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683B1 - 냉장고 제어장치,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제어장치,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683B1
KR102500683B1 KR1020180076001A KR20180076001A KR102500683B1 KR 102500683 B1 KR102500683 B1 KR 102500683B1 KR 1020180076001 A KR1020180076001 A KR 1020180076001A KR 20180076001 A KR20180076001 A KR 20180076001A KR 102500683 B1 KR102500683 B1 KR 102500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refrigerant
leakage
operation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477A (ko
Inventor
유희권
이계한
정진훈
신대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6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683B1/ko
Publication of KR20200002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2Detecting the presence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22Preventing, detecting or repairing leaks of refrigeration fluids
    • F25B2500/222Detecting refrigerant lea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1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1Invert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1Sensor to detect if defrost is necessa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냉장고 제어장치,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냉장고의 온도 상태를 감지한 감지 결과 및 압축기의 운전 상태에 대한 운전 정보를 근거로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는 냉장고 제어장치,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 제어장치,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FRIGERAOTR}
본 발명은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는 냉장고 제어장치,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냉장고 및 냉매의 누설 감지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내부에 물품을 냉동 또는 냉장 보관하기 위한 장치다. 냉장고는 내부에 식품 저장실을 구비하는 냉장고 본체, 냉각을 위한 냉동사이클 장치를 구비한다. 냉동사이클 장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및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본체의 후방 영역에는 기계실이 형성되며, 이 기계실에는 냉동사이클 장치 중 압축기 및 응축기가 설치된다.
냉장고는 제품 출하 시에 충전된 냉매를 통해 장기간 냉동 사이클 장치를 운전하게 되는데, 냉장고의 운전 시간이 늘어날수록 냉장고 운전 중 냉동 사이클 내의 균열 및 용접부의 약화로 인하여 냉매가 서서의 또는 급격히 누설될 우려가 있다. 이처럼 냉매가 누설되는 경우 냉장고의 작동 불량은 물론, 냉장고의 압축기가 손상되며, 냉매에 따라서는 폭발의 위험까지 발생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안전한 냉장고의 운전/사용을 위해서는 냉장고의 운전 중 냉매의 누설 방지 및 누설 감지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러나, 냉매의 누설 발생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러한 누설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의 구비가 어려워, 냉매의 누설 감지 자체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즉, 종래에는 다양한 누설 발생을 감지하기 어려운 점, 누설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의 구비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냉매의 누설 감지가 정확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또한, 이러한 한계로 인해, 냉매의 누설 방지 또는 누설 방지에 대한 조치 또한 적절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를 야기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한계를 개선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별도의 감지 수단 없이 냉매의 누설을 감지할 수 있는 냉장고 제어장치,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냉매의 누설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냉장고 제어장치,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냉매의 누설이 발생한 부분을 감지할 수 있는 냉장고 제어장치,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장치,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은, 냉장고의 온도 상태를 감지한 감지 결과와 압축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인버터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압축기의 운전 정보를 근거로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장치,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은, 상기 냉장고의 온도 상태를 감지한 감지 결과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상기 운전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냉매의 누설 발생을 판단하여 누설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장치의 실시 예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인버터부와 통신하여, 상기 압축기의 운전 상태에 대한 운전 정보를 전달받는 통신부 및 냉장고의 운전 목표에 따라 상기 냉매의 순환을 제어하여, 상기 냉장고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장고의 온도 상태를 감지한 감지 결과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상기 운전 정보를 근거로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실시 예는, 냉장고의 온도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상기 냉장고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냉매가 순환되는 순환부, 상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냉장고의 운전 목표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운전을 제어하여, 상기 압축기의 운전 상태에 대한 운전 정보를 생성하는 인버터부 및 상기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감지 결과 및 상기 운전 목표에 따라 상기 냉매가 상기 순환부를 순환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냉장고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인버터부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운전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운전 정보를 근거로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방법의 실시 예는, 냉장고의 온도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상기 냉장고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냉매가 순환되는 순환부, 상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및 상기 냉장고의 운전 목표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운전을 제어하여, 상기 압축기의 운전 상태에 대한 운전 정보를 생성하는 인버터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의 운전 시간 및 상기 압축기의 운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감지 결과를 기설정된 온도 기준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감지 결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운전 정보와 기설정된 제1 누설 기준 또는 제2 누설 기준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한 부분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장치,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은, 냉장고에 구비되는 냉장고 제어장치,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또는 이러한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기술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냉장고의 제어장치,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에도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장치,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은, 냉장고의 온도 상태를 감지한 감지 결과 및 인버터부로부터 전달받은 압축기의 운전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냉매의 누설 발생을 판단함으로써, 별도의 누설 감지 수단없이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게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장치,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은, 냉장고의 온도 상태를 감지한 감지 결과 및 인버터부로부터 전달받은 압축기의 운전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냉매의 누설 발생을 판단함으로써, 냉매의 누설을 정확하게 감지하게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장치,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은, 냉장고의 온도 상태를 감지한 감지 결과 및 인버터부로부터 전달받은 압축기의 운전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냉매의 누설 발생을 판단함으로써, 냉매의 누설이 발생한 부분을 감지하게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장치,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은, 종래기술의 한계를 개선하게 됨은 물론, 이에 따라 냉장고 운전 및 제어의 안전성, 신뢰성 및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장치,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냉장고의 일 예를 나타낸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사이클(순환부)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냉매 누설 감지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누설 조건의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누설 조건의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실시 예에 따른 냉매 누설 감지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냉장고 제어장치,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기술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냉장고의 제어장치,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냉장고의 기본 구성>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장치,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냉장고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000)의 외관은 냉장고 본체(1100)와 도어(1311, 1312, 1321, 1322)에 의해 형성된다. 냉장고 본체(1100)는 아웃 케이스(1110)와 이너 케이스(1121, 1122)를 포함한다.
아웃 케이스(1110)는 도어(1311, 1312, 1321, 1322)에 의해 형성되는 냉장고(1000)의 전면부를 제외한 냉장고(1000)의 나머지 외관을 형성한다. 도 1에 도시된 냉장고(1000)의 상면이나 측면은 모두 아웃 케이스(1110)에 해당한다. 이너 케이스(1121, 1122)는 아웃 케이스(1110)의 내측에 설치된다. 이너 케이스(1121, 1122)는 냉장고 본체(1100) 내부의 식품 저장실(1200)을 형성한다. 식품 저장실(1200)은 설정 온도에 따라 냉장실(1210)과 냉동실(1220)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냉장고 본체(1100)의 상부에 냉장실(1210)이 마련되고, 하부에 냉동실(1220)이 마련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의 냉장고(1000)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바텀 프리저 타입의 냉장고(1000)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냉장실과 냉동실이 좌우로 배치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의 냉장고, 냉동실이 냉장실 위에 배치되는 탑 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의 냉장고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어(1311, 1312, 1321, 1322)는 냉장고 본체(1100)에 연결되고, 냉장고(1000)의 외관 중 전면부의 외관을 형성한다. 도어(1311, 1312, 1321, 1322)는 개폐 방식에 따라 회전형 도어 또는 서랍형 도어로 구분될 수 있다. 회전형 도어는 냉장고 본체(1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랍형 도어는 냉장고 본체(110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어(1311, 1312, 1321, 1322)는 설치 위치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냉장실(1210)을 개폐하는 도어는 냉장실 도어(1311, 1312)로 구분되고, 냉동실(1220)을 개폐하는 도어는 냉동실 도어(1321, 1322)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설치 위치가 좌측이냐 혹은 우측이냐에 따라 좌측 냉장실 도어(1311), 우측 냉장실 도어(1312), 좌측 냉동실 도어(1321) 또는 우측 냉동실 도어(1322)로 구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냉장고(1000)의 구성은, 냉장고의 기본 구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냉장고 제어 장치, 냉장고 및 냉장고의 고장 진단 방법이 적용되는 냉장고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 이외의 구조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냉장고 제어장치>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장치(이하, 제어장치라 칭한다)를 설명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냉장고(1000)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냉장고에 포함되어, 상기 냉장고의 운전을 제어하여, 상기 냉장고의 기능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일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냉장고의 제어장치인 마이컴일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하나의 모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하나의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에 모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냉장고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제어수단 또는 상기 제어수단을 이루는 복수의 회로 소자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냉장고의 전반적인 동작 및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냉장고의 온도 감지, 온도 조절, 상기 냉장고에 포함된 냉동 사이클의 구동 제어 또는 상기 냉장고의 다양한 기능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또한, 상기 냉장고의 마이컴과 별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냉장고에 포함된 복수의 부하의 동작, 부하의 기능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일 수도 있다.
상기 제어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00)의 운전을 제어하는 인버터부(210)와 통신하여,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 상태에 대한 운전 정보를 전달받는 통신부(110) 및 상기 냉장고(1000)의 운전 목표에 따라 상기 냉매의 순환을 제어하여, 상기 냉장고(1000)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냉장고(1000)의 온도 상태를 감지한 감지 결과 및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전달받은 상기 운전 정보를 근거로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한다.
즉, 상기 제어장치(100)는, 상기 통신부(110) 및 상기 제어부(120)를 포함하여 상기 냉장고(1000)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로,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운전 정보를 근거로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제어장치(100)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수단으로,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을 제어하는 상기 인버터부(210)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200)는, 상기 냉장고(10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냉장고(1000)의 내부 온도(고내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상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일 수 있다.
상기 냉매는, 상기 냉장고(1000)의 내부에 구비된 사이클 유로를 순환하여, 상기 냉장고(1000)의 온도, 이를테면 냉장실 또는 냉장고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유체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200)는, 상기 냉장고(1000)의 구조에 따라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냉장고(1000)가 2 Comp - 2 Stage 냉장고인 경우, 상기 압축기(200)는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200)는, 상기 인버터부(2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200)는, 상기 인버터부(21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냉매를 압축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인버터부(210)는, 상기 압축기(200)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을 제어하는 인버터장치일 수 있다.
상기 인버터부(210)는, 상기 압축기(200)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압축기(200)와 분리되어 상기 압축기(200)에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부(210)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통신부(120)와 양방항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통신부(120)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부(21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상기 압축기(200)의 구동 제어에 대한 제어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제어 정보를 근거로 상기 압축기(200)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부(210)는, 상기 제어 정보를 근거로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을 제어하여,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 상태에 대한 운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운전 정보를 상기 통신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부(210)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인버터부(210)로부터 상기 운전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운전 정보를 상기 제어부(12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냉장고(1000)의 운전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수단으로, 상기 냉장고(1000)의 운전 목표에 따라 상기 냉매의 순환을 제어하여, 상기 냉장고(1000)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운전 목표에 따라 상기 냉장고(1000)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상기 냉장고(1000)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운전 목표에 따라 상기 냉매가 상기 냉장고(1000)의 내부를 순환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냉장고(100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운전 목표에 따라 상기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제어 정보를 상기 인버터부(21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전달받은 상기 운전 정보에 따라 상기 냉장고(1000)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또한, 상기 냉장고(1000)의 운전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한 결과에 따라 상기 냉장고(1000)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냉장고(1000)의 운전 제어를 수행하는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냉장고(1000)의 온도 상태를 감지한 감지 결과 및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전달받은 상기 운전 정보를 근거로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한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냉장고(1000)의 온도 상태 및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 상태를 근거로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통신부(110) 및 상기 제어부(120)를 포함하여 상기 냉장고(1000)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장치(100)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00)가 운전을 제어하는 상기 냉장고(10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센서(10), 입력부(20), 디스플레이부(30), 순환부(300) 및 조절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10), 상기 입력부(20), 상기 디스플레이부(30) 및 상기 순환부(300)는, 상기 제어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장치(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10)는, 상기 냉장고(1000)의 하나 이상의 운전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운전 상태는, 상기 냉장고(1000)의 온도 상태, 상기 냉장고(1000)의 전력 소비 상태, 또는 상기 냉장고(1000)의 동작 상태일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10)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를테면, 냉장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장실 온도 센서, 냉동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동실 온도 센서, 상기 냉장고(1000)의 외부 온도를 감지하는 외부 온도 감지 센서 및 상기 순환부(300)의 온도를 감지하는 사이클 온도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0)는, 상기 냉장고(1000)의 외부에서 상기 냉장고(1000)의 운전에 대한 명령이 입력되는 인터페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상기 냉장고(1000)의 상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400)는, 상기 냉장고(1000)의 전원, 기능, 또는 온도 등을 조절하는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순환부(300)는, 상기 냉매가 순환되는 상기 냉장고(1000)의 냉동 사이클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순환부(300)는, 상기 냉장고(1000)의 내부에서 상기 냉매가 순환되는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부(300)는, 상기 압축기(200)와 연결되어, 상기 압축기(200)에서 압축된 상기 냉매가 순환되는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에 순환되는 상기 냉매를 통해 상기 냉장고(1000)의 온도를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증발기, 모세관, 송풍팬, 냉매 절환 밸브 및 응축기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부(300)는,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냉매의 순환을 조절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순환부(300)를 통해 상기 냉매의 순환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냉매가 순환되는 상기 순환부(300)의 일 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상기 순환부(300)의 일 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310a, 310b), 응축기(330) 및 모세관(350a, 350b)을 포함하되, 상기 냉장고(1000)의 구조에 따라 각각 두 개씩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330)에서 응축된 상기 냉매는 상기 냉매 절환 밸브(340)를 통해 냉장실 모세관(350a) 및 냉동실 모세관(350b) 중 어느 하나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냉매 절환 밸브(340)는, 3방향 밸브일 수 있다. 상기 냉매 절환 밸브(340)가 상기 3방향 밸브(340)로 이루어지면, 냉장실 모세관(350a) 및 냉동실 모세관(350b)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냉매가 유입되도록 하거나, 두 모세관에 냉매가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모세관(350a)으로 유입된 냉매는 냉장실 증발기(310a)에서 증발되어 냉기를 형성한다. 냉장실 송풍팬(320a)은 냉장실 증발기(310a)에서 형성된 냉기를 송풍한다. 상기 냉매 절환 밸브(340)를 제어하면, 상기 냉장실 모세관(350a)으로의 냉매 유입을 차단하고, 냉매가 상기 냉동실 모세관(350b)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모세관(350b)으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냉동실 증발기(310b)에서 증발되어 냉기를 형성한다. 냉동실 송풍팬(320b)은 상기 냉동실 증발기(310b)에서 형성된 냉기를 송풍한다.
상기 냉장실 증발기(310a) 및 상기 냉동실 증발기(310b) 각각에서 증발된 냉매는 냉장실 압축기(200a) 또는 냉동실 압축기(200b)에서 압축되어 상기 응축기(330)로 다시 유입된다.
도 4에서 설명한 냉동 사이클에 따르면, 냉장실에 공급할 냉기와 냉동실에 공급할 냉기를 별도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고(1000)는 상기 냉장실 증발기(310a) 및 상기 냉동실 증발기(310b)에서 생성된 냉기를 냉장실 및 냉동실에 공급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냉동 사이클로 이루어진 상기 순환부(300)를 통해 상기 냉매의 순환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운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순환부(300)에서 발생한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운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순환부(300)에서 발생한 상기 냉매의 누설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또한,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운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순환부(300)에서 발생한 상기 냉매의 누설 부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증발기(310a, 310b) 또는 상기 응축기(330) 중 어느 부분에서 상기 냉매가 누설됐는지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운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순환부(300)에서 발생한 상기 냉매의 누설 여부 및 누설 부분을 판단하여,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는 상기 제어장치(100)는, 상기 냉장고(100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구성들을 통해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어장치(100)의 구체적인 냉매 누설 감지 실시 예를 설명한다.
상기 제어장치(100)는, 상기 냉장고(1000)에 포함되어, 상기 통신부(110)가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을 제어하는 상기 인버터부(210)와 통신하여 상기 운전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제어부(120)가 상기 냉매의 순환을 제어하여 상기 냉장고(1000)의 운전을 제어하되,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운전 정보를 근거로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인버터부(210)와 실시간으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부(210)는,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상기 운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운전 정보는, 상기 압축기(200)의 실시간 운전 상태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인버터부(210)는, 상기 통신부(110)와 실시간으로 통신하여, 상기 운전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20)는, 실시간으로 상기 운전 정보를 전달받아, 실시간으로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운전 정보는,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 상태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전 정보는, 상기 압축기(200)의 전압, 전류, 냉력, 전력, 위상, 스트로크 및 운전 주파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압축기(200)의 전압, 전류, 냉력, 전력, 위상, 스트로크 및 운전 주파수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근거로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운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의 이상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압축기(200)의 전류가 기준치를 초과하여 운전하는 경우, 상기 냉매의 누설 발생으로 인해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냉매의 누설 여부를 판단하게 됨으로써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감지 센서(10)로부터 상기 감지 결과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10)는, 상기 냉장고(1000)의 온도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 결과는, 상기 냉장고(1000)의 실시간 온도 상태에 대한 감지 결과일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10)는, 상기 냉장고(1000)의 하나 이상의 온도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냉장고(1000)의 내부에 구비된 냉동실 제상 센서로부터 상기 감지 결과를 전달받을 수 있다.
즉, 상기 감지 센서(10)는, 상기 제상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결과는, 상기 제상 센서로 감지한 상기 냉동실의 제상 온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결과는 또한, 상기 냉장고(1000)의 주위 온도, 냉동실 온도, 냉장실 온도, 증발기 온도 및 응축기 온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로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게 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냉매 누설 감지 과정은, 상기 제어부(120)가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기 위한 냉매 누설 감지 로직으로 상기 제어부(120)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냉장고(1000)의 운전 시간이 기설정된 기준 시간 경과시,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냉장고(1000)의 운전 시간이 상기 기준 시간을 초과했을 시(P0)에, 상기 냉매의 누설 감지를 시작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기준 시간은, 상기 냉장고(1000)의 운전이 시작되고 초기 안정화가 이루어지는 시간일 수 있다.
상기 냉장고(1000)의 초기 안정화 이전에는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으며, 안정화 이전에는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운전 정보의 변동이 커 정확한 검출이 어려운 점에서 상기 냉매의 누설 여부 판단이 정확히 이루어지기 어려운 점에서, 초기 안정화 시간에 해당하는 상기 기준 시간 경과 후에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냉장고(1000)에 전원이 투입되어 운전이 시작되고, 상기 냉매의 누설 감지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초기 안정화 시간이 경과한 후(P0),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기준 시간의 예를 들면, 24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냉장고(1000)가 운전을 시작한지 24시간이 지난 경우, 상기 냉매의 누설 감지를 시작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기준 시간 경과 후(PO),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 상태(P1)에 따라 상기 냉매의 누설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 상태를 감시(P1)한 결과, 상기 압축기(200)가 운전 중이지 않은 경우,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아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D1)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 상태(P1)를 감시한 결과, 상기 압축기(200)가 운전 중인 경우,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운전 정보를 근거로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P2, P3)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압축기(200)가 운전 중인 경우, 상기 감지 결과를 기설정된 온도 기준과 비교(P2)한 결과에 따라 상기 운전 정보를 분석(P3)하여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D2)할 수 있다.
상기 온도 기준은, 상기 냉매의 누설에 따른 상기 냉장고(1000)의 온도에 대한 기준일 있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감지 결과가 상기 온도 기준에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냉매의 누설 여부를 판단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온도 기준의 예를 들면, -10[℃]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감지 결과가 -10[℃] 이상인 경우, 상기 냉매의 누설 여부를 판단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감지 결과를 상기 온도 기준과 비교(P2)한 결과, 상기 감지 결과가 상기 온도 기준 미만인 경우,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아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D1)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감지 결과를 상기 온도 기준과 비교(P2)한 결과, 상기 감지 결과가 상기 온도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운전 정보를 기설정된 제1 누설 조건 또는 제2 누설 조건과 비교(P3)한 결과에 따라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D2)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감지 결과가 일정 시간 이상 동안 상기 온도 기준에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운전 정보를 상기 제1 누설 조건 또는 상기 제2 누설 조건과 비교(P3)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온도 상태가 상기 일정 시간 이상 동안 상기 온도 기준 이상으로 유지되는 경우, 상기 운전 정보를 상기 제1 누설 조건 또는 상기 제2 누설 조건과 비교(P3)하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정 시간은,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했을 시의 상기 온도 상태의 유지 시간에 대한 기준으로, 예를 들면 5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감지 결과가 5분 이상 상기 온도 기준 이상으로 유지되는 경우, 상기 운전 정보를 상기 제1 누설 조건 또는 상기 제2 누설 조건과 비교(P3)한 결과에 따라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D2)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1 누설 조건 및 상기 제2 누설 조건은, 상기 냉매의 누설에 따른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 상태에 대한 기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냉매의 누설에 따른 상기 압축기(200)의 전류, 전압, 전력, 운전 모드, 또는 운전 시간에 대한 기준일 수 있다.
상기 제1 누설 조건 및 상기 제2 누설 조건은, 각각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제1 누설 조건은 상기 냉매의 누설이 어느 한 부분에서 발생함에 따른 운전 상태에 대한 기준이고, 상기 제2 누설 조건은 상기 냉매의 누설이 상기 어느 한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에서 발생함에 따른 운전 상태에 대한 기준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운전 정보를 상기 제1 누설 조건 또는 상기 제2 누설 조건과 비교(P3)한 결과에 따라 상기 냉매가 순환되는 상기 순환부(300) 중에서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한 부분을 판단하여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D2)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운전 정보가 상기 제1 누설 조건 또는 상기 제2 누설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냉매의 누설 부분을 판단하여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운전 정보를 상기 제1 누설 조건 또는 상기 제2 누설 조건과 비교(P3)한 결과, 상기 운전 정보가 상기 제1 누설 조건 및 상기 제2 누설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아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D1)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운전 정보를 상기 제1 누설 조건 또는 상기 제2 누설 조건과 비교(P3)한 결과, 상기 운전 정보가 상기 제1 누설 조건 및 상기 제2 누설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순환부(300) 중 어느 한 부분에서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D2)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1 누설 조건 및 상기 제2 누설 조건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누설 조건은 상기 순환부(300) 중 상기 냉매의 압력이 낮게 순환되는 저압부에서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함에 따른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 상태에 대한 기준이고, 상기 제2 누설 조건은, 상기 순환부(300) 중 상기 냉매의 압력이 낮게 순환되는 고압부에서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함에 따른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 상태에 대한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누설 조건은, 상기 저압부에서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했을 시의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 상태를 나타내는 기준이고, 상기 제2 누설 조건은, 상기 고압부에서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했을 시의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 상태를 나타내는 기준일 수 있다.
상기 제1 누설 조건의 예를 들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이 중지될 때까지 상기 압축기(200)의 전류가 기준 시간 이상으로 기준값에 도달한 경우, 또는 상기 압축기(200)의 전류 트립이 일정 횟수 이상으로 감지된 경우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누설 조건의 예를 들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이 중지될 때까지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 모드가 저부하 운전 또는 극저부하 운전으로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된 경우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운전 정보가 상기 제1 누설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순환부(300) 중 상기 냉매의 압력이 낮게 순환되는 상기 저압부에서 누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D2)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운전 정보가 상기 제1 누설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저압부에서 상기 냉매가 누설된 것으로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1 누설 조건이 앞서 설명한 예시와 같은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전 정보가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이 중지될 때까지 상기 압축기(200)의 전류가 기준 시간 이상으로 기준값에 도달한 경우에 해당하거나, 또는 상기 압축기(200)의 전류 트립이 일정 횟수 이상으로 감지된 경우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저압부에 누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저압부에서의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D2)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운전 정보가 상기 제2 누설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순환부(300)에 구비된 밸브의 동작 이력에 따라 상기 순환부(300) 중 상기 냉매의 압력이 높게 순환되는 상기 고압부에서 누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D2)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운전 정보가 상기 제2 누설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밸브의 동작 이력에 따라 상기 고압부에서 상기 냉매가 누설된 것으로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밸브(340)는, 상기 냉매 절환 밸브(340)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밸브(340)의 재동작 이력에 따라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D2)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밸브(340)가 재동작하지 않은 경우, 상기 밸브(340)를 재동작시킨 후, 상기 운전 정보와 상기 제2 누설 조건을 재비교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밸브(340)가 재동작한 이력이 없는 경우, 상기 밸브(340)를 재동작시킨 후 상기 운전 정보와 상기 제2 누설 조건을 재비교하여, 상기 냉매의 누설 여부를 판단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밸브(340)를 재동작시킨 후, 상기 운전 정보와 상기 제2 누설 조건을 재비교하여, 비교 결과 상기 운전 정보가 상기 제2 누설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고압부에서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아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D1)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밸브(340)를 재동작시킨 후, 상기 운전 정보와 상기 제2 누설 조건을 재비교하여, 비교 결과 상기 운전 정보가 상기 제2 누설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고압부에서 누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D2)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운전 정보가 상기 제2 누설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고압부에서 상기 냉매가 누설된 것으로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2 누설 조건이 앞서 설명한 예시와 같은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전 정보가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이 중지될 때까지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 모드가 저부하 운전 또는 극저부하 운전으로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된 경우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고압부에 누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고압부에서의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D2)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밸브(340)가 적어도 한 번 재동작한 경우, 상기 고압부에서 누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D2)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어부(120)가 상기 밸브(340)를 한 번 이상 재동작시킨 후 상기 운전 정보를 상기 제2 누설 조건과 재비교하여 상기 냉매의 누설 여부를 판단하게 됨으로써, 상기 고압부에서의 상기 냉매의 누설 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한 경우, 감지 결과를 표시수단을 통해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한 경우, 감지 결과를 저장수단에 저장할 수 있다.
<냉장고>
이하, 도 7을 추가로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를 설명하되, 앞서 상기 제어장치(100)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은 가급적 생략한다.
상기 냉장고(10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냉장고(1000)일 수 있다.
상기 냉장고(10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장고(1000)의 온도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10), 상기 냉장고(1000)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냉매가 순환되는 순환부(300), 상기 냉장고(1000)의 상태 및 기능을 조절하는 조절부(400), 상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00), 상기 냉장고(1000)의 운전 목표에 따라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을 제어하여,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 상태에 대한 운전 정보를 생성하는 인버터부(210) 및 상기 감지 센서(10)에서 감지한 감지 결과 및 상기 운전 목표에 따라 상기 냉매가 상기 순환부(300)를 순환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냉장고(1000)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상기 제어장치(100)일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00)는, 상기 인버터부(210)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운전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운전 정보를 근거로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한다.
상기 제어장치(100)는, 상기 인버터부(210)와 통신하여, 상기 운전 정보를 전달받는 통신부(110) 및 상기 운전 목표에 따라 상기 냉매의 순환을 제어하여, 상기 냉장고(1000)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120)를 포함하여,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운전 정보를 근거로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000)는 또한, 상기 냉장고(1000)의 외부에서 상기 냉장고(1000)의 운전에 대한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20) 및 상기 냉장고(1000)의 상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0)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냉장고(1000)의 기능 수행을 위한 수단을 하나 이상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감지 센서(10)는, 상기 냉장고(1000)의 하나 이상의 운전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10)는, 상기 냉장고(1000)의 냉동실의 제상 상태를 감지하는 제상 센서일 수 있다.
즉, 상기 감지 결과는, 상기 제상 센서의 감지 결과일 수 있고, 상기 제어장치(100)는, 상기 냉동실의 제상 상태를 감지한 감지 결과를 근거로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인버터부(210)는,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상기 운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운전 정보는, 상기 압축기(200)의 실시간 운전 상태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인버터부(210)는, 상기 운전 정보를 상기 제어장치(100)에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100)는, 실시간으로 상기 운전 정보를 전달받아, 실시간으로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00)가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는 순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00)는, 상기 냉장고(1000)의 운전 시간이 기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P0)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장치(100)는, 상기 냉장고(1000)의 운전 시간이 상기 기준 시간을 초과했을 시(P0)에, 상기 냉매의 누설 감지를 시작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기준 시간은, 상기 냉장고(1000)의 운전이 시작되고 초기 안정화가 이루어지는 시간일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00)는, 상기 기준 시간 경과 후(PO),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 상태(P1)에 따라 상기 냉매의 누설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00)는,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 상태를 감시(P1)한 결과, 상기 압축기(200)가 운전 중이지 않은 경우,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아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D1)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00)는,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 상태(P1)를 감시한 결과, 상기 압축기(200)가 운전 중인 경우,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운전 정보를 근거로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P2 내지 P5)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00)는, 상기 압축기(200)가 운전 중인 경우, 상기 감지 결과를 기설정된 온도 기준과 비교(P2)한 결과에 따라 상기 운전 정보를 분석(P3 내지 P5)하여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D2)할 수 있다.
상기 온도 기준은, 상기 냉매의 누설에 따른 상기 냉장고(1000)의 온도에 대한 기준일 있다.
상기 제어장치(100)는, 상기 감지 결과를 상기 온도 기준과 비교(P2)한 결과, 상기 감지 결과가 상기 온도 기준 미만인 경우,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아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D1)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00)는, 상기 감지 결과를 상기 온도 기준과 비교(P2)한 결과, 상기 감지 결과가 상기 온도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운전 정보를 기설정된 제1 누설 조건 또는 제2 누설 조건과 비교(P3)한 결과에 따라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D2)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장치(100)는, 상기 감지 결과가 일정 시간 이상 동안 상기 온도 기준에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운전 정보를 상기 제1 누설 조건 또는 상기 제2 누설 조건과 비교(P3)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장치(100)는, 상기 온도 상태가 상기 일정 시간 이상 동안 상기 온도 기준 이상으로 유지되는 경우, 상기 운전 정보를 상기 제1 누설 조건 또는 상기 제2 누설 조건과 비교(P3)하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정 시간은,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했을 시의 상기 온도 상태의 유지 시간에 대한 기준일 수 있다.
상기 제1 누설 조건 및 상기 제2 누설 조건은, 상기 냉매의 누설에 따른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 상태에 대한 기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냉매의 누설에 따른 상기 압축기(200)의 전류, 전압, 전력, 운전 모드, 또는 운전 시간에 대한 기준일 수 있다.
상기 제1 누설 조건 및 상기 제2 누설 조건은, 각각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00)는, 상기 운전 정보를 상기 제1 누설 조건 또는 상기 제2 누설 조건과 비교(P3, P4)한 결과에 따라 상기 순환부(300) 중에서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한 부분을 판단하여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D2)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00)는, 상기 운전 정보가 상기 제1 누설 조건 또는 상기 제2 누설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분석하여, 상기 순환부(300) 중에서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한 부분을 판단하여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D2)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00)는, 상기 운전 정보를 상기 제1 누설 조건 또는 상기 제2 누설 조건과 비교(P3, P4)한 결과, 상기 운전 정보가 상기 제1 누설 조건 및 상기 제2 누설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아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D1)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00)는, 상기 운전 정보를 상기 제1 누설 조건 또는 상기 제2 누설 조건과 비교(P3, P4)한 결과, 상기 운전 정보가 상기 제1 누설 조건 및 상기 제2 누설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순환부(300) 중 어느 한 부분에서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D2)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1 누설 조건 및 상기 제2 누설 조건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누설 조건은 상기 순환부(300) 중 상기 냉매의 압력이 낮게 순환되는 저압부에서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함에 따른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 상태에 대한 기준이고, 상기 제2 누설 조건은, 상기 순환부(300) 중 상기 냉매의 압력이 낮게 순환되는 고압부에서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함에 따른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 상태에 대한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누설 조건의 예를 들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이 중지될 때까지 상기 압축기(200)의 전류가 기준 시간 이상으로 기준값에 도달한 경우, 또는 상기 압축기(200)의 전류 트립이 일정 횟수 이상으로 감지된 경우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누설 조건의 예를 들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이 중지될 때까지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 모드가 저부하 운전 또는 극저부하 운전으로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된 경우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00)는, 상기 운전 정보와 상기 제1 누설 조건을 비교(P3)하여, 비교 결과 상기 운전 정보가 상기 제1 누설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냉매의 압력이 낮게 순환되는 상기 저압부에서 누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D2-1)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00)는, 상기 운전 정보와 상기 제1 누설 조건을 비교(P3)하여, 비교 결과 상기 운전 정보가 상기 제1 누설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운전 정보를 상기 제2 누설 조건과 비교(P4)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00)는, 상기 운전 정보와 상기 제2 누설 조건을 비교(P4)하여, 비교 결과 상기 운전 정보가 상기 제2 누설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아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D1)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00)는, 상기 운전 정보와 상기 제2 누설 조건을 비교(P4)하여, 비교 결과 상기 운전 정보가 상기 제2 누설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밸브의 재동작 여부(P5, P5')에 따라 상기 냉매의 압력이 높게 순환되는 상기 고압부에서 누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D2-2)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00)는, 상기 밸브의 재동작 여부(P5)를 판단하여, 상기 밸브가 재동작하지 않은 경우, 상기 밸브를 재동작(P5')시킨 후, 상기 운전 정보와 상기 제2 누설 조건을 재비교(P4)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00)는, 상기 밸브를 재동작(P5')시킨 후, 상기 운전 정보와 상기 제2 누설 조건을 재비교(P4)하고, 비교 결과 상기 운전 정보가 상기 제2 누설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고압부에서 누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D2-2)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00)는, 상기 밸브의 재동작 여부(P5)를 판단하여, 상기 밸브가 적어도 한 번 재동작한 경우, 상기 고압부에서 누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D2-2)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어부(120)가 상기 밸브(340)를 한 번 이상 재동작시킨 후 상기 운전 정보를 상기 제2 누설 조건과 재비교하여 상기 냉매의 누설 여부를 판단하게 됨으로써, 상기 고압부에서의 상기 냉매의 누설 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게 될 수 있다.
<냉장고 제어방법>
이하, 도 8을 추가로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제어방법(이하, 제어방법이라 칭한다)을 설명하되, 앞서 상기 제어장치(100) 및 상기 냉장고(1000)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은 가급적 생략한다.
상기 제어방법은,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는 제어방법일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냉장고 또는 상기 냉장고에 포함되는 냉장고 제어장치의 제어방법일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앞서 설명한 상기 제어장치(100) 또는 상기 냉장고(1000)에 적용되는 제어방법일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냉장고(1000)에 포함된 제어수단에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는 로직, 방법,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에 적용되는 제어방법일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00)의 운전을 제어하는 인버터부(210)와 통신하여,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 상태에 대한 운전 정보를 전달받는 통신부(110) 및 냉장고(1000)의 운전 목표에 따라 상기 냉매의 순환을 제어하여, 상기 냉장고(1000)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120)를 포함하는 제어장치(100)의 제어방법일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000)의 온도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10), 상기 냉장고(1000)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냉매가 순환되는 순환부(300), 상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00) 및 상기 냉장고(1000)의 운전 목표에 따라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을 제어하여,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 상태에 대한 운전 정보를 생성하는 인버터부(210)를 포함하는 냉장고(1000)의 제어방법일 수도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장고(1000)의 운전 시간 및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 상기 운전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감지 센서(10)에서 감지한 감지 결과를 기설정된 온도 기준과 비교하는 단계(S20), 상기 감지 결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운전 정보와 기설정된 제1 누설 조건 또는 제2 누설 조건을 비교하는 단계(S30) 및 상기 운전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한 부분을 판단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상기 운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는, 상기 냉장고(1000)의 운전 시작 후, 상기 운전 시간이 기설정된 기준 시간을 경과했는지 여부 및 상기 압축기(200)가 운전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시간은, 상기 냉장고(1000)의 운전이 시작되고 초기 안정화가 이루어지는 시간일 수 있다.
상기 운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는, 상기 운전 시간이 상기 기준 시간을 경과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압축기(200)가 운전을 하지 않는 경우,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기준과 비교하는 단계(S20)는, 상기 운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에서 상기 운전 시간이 상기 기준 시간을 경과하고, 상기 압축기(200)가 운전 중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감지 결과를 상기 온도 기준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온도 기준은, 상기 냉매의 누설에 따른 상기 냉장고(1000)의 온도에 대한 기준일 있다.
상기 온도 기준과 비교하는 단계(S20)는, 상기 감지 결과가 상기 온도 기준 미만인 경우,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기준과 비교하는 단계(S20)는, 상기 감지 결과가 상기 온도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순환부(300)에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누설 조건 또는 제2 누설 조건을 비교하는 단계(S30)는, 상기 온도 기준과 비교하는 단계(S20)에서 상기 감지 결과가 상기 온도 기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운전 정보를 상기 제1 누설 조건 또는 상기 제2 누설 조건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제1 누설 조건 및 상기 제2 누설 조건은, 상기 냉매의 누설에 따른 상기 압축기(200)의 운전 상태에 대한 기준일 수 있다.
상기 제1 누설 조건 또는 제2 누설 조건을 비교하는 단계(S30)는, 상기 운전 정보가 상기 제1 누설 조건 또는 상기 제2 누설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누설 조건 또는 제2 누설 조건을 비교하는 단계(S30)는, 상기 운전 정보가 상기 제1 누설 조건 또는 상기 제2 누설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순환부(300) 중 어느 한 부분에서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한 부분을 판단하는 단계(S40)는, 상기 제1 누설 조건 또는 제2 누설 조건을 비교하는 단계(S30)에서 상기 운전 정보가 상기 제1 누설 조건 또는 상기 제2 누설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운전 정보의 해당 여부에 따라 상기 순환부(300) 중에서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한 부분을 판단하여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한 부분을 판단하는 단계(S40)는, 상기 운전 정보가 상기 제1 누설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순환부(300) 중 상기 냉매의 압력이 낮게 순환되는 상기 저압부에서 누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냉매의 저압 누설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한 부분을 판단하는 단계(S40)는, 상기 운전 정보가 상기 제2 누설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순환부(300)에 구비된 밸브의 동작 이력에 따라 상기 순환부(300) 중 상기 냉매의 압력이 높게 순환되는 상기 고압부에서 누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냉매의 고압 누설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한 부분을 판단하는 단계(S40)는, 상기 운전 정보가 상기 제2 누설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밸브(340)의 재동작 이력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고압부에서 누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냉매의 고압 누설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한 부분을 판단하는 단계(S40)는, 상기 밸브(340)가 재동작하지 않은 경우, 상기 밸브(340)를 재동작시킨 후, 상기 운전 정보와 상기 제2 누설 조건을 재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냉매의 누설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한 부분을 판단하는 단계(S40)는, 상기 밸브(340)를 재동작시킨 후, 상기 운전 정보와 상기 제2 누설 조건을 재비교하고, 재비교 결과 상기 운정 정보가 상기 제2 누설 조건에 해당하지 않은 경우,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한 부분을 판단하는 단계(S40)는, 상기 밸브(340)를 재동작시킨 후, 상기 운전 정보와 상기 제2 누설 조건을 재비교하고, 재비교 결과 상기 운정 정보가 상기 제2 누설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고압부에서 누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냉매의 고압 누설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한 부분을 판단하는 단계(S40)는, 상기 밸브(340)가 적어도 한 번 재동작한 경우, 상기 고압부에서 누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냉매의 고압 누설을 감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감지 센서 20: 입력부
30: 디스플레이부 100: 제어장치
110: 통신부 120: 제어부
200: 압축기 210: 인버터부
300: 순환부 310a, 310b: 증발기
320a, 320b: 증발기 팬 330: 응축기
330': 응축기 팬 340: 냉매 절환 밸브
350a, 350b: 모세관 400: 조절부
1000: 냉장고

Claims (20)

  1.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인버터부와 통신하여, 상기 압축기의 운전 상태에 대한 운전 정보를 전달받는 통신부; 및
    냉장고의 운전 목표에 따라 상기 냉매의 순환을 제어하여, 상기 냉장고의 운전을 제어하고, 상기 냉장고의 온도 상태를 감지한 감지 결과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상기 운전 정보를 근거로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결과를 상기 냉매가 누설 됐을 시 상기 냉장고의 온도에 대한 기준인 기설정된 온도 기준과 비교한 결과,
    상기 감지 결과가 상기 온도 기준 미만이면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감지 결과가 상기 온도 기준 이상이면 상기 운전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부는,
    상기 압축기의 운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상기 운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장고의 내부에 구비된 냉동실 제상 센서로부터 상기 감지 결과를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장고의 운전 시간이 기설정된 기준 시간 경과시,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어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결과가 상기 온도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운전 정보를 기설정된 제1 누설 조건 또는 제2 누설 조건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냉매가 순환되는 순환부 중에서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한 부분을 판단하여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어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 정보가 상기 제1 누설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순환부 중 상기 냉매의 압력이 낮게 순환되는 저압부에서 누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어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 정보가 상기 제2 누설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순환부에 구비된 밸브의 동작 이력에 따라 상기 순환부 중 상기 냉매의 압력이 높게 순환되는 고압부에서 누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어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밸브가 재동작하지 않은 경우,
    상기 밸브를 재동작시킨 후, 상기 운전 정보와 상기 제2 누설 조건을 재비교하여, 비교 결과 상기 운전 정보가 상기 제2 누설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고압부에서 누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어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밸브가 적어도 한 번 재동작한 경우,
    상기 고압부에서 누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어장치.
  11. 냉장고의 온도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상기 냉장고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냉매가 순환되는 순환부;
    상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냉장고의 운전 목표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운전을 제어하여, 상기 압축기의 운전 상태에 대한 운전 정보를 생성하는 인버터부; 및
    상기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감지 결과 및 상기 운전 목표에 따라 상기 냉매가 상기 순환부를 순환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냉장고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인버터부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운전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감지 결과 및 상기 운전 정보를 근거로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되,
    상기 감지 결과가 기설정된 온도 기준 미만이면 정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감지 결과가 상기 온도 기준 이상이면 상기 운전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고,
    상기 온도 기준은,
    상기 냉매가 누설 됐을 시 상기 냉장고의 온도에 대한 기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냉장고의 냉동실의 제상 상태를 감지하는 제상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삭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운전 정보가 기설정된 제1 누설 조건 또는 제2 누설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분석하여, 상기 순환부 중에서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한 부분을 판단하여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운전 정보가 상기 제1 누설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냉매의 압력이 낮게 순환되는 저압부에서 누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운전 정보가 상기 제2 누설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밸브의 재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냉매의 압력이 높게 순환되는 고압부에서 누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밸브가 재동작하지 않은 경우,
    상기 밸브를 재동작시킨 후, 상기 운전 정보와 상기 제2 누설 조건을 재비교하여, 비교 결과 상기 운전 정보가 상기 제2 누설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고압부에서 누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밸브가 적어도 한 번 재동작한 경우,
    상기 고압부에서 누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냉장고의 온도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상기 냉장고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냉매가 순환되는 순환부;
    상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및
    상기 냉장고의 운전 목표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운전을 제어하여, 상기 압축기의 운전 상태에 대한 운전 정보를 생성하는 인버터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의 운전 시간 및 상기 압축기의 운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감지 결과를 기설정된 온도 기준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감지 결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운전 정보와 기설정된 제1 누설 조건 또는 제2 누설 조건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한 부분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온도 기준은,
    상기 냉매가 누설 됐을 시 상기 냉장고의 온도에 대한 기준이고,
    상기 운전 정보와 기설정된 제1 누설 조건 또는 제2 누설 조건을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 결과가 상기 온도 기준 미만이면 정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감지 결과가 상기 온도 기준 이상이면 상기 운전 정보와 상기 제1 누설 조건 또는 상기 제2 누설 조건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어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한 부분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 정보가 상기 제2 누설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순환부에 구비된 밸브의 재동작 이력에 따라 상기 냉매의 누설이 발생한 부분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어방법.
KR1020180076001A 2018-06-29 2018-06-29 냉장고 제어장치,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 KR102500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001A KR102500683B1 (ko) 2018-06-29 2018-06-29 냉장고 제어장치,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001A KR102500683B1 (ko) 2018-06-29 2018-06-29 냉장고 제어장치,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477A KR20200002477A (ko) 2020-01-08
KR102500683B1 true KR102500683B1 (ko) 2023-02-16

Family

ID=69153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001A KR102500683B1 (ko) 2018-06-29 2018-06-29 냉장고 제어장치,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6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8078A (ko) * 2021-12-10 2023-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4643A (ja) * 2002-02-27 2003-09-10 Toshiba Kyaria Kk 冷凍装置の冷媒漏れ検出装置
JP2004069198A (ja) * 2002-08-07 2004-03-04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の冷媒洩れ検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0925A (ja) * 2003-09-19 2005-04-07 Toshiba Corp 冷媒漏れ検知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冷蔵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4643A (ja) * 2002-02-27 2003-09-10 Toshiba Kyaria Kk 冷凍装置の冷媒漏れ検出装置
JP2004069198A (ja) * 2002-08-07 2004-03-04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の冷媒洩れ検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477A (ko)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10738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2416095A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208993B2 (en) Fault detection and diagnosis for refrigerator from compressor sensor
US8365543B2 (en) Cooling storage
KR20140019594A (ko) 냉장고의 운전제어 방법
EP3540343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of refrigerator
US20100095691A1 (en) Cooling storag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70004351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EP3273191B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stant temperature thereof
US1173294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to alternately cool two storage compartments
KR20160103857A (ko) 자동 제상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
KR102500683B1 (ko) 냉장고 제어장치,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
US10612840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refrigerator and method for diagnosing fault of refrigerator
CN116697651A (zh) 制冷机组四通阀异常的确定方法和装置
KR102496303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90101000A (ko) 냉장고 및 그의 운전제어방법
KR101772073B1 (ko) 냉장고 진단방법
JP2011080731A (ja) 冷蔵庫
KR20160103858A (ko) 자동 제상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
JP2012026590A (ja) 冷凍装置
KR101317307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N109297230B (zh) 制冷设备工作方法以及制冷设备
KR101798012B1 (ko) 냉동기기의 압축기 오일 회수 제어방법
US1187968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JP2012032063A (ja) 冷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