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739B1 -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739B1
KR102504739B1 KR1020200143307A KR20200143307A KR102504739B1 KR 102504739 B1 KR102504739 B1 KR 102504739B1 KR 1020200143307 A KR1020200143307 A KR 1020200143307A KR 20200143307 A KR20200143307 A KR 20200143307A KR 102504739 B1 KR102504739 B1 KR 102504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3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8039A (ko
Inventor
최진식
서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라스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라스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라스메디
Priority to KR1020200143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739B1/ko
Publication of KR20220058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8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8Preparations for oil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초추출 오일 및 당귀추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려동물의 피지분비 등으로 인해 오염이 발생한 피부의 블랙헤드를 제거함으로써 반려동물의 미용효과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 블랙헤드 부위가 세균감염 등의 질환으로 악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REMOVING SEBUM FROM PET SKIN}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피부미용에 관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의 턱 부분에 발생하기 쉬운 오염을 제거하고 피부의 피지 제거를 위한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고양이 여드름은 흔히 '턱드름'으로 알려져 있다. 턱밑부분에 피지가 축적되어 '턱드름'으로 불리는데, 고양이도 사람과 마찬가지로 피지 분비가 문제가 된다. 분비되는 피지가 많아지게 되면서 굳어져 모낭에 각질이 쌓이도록 하며 이로 인해 분비물이 축적되어 까맣게 보이게 되는 질환으로 주로 턱 전반과 입술 주변에 증상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소위 '턱드름'은 고양이뿐만 아니라 털이 많은 애완동물로써 턱에 피지가 잘 발생하는 동물이라면 발생가능한 증상이다.
주로 2차 성징이 나타나는 청소년기에 여드름이 발생하는 사람과는 달리 고양이 여드름은 특별한 발생연령이 없다. 고양이의 턱드름은 일생동안 흔히 발생하는 피부 질환 중 하나이다. 고양이에게 여드름이 나타나는 원인으로 추정되는 것은 그루밍(grooming) 부족, 지루성 소질, 영양 과잉 등에 따른 비정상적인 피지생산, 털갈이 주기의 영향, 스트레스, 바이러스 감염 등이다.
고양이 여드름은 특별한 수의학적 처치가 필요 없는 미용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여드름 증상은 가려움을 동반하기 때문에 고양이들이 턱을 심하게 긁거나 문지르는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이런 행동이 지속되면 결국 상처가 생겨 세균 감염 등의 2차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처음에는 단순히 털이 오염된 것처럼 보이지만, 가려워지기 때문에 고양이가 여드름이 난 부위를 긁거나 비비는 일이 잦아지고, 이에 따라 더욱 검은 턱드름으로 변해가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처가 생겨 세균 감염으로 이어지게 되면 피부염으로 발전할 수 있다. 고양이 턱드름은 평상시 세심한 관리를 한다면 집에서 보호자가 직접 관리가능한 증상이다.
고양이 같은 반려동물은 사람에 비하여 피부 표피층이 1/3 두께에 불과해 피부가 훨씬 쉽게 건조해지고 마찰에 의해 쉽게 상처가 날 수 있다. 또, 각질층은 얇고 피부의 산도가 중성이라 세균 저항력이 약한 편이다. 따라서, 사람의 피부 표피층을 대상으로 한 샴푸 또는 자극이 강한 약품 등으로 피모에 묻은 노폐물을 제거할 경우 원하지 않는 피부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반려동물의 피지분비 등으로 인해 오염이 발생한 피부의 블랙헤드를 제거하고 보다 근본적으로 블랙헤드의 원인이 되는 피지를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양상에 따른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초추출 오일 및 당귀추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고삼뿌리추출물, 오이풀뿌리추출물 및 가자열매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초추출 오일 및 당귀추출 오일은 자초와 당귀가 혼합된 상태에서 20~30℃조건하에서 오일 침전 추출 방식으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삼뿌리추출물, 오이풀뿌리추출물 또는 가자열매추출물은 70~80℃조건하에서 9~10시간동안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 글리세린, 데실글루코사이드, 에탄올, 글리세레스-26,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4라우레이트, 에틸헥실글리세린, 카프릴릴/카프릴글루코사이드 및 시트릭애씨드,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 80.00 ~ 90.00 중량부, 글리세린 1.50 ~ 2.50 중량부, 데실글루코사이드 1.25 ~ 1.75 중량부, 에탄올 4.50 ~ 5.50 중량부, 글리세레스-26 0.45 ~ 0.55 중량부,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0.95 ~ 1.05 중량부, 폴리글리세릴-4라우레이트 0.95 ~ 1.05 중량부, 에틸헥실글리세린 0.35 ~ 0.45 중량부, 카프릴릴/카프릴글루코사이드 0.15 ~ 0.25 중량부, 시트릭애씨드 0.45 ~ 0.55 중량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09 ~ 0.11 중량부, 상기 고삼뿌리추출물 0.10 ~ 1.00 중량부, 상기 오이풀뿌리추출물 0.10 ~ 1.00 중량부, 상기 가자열매추출물 0.10 ~ 1.00 중량부, 상기 자초뿌리추출오일 0.05 ~ 0.10 중량부, 상기 당귀추출오일 0.05 ~ 0.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및 루스파우더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반려동물의 피지분비 등으로 인해 오염이 발생한 피부의 블랙헤드를 제거함으로써 반려동물의 미용효과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 블랙헤드 부위가 세균감염 등의 질환으로 악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교예, 실시예1 및 실시예 2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고양이에 처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증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자초는 지치과 식물인 지치 (Lithospermum erythrorhizon)의 뿌리를 말린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자초는 혈분(血分)에서 열사(熱邪)를 없애고 해독하며 발진을 순조롭게 하며,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이뇨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당귀는 미나리과 식물인 당귀 (Angelica gigas)의 뿌리를 말린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심경(心經) · 간경(肝經) · 비경(脾經)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혈을 생겨나게 하면서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월경을 고르게 하며 통증을 멎게 한다. 또한 대변이 통하게 하고 출혈을 멎게 한다. 약리 실험에서 진정(鎭靜) 작용, 진통 작용, 혈압 강하 작용, 항균 작용, 약한 이뇨 작용, 이담(利膽) 작용 등이 밝혀졌다. 혈허증(血虛證), 월경 장애, 무월경, 징가, 산후 복통, 타박상, 옹종(癰腫), 변비, 이질, 비증(證) 등에 쓰는 것으로 알려진 한약재의 일종이다.
다음으로, 고삼은 콩과 식물인 너삼 (Sophora flavescens)의 뿌리를 말린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고삼은 항심율실조(抗心律失調), 항심근섬유화, 항간섬유화 및 항종양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한의학에서 고삼은 청열조습(淸熱燥濕), 거풍살충(祛風殺蟲)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음으로, 오이풀은 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의 뿌리를 건조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오이풀은 지혈, 수렴, 해독 등의 효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이풀은 대장염, 이질, 설사, 토혈, 월경과다, 출산 후 출혈이 멈추지 않는 증세, 습진, 외상출혈 등을 완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자(Terminalia chebula) 또는 가자열매추출물은 가자나무의 익은 열매를 말린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가자는 수렴(收斂) 작용, 적리균 · 포도상 구균에 대하여 항균 작용이 있으며 설사와 기침을 멎게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실시예 1: 화장료 조성물 A의 제조
제조방법:
1. 자초 및 당귀 혼합추출 오일의 제조
자초추출 오일 및 당귀추출 오일이 혼합된 혼합오일을 제조하기 위하여, 자초의 뿌리와 당귀를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열풍건조기에서 약 40℃의 수준을 유지하며 약 40분간 건조하였다.
다음으로 포도씨유를 약 200℃로 가열한 후 약 23-25℃로 서서히 냉각하여 준비하였다.
오일 침전 추출 방식(infused oil)으로 유용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앞서 건조된 자초의 뿌리 100 중량부와 당귀 각 100 중량부를 24℃조건 하에서 약 24시간 동안 미리 준비된 약 1000 중량부의 포도씨 오일에 침지하였다.
상기 추출액은 약 100μm의 투과도를 갖는 여과지로 여과하여 15℃의 조건 하에서 약 24시간 동안 경화하여 혼합추출 오일을 제조하였다.
2. 고삼뿌리, 오이풀뿌리, 가자열매 혼합 추출물의 제조
고삼뿌리와 오이풀뿌리, 가자열매를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열풍건조기에서 약 50℃의 수준을 유지하며 약 3시간 건조하였다.
정제수 1L 기준 고삼뿌리 100g, 오이풀뿌리 100g, 가자열매 100g을 추출용기에 넣어 75℃의 추출온도에서 10시간 동안 가열하여 고삼뿌리추출물, 오이풀뿌리추출물, 가자열매추출물을 각각 추출하였다.
혼합 추출물을 수득한 후, 거름종이 등을 이용해 고형분을 제거하고, 현탁액을 원심분리한 후, 여과된 추출물을 약 60℃ 조건 하에서 진공회전농축기로 감압농축하였다.
3. 화장료 조성물 혼합액의 제조
앞서 제조된 경화된 추출액(자초 및 당귀 혼합추출 오일) 0.1 중량부와 고삼뿌리, 오이풀뿌리, 가자열매 혼합 추출물 0.3중량부, 글리세린 2.0 중량부, 에탄올 5.0중량부, 글리세레스-26 0.5 중량부, 에틸헥실글리세린 0.4 중량부를 비커에 담은 후 마이크로유화(microemulsification)하며 가열 자석 교반기(TS-14SG, (주)제이오텍)를 이용해 약 60℃조건하에서 약 50rpm 수준을 유지하며 약 5분간 교반 하였다.
이후, 정제수 87.4 중량부와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1.0 중량부, 폴리글리세릴-4라우레이트 1.0 중량부를 첨가한 뒤 약 70℃조건하에서 약 50rpm 수준을 유지하며 30분간 교반하였다.
이에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1 중량부, 카프릴릴/카프릴글루코사이드 0.2 중량부, 시트릭애씨드 0.5 중량부, 데실글루코사이드 1.5 중량부를 추가로 첨가한 뒤 약 80℃조건하에서 80rpm 수준을 유지하며 10분간 교반하였다.
실시예 2: 화장료 조성물 B의 제조
제조방법:
1. 자초 및 당귀 혼합추출 오일의 제조
자초의 뿌리와 당귀를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열풍건조기에서 약 40℃의 수준을 유지하며 약 40분간 건조하였다.
다음으로 포도씨유를 약 200℃로 가열한 후 약 23-25℃로 서서히 냉각하여 준비하였다.
오일 침전 추출 방식(infused oil)으로 유용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앞서 건조된 자초의 뿌리 100 중량부와 당귀 각 100 중량부를 24℃조건 하에서 약 24시간 동안 미리 준비된 약 1000 중량부의 포도씨 오일에 침지하였다.
상기 추출액은 약 100μm의 투과도를 갖는 여과지로 여과하여 15℃의 조건 하에서 약 24시간 동안 경화하여 혼합추출 오일을 제조하였다.
2. 고삼뿌리, 오이풀뿌리, 가자열매 혼합 추출물의 제조
고삼뿌리와 오이풀뿌리, 가자열매를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열풍건조기에서 약 50℃의 수준을 유지하며 약 3시간 건조하였다.
정제수 1L 기준 고삼뿌리 100g, 오이풀뿌리 100g, 가자열매 100g을 추출용기에 넣어 75℃의 추출온도에서 10시간 동안 가열하여 고삼뿌리추출물, 오이풀뿌리추출물, 가자열매추출물을 각각 추출하였다.
혼합 추출물을 수득한 후, 거름종이 등을 이용해 고형분을 제거하고, 현탁액을 원심분리한 후, 여과된 추출물을 약 60℃ 조건 하에서 진공회전농축기로 감압농축하였다.
3. 화장료 조성물 혼합액의 제조
앞서 제조된 경화된 추출액(자초 및 당귀 혼합추출 오일) 0.2 중량부와 고삼뿌리, 오이풀뿌리, 가자열매 혼합 추출물 3.0 중량부, 글리세린 2.0 중량부, 에탄올 5.0중량부, 글리세레스-26 0.5 중량부, 에틸헥실글리세린 0.4 중량부를 비커에 담은 후 마이크로유화(microemulsification)하며 가열 자석 교반기(TS-14SG, (주)제이오텍)를 이용해 약 60℃조건하에서 약 50rpm 수준을 유지하며 약 5분간 교반 하였다.
이후, 정제수 84.6 중량부와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1.0 중량부, 폴리글리세릴-4라우레이트 1.0 중량부를 첨가한 뒤 약 70℃조건하에서 약 50rpm 수준을 유지하며 30분간 교반하였다.
이에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1 중량부, 카프릴릴/카프릴글루코사이드 0.2 중량부, 시트릭애씨드 0.5 중량부, 데실글루코사이드 1.5 중량부를 추가로 첨가한 뒤 약 80℃조건하에서 80rpm 수준을 유지하며 10분간 교반하였다.
비교예: 화장료 조성물 C의 제조
제조방법:
1. 화장료 조성물 혼합액의 제조
정제수 87.8 중량부와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1.0 중량부, 폴리글리세릴-4라우레이트 1.0 중량부를 첨가한 뒤 약 70℃조건하에서 50rpm 수준을 유지하며 30분간 교반하였다.
이에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1 중량부, 카프릴릴/카프릴글루코사이드 0.2 중량부, 시트릭애씨드 0.5 중량부, 데실글루코사이드 1.5 중량부를 추가로 첨가한 뒤 약 80℃조건하에서 80rpm 수준을 유지하며 10분간 교반하였다.
하기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A, B 및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C의 성분을 표기한 것이다.
성분 대조군 실시예1 실시예 2
정제수 87.80 87.40 84.60
글리세린 2.00 2.00 2.00
데실글루코사이드 1.50 1.50 1.50
에탄올 5.00 5.00 5.00
글리세레스-26 0.50 0.50 0.50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1.00 1.00 1.00
폴리글리세릴-4라우레이트 1.00 1.00 1.00
에틸헥실글리세린 0.40 0.40 0.40
카프릴릴/카프릴글루코사이드 0.20 0.20 0.20
시트릭애씨드 0.50 0.50 0.50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10 0.10 0.10
고삼뿌리추출물 0.00 0.10 1.00
오이풀뿌리추출물 0.00 0.10 1.00
가자열매추출물 0.00 0.10 1.00
자초뿌리추출오일 0.00 0.05 0.10
당귀추출오일 0.00 0.05 0.10
실험예: 고양이의 블랙 헤드 제거 시험
1. 블랙헤드 증상을 보이는 고양이의 준비
블랙헤드 증상을 보이는 동일 품종의 4그룹의 고양이를 준비하였다. 각 그룹의 고양이는 생리식염수를 화장용 면패드에 충분히 묻혀 도포부위를 1초 간격으로 5회 반복하여 문질러 피지 이외의 수용성 오염물질을 충분히 제거하였다.
2. 화장료 조성물의 처리
1) 화장료의 도포
앞서 준비된 실시예 1, 2 및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화장용 면패드에 충분히 묻힌 뒤 블랙헤드 증상을 보이는 앞서 준비된 4그룹의 고양이 턱부분에 1초 간격으로 5회 반복하여 문질러 증상부위의 피부에 충분히 화장품이 도포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동일한 방법으로 6일동안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4개 그룹의 고양이에 처리하였다.
도포하는 위치가 변화하지 않도록 사진을 찍어 동일 부위에 각각의 화장료가 도포될 수 있도록 하였다.
2) 블랙헤드 제거여부 관찰
6일간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4그룹의 고양이에 적용한 결과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실험군 A는 실시예 1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한 것이고, 실험군 B는 실시예 2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한 것이고, 대조군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하였다.
그 룹 대조군 실험군 A 실험군 B
1 그룹 X
2 그룹
3 그룹 X
4 그룹
(X: 개선되지 않음; △: 개선효과 미약, ○: 개선효과 양호; ◎: 개선효과 우수)
도 1을 참고하면, 비교예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4개의 그룹에서 고양이의 턱에 발생한 블랙헤드 증상이 거의 개선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실시예 1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A를 도포한 고양이의 경우, 상당정도 블랙헤드가 제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시예 2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B의 경우 블랙헤드가 거의 제거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7)

  1. 자초추출 오일 및 당귀추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양이과 또는 개과 동물의 턱부위의 피지를 제거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 80.00 ~ 90.00 중량부, 글리세린 1.50 ~ 2.50 중량부, 데실글루코사이드 1.25 ~ 1.75 중량부, 에탄올 4.50 ~ 5.50 중량부, 글리세레스-26 0.45 ~ 0.55 중량부,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0.95 ~ 1.05 중량부, 폴리글리세릴-4라우레이트 0.95 ~ 1.05 중량부, 에틸헥실글리세린 0.35 ~ 0.45 중량부, 카프릴릴/카프릴글루코사이드 0.15 ~ 0.25 중량부, 시트릭애씨드 0.45 ~ 0.55 중량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09 ~ 0.11 중량부, 고삼뿌리추출물 0.90 ~ 1.00 중량부, 오이풀뿌리추출물 0.90 ~ 1.00 중량부, 가자열매추출물 0.90 ~ 1.00 중량부, 자초뿌리추출오일 0.09 ~ 0.10 중량부, 당귀추출오일 0.09 ~ 0.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초뿌리추출오일 및 당귀추출오일은 자초의 뿌리와 당귀가 혼합된 상태에서 20~30℃ 조건하에서 오일 침전 추출 방식으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삼뿌리추출물, 오이풀뿌리추출물 또는 가자열매추출물은 70~80℃ 조건하에서 9~10시간동안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팩, 바디로션, 유액, 프레스파우더 및 루스파우더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143307A 2020-10-30 2020-10-30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04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307A KR102504739B1 (ko) 2020-10-30 2020-10-30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307A KR102504739B1 (ko) 2020-10-30 2020-10-30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8039A KR20220058039A (ko) 2022-05-09
KR102504739B1 true KR102504739B1 (ko) 2023-02-28

Family

ID=81582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3307A KR102504739B1 (ko) 2020-10-30 2020-10-30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739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747B1 (ko) * 2003-07-02 2006-05-25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생약추출물과 향료를 포함하는 여드름 또는 염증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101496557B1 (ko) * 2013-07-29 2015-02-25 이정복 지유 및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80094258A (ko) * 2017-02-15 2018-08-23 민남홍 한약재를 이용한 입술화장품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반려동물 천연 한방 샴푸, 키옴마128 반려보감 샴푸(2018.11.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8039A (ko) 202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7198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샴푸 제조방법
KR101770377B1 (ko) 여드름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팩
KR102268243B1 (ko) 난황유를 함유하는 헤어케어 조성물
KR20140071570A (ko) 한방 추출물 및 한방 분말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천연 비누 조성물
KR20180137101A (ko) 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CN107281048A (zh) 一种无硅油中药调理洗发水及其制备方法
KR101209189B1 (ko) 항균 기능을 갖는 약초비누
CN111773164A (zh) 具有杀菌功能的宠物沐浴露及其制备方法
KR101565716B1 (ko) 천연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120547A (zh) 一种无刺激毛发修护组合物及防脱洗发露
CN114146030B (zh) 一种止痒舒缓沐浴露及其制备方法
KR101339841B1 (ko) 모발처리제 조성물
CN109078091A (zh) 一种清爽型纯中药祛痘霜及其制备方法
KR102504739B1 (ko) 반려동물 피지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84041A (ko) 두피재생촉진 모발처리제 조성물
KR102591640B1 (ko) 여드름 개선 및 예방과 여드름 상처 치유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JPH01216910A (ja) 頭髪再生用ローションの製造方法
CN111973523A (zh) 一种马齿苋抗敏修护面膜及其制备方法
CN114224754B (zh) 一种含植物提取物调节头皮油脂分泌、亮发、顺发的组合物及含有该组合物的洗发剂
CN111040896A (zh) 一种抗菌消炎美肤手工皂
KR20190098630A (ko) 식물 줄기 세포가 함유된 보습력이 향상된 보습제 조성물
CN110393681A (zh) 一种纯天然植物洗护组合物
CN111904887B (zh) 一种皮肤卫生护理组合物及其在纸尿裤中的应用
KR100807842B1 (ko) 냄새 제거용 항균성 조성물
KR20050081550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여드름 피부용 저자극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