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855B1 - 매립석탄재 기반 긴급복구용 유동성 채움재 - Google Patents

매립석탄재 기반 긴급복구용 유동성 채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855B1
KR102500855B1 KR1020220120886A KR20220120886A KR102500855B1 KR 102500855 B1 KR102500855 B1 KR 102500855B1 KR 1020220120886 A KR1020220120886 A KR 1020220120886A KR 20220120886 A KR20220120886 A KR 20220120886A KR 102500855 B1 KR102500855 B1 KR 102500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l ash
ash
landfill
rate
cl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0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남
임영철
Original Assignee
(주)세종이엔씨
한국동서발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종이엔씨, 한국동서발전(주) filed Critical (주)세종이엔씨
Priority to KR1020220120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8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02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compounds only
    • C09K17/10Cements, e.g. Portland 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8Flue dust, i.e. fly as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663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as filling material for caviti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되지 못하고 매립된 매립석탄재로부터 채움재(CLSM)에 요구되는 용도별 유동성, 충진성, 강도 특성을 충족시키는 최적의 물성을 갖는 매립석탄재를 선택하여 고품위의 매립석탄재 기반 긴급복구용 유동성 채움재를 제공하는 것이며, 시멘트(C) 100㎏/㎥에 대하여 분쇄에 의해 전처리한 0.075㎜체 통과율이 13 ~ 15.5%인 직경 2㎜ 실트질 모래군(SM) 분류의 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플라이애시 및 바텀애시가 혼합된 상태의 석탄재를 재활용하지 못하고 매립한 매립석탄재(PA) 1103 ~ 1077㎏/㎥ 및 물(W) 425 ~ 437.5㎏/㎥를 포함하여 조성되고, 유동율 200 ~ 227mm 및 블리딩율 1.28 ~ 1.63%를 나타내는 관뒤채움용 또는 구조물 뒤채움용의 유동성 채움재인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매립석탄재를 활용한 유동성 체움재(CLSM)는 시멘트 결합재만으로 W/C 조정을 통해 적절한 유동성 및 블리딩률을 확보하여 압축강도 등 요구 성능을 충족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활용되지 못하고 매립된 매립석탄재의 재활용률을 최소 90%에서 최대 95%까지 확보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산업적 및 친환경적으로 매우 유리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매립석탄재 기반 긴급복구용 유동성 채움재{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s for emergency recovery based on pond ash}
본 발명은 매립석탄재를 활용한 유동성 채움재(CLSM, 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s)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노후 하수관거의 누수 또는 인근 토목공사 시 지하수 유출에 따른 지하 공동 발생 등에 의한 지반침하 발생 시 지반침하 복구공사에 적용하는 매립석탄재를 활용한 유동성 채움재(CLSM)에 관한 것이다.
유동성 채움재(CLSM, 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s)는 저강도 콘크리트 개념을 지반공학에 적용한 공법으로 미국 콘크리트학회(ACI Committee 229, 1994)에서는 모래, 혼화제, 시멘트, 플라이애시, 물로 구성된 저강도 유동성 채움재로 정의하고 있으며, 자기수평성과 자기다짐성, 유동성과 강도의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경화시간이 길어 도로와 같이 즉시복구가 필요한 구간에는 적용이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매립석탄재는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플라이애시(Fly Ash), 바텀애시(Bottom Ash) 등의 석탄재를 재활용하지 못하고 매립한 석탄재를 의미하며, 상기한 석탄재는 지속적으로 배출되고 있으나 전체 석탄회 발생량 중 약 70%는 재활용되고 나머지는 사회적, 경제적 요인으로 재활용되지 못하고 매립되고 있는 실정이며, 일부 발전소의 경우 80 ~ 90%의 매립비율을 나타내고 있어 매립장이 부족한 상태이며, 해안에 위치 한 매립장의 지리적 특성상 해양 생태계의 환경오염 발생이 우려되어 대량의 재활용이 가능한 용도 개발이 필요하다.
유동성 채움재(CLSM)와 관련한 선행기술로 특허문헌 1에는 시멘트 200kg/㎥, 벤토나이트 19kg/㎥, 물 847kg/㎥, 규산소다 64kg/㎥, 안정제 1.2kg/㎥를 고정으로 배합하되, 석고는 전체중량 대비 3 내지 8중량%로 배합하고,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SA)는 전체중량 대비 3 내지 8중량%로 배합하여 겔타임을 조절하며, 폴리사카라이드계열의 증점제는 전체중량 대비 0.01 내지 0.08중량%로 배합하고, 트리에탄올아민은 전체 중량대비 0.1 내지 0.8중량%로 배합하여 유동성을 확보하면서도 초기강도가 확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채움재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나 매립석탄재의 재활용 기술과는 관련이 없다.
그리고 플라이애시(Fly Ash), 바텀애시(Bottom Ash) 등의 석탄재의 재활용과 관련한 기술은 다양하게 존재하므로 생략하고, 유동성 채움재(CLSM)와 관련하여 매립석탄재의 재활용에 관한 선행기술을 예로 들면, 특허문헌 2에 토사, 플라이 애쉬, 고무 분말 또는 분쇄물, 시멘트, 정수 슬러지를 포함하며, 상기 토사는 뒤채움재 전체 중량 대비 40 ~ 44중량부이며, 상기 플라이애쉬는 20중량부이고, 상기 고무분말 또는 분쇄물은 0 초과 5 이하 중량부이며, 상기 시멘트는 10중량부이며, 상기 뒤채움재 조성물은 뒤채움재 조성물 전체 중량대비 26중량부의 물과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뒤채움재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또 특허문헌 3에 산화칼슘(CaO) 함량이 35중량% ~ 70중량%이고, 비표면적이 2,500 ~ 6,000㎠/g의 제지슬러지 소각잔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고로슬래그 미분말 80 ~ 150중량부 및 페트롤코우크스 탈황석고 40~10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화 되메움재용 고화재를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재활용되지 못하고 매립된 매립석탄재로부터 채움재(CLSM)에 요구되는 용도별 유동성, 충진성, 강도 특성을 충족시키는 최적의 물성을 갖는 매립석탄재를 선택함으로써 고품위의 채움재(CLSM)를 확보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10-1578416 B1 KR 10-1115950 B1 KR 10-1380326 B1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노후 하수관거의 누수 또는 인근 토목공사 시 지하수 유출에 따른 지하공동 발생 등에 의한 지반침하 발생 시 지반침하 복구공사에 적용하는 매립석탄재를 활용한 유동성 채움재(CLSM)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재활용되지 못하고 매립된 매립석탄재로부터 채움재(CLSM)에 요구되는 용도별 유동성, 충진성, 강도 특성을 충족시키는 최적의 물성을 갖는 매립석탄재를 선택하여 고품위의 매립석탄재 기반 긴급복구용 유동성 채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매립석탄재 기반 긴급복구용 유동성 채움재는 시멘트와 분쇄에 의해 전처리한 일정 입도범위를 갖는 실트질 모래의 매립석탄재가 일정 %의 W/C로 조성되게 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매립석탄재 기반 긴급복구용 유동성 채움재에 따른 일 실시형태는 시멘트(C) 100㎏/㎥에 대하여 분쇄에 의해 전처리한 0.075㎜체 통과율이 13 ~ 15.5%인 직경 2㎜ 실트질 모래군(SM) 분류의 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플라이애시 및 바텀애시가 혼합된 상태의 석탄재를 재활용하지 못하고 매립한 매립석탄재(PA) 1103 ~ 1077㎏/㎥ 및 물(W) 425 ~ 437.5㎏/㎥를 포함하여 조성되고, 유동율 200 ~ 227mm 및 블리딩율 1.28 ~ 1.63%를 나타내는 관뒤채움용 또는 구조물 뒤채움용의 유동성 채움재인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매립석탄재 기반 긴급복구용 유동성 채움재의 조성을 시멘트의 중량에 대하여 물의 중량비율 및 채움재의 유동성과 관련하여 표현하면 W/C 400 ~ 438% 및 (PA+C)/W 2.69 ~ 3.13으로 조성되며, 여기서 W는 물, C는 시멘트이고, PA는 분쇄에 의해 전처리한 0.075㎜체 통과율이 13 ~ 15.5%인 직경 2㎜ 실트질 모래군(SM) 분류의 매립석탄재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매립석탄재는 한국동서발전 당진화력발전소 등에서 발생되는 플라이애시(Fly Ash), 바텀애시(Bottom Ash) 또는 플라이애시와 바텀애시가 혼합된 상태의 석탄재를 재활용하지 못하고 매립한 석탄재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매립석탄재를 활용한 것으로 유동성 채움재에 따른 적절한 입도를 갖도록 분쇄 등을 통한 전처리 공정 후 0.075㎜체 통과율이 13 ~ 15.5%인 직경 2㎜ 실트질 모래군(SM) 분류의 매립석탄재(PA)로 선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실트질 모래군(SM) 분류의 매립석탄재(PA)의 입도는 유동성 및 재료분리 저항성 등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며, 관 뒤채움용 , 구조물 뒤채움용 유동성 채움재 및 공동 채움용 유동성 채움재 등의 용도에 따라 적절한 유동성 및 재료분리 저항성 등의 특성을 위하여 시멘트(C) 및 물(W)과 일정하게 배합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매립석탄재를 활용한 유동성 채움재(CLSM)는 시멘트 결합재만으로 W/C 조정을 통해 적절한 유동성 및 블리딩률을 확보하여 압축강도 등 요구 성능을 충족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활용되지 못하고 매립된 매립석탄재의 재활용률을 최소 90%에서 최대 95%까지 확보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산업적 및 친환경적으로 매우 유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석탄재 기반 긴급복구용 유동성 채움재 설비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석탄재 기반 긴급복구용 유동성 채움재의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제조 공정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실시예> 및 <시험예>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으며, 아래 기재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매립석탄재 기반 긴급복구용 유동성 채움재를 위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비가 구성된다.
도 1은 유동성 채움재의 일반적인 구성도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매립석탄재 기반 긴급복구용 유동성 채움재는 시멘트(C) 100㎏/㎥에 대하여 분쇄에 의해 전처리한 0.075㎜체 통과율이 13 ~ 15.5%인 직경 2㎜ 실트질 모래군(SM) 분류의 매립석탄재(PA) 1070 ~ 1155㎏/㎥ 및 물(W) 400 ~ 438㎏/㎥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재인 상기 시멘트(C)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로서 KS L 5201의 기준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며 시멘트의 물성은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밀도
(g/㎤)
분말도
(㎠/g)
안정도
(㎜)
응결시간(min) 압축강도(MPa)
초결 종결 3일 7일 28일
3.14 3400 0.50 210 335 26.9 39.7 55.9
본 발명에 따른 매립석탄재는 한국동서발전 당진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매립석탄재를 활용한 것이며, 매립석탄재에 대한 원소 분석결과(XRF 정량분석)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SiO2 Al2O3 Fe2O3 CaO MgO K2O Na2O TiO2 MnO P2O5 LOI
46.9 15.4 15.6 4.8 2.0 1.2 0.8 0.8 0.3 2.8 9.7
매립석탄재는 매립지의 채취 장소에 따라 특성 및 입도 등에 차이가 있으며, 매립지에서 채취한 매립석탄재를 그대로 혼합하여 최대한 균질한 상태로 하여도 유동성 채움재(CLSM)에 적합한 물성을 갖는 입도를 얻을 수 없으므로 분쇄 등을 통한 전처리 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동성 채움재의 물 배합은 유동성 및 재료분리 저항성 특성에 적합하도록 시멘트(C) 100㎏/㎥에 대하여 400 ~ 438㎏/㎥로 조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W/C가 400 ~ 438% 및 (PA+C)/W가 2.69 ~ 3.13로 조성된다.
상기에서 W는 물, C는 시멘트이고, PA는 분쇄에 의해 전처리한 0.075㎜체 통과율이 13 ~ 15.5%인 직경 2㎜ 실트질 모래군(SM) 분류의 매립석탄재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매립석탄재는 다수의 매립지에서 채취한 매립석탄재를 혼합하여 최대한 균질한 상태에서 분쇄에 의해 전처리한 0.075㎜체 통과율이 13 ~ 15.5%인 직경 2㎜ 실트질 모래군(SM) 분류의 매립석탄재(PA)를 조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매립석탄재는 입도의 분포가 조립질일 경우 재료분리 발생 가능성이 높으며, 미립분 함량이 낮을수록 재료분리, 블리딩 발생률이 높아지므로 분쇄에 의해 전처리한 0.075㎜체 통과율이 13 ~ 15.5%인 직경 2㎜ 실트질 모래군(SM) 분류의 매립석탄재를 조성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동성 채움재는 관 뒤채움용, 구조물 뒤채움용 및 공동 채움용 등에 적용되며, 최적의 배합비율은 시멘트(C) 100㎏/㎥에 대하여 분쇄에 의해 전처리한 0.075㎜체 통과율이 13 ~ 15.5%인 직경 2㎜ 실트질모래군(SM) 분류의 매립석탄재(PA) 1077㎏/㎥ 및 물(W) 437.5㎏/㎥로 조성된다.
일반적으로 유동성 채움재에 대하여 요구되는 특성은 국내외의 기준에 차이가 있으나 공통적으로 유동성, 재료분리 저항성, 다짐성 및 재굴착성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아래 [표 3]에 나타낸 유동성 채움재의 요구 성능을 목표로 하여 유동성 채움재(CLSM)를 조성하였다.
아래 [표 3]에서 제시된 목표치는 일반적으로 ACI-229R에서 규정하고 있는 품질관리 수준이며, 블리딩률의 경우 ACI-229R에서 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외국(일본)에서 유동성 채움재의 용도별 적용시 적용하고 있는 품질기준치이며, 일축압축강도는 관 뒤채움의 경우 재굴착성 확보를 위해 ACI-229R에서 규정하고 있는 1.4MPa 이하를 제시한 것이고, 나머지 0.3MPa 이상은 유동성 채움재로서 요구되는 최소 강도치를 목표로 하였으며, 매립석탄재 활용률은 {PA/(PA+C)}X100을 적용한 수치이다.
구분 단위 관 뒤채움 구조물 뒤채움 공동 채움
유동성 200이상 200이상 300이상
블리딩률 % 3미만 1미만 3미만
일축 압축강도 MPa 03 ~ 1.4 0.3이상 0.3이상
V-lot 유하시간 sec 55이내
매립석탄재 활용률 % 80이상
<실시예 1>
석탄재 매립지의 여러 장소에서 채취한 매립석탄재를 혼합하여 최대한 균질한 상태로 하여 입도 처리 전, 후(분쇄 전, 후)의 매립석탄재를 준비하였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준비한 입도 처리 전, 후(분쇄 전, 후)의 매립석탄재에 대하여 각각 물성을 분석하고, 결과를 아래 [표 4]로 나타내었으며, 밀도는 입도 처리 전, 후(분쇄 전, 후)의 매립석탄재 각각이 2.03g/㎤으로 동일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구분 0.075㎜
통과율(%)
D10
(㎜)
D30
(㎜)
D60
(㎜)
액성한계
(%)
소성한계(%) 소성지수(Pl) USCS
분쇄 전 7.08 0.118 0.294 1.143 NP NP NP SP
분쇄 후 13.1 0.034 0.147 0.386 NP NP NP SM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매립지에서 채취한 매립석탄재의 입도 처리(분쇄) 전, 후를 비교하면, 동등한 수준의 밀도를 나타내면서도 입도 처리를 하지 않은(분쇄전) 매립석탄재 대비 입도 처리 한(분쇄후) 매립석탄재의 0.075mm 통과율이 약 1.9배 향상하여 13.1% 정도의 통과율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액·소성한계 시험은 KS F 2303에 준하여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입도 처리(분쇄) 전, 후에 다같이 시험불가(Non-Plastic)로 판정되었으며, 평가결과를 토대로 KS F 2324에 따라 공학적 분류를 실시한 결과 입도 처리 전(분쇄 전)의 매립석탄재는 입도분포가 불량한 모래(SP)군으로 분류되었고 입도 처리 후(분쇄 후)의 매립석탄재는 저소성 실트질 모래군(SM)으로 분류되었다.
<실시예 2> 및 <실시예 3>
도 2는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 의한 본 발명인 매립석탄재 기반 긴급복구용 유동성 채움재 제조 공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 1>의 입도 처리하여(분쇄 후) 얻은 실트질 모래군(SM)의 매립석탄재를 아래 [표 5]에 나타낸 바와같이 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동성 채움재를 조성하였다.
유동성 채움재의 믹싱은 매립석탄재의 분산성 및 혼합물의 균질성 확보를 위하여 물과 석탄재를 믹서에 투입한 후 2분(저속 30초+고속 90초) 동안 믹싱을 실시하고 이에 시멘트를 첨가하여 1분 30초(저속 30초+고속 60초) 동안 혼합하여 제조하였으며, 혼합에 사용된 믹서는 시멘트 모르타르의 혼합물에 사용되는 것으로 H사의 용량 40Quart의 믹서를 사용하였다.
구분 W/C(%) (PA+C)/W 단위 무게(㎏/㎥)
시멘트(C) 물(W) 매립석탄재(PA)
실시예 1 425 2.83 100 425 1103
실시예 2 437.5 2.69 437.5 1077
<시험예 2>상기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동성 채움재(CLSM)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성능을 시험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 6]로 나타내었다.
- 유동성
ASTM D 6103에 준하여 실시하였으며, 세부 시험방법으로는 높이 150±2mm, 내경 76±3mm인 실린더를 플레이트에 놓은 후 혼합된 유동성 채움재를 스쿠프를 사용하여 채워 넣고 실린더를 들어 올려 퍼진 시료의 직교 2방향 지름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 블리딩률
재료분리 저항성 평가를 위하여 KS F 2433「주입 모르타르의 블리딩률 및 팽창률 시험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세부적으로는 유동성 채움재 혼합 후 시료를 지름 5cm, 길이 50cm 이상의 비닐에 공기가 혼입되지 않도록 채우고 물을 넣은 메스실린더에 투입하여 유동성 채움재의 초기 체적을 구한다. 그 후 3시간 및 20시간 방치 후 상부로 분리된 블리딩수의 체적을 측정하여 초기 시료 체적에 대한 비율로 블리딩률을 산출하였다.
- 일축 압축강도
KS F 2405「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방법」에 준하여 시험편은 높이와 지름의 비율이 2:1의 실린더 형태인 몰드를 사용하여 높이 100mm, 지름 50mm의 공시체를 제작하여 평가하였다.
-V-lot 유하시간
V-lot 유하시간 측정은 KS F 2432「주입 모르타르의 컨시스턴시 시험방법」에 준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구분 유동성
(㎜)
블리딩률
(%)
V-lot 유하시간 (초) 매립석탄재활용률(%) 일축 압축강도(MPa)
재령 7일 재령 28일
실시예1 200.0 1.28 54 91.7 0.61 1.42
실시예2 227.0 1.63 52 91.5 0.55 1.20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동성 채움재(CLSM)의 성능이 목표치를 초과하고 있으며, <실시예 2>의 W/C 437.5% 조건에서는 관 뒤채움용 유동성 채움재에 특히 적합한 배합조건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매립석탄재 기반 긴급복구용 유동성 채움재가 우수한 품질의 채움재로써 산업적으로 유용하고 또 매립석탄재의 활용률도 약 92%인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친환경적으로 매우 유리한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Claims (5)

  1. 시멘트(C) 100㎏/㎥에 대하여 분쇄에 의해 전처리한 0.075㎜체 통과율이 13 ~ 15.5%인 직경 2㎜ 실트질 모래군(SM) 분류의 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플라이애시 및 바텀애시가 혼합된 상태의 석탄재를 재활용하지 못하고 매립한 매립석탄재(PA) 1103 ~ 1077㎏/㎥ 및 물(W) 425 ~ 437.5㎏/㎥를 포함하여 조성되고, 유동율 200 ~ 227mm 및 블리딩율 1.28 ~ 1.63%를 나타내는 관뒤채움용 또는 구조물 뒤채움용의 유동성 채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석탄재 기반 긴급복구용 유동성 채움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립석탄재 기반 긴급복구용 유동성 채움재는 물과 석탄재를 믹서에 투입한 후 저속 30초+고속 90초로 하여 2분 동안 믹싱을 실시하고 이에 시멘트를 첨가하여 저속 30초+고속 60초로 하여 1분 30초 동안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석탄재 기반 긴급복구용 유동성 채움재.
KR1020220120886A 2022-09-23 2022-09-23 매립석탄재 기반 긴급복구용 유동성 채움재 KR102500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886A KR102500855B1 (ko) 2022-09-23 2022-09-23 매립석탄재 기반 긴급복구용 유동성 채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886A KR102500855B1 (ko) 2022-09-23 2022-09-23 매립석탄재 기반 긴급복구용 유동성 채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0855B1 true KR102500855B1 (ko) 2023-02-16

Family

ID=85326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0886A KR102500855B1 (ko) 2022-09-23 2022-09-23 매립석탄재 기반 긴급복구용 유동성 채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85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5862A (ko) * 2009-10-28 2011-05-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량 유동성 채움재 및 이를 이용한 공유수면 매립방법
KR101115950B1 (ko) 2011-03-11 2012-02-22 이앤에이치씨(주) 유동성 뒤채움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380326B1 (ko) 2012-04-30 2014-05-22 주식회사 씨엠디기술단 저강도 및 초속경성을 갖는 유동화 되메움재용 고화재 조성물
KR101578416B1 (ko) 2013-10-30 2015-12-17 대림산업 주식회사 초기강도 및 충진성을 개선한 터널 배면 공동부 뒷채움재 조성물
KR102144340B1 (ko) * 2019-10-22 2020-08-14 삼성물산 주식회사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고유동-저강도 채움재 조성물
KR20210099711A (ko) * 2020-02-04 2021-08-13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유동 채움재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5862A (ko) * 2009-10-28 2011-05-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량 유동성 채움재 및 이를 이용한 공유수면 매립방법
KR101115950B1 (ko) 2011-03-11 2012-02-22 이앤에이치씨(주) 유동성 뒤채움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380326B1 (ko) 2012-04-30 2014-05-22 주식회사 씨엠디기술단 저강도 및 초속경성을 갖는 유동화 되메움재용 고화재 조성물
KR101578416B1 (ko) 2013-10-30 2015-12-17 대림산업 주식회사 초기강도 및 충진성을 개선한 터널 배면 공동부 뒷채움재 조성물
KR102144340B1 (ko) * 2019-10-22 2020-08-14 삼성물산 주식회사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고유동-저강도 채움재 조성물
KR20210099711A (ko) * 2020-02-04 2021-08-13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유동 채움재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eo-Engineering (2016) 7:7*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Vol. 51, No. 4, pp. 300~306, 20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in et al. Performance of self-compacting concrete comprising granite cutting waste as fine aggregate
Kim et al. Utilization of excavated soil in coal ash-based 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 (CLSM)
Taha et al. An overview of waste materials recycling in the Sultanate of Oman
Zhang et al. Sustainable regenerated binding materials (RBM) utilizing industrial solid wastes for soil and aggregate stabilization
KR100921334B1 (ko) 산업폐기물을 이용한 친환경 성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852393B1 (ko) 토사 및 산업폐기물의 고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한 토사및 산업폐기물의 고화체
JP6184149B2 (ja) 焼成物
Ibrahim et al. A review on utilization of industrial by-products in the production of 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s and factors influencing the properties
KR101117065B1 (ko) 경량 유동성 채움재 및 이를 이용한 공유수면 매립방법
CN109293327B (zh) 一种无水泥大宗工业固废高性能土壤固化剂制备和应用方法
KR100773991B1 (ko) 준설토 고화처리 방법
Zhang et al. Properties and environmental impact of building foundation pit backfilling materials containing iron and steel solid waste
Hu et al. Chloride transport and thermoactivated modification of sustainable cement-based materials with high-content waste concrete powder
KR102015563B1 (ko) 유동성 복토재 조성물
KR101356620B1 (ko) 광산 폐기물 및 친환경고화재를 활용한 저강도, 고유동성 광산 채굴적 충진재 조성물 제조방법 및 시스템
KR20060136325A (ko) 준설토 고화처리 방법
KR102500855B1 (ko) 매립석탄재 기반 긴급복구용 유동성 채움재
JP5186610B1 (ja) 焼成物
Albusaisi et al. Characteriz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Sustainable Modified Cementitious Grout for Semi-Flexible Mixture
CN113265923B (zh) 固化煤矸石的道路基层材料及制作施工方法
JP5668634B2 (ja) 膨張管理された鉄鋼スラグ水和固化体製人工石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Meepon et al. Marginal lateritic soil treated using ceramic waste for rural road application
KR102106528B1 (ko) 유동성 복토재 조성물
Azunna et al. Stabilization of Ikpayongu laterite using Cement, RHA and Carbide Waste Mixture for Road Subbase and Base Material
Idrees et al. Utilization of Waste Quarry Dust and Marble Powder in Concre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