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7065B1 - 경량 유동성 채움재 및 이를 이용한 공유수면 매립방법 - Google Patents

경량 유동성 채움재 및 이를 이용한 공유수면 매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065B1
KR101117065B1 KR20090102596A KR20090102596A KR101117065B1 KR 101117065 B1 KR101117065 B1 KR 101117065B1 KR 20090102596 A KR20090102596 A KR 20090102596A KR 20090102596 A KR20090102596 A KR 20090102596A KR 101117065 B1 KR101117065 B1 KR 101117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weight
ash
filling material
weight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102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5862A (ko
Inventor
천병식
공진영
김영훈
도종남
변요셉
정혁상
김주형
조삼덕
함태규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20090102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065B1/ko
Publication of KR20110045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5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02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compounds only
    • C09K17/10Cements, e.g. Portland c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8Reclamation of land from water or marsh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oil Conditioners And Soil-Stabilizing Materials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경량 유동성 채움재 및 이를 이용한 공유수면 매립방법을 제공한다. 경량 유동성 채움재는 석탄회 57 ~ 93 중량%, 시멘트 3.0 ~ 6.0 중량% 및 잔여 중량%의 물을 포함한다. 경량 유동성 채움재를 이용한 공유수면 매립방법은 상술한 경량 유동성 채움재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경량 유동성 채움재를 매립토로 사용하여 공유수면을 매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력발전소에서 부산된 석탄회를 원료로서 재활용하는 것이므로 경제적이고 환경친화적이며, 공유수면 등의 매립에 있어 별도의 다짐공정 및 지반개량공사를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기단축 및 비용절감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매립 후 장비 진입이 용이하며, 기존 굴착장비로 굴착도 가능하므로 우수한 현장 적용성을 지닌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경량 유동성 채움재 및 이를 이용한 공유수면 매립방법{Lightweight flowable fills and reclamation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경량 유동성 채움재 및 이를 이용한 매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석탄회를 재활용한 경량 유동성 채움재 및 이를 이용한 매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공유수면 매립을 통한 간척지 개발 및 항만공사 등 대규모 매립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는 막대한 규모의 토량이 소요되기 때문에 준설토만으로는 필요한 물량을 확보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준설토의 대량 채취에 따른 환경 파괴의 문제 및 함수비가 높은 준설토의 사용 시 지반안정화에 장기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지반 개량을 위해 장비 진입 시 지반 표층 강도가 약하므로 표층처리공법을 시행해야 하는 어려움이 따르고, 매립 후 지반 안정화를 위해 지반개량공법을 적용해야 하므로 공사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매립공사에 사용되는 토사를 대체할 만한 경제적인 매립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공학적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자원재활용을 통해 경제적 효과가 우수한 공유수면 매립용 경량 유동성 채움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경량 유동성 채움재를 이용한 공유수면 매립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공유수면 매립용 경량 유동성 채움재를 제공한다. 상기 경량 유동성 채움재는 석탄회 57 ~ 93 중량%, 시멘트 3.0 ~ 6.0 중량% 및 잔여 중량%의 물을 포함한다.
상기 석탄회는 저회와 비회의 혼합물이며, 저회와 비회의 중량비는 3:7 ~ 7:3일 수 있다.
상기 경량 유동성 채움재는 0.17 ~ 1MPa의 일축압축강도(28일 재령 기준) 및 200mm이상의 플로우(flow)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량 유동성 채움재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 부피를 기준으로 공기량 3.0 ~ 5.0 부피%를 함유하도록 혼합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경량 유동성 채움재를 이용한 매립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매립방법은 상술한 경량 유동성 채움재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경량 유동성 채움재를 매립토로 사용하여 공유수면을 매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력발전소에서 부산된 석탄회를 경량 유동성 채움재의 원료로서 재활용하는 것이므로 경제적이고 별도의 회 처리장이 필요 없게 되므로 환경친화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량 유동성 채움재로 공유수면 등을 매립하는 경우, 별도의 다짐공정 및 지반개량공사를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기단축 및 비용절감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매립 후 장비 진입이 용이하며, 기존 굴착장비로 굴착도 가능하므로 우수한 현장 적용성을 지닌 장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수면 매립용 경량 유동성 채움재는 석탄회 57 ~ 93 중량%, 시멘트 3.0 ~ 6.0 중량% 및 잔여 중량%의 물을 포함한다.
상기 석탄회(coal ash)란 일반적으로 석탄이 소각 또는 연소된 후 구형의 미세 분말로 남게되는 부산물로 정의되며, 저회(botton ash), 비회(fly ash), 또는 저회 및 비회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저회란 화력발전소에서 석탄이 소각 또는 연소된 후 보일러 하부로 낙하되는 괴상 또는 입자가 큰 회를 의미하며, 상기 비회란 배연가스와 함께 보일러에서 배출되어 집진기에서 포집되는 회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석탄회는 저회와 비회의 혼합물이며, 저회와 비회의 중량비는 3:7 ~ 7:3일 수 있다. 이는 저회의 상한값을 70 중량%로 설정함으로써, 재료분리 현상 및 수중에서의 재료 유실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비회의 상한값을 70 중량%로 설정함으로써, 최대건조단위중량의 현저한 저하를 방지하고,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일정수준 이상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저회의 경우 그 성질이 모래와 비슷하므로 저회만을 사용한 경우 재료의 혼합이 잘 일어나지 않고 재료분리현상을 보인다. 그러나, 비회가 적절하게 첨가되는 경우 비회가 혼합물 내에서 저회 입자 사이에 존재하는 공극을 충전하는 동시에 재료간의 결합력을 부여하는 바인더(binder) 역할을 해줄 수 있어 재료분리현상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최적함수비 이상의 물이 첨가되면 쉽게 비화하여 강도저하가 일어나므로 70 중량% 이상으로 비회를 혼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멘트는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구 조물의 종류 및 용도에 따라 중용열 시멘트, 조강 시멘트, 저열 시멘트 등의 다양한 시멘트를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특별히 그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경량 유동성 채움재의 각 구성성분의 중량비를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경량 유동성 채움재는 0.17 ~ 1MPa의 일축압축강도(28일 재령 기준) 및 200mm 이상의 플로우(flow)값을 가질 수 있어 공유수면 매립 용도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일축압축강도는 경량 유동성 채움재를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공학적 특성 중 하나로 굴착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된다. 예를 들어 공유수면 매립에 있어서, 수면 매립 후 백호(back-hoe)와 같은 기존의 굴착 장비로 굴착을 하기 위해서는 일축압축강도가 1Mpa 이하의 값을 가질 필요가 있다. 또한, 연약지반에 건설공사를 하기 위하여 장비가 진입을 하려면 최소한 일축압축강도 0.17Mpa 이상의 지반 강도가 발현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량 유동성 채움재의 일축압축강도는 별도의 개량공사 없이 장비 진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재굴착이 용이한 범위를 고려하면 0.17 ~ 1MPa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로우값은 경량 유동성 채움재의 컨시스턴시(consistency) 또는 유동성에 관련된 것으로, 상기 플로우값을 통해 자기수평능력(self-leveling) 및 자기다짐능력(self-compaction)을 평가할 수 있다. 공유수면 매립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자기수평능력 및 자기다짐능력을 고려할 때, 본 실시예의 경량 유동성 채움재의 플로우값은 20cm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량 유동성 채움재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 부피를 기준으로 공 기량 3.0 ~ 5.0 부피%를 함유하도록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지반 내의 적정한 공기량은 내부 수분의 동결로 인한 팽창압력을 상쇄시켜 균열 발생을 억제시켜 주며, 워커빌리티(workability)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매립지반이 동결융해에 의해 지반 약화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본 실시예의 경량 유동성 채움재로 매립지반을 형성함으로써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공유수면 매립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공유수면 매립방법은 상술한 경량 유동성 채움재를 매립토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경량 유동성 채움재를 사용하여 공유수면 즉, 바다, 해안, 하천, 호소, 구거를 매립토로 메워 토지를 조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별도의 다짐공정 및 지반개량공사를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공과정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매립 후 장비 진입이 용이하며, 경화 후에도 기존 굴착장비로 굴착이 가능하므로 우수한 현장 적용성을 지닌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험예(example)를 제시한다. 다만, 하기의 실험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재료>
석탄회는 영흥화력발전소에서 부산되는 석탄회를 사용하였고, 저회(bottom ash, B.A)의 경우 석탄회 매립장에 매립되어 있는 회를, 비회(fly ash, F.A)의 경우 재활용되는 정제회를 제외한 잔사회를 사용하여 현재까지는 활용 가치가 없는 석탄회를 대상으로 하였다.
시멘트는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다.
도 1은 사용된 석탄회의 입도분포곡선을 나타낸 것이며, 표 1은 사용된 석탄회의 물리ㆍ화학적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표 2는 사용된 시멘트의 품질 시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1]
물리적 특성
비중 강열감량(LOI)(%)
B.A F.A B.A F.A
1.84 2.23 6.78 3.12
화학적 특성
성분 B.A F.A 성분 B.A F.A
SiO2 50.6 52.8 Al2O3 24.7 22.7
Fe2O3 11.5 9.28 CaO 5.91 7.43
K2O 1.75 2.33 TiO2 1.72 1.55
MgO 0.85 1.17 Na2O 0.37 0.57
[표 2]
분말도
(m2/kg)
비중 안정성
(%)
압축강도
(kPa)
3일 7일 28일
348.8 3.15 0.08 21,966 30,204 39,618
초결시간(min) 231
종결시간(min) 407
<본 발명에서의 목표기준치>
본 발명의 시험재료에 따른 최적의 배합비를 산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과에 부합하는 목표기준치를 설정하였다.
하기 표 3은 본 발명에서의 목표기준치를 나타낸 것이다.
[표 3]
목록 목표기준치
일축압축강도 0.17 ~ 1 MPa
유동성(플로우값) 200mm 이상
<최적 배합비 산정>
시험 배합비 선정
공유수면 매립을 위한 경량 유동성 채움재의 최적 배합비를 산정하기 위해 예비실험을 실시한 결과, 석탄회 만으로는 수면 매립용 경량 유동성 채움재의 자경성이 부족하고 기준 일축압축강도에 만족하지 못하므로 시멘트의 첨가가 불가피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시멘트 함량을 최소화 하기 위해 시멘트의 중량 범위를 전체 중량 대비 1.4 ~ 8.2 중량%로 선정하였다.
저회와 비회의 배합비는 매립 석탄회량의 저회와 비회의 혼합비율이 일정치 않으므로 저회와 비회만의 상대적인 중량비로 0:100 ~ 100:0에서 폭넓게 선정하였다.
또한, 경량 유동성 채움재의 함수량의 변화에 따라 유동성에 상당한 차이를 보이므로 예비실험을 통하여 함수량은 전체 중량의 28 ~ 45%로 선정하였다.
일축압축강도 시험
일축압축강도 시험은 ASTM D 4832-02(CLSM 표준시험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경량 유동성 채움재를 상기 배합비 내에서 다양하게 배합하여 제조한 후, 슬러리 상태로 공시체에 주입하여 직경 100mm×높이 200mm의 원통형 공시체를 제조하였다. 완성된 공시체는 72시간 동안 초기 양생을 실시한 후, 탈형하여 22±2℃의 수조에서 수중양생을 실시하였다. 다음, 28일 재령 공시체의 일축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강도 측정에 있어, 재하하중 3톤 용량의 변위제어 방식의 만능재료시험기를 이용하였으며, 재하속도는 1mm/min로 실시하였다.
플로우 ( flow ) 시험
플로우 시험은 ASTM D 6103에 의거하여 실시하였다. 경량 유동성 채움재를 상기 배합비 내에서 다양하게 배합하여 제조한 후, 직경 75mm×높이 170mm의 원형실린더에 채우고 실린더를 들어올려 경량 유동성 채움재를 퍼지게 하였다. 다음, 퍼진 경량 유동성 채움재의 장반경과 단반경을 측정하여 평균을 구하였다. 미 교통연구부(Transpotation Research Board)에서 발행한 NCHRP report 597(2008) “고속도로건설에서 CLSM의 사용에 대한 권장 지침"에는 CLSM의 플로우 기준으로 20cm이상으로 정하고 있으며 본 시험에서도 이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석탄회의 최적 배합비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석탄회의 배합비에 따른 일축압축강도의 변화 및 플로우값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배합된 석탄회량의 범위가 57 ~ 93 중량%인 경우 0.17 ~ 1MPa의 일축압축강도(28일 재령 공시체 기준)를 만족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합된 석탄회량의 범위 전체에서 200mm 이상의 플로우값을 만족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목표기준치를 만족하는 석탄회량의 최적 배합비는 57 ~ 93 중량%로 산정할 수 있다.
시멘트의 최적 배합비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시멘트의 배합비에 따른 일축압축강도의 변화 및 플로우값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배합된 시멘트량의 범위가 3.0 ~ 6.0 중량%인 경우 0.17 ~ 1MPa의 일축압축강도(28일 재령 기준)를 만족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배합된 시멘트량의 범위(1.4 ~ 8.2 중량%) 전체에서 200mm 이상의 플로우값을 만족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목표기준치를 만족하는 시멘트량의 최적 배합비는 3.0 ~ 6.0 중량%로 산정할 수 있다.
저회와 비회의 최적 배합비
도 4는 저회와 비회의 배합비에 따른 최대건조단위중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 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저회와 비회의 배합비별 다짐시험의 결과 비회의 배합비가 70%를 초과하는 경우 최대건조단위중량의 저하가 현저하게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실내 시험 시 일축압축강도 측정결과 저회의 배합비가 70%를 초과하는 경우 공시체 몰드 내에서 공시체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재료간의 결합력이 발휘되지 않아 재료분리현상이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저회의 배합비가 70%를 초과하는 경량 유동성 채움재의 경우, 해수에 접할 시 재료유실이 발생할 수 있어 매립토로서의 실질적인 활용이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공유수면 매립 등의 재료로 활용하기 위해 일정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한편, 재료분리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저회와 비회의 최적 배합비는 3:7 ~ 7:3으로 산정할 수 있다.
<공기량 시험>
공기량 시험은 배합시료 안에 포함되어 있는 공기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AASHTO T 152「압력법에 의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공기량 시험 방법」에 근거하여 실시하였다. 시료를 용기에 채워 3층 다짐을 실시한 후 모든 밸브를 닫고 조절 밸브를 열어 압력계의 바늘을 0으로 맞춘 후 작동밸브를 5초간 눌러준 후, 압력계의 눈금을 읽었다.
하기 표 4는 배합시료별 공기량 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4]
구분 함수량(중량%)
31 32.5 34
시멘트량(중량%)
저회:
비회
(중량%)*
1.4 3.2 4.9 6.6 8.2 1.4 3.2 4.9 6.6 8.2 1.4 3.2 4.9 6.6 8.2
0:100 0.3 0.5 0.75 0.6 0.7 0.25 0.23 0.9 0.8 0.75 0.3 0.25 0.8 0.75 0.8
30:70 2.1 2.2 2.75 2.2 2.7 1.8 1.7 1.9 2.3 2.3 2.1 2.25 2.4 2.3 2.4
50:50 3.0 3.1 2.55 2.85 2.85 2.9 2.6 2.85 2.4 3.2 2.8 2.75 2.9 2.95 3.1
70:30 2.9 3.0 3.1 3.4 2.8 3.5 3.4 3.5 3.3 3.45 3.8 3.9 3.9 3.6 3.9
100:0 3.9 4.2 4.4 4.1 4.3 4.3 4.25 4.5 4.35 4.6 4.2 4.35 4.5 4.2 4.65
*: 저회 및 비회만의 중량%를 의미함.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석탄회 중 비회의 혼합량이 커질수록 공기량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비회의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미연탄소분의 함량이 높아지고, 이들이 기포에 흡착하여 공기량을 저하시키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저회의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저회가 잔골재와 유사한 정도로 입자가 크기 때문에 비회와 같은 공기량 흡착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높은 공기량을 포함하게 된다. 이에 비추어 보면, 저회와 비회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석탄회, 시멘트 및 물을 적절히 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표기준치에 해당하는 일축압축강도 및 유동성을 만족하는 한편, 동해에 대한 저항성을 가질 수 있는 경량 유동성 채움재를 제조할 수 있다.
<단위중량 시험>
단위중량은 경량 유동성 채움재로 조성된 지반의 지지력 산정 등에 필요한 것으로서, 본 시험은 경량 유동성 채움재를 수면매립에 사용할 경우 지반의 단위중량을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시험은 AASHTO T 121에 의거해 실시하였으며, 경량 유동성 채움재로 지반이 조성되었을 경우를 가정하여, 16~27℃ 온도 하에서 수분의 증발이나 흡수 없이 28일간 양생한 공시체를 사용하여 단위중량을 측정하였다.
하기 표 5는 배합시료별 단위중량 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5]
구분 함수량(중량%)
31 32.5 34
시멘트량(중량%)
저회:
비회
(중량%)*
3.2 4.9 6.6 8.2 3.2 4.9 6.6 8.2 3.2 4.9 6.6 8.2
0:100 1.44 1.46 1.45 1.47 1.47 1.48 1.53 1.52 1.49 1.49 1.54 1.55
30:70 1.39 1.39 1.46 1.46 1.50 1.50 1.50 1.53 1.50 1.50 1.53 1.54
50:50 1.50 1.51 1.51 1.50 1.50 1.50 1.57 1.54 1.42 1.39 1.42 1.45
70:30 1.44 1.46 1.44 1.48 1.43 1.43 1.47 1.48 1.32 1.32 1.39 1.40
100:0 0.90 0.91 0.95 0.98 0.95 0.98 1.04 1.07 1.00 1.08 1.21 1.22
*: 저회 및 비회만의 중량%를 의미함.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함수비, 시멘트비가 증가할수록 단위중량도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저회와 비회의 혼합비가 0:100 ~ 70:30인 경우 단위중량이 약 1.40 ~ 1.55 tonf/m3으로 일반적인 토사나 점토에 비해 비슷하거나 작은 값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저회만을 사용한 경우 단위중량이 0.9 ~ 1.22 tonf/m3으로 나타났으며, 1.0 tonf/m3 보다 작은 경우도 나타났다. 이는 모래와 같은 입자크기의 저회 입자를 결합하는 바인더(binder) 역할을 해줄 재료(비회)가 없기 때문에 저회 입자 사이에 큰 공극이 존재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사용된 석탄회의 입도분포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석탄회의 배합비에 따른 일축압축강도의 변화 및 플로우값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시멘트의 배합비에 따른 일축압축강도의 변화 및 플로우값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저회와 비회의 배합비에 따른 최대건조단위중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5)

  1. 저회와 비회가 3:7 ~ 7:3의 중량비로 혼합된 석탄회 57 ~ 67 중량%, 시멘트 3.0 ~ 6.0 중량% 및 물 30 ~ 40 중량%로 구성되고, 200mm 이상의 플로우값을 갖는 공유수면 매립용 경량 유동성 채움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움재는 0.17 ~ 1MPa의 일축압축강도(28일 재령 기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수면 매립용 경량 유동성 채움재.
  4. 삭제
  5. 제1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경량 유동성 채움재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경량 유동성 채움재를 매립토로 사용하여 공유수면을 매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수면 매립방법.
KR20090102596A 2009-10-28 2009-10-28 경량 유동성 채움재 및 이를 이용한 공유수면 매립방법 KR101117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02596A KR101117065B1 (ko) 2009-10-28 2009-10-28 경량 유동성 채움재 및 이를 이용한 공유수면 매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02596A KR101117065B1 (ko) 2009-10-28 2009-10-28 경량 유동성 채움재 및 이를 이용한 공유수면 매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862A KR20110045862A (ko) 2011-05-04
KR101117065B1 true KR101117065B1 (ko) 2012-02-22

Family

ID=44240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102596A KR101117065B1 (ko) 2009-10-28 2009-10-28 경량 유동성 채움재 및 이를 이용한 공유수면 매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0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532B1 (ko) * 2022-09-26 2023-10-19 김용혁 유동성 채움재 조성물
KR102641178B1 (ko) * 2022-12-12 2024-02-27 김용혁 유동성 경량 채움재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89695B2 (ja) * 2016-03-02 2019-10-16 日本製鉄株式会社 水域投入用土壌の評価方法および品質管理方法
JP6894746B2 (ja) * 2017-04-06 2021-06-30 大成建設株式会社 流動化処理土の管理方法
KR102125233B1 (ko) 2018-09-21 2020-06-2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 구조물 뒤채움용 유동성 채움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00855B1 (ko) * 2022-09-23 2023-02-16 (주)세종이엔씨 매립석탄재 기반 긴급복구용 유동성 채움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0880B2 (ja) 1990-11-19 1998-12-24 東急建設株式会社 自硬性埋め戻し材料の製造方法
JP2001090012A (ja) 1999-09-28 2001-04-03 Chubu Electric Power Co Inc 雑草成育抑制機能を有する石炭灰を用いた舗装材
KR20020055481A (ko) * 2000-12-28 2002-07-09 맹원제 바텀애쉬를 함유하는 고유동성 충전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JP2005068727A (ja) * 2003-08-21 2005-03-17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道路工事用路盤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0880B2 (ja) 1990-11-19 1998-12-24 東急建設株式会社 自硬性埋め戻し材料の製造方法
JP2001090012A (ja) 1999-09-28 2001-04-03 Chubu Electric Power Co Inc 雑草成育抑制機能を有する石炭灰を用いた舗装材
KR20020055481A (ko) * 2000-12-28 2002-07-09 맹원제 바텀애쉬를 함유하는 고유동성 충전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JP2005068727A (ja) * 2003-08-21 2005-03-17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道路工事用路盤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532B1 (ko) * 2022-09-26 2023-10-19 김용혁 유동성 채움재 조성물
KR102641178B1 (ko) * 2022-12-12 2024-02-27 김용혁 유동성 경량 채움재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862A (ko)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utilizing waste flue gas desulfurized gypsum as backfill materials
Takhelmayum et al. Laboratory study on soil stabilization using fly ash mixtures
Ukpata et al.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using lateritic sand and quarry dust as fine aggregate
Siddique Utilization of waste materials and by-products in producing controlled low-strength materials
Du et al. Investigation of strength and California bearing ratio properties of natural soils treated by calcium carbide residue
Madurwar et al. Use of sugarcane bagasse ash as brick material
KR101117065B1 (ko) 경량 유동성 채움재 및 이를 이용한 공유수면 매립방법
Joshi et al. Fly ash utilization for soil improvement
Khan et al. Improvement of mechanical properties by waste sawdust ash addition into soil
Wu et al. Beneficial reuse of construction surplus clay in CLSM
KR102125233B1 (ko) 지하 구조물 뒤채움용 유동성 채움재 및 이의 제조방법
Anupam et al. Study on performance and efficacy of industrial waste materials in road construction: fly ash and bagasse ash
KR101600840B1 (ko) 버텀애쉬를 골재로 활용한 콤팩션 그라우팅(Compaction Grouting) 공법용 속경형 모르타르 조성물
KR20100130470A (ko) 석탄회를 이용한 연약지반 말뚝시공용 밀크주입재 조성물
US4946311A (en) Co-disposal pollution control method-II
Ismail et al. Properties of bricks produced with recycled fine aggregate
Alam et al. Fly ash based brick tiles: An experimental study
Raavi Design of 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 for bedding and backfilling using high plasticity clay
KR102015563B1 (ko) 유동성 복토재 조성물
Sarapu Potentials of rice husk ash for soil stabilization
CN113265923B (zh) 固化煤矸石的道路基层材料及制作施工方法
Nataraja et al. 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 with fly ash and cinder aggregates: an effective replacement for the compacted backfill
Cabrera et al. Fly ash utilisation in civil engineering
Khalid et al. The California Bearing Ratio (CBR) value of road sub-base aggregate mixed with bottom ash
KR101602130B1 (ko) 비소성 무기결합재 및 버텀애쉬를 활용한 콤팩션 그라우팅(Compaction Grouting) 공법용 모르타르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