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527B1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527B1
KR102500527B1 KR1020180028263A KR20180028263A KR102500527B1 KR 102500527 B1 KR102500527 B1 KR 102500527B1 KR 1020180028263 A KR1020180028263 A KR 1020180028263A KR 20180028263 A KR20180028263 A KR 20180028263A KR 102500527 B1 KR102500527 B1 KR 102500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voltage
wireless power
cover assembly
top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2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06579A (en
Inventor
김동현
김응호
신혜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8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527B1/en
Publication of KR20190106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5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5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6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foreign objects, e.g. detection of living be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Abstract

본 발명의 가습청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에어클린모듈이 구비되는 베이스바디에 형성되어 탑커버어셈블리로 무선전력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전력송신부, 상기 무선전력송신부의 전력송신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력송신부에 인가되는 코일전압을 감지하는 코일전압감지부 및 상기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되면 상기 무선전력송신부에 대기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코일전압에 대응하여 이물질을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되고 상기 대기모드가 설정되면 이물질 감지모드로 인식하여, 출력전압과 주파수를 가변하여 상기 전력송신부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된 상태에서 탑커버어셈블리가 거치되는 위치에 투입되는 이물질을 감지하고, 본 발명은 이물질에 의한 효율저하를 개선하고,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The humidification cleaning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med on a base body equipped with an air clean module and transmitting a wireless power signal to a top cover assembly, and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tter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o transmit power to the power transmitter A coil voltage sensing unit for detecting a coil voltage applied to the coil voltage and a control unit for setting a standby mode for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when the top cover assembly is separated and detecting foreign substances in response to the coil voltage, wherei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ncludes: When the top cover assembly is separated and the standby mode is set, it is recognized as a foreign matter detection mode, and the output voltage and frequency are varied to control the voltage applied to the power transmitter, so that the top cover assembly is separated. Foreign matter introduced into the position where the cover assembly is mounted is detected,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efficiency reduction due to foreign matter and prevent energy waste.

Figure R1020180028263
Figure R1020180028263

Description

가습청정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method thereof}Humidification cleaning device and method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습청정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midifying cleaning device and a method therefor.

종래 가습기는 진동판에서 물을 기화시켜 공기 중으로 토출하는 진동식 및 가습필터에서 자연증발시키는 자연증발식으로 구분된다. Conventional humidifiers are divided into a vibration type in which water is vaporized in a diaphragm and discharged into the air, and a natural evaporation type in which water is naturally evaporated in a humidifying filter.

상기 자연식 증발식 가습기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디스크를 회전시키고, 공기 중의 디스크 표면에서 물이 자연증발되는 디스크식 가습기와, 물이 적셔진 가습매체에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자연증발되는 가습필터식 가습기로 구분된다. The natural evaporative humidifier is a disc type humidifier in which a disc is rotated using a driving force and water is naturally evapo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disc in the air, and a humidification filter type humidifier in which water is naturally evaporated by air flowing from a humidifying medium wetted with water. Separated.

그러나 종래 가습기는 커버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기적 접촉을 위한 단자가 구비됨에 따라, 물에 의한 감전 등의 전기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conventional humidifiers have a problem in that electrical accidents such as electric shock due to water occur as terminals for electrical contact are provided to supply power to the cover.

그에 따라, 최근에는 전기사고의 위험성에 대비하여 비접촉식 전원공급장치가 사용되는 추세이다. Accordingly, in recent years, a non-contact power supply device has been used in preparation for the risk of an electric accident.

그러나 비접촉식 전원공급장치의 경우, 전원공급장치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경우, 또는 제조 공정상의 이유로, 전원공급을 위한 송신측과 수신측의 사이가 멀어지게 되어 전원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에너지낭비와 제품의 오동작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원공급을 위한 송신측과 수신측의 사이가 너무 가까운 경우에는 과전압이 인가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non-contact power supply, when foreign substances are caught between the power supply or due to manufacturing process, the transmission side for power supply and the reception side become distant, and power supply is not performed normally, resulting in waste of energy and product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malfunction of . In addition, when the transmission side for power supply and the reception side are too close, a problem in that overvoltage may occur.

종래의 기기는 사용자가 이물질을 직접 확인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이를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 제품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고, 거리 근접으로 인하여 과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대응하기 어렵고 제품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Since the conventional device requires the user to directly check foreign substances, if the user fails to check this, it may lead to product problems, and when overvoltage is applied due to proximity, it is difficult to respond and damage to the product may occur. .

본 발명은 공기가 토출되는 중에도 물을 급수할 수 있고, 분리가능한 탑커버어셈블리를 거치할 수 있고, 탑커버어셈블리가 거치된 상태에서 베이스바디로부터 탑커버어셈블리에 비접촉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가습청정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ater can be supplied even while air is being discharged, a detachable top cover assembly can be mounted, and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se body to the top cover assembly in a non-contact manner while the top cover assembly is mounted.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its method.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에어클린모듈 및 에어워시모듈을 포함하는 가습청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워시모듈에 구비되는 수조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와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탑커버어셈블리, 상기 에어클린모듈이 구비되는 베이스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탑커버어셈블리로 무선전력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전력송신부, 상기 무선전력송신부의 전력송신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력송신부에 인가되는 코일전압을 감지하는 코일전압감지부 및 상기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되면 상기 무선전력송신부에 대기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코일전압에 대응하여 이물질을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되고 상기 대기모드가 설정되면 이물질 감지모드로 인식하여, 출력전압과 주파수를 가변하여 상기 전력송신부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humidification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umidification cleaning device including an air clean module and an air wash module, the air wash module is disposed on top of a water tank and is detachably mounted from the water tank a top cover assembly,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med on the base body equipped with the air clean module and transmitting a wireless power signal to the top cover assembly, and a coil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tter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pplied to the power transmitter When the coil voltage sensing unit for detecting voltage and the top cover assembly are separated, a standby mode is set for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foreign matter in response to the coil voltage, wherei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ncludes the top cover assembly. When the cover assembly is separated and the standby mode is set, it is recognized as a foreign matter detection mode, and the voltage applied to the power transmitter is controlled by varying the output voltage and frequency.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는 상기 대기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정상모드의 전압모다 낮은 저전압이 출력전압으로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s characterized in that, as the standby mode is set, a low voltage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mode is applied as an output voltage.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는 듀티를 변경하여 상기 전력송신부에 인가되는 전압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oltage appli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reduced by changing the duty.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는 주파수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주파수 범위 내에서 주파수를 변경하여 상기 전력송신부에 인가되는 전압이 변경되도록 한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sets a frequency range and changes the frequency within the frequency range so that the voltage applied to the power transmitter is changed.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는 상기 주파수 범위 내의 주파수 변경을 일정횟수 반복하여 핑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may perform a ping operation by repeating a frequency change within the frequency range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일전압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코일전압의 평균을 산출하고, 상기 코일전압의 평균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이물질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 unit may calculate an average of the coil voltages sensed through the coil voltage detection unit, and detect foreign substances by comparing the average of the coil voltages with a set valu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전력송신부에 의해 변경되는 주파수별로 감지되는 코일전압 중 피크값을 선별하고, 주파수변경이 반복됨에 따라 회차별 피크값의 평균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ler selects a peak value among the coil voltages sensed for each frequency changed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calculates an average of the peak values for each cycle as the frequency changes are repeated.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제어방법은,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탑커버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가습청정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탑커버어셈블리의 거치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된 경우 대기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이물질 감지모드로 인식하여, 상기 탑커버어셈블리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무선전력송신부의 출력전압과 주파수를 가변하는 단계, 상기 무선전력송신부에 구비되는 전력송신부에 인가되는 코일전압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코일전압에 대응하여 이물질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the control method of a humidifying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trol method of a humidifying cleaning device including a top cover assembly detachably mounted, the step of detecting whether the top cover assembly is mounted, the top cover assembly being separated setting the standby mode, recognizing it as a foreign matter detection mode, varying the output voltage and frequency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supplying power to the top cover assembly, applying power to the power transmitter provided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detecting a coil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coil voltage and detecting a foreign material in response to the coil voltage.

상기 이물질 감지모드로 인식하면, 공진주파수를 바탕으로 주파수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범위 내에서 주파수를 변경하여 상기 전력송신부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tting a frequency range based on a resonant frequency when recognizing the foreign matter detection mode, and controlling a voltage applied to the power transmitter by changing a frequency within the frequency range.

상기 주파수 범위 내의 주파수 변경하는 동작을 일정횟수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The step of repeating the operation of changing the frequency within the frequency range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s further included.

상기 이물질 감지단계는, 감지된 상기 코일전압을 기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코일전압이 상설정값 미만이면 이물질이 위치하는 것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detecting of the foreign matter, the detected coil voltage is compared with a predetermined set value, and when the coil voltage is less than the normal set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foreign material is located.

상기 이물질 감지단계는, 주파수변경에 따라 감지되는 상기 코일전압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코일전압 중, 피크값을 선별하는 단계 및 주파수변경이 반복됨에 따라 회차별 피크값의 평균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일전압의 평균값을 상기 설정값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oreign matter detection step may further include storing the coil voltage detect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change, selecting a peak value among the coil voltages, and calculating an average of peak values for each time as the frequency change is repeated. and comparing the average value of the coil voltage with the set value.

본 발명의 가습청정장치 및 그 방법은 전기회로가 내장된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가능하게 거치되어도, 무선전력전송을 통해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탑커버어셈블리의 조작모듈을 작동시킬 수 있고, 감전의 위험성을 제거하고 전기사고의 발생을 방지하여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The humidifying cleaning device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the operation module of the top cover assembly by supplying power to the top cover assembly through wireless power transmission even when the top cover assembly with an embedded electric circuit is detachably mounted, ,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safety by eliminating the risk of electric shock and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electrical accidents.

본 발명은 탑커버어셈블리가 거치되는 위치에 투입되는 이물질을 감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into a position where the top cover assembly is mounted.

본 발명은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된 상태에서 이물질을 감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foreign matter in a state in which the top cover assembly is separated.

본 발명은 이물질에 의한 효율저하를 개선하고,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efficiency reduction due to foreign substances and prevent energy waste.

본 발명은 이물질에 의한 제품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product damage caused by foreign substances.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2에 도시된 에어워시모듈에서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가습청정장치에서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가습청정장치의 제어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7 은 가습청정장치의 전력공급 및 통신을 위한 제어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8 은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무선전력송신부 및 무선전력수신부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가습청정장치의 무선전력전송에 따른 회로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가습청정장치의 탑커버어셈블리 장착구조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가습청정장치의 무선전력송신부의 전압감지회로가 도시된 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가습청정장치의 신호흐름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13 는 본 발명의 가습청정장치의 무선전력송신부에서 감지되는 코일전압을 비교하는 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가습청정장치의 무선전력송신부에서 감지되는 코일전압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가습청정장치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가습청정장치의 이물질 감지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umidifying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top cover assembly is separated from the air wash module shown in FIG. 2;
5 is a reference diagram explaining a method of supplying power to the top cover assembly in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briefly showing the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a control configuration for power supply and communication of a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8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for supplying power to the top cover assembly.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according to wireless power transmission of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top cover assembly of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showing a voltage sensing circuit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of a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signal flow of the humidification and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comparing coil voltages detected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of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graph of the coil voltage sensed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of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foreign matter detection method of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 및 각 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고, 하드웨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and each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with one or more processors or hardware devices.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1의 분해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 and FIG. 3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에어클린모듈(100) 및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상측에 거치되는 에어워시모듈(200)을 포함한다.The humidification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n air clean module 100 and an air wash module 200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air clean module 100.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은 외부공기를 흡입한 후 여과하고, 여과공기를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제공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상기 여과공기를 공급받아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을 실시하고, 가습공기를 외부로 토출한다. The air clean module 100 takes in external air, filters it, and supplies the filtered air to the air wash module 200. The air wash module 200 receives the filtered air, performs humidification to provide moisture, and discharges the humidified air to the outside.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물이 저장되는 수조(300)를 포함한다. 상기 수조(300)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될 때,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가능하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에어클린모듈(100) 위에 거치된다. The air wash module 200 includes a water tank 300 in which water is stored. The water tank 300 can be separated from the air clean module 100 when the air wash module 200 is separated. The air wash module 200 is mounted on the air clean module 100.

사용자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을 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에어워시모듈(200)을 청소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된 에어클린모듈(100) 내부를 청소할 수도 있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된 경우,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의 상면이 사용자에게 개방된다. The user can separate the air wash module 200 from the air clean module 100 and clean the separated air wash module 200. The user may clean the inside of the air clean module 100 from which the air wash module 200 is separated. When the air wash module 200 is separated,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clean module 100 is opened to the user.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은 필터어셈블리(10)를 포함하고, 베이스바디(110)에서 필터어셈블리(10)를 분리한 후 청소할 수 있다. The air clean module 100 includes a filter assembly 10 and can be cleaned after separating the filter assembly 10 from the base body 110 .

사용자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는 외부에서 상기 수조(30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유로(109)가 형성된다. A user can supply water to the air wash module 200. A water supply passage 109 through which water can be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water tank 300 is formed in the air wash module 200 .

상기 급수유로(109)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유로(107)와 분리되어 구성된다. 상기 급수유로(109)는 어느 때나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작동 중일 때에도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클린모듈(100)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될 상태일 때에도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passage 109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discharge passage 107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he water supply passage 109 is configured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tank at any time. For example, water may be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assage even when the air wash module 200 is in operation. For example, even when the air wash module 200 is coupled to the air clean module 100, water can be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assage. For example, even when the air wash module 200 is separated from the air clean module 100, water can be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assage.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은 내부의 연결유로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유로는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에 분산되어 배치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클린모듈(100)에 거치될 때, 비로소 에어워시모듈(200)의 유로와 에어클린모듈(100)의 유로가 연결유로를 통해 서로 연통된다. The air clean module 100 and the air wash module 200 are connected through an internal connection passage. Since the air wash module 200 is detachable, the connection passages are distributed in the air clean module 100 and the air wash module 200. When the air wash module 200 is mounted on the air clean module 100, the flow path of the air wash module 200 and the flow path of the air clean module 10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on flow path.

이하,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air clean module 100 and the air wash module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은 베이스바디(11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배치되고, 공기를 여과시키는 필터어셈블리(1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배치되고,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유닛(20)을 포함한다. The air clean module 100 includes a base body 110, a filter assembly 10 disposed on the base body 110 to filter air, and a filter assembly 10 disposed on the base body 110 to flow air. It includes a blowing unit (20).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가습을 위한 물이 저장되고,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수조(300)와, 상기 수조(300)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의 물을 분사하는 워터링유닛(400)과, 상기 워터링유닛(400)에서 분사된 물에 의해 적셔지고, 유동되는 공기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매체(50)와, 상기 수조(300)에 결합되고, 내부를 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비주얼바디(210)와,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유로(107) 및 물이 공급되는 급수유로(109)가 형성된 탑커버어셈블리(230)를 포함한다. The air wash module 200 stores water for humidification, and is disposed in the water tank 300 detachably mounted on the air clean module 100, the water tank 300, and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300 A watering unit 400 disposed in the water tank and spraying water from the watering unit 400, and a humidifying medium 50 providing moisture to the flowing air and wetted by the water sprayed from the watering unit 400; A visual body 210 coupled to the water tank 300 and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see the inside, a discharge passage 107 detachably mounted on the visual body 210,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nd water is supplied. and a top cover assembly 230 in which a water supply passage 109 is formed.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는 흡입유로(101), 여과유로(102), 송풍유로(108), 클린연결유로(104)가 배치된다. 상기 흡입유로(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여과유로(102), 송풍유로(108)를 거쳐 클린연결유로(104)로 유동된다. In the air clean module 100, a suction passage 101, a filtration passage 102, a blowing passage 108, and a clean connection passage 104 are disposed.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assage 101 flows to the clean connection passage 104 via the filtering passage 102 and the blowing passage 108 .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가습연결유로(105), 가습유로(106), 토출유로(107) 및 급수유로(109)가 배치된다. In the air wash module 200, a humidification connection passage 105, a humidification passage 106, a discharge passage 107, and a water supply passage 109 are disposed.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의 클린연결유로(104) 및 에어워시모듈(200)의 가습연결유로(105)는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클린모듈(100)에 거치될 때, 비로소 연결된다. The clean connection passage 104 of the air clean module 100 and the humidification connection passage 105 of the air wash module 200 are connected only when the air wash module 200 is mounted on the air clean module 100 .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의 가습연결유로(105)를 통해 공급된 여과공기는, 가습유로(106) 및 토출유로(107)를 거쳐 실내로 토출된다. 상기 급수유로(109)는 가습유로(106)와 연통되지만, 공기는 토출시키지 않고, 물만 급수받을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된다. Filtered air supplied through the humidification connection passage 105 of the air wash module 200 is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humidification passage 106 and the discharge passage 107. The water supply passage 109 communicates with the humidification passage 106, but is manufactured in a structure capable of receiving only water without discharging air.

먼저, 에어클린모듈(1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First, each configuration of the air clean module 100 will be described.

상기 베이스바디(110)는 어퍼바디(120) 및 로어바디(130)로 구성된다. 상기 로어바디(130) 상측에 상기 어퍼바디(120)가 적층되고, 상기 어퍼바디(120) 및 로어바디(130)는 조립된다. The base body 110 is composed of an upper body 120 and a lower body 130. The upper body 120 is stack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ody 130, and the upper body 120 and the lower body 130 are assembled.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로 공기가 유동된다. Air flows into the base body 110.

상기 로어바디(130)에 흡입유로(101), 여과유로(102) 및 송풍유로(108)가 배치되고, 상기 흡입유로(101), 여과유로(102) 및 송풍유로(108)를 형성시키는 구조물들이 배치된다. A structure in which a suction passage 101, a filtration passage 102, and a blowing passage 108 are disposed in the lower body 130, and the suction passage 101, the filtration passage 102, and the blowing passage 108 are formed. are placed

상기 어퍼바디(120)에 연결유로(103)의 일부가 배치되고, 여과된 공기를 상기 에어워시모듈(200)로 안내하기 위한 구조물들 및 에어워시모듈(200)을 거치하기 위한 구조물들이 배치된다. A portion of the connection passage 103 is disposed in the upper body 120, and structures for guiding filtered air to the air wash module 200 and structures for holding the air wash module 200 are disposed. .

상기 베이스바디(110)는 외형을 형성하고, 하측면에 흡입구(111)가 형성된 로어바디(130)와, 외형을 형성하고, 상기 로어바디(130) 상측에 결합되는 어퍼바디(120)를 포함한다. The base body 110 includes a lower body 130 forming an external shape and having a suction port 111 formed on a lower side thereof, and an upper body 120 forming an external shape and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ody 130 do.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서 탈착 가능하게 조립된다. The filter assembly 10 is detachably assembled from the base body 110 .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여과유로(102)를 제공하고, 외부 공기에 대해 필터링을 실시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탈착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수직방향을 거슬러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해 교차되게 배치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수직방향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여과유로(102)를 형성한다. The filter assembly 10 provides a filtering passage 102 and filters external air. The filter assembly 10 has a structure that is detach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body 110 . The filter assembly 10 is disposed to cross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flow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lter assembly 10 slid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ilters air flowing up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lter assembly 10 is disposed horizontally and forms a filtering passage 102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The filter assembly 10 may slide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body 110 .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로어바디(130) 내부에 배치되고, 여과유로(102)를 형성하는 필터하우징(11)과, 상기 필터하우징(1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여과유로(102)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하는 필터(14)를 포함한다. The filter assembly 10 is disposed inside the lower body 130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filter housing 11 forming the filter passage 102 and the filter housing 11, and the filter passage ( and a filter 14 for filtering air passing through 102.

상기 필터하우징(12)은 하측이 흡입유로(101)와 연통되고, 상측이 송풍유로(108)와 연통된다. 상기 흡입유로(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여과유로(102)를 거쳐 송풍유로(108)로 유동된다.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housing 12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passage 101 and the upper side communicates with the blowing passage 108 .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assage 101 flows to the blowing passage 108 via the filtering passage 102 .

상기 필터하우징(12)은 상기 여과유로(102)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일측이 개구된다. 상기 필터하우징(12)의 개구면을 통해 상기 필터(14)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필터하우징(12)의 개구면은 측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필터하우징(12)의 개구면은 로어바디(130)의 외측면에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필터(14)는 상기 로어바디(130)의 측면을 통해 삽입되고, 필터하우징(12)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필터(14)는 상기 여과유로(102)와 교차되게 배치되고, 상기 여과유로(102)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한다. One side of the filter housing 12 is open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lter passage 102 . The filter 14 may be detachably coupl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filter housing 12 . The opening surface of the filter housing 12 is formed in a lateral direction. The opening surface of the filter housing 12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30 . So, the filter 14 is inserted through the side of the lower body 130 and positioned inside the filter housing 12 . The filter 14 is disposed to cross the filtration passage 102 and filters air passing through the filtration passage 102 .

상기 필터(14)는 인가된 전원을 대전시켜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전기집진필터일 수 있다. 상기 필터(14)는 여과재를 통해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14)는 다양한 구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14)의 여과방식 또는 필터의 여과재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가 제한되지 않는다. The filter 14 may be an electric dust collecting filter that collects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by charging the applied power. The filter 14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collects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through a filter medium. The filter 14 may have various structures.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filtration method of the filter 14 or the filter medium of the filter.

상기 여과유로(102)는 가습청정장치의 주된 유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여과유로(102)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중력 반대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킨다. 즉, 상기 가습청정장치의 주된 유동방향은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게 형성된다. The filtering passage 102 is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ain flow direction of the humidifying cleaning device. In this embodiment, the filtering passage 102 i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llows air to flow in a direction opposite to gravity. That is, the main flow direction of the humidification and cleaning device is form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상기 필터하우징(12)의 상측에 송풍유닛(20)이 배치된다. A blower unit 20 is disposed above the filter housing 12 .

상기 필터하우징(12)의 상측면은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여과유로(102)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송풍유닛(20)으로 유동된다. An upper surface of the filter housing 12 is formed with an opening, and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ing passage 102 flows into the blowing unit 20 .

상기 송풍유닛(20)은 공기의 유동을 생성시킨다. 상기 송풍유닛(20)은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에 배치되고,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킨다. The blowing unit 20 creates a flow of air. The blowing unit 20 is disposed inside the base body 110 and flows air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상기 송풍유닛(20)은 송풍하우징(150), 송풍모터(22) 및 송풍팬(24)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모터(22)가 상측에 배치되고, 송풍팬(24)이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의 모터축을 아래를 향해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24)과 조립된다. The blowing unit 20 is composed of a blowing housing 150, a blowing motor 22 and a blowing fan 24. In this embodiment, the blowing motor 22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blowing fan 24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The motor shaft of the blowing motor 22 is installed downward, and is assembled with the blowing fan 24 .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유동되는 공기의 유로를 제공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에 상기 송풍모터(22) 및 송풍팬(24)이 배치된다. The blower housing 150 is disposed inside the base body 110 . The blower housing 150 provides a flow path for flowing air. The blowing motor 22 and the blowing fan 24 are disposed in the blowing housing 150 .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상기 필터어셈블리(10)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바디(120) 하측에 배치된다. The blower housing 150 is disposed above the filter assembly 10 and below the upper body 120 .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내부에 송풍유로(108)를 형성시킨다. 상기 송풍유로(108)에 상기 송풍팬(24)이 배치된다. 상기 송풍유로(108)는 여과유로(102) 및 클린연결유로(104)를 연결시킨다. The blowing housing 150 forms a blowing passage 108 therein. The blowing fan 24 is disposed in the blowing passage 108 . The blowing passage 108 connects the filtering passage 102 and the clean connection passage 104.

상기 송풍팬(24)은 원심팬으로서, 하측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반경방향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송풍팬(24)은 반경방향 바깥쪽 및 상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송풍팬(24)은 외측단이 반경방향 상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The blowing fan 24 is a centrifugal fan, sucks in air from the lower side, and then discharges the air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The blowing fan 24 discharges air outward and upward in the radial direction. The blowing fan 24 is formed so that the outer end faces upward in the radial direction.

상기 송풍모터(22)는 유동되는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상기 송풍팬(24)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는 송풍팬(24)에 의해 감싸져 설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는 상기 송풍팬(24)에 의한 공기 유로 상에 위치되지 않고, 송풍팬(24)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와 저항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The blowing motor 22 is disposed above the blowing fan 24 to minimize contact with flowing air. The blowing motor 22 is installed while being wrapped by a blowing fan 24 . The blowing motor 22 is not located on the air passage by the blowing fan 24 and does not generate resistance with the air flowing by the blowing fan 24 .

상기 어퍼바디(120)는 베이스바디(110)의 외형을 형성하고, 로어바디(130)와 결합되는 어퍼아우터바디(128)와, 상기 어퍼아우터바디(128)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0)가 삽입되고, 연결유로(103)를 제공하는 어퍼이너바디(140)와, 상기 어퍼이너바디(140) 및 어퍼아우터바디(128)를 결합시키고, 공기를 상기 수조(300)로 안내하는 에어가이드(170)를 포함한다. The upper body 120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base body 110, and is disposed inside the upper outer body 128 coupled to the lower body 130 and the upper outer body 128, and the water tank ( 300) is inserted, the upper inner body 140 providing the connection passage 103, the upper inner body 140 and the upper outer body 128 are coupled, and the air is guided to the water tank 300. It includes an air guide 170.

상기 어퍼바디(120)는 연결유로 및 수조삽입공간을 분리하여 배치하기 때문에, 수조(300)의 물이 연결유로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어퍼이너바디를 통해 구획되어 연결유로가 물이 저장되는 공간의 바깥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물이 연결유로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Since the upper body 120 separates the connection passage and the water tank insertion spac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flow of water from the water tank 300 into the connection passage. Particularly, since the connection passage is partitioned through the upper inner body and disposed outside the space in which water is stored, it is possible to suppress water from flowing into the connection passage.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상측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조(300)가 삽입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여과공기가 유입되는 클린연결유로(104) 중 일부를 형성한다. The upper inner body 140 is formed with an open top, and the water tank 300 is inserted therein. The upper inner body 140 forms a part of the clean connection passage 104 through which filtered air flows.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에어워시유입구(31)와 대응되는 어퍼유입구(121)가 형성된다. 상기 어퍼유입구(121)는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다. 어퍼바디(120)가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연결유로(103)에 노출시키는 형상이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The upper inner body 140 is formed with an upper inlet 121 corresponding to the air wash inlet 31. The upper inlet 121 is not an essential component. It is sufficient if the shape of the upper body 120 exposes the air wash inlet 31 to the connection passage 103.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클린연결유로(104)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상기 어퍼유입구(121)로 안내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베이스바디(110)의 바깥쪽을 따라 상승된 공기를 안쪽으로 모아준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킨다. 다만,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키되, 그 각도를 최소화시켜 공기의 유동저항을 최소화시킨다. The air guide 170 guides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clean connection passage 104 to the upper inlet 121 . The air guide 170 gathers the air raised along the outside of the base body 110 to the inside. The air guide 170 changes the flow direction of air flowing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However, the air guide 170 converts the air flow direction and minimizes the air flow resistance by minimizing the angle.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어퍼이너바디(140)의 외측을 360도 감싸게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360도 전 방향에 대해 공기를 상기 수조(300)로 안내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로어바디(130)의 바깥쪽을 따라 안내된 공기를 안쪽으로 모아 수조(300)에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수조(300)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The air guide 170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side of the upper inner body 140 by 360 degrees. The air guide 170 guides air to the water tank 300 in all directions of 360 degrees. The air guide 170 collects the air guided along the outside of the lower body 130 inward and supplies it to the water tank 300. Through such a structure, a sufficient flow rate of air supplied to the water tank 300 can be secured.

그래서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형성된 안내부(172)와, 상기 안내부(172)와 연결되고, 안내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키는 전환부(174)를 포함한다. Therefore, the air guide 170 includes a guide part 172 formed in the flow direction of air, and a conversion part 174 connected to the guide part 172 and chang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guided air.

한편, 어퍼바디(120)의 상측에 아우터비주얼바디(214)가 결합된다.Meanwhile, the outer visual body 214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body 120 .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비주얼바디(210)의 구성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어퍼바디(12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에어워시모듈(200)에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삭제 가능한 구성이다. The outer visual body 214 is a component of the visual body 210, but is fixed to the upper body 120 in this embodiment. Unlike this embodiment, the outer visual body 214 may be fixed to the air wash module 200.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visual body 214 is a removable component.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어퍼바디(12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어퍼아우터바디(128)에 결합된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어퍼아우터바디(128)의 외측면은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The outer visual body 214 is fixed to the upper body 120. In this embodiment, the outer visual body 214 is coupled to the upper outer body 128. The outer visual body 214 forms a continuous outer surface of the upper outer body 128.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visual body 214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see through the inside. The outer visual body 214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또는 에어워시모듈(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16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가습청정장치의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160)이 설치된다. A display module 160 displaying an operating state to a user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air clean module 100 and the air wash module 200 . In this embodiment, a display module 160 is installed on the base body 110 to display the operating state of the humidifying cleaning device to the user.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 내측에 디스플레이모듈(160)이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아우터비주얼바디(214)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평면에서 볼때, 도넛형상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내측으로 상기 수조(300)가 삽입된다. A display module 160 is disposed inside the outer visual body 214 . The display module 160 is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visual body 214 . The display module 160 has a donut shape when viewed from a plane. The water tank 300 is inserted into the display module 160 .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아우터비주얼바디(214)에 지지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내측 가장자리는 어퍼이너바디링(126)에 지지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에어가이드(170)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베이스커넥터(26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 160 is supported by the outer visual body 214 . The inner edge of the display module 160 is supported by the upper inner body ring 126 . The display module 160 is located above the air guide 170. The display module 160 may be integrally manufactured with the base connector 260 .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에어가이드(170)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어퍼아우터바디(128) 및 어퍼이너바디(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사용자가 어퍼아우터바디(128) 및 어퍼이너바디(140) 사이를 볼 수 없도록 커버한다. 특히 상기 어퍼아우터바디(128) 및 어퍼이너바디(140) 사이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내측 및 외측은 실링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isplay module 160 is located above the air guide 170. The display module 16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upper outer body 128 and the upper inner body 140 . The display module 160 covers so that the user cannot see between the upper outer body 128 and the upper inner body 140 . In particular, in order to prevent water from permeating between the upper outer body 128 and the upper inner body 140,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display module 160 are preferably sealed.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내측은 어퍼이너바디(140)에 지지되고, 외측은 아우터비주얼바디(218)에 지지된다. The inner side of the display module 160 is supported by the upper inner body 140 and the outer side is supported by the outer visual body 218 .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링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표면은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이 코팅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display module 160 is formed in a ring shape.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play module 160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The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60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reflecting light or coated with a material capable of reflecting light.

그래서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물이 맺힐 경우, 비주얼바디(210) 맺힌 물이 디스플레이모듈(160) 표면에 투영되거나 반사될 수 있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맺힌 물이 흘러내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에도 동일한 효과가 나타난다. So, when water is formed on the visual body 210, the water formed on the visual body 210 may be projected or reflected on the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60. When water condensed from the visual body 210 flows down, the same effect appears on the display module 160.

이러한 효과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자극을 주고, 가습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에 투영된 물방울 이미지는 사용자에게 청량감을 주는 감성적 효과뿐만 아니라 가습 상태를 알 수 있는 기능적 효과도 있다. This effect gives a visual stimulus to the user, and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at humidification is being performed. The water drop image projected on the display module 160 not only has an emotional effect of giving the user a sense of refreshment, but also has a functional effect of knowing the humidification state.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상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사용자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래서 내측이 높고, 외측이 낮게 형성된다.The upper side of the display module 160 is formed to be inclined. The display module 160 is inclined toward the user. So the inside is high and the outside is low.

다음으로, 에어워시모듈(2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Next, each configuration of the air wash module 200 will be described.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여과공기에 대해 가습을 제공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가습유로(106)에서 레인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0은 수조(300)의 물을 분사하고, 이를 순환시킨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물을 작은 크기의 액적으로 변환시키고, 비산된 액적을 통해 여과공기를 다시 한번 씻어낸다. 비산된 물방을 통해 여과공기를 워싱(washing)할 때, 가습 및 여과가 다시 한번 이루어진다. The air wash module 200 provides humidification for the filtered air. The air wash module 200 may implement a rain view in the humidification passage 106 . The air wash module 2000 injects water from the water tank 300 and circulates it. The air wash module 200 converts water into small-sized droplets and washes the filtered air once again through the scattered droplets. When washing the filtered air through the splash water, humidification and filtering take place once again.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가습연결유로(105), 가습유로(106), 토출유로(107) 및 급수유로(109)를 포함한다. The air wash module 200 includes a humidification connection passage 105, a humidification passage 106, a discharge passage 107 and a water supply passage 109.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수조(300), 워터링유닛(400), 가습매체(50), 비주얼바디(210), 탑커버어셈블리(230) 및 핸들(180)을 포함한다. The air wash module 200 includes a water tank 300, a watering unit 400, a humidifying medium 50, a visual body 210, a top cover assembly 230, and a handle 180.

상기 핸들(180)은 비주얼바디(210)에 결합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회전되며,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수납된다. 상기 핸들(180)을 통해 에어워시모듈(200)만을 간편하게 들어올릴 수 있고,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할 수 있다. The handle 180 is coupled to the visual body 210, rotates in the visual body 210, and is stored in the visual body 210. Only the air wash module 200 can be easily lifted through the handle 180,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air clean module 100.

상기 가습연결유로(105)는 수조(30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0)의 내부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습연결유로(105)는 비주얼바디(21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부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The humidification connection passage 105 is disposed outside the water tank 300 and may guide air into the water tank 300 . The humidification connection passage 105 is disposed outside the visual body 210 and may guide air into the visual body 210 .

상기 가습연결유로(105)는 수조(300) 또는 비주얼바디(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에 배치되고, 수조(300) 또는 비주얼바디(210) 중 어느 하나의 내부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The humidification connection passage 105 is disposed outside at least one of the water tank 300 and the visual body 210, and may guide air into either the water tank 300 or the visual body 210. .

상기 토출유로(107)는 탑커버어셈블리(230) 및 비주얼바디(2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유로(107)는 탑커버어셈블리(230) 또는 비주얼바디(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The discharge passage 107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op cover assembly 230 and the visual body 210 . The discharge passage 107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top cover assembly 230 and the visual body 210 .

본 실시예에서는 탑커버어셈블리(230) 및 비주얼바디(210) 사이에 토출유로(107)가 형성되고,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의 내측 중앙에 급수유로(109)가 각각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discharge passage 107 is formed between the top cover assembly 230 and the visual body 210, and the water supply passage 109 is dispos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top cover assembly 230,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 전원이 연결되고,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In the humidification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power is connected to the air clean module 100, and the air wash module 200 receives power through the air clean module 100.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 대해 분리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은 분리가능한 전원공급구조가 구비된다. Since the air wash module 200 is separable from the air clean module 100, the air clean module 100 and the air wash module 200 are provided with a detachable power supply structure.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은 상기 어퍼바디(120)를 통해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기 때문에, 상기 어퍼바디(120)에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전원을 제공하는 베이스커넥터(260)가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커넥터에는 내부 무선전력송신부(410)가 설치된다. Since the air clean module 100 and the air wash module 200 are detachably assembled through the upper body 120, the upper body 120 has a base providing power to the air wash module 200. A connector 260 is disposed. An internal wireless power transmitter 410 is installed in the base connector.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의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전원을 필요로하는 조작부 및 디스플레이가 배치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는 상기 베이스커넥터(260)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탑커넥터(270)가 배치된다. 상기 탑커넥터(270)는 탑커버어셈블리(230)에 배치된다. In the top cover assembly 230 of the air wash module 200, a control unit and a display requiring power are disposed. A top connector 270 detachably connected to the base connector 260 is disposed in the air wash module 200 . The top connector 270 is disposed on the top cover assembly 23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 또는 수조(300)의 내측면을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top cover assembly 230 can be separated, the inner surface of the visual body 210 or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tank 300 can be easily cleaned.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내측에 급수유로(109)가 형성되고, 비주얼바디(210)와의 사이에 토출유로(107)를 형성시킨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베이스커넥터(2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탑커넥터(270)가 배치된다. The top cover assembly 230 has a water supply passage 109 formed therein, and forms a discharge passage 107 between it and the visual body 210.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detachably installed from the visual body 210 . The top cover assembly 230 has a top connector 27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se connector 260 .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가 거치될 때, 탑커넥터(270)가 베이스커넥터(260) 상측에 거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상기 탑커넥터(270)를 통해 상기 베이스커넥터(26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다. When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mounted, the top connector 270 is mounted above the base connector 260. The top cover assembly 230 receives electricity from the base connector 260 through the top connector 270 .

탑커넥터(270)에는 내부에 무선전력수신부(420)가 설치된다. A wireless power receiver 420 is installed inside the top connector 270 .

탑커넥터(270)는 탑커버어셈블리 거치 시, 베이스커넥터에 대응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무선전력송신부로부터 무선전력수신부로 무선전력신호가 전송되어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이 공급된다. As the top connector 270 is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base connector when the top cover assembly is mounted, a wireless power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top cover assembly.

상기 급수유로(109) 주변에는 상기 수조(300)의 수위를 표시하는 수위표시부(247)가 배치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물을 급수할 때, 안 보이는 수조(300)의 수위가 얼만큼 찼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가 물을 급수하는 동선 상에 수위표시부(247)를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물을 과도하게 공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수조(300)에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 water level display unit 247 displaying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300 is disposed around the water supply passage 109 . Therefore, when supplying water, the user can check how full the water level of the invisible water tank 300 is. By disposing the water level display unit 247 on the user's water supply lin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excessively supplying water and to prevent the water tank 300 from overflowing.

상기 수위표시부(247)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에 배치된다. 상기 탑커넥터(270) 및 베이스커넥터(260)의 분리가능한 전원공급구조는 상부급수를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게 한다. The water level display unit 247 is disposed on the top cover assembly 230 . The detachable power supply structure of the top connector 270 and the base connector 260 makes it possible to effectively configure the upper water supply.

상기 수조(300)는 상기 어퍼바디(12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된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상기 수조(3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0) 내부에서 회전된다. The water tank 300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body 120 . The watering unit 400 is disposed inside the water tank 300 and rotates inside the water tank 300.

상기 수조(300)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바디(320)와, 상기 수조바디(320)의 측면에 형성된 에어워시유입구(31)와, 상기 수조바디(32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결합되는 수조바디연장부(380)를 포함한다. The water tank 300 is formed by extending upward from the water tank body 320 in which water is stored, an air wash inlet 31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water tank body 320, and the water tank body 320. A water tank body extension 380 coupled to the visual body 210 is includ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바디(320)는 상측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조바디(32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water tank body 3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tank body 32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가습매체(50)에 물을 공급하는 기능이 있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가습과정을 시각화하는 기능이 있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에어워시모듈(200) 내부에 레인뷰를 구현하는 기능이 있다. The watering unit 400 has a function of supplying water to the humidifying medium 50 . The watering unit 400 has a function of visualizing the humidification process. The watering unit 400 has a function of implementing a rain view inside the air wash module 200.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워터링하우징(800)을 회전시켜 상기 수조 내부의 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하고, 양수된 물을 반경방향 바깥으로 분사한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물을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한 후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분사시키는 워터링하우징(800)을 포함한다.The watering unit 400 rotates the watering housing 800 to suck in water inside the water tank, pump the sucked water upward, and spray the pumped water outward in a radial direction. The watering unit 400 includes a watering housing 800 that sucks water into the inside, pumps the sucked water upward, and then sprays it radially outward.

본 실시예에서는 물을 분사시키기 위해 워터링하우징(800)을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워터링하우징(800) 대신 노즐을 사용하여 물을 분사하여도 무방하다. 노즐에서 물을 분사하여 가습매체(50)에 물을 공급할 수 있고, 레인뷰도 유사하게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노즐에서 물을 분사하고, 노즐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ring housing 800 is rotated to spray water.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okay to spray water using a nozzle instead of the watering housing 800. Water can be sprayed from a nozzle to supply water to the humidifying medium 50, and a rain view can be implemented similarl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water may be sprayed from the nozzle and the nozzle may be rotated.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에서 분사된 물이 상기 가습매체(50)를 적신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에서 분사된 물은 상기 비주얼바디(210) 또는 가습매체(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해 분사될 수 있다. The water sprayed from the watering housing 800 wets the humidifying medium 50 . The water sprayed from the watering housing 800 may be sprayed toward at least one of the visual body 210 and the humidifying medium 50 .

비주얼바디(210)를 향해 분사되는 물은 레인뷰를 구현할 수 있다. 가습매체(50)를 향해 분사되는 물은 여과공기를 가습하는데 이용된다. 비주얼바디(210)를 향해 물을 분사하여 레인뷰를 구현한 후, 비주얼바디(210)에서 흘러내린 물이 가습매체(50)를 적시도록 구현할 수 있다. Water sprayed toward the visual body 210 may implement a rain view. The water injected toward the humidifying medium 50 is used to humidify the filtered air. After implementing a rain view by spraying water toward the visual body 210, the water flowing down from the visual body 210 may wet the humidifying medium 50.

본 실시예에서는 워터링하우징(800)에 높이가 다른 복수개의 분사구를 배치한다. 어느 하나의 분사구에서 토출된 물이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액적을 형성하여 레인뷰를 구현하고, 나머지 하나의 분사구에서 토출된 물이 가습매체(50)를 적셔 가습에 이용된다.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having different heights are disposed in the watering housing 800. The water discharged from one nozzle forms droplet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visual body 210 to implement a rain view, and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other nozzle wets the humidifying medium 50 and is used for humidification.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을 향해 물을 분사하고, 분사된 물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을 따라 아래로 흘러내린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는 물방울 형태로 맺힌 액적이 형성되고, 사용자는 상기 비주얼바디(210)를 통해 상기 액적을 볼 수 있다. The watering housing 800 injects water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visual body 210, and the sprayed water flows downwar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visual body 210. Droplets formed in the form of water droplet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visual body 210 , and the user can see the droplets through the visual body 210 .

특히, 비주얼바디(210)에서 흘러내린 물은 가습매체(50)를 적셔 가습에 이용된다. 상기 가습매체(50)는 워터링하우징(800)에서 분사된 물 및 비주얼바디에서 흘러내린 물에 의해 적셔질 있다. In particular, the water flowing down from the visual body 210 wets the humidifying medium 50 and is used for humidification. The humidifying medium 50 may be wetted by water sprayed from the watering housing 800 and water flowing down from the visual body.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상기 수조(300)와 결합되고, 상기 수조(300)의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The visual body 210 is coupled to the water tank 300 and is positioned above the water tank 300. At least a part of the visual body 210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seeing through the inside.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바깥쪽에 디스플레이모듈(16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비주얼바디(210) 또는 어퍼바디(12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A display module 16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visual body 210 . The display module 160 may be coupled to either the visual body 210 or the upper body 120 .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레인뷰를 관찰할 수 있는 시선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상기 어퍼바디(120)에 배치된다. The display module 160 is disposed on a line of sight through which a rain view can be observed. In this embodiment, the display module 160 is disposed on the upper body 120 .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거치될 때,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외측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에 밀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는 빛을 반사하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코팅될 수 있다. When the air wash module 200 is mounted, the outer surface of the visual body 2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isplay module 160 .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60 may be formed of or coated with a material that reflects light.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맺힌 액적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표면에도 투영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상기 비주얼바디(210) 및 디스플레이모듈(160) 2군데에서 액적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다. Droplets formed on the visual body 210 are also projected onto the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60 . Therefore, the user can observe the motion of the droplet at two locations of the visual body 210 and the display module 160 .

상기 수조(300)는 공기가 소통되는 에어워시유입구(31)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연결유로(103) 및 가습유로(106)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연결유로(103)의 출구이고, 가습유로(106)의 입구이다. The water tank 300 is formed with an air wash inlet 31 through which air is communicated. The air wash inlet 31 is located between the connection passage 103 and the humidification passage 106. The air wash inlet 31 is an outlet of the connection passage 103 and an inlet of the humidification passage 106 .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서 공급된 여과공기는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통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 내부로 유동된다. Filtered air supplied from the air clean module 100 flows into the air wash module 200 through the air wash inlet 31 .

상기 가습매체(50)는 가습유로(106) 입구에 배치되는 수조가습매체(51) 및 가습유로(106) 출구에 배치되는 토출가습매체(55)를 포함한다. 상기 가습유로(106)의 출구와 토출유로(107)의 입구는 서로 연결된다. 그래서 상기 토출가습매체(55)가 토출유로(107)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The humidifying medium 50 includes a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51 disposed at an inlet of the humidifying passage 106 and a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disposed at an outlet of the humidifying passage 106 . An outlet of the humidification passage 106 and an inlet of the discharge passage 107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fore,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may be disposed in the discharge passage 107.

상기 가습매체(50)에서 자연증발된 물에 의해 여과공기가 가습된다. 상기 자연증발은 별도의 열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물이 증발되는 것을 말한다. 공기와의 접촉이 증가할수록, 공기의 유속이 빨라질수록, 공기 중의 압력이 낮아질수록 자연증발이 촉진된다. 상기 자연증발을 자연기화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Filtered air is humidified by the water naturally evaporated from the humidifying medium 50 . The natural evaporation refers to evaporation of water without applying additional heat. As the contact with air increases, the flow rate of air increases, and the pressure in the air decreases, spontaneous evaporation is promoted. The natural evaporation is also referred to as natural evaporation.

상기 가습매체(50)는 물의 자연증발을 촉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매체(50)는 물에 적셔지지만, 수조(300)에 잠기지는 않는다.The humidifying medium 50 promotes natural evaporation of water. In this embodiment, the humidifying medium 50 is wetted with water, but not submerged in the water tank 300.

상기 수조(300)에 저장된 물과 이격되고, 분리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수조(300)에 저장된 물이 있어도 수조가습매체(51) 및 토출가습매체(55)는 항상 적셔진 상태가 아니다. 즉, 가습모드로 작동될 때에만 수조가습매체(51) 및 토출가습매체(55)가 적셔진 상태이고, 공기청정모드로 작동될 때에는 수조가습매체(51) 및 토출가습매체(55)가 건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Since they are spaced apart from and disposed separately from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300, even if there is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300,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51 and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are not always wet. That is, the tank humidifying medium 51 and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are wet only when operating in the humidifying mode, and the tank humidifying medium 51 and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are dry when operating in the air cleaning mode. can be maintained as is.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커버하고, 공기는 상기 수조가습매체(51)를 관통하여 상기 수조(300) 내부로 유동된다.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51 covers the air wash inlet 31, and air flows into the water tank 300 through the water tank humidifying medium 51.

상기 토출가습매체(55)는 가습유로(106)의 출구 또는 토출유로(107) 입구에 배치될 수 있다.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may be disposed at an outlet of the humidification passage 106 or an inlet of the discharge passage 107 .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가습매체(55)는 비주얼바디(2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토출가습매체(55)는 비주얼바디(210)에 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토출가습매체(55)는 탑커버어셈블리(230)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is disposed to cover the top of the visual body 210.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is mounted on the visual body 210. Unlike this embodiment,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cover assembly 230 .

상기 토출가습매체(55)는 상기 토출유로(107)를 커버하고, 가습공기는 상기 토출가습매체(55)를 관통한 후, 토출유로(107)로 유동된다.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covers the discharge passage 107 , and the humidified air flows into the discharge passage 107 after penetrating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55 .

이하 탑커버어셈블리(230)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top cover assembly 230 will be described.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에어워시모듈에서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top cover assembly is separated from the air wash module shown in FIG. 2;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300) 및 비주얼바디(210)는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조(300)는 비주얼바디(21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중사출을 통해 상기 수조(300)의 일부 구성을 투명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주얼바디(210)는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되지 않는다.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tank 300 and the visual body 210 are manufactured as separate parts. Unlike this embodiment, the water tank 300 may be integrally manufactured with the visual body 210. For example, some components of the water tank 30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hrough double injection. In this case, the visual body 210 is not manufactured as a separate component.

본 실시예에서는 탑커버어셈블리(230)가 비주얼바디(210)에 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비주얼바디(210)가 수조(300)와 일체화되는 경우, 수조(300)의 개구된 상측에 거치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described as being mounted on the visual body 210, but unlike this embodiment, when the visual body 210 is integrated with the water tank 300, the opening of the water tank 300 Can be mounted on top.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비주얼바디(21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토출유로(107)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급수를 위한 급수유로(109)도 제공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visual body 210. The top cover assembly 230 not only provides a discharge passage 107 but also provides a water supply passage 109 for supplying water.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토출가습매체(55)의 상측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토출가습매체(55)가 배치된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이 배치하고,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 상부에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가 배치된다.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은 비주얼바디(210)의 상부에 거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의 상부에 거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과 일체로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탑커버어셈블리(230) 및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이 각각 제작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located above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 In this embodiment,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housing 1400 in which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55 is disposed is disposed, and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disposed above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housing 1400.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housing 1400 is mounted on top of the visual body 210.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mounted on top of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housing 1400 . The top cover assembly 230 may be integrally assembled with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housing 1400 . In this embodiment, the top cover assembly 230 and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1400 are manufactured respectively.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비주얼바디(210)에 거치되어 지지되고,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에는 하중을 가하지 않는다.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supported by being mounted on the visual body 210, and no load is applied to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housing 1400.

상기 탑커버그릴(232)은 토출유로(107)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그릴토출구(231)와 급수유로(109)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그릴급수구(233)를 포함한다. 상기 그릴토출구(231) 및 그릴급수구(233)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그릴급수구(233)는 탑커버그릴(232)의 내측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그릴토출구(231)는 상기 그릴급수구(233)의 외측에 배치된다. The top cover grill 232 includes a grill outlet 231 form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charge passage 107 and a grill water inlet 233 form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supply passage 109 . The grill discharge port 231 and the grill water supply port 233 are formed by open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grill water inlet 233 is dispos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top cover grill 232, and the grill outlet 231 is disposed outside the grill water inlet 233.

상기 탑커버그릴(232)은 비주얼바디(21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된다. 상기 탑커버그릴(232)은 비주얼바디(210)의 내측에 거치된다. The top cover reel 232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visual body 210. The top cover grill 232 is mounted inside the visual body 210.

상기 조작모듈(240)은 탑커버그릴(232)에 결합된다. The control module 240 is coupled to the top cover reel 232 .

상기 조작모듈(240)은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조작모듈은 사용자에게 수위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조작모듈(240)에 급수유로(109)가 배치된다. 상기 조작모듈(240)은 탑커넥터(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탑커넥터(270)로부터 전원을 제공받는다. The manipulation module 240 may receive a user's manipulation signal. The operation module transmits water level information to the user. A water supply passage 109 is disposed in the control module 240. The control module 2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op connector 270 and receives power from the top connector 270 .

상기 조작모듈(240, operation module)은 토출그릴과 결합되고 내측에 급수유로(109) 중 적어도 일부가 형성된 조작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조작공간에 입력부(245)와 수위표시부(247)가 구비되고, 입력부(245) 및 수위표시부(247)를 제어하는 입출력제어부(246)(470)가 포함된다. The operation module (240) is coupled to the discharge grill and has an input unit 245 and a water level display unit 247 in an operation space formed inside an operation housing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water supply passage 109 is formed. Is provided, Input/output controllers 246 and 470 that control the input unit 245 and the water level display unit 247 are included.

상기 조작하우징(250)은 상부조작하우징(242) 및 하부조작하우징(244)을 포함한다. The manipulation housing 250 includes an upper manipulation housing 242 and a lower manipulation housing 244 .

상기 상부조작하우징(242) 및 하부조작하우징(244) 사이에 상기 조작공간(243)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공간(243)을 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실링된다. 상기 조작공간(243)에 상기 입력부(245), 수위표시부(247) 및 입출력제어부(246)가 배치된다. The manipulation space 243 is formed between the upper manipulation housing 242 and the lower manipulation housing 244, and the manipulation space 243 is sealed to prevent penetration of water. The input unit 245, the water level display unit 247, and the input/output control unit 246 are disposed in the manipulation space 243.

본 실시예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급수유로(109) 상 또는 수조(300)에 상기 정수필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정수필터는 센물을 연수로 정수할 수 있다. 상기 정수필터가 배치될 경우, 조작하우징에 배치되고, 중력에 의해 연수화된 후, 수조(300)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not shown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filter (not shown) may be installed on the water supply passage 109 or in the water tank 300 . The water filter may purify hard water into soft water. When the water filter is disposed, it is preferable to be disposed in the operation housing, softened by gravity, and then moved to the water tank 300.

상기 입력부(245)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패널일 수 있다. 입력부(245)는 정압식 또는 정전용량 방식으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입력부(245)는 버튼일 수 있다. The input unit 245 may be a touch panel capable of detecting a user's touch manipulation. The input unit 245 may receive a user's touch manipulation in a static pressure type or a capacitive type.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put unit 245 may be a button.

입력부(245)는 상부조작하우징의 저면에 배치된다. 상기 입력부(245)는 발광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상기 발광부재에서 빛이 발생될 수 있다.The input unit 245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ntrol housing. A light emitting member (not shown) may be disposed in the input unit 245, and light may be selectively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member.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을 필요가 있을 때, 상기 입력부(245)가 발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한 조작신호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필요가 있을 때, 입력부(245)가 발광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조작신호에 따라 가습청정장치가 작동될 때, 발광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it is necessary to receive a user's manipulation signal, the input unit 245 may emit light. For example, when it is necessary to allow the user to recognize an operation signal input by the user, the input unit 245 may emit light. In addition, when the humidification cleaning device is operated according to an operation signal input by a user, light may be emitted.

조작모듈(240)의 하우징, 상부조작하우징의 표면은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할 수 있는 재질이 코팅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입력부(245)에서 발광된 빛은 상부조작하우징을 투과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를 볼 수 있다. 입력부(245)가 발광되지 않을 때, 외부의 빛은 상기 상부조작하우징의 표면에서 반사되고, 사용자는 입력부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다. The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manipulation module 240 and the upper manipulation housing may be coated with a material capable of selectively transmitting light. Accordingly, light emitted from the input unit 245 can pass through the upper control housing, and the user can see it. When the input unit 245 does not emit light, external light is reflected from the surface of the upper control housing, and the user cannot check the position of the input unit.

상부급수할 때, 수조에 물을 부으면, 수위표시부(247)를 확인할 수 있다.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top, when water is poured into the water tank, the water level display unit 247 can be checked.

조작하우징에 상기 입력부(245)가 표시되는 입력부표시영역(255)과 수위표시부(247)가 표시되는 수위표시영역(257)이 배치된다. An input unit display area 255 where the input unit 245 is displayed and a water level display area 257 where the water level display unit 247 is displayed are disposed on the manipulation housing.

상기 입력부표시영역(255) 및 수위표시영역(257)은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display area 255 and the water level display area 257 may be disposed inclined toward the front.

입출력제어부(246)는 상기 입력부(245)의 신호를 감지하고, 입력부(245)의 신호를 분석하여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는 베이스바디(110)에 배치될 수 있다. The input/output control unit 246 detects a signal of the input unit 245, analyzes the signal of the input unit 245, and transmits it to a control unit (not shown). The controller may be disposed on the base body 110.

상기 입력부(245)는 상부조작하우징에 은닉될 수 있고, 작동 시에만 발광되어 사용자에게 위치가 노출될 수 있다. 입력부(245), 수위표시부(247) 및 입출력제어부(246)의 전원은 베이스커넥터(260)를 통해 제공받는다. The input unit 245 may be hidden in the upper control housing, and the location may be exposed to the user by emitting light only during operation. Power to the input unit 245, the water level display unit 247, and the input/output control unit 246 is supplied through the base connector 260.

상기 탑커넥터(270)는 조작모듈(240)과 조립되어 탑커버어셈블리(230)를 구성한다. 상기 탑커넥터(270) 및 베이스커넥터(260)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탑커버어셈블리(230)를 비주얼바디(21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할 수 있고, 베이스바디(110)로부터 전원 또는 전기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top connector 270 is assembled with the control module 240 to form the top cover assembly 230 . Since the top connector 270 and the base connector 260 can be separated, the top cover assembly 230 can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visual body 210, and power or electrical signals can be supplied from the base body 110. can send and receive.

상기 탑커넥터(270)가 베이스커넥터(260) 상측에 거치될 때, 베이스커넥터(2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탑커넥터(270)가 베이스커넥터(260)에서 분리될 때, 베이스커넥터(260)와 전기적으로 단절된다. When the top connector 270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connector 260,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se connector 260, and when the top connector 270 is separated from the base connector 260, the base connector 260 ) and electrically disconnected.

상기 탑커넥터(270)는 별도의 구조물이 없이, 상기 베이스커넥터(260) 상측에 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커버어셈블리(230)가 비주얼바디(210)에 거치될 때, 비주얼바디(210)의 바깥쪽에 탑커넥터(270) 및 베이스커넥터(260)가 위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 The top connector 270 can be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connector 260 without a separate structure. For example, when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mounted on the visual body 210, the top connector 270 and the base connector 260 may be positioned outside the visual body 210.

본 실시예에서는 비주얼바디(210)의 내측에 탑커넥터(270)가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상측에 상기 탑커넥터(270)가 배치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 하측에 상기 베이스커넥터(260)가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top connector 270 is located inside the visual body 210, the top connector 27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visual body 210, and the top connector 270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visual body 210. A base connector 260 is disposed.

즉, 탑커넥터(270) 및 베이스커넥터(260)는 비주얼바디(210)를 경계로 분리된다. 그래서 상기 탑커넥터(270) 및 베이스커넥터(260)는 비주얼바디(210)를 통해 전원 및 신호를 전달해야 한다.That is, the top connector 270 and the base connector 260 are separated by the visual body 210 as a boundary. Therefore, the top connector 270 and the base connector 260 must transmit power and signals through the visual body 210 .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탑커넥터(270) 및 베이스커넥터(260)는 무선통신을 통해 신호를 전달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직접 접촉을 통해 통신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top connector 270 and the base connector 260 transmit signals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a communic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hrough direct contact.

상기 베이스커넥터(260) 및 탑커넥터(270)는 전기신호를 비접촉 방식으로 통신한다. 베이스커넥터(260) 및 탑커넥터(270) 간의 무선통신을 위해 다양한 통신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The base connector 260 and the top connector 270 communicate electrical signals in a non-contact manner. Various communication modules may be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connector 260 and the top connector 270 .

상기 베이스커넥터(260) 및 탑커넥터(270)는 근거리에 배치되기 때문에, 근거리통신에 적합한 IR, Zigbee, NFC, 블루투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Since the base connector 260 and the top connector 270 are arranged in a short distance, IR, Zigbee, NFC, Bluetooth, etc. suitable for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ay be used.

본 실시예에서는 IR 신호를 통해 베이스커넥터(260) 및 탑커넥터(270)가 통신한다. 상기 IR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거치부(212)는 IR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는 재질이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거치부(212)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 전체가 빛을 투과할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커넥터거치부(212)만을 위해 별도의 재질이 배치될 필요는 없다. In this embodiment, the base connector 260 and the top connector 270 communicate through an IR signal. In order to transmit the IR signal, the connector holder 212 must b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passing the IR signal.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or holder 212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ince the entire visual body 210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capable of transmitting light, a separate material does not need to be disposed only for the connector holder 212 .

상기 베이스커넥터(260)에는 상기 IR 신호를 투과시킬 수 있는 베이스커넥터윈도우(263)가 배치된다. 상기 탑커넥터(270)에는 상기 IR 신호를 투과시킬 수 있는 탑커넥터윈도우(273)가 배치된다. A base connector window 263 through which the IR signal is transmitted is disposed on the base connector 260 . A top connector window 273 through which the IR signal is transmitted is disposed on the top connector 270 .

상기 탑커넥터윈도우(273) 상측에 탑커넥터통신부(275)가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커넥터윈도우(263) 하측에 베이스커넥터통신부(265)가 배치된다. A top connector communication unit 275 is disposed above the top connector window 273 . A base connector communication unit 265 is disposed below the base connector window 263 .

상기 탑커넥터통신부(275)에서 송신된 신호는 상기 탑커넥터윈도우(273), 커넥터거치부(212) 및 베이스커넥터윈도우(263)를 거쳐 베이스커넥터통신부(265)에서 수신된다.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op connector communication unit 275 is received by the base connector communication unit 265 via the top connector window 273, the connector holder 212, and the base connector window 263.

이와 반대로 베이스커넥터통신부(265)에서 송신된 신호는 베이스커넥터윈도우(263), 커넥터거치부(212) 및 탑커넥터윈도우(273)를 거쳐 탑커넥터통신부(275)에서 수신된다. In contrast,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connector communication unit 265 is received by the top connector communication unit 275 via the base connector window 263, the connector holder 212, and the top connector window 273.

상기 탑커넥터통신부(275)에서 베이스커넥터통신부(265)로 전송되는 신호는 상기 조작모듈(240)에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신호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커넥터통신부에서 탑커넥터통신부(275)로 전송되는 신호는 수위표시부(247)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op connector communication unit 275 to the base connector communication unit 265 may be a user's operation signal input to the operation module 240 .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connector communication unit to the top connector communication unit 275 may be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water level display unit 247 .

상기 베이스커넥터(260) 및 탑커넥터(270)는 전기신호를 이용한 통신뿐 아니라 비주얼바디로부터 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을 공급한다. 베이스커넥터(260)는 무선전력송신부(277)(410)를 포함하고, 탑커넥터(270)는 무선전력수신부(276)(420)를 포함하여, 비접촉방식으로 비주얼바디로부터 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을 공급한다. The base connector 260 and the top connector 270 not only communicate using electrical signals, but also supply power from the visual body to the cover assembly. The base connector 260 includes wireless power transmitters 277 and 410, and the top connector 270 includes wireless power receivers 276 and 420 to supply power from the visual body to the cover assembly in a non-contact manner. do.

탑커버어셈블리가 비주얼바디에 거치되면, 무선전력송신부(277)와 무선전력수신부(276)에 유도기전력이 발생하며, 비주얼바디의 전원부(185)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이 전력수신부의 탑커버어셈블리로 공급된다. When the top cover assembly is mounted on the visual body, induced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77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76, and power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85 of the visual body is supplied to the top cover assembly of the power receiver. do.

무선전력송신부(277)와 무선전력수신부(276)는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탑커버어셈블리가 거치된 상태에서 무선전력송신부(277)와 무선전력수신부(276)는 일정거리 이하로 근접하도록 설치된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277 and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unit 276 ar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addition, in a state where the top cover assembly is mounted,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277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76 are installed to be close to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or less.

탑커버어셈블리가 비주얼바디에 거치되면, 베이스바디로부터 전원부(185)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고, 탑커버어셈블리의 조작모듈로 전원이 공급되어,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입력 또는 키입력을 통한 신호입력이 가능해진다. 또한, 입력부를 통한 신호입력에 대응하여 발광모듈이 동작하여 소정의 빛이 발광될 수 있다. 발광모듈이 발광하여 빛을 조사함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조작 또는 키입력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작모듈의 조명이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 등에 의한 키입력에 대응하는 조명이 점등될 수 있다. When the top cover assembly is mounted on the visual body,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se body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185, power is supplied to the control module of the top cover assembly, and signal is input through the user's touch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or key input. this becomes possible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module may operate in response to a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to emit predetermined light. As the light emitting module emits light and emits light,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state of touch manipulation or key input. In addition, lighting of the operation module may be operated so that lighting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by a user's touch may be turned on.

탑커버어셈블리가 비주얼바디로부터 분리되면, 무선전력송신부와 무선전력수신부간의 전원공급은 차단된다. 탑커버어셈블리가 일정거리 미만으로 비주얼바디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전원공급이 유지될 수 있으나, 상호 전력공급이 불가능한 거리로 분리되는 경우 전원공급은 즉시 중단된다. When the top cover assembly is separated from the visual body, power supply betwe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s cut off. If the top cover assembly is separated from the visual body by less than a certain distance, power supply can be maintained, but if it is separated by a distance where mutual power supply is impossible, power supply is immediately stopped.

비접촉방식의 무선전력전송(WPT)은 유도기전력을 이용하는 전원공급을 설명하나, 이는 일예일뿐,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전력송신부와 무선전력수신부는 각각 베이스커넥터와 탑커넥터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Contactless wireless power transfer (WPT) describes power supply using induced electromotive force,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can be implemented in other ways.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re provided inside the base connector and the top connector, respectively, and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한편,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 하측에는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이 배치된다. 사용자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에 형성된 조작급수구(241)를 통해 물을 급수할 수 있다. Meanwhile, a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housing 1400 is disposed below the top cover assembly 230 . A user may supply water through the manipulation water supply port 241 formed in the top cover assembly 230 .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은, 커버어셈블리가 비주얼바디에 거치되는 경우, 탑커넥터가 안착되기 용이하도록 일측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토출가습매체하우징는 홈의 형태가 탑커넥터의 형상과 유사하도록 구성된다. A groove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discharge humidifying medium housing 1400 so that the top connector can be easily seated when the cover assembly is mounted on the visual body.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hape of the groove is similar to that of the top connector.

사용자는 탑커버어셈블리(230)의 상측에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조작급수구(241)로 낙하된 물은 급수캡(1430)의 표면을 따라 흘러 급수레저버(1441)에 일시 저장된 후, 급수구(1445)를 통해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40) 하부로 유동된다. A user may supply water from the upper side of the top cover assembly 230 . The water dropped into the control water supply port 241 flows along the surface of the water supply cap 1430,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water supply reservoir 1441, and flows to the lower part of the discharge humidification medium housing 1440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1445. .

상기 급수구(1445)를 통과한 물은 비주얼바디(210)의 내부로 낙하된 후, 워터링하우징(800) 상부로 낙하된다.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inlet 1445 falls into the visual body 210 and then falls to the top of the watering housing 800.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이 회전되는 경우, 상부 급수를 통해 공급된 물은 비주얼바디(210) 내측면으로 비산된다. 이후, 비산된 물은 상기 비주얼바디(210) 내측면을 따라 흘러 수조(300) 내부에 저장되고, 수조(300)의 수위를 상승시킨다. When the watering housing 800 is rotated,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upper water supply is scatt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visual body 210. Then, the scattered water flow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visual body 210 and is stored inside the water tank 300, raising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300.

제어부는 수위센서(135)에서 감지된 신호를 판단하고, 수위표시부(247)에 수조(300)의 수위를 표시한다.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signal detected by the water level sensor 135 and displays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300 on the water level display unit 247 .

사용자는 상부 급수 시, 수조(300) 내부의 수위를 볼 수 없지만, 조작급수구(241) 주변에 배치된 수위표시부(247)를 통해 상승된 수위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When water is supplied from the top, the user cannot see the water level inside the water tank 300, but can immediately check the increased water level through the water level display unit 247 disposed around the manipulation water supply port 241.

사용자는 상부 급수 중에 수위표시부(247)를 통해 수위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상부급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Since the user can check the water level through the water level display unit 247 during the upper water supply, the upper water supply flow rate can be adjusted.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탑커버어셈블리(230)가 비주얼바디(210)에서 분리가능한 구조로 설명되었다.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top cover assembly 230 has been described as a detachable structure from the visual body 210.

도 5는 본 발명의 가습청정장치에서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5 is a reference diagram explaining a method of supplying power to the top cover assembly in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베이스바디의 베이스커넥터(260)에는 무선전력송신부가 구비되어, 비접속 방식으로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을 공급한다. 탑커버어셈블리의 탑커넥터에는 무선전력수신부가 구비된다.As described above, the base connector 260 of the base body is provided with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supplies power to the top cover assembly in a non-connected manner. A wireless power receiver is provided in the top connector of the top cover assembly.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바디의 무선전력송신부와, 탑커버어셈블리의 무선전력수신부 간의 자기유도방식에 따라 탑커버어셈블리에 전원이 공급된다. As shown in (a) of FIG. 5, power is supplied to the top cover assembly according to the magnetic induction method betwe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of the base body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of the top cover assembly.

베이스바디의 무선전력송신부와, 탑커버어셈블리의 무선전력수신부가 일정거리 근접하여 배치되면, 스위칭제어를 통해 무선전력송신부의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전류흐름에 따른 자기장이 형성된다. Wh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of the base body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of the top cover assembly are disposed close to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hrough switching control, and a magnetic field is formed according to the current flow.

무선전력수신부의 코일이 무선전력송신부의 자기장의 범위에 위치하게 되면, 무선전력수신부의 코일에 전류가 유도된다. 그에 따라 베이스바디로부터 탑커버오셈블리로 전원이 공급된다. 이러한 무선전력전송 방식은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예로하여 설명하나 일 예 일뿐, 자기공진(MR) 방식, 그리고 원거리 마이크로파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When the coil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s positioned within the range of the magnetic field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current is induced in the coil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ccordingly,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se body to the top cover assembly. This wireless power transfer method is described using a magnetic induction method as an example, but it is only an example, and a magnetic resonance (MR) method and a long-distance microwave method may be used.

무선전력전송을 통해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이 공급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커버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조작모듈(240), 제 2 디스플레이로 전원이 공급된다. 조작모듈(240)은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터치 또는 키입력이 가능해진다. 또한, 입력부에 구비되어 조명이 점등/발광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입력부의 조작에 대응하여 조명의 밝기가 변경되거나 소정의 효과음이 출력될 수 있다.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top cover assembly through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s shown in FIG. 5(b), power is supplied to the control module 240 and the second display provided in the top cover assembly. The control module 240 becomes capable of touch or key input as power is supplied. In addition, it is provided in the input unit so that lighting can be turned on/emitting. In some cases, the brightness of lighting may be changed or a predetermined sound effect may be output in response to manipulation of the input unit.

도 6은 본 발명의 가습청정장치의 제어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6 is a block diagram briefly showing the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청정장치는 입력부(245)를 포함하는 조작모듈(240), 디스플레이모듈이 포함된 디스플레이모듈(160), 복수의 센서, 전기집진부(500), 송풍모터(22), 수차모터(42), 전원부(185) 통신부(181), 그리고 동작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6, the humidification cleaning device includes a control module 240 including an input unit 245, a display module 160 including a display module, a plurality of sensors, an electric dust collector 500, and a blower motor 22 ), an aberration motor 42, a power supply unit 185, a communication unit 181, and a control unit 190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가습청정장치는 가스센서(131), 먼지센서(133), 온도센서(124), 습도센서(134), 수위센서(135), 필터센서(127)를 포함한다. 그외 다양한 센서가 설치될 수 있으나 그외의 센서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The humidification cleaning device includes a gas sensor 131, a dust sensor 133, a temperature sensor 124, a humidity sensor 134, a water level sensor 135, and a filter sensor 127. Various other sensors may be installed, but descriptions of the other sensors are omitted.

먼지센서(133)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감지한다. 먼지센서(133)는 공기중 먼지 농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90)로 입력한다. 먼지센서(133)는 먼지입자 크기별로 먼지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PM 1.0, PM 2.5, 및 PM 10.0인 먼지의 농도를 구분하여 감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ust sensor 133 detects dust from the inhaled air. The dust sensor 133 detects the concentration of dust in the air and inputs it to the controller 190 . The dust sensor 133 can detect the concentration of dust for each size of the dust particle, and in this embodiment, it can separately detect the concentration of dust of PM 1.0, PM 2.5, and PM 10.0.

가스센서(131)는 흡입된 공기로부터 냄새의 농도를 감지한다. 가스센서(131)는 실내공기에 포함된 냄새물질의 농도를 감지하고, 음식물 냄새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가스 농도를 감지한다. The gas sensor 131 detects the concentration of odor from the inhaled air. The gas sensor 131 detects the concentration of odorous substances contained in indoor air, and detects various types of gas concentrations as well as food odors.

온도센서(124)는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고, 습도센서(134)는 흡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감지한다. 이때, 흡인되는 공기의 온도와 습도는 실내공기의 온도와 습도이므로 감지된 온도와 습도를 바탕으로 제어부(190)는 동작을 변경하거나 가습모듈을 제어하여 가습 정도를 조절한다. The temperature sensor 124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intake air, and the humidity sensor 134 detects the humidity of the intake air. At this time, sinc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sucked air ar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indoor air, the controller 190 changes the operation or controls the humidification module to adjust the degree of humidification based on the detected temperature and humidity.

수위센서(135)는 수조(300) 내에 수용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한다. 수위센서는 수조의 물의 높이를 통해 수조내에 물이 만수상태인지 또는 물이 없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The water level sensor 135 detects the level of water accommodated in the water tank 300 . The water level sensor detects whether the water in the water tank is full or there is no water through the height of the water in the water tank.

필터센서(127)는 필터어셈블리(10)가 바디로부터 오픈되는 경우를 감지할 수 있고, 또한, 필터어셈블리(10) 내에 설치되는 필터(14)의 탈거 여부를 감지한다. 필터센서(127)는 필터가 정상적으로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어느 하나의 필터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 필터없음을 감지한다. The filter sensor 127 can detect when the filter assembly 10 is opened from the body, and also detects whether the filter 14 installed in the filter assembly 10 is removed. The filter sensor 127 detects whether a filter is normally inserted, and detects no filter when any one filter is not inserted.

입력부(245)는 조작모듈(240)에 포함되며, 복수의 키 또는 터치수단이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다. 입력부(245)는 탑커버어셈블리(230)의 상면에 배치되어 가습청정장치의 동작에 대한 명령 및 동작모드를 설정한다. The input unit 245 is included in the control module 240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keys or touch means to receive commands from the user. The input unit 245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cover assembly 230 to set commands and operation modes for the operation of the humidifying cleaning device.

이때, 조작모듈(240)은 탑커버어셈블리(230)에 구비됨에 따라, 탑커버어셈블리(230)가 오픈되어 베이스바디(110)로부터 탈거되는 경우, 바디로부터의 전원공급이 차단됨에 따라 동작하지 않는다. At this time, as the control module 240 is provided in the top cover assembly 230, when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opened and detached from the base body 110, the power supply from the body is cut off so that it does not operate. .

탑커버어셈블리(230)와 바디는, 탑커버어셈블리(230)가 바디에 거치되는 경우 접촉단자를 통해 연결됨에 따라 조작모듈(240)로 전원이 공급되고, 입력부(245)의 키입력에 따른 신호가 제어부(190)로 입력된다. The top cover assembly 230 and the body are connected through a contact terminal when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mounted on the body, so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control module 240 and a signal according to a key input of the input unit 245. is input to the controller 190.

제어부(190)는 접촉단자 또는 구비되는 커버감지부의 센서를 통해 탑커버어셈블리(230)의 탈거 여부를 감지하여, 커버오픈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90 may detect whether or not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removed through a contact terminal or a sensor of the provided cover detection unit, and determine the cover open state.

디스플레이모듈(160)은 가습청정장치의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모듈(160)은 문자, 숫자, 아이콘 또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동작상태를 출력한다. The display module 160 displays the operating state of the humidifying cleaning device. The display module 160 outputs an operating state in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letters, numbers, icons, and images.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조작모듈(240)의 키입력에 따라 설정되는 동작모드에 대한 정보 및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냄새 또는 먼지의 농도를 표시하고, 측정되는 온도와 습도를 표시할 수 있으며, 가습기능에 따른 습도 설정과, 네트워크 연결상태, 수조의 상태 등을 표시한다. The display module 160 can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mode set according to the key input of the control module 240 and the concentration of odor or dust detected through the sensor, and can display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humidification Humidity settings according to functions, network connection status, water tank status, etc. are displayed.

또한, 디스플레이모듈(160)의 하나인 라이팅부(165)는 점등되어 가습청정장치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고, 또한 냄새 또는 먼지의 농도에 대응하여 상이한 색상으로 점등됨에 따라 실내 환경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lighting unit 165, which is one of the display modules 160, is turned on to display the operating state of the humidification and cleaning device, and also outputs information about the indoor environment as it is turned on in different colors corresponding to the concentration of odor or dust do.

송풍모터(2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송풍팬을 회전동작시켜, 실내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에어클린모듈(100)을 통과하여 에어워시모듈(200)로 송풍한다. 송풍모터의 회전속도는 입력부의 바람세기 설정에 따라 변경된다.As described above, the blowing motor 22 rotates the blowing fan to suck in indoor air, and blows the sucked air through the air clean module 100 to the air wash module 200 .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moto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wind strength setting of the input unit.

수차모터(42)는 수조(300)에 수용됨 물을 흡입하여 분사되도록 한다. 수차모터(42)는 수조에 구비되는 수차(44)를 회전시켜 수조의 물을 흡입하여 분사되도록 한다. 수차모터(42)에 의해 물이 분사되면, 에어워시모듈(200)을 통과하는 공기가 가습되어 실내로 토출된다. The water wheel motor 42 sucks water accommodated in the water tank 300 and sprays it. The water turbine motor 42 rotates the water wheel 44 provided in the water tank to suck water in the water tank and spray it. When water is sprayed by the water wheel motor 42,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wash module 200 is humidified and discharged into the room.

또한, 가습청정장치의 수조에는 수조(300)의 바닥부분에 설치되어 수조 및 수조에 수용된 물을 살균하는 자외선부(136)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자외선부는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램프로 구성되고, 소정 시간 온(ON) 상태를 유지한 후 일정시간 오프되는 것을 반복한다. 이때, 자외선부가 동작하는 시간은, 수조 내의 물을 살균하기 충분한 시간이다. In addition, the water tank of the humidification clean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ultraviolet unit 136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300 to sterilize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The ultraviolet unit is composed of a lamp that generates ultraviolet rays, and is turned off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fter maintaining an on stat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t this time, the time during which the ultraviolet unit operates is a time sufficient to sterilize the water in the water tank.

통신부(181)는 사용자의 휴대기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사용자의 휴대기기에 가습청정장치의 상태를 전송한다. 또한, 통신부(181)는 사용자의 휴대기기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여 제어부(190)로 인가한다. 통신부(181)는 사용자의 핸드폰 또는 태블릿 등과 같은 휴대기기와 WLAN(Wireless LAN, Wi-Fi), 3G 또는 4G LTE 등과 같은 무선통신, 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을 통하여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181)가 휴대기기와 연결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모듈(160)에는 통신연결상태가 아이콘으로 표시된다. The communication unit 181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user's portable device and transmits the status of the humidifying cleaning device to the user's portable device.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81 receives a user's command input through the user's portable device and applies it to the control unit 190 . The communication unit 181 is a mobile device such as a user's cell phone or tablet and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LAN (Wireless LAN, Wi-Fi), 3G or 4G LTE, Bluetooth,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etc., and can be connected wirelessly. When the communication unit 181 is connected to a portable device, the display module 160 displays a communication connection state as an icon.

또한, 통신부(181)는 외부 기기와의 통신뿐 아니라, 베이스바디와 탑커버어셈블리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 2 통신부 및 제 3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커넥터(260) 및 탑커넥터(270)는 제 2 또는 제 3 통신부에 포함된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81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a third communication unit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base body and the top cover assembly as well as communication with external devices. The base connector 260 and the top connector 270 are included in the second or third communication unit.

전기집진부(500)는 가습청정장치에 거치되어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입자를 대전시켜 집진한다. The electric precipitator 500 is mounted on a humidification and cleaning device to charge and collect dust particles included in the air.

전기집진부(500)는 복수의 필터(14)가 설치되는 필터어셈블리(10)에 설치될 수 있다. 전기집진부(500)는 전기장을 형성하는 대전부와, 대전부에 의해 대전된 먼지입자가 집진되는 집진부를 포함한다. 공기가 대전부를 통과한 후 집진부를 통과하는 동안, 공기 중의 먼지는 집진부에 포집된다. 대전부는 방전전극들과, 방전전극들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대향전극들을 포함하고, 먼지는 서로 마주보는 방전전극과 대향전극 사이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된다.The electric precipitator 500 may be installed in the filter assembly 10 in which the plurality of filters 14 are installed.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500 includes a charging unit that forms an electric field and a dust collecting unit that collects dust particles charged by the charging unit. While the air passes through the dust collection unit after passing through the charging unit, dust in the air i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unit. The charging unit includes discharge electrodes and counter electrode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discharge electrodes, and the dust is charged by corona discharge between the counter electrode and the discharge electrode facing each other.

전원부(185)는 공급되는 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고, 동작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경하여 각 부로 공급한다. 또한, 전원부(185)는 바디로부터 분리되는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185)는 비접촉 방식으로 탑커버어셈블리로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베이스바디에 구비되는 무선전력송신부와, 탑커버어셈블리에 구비되는 무선전력수신부를 포함한다. The power supply unit 185 rectifies and smooths the supplied power, changes it to a voltage required for operation, and supplies it to each unit.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85 supplies power to the top cover assembly separated from the body. The power supply unit 185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provided in the base body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provided in the top cover assembly to supply operation power to the top cover assembly in a non-contact manner.

제어부(190)는 입력부(245) 또는 통신부(181)를 통하여 입력된 명령에 따라 동작을 시작하거나 종료하고, 동작모드를 설정한다. 제어부(19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고, 하드웨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90 starts or ends an operation according to a command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245 or the communication unit 181 and sets an operation mode. The control unit 190 may be implemented with one or more processors or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device.

제어부(190)는 동작모드에 따라 전기집진부(500), 송풍모터(22), 수차모터, 이온발생부(137) 및/또는 자외선부(136)를 제어하고, 라이팅부(165), 디스플레이모듈(160) 및/또는 통신부(181)를 통하여 사용자에 가습청정장치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거나 알릴 수 있다.The control unit 190 controls the electric dust collector 500, the blower motor 22, the aberration motor, the ion generator 137 and/or the ultraviolet unit 136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and controls the lighting unit 165 and the display module. 160 and/or the communication unit 181 may display or inform the user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humidifying cleaning device.

제어부(190)는 복수의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동작모드를 변경하거나 설정을 변경할 수 있고, 또한, 센서의 데이터로부터 가습청정장치의 고장 또는 이상동작을 판단하여 디스플레이모듈(160) 또는 통신부(181)를 통해 에러를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90 can change the operation mode or change the settings in response to data sensed from a plurality of sensors, and also determines the failure or abnormal operation of the humidification cleaning device from the data of the sensors to determine the display module 160 or communication unit Errors can be output through (181).

제어부(190)는 탑커버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입력부(245)의 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그에 따라 동작모드를 설정하여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탑커버어셈블리의 입력부로부터 대기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전원부로 제어명령을 인가하여, 비주얼 바디가 대기전압으로 동작하도록 하고, 또한, 탑커버어셈블리도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190 receives a signal of the input unit 245 provided in the top cover assembly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sets an operation mode accordingly, and controls the operation. When the standby mode is set from the input unit of the top cover assembly, the control unit 190 applies a control command to the power supply unit to operate the visual body with standby voltage, and also controls the voltage supplied to the top cover assembly.

또한, 제어부(190)는 탑커버어셈블리가 비주얼바디에 거치되는지 여부를 입력되는 감지신호로 판단하여 무선전력송신부를 통해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9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op cover assembly is mounted on the visual body based on the input detection signal and controls power to be supplied to the top cover assembly through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제어부(190)는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되는 경우, 커버감지신호를 바탕으로 커버 오픈 상태로 판단하여 전원공급을 차단하거나 또는 대기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When the top cover assembly is separated, the control unit 190 determines that the cover is open based on the cover detection signal and cuts off the power supply or sets a standby mode.

제어부(190)는 커버 오픈 시, 대기모드로 설정하고 무선전력송신부에 정상모드보다 낮은 전압이 인가되도록 한다. When the cover is opened, the controller 190 sets the standby mode and applies a voltage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mode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제어부(190)는 탑커버어셈블리가 거치된 상태에서, 비주얼바디 사이에 이물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에러를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90 may output an error by determining whether a foreign substance exists between the visual bodies in a state in which the top cover assembly is mounted.

탑커버어셈블리가 거치되는 위치에, 이물질이 위치하는 경우, 탑커버어셈블리와 비주얼바디 사이가 일정 거리 이격됨에 따라, 탑커버어셈블리에 구비되는 무선전력수신부와, 비주얼바디에 구비되는 무선전력송신부의 사이에 전력전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When a foreign substance is located at the position where the top cover assembly is mounte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top cover assembly and the visual body is separated by a certain distance, between the wireless power receiver provided in the top cover assembly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provided in the visual body power transmission does not occur normally.

또한, 제어부(190)는 탑커버어셈블리(230)가 거치되지 않고 분리된 상태에서, 탑커버어셈블리가 거치되는 위치에 이물질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90 may detect whether or not a foreign substance is located at a position where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mounted in a state where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not mounted and separated.

제어부(190)는 탑커버어셈블리(230)가 분리된 상태에서, 대기모드로 무선전력송신부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전력송신부의 코일전압을 감지하여 이물질 여부를 판단한다. The controller 190 applies a voltage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n a standby mode in a state in which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separated, thereby detecting a coil voltage of the power transmitter and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foreign substance.

제어부(190)는 무선전력송신부를 통해 공진주파수를 이용하여, 코일전압의 변화에 따라 이물질을 감지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90 may detect foreign matter according to a change in coil voltage using a resonant frequency through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제어부(190)는 이물질이 감지되는 경우, 무선전력송신부(410)를 제어하여 전력송신을 차단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이물질에 의해 무선전력전송이 불가능한 경우 그에 따른 에러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이물질에 대한 소정의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에러가 출력되도록 한다. The controller 190 may block power transmission by controll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410 when a foreign substance is detected. Wh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s impossible due to foreign substances, the control unit 190 may output an error accordingly. In addition, the controller 190 may output a predetermined warning sound for foreign matter and output an error through the display module.

도 7은 가습청정장치의 전력공급 및 통신을 위한 제어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7 is a block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a control configuration for power supply and communication of a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185)는 베이스바디(110)로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또한, 무선전력송신부(410)와, 무선전력수신부(420)를 포함하여 베이스바디로부터 탑커버어셈블리(230)로 전원을 공급한다. As shown in FIG. 7, the power supply unit 185 supplies operating power to the base body 110, and also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410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420 to transfer the top cover assembly from the base body. Power is supplied to (230).

또한, 무선전력송신부는 전력송신부의 코일전압을 감지하는 코일전압감지부(450)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further includes a coil voltage detection unit 450 for sensing the coil voltage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탑커버어셈블리(230)에는 입력부(245)를 포함하는 조작모듈(240)과, 제 2 디스플레이부(257)가 구비되고, 조작모듈(240)과 디스플레이부(257)는 무선전력수신부(420)에 의해 수신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The top cover assembly 230 includes a control module 240 including an input unit 245 and a second display unit 257, and the control module 240 and the display unit 257 are wireless power receivers 420 Operates by receiving the power received by

제어부(190)는 커버감지부(440)의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탑커버어셈블리(230)가 비주얼바디로부터 분리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무선전력송신부(410)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190 determines whether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separated from the visual body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cover detection unit 44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410 accordingly.

제어부(190)는, 탑커버어셈블리(230)가 분리되는 경우, 대기모드를 설정하고, 무선전력송신부에 대기모드에 따른 전압이 인가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190)는 무선전력송신부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불필요하게 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separated, the controller 190 sets a standby mode and applies a voltage according to the standby mode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n some cases, the control unit 190 may block power supply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so that power is not applied unnecessarily.

제어부(190)는 입력부(245)를 통해 대기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전원부(185)를 제어하여 대기모드로 동작하고, 대기모드상태에서 신호를 입력받기 위해 탑커버어셈블리(230)로 대기모드에 따른 전압이 인가되도록 한다. 즉 대기모드상태에서 탑커버어셈블리(23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 입력부(245)가 동작하지 않게 되므로, 동작설정 또는 대기모드 해제에 따른 입력을 받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90)는 대기모드 시, 전압이 탑커버어셈블리(230)로 인가되도록 전원부(185)를 제어한다. When the standby mode is set through the input unit 245, the control unit 190 operates in the standby mode by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unit 185, and enters the standby mode with the top cover assembly 230 to receive a signal in the standby mode state. voltage is applied accordingly. That is, when the power supplied to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cut off in the standby mode state, since the input unit 245 does not operate, it is not possible to receive an input according to operation setting or release of the standby mode. Accordingly,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185 to apply voltage to the top cover assembly 230 in the standby mode.

탑커버어셈블리(230)는 무선전력수신부(42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그에 따라 탑커버어셈블리(230)에 구비되는 입력부(245)와 제 2 디스플레이부(257)에 전압이 인가되고, 입출력을 제어하는 입출력제어부(246)(470)가 동작한다. The top cover assembly 230 receives power through the wireless power receiver 420 . Accordingly, voltage is applied to the input unit 245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57 provided in the top cover assembly 230, and the input/output controllers 246 and 470 that control input and output operate.

입출력제어부(246)(470)는 입력부(245)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제 2 디스플레이부(257)의 출력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제 3 통신부(480)를 통해 베이스바디로 전송한다. 제 2 디스플레이부(257)는, 앞서 설명한 디스플레이모듈(160) 중, 탑커버어셈블리(230)에 구비되는 것으로, 별도의 디스플레이가 추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위표시영역은 제 2 디스플레이부(257)에 의해 표시되는 것이므로 동일한 도면부호를 기재하였음을 명시한다. The input/output controller 246 (470) controls the output of the second display unit 257 in response to a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245, and transmits data to the base body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480. The second display unit 257 is provided in the top cover assembly 230 among the display modules 160 described above, and a separate display may be added. For example, since the water level display area is displayed by the second display unit 257, it is specifi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제 2 통신부(430)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제어부(190)로 입력하고, 제어부(190)는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동작을 제어한다.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430 inputs received data to the control unit 190, and the control unit 190 control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data.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181) 외에도, 베이스바디와 탑커버어셈블리(230)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베이스바디에 제 2 통신부(430), 탑커버어셈블리에 제 3 통신부(480)가 구비된다. 제 2 통신부(430)와 제 3 통신부(480)는, 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WIFI 등의 다른 무선통신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communication unit 181 for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a second communication unit 430 in the base body and a third communication unit 480 in the top cover assembly are provid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between the base body and the top cover assembly 230. d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430 and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480 are connected wirelessly through Bluetooth,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etc.,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wireless devices such as WIFI. A communication method may be applied.

정상모드에서, 입력부(245)를 통해 대기모드가 설정되면, 입출력제어부(246)(470)는 대기모드 설정에 따른 데이터를 제 3 통신부(480)를 통해 전송하고, 제어부(190)는 제 2 통신부(430)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대기모드를 설정한다. In the normal mode, when the standby mode is set through the input unit 245, the input/output controllers 246 and 470 transmit data according to the standby mode setting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480, and the control unit 190 Corresponding to data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30, a standby mode is set.

제어부(190)는 대기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무선전력송신부(410)로부터 탑커버어셈블리(230)로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한다. 대기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되어, 무선전력수신부(420)를 통해 탑커버어셈블리(230)로 인가되는 전압이 대기모드에 따른 저전압으로 변경된다.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clean module 100 and the air wash module 200 as the standby mode is set. In addition,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voltage appli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410 to the top cover assembly 230. As the standby mode is set, the voltage applied to the top cover assembly 230 through the wireless power receiver 420 is changed to a low voltage according to the standby mode.

대기모드에 따른 전압은 입력부(245)의 키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고, 그외의 동작에 대하여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경우에 따라 제 2 디스플레이부(257) 중 일부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디스플레이부 중, 대기모드 설정상태를 알리는 알림표시는 유지하되, 나머지 표시는 모두 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 The voltage according to the standby mode is used to receive a key input of the input unit 245, and power supply is cut off for other operations. In some cases, some of the second display unit 257 may be operated. For example, in the second display unit, a notification display indicating a standby mode setting state may be maintained, but all remaining displays may be turned off.

입력부(245)를 통해 대기모드 해제가 선택되면, 입출력제어부(246)(470)는 대기모드 해제에 따른 데이터를 제 3 통신부(480)를 통해 전송하고, 제어부(190)는 대기모드를 해제하고 정상모드로 동작하도록 전원을 공급하여 에어클린모듈과 에어워시모듈이 각각 설정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When standby mode release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245, the input/output controllers 246 and 470 transmit data according to the standby mode release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480, and the control unit 190 cancels the standby mode and By supplying power to operate in normal mode, the air clean module and air wash module are controlled to operate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settings.

제어부(190)는 무선전력송신부(410)로부터 일반전압이 인가되도록 한다.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일반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모든 동작이 정상 동작하게 된다. The control unit 190 allows the general voltage to be appli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410 . As the normal voltage is applied to the top cover assembly 230, all operations operate normally.

또한, 제어부(190)는 탑커버어셈블리(230)가 분리된 상태에서 대기모드를 설정하는 경우, 탑커버어셈블리가 거치되는 위치, 즉 비주얼바디의 탑커버어셈블리가 거치되는 위치에 이물질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경우에 따라 베이스바디의 커넥터와 비주얼바디 사이의 이물질 또한 감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tandby mode is set in a state in which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separated, the control unit 190 determines whether foreign substances are located at the position where the top cover assembly is mounted, that is, the position where the top cover assembly of the visual body is mounted. detect In some cases, foreign substances between the connector of the base body and the visual body can also be detected.

제어부(190)에 의해 대기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무선전력송신부는 정상모드의 전압 12V보다 낮은 6.5가 인가되도록 하고, 공진주파수의 산포에 따른 범위를 선정한 후, 주파수를 변경한다. As the standby mode is set by the control unit 190,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applies a voltage of 6.5 lower than the normal mode voltage of 12V, selects a range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the resonant frequency, and then changes the frequency.

무선전력송신부(410)는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된, 커버 오픈상태에서 대기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이물질 감지모드로 인식하여 이물질 감지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고, 그에 대응하여 코일전압이 가변된다. As the standby mode is set in the cover open state with the top cover assembly separated,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410 recognizes it as a foreign matter detection mode and performs an operation for detecting foreign matter, and the coil voltage is varied accordingly.

코일전압감지부(450)는 주파수 변경에 따른 코일전압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입력한다. The coil voltage detection unit 450 senses the coil voltage according to the frequency change and inputs it to the control unit.

제어부는 코일전압감지부(450)로부터 입력되는 코일전압을 바탕으로 이물질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는,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된 상태에서, 이물질에 따라 코일전압이 상이해 지므로 이를 바탕으로 이물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foreign substance based on the coil voltage input from the coil voltage sensing unit 450 . Since the coil voltag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foreign substance in the state in which the top cover assembly is separated, the control unit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 foreign substance based on this.

또한, 제어부(190)는 탑커버어셈블리(230)가 거치된 상태에서 이물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탑커버어셈블리(230)와 베이스바디(110) 사이에 이물질이 위치하는 경우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탑커버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입력부 및 제 2 디스플레이부가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90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 foreign substance in a state in which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mounted. If a foreign substance is located between the top cover assembly 230 and the base body 110, power is not normally supplied to the top cover assembly, and the input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top cover assembly do not operate normally.

이물질은 각 바디가 결합되는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탑커버어셈블리(230)는 비주얼바디(210)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분리 및 거치 과정에서 이물질이 위치할 수 있다. Foreign matter may be located at the point where each body is joined. In particular, as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separated from the visual body 210, foreign substances may be located during the separation and mounting process.

이물질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에러를 출력할 수 있고, 이물질에 대한 안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소정의 경고음 또는 음성안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foreign substance is located, the controller 190 may output an error through the display unit, output a guide about the foreign substance, and output a predetermined warning sound or voice guide.

또한, 제어부(190)는 이물질에 의한 발열이 발화로 이어질 수 있고 내부 회로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이물질 감지 시, 무선전력전송이 중지되도록 무선전력송신부(410)를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90 controls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410 to stop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hen a foreign material is detected, since heat generated by the foreign material may lead to ignition and damage to the internal circuit.

도 8 은 탑커버어셈블리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무선전력송신부 및 무선전력수신부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9 는 본 발명의 가습청정장치의 무선전력전송에 따른 회로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도이다. 8 is a block diagram brief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for supplying power to the top cover assembly, and FIG. 9 is a simplified circuit configuration according to wireless power transmission of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n in detail.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바디(110)는 무선전력송신부(410)를 포함하고, 탑커버어셈블리(230)는 무선전력수신부(420)를 포함하여, 비주얼바디(210)로부터 분리되는 탑커버어셈블리(230)에 비접속 방식을 이용하여 전원이 공급된다. 8 and 9, the base body 110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410, and the top cover assembly 230 includes a wireless power receiver 420, and the visual body 210 Power is supplied to the separated top cover assembly 230 using a non-connection method.

또한, 코일전압감지부(450)는 무선전력송신부(410)의 전력송신부(416)에 연결되어 전력송신부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을 감지한다.In addition, the coil voltage detection unit 450 is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416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410 and senses the voltage applied to the coil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제어부(190)는 커버감지신호를 입력받아, 탑커버어셈블리(230)가 비주얼바디(210)에 거치되는지, 또는 분리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무선전력송신부(410)를 통한 전원공급을 온오프제어한다. 탑커버어셈블리(230)가 분리된 경우 제어부(190)는 무선전력송신부가 대기모드로 동작하도록 한다.The controller 190 receives the cover detection signal, determines whether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mounted on the visual body 210 or separated, and controls power supply through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410 on/off. . When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separated, the control unit 190 causes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o operate in a standby mode.

무선전력송신부(410)는 필터부(413), 레귤레이터(414), 스위칭부(415), 전력송신부(416), 전류감지부(412), 그리고 전력전송제어부(411)를 포함한다. 전력송신부(416)에는 코일전압감지부(450)가 연결된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410 includes a filter unit 413, a regulator 414, a switching unit 415, a power transmission unit 416, a current detection unit 412, and a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411. A coil voltage sensing unit 450 is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416 .

필터부(413)는 입력되는 전원, 즉 일정크기 이상 또는 이하의 전류를 필터링한다. 필터부(413)는 돌입전류를 차단한다. The filter unit 413 filters the input power, that is, the current above or below a certain level. The filter unit 413 blocks inrush current.

레귤레이터(414)는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무선전력송신부(410)에서 무선전력수신부(420)로 전송할 전압을 생성한다. 레귤레이터는 설정에 따라 전압을 변경하여 전송한다. 예를 들어 레귤레이터(414)는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정상동작시에는 12V의 전압을 출력하고, 대기모드 설정시 6.5V의 전압을 출력한다. 그에 따라 제 1 지점(PV1)에서 감지되는 전압은, 정상모드와 대기모드에서 각각 12V와 6.5V이다.The regulator 414 generates a voltage to be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410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420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ler. The regulator changes and transmits the voltage according to the setting. For example, the regulator 414 outputs a voltage of 12V during normal operation in response to a control command and outputs a voltage of 6.5V when a standby mode is set. Accordingly, the voltages sensed at the first point PV1 are 12V and 6.5V in the normal mode and the standby mode, respectively.

제 1 전압감지부(417)는 레귤레이터(414)와 스위칭부(415) 사이에 연결되어 레귤레이터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감지한다. 그에 따라 전압감지부(417)는 복수의 저항과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저항의 크기에 따른 분압을 감지한다. The first voltage sensing unit 417 is connected between the regulator 414 and the switching unit 415 and detects a voltage output from the regulator. Accordingly, the voltage sensing unit 417 includes a plurality of resistors and capacitors, and senses a voltage divisi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resistors.

제 1 전압감지부(417)는 레귤레이터로부터 출력되어 전력송신부(416)에 정상적으로 전압이 인가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The first voltage detection unit 417 detects whether a voltage is normally appli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416 after being output from the regulator.

제 1 전압감지부(417)는 두개의 저항을 포함하고, 두 저항의 저항값의 비율에 의해 분배되는 분배전압을 레귤레이터(414)의 출력전압으로 감지한다. 하나의 저항에는 캐패시터가 병렬연결된다. 제 1 전압감지부는 저항값의 비율에 따른 분배전압을 감지함으로써 레귤레이터에 의한 출력전압(PV1)을 감지할 수 있다. The first voltage sensing unit 417 includes two resistors, and detects a divided voltage divided by a ratio of resistance values of the two resistors as an output voltage of the regulator 414 . A capacitor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one resistor. The first voltage detector may detect the output voltage PV1 of the regulator by detecting the divided voltage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resistance value.

제 1 전류감지부(412)는 레귤레이터(414)와 스위칭부(415)사이에 저항이 연결되어, 레귤레이터로부터 스위칭부로 흐르는 전류를 감지한다. 전류감지부는 과전류를 감지하여 전력전송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입력한다. 전류감지부(412)는 전압감지부(417)에 연결된다. In the first current sensing unit 412, a resistor is connected between the regulator 414 and the switching unit 415, and senses a current flowing from the regulator to the switching unit. The current detection unit detects overcurrent and inputs a detection signal to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The current sensing unit 412 is connected to the voltage sensing unit 417 .

스위칭부(415)는 전력전송제어부의 스위칭제어신호에 따라 복수의 스위치가 온오프 동작함에 따라 전력송신부로 무선전력신호를 인가한다. 스위칭부는 전력송신부의 코일의 양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The switching unit 415 applies a wireless power signal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s the plurality of switches are turned on and off according to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of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The switching unit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il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respectively.

스위칭부는 레귤레이터의 출력전압을 교류로 변환하여 코일에 인가하여 전력이 송신되도록 한다. The switching unit converts the output voltage of the regulator into alternating current and applies it to the coil so that power is transmitted.

전력송신부(416)는 스위칭부의 동작에 의해,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고, 전기가 유도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전력송신부의 코일은 스위칭부 및 전력전송제어부가 구비되는 측의 배면, 전력수신부에 대면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416,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and electricity is induced. The coil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preferably installed so as to face the rear surface of the side where the switching unit and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are provided and face the power reception unit.

전력전송제어부(411)는 정상모드와 대기모드에서 각각 상이한 형태의 스위칭제어신호(PWM제어신호)를 스위칭부로 인가한다.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411 applies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control signals (PWM control signals) to the switching unit in the normal mode and the standby mode.

예를 들어 전력전송제어부(411)는 정상모드에서는 지정된 주파수의 스위칭제어신호를 인가하고, 대기모드에서는 구간 스위칭을 위한 스위칭제어신호를 인가한다. For example,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411 applies a switching control signal of a designated frequency in normal mode and applies a switching control signal for section switching in standby mode.

전력전송제어부는 정상모드에서 고정 주파수의 PWM 제어신호를 스위칭부로 인가하고, 대기모드에서는 정상모드보다 낮은 주파수로 고효율구간스위칭을 수행한다.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applies a PWM control signal of a fixed frequency to the switching unit in the normal mode, and performs high-efficiency section switching at a frequency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mode in the standby mode.

전력전송제어부는 신호의 구간을 동작구간과 정지구간으로 구분하여 상기 동작구간에서 스위칭부가 동작하도록 스위칭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전력전송제어부는 정상모드 설정 시, 제 1 주파수의 스위칭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칭부로 인가하고, 대기모드 설정 시, 상기 제 1 주파수 보다 낮은 주파수로 구간스위칭을 수행하도록, 정상모드와 대기모드에서 상이한 주파수의 스위칭제어신호를 생성한다.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divides the signal period into an operation period and a stop period, and generates a switching control signal so that the switching unit operates in the operation period.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applies a switching control signal of a first frequency to the switching unit when the normal mode is set, and when the standby mode is set,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performs section switching at a frequency lower than the first frequency, so that the normal mode and the standby mode have different frequencies. A switching control signal is generated.

고효율구간스위칭이란, LC공진에 의한 무효순환전류가 커서 대기모드에서의 소비되는 전력이 증가하게 되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 구간 별로 스위칭 구간과 정지구간을 구분하여 PWM제어를 수행하는 것이다. 전력전송제어부는 동작구간과 정지구간의 길이가 상이하도록 구간을 구분하여 동작구간에서 PWM제어가 수행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2ms의 동작구간과 8ms의 정지구간이 반복되도록 하여, 동작구간에서만 PWM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High-efficiency section switching means that power consumption in standby mode increases due to large ineffective circulating current due to LC resonanc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PWM control is performed by dividing the switching section and the stop section for each section.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separates the lengths of the operation period and the stop period so that the lengths of the operation period are different, and PWM control is performed in the operation period. For example, PWM control can be performed only in the operating section by repeating a 2 ms operation section and an 8 ms stop section.

또한, 전력전송제어부는 대기모드 설정 시, 정상모드보다 낮은 듀티로 상기 스위칭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듀티에 따라 동작구간과 정지구간의 길이의 비율을 조절한다. 전력전송제어부는 대기모드 설정 시, 동작구간과 정지구간의 길이가 동일하거나, 또는 동작구간보다 정지구간의 길이가 길도록 구간을 설정한다. In addition, when setting the standby mode,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generates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with a duty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mode, and adjusts the ratio of the lengths of the operation section and the stop section according to the duty. When setting the standby mode,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sets the duration so that the length of the operation section and the stop section are the same, or the length of the stop sect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operation section.

전력전송제어부(411)는 정상모드에서 50% 듀티로 제어하고, 대기모드인 경우에는 0 내지 50 범위 내에서 듀티가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력전송제어부는 소프트스위칭을 통해 소음이 감소되도록 한다.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411 may control the duty to be 50% in the normal mode and to vary the duty within a range of 0 to 50 in the standby mode. 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reduces noise through soft switching.

그에 따라 레귤레이터에서 출력되는 일정크기의 전압으로, 스위칭부에 의해 소정 주파수로 무선전력신호가 송출되고, 무선전력수신부측에 유도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베이스바디로부터 탑커버어셈블리로 비접촉 방식으로 전원이 공급된다. Accordingly, a wireless power signal is transmitted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by the switching unit with a voltage of a certain size output from the regulator, and as an induced current is applied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se body to the top cover assembly in a non-contact manner. do.

한편, 탑커버어셈블리(230)는 무선전력수신부, 스위칭레귤레이터, 입출력제어부, 입력부 및 제 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Meanwhile, the top cover assembly 230 includes a wireless power receiver, a switching regulator, an input/output control unit, an input unit, and a second display unit.

무선전력수신부는 전력수신부(421), 정류부(422), 제 2 전압감지부(425)가 구비될 수 있다. 정류부는 소정 크기의 평활 커패시터(C1)를 포함한다. The wireless power receiver may include a power receiver 421, a rectifier 422, and a second voltage detector 425. The rectifying unit includes a smoothing capacitor C1 having a predetermined size.

무선전력수신부(420)는 전력수신부(421)의 코일에 발생되는 유도전류에 의해 베이스바디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The wireless power receiver 420 receives power from the base body by an induced current generated in a coil of the power receiver 421 .

수신된 전원은 정류부(422)를 통해 정류 및 평활되어 스위칭레귤레이터(490)로 입력되고, 스위칭레귤레이터(490)는 부하 즉, 입력부 또는 제 2 디스플레이로 공급되는 동작전원을 출력한다. 정류부(422)는 복수의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The received power is rectified and smoothed through the rectifier 422 and then input to the switching regulator 490, and the switching regulator 490 outputs operating power supplied to the load, that is, the input unit or the second display. The rectifier 422 includes a plurality of diodes.

이때 제 2 지점(PV2)에 인가되는 전압은 9V 내지 20V이고, 스위칭레귤레이터에서 출력되는 동작전원의 전압, 즉 제 3 지점(PV3)에서의 전압은 모드에 따라 각각 8V 또는 6.5V이다. At this time,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cond point PV2 is 9V to 20V, and the voltage of the operating power output from the switching regulator, that is, the voltage at the third point PV3 is 8V or 6.5V, respectively, depending on the mode.

입출력제어부(246)(470)는 스위칭레귤레이터(490)로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정상모드 또는 대기모드에 따라 상이한 크기의 전압으로 동작전원이 출력되도록 한다. The input/output controller 246 (470) applies a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regulator 490 so that operating power is output with different voltages depending on the normal mode or the standby mode.

스위칭레귤레이터(490)는 입출력제어부(246)(470)의 제어신호에 따라 DC-DC컨버팅을 수행하여 정상모드 또는 대기모드에 따라 출력전압을 제어하여 지정된 크기의 전압을 갖는 동작전원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스위칭레귤레이터는 정상모드에서 8V, 대기모드에서는 6.5V의 전압으로 동작전원을 출력한다. The switching regulator 490 performs DC-DC convers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s of the input/output controllers 246 and 470, controls th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normal mode or the standby mode, and outputs operating power having a specified voltage. For example, the switching regulator outputs operating power with a voltage of 8V in normal mode and 6.5V in standby mode.

스위칭레귤레이터(490)는, 대기모드의 경우, 무선전력송신부로부터 6.5V의 무선전력신호가 송출되므로, 전력효율이 높은 스위칭레귤레이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기모드에서 스위칭레귤레이터는 높은 효율로 6.5V의 동작전원을 출력해야하므로, 무선전력수신부에는 용량이 큰 커패시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the switching regulator 490 transmits a 6.5V wireless power signal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n the standby mode, it is preferable to use a switching regulator with high power efficiency. In addition, since the switching regulator must output 6.5V operating power with high efficiency in the standby mode, it is preferable to use a capacitor with a large capacity in the wireless power receiver.

이때, 무선전력수신부(420)에는 별도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포함하지 않고, 정류된 동작전원이 스위칭레귤레이터에 의해 소정 크기의 전압으로 출력되는 때에, 입출력제어부에 의해 스위칭레귤레이터가 제어된다. At this time, the wireless power receiver 420 does not include a separate microprocessor, and the switching regulator is controlled by the input/output control unit when the rectified operating power is output as a voltage of a predetermined size by the switching regulator.

무선전력수신부에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구비되지 않음에 따라 하드웨어 구성이 단순화되고 전력소비가 감소하게 됨에 따라 탑커버어셈블리의 동작을 위한 대기전력이 감소하게 된다. As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s not provided with a microprocessor, hardware configuration is simplified and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thereby reducing standby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top cover assembly.

또한, 평활커패시터에는 제 2 전압감지부(425)가 연결된다. In addition, a second voltage sensing unit 425 is connected to the smoothing capacitor.

제 2 전압감지부(425)는 무선전력수신부(420)로 수신되는 전압의 크기를 감지하여 제 3 통신부를 통해 제어부(190)로 입력한다. The second voltage detection unit 425 detects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received by the wireless power receiver 420 and inputs it to the control unit 190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제 2 전압감지부는 정류부와 연결되는 제 11 저항(R11)과 제 11 저항에 직렬연결되는 제 12 저항(R12)을 포함한다. 또한, 제 12 저항에 병렬연결되는 제 11 캐패시터(C11)를 포함한다. The second voltage sensing unit includes an 11th resistor R11 connected to the rectifier and a 12th resistor R12 connected in series to the 11th resistor. In addition, an 11th capacitor C11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12th resistor is included.

제 2 전압감지부는 제 11 저항과 제 12 저항에 의한 분배전압을 감지한다. 상기 수신전압으로 감지한다. 제 2 전압감지부는 제 11 및 제 12 저항의 저항값의 비율에 따른 분배전압을 감지함으로써 수신전압을 감지할 수 있다. The second voltage sensing unit senses the divided voltage by the eleventh and twelfth resistors. It is sensed by the received voltage. The second voltage sensing unit may sense the received voltage by sensing the divided voltage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resistance values of the eleventh and twelfth resistors.

또한, 무선전력수신부는 설정전압 이상의 과전압 인가 시 회로를 보호하는 과전압보호부를 포함한다. 과전압보호부는 제 31 저항(R31)과 제 31 다이오드(ZD31)를 포함한다. 제 31 다이오드는 제너다이오드이다. In addition, the wireless power receiver includes an overvoltage protection unit that protects the circuit when an overvoltage higher than the set voltage is applied. Th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includes a 31st resistor (R31) and a 31st diode (ZD31). The 31st diode is a Zener diode.

전력송신부와 전력수신부 간의 거리가 설정거리 미만, 예를들어 5mm 미만인 경우 전력수신부에 20V 이상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과전압보호부는, 20V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전압이 낮아지도록 하여 정전압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한다.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power transmitter and the power receiver is less than the set distance, for example, less than 5 mm, a voltage of 20V or more may be applied to the power receiver. Th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reduces the voltage when a voltage of 20V or more is applied so that a constant voltage can be applied.

제어부(190)는 센서로 구성된 커버감지부를 통해 커버의 분리 여부를 판단한다. The controller 190 determines whether the cover is separated through a cover detecting unit composed of sensors.

코일전압감지부(450)는 전력송신부(416)에 연결되어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을 감지하고, 감지된 코일전압을 제어부(190)로 입력한다. The coil voltage sensing unit 450 is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416 to sense a voltage applied to the coil, and inputs the sensed coil voltage to the control unit 190 .

코일전압감지부(450)는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된 상태에서 무선전력송신부가 대기모드로 설정된 경우, 전력송신부에 인가되는 전압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한다. 코일전압감지부는 코일전압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인가하고, 제어부는 코일전압을 바탕으로 이물질을 감지할 수 있다. The coil voltage detection unit 450 detects a change in voltage appli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whe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is set to a standby mode in a state in which the top cover assembly is separated. The coil voltage sensing unit detects the coil voltage and applies it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may detect foreign substances based on the coil voltage.

이물질을 감지하는 과정에서, 전력전송제어부는 탑커버어셈블리(230)가 분리된 상태에서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대기모드를 설정하여 출력전압이 6.5V가 되도록 레귤레이터를 제어한다. In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foreign matter,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controls the regulator so that the output voltage is 6.5V by setting the standby mode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 unit in the state in which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separated.

이물질은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된 상태에서 유입될 수 있으므로,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되는 경우, 제어부는 이물질을 감지한다. Since foreign matter may be introduced while the top cover assembly is separated, the controller detects the foreign matter when the top cover assembly is separated.

제어부는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된 상태에서, 탑커버어셈블리를 대기모드로 설정하여 이물질을 감지한다. 제어부는 이물질 감지가 완료되면, 무선전력송신부의 대기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탑커버어셈블리가 거치되면, 탑커버어셈블리의 무선전력수신부 측의 수신전압을 바탕으로 이물질을 감지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sets the top cover assembly to a standby mode in a state in which the top cover assembly is separated to detect foreign substances. When the foreign matter detection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may release the standby mode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n addition, when the top cover assembly is mounted, the control unit can detect foreign substances based on the received voltag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side of the top cover assembly.

또한, 전력전송제어부는 무선전력송신부를 구성하는 부품의 고유한 특징에 따른 공진주파수를 바탕으로 주파수 범위를 설정하고, 해당 주파수 범위 내에서 주파수를 변경하면서 코일전압의 변화를 감지한다. 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sets a frequency range based on a resonant frequency according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parts constitut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and detects a change in coil voltage while changing the frequency within the corresponding frequency range.

동일한 공정으로 제품이 생산되더라도 각 제품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품별로 공진주파수에 차이가 발생하므로, 소정의 범위를 설정하여 주파수를 가변하면서 이물질을 감지한다. Even if products are produced in the same process, errors may occur in each product, and thus a difference in resonance frequency for each product occurs. Therefore, a foreign substance is detected while varying the frequency by setting a predetermined range.

전력전송제어부(411)는 커버오픈상태에서 무선전력송신부가 대기모드로 설정되면, 이물질을 감지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스위칭신호를 제어한다. Whe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is set to standby mode in the cover open state,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411 determines that foreign matter is detected and controls the switching signal.

이물질 감지 시, 전력전송제어부(411)는 스위칭부(415)의 복수의 스위치에 대한 스위칭제어시 듀티를 50%에서 3%로 감소시켜 코일전압의 크기를 조절한다.When detecting foreign matter,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411 reduces the duty from 50% to 3% to adjust the size of the coil voltage when controlling the switching of the plurality of switches of the switching unit 415 .

전력전송제어부(411)는 제품 설계상 공진주파수를 기준으로, 공진코일 및 커패시터의 스펙을 바탕으로 설정 오차범위 내에서 주파수를 변경하도록 한다.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411 changes the frequency within a set error range based on the specifications of the resonant coil and capacitor based on the resonant frequency in product design.

무선전력전송부는 저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공진주파수를 이용하여 핑(Ping)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코일전압감지부(450)는 코일전압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입력한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performs a ping operation using a resonant frequency in a state where a low voltage is applied. At this time, the coil voltage detection unit 450 senses the coil voltage and inputs it to the control unit.

주파수를 변화시키면서 코일전압을 측정하는데, 공진주파수에 따른 게인이 높은 주파수를 설정하게 된다. 이때, 이물질이 위치하는 경우, 동일한 주파수에서 이물질에 의해 게인이 변경되므로, 코일전압이 낮게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이물질의 종류에 따라 코인전압이 상이하게 측정될 수 있다. The coil voltage is measured while changing the frequency, and the gain according to the resonant frequency sets a high frequency. At this time, when the foreign matter is located, since the gain is changed by the foreign matter at the same frequency, the coil voltage can be measured low. In addition, the coin voltage may be measu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foreign material.

이물질이 없는 상태에서 측정되는 값을 기준값으로 저장하고, 기준값을 바탕으로, 측정오차와, 제품에 따른 성능차를 고려하여 이물질 감지를 위한 설정값을 지정할 수 있다. The value measured in the absence of foreign matter is stored as a reference value, and based on the reference value, a setting value for detecting foreign matter can be specified considering measurement error and performanc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product.

제어부는 주파수 별로 감지되는 코일전압에 대하여, 전압이 크게 감지되는 값을 선택하여 설정값과 비교하고, 코일전압이 설정값 미만이면 이물질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With respect to the coil voltage sensed for each frequency, the control unit selects a value at which the voltage is detected as high, compares the value with the set value, and determines that the foreign matter is located when the coil voltage is less than the set value.

또한, 제어부는 주파수별로 감지되는 코일전압 중, 피크값을 저장하고, 해당 주파수에서 소정 횟수, 예를 들어 10회 반복하여 전압을 감지하여 그 평균값을 바탕으로 코일전압을 통해 이물질을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stores a peak value among the coil voltages detected for each frequency, detects the voltage by repeat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example, 10 times at the corresponding frequency, and determines the foreign matter through the coil voltage based on the average value. .

도 10 은 본 발명의 가습청정장치의 탑커버어셈블리 장착구조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10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top cover assembly of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전력송신부(410)는 베이스바디(110)로부터 상부로 돌출된 베이스커넥터(260)에 구비된다. 베이스커넥터(260)는, 수조가 결합되는 비주얼바디(210)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0 ,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410 is provided on the base connector 260 protruding upward from the base body 110 . The base connector 260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visual body 210 to which the water tank is coupled.

커버감지부는 탑커버어셈블리(230)가 비주얼바디(210)에 거치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입력한다. The cover detection unit detects whether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mounted on the visual body 210 and inpu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비주얼바디(210)는 베이스바디(110) 중 어퍼바디(120)에 결합되고, 투명한 재질의 아우터비주얼바디(214)가 그 외관을 형성한다. The visual body 210 is coupled to the upper body 120 of the base body 110, and the outer visual body 214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forms its appearance.

베이스커넥터(260)는 어퍼바디(120)에 구비되어,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비주얼바디(210)가 어퍼바디(120)에 결합되면, 베이스커넥터(260)가 비주얼바디(21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베이스커넥터의 내부에 위치하는 무선전력송신부(410)와 탑커버어셈블리의 내부에 위치하는 무선전력수신부(420)가 상호 대응하게 배치되어, 전력을 전송하게 된다. The base connector 260 is provided on the upper body 120 and protrudes upward so that when the visual body 210 is coupled to the upper body 120, the base connector 260 is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visual body 210. As such,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410 located inside the base connector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420 located inside the top cover assembly are arrang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thereby transmitting power.

무선전력수신부(420)와 무선전력송신부(410)는 탑커버어셈블리의 하부커버의 두께, 비주얼바디의 두께, 베이스커넥터의 두께에 따라 이격 거리가 결정되며, 그에 따라 비접촉식 전원공급을위한 파라메터가 설정될 수 있다. The distance between the wireless power receiver 420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41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lower cover of the top cover assembly, the thickness of the visual body, and the thickness of the base connector, and parameters for non-contact power supply are set accordingly. It can be.

무선전력송신부(410)는 베이스커넥터(260)의 내부에 고정됨에 따라 일정한 위치에 전력송신부(416)가 배치되도록 한다. As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41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base connector 260, the power transmitter 416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무선전력수신부(420)는 탑커버어셈블리(230)의 탑커넥터(270)의 내부에 삽입 고정된다. 무선전력수신부와 무선전력송신부는, 탑커버어셈블리 거치 시, 상호 대면하도록 배치되고, 각각 베이스커넥터(260)와, 탑커넥터(270)에 고정배치됨에 따라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The wireless power receiver 420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top connector 270 of the top cover assembly 230.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hen the top cover assembly is mounted, and their positions can be fixed as they are fixedly arranged on the base connector 260 and the top connector 270, respectively.

탑커버어셈블리가 거치되는 위치에 이물질이 위치하는 경우, 전력송신부(416)와 전력수신부(421) 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When a foreign substance is located at the position where the top cover assembly is mounted, the distance between the power transmitter 416 and the power receiver 421 increases.

작은 이물질이나, 제품 제조상의 문제로 일정거리 이격되더라도, 전력전송이 가능하도록 스위칭주파수가 설정된다. 그에 따라 전력전송제어부는 정상모드에서는 113khz, 대기모드에서는 110khz로 스위칭부를 스위칭제어하여 출력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력전송제어부는 LC공진주파수를 고려하여 스위칭주파수를 설정한다. The switching frequency is set so that power can be transmitted even if a certain distance is separated due to a small foreign substance or a problem in product manufacturing. Accordingly,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may generate an output voltage by controlling switching of the switching unit to 113 khz in normal mode and 110 khz in standby mode. 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sets the switching frequency in consideration of the LC resonant frequency.

한편, 이물질 등으로 인하여, 무선전력송신부와 무선전력수신부 간의 거리가 소정 오차범위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 탑커버어셈블리로의 전원공급이 불가능해진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exceeds a predetermined error range due to foreign substances, power supply to the top cover assembly becomes impossible.

그에 따라 제어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되면, 무선전력송신부를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이물질을 감지한다.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op cover assembly is separated, the control unit switches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to a standby mode and detects foreign substances.

도 11 은 본 발명의 가습청정장치의 무선전력송신부의 전압감지회로가 도시된 도이다. 11 is a diagram showing a voltage sensing circuit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of a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전압감지부(450)는 일단이 스위칭부(415)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전력송신부(416)에 연결된다. As shown in FIG. 11 , the coil voltage sensing unit 45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switching unit 415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416 .

전력송신부(416)는 스위칭부(415)의 제 1 내지 제 4 스위치(S11 내지 S14)중, 제 1 및 제 3 스위치(S11, S13)의 사이, 그리고 제 2 및 제 4 스위치(S12, S14)의 사이에 연결된다. 코일전압감지부(450)는 일단이 전력송신부(416)의 코일의 일단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제 1 및 제 3 스위치(S11, S13)에 연결된다. The power transmission unit 416 is between the first and third switches S11 and S13 among the first to fourth switches S11 to S14 of the switching unit 415, and between the second and fourth switches S12 and S14. ) are connected between The coil voltage sensing unit 450 has one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il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416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and third switches S11 and S13.

코일전압감지부(450)는 제 1저항(R21), 제 2 저항(R22), 제 1 커패시터(C21), 제 1 다이오드(D21)를 포함한다. The coil voltage sensing unit 450 includes a first resistor R21, a second resistor R22, a first capacitor C21, and a first diode D21.

제 1 다이오드(D21)는 일단이 전력송신부(416)의 코일 및 스위칭부(415)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제 1 저항(R21) 및 제 1 커패시터(C21)에 연결된다. 제 1 커패시터(C21)는 다른 일단이 제 2 저항(R22)에 연결된다. 제 1 저항(R21)은 다른 일단이 제 2 저항(R22)에 연결된다. 코일전압은 제 1 저항(R21)과 제 2 저항(R22)의 저항비에 따른 분배전압으로 감지된다. The first diode D21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coil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416 and the switching unit 415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resistor R21 and the first capacitor C21.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pacitor C21 is connected to the second resistor R22. The other end of the first resistor R21 is connected to the second resistor R22. The coil voltage is sensed as a divided voltage according to the resistance ratio of the first resistor R21 and the second resistor R22.

제 1 다이오드(D21) 및 제 1 커패시터(C21)는 전력송신부(416)에 인가되는 전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정류한다. The first diode D21 and the first capacitor C21 rectify the current voltage applied to the power transmitter 416 into a DC voltage.

코일전압감지부(450)는 제 1 다이오드(D21) 및 제 1 커패시터(C21)를 통해 정류되어 저항에 인가되는 직류전압을 코일전압(V21)으로써 감지한다. The coil voltage sensing unit 450 detects the DC voltage rectified through the first diode D21 and the first capacitor C21 and applied to the resistor as the coil voltage V21.

도 12 는 본 발명의 가습청정장치의 신호흐름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12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signal flow of the humidification and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90)는, 분리가능한 탑커버어셈블리(230)에 대하여, 탑커버어셈블리(230)가 거치되는 위치에, 이물질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As shown in FIG. 12 , the controller 190 determines whether or not a foreign substance is located in the detachable top cover assembly 230 at a position where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mounted.

제어부(190)는 무선전력송신부(410)가 대기모드로 동작하여 전력송신부(416)게 전압이 인가되면, 제 1 전압감지부(417), 코일전압감지부(450), 전류감지부(412)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물질이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Wh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410 operates in standby mode and voltage is applied to the power transmitter 416, the controller 190 operates a first voltage detector 417, a coil voltage detector 450, and a current detector 412. ), it is determined whether a foreign substance is located or not based on the input data.

이때, 탑커버어셈블리(230)는 분리된 상태이므로, 무선전력송신부(410) 측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물질을 감지할 수 있다. 탑커버어셈블리(230)가 거치된 상태인 경우, 제어부(190)는 무선전력수신부(420)의 수신전압을 바탕으로 이물질을 감지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in a separated state, it is possible to detect foreign substances based on the data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410 side. When the top cover assembly 230 is mounted, the control unit 190 may detect foreign substances based on the received voltag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420.

제 1 전압감지부(417)는 레귤레이터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감지하고, 전류감지부는 그에 따른 전류를 감지한다. 제어부는 감지되는 전압과 전류를 바탕으로 대기모드 설정에 따른 전압이 정상적으로 출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모드에서 무선전력송신부는 약 6.5V를 출력한다. The first voltage sensing unit 417 senses the voltage output from the regulator, and the current sensing unit senses the corresponding current.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voltage according to the standby mode setting is normally output based on the detected voltage and current. For example, in standby mode,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outputs about 6.5V.

또한, 제어부(190)는 무선전력송신부(410)의 전압과 주파수를 제어하며 코일전압감지부(450)에 의해 감지되는 코일전압의 변화를 바탕으로 이물질을 감지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90 controls the voltage and frequency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410 and detects foreign substances based on a change in coil voltage detected by the coil voltage detection unit 450.

무선전력송신부(410)는 대기모드에 따라 6.5V를 출력하되, 이물질 감지 시, 듀티를 낮춰 코일 전압의 크기를 조절한다. 또한, 무선전력송신부(410)는 설정된 주파수 범위 내에서 단계적으로 스위칭 주파수를 변경하여 코일에 전압이 인가되도록 한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410 outputs 6.5V according to the standby mode, but adjusts the size of the coil voltage by lowering the duty when foreign matter is detected. In additio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410 changes the switching frequency step by step within a set frequency range so that a voltage is applied to the coil.

이때, 주파수 범위는, 제품의 설계에 따른 공진주파수와 무선전력송신부의 코일 및 커패시터의 공진 주파수를 바탕으로 소정 오차범위 내에서 설정된다. 또한, 스위치주파수에 대한 듀티는 약 3% 내지 10% 로 제어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requency range is set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based on the resonant frequency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product and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coil and capacitor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n addition, the duty for the switch frequency can be controlled to about 3% to 10%.

코일전압감지부는 각 주파수 별로 코일전압을 감지한다. The coil voltage sensing unit senses the coil voltage for each frequency.

제어부는 코일전압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코일전압에 대하여, 주파수 별 값 가장 높은값(피크값)을 저장하고, 소정 횟수 반복하여 그 평균값을 산출하여 설정값과 비교함으로써, 이물질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stores the highest value (peak value) for each frequency of the coil voltage detected through the coil voltage detection unit, calculates the average value by repeating it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compares it with the set value, thereby detect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foreign substance. .

도 13 는 본 발명의 가습청정장치의 무선전력송신부에서 감지되는 코일전압을 비교하는 도이다. 13 is a diagram comparing coil voltages detected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of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기준이 되는 전압을 바탕으로 설정값을 지정하고, 측정되는 코일전압을 설정값(Vth)과 비교하여 이물질 여부를 판단한다. As shown in FIG. 13 , the control unit designates a set value based on the reference voltage and compares the measured coil voltage with the set value (Vth)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foreign substance.

동일한 주파수에서, A는 이물질이 없는 상태에서의 코일전압에 대한 기준전압이고, B는 이물질이 없는 상태에서 제품에 따라 또는 상황에 따라 실제 측정되는 코일전압이며, C는 이물질이 있는 경우의 코일전압이다. At the same frequency, A is the reference voltage for the coil voltage in the absence of foreign matter, B is the actual measured coil voltage according to the product or situation in the absence of foreign matter, and C is the coil voltage in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am.

동일한 주파수에서, 이물질이 위치파는 경우 이물질이 부하로 작용하게 되므로, 게인이 변경되어 코일전압이 감소하게 된다. 그에 따라 제어부는 코일전압을 비교하여 이물질을 감지할 수 있다. At the same frequency, since the foreign matter acts as a load when a position wave occurs, the gain is changed and the coil voltage is reduced.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may detect foreign substances by comparing coil voltages.

도 14 는 본 발명의 가습청정장치의 무선전력송신부에서 감지되는 코일전압에 대한 그래프이다. 14 is a graph of the coil voltage sensed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of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별로 핑(Ping)을 소정횟수, 예를 들어 5회 수행하고 이를 1세트(501)로 하여, 일정횟수 반복한다(S110). 즉, 제 1 주파수의 P1, 제 2 주파수의 P2, 제 3 주파수의 P3, 제 4 주파수의 P4, 제 5 주파수의 P5의 핑을 수행하여 그에 따라 측정된 코일전압을 저장하고 그 중 피크값(502)을 이용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일정횟수 반복한다. As shown in FIG. 14, ping is perform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each frequency, for example, 5 times, and this is set as one set (501) and repea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S110). That is, pinging of P1 of the first frequency, P2 of the second frequency, P3 of the third frequency, P4 of the fourth frequency, and P5 of the fifth frequency is performed, and the coil voltage measured accordingly is stored, and the peak value ( 502) is used. Repeat this process a certain number of times.

코일전압감지부(450)는 주파수 변화에 따른 핑이 수행되는 중, 코일전압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입력한다. 제어부(190)는 각 주파수 별로 감지되는 코일전압을 저장하고, 1세트 단위로 반복되는 값에 대하여 1세트 별 피크값(502)을 선별하여 합산하고 그에 대한 평균을 산출한다. The coil voltage sensing unit 450 senses the coil voltage and inputs it to the control unit while ping according to the frequency change is being performed. The control unit 190 stores the coil voltage sensed for each frequency, selects and sums the peak values 502 for each set with respect to values repeated in a unit of one set, and calculates an average thereof.

즉 앞서 설명한 도 12에서 코일전압 B는 이와 같이 평균값으로 측정된 코일전압이다. That is, in FIG. 12 described above, the coil voltage B is the coil voltage measured as an average value.

제어부(19)는 주파수 별로 가장 높은값(피크값)을 합산하여 평균을 산출한 코일전압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이물질 여부를 판단한다. The control unit 19 compares the averaged coil voltage by summing the highest value (peak value) for each frequency with a set valu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 foreign substance.

도 15 는 본 발명의 가습청정장치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청정장치는 입력되는 설정에 따라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이물질(미세먼지)을 필터링하거나 또는 냄샘새를 제어하여 토출하고, 또한, 공기를 가습하여 토출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5, the humidification cleaning device filters foreign substances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that is sucked in according to input settings, or controls and discharges odors, and also humidifies and discharges the air. .

전원이 입력되면 가습청정장치는 동작을 시작한다(S310).When power is input, the humidification cleaning device starts operating (S310).

제어부(190)는 비주얼바디로부터 분리 가능한 탑커버어셈블리(커버)가 거치된 상태인지 분리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330)The controller 190 determines whether the top cover assembly (cover) detachable from the visual body is in a mounted state or a separated state (330).

제어부(190)는 탑커버어셈블리가 정상 거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탑커버어셈블리(커버)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op cover assembly is normally mounted, the controller 190 supplies power to the top cover assembly (cover).

한편,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90)는 대기모드를 설정한다(S340). Meanwhi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op cover assembly is separated, the controller 190 sets a standby mode (S340).

무선전력송신부(410)는 커버가 오픈된 상태에서 대기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이물질감지모드로 인식하여 이물질을 감지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S350). As the standby mode is set with the cover op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410 recognizes it as a foreign matter detection mode and performs an operation for detecting foreign matter (S350).

무선전력송신부(410)는 설정된 범위 내에서 주파수를 변경하면서 핑(PING)동작을 수행한다. 무선전력송신부(410)는 적어도 5개의 주파수에 대한 핑동작을 일정 횟수 반복한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410 performs a PING operation while changing a frequency within a set rang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410 repeats a ping operation for at least five frequencie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코일전압감지부(450)는 무선전력송신부(410)가 핑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코일전압을 감지한다(S360).The coil voltage detection unit 450 detects the coil voltage whil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410 performs a ping operation (S360).

제어부(190)는 코일전압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주파수별 최대값(피크값)을 선별한다. 제어부(190)는 핑동작이 반복됨에 따라, 각 횟수 별로 최대값을 선별하고, 최대값을 합산하여 평균을 산출한다. The controller 190 stores the coil voltage in a memory and selects a maximum value (peak value) for each frequency. As the ping operation is repeated, the controller 190 selects the maximum value for each number of times, sums the maximum values, and calculates an average.

제어부(190)는 코일전압의 평균값을 기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여(S370), 코일전압(평균값)이 설정값 미만이면 이물질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S380). The controller 190 compares the average value of the coil voltage with a preset value (S370), and determines that the foreign matter is located when the coil voltage (average value) is less than the preset value (S380).

이물질 감지시, 제어부(190)는 이물질에 따른 에러를 출력한다(S390). 제어부(190)는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Upon detection of foreign matter, the controller 190 outputs an error according to the foreign matter (S390). The controller 190 may output a warning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또한, 제어부(190)는 이물질 감지에 따라, 탑커버어셈블리로의 동작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된 상태에서, 대기모드가 설정되어 저전압이 인가되고 있으므로, 대기모드를 해제하고 무선전력송신부의 전원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90 may cut off the supply of operation power to the top cover assembly according to foreign matter detection. Since the standby mode is set and low voltage is being applied while the top cover assembly is separated, the control unit 190 can release the standby mode and cut off power supply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필요에 따라 제어부(190)는 소정시간 경과 후, 대기모드를 재설정하고 이물질을 재감지하여 이물질 제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f necessary, the control unit 190 may reset the standby mode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nd detect the foreign matter again to determine whether the foreign matter has been removed.

한편, 코일전압(평균값)이 설정값 이상이면 이물질이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coil voltage (averag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it is determined that no foreign matter is located.

제어부(190)는 탑커버어셈블리가 거치될때 까지, 소정시간 간격으로 이물질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90 may perform foreign matter detectio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until the top cover assembly is mounted.

제어부(190)는 이물질이 감지되지 않고, 탑커버어셈블리가 거치되면 대기모드에서 정상모드로 변경하고, 탑커버어셈블리로 동작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The controller 190 changes from the standby mode to the normal mode when the foreign matter is not detected and the top cover assembly is mounted, and allows operating power to be applied to the top cover assembly.

도 16 은 본 발명의 가습청정장치의 이물질 감지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16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foreign matter detection method of the humidifying and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가 오픈된 상태에서(S410), 제어부(190)는 대기모르를 설정한다. As shown in FIG. 16, in a state where the cover is opened (S410), the controller 190 sets a standby mode.

그에 따라 무선전력송신부(410)는 대기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인가되는 전압을 저전압으로 변경한다. 무선전력송신부(410)의 레귤레이터는 대기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약 6.5V의 전압을 출력한다. Accordingly,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410 changes the applied voltage to a low voltage as the standby mode is set. The regulator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410 outputs a voltage of about 6.5V as the standby mode is set.

무선전력송신부의 전력전송제어부는 이물질 감지모드로 인식하여 듀티를 변경하고 설정 범위 내에서 주파수 신호를 인가한다(S440).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recognizes the foreign matter detection mode, changes the duty, and applies a frequency signal within a set range (S440).

코일전압감지부(450)는 전력송신부(416)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을 감지한다(S450). The coil voltage detection unit 450 senses the voltage applied to the coil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416 (S450).

주파수 변경횟수가 설정횟수 미만이면(S460), 전력전송제어부(411)는 설정된 주파수 범위 내에서, 주파수를 변경한다(S480). 전력전송제어부(411)는 주파수 변경 카운트를 증가시킨다(S490).If the number of frequency changes is less than the set number (S460),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411 changes the frequency within the set frequency range (S480).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411 increases the frequency change count (S490).

전력전송제어부(411)는 변경된 주파수신호를 인가하고(S440), 코일전압감지부(450)는 전력송신부(416)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을 감지한다(450).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411 applies the changed frequency signal (S440), and the coil voltage detection unit 450 detects the voltage applied to the coil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416 (450).

전력전송제어부(411)는 설정된 주파수 범위 내에서, 설정횟수 만큼 주파수를 변경하면서 코일전압을 감지한다(S440 내지 S490). The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411 detects the coil voltage while changing the frequency by the set number of times within the set frequency range (S440 to S490).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도 14와 같이, 무선전력송신부(410)는 제 1 내지 제 5 주파수로 주파수를 변경하면서 신호를 인가하고, 코일전압감지부(450)는 각각의 코일전압을 감지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4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410 applies a signal while changing the frequency to the first to fifth frequencies, and the coil voltage detector 450 detects each coil voltage.

코일전압감지부는 코일전압을 제어부로 인가한다. The coil voltage sensing unit applies the coil voltage to the control unit.

설정 주파수범위내에서 주파수변경이 완료되면, 제어부(190)는 입력된 코일전압 중, 최고값 즉, 피크값을 선별하여 저장한다(S490). When the frequency change is completed within the set frequency range, the control unit 190 selects and stores the highest value, that is, the peak value, among the input coil voltages (S490).

무선전력송신부는 설정된 주파수 범위 내에서 설정횟수만큼 주파수를 변경하면, 이를 1세트로 하여 일정횟수 반복한다(S495).I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changes the frequency by the set number of times within the set frequency range, it is set as one set and repeated a certain number of times (S495).

제어부(190)는 무선전력송신부가 일정횟수 핑동작을 반복하면, 매 회차별 전압피크값을 저장하고, 그에 대한 평균을 산출한다(S500).Whe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repeats the ping operation a certain number of times, the controller 190 stores voltage peak values for each time and calculates an average thereof (S500).

제어부(190)는 산출된 코일전압의 평균을 설정값과 비교하고(S510), 코일전압(평균)이 설정값 미만이면 이물질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S520), 설정값 이상이면 이물질이 위치하지 않는 정상상태로 판단한다(S530).The control unit 190 compares the average of the calculated coil voltages with the set value (S510), and determines that the foreign matter is located if the coil voltage (average) is less than the set value (S520). It is judged as a normal state (S530).

그에 따라 제어부(190)는 이물질 감지에 따른 에러를 출력할 수 있고, 또한, 정상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탑커버어셈블리가 거치될때 까지 소정시간 간격으로 이물질 감지를 반복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ntroller 190 may output an error according to foreign matter detection, may operate in a normal mode, and may repeat foreign matter detectio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until the top cover assembly is mounted.

따라서 본 발명은 분리 가능한 탑커버어셈블리의 거치위치 또는 거치상태에 대응하여 이물질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탑커버어셈블리가 거치되기 전, 분리된 상태에서도 이물질을 감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전에 이물질에 대한 경고를 출력함에 따라 이물질로 인한 전원공급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foreign matter in response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r installation state of the detachable top cover assembly.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foreign substances even in a separated state before the top cover assembly is mounted, and accordingly, a warning about foreign substances is output in advance, thereby solving a power supply problem caused by foreign substance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에어클린모듈 110 : 베이스바디
120 : 어퍼바디 130 : 로어바디
150 : 송풍하우징 160 : 디스플레이모듈
200 : 에어워시모듈
210 : 비주얼바디 230 : 탑커버어셈블리
240: 조작모듈 245: 입력부
260: 베이스커넥터 270: 탑커넥터
300 : 수조
410: 무선전력송신부 411: 전력전송제어부
414: 레귤레이터 415: 스위칭부
420: 무선전력수신부 490: 스위칭레귤레이터
470: 입출력제어부
100: air clean module 110: base body
120: upper body 130: lower body
150: blower housing 160: display module
200: air wash module
210: visual body 230: top cover assembly
240: control module 245: input unit
260: base connector 270: top connector
300: water tank
410: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411: 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414: regulator 415: switching unit
420: wireless power receiver 490: switching regulator
470: input/output control unit

Claims (20)

에어클린모듈 및 에어워시모듈을 포함하는 가습청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워시모듈에 구비되는 수조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와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탑커버어셈블리;
상기 에어클린모듈이 구비되는 베이스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탑커버어셈블리로 무선전력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전력송신부;
상기 무선전력송신부의 전력송신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력송신부에 인가되는 코일전압을 감지하는 코일전압감지부; 및
상기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되면 상기 무선전력송신부에 대기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코일전압에 대응하여 이물질을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되고 상기 대기모드가 설정되면 이물질 감지모드로 인식하여, 출력전압과 주파수를 가변하여 상기 전력송신부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며,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는 상기 대기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정상모드의 전압모다 낮은 저전압이 출력전압으로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청정장치.
In the humidification cleaning device including the air clean module and the air wash module,
a top cover assembly disposed above the water tank provided in the air wash module and mounted to be separable from the water tank;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that is formed on the base body on which the air clean module is provided and transmits a wireless power signal to the top cover assembly;
a coil voltage detection unit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and sensing a coil voltage appli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nd
When the top cover assembly is separated, a control unit that sets a standby mode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detects foreign substances in response to the coil voltage,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recognizes the foreign matter detection mode when the top cover assembly is separated and the standby mode is set, controls the voltage applied to the power transmitter by varying the output voltage and frequency,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is a humidifying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s the standby mode is set, a low voltage lower than the voltage in the normal mode is applied as an output voltag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는 듀티를 변경하여 상기 전력송신부에 인가되는 전압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청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umidifying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reduces the voltage appli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by changing the dut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는 상기 듀티를 3% 내지 10% 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청정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humidification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changes the duty from 3% to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는 주파수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주파수 범위 내에서 주파수를 변경하여 상기 전력송신부에 인가되는 전압이 변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청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sets a frequency range and changes the frequency within the frequency range so that the voltage applied to the power transmitter is chang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는 상기 주파수 범위 내의 주파수 변경을 일정횟수 반복하여 핑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청정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repeats a frequency change within the frequency range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o perform a ping opera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는 상기 주파수 범위 내에서, 제 1 주파수로 상기 전력송신부에 소정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고,
주파수를 변경하여 제 2 주파수로 상기 전력송신부에 소정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며,
주파수 변경을 반복하여 제 n 주파수로 상기 전력송신부에 소정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청정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causes a voltage of a predetermined size to be applied to the power transmitter at a first frequency within the frequency range,
The frequency is changed so that a voltage of a predetermined size is applied to the power transmitter at a second frequency,
The humidifying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equency change is repeated so that a voltage of a predetermined size is applied to the power transmitter at the nth frequency.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는 상기 제 1 주파수 내지 상기 제 n 주파수로의 변경을 일정 횟수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청정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repeats the change from the first frequency to the n-th frequency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는 제품의 공진주파수와 구비되는 코일 및 커패시터에 의한 공진주파수를 고려하여 변경할 주파수 범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청정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sets the frequency range to be ch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product and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coil and capacitor provi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일전압이 기 설정된 설정값 미만이면 이물질이 위치하는 것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청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umidifying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foreign substances are located when the coil voltage is less than a preset valu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일전압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코일전압의 평균을 산출하고, 상기 코일전압의 평균을 상기 설정값과 비교하여 이물질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청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control unit calculates an average of the coil voltages detected through the coil voltage detection unit, and compares the average of the coil voltages with the set value to detect foreign substance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전력송신부에 의해 변경되는 주파수별로 감지되는 코일전압 중 피크값을 선별하고, 주파수변경이 반복됨에 따라 회차별 피크값의 평균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청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control unit selects a peak value among the coil voltages detected for each frequency changed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and calculates an average of the peak values for each cycle as the frequency change is repeate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물질이 위치하지 않는 경우 측정되는 상기 코일전압을 기준으로 측정오차를 고려하여, 상기 코일전압보다 낮은값으로 상기 설정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청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humidifying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sets the set value to a value lower than the coil voltage in consideration of a measurement error based on the coil voltage measured when no foreign matter is located.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탑커버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가습청정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탑커버어셈블리의 거치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된 경우 대기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이물질 감지모드로 인식하여, 상기 탑커버어셈블리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무선전력송신부의 출력전압과 주파수를 가변하는 단계;
상기 무선전력송신부에 구비되는 전력송신부에 인가되는 코일전압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코일전압에 대응하여 이물질을 감지하는 단계;
이물질이 감지되면 에러를 출력하는 단계; 및
이물질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탑커버어셈블리가 거치되기 까지 이물질 감지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습청정장치의 제어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a humidifying cleaning device including a top cover assembly detachably mounted,
detecting whether the top cover assembly is installed;
setting a standby mode when the top cover assembly is separated;
Recognizing it as a foreign matter detection mode, varying the output voltage and frequency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supplying power to the top cover assembly;
sensing a coil voltage applied to a power transmitter provided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detecting foreign matter in response to the coil voltage;
outputting an error when a foreign substance is detected;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humidification and cleaning device comprising repeating foreign matter detection until the top cover assembly is mounted when no foreign matter is detected.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감지모드로 인식하면,
공진주파수를 바탕으로 주파수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범위 내에서 주파수를 변경하여 상기 전력송신부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습청정장치의 제어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n recognized in the foreign matter detection mode,
Setting a frequency range based on the resonant frequency;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humidifying clean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controll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by changing a frequency within the frequency rang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범위 내의 주파수 변경하는 동작을 일정횟수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습청정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5,
A method of controlling a humidifying clean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repeating an operation of changing a frequency within the frequency range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는 변경하는 경우,
상기 주파수 범위 내에서, 제 1 주파수로 상기 전력송신부에 소정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는 단계;
주파수를 변경하여 제 2 주파수로 상기 전력송신부에 소정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는 단계;
주파수 변경을 반복하여 제 n 주파수로 상기 전력송신부에 소정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습청정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5,
If the frequency is changed,
applying a voltag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to the power transmitter at a first frequency within the frequency range;
changing a frequency so that a voltag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is applied to the power transmitter at a second frequency;
The control method of the humidifying clean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peating the frequency change so that a voltage of a predetermined size is applied to the power transmitter at the nth frequency.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을 감지하는 단계는,
감지된 상기 코일전압을 기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코일전압이 상설정값 미만이면 이물질이 위치하는 것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청정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5,
The step of detecting the foreign matter,
A control method of a humidifying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aring the sensed coil voltage with a preset value, and determining that a foreign substance is located when the coil voltage is less than the preset value.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을 감지하는 경우,
주파수변경에 따라 감지되는 상기 코일전압을 저장하는 단계;
주파수별 코일전압 중, 피크값을 선별하는 단계; 및
주파수변경이 반복됨에 따라 회차별 피크값의 평균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일전압의 평균값을 상기 설정값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청정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8,
In the case of detecting the foreign matter,
storing the coil voltage sensed according to a frequency change;
Selecting a peak value among coil voltages for each frequency; and
Calculating an average of the peak values for each time as the frequency change is repeated,
A control method of a humidifying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mparing the average value of the coil voltage with the set value.

삭제delete
KR1020180028263A 2018-03-09 2018-03-09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method thereof KR1025005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263A KR102500527B1 (en) 2018-03-09 2018-03-09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263A KR102500527B1 (en) 2018-03-09 2018-03-09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579A KR20190106579A (en) 2019-09-18
KR102500527B1 true KR102500527B1 (en) 2023-02-15

Family

ID=68070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263A KR102500527B1 (en) 2018-03-09 2018-03-09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52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399B1 (en) * 2021-01-20 2022-12-07 동서콘트롤(주) Multifunctional air care device with steam humidification, warm air, air cleaning and sterilization function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2369A (en) * 1997-03-04 1998-11-05 구자홍 Safety device of air conditioner and its control method
KR101804436B1 (en) * 2015-10-26 2017-12-04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Floating type of humidfier using vertical type of power transmission method
KR101973644B1 (en) * 2015-10-30 2019-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579A (en)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93511B2 (en) Portable air purifier
KR101973644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1888953B1 (en) Air Conditioner
KR102601218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EP3712519A1 (en) Air purify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purifying system
KR102466664B1 (en) air cleaning apparatus and a method controlling the same
US10054322B2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2210359B1 (en) Apparatus for wireless power supply and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2500527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method thereof
US11549701B2 (en)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KR102024090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method thereof
KR102550365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method thereof
KR102500522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method thereof
KR102493846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method thereof
KR102043069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method thereof
CN107676881A (en) A kind of intelligent independent formula air cleaning unit
KR102013835B1 (en) air cleaning apparatus and a method controlling the same
KR102072638B1 (en) Dust Collector
KR102043070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nd method thereof
KR102246977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r the same
KR102462680B1 (en) air cleaning apparatus and a method controlling the same
KR102629988B1 (en) Wireless humidifier set
EP3712525A1 (en) Air purifier and air purifying system
CN219868336U (en) Water-washing air purifying device
KR101653487B1 (en) Robot cleaner having humidifier and control method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