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2729B1 - 화염 분산 판을 갖는 화염 분사기 - Google Patents

화염 분산 판을 갖는 화염 분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2729B1
KR102502729B1 KR1020200101995A KR20200101995A KR102502729B1 KR 102502729 B1 KR102502729 B1 KR 102502729B1 KR 1020200101995 A KR1020200101995 A KR 1020200101995A KR 20200101995 A KR20200101995 A KR 20200101995A KR 102502729 B1 KR102502729 B1 KR 102502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plate
circumferential
main body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1300A (ko
Inventor
배남열
김경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랭
Priority to KR1020200101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2729B1/ko
Publication of KR20220021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1/00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unwanted vegetation, e.g. weeds
    • A01M21/04Apparatus for destruction by steam, chemicals, burning, or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5/00Flame-throwers specially adapted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1/00Control of undesirable vegetation on roads or similar surfaces or permanent ways of railways, e.g. devices for scorching weeds or for applying herbicides; Applying liquids, e.g. water, weed-killer bitumen, to permanent way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1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by application of heat for melting snow or ice, whether cleared or not, combined or not with clearing or removing mud or water, e.g. burners for melting in situ, heated clearing instruments; Cleaning snow by blowing or suction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화염 분산 판을 갖는 화염 분사기가 개시되며, 상기 화염 분산 판을 갖는 화염 분사기는, 화염 분사 유닛; 상기 화염 분사 유닛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 및 상기 화염 분사 유닛을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화염 분사 유닛의 일측이 개방되도록, 일측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화염 분사 유닛을 감싸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일측 개구부보다 내측에 구비되되, 화염 분사 유닛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분사되는 화염 중 적어도 일부가 분산되어 분사되도록 복수의 둘레 홀이 형성되는 화염 분산 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둘레 홀은 상기 화염 분사 유닛으로부터 분사되는 화염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화염 분산 판의 중앙 영역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상기 화염 분산 판의 중앙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중앙 영역은 상기 화염 분사 유닛에 의해 분사되는 화염이 직접적으로 분사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Description

화염 분산 판을 갖는 화염 분사기{FLAME JETS}
본원은 제초, 소독 등을 위한 화염 분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화염 분산 판을 갖는 화염 분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물을 재배하는 경작지 또는 농로에 불필요한 잡초가 자라게 되면 작물의 생장에 방해가 되며, 사람의 이동에도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잡초들을 제거하는 것이 경작에 유리한데, 종래에는 잡초를 제거하기 위하여 화학적 화합물인 독성이 강한 액체성분의 제초제를 물에 희석시켜 잡초가 무성하게 자란 토양에 분무기를 이용하여 뿌림으로써 잡초를 제거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제초제는 인체 및 농작물에 매우 치명적인 것으로 인체에 닿을 경우 피부에 극심한 손상을 입히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생명의 위협까지 초래할 뿐만 아니라, 농작물에 닿을 경우 농작물이 썩거나 말라 죽어버릴 뿐만 아니라, 토양에 뿌려진 제초제가 토양 속으로 스며들어 토양의 황폐화 및 환경 오염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등록특허공보 제 10-2122295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학적 화합물을 이용하지 않고 잡촉를 제거하거나 지면을 소독할 수 있는 화염 분산 판을 갖는 화염 분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측면에 따른 화염 분산 판을 갖는 화염 분사기는, 화염 분사 유닛; 상기 화염 분사 유닛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 및 상기 화염 분사 유닛을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화염 분사 유닛의 일측이 개방되도록, 일측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화염 분사 유닛을 감싸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일측 개구부보다 내측에 구비되되, 화염 분사 유닛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분사되는 화염 중 적어도 일부가 분산되어 분사되도록 복수의 둘레 홀이 형성되는 화염 분산 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둘레 홀은 상기 화염 분사 유닛으로부터 분사되는 화염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화염 분산 판의 중앙 영역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상기 화염 분산 판의 중앙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중앙 영역은 상기 화염 분사 유닛에 의해 분사되는 화염이 직접적으로 분사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화염 분사 유닛으로부터 화염이 분사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화염을 제초 대상에게 분사하거나, 지면에 화염을 분사하여 제초 작업 또는 지면에 대한 소독을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학적 화합물을 이용하지 않고 잡촉를 제거하거나 지면을 소독할 수 있는 화염 분사기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화염 분사 유닛은 하우징에 수용된 상태로 하우징의 화염 분산 판을 통해 하우징의 일측으로 화염을 분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화염을 이용한 제초 작업 또는 방역 작업시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화염 분산 판의 둘레 홀이 화염 분산 판의 중앙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형성되므로, 화염 분사 유닛이 분사한 화염은 균일하게 분산되어 둘레 홀을 통해 배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화염의 작용 면적이 넓어져 제초 및 화염을 이용한 소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중앙 영역을 설명하기 위해 화염 분산 판의 도시를 생략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분사기의 일부의 개략적인 개념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분사기의 하우징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분사기의 화염 분산 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 대비 하우징의 화염 분산 판의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분사기의 하우징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은 제초 및 소독을 위한 화염 분산 판을 갖는 화염 분사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분산 판을 갖는 화염 분사기는 노지, 하우스 농사, 밭 농사에서 잡초 제거 및 바이러스 박멸에 용이하게(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화염을 분사함으로써 잡초를 태워 제거하고, 바이러스를 화염(열)으로 박멸하며, 화염으로 지면(토양, 보도 블럭 등)을 소독할 수 있으며, 이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분산 판을 갖는 화염 분사기는 딱딱한 지면인 보도 블럭 등에 난 참조 제거에도 용이하며, 지면 소독에 사용하기 용이할 수 있다. 이러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분산 판을 갖는 화염 분사기는 화염 제초기 또는 화염 방역 소독기라고도 불릴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분산 판을 갖는 화염 분사기(이하 '본 화염 분사기'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중앙 영역을 설명하기 위해 화염 분산 판의 도시를 생략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분사기의 일부의 개략적인 개념 사시도이고,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분사기의 하우징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분사기의 화염 분산 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 대비 하우징의 화염 분산 판의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염 분사기의 하우징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화염 분사기는 화염 분사 유닛(3)을 포함한다. 화염 분사 유닛은 연료를 공급받아 화염을 분사할 수 있다. 화염 분사 유닛으로부터 화염이 분사됨으로써, 작업자는 본 화염 분사기의 화염을 이용해 제초 대상(잡초 등)을 태워 제초하거나, 지면에 화염을 가하여 지면을 소독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화염 분사기는 화염 분사 유닛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1)를 포함한다. 연료 공급부(1)는 연료가 수용된 하우징, 하우징과 화염 분사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료는 가스일 수 있고, 하우징은 가스통일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연결관부에는 작업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화염 분사기는 화염 분사 유닛(3)을 감싸는 하우징(2)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2)은 화염 분사 유닛의 일측이 개방되도록 일측 개구부를 가지고 화염 분사 유닛을 감싸는 본체(21)를 포함한다. 본체(21)의 일측 단부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경사를 갖는 경사 부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21)는 화염 분사 유닛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되, 일측부가 일측을 향할수록 단면의 둘레 길이가 증가하는 나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본체(21)의 단면은 원형 형상일 수 있다.
참고로, 본원에서, 타측은 화염 분사 유닛(3)이 화염을 분사하는 방향일 수 있고, 일측은 화염 분사 유닛(3)이 화염을 분사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2)은 본체(21)의 일측 개구부보다 내측에 구비되는 화염 분산 판(22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염 분산 판(221)은 일측 개구부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화염 분산 판(221)은 본체(21)의 일측 개구부와 본체(21)의 깊이 방향(일측 및 타측 방향) 타측으로 미리 설정된 깊이 사이에서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염 분산 판(221)은 외경이 본체(21)의 상기 미리 설정된 깊이 지점에서의 내경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염 분산 판(221)은 미리 설정된 깊이로부터 본체(21)의 일측 개구부(일측 단부) 사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필요에 따라, 작업자는 화염 분산 판(221)과 화염 분사 유닛(3) 사이의 거리를 조정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는데, 본 화염 분사기에 의하면, 화염 분산 판(221)이 본체(21) 내에서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고, 조정된 위치에서 후술하는 착탈부재(222)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므로, 화염 분산 판(221)과 화염 분사 유닛(3) 사이의 거리 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화염 분산 판(221)에는 복수의 둘레 홀(2211a, 2211b)이 형성된다. 화염 분산 판(221)은 화염 분사 유닛(3)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분사되는 화염 중 적어도 일부가 분산되어 분사되도록 복수의 둘레 홀(2211a, 2211b)이 형성된다. 복수의 둘레 홀(2211a, 2211b)은 화염 분산 판(221)을 관통(이를 테면, 일측 및 타측 방향(본체(21)의 깊이 방향)으로 관통)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염 분사 유닛으(3)로부터 분사된 화염은 둘레 홀(2211a, 2211b)을 통해 하우징(2)의 일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화염 분사 유닛은 하우징(2)에 수용된 상태로 하우징(2)의 화염 분산 판(221)을 통해 하우징(2)의 외측으로 화염을 분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화염을 이용한 제초 작업시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둘레 홀(2211a, 2211b)은 화염 분사 유닛(3)으로부터 분사되는 화염 중 적어도 일부가 화염 분산 판(221)의 중앙 영역(a)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화염 분산 판(221)의 중앙 영역(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형성된다.
여기서 중앙 영역(a)은 화염 분사 유닛(3)에 의해 분사되는 화염이 직접적으로 분사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중앙 영역(a)은, 만약 중앙 영역(a)에 대응하는 크기 및 위치에 홀이 형성될 경우, 화염 분사 유닛(3)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분사되는 화염이 이러한 홀을 통해 직접 분사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 및 위치의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영역(a)은 화염 분산 판(221)의 화염 분사 유닛(3)과 대향하는 부분일 수 있다. 또는, 중앙 영역(a)은 화염 분사 유닛(3)으로부터 분사되는 화염의 주 진행 방향의 연장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만약, 화염 분산 판의 중앙 영역(중심)에 둘레 홀이 형성되는 경우, 다른 둘레 홀이 화염 분산 판의 다른 부분에 형성되더라도, 화염이 화염 분산 판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 둘레 홀에 집중 배출될 수 있어, 하우징(2)의 외부로 배출되는 화염의 분산도(분산 배출되는 정도)가 낮아질 수 있다. 반면에, 본 화염 분사기에 의하면, 둘레 홀(2211a, 2211b)이 화염 분산 판(221)의 중앙 영역(a)에 형성되지 않으므로, 화염 분사 유닛으로부터 분사된 화염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복수의 둘레 홀(2211a, 2211b)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화염 분산 판(221)은 중앙 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중앙 홀은 화염 분사 유닛(3)으로부터 분사되는 화염이 직접 분사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중앙 영역(3)의 내측에 중앙 영역(3)보다 작은 크기로 구비되어, 직접 분사되는 화염을 축소하고 나머지 화염은 복수의 둘레 홀(2211a, 2211b) 측으로 이동되어 분산되는 형태로 분사되도록 유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둘레 홀(2211a, 2211b)은 복수의 제1 둘레 홀(2211a)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둘레 홀(2211a)은 화염 분산 판(221)의 테두리부보다 화염 분산 판(221)의 중앙 영역(a)에 더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둘레 홀(2211a)은 중앙 영역(a)의 화염 분사판(2211)의 면 내외측 방향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잇다. 또한, 복수의 제1 둘레 홀(2211a)의 적어도 일부는 화염 분산 판의 중앙 영역(a)의 화염 분산 판(221)의 면 내외측 방향의 외측에서 화염 분산 판(221)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둘레 홀(2211a)의 적어도 일부는 화염 분산 판의 중앙 영역(a)을 감싸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둘레 홀(2211a)은 후술하는 제2 둘레 홀(2211b) 대비 화염 분산 판의 중앙 영역(a)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염 분사 유닛으로부터 분사된 화염의 적어도 일부는 복수의 제1 둘레 홀(2211a) 각각을 통해 분산되어 하우징(2)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둘레 홀(2211a, 2211b)은 복수의 제2 둘레 홀(2211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둘레 홀(2211b)은 화염 분산 판(221)의 중앙 영역(a)보다 화염 분산 판(221)의 테두리에 더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2 둘레 홀(2211b)은 제1 둘레 홀(2211a)의 화염 분산 판(221)의 면 내외측 방향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둘레 홀(2211b)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둘레 홀(2211a)의 화염 분산 판(221)의 면 내외측 방향으로의 외측에서 화염 분산 판(221)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둘레 홀(2211b)은 일측 개구부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처음 진입한 대상에 대한 1차 화염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둘레 홀(2211a)은 1차 화염 분사 이후 복수의 제1 둘레 홀(2211a) 측으로 상대적으로 이동된 대상에 대한 2차 화염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본 화염 분사기를 들고 작업 대상지의 지면 등에 대해 본 화염 분사기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경우, 본 화염 분사기의 이동에 의해, 대상(제초 대상, 소독 대상 등)은 본 화염 분사기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고, 본 화염 분사기의 이동에 따라 대상은 본체(21)의 일측 개구부에 대응하는 영역(이를 테면, 일측 개구부의 하측)에 처음 진입할 수 있고, 처음 진입된 대상에 제2 둘레 홀(2211b)을 통해 분사되는 화염에 의한 1차 화염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1차 화염 분사에 의해 처음 진입된 대상의 적어도 일부가 숨이 죽거나, 제초될 수 있고, 이어지는 본 화염 분사기의 이동에 의해 처음 진입된 대상의 남은 부분은 제1 둘레 홀(2211a) 측, 이를 테면, 일측 개구부의 면 내외측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둘레 홀(2211a)을 통해 분사되는 화염에 의한 2차 분사에 의해 제초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둘레 홀(2211b)은 그 최내측이 복수의 제1 둘레 홀(2211a)의 최외측과 미리 설정된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간격(s)은 면 내외측 방향으로의 간격일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간격은, 화염 분산 판(211)으로부터 분사된 화염 중 복수의 제1 둘레 홀(2211a)을 통해 분사된 화염을 제외한 나머지 화염이 복수의 제2 둘레 홀(2211b)을 통해 중앙 영역(a)보다 화염 분산 판(211)의 테두리에 더 가깝게 분사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제2 둘레 홀(2211b)이 중앙 영역(a)의 외곽 라인(이를 테면, 도 3의 점선 표시된 부분)과 테두리의 중앙에 해당하는 중앙 라인보다 상기 테두리 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중앙 라인은, 중앙 영역(a)의 외곽 라인(이를 테면, 도 3의 점선으로 표시된 라인)과 테두리(이를 테면, 화염분산판(211)의 최외곽 라인(부분)) 사이의 중간 지점(중앙)에 형성되는 가상의 라인일 수 있고, 제2 둘레 홀(2211b)은 상기 중앙 라인보다 화염분산판(211)의 테두리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화염 분사 유닛(3)으로부터 분사된 화염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둘레 홀(2211a)을 통해 분사될 수 있고, 그 후, 남은 화염(제1 둘레 홀(2211a))을 통해 분사된 화염보다는 약한 화염이 제2 둘레 홀(221b)을 통해 테두리 쪽에 치우치게 분산되어 분사될 수 있으므로, 1차적인 풀 죽이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둘레 홀(2211b)을 통해 분사되는 화염에 의해 1차적인 풀 죽이기(풀의 숨 죽이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둘레 홀(2211a)의 크기, 개수, 총 제1 둘레 홀(2211a)의 면적(복수의 제1 둘레 홀(2211a)의 면적 합계) 등과, 제2 둘레 홀(2211b)의 크기, 개수, 총 제2 둘레 홀(2211b) 면적, 그리고 미리 설정된 간격(s)은, 화염 분산 판(21)으로 차단되어 있는 하우징 내부 공간이 과열되지 않도록 하는 최소 한계치를 고려하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둘레 홀(2211a)의 크기, 개수, 총 홀둘레 홀 면적 등은 제2 둘레 홀(2211b)을 통한 분사가 제초, 방역 등을 위한 최소 량의 화염 분사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정 이상 큰 규격으로는 형성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둘레 홀(2211a)의 크기, 개수, 총 홀둘레 홀 면적 등은 제1 둘레 홀(2211a)로 화염 전부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둘레 홀(2211b)은 복수의 제1 둘레 홀(2211a) 대비 화염 분산 판(221)의 테두리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화염 분사 유닛(3)으로부터 분사된 화염의 적어도 일부 또는 화염에 의한 열기가 복수의 제2 둘레 홀(2211b)을 통해 배출(분사)될 수 있으므로, 화염 분산 판(221)의 외측 부분(테두리 부분)에 근접하는 제초 대상이 제2 둘레 홀(2211b)을 통해 배출되는 화염이나 열기에 의해 제초되거나 숨이 죽을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화염 분산 판(221)의 외측 부분에 근접하는 제초 대상은 제1 둘레 홀(2211a)을 통해 배출되는 화염이나 열기에 의해 제초되기 전에, 먼저, 제2 둘레 홀(2211b)을 통해 배출되는 화염이나 열기에 의해 제초되거나 숨이 죽을 수 있다.
즉, 본 화염 분사기에 의하면, 화염 분산 판(221)의 중앙 영역(a)에 근접하는 제초 대상(중앙 영역(a) 근처의 제초 대상)은 제1 둘레 홀(2211a)을 통해 배출되는 화염 또는 열기에 의해 제초될 수 있고, 화염 분산 판(221)의 테두리 부분에 근접하는 제초 대상(화염 분산 판(221)의 테두리 부분 근처의 제초 대상)은 먼저 제2 둘레 홀(2211b)을 통해 배출되는 화염이나 열기에 의해 제초되거나 숨이 죽을 수 있고, 이후, 제2 둘레 홀(2211b)을 통해 배출되는 화염이나 열기에 접촉되었던 제초 대상 중 제초되지 않은 부분이나 잔여 제초 대상은 제1 둘레 홀(2211a)을 통해 배출되는 화염에 의해 완전 제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초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화염 분사 유닛으로부터 분사되는 화염의 주요 일부가 제1 둘레 홀(2211a)을 통해 배출되고, 잔여 열기나 화염이 하우징(2) 내에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본 화염 분사기는, 화염의 주요 일부로 제1 둘레 홀(2211a)을 통해 제초를 수행하며, 남은 화염이나 열기도 제2 둘레 홀(2211b)을 통해 배출시켜 화염 분산 판(221)의 테두리 부분 근처의 제초 대상을 선 제초하거나 숨을 죽일 수 있다는 점에서, 열 사용의 효율성이 향상된 화염 분사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전술한 제1 둘레 홀(2211a)과 제2 둘레 홀(2211b) 사이의 미리 설정된 간격(s)은, 제1 둘레 홀(2211a)로부터 배출되는 화염에 의해 제초(타는 현상)가 이루어지지 않는 제초 대상에 제2 둘레 홀(2211b)로부터 배출되는 화염 또는 열기가 작용할 수 있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둘레 홀(2211a, 2211b)이 화염 분산 판(21)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1줄로 형성되는 것을 1열이라고 할 때, 복수의 제2 둘레 홀(2211b)은 화염 분산 판(21)의 면 내외측 방향으로 열간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2 둘레 홀(2211b) 중 일부는 다른 일부보다 화염 분산 판(221)의 면 내외측 방향으로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테면, 복수의 제2 둘레 홀(2211b)은 복수의 열로 나뉘어 하나의 열은 복수의 제1 둘레 홀(2211a)과 전술한 미리 설정된 간격(s)을 두고 이격되어 화염 분산 판(221)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열은 그 보다 화염 분산 판(221)의 면 내외측 방향으로의 내측에 위치하는 열을 감싸며 화염 분산 판(221)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열간 간격은 미리 설정된 간격(s)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둘레 홀(2211b)을 통한 테두리쪽의 1차 화염 분사의 집중도를 높이기 위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둘레 홀(2211b)을 통해 분사되는 화염량이 제1 둘레 홀(2211a)을 통해 분사되는 화염량보다 적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제2 둘레 홀(2211b)을 통한 화염 분사의 집중도가 증가되도록 열간 간격을 미리 설정된 간격(s)보다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1 둘레 홀(2211a)은 면 내외측 방향으로 열간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둘레 홀(2211a) 중 일부는 다른 일부보다 화염 분산 판(221)의 면 내외측 방향으로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테면, 복수의 제1 둘레 홀(2211a)은 복수의 열로 나뉘어 하나의 그룹은 중앙 영역(a)을 감싸며 화염 분산 판(221)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열은 그 보다 화염 분산 판(221)의 대각선 방향으로의 내측에 위치하는 열을 감싸며 화염 분산 판(221)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원의 도면에는 제1 둘레 홀(2211a) 및 제2 둘레 홀(2211b) 각각이 2열씩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제1 둘레 홀(2211a) 및 제2 둘레 홀(2211b) 각각의 열 개수는 본원에 한정되지 않으며, 열 개수는 다양한 개수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2 둘레 홀(2211b) 중 화염 분산 판(221)의 면 내외측 방향으로의 최내측에 위치하는 제2 둘레 홀(2211b)과 복수의 제1 둘레 홀(2211a) 중 화염 분산 판(221)의 면 내외측 방향으로의 최외측에 위치하는 제1 둘레 홀(2211a) 사이에 전술한 미리 설정된 간격(s)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2)은 화염 분산 판(221)의 테두리로부터 화염 분산 판(221)의 면 내외측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화염 분산 판(221)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착탈부재(222) 복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착탈부재(222) 각각은 화염 분산 판(221)이 본체(21)에 고정되도록, 구부러져 본체(21)의 일단부를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착탈부재(222)는 화염 분산 판(21)의 본체(21)에 대한 착탈(장착 및 탈거)이 가능하도록, 구부러짐 또는 펴짐이 가능하게 소성 변형되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착탈부재(222)는 소성 변형되는 재질로 구비되어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착탈부재(222)는 본체(21)의 일단부가 삽입가능한 홈이 형성되도록 U자 형상으로 구부러지고, 형성된 홈에 본체(21)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형태로 본체(21)의 일단부를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착탈부재(2212)는 펴짐으로써, 본체(21)의 일단부에 대한 파지 해제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착탈부재(222)는 다양한 방향으로 구부러짐이 가능하며, 또는 펴짐이 가능하다. 또한, 착탈부재(222)는 내열성(열에 대하여 높은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착탈부재(222)는 부식되지 않는 재질, 다시 말해, 산화되지 않는(녹이 안스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착탈부재(222)는 반복적인 구부림에 대한 피로 누적이 덜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착탈부재(222)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금속외에도 상기 조건들을 만족하는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본체(21)는 착탈부재(222)의 파지시 화염 분산 판(221)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전술한 바와 같이, 착탈부재(222)가 파지하는 일단부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경사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21)의 일단부가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외경이 일정한 형태로 형성된다면, 착탈부재(222)의 일단부를 파지하는 부분이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는 형태가 되며 본체(21)의 일단부를 파지하게 될 수 있어, 착탈부재(222)가 본체(21)의 일단부로부터 이탈되어 착탈부재(222)가 본체(21)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반면에, 본 화염 분사기에 의하면, 본체(21)의 일단부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경사를 갖도록 구비되므로, 착탈부재(222)의 일단부를 파지하는 부분이 일측 및 타측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 배치되는 형태가 되며 본체(21)의 일단부를 파지하게 될 수 있어, 착탈부재(222)와 본체(21)의 일단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체(21)의 일단부가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외경이 일정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대비, 착탈부재(222)의 본체(21)의 일단부와의 결합력이 높을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사용자는 착탈부재(222)를 변형시켜, 이를 테면, 펴서 착탈부재(222)가 본체(21)에 대한 파지를 해제하게 함으로써, 화염 분산 판(221)이 본체(21)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착탈부재(222)를 여러 형태로 구부려 변형시켜 착탈부재(222)가 본체(21)를 파지하게 함으로써, 화염 분산 판(221)을 본체(21)에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착탈부재(222)가 소성 변형되므로, 화염 분산 판(221)의 본체(21)에 대한 장착 높이가 조정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도 4를 비교하여 보면, 화염 분산 판(221)이 본래 장착되었던 지점보다 일측으로 이동하더라도, 착탈부재(222)의 구부러지는 위치(부분)가 달라지며, 착탈부재(222)가 화염 분산 판(221)의 위치하는 지점(높이)에 맞추어 변형되어 본체(21)를 파지함으로써, 화염 분산 판(221)이 조정된 지점에서 본체(21)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화염 분사기에 따르면, 착탈부재(222)가 소성 변형되므로, 화염 분산 판(221)이 본체(21)에 완전 고정되는 경우에는 이루어질 수 없는 화염 분산 판(221)의 본체(21)에 대한 위치 조절(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화염 분산 판(221)의 본체(21)에 대한 착탈이 가능하다.
또한, 착탈부재(222)를 변형시키는 것으로 화염 분산 판착탈부재(222)의 본체(21)에 대한 파지 및 파지 해제가 가느?膀퓐?, 화염 분산 판(221)의 본체(21)에 대한 착탈이 용이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연료 공급부
2: 하우징
21: 본체
221: 화염 분산 판
2211a: 제1 둘레 홀
2211b: 제2둘레 홀
222: 착탈부재

Claims (5)

  1. 화염 분사기에 있어서,
    화염 분사 유닛;
    상기 화염 분사 유닛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 및
    상기 화염 분사 유닛을 감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화염 분사 유닛의 일측이 개방되도록, 일측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화염 분사 유닛을 감싸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일측 개구부보다 내측에 구비되되, 화염 분사 유닛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분사되는 화염 중 적어도 일부가 분산되어 분사되도록 복수의 둘레 홀이 형성되는 화염 분산 판; 및
    상기 화염 분산 판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화염 분산 판의 면 내외측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화염 분산 판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상기 화염 분산 판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도록, 구부러져 상기 본체의 일단부를 파지하는 복수의 착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둘레 홀은 상기 화염 분사 유닛으로부터 분사되는 화염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화염 분산 판의 중앙 영역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상기 화염 분산 판의 중앙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중앙 영역은 상기 화염 분사 유닛에 의해 분사되는 화염이 직접적으로 분사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이며,
    상기 착탈부재는, 상기 화염 분산 판의 상기 본체에 대한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부러짐 또는 펴짐이 가능하게 소성 변형되는 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착탈부재의 파지시 상기 화염 분산 판의 이탈이 방지되고, 상기 착탈부재가 파지하는 일단부가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외경이 일정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대비 상기 착탈부재와 상기 본체의 상기 일단부의 결합력이 높도록, 상기 본체의 일단부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경사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인, 화염 분산 판을 갖는 화염 분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둘레 홀은,
    상기 화염 분산 판의 테두리부보다 상기 화염 분산 판의 중앙 영역에 더 가깝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둘레 홀; 및
    상기 화염 분산 판의 중앙 영역보다 상기 화염 분산 판의 테두리에 더 가깝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2 둘레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둘레 홀은, 상기 일측 개구부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처음 진입한 대상에 대한 1차 화염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둘레 홀은, 상기 1차 화염 분사 이후 상기 복수의 제1 둘레 홀 측으로 상대적으로 이동된 대상에 대한 2차 화염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인, 화염 분산 판을 갖는 화염 분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둘레 홀은, 그 최내측이 상기 복수의 제1 둘레 홀의 최외측과 미리 설정된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간격은, 상기 화염 분산 판으로부터 분사된 화염 중 상기 복수의 제1 둘레 홀을 통해 분사된 화염을 제외한 나머지 화염이 상기 복수의 제2 둘레 홀을 통해 상기 중앙 영역보다 상기 테두리에 더 가깝게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제2 둘레 홀이 상기 중앙 영역의 외곽 라인과 상기 테두리의 중앙에 해당하는 중앙 라인보다 상기 테두리 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도록 설정되는 것인, 화염 분산 판을 갖는 화염 분사기.
  4.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둘레 홀이 상기 화염 분산 판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1줄로 형성되는 것을 1열이라 할 때
    상기 복수의 제2 둘레 홀은, 상기 화염 분산 판의 면 내외측 방향으로 열간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열간 간격은 상기 미리 설정된 간격보다 작은 것인, 화염 분산 판을 갖는 화염 분사기.
  5. 삭제
KR1020200101995A 2020-08-13 2020-08-13 화염 분산 판을 갖는 화염 분사기 KR102502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995A KR102502729B1 (ko) 2020-08-13 2020-08-13 화염 분산 판을 갖는 화염 분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995A KR102502729B1 (ko) 2020-08-13 2020-08-13 화염 분산 판을 갖는 화염 분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300A KR20220021300A (ko) 2022-02-22
KR102502729B1 true KR102502729B1 (ko) 2023-02-22

Family

ID=80494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995A KR102502729B1 (ko) 2020-08-13 2020-08-13 화염 분산 판을 갖는 화염 분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27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8893A (ja) * 2004-04-08 2005-11-17 Kamada Kogyo:Kk 湿式バーナ及び該バーナを用いた蒸し焼き式除草装置
KR102069372B1 (ko) 2019-05-14 2020-01-22 박경범 화염을 이용한 잡초 제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8704Y1 (ko) * 1988-12-01 1990-09-22 황순성 화염에 의한 살충, 살균 및 제초기
KR20020067201A (ko) * 2001-02-15 2002-08-22 박시구 농지용 화염방제기와 이를 이용한 예비제초 및 방제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8893A (ja) * 2004-04-08 2005-11-17 Kamada Kogyo:Kk 湿式バーナ及び該バーナを用いた蒸し焼き式除草装置
KR102069372B1 (ko) 2019-05-14 2020-01-22 박경범 화염을 이용한 잡초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300A (ko)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2707A (en) Agricultural burner implement
US597472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non-toxic control of insects and weeds
KR102502729B1 (ko) 화염 분산 판을 갖는 화염 분사기
US11540460B2 (en) Apparatus for applying a liquid and method of use
EP3232776B1 (en) Sprayer system
KR20090084234A (ko) 지면에 스팀을 분사하여 잡초를 제거하는 제초방법 및 이에사용되는 스팀제초기
US20050143259A1 (en) Thermal weed, fungal, insecticidal and sterilisation method
KR102164688B1 (ko) 화염 제초기
KR200214117Y1 (ko) 화열제초기
KR102383836B1 (ko) 보도블럭 틈새의 잡초를 제거할 수 있는 잡초제거장치
CN105145535A (zh) 一种植物系统除草方法
Ochou et al. Comparison of different strategies for cotton insect pest management in Africa
KR20220065099A (ko) 액체 살포 장치
JP3133005U (ja) 動力噴霧機に装着する畦間散布バー
JP3133005U7 (ko)
US2569194A (en) Apparatus for plant cultivation
JPH1132646A (ja) 昆虫および雑草を無毒制御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11324212B2 (en) Hot water steam cover for protecting plants while spraying
KR20020067201A (ko) 농지용 화염방제기와 이를 이용한 예비제초 및 방제방법
JPH06335344A (ja) 除草殺菌殺虫装置
RU2159544C2 (ru) Способ опрыскивания древесно-кустарниковой растительност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3495339B2 (ja) 茶株内噴霧器および茶株病害虫駆除方法
US20220361474A1 (en) Row crop weed killer apparatus
Lym et al. A summary of leafy spurge control with herbicides in North Dakota since 1963
KR200242892Y1 (ko) 농약 분무기의 분사 보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