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945B1 - 콘크리트 타설용 호퍼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타설용 호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945B1
KR102500945B1 KR1020210026073A KR20210026073A KR102500945B1 KR 102500945 B1 KR102500945 B1 KR 102500945B1 KR 1020210026073 A KR1020210026073 A KR 1020210026073A KR 20210026073 A KR20210026073 A KR 20210026073A KR 102500945 B1 KR102500945 B1 KR 102500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concrete
unit
vibration
holder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1999A (ko
Inventor
김봉준
박용인
Original Assignee
(주)원진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진이엔지 filed Critical (주)원진이엔지
Priority to KR1020210026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945B1/ko
Publication of KR20220121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25Buck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 내부의 표면에 콘크리트가 잔류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를 타설위치로 일정한 양으로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용 호퍼에 관한 것으로, 호퍼부(11)는, 상단에 위치하는 제1 호퍼(110)와, 중간에 위치하는 제2 호퍼(130)와, 하단에 위치하는 제3 호퍼(112)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호퍼(130)는 상기 제1 호퍼(110)와 상기 제3 호퍼(112) 사이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가동 유지부(140)가 상기 제2 호퍼(130)를 상기 제1 호퍼(110)에 가동 가능하게 유지하며, 상기 가동 유지부(140)는, 상기 제1 호퍼(110)의 하단부 둘레를 감싸는 상태로 수용하는 제1 홀더부(141); 상기 제2 호퍼(130)의 상단부 둘레를 감싸는 상태로 수용하는 제2 홀더부(142); 상기 제1 홀더부(141)와 상기 제2 홀더부(142)를 단부에서 연결하는 연결유닛(143); 상기 연결유닛(143)의 일단을 상기 제1 홀더부(141)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1 홀더부(141)에 설치되는 제1 고정유닛(144); 상기 연결유닛(143)의 타단을 상기 제2 홀더부(142)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2 홀더부(142)에 설치되는 제2 고정유닛(145); 및 상기 제1 호퍼(110)가 상기 제2 호퍼(130)에 수용되는 깊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연결유닛(143)에 결합되는 조절유닛(1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타설용 호퍼{HOPPER FOR POURING CONCRETE}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콘크리트 타설용 호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 내부의 표면에 콘크리트가 잔류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를 타설위치로 일정한 양으로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용 호퍼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KR10-1998-0085917 A1)에는 '콘크리트 타설용 호퍼 및 그 운반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러한 콘크리트 타설용 호퍼는 개폐장치의 개폐부재가 콘크리트 배출구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개폐부재의 상부면에 묻은 콘크리트가 흘러내리지 않아 굳음으로서 개폐부재의 작동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문헌 2(KR20-0362402 B1)에서 콘크리트 배출구를 차단하는 개폐장치의 개폐부재가 경사지게 배치되어, 개폐장치의 개폐부재를 개방할 때 콘크리트가 개폐부재의 상부면에서 흘러내려 콘크리트가 개폐부재의 상부면에 존재하지 않게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호퍼를 제안하였다.
하지만, 특허문헌 2에서는 본체 내부의 표면에 콘크리트가 잔류하는 추가적인 문제점이 있었고, 더욱이 배출되는 콘크리트의 양을 제어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도 있었다.
KR 10-1998-0085917 A1 KR 20-0362402 B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체 내부의 표면에 콘크리트가 잔류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를 타설위치로 일정한 양으로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용 호퍼를 제공함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호퍼는, 호퍼부(11)가 받침대(13)에 의해 지지되고, 호퍼부(11)의 상단에 인양용 와이어를 걸수있는 다수의 원형고리(15)가 배치되고, 호퍼부(11)의 하부에 콘크리트 배출구(17)가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배출구(17)의 외주면에 개폐장치(31)의 개폐부재(32)가 출입할 수 있도록 절개부(19)가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배출구(17)의 하부에 배치되는 슈트(21)를 포함하고, 상기 슈트(21)의 내측단의 양측 사이드에 장착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22)에 고정수단에 의해 콘크리 배출구(17)에서 절개부(19)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슈트(21)의 외측단 양측 사이드에 원형 고리(25)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 고리(25)에 와이어(26)의 양단이 묶인 상태에서, 와이어(26)의 중간부분이 받침대(13)에 장착된 후크(41)에 걸림으로서, 슈트(21)의 외측단이 와이어(26)에 의해 지지된 콘크리트 타설용 호퍼로서, 상기 호퍼부(11)는, 상단에 위치하는 제1 호퍼(110)와, 중간에 위치하는 제2 호퍼(130)와, 하단에 위치하는 제3 호퍼(112)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호퍼(130)는 상기 제1 호퍼(110)와 상기 제3 호퍼(112) 사이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가동 유지부(140)가 상기 제2 호퍼(130)를 상기 제1 호퍼(110)에 가동 가능하게 유지하며, 상기 가동 유지부(140)는, 상기 제1 호퍼(110)의 하단부 둘레를 감싸는 상태로 수용하는 제1 홀더부(141); 상기 제2 호퍼(130)의 상단부 둘레를 감싸는 상태로 수용하는 제2 홀더부(142); 상기 제1 홀더부(141)와 상기 제2 홀더부(142)를 단부에서 연결하는 연결유닛(143); 상기 연결유닛(143)의 일단을 상기 제1 홀더부(141)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1 홀더부(141)에 설치되는 제1 고정유닛(144); 상기 연결유닛(143)의 타단을 상기 제2 홀더부(142)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2 홀더부(142)에 설치되는 제2 고정유닛(145); 및 상기 제1 호퍼(110)가 상기 제2 호퍼(130)에 수용되는 깊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연결유닛(143)에 결합되는 조절유닛(1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진동유닛(150)이 상기 제2 호퍼(130)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호퍼(130)에 연결되며, 상기 진동유닛(150)은, 진동을 생성시키는 진동생성부(151); 및 상기 진동생성부(151)에서 생성된 진동력을 상기 제2 호퍼(130)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진동전달부(152)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생성부(151)는 입력 값과 대응하도록 진동주파수를 달리하는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신호발생부(151a) 및 상기 신호발생부(151a)로부터 인가받은 전기신호와 대응하는 주파수로 음파를 가변시킨 출력신호를 상기 진동전달부(152)로 전가하는 음파증폭부(151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슈트(21)는 상기 슈트(21)의 일단에 형성된 배출구 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콘크리트 배출시 콘크리트의 낙하 하중에 의해 개방되는 단속부(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속부(120)는, 상측부터 하측으로 배치되어 회전부재(124)에 의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다수의 판부재(121, 122, 123); 상기 다수의 판부재(121, 122, 123) 중 최하단부의 판부재(123)는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각각 회전가능한 다수의 보조판부재(123a, 123b, 123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판부재(121, 122, 123) 또는 다수의 보조판부재(123a, 123b, 123c)의 외면에는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부착방지 코팅층(도시안됨)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착방지 코팅층은 실란트 1 내지 5 중량부, 수지 5 내지 20 중량부, 실리콘 오일 10 내지 20 중량부, 세라믹 분말 15 내지 20 중량부, 프라이머 2 내지 3 중량부, 첨가제 1 내지 5 중량부, 및 용매로 크실렌 또는 톨루엔 1 내지 3 중량부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호퍼에 의하면, 본체 내부의 표면에 콘크리트가 잔류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를 타설위치로 일정한 양으로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호퍼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 지지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슈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매체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고 등록받은 국내등록실용 제20-0362402호의 그 전체 내용이 참조로서 포함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호퍼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 지지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슈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호퍼는, 호퍼부(11)가 받침대(13)에 의해 지지되고, 호퍼부(11)의 상단에 인양용 와이어(도시안됨)를 걸수있는 다수의 원형고리(15)가 배치되고, 호퍼부(11)의 하부에 콘크리트 배출구(17)가 형성되고 있다.
상기 콘크리트 배출구(17)의 외주면에 개폐장치(31)의 개폐부재(32)가 출입할 수 있도록 절개부(19)가 형성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장치(31)는 피니언 기어와 랙기어가 맞물리게 됨으로써, 핸들(34)의 회전에 의해 원형의 개폐부재(32)가 콘크리트 배출구(17)의 절개부(19)로 삽입되어 콘크리트 배출구(17)를 막거나 상기 절개부(19)에서 인출되어 콘크리트 배출구(17)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콘크리트 배출구(17)의 하부에 배치되는 슈트(21)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슈트(21)의 내측단의 양측 사이드에 장착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22)에 고정수단(예: 볼트와 너트)에 의해 콘크리 배출구(17)에서 절개부(19)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슈트(21)의 외측단 양측 사이드에 원형 고리(25)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 고리(25)에 와이어(26)의 양단이 묶인 상태에서, 와이어(26)의 중간부분이 받침대(13)에 장착된 후크(41)에 걸림으로써, 슈트(21)의 외측단이 와이어(26)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특히, 상기 호퍼부(11)는, 상단에 위치하는 제1 호퍼(110)와, 중간에 위치하는 제2 호퍼(130)와, 하단에 위치하는 제3 호퍼(112)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호퍼(130)는 상기 제1 호퍼(110)와 상기 제3 호퍼(112) 사이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때 가동 유지부(140)가 상기 제2 호퍼(130)를 상기 제1 호퍼(110)에 가동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다.
제1 내지 제3 호퍼(110, 130, 112)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될 수 있으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3 호퍼(110, 130, 112)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콘크리트를 경사면을 따라 콘크리트 배출구(17)로 안내할 수 있다.
제1 호퍼(110)는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1 호퍼(110)의 상부로 콘크리트를 정확하게 투입시킬 수 있고, 제3 호퍼(112)도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배출구(17)를 통해 하부에 배치되는 슈트(21)로 콘크리트를 정확하게 배출할 수 있다.
제2 호퍼(130)는 고정된 제1 호퍼(110)와 제3 호퍼(112) 사이에서 일정 범위에서 좌우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내부에 부착되거나 고착된 콘크리트를 용이하게 제거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콘크리트가 제1 내지 제3 호퍼(110, 130, 112) 내부로 투입될 때 내부에 고착되거나 부착될 수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호퍼(110)의 하단부 둘레와 제2 호퍼(130)의 상단부 둘레 사이에 이격 간격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호퍼(130)의 하단부 둘레와 제3 호퍼(112)의 상단부 둘레 사이에 이격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호퍼(130)가 제1 호퍼(110)와 제3 호퍼(112) 사이에서 용이하게 가동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가동 유지부(140)는, 상기 제1 호퍼(110)의 하단부 둘레를 감싸는 상태로 수용하는 제1 홀더부(141)와, 상기 제2 호퍼(130)의 상단부 둘레를 감싸는 상태로 수용하는 제2 홀더부(142)와, 상기 제1 홀더부(141)와 상기 제2 홀더부(142)를 단부에서 연결하는 연결유닛(143)과, 상기 연결유닛(143)의 일단을 상기 제1 홀더부(141)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1 홀더부(141)에 설치되는 제1 고정유닛(144)과, 상기 연결유닛(143)의 타단을 상기 제2 홀더부(142)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2 홀더부(142)에 설치되는 제2 고정유닛(14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유닛(143)이 제1 고정유닛(144)과 제2 고정유닛(145)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연결유닛(143)이 제1 홀더부(141)와 제2 홀더부(142) 내를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연결유닛(143)이 고정되기 때문에, 제1 홀더부(141)와 제2 홀더부(142) 사이의 이격거리가 감소할 수는 있지만, 증가하지는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호퍼(130)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좌우 방향으로는 진동을 할 수 있지만, 상하로 진동을 하는 것은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유지부(140)는, 상기 제1 호퍼(110)가 상기 제2 호퍼(130)에 수용되는 깊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연결유닛(143)에 결합되는 조절유닛(14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조절유닛(146)에 의해 연결유닛(143)이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조절유닛(146)에 연결유닛(143)의 양단이 삽입되는 정도를 증가시키면 연결유닛(143)의 길이가 짧아져서 제2 호퍼(13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 호퍼(110)의 하단이 제2 호퍼(130) 내로 더 깊숙하게 삽입될 수 있다.
조절유닛(146)에 연결유닛(143)의 양단이 삽입되는 정도를 감소시키면 연결유닛(143)의 길이가 길어져서 제2 호퍼(13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 호퍼(110)의 하단이 제2 호퍼(130) 내로 삽입되는 깊이가 감소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진동유닛(150)이 상기 제2 호퍼(130)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호퍼(13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진동유닛(150)은, 진동을 생성시키는 진동생성부(151)와, 상기 진동생성부(151)에서 생성된 진동력을 상기 제2 호퍼(130)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진동전달부(1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동생성부(151)는 입력 값과 대응하도록 진동주파수를 달리하는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신호발생부(151a) 및 상기 신호발생부(151a)로부터 인가받은 전기신호와 대응하는 주파수로 음파를 가변시킨 출력신호를 상기 진동전달부(152)로 전가하는 음파증폭부(151b)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신호발생부(151a)에 의한 음파의 주파수 가변에 따라 진동력을 발생시켜 제2 호퍼(130)를 진동시킴으로써 콘크리트가 제1 내지 제3 호퍼(110, 130, 112) 내부로 투입될 때 내부에 고착되거나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슈트(21)는 상기 슈트(21)의 일단에 형성된 배출구 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콘크리트 배출시 콘크리트의 낙하 하중에 의해 개방되는 단속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단속부(120)는, 상측부터 하측으로 배치되어 회전부재(124)에 의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다수의 판부재(121, 122, 123)와, 상기 다수의 판부재(121, 122, 123) 중 최하단부의 판부재(123)는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각각 회전가능한 다수의 보조판부재(123a, 123b, 123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판부재(121, 122, 123)는 종방향으로 연결되고,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상측부터 하측으로 제1 판부재(121), 제2 판부재(122), 제3 판부재(123)가 회전부재(124)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다수의 판부재(121, 122, 123)는 슈트(21)의 콘크리트 이동경로와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슈트(21)의 내벽과 일정한 유격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속부(120)가 유격을 통해 회동하면서 슈트(21)의 콘크리트 이동경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제1 판부재(121)는 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회전축(125)의 중심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축(125)의 양단부는 슈트(21)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는 지지대(127)를 관통한다. 이에, 회전축(125)이 지지대(127)에 의해 지지되면서 회전할 수 있고, 회전축(125)이 회전하면서 제1 판부재(121)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2 판부재(122)는 제1 판부재(121)의 하부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제3 판부재(123)는 제2 판부재(122)의 하부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판부재(121), 제2 판부재(122), 제3 판부재(123)는 각각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슈트(21)가 측부로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에서, 슈트(21)가 움직이면 단속부(120)가 슈트(21)의 움직임 각도 또는 슈트(2110) 내의 콘크리트의 낙하 하중에 비례하여 개방될 수 있다.
특히, 제3 판부재(123)는 다수의 판부재(121, 122, 123) 중 최하단부의 판부재로서,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각각 회동가능한 다수의 보조판부재(123a, 123b, 123c)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제3 판부재(123)는 좌측부터 우측으로 제1 보조판부재(123a), 제2 보조판부재(123b), 제3 보조판부재(12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판부재(123)가 다수의 판부재로 형성되면, 소량의 콘크리트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슈트(21)에 소량의 콘크리트가 남아있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다수의 보조판부재(123a,123b,123c)를 연결하기 위해 회전부재(124)는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조판부재(123a)와 제2 판부재(122)를 연결해주는 회전부재, 제2 보조판부재(123b)와 제2 판부재(122)를 연결해주는 회전부재, 제3 보조판부재(123c)와 제2 판부재(122)를 연결해주는 회전부재가 별도로 구비되어 제1 내지 제3 보조판부재(123a,123b,123c)를 제2 판부재(122)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해줄 수 있다.
회전부재(124)는 다수의 판부재(121, 122, 123) 중 상측에 배치되는 판부재에 설치되는 제1 부분(124a), 하측에 배치되는 판부재에 설치되는 제2 부분(124b), 및 상기 제1 부분(124a)와 상기 제2 부분(124b)에 끼움결합되어 회전가능한 연결축(124c)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판부재(121, 122, 123) 또는 다수의 보조판부재(123a, 123b, 123c)의 외면에는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부착방지 코팅층(도시안됨)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착방지 코팅층은 세라믹 코팅액 10-20 중량부, 실리콘계수지나 실리콘오일 2-7 중량부 및 펄소재 7-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세라믹 코팅액과 펄 소재, 실리콘계수지나 실리콘오일은 필요에 따라 상기 범위 내에서 배합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세라믹 코팅액은 무기질의 세라믹 코팅액으로서, 상온에서 티이오에스(TEOS, Tetraethylorthosilicate) : 아연아세테이트 : 에탄올 : 물 : HCl = 1 : 1~2 : 1~3 : 1~8 : 0.1~5의 몰비로 혼합하고 교반하여 pH 3~4의 투명한 졸(sol)을 얻는 단계와, 상기 졸에 유기단량체인 글리시돌(Glycidol)을 전체 중량비의 12~15 중량부 첨가하고, 축합촉매제로서 황산을 전체 중량의 0.1~5.5 중량부 가하여 80~90℃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성분의 몰(mole)비는 TEOS를 기준으로 하며, 교반은 6시간 정도가 바람직하다.
펄소재는 이산화티탄 코팅된 천연 또는 합성 마이카일 수 있다.
이러한 부착방지 코팅층은 다수의 판부재(121, 122, 123) 또는 다수의 보조판부재(123a, 123b, 123c)의 외면에 콘크리트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호퍼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고자 하는 경우, 호퍼부(11)의 상단에 위치한 원형고리(15)에는 인양용 와이어를 걸어 원하는 높이로 인양가능하고, 와이어(26)의 고리부(26a)를 후크(41)에 걸어 슈트(21)가 측부로 경사지게 배치가능하다.
예를 들어, 슈트(21)가 수평상태로 배치되면 단속부(120)는 개방되지 않는다. 그러나, 와이어(26)에 의해 슈트(21)가 측부로 경사지게 배치되면 콘크리트가 슈트(21)의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여 타설위치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단속부(120)가 유격을 통해 회동하면서 슈트(21)의 콘크리트 이동경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여기서, 단속부(120)는 다수의 판부재(121, 122, 123)로 형성되기 때문에, 다수의 판부재(121, 122, 123)가 회동하면 결과적으로 단속부(120)가 굴절될 수 있다. 특히, 다수의 판부재(121, 122, 123) 중 최하단부의 판부재(123)가 콘크리트와 가장 많이 접촉하기 때문에 다른 판부재(121,122)에 비해 후방 측으로 더 많이 회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속부(120)의 다수의 판부재(121, 122, 123)가 굴절되어 회동하면서 배출 콘크리트와의 저항성을 형성시켜, 콘크리트를 타설위치로 일정한 양으로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호퍼(130)가 제1 호퍼(110)와 제3 호퍼(112) 사이에서 용이하게 가동할 수 있으며, 신호발생부(151a)에 의한 음파의 주파수 가변에 따라 진동력을 발생시켜 제2 호퍼(130)를 진동시킴으로써 콘크리트가 제1 내지 제3 호퍼(110, 130, 112) 내부로 투입될 때 내부에 고착되거나 부착되는 문제점도 해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 호퍼부
110 : 제1 호퍼
130 : 제2 호퍼
112 : 제3 호퍼
140 : 가동 유지부
141 : 제1 홀더부
142 : 제2 홀더부
143 : 연결유닛
144 :제1 고정유닛
145 : 제2 고정유닛
146 : 조절유닛
150 : 진동유닛

Claims (5)

  1. 호퍼부(11)가 받침대(13)에 의해 지지되고, 호퍼부(11)의 상단에 인양용 와이어를 걸수있는 다수의 원형고리(15)가 배치되고, 호퍼부(11)의 하부에 콘크리트 배출구(17)가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배출구(17)의 외주면에 개폐장치(31)의 개폐부재(32)가 출입할 수 있도록 절개부(19)가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배출구(17)의 하부에 배치되는 슈트(21)를 포함하고, 상기 슈트(21)의 내측단의 양측 사이드에 장착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22)에 고정수단에 의해 콘크리 배출구(17)에서 절개부(19)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슈트(21)의 외측단 양측 사이드에 원형 고리(25)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 고리(25)에 와이어(26)의 양단이 묶인 상태에서, 와이어(26)의 중간부분이 받침대(13)에 장착된 후크(41)에 걸림으로서, 슈트(21)의 외측단이 와이어(26)에 의해 지지된 콘크리트 타설용 호퍼로서,
    상기 호퍼부(11)는, 상단에 위치하는 제1 호퍼(110)와, 중간에 위치하는 제2 호퍼(130)와, 하단에 위치하는 제3 호퍼(112)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호퍼(130)는 상기 제1 호퍼(110)와 상기 제3 호퍼(112) 사이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가동 유지부(140)가 상기 제2 호퍼(130)를 상기 제1 호퍼(110)에 가동 가능하게 유지하며, 상기 가동 유지부(140)는,
    상기 제1 호퍼(110)의 하단부 둘레를 감싸는 상태로 수용하는 제1 홀더부(141);
    상기 제2 호퍼(130)의 상단부 둘레를 감싸는 상태로 수용하는 제2 홀더부(142);
    상기 제1 홀더부(141)와 상기 제2 홀더부(142)를 단부에서 연결하는 연결유닛(143);
    상기 연결유닛(143)의 일단을 상기 제1 홀더부(141)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1 홀더부(141)에 설치되는 제1 고정유닛(144);
    상기 연결유닛(143)의 타단을 상기 제2 홀더부(142)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2 홀더부(142)에 설치되는 제2 고정유닛(145); 및
    상기 제1 호퍼(110)가 상기 제2 호퍼(130)에 수용되는 깊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연결유닛(143)에 결합되는 조절유닛(146)을 포함하고,
    상기 슈트(21)는 상기 슈트(21)의 일단에 형성된 배출구 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콘크리트 배출시 콘크리트의 낙하 하중에 의해 개방되는 단속부(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속부(120)는,
    상측부터 하측으로 배치되어 회전부재(124)에 의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다수의 판부재(121, 122, 123);
    상기 다수의 판부재(121, 122, 123) 중 최하단부의 판부재(123)는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각각 회전가능한 다수의 보조판부재(123a, 123b, 123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호퍼.
  2. 제1항에 있어서,
    진동유닛(150)이 상기 제2 호퍼(130)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호퍼(130)에 연결되며, 상기 진동유닛(150)은,
    진동을 생성시키는 진동생성부(151); 및
    상기 진동생성부(151)에서 생성된 진동력을 상기 제2 호퍼(130)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진동전달부(152)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생성부(151)는 입력 값과 대응하도록 진동주파수를 달리하는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신호발생부(151a) 및 상기 신호발생부(151a)로부터 인가받은 전기신호와 대응하는 주파수로 음파를 가변시킨 출력신호를 상기 진동전달부(152)로 전가하는 음파증폭부(151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호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판부재(121, 122, 123) 또는 다수의 보조판부재(123a, 123b, 123c)의 외면에는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부착방지 코팅층(도시안됨)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호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방지 코팅층은 세라믹 코팅액 10-20 중량부, 실리콘계수지나 실리콘오일 2-7 중량부 및 펄소재 7-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호퍼.
KR1020210026073A 2021-02-26 2021-02-26 콘크리트 타설용 호퍼 KR102500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073A KR102500945B1 (ko) 2021-02-26 2021-02-26 콘크리트 타설용 호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073A KR102500945B1 (ko) 2021-02-26 2021-02-26 콘크리트 타설용 호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999A KR20220121999A (ko) 2022-09-02
KR102500945B1 true KR102500945B1 (ko) 2023-02-17

Family

ID=83281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073A KR102500945B1 (ko) 2021-02-26 2021-02-26 콘크리트 타설용 호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9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402Y1 (ko) * 2004-06-30 2004-09-18 이병렬 콘크리트 타설용 호퍼
JP2008127047A (ja) * 2006-11-20 2008-06-05 Shinko Electric Co Ltd 加振装置付ホッパ
KR102166039B1 (ko) * 2020-05-27 2020-10-16 이성해 배터리 원료 투입장치
KR102187248B1 (ko) * 2016-04-22 2020-12-07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고형 물질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5917A (ko) 1997-05-30 1998-12-05 이정국 콘크리트 타설용 호퍼 및 그 운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402Y1 (ko) * 2004-06-30 2004-09-18 이병렬 콘크리트 타설용 호퍼
JP2008127047A (ja) * 2006-11-20 2008-06-05 Shinko Electric Co Ltd 加振装置付ホッパ
KR102187248B1 (ko) * 2016-04-22 2020-12-07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고형 물질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66039B1 (ko) * 2020-05-27 2020-10-16 이성해 배터리 원료 투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999A (ko) 2022-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0945B1 (ko) 콘크리트 타설용 호퍼
KR102056830B1 (ko) 화장품 원재료 배합장치
MX2008015508A (es) Organo de carga para llenadoras de recipientes.
CN109719002A (zh) 一种适应快节奏流水作业的双组份快干胶间歇式施胶装置
CN209597168U (zh) 一种生产含羟胺基团多烷氧基硅烷偶联剂的带搅拌反应器
CN211194432U (zh) 一种干粉砂浆动态生产装置
CN209527161U (zh) 一种均衡式撒肥机抛洒机构
CN206502332U (zh) 一种掺混肥料搅拌生产线
CN214819737U (zh) 一种混凝土骨料的下料称重装置
CN205150753U (zh) 具备放料控制的物料存放料仓
CN209141149U (zh) 一种清洗效果好的环氧树脂搅拌装置
CN205132135U (zh) 破拱装置及料仓
JP6894763B2 (ja) 浅場の製造方法および土砂投入装置
CN208615044U (zh) 基于塔体的自流平砂浆施工装置
CN107901228B (zh) 一种称重混凝土搅拌装置
CN209423546U (zh) 一种多彩漆造粒装置
CN206156737U (zh) 一种全自动可控型涂料灌装装置
CN203018085U (zh) 一种混料均匀的反应釜
CN112649079A (zh) 一种能快速称量的多头线性秤
CN213766422U (zh) 预应力混凝土电杆生产养护用设备
CN105642218A (zh) Pu树脂反应釜
CN215877316U (zh) 一种隔热涂料制成用混合装置
CN216423011U (zh) 一种自动下料的混凝土搅拌装置
CN209612762U (zh) 一种涂料投料装置
CN205150799U (zh) 料仓出料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