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284B1 -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 진압을 위한 기능성 향상 신속 소방방재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 진압을 위한 기능성 향상 신속 소방방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1284B1
KR102501284B1 KR1020220055859A KR20220055859A KR102501284B1 KR 102501284 B1 KR102501284 B1 KR 102501284B1 KR 1020220055859 A KR1020220055859 A KR 1020220055859A KR 20220055859 A KR20220055859 A KR 20220055859A KR 102501284 B1 KR102501284 B1 KR 102501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gas
clamp
water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5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우
Original Assignee
김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우 filed Critical 김대우
Priority to KR1020220055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2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24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ttached to ladders, poles, towers, or other structures with or without rotary hea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 진압을 위한 기능성 향상 신속 소방방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동주택의 층별로 구성된 창문에 설치되어서 기준치 이상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온도센서, 상기 창문별로 셋을 이루는 하기 클램프를 조명하는 조명램프, 공동주택의 벽면에 나란하게 설치된 제1,2 가스배관을 향해 물을 개별 분사하는 다수의 분출기구, 다수의 상기 분출기구에 대한 급수를 위해 급수관을 매개로 급수원과 연결되며, 말단에 상기 분출기구가 설치되는 가지관을 갖춘 분배관, 하기 클램프와 셋을 이루는 분배관별 급수관을 개폐하는 분배장치,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조명램프가 점등하도록 해당 조명램프에 점등신호를 발신하고, 해당 조명램프와 셋을 이루는 클램프의 연결 분배관에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분배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제1 가스배관과 제2 가스배관 사이에 배치되고, 암나사형 축구멍이 개방된 단면의 일부가 오목부를 이루는 기준축대; 상기 제1 가스배관의 외주 일측면을 탈착 가능하게 감싸도록 기준축대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측방으로 돌출 구성되는 한 쌍의 고정후크; 상기 축구멍과 연통하는 관통공이 개방된 단면 일부가 오목부에 맞물려 삽탈하는 볼록부를 이루는 회전유닛과, 상기 제2 가스배관의 외주 일측면을 탈착 가능하게 감싸도록 회전유닛의 일측에 측방으로 돌출 구성되는 후크유닛을 갖춘 한 쌍의 프리후크; 상기 기준축대의 단면을 기준으로 프리후크의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축구멍에 나사 결합하는 한 쌍의 볼트; 상기 볼트의 확장된 헤드와 프리후크에 각각 척력을 가하는 한 쌍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클램프, 상기 분배관을 클램프의 기준축대에 연결하는 브래킷, 및 상기 제1,2 가스배관 각각의 둘레를 감싸며 고정되는 그랩퍼와, 상광하협하게 개방되도록 상기 제1,2 가스배관의 둘레를 감싸며 그랩퍼에 고정되는 테이퍼관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분출기구에서 분사된 물이 제1,2 가스배관의 겉면을 타고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깔때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 진압을 위한 기능성 향상 신속 소방방재장치{Fire Fighting Apparatus for easy suppressing fire}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 진압을 위한 기능성 향상 신속 소방방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내부에는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진압할 수 있는 소방 시설이 소방화재 기준에 근거하여 매립되어 있다. 예를 들어, 건물의 내부에는 소화기, 스프링클러, 화재경보기, 차단벽 등의 소방시설이 각 층마다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공동주택의 내부에 구비된 기존의 물분사 소화장치들은 단순히 센서에 의해 STAND-ALONE 형태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건물 내부의 화재가 동시 다발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효율적으로 화재를 진압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방시설은 실내 곳곳에 위치하며 사용자가 이를 쉽게 인지해서 사용하거나 관리할 수 있도록 되어야 한다. 그러나 유사시 야간에는 소방시설의 인지가 쉽지 않고 주목을 위한 어떠한 수단도 갖추고 있지 않으므로, 사실상 소방시설이 무용지물이 되는 경우가 빈번했다.
한편, 스프링클러와 같은 소방시설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용수를 배관으로 공급받아 단부에 구비된 분사노즐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인 것으로,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소화용수를 화재가 발생한 지점으로 분사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예컨대, 종래의 소방시설는 소방시설로 화재의 감지가 이루어지면 구비된 노즐을 통하여 소화용수를 화재현장으로 배출하게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소방시설는 실내 화재의 소화를 주 목적으로 할 뿐, 공공주택의 건물 외벽에 대한 소방시설는 전무하였다. 특히, 공동주택의 외벽에 설치한 가스배관의 경우에는 화재에 의한 가열시 폭발의 위험이 있음에도 가스배관의 소방 및 냉각을 위한 어떠한 소방시설도 상비하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실내 화재에 의한 가스배관의 가열 시 배관에 잔류하는 가스의 폭발 위험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가열된 배관은 창문을 통해 대피하는 거주자가 손으로 잡을 수 없어서 고층 거주자의 경우에는 대피 경로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선행기술문헌 1. 특허공개번호 제10-2020-0132337호(2020.11.25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화재 발생 시 소화시설을 빠르게 인식해서 동작 상황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고 공공주택의 건물 외벽에 설치된 가스배관의 가열을 방지해서 가스 폭발 등의 2차 사고 발생을 방지하고 거주자의 안전한 대피 경로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 진압을 위한 기능성 향상 신속 소방방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층별로 구성된 창문에 설치되어서 기준치 이상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온도센서,
상기 창문별로 셋을 이루는 하기 클램프를 조명하는 조명램프,
공동주택의 벽면에 나란하게 설치된 제1,2 가스배관을 향해 물을 개별 분사하는 다수의 분출기구,
다수의 상기 분출기구에 대한 급수를 위해 급수관을 매개로 급수원과 연결되며, 말단에 상기 분출기구가 설치되는 가지관을 갖춘 분배관,
하기 클램프와 셋을 이루는 분배관별 급수관을 개폐하는 분배장치,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조명램프가 점등하도록 해당 조명램프에 점등신호를 발신하고, 해당 조명램프와 셋을 이루는 클램프의 연결 분배관에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분배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제1 가스배관과 제2 가스배관 사이에 배치되고, 암나사형 축구멍이 개방된 단면의 일부가 오목부를 이루는 기준축대; 상기 제1 가스배관의 외주 일측면을 탈착 가능하게 감싸도록 기준축대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측방으로 돌출 구성되는 한 쌍의 고정후크; 상기 축구멍과 연통하는 관통공이 개방된 단면 일부가 오목부에 맞물려 삽탈하는 볼록부를 이루는 회전유닛과, 상기 제2 가스배관의 외주 일측면을 탈착 가능하게 감싸도록 회전유닛의 일측에 측방으로 돌출 구성되는 후크유닛을 갖춘 한 쌍의 프리후크; 상기 기준축대의 단면을 기준으로 프리후크의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축구멍에 나사 결합하는 한 쌍의 볼트; 상기 볼트의 확장된 헤드와 프리후크에 각각 척력을 가하는 한 쌍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클램프,
상기 분배관을 클램프의 기준축대에 연결하는 브래킷, 및
상기 제1,2 가스배관 각각의 둘레를 감싸며 고정되는 그랩퍼와, 상광하협하게 개방되도록 상기 제1,2 가스배관의 둘레를 감싸며 그랩퍼에 고정되는 테이퍼관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분출기구에서 분사된 물이 제1,2 가스배관의 겉면을 타고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깔때기,
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 진압을 위한 기능성 향상 신속 소방방재장치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소화시설을 빠르게 인식해서 동작 상황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고 공공주택의 건물 외벽에 설치된 가스배관의 가열을 방지해서 가스 폭발 등의 2차 사고 발생을 방지하고 거주자의 안전한 대피 경로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방재장치에 구성된 일부 구성요소의 체계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방재장치의 설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방재장치의 급수라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방재장치에 구성된 클램프에 분출기구이 설치된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클램프의 일실시 예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클램프에 구성된 제1의 프리후크의 바닥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클램프에 구성된 고정후크와 프리후크 간의 조합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상기 고정후크와 프리후크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가스배관에 맞물려 끼워지는 과정을 순차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방재장치에 구성된 깔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상기 깔때기의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방재장치에 구성된 일부 구성요소의 체계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방재장치의 설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방재장치의 급수라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방재장치는, 클램프(100)와 분출기구(200)과 분배관(300)과 브래킷(400)과 깔때기(500)와 조명램프(600, 600', 600")와 온도센서(S1, S2, S3)와 분배장치(700)와 컨트롤러(8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방재장치는 화재로 인한 가스배관(GP1, GP2)의 가열을 방지하도록 가스배관(GP1, GP2)에 물을 분사하는 것으로, 가스배관(GP1, GP2)에 분출기구(200) 및 분배관(300)을 장착하기 위한 클램프(100)와, 급수된 물을 가스배관(GP1, GP2)에 분사하는 분출기구(200)과, 급수를 위한 분배관(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소방방재장치는, 공동주택의 층별로 구성된 창문(미도시함)에 설치되어서 기준치 이상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온도센서(S1, S2, S3), 상기 창문별로 셋(SET; 짝)을 이루는 클램프(100)를 조명하는 조명램프(600, 600', 600"; 이하 600), 공동주택의 벽면에 나란하게 설치된 제1,2 가스배관(GP1, GP2)을 향해 물을 개별 분사하는 다수의 분출기구(200), 다수의 분출기구(200)에 대한 급수를 위해 급수관(WP)을 매개로 급수원과 연결되며, 말단에 분출기구(200)가 설치되는 가지관(310)을 갖춘 분배관(300), 클램프(100)와 셋을 이루는 분배관(300)별 급수관(WP)을 개폐하는 분배장치(700),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조명램프(600)가 점등하도록 해당 조명램프(600)에 점등신호를 발신하고, 해당 조명램프(600)와 셋을 이루는 클램프(100)의 연결 분배관(300)에 급수하도록 분배장치(70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800)를 더 포함한다.
온도센서(S1, S2, S3)와 조명램프(600)와 분출기구(200)와 분배관(300)과 분배장치(700)와 컨트롤러(800)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온도센서(S1, S2, S3)는 공동주택의 층별로 구성된 창문이 유사시 화재로 인해 기준치 이상으로 가열됨을 감지한다. 상기 기준치는 창문을 통한 화염의 발생 가능성을 고려해서 설정된 온도값이며, 이는 창문의 크기, 창문과 가스배관(GP1, GP2) 간의 거리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분출기구(200)는 창문에 인접한 가스배관(GP1, GP2)에 물을 분사하도록 배치되고, 클램프(100)는 분출기구(200)를 공동주택의 벽면에 설치한다. 즉, 분출기구(200) 및 클램프(100)는 창문별로 하나의 셋(SET)을 이룬다. 이를 기반으로 조명램프(600)는 창문별로 셋(SET)을 이루는 클램프(100)를 조명하기 위해 설치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분출기구(200)를 고정한 클램프(100)의 위치를 야간에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조명램프(600)는 벽면에 설치된 클램프(100)별로 개별 설치되며 컨트롤러(800)에 의해 점등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진다.
분출기구(200)는 공동주택의 벽면에 나란하게 설치된 제1,2 가스배관(GP1, GP2)을 향해 물을 개별 분사한다. 분출기구(200)는 개방된 노즐 형태를 이루며, 가지관(310)의 말단에 설치된다. 참고로, 분출기구(200)는 가스배관(GP1, GP2)의 개수에 상응하는 개수로 구성되고, 다수의 분출기구(200)는 하나의 분배관(300)에 개별 설치된다. 분출군(200a, 200b, 200c)은 동일한 분배관(300)에 설치된 분출기구(200)의 집단으로, 동일한 분출군(200a, 200b, 200c)에는 가스배관(GP1, GP2)의 개수에 상응하는 다수의 분출기구(200)가 구성된다.
분배관(300)은 다수의 분출기구(200)에 대한 급수를 위해 급수관(WP)을 매개로 급수원과 연결된다. 분배관(300)은 말단에 분출기구(200)가 설치되는 가지관(310)을 갖추며, 가지관(310)은 가스배관(GP1, GP2)과 짝을 이루도록 구성되므로 가스배관(GP1, GP2)에 상응하는 개수로 분배관(300)에 구성된다.
분배장치(700)는 클램프(100)와 셋을 이루는 분배관(300)별 급수관(WP)을 개폐한다. 분배관(300)은 클램프(100)와 짝을 이루어 설치되고, 급수원과 연결된 급수관(WP) 또한 분배관(300)별로 개별 설치된다. 따라서 임의의 급수관(WP)을 폐구하면 해당 급수관(WP)과 연결된 분배관(300)으로는 물의 공급이 제한되고, 임의의 급수관(WP)을 개구하면 해당 급수관(WP)과 연결된 분배관(300)으로는 물이 공급된다. 결국, 분배장치(700)는 다수의 급수관(WP)을 개폐하면서 분배관(300)으로의 물 공급을 제어하고, 더 나아가 특정 분출기구(200)에서만이 물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컨트롤러(800)는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조명램프(600)가 점등하도록 해당 조명램프(600)에 점등신호를 발신하고, 해당 조명램프(600)와 셋을 이루는 클램프(100)의 연결 분배관(300)에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분배장치(700)를 제어한다. 이에 관한 프로세스를 좀 더 설명하면, 공동주택의 화재 발생시 화재 층의 화염이 해당 층의 창문을 가열한다. 온도센서(S1, S2, S3)는 가열된 창문의 온도가 기준치에 이르면 감지신호를 컨트롤러(800)에 발신하고, 컨트롤러(800)는 해당 온도센서(S1, S2, S3)와 셋을 이루는 조명램프(600)에 점등신호를 발신해서 조명램프(600)가 점등하여 해당 클램프(100) 및 분출기구(200)를 조명하게 한다. 아울러 컨트롤러(800)는 조명램프(600)와 셋을 이루는 클램프(100)와 연결된 분배관(300)에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분배장치(700)를 제어한다. 따라서 급수원의 물은 개방된 급수관(WP)을 통해 해당 분배관(300)으로 급수되어서 해당 분배관(300)의 분출기구(200)는 가스배관(GP1, GP2)에 물을 분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방재장치에 구성된 클램프(100)와 분출기구(200)과 분배관(300)과 브래킷(400)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방재장치에 구성된 클램프에 분출기구이 설치된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클램프의 일실시 예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클램프에 구성된 제1의 프리후크의 바닥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클램프에 구성된 고정후크와 프리후크 간의 조합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상기 고정후크와 프리후크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가스배관에 맞물려 끼워지는 과정을 순차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방재장치에 구성된 클램프(100)는 기준축대(110)와 고정후크(120)와 프리후크(130)와 볼트(140)와 스프링(150)으로 이루어진다.
기준축대(110)는, 나란하게 배치된 제1 가스배관(GP1)과 제2 가스배관(GP2) 사이에 배치되고, 암나사형 축구멍(111)이 개방된 단면의 일부가 오목부(112)를 이룬다. 본 실시 예에서 4개의 가스배관(GP1, GP2)이 고정대(B)를 매개로 벽면(W)을 타도록 설치되고, 이중 가운데 위치한 제1 가스배관(GP1)과 제2 가스배관(GP2) 사이에 기준축대(110)가 나란히 위치한다. 기준축대(110)는 상단면과 하단면에 암나사형 축구멍(111)이 각각 형성되고, 상단면과 하단면의 일부에 형성된 본 실시 예의 오목부(112)는 도 5와 같이 반원 형태이다.
고정후크(120)는 제1 가스배관(GP1)의 외주 일측면을 탈착 가능하게 감싸도록 기준축대(1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측방으로 돌출 구성된다. 고정후크(1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링 형태를 이루고, 개방된 일측을 통해 제1 가스배관(GP1)의 외주 일측면이 압입된다. 고정후크(120)의 내측은 제1 가스배관(GP1)과의 긴밀한 밀착을 위한 점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고정후크(120)는 적어도 기준축대(1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돌출되므로, 상기 상단과 하단에 배치하기 위해 한 쌍을 이룬다.
프리후크(130)는, 축구멍(111)과 연통하는 관통공(131)이 개방된 단면, 즉 바닥면의 일부가 오목부(112)에 맞물려 삽탈하는 볼록부(132)를 이루는 회전유닛(130a)과, 제2 가스배관(GP2)의 외주 일측면을 탈착 가능하게 감싸도록 회전유닛(130a)의 일측에 측방으로 돌출 구성되는 후크유닛(130b)을 갖춘다. 기준축대(110)의 단면과 마주하며 접하는 회전유닛(130a)은 축구멍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회전 중에 볼록부(132)가 오목부(112)에 삽입되어 맞물리면 회전유닛(130a)은 회전을 기계적으로 정지한다. 본 실시 예에서 볼록부(132) 역시 반원 형태를 이루며, 오목부(112)와 볼록부(132)가 마주하기 전까지는 도 7과 같이 고정후크(120)와 후크유닛(130b)은 상호 겹칩 없이 상하로 이격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후크유닛(130b)은 고정후크(120)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링 형태를 이루고, 개방된 일측을 통해 제2 가스배관(GP2)의 외주 일측면이 압입된다. 또한 고정후크(120)의 내측은 제1 가스배관(GP1)과의 긴밀한 밀착을 위한 점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프리후크(130, 130')는 고정후크(120, 120')에 대응하게 구성되어야 하므로, 기준축대(110)의 상단과 하단에 배치한 한 쌍의 고정후크(120, 120')에 대응해서 한 쌍을 이룬다. 참고로, 기준축대(110)에 구성된 오목부(112)와, 회전유닛(130a)의 볼록부(132)가 도 8의 (c)도면과 같이 고정후크(120)와 회전후크(130)가 서로 대향할 때 서로 맞물려지도록 위치한다. 즉, 고정후크(120)와 회전후크(130)가 제1 가스배관(GP1)과 제2 가스배관(GP2)에 각각 끼워지면, 외력에도 상호 회전 없이 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볼트(140)는, 기준축대(110)의 단면을 기준으로 프리후크(130)의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관통공(131)을 관통하여 축구멍(111)에 나사 결합한다. 축구멍(111)은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암나사 형태이므로, 볼트(140)는 회전 방향에 따라 축구멍(111)으로 인입출한다. 따라서 볼트(140)를 축구멍(111)의 인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프리후크(130)는 볼트(140)를 따라 보다 넓은 범위로 승하강하고, 볼트(140)를 축구멍(111)의 인입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프리후크(130)의 승하강 범위는 작아진다. 이러한 구조를 기반으로 작업자는 클램프 설치 시 볼트(140)를 인출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오목부(112)와 볼록부(132)가 서로 맞물리지 않은 고정후크(120)와 회전후크(130)가 2층의 적층 상태를 유지하도록 여유 공간을 제공한다. 이후, 오목부(112)와 볼록부(132)가 서로 맞물리면 해당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업자는 볼트(140)를 인입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볼트(140)의 헤드(141)가 프리후크(130)의 회전유닛(130a)을 가압하게 한다. 볼트(140, 140') 또한 한 쌍의 고정후크(120, 120') 및 프리후크(130, 130')에 대응하기 위해 한 쌍을 이룬다.
스프링(150)은 볼트(140)의 확장된 헤드(141)와 프리후크(130)에 각각 척력을 가한다. 본 실시 예에서 스프링(150)은 볼트(140)의 둘레를 감싸는 코일 스프링 형태이고, 스프링(150)의 양단은 헤드(141)와 프리후크(130)에 각각 맞닿는다. 따라서 오목부(112)와 볼록부(132)가 서로 맞물리지 않은 상태에서도 프리후크(130)의 회전유닛(130a)은 기준축대(110)의 단면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고정후크(120)와 프리후크(130)가 볼트(140)를 기준으로 서로 회전하면서 오목부(112)와 볼록부(132)가 서로 마주하게 되면, 스프링(150)의 척력에 의해 볼록부(132)는 오목부(112)에 삽입되어 맞물린다. 결국, 스프링(150)은 오목부(112)와 볼록부(132)의 위치를 맞추는 번거로움 없이 오목부(112)와 볼록부(132)를 바로 맞물게 해서, 작업자는 볼트(140)를 인입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작업만을 속행하면 된다.
전술한 구조의 클램프(100)를 제1 가스배관(GP1) 및 제2 가스배관(GP2)에 끼워 고정하기 위해서, 작업자는 도 8의 (a)도면과 같이 고정후크(120)와 프리후크(130)가 제1 가스배관(GP1) 및 제2 가스배관(GP2) 사이에 삽입되도록 서로 접고, 도 8의 (b)도면과 같이 고정후크(120) 및 프리후크(130)의 개방된 일측을 제1 가스배관(GP1) 및 제2 가스배관(GP2)에 각각 끼워 맞춘 후에 압입하면서 제1 가스배관(GP1) 및 제2 가스배관(GP2) 사이로 밀어 넣는다. 고정후크(120)와 프리후크(130) 각각에 제1 가스배관(GP1)과 제2 가스배관(GP2)이 삽입되며 도 8의 (c)도면과 같이 고정후크(120)와 프리후크(130)가 일렬로 배치되면, 오목부(112)와 볼록부(132)는 서로 맞물린 상태를 이루므로, 작업자는 볼트(140)를 회전시켜서 고정후크(120)와 프리후크(130)가 서로 겹친 상태로 단단히 조여지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방재장치는, 제1,2 가스배관(GP1, GP2)을 향해 물을 개별 분사하는 다수의 분출기구(200)과, 다수의 분출기구(200)로의 급수를 위해 분출기구(200)별 가지관(310)을 갖춘 분배관(300)과, 분배관(300)을 클램프(100)의 기준축대(110)에 연결하는 브래킷(400)을 더 포함한다.
분출기구(200)은 항시 개방된 상태를 이루고, 각각의 가스배관(GP1, GP2) 전용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분출기구(200)은 4개의 가스배관(GP1, GP2)에 대응하는 4개로 구성된다.
분배관(300)은 말단에 분출기구(200)이 설치되는 가지관(310)을 다수 구성하고, 급수관(WP)에서 유입되는 물을 다수의 가지관(310)으로 분배하는 배관 구조를 이룬다. 본 실시 예에서 가지관(310)은 분출기구(200)의 개수에 상응하는 4개로 구성된다.
브래킷(400)은 분배관(300)을 기준축대(110)에 고정하기 위해서, 기준축대(110)에 고정되는 제1 고정유닛(410)과, 분배관(300)에 고정되는 제2 고정유닛(420)과, 제1 고정유닛(410)과 제2 고정유닛(420)을 서로 연결하는 링커(430)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고정유닛(410)과 제2 고정유닛(420)이 기준축대(110)와 분배관(300)의 둘레를 감싸는 링 타입인 것으로 했으나, 이외에도 기준축대(110)와 분배관(300) 각각에 체결될 수 있는 구조와 형태라면 특정 수단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방재장치에 구성된 깔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상기 깔때기의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깔때기(500)는 분출기구(200)에서 분사된 물이 이탈 없이 가스배관(GP1, GP2)의 겉면에 효율적으로 점착되어 타고 흐르도록 물을 가이드 한다. 이를 위해 깔때기(500)는 가스배관(GP1, GP2)에서 분출기구(200)로부터 분사된 물의 점착 지점 하부에 배치한다.
본 실시 예의 깔때기(500)는, 가스배관(GP1, GP2) 각각의 둘레를 감싸며 고정되는 그랩퍼(510)와, 상광하협하게 개방되도록 제1,2 가스배관(GP1, GP2)의 둘레를 감싸며 그랩퍼(510)에 고정되는 테이퍼관(520)으로 이루어진다.
그랩퍼(510)는 깔때기(500)를 가스배관(GP1, GP2) 별로 각각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가스배관(GP1, GP2)의 둘레를 감싸는 링 형태이고, 가스배관(GP1, GP2)과 접하는 내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테이퍼관(520)은 상부와 하부가 상광하협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개방된 상부로 수집된 물은 개방된 하부에서 가스배관(GP1, GP2)의 겉면과 맞닿게 되고, 이를 통해 물은 가스배관(GP1, GP2)에 집중되어 가스배관(GP1, GP2)의 냉각 효율을 높인다.
그랩퍼(510)와 테이퍼관(520)은 그랩퍼(510)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된 지지대(511)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하협하게 개방된 테이퍼관(520)의 하부에는 필터링을 위한 메쉬(530a, 530b)가 구성될 수 있다.
깔때기(500)는 이미 배관된 가스배관(GP1, GP2)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도 10와 같이 본 실시 예의 깔때기(500)는 반호 형태의 한 쌍의 그랩퍼(510a, 510b)와, 반호 형태의 한 쌍의 테이퍼관(520a, 520b)이 서로 접철하는 연결 상태를 이룬다. 따라서 작업자는 한 쌍의 그랩퍼(510a, 510b)와 한 쌍의 테이퍼관(520a, 520b)을 도 10와 같이 펼쳐서 가스배관(GP1, GP2)에 끼운 후에 이를 다시 접어 연결해서, 깔때기(50)가 가스배관(GP1, GP2)의 둘레를 감싸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클램프 110; 기준축대 111; 축구멍
112; 오목부 120; 고정후크 130; 프리후크
130a; 회전유닛 130b; 후크유닛 131; 관통공
132; 볼록부 140; 볼트 150; 스프링
200; 분출기구 300; 분배관 310; 가지관
400; 브래킷 500; 깔때기 510; 그랩퍼
520; 테이퍼관 600; 조명램프 700; 분배장치
800; 컨트롤러 GP1, GP2; 가스배관 S1, S2, S3; 온도센서
WP; 급수관

Claims (1)

  1. 공동주택의 층별로 구성된 창문에 설치되어서 기준치 이상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온도센서,
    상기 창문별로 셋을 이루는 하기 클램프를 조명하는 조명램프,
    공동주택의 벽면에 나란하게 설치된 제1,2 가스배관을 향해 물을 개별 분사하는 다수의 분출기구,
    다수의 상기 분출기구에 대한 급수를 위해 급수관을 매개로 급수원과 연결되며, 말단에 상기 분출기구가 설치되는 가지관을 갖춘 분배관,
    하기 클램프와 셋을 이루는 분배관별 급수관을 개폐하는 분배장치,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조명램프가 점등하도록 해당 조명램프에 점등신호를 발신하고, 해당 조명램프와 셋을 이루는 클램프의 연결 분배관에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분배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제1 가스배관과 제2 가스배관 사이에 배치되고, 암나사형 축구멍이 개방된 단면의 일부가 오목부를 이루는 기준축대; 상기 제1 가스배관의 외주 일측면을 탈착 가능하게 감싸도록 기준축대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측방으로 돌출 구성되는 한 쌍의 고정후크; 상기 축구멍과 연통하는 관통공이 개방된 단면 일부가 오목부에 맞물려 삽탈하는 볼록부를 이루는 회전유닛과, 상기 제2 가스배관의 외주 일측면을 탈착 가능하게 감싸도록 회전유닛의 일측에 측방으로 돌출 구성되는 후크유닛을 갖춘 한 쌍의 프리후크; 상기 기준축대의 단면을 기준으로 프리후크의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축구멍에 나사 결합하는 한 쌍의 볼트; 상기 볼트의 확장된 헤드와 프리후크에 각각 척력을 가하는 한 쌍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클램프,
    상기 분배관을 클램프의 기준축대에 연결하는 브래킷, 및
    상기 제1,2 가스배관 각각의 둘레를 감싸며 고정되는 그랩퍼와, 상광하협하게 개방되도록 상기 제1,2 가스배관의 둘레를 감싸며 그랩퍼에 고정되는 테이퍼관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분출기구에서 분사된 물이 제1,2 가스배관의 겉면을 타고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깔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 진압을 위한 기능성 향상 신속 소방방재장치.
KR1020220055859A 2022-05-06 2022-05-06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 진압을 위한 기능성 향상 신속 소방방재장치 KR102501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859A KR102501284B1 (ko) 2022-05-06 2022-05-06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 진압을 위한 기능성 향상 신속 소방방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859A KR102501284B1 (ko) 2022-05-06 2022-05-06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 진압을 위한 기능성 향상 신속 소방방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1284B1 true KR102501284B1 (ko) 2023-02-17

Family

ID=85327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859A KR102501284B1 (ko) 2022-05-06 2022-05-06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 진압을 위한 기능성 향상 신속 소방방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12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4101A (ko) * 2013-07-29 2015-02-06 (주) 한국소방엔지니어링 옥외 시설용 소화 설비
KR20200132337A (ko) 2019-05-17 2020-11-25 주식회사 포리얼 문화재 화재 방지 강우 분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4101A (ko) * 2013-07-29 2015-02-06 (주) 한국소방엔지니어링 옥외 시설용 소화 설비
KR20200132337A (ko) 2019-05-17 2020-11-25 주식회사 포리얼 문화재 화재 방지 강우 분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0412U (ja) 火災消火装置
KR101999290B1 (ko)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
KR101681515B1 (ko) 소화설비를 구비한 건물 내 화재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851319B1 (ko) 공동주택의 전기 및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경보 장치
KR101654704B1 (ko) 정역회전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를 구비한 화재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853291B1 (ko) 천장용 소화기시스템
KR102501285B1 (ko) 긴급 비상 대피 유도가 용이한 소방표시장치
KR102172697B1 (ko) 화학물질 또는 가스 공급시스템에 구성되는 다중화된 자동 소화 시스템
KR101761721B1 (ko)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RU2414966C1 (ru) Система водян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WO2014030840A1 (ko) 급수홀을 가지는 소화용 분무노즐
KR102501284B1 (ko)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 진압을 위한 기능성 향상 신속 소방방재장치
KR20170104261A (ko) 전개노즐이 구비된 국부용 소방시스템
RU2482924C1 (ru) Установк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водяной завесой
KR101683442B1 (ko) 상하 분사형 소방 설비를 구비한 건물 내 화재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187037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CN114667170A (zh) 灭火器具、灭火设备以及灭火方法
RU2464058C1 (ru) Система водян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EP2496313A1 (en) Security system for operation of a habitat on installations
KR101880756B1 (ko)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안전 전원공급장치
CN201164676Y (zh) 同时灭火器
KR102477935B1 (ko)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용 물분사 노즐 탑재장치
JP2019037430A (ja) 非常用消火設備
KR102487741B1 (ko) 다기능 안전형 소방기기
RU2536226C2 (ru) Система водян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