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726B1 - 슬라이드형 자동문 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형 자동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726B1
KR102504726B1 KR1020220055420A KR20220055420A KR102504726B1 KR 102504726 B1 KR102504726 B1 KR 102504726B1 KR 1020220055420 A KR1020220055420 A KR 1020220055420A KR 20220055420 A KR20220055420 A KR 20220055420A KR 102504726 B1 KR102504726 B1 KR 102504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lide
edge
support bea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5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티이앤씨
김우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티이앤씨, 김우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티이앤씨
Priority to KR1020220055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7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4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specially adapted for sliding doors 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E05Y2900/4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for railway platform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슬라이드형 자동문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슬라이드형 자동문 장치는: 출입구의 개폐 방향을 따라 마주하는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 1사이드빔과 제 2사이드빔과, 제 1사이드빔의 상측과 제 2사이드빔의 상측을 연결한 채 출입구의 상측에 구비되는 어퍼빔과, 제 1사이드빔의 하측과 제 2사이드빔의 하측을 연결한 채 출입구의 하측에 구비되는 로어빔에 의해 이루어지는 외곽프레임; 외곽프레임의 개방된 내부 일측을 막은 상태를 유지하는 이너픽스유닛; 이너픽스유닛과 유격된 채 나란하게 배치되고, 외곽프레임의 개방된 내부 일측을 막은 상태를 유지하는 아우터픽스유닛; 및 어퍼빔에 상측이 연결되고, 로어빔에 하측이 지지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며, 이너픽스유닛과 아우터픽스유닛의 사이에 배치된 채 이너픽스유닛과 아우터픽스유닛과의 포개지는 면적을 달리함으로써 외곽프레임의 개방측을 개방하거나 막는 슬라이드도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형 자동문 장치{SLIDE OPEN-AND CLOSE DOOR APPARATUS}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자동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출입구에 슬라이드도어(자동문)를 구비하고, 출입구에 실내측을 향하는 이너픽스유닛과 실외측을 향하는 아우터픽스유닛을 구비하여 슬라이드도어의 양측을 지지함에 따라 강풍이나 태풍으로부터 슬라이드도어를 지지하는 슬라이드형 자동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알티(BRT) 버스정류장 등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은 출입구에 의해 출입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31090호(발명의 명칭: 버스정류장 부스, 2016.03.22.: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9845호(발명의 명칭: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 2016.09.20.: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6536호(발명의 명칭: 슬라이딩 자동문용 댐퍼 제어기, 2016.03.21.: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0363호(발명의 명칭: 미닫이 도어 장치, 2014.04.23.:등록)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비알티(BRT) 버스정류장 등의 구조물은 전방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와 외부가 항시 연결되어진 구조로 되어 있을 경우, 내부의 공간은 추위나 더위에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구조물의 전면부에 슬라이딩 미닫이 방식의 도어가 설치될 경우, 태풍 등 큰 풍압에 의해, 도어가 흔들리며 파손되거나 넘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출입구에 슬라이드도어(자동문)를 구비하고, 출입구에 실내측을 향하는 이너픽스유닛과 실외측을 향하는 아우터픽스유닛을 구비하여 슬라이드도어의 양측을 지지함에 따라 강풍이나 태풍으로부터 슬라이드도어를 지지하는 슬라이드형 자동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자동문 장치는: 출입구의 개폐 방향을 따라 마주하는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 1사이드빔과 제 2사이드빔과, 상기 제 1사이드빔의 상측과 상기 제 2사이드빔의 상측을 연결한 채 상기 출입구의 상측에 구비되는 어퍼빔과, 상기 제 1사이드빔의 하측과 상기 제 2사이드빔의 하측을 연결한 채 상기 출입구의 하측에 구비되는 로어빔에 의해 이루어지는 외곽프레임; 상기 외곽프레임의 개방된 내부 일측을 막은 상태를 유지하는 이너픽스유닛; 상기 이너픽스유닛과 유격된 채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외곽프레임의 개방된 내부 일측을 막은 상태를 유지하는 아우터픽스유닛; 및 상기 어퍼빔에 상측이 연결되고, 상기 로어빔에 하측이 지지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이너픽스유닛과 상기 아우터픽스유닛의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이너픽스유닛과 상기 아우터픽스유닛과의 포개지는 면적을 달리함으로써 상기 외곽프레임의 개방측을 개방하거나 막는 슬라이드도어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이너픽스유닛은, 상기 외곽프레임의 내측을 구획하기 위해 세워지는 이너서포트빔; 상기 제 1사이드빔, 상기 로어빔의 축 방향에 대해 일부, 상기 어퍼빔의 축 방향에 대해 일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가장자리 궤적을 따라 형성된 채 양측이 상기 이너서포트빔에 연결되는 이너엣지빔; 상기 이너서포트빔과 상기 이너엣지빔의 내측면을 따라 연속되게 구비되고, 이너안착홈을 함몰 형성한 이너조인트브라켓; 및 상기 이너안착홈에 안착되어 고정됨에 따라 상기 이너서포트빔과 상기 이너엣지빔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막고,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이너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픽스유닛은, 상기 이너서포트빔과 유격된 채 포개지도록 배치되는 아우터서포트빔; 상기 이너엣지빔과 이격된 채 나란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사이드빔과, 상기 로어빔의 축 방향에 대해 일부와, 상기 어퍼빔의 축 방향에 대해 일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가장자리 궤적을 따라 형성된 채 양측이 상기 아우터서포트빔에 연결되는 아우터엣지빔; 상기 아우터서포트빔과 상기 아우터엣지빔의 내측면을 따라 연속되게 구비되고, 아우터안착홈을 함몰 형성한 아우터조인트브라켓; 및 상기 아우터안착홈에 안착되어 고정됨에 따라 상기 아우터서포트빔과 상기 아우터엣지빔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막고,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아우터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도어유닛은, 상기 외곽프레임을 완전히 닫거나 완전히 개방시, 상기 이너엣지빔과 상기 이너서포트빔 전체에 걸쳐 포개지거나 또는 상기 이너서포트빔에 일치되게 위치함에 따라 상기 이너서포트빔과 상기 아우터서포트빔에 양측이 지지되는 틀 형상의 슬라이드프레임;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연속되게 구비되고, 내측 방향으로 슬라이드안착홈을 함몰 형성한 슬라이드조인트브라켓; 및 상기 슬라이드안착홈에 안착되어 고정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의 내측을 막고,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슬라이드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도어유닛은, 상기 어퍼빔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원; 상기 어퍼빔의 내부에 구비되는 슬라이드레일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레일부재를 따라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채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고,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에 고정 연결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의 자동 이송을 안내하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빔은 내부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너서포트빔과 상기 이너엣지빔은 내부에 이너보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아우터서포트빔과 상기 아우터엣지빔은 내부에 아우터보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사이드빔은 열림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의 해당 가장자리를 수용하기 위해 제 1함몰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 1함몰홈에 제 1고정돌기를 돌출하며;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은 완전 개방시 상기 제 1고정돌기를 수용하기 위해 제 1고정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사이드빔은 닫힘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의 해당 가장자리를 수용하기 위해 제 2함몰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 2함몰홈에 제 2고정돌기를 돌출하며;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은 완전 닫힘시 상기 제 2고정돌기를 수용하기 위해 제 2고정홈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은 단열성 증대를 위해 상기 제 2고정돌기에 접하는 모헤어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어빔은 골조에 지지되고, 상기 로어빔과 상기 골조는 사이의 내부에 유동성을 갖는 상태로 발포된 후 경화되는 연질폼에 의해 틈새의 밀폐 및 결속되며, 상기 로어빔과 상기 골조의 사이는 밀봉단열부에 의해 밀봉 및 단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봉단열부는, 높이방향으로 상기 골조의 일부와 상기 연질폼의 일부에 걸쳐 실외측에 부착되는 투습방수지; 상기 투습방수지의 실외측에 덧붙여지고, 상기 로어빔과 상기 연질폼의 사이에서 상기 연질폼의 노출된 실외측에 걸쳐 테이핑 처리되어 투습과 방수 처리하는 가요성의 투습방수테이프; 실내측을 향하는 상기 골조의 표면과 높이방향으로 상기 연질폼의 일부 표면에 걸쳐 부착되는 투습방습지; 및 상기 투습방습지의 실내측에 덧붙여지고, 실내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연질폼의 표면에 테이핑 처리되어, 투습과 방습 처리하는 가요성의 투습방습테이프를 포함한다.
구조물 또는 상기 출입구의 내부 상부는 빗물차단용 환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빗물차단용 환기부는, 상기 구조물 또는 상기 출입구의 내측에 구비되고, 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환기틀; 및 상기 환기틀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구조물의 내외부로 공기의 순환을 허용하면서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그릴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그릴조립체는, 상기 환기틀의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간격 유격되게 배치되는 아웃터그릴부재; 상기 아웃터그릴부재 각각의 하측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하향틸팅부재; 상기 아웃터그릴부재 각각의 상측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1상향틸팅부재; 상기 제 1상향틸팅부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이너그릴부재; 상기 이너그릴부재 각각의 상측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제 2상향틸팅부재; 및 상기 환기틀의 내측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하향틸팅부재는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변형부재를 절곡되게 연장하고, 상기 탄성변형부재는 하향 연장되어 이웃하여 대응되는 다른 이너그릴부재 상에 접하여 지지되는 서포팅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하향틸팅부재와 상기 탄성변형부재와 상기 서포팅리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슬릿홀부를 통공하여 공기의 흐름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자동문 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비알티(BRT) 버스정류장용 부스 등 구조물의 출입구에 슬라이드도어를 구비하여 외부 추위나 더위가 그대로 승차대기자들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출입구에 실내측을 향하는 이너픽스유닛과 실외측을 향하는 아우터픽스유닛을 구비하여 슬라이드도어의 양측을 지지함에 따라 강풍이나 태풍으로부터 슬라이드도어를 지지하여 슬라이드도어의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조물 또는 슬라이드형 자동문 장치에 공기의 유동 및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환기그릴을 구비함에 따라 승차대기자들에세 쾌적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곽프레임의 로어빔과 골조 사이의 틈새에 유동성을 갖는 연질폼을 발포 후 경화함으로써 외곽프레임을 견고하게 위치 고정하고 일차적으로 밀봉 단열 시공하며, 골조와 연질폼의 실내측과 실외측을 방습, 방수 및 투습 기능을 갖는 테이프로써 테이핑 처리함에 따라 이차적으로 밀봉 단열 시공함에 따라, 밀봉 단열 시공의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자동문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자동문 장치의 요부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자동문 장치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자동문 장치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자동문 장치의 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자동문 장치의 환기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부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 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자동문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자동문 장치의 요부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자동문 장치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자동문 장치의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자동문 장치의 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자동문 장치의 환기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부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자동문 장치(100)는 외곽프레임(200), 이너픽스유닛(300), 아우터픽스유닛(400) 및 슬라이드도어유닛(5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 장치(100)는 구조물(10)의 출입구(20)를 슬라이드 개폐한다.
이때, 구조물(10)은 승차대기자들을 위한 비알티(BRT) 버스정류장용 부스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물론, 구조물(1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구조물(10)은 하나 이상의 출입구(20)를 형성할 수 있고, 모든 출입구(20) 또는 특정한 출입구(20)는 자동문 장치(100)를 구비한다.
외곽프레임(200)은 다양한 형상 특히 사각 형상의 출입구(20)의 내측면을 따라 구비되는 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외곽프레임(200)은 제 1사이드빔(210), 제 2사이드빔(220), 어퍼빔(230) 및 로어빔(240)을 포함한다.
제 1사이드빔(210)은 구조물(10)의 출입구(20)의 개폐 방향을 따라 마주하는 양측 중 일측의 내부면에 접하도록 세워진다. 그리고, 제 2사이드빔(220)은 출입구(20)의 개폐 방향을 따라 마주하는 양측 중 타측의 내부면에 접하도록 세워진다.
아울러, 어퍼빔(230)은 세워진 제 1사이드빔(210)의 상측과 제 2사이드빔(220)의 상측을 서로 연결하고, 출입구(20)의 상측 내부면에 접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로어빔(240)은 세워진 제 1사이드빔(210)의 하측과 제 2사이드빔(220)의 하측을 서로 연결하고, 출입구(20)의 하측 내부면에 접하게 구비된다.
이때, 제 1사이드빔(210)과 제 2사이드빔(220)은 나란하게 배치되고, 어퍼빔(230)과 로어빔(240)은 나란하게 배치된다.
그래서, 외곽프레임(200)은 출입구(20)의 내측면을 따라 접하는 틀 형상으로 이루어져 구조물(10)을 지지한다.
물론, 외곽프레임(200)을 구성하는 제 1사이드빔(210), 제 2사이드빔(220), 어퍼빔(230) 및 로어빔(240)은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고, 단면상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아우터픽스유닛(400)은 틀 형상인 외곽프레임(200)의 개방된 내부 일측(일부)을 막은 상태를 유지한다.
아울러, 아우터픽스유닛(400)은 이너픽스유닛(300)과 유격된 채 나란하게 배치되고, 외곽프레임(200)의 개방된 내부 일측을 막은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이너픽스유닛(300)과 아우터픽스유닛(400)은 평면적이 상이할 수 있으나, 동일한 것으로 도시한다.
한편, 슬라이드도어유닛(500)은 어퍼빔(230)에 상측이 연결되고, 로어빔(240)에 하측이 지지되어 슬라이드 이동된다. 그래서, 슬라이드도어유닛(500)은 이너픽스유닛(300)과 아우터픽스유닛(400)의 사이에 배치되어 양측이 지지된 채, 이너픽스유닛(300)과 아우터픽스유닛(400)과의 포개지는 면적을 달리함으로써 외곽프레임(200)의 개방측을 개방하거나 막는 역할을 한다.
즉, 이너픽스유닛(300)과 아우터픽스유닛(400)은 틀 형상인 외곽프레임(200)의 일부를 막고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외곽프레임(200)은 일정 간격 유격된 채 포개지는 이너픽스유닛(300)과 아우터픽스유닛(400)을 구비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이 개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슬라이드도어유닛(500)은 미닫이문 타입으로 이루어져, 이너픽스유닛(300) 및 아우터픽스유닛(400) 사이로 완전히 진입되며 제 1사이드빔(210)에 접할 경우 외곽프레임(200)의 나머지 개방측을 개방한 상태가 된다. 아울러, 슬라이드도어유닛(500)이 슬라이드 이동되며 제 2사이드빔(220)에 접할 경우 외곽프레임(200)의 나머지 개방측을 막는 상태가 된다.
상세히, 이너픽스유닛(300)은 이너서포트빔(310), 이너엣지빔(320), 이너조인트브라켓(330) 및 이너패널(340)을 포함한다.
이너서포트빔(310)은 외곽프레임(200)의 개방된 내측을 구획하기 위해 세워진다. 그래서, 이너서포트빔(310)은 상측이 어퍼빔(230)에 연결 지지되고, 하측이 로어빔(240)에 연결 지지된다. 편의상, 이너서포트빔(310)은 외곽프레임(200)의 너비 방향에 대해 대략 중앙 위치에 해당되는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이너서포트빔(31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이너엣지빔(320)은 제 1사이드빔(210), 로어빔(240)의 축 방향에 대해 일부, 어퍼빔(230)의 축 방향에 대해 일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가장자리 궤적을 따라 형성되고, 양측이 이너서포트빔(310)에 연결된다. 즉, 이너엣지빔(320)은 디귿자(ㄷ)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너엣지빔(320)과 이너서포트빔(310)은 연결되어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이너엣지빔(320)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이너서포트빔(31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연결되고,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이너조인트브라켓(330)은 연결되어 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이너서포트빔(310)과 이너엣지빔(320)의 내측면을 따라 연속되게 구비된다. 이때, 이너조인트브라켓(330)은 이너서포트빔(310)과 이너엣지빔(320)의 내측면에 슬라이드 끼움 조립될 수도 있고,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너조인트브라켓(330)은 외곽프레임(200)의 내부 방향으로 개방되는 이너안착홈(332)을 함몰 형성한다. 물론, 이너조인트브라켓(33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이너패널(340)은 이너안착홈(332)에 안착되어 고정됨에 따라 이너서포트빔(310)과 이너엣지빔(3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막는 역할을 하고, 개방감을 위해 아크릴수지 또는 유리 등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이너안착홈(332)에 삽입되는 이너패널(340)의 가장자리는 씰링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밀봉 처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아우터픽스유닛(400)은 아우터서포트빔(410), 아우터엣지빔(420), 아우터조인트브라켓(430) 및 아우터패널(440)을 포함한다.
특히, 아우터픽스유닛(400)은 호환이 가능하도록 이너픽스유닛(300)과 동일한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 아우터서포트빔(410), 아우터엣지빔(420), 아우터조인트브라켓(430), 아우터안착홈(432) 및 아우터패널(440)은 이너서포트빔(310), 이너엣지빔(320), 이너조인트브라켓(330), 이너안착홈(332) 및 이너패널(340)에 관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이때, 아우터픽스유닛(400)은 출입구(20)에서 승객대기자의 출입 방향을 따라 이너픽스유닛(300)과 일정 간격 유격되게 배치되고, 이너픽스유닛(300)과 완전히 일치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 아우터서포트빔(410)은 이너서포트빔(310)으로부터 일정 간격 유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제 1사이드빔(210)은 이너엣지빔(320)의 대응되는 가장자리와 아우터엣지빔(420)의 대응되는 가장자리를 별개로 연결하여 고정하도록 나뉘어질 수도 있고, 하나로 이루어져 이너엣지빔(320)의 대응되는 가장자리와 아우터엣지빔(420)의 대응되는 가장자리를 동시에 연결 고정할 수도 있다.
특히, 제 2사이드빔(220)은 슬라이드도어유닛(500)의, 후술할, 슬라이드프레임(510)의 타측 가장자리만을 접함에 따라 제 1사이드빔(210)의 폭 방향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나, 호환을 위해 제 1사이드빔(210)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어퍼빔(230)은 이너엣지빔(320)의 해당측 가장자리 및 아우터엣지빔(420)의 해당측 가장자리와 일체 또는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고, 로어빔(240)은 이너엣지빔(320)의 해당측 가장자리 및 아우터엣지빔(420)의 해당측 가장자리와 일체 또는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 1사이드빔(210)은 이너엣지빔(320)의 해당측 가장자리 및 아우터엣지빔(420)의 해당측 가장자리와 일체 또는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드도어유닛(500)은 슬라이드프레임(510), 슬라이드조인트브라켓(520), 슬라이드패널(530), 구동원(540), 슬라이드레일부재(550) 및 동력전달부재(560)를 포함한다.
슬라이드프레임(510)은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측이 어퍼빔(230)을 따라 왕복 이동 안내되며 하측이 로어빔(240)을 따라 왕복 이동 안내된다. 그래서, 슬라이드프레임(510)은 이너픽스유닛(300)과 아우터픽스유닛(400)이 구비되지 않은 외곽프레임(200)의 개방된 영역을 개폐하도록 왕복 이동된다.
특히, 슬라이드프레임(510)이 외곽프레임(200)의 설정된 영역을 완전히 닫을 경우, 일측 가장자리가 제 1사이드빔(210)의 내측면에 접하게 되고, 타측 가장자리가 이너서포트빔(310)과 아우터서포트빔(41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래서, 이 경우, 슬라이드프레임(510)의 타측 가장자리는 양측이 대응되는 이너서포트빔(310)과 아우터서포트빔(410)에 지지된다.
그리고, 슬라이드프레임(510)이 외곽프레임(200)의 설정된 영역을 완전히 개방할 경우, 일측 가장자리가 이너서포트빔(310)과 아우터서포트빔(410)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타측 가장자리가 제 2사이드빔(220)의 내측면에 접하게 된다. 그래서, 이 경우, 슬라이드프레임(510)의 일측 가장자리는 양측이 대응되는 이너서포트빔(310)과 아우터서포트빔(410)에 지지된다.
물론, 슬라이드프레임(510)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고,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슬라이드조인트브라켓(520)은 틀 형상인 슬라이드프레임(510)의 내측면을 따라 연속되게 구비된다. 이때, 슬라이드조인트브라켓(520)은 슬라이드프레임(510)의 내측면에 슬라이드 끼움 조립될 수도 있고,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조인트브라켓(520)은 외곽프레임(200)의 내부 방향으로 개방되는 슬라이드안착홈(522)을 함몰 형성한다. 물론, 슬라이드조인트브라켓(52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슬라이드패널(530)은 슬라이드안착홈(522)에 안착되어 고정됨에 따라 슬라이드프레임(510)의 개방된 내측을 막는 역할을 하고, 개방감을 위해 아크릴수지 또는 유리 등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슬라이드안착홈(522)에 삽입되는 슬라이드패널(530)의 가장자리는 씰링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밀봉 처리될 수 있다.
물론, 이너패널(340), 아우터패널(440) 및 슬라이드패널(530)은 불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구동원(540)은 어퍼빔(230)의 내부에 구비되고, 외부로부터 전원 인가시 구동된다. 미도시하지만, 구조물(10)은 외측면에 태양광패널을 구비하고, 구동원(540)은 이 태양광패널로부터 생산되는 전기를 인가받아 구동될 수도 있다. 구동원(540)은 모터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슬라이드레일부재(550)는 어퍼빔(230)의 내부에 구비되고, 어퍼빔(230)의 축 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물론, 슬라이드레일부재(550)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동력전달부재(560)는 구동원(540)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슬라이드레일부재(550)를 따라 자동적으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동력전달부재(560)는 슬라이드프레임(510)에 고정 연결됨으로써 슬라이드프레임(510)의 자동 이송을 안내한다. 이때, 동력전달부재(560)는 구동원(54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슬라이드프레임(510)을 강제로 왕복 이송하는 것으로써,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특히, 구동원(540), 슬라이드레일부재(550) 및 동력전달부재(560)는 외부로부터 보호되도록 어퍼빔(230)의 내부에 구비된다. 그래서, 구동원(540), 슬라이드레일부재(550) 및 동력전달부재(560)의 유지 보수의 용이성을 위해, 어퍼빔(230)은 내부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232)를 구비한다. 덮개(23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어퍼빔(230)의 일측에 분리 또는 힌지되며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이너서포트빔(310)과 이너엣지빔(320)은 내부에 이너보강부재(350)를 구비할 수 있고, 아우터서포트빔(410)과 아우터엣지빔(420)은 내부에 아우터보강부재(45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이너보강부재(350)와 아우터보강부재(450)는 대응되는 이너서포트빔(310)과 이너엣지빔(320), 아우터서포트빔(410)과 아우터엣지빔(420)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이너보강부재(350)와 아우터보강부재(45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슬라이드프레임(510), 슬라이드조인트브라켓(520) 및 슬라이드패널(530) 중 어느 하나는 손잡이(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는, 구동원(540)의 파손시 탑승대기자가 손잡이를 잡고 용이하게 슬라이드도어유닛(500)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슬라이드프레임(510)은 외곽프레임(200)의 항시 개방측을 완전히 닫을 경우 일측 가장자리가 제 2사이드빔(220)에 고정 및 위치 설정됨이 바람직하고, 외곽프레임(200)의 항시 개방측을 완전히 개방할 경우 타측 가장자리가 제 1사이드빔(210)에 고정 및 위치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제 1사이드빔(210)은 열림 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드프레임(510)의 해당(타측) 가장자리를 수용하기 위해 제 1함몰홈(612)을 형성한다. 슬라이드프레임(510)은 타측 가장자리가 제 1함몰홈(612)에 수용됨으로써 제 1사이드빔(210)에 대해 너비 방향으로 위치 설정된다.
아울러, 제 1사이드빔(210)은 제 1함몰홈(612)의 바닥면에 해당되는 부위에서 제 1고정돌기(614)를 돌출하고, 슬라이드프레임(510)은 완전 개방시 제 1고정돌기(614)를 수용하기 위해 제 1고정홈(616)을 형성한다. 제 1고정돌기(614)가 제 1고정홈(616)에 삽입됨에 따라, 슬라이드프레임(510)은 고정된다.
그리고, 제 2사이드빔(220)은 닫힘 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드프레임(510)의 해당(일측) 가장자리를 수용하기 위해 제 2함몰홈(622)을 형성한다. 슬라이드프레임(510)은 일측 가장자리가 제 2함몰홈(622)에 수용됨으로써 제 2사이드빔(220)에 대해 너비 방향으로 위치 설정된다.
제 2사이드빔(220)은 제 2함몰홈(622)의 바닥면에 해당되는 부위에서 제 2고정돌기(624)를 돌출하고, 슬라이드프레임(510)은 완전 닫음시 제 2고정돌기(624)를 수용하기 위해 제 2고정홈(626)을 형성한다. 제 2고정돌기(624)가 제 2고정홈(626)에 삽입됨에 따라, 슬라이드프레임(510)은 고정된다.
물론, 제 1함몰홈(612), 제 1고정돌기(614), 제 2함몰홈(622) 및 제 2고정돌기(62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슬라이드프레임(510)은 단열성 증대를 위해 제 2고정돌기(624)에 접하는 모헤어부재(628)를 구비한다. 특히, 슬라이드프레임(510)은 제 2고정홈(626)의 내측면에서 적어도 마주하는 양측에 모헤어부재(628)를 분리 가능하게 구비한다. 모헤어부재(628)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물론, 모헤어부재(628)는 제 1사이드빔(210)의 제 1함몰홈(612)의 내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로어빔(240)은 골조(710)에 지지된다. 이때, 골조(710)는 바닥에 콘크리트 타설 후 경화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H빔, 경량스틸, 조적조, 콘크리트, 목구조, ALC 및 복합판넬 등의 건축물을 의미할 수도 있다.
그리고, 로어빔(240)과 골조(710)는 사이의 내부에 유동성을 갖는 상태로 발포된 후 경화되는 연질폼(720)에 의해 틈새의 밀폐 및 결속된다.
즉, 유동성을 갖는 연질폼(720)이 로어빔(240)과 골조(710) 사이의 틈새를 따라 발포됨에 따라, 발포된 연질폼(720)은 로어빔(240)과 골조(710) 사이의 공간 내부로 유동되며 틈새에 충진된 후 경화된다. 이때, 연질폼(720)은 실외측과 실내측 각각에서 로어빔(240)과 골조(710) 사이의 틈새를 따라 발포됨에 따라, 경화 후 자연적으로 지지홈(722)을 형성한다. 즉, 로어빔(240)은 지지홈(722)에 안착된 형태임에 따라 연질폼(720)에 견고하게 지지된다.
그래서, 연질폼(720)은 로어빔(24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연질폼(720)은 로어빔(240)과 골조(710) 사이의 틈새에 충진 후 경화되어 일차적으로 밀봉(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연질폼(720)은 발포 폴리우레탄 소재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편의상, 연질폼(720)은 블록 형상인 것으로 도시한다.
아울러, 연질폼(720)은 로어빔(240)의 단면상 너비와 유사한 것으로 하고, 골조(710)는 연질폼(720)의 단면상 너비보다 더 큰 너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특히, 골조(710)는 실외측의 경우 연질폼(720)과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실내측의 경우 연질폼(720)과 계단 형상의 외주연을 형성하는 것으로 한다.(도 4 참조)
또한, 로어빔(240)과 골조(710)의 사이는 밀봉단열부(730)에 의해 밀봉 및 단열 처리되어 방수 처리되고, 결로방지 처리된다.
아울러, 로어빔(240)과 경화된 연질폼(720)은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결속될 수 있고, 이로써 로어빔(240)은 연질폼(720)에 밀착된다.
이때, 밀봉단열부(730)는 투습방수지(732), 투습방수테이프(734), 투습방습지(736) 및 투습방습테이프(738)를 포함한다.
투습방수지(732)는 높이방향으로 골조(710)의 일부와 연질폼(720)의 일부에 걸쳐 실외측에 부착된다.
이때, 투습방수지(732)는 물기가 투과하는 것을 차단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원단이나 필름이다. 물론, 투습방수지(732)는 물기의 투과를 차단하는 도료일 수도 있다. 투습방수지(732)가 도료일 경우에는, 해당 도료가 골조(710)의 실외측면에 페인팅된 후 경화되어 투습방수지(732)가 된다.
실외측에서, 골조(710)와 연질폼(720), 및 골조(710)와 연질폼(720)의 연결 부위는 투습방수지(732)에 의해 투습 및 방수 처리된다.
그리고, 투습방수테이프(734)는 투습방수지(732)의 실외측에 덧붙여지고, 로어빔(240)과 연질폼(720)의 사이에서 연질폼(720)의 노출된 실외측에 걸쳐 테이핑 처리되어 투습과 방수 처리하고, 가요성을 갖는다.
이때, 투습방수테이프(734)는 높이방향으로 로어빔(240)의 일부, 연질폼(720) 전체, 및 골조(710)의 일부에 걸쳐 테이핑 처리될 수 있으나, 이 경우 임의적으로 탈거될 수 있음에 따라 상부가 로어빔(240)과 연질폼(720)의 사이에 위치 고정된다.
특히, 투습방수테이프(734)는 투습이 되고 방수 가능한 재질의 원단 또는 필름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래서, 실외측의 물이나 습기가 투습방수테이프(734)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그리고, 투습방수테이프(734)는 내열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장기간 햇빛에 노출되더라도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적 열에 약한 연질폼(720)은 투습방수테이프(734)에 의해 외부의 열(열기, 냉기)로부터 보호된다.
아울러, 투습방수테이프(734)는 본딩 등에 의해 연질폼(720)과 골조(710)의 실외측에 고정된다.
또한, 투습방습지(736)는 실내측을 향하는 골조(710)의 표면과, 높이방향으로 연질폼(720)의 일부 표면에 걸쳐 계단 형상을 이루도록 부착된다.
방습성을 갖는 원단이나 필름 등의 투습방습지(736)가 연질폼(720)과 골조(710)의 실내측 표면에 걸쳐 부착된다. 물론, 투습방습지(736)가 도료일 경우에는, 해당 도료가 골조(710)와 연질폼(720)의 실내측면에 페인팅된 후 경화되어 투습방습지(736)가 된다.
이로써, 골조(710)와 연질폼(720)의 실내측면은 투습방습지(736)에 의해 방습 처리된다.
그래서, 골조(710)와 연질폼(720)은 실외측면에 투습방수지(732)가 부착 또는 도포되고, 실내측면에 투습방습지(736)가 부착 또는 도포됨에 따라, 골조(710)의 실내측에 결로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투습방습테이프(738)는 투습방습지(736)의 실내측 외측에 덧붙여지고, 실내측으로 노출되는 연질폼(720)의 표면에 테이핑 처리되어, 투습과 방습 처리하는 역할을 하고, 가요성을 갖는다.
투습방습테이프(738)는 방습 가능한 재질의 원단 또는 필름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래서, 실내측의 습기가 투습방습테이프(738)를 통해 연질폼(720)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투습방습테이프(738)는 내열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장기간 햇빛이나 실내 불빛에 노출되더라도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적 열에 약한 연질폼(720)은 투습방습테이프(738)에 의해 열로부터 보호된다.
아울러, 투습방습테이프(738)는 본딩 등에 의해 연질폼(720)과 골조(710)에 걸쳐 실내측에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내열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투습방수지(732), 투습방수테이프(734), 투습방습지(736) 및 투습방습테이프(738)에 의해, 로어빔(240)과 연질폼(720) 간의 틈새, 및 연질폼(720)과 골조(710) 간의 틈새는 외부로부터 물기가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그리고, 골조(710)의 실내측이 결로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구조물(10) 또는 출입구(20)의 내부 상부는 빗물차단용 환기부(800)를 구비할 수 있다.
빗물차단용 환기부(800)는 환기틀(810) 및 그릴조립체(820)를 포함한다.
환기틀(810)은 구조물(10)에 양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홀 또는 출입구(20)의 내측에 구비되고, 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환기틀(81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그릴조립체(820)는 양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틀 형상의 환기틀(810)의 내측에 구비되고, 구조물(10)의 내외부로 공기의 순환을 허용하면서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그릴조립체(820)는 아웃터그릴부재(821), 하향틸팅부재(822), 제 1상향틸팅부재(823), 이너그릴부재(824), 제 2상향틸팅부재(825) 및 필터부재(826)를 포함한다.
특히, 그릴조립체(820)는 환기틀(810)의 내부에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복수 개가 구비된다. 이때,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한 그릴조립체(820)는 상부 가장자리가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한 그릴조립체(820)의 하부 가장자리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복수 개의 그릴조립체(820)가 순차적으로 일부 겹쳐지게 배치된다.
아웃터그릴부재(821)는 환기틀(810)의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간격 유격되게 배치된다.
아웃터그릴부재(821)는 평판의 바(bar) 타입으로 형성된다. 이때, 아웃터그릴부재(821)는 환기틀(810)의 외측면과 동일 높이가 되도록 배치되어 낙하하는 빗물 등의 물기가 구조물(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일차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아웃터그릴부재(821)의 크기 및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하향틸팅부재(822)는 아웃터그릴부재(821) 각각의 하측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특히, 하향틸팅부재(822)는 아웃터그릴부재(821) 각각의 하측에서 환기틀(810)의 내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이때, 하향틸팅부재(822)는 낙하하는 물기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게 되는 부위에 해당된다.
아울러, 제 1상향틸팅부재(823)는 아웃터그릴부재(821) 각각의 상측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다시 말해서, 제 1상향틸팅부재(823)는 아웃터그릴부재(821) 각각의 상측에서 환기틀(810)의 내부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그래서, 제 1상향틸팅부재(823)로 인해, 아웃터그릴부재(821)는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다른 그릴조립체(820)의 아웃터그릴부재(821)와 동일한 높이로 배치된다.
그리고, 이너그릴부재(824)는 제 1상향틸팅부재(823)에서 상측으로 연장된다.
특히, 이너그릴부재(824)는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다른 그릴조립체(820)의 하향틸팅부재(822)를 접하여 지지한다.
즉, 어느 하나의 그릴조립체(820)의 제 1상향틸팅부재(823)에서 연장되는 이너그릴부재(824)는 상부 방향으로 이웃한 다른 그릴조립체(820)의 하향틸팅부재(822)와 접하여 연결된다.
이때, 아웃터그릴부재(821)와 이너그릴부재(8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축 방향을 따라 양측이 환기틀(810)의 내측면에 고정 연결된다.
제 2상향틸팅부재(825)는 이너그릴부재(824) 각각의 상측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공기의 흐름을 안내한다.
다시 말해서, 제 2상향틸팅부재(825)는 이너그릴부재(824) 각각의 상측에서 환기틀(810)의 내부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공기의 흐름을 원활히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어느 한 그릴조립체(820)의 제 2상향틸팅부재(825)는 상부 방향으로 이웃한 다른 그릴조립체(820)의 하향틸팅부재(822) 측을 통해 구조물(10)로 유입되는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필터부재(826)는 환기틀(8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준다.
즉, 필터부재(826)는 외부에서 환기틀(8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하향틸팅부재(822)는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변형부재(827)를 절곡되게 연장하고, 탄성변형부재(827)는 하향 연장되어 이웃하여 대응되는 다른 그릴조립체(820)의 이너그릴부재(824) 상에 접하여 지지되는 서포팅리브(828)를 구비하며, 하향틸팅부재(822)와 탄성변형부재(827)와 서포팅리브(82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슬릿홀부(829)를 통공하여 공기의 흐름을 허용한다.
편의상, 슬릿홀부(829)는 하향틸팅부재(822)에 복수 개가 통공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서포팅리브(828)는 이웃하여 대응되는 다른 그릴조립체(820)의 이너그릴부재(824)에 접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한 그릴조립체(820)에 대해 상부에 위치한 그릴조립체(8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서로 다른 그릴조립체(820)의 겹쳐지는 부위는 서포팅리브(828)에 의해 설정 간격만큼 유격되어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안내하고, 대응되는 한 쌍의 그릴조립체(820)는 서포팅리브(828)의 접촉으로 인해 흔들림이 방지된다.
아울러, 탄성변형부재(827)와 서포팅리브(828) 및 슬릿홀부(829)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각 그릴조립체(820)는 일부 포개지도록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공기는 환기틀(810)의 내측으로 하향 경사진 하향틸팅부재(822)를 통해 구조물(10)로 유동 안내되고, 물기(빗물)는 동일 높이로 상하 배치되는 아웃터그릴부재(821), 및 각 아웃터그릴부재(821)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환기틀(810)의 내측으로 절곡되는 제 1상향틸팅부재(823)에 의해 환기틀(810)의 내부로 유입 방지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구조물 20: 출입구
100: 자동문 장치 200: 외곽프레임
210: 제 1사이드빔 220: 제 2사이드빔
230: 어퍼빔 240: 로어빔
300: 이너픽스유닛 310: 이너서포트빔
320: 이너엣지빔 330: 이너조인트브라켓
340: 이너패널 400: 아우터픽스유닛
410: 아우터서포트빔 420: 아우터엣지빔
430: 아우터조인트브라켓 440: 아우터패널
500: 슬라이드도어유닛 510: 슬라이드프레임
520: 슬라이드조인트브라켓 530: 슬라이드패널
540: 구동원 710: 골조
720: 연질폼 730: 밀봉단열부
732: 투습방수지 734: 투습방수테이프
736: 투습방습지 738: 투습방습테이프
800: 빗물차단용 환기부 810: 환기틀
820: 그릴조립체 821: 아웃터그릴부재
822: 하향틸팅부재 823: 제 1상향틸팅부재
824: 이너그릴부재 825: 제 2상향틸팅부재

Claims (3)

  1. 출입구의 개폐 방향을 따라 마주하는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 1사이드빔과 제 2사이드빔과, 상기 제 1사이드빔의 상측과 상기 제 2사이드빔의 상측을 연결한 채 상기 출입구의 상측에 구비되는 어퍼빔과, 상기 제 1사이드빔의 하측과 상기 제 2사이드빔의 하측을 연결한 채 상기 출입구의 하측에 구비되는 로어빔에 의해 이루어지는 외곽프레임; 상기 외곽프레임의 개방된 내부 일측을 막은 상태를 유지하는 이너픽스유닛; 상기 이너픽스유닛과 유격된 채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외곽프레임의 개방된 내부 일측을 막은 상태를 유지하는 아우터픽스유닛; 및 상기 어퍼빔에 상측이 연결되고, 상기 로어빔에 하측이 지지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이너픽스유닛과 상기 아우터픽스유닛의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이너픽스유닛과 상기 아우터픽스유닛과의 포개지는 면적을 달리함으로써 상기 외곽프레임의 개방측을 개방하거나 막는 슬라이드도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픽스유닛은, 상기 외곽프레임의 내측을 구획하기 위해 세워지는 이너서포트빔; 상기 제 1사이드빔, 상기 로어빔의 축 방향에 대해 일부, 상기 어퍼빔의 축 방향에 대해 일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가장자리 궤적을 따라 형성된 채 양측이 상기 이너서포트빔에 연결되는 이너엣지빔; 상기 이너서포트빔과 상기 이너엣지빔의 내측면을 따라 연속되게 구비되고, 이너안착홈을 함몰 형성한 이너조인트브라켓; 및 상기 이너안착홈에 안착되어 고정됨에 따라 상기 이너서포트빔과 상기 이너엣지빔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막고,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이너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아우터픽스유닛은, 상기 이너서포트빔과 유격된 채 포개지도록 배치되는 아우터서포트빔; 상기 이너엣지빔과 이격된 채 나란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사이드빔과, 상기 로어빔의 축 방향에 대해 일부와, 상기 어퍼빔의 축 방향에 대해 일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가장자리 궤적을 따라 형성된 채 양측이 상기 아우터서포트빔에 연결되는 아우터엣지빔; 상기 아우터서포트빔과 상기 아우터엣지빔의 내측면을 따라 연속되게 구비되고, 아우터안착홈을 함몰 형성한 아우터조인트브라켓; 및 상기 아우터안착홈에 안착되어 고정됨에 따라 상기 아우터서포트빔과 상기 아우터엣지빔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막고,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아우터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도어유닛은, 상기 외곽프레임을 완전히 닫거나 완전히 개방시, 상기 이너엣지빔과 상기 이너서포트빔 전체에 걸쳐 포개지거나 또는 상기 이너서포트빔에 일치되게 위치함에 따라 상기 이너서포트빔과 상기 아우터서포트빔에 양측이 지지되는 틀 형상의 슬라이드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이너서포트빔과 상기 이너엣지빔은 내부에 이너보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아우터서포트빔과 상기 아우터엣지빔은 내부에 아우터보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 1사이드빔은 열림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의 해당 가장자리를 수용하기 위해 제 1함몰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 1함몰홈에 제 1고정돌기를 돌출하며,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은 완전 개방시 상기 제 1고정돌기를 수용하기 위해 제 1고정홈을 형성하며,
    상기 로어빔은 골조에 지지되고, 상기 로어빔과 상기 골조는 사이의 내부에 유동성을 갖는 상태로 발포된 후 경화되는 연질폼에 의해 틈새의 밀폐 및 결속되며, 상기 로어빔과 상기 골조의 사이는 밀봉단열부에 의해 밀봉 및 단열 처리되고,
    상기 출입구, 또는 상기 출입구를 형성하는 구조물은 빗물차단용 환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빗물차단용 환기부는, 상기 구조물 또는 상기 출입구의 내측에 구비되고, 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환기틀; 및
    상기 환기틀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구조물의 내외부로 공기의 순환을 허용하면서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그릴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자동문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도어유닛은,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연속되게 구비되고, 내측 방향으로 슬라이드안착홈을 함몰 형성한 슬라이드조인트브라켓; 및
    상기 슬라이드안착홈에 안착되어 고정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의 내측을 막고,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슬라이드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자동문 장치.
KR1020220055420A 2022-05-04 2022-05-04 슬라이드형 자동문 장치 KR102504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420A KR102504726B1 (ko) 2022-05-04 2022-05-04 슬라이드형 자동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420A KR102504726B1 (ko) 2022-05-04 2022-05-04 슬라이드형 자동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4726B1 true KR102504726B1 (ko) 2023-02-28

Family

ID=85327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420A KR102504726B1 (ko) 2022-05-04 2022-05-04 슬라이드형 자동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7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053Y1 (ko) * 2003-04-01 2003-07-04 오석택 슬라이딩도어의 포켓프레임
KR20070077305A (ko) * 2006-01-23 2007-07-26 김정렬 보강재가 삽입된 창호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
KR20190135596A (ko) * 2018-05-29 2019-12-09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Pvc 타입 중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053Y1 (ko) * 2003-04-01 2003-07-04 오석택 슬라이딩도어의 포켓프레임
KR20070077305A (ko) * 2006-01-23 2007-07-26 김정렬 보강재가 삽입된 창호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
KR20190135596A (ko) * 2018-05-29 2019-12-09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Pvc 타입 중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2608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二重外被システム建具及びその施工方法
CA2880531C (en) Window/door system with flat track having "c"-shaped roller supports
US20220106794A1 (en) Aperture cover with overlapping vig unit and connection profile connected to structural frame member
KR101342062B1 (ko) 기밀성 슬라이딩 창호
KR101142111B1 (ko) 조립식 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
KR102157195B1 (ko) 조립식 단열패널
KR102504726B1 (ko) 슬라이드형 자동문 장치
KR101928494B1 (ko) 흡음 및 내화구조를 갖는 루프 데크 시스템
US11230845B2 (en) Building exterior panel and assembly structure thereof
KR101793476B1 (ko) 단열성과 기밀성이 우수한 창호
Straube et al. High Performing Precast Concrete Building Enclosures: Rain Control
KR200479530Y1 (ko) 해충 먼지 차단 장치
KR101694490B1 (ko) 단열 및 방풍성이 향상된 창호
KR20220007183A (ko) 분리형 이중창호 및 시공방법
KR20190089652A (ko) 탈부착식 방충망 레일 프레임이 구비된 시스템 창호
KR102507325B1 (ko)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KR102633856B1 (ko) 레일 조립식 미서기 창호
KR20080027085A (ko) 건물 창문의 상하 이동 개폐 장치 및 개폐 방법
KR101976023B1 (ko) 막구조의 개폐식 지붕
KR102528020B1 (ko) 창문 틈새 차단형 방풍구
KR102173709B1 (ko) 커튼 월
KR20140133059A (ko) 계단식 안전창
KR20010098977A (ko) 층이 없는 레일은폐형 창호장치
KR102646292B1 (ko) 측벽 및 바닥 슬라이딩식 반쪽형 시설물 개폐 덮개
KR102277972B1 (ko) 통기성과 단열성이 향상된 오픈조인트 패널조립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