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118B1 - 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이용한 근접 소방지원 시스템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이용한 근접 소방지원 시스템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118B1
KR102505118B1 KR1020210132941A KR20210132941A KR102505118B1 KR 102505118 B1 KR102505118 B1 KR 102505118B1 KR 1020210132941 A KR1020210132941 A KR 1020210132941A KR 20210132941 A KR20210132941 A KR 20210132941A KR 102505118 B1 KR102505118 B1 KR 102505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driving
support system
fire
firef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수
Original Assignee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10132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1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71Detection of area conflagration fi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9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by spraying extinguishants directly into the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46Construction of the actua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14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from gases, flam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48Thermography; Techniques using wholly visual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이용한 근접 소방지원 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소방시설 지원시스템을 제작하는 단계; 및 공동주택을 포함하는 건출물에 소방시설 지원시스템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소방지원 시스템은, 건축물 내에 설치되는 콘센트 중 과전류 또는 누전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사전 지정된 콘센트와 개별 매칭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해당 콘센트의 열화상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획득하는 열화상 카메라; 상기 열화상 카메라로부터 실시간 전송되는 콘센트의 열화상 데이터를 기설정된 기간 동안 분석하여, 상기 열화상 카메라와 매칭된 콘센트의 화재 위험 및 화재 발생의 판별을 위한 기준 열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준 데이터 생성부; 상기 기준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기준 열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방지원 시스템은는 제작과 설치 및 운용상에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시점에서 상황관리유닛에 의하여 모니터가 수행되는, 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이용한 근접 소방지원 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이용한 근접 소방지원 시스템 제공방법{PROVIDING OF FIRE FIGHTING SUPPORT SYSTEM}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이용한 근접 소방지원 시스템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내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점을 집중 감시를 하고 화재 발생시 소방 시설 작동이 원활이 이루어지며 화재발생 확률을 현저히 낮추고, 화재 발생 시 그 발화점과 발생시간에 대한 정보가 정확하게 저장되어 추후 화재시 원인 확인에 큰 도움을 주며 시공 관련 작업이 규정대로 이루어졌는지 모니터와 검증하는 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이용한 근접 소방지원 시스템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소방관리에 사용되는 화재감지기는 화재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관리자 또는 소방관제센터에 직·간접적으로 경보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화재감지기의 화재신호에 따라 해당 건축물의 소화설비인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여 화재를 진화하게 된다.
이러한 화재감지기의 화재 감지는 통상 열을 감지하는 방식으로써, 이에 따라 실제 화재가 아닌 다른 열원으로 인해 스프링클러가 오작동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한다. 부연 설명하면, 열을 발생하는 조명 또는 용접 불꽃 등에 의해서도 스프링클러가 작동하는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화재를 야기하는 발화점을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감지하면서 이를 기반으로 화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발생 확률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기술 개발이 매우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상술한 기존의 화재감지기는 화재의 발화점 및 발생시간이 확인되지 않는 형태이므로, 화재의 진화에는 도움을 주지만 해당 화재의 발생 원인 등을 찾는 사후 처리에는 별다른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이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982659호(2019. 06. 31.) '건축물 화재 발생시 긴급 소방지원시스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과제는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시설 작동 시스템에 의하면, 건축물 내 화재 발생의 발화점이 될가능성이 높은 지점 중심으로 실제 발화를 사전에 차단하는 방식으로 집중 감시를 하여 해당 건축물의 화재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그 발생 확률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이용한 근접 소방지원 시스템 제공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화재 발생 시 그 발화점 및 발생시간에 대한 정보가 보다 정확하게 저장되어 추후 확인될 수 있으므로, 해당 화재의 발생 원인 등을 찾는 사후 처리에 큰 도움을 주는 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이용한 근접 소방지원 시스템 제공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시스템 제공에 따른 각종 작업과정과 시공 관련 작업이 규정대로 이루어졌는지 여부 및 필요한 전반적 사항을 모니터와 검증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이용한 근접 소방지원 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와 검증을 통해 이상 발생에 따른 책임여부와 여러가지 분쟁, 원안피악 등의 문제를 보다 분명하게 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이용한 근접 소방지원 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와 검증을 통해 시스템의 설치상의 품질을 높이고 그 이후의 모든 과정에서 안정적 관리를 통하여 즉각적인 유지보수관리 등이 가능하여 추가적인 파손과 보수불능 등으로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이용한 근접 소방지원 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와 검증을 위한 수단을 다양한 구도와 구조환경에서 설치제공하여 모니터와 검증을 보다 효과적으로 다양하게 운영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이용한 근접 소방지원 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이용한 근접 소방지원 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소방시설 지원시스템을 제작하는 단계; 및 공동주택을 포함하는 건출물에 소방시설 지원시스템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소방지원 시스템은, 건축물 내에 설치되는 콘센트 중 과전류 또는 누전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사전 지정된 콘센트와 개별 매칭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해당 콘센트의 열화상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획득하는 열화상 카메라; 상기 열화상 카메라로부터 실시간 전송되는 콘센트의 열화상 데이터를 기설정된 기간 동안 분석하여, 상기 열화상 카메라와 매칭된 콘센트의 화재 위험 및 화재 발생의 판별을 위한 기준 열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준 데이터 생성부; 상기 기준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기준 열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방지원 시스템은는 제작과 설치 및 운용상에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시점에서 상황관리유닛에 의하여 모니터가 수행되는, 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이용한 근접 소방지원 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시설 작동 시스템에 의하면, 건축물 내 화재 발생의 발화점이 될가능성이 높은 지점을 중심으로 실제 발화를 사전에 차단하는 방식으로 집중 감시를 하여 해당 건축물의 화재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그 발생 확률을 현저히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화재 발생 시 그 발화점 및 발생시간에 대한 정보가 보다 정확하게 저장되어 추후 확인될 수 있으므로, 해당 화재의 발생 원인 등을 찾는 사후 처리에 큰 도움을 주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 제공에 따른 각종 작업과정과 시공 관련 작업의 규정대로 이루어졌는지 여부 및 필요한 전반적 사항을 모니터 및 검증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이용한 근접 소방지원 시스템 제공방법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모니터와 검증을 통해 이상발생에 따른 책임여부와 여러가지 분쟁, 원안피악 등의 문제를 보다 분명하게 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이용한 근접 소방지원 시스템 제공방법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모니터와 검증을 통해 시스템의 설치상의 품질을 높이고 그 이후의 모든 과정에서 안정적 관리를 통하여 즉각적인 유지보수관리 등이 가능하여 추가적인 파손과 보수불능 등으로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이용한 근접 소방지원 시스템 제공방법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모니터와 검증을 위한 수단을 다양한 구도와 구조환경에서 설치제공하여 모니터와 검증을 보다 효과적으로 다양하게 운영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이용한 근접 소방지원 시스템 제공방법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환경에서 운용 상의 필요에 따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를 위한 단계적인 동작을 통해 촬영부가 외부환경으로부터 단기적 혹은 장지적으로 보호되고, 특히 이러한 보호를 단계별로 수행하여 필요에 따른 가변적인 촬영수단의 단계적 보호가 가능한 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이용한 근접 소방지원 시스템 제공방법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시설 작동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시설 작동 시스템의 제2 열화상 카메라 및 제2 소화부의 배전함에 대한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시설 작동 시스템의 콘센트 주변의 소방시설 모듈의 예시를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 커버의 작동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도 1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시설 작동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시설 작동 시스템의 제2 열화상 카메라 및 제2 소화부의 배전함에 대한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시설 작동 시스템의 콘센트 주변의 소방시설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 커버의 작동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의 화재 발생 시 소방시설 작동 시스템은 제1 열화상 카메라(10), 제1 기준데이터 생성부(20), 제1 저장부(30), 제2 열화상 카메라(40), 제2 기준 데이터 생성부(50), 제2 저장부(60), 제1 무선통신모듈(70), 제1 경보장치(80), 제1 소화부(90), 제2 무선통신모듈(100), 제2 소화부(110), 제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열화상 카메라(10)는 건축물 내에 설치되는 콘센트 중 과전류 또는 누전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사전 지정된콘센트와 개별 매칭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해당 콘센트의 열화상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획득한다. 제1 기준 데이터 생성부(20)는 제1 열화상 카메라(10)로부터 실시간 전송되는 콘센트의 열화상 데이터를 기설정된 기간 동안 분석하며, 이러한 분석 과정을 통해 제1 기준 데이터 생성부(20)는 제1 열화상 카메라(10)와 매칭된 콘센트의 화재 위험 및 화재 발생의 판별을 위한 제1 기준 열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1 저장부(30)는 제1 기준 데이터 생성부(20)에서 생성된 상기 제1 기준 열화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2 열화상 카메라(40)는 건축물의 배전함(300) 내부에 사각형의 꼭지점에 각각 위치하는 배치 형태로 설치되어 배전함(300) 내의 전기기기 및 전선 간 접속이 이루어지는 전체 영역(S) 중 1/4에 해당되는 영역(S1∼S4)의 열화상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획득한다.
제2 기준 데이터 생성부(50)는 제2 열화상 카메라(40)로부터 실시간 전송되는 열화상 데이터를 기설정된 기간동안 분석하며, 이러한 분석 과정을 통해 제2 기준 데이터 생성부(50)는 제2 열화상 카메라(40)와 매칭된 배전함(300) 내 전기기기 및 전선 간 접속 영역의 화재 위험 및 화재 발생의 판별을 위한 제2 기준 열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0030]제2 저장부(60)는 제2 기준 데이터 생성부(50)에서 생성된 상기 제2 기준 열화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1 무선통신모듈(70)은 제1 열화상 카메라(10)와 매칭된 콘센트의 화재 위험 경고신호를 해당 관리자의 모바일 스마트디바이스(200)에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제1 경보장치(80)는 제1 열화상 카메라(10)별로 해당 제1 열화상 카메라(10)와 인접하게 설치되며, 이러한 제1경보장치(80)는 해당 제1 열화상 카메라(10)와 매칭된 콘센트의 화재 위험 경고신호를 주변에 출력한다.
제1 소화부(90)는 건축물 내에 제1 열화상 카메라(10)별로 매칭되어 설치되며, 이러한 제1 소화부(90)는 외부의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매칭된 제1 열화상 카메라(10)와 대응되는 콘센트에 분말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기능을 한다. 다시 말해, 제1 소화부(90)는 후술되는 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매칭된 제1 열화상카메라(10)와 대응되는 콘센트에 분말 소화약제를 분사한다. 제2 무선통신모듈(100)은 제2 열화상 카메라(40)와 매칭된 배전함(300) 내 전기기기 및 전선 간 접속 영역의 화재 위험 경고신호를 해당 관리자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200)에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제2 소화부(110)는 배전함(300) 내부에 제2 열화상 카메라(40)별로 매칭되어 설치되며, 이러한 제2 소화부(110)는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매칭된 제2 열화상 카메라(40)와 대응되는 배전함(300) 내 전기기기 및 전선 간의 접속 영역에 분말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기능을 한다. 다시 말해, 제2 소화부(90)는 후술되는 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매칭된 제2 열화상 카메라(10)와 대응되는 배전함(300) 내 전기기기 및 전선간의 접속 영역에 분말 소화약제를 분사한다.
제어부(120)는 제1 열화상 카메라(10)와 매칭되는 콘센트의 화재 1차 위험 단계, 화재 2차 위험 단계 및 화재발생 단계의 판별을 위한 제1 임계범위가 해당 단계별로 제1 저장부(30)의 제1 기준 열화상 데이터를 기준으로설정된다. 또한, 제어부는 제2 열화상 카메라(40)와 매칭되는 배전함(300) 내 전기기기 및 전선 간 접속 영역의 화재 위험 단계 및 화재 발생 단계의 판별을 위한 제2 임계범위가 해당 단계별로 제2 저장부(60)의 제2 기준 열화상 데이터를 기준으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제1 열화상 카메라(10)로부터 실시간 전송되는 열화상 데이터가 상기 화재 1차 위험단계의 상기 제1 임계범위에 해당되는 경우 해당 콘센트의 화재 위험 경고신호를 제1 무선통신모듈(70)을 통해해당 관리자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200)에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제1 열화상 카메라(10)로부터 실시간 전송되는 열화상 데이터가 상기 화재 2차 위험 단계의 상기 제1 임계범위에 해당되는 경우 제1 경보장치(80)를 작동시킨다.
제1 경보장치(80)는 인접하는 해당 제1 열화상 카메라(10)와 매칭된 콘센트(400)의 수직 방향 상부에 설치되어 하부의 콘센트(400)를 화살표로 가리키는 동시에 해당 콘센트(400)의 과열에 따른 화재 위험이 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500)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1 열화상 카메라(10)로부터 실시간 전송되는 열화상 데이터가 상기 화재 발생 단계의 상기 제1임계범위에 해당되는 경우 제1소화부(90)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제2 열화상 카메라(40)로부터 실시간 전송되는 열화상 데이터가 상기 화재 위험 단계의상기 제2 임계범위에 해당되는 경우 배전함(300) 내 해당 전기기기 및 전선 간 접속 영역의 화재 위험 경고신호를 제2 무선통신모듈(100)을 통해 해당 관리자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200)에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120)는제2 열화상 카메라(40)로부터 실시간 전송되는 열화상 데이터가 상기 화재 발생 단계의 상기 제2 임계범위에 해당되는 경우 제2 소화부(110)를 작동시킨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건축물 내 화재 발생의 발화점이 될 가능성이 높은 지점, 다시 말해 과전류 또는 누전의위험이 높은 콘센트들을 사전에 화재 관리 대상으로 정하여 이렇게 지정되는 콘센트들 및 배전함 내부를 열화상카메라 및 그에 따른 열화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화재발생 위험 단계 및 화재 발생 단계로 구분해 실제 발화를 우선적으로 차단하는 방식으로 집중 감시를 함으로써, 해당 건축물의 화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그 발생확률을 현저히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건축물의 화재 발생 시 그 발화점 및 발생시간이 보다 정확한 정보로써 기록 및 보존될 수 있으므로, 화재별 그 발생 원인 등을 찾는 사후 처리에 큰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열화상 카메라(10), 제1 경보장치(80) 제1 소화부(90) 디스플레이 패널(500)은 하나의 소방시설 모듈(FFM)로 구성되어, 도 3과 같이 콘센트(4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방시설 모듈(FFM)은, 디스플레이 패널(500)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된 제1 열화상 카메라(10)와,디스플레이 패널(500) 하부에 배치되는 제1 경보장치(80) 및 제1 경보장치(80) 하부에 배치된 제1 소화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열화상 카메라(10)는 디스플레이 패널(500)을 중심으로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열화상 카메라(10)는 디스플레이 패널(500)을 중심으로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경보장치(80)는 디스플레이 패널(500)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경보장치(80)는 디스플레이 패널(500)의 제2 방향(Y축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경보장치(80)는 스피커부(SPP)와 발광부(ELP)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피커부(SPP)는 제1 방향(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이용한 근접 소방지원 시스템 제공방법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발광부(ELP)는 다수의 스피커부(SP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부(ELP)는 다수의 발광유닛(ELU)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발광유닛(ELU)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다수의 발광유닛(ELU)은 평면상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스피커부(SPP)와 발광부(ELP)는 제1 방향(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이용한 근접 소방지원 시스템 제공방법축 방향)으로 서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부(SPP)는 화재발생시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으며, 발광부(ELP)는 화재가 발생된 경우, 경고 광원을 출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스피커부(SPP)와 발광부(ELP) 사이에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된 반사유닛(RU)이 배치될 수 있다. 반사유닛(RU)은 발광부(ELP)에서 출력되는 경고 광원을 반사시켜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집중시킬 수있다. 반사유닛(RU)은 알루미늄 박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을 반사시킬수 있는 다양한 재료가 활용될 수 있다.
제1 경보장치(80)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패널(500)과 중첩하되, 제1 열화상 카메라(10)와 비중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소화부(90)는 제1 경보장치(80)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소화부(90)는, 제1 센서 모듈(SM1), 제2 센서 모듈(SM2) 및 하면에 배치된 다수의 분사부(91)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센서 모듈(SM1), 제2 센서 모듈(SM2)은 제1 방향(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이용한 근접 소방지원 시스템 제공방법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센서 모듈(SM1)은 열 감지 센서 및 연기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소화부(90)는 제1 센서 모듈(SM1)을 통하여 화재발생을 감지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센서 모듈(SM1)의 열 감지 센서는 일정온도가 초과하면 작동하는 온도 센서로서 비접촉식 또는 접촉식 방식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접촉식은 측정 대상물에 대한 온도 센서를 직접 접촉시키는 방법으로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이고, 비접촉식은 측정 대상물에서 방사되는 열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열전대,금속 측온체, 서미스터, IC온도센서, 자기 온도 센서, 서모파일, 초전형 온도 센서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 모듈(SM1)의 연기 감지 센서는 연기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이온화식 감지기와 광전식 감지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온화식은 검지부에 연기가 들어가면 전류가 변하는 것을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방식이고, 광전식은 검지부안에 연기가 들어가면 연기에 의하여 평상시 광전 소자에 의하여 일정하게 흐르던 전류의 값을변화시켜 화재를 감지하는 방식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센서 모듈(SM2)은 건물 내 사람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써, 아두이노 음성인식모듈등을 내장하여 사람의 비명, 고함 등 긴급한 음성 주파수를 인식하는 음성인식센서와, 건물 내 사람의 스마트기기에서 발생하는 GPS신호를 분석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센서 모듈 (SM2)을 통하여 사람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센서 모듈(SM1), 제2 센서 모듈(SM2) 각각을 둘러싸는 제1 열차단막(95), 제2 열차단막(96)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열차단막(95)은 제1 센서 모듈(SM1)을 둘러싸는 사각테두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열차단막(96)은 제2 센서 모듈(SM2)을 둘러싸는 사각테두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열차단막(95), 제2 열차단막(96) 각각은 글라스파이어, 페놀수지 및 탄산칼슘이 혼합된 조성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열차단 커버(HSC2)는 글라스파이버 75 중량%, 페놀수지 17중량%, 탄산칼슘은 8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열차단막(95)은 연기를 감지하기 위하여 연기 유입을 위한 다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다수의 분사부(91)는 제1 방향(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이용한 근접 소방지원 시스템 제공방법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분사부(91) 사이에는 절연 패턴(IPT)이 배치될 수 있다. 절연 패턴(IPT)은 다수의 절연 조각으로 제1 방향(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이용한 근접 소방지원 시스템 제공방법축 방향)으로 이격되며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절연 패턴(IPT)은 절연성을 가지는 폴리머 계열로 파릴렌(parylene), 폴리 에틸렌(Polyethylene : PE), 또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 PTF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분사부(91) 각각은 분말 소화약제를 하부에 배치된 콘센트(400)로 분사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소화부(90)는 다수의 분사부(91) 각각의 외측으로 배치된 분사부 커버(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분사부 커버(93)는 분사부(91) 외측으로 배치되되, 일정한 경사를 갖고 분사부(91)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분사부 커버(93)는, 제1 소화부(90)와 접촉하는 제1 부분(P1)과, 제1 부분(P1)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부분(P2) 및 제1 부분(P1)과 제2 부분(P2)을 연결하는 연결부(CP)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분(P2)은 연결부(CP)를 통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분사부(91) 비작동시에는 제2 부분(P2)은 분사부(91)를 덮도록 위치되되, 분사부(91) 작동시에는 회전부를 통하여 분사부(91)를 노출시키도록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사부(91) 비작동시에는 제2 부분(P2)과 분사부(91)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으며, 분사부(91) 작동시에는 제2 부분(P2)과 분사부(91)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비중첩할 수 있다.
제2 부분(P2)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되 다수의 공기통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공기통로에는 상변화물질(M2)과 완충물질(M1)이 충전될 수 있다. 완충물질(M1)은 실리콘, 고무, 스펀지 등 다양한 물질이 이용될 수 있으며, 상변화물질(M2)은 테드라데칸, 옥타데칸, 노나데칸, 염화칼슘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공기 통로는 제1 공기통로 및 제2 공기통로를 다수 포함할 수 있고, 제1 공기통로 내부에는 실리콘 충전되며, 제2 공기통로 내부에는 테드라데칸이 충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부분이 상변화물질(M2)과 완충물질(M1)을 포함함으로써 외부에 의한 충격 및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다수의 공기통로는 원 기둥 형상 또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직경은 0.001cm 내지 0,01c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이용한 근접 소방지원 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소방시설 지원시스템을 제작하는 단계; 및 공동주택을 포함하는 건출물에 소방시설 지원시스템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소방지원 시스템은, 건축물 내에 설치되는 콘센트 중 과전류 또는 누전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사전 지정된 콘센트와 개별 매칭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해당 콘센트의 열화상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획득하는 열화상 카메라; 상기 열화상 카메라로부터 실시간 전송되는 콘센트의 열화상 데이터를 기설정된 기간 동안 분석하여, 상기 열화상 카메라와 매칭된 콘센트의 화재 위험 및 화재 발생의 판별을 위한 기준 열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준 데이터 생성부; 상기 기준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기준 열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소방지원 시스템은는 제작과 설치 및 운용상에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시점에서 상황관리유닛에 의하여 모니터가 수행된다. 상기 상황관리유닛은, 상기 소방지원 시스템의 제작과 설치 운용상 설치 동작 과정을 촬영하여 촬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촬영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상황을 사전적 및 후속적으로 관리하되, 상기 상황관리유닛은, 모니터링 기능을 포함하는 하부파츠와 상기 하부파츠에 장착되는 상부파츠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상부파츠는,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제1구동패널(311')과 상측의 제1연결바(331')와 하측의 제2연결바(342')를 통해 진퇴이동 가능하게 연동되는 제2구동패널(321')과,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가동체(312')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제1베이스패널(333')을 기반으로 상기 제1가동체(312')와 연동되는 제2가동체(322')와, 상기 제1베이스패널(333')상에 장착되는 제1촬영감시모듈(332')을 포함하는 제1유동체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가동체(313')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제2베이스패널(343')을 기반으로 상기 제3가동체(313')와 연동되는 제4가동체(323')와, 상기 제2베이스패널(343')상에 장착되는 제2촬영감시모듈(342')을 포함하는 제2유동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진퇴이동을 기반으로 상기 제1베이스패널(333')과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은 상기 제1구동패널(311')내부로 수납되어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 관리되며, 상기 진퇴이동을 기반으로 상기 제2베이스패널(343')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은 상기 제3구동패널(313')내부로 수납되어 외부화경으로부터 보호 관리된다.
한편 상기 상부파츠는, 상기 제1구동패널(311')상에서 상기 제1가동체(312')와 상기 제3가동체(313')사이로 구비되는 제1보조구동체(411')와, 상기 제1보조구동체(411')에 연동설치되며 상하둘레부와 길이방향 단부로 설정온도의 제1유체를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주변공간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촬영 및 구동에 적합한 온도환경이 조성되도록 하는 제1분사구동체(412')와, 상기 제2구동패널(321')상에서 상기 제2가동체(322')와 상기 제4가동체(323')사이로 구비되는 제2보조구동체(511')와, 상기 제2보조구동체(511')에 연동설치되며 상하둘레부와 길이방향 단부로 설정온도의 제2유체를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주변공간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촬영 및 구동에 적합한 온도환경이 조성되도록 하는 제2분사구동체(512')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파츠는 상기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 제2구동패널(321')이 삽입장착되는 하판패널부(421')와, 상기 하판패널부(421')가 설치되고 상기 하판패널부(421')가 둘레부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최하판패널부(422')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판패널부(421')는, 중앙의 중앙하판패널부(4211')와, 상기 중앙하판패널부(4211')의 일측에 출몰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구동패널(311')이 삽입장착되는 일측하판패널부(4212')와, 상기 중앙하판패널부(4211')의 타측에 출몰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구동패널(321')이 삽입장착되는 타측하판패널부(4213')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일측하판패널부(4212')와 상기 타측하판패널부(4213')는 상기 중앙하판패널부(4211')상에서 상기 진퇴이동이 대응하여 유동되고, 상기 하부파츠는, 상기 일측하판패널부(4212')에 하방이 연동설치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접하되 내측으로 출몰되는 제1-1출몰돌기(5111')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장착되는 제1-1접촉몸체(511')와, 상기 제1-1접촉몸체(511')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제1-1이동구(5112')와, 상기 제1-1이동구(5112')를 통해 상기 제1-1접촉몸체(511')와 연결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1구동패널(311') 중간부에 접하는 제1-2접촉몸체(512')와, 상기 제1-2접촉몸체(512')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제1-2이동구(5121')와 상기 제1-2이동구(5121')를 통해 상기 제1-2접촉몸체(512')와 연결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1구동패널(311') 상단부에 접하되 제1-2출몰돌기(5131') 제1구동패널(311')에 장착되는 제1-3접촉몸체(513')를 포함하는 제1접촉고정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상황관리유닛은, 한편 상기 타측하판패널부(4213')에 하방이 연동설치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2구동패널(321')에 접하되 내측으로 출몰되는 제2-1출몰돌기(5211')가 상기 제2구동패널(321')에 장착되는 제2-1접촉몸체(521')와, 상기 제2-1접촉몸체(521')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제2-1이동구(5212')와, 상기 제2-1이동구(5212')를 통해 상기 제2-1접촉몸체(521')와 연결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2구동패널(321') 중간부에 접하는 제2-2접촉몸체(522')와, 상기 제2-2접촉몸체(522')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제2-2이동구(5221')와 상기 제2-2이동구(5221')를 통해 상기 제2-2접촉몸체(522')와 연결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2구동패널(321') 상단부에 접하되 제2-2출몰돌기(5231') 제2구동패널(321')에 장착되는 제2-3접촉몸체(523')를 포함하는 제2접촉고정모듈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1접촉고정모듈은, 상기 제1-1접촉몸체(511')가 상기 제1-1이동구(5112')를 매개로 상기 제1-2접촉몸체(512')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1-1동작과 상기 제1-2접촉몸체(512')는 상기 제1-2이동구(5121')를 매개로 상기 제1-2출몰돌기(5131')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3접촉몸체(513')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1-2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제2접촉고정모듈은, 상기 제2-1접촉몸체(521')가 상기 제2-1이동구(5212')를 매개로 상기 제2-2접촉몸체(522')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2-1동작과 상기 제2-2접촉몸체(522')는 상기 제2-2이동구(5221')를 매개로 상기 제2-2출몰돌기(5231')가 상기 제2구동패널(32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3접촉몸체(523')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2-2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접촉고정모듈과 상기 제2접촉고정모듈은, 상기 제1-1 내지 상기 제2-2동작을 기반으로 상기 제1구동패널(311'), 상기 제2구동패널(321')을 상기 하판패널부(421') 및 상기 최하판패널부(422')와 연동고정시키며, 상기 하부파츠는 인접영역 혹은 서로 상이한 별개의 영역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상부파츠는 상기 각 하부파츠에 선택적으로 장착되거나, 상기 각 하부파츠들에 대응하여 각각 장착된다.
상기 하부파츠는 상부설치면에 설치되어 상하반전형으로 위치되거나, 일측설치면에 설치되어 수평형으로 위치되거나 타측설치면에 설치되어 수평형으로 위치된다. 상기 제1-1출몰돌기(5111'), 상기 제1-2출몰돌기(5131'), 상기 제2-1출몰돌기(5211') 및 상기 제2-2출몰돌기(5231')는 각기 상기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 제2구동패널(321')에 장착된 상태에서 냉각 기능 또는 히팅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제1구동패널(311'), 상기 제2구동패널(321') 및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 제2구동패널(321')의 주변부에 대한 온도조건이 설정되도록 한다.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제1 열화상 카메라 20 : 제1 기준 데이터 생성부
30 : 제1 저장부 40 : 제2 열화상 카메라
50 : 제2 기준 데이터 생성부 60 : 제2 저장부
70 : 제1 무선통신모듈

Claims (2)

  1. 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이용한 근접 소방지원 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소방시설 지원시스템을 제작하는 단계; 및 공동주택을 포함하는 건출물에 소방시설 지원시스템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소방지원 시스템은,
    건축물 내에 설치되는 콘센트 중 과전류 또는 누전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사전 지정된 콘센트와 개별 매칭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해당 콘센트의 열화상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획득하는 열화상 카메라;
    상기 열화상 카메라로부터 실시간 전송되는 콘센트의 열화상 데이터를 기설정된 기간 동안 분석하여, 상기 열화상 카메라와 매칭된 콘센트의 화재 위험 및 화재 발생의 판별을 위한 기준 열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준 데이터 생성부;
    상기 기준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기준 열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방지원 시스템은는 제작과 설치 및 운용상에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시점에서 상황관리유닛에 의하여 모니터가 수행되되,
    상기 상황관리유닛은,
    상기 소방지원 시스템의 제작과 설치 운용상 설치 동작 과정을 촬영하여 촬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촬영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상황을 사전적 및 후속적으로 관리하되,
    상기 상황관리유닛은,
    모니터링 기능을 포함하는 하부파츠와 상기 하부파츠에 장착되는 상부파츠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파츠는,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제1구동패널(311')과 상측의 제1연결바(331')와 하측의 제2연결바(342')를 통해 진퇴이동 가능하게 연동되는 제2구동패널(321')과,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가동체(312')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제1베이스패널(333')을 기반으로 상기 제1가동체(312')와 연동되는 제2가동체(322')와, 상기 제1베이스패널(333')상에 장착되는 제1촬영감시모듈(332')을 포함하는 제1유동체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가동체(313')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제2베이스패널(343')을 기반으로 상기 제3가동체(313')와 연동되는 제4가동체(323')와, 상기 제2베이스패널(343')상에 장착되는 제2촬영감시모듈(342')을 포함하는 제2유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진퇴이동을 기반으로 상기 제1베이스패널(333')과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은 상기 제1구동패널(311')내부로 수납되어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 관리되며,
    상기 진퇴이동을 기반으로 상기 제2베이스패널(343')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은 상기 제3구동패널(313')내부로 수납되어 외부화경으로부터 보호 관리되며,
    상기 상부파츠는,
    상기 제1구동패널(311')상에서 상기 제1가동체(312')와 상기 제3가동체(313')사이로 구비되는 제1보조구동체(411')와,
    상기 제1보조구동체(411')에 연동설치되며 상하둘레부와 길이방향 단부로 설정온도의 제1유체를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주변공간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촬영 및 구동에 적합한 온도환경이 조성되도록 하는 제1분사구동체(412')와,
    상기 제2구동패널(321')상에서 상기 제2가동체(322')와 상기 제4가동체(323')사이로 구비되는 제2보조구동체(511')와,
    상기 제2보조구동체(511')에 연동설치되며 상하둘레부와 길이방향 단부로 설정온도의 제2유체를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주변공간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촬영 및 구동에 적합한 온도환경이 조성되도록 하는 제2분사구동체(512')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파츠는,
    상기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 제2구동패널(321')이 삽입장착되는 하판패널부(421')와,
    상기 하판패널부(421')가 설치되고 상기 하판패널부(421')가 둘레부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최하판패널부(422')를 더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이용한 근접 소방지원 시스템 제공방법.
  2. 삭제
KR1020210132941A 2021-10-07 2021-10-07 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이용한 근접 소방지원 시스템 제공방법 KR102505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941A KR102505118B1 (ko) 2021-10-07 2021-10-07 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이용한 근접 소방지원 시스템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941A KR102505118B1 (ko) 2021-10-07 2021-10-07 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이용한 근접 소방지원 시스템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118B1 true KR102505118B1 (ko) 2023-03-03

Family

ID=85510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941A KR102505118B1 (ko) 2021-10-07 2021-10-07 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이용한 근접 소방지원 시스템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11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659B1 (ko) 2018-08-22 2019-05-29 (주)한길이앤씨 건축물 화재 발생시 긴급 소방지원시스템
KR102305103B1 (ko) * 2021-05-17 2021-09-27 삼성유비스 주식회사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시설 작동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659B1 (ko) 2018-08-22 2019-05-29 (주)한길이앤씨 건축물 화재 발생시 긴급 소방지원시스템
KR102305103B1 (ko) * 2021-05-17 2021-09-27 삼성유비스 주식회사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시설 작동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84737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suppressing fire
CN109564716A (zh) 用于检测紧急情况的装置、系统和方法
KR20210018602A (ko) 실내공간 지능형 화재 초기 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727778B2 (en) Thermographic detector device for a fire alarm control system
KR101638303B1 (ko) 다목적 cctv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33351B1 (ko) 3D LiDAR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84863B1 (ko) 증강현실 및 건물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방설비 관리 및 점검 장치
EP3428897B1 (en) Optical flame detector
KR102505118B1 (ko) 공동주택의 전기 장치를 이용한 근접 소방지원 시스템 제공방법
KR102305103B1 (ko)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시설 작동 시스템
KR102441268B1 (ko) 드론을 이용한 소방 점검 시스템
KR20190019469A (ko)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
KR102459887B1 (ko) IoT 기반 장비 부착형 누액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600722B1 (ko) Ai 기반 과열 방지 및 원격감시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및 이를 이용한 감시 방법
CN114259681A (zh) 灭火胶囊及包括其的灭火装置
KR101854872B1 (ko) 건축물의 화재 발생 시 소방시설 작동 시스템
JP2017038698A (ja) トンネル避難坑内の避難誘導装置
KR101879943B1 (ko) 터널 교통안전방재 통합관리 장치 및 방법
JP2020115082A (ja) 構造物異常検知装置
JP7227716B2 (ja) 火災検出装置
Nembhnani et al. Developing an intelligent fire alarming, monitoring and rescuing system using UAV
KR20220098830A (ko) 지능형 피난유도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11145186B2 (en) Control panel for processing a fault associated with a thermographic detector device of a fire alarm control system
JP2021092521A (ja) ヘッドマウント型温度分布認識装置
KR20190069354A (ko)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