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2265B1 - 인쇄회로기판 제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 제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2265B1
KR102502265B1 KR1020220145350A KR20220145350A KR102502265B1 KR 102502265 B1 KR102502265 B1 KR 102502265B1 KR 1020220145350 A KR1020220145350 A KR 1020220145350A KR 20220145350 A KR20220145350 A KR 20220145350A KR 102502265 B1 KR102502265 B1 KR 102502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processing device
hole processing
funne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5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인
Original Assignee
정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해인 filed Critical 정해인
Priority to KR1020220145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22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11Working of insulating substrates or insulating layers
    • H05K3/0055After-treatment, e.g. cleaning or desmearing of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4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from a small area, e.g. a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11Working of insulating substrates or insulating layers
    • H05K3/0017Etching of the substrate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5K3/0026Etching of the substrate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by laser ab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2215/006Suction 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연성 또는 경성 다층 PCB를 공급받아 수용부에 안착하고 회로설계에 따라 UV레이저를 조사하여 스루홀 또는 비아홀을 형성하는 홀가공 장치; 상기 홀가공 장치의 전, 후방에 설치하여 연성 다층 PCB롤을 한 피치씩 공급 및 취출하는 제1 공급 장치; 상기 홀가공 장치의 일 측방에 설치하고 경성 다층 PCB시트 또는 연성 다층 PCB롤을 재단하여 형성한 연성 다층 PCB시트를 한 단위씩 공급 및 취출하는 제2 공급 장치; 상기 제2 공급 장치의 상부에 설치하고 홀가공 장치와 제2 공급 장치의 사이에서 경성 다층 PCB시트 또는 연성 다층 PCB시트를 로딩 및 언로딩하는 로딩 장치; 내측에 상기 홀가공 장치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홀가공 장치의 주변을 덮고 설치되는 집진 부스; 및 상기 집진 부스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홀가공 장치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분리시키거나 상기 집진 부스의 내부 공간에 부유 중인 먼지를 흡입하여 상기 집진 부스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집진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CNC 드릴링 가공을 통한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과정 중에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될 수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 제조 시스템 {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ING SYSTEM }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CNC 드릴링 가공을 통한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과정 중에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될 수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인쇄회로기판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기 및 전자산업 분야에서 각종 제품 및 부품의 소형화, 간략화, 고성능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러한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각종 전기, 전자 부품의 물성치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회로 기판상에 정밀하게 장착시키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의 기판 재질에는,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이미드 필름 등이 포함되며, 이들 필름은 열적, 전기적, 기계적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이러한 기재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구리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박을 접착시킨 다음, 스크린(screen) 인쇄 또는 드라이필름 포토레지스트(Dry film Photoresist)를 사용하여 회로를 그리고, 도전성 금속박을 에칭한 후, 절연 및 회로보호를 위하여 커버레이 필름을 입힘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을 제작하게 된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 상에 콘덴서, 저항 등을 경박 단소화시킨 적층세라믹커패시터(MLCC) 및 칩 저항기(Chip Resistor) 등과 같이 자동화 설비에 의해 표면실장이 가능한 표면실장부품(Surface Mounted Devices, SMD)과, 커넥터(connector)와 같은 수삽부품이 혼재되어 실장되게 된다. 이러한 실장부품과 수삽부품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는 방식이 달라서 솔더링 하는 공정도 상이할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54997호
따라서 본 발명은 CNC 드릴링 가공을 통한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과정 중에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될 수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인쇄회로기판 제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제조 시스템은, 연성 또는 경성 다층 PCB를 공급받아 수용부에 안착하고 회로설계에 따라 UV레이저를 조사하여 스루홀 또는 비아홀을 형성하는 홀가공 장치; 상기 홀가공 장치의 전, 후방에 설치하여 연성 다층 PCB롤을 한 피치씩 공급 및 취출하는 제1 공급 장치; 상기 홀가공 장치의 일 측방에 설치하고 경성 다층 PCB시트 또는 연성 다층 PCB롤을 재단하여 형성한 연성 다층 PCB시트를 한 단위씩 공급 및 취출하는 제2 공급 장치; 상기 제2 공급 장치의 상부에 설치하고 홀가공 장치와 제2 공급 장치의 사이에서 경성 다층 PCB시트 또는 연성 다층 PCB시트를 로딩 및 언로딩하는 로딩 장치; 내측에 상기 홀가공 장치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홀가공 장치의 주변을 덮고 설치되는 집진 부스; 및 상기 집진 부스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홀가공 장치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분리시키거나 상기 집진 부스의 내부 공간에 부유 중인 먼지를 흡입하여 상기 집진 부스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집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집진 장치는, 상기 집진 부스의 내부 공간의 일측 하단으로부터 상기 집진 부스의 내부 공간의 타측 하단까지 상기 집진 부스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집진 부스의 내부 공간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반복 설치되는 다수 개의 이동 레일; 상기 이동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홀가공 장치 방향으로 바람을 불어 상기 홀가공 장치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상기 홀가공 장치로부터 분리시켜 주는 송풍부; 및 상기 다수 개의 이동 레일에 상기 송풍부와 번갈아가면서 하나씩 연결 설치되며, 상기 이동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집진 부스의 내부 공간에 부유 중인 먼지를 흡입하여 상기 집진 부스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집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부는, 상기 집진부와 동시 또는 이시에 구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 레일은, 상기 집진 부스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플렌지; 상기 제1 플렌지보다 전후 폭이 좁게 형성되며, 상기 제1 플렌지의 전단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웹; 및 상기 제1 플렌지와 동일한 전후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플렌지와 대향하면서 상기 웹의 전단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2 플렌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집진부는, 상기 이동 레일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이동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집진용 슬라이딩 유닛; 전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늘어나는 깔때기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집진용 슬라이딩 유닛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는 흡입용 깔때기; 상기 흡입용 깔때기의 후단 내측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되어 상기 흡입용 깔때기의 전단 개구부를 통해 상기 흡입용 깔때기의 후단 내측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시켜 주는 흡입팬; 및 상기 집진용 슬라이딩 유닛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집진용 슬라이딩 유닛의 내측을 통과한 뒤 전달되는 상기 흡입팬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전달받아 상기 집진 부스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배출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집진용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제2 플렌지의 전단에 안착되는 유닛 바디; 상기 유닛 바디의 후단 각 모서리에 설치되며, 상기 제2 플렌지의 후단에 각각 안착되어 상기 유닛 바디를 지지하는 4 개의 지지부; 및 상기 유닛 바디의 후단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플렌지의 전단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기어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상기 제2 플렌지를 따라 상기 유닛 바디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주는 슬라이딩 구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유닛 바디의 후단 모서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 프레임; 후단이 상기 웹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거치 프레임; 상기 제2 플렌지의 후단과 대향하는 상기 거치 프레임의 후단 절곡부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플렌지의 후단에 안착되어 상기 거치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 롤러; 상기 연장 프레임의 내측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너 하우징;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되, 후단이 상기 연장 프레임의 후방으로 노출되어 상기 거치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이너 하우징의 단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이너 하우징의 후단에 설치되어 내측을 따라 상기 지지 프레임이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후단을 지지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상기 이너 하우징의 전방으로 밀착시켜 주는 완충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용 깔때기는, 전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늘어나는 깔때기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집진용 슬라이딩 유닛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깔때기 몸체부; 상기 집진용 슬라이딩 유닛의 전단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설치되는 깔때기 몸체부의 후단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기어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회전 구동되어 상기 깔때기 몸체부를 회전 구동시켜 주는 회전 구동 기어; 및 상기 깔때기 몸체부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깔때기 몸체부가 회전 구동됨에 따라 상기 흡입팬 방향으로의 공기의 흐름을 유도시켜 주는 나선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부는, 상기 이동 레일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이동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송풍용 슬라이딩 유닛; 전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늘어나는 깔때기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송풍용 슬라이딩 유닛의 전단에 설치되는 송풍용 깔때기; 상기 송풍용 깔때기의 후단 내측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되어 상기 송풍용 깔때기의 전단 개구부 방향으로 바람을 불어주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용 슬라이딩 유닛의 일측에 설치되어 압축 공기를 공급 받아 상기 송풍팬 방향으로 전달시켜 주는 송풍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제조시스템에 의하면, CNC 드릴링 가공을 통한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과정 중에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될 수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제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은 도 1의 이동 레일과 집진부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집진용 슬라이딩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집진용 슬라이딩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이동 레일과 송풍부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실시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네트워크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는 디바이스와 시스템 및 디바이스 상호 간의 데이터 교환이 수행될 수 있는 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으며, 특정 네트워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기술된 실시예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부(unit)",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 등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object), 실행 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및/또는 컴퓨터(compute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컴퓨터의 양쪽이 모두 본 발명의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HMD(Head Mounted Display)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PC나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가전처럼 고정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바이스는 차량 내 클러스터 또는 IoT (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디바이스는 어플리케이션 동작이 가능한 기기들을 지칭할 수 있으며, 특정 타입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기기를 디바이스로 지칭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네트워크의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각 구성요소간 연결이 동일한 네트워크 방식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네트워크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모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5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선 및/또는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제조 시스템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제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제조 시스템(10)은, 홀가공 장치(100), 제1 공급 장치(200), 제2 공급 장치(300), 로딩 장치(400), 집진 부스(500) 및 집진 장치(600)를 포함한다.
홀가공 장치(100)는, 연성 또는 경성 다층 PCB를 공급받아 수용부(110)에 안착하고 회로설계에 따라 UV레이저를 조사하여 스루홀 또는 비아홀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홀가공 장치(100)는, 수용부(110)의 상측 또는 하측에 UV레이저모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탑재하여 스루홀 또는 비아홀을 형성 할 위치에 홀을 가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용부(110)는, 연성 다층 PCB롤 또는 경성 다층 PCB시트를 수평 안착하도록 구비하되 상부에는 개폐도어를 형성하여 UV레이저가 수직 조사되도록 구비하며, PCB롤이 투입 및 배출되는 전, 후방에는 입,출구를 마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1 공급 장치(200)는, 홀가공 장치(100)의 전, 후방에 설치하여 연성 다층 PCB롤을 한 피치씩 공급 및 취출한다.
일 실시예에서, 홀가공 장치(100)의 전, 후방에 설치하여 연성 다층 PCB롤을 한 피치씩 공급 및 취출하 도록 구성하며 언와인드모듈(210) 및 리와인드모듈(23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언와인드모듈(210)은, 홀가공 장치(100)의 전방에 구비하고 연성 다층 PCB롤을 한 피치씩 해권하도록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언와인드모듈(210)은, 원통상의 회전체로 이루어져 PCB롤을 장착하고 서보모터와 같은 소정의 구동수단과 연동하여 단속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홀가공 장치(100)의 수용부(110)를 향해 PCB롤을 해권하도록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와인드모듈(230)은 홀가공 장치(100)의 후방에서 상기 언와인드모듈(210)과 일직선상을 이루도록 구비하고 홀가공된 PCB롤을 한 피치 씩 재권취하도록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와인드모듈(230) 역시 원통상의 회전체로 이루어지고 서보모터와 같은 소정의 구동수단과 연동하여 단속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홀가공 장치(100)을 통과한 PCB롤을 재권취하도록 구비하며, 언와인드모듈(210)과 동일 피치로 단속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언와인드모듈(210)과 홀가공 장치(100), 및 홀가공 장치(100)와 리와인드모듈(230)의 사이에는, 가이드 모듈(220)을 복수로 배치하고 PCB롤의 저면과 접촉하여 공급 및 취출을 가이드하도록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모듈(220)은, 연성 PCB롤이 공급 과정에서 중력에 의해 휘거나 홀가공 장치(100)의 전, 후측에서 장력차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며, 무동력 원동형 회전체로 구성하거나 필요에 따라 구동수단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공급 장치(200)에는 제1제어모듈을 구비하여 언와인드모듈(210) 및 리와인드모듈(230)의 회동범위를 PCB 롤의 한 피치에 상응하도록 제어하되 홀가공 장치(100)와 연동하여 피치당 정지 위치를 설정하도록 구비할 수 있다.
제2 공급 장치(300)는, 홀가공 장치(100)의 일 측방에 설치하고 경성 다층 PCB시트 또는 연성 다층 PCB롤을 재단하여 형성한 연성 다층 PCB시트를 한 단위씩 공급 및 취출하도록 이송모듈(31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모듈(310)은 홀가공 장치(100)의 측방에 구비하고 경성 다층 PCB시트 또는 PCB롤에서 재단된 연성 다층 PCB시트를 한 단위씩 안착하여 공급 및 취출하도록 구비하며, 소정의 구동수단과 연동하여 홀가공수단의 일측에서 전, 후로 구동하여 미가공 PCB시트, 혹은 홀가공된 PCB시트를 안착하도록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공급 장치(300)에는, 제2제어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이송모듈(310)의 이동간격을 PCB시트의 한 단위에 상응하도록 제어하되 로딩 장치(400) 연동하여 피치당 정지 위치를 설정하도록 구비할 수 있다.
로딩 장치(400)는, 제2 공급 장치(300)의 상부에 설치하고 홀가공 장치(100)와 제2 공급 장치(300)의 사이에서 경성 다층 PCB시트 또는 연성 다층 PCB시트를 로딩 및 언로딩한다.
집진 부스(500)는, 내측에 홀가공 장치(100)가 배치될 수 있도록 홀가공 장치(100)의 주변을 덮고 설치되며, 내측을 따라 집진 장치(600)가 일정한 간격(예를 들어, 10cm 내지 100cm 등)으로 설치된다.
집진 장치(600)는, 집진 부스(500)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며, 홀가공 장치(100)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분리시키거나 집진 부스(500)의 내부 공간에 부유 중인 먼지를 흡입하여 집진 부스(500) 외부로 배출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집진 장치(600)는, 다수 개의 이동 (610-1 내지 610-6), 송풍부(700) 및 집진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 개의 이동 레일(610)은, 집진 부스(500)의 내부 공간의 일측 하단으로부터 집진 부스(500)의 내부 공간의 타측 하단까지 집진 부스(500)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집진 부스(500)의 내부 공간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반복 설치된다.
송풍부(700)는, 이동 레일(6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홀가공 장치(100) 방향으로 바람을 불어 홀가공 장치(100)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홀가공 장치(100)로부터 분리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송풍부(700)는, 집진부(800)와 동시 또는 이시에 구동될 수 있다.
집진부(800)는, 다수 개의 이동 레일(610)에 송풍부(700)와 번갈아가면서 하나씩 연결 설치되며, 이동 레일(6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집진 부스(500)의 내부 공간에 부유 중인 먼지를 흡입하여 집진 부스(500) 외부로 배출시켜 준다.
즉, 이동 레일(610-1, 610-3 및 610-4) 각각에 송풍부(700)가 설치되는 경우, 나머지 이동 레일(610-2, 610-4 및 610-6) 각각에 집진부(800)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제조 시스템(10)은, CNC 드릴링 가공을 통한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과정 중에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될 수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이동 레일과 집진부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레일(610)은, 제1 플렌지(611), 웹(612) 및 제2 플렌지(613)를 포함한다.
제1 플렌지(611)는, 집진 부스(500)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웹(612)은, 제1 플렌지(611)보다 전후 폭이 좁게 형성되며, 제1 플렌지(611)와 제2 플렌지(613) 사이를 따라 연장 형성된다.
제2 플렌지(613)는, 제1 플렌지(611)와 동일한 전후 폭으로 형성되며, 제1 플렌지(611)와 대향하면서 웹(612)의 전단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집진부(800)가 연결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집진부(800)는, 집진용 슬라이딩 유닛(810), 흡입용 깔때기(820), 흡입팬(830) 및 배출 라인(840)을 포함한다.
집진용 슬라이딩 유닛(810)은, 이동 레일(610)에 연결 설치되어 이동 레일(6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흡입용 깔때기(820), 흡입팬(830) 및 배출 라인(84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흡입용 깔때기(820)는, 전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늘어나는 깔때기 형태로 형성되어 집진용 슬라이딩 유닛(810)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며, 내측에 흡입팬(830)이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흡입용 깔때기(820)는, 깔때기 몸체부(821), 회전 구동 기어(822) 및 나선 날개(823)를 포함한다.
깔때기 몸체부(821)는, 전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늘어나는 깔때기 형태로 형성되어 집진용 슬라이딩 유닛(810)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내주면을 따라 나선 날개(823)가 설치되며, 회전 구동 기어(822)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회전 구동 기어(822)는, 집진용 슬라이딩 유닛(810)의 전단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설치되는 깔때기 몸체부(821)의 후단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821a)에 기어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회전 구동되어 깔때기 몸체부(821)를 회전 구동시켜 준다.
나선 날개(823)는, 깔때기 몸체부(821)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깔때기 몸체부(821)가 회전 구동됨에 따라 깔때기 흡입팬(830) 방향으로의 공기의 흐름을 유도시켜 줌으로써, 깔때기 몸체부(821)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세기가 증가되도록 보조한다.
흡입팬(830)은, 흡입용 깔때기(820)의 후단 내측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되어 흡입용 깔때기(820)의 전단 개구부를 통해 흡입용 깔때기(820)의 후단 내측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시켜 준다.
배출 라인(840)은, 집진용 슬라이딩 유닛(8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집진용 슬라이딩 유닛(810)의 내측을 통과한 뒤 전달되는 흡입팬(830)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전달받아 집진 부스(500) 외부로 배출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배출 라인(840)은, 신장 및 수축이 용이하도록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고, 제1 플렌지(611)의 일측을 따라 설치되는 거치대(611a)에 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집진부(800)는, 이동 레일(610)을 따라 이동 중 먼지 등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먼지 감지 센서(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집진부(800)는, 먼지 감지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먼지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이동 레일(610)을 따른 이동을 정지한 뒤 흡입팬(830)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고, 먼지 농도가 기 설정된 농도 이하로 저감될 경우 위치를 변경시키면서 먼지의 흡입 제거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동 레일(610)과 집진부(800)는, 집진 부스(500)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집진 부스(500)의 내부 공간에서 부유 중인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집진 부스(500) 외부로 배출시켜 줌으로써, 회로기판에 부유 중인 먼지 등의 이물질이 낙하 후 부착됨에 따른 회로기판의 제조 품질 저하를 최소화시켜 줄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집진용 슬라이딩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집진용 슬라이딩 유닛(810)은, 유닛 바디(811), 4 개의 지지부(812-1 내지 812-4) 및 슬라이딩 구동 기어(813)를 포함한다.
유닛 바디(811)는, 제2 플렌지(613)의 전단에 안착되며, 4 개의 지지부(812-1 내지 812-4) 및 슬라이딩 구동 기어(813)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4 개의 지지부(812-1 내지 812-4)는, 유닛 바디(811)의 후단 각 모서리에 설치되며, 제2 플렌지(613)의 후단에 각각 안착되어 유닛 바디(811)를 지지한다.
슬라이딩 구동 기어(813)는, 유닛 바디(811)의 후단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2 플렌지(613)의 전단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R)에 기어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스텝 모터 등의 구동 장치(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제2 플렌지(613)를 따라 유닛 바디(811)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집진용 슬라이딩 유닛(810), 제2 플렌지(613)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동 레일(610)이 곡선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812)는, 연장 프레임(8121), 거치 프레임(8122), 지지 롤러(8123), 이너 하우징(8124), 지지 프레임(8125), 지지 플레이트(8126) 및 완충 스프링(8127)을 포함한다.
연장 프레임(8121)은, 유닛 바디(811)의 후단 모서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을 따라 이너 하우징(8124)이 형성된다.
거치 프레임(8122)은, 후단이 웹(612)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지지 프레임(8125)에 의해 지지되며, 지지 롤러(8123)가 연결 설치된다.
지지 롤러(8123)는, 제2 플렌지(613)의 후단과 대향하는 거치 프레임(8122)의 후단 절곡부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2 플렌지(613)의 후단에 안착되어 정지 상태로 또는 제2 플렌지(613)의 후단을 따라 회전 이동하면서 거치 프레임(8122)을 지지한다.
이너 하우징(8124)은, 연장 프레임(8121)의 내측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 지지 프레임(8125)이 배치된다.
지지 프레임(8125)은, 이너 하우징(8124)의 내측에 배치되되, 후단이 연장 프레임(8121)의 후방으로 노출되어 거치 프레임(8122)의 전단에 설치된다.
지지 플레이트(8126)는, 이너 하우징(8124)의 단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완충 스프링(8127)에 의해 지지되어 지지 프레임(8125)의 전단에 설치된다.
완충 스프링(8127)은, 이너 하우징(8124)의 후단에 설치되어 내측을 따라 지지 프레임(8125)이 배치되고, 지지 플레이트(8126)의 후단을 지지하여 지지 플레이트(8126)를 이너 하우징(8124)의 전방으로 밀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지부(812)는, 길이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하면서 유닛 바디(811)를 지지하는 동시에 이동 레일(610)을 따라 이동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특히, 이동 레일(610)이 곡선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경우에도 길이가 신장 또는 수축되는 과정에서 유닛 바디(811)가 이동 레일(6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곡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집진용 슬라이딩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용 슬라이딩 유닛(810)은, 기어 지지부(8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어 지지부(814)는, 유닛 바디(811)의 후단에 형성되는 안착홈(8141), 슬라이딩 구동 기어(813)가 설치된 상태로 안착홈(8141)에 안착되는 기어 블록(8142), 기어 블록(8142)의 전단의 각 모서리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모서리 안착홈(8143), 다수 개의 모서리 안착홈(8143) 마다 설치되는 다수 개의 지지 스프링(8144), 및 다수 개의 모서리 안착홈(8143)과 대향하면서 안착홈(8141)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모서리 안착홈(8143)에 삽입되어 지지 스프링(8144)에 의해 지지되는 다수 개의 지지 블록(8145)을 포함한다.
도 7은 도 1의 이동 레일과 송풍부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송풍부(700)는, 송풍용 슬라이딩 유닛(710), 송풍용 깔때기(720), 송풍팬(730) 및 송풍 라인(7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동 레일(610)은, 상술한 도 3의 구성과 동일한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송풍용 슬라이딩 유닛(710)은, 이동 레일(610)에 연결 설치되어 이동 레일(6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송풍용 깔때기(720)는, 전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늘어나는 깔때기 형태로 형성되어 송풍용 슬라이딩 유닛(710)의 전단에 설치된다.
송풍팬(730)은, 송풍용 깔때기(720)의 후단 내측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되어 송풍용 깔때기(720)의 전단 개구부 방향으로 바람을 불어준다.
송풍 라인(740)은, 송풍용 슬라이딩 유닛(7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압축 공기를 공급 받아 송풍팬(730) 방향으로 전달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송풍부(700)는, 도 3에서 상술한 흡입부(800)의 구성 중 송풍팬(730)의 바람 유도 방향만을 반대로 구현한 것으로서, 송풍팬(730)의 바람 유도 방향을 제외하곤 상술한 흡입부(800)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포함하도록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인쇄회로기판 제조 시스템
100: 홀가공 장치
200: 제1 공급 장치
300: 제2 공급 장치
400: 로딩 장치
500: 집진 부스
600: 집진 장치

Claims (9)

  1. 연성 또는 경성 다층 PCB를 공급받아 수용부에 안착하고 회로설계에 따라 UV레이저를 조사하여 스루홀 또는 비아홀을 형성하는 홀가공 장치;
    상기 홀가공 장치의 전, 후방에 설치하여 연성 다층 PCB롤을 한 피치씩 공급 및 취출하는 제1 공급 장치;
    상기 홀가공 장치의 일 측방에 설치하고 경성 다층 PCB시트 또는 연성 다층 PCB롤을 재단하여 형성한 연성 다층 PCB시트를 한 단위씩 공급 및 취출하는 제2 공급 장치;
    상기 제2 공급 장치의 상부에 설치하고 홀가공 장치와 제2 공급 장치의 사이에서 경성 다층 PCB시트 또는 연성 다층 PCB시트를 로딩 및 언로딩하는 로딩 장치;
    내측에 상기 홀가공 장치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홀가공 장치의 주변을 덮고 설치되는 집진 부스; 및
    상기 집진 부스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홀가공 장치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분리시키거나 상기 집진 부스의 내부 공간에 부유 중인 먼지를 흡입하여 상기 집진 부스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집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 장치는,
    상기 집진 부스의 내부 공간의 일측 하단으로부터 상기 집진 부스의 내부 공간의 타측 하단까지 상기 집진 부스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집진 부스의 내부 공간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반복 설치되는 다수 개의 이동 레일;
    상기 이동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홀가공 장치 방향으로 바람을 불어 상기 홀가공 장치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상기 홀가공 장치로부터 분리시켜 주는 송풍부; 및
    상기 다수 개의 이동 레일에 상기 송풍부와 번갈아가면서 하나씩 연결 설치되며, 상기 이동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집진 부스의 내부 공간에 부유 중인 먼지를 흡입하여 상기 집진 부스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집진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제조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상기 집진부와 동시 또는 이시에 구동되는, 인쇄회로기판 제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레일은,
    상기 집진 부스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플렌지;
    상기 제1 플렌지보다 전후 폭이 좁게 형성되며, 상기 제1 플렌지의 전단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웹; 및
    상기 제1 플렌지와 동일한 전후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플렌지와 대향하면서 상기 웹의 전단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2 플렌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제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상기 이동 레일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이동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집진용 슬라이딩 유닛;
    전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늘어나는 깔때기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집진용 슬라이딩 유닛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는 흡입용 깔때기;
    상기 흡입용 깔때기의 후단 내측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되어 상기 흡입용 깔때기의 전단 개구부를 통해 상기 흡입용 깔때기의 후단 내측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시켜 주는 흡입팬; 및
    상기 집진용 슬라이딩 유닛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집진용 슬라이딩 유닛의 내측을 통과한 뒤 전달되는 상기 흡입팬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전달받아 상기 집진 부스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배출 라인;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제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용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제2 플렌지의 전단에 안착되는 유닛 바디;
    상기 유닛 바디의 후단 각 모서리에 설치되며, 상기 제2 플렌지의 후단에 각각 안착되어 상기 유닛 바디를 지지하는 4 개의 지지부; 및
    상기 유닛 바디의 후단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플렌지의 전단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기어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상기 제2 플렌지를 따라 상기 유닛 바디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주는 슬라이딩 구동 기어;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제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유닛 바디의 후단 모서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 프레임;
    후단이 상기 웹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거치 프레임;
    상기 제2 플렌지의 후단과 대향하는 상기 거치 프레임의 후단 절곡부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플렌지의 후단에 안착되어 상기 거치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 롤러;
    상기 연장 프레임의 내측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너 하우징;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되, 후단이 상기 연장 프레임의 후방으로 노출되어 상기 거치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이너 하우징의 단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이너 하우징의 후단에 설치되어 내측을 따라 상기 지지 프레임이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후단을 지지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상기 이너 하우징의 전방으로 밀착시켜 주는 완충 스프링;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제조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용 깔때기는,
    전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늘어나는 깔때기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집진용 슬라이딩 유닛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깔때기 몸체부;
    상기 집진용 슬라이딩 유닛의 전단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설치되는 깔때기 몸체부의 후단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기어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회전 구동되어 상기 깔때기 몸체부를 회전 구동시켜 주는 회전 구동 기어; 및
    상기 깔때기 몸체부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깔때기 몸체부가 회전 구동됨에 따라 상기 흡입팬 방향으로의 공기의 흐름을 유도시켜 주는 나선 날개;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제조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상기 이동 레일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이동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송풍용 슬라이딩 유닛;
    전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늘어나는 깔때기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송풍용 슬라이딩 유닛의 전단에 설치되는 송풍용 깔때기;
    상기 송풍용 깔때기의 후단 내측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되어 상기 송풍용 깔때기의 전단 개구부 방향으로 바람을 불어주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용 슬라이딩 유닛의 일측에 설치되어 압축 공기를 공급 받아 상기 송풍팬 방향으로 전달시켜 주는 송풍 라인;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제조 시스템.
KR1020220145350A 2022-11-03 2022-11-03 인쇄회로기판 제조 시스템 KR102502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350A KR102502265B1 (ko) 2022-11-03 2022-11-03 인쇄회로기판 제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350A KR102502265B1 (ko) 2022-11-03 2022-11-03 인쇄회로기판 제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2265B1 true KR102502265B1 (ko) 2023-02-20

Family

ID=85329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5350A KR102502265B1 (ko) 2022-11-03 2022-11-03 인쇄회로기판 제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226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1137A (ko) * 2008-11-28 2010-06-07 (주)하드램 레이저를 이용한 기판 절단 장치
KR101654997B1 (ko) 2014-12-24 2016-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43596A (ko) * 2018-10-18 2020-04-28 거산산업주식회사 다층 pcb 복합 드릴링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1137A (ko) * 2008-11-28 2010-06-07 (주)하드램 레이저를 이용한 기판 절단 장치
KR101654997B1 (ko) 2014-12-24 2016-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43596A (ko) * 2018-10-18 2020-04-28 거산산업주식회사 다층 pcb 복합 드릴링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217228U (zh) 一种贴补强机的剥料装置
CN1702027A (zh) 板捡拾设备及其使用方法
KR102502265B1 (ko) 인쇄회로기판 제조 시스템
JP2013082557A (ja) 基板保護フィルム剥離装置及びその方法
CN104270895A (zh) 一种贴补强机及其工作方法
JP2012116528A (ja) テーピングユニット及び電子部品検査装置
CN208880081U (zh) 一种转轴弹片组装机构
JP6417288B2 (ja) 部品実装機、部品廃棄方法
CN110980114B (zh) 一种fpc柔性电路板的加工输送装置
JP2009123984A (ja) 処理機、および該処理機を管理する基板生産管理装置
CN111538385B (zh) 一种全天候高效散热的独显台式电脑主机机箱及使用方法
CN117183021A (zh) 一种pcb电路板高效加工设备
CN111163616A (zh) 一种基于云服务器的便携式网络硬盘
CN113500312B (zh) 激光切割机
CN215699121U (zh) 一种电路板焊接用吸烟效果好的电焊机
CN113618189B (zh) 一种数控单元件浮动隔离式定向气流散热pcba自动焊锡设备
CN109465871B (zh) 一种pcb板在线切割装置
JP2008060268A (ja) 部品実装方法
CN210010201U (zh) 一种线路板清洗机检查装置
CN210928198U (zh) 一种线路软板高速贴片装置
CN110154500B (zh) 一种防静电覆盖膜剥离装置
CN113579402A (zh) 一种pcba主板焊锡用浮动隔离式气流散热方法
CN220357112U (zh) 一种集成电路板检测台
CN112739193B (zh) 安装机以及安装方法
CN116867257A (zh) 一种用于pcba主板的表面贴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