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2668B1 - 솔더링성 및 용접성을 포함하는 버스바 및 그 도금방법 - Google Patents

솔더링성 및 용접성을 포함하는 버스바 및 그 도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2668B1
KR102502668B1 KR1020220013016A KR20220013016A KR102502668B1 KR 102502668 B1 KR102502668 B1 KR 102502668B1 KR 1020220013016 A KR1020220013016 A KR 1020220013016A KR 20220013016 A KR20220013016 A KR 20220013016A KR 102502668 B1 KR102502668 B1 KR 102502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g
weight
parts
bus bar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3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돈즉
Original Assignee
(주)메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인텍 filed Critical (주)메인텍
Priority to KR1020220013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2668B1/ko
Priority to KR1020230021367A priority patent/KR20230117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1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reduction or substitution, e.g. electroless p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1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reduction or substitution, e.g.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01Process or apparatus
    • C23C18/1633Process of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46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obtained
    • C23C18/165Multilayered product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1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reduction or substitution, e.g.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01Process or apparatus
    • C23C18/1633Process of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46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obtained
    • C23C18/165Multilayered product
    • C23C18/1653Two or mor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obtained by electroless plating and one layer obtained by electrop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1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reduction or substitution, e.g. electroless plating
    • C23C18/18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 C23C18/1803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of metallic material surfaces or of a non-specific material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1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reduction or substitution, e.g. electroless plating
    • C23C18/31Coating with metals
    • C23C18/32Coating with nickel, cobalt or mixtures thereof with phosphorus or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1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nickel or cobalt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10Electroplating with more than one layer of the same or of different metals
    • C25D5/12Electroplating with more than one layer of the same or of different metals at least one layer being of nickel or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34Pretreatment of metallic surfaces to be electropl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34Pretreatment of metallic surfaces to be electroplated
    • C25D5/42Pretreatment of metallic surfaces to be electroplated of light metals
    • C25D5/44Alumin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6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솔더링성 및 용접성을 포함하는 버스바 및 그 도금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바의 표면을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된 버스바를 무전해 니켈도금액 또는 스트라이크 니켈 도금액에 넣어 제1 도금층을 형성하는 제1 도금단계 및 상기 제1 도금이 완료된 버스바를 설파민산 니켈도금액에 넣어 제2 도금층을 형성하는 제2 도금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솔더링성 및 용접성을 포함하는 버스바 및 그 도금방법{BUSBAR AND ITS PLATING METHOD TO BE SECURED THE SOLDERABILITY AND WELDABILITY}
본 발명은 솔더링성 및 용접성을 포함하는 버스바 및 그 도금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 휴대용 PC 등의 휴대용 전기 제품 사용이 활성화됨에 따라 그 구동 전원으로서 주로 사용되는 이차전지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디지털 카메라, 셀룰러 폰, 랩탑 컴퓨터, 파워 툴, 전기 자전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대용량 전력 저장 장치 등 첨단 분야의 개발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특히, 리튬 이차전지는 기존의 납 축전지,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수소 전지, 니켈-아연전지 등 다른 이차전지와 비교하여 단위 중량 당 에너지 밀도가 높고 급속 충전이 가능하므로 사용의 증가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작동 전압이 3.6V 이상으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 사용되거나, 다수의 전지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고출력의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파워툴, 전기 자전거, 전력저장장치, UPS 등에 사용된다.
리튬 이차전지는 니켈-카드뮴 전지나 니켈-메탈 하이드라이드 전지에 비하여 작동 전압이 3배가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의 특성도 우수하여 급속도로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리튬 이차전지는 전해질 종류에 따라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온전지와 고분자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는 고분자 고체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전해액이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은 완전 고체형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와 전해액을 함유하고 있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로 나눌 수 있다.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온전지의 경우 대개 원통이나 각형의 금속 캔을 용기로 하여 용접 밀봉시킨 형태로 사용된다. 이런 금속 캔을 용기로 사용하는 캔형 이차전지는 형태가 고정되므로 이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전기 제품의 디자인을 제약하는 단점이 있고, 부피를 줄이는 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와 전해질을 필름으로 만든 파우치 포장재에 넣고 밀봉하여 사용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리튬 이차전지는 과열이 될 경우 폭발 위험성이 있어서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이다. 리튬 이차전지의 과열은 여러 가지 원인에서 발생되는데, 그 중 하나가 리튬 이차전지를 통해 한계 이상의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를 들 수 있다. 과전류가 흐르면 리튬 이차전지가 주울열에 의해 발열을 하므로 전지의 내부 온도가 급속하게 상승한다. 또한 온도의 급속한 상승은 전해액의 분해 반응을 야기하여 열폭주 현상(thermal runaway)을 일으킴으로써 결국에는 전지의 폭발까지 이어지게 된다. 과전류는 뾰족한 금속 물체가 리튬 이차전지를 관통하거나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의 수축에 의해 양극과 음극 사이의 절연이 파괴되거나 외부에 연결된 충전 회로나 부하의 이상으로 인해 돌입전류(rush current)가 전지에 인가되는 등의 경우에 발생된다.
따라서 리튬 이차전지는 과전류의 발생과 같은 이상 상황으로부터 전지를 보호하기 위해 보호회로와 결합되어 사용되며, 상기 보호회로에는 과전류가 발생되었을 때 충전 또는 방전전류가 흐르는 선로를 비가역적으로 단선시키는 퓨즈 소자가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보호회로와 배터리팩 사이에는 연결하기 위한 버스바를 포함하고, 버스바는 일측에는 솔더링성을 가지고 타측에는 용접성을 가지는 것으로, 기존에는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서로다른 도금을 통해 용접성과 솔더링 성을 확보한다. 그러나 이렇게 서로다른 도금을 통해 용접성과 솔더링성을 확보하는 것은 비용 및 시간이 많이든다는 단점이있다.
따라서, 짧은 시간 내에 용접성과 솔더링성을 확보하여 도금된 버스바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60342호(2020.09.25.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배터리 셀과 PCM 및 BMS를 연결하기 위한 버스바에 두 번의 니켈 도금을 진행하여 버스바에 솔더링성과 용접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바의 표면을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된 버스바를 무전해 니켈도금액 또는 스트라이크 니켈 도금액에 넣어 제1 도금층을 형성하는 제1 도금단계 및 상기 제1 도금이 완료된 버스바를 설파민산 니켈도금액에 넣어 제2 도금층을 형성하는 제2 도금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도금층은 1㎛ 내지 5㎛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도금층은 2㎛ 내지 11㎛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바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도금층 및상기 제1 도금층 상면에 형성되는 제2 도금층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순수 알루미늄, 알루미늄 구리 혼합물 또는 알루미늄 혼합물로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는 한쌍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 상기 제1 전극의 일측과 상기 제2 전극의 일측에 결합되는 수평바 및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타측에 형성되는 팁을 포함하고, 상기 팁은 상기 양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기울림부, 상기 기울림부의 일단으로부터 바닥면과 수평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바닥면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일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수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바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에 있어서, 배터리셀, 상기 배터리셀의 단자에 일측이 결합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의 타측에 결합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니켈로 버스바를 두번 도금함으로써 용접성과 솔더링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어, 기존의 니켈 도금과 크롬 도금을 사용하는 방법보다 빠르게 도금을 진행할 수 있으며, 생산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에 도금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팁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금된 버스바의 표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방법과 기존의 용접방법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에 도금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1)에 도금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전처리 단계(S110), 제1 도금단계(S120) 및 제2 도금단계(S130)를 포함한다.
먼저 전처리 단계(S110)는 도금반응을 빠르게 진행시키기 위해 버스바(1)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미세한 굴곡 및 오염물을 제거한다. 물리적 또는 화학적인 방법으로 버스바(1)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미세한 굴곡을 제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팁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나타낸 것처럼, 버스바(1)는 전극(10), 수평바(11) 및 팁(12)을 포함한다. 전극(10)은 양측에 한쌍의 제1 전극(101) 및 제2 전극(102)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제1 전극(101) 및 제2 전극(102)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며, 제1 전극(101) 및 제2 전극(102)의 일측에는 수평바(11)가 결합되며, 제1 전극(101) 및 제2 전극(102)의 타측에는 팁(12)이 형성된다. 이때, 제1 전극(101) 및 제2 전극(102)의 길이는 버스바(1)가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수평바(11)의 길이도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서 나타낸 것처럼, 팁(12)은 일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기울림부(121), 기울림부(121)의 일단으로부터 타측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122), 가이드부(122)의 일단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부(123) 및 수직부(123)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124)를 포함한다. 이렇게 형성된 팁(12)의 돌출부(124)는 후술할 두 번의 도금을 통해 솔더링성 및 용접성을 함께 포함함으로써, 배터리셀의 단자와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각각 용접되거나 납땜될 수 있다.
그리고 버스바(1)는 순수 알루미늄, 알루미늄 구리 혼합물 또는 알루미늄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버스바(1)의 부착위치에 따라 서로다른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도금단계(S120)는 S110 단계에서 전처리된 버스바(1)를 무전해 니켈도금액 또는 스트라이크 니켈 도금액에 넣어 제1 도금층(2)을 형성한다.
여기서, 무전해 니켈도금 방법은 직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화학반응에 의해 도금액 중 금속 이온을 환원시킬 수 있는 도금방법으로 용액속에서 연속적인 금속석출반응으로 금속이온이 환원되어 도금피막이 형성되고, 철강, 알루미늄 및 합금을 도금할 경우에 사용된다. 또한, 스트라이크 니켈 도금 방법은 피 도금물의 활성력을 높이기 위해 염화니켈과 염산을 첨가하여 제작된 도금욕을 이용하여 도금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도금 방법으로 형성된 제1 도금층(10)은 1㎛ 내지 5㎛으로 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 하게는 2㎛ 내지 3㎛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2 도금단계(S130)는 제1 도금층(2)이 형성된 버스바(1)를 설파민산 니켈도금 방법을 이용하여 제2 도금층(3)을 형성한다. 여기서, 설파민산 니켈도금 방법은 설파민산니켈을 주제로한 도금액을 전기화학적인 방법으로 도금하는 것으로 두꺼운 도금층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설파민산 니켈도금 방법을 통해 형성된 제2 도금층(20)은 2㎛ 내지 11㎛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금된 버스바의 표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 나타낸 것처럼, 두 번의 도금을 통해 제1 도금층(2) 및 제2 도금층(3)을 형성할 수 있으며, 솔더링성과 용접성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방법과 기존의 용접방법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5에서 나타낸 것처럼, 기존의 용접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클리닝 단계 플럭싱단계를 진행해야하며, 특히 전용 플럭스를 사용함으로써, 공정비용이 높은 반면에 본 발명을 이용하면 클리닝 단계와 플럭싱 단계를 미 진행할 수 있으며, 공정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기존 용접 방법은 제1 전극(101) 및 제2 전극(102)에 서로다른 도금방벙을 이용하여 제1 전극(101)에는 용접성을 가지고 제2 전극(102)에는 솔더링성을 각각 가지도록 형성하는 반면에 본 발명의 경우, 제1 전극(101) 및 제2 전극(102)에 모두 솔더링성 및 용접성을 포함함으로써, 모든 위치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이 있다.
즉, 기존의 용접방법의 경우, 제1 전극(101)과 제2 전극(102)의 부착위치를 정확히 위치시켜야 하는 반면에 본 발명의 경우 부착위치를 정확히 위치시키지 않아도 다음 공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서 나타낸 것처럼, 배터리 모듈(100)은 BMS(110), ICB(120), 배터리 셀(130) 및 버스바(1)를 포함한다. 도 6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BMS(110)는 ICB(120)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버스바(1)를 통해 배터리 셀(130)과 연결된다.
이러한 BMS(110)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의 약자로, 배터리 셀(130)의 전압, 전류 및 온도를 모니터링하고, 배터리 모듈(110)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 관리하며, 배터리의 교체시기 예측 및 배터리 문제를 사전에 발견할 수 있다. 또한, BMS(140)는 PRA(Power Relay Assembly)제어를 진행할 수 있으며, PRA 제어는 고전압 배터리의 전력을 모터로의 공급 및 차단하는 기능으로, 배터리 고장시 전원공급 차단을 통해 배터리를 보호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ICB(120)는 배터리 셀(130)의 과충전을 방지하고, 과방전으로 전극의 손상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한다. 이때, ICB(120)는 과충전보호기능, 과방전보호기능, 과전류차단기능 및 단락보호기능을 포함한다. 먼저, 과충전보호기능은 보호전압 이상 과충전시 화학반응이 시작되어 가스와 열이 발생하여 폭발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이며, 과방전보호기능은 배터리 전압이 2V 이하로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이고, 과전류차단기능은 외부 기기의 오동작이나 실수로 인한 과전류로 배터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며, 단락보호기능은 단락으로 인한 화재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기능이다. 즉, 배터리 모듈(130)을 보호하기 위해 ICB(120)를 필수 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터리 모듈(130)은 전기에너지를 충전 및 방전해 사용할 수 있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기본 단위로, 양극, 음극, 분리막, 전해액을 사각형 형태의 알루미늄 케이스에 넣어서 제작한 것으로, 복수의 셀을 결합하여,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을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모듈(130)은 배터리 셀의 종류에 따라 형태, 사용용량 또는 안전성이 변경될 수 있다. 주로 배터리 모듈(130)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리튬이온, 리튬 폴리머 또는 리튬인산철로 제작된 배터리가 사용된다. 이러한, 배터리 셀(130)은 추후에 설명할 배터리 관리 시스템(110)을 통해 제어된다.
도 6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버스바(1)의 일측은 배터리셀(130)에 용접으로 부착되고, 타측은 ICB(120)에 솔더링되어 부착된다. 이러한 특성을 가지기 위해 버스바(1)는 S110 내지 S130단계를 통해 각각의 전극(10)에 솔더링성 및 용접성을 함께 포함시킬 수 있다.
이렇게 도금이 완료된 버스바(1)의 표면에는 난연성 물질을 포함하는 필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필름은 배터리셀(13)과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난연성을 포함함으로써,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름은 폴리프로필렌수지 40중량부, 메타로센 폴리에칠렌 30중량부, 기능성 첨가제 15중량부 및 알루미늄 박막 5중량부로 형성되며, 기능성 첨가제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10 내지 20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30 내지 35중량부, 폴리인산 알모늄 20 내지 30중량부, 데카브롬 10 내지 20중량부, 안티모니 5내지 10중량부, 경화촉진제 2중량부를 포함한다.
먼저, 폴리프로필렌수지는 결정성수지로 인장강도가 높으며, 가공성이 우수하고 수분에 의해 손상되지 않으며, 전기적인 물성이 우수하고 각종 화학약품에 대한 내성이 높으며, 높은 연성을 가진다.
다음으로, 메타로센 폴리에칠렌은 연성과 점성의 유효성 및 균열, 충격 등에 대한 안정성, 유연한 인장력 등이 PP 수지의 특성과 융합되면서 크게완화되고 개선될 뿐 아니라,충격에 대한 흡수기능까지 강화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연성과 점성의 유효성 및 균열, 충격 등에 대한 안정성, 유연한 인장력을 높이기 위해 폴리프로필렌수지와 메타로센 폴리에칠렌을 함께 사용한다.
다음으로, 알루미늄 박막은 필름에 요철을 형성시키고, 상호 결합된 날개면들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알루미늄 박막이 5중량부보다 작게 사용될 경우, 결합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5중량부보다 크게 사용되는 경우 결합력이 강해져 사람의 힘으로 분리를 시키기가 힘들 수 있게된다.
이때, 알루미늄 박막은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볼록(凸)하게 형성하거나 오목(凹)하게 형성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고, 엠보싱 돌기의 모양은, 평면상에서 볼 때 원형(정원형, 장원형 등), 다각형(삼각형, 사각형, 오각형등) 등 현존하는 모든 무늬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즉, 이러한 다양한 무늬를 가짐으로써, 상호 결합된 날개면들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는 아크릴산과 2-에틸헥산올 (2-EtHexOH)의 에스테르화로 제조되어 접착성능을 제공하며, 10중량부보다 작게 사용되는 경우, 접착성능이 저하되고, 20중량부보다 크게 사용되는 경우, 접착성능에 비해 경제성이 저하된다.
다음으로,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와 함께 사용되어 접착성능을 증대시키기 위한 조성물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10중량부 대비 30중량부보다 작게 사용되는 경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와의 결합이 충분하게 일어나지 않으며, 35중량부보다 크게 사용되는 경우, 경제성이 저하된다.
다음으로, 폴리인산 암모늄은 연소과정에서 인 화합물의 증발에 의한 열소멸, 분해물의 희석, 용융 점도의 감소를 통해 난연제로 사용되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10중량부 대비 20중량부보다 작게 사용되는 경우, 연소과정에서 인 화합물의 증발이 적게 일어나 난연제로 사용을 할 수 없으며, 30중량부보다 크게 사용되는 경우, 암모늄과 인과의 결합력이 높아 인 화합물의 증발이 적게 일어난다.
다음으로, 데카브롬은 연소되면서 프리라티칼을 생성하고, 생성된 프리라디칼이 연소반응을 억제하는 것으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10중량부 대비 10 내지 20 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중량부보다 작게 사용되는 경우, 프리라디칼의 생성이 안되어 난연제로 사용할 수 없으며, 20중량부보다 크게 사용되는 경우, 경제성이 저하된다.
다음으로, 안티모니는 금속과 비금속의 설질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난연제로 사용되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10중량부 대비 5내지 1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5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난연효과가 미미하고, 10 중량부보다 크게 사용되는 경우, 안티모니 먼지가 형성되어 맹독물질을 배출한다.
다음으로, 경화촉진제는 접착제의 경화 시간을 빠르게 하기 위해 사용되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10중량부 대비 2중량부보다 작게 사용하는 경우, 목표로하는 경화 시간을 맞추지 못하며, 2중량부보다 크게 사용하는 경우, 경화가 빠르게 진행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청구범위를 통해 한정되지 않은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버스바 10: 전극
101: 제1 전극 102: 제2 전극
11: 수평바 12: 팁
121: 기울림부 122: 가이드부
123: 수직부 124: 돌출부
2: 제1 도금층 3: 제2 도금층
100: 배터리 모듈 110: BMS
120: ICB 130: 배터리셀

Claims (5)

  1. 버스바의 표면을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된 버스바를 무전해 니켈도금액 또는 스트라이크 니켈 도금액에 넣어 제1 도금층을 형성하는 제1 도금단계; 및
    상기 제1 도금이 완료된 버스바를 설파민산 니켈도금액에 넣어 제2 도금층을 형성하는 제2 도금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도금단계가 완료된 버스바의 표면에 필름을 부착하고,
    상기 필름은 폴리프로필렌수지 40중량부, 메타로센 폴리에칠렌 30중량부, 기능성 첨가제 15중량부 및 알루미늄 박막 5중량부로 형성되며, 기능성 첨가제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10 내지 20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30 내지 35중량부, 폴리인산 알모늄 20 내지 30중량부, 데카브롬 10 내지 20중량부, 안티모니 5내지 10중량부, 경화촉진제 2중량부를 포함하는 도금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금층은 1㎛ 내지 5㎛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도금층은 2㎛ 내지 11㎛으로 형성되는 버스바의 도금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13016A 2022-01-28 2022-01-28 솔더링성 및 용접성을 포함하는 버스바 및 그 도금방법 KR102502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016A KR102502668B1 (ko) 2022-01-28 2022-01-28 솔더링성 및 용접성을 포함하는 버스바 및 그 도금방법
KR1020230021367A KR20230117060A (ko) 2022-01-28 2023-02-17 솔더링성 및 용접성을 포함하는 버스바 및 그 도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016A KR102502668B1 (ko) 2022-01-28 2022-01-28 솔더링성 및 용접성을 포함하는 버스바 및 그 도금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1367A Division KR20230117060A (ko) 2022-01-28 2023-02-17 솔더링성 및 용접성을 포함하는 버스바 및 그 도금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2668B1 true KR102502668B1 (ko) 2023-02-23

Family

ID=853299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3016A KR102502668B1 (ko) 2022-01-28 2022-01-28 솔더링성 및 용접성을 포함하는 버스바 및 그 도금방법
KR1020230021367A KR20230117060A (ko) 2022-01-28 2023-02-17 솔더링성 및 용접성을 포함하는 버스바 및 그 도금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1367A KR20230117060A (ko) 2022-01-28 2023-02-17 솔더링성 및 용접성을 포함하는 버스바 및 그 도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026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0806A (ja) * 1994-05-20 1995-12-08 Fujikura Ltd 端子およびコネクタ
JP2003245713A (ja) * 2002-02-21 2003-09-02 Usui Kokusai Sangyo Kaisha Ltd スーパー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製多重巻鋼管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8124116A1 (ja) * 2016-12-27 2018-07-0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表面処理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の表面処理材を用いて作製した部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0806A (ja) * 1994-05-20 1995-12-08 Fujikura Ltd 端子およびコネクタ
JP2003245713A (ja) * 2002-02-21 2003-09-02 Usui Kokusai Sangyo Kaisha Ltd スーパー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製多重巻鋼管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8124116A1 (ja) * 2016-12-27 2018-07-0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表面処理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の表面処理材を用いて作製した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7060A (ko) 202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6454B2 (en) Component for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econdary battery and multi-battery system manufactured by using the component
KR101465172B1 (ko) 내구성 향상을 위해 실링 마진을 가진 파우치형 이차 전지
JP4918029B2 (ja) 電池及び電池ケース
EP3343691A1 (en) Battery module
KR101370264B1 (ko) 솔더링 커넥터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KR102055853B1 (ko) 안전성이 개선된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KR102209769B1 (ko) 배터리 모듈
KR101202081B1 (ko) 전지, 차량 및 전지 탑재 기기
KR20120126932A (ko)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실링방법 및 실링장치
KR20150045737A (ko) 배터리 모듈
EP3951916A1 (en) Terminal busbar for improving safety, an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US9034500B2 (en) Laminated electrode-type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vehicle, and device
KR100914108B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US10644345B2 (en) Short circuiting structur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excellent stability against overcharge and pouch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 comprising the same
JP2022543124A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自動車
KR20200023575A (ko) 리튬 금속을 음극으로 사용하는 전고체 전지
KR101308325B1 (ko) 이차전지
US9843032B2 (en) Battery module
KR100670502B1 (ko) 이차 전지
KR20140032701A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
KR102502668B1 (ko) 솔더링성 및 용접성을 포함하는 버스바 및 그 도금방법
EP3926734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KR101340020B1 (ko) 이차 전지
CN220041972U (zh) 电池结构、动力电池包及用电设备
KR101482820B1 (ko) 개별 보호회로 모듈이 장착된 전지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