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867B1 - 특수화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특수화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867B1
KR102500867B1 KR1020210029415A KR20210029415A KR102500867B1 KR 102500867 B1 KR102500867 B1 KR 102500867B1 KR 1020210029415 A KR1020210029415 A KR 1020210029415A KR 20210029415 A KR20210029415 A KR 20210029415A KR 102500867 B1 KR102500867 B1 KR 102500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
outsole
attached
specialization
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5500A (ko
Inventor
남희도
Original Assignee
남희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희도 filed Critical 남희도
Priority to KR1020210029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867B1/ko
Publication of KR20220125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5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02Mountain boots or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1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combined with heel stiffener, toe stiffener, or shank stiffen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081Toe stiffeners
    • A43B23/086Toe stiffeners made of impregnated fabrics, plastic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16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made of impregnated fabrics, plastic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edial arch, i.e. under the navicular or cuneiform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3/00Wear-resisting attachments
    • A43C13/04Cleats; Simple studs; Screws; Hob-nai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3/00Wear-resisting attachments
    • A43C13/14Special attachments for toe-caps; Protecting caps for toe-cap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2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attached to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9Equipment associated with footwear for walking on inclines to compensate for angle of inclination

Abstract

암벽화, 등산화, 안전화 등과 같은 특수화에서 내마모성, 마찰력 또는 탄력 등을 부가하기 위해 아웃 솔 및 갑피 상에 각각 부착되는 랜드를 일체화하여 제작되는 특수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수화의 갑피 및 아웃 솔의 외부에 각각 부착되는 랜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랜드 부재는 일체로 이루어진 구성을 마련하여, 착용자의 발과 특수화의 밀착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특수화 및 그 제조방법{Special sho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특수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암벽화, 등산화, 안전화 등과 같은 특수화에서 내마모성, 마찰력 또는 탄력 등을 부가하기 위해 아웃 솔 및 갑피 상에 각각 부착되는 랜드를 일체화하여 제작되는 특수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보행, 운동 또는 산업 활동 등의 활동시 발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장비이며, 최근 다양한 종류의 스포츠를 즐기는 인구가 증가하면서 각 스포츠에 최적화된 암벽화, 등산화, 안전화 등의 기능화가 출시되고, 산업용 안전화도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여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암벽화는 암벽을 등반할 때 착용하는 기능화로서 양말을 신지 않고 착용자의 발에 피팅 되도록 착용한다. 이러한 암벽화는 등반 목적에 따라 미세한 돌출부를 딛고 서기 좋은 에징용(edge), 슬랩(slab)에서 마찰력이 높은 프릭션용(friction), 크랙 등반용(crack climbing) 및 스포츠 클라이밍에 적합한 인공암장용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 발가락이 수용되는 선단부가 둥근 것, 각진 것, 뾰족한 것 등 여러 모양으로 제작되며 등반 목적에 따라 쓰임새가 각각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암벽화는 재질에 따라 단단한 고무 재질의 암벽화는 엣징(edging)이나 조그만 렛지(ledge)에 좋은 성능을 나타내며, 비교적 무르고 끈적끈적한 고무 재질의 암벽화는 페이스(face)나 슬랩(slab) 등벽에 적합하다.
이러한 암벽화는 가죽, 인조가죽, 섬유 및 합성섬유 재질의 외피(upper)와 인솔(안창, insole)을 포함하며, 상기 인솔의 외면에는 유연성 및 마찰력을 높이면서도 상기 암벽화의 내구성이 개선되도록 부틸고무 재질의 아웃 솔(밑창, out sole)과 랜드(rand)가 덧대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암벽화는 암벽 또는 인공암벽의 다양한 풋 홀드(foothold) 형상에 대응하여 발의 전체적인 외면이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발가락뿐만 아니라 발바닥에도 힘이 안정적으로 가해지면서도 착지 된 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바닥면이 휘어진 모양으로 형성되어 족형(발의 형상)에 최대한 피팅 되어야 한다. 특히, 발의 내측으로 오목한 아치부에 대응하여 상기 암벽화의 전체적인 프로파일이 밀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암벽화에 관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1 내지 3 등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착용자의 발 앞 부분과 중간 부분을 보호하는 업퍼(10), 상기 업퍼(10)와 결합되며 발 뒷부분을 보호하는 신축성을 갖는 발 뒤꿈치부(20), 상기 발 뒤꿈치부(20)의 신축성을 보조하고 밀착도를 향상시키는 아킬레스건 고무 랜드(30), 발 뒤꿈치부(20)의 윗부분에 결합되어 암벽화 착용 시 착용자의 발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루프(48) 및 상기 업퍼(10)와 발 뒤꿈치부(20)가 결합된 바닥면에 부착되는 아웃 솔부로 구성되며, 상기 발 뒤꿈치부(20)는 착용 시 착용자의 발뒤꿈치의 삽입을 보조하고 착용 후 착용자의 발뒤꿈치의 아킬레스건을 보호하며 밀착되도록 하는 전, 후 2방향으로 이완/수축되는 제1구역 및 상기 제1구역의 하단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착용 후 암벽등반 시 착용자의 발뒤꿈치의 바닥면 움직임에 따라 변형되는 발뒤꿈치의 형상에 대응하여 착용자의 움직임에도 여전히 발뒤꿈치에 밀착될 수 있도록 전, 후, 좌, 우 4방향으로 이완/수축되는 제2구역으로 구성된 암벽화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적은 힘을 이용하여 손쉽게 엄지발가락을 갈고리 형태로 굽힐 수 있게 하기 위해 암벽화의 저면을 형성하는 아웃 솔, 상기 아웃 솔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결되고 발을 수용하는 갑피, 상기 아웃 솔의 상부에 배치되어 발바닥을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아웃 솔보다 경질인 지지창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창의 상면에는 발가락의 지절골이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발가락의 기절골 부분을 상승시키는 융기부가 상향 돌출된 암벽화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 3에는 발바닥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내측 테두리가 발의 아치부 프로파일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인솔, 상기 발의 상측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상기 인솔의 외측 테두리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발의 외 측면을 커버하는 외측면부 및 상기 발의 내측 면을 커버하되 하단부 테두리가 상기 인솔의 내측 테두리와 결합되는 내측면부를 포함하는 일체형 외피부 및 양단부가 상기 발의 발바닥 측 아치부를 감싸도록 상기 인솔 및 상기 일체형 외피부에 고정되되, 조임 수단에 의해 조임 조작되는 견인 조절부를 포함하는 풋홀드 존 신발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4036호(2017.03.31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1558호(2017.11.21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65708호(2018.06.01 등록)
상술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착용자의 발의 형상에 맞게 밀착되는 밀착성 및 신축성을 갖도록 제1구역, 제2구역, 뱀프 고무 랜드, 뒤꿈치 고무 랜드를 마련하였지만, 각각의 랜드가 단절되어 마련되므로, 사용 중 각각이 분리되어 떨어져나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특허문헌 2에는 아웃 솔이 신축성과 유연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발바닥 앞쪽을 평평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창을 마련한 기술에 대해 개시되어 있지만, 갑피 및 아웃 솔의 외부에 마련되는 랜드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3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암벽화의 착용시 조임 밴드를 별도로 착용하는 과정이 번거롭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피부가 인솔의 외곽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됨에 따라 견인 조절부의 견인력이 일체로 연장된 부분을 통해 인솔에 견고하게 전달되는 구조를 마련하였지만, 암벽화의 마찰성, 탄력성, 마모성 등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지 않았다.
한편, 본 발명자에 의해 개발된 암벽화 또는 등산화는 1차 가열 작업 후 갑피와 미드솔을 부착하고, 2차 가열 작업 후 갑피의 힐 부분의 둘레 부분에 힐 고무 랜드(rand)를 부착하며, 3차 가열 작업 후 갑피의 업퍼 부분에 토우 캡 고무 랜드를 부착하고, 4차 가열 작업 후 갑피와 아웃 솔을 부착하여 제작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에서는 예를 들어, 암벽화의 앞 부분, 뒤 부분, 양옆 부분, 밑 부분 등을 각각 분리된 랜드로 접착하므로, 랜드의 접착을 위한 온도 조정, 경화 시간의 대기 등에 의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랜드의 망실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각각의 부분에 대응하는 랜드를 제조하기 위한 랜드 부재의 손실이 과다하게 되며, 각각의 랜드 접착에 의해 전체적인 암벽화의 지지 상태도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암벽화에 접착된 각각의 랜드가 동일 재질로 적용되므로, 암벽화의 사용 부위에 따른 각각의 랜드의 기능을 최적화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고 마찰성 부재, 고강도 탄력성 부재, 고 내마모성 부재를 구비한 랜드를 마련하여 특수화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수화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체로 이루어진 랜드 부재를 적용하여 특수화의 착용시 착용자의 발을 전체적으로 감쌀 수 있는 특수화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착용자의 발과 특수화의 밀착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특수화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착용자의 발의 앞 부분과 뒤꿈치 부분에서 지지도를 보완할 수 있는 특수화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수화에 부착되는 랜드의 접착 과정을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는 특수화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수화의 사용 부위에 따른 각각의 랜드의 기능을 최적화할 수 있는 특수화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특수화는 특수화의 갑피 및 아웃 솔의 외부에 각각 부착되는 랜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랜드 부재는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특수화에서, 상기 랜드 부재는 고 마찰성 부재, 고강도 탄력성 부재, 고 내마모성 부재가 연속하여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특수화에서, 상기 랜드 부재는 합성 고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특수화에서, 상기 랜드 부재는 상기 갑피의 발뒤꿈치 부분에 부착되는 아킬레스건용 제1 랜드, 상기 제1 랜드에 연속되고, 상기 아웃 솔의 아치 부분을 경유하여 발볼 부분에 부착되는 발볼용 제2 랜드, 상기 제1 랜드에 연속되고, 상기 아웃 솔의 아치 부분에 부착되는 아치용 제3 랜드, 상기 제3 랜드에 연속되고, 상기 갑피의 업퍼 부분에 부착되는 업퍼용 제4 랜드, 상기 제4 랜드에 연속되고, 상기 갑피의 토우 부분에 부착되는 토우용 제5 랜드, 상기 제5 랜드에 연속되고, 상기 제3 랜드를 경유하여 상기 아웃 솔의 힐 부분에 부착되는 힐용 제6 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특수화에서, 상기 제6 랜드의 단부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으로 분리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각각 상기 제1 랜드의 하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특수화에서, 상기 제2 랜드는 토우 부분을 향해 U자 형상으로 마련된 고마찰성 부재와 고 내마모성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특수화에서, 상기 제1 랜드와 제5 랜드는 고강도 탄력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 랜드는 고 마찰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6 랜드는 고 내마모성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특수화에서, 상기 특수화는 암벽화, 등산화, 안전화 중의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특수화의 제조방법은 (a) 특수화를 제조하기 위한 갑피, 아웃 솔 및 랜드 부재를 마련하는 단계, (b) 상기 갑피의 하부에 상기 아웃 솔을 결합하는 단계, (c) 상기 갑피 및 아웃 솔의 외부에 각각 랜드 부재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랜드 부재는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특수화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단계 (c)는 (c1) 아킬레스건용 제1 랜드를 상기 갑피의 발뒤꿈치 부분에 부착하는 단계, (c2) 발볼용 제2 랜드를 상기 아웃 솔의 아치 부분을 경유하여 발볼 부분에 부착하는 단계, (c3) 아치용 제3 랜드를 상기 아웃 솔의 아치 부분에 부착하는 단계, (c4) 업퍼용 제4 랜드를 상기 갑피의 업퍼 부분에 부착하는 단계, (c5) 토우용 제5 랜드를 상기 갑피의 토우 부분에 부착하는 단계, (c6) 힐용 제6 랜드를 상기 제3 랜드를 경유하여 상기 아웃 솔의 힐 부분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특수화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1 랜드와 제5 랜드는 고강도 탄력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랜드는 토우 부분을 향해 U자 형상으로 마련된 고 마찰성 부재와 고 내마모성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4 랜드는 고 마찰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6 랜드는 고 내마모성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특수화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6 랜드의 단부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으로 분리되어 마련되고, 상기 단계 (c6)에서 상기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각각 상기 제1 랜드의 하부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특수화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특수화는 암벽화이고, 상기 제1 랜드 내지 제6 랜드는 합성 고무로서 연속되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특수화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일체로 이루어진 랜드 부재를 사용하여 특수화의 갑피 및 아웃 솔의 외부에 랜드를 부착하므로, 특수화의 착용시 착용자의 발을 전체적으로 감쌀 수 있으며, 접착 과정에서 랜드의 망실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특수화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고 마찰성 부재, 고강도 탄력성 부재, 고 내마모성 부재를 구비한 랜드를 적용하므로, 랜드의 기능을 최적화하면서 특수화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특수화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아치 부분에서 착용자의 발 안쪽과 바깥쪽을 조여주게 마련되므로, 특수화의 착용시 착용자의 발을 감싸게 하여 착용자의 발과 특수화의 밀착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특수화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발뒤꿈치 부분에 부착되는 아킬레스건용 제1 랜드의 양측이 아치 부분으로 당겨지도록 마련되므로, 착용자의 뒤꿈치 부분에서 지지도를 보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특수화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일체로 이루어진 랜드 부재를 사용하므로, 랜드의 접착 과정을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신축성을 갖는 발 뒤꿈치부가 적용된 암벽화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특수화의 일 예로서 암벽화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랜드 부재의 구성도,
도 4 내지 도 9는 도 3에 도시된 랜드 부재가 특수화의 갑피 및 아웃 솔의 외부에 각각 부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사시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용어 "특수화"는 암벽화, 등산화, 안전화 등과 같은 특수 운동 등을 위해 개별적으로 제조하여 착용할 수 있는 신발을 의미하고, "랜드(rand)"는 아웃 솔과 갑피가 만나는 부분을 둘러싸는 넓은 고무 띠 부분을 의미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랜드가 갑피 부분 또는 아웃 솔 부분에 마련될 수도 있고, "랜드 부재"는 다수의 랜드가 일체화되어 이루어진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특수화의 일 예로서 암벽화의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랜드 부재의 구성도 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특수화의 일 예로서 암벽화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등산화 또는 안전화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특수화로서 암벽화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착용자의 발을 감싸 보호하고, 착용자의 발뒤꿈치가 삽입되는 힐컵과 발 앞 부분이 삽입되는 토우 박스가 포함된 발 형상으로 제작되는 갑피(50), 갑피(50)의 내측에 위치하고, 갑피(50)와 더불어 외부로부터 착용자의 발등을 보호하는 베라, 외부로부터 착용자의 발바닥을 보호하고, 발디딤부와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마찰력이 발생되는 아웃 솔(60), 갑피(50)의 상부에 위치하여 착용자의 발을 고정시키는 착용수단으로서, 끈으로 묶는 전통적인 형태, 탈착의 용이성이 강조된 벨크로 형태, 발등의 높이가 낮아 착용자의 발등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안정감을 더해주는 탄력 밴드 형태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제1 슈레이스(70)와 제2 슈레이스(80), 갑피(50)의 발뒤꿈치가 삽입되는 상부 일측인 힐컵의 상측에 위치하여 착용 시 착용자의 발의 삽입을 보조하는 고리 형태의 루프(90) 및 특수화의 갑피(50) 및 아웃 솔(60의 외부에 각각 부착되는 랜드 부재(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랜드 부재(100)는 이소부틸렌과 소량의 이소프렌을 공중합(共重合)하여 만들어진 부틸(butyl) 고무를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랜드 부재(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 마찰성 부재, 고강도 탄력성 부재, 고 내마모성 부재가 연속하여 마련되어 일체로 마련되며, 특수화의 크기에 따라 약 80~100㎝의 길이로 마련된다. 이와 같은 랜드 부재(100)는 통상의 합성 고무 프레스 방식에 의해 마련될 수 있고, 합성 고무의 프레스 시 마찰성, 내마모성 등을 부가하기 위한 재질을 함유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랜드 부재(100)는 갑피(50)와 아웃 솔(60)의 외부에 일체로 접착되므로, 갑피(50)와 아웃 솔(60)의 형상에 대응하게 마련된 것이다.
상기 랜드 부재(100)는 상기 갑피(50)의 발뒤꿈치 부분에 부착되는 아킬레스건용 제1 랜드(110), 상기 제1 랜드(110)에 연속되고, 상기 아웃 솔(60)의 아치 부분을 경유하여 발볼 부분에 부착되는 발볼용 제2 랜드(120), 상기 제1 랜드(110)에 연속되고, 상기 아웃 솔(60)의 아치 부분에 부착되는 아치용 제3 랜드(130), 상기 제3 랜드(130)에 연속되고, 상기 갑피(50)의 업퍼 부분에 부착되는 업퍼용 제4 랜드(140), 상기 제4 랜드(140)에 연속되고, 상기 갑피(50)의 토우 부분에 부착되는 토우용 제5 랜드(150), 상기 제5 랜드(150)에 연속되고, 상기 제3 랜드(130)를 경유하여 상기 아웃 솔(60)의 힐 부분에 부착되는 힐용 제6 랜드(1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랜드(110)는 고강도 탄력성 부재인 고무로 이루어지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50)의 발뒤꿈치 부분에 대응하여 상부는 평판한 형상으로, 하부는 약간 복록한 형상으로 마련된다.
도 3에서 상기 제1 랜드(110)의 좌측에서 연속하여 마련된 상기 제2 랜드(120)는 갑피(50)의 토우 부분을 향해 U자 형상으로 마련된 고 마찰성 부재와 고 내마모성 부재의 고무로 이루어지며, 아웃 솔(60)의 발볼 부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또 상기 제2 랜드(120)의 고 내마모성 부재의 부분에는 다수의 홀이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제3 랜드(130)는 도 3에서 상기 제1 랜드(110)의 우측에서 연속하여 마련되고, 부틸 컬러 고무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랜드(120)가 경유한 아웃 솔(60)의 아치 부분과 교차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제2 랜드(120)와 제3 랜드(130)가 갑피(50)의 아치 부분에서 안쪽과 바깥쪽을 조여주게 마련되므로, 특수화의 착용시 착용자의 발을 감싸게 해줄 수 있다.
상기 제4 랜드(140)는 고 마찰성 부재의 고무로 마련되고, 갑피(50)의 업퍼 부분에 대응한 형상으로 마련된다. 또 상기 제4 랜드(140)의 고 마찰성 부재의 부분에도 다수의 홀이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4 랜드(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랜드(130)와 제5 랜드(150) 사이에서 업퍼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대략 반원형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므로, 제3 랜드(130)에서 제4 랜드(140)로 연속되는 부분은 토우용 랜드의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5 랜드(150)는 고강도 탄력성 부재인 고무로 이루어지고, 갑피(50)의 토우 부분을 감싸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5 랜드(150)의 상부는 제4 랜드(140)의 원호 형상의 측면과 맞닿게 마련될 수 있고, 하부는 제2 랜드(120)의 둘레 부분을 덧씌우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6 랜드(160)는 고 내마모성 부재인 고무로 이루어지고, 아웃 솔(60)의 아치 부분에 부착되는 상기 제3 랜드(130)를 경유하고, 아웃 솔(60)의 힐 부분에 부착되며, 제1 랜드(110)의 하부까지 부착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6 랜드(160)의 단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161) 및 제2 부분(162)으로 분리되며, 상기 제1 부분(161) 및 제2 부분(162)이 각각 상기 제1 랜드(110)의 하부에 부착되게 마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아웃 솔(60)의 외부의 발볼 부분과 힐 부분의 랜드인 제2 랜드(120)와 제6 랜드(160)가 고 내마모성 부재로 마련되므로, 특수화의 아웃 솔 부분에서의 마모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아웃 솔(60)의 아치 부분에서 안쪽과 바깥쪽을 조여주게 마련되므로, 특수화의 착용시 착용자의 발을 감싸게 해줄 수 있어 착용자의 발과 특수화의 밀착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특수화의 제조 과정에 대해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9는 도 3에 도시된 랜드 부재가 특수화의 갑피 및 아웃 솔의 외부에 각각 부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사시도 이다.
먼저, 특수화인 암벽화를 제조하기 위한 갑피(50), 아웃 솔(60)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랜드 부재(100)를 마련한다. 상기 갑피(50)에는 베라, 제1 슈레이스(70)와 제2 슈레이스(80) 및 루프(90) 등이 마련될 수도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갑피(50)의 하부에 아웃 솔(60)을 결합한다. 이와 같은 갑피(50)와 아웃 솔(60)의 결합은 통상의 접착제 또는 봉제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기 아웃 솔(60)의 상부, 즉 갑피(50)의 내부에는 미드 솔 또는 인솔이 마련될 수도 있다.
다음에 상기 갑피(50) 및 아웃 솔(60)의 외부에 각각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이루어진 랜드 부재(100)를 부착한다. 즉, 고 마찰성 부재, 고강도 탄력성 부재, 고 내마모성 부재가 연속하여 마련되어 일체로 마련된 랜드 부재를 특수화의 기능에 접합하도록 갑피(50) 및 아웃 솔(60)의 외부에 부착한다. 또 갑피(50) 및 아웃 솔(60)과 랜드 부재(100)의 접착은 갑피(50) 및 아웃 솔(60)의 가열 작업 후 실행될 수 있다. 또 갑피(50) 및 아웃 솔(60)과 랜드 부재(100)에 통상의 접착제를 도포한 후 접착 작업을 실행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랜드 부재(100)의 부착 과정에서는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킬레스건용 제1 랜드(110)를 상기 갑피(50)의 발뒤꿈치 부분에 부착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 제2 랜드(120)와 우측에 제3 랜드(130)가 위치한 상태에서 제1 랜드(110)를 팽팽하게 유지시키며, 갑피(50)의 발뒤꿈치 부분에 부착한다.
이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볼용 제2 랜드(120)를 아웃 솔(60)의 아치 부분을 경유하여 아웃 솔(60)의 외부인 발볼 부분에 부착한다. 이때 U자 형상으로 마련된 고마찰성 부재가 갑피(50)의 토우 부분을 향하도록 부착한다.
다음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용 제3 랜드(130)를 상기 아웃 솔(60)의 아치 부분에 부착한다. 이와 같이, 제2 랜드(120)와 제3 랜드(130)가 갑피(50)의 아치 부분에서 안쪽과 바깥쪽을 조여주게 부착되므로, 특수화의 착용시 착용자의 발을 감싸게 해줄 수 있다.
계속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 마찰성 부재의 고무로 이루어진 업퍼용 제4 랜드(140)를 상기 갑피(50)의 업퍼 부분에 부착한다. 한편, 제3 랜드(130)에서 제4 랜드(140)로 연속되는 부분은 토우용 랜드의 기능을 구비할 수 있도록, 갑피(50)의 토우 부분에 부착된다.
그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강도 탄력성 부재인 고무로 이루어진 토우용 제5 랜드(150)를 상기 갑피(50)의 토우 부분에 부착한다. 이에 따라 갑피(150)의 토우 부분의 전체 둘레에 따라 랜드를 부착할 수 있다.
랜드 부재(100)의 남아 있는 부분인 힐용 제6 랜드(160)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랜드(130)를 경유하여 상기 아웃 솔(60)의 힐 부분에 부착한다. 이 제6 랜드(160)는 힐 부분에서 제1 랜드(110)의 하부까지 연장되어 부착된다.
상술한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이루어진 랜드 부재(100)를 적용하여 갑피(50) 및 아웃 솔(60)의 외주에 랜드를 접착하므로, 접착 과정에서 종래의 단품으로 이루어진 랜드의 망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랜드의 접착 과정을 연속하여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특수화 및 그 제조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착용자의 발과 특수화의 밀착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50 : 갑피
60 : 아웃 솔
100 : 랜드 부재

Claims (13)

  1. 특수화의 갑피 및 아웃 솔의 외부에 각각 부착되는 랜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랜드 부재는 특수화의 착용시 착용자의 발을 전체적으로 감쌀 수 있도록 80~100㎝의 길이로 마련되고,
    상기 랜드 부재는
    상기 갑피의 발뒤꿈치 부분에 부착되는 아킬레스건용 제1 랜드,
    상기 제1 랜드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아웃 솔의 아치 부분을 경유하여 발볼 부분에 부착되는 발볼용 제2 랜드,
    상기 제1 랜드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아웃 솔의 아치 부분에 부착되는 아치용 제3 랜드,
    상기 제3 랜드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갑피의 업퍼 부분에 부착되는 업퍼용 제4 랜드,
    상기 제4 랜드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갑피의 토우 부분에 부착되는 토우용 제5 랜드,
    상기 제5 랜드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제3 랜드를 경유하여 상기 아웃 솔의 힐 부분에 부착되는 힐용 제6 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랜드 내지 제6 랜드는 연속하여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화.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랜드 부재는 합성 고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화.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제6 랜드의 단부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으로 분리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각각 상기 제1 랜드의 하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화.
  6. 제5항에서,
    상기 제2 랜드는 토우 부분을 향해 U자 형상으로 마련된 고 마찰성 부재와 고 내마모성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화.
  7. 제6항에서,
    상기 제1 랜드와 제5 랜드는 고강도 탄력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 랜드는 고 마찰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6 랜드는 고 내마모성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화.
  8. 제1항에서,
    상기 특수화는 암벽화, 등산화, 안전화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화.
  9. (a) 특수화를 제조하기 위한 갑피, 아웃 솔 및 랜드 부재를 마련하는 단계,
    (b) 상기 갑피의 하부에 상기 아웃 솔을 결합하는 단계,
    (c) 상기 갑피 및 아웃 솔의 외부에 각각 랜드 부재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랜드 부재는 특수화의 착용시 착용자의 발을 전체적으로 감쌀 수 있도록 80~100㎝의 길이로 마련되고,
    상기 단계 (c)는
    (c1) 아킬레스건용 제1 랜드를 상기 갑피의 발뒤꿈치 부분에 부착하는 단계,
    (c2) 상기 제1 랜드와 일체로 마련된 발볼용 제2 랜드를 상기 아웃 솔의 아치 부분을 경유하여 발볼 부분에 부착하는 단계,
    (c3) 상기 제1 랜드와 일체로 마련된 아치용 제3 랜드를 상기 아웃 솔의 아치 부분에 부착하는 단계,
    (c4) 상기 제3 랜드와 일체로 마련된 업퍼용 제4 랜드를 상기 갑피의 업퍼 부분에 부착하는 단계,
    (c5) 상기 제4 랜드와 일체로 마련된 토우용 제5 랜드를 상기 갑피의 토우 부분에 부착하는 단계,
    (c6) 상기 제5 랜드와 일체로 마련된 힐용 제6 랜드를 상기 제3 랜드를 경유하여 상기 아웃 솔의 힐 부분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랜드 내지 제6 랜드는 연속하여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화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서,
    상기 제1 랜드와 제5 랜드는 고강도 탄력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랜드는 토우 부분을 향해 U자 형상으로 마련된 고 마찰성 부재와 고 내마모성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4 랜드는 고 마찰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6 랜드는 고 내마모성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화의 제조방법.
  12. 제9항에서,
    상기 제6 랜드의 단부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으로 분리되어 마련되고, 상기 단계 (c6)에서 상기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각각 상기 제1 랜드의 하부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화의 제조방법.
  13. 제9항에서,
    상기 특수화는 암벽화이고,
    상기 제1 랜드 내지 제6 랜드는 합성 고무로서 연속되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수화의 제조방법.
KR1020210029415A 2021-03-05 2021-03-05 특수화 및 그 제조방법 KR102500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415A KR102500867B1 (ko) 2021-03-05 2021-03-05 특수화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415A KR102500867B1 (ko) 2021-03-05 2021-03-05 특수화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500A KR20220125500A (ko) 2022-09-14
KR102500867B1 true KR102500867B1 (ko) 2023-02-15

Family

ID=83279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415A KR102500867B1 (ko) 2021-03-05 2021-03-05 특수화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8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170332A1 (en) * 2018-11-30 2020-06-04 Calzaturificio S.C.A.R.P.A. S.P.A. Climbing sho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352Y1 (ko) * 2015-09-09 2017-05-08 삼덕통상 주식회사 암벽화용 밴드
KR101801558B1 (ko) 2016-05-24 2017-11-27 주식회사 트렉스타 암벽화
KR101724036B1 (ko) 2016-07-11 2017-04-07 (주)부토라 신축성을 갖는 발 뒤꿈치부가 적용된 암벽화
KR101865708B1 (ko) 2018-02-21 2018-06-08 와일드마운틴 주식회사 풋홀드 존 신발
IT201800005617A1 (it) * 2018-05-23 2019-11-23 Scarpa da arrampicat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170332A1 (en) * 2018-11-30 2020-06-04 Calzaturificio S.C.A.R.P.A. S.P.A. Climbing sho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500A (ko)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6152B2 (en) Article of footwear for athletic and recreational activities with bootie
US4934073A (en) Exercise-enhancing walking shoe
US2801478A (en) Auxiliary soles
US20170042291A1 (en) Slip-on footwear with foot securing system
US20040111921A1 (en) Article of footwear, particularly for climbing
US20120233888A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a Ball Contacting Member
US20020144434A1 (en) Walking boot having a detachable upper reinforcement, and reinforcement for such a boot
US20030159312A1 (en) Footwear article having an elastic tightening
US6295742B1 (en) Sandal with resilient claw shaped cleats
EP2434919B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a shape correcting member
DE69513805D1 (de) Schuh mit schläuchen für schnürsenkel
US4510701A (en) Athletic shoe and counter
US8539695B1 (en) Footwear device
US20180084862A1 (en) Golf shoe with an outsole having a skeletal frame
US2780013A (en) Footwear
EP2453770B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thong portion including grooves
KR101724036B1 (ko) 신축성을 갖는 발 뒤꿈치부가 적용된 암벽화
KR102500867B1 (ko) 특수화 및 그 제조방법
CN106455754B (zh) 具有选择性定位的衬垫的鞋类鞋面
CN208597778U (zh) 一种舞蹈鞋
CN214103423U (zh) 一种防脱落的皮鞋
JP3226897U (ja)
KR102128807B1 (ko) 경사면 보행 밑창
US11944158B2 (en) Sole element
JP2004254803A (ja) インソール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