상기 기어샤프트(32)에 상기 제1웜기어(24)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상기 기어샤프트(32)의 우측에는 제2웜기어(36)가 설치된다. 상기 제2웜기어(36)는 상기 기어샤프트(32)의 우측 외주면을 따라 일정 구간에 설치된다. 상기 제2웜기어(36)는 일반적인 웜기어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웜기어(36)는 상기 기어샤프트(32)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후술할 출력부재(40)의 좌우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웜기어(36)의 외주면에는 출력부재(40)가 설치된다. 상기 출력부재(40)는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중앙에 좌우로 관통되는 체결홀(42)이 형성된다. 상기 출력부재(40)의 체결홀(42)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출력부재(40)는 상기 제2웜기어(36)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기어샤프트(32)의 정,역 회전에 따라 상기 기어샤프트(32)를 따라 좌우 직선방향으로 이동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출력부재(40)는 상기 기어샤프트(32)의 회전 동작에 의해 직선이동되며, 이로 인해 상기 출력부재(40)와 연결되는 조향장치의 조향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10)의 설치공간(12) 내부에는 유격방지부재(50)가 설치된다. 상기 유격방지부재(50)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유격방지부재(50)는 크게 고정몸체부(52), 유격방지부(60), 밀착스프링(8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몸체부(52)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기어박스(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고정몸체부(52)의 측면에는 좌우로 관통 형성되는 밀착스프링장착홀(54)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몸체부(52)는 설치공간(12)의 좌측면에 결합되어, 후술할 유격방지부(60) 및 밀착스프링(8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밀착스프링장착홀(54)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밀착스프링장착홀(54)의 내부에는 후술할 유격방지부(60)가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몸체부(52)의 우측면 중앙 상부에는 걸림홈(56)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56)은 상기 고정몸체부(52)의 측면 상측에 소정 깊이 만큼 함몰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56)의 내부에는 후술할 밀착스프링(80)의 일단이 걸림 고정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몸체부(52)의 우측면에는 유격방지부(60)가 설치된다. 상기 유격방지부(60)는 밀착플레이트(62)와 나사결합부(64) 그리고 밀착스프링장착부(6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밀착플레이트(62)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감속기어(30)의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감속기어(30)의 유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밀착플레이트(62)의 좌측면에는 나사결합부(64)가 형성된다. 상기 나사결합부(64)는 상기 밀착플레이트(62)의 측면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결합부(64)는 상기 밀착스프링장착홀(54)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고정몸체부(52)에 상기 밀착플레이트(62)가 고정된다.
상기 나사결합부(64)의 내부에는 밀착스프링장착부(66)가 형성된다. 상기 밀착스프링장착부(66)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밀착플레이트(62)의 측면 중앙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밀착스프링장착부(66)의 중앙에는 소정 깊이 만큼 함몰 형성되는 절개홈(68)이 형성된다. 상기 밀착스프링장착부(66)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밀착스프링(80)이 설치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즉, 도 4와 같이, 상기 절개홈(68)의 내부에 후술할 밀착스프링(80)의 일부분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밀착스프링장착부(66)의 외주면에 후술할 밀착스프링(80)이 장착된다.
상기 밀착플레이트(62)의 측면 하부에는 걸림턱(70)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70)은 도 5와 같이 상기 밀착플레이트(62)는 측면 하부에 소정 높이 만큼 좌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70)의 우측면에는 후술할 밀착스프링(80)의 타단이 걸림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밀착스프링장착부(66)의 외주면에는 밀착스프링(80)이 설치된다. 상기 밀착스프링(80)은 일반적인 토션스프링(tortion spring)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밀착스프링(80)은 도 4와 같이 상기 밀착스프링장착부(66)의 외주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일단은 상기 고정몸체부(52)의 상기 걸림홈(56)에 걸림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밀착플레이트(62)의 걸림턱(70)에 걸림 고정된다. 상기 밀착스프링(80)은 상기 고정몸체부(52)와 상기 밀착플레이트(62)에 걸림 고정되어, 상기 고정몸체부(52)에 나사 결합되는 밀착플레이트(62)를 회전시켜 상기 감속기어(30)측으로 돌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밀착스프링(80)에 의해 상기 밀착플레이트(62)가 풀림방향(감속기어 방향)으로 탄성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상기 밀착플레이트(62)와 상기 감속기어(30)가 밀착될 상태로 장시간 사용되어 마모가 발생되는 경우에, 상기 밀착플레이트(62) 및 감속기어(30)의 마모로 인해 발생되는 유격 만큼 상기 밀착스프링(80)이 상기 밀착플레이트(62)를 회전동작시켜 감속기어의 유격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작업자는 기어박스(10)의 하부에 모터하우징(20)을 장착한다. 상기 기어박스(10)에 모터하우징(20)이 장착되면, 상기 기어박스(10)의 설치공간(12)에 모터축에 설치되는 제1웜기어(24)가 위치된다.
상기 기어박스(10)의 내부에 상기 제1웜기어(24)가 장착된 상태에서 감속기어(30)의 아이들기어(34)를 상기 제1웜기어(24)와 치차 결합한다.
상기 제1웜기어와 상기 아이들기어(34)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기어박스커버(14)를 결합하여 상기 기어박스(10)의 전면 개방부(16)를 폐쇄한다.
상기 기어박스(10)에 제1웜기어(24) 및 감속기어(30)의 장착이 완료되면, 상기 기어박스(10)의 측면에 좌우로 관통되는 형성되는 장착홀(82)을 통해 유격방지부재(50)를 삽입한다.
상기 유격방지부재(50)의 삽입이 완료되면, 세트스크류(미도시)를 장착하여 액추에이터의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 설치공간(12)의 내부에 설치되는 유격방지부재(50)는 도 3과 같이, 상기 감속기어(30)의 측면에 밀착되어 유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격방지부재(50)의 세부구조의 작용을 자세히 살명보면, 상기 유격방지부재(50)는 설치공간(12)에 고정되는 고정몸체부(52)를 기준으로 나사 결합되는 밀착플레이트(62) 그리고 상기 밀착플레이트(62)는 풀림방향으로 탄성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토션스프링 형태를 가지는 밀착스프링(80)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액추에이터가 장시간 사용되어 감속기어(30)와 밀착플레이트(62)의 마모 현상에 따른 유격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고정몸체부(52)에 나사 결합된 상기 밀착플레이트(62)를 상기 밀착스프링(80)이 발생된 유격 만큼 상기 밀착플레이트(62)를 풀림방향으로 회전시켜줌에 따라 마모에 따른 유격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기어박스 12. 설치공간
20. 모터하우징 24. 제1웜기어
30. 감속기어 32. 기어샤프트
34. 아이들기어 36. 제2웜기어
40. 출력부재 50. 유격방지부재
52. 고정몸체부 54. 밀착스프링장착홀
56. 걸림홈 60. 유격방지부
80. 밀착스프링

Claims (5)

  1. 박스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모터하우징과;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제1웜기어와;
    상기 제1웜기어와 직교한 방향으로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제1웜기어와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감속 및 동력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감속기어와;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감속기어의 일면에 밀착되어 상기 감속기어의 유격 발생을 방지하는 유격방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유격방지부재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밀착스프링장착홀를 포함하는 고정몸체부와;
    상기 고정몸체부의 밀착스프링장착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감속기어의 일면에 밀착되어 상기 감속기어의 유격을 방지하는 유격방지부와;
    일단은 상기 고정몸체부에 걸림 고정되고, 타단은 유격방지부에 걸림 고정되어 상기 유격방지부를 풀림동작시켜 상기 감속기어측으로 밀착시키는 밀착스프링;을 포함하는 액추에이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스프링은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부의 측면에는,
    상기 밀착스프링의 일단이 걸림 고정되는 걸림홈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방지부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감속기어의 측면에 밀착되는 밀착플레이트와;
    상기 밀착플레이트의 측면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밀착스프링장착홀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결합부와;
    상기 나사결합부의 내부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외주면에 상기 밀착스프링이 설치되고, 중앙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상기 밀착스프링의 일부분이 고정 결합되는 되는 밀착스프링장착부와;
    상기 밀착플레이트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밀착스프링의 타단이 걸림 고정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액추에이터.
KR1020200180017A 2020-12-21 2020-12-21 액추에이터 KR102505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017A KR102505293B1 (ko) 2020-12-21 2020-12-21 액추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017A KR102505293B1 (ko) 2020-12-21 2020-12-21 액추에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802A KR20220089802A (ko) 2022-06-29
KR102505293B1 true KR102505293B1 (ko) 2023-03-07

Family

ID=82270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017A KR102505293B1 (ko) 2020-12-21 2020-12-21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2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5302A (ja) 2002-11-28 2004-06-24 Koyo Seiko Co Ltd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8094176A (ja) * 2006-10-10 2008-04-24 Nsk Ltd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933B1 (ko) * 2009-03-11 2013-03-25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102515962B1 (ko) * 2016-07-07 2023-03-31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감속기의 유격 보상을 위한 제어기, 감속기의 유격 보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85875B1 (ko) 2017-09-26 2019-09-04 계양전기 주식회사 기어조립체 일체형 엑츄에이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5302A (ja) 2002-11-28 2004-06-24 Koyo Seiko Co Ltd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8094176A (ja) * 2006-10-10 2008-04-24 Nsk Ltd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802A (ko) 202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5554B2 (en) Steering device
US5259257A (en) Power slider
US8316737B2 (en) Electric clamping device for an adjustable motor vehicle steering column
KR20020062569A (ko)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WO2005001309A1 (ja) ウォーム減速機及び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WO2005042304A2 (en) Motorized lamp adjuster
JP4581245B2 (ja) 車両用電動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装置
US20080022796A1 (en) Steering apparatus equipped with ring type support yoke
KR101095978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JPWO2007083536A1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US20190107717A1 (en) Head-up display system
KR102101664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의 베어링 홀더 구조체
JP2013067309A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KR102505293B1 (ko) 액추에이터
US10876623B2 (en) Compensating arrangement for compensating axial play, and transmission unit
KR101894250B1 (ko) 전동식 조향장치
KR101985875B1 (ko) 기어조립체 일체형 엑츄에이터장치
US20210163059A1 (en) Steering apparatus
JP5811735B2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8080976A (ja) 電動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7107719A (ja) 車両用のコンパクトなパーキングブレーキ
JP4742397B2 (ja) 自動車のペダル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ダンパ
KR200489020Y1 (ko) 댐핑수단이 구비된 엑츄에이터장치
KR101879134B1 (ko) 자동차의 감속기
KR100444083B1 (ko) 텔레스코픽 조향장치의 샤프트 유격흡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