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648B1 -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648B1
KR102503648B1 KR1020210016779A KR20210016779A KR102503648B1 KR 102503648 B1 KR102503648 B1 KR 102503648B1 KR 1020210016779 A KR1020210016779 A KR 1020210016779A KR 20210016779 A KR20210016779 A KR 20210016779A KR 102503648 B1 KR102503648 B1 KR 102503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ilter
predetermined
water purifier
accommodat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3060A (ko
Inventor
김도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6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648B1/ko
Publication of KR20220113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3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01/4076Anti-rotational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는, 정수기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미리 정해진 힌지축을 중심으로 힌지 결합되는 커넥터와, 원수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카트리지가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커넥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 섬프를 포함하는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는 수용홈과, 상기 커넥터가 미리 정해진 하사점으로부터 상향 회전될 때, 상기 커넥터를 탄성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탄성 후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Filter Assembly for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에 포함된 필터는, 장시간 사용 시 필터에 포집된 이물질로 인해 성능이 저하됨으로 인해 교체가 필요하다.
정수기의 내부에는 필터, 기타 원수의 정수, 냉각, 가열, 살균 등을 위한 다수의 부품들이 설치되는 바, 일반적으로 필터를 교체하는데 필요한 넓은 작업 공간을 정수기의 내부에 확보하기 어렵다. 이에, 종래에는, 정수기의 각종 부품들과 필터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정수기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에 힌지 결합 후, 이러한 커넥터에 필터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정수기에 의하면, 커넥터 및 커넥터에 결합된 필터를 필터의 분리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힌지축을 중심으로 정수기의 외측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킨 후, 정수기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필터를 커넥터로부터 분리 및 교체하였다.
그런데, 종래의 정수기는, 커넥터를 필터의 분리 및 교체에 적합한 최적 각도로 회전시킨 경우에, 커넥터의 배치 각도를 이러한 최적 각도로 유지하기 위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 않았다. 이에, 종래의 정수기는, 작업자가 기존의 필터를 커넥터로부터 분리한 후 새로운 필터로 교체하는 과정에서 커넥터를 손에서 놓으면, 커넥터가 자체 하중으로 인해 하향 회전되면서 원위치로 복귀되었다. 이로 인해, 종래의 정수기에 의하면, 작업자가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 커넥터를 상기 최적 각도만큼 재회전시킨 후 이처럼 재회전시킨 커넥터에 필터를 결합하여야 했다. 따라서, 종래의 정수기는, 필터의 분리 및 교체 작업 시, 커넥터의 배치 각도를 필터의 분리 및 교체에 적합한 최적 각도로 유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커넥터의 회전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야 함으로 인해, 필터의 분리 및 교체 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넥터의 배치 각도를 필터의 분리 및 교체에 적합한 각도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개선한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필터를 커넥터로부터 분리할 때 커넥터로부터 원수가 유출되지 않도록 개선한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는, 정수기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미리 정해진 힌지축을 중심으로 힌지 결합되는 커넥터와, 원수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카트리지가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커넥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 섬프를 포함하는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는 수용홈과, 상기 커넥터가 미리 정해진 하사점으로부터 상향 회전될 때, 상기 커넥터를 탄성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탄성 후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넥터는, 당해 커넥터가 미리 정해진 기준 각도만큼 상향 회전되면 상기 탄성 후크가 후크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후크홈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크홈은, 상기 커넥터가 상기 필터 섬프와 분리된 상태이거나 미리 정해진 기준 무게 미만만큼 원수가 수용된 필터 섬프와 결합된 상태일 때, 상기 후크 결합이 유지되되, 상기 커넥터가 상기 기준 무게 이상만큼 원수가 수용된 필터 섬프와 결합된 상태일 때, 상기 원수의 하중으로 인해 상기 후크 결합이 자동으로 해제되면서 상기 하사점을 향해 하향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넥터는, 당해 커넥터가 미리 정해진 제1 기준 각도만큼 상향 회전될 때, 내측면이 탄성 후크에 의해 탄성 가압되되, 상기 내측면과 상기 탄성 후크 간에 슬립이 발생하도록 형성되는 안내홈을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크홈은,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제1 기준 각도에 비해 크도록 미리 정해진 제2 기준 각도만큼 상향 회전되면, 상기 안내홈을 통과한 탄성 후크가 후크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크홈은, 상기 안내홈에 비해 미리 정해진 깊이만큼 깊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2 기준 각도만큼 상향 회전된 커넥터를 하측 방향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수용홈에 형성되는 메인 스토퍼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 스토퍼는, 상기 제2 기준 각도만큼 회전된 커넥터가 안착되도록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넥터를 외부의 원수 공급원과 연결하는 유입관과, 상기 원수가 상기 필터 카트리지에 의해 필터링되어 생성된 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더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유입관이 힌지 결합되는 제1 힌지홈과, 상기 배출관이 힌지 결합되는 제2 힌지홈을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브라켓은, 상기 커넥터가 미리 정해진 제1 기준 각도 이상만큼 회전될 때, 상기 커넥터의 미리 정해진 가압 지점을 상측 방향에서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보조 스토퍼와,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제1 기준 각도 이상만큼 회전될 때 상기 커넥터가 상기 보조 스토퍼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제1 힌지홈에 힌지 결합된 유입관을 탄성 지지하는 제1 탄성 리브와,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제1 기준 각도 이상만큼 회전될 때 상기 커넥터가 상기 보조 스토퍼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제2 힌지홈에 힌지 결합된 배출관을 탄성 지지하는 제2 탄성 리브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넥터는, 제1 수용 공간과, 상기 제1 수용 공간과 상기 유입관을 연통시키는 제1 연통홀과,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상기 필터 섬프의 미리 정해진 결합 방향 또는 상기 결합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배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연통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샤프트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실링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필터 섬프는, 상기 필터 카트리지가 수용되는 필터 케이스와, 상기 커넥터에 상기 결합 방향으로 결합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가 상기 커넥터에 상기 결합 방향으로 결합될 때 상기 샤프트를 상기 결합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연통홀이 개방되는 개방 위치까지 이송하는 이송 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넥터는, 상기 샤프트를 상기 반대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하도록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샤프트와 상기 이송 부재가 미접촉된 상태일 때 상기 샤프트를 상기 반대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여 상기 제1 연통홀이 상기 실링 부재에 의해 폐쇄되는 폐쇄 위치까지 이송하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넥터는, 상기 필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분을 삽입 가능하도록 개방 형성되는 제2 수용 공간과, 상기 제1 수용 공간과 상기 제2 수용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2 연통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2 수용 공간의 내측면과 상기 홀더의 외측면 사이를 밀폐하도록, 상기 홀더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제1 실링 부재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실링 부재는, 상기 이송 부재가 상기 샤프트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수용 공간의 내측면과의 접촉이 유지되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샤프트는, 일부분이 상기 제2 연통홀을 통해 상기 제2 수용 공간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유입된 원수를 상기 제2 수용 공간으로 안내하는 제1 안내 유로가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과 상기 제2 연통홀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2 수용 공간의 천장면으로부터 상기 반대 방향을 향해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는 제1 구획링을 더 구비하고, 상기 홀더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 수용 공간의 내측면과 상기 제1 구획링의 외측면 사이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실링 부재는, 상기 홀더의 적어도 일부분의 외측면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송 부재는, 상기 홀더가 상기 커넥터에 결합될 때 상기 샤프트를 가압하여 상기 제1 연통홀이 개방되는 개방 위치까지 이송하도록 상기 결합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송 블록과, 상기 이송 블록과 상기 제1 구획링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제2 구획링과, 상기 제1 구획링과 상기 제2 구획링 사이를 밀폐하도록, 상기 제2 구획링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제2 실링 부재와, 상기 제2 수용 공간의 내측면과 상기 제2 구획링 사이를 밀폐하도록, 상기 제2 구획링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제3 실링 부재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실링 부재는, 상기 이송 블록과 상기 제2 구획링 사이에 형성된 원수 공급 유로에 상기 제1 안내 유로를 통해 상기 제1 수용 공간에서 배출된 원수를 전달하기 위한 제2 안내 유로를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구획 형성하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2 수용 공간과 상기 배출관을 연통시키는 제3 연통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이송 부재는, 상기 정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이송 블록의 내부에 형성되는 정수 배출 유로와, 상기 정수 배출 유로와 상기 제2 수용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4 연통홀을 갖고, 상기 제3 실링 부재는, 상기 제4 연통홀을 통해 상기 정수 배출 유로에서 배출된 정수를 상기 제3 연통홀로 전달하기 위한 제3 안내 유로를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구획 형성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은,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은, 스토퍼 및 탄성 후크 등을 이용한 3단계 스토퍼 구조를 통해, 커넥터의 과회전을 방지함과 함께, 필터 섬프의 분리 및 교체 시 작업자에게 우수한 커넥터의 고정 감도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필터 섬프의 분리 및 교체 시 커넥터를 미리 정해진 최적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바, 일반 사용자도 간단한 원터치 동작을 통해 필터 섬프를 용이하게 분리 및 교체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필터 섬프의 교체 시 새로운 필터 섬프와 커넥터가 연결됨에 따라 필터 섬프에 원수가 충전되면, 필터 섬프에 충전된 원수의 하중으로 인해 커넥터 및 필터 섬프가 미리 정해진 하사점을 향해 자동으로 하향 회전되면서 커넥터 및 필터 섬프의 배치 위치가 하사점으로 복귀되도록 구성되는 바, 이를 통해 일반 사용자가 필터 섬프를 더욱 용이하게 분리 및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브라켓과 커넥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브라켓과 커넥터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Ⅰ-Ⅰ 라인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Ⅱ-Ⅱ 라인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도 3의 Ⅲ-Ⅲ 라인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도 3의 Ⅳ-Ⅳ 라인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도 6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커넥터가 미리 정해진 제1 기준 각도만큼 상향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안내홈 및 후크홈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커넥터가 미리 정해진 제2 기준 각도만큼 상향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커넥터가 미리 정해진 제1 기준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브라켓과 커넥터의 측면도.
도 13은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의 정면도.
도 14는 커넥터와 필터 섬프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는 커넥터와 홀더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6은 커넥터와 홀더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7은 제1 실링 부재를 통해 커넥터와 필터 섬프 사이를 밀폐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8은 홀더의 단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제2 수용 공간의 단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커넥터와 필터 섬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1은 이송 부재의 평면도.
도 22는 도 20의 부분 확대도.
도 23은 이송 부재의 부분 절단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1)(이하, '필터 조립체(1)'라고 함)는, 정수기(미도시)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10)과, 브라켓(10)에 미리 정해진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커넥터(20)와, 원수(W1)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카트리지(32)가 내부에 수용되며, 커넥터(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 섬프(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 조립체(1)에는 동일한 개수의 커넥터(20) 및 필터 섬프(30)가 포함된다. 또한, 필터 조립체(1)가 포함하는 커넥터(20)와 필터 섬프(3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정수기의 용도, 필터링 방식 등에 따라 필터 조립체(1)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20) 및 필터 섬프(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필터 조립체(1)가 한 쌍의 커넥터들(20) 및 한 쌍의 필터 섬프들(30)을 포함하는 것을 기준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브라켓과 커넥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브라켓과 커넥터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Ⅰ-Ⅰ 라인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Ⅱ-Ⅱ 라인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0)은, 정수기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커넥터(20)가 힌지 결합되는 브라켓 본체(11)와, 커넥터(20)가 브라켓 본체(1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브라켓 본체(11)에 장착되는 브라켓 커버(12)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 본체(11)는, 커넥터(20)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 가능하도록 요입 형성되는 수용홈(11a)과, 수용홈(11a)의 일측에 수용홈(11a)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 힌지홈(11b)과, 상기 일측과 반대되는 수용홈(11a)의 타측에 수용홈(11a)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2 힌지홈(11c) 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수용홈(11a), 제1 힌지홈(11b) 및 제2 힌지홈(11c)은, 필터 조립체(1)에 포함된 커넥터(20) 및 필터 섬프(3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필터 조립체(1)가 한 쌍의 커넥터들(20) 및 한 쌍의 필터 섬프들(30)을 포함하는 경우에, 한 쌍의 수용홈들(11a), 한 쌍의 제1 힌지홈들(11b) 및 한 쌍의 제2 힌지홈들(11c)이 제1 힌지홈(11b), 제2 수용홈(11a) 및 제2 힌지홈(11c) 순으로 필터 조립체(1)의 수평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되되, 제1 힌지홈들(11b)과 제2 힌지홈들(11c)이 동심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브라켓 본체(11)의 일측 단부에는 커넥터들(20)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하기 위한 제1 힌지홈(11b)이 위치하게 되고, 브라켓 본체(11)의 중앙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커넥터(20)를 설치하기 위한 제2 힌지홈(11c) 및 커넥터들(20) 중 다른 하나를 설치하기 위한 제1 힌지홈(11b)이 서로 대면하도록 위치하게 되고, 상기 일측 단부와 반대되는 브라켓 본체(11)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다른 하나의 커넥터(20)를 설치하기 위한 제2 힌지홈(11c)이 위치하게 된다.
브라켓 커버(12)는, 제1 힌지홈(11b)과 합치되도록 브라켓 본체(11)에 결합되는 제1 브라켓 커버(12a)와, 제2 힌지홈(11c)과 합치되도록 브라켓 본체(11)에 결합되는 제2 브라켓 커버(12b)와, 서로 대면하게 형성된 제1 힌지홈(11b) 및 제2 힌지홈(11c)과 합치되도록 브라켓 본체(11)에 결합되는 제3 브라켓 커버(12c) 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 커버(12)는 볼트에 의해 브라켓 본체(11)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20)는, 외부의 원수 공급원과 연결 가능하도록 일측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유입관(21a)과, 커넥터(10)를 통해 필터 섬프(30)에 공급된 원수(W1)가 필터링되어 생성된 정수(W2)의 공급이 필요한 외부의 정수 수요원과 연결 가능하도록 상기 일측 단부와 반대되는 타측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배출관(21b)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유입관(21a)과 배출관(21b)은 필터 조립체(1)의 수평 방향으로 동심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유입관(21a)의 단부에는 플렌지(21c)가 형성된다. 유입관(21a)은, 이러한 플렌지(21c)가 제1 힌지홈(11b)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제1 힌지홈(11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1 힌지홈(11b)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배출관(21b)의 단부에는 플렌지(21d)가 형성된다. 배출관(21b)은, 이러한 플렌지(21d)가 제2 힌지홈(11c)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제2 힌지홈(11c)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2 힌지홈(11c)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조립체(1)가 한 쌍의 커넥터들(20) 및 한 쌍의 필터 섬프들(30)을 포함하는 경우에, 제1 브라켓 커버(12a)는 커넥터들(2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유입관(21a)이 힌지 결합된 제1 힌지홈(11b)을 커버하도록 브라켓 본체(11)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브라켓 커버(12b)는 커넥터들(20) 중 다른 하나의 배출관(21b)이 힌지 결합된 제2 힌지홈(11c)을 커버하도록 브라켓 본체(11)에 결합될 수 있고, 제3 브라켓 커버(12c)는 커넥터들(20) 중 어느 하나의 배출관(21b)이 힌지 결합된 제2 힌지홈(11c)과 커넥터들(20) 중 다른 하나의 유입관(21a)이 힌지 결합된 제1 힌지홈(11b)을 함께 커버하도록 브라켓 본체(11)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브라켓 커버(12c)에는, 커넥터들(20) 중 어느 하나의 배출관(21b)과 커넥터들(20) 중 다른 하나의 유입관(21a)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파이프(13)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파이프(13)의 일측 단부는 커넥터들(20) 중 어느 하나의 배출관(21b)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일측 단부와 반대되는 연결 파이프(13)의 타측 단부는 커넥터들(20) 중 다른 하나의 유입관(21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를 통해, 제3 브라켓 본체(11)는 커넥터들(20)을 브라켓 본체(1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함과 함께, 커넥터들(20)을 상호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처럼 연결 파이프(13)를 이용해 커넥터들(20)을 상호 연결하는 경우에, 커넥터들(20) 중 선순위에 위치한 커넥터(20)의 유입관(21a)에는 외부의 원수 공급원과 당해 유입관(21a)을 연결하기 위한 원수 공급 파이프(14)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커넥터들(20) 중 후순위에 위치한 커넥터(20)의 배출관(21b)에는 외부의 정수 수요원과 당해 배출관(21b)을 연결하기 위한 정수 공급 파이프(15)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힌지홈(11b)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탄성 리브(11d)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힌지홈(11c)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탄성 리브(11e)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탄성 리브(11d) 및 제2 탄성 리브(11e)는, 유입관(21a)의 플렌지(21c) 및 배출관(21b)의 플렌지(21d)가 각각 제1 힌지홈(11b) 및 제2 힌지홈(11c)에 삽입될 때에는 유입관(21a) 및 배출관(21b)에 의해 가압되면서 넓게 벌어지도록 탄성 변형된다. 또한, 제1 탄성 리브(11d) 및 제2 탄성 리브(11e)는, 유입관(21a)의 플렌지(21c) 및 배출관(21b)의 플렌지(21d)가 각각 제1 힌지홈(11b) 및 제2 힌지홈(11c)에 삽입 완료된 때에는 유입관(21a) 및 배출관(21b)의 외측면을 탄성 가압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마련된다. 이를 통해, 커넥터(20) 및 커넥터(20)에 결합된 필터 섬프(30)는, 유입관(21a) 및 배출관(21b)이 탄성 리브들(11d, 11e)에 의해 탄성 지지된 상태에서, 힌지축(즉, 제1 힌지홈(11b) 및 제2 힌지홈(11c))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Ⅲ-Ⅲ 라인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Ⅳ-Ⅳ 라인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20)는, 커넥터(20)의 외형을 형성하는 커넥터 아우터(21)와, 커넥터 아우터(21)의 내부에 삽입되는 커넥터 이너(23) 등 2개의 파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아우터(21)는, 전술한 유입관(21a) 및 배출관(21b)과, 내부에 형성되는 제1 수용 공간(21e)과, 유입관(21a)과 제1 수용 공간(21e)을 연통시키는 제1 연통홀(21f)과, 제1 수용 공간(21e)에 필터 섬프(30)의 미리 정해진 결합 방향 또는 상기 결합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21g)와, 제1 수용 공간(21e)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샤프트(21g)를 따라 상기 결합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제1 연통홀(21f)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샤프트(21g)의 외측면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결합되는 실링 부재(21i)와, 샤프트(21g)를 상기 반대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하도록 제1 수용 공간(21e)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21j)와, 필터 섬프(30)의 적어도 일부분을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 수용 공간(21k)과, 제2 수용 공간(21k)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반대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1 구획링(21l)과, 제1 수용 공간(21e)과 제2 수용 공간(21k)을 연통시키는 제2 연통홀(21n)과, 제2 수용 공간(21k)과 배출관(21b)을 연통시키는 제3 연통홀(21o)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 섬프(30)의 결합 방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필터 섬프(30)의 결합 방향이 필터 조립체(1)의 상측 방향이고, 필터 섬프(30)의 결합 방향의 반대 방향이 필터 조립체(1)의 하측 방향인 것을 기준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수용 공간(21e)은 샤프트(21g)를 필터 섬프(30)의 상기 결합 방향 및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커넥터 아우터(21)의 내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수용 공간(21e)은, 샤프트(21g)를 제1 수용 공간(21e)에 삽입할 수 있도록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아우터(21)의 상단부에는 제1 수용 공간(21e)을 외부로 개방하는 제1 개방홀(21r)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샤프트(21g) 및 탄성 부재(21j) 등은, 이러한 제1 개방홀(21r)을 통해 제1 수용 공간(21e)에 삽입 및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이너(23)는, 이처럼 샤프트(21g) 및 탄성 부재(21j) 등이 제1 개방홀(21r)을 통해 제1 수용 공간(21e)에 삽입 및 수용된 상태에서, 제1 개방홀(21r)에 장착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를 통해, 커넥터 이너(23)는, 샤프트(21g) 및 탄성 부재(21j) 등이 제1 수용 공간(21e)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샤프트(21g)는 하단부가 제2 연통홀(21n)을 관통하여, 제2 수용 공간(21k)으로 돌출되도록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다. 또한, 제1 샤프트(21g)는 제1 연통홀(21f)을 통해 유입관(21a)으로부터 제1 수용 공간(21e)에 유입된 원수(W1)를 제2 수용 공간(21k)으로 안내하는 제1 안내 유로(21q)가 샤프트(21g)의 하단부의 둘레면과 제2 연통홀(21n)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도록 제2 연통홀(21n)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제1 샤프트(21g)의 하단부의 둘레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요입홈(21h)이 요입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요입홈(21h)은, 제1 안내 유로(21q)의 단면적을 확장하여, 제1 안내 유로(21q)를 통과하는 원수(W1)의 유로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링 부재(21i)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실링 부재(21i)는 O-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샤프트(21g)의 외측면에는 실링 부재(21i)를 끼움 결합 가능한 O-링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링 부재(21i)의 설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 부재(21i)는, 한 쌍이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실링 부재들(21i) 중 어느 하나(21i1)는, 샤프트(21g)가 미리 정해진 폐쇄 위치(P1)에 배치된 경우에, 제1 연통홀(21f)을 통과한 원수(W1)가 제1 수용 공간(21e)의 상부로 이동할 수 없도록, 제1 수용 공간(21e)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실링 부재들(21i) 중 다른 하나(21i2)는, 샤프트(21g)가 미리 정해진 폐쇄 위치(P1)에 배치된 경우에, 제1 연통홀(21f)을 통과한 원수(W1)가 제1 수용 공간(21e)의 하부로 이동할 수 없도록, 제1 수용 공간(21e)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21j)는 샤프트(21g)를 상기 반대 방향으로 탄성 가압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21j)는, 샤프트(21g)를 상기 반대 방향으로 탄성 가압 가능한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샤프트(21g)는 외측면에 형성되는 플렌지(21p)를 가질 수 있고, 탄성 부재(21j)는, 하단부가 샤프트(21g)의 플렌지(21p)에 의해 지지되고, 상단부가 커넥터 이너(23)의 바닥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특히, 플렌지(21p)는 실링 부재(21i1)에 비해 샤프트(21g)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실링 부재(21i1)는 탄성 부재(21j)가 원수(W1)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링 부재(21i1)는, 금속 재질을 갖는 탄성 부재(21j)가 원수(W1)에 의해 부식됨으로써, 부식된 탄성 부재(21j)에 의해 오염된 원수(W1)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수용 공간(21k)은, 제1 수용 공간(21e)에 비해 커넥터(20)의 하부에 위치하되, 후술할 필터 섬프(30)의 홀더(36)를 상기 결합 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아우터(21)의 하단부에는 제2 수용 공간(21k)을 외부로 개방하는 제2 개방홀(21s)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필터 섬프(30)읠 홀더(36)는 이러한 제2 개방홀(21s)을 통해 제2 수용 공간(21k)에 상기 결합 방향으로 삽입되거나, 제2 수용 공간(21k)으로부터 상기 반대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제1 구획링(21l)은, 제2 연통홀(21n)을 통해 제2 수용 공간(21k)으로 돌출된 샤프트(21g)의 하단부를 둘러싸도록 제2 수용 공간(21k)의 천장면으로부터 상기 반대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3 연통홀(21o)은, 제1 구획링(21l)에 비해 제2 수용 공간(21k)의 천장면의 외측에 위치하되, 제2 수용 공간(21k)과 배출관(21b)을 연통시키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1 구획링(21l) 및 제3 연통홀(21o)은, 원수(W1)를 유입관(21a)에서 필터 카트리지(32)에 공급하거나 정수(W2)를 필터 섬프(30)에서 배출관(21b)으로 공급하기 위한 유로들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들로서, 이러한 유로들의 형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9는 커넥터가 미리 정해진 제1 기준 각도만큼 상향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안내홈 및 후크홈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은 커넥터가 미리 정해진 제2 기준 각도만큼 상향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 본체(11)는, 커넥터(20)가 미리 정해진 하사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기준 각도만큼 상향 회전될 때 커넥터(20)를 탄성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탄성 후크(11f)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하사점이란 커넥터(20) 및 커넥터(20)에 결합된 필터 섬프(30)가 중력에 의해 가장 낮은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말한다. 또한, 상향 회전이란, 필터 섬프(30)가 하사점에 비해 높이 상승됨과 동시에 필터 조립체(1)의 전방 쪽으로 돌출되도록, 커넥터(20) 및 커넥터(20)에 결합된 필터 섬프(30)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말한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20)는, 힌지축(제1 힌지홈(11b) 및 제2 힌지홈(11c))에 비해 하측에 위치하는 커넥터(20)의 하부 및 이러한 커넥터(20)의 하부에 결합된 필터 섬프(30)가 필터 조립체(1)의 전방 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향 회전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힌지축에 비해 상측에 위치하는 커넥터(20)의 상부는 상기 힌지축에 비해 필터 조립체(1)의 후방 쪽으로 돌출된다. 이에, 탄성 후크(11f)는 이처럼 힌지축에 비해 필터 조립체(1)의 후방 쪽으로 돌출된 커넥터(20)의 상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후크(11f)는, 커넥터(20)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사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제1 기준 각도(θ1) 이상에서 제2 기준 각도(θ2) 이하만큼 상향 회전될 때, 커넥터(20)의 상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준 각도(θ1)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필터 섬프(30)의 분리 및 교체 작업을 수행하기에 가장 편리한 최적 각도에 비해 소정의 각도만큼 작게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최적 각도가 45°인 경우에, 제1 기준 각도(θ1)는 40°일 수 있다.
또한, 제2 기준 각도(θ2)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기준 각도(θ2)는, 상기 최적 각도인 45°일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아우터(21)는, 커넥터(20)가 제1 기준 각도(θ1) 이상이고 제2 기준 각도(θ2) 미만인 각도만큼 상향 회전될 때, 내측면이 탄성 후크(11f)에 의해 탄성 가압되되, 내측면과 탄성 후크(11f) 간에 슬립이 발생하도록 형성되는 안내홈(21m)을 더 가질 수 있다. 또한, 커넥터 이너(23)는, 커넥터(20)가 제2 기준 각도(θ2)만큼 상향 회전 완료되었을 때, 커넥터(20)의 상향 회전에 따라 안내홈(21m)을 통과한 탄성 후크(11f)가 후크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후크홈(23a)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탄성 후크(11f) 및 안내홈(21m)과 후크홈(23a)의 형성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되 바와 같이, 탄성 후크(11f)는 커넥터(20)가 상향 회전될 때 커넥터 아우터(21)의 상단부와 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홈(21m)은 커넥터(20)가 상향 회전될 때 탄성 후크(11f)가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커넥터 아우터(21)의 상단부의 특정 위치에 요입 형성될 수 있고, 후크홈(23a)은 안내홈(21m)을 통과한 탄성 후크(11f)가 접하게 되는 커넥터 이너(23)의 상단부의 특정 위치에 요입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안내홈(21m)은, 당해 안내홈(21m)의 내측면이 탄성 후크(11f)에 의해 탄성 가압된 상태로 커넥터(20)가 상향 회전되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커넥터(20)를 상향 회전시킬 때 당해 안내홈(21m)의 내측면과 탄성 후크(11f)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통해 커넥터(20)의 고정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후크(11f) 및 후크홈(23a)은, 안내홈(21m)을 통과한 탄성 후크(11f)가 탄성 복원되면서 후크홈(23a)에 후크 결합되되, 커넥터(20) 및 커넥터(20)에 결합된 필터 섬프(30)의 하중이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이면 상기 하중으로 인해 탄성 후크(11f)가 다시 탄성 변형되면서 탄성 후크(11f)와 후크홈(23a) 간의 후크 결합이 해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크홈(23a)은, 커넥터(20)가 필터 섬프(30)와 분리된 상태이거나 원수(W1)가 미리 정해진 기준 무게 미만만큼 수용된 필터 섬프(30)와 결합된 상태일 때, 탄성 후크(11f)와 후크홈(23a) 간의 후크 결합이 유지되되, 커넥터(20)가 기준 무게 이상만큼 원수(W1)가 수용된 필터 섬프(30)와 결합된 상태일 때, 필터 섬프(30)에 수용된 원수(W1)의 하중으로 인해 탄성 후크(11f)가 탄성 변형되면서 탄성 후크(11f)와 후크홈(23a) 간의 후크 결합이 자동으로 해제됨으로써, 커넥터(20) 및 커넥터(20)에 결합된 필터 섬프(30)가 하사점을 향해 자동으로 하향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후크홈(23a)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되 바와 같이, 후크홈(23a)은 안내홈(21m)에 비해 미리 정해진 깊이만큼 깊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탄성 후크(11f) 및 후크홈(23a)은, 커넥터(20)가 필터 섬프(30)의 분리 및 교체 작업에 적합한 최적 각도만큼 상향 회전 완료되었을 때, 커넥터(20)를 최적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함과 함께, 안내홈(21m)을 통과한 탄성 후크(11f)가 후크홈(23a)에 딸깍하고 후크 결합되는 결합감을 작업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커넥터(20)의 고정 감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후크홈(23a)은, 필터 섬프(30)의 교체 후 필터 섬프(30)와 커넥터(20)가 연결됨에 따라 외부의 원수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원수(W1)가 필터 섬프(30)에 충전되면, 필터 섬프(30)에 충전된 원수(W1)의 하중으로 인해 커넥터(20) 및 필터 섬프(30)가 미리 정해진 하사점으로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바, 이를 통해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도 필터 섬프(30)를 용이하게 분리 및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 본체(11)는, 커넥터(20)가 제2 기준 각도(θ2)만큼 상향 회전 완료되었을 때, 커넥터(20)를 하측 방향에서 지지하도록 수용홈(11a)에 형성되는 메인 스토퍼(11g)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메인 스토퍼(11g)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메인 스토퍼(11g)는, 제2 기준 각도(θ2)만큼 상향 회전된 커넥터(20)의 상부가 상면에 안착되도록 수용홈(11a)에 제3 기준 각도(θ3 = 90°- θ2)만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스토퍼(11g)는, 제2 기준 각도(θ2)만큼 경사지게 상향 회전된 커넥터(20)가 제2 기준 각도(θ2)를 초과해서 과회전되지 않도록 커넥터(20)를 하측 방향에서 지지할 수 있는 바, 커넥터(20)의 과회전으로 인해 필터 조립체(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커넥터가 미리 정해진 제1 기준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브라켓과 커넥터의 측면도이고, 도 13은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브라켓 본체(11)는 커넥터(20)가 제1 기준 각도(θ1) 이상만큼 회전될 때 커넥터(20)의 미리 정해진 가압 지점을 상측 방향에서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보조 스토퍼(11h)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커넥터(20)의 미리 정해진 가압 지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아우터(21)는, 외측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면(21t)을 갖고, 보조 스토퍼(11h)는 커넥터(20)가 제1 기준 각도(θ1) 이상 제2 기준 각도(θ2) 이하인 각도만큼 회전될 때 이러한 걸림면(21t)의 미리 정해진 가압 지점을 상측 방향에서 연속적으로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스토퍼(11h)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20)가 제1 기준 각도(θ1)만큼 회전될 때, 걸림면(21t)이 걸림되도록 제4 기준 각도(θ4 = 90°- θ1)만큼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보조 스토퍼(11h)는, 커넥터(20)가 제1 기준 각도(θ1) 이상 제2 기준 각도(θ2) 이하의 구간에 회전될 때, 당해 보조 스토퍼(11h)가 지렛대의 축으로 작용한 상태에서 커넥터(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커넥터(20)의 회전 각도가 제1 기준 각도(θ1) 이상이고 제2 기준 각도(θ2) 이하인 구간에서는, 커넥터(20)는 보조 스토퍼(11h)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커넥터(20)의 회전축이 힌지축(제1 힌지홈(11b) 및 제2 힌지홈(11c))에서 보조 스토퍼(11h)로 이동되는 것이다. 도 13은, 커넥터(20)의 회전축이 힌지축을 나타내는 'C'에서 보조 스토퍼(11h)를 나타내는 'D'로 이동함을 나타낸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20)의 유입관(21a) 및 배출관(21b)은 탄성 리브들(11d, 11e)에 의해 탄성 지지된 상태로 제1 힌지홈(11b) 및 제2 힌지홈(11c)에 힌지 결합된다. 탄성 리브들(11d, 11e)은, 전술한 커넥터(20)의 회전축의 이동에 따른 유입관(21a) 및 배출관(21b)의 위치 변경으로 인해, 유입관(21a) 및 배출관(21b)이 제1 힌지홈(11b) 및 제2 힌지홈(11c)으로부터 이탈되거나, 브라켓(10) 및 커넥터(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입관(21a) 및 배출관(21b)의 위치 변경 양상에 맞춰 탄성 변형되면서 유입관(21a) 및 배출관(21b)을 잡아 줄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스토퍼(11h) 및 탄성 리브들(11d, 11e)에 의하면, 제조 공차, 조립 공차, 기타 원인으로 인해 커넥터(20)가 흔들리면서 회전하지 않도록, 보조 스토퍼(11h)에 의해 커넥터(20)가 지지된 상태에서 커넥터(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보조 스토퍼(11h) 및 탄성 리브들(11d, 11e)은, 커넥터(20)의 회전 시 커넥터(20)의 흔들림을 줄여 줌으로써, 커넥터(20)의 고정 감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는 커넥터와 필터 섬프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커넥터와 홀더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16은 커넥터와 홀더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7은 제1 실링 부재를 통해 커넥터와 필터 섬프 사이를 밀폐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8은 홀더의 단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9는 제2 수용 공간의 단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섬프(30)는, 필터 카트리지(32)가 내부에 수용되는 필터 케이스(34)와, 커넥터(20)에 상기 결합 방향으로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는 홀더(36)와, 홀더(36)가 커넥터(20)에 상기 결합 방향으로 결합될 때 샤프트(21g)를 상기 결합 방향으로 가압하여, 브라켓 본체(11)의 제1 연통홀(21f)이 개방되는 개방 위치(P2)까지 이송하는 이송 부재(38)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필터 케이스(34)는, 소정의 필터링 방식을 갖는 필터 카트리지(32)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34a)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필터 케이스(34)의 상단부에는, 내부 공간(34a)을 상측 방향으로 개방하는 개방홀(34b)이 형성될 수 있다.
홀더(36)는 미리 정해진 직경 및 높이를 갖는 링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36)의 하부(36a)는 필터 케이스(34)의 개방홀(34b)을 커버하게 필터 케이스(34)의 상단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필터 케이스(34)의 직경과 대응하는 직경을 가질 수 있고, 홀더(36)의 상부(36b)는 적어도 일부분이 제1 구획링(21l)의 외측면과 제2 수용 공간(21k)의 내측면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수용 공간(21k)의 깊이 및 내경과 대응하는 높이 및 외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홀더(36)의 하부(36a)와 상부(36b) 사이에는, 하부(36a)와 상부(36b)를 연결하는 단차부(36c)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더(36)와 커넥터(20)의 결합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아우터(21)는, 제2 수용 공간(21k)과 연통되도록 둘레벽에 형성되며 커넥터(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결합홈(21u)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결합홈(21u)은, 일측 단부에 미리 정해진 기준 회전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안내 경사면(21v)을 가질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결합홈(21u)에 대응하여, 홀더(36)는, 결합홈(21u)에 삽입 가능하도록 홀더(36)의 상부(36b)의 외측면에 당해 홀더(36)의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결합 블록(36e)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결합 블록(36e)은, 당해 결합 블록(36e)의 일측 단부에 상기 기준 회전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안내 경사면(36f)을 가질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36)를 상기 기준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결합 방향으로 제2 수용 공간(21k)에 삽입하여, 제2 안내 경사면(36f)이 제1 안내 경사면(21v)과 밀착되도록 결합 블록(36e)을 결합홈(21u)에 삽입함으로써, 필터 케이스(34) 및 이러한 필터 케이스(34)를 포함하는 필터 섬프(30)를 커넥터(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21u)의 바닥면에 결합 후크(21w)를 돌출 형성하고, 결합 블록(34d)의 하면에 상기 결함 후크(21w)가 후크 결합되는 결합 후크홈(36g)을 형성함으로써, 결합 후크(21w)와 결합 후크홈(36g)의 후크 결합을 통해 커넥터(20)와 필터 섬프(3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홈(21u)의 바닥면에 결합 후크홈을 설명하고, 결합 블록(36e)의 하면에 결합 후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36)는, 홀더(36)가 제2 수용 공간(21k)에 삽입되었을 때 제2 수용 공간(21k)의 내측면과 홀더(36)의 내측면 사이를 밀폐하도록, 홀더(36)의 상부(36b)의 외측면(36d)에 설치되는 제1 실링 부재(36j)를 더 가질 수 있다.
제1 실링 부재(36j)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실링 부재(36j)는, O-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실링 부재(36j)의 설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링 부재(36j)는, 제1 구획링(21l)의 외측면과 제2 수용 공간(21k)의 내측면 사이에 삽입되는 홀더(36)의 상부(36b)의 외측면(36d)의 일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제1 실링 부재(36j)는, 홀더(36)를 제2 수용 공간(21k)에 삽입할 때 이송 블록(38a)이 샤프트(21g)과 접촉되는 시기보다 이른 시기에 제2 수용 공간(21k)의 내측면과 접촉되고, 홀더(36)를 제2 수용 공간(21k)으로부터 인출할 때 이송 블록(38a)이 샤프트(21g)로부터 이격되는 시기보다 늦은 시기까지 제2 수용 공간(21k)의 내측면과의 접촉이 유지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실링 부재(36j)는, 이송 블록(38a)과 샤프트(21g)가 미리 정해진 여유 간격(G)만큼 이격된 상태일 때, 제2 수용 공간(21k)의 내측면과의 접촉이 유지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실링 부재(36j)는, 샤프트(21g)에 대한 이송 블록(38a)의 가압이 해제됨에 따라 샤프트(21g)가 탄성 부재(21j)로부터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미리 정해진 폐쇄 위치(P1)까지 이송(하강)됨으로써 제1 연통홀(21f)이 완전히 폐쇄될 때까지 필터 섬프(30)와 커넥터(20) 사이를 계속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실링 부재(36j)는, 필터 섬프(30)를 커넥터(20)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원수(W1)가 커넥터(2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실링 부재(36j)의 설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실링 부재(36j)는 상기 결합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한 쌍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링 부재들(36j) 중 상기 반대 방향(예 : 하측 방향)에 위치한 제1 실링 부재(36j1)를 결합 가능하도록 홀더(36)의 외측면(36d)에 요입 형성되는 오링홈(36h)은, 상기 결합 방향(예 : 상측 방향)에 위치한 제1 실링 부재(36j2)를 결합 가능하도록 홀더(36)의 외측면(36d)에 형성되는 오링홈(36i)에 비해 제2 수용 공간(21k)의 내측면 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오링홈들(36h, 36i)은, 오링홈(36h)의 직경(L1+△1)이 오링홈(36i)의 직경(L1)에 비해 미리 정해진 폭(△1)만큼 큰 단차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오링홈들(36h, 36i)의 단차 구조에 대응하여,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용 공간(21k)의 내측면(21z)은, 제1 실링 부재들(36d) 중 상측 방향에 위치한 제1 실링 부재(36j2)가 밀착되는 지점의 내경에 비해 하측 방향에 위치한 제1 실링 부재(36j1)가 접촉되는 지점의 내경이 미리 정해진 폭(Δ2)만큼 큰 단차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한 쌍의 제1 실링 부재들(36j)을 2단 실링 구조를 갖도록 설치함으로써, 필터 섬프(30)의 커넥터(20)로부터 분리할 때 원수(W1)가 커넥터(20)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필터 섬프(30)와 커넥터(20) 사이를 제1 실링 부재들(36d)을 통해 더욱 세밀하게 밀폐시킬 수 있다.
도 20은 커넥터와 필터 섬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1은 이송 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22는 도 20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23은 이송 부재의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부재(38)의 하부는 필터 카트리지(32)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형성되고, 이송 부재(38)의 상부는 홀더(36)의 중공에 삽입되도록 하부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이송 부재(38)는, 홀더(36)에 의해 필터 섬프(30)가 커넥터(20)에 상기 결합 방향으로 결합될 때, 샤프트(21g)를 상기 결합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1 연통홀(21f)이 개방되는 개방 위치까지 이송하도록 상기 결합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는 이송 블록(38a)과, 이송 블록(38a)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2 구획링(38b)과, 이송 블록(38a)과 제2 구획링(38b)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36c) 등을 가질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블록(38a)의 상면은 샤프트(21g)의 하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샤프트(21g)를 상기 결합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샤프트(21g)의 하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이송 블록(38a)은, 홀더(36)의 결합 블록(36e)이 커넥터(36b)의 결합홈(21u)에 결합되도록 홀더(36)를 커넥터(36b)의 제2 수용 공간(21k)에 삽입하여 필터 섬프(30)를 커넥터(20)에 결합할 때, 샤프트(21g)를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에서 이송(상승) 시킬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높이를 갖는다.
또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획링(38b)은, 홀더(36)에 의해 필터 섬프(30)가 커넥터(20)에 결합될 때, 이송 블록(38a)과 제1 구획링(21l) 사이에 위치하되, 샤프트(21g)의 하면이 제2 구획링(38b)의 중공으로 미리 정해진 깊이만큼 삽입된 상태로 이송 블록(38a)의 상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이송 블록(38a)에 비해 큰 높이 및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제2 구획링(38b)은 샤프트(21g)가 상기 개방 위치(P2)까지 상승될 때 제2 수용 공간(21k)의 천장면과 제2 구획링(38b)의 상단부가 서로 접할 수 있는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제2 구획링(38b)에 의하면, 이송 블록(38a)과 제2 구획링(38b) 사이에는 원수(W1)를 필터 카트리지(32)에 전달하기 위한 원수 공급 유로(38d)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원수 공급 유로(38d)는, 이송 부재(38)와 홀더(36)의 천장면 사이와, 필터 카트리지(32)와 필터 케이스(34)의 내측면 사이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카트리지(32)는 이러한 원수 공급 유로(38d)를 통해 필터 카트리지(32)와 필터 케이스(34)의 내측면 사이 공간까지 도달된 원수(W1)가 필터 카트리지(32)의 반경 방향으로 필터 카트리지(32)에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직경이 큰 필터 카트리지(32)의 외부 쪽에서 직경이 작은 필터 카트리지(32)의 내부 쪽을 향해 원수(W1)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필터 카트리지(32)의 여과 성능을 장시간 동안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0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블록(38a)은, 필터 카트리지(32)에서 생성된 정수(W2)가 유입되도록, 내부에 필터 카트리지(32)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정수 배출 유로(38e)와, 정수 배출 유로(38e)와 제2 수용 공간(21k)을 연통시키도록 이송 블록(38a), 연결부(38c) 및 제2 구획링(38b)을 관통하게 천공되는 제4 연통홀(38f) 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이송 부재(38)는, 제1 구획링(21l)과 제2 구획링(38b) 사이를 밀폐하도록, 제2 구획링(38b)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제2 실링 부재(38g)와, 제2 수용 공간(21k)의 내측면과 제2 구획링(38b) 사이를 밀폐하도록, 제2 구획링(38b)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제3 실링 부재(38h)를 더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실링 부재(38g)와 제3 실링 부재(38h)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실링 부재(38g) 및 제3 실링 부재(38h)는, O-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실링 부재(38g)와 제3 실링 부재(38h)의 설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0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링 부재(38g)와 제3 실링 부재(38h)는, 제1 안내 유로(21q)를 통해 제1 수용 공간(21e)에서 배출된 원수(W1)를 원수 공급 유로(38d)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2 안내 유로(21x)와, 제4 연통홀(38f)을 통해 정수 배출 유로(38e)에서 배출된 정수(W2)를 제3 연통홀(21o)을 통해 배출관(21b)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3 안내 유로(21y)를 각각 제2 수용 공간(21k)에 구획 형성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20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21a)을 통해 외부로부터 커넥터(20)에 유입된 원수(W1)는, 제1 수용 공간(21e), 제1 안내 유로(21q), 제2 안내 유로(21x), 원수 공급 유로(38d)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필터 카트리지(32)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필터 카트리지(32)에서 생성된 정수(W2)는, 정수 배출 유로(38e)와, 제3 안내 유로(21y)와, 배출관(21b)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커넥터(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커넥터들(20) 및 필터 섬프들(30)이 설치되는 경우에, 커넥터들(20)은 연결 파이프(13)에 의해 어느 커넥터(20)의 배출관(21b)에서 배출된 정수(W2)가 상기 어느 커넥터(20)의 다음 커넥터(20)의 유입관(21a)에 원수(W1)로서 공급되도록 상호 연결된다. 이를 통해 필터 조립체(1)는, 다수의 필터 섬프들(30)을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멀티 어댑터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10 : 브라켓
11 : 브라켓 본체
12 : 브라켓 커버
13 : 연결 파이프
14 : 원수 공급 파이프
15 : 정수 공급 파이프
20 : 커넥터
21 : 커넥터 아우터
23 : 커넥터 이너
30 : 필터 섬프
32 : 필터 카트리지
34 : 필터 케이스
36 : 홀더
38 : 이송 부재
W1 : 원수
W2 : 정수

Claims (20)

  1. 정수기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미리 정해진 힌지축을 중심으로 힌지 결합되는 커넥터와, 원수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카트리지가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커넥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 섬프를 포함하는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는 수용홈과, 상기 커넥터가 미리 정해진 하사점으로부터 상향 회전될 때, 상기 커넥터를 탄성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탄성 후크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는, 당해 커넥터가 미리 정해진 기준 각도만큼 상향 회전되면 상기 탄성 후크가 후크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후크홈을 구비하며,
    상기 후크홈은, 상기 커넥터가 상기 필터 섬프와 분리된 상태이거나 미리 정해진 기준 무게 미만만큼 원수가 수용된 필터 섬프와 결합된 상태일 때, 상기 후크 결합이 유지되되, 상기 커넥터가 상기 기준 무게 이상만큼 원수가 수용된 필터 섬프와 결합된 상태일 때, 상기 원수의 하중으로 인해 상기 후크 결합이 자동으로 해제되면서 상기 하사점을 향해 하향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정수기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미리 정해진 힌지축을 중심으로 힌지 결합되는 커넥터와, 원수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카트리지가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커넥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 섬프를 포함하는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는 수용홈과, 상기 커넥터가 미리 정해진 하사점으로부터 상향 회전될 때, 상기 커넥터를 탄성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탄성 후크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는, 당해 커넥터가 미리 정해진 기준 각도만큼 상향 회전되면 상기 탄성 후크가 후크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후크홈과, 당해 커넥터가 후크홈을 향해 미리 정해진 제1 기준 각도만큼 상향 회전될 때, 내측면이 탄성 후크에 의해 탄성 가압되되, 상기 내측면과 상기 탄성 후크 간에 슬립이 발생하도록 형성되는 안내홈을 구비하는,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홈은,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제1 기준 각도에 비해 크도록 미리 정해진 제2 기준 각도만큼 상향 회전되면, 상기 안내홈을 통과한 탄성 후크가 후크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홈은, 상기 안내홈에 비해 미리 정해진 깊이만큼 깊게 형성되는,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2 기준 각도만큼 상향 회전된 커넥터를 하측 방향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수용홈에 형성되는 메인 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토퍼는, 상기 제2 기준 각도만큼 회전된 커넥터가 안착되도록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9.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당해 커넥터를 외부의 원수 공급원과 연결하는 유입관과, 상기 원수가 상기 필터 카트리지에 의해 필터링되어 생성된 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더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유입관이 힌지 결합되는 제1 힌지홈과, 상기 배출관이 힌지 결합되는 제2 힌지홈을 더 구비하는,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10. 정수기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미리 정해진 힌지축을 중심으로 힌지 결합되는 커넥터와, 원수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카트리지가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커넥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 섬프를 포함하는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당해 커넥터를 외부의 원수 공급원과 연결하는 유입관과, 상기 원수가 상기 필터 카트리지에 의해 필터링되어 생성된 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는 수용홈과, 상기 커넥터가 미리 정해진 하사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기준 각도만큼 상향 회전될 때, 상기 커넥터를 탄성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탄성 후크와, 상기 유입관이 힌지 결합되는 제1 힌지홈과, 상기 배출관이 힌지 결합되는 제2 힌지홈과, 상기 커넥터가 미리 정해진 제1 기준 각도 이상만큼 회전될 때, 상기 커넥터의 미리 정해진 가압 지점을 상측 방향에서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보조 스토퍼와,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제1 기준 각도 이상만큼 회전될 때 상기 커넥터가 상기 보조 스토퍼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제1 힌지홈에 힌지 결합된 유입관을 탄성 지지하는 제1 탄성 리브와,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제1 기준 각도 이상만큼 회전될 때 상기 커넥터가 상기 보조 스토퍼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제2 힌지홈에 힌지 결합된 배출관을 탄성 지지하는 제2 탄성 리브를 구비하는,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11. 외부의 원수 공급원과 연결되는 커넥터와, 원수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카트리지가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커넥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 섬프를 포함하는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원수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원수가 상기 필터 카트리지에 의해 필터링되어 생성된 정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관과, 내부에 형성되는 제1 수용 공간과, 상기 제1 수용 공간과 상기 유입관을 연통시키는 제1 연통홀과,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상기 필터 섬프의 미리 정해진 결합 방향 또는 상기 결합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배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연통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샤프트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실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 섬프는, 상기 필터 카트리지가 수용되는 필터 케이스와, 상기 커넥터에 상기 결합 방향으로 결합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가 상기 커넥터에 상기 결합 방향으로 결합될 때 상기 샤프트를 상기 결합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연통홀이 개방되는 개방 위치까지 이송하는 이송 부재를 구비하는,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샤프트를 상기 반대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하도록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는,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샤프트와 상기 이송 부재가 미접촉된 상태일 때 상기 샤프트를 상기 반대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여 상기 제1 연통홀이 상기 실링 부재에 의해 폐쇄되는 폐쇄 위치까지 이송하도록 설치되는,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필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분을 삽입 가능하도록 개방 형성되는 제2 수용 공간과, 상기 제1 수용 공간과 상기 제2 수용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2 연통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2 수용 공간의 내측면과 상기 홀더의 외측면 사이를 밀폐하도록, 상기 홀더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제1 실링 부재를 갖는,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 부재는, 상기 이송 부재가 상기 샤프트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수용 공간의 내측면과의 접촉이 유지되도록 설치되는,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일부분이 상기 제2 연통홀을 통해 상기 제2 수용 공간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유입된 원수를 상기 제2 수용 공간으로 안내하는 제1 안내 유로가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과 상기 제2 연통홀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2 수용 공간의 천장면으로부터 상기 반대 방향을 향해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는 제1 구획링을 더 구비하고,
    상기 홀더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 수용 공간의 내측면과 상기 제1 구획링의 외측면 사이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실링 부재는, 상기 홀더의 적어도 일부분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부재는, 상기 홀더가 상기 커넥터에 결합될 때 상기 샤프트를 가압하여 상기 제1 연통홀이 개방되는 개방 위치까지 이송하도록 상기 결합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송 블록과, 상기 이송 블록과 상기 제1 구획링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제2 구획링과, 상기 제1 구획링과 상기 제2 구획링 사이를 밀폐하도록, 상기 제2 구획링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제2 실링 부재와, 상기 제2 수용 공간의 내측면과 상기 제2 구획링 사이를 밀폐하도록, 상기 제2 구획링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제3 실링 부재를 갖는,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링 부재는, 상기 이송 블록과 상기 제2 구획링 사이에 형성된 원수 공급 유로에 상기 제1 안내 유로를 통해 상기 제1 수용 공간에서 배출된 원수를 전달하기 위한 제2 안내 유로를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구획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2 수용 공간과 상기 배출관을 연통시키는 제3 연통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이송 부재는, 상기 정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이송 블록의 내부에 형성되는 정수 배출 유로와, 상기 정수 배출 유로와 상기 제2 수용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4 연통홀을 갖고,
    상기 제3 실링 부재는, 상기 제4 연통홀을 통해 상기 정수 배출 유로에서 배출된 정수를 상기 제3 연통홀로 전달하기 위한 제3 안내 유로를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구획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KR1020210016779A 2021-02-05 2021-02-05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KR102503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779A KR102503648B1 (ko) 2021-02-05 2021-02-05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779A KR102503648B1 (ko) 2021-02-05 2021-02-05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060A KR20220113060A (ko) 2022-08-12
KR102503648B1 true KR102503648B1 (ko) 2023-02-23

Family

ID=82803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779A KR102503648B1 (ko) 2021-02-05 2021-02-05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364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225Y1 (ko) * 2006-09-07 2006-11-30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시스템용 필터카트리지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999B1 (ko) * 2015-12-30 2023-01-13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필터용 2단형 로킹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225Y1 (ko) * 2006-09-07 2006-11-30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시스템용 필터카트리지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060A (ko) 2022-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3327B2 (en) Filter housing with filter key attachment
US20210052998A1 (en) Push filter with floating key lock
EP2976144B1 (en) Filter assembly
US20240058729A1 (en) Push filter with floating key lock
CN102068841B (zh) 用于过滤流体的过滤器系统
CN100482311C (zh) 带键的过滤器组件
EP2206543A1 (en) Filter assembly, valve assembly, and water purifying system having the same
MX2014008363A (es) Sistema de filtracion.
KR20070011489A (ko) 액체 여과용 필터 카트리지
KR20030007610A (ko) 필터
CN109072736B (zh) 滤油器滤芯和用于滤油器滤芯的壳体
US11865479B2 (en) Filter base for electronic connection to mating filter housing assembly
KR102503648B1 (ko)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US20210178297A1 (en) Filter base for electronic connection to mating filter housing assembly
US20220016549A1 (en) End plate, filter element, filter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liquid
CN104147812A (zh) 油水分离装置
CN211501487U (zh) 一种便于外侧打开的封闭式拖链
CN210645354U (zh) 一种过滤器
CN211337069U (zh) 一种新型真空储存设备
CN211611902U (zh) 具有旁通构造和过滤构造的水过滤系统
CN208848955U (zh) 无人机定位系统、手持rtk定位装置、密封快拆结构
CN211202754U (zh) 一种耐磨防爆开拖链
CN111379128B (zh) 衣物处理设备
CA3152530C (en) Filter base for electronic connection to mating filter housing assembly
WO2022014245A1 (ja) 流体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