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011B1 - test kit - Google Patents

test k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011B1
KR102503011B1 KR1020207020309A KR20207020309A KR102503011B1 KR 102503011 B1 KR102503011 B1 KR 102503011B1 KR 1020207020309 A KR1020207020309 A KR 1020207020309A KR 20207020309 A KR20207020309 A KR 20207020309A KR 102503011 B1 KR102503011 B1 KR 102503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ance
liquid sample
detected
pad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03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98634A (en
Inventor
타카시 미야자와
Original Assignee
덴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덴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98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6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0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01N33/54387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3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with a sample being transported to, and subsequently stored in an absorbent for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06Solid-phase reaction mechanis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58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using diffusion or migration of antigen or anti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09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rectangular shaped
    • B01L2300/0825Test str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피검출 물질의 존재 여부를 확실하게 판정할 수 있는 검사 키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검사 키트 11 는 시료 적하 패드 31 ,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1, 고정화 멤브레인 51 이 이 순서로 연결되어, 적하된 액체 시료가 고정화 멤브레인 51 을 향해 순차적으로 전개하면서 당해 고정화 멤브레인 51 에서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테스트 스트립 21 을 갖추고있는 검사 키트이며, 테스트 스트립 21 은 적어도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1 의 일부와 고정화 멤브레인 51 의 일부가 서로 겹치는 부위를 가지며, 이 부위에서 액체 시료의 전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일부를 가압하는 가압부 (910) 를 구비하고, 고정화 멤브레인 51 에 있어서 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유역이며, 가압부 910 에 의해 가압된 부위에서 바로 아래에 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유역 R 이외의 유역 P 에서 외부에서 피검출 물질의 검출이 확인 가능하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st kit capable of reliabl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ubstance to be detected. In the test kit 11 of the present invention, a sample dropping pad 31, a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41, and an immobilization membrane 51 are connected in this order, and the dropped liquid sample is sequentially spread toward the immobilization membrane 51 to be detected on the immobilization membrane 51. A test kit equipped with a test strip 21 for detecting a substance, wherein the test strip 21 has a portion where at least a portion of the labeling substance holding pad 41 and a portion of the immobilization membrane 51 overlap each other, and is orthogonal to the spreading direction of the liquid sample at this portion. It is provided with a pressurizing portion 910 for pressurizing a part of the direction, and is a basin in which the liquid sample spreads in the immobilized membrane 51, other than the basin R immediately below the portion pressed by the pressurized portion 910 in which the liquid sample spreads.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detection of the substance to be detected from the outside in the watershed P.

Description

검사 키트test kit

본 발명은 검사 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st kit.

 타액 등의 검체를 채취하고 , 이 검체에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의 피 측정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면,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장치가 개시되어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As a device for collecting a sample such as saliva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sample contains a substance to be measured, such as bacteria or viruses, an immunochromatography device is disclosed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reference).

 상기 장치는 시료 첨가 부재 표지판 유지 부재, 크로마토용 막 담체 등으로 구성된 테스트 스트립을 케이스에 끼워 상기 시료 첨가 부재에 적하된 시료를 표지 유지 부재에 공급하고 표지가 되는 착색된 입자(표식 물질)를 피 측정 물질에 결합시킨 후 이를 크로마토용 막 담체에 고정된 항체에 포착 및 축적시키고 있는지에 의하여 상기 피 측정 물질의 존재 여부를 육안에 의해 판정한다.The apparatus inserts a test strip composed of a sample adding member, a sign holding member, a chromatographic membrane carrier, etc. into a case to supply the sample dropped into the sample adding member to the label holding member, and avoids colored particles (marker substances) to be the label. After binding to the substance to be measur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ubstance to be measured is visually determined by whether or not it is captured and accumulated by the antibody immobilized on the membrane carrier for chromatography.

 이러한 장치는 테스트 스트립을 사이에 두는 한 쌍의 케이스의 대향하는 부위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에 의해 시료 첨가 부재 표지판 유지 부재를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시료 첨가 부재에 적하시킨 시료가 표지 유지 부재에 효율적으로 공급되고 , 피 측정 물질에 표식 물질을 확실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In this apparatus, protrusions are formed on opposite portions of a pair of cases sandwiching test strips, and the sample-adding member sign-holding member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nvex portion so that the sample dropped on the sample-adding member is placed on the label-holding member. is efficiently supplied, and the labeling substance can be bound to the substance to be measured reliably.

[선행기술문헌][Prior art literature]

[특허문헌][Patent Literature]

<특허문헌 1> 특개 2005-37384 호 공보<Patent Document 1> Publication No. 2005-37384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표식화 물질 유지 부재에 유지되는 표식화 물질이 크로마토용 막 담체 중에 일시에 다량으로 전개 할 수 있다. 따라서 위의 다량 전개가 발생한 경우, 이 다량의 표식 물질의 착색을 크로마토용 필름 단체에서 항체에 의해 포착된 것으로 오인해 버리는 경향이 있고, 피 측정 물질이 존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마치 존재하는 것 같은 오판을 일으킬 우려가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a large amount of the labeling substance held in the labeling substance holding member can develop in a large amount at once in the chromatographic membrane carrier. Therefore, when a large amount of the above development occurs, there is a tendency to misunderstand the coloring of this large amount of the labeling substance as being captured by the antibody on the chromatographic film alone, and even though the substance to be measured does not exist, it seems to exist. There is a risk of misjudgment.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에 따라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피검출 물질(피 측정 물질)의 존재 여부를 확실하게 판정할 수 있는 진단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s object is to provide a diagnostic kit capable of reliabl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ubstance to be detected (substance to be measured).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1) 피검출 물질이 포함된 액체 시료를 적하하는 시료 적하 패드와 상기 피검출 물질에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표식이 되는 표식화 물질이 함침된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와, 상기 표식화 물질이 결합된 피검출 물질을 고정하는 고정화 물질을 갖는 고정화 멤브레인이 이 순서로 연결되어, 적하된 상기 액체 시료가 상기 고정화 멤브레인을 향해 순차적으로 전개하면서 상기 고정화 멤브레인에서 상기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테스트 스트립을 갖추고 있는 검사 키트이며,(1) a sample loading pad for dropping a liquid sample containing a substance to be detected, and a pad for holding a labeled substance impregnated with a labeling substance that selectively binds to the substance to be detected and becomes a label; An immobilization membrane having an immobilization substance for immobilizing a substance to be detected is connected in this order so that the dropped liquid sample is sequentially developed toward the immobilization membrane, and a test strip for detecting the substance to be detected on the immobilized membrane is provided. It is a test kit,

 상기 테스트 스트립은 적어도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의 일부와 고정화 멤브레인의 일부가 서로 겹치는 부위를 가지며,The test strip has a region where at least a portion of the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and a portion of the immobilization membrane overlap each other;

 상기 겹치는 부위에서 상기 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일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A pressurizing unit for pressing a part of a direction orthogona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liquid sample expands at the overlapping portion,

 상기 고정화 멤브레인의 상기 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유역이며,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부위에서 직하의 상기 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유역 이외의 유역이고, 외부에서 상기 피검출 물질의 검출이 확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키트It is a basin in which the liquid sample of the immobilization membrane develops, and is a basin other than the basin in which the liquid sample directly under the portion pressed by the pressurizing part develops, and the detection of the substance to be detected can be confirmed from the outside. testing kit

(2) 가압부는 겹치는 부위에 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양단부를 가압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1)에 기재된 검사 키트(2) The test kit according to (1) above, in which the pressing part is arranged to press both end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quid sample spreads to the overlapping portion.

(3)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는 표식화 물질을 포함하는 함유 부분과, 이 함유 부분에 인접하고 상기 표식화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미함유 부분을 갖고, 시료 적하 패드와 상기 미함유 부분이 연결되고, 상기 함유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고정화 멤브레인과 연결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검사 키트(3) The labeling substance holding pad has a portion containing a labeling substance and a portion adjacent to the containing portion and not containing the labeling substance, and the sample dropping pad and the non-containing portion are connected; , the test kit according to (1) or (2) above,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contain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immobilized membrane

(4) 겹치는 부위는 적어도 시료 적하 패드의 일부와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의 일부와 고정화 멤브레인의 일부가 이 순서로 적층된 구조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검사 키트 ,(4) The test kit according to (1) or (2) above, wherein the overlapping por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sample dropping pad, a part of the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and a part of the immobilization membrane are laminated in this order,

(5) 제 1 케이스와,(5) the first case;

 테스트 스트립을 통해 상기 제 1 케이스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테스트 스트립을 끼우는 제 2 케이스를 제공하고,Providing a second case disposed to face the first case through a test strip and sandwiching the test strip;

 가압부가 겹치는 부위에 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일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케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검사 키트A test kit installed in the first and/or second case so as to press a part of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quid sample spreads to the portion where the pressing part overlaps

(6) 외부에서 피검출 물질의 검출을 확인하기 위한 창부를 구비하고,(6) a window for confirming the detection of a substance to be detected from the outside;

 상기 창부가 제 1 및/또는 제 2 케이스의 고정화 멤브레인에 향하는 부위이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부위에서 유출된 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직하 유역 이외의 유역을 향하는 부위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5)에 기재된 검사 키트 및The above (5), wherein the window portion is a portion facing the immobilized membrane of the first and/or second case, and is disposed at a portion facing a basin other than the basin directly below the basin in which the liquid sample flowing out from the region pressurized by the pressurization unit develops. The test kit described in and

(7) 피검출 물질이 포함된 액체 시료를 적하하는 시료 적하 패드와 상기 피검출 물질에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표식이 되는 표식화 물질이 함침된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와, 상기 표식화 물질이 결합된 피검출 물질을 고정하는 고정화 물질을 갖는 고정화 멤브레인이 이 순서로 연결되어, 적하된 상기 액체 시료가 상기 고정화 멤브레인을 향해 순차적으로 전개하면서 상기 고정화 멤브레인에서 상기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테스트 스트립을 갖추고 있는 검사 키트를 이용한 피검출 물질의 검출 방법으로서,(7) a sample dropping pad for dropping a liquid sample containing a substance to be detected; a pad for holding a labeled substance impregnated with a labeling substance that selectively binds to the substance to be detected and becomes a label; An immobilization membrane having an immobilization substance for immobilizing a substance to be detected is connected in this order so that the dropped liquid sample is sequentially developed toward the immobilization membrane, and a test strip for detecting the substance to be detected on the immobilized membrane is provided. As a method for detecting a substance to be detected using a test kit,

 상기 테스트 스트립은 적어도 상기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의 일부와 상기 고정화 멤브레인의 일부가 서로 겹치는 부위를 가지며,The test strip has a region where at least a portion of the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and a portion of the immobilization membrane overlap each other;

 상기 겹치는 부위에서 상기 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일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A pressurizing unit for pressing a part of a direction orthogona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liquid sample expands at the overlapping portion,

 상기 고정화 멤브레인에 있어서 상기 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유역이며, 상기 가압부에 더 가압된 부위에서 직하의 상기 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유역 이외의 유역 에서 외부에서 상기 피검출 물질의 검출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In the immobilized membrane, the detection of the substance to be detected is confirmed from the outside in a watershed other than the watershed in which the liquid sample develops, which is a watershed in which the liquid sample develops and is directly under a portion further pressurized by the pressurizing part. How to

에 관한 것이다.It is about.

 또한, 본 명세서에서 , "테스트 스트립"은 시료 적하 패드,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고정화 멤브레인 등으로 구성되어 액체 시료가 정상시에 유통되는 일련의 부재를 의미한다. 또한 "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부위에서 바로 아래에 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유역 이외의 유역"이라 함은 예를 들어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살표로 표시되는 액체 시료 등의 전개 방향에서 돌출부 911(가압부 910) 에 의해 가압된 부위와, 이 부위의 직하(하류)에 위치한 고정화 멤브레인(51) 내의 평면시에서 영역 R(음영의 해칭부) 이외의 고정화 멤브레인(51) 내의 영역 P 를 의미한다. 또한, 도 3 중, L1은 공간 R의 폭, L2는 영역 P의 폭, L3는 창부 915의 폭을 각각의 위치 관계에 입각해서 보여주고 있다. 또한 '창부'는 물리적으로 개구하는 관통 구멍, 및 소정의 부재를 통해 피검출 물질의 유무를 외부에서 관찰 또는 검출 가능한 부위의 양자를 포함하는 개념이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est strip" means a series of members composed of a sample dropping pad, a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an immobilizing membrane, and the like, through which a liquid sample normally flows. In addition, "a watershed other than the watershed in which the liquid sample expands immediately below the portion pressed by the pressing part" mean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 in the expansion direction of the liquid sample etc. It means the region P within the immobilized membrane 51 other than the region R (shaded hatched portion) in plan view within the region pressed by the pressurizing portion 910) and the immobilized membrane 51 located directly below (downstream of) this region. . In Fig. 3, L1 indicates the width of the space R, L2 indicates the width of the region P, and L3 indicates the width of the window 915 based on their respective positional relationships. In addition, the 'window' is a concept that includes both a through hole that is physically opened and a site wher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ubstance to be detected can be observed or detected from the outside through a predetermined member.

 또한, 본 명세서에서 " 시료 적하 패드" 및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는 어디까지나 기능적인 구분이며, 반드시 기능마다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 시료 적하 패드" 및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는 피검출 물질이 포함된 액체 시료를 적하되는 영역과 피검출 물질에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표식이 되는 표식화물질이 함침된 영역을 갖는 일체적인 부재를 포함하는 개념이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sample loading pad" and "labeling substance holding pad" are only functional divisions, and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constituted by separate members for each function. For examp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sample dropping pad" and a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are impregnated with a labeling material that selectively binds a liquid sample containing a detection material to an area where a liquid sample is dropped and to the detection material and is marked. It is a concept that includes an integral member having a closed area.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적어도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의 일부와 고정화 멤브레인의 일부가 서로 겹치는"은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와 고정화 멤브레인 및 직접 겹치는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와 고정화 멤브레인이 이러한 부재와는 다른 다른 부재를 통해 서로 겹치는 형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t least a part of the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and a part of the immobilization membrane overlap each other" is not limited to a form in which the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and the immobilization membrane directly overlap each other, but the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and the immobilization membrane It is a concept that includes forms overlapping each other through other members different from these members.

본 발명은 피검출 물질의 존재 여부를 확실하게 판정할 수 있는 진단 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diagnostic kit capable of reliabl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ubstance to be det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개략 평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창부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개략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 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 의 개략 평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plan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
Figure 3 is a partially enlarged schematic plan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window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Fig. 2;
5 is a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plan view of Fig. 5;
7 is a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chematic plan view of Fig. 7;

< 검사 키트 >< Test kit >

 본 발명의 검사 키트는 피검출 물질이 포함된 액체 시료를 적하하는 시료 적하 패드와 상기 피검출 물질에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표식이 되는 표식화 물질이 함침된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와 상기 표식화 물질이 결합된 피검출 물질을 고정하는 고정화 물질을 갖는 고정화 멤브레인이 이 순서로 연결되어, 적하된 상기 액체 시료가 상기 고정화 멤브레인을 향해 순차적으로 전개하면서 당해 고정화 멤브레인에서 상기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테스트 스트립을 갖추고 있는 검사 키트이며, 상기 테스트 스트립은 적어도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의 일부와 고정화 멤브레인의 일부가 서로 겹치는 부위를 가지며, 상기 겹치는 부위에서 상기 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일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화 멤브레인의 상기 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유역이며,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부위에서 직하의 상기 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유역 이외의 유역이고, 외부에서 상기 피검출 물질의 검출이 확인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test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ample loading pad for dropping a liquid sample containing a substance to be detected, a pad for holding a labeled substance impregnated with a labeling substance that selectively binds to the substance to be detected and becomes a label, and the labeling substance. An immobilization membrane having an immobilization substance for immobilizing the bound substance to be detected is connected in this order, and the dropped liquid sample is sequentially spread toward the immobilization membrane to form a test strip for detecting the substance to be detected on the immobilized membrane. A test kit equipped with, wherein the test strip has a portion where at least a portion of the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and a portion of the immobilization membrane overlap each other, and presses a portion of a direction orthogona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liquid sample spreads at the overlapping portion. A pressurizing unit is provided, and the liquid sample of the immobilized membrane is spread, and the liquid sample is spread in a region other than the liquid sample directly below the portion pressed by the pressurizing unit.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verifiable.

 다음, 해당 검사 키트의 제 1 ~ 제 3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도면에 기재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Next,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test k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rawings.

[제 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해당 검사 키트 11은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략적으로, 시료 적하 패드 31,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1, 고정화 멤브레인 51 및 흡수 패드 61 을 갖는 테스트 슬립 21 과 배킹 시트 71 과, 제 1 케이스 81 및 제 2 케이스 91 로 구성되어 있다.1 is a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FIG. 1 . As schematically shown in FIGS. 1 and 2 , the test kit 11 includes a test slip 21 and a backing sheet 71 having a sample loading pad 31, a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41, an immobilization membrane 51 and an absorbent pad 61; It is composed of a case 81 and a second case 91.

 테스트 스트립 21 은 시료 적하 패드 31,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1, 고정화 멤브레인 51 및 흡수 패드 61 이, 이 순서로 연결되어, 적하된 액체 시료가 고정화 멤브레인 51 을 향해 순차적으로 전개하면서 상기 고정화 멤브레인 51 에서 피검출 물질을 검출한다.In the test strip 21, a sample dropping pad 31, a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41, an immobilization membrane 51, and an absorption pad 61 are connected in this order so that the dropped liquid sample sequentially spreads toward the immobilization membrane 51 while passing through the immobilization membrane 51. Detect the target substance.

 시료 적하 패드 31 은 피검출 물질이 포함된 액체 시료가 적하되는 부재이다. 이 시료 적하 패드 31 은 액체 시료를 적하하는 적하부 31a 가 설치되어 있다. 시료 적하 패드 31 은 후술하는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1 및 고정화 멤브레인 51 에 비해 간격이 크고, 흡수성이 낮은 소재에 의해 형성되어있다. 시료 적하 패드 31 을 구성하는 소재로는 예를 들면, 나일론, 폴리 에테르 설폰, 폴리 비닐 알코올, 폴리 에스테르, 유리 섬유, 폴리올레핀, 셀룰로오스, 또는 이들의 혼합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피검출 물질로서, 예를 들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의 항원 등이 있다.The sample dropping pad 31 is a member on which a liquid sample containing a substance to be detected is dropped. The sample dropping pad 31 is provided with a dropping portion 31a for dropping a liquid sample. The sample loading pad 31 is formed of a material with a large gap and low water absorption compared to the labeling substance holding pad 41 and the immobilization membrane 51 described later. Examples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sample dropping pad 31 include nylon, polyether sulfone, polyvinyl alcohol, polyester, glass fiber, polyolefin, cellulose, or a non-woven fabric formed of these mixed fibers. In addition, there are antigens, such as influenza virus, etc. as a substance to be detected, for example.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1 은 피검출 물질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표지되는 표식화 물질이 함침된 부재이다. 이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1 은 액체 시료 전개 방향의 상류 측이 계면 k11 을 통해 시료 적하 패드 31 에 접하고 , 후술하는 제 2 케이스 91 에 설치되어있는 돌출부 912 및 제 1 케이스 81 에 설치되어있는 돌출부 812의 사이에 협지되고, 또한 이러한 돌출부 812, 912 에 따라 테스트 스트립 21 의 폭 방향(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전체에 걸쳐 가압되 있다. 상기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1 은 시료 적하 패드 31 에 적하된 액체 시료를 받아, 함께 이 액체 시료와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1 에 보관된 표식화 물질과 혼합하여 항원과 항체가 항원 항체 반응에 의해 결합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식화 물질이 상기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1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함침되어 있다.The labeling substance holding pad 41 is a member impregnated with a labeling substance that is labeled by selectively binding to a substance to be detected. The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41 is in contact with the sample dropping pad 31 via the interface k11 on the upstream side of the liquid sample spreading direction, and includes a protrusion 912 provided on the second case 91 and a protrusion 812 provided on the first case 8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and is further pressed along the entire width direction of the test strip 21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quid sample spreads) along these projections 812 and 912 . The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41 receives the liquid sample loaded on the sample loading pad 31, mixes the liquid sample with the labeling material stored in the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41, and binds the antigen and antibody by antigen-antibody reaction. do. In this embodiment, the labeling material is uniformly impregnated throughout the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41 .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1 은 상술한 시료 적하 패드 31 에 비해 간격이 미세하고 흡수성이 높은 소재에 의해 형성되어있다. 이렇게 하면 액체 시료를 시료 적하 패드 31 에서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1 에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표식화 물질 보유 패드 4 1 을 구성하는 소재로는 예를 들면, 나일론, 폴리 에테르 설폰, 폴리 비닐 알코올, 폴리 에스테르, 유리 섬유, 폴리올레핀, 셀룰로오스, 또는 이들의 혼합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Compared to the above-mentioned sample dropping pad 31, the labeling substance holding pad 41 is formed of a material with finer spacing and higher absorbency. In this way, the liquid sample can be reliably transferred from the sample dropping pad 31 to the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41 . Examples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marking material holding pad 4 1 include nylon, polyether sulfone, polyvinyl alcohol, polyester, glass fiber, polyolefin, cellulose, or a non-woven fabric formed of these mixed fibers. .

 표식화 물질로는 피검출 물질에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착색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금 콜로이드 백금 콜로이드, 착색 입자 형광 입자 등의 불용성 담체 입자, 효소 표지 리간드, 형광 표지 리간드 등이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결합된 물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표식화 물질의 구체적인 예로는, 예를 들면, 착색 입자가 결합된 항체 등을 예시할 수 있다.The labeling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selectively binds to the substance to be detected and is color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gold colloids, platinum colloids, insoluble carrier particles such as colored particles and fluorescent particles, enzyme-labeled ligands, and fluorescent-labeled ligands. or chemically bonded materials. Specific examples of the labeling material include, for example, antibodies to which colored particles are bound.

 고정화 멤브레인 51 은 표식화 물질이 결합된 피검출 물질을 고정하는 고정화 물질을 갖는 부재이다. 이 고정화 멤브레인 51 은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1 의 일부가 고정화 멤브레인 51 의 일부가 서로 겹치는 부위를 가지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액체 시료 전개 방향의 상류 측이 계면 k12 를 통해 신호화 물질 유지 패드 41 에 접하고 있다. 상기 고정화 멤브레인 51 은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1 에서 혼합 된 액체 시료와 표식화 물질을 받아 들여, 이를 흡수 패드 61 을 향해 전개한다.The immobilization membrane 51 is a member having an immobilization material for immobilizing a target substance to which a labeling substance is bound. This immobilization membrane 51 has a portion where a part of the labeling substance holding pad 41 overlaps each other, specifically, the upstream side in the liquid sample spreading direction is in contact with the signaling substance holding pad 41 via the interface k12. there is. The immobilization membrane 51 receives the liquid sample and the labeling material mixed in the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41 and spreads them toward the absorption pad 61 .

 고정화 멤브레인 51 은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1 에 비해 간격이 미세하고 흡수성이 높은 소재에 의해 형성되어있다. 이렇게하면 액체 시료를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1 에서 고정화 멤브레인 51 에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고정화 멤브레인 51 을 구성하는 소재로는 예를 들면, 니트로 셀룰로오스 등으로 이루어진 다공성 소재 , 폴리 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진 섬유 소재 등을 들 수 있다.Specifically, the immobilization membrane 51 is formed of a material with fine spacing and high absorbency compared to the above-described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41 . In this way, the liquid sample can be reliably transferred from the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41 to the immobilization membrane 51 . Examples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immobilized membrane 51 include a porous material made of nitrocellulose and the like, and a fiber material made of polyester and the like.

 또한 고정화 멤브레인 51 은 피검출 물질을 감지하는 검출 영역 51a 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감지 영역 51a 로는 고정화 물질이 고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화 물질이 피검출 물질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당해 피검출 물질을 검출 영역 51a 에 고정된다. 여기에서 고정화된 피검출 물질은 상술한 것처럼 표식화 물질이 결합하고있다. 따라서 피검출 물질을 검출 영역 51a 에 고정하여 착색한 표식화 물질을 당해 검출 영역 51a에 축적할 수 있고, 육안에 의한 색상의 시인 또는 감지 장치를 이용한 표식화 물질의 감지에 의해 피검출 물질의 존재 여부를 판정 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화 물질로는 예를 들어, 항체 등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the immobilized membrane 51 is provided with a detection area 51a for detecting a target substance. An immobilization material is fixed to the sensing region 51a, and the immobilization material selectively binds to the detection target substance to fix the detection target substance to the detection region 51a. Here, the immobilized substance to be detected is bonded to the labeled substance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by fixing the substance to be detected in the detection area 51a, the colored labeled substance can be accumulated in the detection region 51a, and the presence of the substance to be detected is detected by visual recognition of the color or detection of the labeled substance using a sensing device. can determine whether Examples of the immobilization material include antibodies and the like.

 검출 영역 51a 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화 멤브레인 51 의 시료 전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띠 모양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쉽고 확실하게 판정 할 수 있다.The shape of the detection region 51a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 it may be provided in a strip shape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ample spreading direction of the immobilized membrane 51 . This makes it easy and reliable to judge.

 또한 고정화 멤브레인 51에는 상기 검출 영역 51a 및 후술하는 흡수 패드 61 사이에 액체 시료가 도달한 것을 알리기 위한 제어 영역 51b 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관련된 경우, 예를 들어, 컨트롤용 물질을 고정화 멤브레인 51 에 고정하기 위한 컨트롤 영역 51b 가 형성 되는 동시에, 상기 컨트롤 물질에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표지가 결합된 컨트롤용 표식화 물질이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1 중에 함침 되어 있다. 그러면 적하된 액체 시료가 컨트롤용 표식화 물질과 혼합한 후, 이 혼합물이 컨트롤 영역 51b 에 도달하면 컨트롤용 표식화 물질이 컨트롤 물질에 의해 고정 된 액체 시료가 검출 영역 51a 를 통과 한 것(검사가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육안에 의한 색의 시인 또는 감지 장치에 의한 표식화 물질 검출에 의하여 확인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mobilized membrane 51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region 51b for notifying that a liquid sample has arrived between the detection region 51a and an absorption pad 61 described later. In a related case, for example, a control region 51b for fixing a control substance to the immobilized membrane 51 is formed, and at the same time, a labeling substance for control selectively bound to the control substance and to which the label is bound is attached to the labeling substance holding pad 41 impregnated in Then, after the dropped liquid sample is mixed with the labeling material for control, when this mixture reaches the control area 51b, the liquid sample in which the labeling material for control is immobilized by the control material passes through the detection area 51a (the inspection is performed). Successfully progressing) can be confirmed by color recognition by the naked eye or detection of a labeled material by a sensing device.

 흡수 패드 61 은 고정화 멤브레인 51 을 전개하는 액체 시료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는 부재이다. 이 흡수 패드 61 은 당해 흡수 패드 61 의 상류 측이 계면 k13 을 통해 고정화 멤브레인 51 에 접하고 있으며, 고정화 멤브레인 51 속을 전개하는 액체 시료 등을 받아, 이를 흡수한다. 테스트 슬립 21 이 흡수 패드 61 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흡수 패드 61 에 의해 액체 시료 등을 흡수하여 고정화 멤브레인 51 중 액체 시료 등의 전개(흐름)를 촉진 할 수 있고, 시료 적하 패드 31 에 적하된 액체 시료 등을 원활하게 확장시킬 수 있다.The absorbent pad 61 is a member that absorbs at least a portion of the liquid sample spreading the immobilized membrane 51 . The absorbent pad 61, upstream of the absorbent pad 61, is in contact with the immobilized membrane 51 via the interface k13, receives a liquid sample or the like spread through the immobilized membrane 51, and absorbs it. The test slip 21 has an absorbent pad 61, and the liquid sample or the like can be absorbed by the absorbent pad 61 to promote the spread (flow) of the liquid sample or the like in the immobilization membrane 51, and the liquid sample dropped on the sample dropping pad 31 The back can be smoothly extended.

 상기 흡수 패드 61 은 다량의 액체 시료 등을 흡수 할 수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여과지, 유리 섬유 등으로 형성된 부직포, 흡수성 고분자 폴리머 시트 등을 채용 할 수 있다.The absorbent pad 6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absorb a large amount of liquid sample, etc., and for example, a filter paper, a nonwoven fabric made of glass fibers, or the like, an absorbent polymer sheet, or the like can be employed.

 배킹 시트 71 은 테스트 스트립 21 과 제 1 케이스 81 사이에 설치되고, 테스트 스트립 21 을 구성하는 시료 적하 패드 31,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1, 고정화 멤브레인 51 및 흡수 패드 61 을 일체적으로 고정한다. 이 배킹 시트 71 은 구체적으로는 배킹 시트 71 의 단면에 점착제 층 71a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점착제층 71a 가 테스트 스트립 21 을 구성하는 시료 적하 패드 31, 표식화 물질 보유 패드 41, 고정화 멤브레인 51 및 흡수 패드 61에 접착하여, 이들 시료 적하 패드 31 등이 배킹 시트 71 에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상술한 배킹 시트 71 및 점착제 층 71a 를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공지의 방수 재료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당해 검사 키트 11 이 배킹 시트 71 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각 패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The backing sheet 71 is installed between the test strip 21 and the first case 81 and integrally fixes the sample dropping pad 31, the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41, the immobilization membrane 51 and the absorbent pad 61 constituting the test strip 21. Specifically, the backing sheet 71 ha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71a formed on the end surface of the backing sheet 71,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71a constitutes a test strip 21, a sample dropping pad 31, a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41, an immobilized membrane 51, and an absorbent. By adhering to the pad 61, these sample dropping pads 31 and the like are integrally fixed to the backing sheet 71. As a material for forming the above-described backing sheet 71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71a, a known waterproof material or the like can be employed, for example. Therefore, each pad can be stably held by the said test kit 11 being provided with the backing sheet 71.

 제 1 케이스 81 은 테스트 스트립 21 을 적재한다. 제 2 케이스 91 은 테스트 스트립 21 을 통해 제 1 케이스 81 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테스트 스트립 21 을 협지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케이스 81,91 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예를 들면, 폴리 프로필렌, ABS 등을 채용할 수 있다.The first case 81 loads the test strip 21. The second case 91 is disposed to face the first case 81 via the test strip 21, and clamps the test strip 21. As a material constituting the first and second cases 81 and 91, for example, polypropylene, ABS, or the like can be employed.

 여기서, 상술한 배킹 시트 71 과 제 1 케이스 81 사이의 적어도 일부는 틈새 g 가 설치되어있다. 이 틈새 g 는 도 1과 같이 백킹 시트 71 의 밑면이 제 1 케이스 81 에 마련된 돌출부 811 ~ 813 의 선단에 접촉하여 형성되어있다. 틈새 g 간격으로는 이 틈새 g 에 들어간 액체 시료 등이 표면 장력에 의해 전파하지 않을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틈새 g의 간격으로는 0.1mm 이상이 바람직하고, 0.5 mm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액체 시료가 테스트 스트립 21 과 제 1 케이스 81 사이에 스며드는 것을 억제 할 수 있으며, 상기 액체 시료의 손실을 억제하고 피검출 물질의 존재 여부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Here, at least a part between the above-mentioned backing sheet 71 and the first casing 81 is provided with a gap g. As shown in FIG. 1 , the gap g is formed by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backing sheet 71 with the ends of the protrusions 811 to 813 provided in the first case 81 . The gap g interval is preferably formed to such an extent that the liquid sample or the like that has entered the gap g does not propagate due to surface tension. The gap g is preferably 0.1 mm or more, and more preferably 0.5 mm or more. In this way, the liquid sample can be suppressed from permeating between the test strip 21 and the first case 81, the loss of the liquid sample can be suppressed,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ubstance to be detected can be reliably detected.

 제 2 케이스 91 에는 가압부 (910) 가 설치되고, 이 가압부 (910)는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1 의 일부가 고정화 멤브레인 51 의 일부와 서로 겹치는 부위에 액체 시료가 전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일부만 가압하고 있다(도 2 참조). 구체적으로는 가압부 (910)는 제 2 케이스 91 에 돌출부 911 을 마련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 911 이 겹치는 부위에 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양단부만 가압하도록 배치되어있다.The second case 91 is provided with a pressurizing part 910, and the pressurizing part 910 is located at a portion where a part of the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41 overlaps a part of the immobilization membrane 51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quid sample is spread. Only a part is pressurized (see FIG. 2). Specifically, the pressing portion 910 is formed by providing a protruding portion 911 on the second case 91, and is disposed so as to press only both end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quid sample spreads at the portion where the protruding portion 911 overlaps.

 이와 같이 가압부 910 가 설치되어있는 것으로,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1 과 고정화 멤브레인 51 을 밀착시킬 수 있으며,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1 에서 고정화 멤브레인 51 에 액체 시료 등의 전개를 확실하고 원활하게 수행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 910 (돌출부 911)가 상기 양단부를 가압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겹치는 부위를 전개 방향에 대칭적으로 가압할 수 있고, 고정화 멤브레인 51 내부에 액체 시료를 흡수 패드 61 을 향해 균형있게 전개시킬 수 있다.With the pressurization unit 910 installed in this way, the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41 and the immobilization membrane 51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and the liquid sample or the like can be spread from the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41 to the immobilization membrane 51 reliably and smoothly. can In addition, since the pressing portion 910 (protrusion portion 911) is disposed to press both ends, the overlapped portion can be symmetrically pressed in the direction of deployment, and the liquid sample inside the immobilized membrane 51 is spread toward the absorbent pad 61 in a balanced manner. can make it

 또한 제 2 케이스 91 에는 당해 검사 키트 11 에 액체 시료를 투입하기 위한 시료 투입구 914 가 설치되어있다. 이 시료 투입구 914 은 제 2 케이스 91 의 시료 적하 패드 31 의 적하부 31a 를 인접하는 위치에 개구하고, 시료 투입구 914 를 통해 적하부 31a 에 액체 시료를 투입할 수 있다.In the second case 91, a sample input port 914 for inserting a liquid sample into the test kit 11 is provided. This sample inlet 914 opens to the position adjacent to the dropping part 31a of the sample loading pad 31 of the second case 91, and a liquid sample can be injected into the dropping part 31a through the sample inlet 914.

 또한 제 2 케이스 91 은 외부에서 피검출 물질의 검출을 확인하는 창부 915를 갖추고 있으며, 이 창부 915이 고정화 멤브레인 51 에 인접하는 부위이며, 가압부 (910) 에 의해 가압된 부위에서 바로 아래에 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유역 R 이외의 유역 P 를 인접하는 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 창부 915 로 예를 들어, 제 2 케이스 91 에 개구가 형성된 구성, 가시 광선에 대해 투명한 부재, 표식화 물질이 형광하는 경우의 당해 형광을 투과하는 부재를 배치하는 구성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케이스 91 개구가 형성된 창부 915 가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ase 91 has a window 915 for confirming the detection of the substance to be detected from the outside, and this window 915 is a portion adjacent to the immobilized membrane 51, and the liquid is immediately below the portion pressed by the pressurizing portion 910. It is arranged at a site adjacent to a watershed P other than the watershed R in which the sample develops. As the window portion 915, for example, a configuration in which an opening is formed in the second case 91, a member transparent to visible light, a configuration in which a member that transmits the fluorescence when the labeling material fluoresces, or the like can be employed. Also, in this embodiment, the window portion 915 formed with the opening of the second case 91 is used.

 또한, 피검출 물질의 존재 여부를 더 확실하게 판정하는 관점에서 유역 R은 외부에서 피검출 물질의 검출이 확인되지 않도록 차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형태로는 예를 들어, 제 1 및/또는 제 2 케이스가 유역 R을 전개하는 표식화 물질의 색이 눈에 보이지 않는 형태(예 : 케이스의 불투명 케이스에 문자나 기호의 인쇄 또는 라벨의 부착 등) 또는 감지 장치에 의한 표식화 물질의 검출을 방해하는 재료로 구성되어있는 형태, 또는 유역 R은 색의 시인 또는 감지 장치에 의한 표식화 물질의 검출을 방해하는 부재(제 1 및 제 2 케이스 이외의 차폐 부재)로 덮여있는 형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검출을 방해하는 재료 또는 부재로는 예를 들어, 검색에 필요한 특정 파장의 투과를 방해한느 것 등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more reliabl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ubstance to be detected, the basin R is preferably shielded so that detection of the substance to be detected is not confirmed from the outside. In this form, for example, the color of the labeling material in which the first and/or the second case develops the watershed R is invisible (e.g., the printing of letters or symbols on the opaque case of the case or the attachment of a label). etc.) or a form composed of a material that interferes with the detection of the labeled substance by the sensing device, or a member (first and second cases A form covered with a shielding member other than), etc. are mentioned. A material or member that hinders the detection includes, for example, a material that blocks transmission of a specific wavelength required for search.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검출 키트 11 을 이용한 피검출 물질의 검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피검출 물질로 항원, 표식화 물질로 착색 입자가 결합된 항체, 고정화 물질로 항체를 이용함과 함께,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1 내에 컨트롤 표식화 물질로 착색 입자가 결합된 항체 (고정화 물질 중의 항체와는 다른 항체), 컨트롤 영역 51b 중에 컨트롤용 물질로서의 항원(피검출 물질 중의 항원과는 다른 항원)을 갖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피검출 물질로서 항원 및 표식화 물질에 포함된 항체, 및 피검출 물질로 항원 및 고정화 물질로 항체, 및 컨트롤용 표식화 물질에 포함된 항체 및 컨트롤용 물질로의 항원은 각 항원 항체 반응에 의해 결합한다.Next, a method for detecting a substance to be detected using the detection kit 11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Here, an antigen to be detected, an antibody to which colored particles are bound as a labeling material, and an antibody to which colored particles are bound as a control labeling material are used as an immobilization material, and an antibody to which colored particles are bound as a control labeling material (among the immobilization materials) An antibody different from the antibody) and an antigen as a control substance in the control region 51b (an antigen different from the antigen in the substance to be detected)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the antibody contained in the antigen and labeling material as the detection material, the antigen as the detection material and the antibody as the immobilized material, and the antibody contained in the labeling material for control and the antigen as the control material are each antigen-antibody reaction combined by

 먼저 액체 시료를 준비하여 검사 키트 11 의 시료 투입구 914 를 통해 시료 적하 패드 31 의 적하부 31a 에 적당량의 액체 시료를 투입하면, 이 액체 시료가 시료 적하 패드 31 에 침투하여 이의 일부는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1 을 향해 전개한다.First, a liquid sample is prepared and an appropriate amount of the liquid sample is introduced into the loading portion 31a of the sample loading pad 31 through the sample loading port 914 of the test kit 11, and the liquid sample permeates the sample loading pad 31, retaining a portion of the labeled material. Deploy towards pad 41.

 이어서, 계면 k11 에 도달한 액체 시료는 이 계면 k11 을 통해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1 중에 침투하고, 이 침투한 액체 시료는 고정화 멤브레인 51 을 향해 전개한다. 이때 액체 시료는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1 에 함침한 표식화 물질 및 컨트롤용 표식화 물질과 혼합되고, 액체 시료 중에 항원이 포함된 경우에는 항원 항체 반응에 의해 표식화 물질 중의 항체와 결합한 상태에서, 표식화 물질과 함께 고정화 멤브레인 51 을 향해 전개한다.Subsequently, the liquid sample that has reached the interface k11 penetrates into the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41 through the interface k11, and the liquid sample that has penetrated spreads toward the immobilized membrane 51. At this time, the liquid sample is mixed with the labeling material impregnated in the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41 and the labeling material for control, and when the liquid sample contains an antigen, it binds to the antibody in the labeling material by the antigen-antibody reaction, Deploy towards the immobilization membrane 51 together with the labeling material.

 이어서, 계면 k12 에 도달한 액체 시료 등이 계면 k12 를 통해 고정화 멤브레인 51 중에 침투한다. 이때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1 과 고정화 멤브레인 (51) 은 돌출부 911 에 의해 가압되어 밀접하기 때문에, 액체 시료 등은 신속하게 고정화 멤브레인 51 에 전개된다. 이어서, 고정화 멤브레인 51 에 전개된 액체 시료 등은 흡수 패드 61 쪽으로 확장하고, 고정화 멤브레인 51 에 설치된 감지 영역 51a 및 제어 영역 51b 를 순차적으로 통과한다.Subsequently, the liquid sample or the like that has reached the interface k12 permeates into the immobilized membrane 51 through the interface k12. At this time, since the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41 and the immobilization membrane 51 are pressed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protruding portion 911, the liquid sample or the like is rapidly spread on the immobilization membrane 51. Subsequently, the liquid sample or the like spread on the immobilized membrane 51 extends toward the absorption pad 61 and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sensing region 51a and the control region 51b installed on the immobilized membrane 51 .

 검출 영역 51a 는 액체 시료 중에 항원이 포함된 경우에는 표식화 물질과 결합한 항원이 또한 검출 영역 51a 에 함침된 고정화 물질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 고정에 의해 착색한 표식화 물질이 검출 영역 51a 에 축적되는데, 하지만 해당 검사 키트 11은 고정화 멤브레인 51 에 있어서 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유역이며, 가압부 (910) 에 더 가압된 부위에서 바로 아래의 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유역 R 이외의 유역 P 에서 창부 915을 통해 외부에서 피검출 물질의 검출을 확인(육안 또는 검출 장치에 의한 확인) 할 수 있기 때문에, 항원의 존재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In the detection area 51a, when the liquid sample contains an antigen, the antigen bound to the labeling material is also bound and immobilized by the immobilization material impregnated into the detection area 51a. By this immobilization, the colored labeled substance accumulates in the detection area 51a. However, the test kit 11 is a basin in which the liquid sample spreads in the immobilized membrane 51, and is directly below the portion further pressed by the pressurization part 910. Since the detection of the substance to be detected can be confirm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window 915 in the watershed P other than the watershed R where the liquid sample develops (confirmation with the naked eye or a detection devic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ntigen can be determined.

 한편, 액체 시료 등의 일부는 검출 영역 51a 를 통과하여 컨트롤 영역 51b 에 도달하고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1 에서 액체 시료를 혼합한 컨트롤용 표식화 물질과 컨트롤 영역 51b 로 고정되어 컨트롤용 물질과 결합하여 고정화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진행됨에 따라 컨트롤용 표식화 물질이 컨트롤 영역 51b 에 축적되기 때문에, 창부 915 를 통해 눈으로 컨트롤 영역 51b 색상의 유무를 확인하여 액체 시료가 검출 영역 51a 를 통과한 것을(검사가 성공적으로 진행하고 있음)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액체 시료 등의 일부는 컨트롤 영역 51b 를 통과하여 흡수 패드 61 에 흡수된다.  On the other hand, a part of the liquid sample passes through the detection area 51a and reaches the control area 51b, and is fixed with the labeling material for control mixed with the liquid sample in the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41 and the control area 51b and combined with the control material. It is fixed. As the process proceeds in this way, since the labeling material for control is accumulated in the control area 51b,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olor of the control area 51b is visually checked through the window 915 to confirm that the liquid sample has passed the detection area 51a (the test is successfully performed). ) can be seen with the naked eye. Then, a portion of the liquid sample or the like passes through the control area 51b and is absorbed by the absorbent pad 61 .

 그런데 , 액체 시료 등이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1 에서 고정화 멤브레인 51 으로 전개될 때, 표식화 물질이 고정화 멤브레인 51 에 일시에 다량으로 전개될 수 있다. 이 현상은 액체 시료 등이 계면 k12 를 마지막으로 통과할 때 발생하기 쉽다. 이 현상이 발생하면 표식화 물질의 농도가 높은 특정 영역이 고정화 멤브레인 51 내부를 이동하게 되고, 잘못된 판정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즉, 피 측정물질(항원)이 존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마치 존재하는 것처럼 착색을 고정화 멤브레인 51 에 일으킨다.By the way, when a liquid sample or the like is spread from the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41 to the immobilization membrane 51, a large amount of the labeling material may spread to the immobilization membrane 51 at once. This phenomenon tends to occur when a liquid sample or the like finally passes through the interface k12. When this phenomenon occurs, a specific region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the labeling material moves inside the immobilized membrane 51, and may cause an erroneous determination. That is, even though the substance to be measured (antigen) does not exist, the immobilized membrane 51 is colored as if it exists.

 그러나 해당 검사 키트 11 은 서로 겹치는 부위에 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일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고정화 멤브레인 51 의 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유역이며, 가압부 910 에 의해 가압된 부위에서 바로 아래에 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유역 R 이외의 유역 P 에서, 외부에서 피검출 물질의 검출이 확인 가능하기 때문에, 적어도 가압부 (910)의 가압을 수반하지 않는 표지화물질의 안정적으로 전개되는 유역을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으며, 피검출 물질의 존재 여부를 확실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한 겹치는 부위를 가압하여 액체 시료 등이 일시에 다량으로 전개하는 것은 계면 k12 중 상기 가압되는 부위에 액체 시료 등이 체류하기 쉬워, 이 체류한 액체 시료 등이 마지막으로 통과할 때 일시에 확장(방출)하는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However, the test kit 11 includes a pressurizing portion that presses a part of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quid sample spreads at the overlapping portion, and is a basin in which the liquid sample of the immobilized membrane 51 expands, and the portion pressed by the pressurized portion 910 In the watershed P other than the watershed R in which the liquid sample immediately below develops, since the detection of the substance to be detected from the outside can be confirmed, at least the watershed in which the labeled substance is stably developed without pressurization of the pressurization unit 910. can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ubstance to be detected can be reliably determined. In addition, when a large amount of liquid sample or the like is simultaneously developed by pressurizing the overlapping portion, the liquid sample or the like tends to stay in the pressurized portion of the interface k12, and when the liquid sample etc. ) is presumed to be due to

[제 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5의 개략 평면도이다. 해당 검사 키트 12 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략적으로, 시료 적하 패드 31 ,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2, 고정화 멤브레인 51 및 흡수 패드 61 을 갖는 테스트 슬립 22 와, 백킹 시트 71, 제 1 케이스 81 및 제 2 케이스 91 로 구성되어 있다.5 is a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plan view of FIG. 5 . As shown in Figs. 5 and 6, schematically, the test kit 12 includes a test slip 22 having a sample loading pad 31, a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42, an immobilization membrane 51 and an absorbent pad 61, a backing sheet 71, a first It is composed of a case 81 and a second case 91.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2 의 구성이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또한 시료 적하 패드 31, 고정화 멤브레인 51, 흡수 패드 61, 백킹 시트 71, 제 1 케이스 81 및 제 2 케이스 91 은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2 는 표식화 물질의 함유 부분이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위 함유 부분에 관한 설명 이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labeling substance holding pad 42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In addition, since the sample dropping pad 31, the immobilization membrane 51, the absorption pad 61, the backing sheet 71, the first case 81 and the second case 91 have the same configuration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parts,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do. In addition, since the labeling substance holding pad 42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portion containing the labeling substance is different, detailed explanations other than the description of the above containing portion are omitted.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2 는 피검출 물질에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표식이 되는 표식화 물질이 함침된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의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2 는 표식화 물질을 포함하는 함유 부분 42a 와, 이 함유 부분 42a 에 인접하고 표식화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미함유 부분 42b 를 갖고, 시료 적하 패드 31 과 미함유 부분 42b 와 연결되어 있고, 함유 부분 42a 의 적어도 일부와 고정화 멤브레인 51 이 연결되어있다.The labeling substance holding pad 42 is a member impregnated with a labeling substance that selectively binds to and marks a substance to be detected. The labeling substance holding pad 42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portion containing a labeling substance 42a and a portion 42b adjacent to the containing portion 42a and not containing a labeling substance, and is not included with the sample dropping pad 31. Portion 42b is connecte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ainment portion 42a is connected to the immobilized membrane 51.

 본 실시 형태의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2 는 적어도 계면 k21 전체가 미함유 부분 42b 에 접하고 있으면 된다. 또한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2 의 표식화 물질의 함유 부분 42a 와 미함유 부분 42b 와의 비율 (예를 들어, 체적비 등) 은 상기 구성을 충족하는 경우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비율을 취할 수 있다.In the labeling substance holding pad 42 of this embodiment, at least the entire interface k21 should just be in contact with the non-containing portion 42b. In addition, the ratio (for example, volume ratio, etc.) of the labeling material-containing portion 42a and the non-containing portion 42b of the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4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various ratios can be taken as long as the above configuration is satisfied.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검출 키트 12 를 이용한 피검출 물질의 검출 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검출 방법에 관한 작용과 다른 작용을 발휘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method for detecting a substance to be detected using the detection kit 12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here,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part that exhibits an ac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detection method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우선, 검사 키트 12 의 시료 투입구 914 를 통해, 시료 적하 패드 31 의 적하부 31a 에 적당량의 액체 시료를 투입하면, 이 액체 시료가 시료 적하 패드 31 에 침투하여 그 일부는 표식화 물질 보유 패드 42 방향으로 전개한다.First, when an appropriate amount of liquid sample is put into the loading part 31a of the sample loading pad 31 through the sample inlet 914 of the test kit 12, the liquid sample permeates the sample loading pad 31 and partially flows in the direction of the labeling substance holding pad 42 unfold with

 이어서, 계면 k21 에 도달한 액체 시료는 이 계면 k21 을 통해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2 중으로 전개하고,이 전개한 액체 시료는 표식화 물질 및 컨트롤용 표식화 물질과 혼합되면서, 이들과 함께 고정화 멤브레인 51 을 향해 전개한다. 이때 이 해당 검사 키트 12 는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2 중 표식화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미함유 부분 42b 만 시료 적하 패드 31 에 접하고 있기 때문에, 계면 k21 에 표식화 물질이 체류하지 않으며, 계면 k21 의 체류로 인한 표식화 물질의 일시의 다량 전개를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피검출 물질의 오판을 억제할 수 있고, 피검출 물질의 존재 여부를 보다 확실하게 판정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liquid sample that has reached the interface k21 is spread into the labeling substance holding pad 42 through the interface k21, and the spread liquid sample is mixed with the labeling substance and the labeling substance for control, together with the immobilized membrane 51 unfold towards At this time, in this test kit 12, since only the non-containing portion 42b of the labeling substance holding pad 42 is in contact with the sample dropping pad 31, the labeling substance does not stay at the interface k21, and the retention at the interface k21 Therefore, misjudgment of the substance to be detected can be suppressed,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ubstance to be detected can be determined more reliably.

 이어서, 계면 k22 에 도달한 액체 시료 등이 계면 k22 을 통해 고정화 멤브레인 51 중에 전개한 다음,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진행한다.Subsequently, the liquid sample or the like that has reached the interface k22 spreads through the interface k22 into the immobilized membrane 51, and then proceeds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제 3 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7의 개략 평면도이다. 해당 검사 키트 13 은 도 7과 도 8과 같이 개략적으로 시료 적하 패드 31 ,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3, 고정화 멤브레인 51 및 흡수 패드 61 을 갖는 테스트 슬립 23 과 백킹 시트 71 과, 제 1 케이스 83 및 제 2 케이스 93 으로 구성되어 있다.7 is a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plan view of FIG. 7 . The test kit 13 schematically as shown in FIGS. 7 and 8 includes a test slip 23 and a backing sheet 71 having a sample loading pad 31, a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43, an immobilization membrane 51 and an absorbent pad 61, a first case 83, and a first case 83. It consists of 2 cases 93.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료 적하 패드 31 ,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3 및 고정화 멤브레인 51 이 겹쳐있는 구성이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또한 시료 적하 패드 31 등의 각 부재의 구성은 제 1 실시 형태의 것과 동일하므로, 이러한 설명은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고 생략한다.In this embodiment, the structure in which the sample dropping pad 31, the labeling substance holding pad 43, and the immobilization membrane 51 overlap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In addition, since the configuration of each member such as the sample dropping pad 31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these descriptions refer to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and are omitted.

 본 실시예에서, 테스트 스트립 23 의 겹치는 부위가 적어도 시료 적하 패드 31 의 일부와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3 의 일부가 고정화 멤브레인 51 의 일부가 이 순서로 적층된 구조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해당 검사 키트 13 은 배킹 시트 71 위에 고정화 멤브레인 51,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3 및 시료 적하 패드 31 이 적층되어 있으며, 이러한 3 층 구조의 부재가 볼록부 831 과 돌출부 931(가압부 930) 사이에 일체적으로 협지되어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t least a portion of the sample dropping pad 31, a portion of the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43, and a portion of the immobilization membrane 51 are stacked in this order at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test strip 23.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test kit 13, an immobilization membrane 51, a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43, and a sample dropping pad 31 are stacked on a backing sheet 71, and the three-layer structure member includes a convex portion 831 and a protruding portion 931 (pressing portion 930 ) is integrally sandwiched between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검출 키트 13 을 이용한 피검출 물질의 검출 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검출 방법에 관한 작용과 다른 작용을 발휘하는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method for detecting a substance to be detected using the detection kit 13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here, parts exhibiting effect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detection method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먼저 검사 키트 13 의 시료 투입구 914 를 통해 시료 적하 패드 31 의 적하부 31a 에 적당량의 액체 시료를 투입하면, 이 액체 시료가 시료 적하 패드 31 에 침투하여 그 일부는 표식화 물질 보유 패드 43 을 향해 전개한다.First, when an appropriate amount of liquid sample is put into the loading part 31a of the sample loading pad 31 through the sample loading port 914 of the test kit 13, the liquid sample penetrates the sample loading pad 31 and a part of it spreads toward the pad 43 holding the labeling material. do.

 이어서, 계면 k31 에 도달한 액체 시료는 이 계면 k31 을 통해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3 중에 전개한 후, 표식화 물질 및 컨트롤용 표식화 물질과 혼합하면서 계면 k32 을 통해 고정화 멤브레인 51 중으로 전개한다. 이때, 해당 검사 키트 13 는 시료 적하 패드 31 ,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3 및 고정화 멤브레인 51 이 위 3 층 구조로되어 있으며, 가압부 930 이 되는 돌출부 931 에 의해 일체적으로 가압되고있어, 위 시료 적하 패드 31 등을 간단한 구성으로 일체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고, 액체 시료 등의 전개를 촉진시켜 피검출 물질의 존재 여부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liquid sample reaching the interface k31 is spread in the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43 through the interface k31, and then spreads into the immobilized membrane 51 through the interface k32 while mixing with the labeling material and the labeling material for control. At this time, the test kit 13 has a three-layer structure on which the sample dropping pad 31, the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43, and the immobilization membrane 51 are integrally pressed by the protruding portion 931 serving as the pressing portion 930, and the sample is dropped on the above sample. The pad 31 and the like can be integral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ith a simple configuration,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ubstance to be detected can be quickly and stably detected by accelerating the spread of the liquid sample.

 이어서, 계면 k32 에 도달한 액체 시료 등이 계면 k32 를 통해 고정화 멤브레인 51 에 안으로 침투한 다음,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진행한다.Subsequently, the liquid sample or the like that has reached the interface k32 permeates into the immobilized membrane 51 through the interface k32, and then proceeds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피검출 물질의 검출 방법><Method of detecting target substance>

 본 발명의 피검출 물질의 검출 방법은 피검출 물질이 포함된 액체 시료를 적하하는 시료 적하 패드와 상기 피검출 물질에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표식이 되는 표식화 물질이 함침된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와 상기 표식화 물질이 결합된 피검출 물질을 고정하는 고정화 물질을 갖는 고정화 멤브레인이 이 순서로 연결되어, 적하된 상기 액체 시료가 상기 고정화 멤브레인을 향해 순차적으로 전개하면서, 상기 고정화 멤브레인에서 상기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테스트 스트립을 갖추고 있는 검사 키트를 이용한 피검출 물질의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스트립은 적어도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의 일부 고정된 멤브레인의 일부가 서로 겹치는 부위를 가지며, 상기 겹치는 부위에서 상기 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일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화 멤브레인의 상기 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유역이며, 상기 가압부에 의해 더 가압된 부위에서 직하의 상기 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유역 이외의 유역에서, 외부에서 상기 피검출 물질의 검출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for detecting a target subst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ample dropping pad for dropping a liquid sample containing the target substance, a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impregnated with a labeling substance that selectively binds to the target substance and becomes a label, and the above An immobilization membrane having an immobilization material for immobilizing the target substance to which the labeling substance is bound is connected in this order, so that the dropped liquid sample sequentially spreads toward the immobilization membrane, thereby removing the target substance from the immobilization membrane. A method of detecting a substance to be detected using a test kit equipped with a test strip for detection, wherein the test strip has a portion where at least a portion of a membrane fixed to a labeled material holding pad overlaps each other, and the liquid is detected at the overlapping portion. A pressurizing part pressurizing a part of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ample spreads is provided, and the liquid sample of the immobilized membrane is a basin in which the liquid sample expands, and the liquid sample directly below the portion further pressurized by the pressurized part expands. In a watershed other than the watersh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ection of the substance to be detected is confirmed from the outside.

 또한 해당 피검출 물질의 검출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 검사 키트 > 섹션에서 [제 1 실시예] 중 설명과 동일하므로 위 설명을 원용하고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sinc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ethod of detecting the corresponding target substance is the same as that of [First Embodiment] in the <test kit> section described above, the above description is used and the description is omitted here.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나타난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of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It is intended that the meaning of the claim and equality shown by the claim, and all the changes within the range are included.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 케이스를 갖추고있는 검사 키트 11 ~ 13 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러한 케이스를 갖추지 못한 검사 키트도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이다. 이런 형태로는, 예를 들어 상기 겹치는 부위의 일부를 클립 등의 협지 수단으로 가압하는 검사 키트 등을 들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test kits 11 to 13 provided with the first and second cases have been described, but test kits without these case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uch a form, for example, an inspection kit or the like that presses a part of the overlapping portion with a clamping means such as a clip may be mentioned.

 또한, 상술한 협지 수단과 차폐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이들을 이용한 테스트 스트립을 다른 케이스(제 1 및 제 2 케이스 이외의 케이스)로 포장 해도 된다.In addition, when using the above-mentioned clamping means and shield member, you may wrap the test strip using these in another case (case other than the 1st and 2nd case).

 또한 ,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가압부 910,920,930가 겹치는 부위에 액체 시료가 전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테스트 스트립의 폭 방향)의 양단부를 가압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검사 키트 11,12,13 대해 설명했지만, 가압부가 겹치는 부위에 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일부를 가압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가압부가 테스트 스트립 폭 방향의 중앙부를 가압하도록 설치되어있는 검사 키트라도 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test kits 11, 12, and 13 are arranged so that both ends of the liquid sample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of spread (the width direction of the test strip) are pressed at the portion where the pressurizing parts 910, 920, and 930 overlap.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part is press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quid sample spreads to the portion where the part overlaps.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흡수 패드 61 을 갖추고있는 검사 키트 11 ~ 13 에 대해 설명했지만, 시료 적하 패드 (31)에 적하된 액체 시료 등이 고정화 멤브레인 51을 향해 원활하게 전개되는 한, 상기 흡수 패드 (61)를 갖추지 못한 검사 키트도 본 발명에 의도하는 범위 내이다.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test kits 11 to 13 equipped with the absorbent pad 61 have been described, but as long as the liquid sample or the like dropped on the sample dropping pad 31 is smoothly spread toward the immobilized membrane 51, the absorbent pad A test kit not equipped with (61) is also within the scope contemplated by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시료 적하 패드 31 과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1 , 42 가 볼록부 912,922 에 의해 테스트 스트립 21 , 22 의 폭 방향(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전체에 걸쳐 가압된 검사 키트 11 , 12 에 대해 설명했지만, 시료 적하 패드와 표식화 물질 보유 패드를 누르는 부위는 테스트 스트립의 폭 방향의 일부(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방향으로 직교 방향의 일부)여도 된다.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ample dropping pad 31 and the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s 41 and 42 are pressed by the convex portions 912 and 922 throughout the width direction of the test strips 21 and 22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quid sample spreads). Although the test kits 11 and 12 have been described, a part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test strip (a part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quid sample is spread) may be used as a portion where the sample dropping pad and the labeling substance holding pad are pressed.

 이들 중 표식화 물질이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함침된 검사 키트의 경우에는 상기 가압부위 940 은,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직하 유역 R1 에 창부 915 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위 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시료 적하 패드와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와의 계면에서의 표식화 물질의 체류로 인한 오판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피검출 물질의 존재 여부를 보다 확실하게 판정 할 수 있다.Among them, in the case of a test kit in which the labeling material is uniformly impregnated throughout the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the pressing portion 940 i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It is desirable that it is a site where is not install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misjudgment due to the retention of the labeling material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sample dropping pad and the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and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etected material.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배킹 시트 71 을 갖추고있는 검사 키트 11 ~ 13 에 대해 설명했지만, 시료 적하 패드,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및 고정화 멤브레인이 상술한 관계를 충족하고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한, 배킹 시트 71 을 갖추지 못한 검사 키트여도 된다.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test kits 11 to 13 provided with the backing sheet 71 have been described, but as long as the sample dropping pad, the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and the immobilization membrane satisfy the above relationship and do not impai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ternatively, an inspection kit without the backing sheet 71 may be used.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시료 투입구 914 및 창부 915 모두가 제 2 케이스 91,93에 제공되는 검사 키트 11 ~ 13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제 1 케이스에 제공되는 검사 키트도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이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test kits 11 to 13 in which both the sample inlet 914 and the window 915 are provided in the second cases 91 and 93 have been described, but a test kit in which at least one of them is provided in the first case is also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within the purpose of

g 틈새
 11,12,13 검사 키트 
 21,22,23 테스트 스트립
 31 시료 적하 패드 
 41,42,43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 
 42a 함유 부분
 42b 미함유 부분
 51 고정화 멤브레인
 61 흡수 패드 
 71 배킹 시트
 81,83 제 1 케이스 
 91,93 제 2 케이스 
 910,920,930 가압부
 915 창부
g gap
11,12,13 test kits
21,22,23 test strips
31 sample dropping pad
41,42,43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42a containing part
Part not containing 42b
51 Immobilized Membrane
61 absorbent pad
71 backing sheet
81,83 Case 1
91,93 2nd case
910,920,930 Pressing part
915 prostitute

Claims (7)

피검출 물질이 포함된 액체 시료를 적하하는 시료 적하 패드와, 상기 피검출 물질에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표식이 되는 표식화 물질이 함침된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와, 상기 표식화 물질이 결합한 피검출 물질을 고정하는 고정화 물질을 갖는 고정화 멤브레인이 이 순서로 연결되어, 적하된 상기 액체 시료가 상기 고정화 멤브레인을 향해 순차적으로 전개하면서 상기 고정화 멤브레인에서 상기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테스트 스트립을 갖추고 있는 검사 키트이며,
상기 테스트 스트립은 적어도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의 일부와 고정화 멤브레인의 일부가 서로 겹치는 부위를 가지며,
상기 겹치는 부위에서 상기 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일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화 멤브레인의 상기 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유역 중,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부위에서 직하의 상기 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유역 이외의 유역에서만, 외부에서 상기 피검출 물질의 검출이 확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키트.
A sample dropping pad for dropping a liquid sample containing a substance to be detected, a labeled substance holding pad impregnated with a labeling substance that selectively binds to the substance to be detected and becomes a label, and a substance to be detected in which the labeled substance is bound An immobilization membrane having an immobilization material for immobilizing is connected in this order, and the liquid sample dropped is sequentially developed toward the immobilization membrane while a test kit equipped with a test strip for detecting the substance to be detected from the immobilization membrane. ,
The test strip has a region where at least a portion of the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and a portion of the immobilization membrane overlap each other;
A pressurizing unit for pressing a part of a direction orthogona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liquid sample expands at the overlapping portion,
Among the basins in which the liquid sample of the immobilization membrane is deployed, the detection of the substance to be detected can be confirmed from the outside only in a basin other than the basin in which the liquid sample is deployed directly below the portion pressed by the pressurizing unit. inspection kit.
제1항에 있어서, 가압부는 겹치는 부위에 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양단부를 가압하도록 배치되는 검사 키트.
The test k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ssing unit is disposed to press both ends of the overlapping portion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preading direction of the liquid sampl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는 표식화 물질을 포함하는 함유 부분과, 이 함유 부분에 인접하고 상기 표식화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미함유 부분을 갖고, 시료 적하 패드와 상기 미함유 부분이 연결되고, 상기 함유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고정화 멤브레인과 연결되는 검사 키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labeling substance holding pad has a portion containing the labeling substance and a portion adjacent to the containing portion and not containing the labeling substance, the sample dropping pad and The test kit of claim 1 , wherein the free portion is connected, and at least a part of the containing portion is connected with the immobilized membran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겹치는 부위는 적어도 시료 적하 패드의 일부와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의 일부와 고정화 멤브레인의 일부가 이 순서로 적층된 구조인 검사 키트.
The test ki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overlapping por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sample dropping pad, a portion of the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and a portion of the immobilization membrane are laminated in this ord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 1 케이스와,
테스트 스트립을 통해 상기 제 1 케이스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테스트 스트립을 협지하는 제 2 케이스를 구비하고,
겹치는 부위에 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일부를 가압하도록 가압부가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케이스에 설치되어있는 검사 키트.
According to claim 1 or 2,
In the first case,
A second case disposed to face the first case through a test strip and holding the test strip;
A test kit in which a pressuriz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first and/or second cases so as to press a portion of the overlapping portion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liquid sample spreads.
제5항에 있어서,
외부에서 피검출 물질의 검출을 확인하기 위한 창부를 구비하고,
상기 창부가 제 1 및/또는 제 2 케이스의 고정화 멤브레인으로 향하는 부위이며, 상기 고정화 멤브레인에서 액체 시료가 전개되는 유역 중, 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부위에서 유출된 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직하 유역 이외의 유역만을 향하는 부위에 배치된 검사 키트.
According to claim 5,
Equipped with a window for confirming detection of a substance to be detected from the outside,
The window portion is a portion toward the immobilized membrane of the first and/or second case, and among the basins in which the liquid sample is spread in the immobilized membrane, other than a basin directly below the liquid sample flowing out from the portion pressurized by the pressurization portion, Test kits placed in areas facing only watersheds.
피검출 물질이 포함된 액체 시료를 적하하는 시료 적하 패드와, 상기 피검출 물질에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표식이 되는 표식화 물질이 함침된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와, 상기 표식화 물질이 결합한 피검출 물질을 고정하는 고정화 물질을 갖는 고정화 멤브레인이 이 순서로 연결되어, 적하된 상기 액체 시료가 상기 고정화 멤브레인을 향해 순차적으로 전개하면서 상기 고정화 멤브레인에서 상기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테스트 스트립을 갖추고 있는 검사 키트를 이용한 피검출 물질의 검출 방법으로서,
상기 테스트 스트립은 적어도 상기 표식화 물질 유지 패드의 일부와 상기 고정화 멤브레인의 일부가 서로 겹치는 부위를 가지며,
상기 겹치는 부위에서 상기 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일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화 멤브레인의 상기 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유역 중,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부위에서 직하의 상기 액체 시료가 전개하는 유역 이외의 유역에서만, 외부에서 상기 피검출 물질의 검출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 sample dropping pad for dropping a liquid sample containing a substance to be detected, a labeled substance holding pad impregnated with a labeling substance that selectively binds to the substance to be detected and becomes a label, and a substance to be detected in which the labeled substance is bound An immobilization membrane having an immobilization substance immobilizing is connected in this order, and the test kit having a test strip for detecting the substance to be detected on the immobilization membrane while the dropped liquid sample is sequentially developed toward the immobilization membrane. As a method for detecting a substance to be detected using,
The test strip has a region where at least a portion of the labeling material holding pad and a portion of the immobilization membrane overlap each other;
A pressurizing unit for pressing a part of a direction orthogona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liquid sample expands at the overlapping portion,
Among the basins in which the liquid sample of the immobilization membrane is deployed, the detection of the target substance is confirmed from the outside only in a basin other than the basin in which the liquid sample is developed directly under the portion pressed by the pressurizing part. How to.
KR1020207020309A 2017-12-15 2017-12-15 test kit KR10250301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45028 WO2019116527A1 (en) 2017-12-15 2017-12-15 Testing k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634A KR20200098634A (en) 2020-08-20
KR102503011B1 true KR102503011B1 (en) 2023-02-23

Family

ID=63699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0309A KR102503011B1 (en) 2017-12-15 2017-12-15 test kit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503011B1 (en)
CN (3) CN117269479A (en)
TW (2) TWI782949B (en)
WO (1) WO2019116527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07006A (en) * 2017-10-25 2018-03-16 上海菲伽生物科技有限公司 Storage civilian dress for detection of defecating is put
US20220252591A1 (en) * 2019-07-23 2022-08-11 Tanaka Kikinzoku Kogyo K.K. Liquid sample testing device
JP7373349B2 (en) * 2019-10-04 2023-11-02 デンカ株式会社 Immunochromatographic device for extracting and measuring carbohydrate antige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7384A (en) 2003-06-30 2005-02-10 Sysmex Corp Device for immunochromatography
JP2007114097A (en) 2005-10-21 2007-05-10 Rohto Pharmaceut Co Ltd Case for inspection tool and liquid sample inspection tool
JP2014178152A (en) * 2013-03-13 2014-09-25 Denka Seiken Co Ltd Inspection ki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8436B2 (en) * 1995-09-08 2002-01-21 富士レビオ株式会社 Immunoassay device and method
US7256053B2 (en) * 2002-10-24 2007-08-14 Nanogen, Inc. Diagnostic device for analyte detection
JP4990692B2 (en) * 2007-06-22 2012-08-01 株式会社ビーエル Immunochromatographic assay and kit
JP2010156571A (en) * 2008-12-26 2010-07-15 Fujifilm Corp Chromatography device
JP5792859B1 (en) * 2014-04-04 2015-10-14 田中貴金属工業株式会社 Immunochromatographic analysis method
JP6254994B2 (en) * 2014-11-18 2017-12-27 株式会社ニチレイバイオサイエンス Inspection kit
CN108369228B (en) * 2015-12-18 2020-11-17 富士胶片株式会社 Immunochromatography kit
JP6958817B2 (en) * 2016-03-08 2021-11-02 国立研究開発法人国立がん研究センター Anti-TMEM-180 antibody, anti-cancer drug, and cancer testing method
CN206096144U (en) * 2016-10-12 2017-04-12 艾博生物医药(杭州)有限公司 Test paper strip and diagnostic device for immunity chromatograph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7384A (en) 2003-06-30 2005-02-10 Sysmex Corp Device for immunochromatography
JP2007114097A (en) 2005-10-21 2007-05-10 Rohto Pharmaceut Co Ltd Case for inspection tool and liquid sample inspection tool
JP2014178152A (en) * 2013-03-13 2014-09-25 Denka Seiken Co Ltd Inspection k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634A (en) 2020-08-20
TW201927249A (en) 2019-07-16
CN117269479A (en) 2023-12-22
CN111556968A (en) 2020-08-18
TW202306545A (en) 2023-02-16
WO2019116527A1 (en) 2019-06-20
CN207946434U (en) 2018-10-09
TWI782949B (en) 2022-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3011B1 (en) test kit
US8389209B2 (en) Test device for rapid diagnostics
CN101166974B (en) Flow control technique for assay devices
CN101467042B (en) Directed-flow assay device
KR100614851B1 (en) Analyzing device
UA45381C2 (en) DIAGNOSTIC TEST MEDIA FOR DETERMINATION OF ANALYSIS AND METHOD OF DETERMINATION OF ANALYTIS USING THE INDICATED TEST MEDIA
RU2006135394A (en) SYSTEM OF THE MEASURING DEVICE OF THE LEVEL OF ANALYZED SUBSTANCES IN BIOLOGICAL LIQUIDS AND CARTRIDGES FOR PERFORMANCE OF THE COMBINED GENERAL CHEMICAL AND SPECIFIC BINDING ANALYSIS
KR102182596B1 (en) Examination kit
CN102580796A (en) Analyte collection and detection devices
KR20120088342A (en) Diagnostic strip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N1318142C (en) Diagnostic devices
JP2010156571A (en) Chromatography device
JP6736437B2 (en) Immunochromatography detection kit
EP2975407B1 (en) Examination kit
CN212031502U (en) Lateral flow reagent strip with indicating area and detection card comprising same
JP6777468B2 (en) Inspection kit
JP2002022743A (en) Immunochromatographic test apparatus and measuring device for immunochromatographic test piece
KR102215916B1 (en) Apparatus for lateral flow analysis using membrane pattern
JP4425075B2 (en) Immunochromatography device
JP3385377B2 (en) Immunoassay
JP4128730B2 (en) Immunochromatographic test piece measuring device
JP6357616B2 (en) Sheet immunoassay
JP2021004810A (en) Immuno-chromatography measuring device
TWI258586B (en) Immunochemical detection device
JP2001296297A (en) Device for detecting substance to be examin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